KR101985699B1 -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699B1
KR101985699B1 KR1020170039119A KR20170039119A KR101985699B1 KR 101985699 B1 KR101985699 B1 KR 101985699B1 KR 1020170039119 A KR1020170039119 A KR 1020170039119A KR 20170039119 A KR20170039119 A KR 20170039119A KR 101985699 B1 KR101985699 B1 KR 101985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odes
indoor
build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9410A (en
Inventor
임대현
이진권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69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Navig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paring an indoor map,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ttributes of nodes existing on an indoor map of each floor of a building; Detecting one or more interlayer nod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nalyzed nodes; And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to create a new link.

Description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METHO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지도 작성 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mapping method and a device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layer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건축기술의 빠른 발전과 이동통신을 비롯한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실외공간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점차 실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실내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더불어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실외공간을 대상으로 제공되어 오던 위치기반서비스들이 점차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and the proliferation of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various activities that were performed in the outdoor space are gradually progressing indoor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indoor space in everyday life is gradually increasing, and location-based services, which have been provided for outdoor spaces such as navigation, are gradually expanding to indoor spaces.

실내공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들이 성공적으로 구축 및 제공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실내측위와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 이동경로, POI(Point of Interest) 및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여기서,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즉, 실내지도)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접근 및 공유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포맷 또는 명세에 따라 제공되어야 한다.In order to successfully construct and provide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provided in indoor spaces, such as maps, movement paths, points of interest (POIs) and images, etc. It is essential to buil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Here, a map of indoor space (ie, indoor map)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a standardized format or specification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shared in various types of location-based services.

또한,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는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와 연계하여 제공될 필요가 있다. 가령, 초고층 복합 쇼핑몰, 대형 지하 상가 등과 같은 복잡한 실내공간이 등장함에 따라,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사용자들에게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 서비스와 연계하여 실내공간에 관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지도 작성 툴은 실외공간에 관한 지도 작성 기능과 함께 실내공간에 관한 지도 작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ap of the indoor space needs to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map of the outdoor space. For example, as complex indoor spaces such as a high-rise complex shopping mall and a large underground shopping mall appe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erminal service using a navigation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map service regarding an outdoor space to a terminal user using a navigation service. Accordingly, a recent mapping tool provides a mapping function for an indoor space as well as a mapping function for an outdoor space.

그런데, 종래의 지도 작성 툴은, 실외지도 상의 건물에 POI(Point of Interest)/폴리곤(polygon)/폴리라인(polyline) 등을 수동으로 그려줌으로써 실내지도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건물이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층별 실내지도를 일일이 수동으로 그려줘야 하기 때문에, 실내지도 작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mapping tool creates an indoor map by manually drawing points of interest (POI) / polygon / polyline and the like on a building on an outdoor map. Therefore, when the build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ors, since indoor floor maps for each floor must be drawn manu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create an indoor map.

이러한 실내지도 작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건축된 건물의 경우 설계 단계로부터 축적되는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들이 많지만, 기존 건축물의 경우 건물에 대한 정보가 대부분 설계도면(blueprint) 및 대장 등과 같은 도면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수작업으로 다시 편집하거나, 도면들을 이미지로 스캔하고, 이미지를 처리하여 벽체, 문, 계단 등과 같은 구조 및 구조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는 과정들을 필요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making indoor maps, various methods of making indoor maps using information on indoor spaces have been studied. However, in the case of recently built buildings,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on the interior space accumulated from the design stage, but in the case of existing buildings, most of the information on the buildings exist in the form of drawings such as a blueprint and a book. Buil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from these drawings generally involves manual editing from the beginning, scanning the drawings into images, and processing the images to ex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es and structures such as walls, doors, and stairs. in need.

이러한 과정들을 일부 지원하는 3D 프로그램 및 도구들이 존재하지만, 도면을 스캔 한 이미지의 경우 스캐닝의 정확도와 도면에서 사용된 기호, 표기법 등에 따라 부정확한 정보가 추출될 가능성이 높아 대부분 수작업으로 실내공간정보를 편집 및 저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수작업을 통해 실내 주요 시설물들이 어느 정도 그려지면, 건물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노드(node) 및 링크(link)를 실내지도 상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re are 3D programs and tools that support some of these processes, inaccurat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scanning and the symbols and notations used in the drawings. You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editing and authoring. When some of the major indoor facilities are drawn through this manual work, it is necessary to add nodes and links on the indoor map for set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building users.

그런데, 이러한 노드와 링크를 실내지도 상에 작성하는 기술은 있으나, 층간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기술이 없어 실내지도 작성에 불편함을 야기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실내지도 작성 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By the way, there is a technique for creating such a node and a link on the indoor map, but there is a side that causes inconvenience in the indoor map because there is no technique for connecting the nodes between the floors. Therefore, when creating an indoor map,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nodes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실내지도 작성 시, 노드들의 속성 및 좌표값을 기반으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layer nodes based on attributes and coordinates of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또 다른 목적은 실내지도 작성 시, 노드들의 속성 및 좌표값을 기반으로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nal and external nodes of a building based on attributes and coordinates of the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another object, the step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of the building; Detecting one or more interlayer nod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nalyzed nodes; And generating a new link by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검출하는 노드 속성 검출부;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층간 노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자동 링크 생성부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node propert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operti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floor-specific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 interlayer node detector for detecting one or more interlayer nod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detected nodes; And an automatic link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connect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to generate a new link.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과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indoor map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Detecting one or more interlayer nod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nalyzed nodes; And generating a new link by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code executable on a compu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indoor floor map of the building; Detecting an internal node and an external no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nalyzed nodes; And generating a new link by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nal nodes and external no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검출하는 노드 속성 검출부;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내/외부 노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자동 링크 생성부를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node attribu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ttribut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floor-specific indoor map of the building; An internal / external node detector for detecting internal and external nodes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detected nodes; And an automatic link generator configured to connect the detected internal nodes and external nodes to generate a new link.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과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nodes present on the indoor map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Detecting an internal node and an external no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nalyzed nodes; And generating a new link by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nal node and external node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code executable on a comput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indoor map preparation method and an effect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실내지도 작성 시, 동일한 속성을 갖는 층간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층간 노드 간에 새로운 링크를 자동으로 생성해 줌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reating an indoor map, by searching for an interlayer node having the same property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new link between the interlayer no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 conveni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실내지도 작성 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색하여 상기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 간에 새로운 링크를 자동으로 생성해 줌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reating an indoor map, by searching for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having the same property to automatically create a new link between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the user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convenience.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indoor mapping method and the effect that the device can achiev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technical field.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작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a 내지 도 7d는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노드 추가 시, 새로 추가된 노드와 인접 링크의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1은 건물 변경 모드 시, 층 문자열 정보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2는 폴리곤 추가 모드 시, 폴리곤의 기본 모양을 디폴트로 선택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3은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4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위치를 미리 결정된 각도에 자동 홀딩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5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인접 폴리곤으로 접근하는 폴리곤을 자동으로 끌어와서 상기 인접 폴리곤에 결합시키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6은 폴리곤 변경 모드 시, 폴리곤의 일 지점에 노드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7은 층별 실내지도 상에 겹쳐 그려진 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폴리곤/폴리라인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2D 폴리곤/폴리라인을 3D 폴리곤/폴리라인으로 자동 변경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p creation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aring an indoor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interlayer nodes;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aring an indoor m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FIG. 10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connects a newly added node with a node of an adjacent link when adding a node; FIG.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arranges floor string information in a building change mode; FIG.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selects a default shape of a polygon by default in the polygon adding mode; FIG.
FIG. 13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provides an indicator for changing a position of a polygon in a polygon change mode; FIG.
FIG. 14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holds a polygon's posi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polygon change mode; FIG.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in which a polygon approaching an adjacent polygon is automatically drawn and coupled to the adjacent polygon in the polygon change mode; FIG.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ding a node to a point of a polygon in a polygon change mode; FIG.
FIG. 17 is a diagram referred to describe an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layer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elements superimposed on a floor-based indoor map; FIG.
18A and 1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door mapp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changes a 2D polygon / polyline displayed on an indoor map to a 3D polygon / polyline in the polygon / polyline change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term 'pa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part' plays a role. But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part'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폴리곤(polygon)'은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다각형을 의미하고, '폴리라인'은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다중 연결 선을 의미하며, 포인트는 실외공간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 중 하나인 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지도 상의 경로 설정을 위해 미리 지정한 특정 장소(또는 지점)을 의미하고, '링크'는 지도 상의 경로 설정을 위해 노드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선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좌표값'은 기준점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하고, '절대 좌표값'은 기준점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olygon' refers to a polygon which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constituting the outdoor spatial information and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the 'polyline' refers to the outdoor spatial information and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One of the basic elements may mean a multiple connection line, and the point may mean a point that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constituting the outdoor spatial information and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n addition, 'node' may mean a specific place (or point) designated in advance for route setting on the map, and 'link' may mean a line segment connecting nodes to nodes for route setting on the map. In addition,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may refer to position information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point, and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may refer to position information whose position is fixed regardless of the reference point.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시, 노드들의 속성 및 좌표값을 기반으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지도 작성 시, 노드들의 속성 및 좌표값을 기반으로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layer nodes based on attributes and coordinates of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nal and external nodes of a building based on attributes and coordinates of the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및 통신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a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130.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과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13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3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include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and specifically,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the like. It can include various networks.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also include a known World Wide Web (WWW).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etworks listed abov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nown wireless data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and a known wired / wireless television network.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지리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혹은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download and install a map preparation program for creating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geographic are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access a specific web site and download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may download the corresponding program through a separate storage medium.

사용자 단말(110)은, 기 설치된 지도작성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자 인증(또는 관리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 화면은 사용자(또는 관리자)의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요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login screen for user authentication (or administrator authentication) on the display when the pre-installed mapping program is executed. In this case, the login screen may request ID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인증 성공 시,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에 접속하여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실외지도(outdoor map)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에 접속하여 해당 지리 영역에 존재하는 건물에 관한 실내지도(indoor map)를 작성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110 succeeds in authenticating the user, the user terminal 110 may connect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prepare an outdoor map for a specific geographic area.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connect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er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to create an indoor map of a building existing in the geographic area.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즉, 지도작성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2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작성 화면(또는 지도작성 툴 화면, 2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작성 화면(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은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이하, 설명의 편의상, '지도작성 명령 신호'라 칭함)을 입력 받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screen (ie, an execution screen of the mapping program 200) for creating an outdoor map or an indoor map on a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map creation screen (or map creation tool screen 200) as shown in FIG. 2 on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user input on the mapping screen 200,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command signals for creating an outdoor map or an indoor map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red to as a 'mapping command signal'). Can be.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지도작성 화면(200)은,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복수의 메인 메뉴들(main menus)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 특정 지리 영역에 관한 맵 데이터(map data)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 특정 메뉴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pping screen 200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210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main menus for creating an outdoor map and / or an indoor map, and a specific geographic area. It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area 220 for displaying map data relating to the third data, and a third display area 230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a specific menu.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지도작성 프로그램의 홈 화면(또는 시작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홈 메뉴(21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메뉴(212), 건물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빌딩(building) 메뉴(213), 미리 지정된 건물에 층(floor)을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층 메뉴(214), 폴리곤(polygon)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폴리곤 메뉴(216), 폴리라인(polyline)을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폴리라인 메뉴(216), 포인트(point)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포인트 메뉴(217), 노드(node)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노드 메뉴(218), 링크(link)를 지도 상에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링크 메뉴(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좌측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first display area 210 includes a home menu 211 for moving to a home screen (or a start screen) of a mapping program and a second display area 220 by searching for map data corresponding to a place input by a user. Search menu 212 for displaying), building menu 213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buildings on the map, and floor menu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floors to a predetermined building 214, a polygon menu 216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a polygon on a map, a polyline menu 216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a polyline on a map, and a point ( Point menu 217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points on the map, node menu 218 for adding / changing / deleting nodes on the map, and adding / linking links on the map. And a link menu 219 for changing / deleting. The first display area 210 may be located in the left area or the lower area of the mapping screen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의 검색 메뉴(212)를 통해 입력된 장소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검색 메뉴(212)를 통해 건물명, 해당 건물의 주소명 또는 해당 건물의 좌표값 등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건물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건물의 위치(location), 크기(size), 모양(shape), 경계(boundary) 등에 따라 줌(zoom)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맵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area 220 may include map data corresponding to a place or a location input through the search menu 212 of the first display area 210.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area 220 may includ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second display area 22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mapping screen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 building name, an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or a coordina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is input through the search menu 212,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ilding on the second display area 220. Can b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map data while automatically adjusting the zoom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shape, boundary, etc.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0)에서 선택된 메뉴와 관련된 하위 메뉴 및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은 지도작성 화면(200)의 우측 영역 또는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가 미리 결정된 제1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가 미리 결정된 제2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에 표시된 삭제 아이콘(231)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0)이 지도작성 화면(200)에서 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hird display area 230 may include submenus and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selected in the first display area 210. The third display area 230 may be located in the right area or the upper area of the mapping screen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cursor or pointer on the display moves to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the third display area 230 may be automatically expanded. In addition, as the cursor or the pointer on the display moves to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the third display area 230 may be automatically closed. In addition, as the delete icon 231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area 230 is selected, the third display area 230 may be configured to disappear from the mapping screen 20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10)에는 데스크톱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described herein includes a desktop PC, a laptop comput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mobile phone, smart phone, wearable device (e.g., smartwatch,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 May be included.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특정 영역에 관한 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지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generate a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area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and perform the function of constructing the generated geographic information in a database. To this e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user interface (UI) for making a map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정보(즉, 실내지도 및 실외지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단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령, 실외/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별도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지리정보구축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that is, indoor map and outdoor map)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 request of a terminal user. In addi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eg, outdoor / indoor navigation service) based on the corresponding geographic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user.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when a separate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exists,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geographic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to the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리정보구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는 UI 정보 제공부(310),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 실내지도 작성부(330), 실외지도 작성부(340), 데이터베이스(350), 지도 검색부(360) 및 경로 탐색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지리정보구축 서버(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지리정보구축 서버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s 120 and 300 may include a UI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0, a use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20, an indoor map preparing unit 330, an outdoor map preparing unit 340, and a database ( 350, the map search unit 360, and the route search unit 37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300, so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Can be.

UI 정보 제공부(310)는 지리정보구축 서버(300)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로 지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을 참조하여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입력할 수 있다.The UI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user interface (UI) for making a map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linked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300. The terminal user may input command signals for creating an outdoor map or an indoor map with reference to the UI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는,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은, 건물 검색 명령, 건물 추가/삭제/변경 명령, 층 추가/삭제/변경 명령, 폴리곤 추가/삭제/변경 명령, 폴리라인 추가/삭제/변경 명령, 포인트 추가/삭제/변경 명령, 노드 추가/삭제/변경 명령, 링크 추가/삭제/변경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llecting map creation command signals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mapping command signals, building search command, building add / delete / change command, layer add / delete / change command, polygon add / delete / change command, polyline add / delete / change command, point add / delete /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hange command, a node add / delete / change command, a link add / delete / change command, and the like.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특정 건물에 관한 실내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건물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층별 실내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실내지도 작성부(330)는 폴리곤, 폴리라인, 포인트, 노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주요 시설물들(가령, 사무실, 화장실, 계단 등)을 특정 건물에 대응하는 지도 상에 그려줌으로써 실내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The indoor map generator 330 may perform a function of creating an indoor map of a specific building based on the mapping command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collector 320. When the build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ors, the indoor map generator 330 may create an indoor map for each floor based on the mapping command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collector 320. That is, the indoor mapping unit 330 maps main facilities (eg, an office, a bathroom, a staircase, etc.) existing in a room by using at least one of a polygon, a polyline, a point, a node, and a link to a specific building. You can create an indoor map by drawing on it.

실외지도 작성부(340)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320)로부터 전송 받은 지도작성 명령 신호들을 기반으로 특정 영역에 관한 실외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외지도 작성부(340)는 폴리곤, 폴리라인, POI, 노드 및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외에 존재하는 주요 시설물들(가령, 건물, 도로, 지하철 등)을 특정 지리 영역에 대응하는 지도 상에 그려줌으로써 실외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The outdoor map preparation unit 340 may perform a function of creating an outdoor map of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mapping command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That is, the outdoor map preparation unit 340 corresponds to a specific geographic area by using the at least one of a polygon, a polyline, a POI, a node and a link to main facilities (eg, buildings, roads, subways, etc.) existing outdoors. The outdoor map can be created by drawing on the map.

데이터베이스(350)는 실내지도 작성부(330)에 의해 작성된 실내지도를 저장하는 실내지도 저장부(351), 실외지도 작성부(340)에 의해 작성된 실외지도를 저장하는 실외지도 저장부(353),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 데이터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350 includes an indoor map storage unit 351 for storing indoor maps created by the indoor map generator 330, and an outdoor map storage unit 353 for storing outdoor maps created by the outdoor map generator 340. And a map dat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map data provided by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erver (not shown).

지도 검색부(37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실내지도 저장부(353) 및 실외지도 저장부(355)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지도 검색부(370)는 별도의 GIS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한 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ap retrieval unit 370 retrieves map data corresponding to a place or a location input by the terminal user from the indoor map storage unit 353 and the outdoor map storage unit 355 and provides the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Can be done. As another example, the map search unit 37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the searched map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by accessing a separate GIS server.

경로 탐색부(370)는 단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최적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경로 탐색부(360)는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에 포함된 노드들, 상기 노드들의 속성, 상기 노드들 간의 링크들을 분석하여 최적 이동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e route search unit 370 may search for an optimal moving route between a departure point and an arrival point designated by the terminal user to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In this case, the path search unit 360 may search for an optimal moving path by analyzing nodes included in an outdoor map or an indoor map, attributes of the nodes, and links between the nod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door map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부(또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330)는 노드 생성부(331), 링크 생성부(332), 노드 좌표 검출부(333), 노드 속성 검출부(334), 노드 비교부(335), 층간 노드 검출부(336), 내부 및 외부 노드 검출부(337), 및 자동 링크 생성부(3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door map generator (or indoor map generator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de generator 331, a link generator 332, a node coordinate detector 333, and a node attribute detector 334. ), A node comparator 335, an interlayer node detector 336, an internal and external node detector 337, an automatic link generator 338, and the like.

노드 생성부(331)는, 단말 사용자의 노드 추가 신호를 기반으로,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여 실내지도 상에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노드 생성부(331)는, 단말 사용자의 노드 변경 신호에 따라,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된 노드의 위치 및 속성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생성부(331)는, 단말 사용자의 노드 삭제 신호에 따라,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된 노드를 삭제할 수도 있다.The node generator 331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new node and adding the new node on the indoor map based on the node addition signal of the terminal user. The node generation unit 331 may change the position, attributes, and the like of the nodes displayed on the map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node change signal of the terminal user. In addition, the node generator 331 may delete the node displayed on the map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node deletion signal of the terminal user.

노드 생성부(331)는, 노드 변경 모드 시, 단말 사용자의 노드 설정 신호를 기반으로, 실내지도 상에 추가되는 노드의 속성을 설정하거나 혹은 기 설정된 노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에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설정함으로써, 각 노드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노드의 유형으로는, 일반적인 공간을 의미하는 일반 노드, 계단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계단 노드,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엘리베이터 노드, 에스컬레이터가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에스컬레이터 노드, 무빙워크가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무빙워크 노드, 건물의 출입구가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건물 출입구 노드, 문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문 노드, 공간의 교차점을 의미하는 교차점 노드, 방화벽이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방화벽 노드, 층간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의미하는 교차점 노드, 기타 공간을 의미하는 기타 노드 등이 있다.In the node change mode, the node generator 331 may set a property of a node added on an indoor map or change a property of a preset node based on a node setting signal of a terminal user. . By setting at least one attribute for each node, the type of each node can be distinguished. These types of nodes include a general node that represents a general space, a stair node that represents a space where a stairway exists, an elevator node that represents a space where an elevator exists, an escalator node that represents a space where an escalator exists, and a moving walk. Moving walk node means space where the door exists, building doorway node means space where the doorway of building exists, door node means space where door exists, intersection node which means intersection of space, space where firewall exists Firewall nodes, which represent spaces that can move between floors, and nodes that represent other spaces.

링크 생성부(332)는, 단말 사용자의 링크 추가 신호를 기반으로, 노드와 노드 사이에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여 실내지도 상에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생성부(332)는, 단말 사용자의 링크 변경 신호에 따라,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된 링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생성부(331)는, 단말 사용자의 링크 삭제 신호에 따라,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된 링크를 삭제할 수도 있다.The link generation unit 332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new link between the node and the node and adding it on the indoor map based on the link addition signal of the terminal user. The link generation unit 332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link displayed on the map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link change signal of the terminal user. In addition, the link generation unit 331 may delete the link displayed on the map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link deletion signal of the terminal user.

노드 좌표 검출부(333)는 특정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상대 좌표값 및 절대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좌표값은, 해당 건물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각 노드들의 상대적인 좌표값을 의미하고, 절대 좌표값은 각 노드들의 절대적인 좌표값 (가령, 위도 및 경도 좌표값)을 의미한다. The node coordinate detector 333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relative coordinate values and absolute coordinate values of all nodes existing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of a specific building. Here, the relative coordinate value means a relative coordinate value of each no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of the building, and the absolute coordinate value means an absolute coordinate value (e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values) of each node.

노드 속성 검출부(334)는 특정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속성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node attribute detector 334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ttributes of all nodes existing on the indoor map for each floor of a specific building.

노드 비교부(335)는 특정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속성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The node comparator 335 may group the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s by comparing the attributes of all the nodes existing on the floor-level indoor map of the specific building.

층간 노드 검출부(336)는, 상기 노드 비교부(335)를 통해 그룹핑된 노드 군들 중에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을 갖는 노드 군(node group)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interlayer node detector 336 may detect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that enables inter-layer movement among the node groups grouped through the node comparator 335. Here, the attributes that can be moved between floors may include a staircase, an elevator, an escalator, and the like.

층간 노드 검출부(336)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을 서로 비교하여 층간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층간 노드 검출부(336)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건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노드들(즉, 수평 방향의 좌표값은 동일/유사하지만 수직 방향의 좌표값이 서로 다른 노드들)을 층간 노드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위층 노드와 아래층 노드의 수직 방향의 좌표값 차이는, 한 층의 평균 높이에 해당하는 좌표값의 차이일 수 있다. The interlayer node detector 336 may detect the interlayer node by compa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inter-layer node detector 336 compar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and locates nodes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ilding surface (that is, the coordinate valu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the same / similar to the coordinate va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ifferent nodes) may be detected as interlayer nodes. Here, the difference in the coordinate va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node and the lower nod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height of one layer.

내부 및 외부 노드 검출부(337)는 상기 노드 비교부(335)를 통해 그룹핑된 노드 군들 중에서 건물의 출입구에 대응하는 속성을 갖는 노드 군(node group)을 검출할 수 있다.The internal and external node detector 337 may detect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and exit of a building among the node groups grouped through the node comparison unit 335.

내부 및 외부 노드 검출부(337)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과 외부 노드들의 좌표값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건물의 내부 노드와 연결될 외부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및 외부 노드 검출부(336)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되는 노드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면서 가장 인접한 외부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The internal and external node detectors 337 may detect the external nodes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nodes of the building by compa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with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ernal nodes. For example, the internal and external node detectors 336 may detect the nearest external node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자동 링크 생성부(338)는 상기 층간 노드 검출부(336)를 통해 검출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링크 생성부(338)는 상기 내부 및 외부 노드 검출부(337)를 통해 검출된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링크 생성부(338)는, 노드 추가 시, 새로 추가된 노드와 인접 링크의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link generator 338 may perform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interlayer nodes detected through the interlayer node detector 336. The automatic link generator 338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detect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node detectors 337. In addition, the automatic link generation unit 338 may perform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newly added node and the node of the adjacent link when the node is ad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 500)은 통신부(510), 입력부(520), 출력부(530), 메모리(540) 및 제어부(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s 110 and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10, an input unit 520, an output unit 530, a memory 540, and a controller 55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a user terminal, so the user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통신부(510)는,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홈 PNA(Home PNA), IEEE 1394 등)에 따라 구축된 유선 통신망 상에서 외부 서버 및 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무선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Access Point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a wireless network.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formed on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Ethernet, Power Line Communication, Home PNA, IEEE 1394, etc.) for wired communication. Send and receive wired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erver and another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n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nd a repea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the like. Send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one.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5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지도 작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와 교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exchange data related to map making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s 120 and 300 using at least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입력부(520)는 지도 작성과 관련된 명령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520 may include a camera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eg, a keyboard, a mouse, a touch key, a push key)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unit 520 may receive command signals related to map making.

출력부(5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5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 hap tip module, and an optical output unit.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작성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5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user terminal 500 or UI (User Interface) 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screen related to map making.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해당 단말(5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해당 단말(5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orm a layer structure or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5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500 and the user.

메모리(540)는 사용자 단말(5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540)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540)는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40)는 현재 작성 중인 실내지도 및 실외지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54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500. The memory 5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in the user terminal 500, data for operating the user terminal 500, and instructions.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mory 540 may store a mapping program for creating an outdoor map and / or an indoor map. In addition, the memory 540 may store data related to the indoor map and the outdoor map that are currently being created.

메모리(5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5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SD type, a silicon disk drive type, or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제어부(550)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5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5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550)는 메모리(540)에 저장된 지도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실외지도 및/또는 실내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도구(tool))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외지도 또는 실내지도를 작성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50 controls an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540 and generally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550 may control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user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550 may drive a mapp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540 to provide a user interface (or tool) for creating an outdoor map and / or an indoor map. . The terminal user may input command signals for creating an outdoor map or an indoor map using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10.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 내부에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가 사용자 단말(110, 500)의 제어부(550) 내에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서 실내지도 작성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리정보구축 서버(120)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작성된 실내지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is installed insi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er 120 or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may be a user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550 of the 110,50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an overall operation related to indoor mapping.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er 120, the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or only the indoor map gener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즉, 도 6은 실내지도 작성 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은, 지리정보구축 서버(120, 300)에 구현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aring an indoor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layer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Hereinafter, the indoor map prepar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exemplarily being performed through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implemen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ervers 120 and 300.

도 6을 참조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노드 추가 신호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노드를 생성하여 층별 실내지도 상에 추가할 수 있다(S61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노드 추가 시, 해당 노드의 좌표 값을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generate one or more nodes and add them to the floor-based indoor map based on node addition signals input to the user terminals 110 and 500 (S610). . When the node is add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alculate and store coordinat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node.

가령,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는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노드 메뉴(710)와 그 하위 메뉴인 추가 모드 메뉴(711)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신호와, 노드의 추가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노드 추가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실내지도 상에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노드들에 관한 UI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UI 정보에 대응하는 노드들(720)을 지도작성 화면(700)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terminal user may sequentially select a node menu 7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700 and an additional mode menu 711, which is a submenu thereof, and an additional position of the node. The designated signal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node addition signal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adds one or more nodes on the indoor map, and transmits UI information about the added nodes to the user terminal 110. Can transmit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nodes 72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I information on the map creation screen 700 in real time.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노드 변경 모드 시,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노드 설정 신호를 기반으로,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may set attributes of nodes existing on the indoor map based on node setting signals input to the user terminals 110 and 500 in the node change mode.

가령,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는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노드 메뉴(710)와 그 하위 메뉴인 변경 모드 메뉴(71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신호와, 속성 변경의 대상이 되는 노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노드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노드의 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노드 속성 설정 메뉴(730)를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드 속성 설정 메뉴는 일반 항목, 계단 항목, 엘리베이터 항목, 에스컬레이터 항목, 무빙워크 항목, 건물 출입구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드 속성 설정 메뉴(730)를 통해 일반 항목이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해당 노드(720)의 속성을 일반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B, the terminal user may sequentially select a node menu 7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700 and a change mode menu 712, which is a submenu thereof, and a target of attribute change. A signal for selecting a node to be input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node setting signal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a node attribute setting menu 730 for selecting the attribute of the node on the mapping screen 700. In this case, the node property setting menu may include a general item, a staircase item, an elevator item, an escalator item, a moving walk item, a building entrance item, and the like. When a general item is selected through the node property setting menu 730, the indoor map generating device 330 may set the property of the corresponding node 720 as a general node.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110, 500)로 입력되는 링크 추가 신호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링크를 생성하여 층별 실내지도 상에 추가할 수 있다.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generate one or more links and add them to the indoor map for each floor based on the link addition signal input to the user terminals 110 and 500.

가령,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는 지도작성 화면(700)에 표시된 링크 메뉴(740)와 그 하위 메뉴인 추가 모드 메뉴(741)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신호와, 노드의 추가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 입력되는 링크 추가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하나 이상의 링크들을 실내지도 상에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링크들에 관한 UI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UI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들(750)을 지도작성 화면(700)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C, the terminal user may sequentially select a link menu 74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700 and an additional mode menu 741, which is a submenu thereof, and an additional position of the node. The designated signal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link addition signal inpu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adds one or more links on the indoor map, and transmits UI information about the added links to the user terminal 110. Can transmit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links 75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I information on the mapping screen 700 in real time.

단말 사용자로부터 자동 링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S62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속성을 검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S630).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상대 좌표값 및 절대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link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user (S620),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may detect (or analyze) the attributes of all nodes existing on the indoor map for each floor (S630). In addition,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may detect at least one of relative coordinate values and absolute coordinate values of all nodes existing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속성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S64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 중에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ompare the attributes of all the nodes existing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and group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s (S64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etect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that enables inter-layer movement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Here, the attribute that can move between floors may include a staircase, an elevator, an escalator, and the like.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층간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S650). 즉,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을 서로 비교하여 건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노드들을 층간 노드로 검출할 수 있다.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etect the interlayer node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S650). That is,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ompar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with each other and detect node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ilding surface as interlayer nodes.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S660). 가령,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과 층 간의 계단, 층과 층 간의 엘리베이터, 층과 층 간의 에스컬레이터 등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층간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S660). For exampl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stairs between the floors and the floors, the elevator between the floors and the floors, the escalators between the floors and the floors, etc., to generate the inter-layer link.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간 노드를 다른 노드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간 노드(760)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을 일반 노드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the interlayer nod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od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hange the color, size, or shape of the interlayer node 760 from the color, size, or shape of the general node.

한편, 실내지도 상에 층간 링크가 구현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간 링크를 다른 링크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가령,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간 링크의 색상, 두께, 모양 등을 일반 링크의 색상, 두께, 모양 등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layer link is implemented on the indoor map,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the interlayer link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links. For exampl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hange the color, thickness, and shape of the interlayer link different from the color, thickness, and shape of the general link.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는, 실내지도 작성 시, 동일한 속성을 갖는 층간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user convenience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by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interlayer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s when creating the indoor map.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즉, 도 8은 실내지도 작성 시,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의 810 단계 내지 830 단계는, 상술한 도 6의 610 단계 내지 630 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aring an indoor m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internal nodes and external nodes when creating an indoor map. Since steps 810 to 830 of FIG. 8 are the same as operations of steps 610 to 630 of FIG. 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들의 속성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S84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 중에서 건물의 출입구에 대응하는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할 수 있다.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ompare the attributes of all the nodes existing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and group the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s (S84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etect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and exit of a building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값과 외부 노드들의 좌표값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건물의 안과 밖을 연결할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S850). 일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되는 내부 노드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면서 가장 인접한 외부 노드를 검출할 수 있다.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ompar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with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ernal nodes, and detect an internal node and an external node to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S850). For exampl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etect the nearest outer node while being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inner node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S860). 이때,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내부 및 외부 노드를 다른 노드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내부 노드(910) 및 외부 노드(920)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을 일반 노드(930)의 색상, 크기 또는 모양 등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내부 노드(910)와 외부 노드(920)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detected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S860). In this cas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the internal and external node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od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be different from the color, size, or shape of the internal node 910 and the external node 920. You can change it.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the internal node 910 and the external node 920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를 다른 링크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가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내부 노드(910)와 외부 노드(920)를 연결하는 링크(940)의 색상, 두께, 모양 등을 일반 링크(950)의 색상, 두께, 모양 등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a link connecting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link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hange the color, thickness, and shape of the link 940 connecting the internal node 910 and the external node 920. You can change the color, thickness, shape, and so on.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 작성 장치는, 실내지도 작성 시, 특정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user convenience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by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internal node and the external node of a specific building when the indoor map is created.

이러한 자동 링크 생성 기능 이외에도,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실내지도 작성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utomatic link generation func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indoor mapping.

먼저,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노드 추가 시, 새로 추가된 노드와 인접 링크의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necting a newly added node and a node of an adjacent link when adding a node.

가령,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000)에 표시된 노드 메뉴(1010) 및 추가 모드 메뉴(1020)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지도 작성 모드를 노드 추가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가 노드의 추가 위치를 지도작성 화면(1000)에 지정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노드(1030)를 사용자의 지정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작성 화면(1000)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새로 추가된 노드(1030)와 인접 링크(1040)의 일 노드(1050)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1060)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the node menu 1010 and the additional mode menu 102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000 are sequentially selected, the indoor mapping device 330 may change the mapping mode. You can switch to additional mode. When the terminal user designates an additional location of the node on the mapping screen 100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dd the node 1030 to the mapping screen 10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designated location. At the same tim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newly added node 1030 and one node 1050 of the adjacent link 1040 to generate a new link 1060.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건물 변경 모드 시, 층 문자열 정보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rranging floor string information in a building change mode.

가령,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100)에 표시된 빌딩 메뉴(111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빌딩 메뉴(1110)와 관련된 하위 메뉴들을 상기 지도작성 화면(110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the building menu 11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100 is select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ps sub-menus related to the selected building menu 1110 to the map. It can be displayed in the right area of the creation screen 1100.

상기 하위 메뉴들 중에서 '층 추가 메뉴'의 입력창(1120)에 새로 추가할 층(가령, 2층)을 입력한 후 추가 아이콘(1130)이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새로 추가된 층에 대응하는 2층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층 아이콘을 기존의 1층 아이콘(1140)과 3층 아이콘(115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신규 층 추가 시, 새로 추가된 층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층 문자열 상에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순으로 자동 정렬할 수 있다.If the add icon 1130 is selected after inputting a new floor (eg, the second floor) to be added to the input window 1120 of the 'add floor menu' among the sub-menus,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adds a new one. The second floor icon corresponding to the layer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econd floor icon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xisting first floor icon 1140 and the third floor icon 1150. As such, when the new floor is add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utomatically sort the icons corresponding to the newly added floor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on the floor string.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건물 변경 모드 시, 해당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100)의 우측 영역에 표시된 층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층 아이콘에 대응하는 실내지도를 해당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작성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indoor map for each floor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in the building change mod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any one of the floor icons displayed on the right area of the mapping screen 1100 is select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select an in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loor ic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추가 모드 시, 새로 추가할 폴리곤의 모양을 디폴트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selecting, by default, the shape of the polygon to be newly added in the polygon adding mode.

가령,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200)에 표시된 폴리곤 메뉴(121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선택된 폴리곤 메뉴(1210)와 관련된 하위 메뉴들을 상기 지도작성 화면(120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polygon menu 12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200 is select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ps sub-menus related to the selected polygon menu 1210 to the map. It can be displayed in the right area of the creation screen 1200.

상기 하위 메뉴들 중에서 '추가 모드 메뉴(1220)'가 선택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의 기본 도형을 디폴트로 선택할 수 있는 기본 도형 선택 메뉴(1230)를 지도작성 화면(12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본 도형 선택 메뉴(1230)는 삼각형 항목, 사각형 항목, 오각형 항목, 육각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When the 'additional mode menu 1220' is selected among the sub-menus, the indoor map preparation device 330 displays a basic figure selection menu 1230 for selecting a basic figure of the polygon on the map creation screen 1200. I can display it. In this case, the basic figure selection menu 1230 may include a triangle item, a rectangle item, a pentagon item, a hexagon item,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본 도형 선택 메뉴(1230)에서 삼각형 항목을 선택한 후, 폴리곤이 위치할 지점을 지도 상에 지정하면,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지정된 지점에 삼각형 모양의 폴리곤(1240)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사용자는 삼각형 모양의 폴리곤을 그리기 위해 3개의 점을 지도 상에 찍을 필요가 없게 된다.After selecting a triangle item in the basic figure selection menu 1230 and designating a point on which a polygon is to be located on a map,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add a triangle-shaped polygon 1240 to the designated point. have. When using this function, the terminal user does not need to take three points on the map in order to draw a triangular polygon.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functions for easi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lygon displayed on the indoor map in the polygon changing mode.

일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을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300)에 표시된 폴리곤(1310)이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1310)을 회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1320)를 해당 폴리곤(1310)의 테두리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해당 인디케이터(1320)를 이용하여 폴리곤(1310)의 모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해당 폴리곤(1310)을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n indicator for easily rotating a polygon displayed on the indoor map.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when the polygon 13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300 is selected,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isplay an indicator 1320 for rotating the polygon 1310. It may be displayed on the edge of the 1310. The terminal user can rotate the polygon 1310 as a whole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polygon 1310 by using the indicator 1320.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회전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폴리곤을 미리 결정된 각도에 자동으로 홀딩(holding)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실내지도 상의 방위 또는 인접 폴리곤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0도, 45도, 90도, 180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가령,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400)에 표시된 폴리곤(1410)을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해당 폴리곤(1410)을 자동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실내지도 상의 정북 방향을 기준으로 0도 또는 90도에 고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holding a polygon to be rotated or mov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0 degrees, 45 degrees, 90 degrees, 180 degrees, etc. based on the orientation of the indoor map or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polyg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polygon 14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400 is rotated or moved, the indoor mapping device 330 automatically rotates or moves the corresponding polygon 1410 to the interior. It can be fixed at 0 degrees or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ue north direction on the map.

또 다른 실시 예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특정 폴리곤이 인접 폴리곤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특정 폴리곤을 자동으로 끌어와서 상기 인접 폴리곤에 자석처럼 붙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리곤(1520)이 제1 폴리곤(1510)으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제2 폴리곤(1520)의 경계와 상기 제1 폴리곤(1510)의 경계가 서로 만나도록 상기 제2 폴리곤(1520)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사용자들이 특정 폴리곤을 인접 폴리곤에 붙이기 위해 여러 번의 수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pecific polygon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polyg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drawing and attaching the specific polygon to the adjacent polygon like a magne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5, when the second polygon 1520 approaches within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first polygon 151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be connected to the boundary of the second polygon 1520. The second polygon 1520 may be automatically moved so th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polygon 1510 meet each other. Therefore, terminal users can solve the trouble of having to repeat several manual operations to attach a specific polygon to an adjacent polygon.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의 일 지점에 노드(node)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폴리곤(1610)의 선 중간(1620)을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폴리곤(1610)의 모양을 변경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종료 지점에 새로운 노드(1630)를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새로 추가되는 노드(1630)는 폴리곤(1610)을 구성하는 포인트들(1640)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ding a node to a point of the polygon displayed on the indoor map in the polygon change mo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selecting and dragging the middle line 1620 of the polygon 1610 displayed on the indoor map,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erform the polygon 1610 according to a drag input. The shape of may be changed and a new node 1630 may be automatically added at the end point of the drag input. In this case, the newly added node 1630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oints 1640 constituting the polygon 1610.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동일한 층 상에서 서로 겹쳐 그려진 요소들(가령, 폴리곤/폴리라인/포인트 등)을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폴리라인/포인트 등이 실내지도 상에 겹쳐있는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겹쳐진 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 메뉴(1710)를 지도작성 화면(1700)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레이어 선택 메뉴(1710)를 통해 상기 겹쳐진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소를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layer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elements (eg, polygons / polylines / points) superimposed on each other on the same layer.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7, when a predetermined key button is selected while a polygon / polyline / point or the like overlaps on an indoor map,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select any of the overlapping elements. A layer selection menu 1710 for selecting one may be displayed on the map creation screen 1700. The terminal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overlapping elements and delete or change the selected element through the layer selection menu 1710.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폴리곤/폴리라인 변경 모드 시, 실내지도 상에 표시된 2D 폴리곤/폴리라인을 3D 폴리곤/폴리라인으로 자동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작성 화면(1800)에 표시된 2D 폴리곤(1810)을 지정한 후 3D 변경 메뉴(1820)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상기 지정된 2D 폴리곤(1810)을 3D 폴리곤(184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2D 변경 메뉴(1830)의 선택을 통해, 지도작성 화면(1800)에 표시된 3D 폴리곤(1840)을 2D 폴리곤(1810)으로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 2D polygon / polyline displayed on the indoor map to a 3D polygon / polyline in the polygon / polyline change mod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8A and 18B, when the 3D change menu 1820 is selected after designating the 2D polygon 181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800,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designate the specified. 2D polygon 1810 may be changed to 3D polygon 1840. In addition, the indoor mapping apparatus 330 may change the 3D polygon 1840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800 into the 2D polygon 1810 by selecting the 2D change menu 1830.

한편, 별도의 폴리곤/폴리라인 지정 없이, 3D 변경 메뉴(1820) 또는 2D 변경 메뉴(1830)를 선택하는 경우, 실내지도 작성 장치(330)는, 지도작성 화면(1800)에 표시된 모든 폴리곤/폴리라인 등을 2D에서 3D로 또는 3D에서 2D로 일괄 변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ng the 3D change menu 1820 or the 2D change menu 1830 without specifying a polygon / polyline, the indoor mapping device 330 will display all polygons / polys displayed on the mapping screen 1800. You can also change the lines and the like from 2D to 3D or from 3D to 2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ontinue to store the executable program to a computer, or may be temporarily stored for a ru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one which can be a variety of recording device or storage means of a single or several hardware combined form, is not limited to the medium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y computer system, there distributed to the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 addition, the media can be recorded to storage media managed as an example for other media, website, etc. supplied to the app store or other retail distributor of various software applications, and servers.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지리정보구축 시스템 110/500: 사용자 단말
120/300: 지리정보구축 서버 130: 통신 네트워크
310: UI 정보 제공부 320: 사용자 정보 수집부
330: 실내지도 작성부 340: 실외지도 작성부
350: 데이터베이스 360: 지도 검색부
370: 경로 탐색부
100: ge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110/500: user terminal
120/300: geographic information building server 130: communication network
310: UI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0: Use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30: indoor map creation unit 340: outdoor map creation unit
350: database 360: map search unit
370: route search unit

Claims (17)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노드 검출 단계는,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node groups) 중에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Analyz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an indoor map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Detecting at least one interlayer node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nodes; And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to create a new link,
The detecting of the interlayer node may include compar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nodes to group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 and detecting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capable of moving between layers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How to create an indoor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etec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nodes existing on the floor-based indoor m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상대 좌표값 및 절대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lative coordinate value and an absolute coordinate value of the plurality of no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노드 검출 단계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interlayer nodes comprises:
And detecting the interlayer node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노드 검출 단계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건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노드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드들을 상기 층간 노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interlayer nodes comprises:
And compar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with each other to detect node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building ground, and determining the detected nodes as the inter-layer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the indoor map for each flo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속성 정보에 따른 노드들의 유형은, 일반 노드, 계단 노드, 엘리베이터 노드, 에스컬레이터 노드, 무빙워크 노드, 건물 출입구 노드, 방화벽 노드, 교차점 노드, 및 기타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types of nodes according to the set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neral node, a stair node, an elevator node, an escalator node, a moving walk node, a building entrance node, a firewall node, an intersection node, and other nodes. How to create an indoor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다른 노드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the detected interlayer node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노드에 생성된 링크를 다른 링크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the link generated in the interlayer nod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lin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지도 상에 신규 노드 추가 시, 상기 신규 노드와 인접 링크의 마지막 노드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adding a new node on the indoor map,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new node and the last node of an adjacent link.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검출하는 노드 속성 검출부;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층간 노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층간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자동 링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노드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node groups) 중에서 층간 이동이 가능한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A node attribute detector for detec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an indoor map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 interlayer node detector for detecting at least one interlayer node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nodes; And
An automatic link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connect the detected interlayer nodes to generate a new link;
The interlayer node detector may compar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nodes to group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 and detect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that enables inter-layer movement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Indoor mapp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노드 좌표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node coordinat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coordin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the indoor map for each flo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노드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층간 노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layer node detecting unit detects the interlayer node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node groups) 중에서 건물의 출입구에 대응하는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Analyz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an indoor map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Detecting an internal node and an external node of the building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nodes; And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nal nodes and external nodes to create a new link,
The detecting may include compa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nalyzed nodes, grouping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 and detecting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 doorway of a building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An indoor map mak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노드 군에 포함된 노드들의 좌표 정보와 외부 노드들의 좌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 건물의 안과 밖을 연결할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tecting may include compar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cted node group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nodes, and detecting an interior node and an external node to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ay.
건물의 층별 실내지도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검출하는 노드 속성 검출부;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내부 노드와 외부 노드를 검출하는 내/외부 노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내부 노드 및 외부 노드를 연결하여 새로운 링크를 생성하는 자동 링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외부 노드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노드들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는 노드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노드 군들(node groups) 중에서 건물의 출입구에 대응하는 속성을 갖는 노드 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지도 작성 장치.
A node attribute detector for detec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odes existing on an indoor map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 internal / external node detector for detecting internal and external nodes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nodes; And
An automatic link genera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etected internal nodes and external nodes to generate a new link,
The internal / external node detector compa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nodes to group nodes having the same attribute and detects a node group having a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and exit of a building among the grouped node groups. Indoor map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10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14 and 15 stores program code executable on a computer.
KR1020170039119A 2017-03-28 2017-03-28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KR101985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19A KR101985699B1 (en) 2017-03-28 2017-03-28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19A KR101985699B1 (en) 2017-03-28 2017-03-28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10A KR20180109410A (en) 2018-10-08
KR101985699B1 true KR101985699B1 (en) 2019-09-03

Family

ID=6386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19A KR101985699B1 (en) 2017-03-28 2017-03-28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6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6527B2 (en) 2020-02-20 2024-01-30 S360Vr Co., Ltd.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3535B2 (en) * 2019-11-01 2023-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ospatially referenced building floorplan data
US11310629B2 (en) 2020-06-30 2022-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ient-renderable element for indoor building map
KR102554128B1 (en) * 2020-12-04 2023-07-10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indoor route planning and automatic marker making for indoor navigation using markers
CN112767525A (en) * 2021-01-28 2021-05-07 广州赛特智能科技有限公司 Indoor map path drawing method
KR102649917B1 (en) * 2021-10-07 2024-03-22 (주) 아키드로우 Wall image autho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462749B1 (en) * 2022-02-21 2022-11-04 (주)제타럭스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gital twin roads from standard node link inform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KR102531141B1 (en) * 2022-03-16 2023-05-11 주식회사 플럭시티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map topology in web-based digital twin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24A (en)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generating indoor digital map
KR20150076796A (en) *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imensional Indoor Route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the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6527B2 (en) 2020-02-20 2024-01-30 S360Vr Co., Ltd.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10A (en)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99B1 (en)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US10825247B1 (en) Presenting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using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s
US10295350B2 (en) Providing a route guid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JP6312715B2 (en) Directional view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mobile devices
US10539423B2 (en) Key point based guiding navig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9116003B2 (en) Routing graphs for buildings
JP5973509B2 (en) Scalable routing for mobile station navigation using location context identifiers
RU2559741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information on point of interest
KR102147625B1 (en) Generating and using a location fingerprinting map
KR1017625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EP28433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131999B1 (en)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US20160286351A1 (en) Indoor navigation anomaly detection
KR20120080230A (en) Mobile device locating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JP2016516180A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KR20180109414A (en) Method for building an indoor map and apparatus thereof
CN115702325A (en) Client-side drawable elements for indoor building maps
JP2012163738A (en)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2553567B1 (en) Indoor maps using floor plans based on actual measurements and methods for creating them
JP5450251B2 (en) Compu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oor space network data
KR10171798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expressing accuracy of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KR1022179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positioning
US20210329407A1 (en) Constrained user device location using building topology
JP2012163737A (en)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5986816B2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MAP DISPLAY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