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616B1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16B1
KR101984616B1 KR1020190031681A KR20190031681A KR101984616B1 KR 101984616 B1 KR101984616 B1 KR 101984616B1 KR 1020190031681 A KR1020190031681 A KR 1020190031681A KR 20190031681 A KR20190031681 A KR 20190031681A KR 101984616 B1 KR101984616 B1 KR 101984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page
s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용도
Original Assignee
(주)락앤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앤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락앤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9003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5Chrom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which can satisfy various consumer needs by utilizing an im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y utilizing an image which provides event photo content for combining a photographed user image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a user to provide as a single image, augmented reality photo content for realizing the use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to synthesize and provide the image, SNS linked content for providing a service capable of uploading the synthesized image onto an SNS, and so on.

Description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0001]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0002]

본 발명은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 컨텐츠,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여 합성 제공하는 증강현실포토 컨텐츠 및 합성된 이미지를 SNS에 업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연동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that can satisfy various consumer needs by utilizing an im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ent photo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utilizing contents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photo content by implementing a user image o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providing SNS linked contents for uploading the synthesized image to the SNS.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미지 산업은 점점 첨단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진은 더 이상 추억의 저장 수단을 넘어, 자신의 가치를 남에게 홍보하고, 보다 흥미로운 재미를 추구하며, 삶의 부분들을 공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발전하였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image industry is gradually developing, especially in the younger generation, photography is no longer a means of storing memories, promoting its value to others, pursuing more interesting fun, It has evolved into a means of sharing parts.

따라서 소비자들은 더 이상 단순한 이미지 상품이 아닌 이미지를 활용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니즈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미지 활용 컨텐츠의 보급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consumers no longer need a simple image product, but have a need for a complex and diverse content using images. There is a need for the spread of image-utilizing contents that can satisfy such needs.

이미지를 활용한 컨텐츠 중에서, 연예인, 유명인, 캐릭터 등 특정 인물과 함께 직접 촬영한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하거나 또는 영화 속의 한 장면, 관광 명소 등에 직접 방문하여 촬영한 것과 같은 기분이 들게 할 수 있는 이벤트포토 컨텐츠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이벤트포토 컨텐츠에 관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거의 없었다.Event photos that make you feel like you have taken pictures directly with specific characters such as entertainers, celebrities, characters, etc., or you can make them feel like you have taken pictures directly from a scene in a movie, Demand for content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e past, there has been no way to meet the needs of such event photo contents.

이러한 이벤트포토 컨텐츠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데, 사용자 이미지는 소정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이고, 테마 이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예인, 유명인, 캐릭터 등의 이미지 또는 영화 속의 한 장면, 관광 명소 등과 같은 배경 이미지가 해당된다.The event photo content is composed of a user image captured by a user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a user and is provided as a single image. The user image is an image of a user photographed through a predetermined camera, A background image such as an image of an entertainer, a celebrity, a character such as a bar, a scene in a movie, a sightseeing spot, and the like.

이벤트포토 컨텐츠에 의해 제공된 단일 이미지는 사용자가 테마 이미지와 함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게 하면서, 사용자에게 즐거운 추억을 선물하거나, 자랑하고 싶은 순간을 더욱 부각시키거나, 보다 재미있고 애착이 가는 장면을 연출한다.The single image provided by the event photo content allows the user to feel as if they are present with the theme image, presenting a pleasant memory to the user, highlighting the moments they want to boast, Directing.

이벤트포토 컨텐츠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58599호(2011년08월16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성공학 교육과 개인컨설팅서비스의 비즈니스에서 활용되는 일명'브이디(VD, 꿈을 시각화하여 목표달성의 효과를 높이는 자기계발법으로 <Vivid Dream>의 약칭) 드림 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사진 서비스를 위한 합성 사진물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합성 사진물에 대한 이미지 사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Prior Art &qu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Prior Art &quo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58599 VIDI (VD, Vivid Dream) is a self-development method that visualizes dreams and enhances the achievement of goals. It is about a method of providing synthetic photographs for image photography services using Dream techniq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hotograph service for a synthetic photograph.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VD 이미지의 선택을 제공한다는 점, 그리고 사용자의 얼굴이나 모습들에 VD 이미지를 합성한다는 점에서 이벤트포토와 일부 유사한 개념을 가질 뿐, 상기한 이벤트포토 컨텐츠와는 구체적인 구현 원리나 목적 등에서 상당히 거리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similar concept to the event photo in that the VD image is selected and the VD image is synthesized with the user's face or features, There is considerable distance from purpose.

따라서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에는 이벤트포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며, 이에 이벤트포토 컨텐츠, 나아가 이미지를 활용하는 기타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Therefore, there is no means for providing event photo contents in the conventional arts including the conventional art, and the necessity of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event photo contents, and other contents utilizing the image, is re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 컨텐츠를 제공하되, 특히 이미지에서 인물 관련 픽셀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향상된 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vent photo content in which a photographed user image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a user are combined to provide a single image, And to provide an image utilizing contents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enhanced quality composite image.

또한 사용자에게 수집될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프리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의 위치나 배치 등을 조정하여 보다 나은 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preview of a user image to be collected by matching the selected theme image with a selected theme image, thereby providing a composite image of better quality by adjusting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user himself or herself.

아울러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여 합성 제공하는 증강현실포토 컨텐츠 및 합성된 이미지를 SNS에 업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연동 컨텐츠 등을 함께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ugmented reality photo contents by implementing a user image on a 3D background image, and SNS linked contents that provide a service for uploading the synthesized image to the SNS. The purpose of this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features.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이 내부 공간을 둘러 싼 내벽면이 크로마키 촬영을 위한 그린스크린으로 구성된 포토 부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사용자 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모듈,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컨텐츠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모듈에서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c module comprising a photobooth comprising an inner space, the inn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space being constituted by a green screen for photographing a chroma key, and a camera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 output modul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nd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for outputting a progress status and a result of the content; and an output modul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nd an event photo part for combining the user image and the them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them as a single image.

또한 상기 이벤트포토부는, 상기 테마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파트, 상기 테마 이미지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선택받는 선택파트, 상기 촬영모듈을 통해 수집될 예정인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매칭파트 및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합성파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event photo unit may include a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theme image, a selection part for outputting the theme image through the output module and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a user image to b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a synthesizing part for synthesizing the collected user image and the selected theme image to generate a single image as a single image.

아울러 상기 컨텐츠모듈은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부 및 상기 단일 이미지를 SNS 상에 업로드 하는 SNS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부는 상기 3차원 배경 이미지를 저장한 배경저장파트 및 상기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합성파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module further includes an augmenting reality unit for implementing the use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an SNS interface unit for uploading the single image on the SNS. The augmenting reality unit includes a background storage unit storing the three- And an augmented reality synthesis part for implementing the user image in the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 컨텐츠를 제공하되, 특히 이미지에서 인물 관련 픽셀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향상된 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에게 수집될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프리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여 합성 제공하는 증강현실포토 컨텐츠 및 합성된 이미지를 SNS에 업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연동 컨텐츠 등을 함께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vent photo content in which a photographed user image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a user are combined and provided as a single imag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image of a higher quality by providing a preview by matching a user image to be collected to a user and a selected theme image, And an SNS-linked content that provides a service for uploading the synthesized image to the SNS, and the like,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컨텐츠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한 알고리즘.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module;
3 is a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quot; comprising &quot; or &quot; consisting of &quot;,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특히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 컨텐츠,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여 합성 제공하는 증강현실포토 컨텐츠 및 합성된 이미지를 SNS에 업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연동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that can satisfy various consumers' needs by utiliz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ent photo content, which is a combination of a photographed user image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a user to provide a single image, And an SNS-linked content providing service for uploading the synthesized image to the SNS,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ystem for providing image-utiliz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크게 포토 부스(B), 그리고 이 포토 부스(B) 내부에 구비된 촬영모듈(1), 입력모듈(2), 출력모듈(3) 및 컨텐츠모듈(4)을 포함한다.1, the present system mainly includes a photobook B and a photographing module 1, an input module 2, an output module 3, and a content module (not shown) provided in the photo booth B 4).

각 구성 별로, 먼저 포토 부스(B)는 본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I)을 포함하고, 이 내부 공간(I)을 둘러 싼 내벽면이 크로마키 촬영을 위한 그린스크린(G)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photo booth B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provid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 booth B includes an internal space I, And a green screen (G) for photographing the chroma key.

그린스크린(G)은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인물 이미지 픽셀을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품질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3D 배경 이미지에 증강현실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사용자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The green screen G allows a person image pixel to be extracted more easily from the photographed user image, thereby providing a composite image of a higher quality, and moreover, is effective in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to a 3D background image Allow users to collect images.

다음으로, 촬영모듈(1)은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을 통해 수집하는 구성으로, 포토 부스(B)의 내부 공간(I)에 구비되고, 사용자 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러한 촬영모듈(1)은 카메라 외에도 영상 분석 및 처리에 관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장치 및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photographing module 1 includes a camera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I of the photo booth B, for collecting a user image, and collecting a user image. In addition to the camera, the photographing module 1 may further include an apparatus and a circuit for implementing algorithms relating to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다음으로, 입력모듈(2)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마찬가지로 포토 부스(B)의 내부 공간(I)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모듈(2)은 버튼, 터치스크린, 레버, 스캐너,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의 동작(예를 들면 마우스 클릭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명령은 이미지의 선택, 각 종 컨텐츠 진행을 위한 승인 수락, 결제수단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input module 2 is provided in order to receive a user's command. Similarly, the input module 2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I of the photo booth B and receives a user's command through a specific operation of the user. Such an input module 2 may include a button, a touch screen, a lever, a scanner, a mouse, a keyboard, and the like, and receives a user's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se devices (e.g., a mouse click operation). Here, the user's command may include selection of an image, approval acceptance for progressing various kinds of content, input of a payment means, and the like.

다음으로, 출력모듈(3)은 제공되는 컨텐츠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마찬가지로 포토 부스(B)의 내부 공간(I)에 구비되고, 영상, 음향, 인쇄물 등을 출력함으로써 컨텐츠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출력모듈(3)은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인화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최종 결과물인 단일 이미지가 파일의 형태로 출력되는 경우도 출력모듈(3)에 의한 출력 결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output module 3 is configured to output the progress status and the result of the provided content. Similarly, the output module 3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I of the photo booth B and outputs video, sound, And informs the user of the progress and results. The output module 3 may include a monitor, a speaker, a printer, a printer, and the like. When a single image, which is the final result of the content, is output in the form of a file, .

다음으로, 컨텐츠모듈(4)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촬영모듈(1)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컨텐츠모듈(4) 역시 포토 부스(B)의 내부 공간(I)에 구비된다.The content module 4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arious contents using a user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1. [ The content module 4 is also provided in the inner space I of the photobook B.

이러한 컨텐츠모듈(4)은 기본적으로 촬영모듈(1)에서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부(41)를 포함하는데, 이벤트포토부(41)를 통해 가상의 인물, 배경 등과 함께 직접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재미를 선사할 수 있다.The content module 4 basically includes an event photo part 41 that combines a user image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1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combined image as a single image. It is possible to give the same effect as a virtual person, a background,

도 2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컨텐츠모듈(4)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컨텐츠모듈(4)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module 4,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features of the content module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이벤트포토부(41)는 저장파트(411), 선택파트(412), 매칭파트(413) 및 합성파트(414)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the event photo part 41 may include a storage part 411, a selection part 412, a matching part 413, and a synthesis part 414.

각 파트 별로, 저장파트(411)는 테마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트로,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되며, 테마 이미지는 연예인 및 유명인, 특정 배경, 관광 명소 등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ach part, the storage part 411 is a part for storing a theme image, which is implemented by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emory, and the theme image may include images of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specific backgrounds, tourist attractions, and the like.

다음으로, 선택파트(412)는 테마 이미지를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하고 입력모듈(2)을 통해 선택받는 파트로, 해당 동작이 정의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며, 사용자는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한 테마 이미지들 중 원하는 테마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모듈(2)을 통해 그 선택을 입력하게 된다.Next, the selection part 412 is a part that outputs the theme image through the output module 3 and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2, is implemented by an algorithm in which the operation is defined, and the user selects the output module 3 The user selects a desired theme image from the theme images out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 and inputs the selected theme image through the input module 2.

다음으로, 매칭파트(413)는 촬영모듈(1)을 통해 수집될 예정인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하는 파트로, 해당 동작이 정의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며, 사용자는 수집될 예정인 사용자 이미지(촬영될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가 매칭된 이미지를 출력모듈(3)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합성될 단일 이미지의 프리뷰를 확인할 수 있고, 이 후 사용자 본인의 위치나 배치 등을 조정하여 완성될 단일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Next, the matching part 413 is a part that matches the user image to b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1 and the selected theme image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3, and is implemented by an algorithm in which the operation is defined , The user can confirm the preview of a single image to be synthesized by confirming the user image (image to be captured) to be collected and the image in which the selected theme image is matched through the output module 3, Etc. to adjust the single image to be completed.

다음으로, 합성파트(414)는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파트로, 해당 동작이 정의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되며, 입력모듈(2)을 통한 사용자의 승인 요청이 있는 경우, 승인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확인시킨다.Next, the synthesis part 414 is a part for composing the collected user image and the selected theme image into a single image, which is implemented by an algorithm in which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defined, The image is synthesized in an approved state to generate a single image, and then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module 3, thereby confirming to the user.

상기한 선택파트(412), 매칭파트(413) 및 합성파트(414)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구성이 해당 동작을 정의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되며, 이미지 처리에 관한 기타 구성들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실시될 수 있다.The selection part 412, the matching part 413 and the synthesis part 414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by executing an algorithm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by executing an algorithm that defin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But can be practiced with reference to the known art and common sen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이벤트포토부(41)는 스타(연예인, 유명인, 캐릭터, 등장인물 등)와 함께 직접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재미를 선사하고, 광고 및 홍보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event photo part 41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provided with the same effect as shooting directly with a star (entertainer, celebrity, character, characters, etc.) to provide a fun to the user and provide advertisement and publicity effect have.

추가로, 상기 합성파트(414)에서 합성된 단일 이미지는 프린터를 통한 즉석 출력, 영화 티켓과의 동반 출력, 단말기를 통한 다운로드, SNS를 통한 업로드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ngle image synthesized in the compositing part 414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such as instant output through a printer, accompanying output with a movie ticket, downloading through a terminal, and uploading via an SNS.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컨텐츠모듈(4)이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부(42) 및 단일 이미지를 SNS 상에 업로드 하는 SNS연동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the system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section 42 in which a content module 4 implements a use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an SNS interlocking section 43 for uploading a single image on the SNS ).

구체적으로, 증강현실부(42)는 사용자 이미지에 합성될 테마 이미지를 3차원 배경 이미지로 제공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단일 이미지를 제공하는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augmenting reality unit 42 provides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s a theme image to be synthesized to a user image, thereby providing a single image having a more realistic sensation.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이러한 증강현실부(42)는 3차원 배경 이미지를 저장한 배경저장파트(421)(411) 및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합성파트(422)(414)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augmented reality unit 42 includes a background storage part 421 (411) storing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compositing part 422 for implementing a use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414).

상기 이벤트포토부(41)의 실시와 같이 배경저장파트(421)(411)는 3차원 배경 이미지의 저장을 위한 파트로,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background storage parts 421 and 411 are parts for storing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by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emory as in the case of the event photo part 41. [

또한 증강현실합성파트(422)(414)는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파트로, 위치 GPS 장치, 중력 센서, 통신 장치, 중앙처리장치(CPU) 및 해당 동작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compositing parts 422 and 414 include a position GPS device, a gravity sensor, a communication devic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n algorithm for implement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상기한 증강현실부(42)는 촬영될 사용자 이미지를 3차원 배경 이미지 상에 구현하여 증강현실 체험 상태에서 단일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gmented reality part 42 implements a user image to be imaged o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so that a single image can be synthesized in th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tate.

한편, SNS연동부(43)는 합성된 단일 이미지를 SNS 상에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SNS 계정과의 연동을 위한 통신 장치 및 통신 플랫폼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시스템의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중심의 자발적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Meanwhile, the SNS interworking unit 43 can be implemented by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interworking with the SNS account so as to upload the combined single image on the SNS. The user can receive active feedback on the use of the system, and furthermore can enjoy the user-oriented voluntary publicity effec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howing an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 다음 컨텐츠 선택 단계에서 이벤트 포토 메뉴를 선택하면, 본 시스템은 이벤트포토부(41)가 구동되어 선택파트(412)가 저장파트(411)로부터 테마 이미지를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이 후 로딩된 이미지들을 출력모듈(3)로 출력한 다음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모듈(2)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를 거친다.3, whe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system is started, the user performs the step of selecting contents, and when the event photo menu is selected in the next content selection step, the system displays the event photo part 41 And the selected part 412 performs the step of loading the theme image from the storage part 411 and then outputs the loaded images to the output module 3 and then transmits the selection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module 2 And receives input.

이 후, 매칭파트(413)는 선택된 테마 이미지와 촬영될 사용자 이미지를 매칭하여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합성될 단일 이미지를 프리뷰의 형태로 제공하고, 입력모듈(2)을 통해 구도가 조정된 단일 이미지의 합성 여부를 승인 받는다.Then, the matching part 413 provides a single image to be synthesiz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preview by matching the selected theme image with the user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module 3, You are approved for compositing a single composition with a composition.

이 후, 본 시스템은 합성파트(414)에서 촬영모듈(1)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입력모듈(2)을 통해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출력모듈(3)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Thereafter, the system combines the user image collected through the imaging module 1 and the selected theme image through the input module 2 in the synthesis part 414 to generate a single image,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output module 3 ).

이 단계 이후, 단일 이미지는 프린터를 통한 즉석 출력, 영화 티켓과의 동반 출력, 단말기를 통한 다운로드, SNS를 통한 업로드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시스템의 구동이 종료된다.After this step, the single image is delivered to the user in a form desired by the user such as instant output through the printer, accompanying output with the movie ticket, downloading through the terminal, uploading via the SNS, and the system is terminated.

상기 설명에서, 출력모듈(3)은 사용자 이미지와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생성된 단일 이미지의 프리뷰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보정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보정은 출력모듈이 단일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보정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put module 3 has provided a preview of a single image generated by matching the user image with the theme image, and the user can correct it. This correction can be realized by the output module providing a correction screen for correction of a single image.

이 때 단일 이미지의 프리뷰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화면의 확대, 회전, 음영 효과 추가 등과 같이 프리뷰를 보다 면밀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단일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기능 역시 보정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리뷰와 보정 화면이 빠르게 전환되는 등의 요구가 충족될 필요가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d a function to more precisely confirm the preview, such as enlarging, rotating, adding a shading effect, etc.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preview of a single image.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quirement such as fast switching of the preview and the correction screen be satisfied.

본 발명은 단일 이미지의 프리뷰 확인과 보정 화면을 통한 보정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간편하고도 신뢰성 있는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imple and reliable page switching function for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previewing a single image and correcting through a correction screen.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모듈(4)이 출력모듈(3)의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T2)에 이미지 프리뷰와 이에 대한 기능을 수반하는 프리뷰 페이지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T3)에 보정 화면과 이에 대한 기능을 수반하는 보정 페이지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plit tasking bar T1 in which the content module 4 divides the screen of the output module 3 in one direction, and displays the image in the active foreground T2, (T) for assigning a preview and a preview page accompanied by a function for the preview, and allocating a correction page accompanied by a correction screen and a function to the deactivated background (Background) T3 among the divided screens And the like.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태스킹 바(T1)는 프리뷰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T11)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의 보정 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 포그라운드의 프리뷰 페이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divided task bar T1 includes icons T11 relating to the preview page, a page change button T12 for activating the correction page of the background and deactivating the preview page in the foreground when the drag operation is input ). &Lt; / RTI &gt;

또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 및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T133)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T13)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vision tasking interface T also includes a first section T131, a second section T132, a first section T131, and a second section T121 of curve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ackground side when the page changeover button T12 is clicked, And outputs a drag path T13 including an authentication point T133 provided at a contact of the section T132.

또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이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되고, 인증 포인트(T133)에서 페이지 전환 버튼(T12)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plit tasking interface T is operated when the page changeover button T12 is moved along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and after the click of the page changeover button T12 is stopped at the authentication point T133 And the page is switched only when the click is performed.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단말기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T1)를 생성하고,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할된 화면 중 일 측은 포그라운드(T2)로 배정하여 활성화시키며, 분할 태스킹 바(T1)로 인해 분활된 화면 중 타 측은 백그라운드(T3)로 배정하여 비활성화시킨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the divided tasking interface T generates a divided tasking bar T1 for dividing the terminal screen in one direction, One side is assigned to the foreground T2 and activa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divided screen due to the divided task bar T1 is assigned to the background T3 and deactivated.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바(T1)는 활성화된 포그라운드(T2)에 배정된 페이지에 관한 아이콘들(T11)을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의 활성화를 전환하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포그라운드(T2)와 백그라운드(T3)의 의미는 최초 상태의 활성화 여부에 따른 것으로 활성화 전환 후에는 백그라운드(T3)에 배정된 페이지가 '마치 포그라운드처럼'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B, the divided task bar T1 includes icons T11 related to the page assigned to the activated foreground T2, and in addition, T2 and a page change button T12 for switching the activation of the page assigned to the background T3. Here, the meaning of the foreground (T2) and background (T3) depend on whether the initial state is activated or not. After activation, the page assigned in the background (T3)

그리고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페이지 전환 버튼(T12) 클릭 시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 및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T133)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T13)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4B, the divided task interface T includes a first section T131 and a second section T132 of the curv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ackground side when the page changeover button T12 is clicked, And an authentication point T133 provided a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여기에서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형상은 곡선으로 구성되며,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하여 페이지 전환 버튼이 드래그 되는 상황(예를 들면 단말기가 감압식 터치 패드이고, 주머니에 넣어 놓은 단말기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져 드래그 되는 경우)에 의하여 페이지가 의도치 않게 전환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have a curved shape and that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a pressure sensitive type touch pad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a terminal placed in a pocket and is dragged), the page is inadvertently switched .

그러나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의 형상 및 배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조작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페이지의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잔존하는데, 본 발명은 활성화 전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도치 않은 활성화 전환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가 페이지 전환 버튼(T12)이 제1구간(T131)과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되고, 인증 포인트(T133)에서 페이지 전환 버튼(T12)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도록 구성하였다.However, in spite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the operation error of the user or the unintentional page switching may occur. The split tasking interface 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age change button T12 is moved along the first section T131 and the second section T132, (T133), the page is switched only when the click is paused after the page switching button T12 is stopped.

따라서 도 4 [C]와 같이, 페이지 전환 버튼(T12)은 터치 또는 마우스 클릭 등에 의하여 제1구간(T131)을 따라 이동하여 인증 포인트(T133)에 도달하게 되고, 이 때 클릭(또는 터치)의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된 다음, 제2구간(T132)을 따라 이동하여 제2구간(T132)의 종점에 도달하게 되면 페이지의 활성화를 전환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클릭의 중단은 마우스의 클릭 버튼에서 손을 떼는 행위, 터치 패드에서 손을 떼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C, the page change button T12 moves along the first section T131 by touch or mouse click or the like to reach the authentication point T133. At this time, When the click is performed after the interruption and then moves along the second interval T132 to reach the end point of the second interval T132, the activation of the page is switched. Here, the termination of a click means that the mouse is released from the click button, or the user releases the touch pad.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T)는 동시에 두 페이지를 출력함으로써 처리 속도 향상을 제공하고,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제공하며, 나아가 실수 또는 의도치 않은 동작 등에 의한 페이지 활성화 전환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divided tasking interface 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improved processing speed by outputting two pages at the same time, facilitates page activation switch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enhancement of the user, Or the like, and thus the reliability is greatly improv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 포토 부스
1: 촬영모듈 2: 입력모듈
3: 출력모듈
4: 컨텐츠모듈
41: 이벤트포토부 411: 저장파트
412: 선택파트 413: 매칭파트
414: 합성파트
42: 증강현실부 421: 배경저장파트
422: 증강현실합성파트
43: SNS연동부
T: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
B: Photo Booth
1: Shooting module 2: Input module
3: Output module
4: Content module
41: Event photo part 411: Storage part
412: Selection part 413: Matching part
414: Composite part
42: augmented reality part 421: background storage part
422: Augmented Reality Composite Part
43: SNS linkage section
T: Partitioning task interface

Claims (3)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이 내부 공간을 둘러 싼 내벽면이 크로마키 촬영을 위한 그린스크린으로 구성된 포토 부스;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사용자 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컨텐츠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촬영모듈에서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벤트포토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포토부는, 상기 테마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파트, 상기 테마 이미지를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선택받는 선택파트, 상기 촬영모듈을 통해 수집될 예정인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매칭파트 및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와 선택된 테마 이미지를 합성하여 단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합성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모듈은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부 및 상기 단일 이미지를 SNS 상에 업로드 하는 SNS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부는 상기 3차원 배경 이미지를 저장한 배경저장파트 및 상기 3차원 배경 이미지에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합성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테마 이미지를 매칭하여 생성된 단일 이미지의 프리뷰와 이와 관련한 기능을 수반하는 프리뷰 페이지 및 상기 단일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보정 화면과 이와 관련한 기능을 수반하는 보정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모듈은 상기 출력모듈의 화면을 일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태스킹 바를 생성하고, 분할된 화면 중 활성화된 포그라운드(Foreground)에 상기 프리뷰 페이지를 배정하고, 분할된 화면 중 비활성화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상기 보정 페이지를 배정하는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바는 상기 프리뷰에 관한 아이콘들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의 보정 페이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포그라운드의 프리뷰 페이지를 비활성화시키는 페이지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 클릭 시 상기 백그라운드 측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곡선의 제1구간과 제2구간 및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접점에 구비된 인증 포인트를 포함하는 드래그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분할 태스킹 인터페이스는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이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인증 포인트에서 상기 페이지 전환 버튼의 클릭 중단 이후 재클릭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페이지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
A photo booth including an inner space, the inn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space being constituted by a green screen for taking a chroma key;
A photographing modul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nd including a camera for collecting a user image;
An input modul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nd receiving a user command;
An output modul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for outputting a progress status and a result of the content; And
A content module that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and that combines a user image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a them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combined image as a single image;
/ RTI &gt;
The event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storing part for storing the theme image, a selection part for outputting the theme image through the output module and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a user image to b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A matching part for matching through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module, and a synthesizing part for synthesizing the collected user image and the selected theme image to generate a single image,
Wherein the content module further comprises an augmented reality part for implementing the user image in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an SNS linking part for uploading the single image on the SNS,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part includes a background storage part storing the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compositing part implementing the user image in the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The output module provides a preview of a single image generated by matching the user image with the theme image, a preview page accompanied by a related function, and a correction page for correcting the single image and a correction page accompanied by a related function and,
The content module generates a divided task bar for dividing the screen of the output module in one direction, allocates the preview page to an active foreground of the divided screens, Further comprising: a division tasking interface for assigning the correction page to the user,
Wherein the split tasking bar comprises icons relating to the preview and a page change button activating the correction page of the background and deactivating the preview page in the foreground when a drag operation is entered,
Wherein the split tasking interface includes a drag section that includes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of a curv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background side when the page switch button is clicked and an authentication point included in a contact section betwee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Outputting a path,
Wherein the division tasking interface switches the page only when the page switching button is moved along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point performs a click again after the stop of the page switching button. Image utilization contents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1681A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KR101984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81A KR101984616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81A KR101984616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16B1 true KR101984616B1 (en) 2019-06-03

Family

ID=6684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81A KR101984616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432A (en)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System for posting of image through inserting mark and applying selective makeup effect
KR20220131367A (en) * 2021-03-20 2022-09-27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Onset composition device using background im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901A (en)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KR20130073460A (en) * 2011-12-23 2013-07-03 (주)디지엔터테인먼트 Apparatus for taking 3d digital photograph
JP2017500605A (en) * 2013-11-27 2017-01-05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KR20180023310A (en)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901A (en)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KR20130073460A (en) * 2011-12-23 2013-07-03 (주)디지엔터테인먼트 Apparatus for taking 3d digital photograph
JP2017500605A (en) * 2013-11-27 2017-01-05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KR20180023310A (en)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432A (en)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System for posting of image through inserting mark and applying selective makeup effect
KR20220131367A (en) * 2021-03-20 2022-09-27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Onset composition device using background image
KR102589176B1 (en) * 2021-03-20 2023-10-13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Onset composition device using backgroun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0659B (en) Oper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laying video and storage medium
JP6527627B1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JP6469279B1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CN111970532B (en) Video play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08986192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live broadcast
CN109218630B (en) Multimedi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9054488A (en) Providing apparatus,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21814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ntents by collaborating between users
KR101984616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s
KR101831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using multi-stiker
KR10105066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having editing image composition and composition
CN115334246A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shooting
CN109413352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5092284A (en) Pickup image synthesizer and pickup image synthesizing program
JP2017038344A (en) Game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3032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ynthesizing image using multiful cameras
JP6572368B2 (en) Generating apparatus,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JP2020039112A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CN116962745A (en) Mixed drawing method, device and live broadcast system of video image
JP7313847B2 (en) Photography system, photography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photography method
JP2017153092A (en) Photographing system and program
TW201736933A (en) Photographing system and data generation method
JP6849851B2 (en) Shooting system, shooting device and user shooting method
JP2019185736A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KR1018329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