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540B1 -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 Google Patents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40B1
KR101984540B1 KR1020170063164A KR20170063164A KR101984540B1 KR 101984540 B1 KR101984540 B1 KR 101984540B1 KR 1020170063164 A KR1020170063164 A KR 1020170063164A KR 20170063164 A KR20170063164 A KR 20170063164A KR 101984540 B1 KR101984540 B1 KR 10198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unning
steering
ground
main bod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7869A (en
Inventor
백정현
유완종
홍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17006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40B1/en
Priority to PCT/KR2017/005297 priority patent/WO2018216825A1/en
Publication of KR2018012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34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wheeled type, e.g. multi-wheeled bogies
    • B64C25/3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wheels, tyres or ax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0Steerable undercarriages; Shimmy-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hock-absorbers or springs
    • B64C25/62Spring shock-absorber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C2201/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5/00Aircraft with means for ground manoeuvring, such as taxiing, using an auxiliary thrust system, e.g. jet-engines, propellers or compress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게 집중형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운데에 배치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4개의 모서리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각각 연결되고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공중비행시키는 양력발생 장치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소정의 회전력을 등속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전달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무게 중심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weight concentration type UAV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UAV having a main body having a skeleton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extending outward at four corners, A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pparatus connecting arm so as to enable ground running; a lift generating device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for flying the main body in a flying manner; Wherein the driving means is provided to transmit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the ground running wheel connected by a constant velocity joint, thereby preventing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disperse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enabling driving and aerial flights.

Figure R1020170063164
Figure R1020170063164

Description

현가기능의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현가기능을 가진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지상주행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고, 아울러 지상주행을 통해서도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비행 시간을 최소화시켜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with a suspens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unning on the ground as need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capable of reducing energy required for air flight by minimizing the air flight time by making it possible to move to a desired place through the ground running.

최근 들어, "드론(Drone)"이라고 불리우는 무인 항공기(UHV : Unmanned Aerial Vehicle}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쿼드콥터(Quadcoptor), 헥사콥터(Hexacoptor), 옥토콥터(Octocoptor) 등의 멀티콥터(Multicoptor)가 있다.Recently, a varie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HVs) called "Drone" have been developed, such as Quadcoptor, Hexacoptor, Octocoptor, etc. There is a Multicoptor.

특히, 쿼드콥터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네 개의 로터(Rotor)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각 로터들에는 복수개의 프로펠러가 방사상으로 연결 배치되고, 각 로터들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비행자세와 비행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quad-copter is equipped with four vertically installed rotors. A plurality of propellers are rad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rotors,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ors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And adjust the posture and flight direction.

이러한 종래의 무인 항공기는, 공중 장애물이 많아서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부분에는 진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나무가 많은 숲, 전선이 많고 좁은 골목길 등에는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enter a part where airborne flight is impossible due to a large number of air obstacles. For example,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it is impossible to enter into forests with many trees, lots of wires and narrow alleys.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thereof is limited due to such drawbacks.

또한, 종래의 무인 항공기는, 로터를 구동시켜 공중으로 비행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배터리가 조기에 소모되어 비행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has a disadvantage that much energy is consumed to fly the air by driving the rotor, and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battery is consumed prematurely, shortening the flight time.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이동거리가 짧아져 사용이 제한적이다.And because of this problem, the travel distance is shortened and its use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지상주행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vigation system capable of traveling on a ground, Capable hybrid unmanned aircraf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지상주행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비행 환경과 조건에 관계없이 원하는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활용도가 매우 높은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ag system that can be moved to a desired place through ground running in a place where airborne flight is impossible, so that it can be quickly moved to a desired place regardless of a fly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And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fly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상주행을 통해서도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중비행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minimizing the air flight time by allowing the vehicle to travel to a desired place even through the ground running, To provide aircraf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거리를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비행과 주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by reducing the energy required for aerial flight and capable of greatly increasing the travel distanc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게 중심을 중앙 부분으로 집중시켜 공중비행 시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안정적인 공중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행과 주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flying and traveling so as to concentrate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central portion to eliminate the imbalance during the airborne flight and to enable stable airborne flight.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가운데에 배치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4개의 모서리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각각 연결되고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공중비행시키는 양력발생 장치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소정의 회전력을 등속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전달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keleton disposed at the center and having a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extending outward at four corners, A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so as to enable the ground running, a lift generating device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for flying the main body, and a drive unit And the driving means transmits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the ground running wheel connected by a constant velocity joint.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직결되어 회전되면서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라켓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the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 rotating shaft that transmits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while being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 rotating shaft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And a sprocket gear connected to the sprocket gear.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양단 사이가 적어도 한 번 이상 단절되고, 상기 단절된 부위가 상기 등속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rotating shaft may be disconnected at least once between both ends, and the disconnected part may be connected by the constant velocity joint.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본체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들을 연통시키는 샤프트 하우징에 내장되어 보호될 수 있다.Also, the rotating shaft may be built in and protected by a shaft housing that communicates the main body with the ground running wheels.

또한, 상기 등속 조인트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스프라켓 기어의 회전축이 동축이 아닐 경우 상기 회전 샤프트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stant velocity joint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procket gear are not coaxial.

또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상기 구동수단을 고정시키는 구동수단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ixing unit for fixing the driving unit to the ground driving wheel.

또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의 선단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륜과, 상기 고정륜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륜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륜은, 외측 골격을 형성하는 외측륜과, 내측 골격을 형성하는 내측륜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 고정부는, 상기 구동수단(50)을 상기 고정륜을 관통하도록 지지하되, 각각 상기 내측륜과 외측륜에 각각 지지할 수 있다.The ground running wheel may include a fixed wheel fixedly install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and a rotating wheel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ixed wheel, And an inner wheel which forms an inner skeleton, and the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supports the driving means (5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ed wheel, and supports the inner wheel and the outer wheel, respectively, can do.

또한, 상기 구동수단 고정부는,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내측륜을 관통하도록 지지하는 내측 고정 브라켓과,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라켓 기어의 회전축 단부를 지지하는 외측 고정 브라켓과, 상기 외측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스프라켓 기어의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fixing bracke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and supporting the driving means so as to penetrate the inner wheel, An outer fix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rotary bearing interposed inside the outer fixing bracket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of the sprocket gear.

또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지상주행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spens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uspension provided in the ground running wheel and absorbing a road surfac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round during the ground running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이동 로드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된 설치홈에 구비되어 상단부는 상기 이동 로드를 지지하고 하단부는 상기 설치홈에 탄성 지지되는 현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spens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rod connected to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and supporting a load of the main body, and an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in the ground running wheel, the upper end supporting the moving rod, And a suspension spring resiliently suppor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또한, 상기 본체의 지상주행 시 주행 방향을 변경시키는 조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장치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좌우로 구비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에 연결되는 조향 로드와; 상기 조향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를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이 연결된 부위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향 로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조향 로드와 연결된 부위인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을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eering device for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when traveling on the ground, wherein the steering device includes a steering wheel connected to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main body, Load;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rod for moving the steering rod to the left or right so as to rotate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with a rotation axis of a portion to which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is connected; And a steering motor hav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fix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teering rod to rotate left or right about the one end.

상기 조향 모터와, 상기 조향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 중 좌측 및 우측의 어느 하나에만 각각 관여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조향 로드를 연동시키는 연동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ering motor and the steer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ar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be respectively engaged with only one of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and the steer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an interlocking rod for interlocking the pair of steering rods.

또한, 상기 조향 로드의 양단은, 상기 현가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발생되는 높이차를 흡수하도록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볼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teering rod may be ball-jointed to the ground running wheel so as to absorb a height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body moves relative to the ground running wheel by the suspension.

또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대하여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의 수직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중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ground running wheel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end and a rear e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 and the steering apparatus may include: a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다른 실시예는, 가운데에 배치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4개의 모서리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각각 연결되고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공중비행시키는 양력발생 장치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 중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2개의 지상주행용 바퀴 각각을 개별 구동시키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 각각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축에 가까운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keleton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extending outward at four corners, A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arms so as to enable the ground running, a lift generating device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for flying the main body,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ground running wheel Wherein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for driving two ground driving wheels provided forward or rearward of the plurality of ground driving wheels, And may be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near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axis.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에 의하면, 지상주행장치를 구비하는 구조이므로, 필요에 따라 지상주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지상주행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rovided with a ground run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run on the ground if necessary, and it is possible to move to a desired place through ground running.

특히, 공중 장애물이 많아서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곳에서 지상주행을 함으로써, 비행 환경과 조건에 관계없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since there are many obstacles in the air, it is possible to move quickly to a desired destination regardless of the flying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 by traveling on the ground where the air flight is impossible.

또한, 지상주행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공중비행을 줄이고서도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un on the ground, i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air flight, and can move to a desired place, thereby saving energy.

특히, 지상주행이 가능한 곳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적은 지상주행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지상 장애물, 예를 들면, 늪, 숲, 빌딩 등이 있을 경우에만, 공중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place where the ground running is possible, it is moved by using the ground running with low energy consumption, an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ly only when there is a ground obstacle such as swamp, forest, building,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energy to be supplied.

또한,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 거리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energy required for air flight can be reduced,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can be minimized, and the travel distance can be greatly increased.

아울러,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중앙으로 집중하도록 구조 설계됨으로써 공중비행 시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designed so that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ilize flying in the air flight.

또한, 지상주행 시 능동적으로 조향수단에 의하여 진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물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changed actively by the steering means during the ground running,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obstacl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하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성 중 조향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1,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eer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FIG. to be.

먼저, 본 발명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일례로서, 쿼트콥터(Quadcoptor)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before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the UAV, a quadcop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무인항공기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대략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가운데 골격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위로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UAV has a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functions as a center skeleton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51), 조향장치(90)가 연결되거나,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 위성항법장치(GPS), 무선 통신장치, 제어유닛 등이 설치될 수 있다.A driving motor 51 and a steering device 9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or a battery mounting portion (not shown) in which a battery (not shown) is installed. Furthermore, various sensor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control unit, and the like can be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하면에는 바텀 플레이트(도면부호 미표기)가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구동모터(51) 및 조향장치(9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A bottom plate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so as to close the lower opening so that the driving motor 51 and the steering apparatus 90 are supported.

본체(10)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상면에 배치되고, 미도시의 업무 장비가 탑재되는 탑재 장소를 제공하는 탑재 플레이트(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재 플레이트(10a)의 상부에는 녹화수단, 녹음수단, 측정수단(센서) 등으로 구비된 다양한 업무 장비가 탑재되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late 10a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and providing a mounting place on which business equipment (not shown)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10a, a variety of business equipments including recording means, recording means, and measuring means (sensor) are mounted to collect information.

본체(10)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모서리 부위 각각에 배치되고, 외측 사선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었다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disposed on each of corner portions of the rectangular frame member 10b and horizontally extended in the lateral oblique direction and laterally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have.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은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tangular frame member 10b.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은, 각각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은,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의 모서리 부위에 해당하는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사선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었다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되어 좌측 주행장치 연결 아암(12) 및 우측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모서리 부위에 해당하는 전단부 및 후단부는 별도의 프레임으로 연결하거나, 상술한 바텀 플레이트 및 탑재 플레이트(10a)를 이용하여 상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각형의 프레임 구성체(10b) 및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을 동시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 preferably,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may be integrally formed so as to include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of the rectangular frame member 10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has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rectangular frame member 10b, horizontally extended in the lateral obliqu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provided as a left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and a right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Her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corner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frame, or are fixed firm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the above-mentioned bottom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10a,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at the same time.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은,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is provided on the front left side, the front right side, the rear left side, and the rea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아울러,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상주행장치(3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1 to 4, a ground running device 30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leading end portions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respectively.

지상주행장치(30)는,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und running device (30) may include ground running wheels (40) fixed to the leading end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respectively.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4개로 구비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바, 총 4개로 구비되고, 이들 4개의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은 본체(10)의 4군데 모서리 부위에 연결되는 형태를 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tip ends of four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s 12, and four ground running wheels 40 are provided And is connected to four corn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특히,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은, 좌우에 쌍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지상주행용 바퀴(40) 쌍들은, 본체(10)의 앞뒤 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설치된다.Particularly,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re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and pairs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installed in this manne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한편, 이러한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은,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링형(Ring type) 고정륜(42)과, 고정륜(42)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형 회전륜(44)을 구비할 수 있다.The ground running wheels 40 include a ring type fixed wheel 42 fixedly mounted on the leading end of the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 12 and a ring type fixed wheel 42 fixed to the leading end of the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 12, And a ring-shaped rotary wheel 44 to be installed.

도 5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를 하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성 중 조향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eer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Fig.

고정륜(42)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측 골격을 형성하는 외측륜(33)과, 내측 골격을 형성하는 내측륜(34)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wheel 42 may be composed of an outer wheel 33 forming an outer skeleton and an inner wheel 34 forming an inner skeleton, as shown in Fig.

외측륜(33)과 내측륜(34)은, 후술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4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됨은 물론, 다수의 연결볼트(36)에 의하여 복수개소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may be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as described below as well as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bolts 36 at a plurality of locations.

외측륜(33)과 내측륜(34)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양자 사이에 소정의 설치 공간이 마련되고, 외측륜(33)과 내측륜(34)이 형성하는 소정의 설치 공간에는, 상술한 회전륜(44)을 포함한 후술하는 현가장치(70), 구동수단 고정부(80) 및 양력발생 장치(20,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I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formed by 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A suspension unit 70, a drive unit fixing unit 80 and lift generation units 20 and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urning wheel 44, can be install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고정륜(42)의 외주면 측(즉, 외측륜(33)과 내측륜(34)의 외주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46)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구비된다. 다수의 가이드 롤러(46)는, 회전륜(44)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정륜(42)의 외주면 측에 개재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륜(44)을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fixed wheel 42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are mutually connected).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serve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able wheel 44.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guide the rotatable wheel 4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fixed wheel 42, .

회전륜(44)은, 도 4의 좌측에 참조된 바와 같이, 두께 중 일부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 고정부(80)의 구성 중 하나인 스프라켓 기어(57)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링형 랙기어부(44')가 구비되고, 두께 중 나머지는 매끄럽게 형성되어 다수의 가이드 롤러(46)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44")로 구성될 수 있다.4, a portion of the thickness of the rotatable wheel 44 is formed with a ring-shaped rack gear portion (not shown) which engages with the gear teeth of the sprocket gear 57, which is one of the structures of the drive means fixing portion 80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44 " in which the rest of the thickness is smoothly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is supported.

아울러, 회전륜(44)이 고정륜(42)에 고정될 경우, 외주면이 고정륜(4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회전륜(44)의 최대 외경은 고정륜(42)의 최대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rotatable wheel 44 is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xed wheel 42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wheel 42 when the rotatable wheel 44 is fixed to the fixed wheel 42. [ It is preferable to form it larger than the above.

다수의 가이드 롤러(46)는, 고정륜(42)과 회전륜(44) 사이에 설치되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고, 다수의 가이드 롤러(46)는, 회전륜(44)의 내주면 중 회전 지지부(44")에 구름 접촉되면서 회전륜(44)의 원활한 회전을 돕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are provided between the fixed wheel 42 and the rotatable wheel 44 and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46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able wheels 44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upport portion 44 ".

본 실시예에서, 회전륜(44)은 고정륜(42) 전체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륜(42), 특히 외측 골력을 형성하는 외측륜(33)이 원형 프레임 구조이지만, 지면에 맞닿지 않는 부위의 일부가 제거된 반원형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륜(34)도 반원형 프레임 구조의 외측륜(33) 내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형상을 변화시키므로써 드론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otative wheel 44 is supported by the entire fixed wheel 42,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xed wheel 42, particularly, the outer wheel 33 forming the outer skeletal force may have a circular frame structure, but may be a semicirc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portion not abutting the ground is removed. Accordingly, the inner wheel 34 can be formed only inside the outer wheel 33 of the semicircular frame structure. The total weight of the surdron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rame.

지상주행용 바퀴(40)의 내측은, 도 1 내지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수단 고정부(80) 및 양력발생 장치(20,2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작동을 위해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inner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is configured to allow installation of a drive means fixing portion 80 and lift generation devices 20 and 21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ensured for the light emitting diode.

이를 위해, 지상주행용 바퀴(40)의 내측 중 하측에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륜(42)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설치 플레이트(31)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31)는, 외측륜(33)과 내측륜(34) 각각의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후술하는 현가장치(70), 구동수단 고정부(80)가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 mounting plate 31,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T "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and conn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wheel 42, may be provided. One pair of the mounting plates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conne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er wheel 33 and the inner wheel 34. The spacing between the suspension plates 70, (80) can be installed.

설치 플레이트(31)의 좌우 양측에는, 관통홀(32)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품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unting plate 31, the through holes 32 are formed to pass throug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weigh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riving means (50) for driving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s shown in Figs. 1 to 5 .

구동수단(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체(10b)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의 회전축과 직결되어 회전되면서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샤프트(55)와, 회전 샤프트(55)의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라켓 기어(57)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driving means 50 includes a driving motor 51 installed between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s 10b of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And a sprocket gear 57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tary shaft 55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55.

구동수단(50)은 미도시의 샤프트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 하우징은 본체(10)와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을 연통시키며, 회전 샤프트(55)를 내장하여 회전 샤프트(5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driving means 50 may further comprise a shaft housing (not shown). The shaft housing allows the main body 10 and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ncorporates a rotating shaft 55 to protect the rotating shaft 53 from the outside.

회전 샤프트(55)는, 직선 형태의 단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동력 전달 각도를 변경시켜주도록 양단 사이가 적어도 한 번 이상 단절되고, 그 단절된 부위는 등속 조인트(53)에 의해 연결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The rotary shaft 55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raight line, bu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h ends are disconnected at least once so as to change the power transmission angle, and the disconnected portion is connected by the constant velocity joint 53 .

이는. 구동모터(51)가 구비되는 본체(10)의 높이가 후술하는 구동수단 고정부(80)의 지상주행용 바퀴(40)에 대한 설치 높이와 상이하고, 최종적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이 좌우 수평축이므로 동력 전달축이 상호 엇갈리기 때문이다.this is.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provided with the drive motor 51 is different from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rive means fixing portion 80 with respect to the ground running wheel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because the rotary shaft of the transmission shaft 57 is the horizontal axis.

이와 같은 구동모터(51)는 지상주행용 바퀴(40)들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구동모터(51)가 지상주행용 바퀴(40)들 중 전방에 위치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쌍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고, 다른 하나의 구동모터(51)가 지상주행용 바퀴(40) 들 중 후방에 위치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쌍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앞뒤 2개로 구성될 수 있다.Four such driving motors 51 may be provided to transmit power independently to each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One of the driving motors 5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nd the other driving motor 51 transmits the power to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located at the rear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 (40) pairs at the same time.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구동모터(51)가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쌍에 각각 관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Howe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5, two drive motors 51 are provided on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positioned on the front or rear side respectively And the like.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51)가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중 후방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쌍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경우, 본체(10)는 후륜 구동 방식으로 전방으로 지상주행할 수 이점을 가질 수 있다.1 to 5, a pair of drive motors 51 is connected to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see FIG. 1) located on the rear side of a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40 Pair, the main body 10 may have an advantage that it can run forward in the rear-wheel drive manner.

반대로, 한 쌍의 구동모터(51)가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중 전방 측에 위치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쌍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경우, 본체(10)는 전륜 구동 방식으로 전방으로 지상주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pair of drive motors 51 are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40, Can have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un on the ground forward by the front wheel drive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51)를 가능한 한 지상주행용 바귀(40) 측으로부터 이격된 본체(10) 측에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제품의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도모하여, 공중비행 시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체의 균형을 잘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5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remote from the ground running vault 40 as possible so that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fuselage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tability in flight.

즉, 구동모터(51)를, 도 5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측에 개별로 설치하는 실시예를 예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구동모터(51)의 각각의 구비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본체(10)의 외측으로 분산될 우려가 있고, 이 경우 풍향 또는 다양한 비행 환경 하에서 동체가 일측으로 손쉽게 편심됨으로써 추락할 우려가 적지 않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ive motors 51 are individually provided on the respective ground running wheels 40, as shown in Figs. 5 to 8. In this case, however, 51,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disper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In this case, the body may be easily eccentrically unilaterally in a wind direction or various flight environments, have.

아울러, 구동모터(51)가, 도 5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특히, 도 8 참조), 각각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측에 개별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무게중심이 가능한 한 제품의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의 중심 수직축(C2)를 기준으로 본체(10)의 중심 수직축(C1)에 가까운 지상주행용 바퀴(40)의 일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5 to 8 (in particular, see Fig. 8), even when the driving motor 51 is installed individually on the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re installed at one part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close to the central vertical axis C1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central vertical axis C2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so as to be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product.

이 때에도, 스프라켓 기어(57)에 의하여 지상주행용 바퀴(40)가 회전 구동되는 최적의 위치에 구동수단(50)이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라켓 기어(57)와 회전륜(44)의 링형 랙기어부(44')가 상호 안정적으로 취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동수단(50)이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drive means 50 should be provided at the optimum position where the ground running wheel 40 is driven to rotate by the sprocket gear 57.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natural that the drive means 50 should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procket gear 57 and the ring-shaped rack gear portion 44 'of the rotatable wheel 44 can be stab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구동수단(50)을 지상주행용 바퀴(40)들에 각각 고정시키는 구동수단 고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80 for fixing the driving means 50 to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

구동수단 고정부(8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상주행용 바퀴(40)의 내측에 구비되고, 스프라켓 기어(57)를 포함하는 구동수단(50)이 내측륜(34)을 관통하도록 지지하는 내측 고정 브라켓(81)과, 내측 고정 브라켓(81)의 내부에 개재되어 실질적으로 구동수단(50) 중 회전 샤프트(55)의 선단부에 연결된등속 조인트(53)의 연장단을 회전 지지하는 내측 회전 베어링(82)과, 지상주행용 바퀴(40)의 외측에 구비되고,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57a) 단부를 지지하는 외측 고정 브라켓(85)과, 외측 고정 브라켓(85)의 내부에 개재되어 실질적으로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57a)을 회전 지지하는 외측 회전 베어링(83)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80 is provided inside the ground running wheel 40 and the driving means 50 including the sprocket gear 57 is provided on the inner wheel An inner fixed bracket 81 for supporting the inner fixed bracket 81 so as to penetrate the rotary shaft 55 and an extension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53 interposed inside the inner fixed bracket 81 and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rotary shaft 55 of the drive means 50 An outer fixed bracket 85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and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57a of the sprocket gear 57, And an outer rotation bearing 83 interposed inside the bracket 85 for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57a of the sprocket gear 57.

여기서, 등속 조인트(53)의 연장단은 내측륜(34)을 관통하기에 앞서 내측 회전 베어링(8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내측 회전 베어링(82)이 관통된 등속 조인트(53)의 연장단을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extension end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53 is arrang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ner rotation bearing 82 before passing through the inner wheel 34 and the extension end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53 through which the inner rotation bearing 82 is passed As shown in Fig.

아울러,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 단부는 외측륜(33)을 통해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외측 회전 베어링(83)이 외측륜(33)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 고정 브라켓(85)에 개재되어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procket gear 57 protrudes outside through the outer wheel 33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outer rotation bearing 83 is fixed to the outer fixing bracket 85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heel 33, So as to suppor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procket gear 57.

따라서, 구동수단 고정부(80)는, 구동수단(50)을 각각 지상주행용 바퀴(40)의 내측에서는 내측 고정 브라켓(81) 및 내측 회전 베어링(82)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지상주행용 바퀴(40)의 외측에서는 외측 고정 브라켓(85) 및 외측 회전 베어링(83)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상주행용 바퀴(40)의 내외에서 균형있게 구동수단(50)을 고정시킨다.Therefore, the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80 rotatably fixes the driving means 50 on the inner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using the inner fixing bracket 81 and the inner rotation bearing 82 At the same time, the outer sid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40 is rotatably fixed using the outer fixing bracket 85 and the outer rotation bearing 83 so that the driving means 50 can be balanced within the ground running wheel 40, .

이로써, 구동수단(50)의 편심 자중에 의한 체결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체결력의 약화로 인해 스프라켓 기어(57)와 링형 랙기어부(44')의 치합력 저하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This prevents the fastening force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drive means 50 from being weakened and thereby reduces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due to the decrease in the engagement force between the sprocket gear 57 and the ring-shaped rack gear portion 44 ' .

여기서, 구동수단 고정부(80)는 지상주행용 바퀴(40) 중 가능한 한 구동모터(51)의 회전축과 스프라켓 기어(57)의 회전축의 상하 높이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means fixing portion 8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difference in vertical height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51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procket gear 57 can be minimized as much as possible among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

바람직하게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 고정부(80)는, 설치 플레이트(31)의 상단 중 본체(10)의 중심(C1)에 가까운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8, the drive means fixing portion 8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late 31 near the center C1 of the main body 10. [

이로써, 구동수단(50)의 구동력 전달이 용이함은 물론, 소정의 중량이 본체(10)의 중심(C1)으로 집중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상 주행 및 공중 비행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도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50 and to concentrate the predetermined weight on the center C1 of the main body 1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stable ground running and air flight.

한편, 구동수단(50)의 구성 중 스프라켓 기어(57)는 링형 랙기어부(44')에 치합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51)가 작동되면,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이 회전 샤프트(55)를 매개로 스프라켓 기어(57)로 전달되고, 구동력이 전달된 링형 랙기어부(44')는 회전륜(44)을 회전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 motor 51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sprocket gear 57 of the drive means 50 is meshed with the ring-shaped rack gear portion 44 ' Is transmitted to the sprocket gear 57 via the rotating shaft 55, and the ring-shaped rack gear portion 44 'to which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rotates the rotatable wheel 44.

이때, 회전륜(44)은 최대 외경이 고정륜(42)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본체(10)를 지상주행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는 지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rotatable wheel 44 is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xed wheel 42, the main body 10 is allowed to run on the ground while rolling along the ground. Thus,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vel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상주행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suspension unit 70 for absorbing a road surfac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round during a ground running is provided. .

현가장치(70)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이동 로드(71)와, 이동 로드(71)의 외주면에 개재되고, 하단부가 고정륜(42)의 설치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설치홈(73)에 탄성 지지되는 현가 스프링(75)을 포함한다.1 to 4, the suspension device 70 includes a moving rod 71 for supporting a load of the main body 10, and a moving rod 71 inter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rod 71, And a suspension spring (75) elastically supported in an installation groove (73) formed in a mounting plate (31) of the base plate (42).

여기서, 이동 로드(71)는,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아암 결합부(25)와 일체로 형성되고, 설치홈(73)에서 현가 스프링(75)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상하로 이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이다. 즉, 현가장치(70)는, 쇼크 업쇼버(Shock Absorber)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moving rod 7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rm engaging portion 25 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is engaged, and is supported by the suspension spring 75 in the mounting groove 73, And absorbs the impact when it is moved up and down when it receives an impact from it. That is, the suspension device 70 may be equipped with a shock absorber.

한편, 아암 결합부(25)의 상부에는, 양력발생 장치(20,21)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 generation devices 20 and 21 may be installed on the arm coupling portion 25.

양력발생 장치(20,21)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로 구비되고, 상하 수직축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로터(20)와, 로터(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유체역학적으로 공기와 부딪혀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프로펠러(21)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lift generators 20 and 21 include a rotor 20, which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and is provided to form an up and down vertical axis, And a plurality of propellers 21 that are formed and hydrodynamically hit against the air to generate lift.

양력발생 장치(20,21)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모터가 구동되면서 로터(20)를 회전시키고, 복수개의 프로펠러(21)가 회전되면서 본체(10)를 공중으로 부양시키거나 각각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으로의 공중비행이 가능해진다.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he lift generators 20 and 21 rotate the rotor 20 while the motor is driven, float the main body 10 in the air while the plurality of propellers 21 are rotated, So that air flight in various directions becomes possible.

4개의 로터(20)들은 각각의 회전축이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선단부 직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로터(20)들은 본체(10)의 균형적이고도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정사각형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 rotors 20 are disposed in a position immediately abov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and more preferably, the four rotors 20 are disposed in a balanced and stable flight It is preferable to form a square horizontal plane so that it can be performed.

따라서, 복수개의 프로펠러(21)의 길이도 상호 회전 구동이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최대 양력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21 is set to a length capable of forming a maximum lifting force without interfering with rotational drive.

한편, 지상주행 시, 구동수단(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상주행용 바퀴(40)에 하나씩 구비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주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ground running,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ans 50 is provided to each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one by one so as to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have.

본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는 지상주행 시 주행 방향을 변경시키는 조향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eering device 90 that changes the running direction during ground running.

조향장치(90)는, 도 6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에 좌우로 구비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에 연결되는 조향 로드(94L,94R)와, 조향 로드(94L,94R)의 타단에 연결되고,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를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이 연결된 부위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도록 조향 로드(94L,94R)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 로드(92L,92R)와, 연결 로드(92L,92R)의 일단이 고정되고 조향 로드(94L,94R)와 연결된 부위인 연결 로드(92L,92R)의 타단을 일단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91L,91R)를 포함한다.6 to 8, the steering apparatus 9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rod (not shown) connected to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steering rods 94L and 94R so as to be rotated around a portion to which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is connected as a rotational axis, The connecting rods 92L and 92R which move the connecting rods 94L and 94R to the left or right and the connecting rods 92L and 92R to which the one ends of the connecting rods 92L and 92R are fixed and which are connected to the steering rods 94L and 94R, And the steering motors 91L and 91R for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haft 91L to the left or right about one end.

조향 모터(91L,91R)는, 조향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 로드(92L,92R)의 타단을 일단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서보 모터(Servo motor)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ring motors 91L and 91R are provided with servo motors for rotating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on rods 92L and 92R to the left or right around one en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for steering.

여기서, 조향 모터(91L,91R)와, 조향 로드(94L,94R) 및 연결 로드(92L,92R)는 전방 측에 구비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 중 좌측 및 우측의 어느 하나에만 각각 관여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eering motors 91L and 91R and the steering rods 94L and 94R and the connecting rods 92L and 92R are provided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provided on the front side Respectively.

이는 하나의 조향 모터(91L,91R)로부터 전달되는 조향력이 한 쌍의 지상주해용 바퀴(40) 모두에 분산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조향 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a steering failure that may be caused by dispersing the steering force transmitted from one of the steering motors 91L and 91R to all of the pair of ground wheels 40. [

조향장치(90)는,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써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연결 로드(92L,92R)의 타단에 연결되어 한 쌍의 조향 로드(94L,94R)을 연동시키는 연동 로드(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steering device 9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rods 92L and 92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s a pair, and a pair of steering rods 94L and 94R And an interlocking rod 93 for interlocking.

따라서, 2개의 조향 모터(91L,91R)로부터 조향력이 각각 발생하지만, 연동 로드(93)에 의하여 한 쌍의 조향 로드(94L,94R)가 연동되므로 동시에 강한 조향력으로 지상주행용 바퀴(40)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teering force is generated from the two steering motors 91L and 91R, but the pair of steering rods 94L and 94R are interlocked by the interlocking rod 93 so that the ground driving wheel 40 Can be rotated.

또한, 조향 로드(94)의 양단부는, 지상주행용 바퀴(40)에 볼 조인트(95)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현가장치(70)에 의하여 본체(10)에 대하여 지상주행용 바퀴(40)들이 상하로 상대 이동할 때 발생되는 높이차를 흡수하기 위함이다.Both ends of the steering rod 94 can be connected to the ground running wheel 40 by a ball joint 95. This is to absorb the height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main body 10 by the suspension device 70.

보다 상세하게는, 볼 조인트(95)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연결 로드(92L,92R)의 타단에 구비된 볼 수용부(95a)와, 연결 로드(92L,92R)에 연결되는 조향 로드(94L,94R)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볼 수용부(95b)에 수용되는 볼(95b)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ball joint 95 includes a ball receiving portion 95a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92L, 92R and a ball receiving portion 95a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92L, 92R And a ball 95b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rods 94L and 94R and receiv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95b.

이와 같은 볼 조인트(95)는, 지상주행용 바퀴(40)에 연결되는 조향 로드(94)의 일단의 연결 구조에도 그대로 적용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a ball joint 95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one end of the steering rod 94 connected to the ground running wheel 40 as it is.

따라서, 현가장치(70)에 의하여 본체(10)와 지상주행용 바퀴(40) 사이의 상대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향장치(90)에 의한 조향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relativ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ground running wheel 40 occurs due to the suspension device 70, the steering operation by the steering device 90 can be smoothly performed.

아울러, 지상주행용 바퀴(40)들 중 적어도 본체(10)의 전방 측에 구비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40)는 각각의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미도시의 수직 회전축(C2)을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4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mong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rotation axis C2 of the respectiv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s 12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can be rotatably provided.

또한, 조향 로드(94)의 각각의 지상주행용 바퀴(40)에 대한 연결 부위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수직 회전축에 대하여 이격된 편심되는 부위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향 로드(94), 연결 로드(992) 및 조향 모터(91)를 구비하는 조향장치(9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수직 회전축(C1)과 본체(10)의 중심(C1)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향장치(90)가 가능한 한 본체(10)의 중심(C1)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제품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ng portion of each of the steering rods 94 to the ground running wheel 40 may be set as an eccentric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axis of rotation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 Preferably, the steering device 90 having the steering rod 94, the connecting rod 992 and the steering motor 9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rotation shaft (not shown)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C1 and the center C1 of the main body 10. [0060] So as to prevent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of the product from being dispersed by designing the steering device 90 as close to the center C1 of the main body 10 as possible.

이로써, 조향 모터(91)가 제어신호의 인가에 의하여 작동되어 연결 로드(92)의 타단을 일단을 중심으로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조향 로드(94)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도면상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지상주행용 바퀴(40)의 전단을 주행장치 연결 아암(12)의 수직 회전축(C2)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주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steering motor 91 is oper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92 to one side (left side in the figure) about one end, the steering rod 94 is moved to the left,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front ends of the ground running wheels 4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imultaneously to the right on the vertical rotation axis C2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12. [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향장치(90)는 본체(10)의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체(10b)에 조향 모터(91) 및 연결 로드(92) 한 쌍이 상호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한 쌍의 조향 모터(91)를 동시에 구동시켜 안정적인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teering apparatus 90 includes a pair of steering motors 91 and a pair of connecting rods 9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10b of the main body 10,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steering system so as to achieve stable steering by driving a pair of steering motors 91 simultaneous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본체(10)의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미도시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ground running and air flight of the main body 10.

제어부는, 본체(10)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롱텀에볼루션(LTE) 등 무선 연결로 조이스틱이 아닌 PC로 조정할 수 있는 GC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a GCS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PC, not a joystick, via a wireless connection such as Bluetooth, Wi-Fi, Long Term Evolution (LT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도이다.9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본체(10)에 구비된 미도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본체(10)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microproces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remotely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10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51) 또는 로터(20) 및 조향장치(90)의 조향 모터(9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eering motor 91 of the driving motor 51 or the rotor 20 and the steering device 90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control signal to enable ground running and air fligh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는, 지상주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바, 필요에 따라 지상주행이 가능함은 물론, 지상주행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running on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grounded when necessary, and can be moved to a desired place through ground running .

특히,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중 장애물이 많아서 공중비행이 불가능한 곳에는 지상주행용 바퀴(40)를 구동시켜 지상주행함으로써, 비행환경과 조건에 관계없이 원하는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the ground-running wheel 40 is driven to run on a ground where airborne obstacles are not possible due to a large number of obstacles, so that the vehicle can be quickly moved to a desired place regardless of the fly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는, 지상주행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공중비행을 줄이고서도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it can move to a desired destination while reducing air flight having a large energy consumption, and thus energy savings effect can be expected.

특히,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상주행이 가능한 곳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적은 지상주행을 실시하고, 지상 장애물, 예를 들면, 늪, 숲, 빌딩 등이 있을 경우에만, 로터(20)를 구동시키는 공중비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the ground running is performed in a place where the ground running is possible, and the rotor 20 is driven only when there is a ground obstacle such as a swamp, a forest, And thu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energy required for air flight.

또한, 공중비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현저하게 절감하는 바,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거리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 required for aerial flights i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minimizes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travel distanc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본체 12: 주행장치 연결 아암
20: 로터 21: 프로펠러
30: 지상주행장치 31: 설치 플레이트
32: 관통홀 33: 외측륜
34: 내측륜 40: 지상주행용 바퀴
42: 고정륜 44: 회전륜
50: 구동수단 51: 구동 모터
53: 등속 조인트 55: 회전 샤프트
57: 스프라켓 기어 70: 현가장치
71: 이동 로드 73: 설치홈
75: 현가 스프링 80: 구동수단 고정부
81: 내측 고정 브라켓 83: 회전 베어링
85: 외측 고정 브라켓 90: 조향장치
91L,91R: 조향 모터 92L,92R: 연결 로드
93: 연동 로드 94: 조향 로드
95: 볼 조인트
10: main body 12: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20: rotor 21: propeller
30: ground traveling device 31: mounting plate
32: through hole 33: outer ring
34: Inner wheel 40: Ground running wheel
42: fixed wheel 44:
50: driving means 51: driving motor
53: constant velocity joint 55: rotating shaft
57: sprocket gear 70: suspension
71: moving rod 73: installation groove
75: suspension spring 80: drive means fixing portion
81: Inner fixing bracket 83: Rotary bearing
85: Outside fixing bracket 90: Steering device
91L, 91R: steering motors 92L, 92R: connection rods
93: interlocking rod 94: steering rod
95: Ball joint

Claims (6)

가운데에 배치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4개의 모서리 부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주행장치 연결 아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각각 연결되고 지상주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지상주행용 바퀴;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공중비행시키는 양력발생 장치;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지상주행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 및
상기 본체의 지상주행 시 주행 방향을 변경시키는 조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장치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좌우로 구비된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에 연결되는 조향 로드;
상기 조향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를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이 연결된 부위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향 로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조향 로드와 연결된 부위인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을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구비하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A body disposed in the middle to form a skeleton and having a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extending outward at four corner portions;
A plurality of ground running wheels each connected to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so as to enable ground running;
A lift generating device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to fly the main body over the grou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ground running wheel;
A suspension provided on the ground running wheel and absorbing a road surfac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round during the ground running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steering device for changing a runn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during ground running,
The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 steering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provided to the right or left of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connect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rod and moves the steering rod to the left or right so as to rotate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around a portion to which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is connected as a rotating shaft; And
And a steering motor that rotates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구비된 설치홈에 구비되어 상단부는 상기 이동 로드를 지지하고 하단부는 상기 설치홈에 탄성 지지되는 현가 스프링을 포함하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spension device includes:
A moving rod connected to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to support a load of the main body; And
And a suspension spring which is provided in an installation groove of the ground running wheel and support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moving rod and a lower end portion of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groov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모터와, 상기 조향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지상주행용 바퀴 중 좌측 및 우측의 어느 하나에만 각각 관여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조향 로드를 연동시키는 연동 로드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ering motor and the steer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are provided in pairs so as to be respectively engaged with either one of left and right of the pair of ground running wheels,
Wherein the stee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nterlocking ro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for interlocking the pair of steering r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로드의 양단은, 상기 현가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발생되는 높이차를 흡수하도록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에 볼 조인트 결합된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steering rod are ball-jointed to the ground running wheel so as to absorb a height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moves relative to the ground running wheel by the suspension device, and a hybrid n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주행용 바퀴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에 대하여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주행장치 연결 아암의 수직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중심 사이에 위치되는 주행과 비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무인항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und running wheel is provided with a front end and a rear e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apparatus connecting arm,
Wherein the steering device is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between a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traveling device connecting arm an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KR1020170063164A 2017-05-22 2017-05-22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KR101984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64A KR101984540B1 (en) 2017-05-22 2017-05-22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PCT/KR2017/005297 WO2018216825A1 (en) 2017-05-22 2017-05-22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driving and fly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64A KR101984540B1 (en) 2017-05-22 2017-05-22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69A KR20180127869A (en) 2018-11-30
KR101984540B1 true KR101984540B1 (en) 2019-05-31

Family

ID=6456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64A KR101984540B1 (en) 2017-05-22 2017-05-22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613B1 (en) * 2021-04-19 2023-08-29 Christopher Cade Spikes Drone air to ground transi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603A (en) * 2019-03-29 2019-06-07 南昌航空大学 A kind of hoverc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22015A1 (en) * 2014-10-29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4564B2 (en) * 2012-08-02 2014-08-05 Neurosciences Research Foundation, Inc. Vehicle capable of in-air and on-ground mobility
CA2787279C (en) * 2012-08-29 2013-10-22 Draganfly Holdings Inc. Vehicle with aerial and ground mobility
KR101776825B1 (en) * 2015-05-20 2017-09-11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and fly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22015A1 (en) * 2014-10-29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8613B1 (en) * 2021-04-19 2023-08-29 Christopher Cade Spikes Drone air to ground transi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69A (en)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536B1 (en)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with centralized weight
CN107614376B (en) Rotorcraft
US8794564B2 (en) Vehicle capable of in-air and on-ground mobility
KR101340409B1 (en)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084261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ircraf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ontroller,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JP6076833B2 (en) Control metho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ehicle
EP3659916B1 (en) Rotary wing aircraft
EP2610173B1 (en) Fixed-pitch coaxial contra-rotating helicopter
JP2014240242A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flight vehicle
CN103552686B (en) A kind of compound type duct aerial reconnaissance machine people
JP2010254264A (en) Unmanned aircraft landing and departing perpendicularly by tilt wing mechanism
KR20120060590A (en) Quadro-Copter with traveling ground
JP6661199B2 (en) Flying object
WO2018216825A1 (en)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driving and flying
KR101984540B1 (en) Hybrid dron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flying havign suspension ability
JP7120645B2 (en) rotorcraft
KR102245397B1 (en) Multi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11032070U (en) Air-ground inspection robot
KR20200000563A (e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795677B1 (en) Hybrid drone having common frame
JP6694624B2 (en) Rotorcraft
JP2017074868A (en) Rotorcraft
JP6661159B2 (en) Rotorcraft
KR101757368B1 (en) Two way flight possible the drones
JP7083164B2 (en) Roto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