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742B1 -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 Google Patents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742B1
KR101981742B1 KR1020180125546A KR20180125546A KR101981742B1 KR 101981742 B1 KR101981742 B1 KR 101981742B1 KR 1020180125546 A KR1020180125546 A KR 1020180125546A KR 20180125546 A KR20180125546 A KR 20180125546A KR 101981742 B1 KR101981742 B1 KR 10198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way
space
foreign matter
conn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목
김남훈
최광희
허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Priority to KR102018012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7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spiratory obstruction first aid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iratory obstruction first aid training device comprises: a human body model including a head having an airway and a body connected to the head; a first airbag disposed in the body, and disposed at a chest part of the body; a second airbag disposed in the body, and disposed at a back part of the body; a connection tube for communicating with the airway;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ommunicating the first airbag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that a back of the human body model faces the ground, and communicating the second airbag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that a chest of the human body model faces the ground.

Description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아래의 실시 예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an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practice apparatus.

우리 신체의 기도는 인후두부, 기관, 기관지 등의 일련의 통로를 걸쳐 폐에 도달한다. 이러한 일련의 통로를 기도라 하는데, 기도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제대로 넘어가지 못하고 걸리는 현상을 기도폐쇄 또는 기도폐색이라 말한다. 이러한 기도폐쇄는 큰 조각의 음식을 잘 씹지 않고 삼키는 경우에 자주 발생한다. 특히, 1~2살 정도의 영아의 경우, 사물을 입에 넣는 행동을 자주 하기 때문에, 음식을 씹지 않고 삼켜서 기도가 막히거나 장난감을 삼켜서 기도가 막히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기도폐쇄가 발생하게 되면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재빨리 응급처치를 수행하여 기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도폐쇄는 매우 긴박한 상황이므로, 구조요원이 도착하기 전에 응급처치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철저하게 받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도폐쇄에 대한 응급처치 교육은 디스플레이 교육이나 책자 등의 2차원적인 교육을 통해 실시되기 때문에, 피교육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직접 실습해볼 수 있는 실습장치가 요구된다.Our body's airway reaches the lungs through a series of passages such as throat tofu, organs, or bronchi. This series of passages is called prayer, and the phenomenon that food or foreign matter can not pass over to the airway is called airway obstruction or airway obstruction. This airway occlusion often occurs when swallowing a large piece of food without chewing it well. In particular, infants aged 1 to 2 years often have things in their mouths, so it is easy to swallow them without chewing food, block the airway, or block the airway by swallowing toys. When airway obstruction occurs, breathing becomes difficult,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emergency treatment immediately to remove foreign matter in the airway. This airway closure is a very pressing situation, so you need to be thoroughly trained in emergency care so that rescue personnel can quickly perform emergency care before arrival. Generally, the first aid treatment for airway obstruction is performed through two-dimensional education such as display education and booklet,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traine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a practice device that can directly practice the airway obstruction emergency treatment in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is required.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직접 실습해볼 수 있는 실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that can directly practice airway obstruction emergency treatment.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높은 학습효과를 갖는 실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provide a training apparatus having a high learning effect by being constructed so that first aid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ituation similar to an actual situation.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기도가 형성된 머리와, 상기 머리에 연결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모형;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에 배치되는 제1에어백;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등 부위에 배치되는 제2에어백; 상기 기도와 연통되는 연결튜브; 및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에어백을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시키고, 상기 인체모형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에어백을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시키고, 상기 인체모형의 자세가 변경되면 중력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uman body model including a head having an airway formed therein and a body connected to the head; A first airbag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first airbag being disposed at the chest of the body; A second airbag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second airbag being disposed at a back portion of the body; A connectio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airway; And communicating the first airbag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torso of the torso faces the ground and communicating the second airbag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torso of the torso faces the ground,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that is operated by gravity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is changed.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공간; 및 상기 연결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공간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includes: a connection space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tub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v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space, and the moving member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gravity within the connection space.

상기 연결공간은, 상기 제1에어백과 연통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2에어백과 연통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에어백은 개방시키고 상기 제2에어백은 폐쇄시키며, 상기 인체모형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에어백은 폐쇄시키고 상기 제2에어백은 개방시킬 수 있다.Wherein the connecting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bag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bag,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of the torso faces the ground, Wherein the first airbag is closed and the second airbag is closed by moving to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airbag is closed by moving to the first space when the chest of the trunk is facing the ground, The airbag can be opened.

상기 연결튜브에 삽입되는 이물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부재는 상기 제2에어백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에어백이 압축되면 상기 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rein the foreign matt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and the foreign matter memb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way when the second airbag is compressed, with the second airbag being opened.

상기 연결튜브는 상기 이물질부재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제한부는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상기 제2에어백에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이물질부재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ube may include a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and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may allow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only when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to the second airbag.

상기 연결튜브는 상기 이물질부재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제한부는 상기 이물질부재가 상기 연결튜브 내에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n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insertion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and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member from being inserted beyon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onnection tube.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백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기도를 통해 상기 제1에어백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When the first airbag is opened an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bag through the airway, the chest area of the body may be swollen.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연결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pace, and the guide member may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member.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에어백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에어백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first airbag based on a state where the back of the torso is facing the ground; And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irbag.

상기 제1에어백 및 제2에어백 사이에 배치되는 압박판; 및 상기 압박판에 연결되고, 상기 압박판에 원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ss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irbag and the second airbag;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pressing plat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late.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응급처치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so that emergency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a situation similar to an actual situation, thereby enhancing the learning effect.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는, 사용자에게 기도폐쇄 응급처치의 수행 상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intuitively provide the user with the performance status of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로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로 인공호흡을 실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front view of an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of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practicu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rected to the grou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hest of the airway obstructing first aid treatment pract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rected to the groun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ep of performing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with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p of practicing artificial respiration with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best of an understanding clear.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 connected, " " coupled, " or " connected. &Quot;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scope.

기도폐쇄 응급처치는, 기도폐쇄가 발생했을 때 구조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실시되는 응급처치를 의미하며, 일명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이라고 불린다. 기도폐쇄 응급처치는 실시 대상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성인의 기도폐쇄 응급처치로는, 환자의 등 뒤에서 주먹 쥔 손을 배꼽과 명치 중간 정도에 위치시킨 뒤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싸쥐고 위로 밀어올리는 방법 또는 등을 두드리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영아의 기도폐쇄 응급처치는, 영아의 머리가 아래를 향하도록 영아를 허벅지 위에 엎드려서 놓은 뒤, 손바닥 밑 부분으로 영아의 등의 중앙부를 정도 두드리게 된다. 다음 단계로 영아를 뒤집어서 영아의 머리가 아래를 향하게 하여 허벅지 위에 눕힌 뒤, 양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중앙 부위의 약간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빠르고 강하게 눌러주게 된다. 이물질이 기도에서 토출될 때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단, 환자의 의식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게 된다.Airway obstruction A first-aid treatment is a first aid procedure performed before arrival of a rescue circle when an airway obstruction occurs and is called a Heimlich maneuver.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procedur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 An adult's airway closure first aid treatment involves placing a fist-clasped hand at the back of the patient's back in the middle of the navel and mouth, then holding the fist with the other hand and pushing it up, or tapping the back. An infant's airway closure First aid treatment involves laying the infant down on the thigh with the head of the infant facing downwards and tapping the center of the infant's back with the lower part of the palm. The next step is to turn the infant upside down and place the infant head downward on the thigh, then press fast and strongly with two fingers slightly below the middle of the line connecting the nipples. The above procedure is repeated until the foreign object is discharged from the airway. However, if there is no consciousness of the patient, CPR will be perform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 크기, 형상, 비율, 각도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에 유의해야 한다.1 is a front view of an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of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practicum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irected to the grou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hest of the airway obstructing first aid treatment pract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rected to the ground. 2 and 3 are schematically show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 size, shape, ratio, angle,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are merely illustrativ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1)를 이용하여 기도폐쇄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직접 실습해볼 수 있다. 실습장치(1)는 도 1과 같이, 영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습장치(1)의 자세에 따라, 실습장치(1) 내부에서 공기가 통하는 통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실습장치(1)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 즉, 실습장치(1)가 누운 상태에서는 가슴(C) 부위로 통로가 개방되어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다. 또한, 도2와 같이, 실습장치(1)의 가슴(C)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 즉, 실습장치(1)가 엎드린 상태에서는 등(B) 부위로 통로가 개방되어 등을 두드려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실습할 수 있다. 실습장치(1)는 특히 영아의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실습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실습장치(1)를 이용하면, 영아를 엎드리게 한 뒤 등을 두드려 기도에 삽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것을 실습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습장치(1)는 자세에 따라 공기 통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므로, 하나의 실습장치로 기도폐쇄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모두 실습할 수 있다. 한편, 실습장치(1)는 영아뿐만 아니라 성인의 기도폐쇄 응급처치, 심페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실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1 to 3, the user can directly practice airway obstructive first aid, CPR, or artificial respiration by using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training apparatus 1. [ The training apparatus 1 may be formed into an infant shape as shown in Fig.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1,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n the training apparatus 1 can be changed. 2, when the back (B) of the training apparatus 1 faces the ground, that is, when the training apparatus 1 is in a lying state, the passage is opened to the region of the chest C to perform CPR or artificial respiration have. 2, when the chest C of the training apparatus 1 faces the ground, that is, when the training apparatus 1 is in a prone position, the passage is opened to the back part (B) Practic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he training apparatus 1 may be particularly desirable for practicing the airway obstructive first aid treatment of infants. With the training apparatus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practicing to infiltrate the infant and then to discharge the foreign object inserted into the airway by hitting the back of the infant, and visually confirm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Since the airway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osture, the training apparatus 1 can practice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CPR, or artificial respiration with one exercise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apparatus (1) can be used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practicing the airway obstructive first aid treatment, adult respiration or ventila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1)는, 인체모형(10), 제1에어백(11), 제2에어백(12), 연결튜브(13), 개폐조절부(14) 및 이물질부재(15)(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airway obstructive first aid treatment trai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orso 10, a first air bag 11, a second air bag 12, a connecting tube 13,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4, and a foreign matter member 15 (see FIG. 4).

인체모형(10)은 인체 형상의 모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모형(10)은 영아 형상으로 형성된 상반신 마네킹일 수 있다. 인체모형(10)은 실습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실제 상황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인체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모형(10)은 영아의 표준체형에 따른 외형을 가지며, 실제 피부의 탄성과 유사한 느낌을 제공하도록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모형(10)은 머리(101) 및 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an body model 10 may be a human body model. For example, the torso 10 may be an upper body mannequin formed in an infant shape. The human body model 10 can be formed similar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user performing the exercise can have a feeling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For example, the torso 10 may have a contour according to the infant's standard body shape and may include a skin of silicon or urethane to provide a feel similar to the elasticity of the actual skin. The manikin 10 may include a head 101 and a body 102.

머리(101)는 인체의 머리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101)에는 기도(airway, 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101)는 구강이 형성된 입 및 비강이 형성된 코를 포함하고, 구강 및 비강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머리(101)의 내부에서 기도(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도(A)는 연결튜브(13)와 연통될 수 있다. 머리(101)는 몸체(102)에 연결될 수 있다. 머리(101)는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의 구체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하도록, 인체와 유사한 관절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101)는 몸체(102)에 대하여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101)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몸체(102)에 대하여 전후로 젖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머리(101)는 몸체(10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 젖혀지는 경우에만, 연결튜브(13)를 개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머리(101)와 몸체(102)가 일정 각도를 이루었을 때만 연결튜브(13)가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아의 인공호흡 방법에 있어서는, 영아는 목이 짧고 ?기 때문에 영아의 귀가 바닥과 평행이 되도록 영아의 머리를 젖히게 되므로, 머리(101)와 몸체(102)가 이와 같은 각도를 이루었을 때 연결튜브(13)가 기도(A)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수행하는 경우에, 머리(101)를 젖혀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머리(101)는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설치, 교체 또는 점검 등을 위하여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101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 airway (A) may be formed in the head 101. For example, the head 101 includes a mouth having a mouth and a nose formed with a nose, and the oral cavity and nasal cavit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the airway A inside the head 101. [ In this case, the airway A can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tube 13. The head 101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02. The head 101 may have motion similar to a human body, so as to be able to perform specific operations of CPR or artificial respiration. For example, the head 101 may be rotatably connect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body 102. Therefore, the head 101 can be operated to be turn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body 10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head 101 can b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connection tube 13 is opened only when the head 101 is bent rearward more than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102.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tube 13 may be opened only when the head 101 and the body 102 are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in the method of artificial respiration of an infant, since the infant has a short neck, the infant's head is tilted so that the infant's ears are parallel to the floor, so that the head 101 and the body 102 are at such an angle The connecting tube 13 is communicated with the airway A. [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user perform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r artificial respir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head 101 to secure airway and perform artificial respiration. On the other hand, the head 101 can be formed so as to be openable for installation, replacement or inspection of the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몸체(102)는 인체의 상반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2)의 외관에는 검상돌기(xiphoid process), 갈비뼈, 젖꼭지 등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몸체(102)에 대한 가슴(C) 압박을 수행하는 경우, 정확한 가슴 압박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몸체(10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2)의 내부에는 제1에어백(11), 제2에어백(12), 연결튜브(13) 및 개폐조절부(14)가 설치될 수 있다. 몸체(102)는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설치, 교체 또는 점검 등을 위하여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2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upper half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a shape of a xiphoid process, a rib, a nipple,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02.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chest C against the body 102, the accurate chest compression position can be confirmed. The body 102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he first airbag 11, the second airbag 12, the connecting tube 13, and the opening / closing controller 1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102. The body 102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for installation, replacement, or inspection of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제1에어백(11)은 몸체(10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에어백(11)은 인체의 폐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에어백(11)은 몸체(102)의 전면부 즉, 가슴(C)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에어백(11)은 연결튜브(13) 및 개폐조절부(14)를 통해 기도(A)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에어백(11)은 기도(A)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습장치(1)에 대한 사용자의 인공호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체모형(10)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 즉, 인체모형(10)이 누운 상태를 기준으로, 제1에어백(11)의 하측은 제1지지판(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판은 제1에어백(1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몸체(102)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irbag 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2. The first airbag 11 can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lungs of the human body. The first airbag 11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02, that is, at the chest C region. The first airbag 11 can communicate with the airway A through the connecting tub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portion 14. [ The first airbag 11 can enable the user's artificial respiration to the training apparatus 1 by storing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way A. [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irbag 11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plate (not shown) on the basis of the state that the back side B of the torso 10 faces the ground, that is, have. That is, the first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02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irbag 11.

제2에어백(12)은 몸체(10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에어백(12)은 몸체(102)의 후면부 즉, 등(B)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에어백(12)은 견갑골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에어백(12)은 연결튜브(13) 및 개폐조절부(14)를 통해 기도(A)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에어백(12)은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몸체(102)의 등(B)을 두드리면 압축되면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배출된 공기에 의하여 기도(A)에 삽입된 이물질부재(15)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인체모형(10)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 즉, 인체모형(10)이 누운 상태를 기준으로, 제2에어백(12)의 상측은 제2지지판(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지지판은 제2에어백(12)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몸체(102)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판은 사용자가 등(B)에 가하는 압력으로부터 제2에어백(12)을 지지하여, 제2에어백(12)의 압축을 보조할 수 있다.The second airbag 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2. The second airbag 12 may be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102, that is, the back (B) portion. For example, the second airbag 12 may be disposed betwee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capula. The second airbag 12 can communicate with the airway A through the connecting tub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portion 14. [ The second airbag 12 is capable of discharging air while being compressed when the user hits the back B of the body 102 so that the airway closed first aid treatment can be performed and the airbag 12 inserted into the airway A The foreign matter 15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irbag 12 can b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ing plate (not shown) based on the state that the back side B of the torso 10 faces the ground, that is, the state where the torso 10 is laid have. That is, the second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02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irbag 12. The second support plate can assist the compression of the second airbag 12 by supporting the second airbag 12 from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the back B.

연결튜브(13)는 기도(A)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튜브(13)는 제1에어백(11) 또는 제2에어백(12)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튜브(13)는 제1에어백(11) 또는 제2에어백(12)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연결튜브(13)에는 이물질부재(15)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튜브(13)는 삽입된 이물질부재(15)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튜브(13)는 이물질부재(15)가 너무 깊이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삽입제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nection tube 13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way A. The connection tube 13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bag 11 or the second airbag 12. The connection tube 13 can introduce or discharge air into the first airbag 11 or the second airbag 12. The foreign substance member 15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13. The connection tube 13 may include a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for restricting the discharge of the inserted foreign matter member 15. Further, the connection tube 13 may include an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for restricting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from being inserted too deeply.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개폐조절부(14)는 인체모형(10)의 자세에 따라 제1에어백(11) 또는 제2에어백(1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개폐조절부(14)는 인체모형(10)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제1에어백(11)을 연결튜브(13)와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조절부(14)는 인체모형(10)의 가슴(C)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제2에어백(12)을 연결튜브(13)와 연통시킬 수 있다. 즉, 개폐조절부(14)는 하나의 실습장치로 기도폐쇄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모두 실습할 수 있도록, 인체모형(10)의 자세에 따라 공기가 통하는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인체모형(10)을 눕힌 상태에서는 가슴(C) 부위에 위치한 제1에어백(11) 쪽으로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므로, 심폐소생술에 따른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다. 또한, 인체모형(10)을 엎드리게 한 상태에서는 등(B) 부위에 위치한 제2에어백(12) 쪽으로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므로, 환자 특히, 영아를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허벅지 위에 엎드려서 놓은 뒤 등(B)을 두드려서 제2에어백(12)을 압축시킴으로써 이물질을 토출시키는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실습할 수 있다. 개폐조절부(14)는 연결공간(141) 및 이동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4 can selectively open / close the first airbag 11 or the second airbag 12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manikin 1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4 can communicate the first airbag 11 with the connection tube 13 in a state where the back B of the torso 10 faces the g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4 can communicate the second airbag 12 with the connection tube 13 in a state where the chest C of the manikin 10 faces the ground.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4 can change the passage of air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manikin 10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practice both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CPR, or artificial respira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human body model 10 is laid down, a passageway for air is formed toward the first airbag 11 located at the chest C, so that the artificial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CPR can be practiced. In addition, since the passage of air is formed toward the second airbag 12 located at the back (B) region in a state where the human body model 10 is in a lying position, the patient, in particular, the infant is lean on the thigh, The user can practice the airway closure first aid treatment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by pressing the second airbag 12 by pressing the second airbag B. The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portion 14 may include a connecting space 141 and a moving member 142.

연결공간(141)은 몸체(102)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공간(141)은 몸체(102)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고, 머리(101)가 아래를 향하도록 몸체(102)를 기울인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영아의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자세 즉, 영아의 머리가 아래를 향하도록 영아를 엎드리게 한 상태에서 후술할 이동부재(142)가 중력에 의하여 연결공간(141) 내에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인 경우, 연결공간(141)은 몸체(102)가 아래로 약간 숙여진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다고 함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수직을 이룰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즉, 연결공간(141)은 기도폐쇄 응급처치가 수행될 수 있는 자세에서, 이동부재(142)가 연결공간(141)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방향 및 각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공간(141)은 몸체(102)가 지면에 대하여 누운 상태를 기준으로, 몸체(102) 내부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곡되거나 만곡되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공간(141)은 연결튜브(13)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연결공간(141)은 제1에어백(11) 및 제2에어백(12)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공간(141)은 제1에어백(11)과 연통되는 제1공간(1411) 및 제2에어백(12)과 연통되는 제2공간(14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pace 141 may be a space formed in the body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ion space 141 may be a space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ith the chest of the body 102 facing the ground and the body 102 inclined such that the head 101 faces downward hav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infant moves downward so that the infant's head faces downward to perform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the moving member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care practice apparatus for an adult, the connection space 141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ith the body 102 slightly bent downward. However, in the above example, the fact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an exemplary one, and it may not necessarily be vertical. That is, it may suffice that the connection space 141 is formed in a direction and at an angle such that the movable member 142 can be moved in the connection space 141, in an attitude in which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space 141 may be formed in the body 10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body 102 is laid against the ground, and may include a space bent or curved . The connection space 141 can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tube 13. In addition, the connection space 141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bag 11 and the second airbag 12. The connection space 141 may include a first space 141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bag 11 and a second space 141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bag 12.

이동부재(142)는 연결공간(14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142)는 연결공간(141) 내부에서 중력에 의하여 연결공간(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즉, 이동부재(142)는 중력에 의해 이동되어 연결공간(141)의 하단(지면에 가까운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인체모형(10)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42)는 중력에 의하여 제2공간(14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공간(1412)으로 이동한 이동부재(142)는, 제2공간(1412)과 제2에어백(12)의 연통부위를 가로막음으로써 제2에어백(12)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인체모형(10)의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제1에어백(11)만 개방되고, 제2에어백(12)은 폐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과 같이, 인체모형(10)의 가슴(C)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42)는 중력에 의하여 제1공간(14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공간(1411)으로 이동한 이동부재(142)는, 제1공간(1411)과 제1에어백(11)의 연통부위를 가로막음으로써 제1에어백(11)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인체모형(10)의 가슴(C)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제2에어백(12)만 개방되고, 제1에어백(11)은 폐쇄될 수 있다. 이동부재(142)는 제1에어백(11) 또는 제2에어백(12)과 연결공간(141)의 연통부위를 가로막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재(142)는 연결공간(141)의 길이 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142)가 연결공간(141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142)에는 공기유동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홈은 이동부재(142)를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연결공간(1411) 내부의 공기는 공기유동홈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재(142)가 제1공간(1411)에서 제2공간(1412)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2공간(1412)에 있던 공기가 이동부재(142)에 형성된 공기유동홈을 통해 제1공간(1411)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부재(142)는 공기의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중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movable member 14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space 141. The moving member 142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pace 141 by gravity within the connection space 141. [ That is, the moving member 142 may be moved by gravity and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closer to the pa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pace 14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moving member 142 can move to the second space 1412 by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back (B) of the manikin 10 faces the ground. The moving member 142 which has moved to the second space 1412 can close the second airbag 12 by blocking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412 and the second airbag 12.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only the first airbag 11 can be opened and the second airbag 12 can be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B of the manikin 10 faces the ground. Similarly, as shown in FIG. 3, the moving member 142 can move to the first space 1411 by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chest C of the human body 10 faces the ground. The moving member 142 which has moved to the first space 1411 can close the first airbag 11 by blocking the communica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pace 1411 and the first airbag 11. [ With such a structure, only the second airbag 12 is opened and the first airbag 11 can be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chest C of the manikin 10 faces the ground. The movable member 142 may be formed in a shape suitable for blocking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irbag 11 or the second airbag 12 and the connection space 141. For example, the movable member 14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space 141. On the other hand, an air flow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moving member 142 so that the moving member 142 can freely move within the connection space 1411. The air flow groove may be shaped to penetrate the moving member 142. The air inside the connection space 1411 can flow through the air flow grooves. For example, when the moving member 142 moves from the first space 1411 to the second space 1412, the air in the second space 1412 flows through the air flow grooves formed in the moving member 142 The movable member 142 can be mov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gravity force without resistance of the air.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로 기도폐쇄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 크기, 형상, 비율, 각도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에 유의해야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ep of performing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treatment with the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each component shown in Fig. 4 is shown schematically, and the position, size, shape, ratio, angle,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are merely illustrative.

도 4의 a를 참조하면, 기도에 이물질이 걸린 상황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도록, 이물질부재(15)를 기도(A) 즉, 연결튜브(13)에 삽입할 수 있다. 이물질부재(15)는 예를 들어, 스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부재(15)는 배출제한부(131)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깊은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물질부재(15)가 너무 깊은 위치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튜브(13)는 삽입제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제한부(132)는 연결튜브(13)의 내측에 배치되되, 배출제한부(131)보다 더 깊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제한부(132)는 이물질부재(15)가 연결튜브(13) 내에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제한부(132)는 공기는 통과시키되 이물질부재(15)는 통과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제한부(132)는 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부재(15)가 연결튜브(13) 내에 걸려서 빠지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물질부재(15)에 끈(미도시)을 연결해놓을 수 있다. 이물질부재(15)가 연결튜브(13) 내에 너무 깊이 삽입되거나 연결튜브(13) 내에 걸린 경우, 이물질부재(15)에 연결된 끈을 당겨서 이물질부재(15)를 연결튜브(13)에서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the foreign matter 15 can be inserted into the airway A, i.e., the connecting tube 13, so that a situation similar to a situation in which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airway is created.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ponge or the like.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can be inserted to a deep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restriction portion 131 is formed. However, the connection tube 13 may include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from being inserted too deeply.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tube 13, but may be disposed deeper than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can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 member 15 from being inserted beyon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onnecting tube 13. [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air to pass therethrough but does not allow the foreign material member 15 to pass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a net shape. In addition, a string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n case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s caught in the connection tube 13 and does not come off. When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s inserted too deeply into the connecting tube 13 or caught in the connecting tube 13,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can be removed from the connecting tube 13 by pulling the strap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have.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기도(A)에 삽입된 이물질부재(15)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인체모형(10)의 가슴(C)이 지면을 향하도록 뒤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아 형상의 인체모형(10)인 경우, 사용자는 머리(101)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위에 몸체(102)를 엎드려서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슴(C)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42)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됨으로써 제1공간(1411)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에어백(11)은 폐쇄되고, 제2에어백(12)은 개방되어 연결튜브(13)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에어백(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 밑 부분으로 등(B)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리게 되면, 제2에어백(12)은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제2에어백(12)이 압축되면서 제2에어백(12) 내부의 공기는 제2공간(1412)을 통하여 연결튜브(13)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튜브(13)로 배출된 공기는, 연결튜브(13)에 삽입되어 있던 이물질부재(15)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이물질부재(15)는 제2에어백(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2에어백(12)이 압축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영아를 허벅지 위에 뒤집어 올려놓고 등을 두드려 기도에 걸린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응급처치 방법을 실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실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b) and 4 (c), the chest C of the manikin 10 can be reversed so as to face the ground, in order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nserted in the airway A to the outside. For example, in the infant-shaped manikin 10, the user can lean and place the body 102 on the user's thigh with the head 101 facing downward. Thus, in a state in which the chest C faces the ground, the moving member 142 can be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1411 by being moved downward by gravity. Thus, the first airbag 11 is closed, and the second airbag 12 is opened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tube 13. [ When the second airbag 12 is opened and the user hits the middle part of the back B with the palm bottom part, the second airbag 12 can be compress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he air in the second airbag 12 can be discharged to the connecting tube 13 through the second space 1412 while the second airbag 12 is compressed. The air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tube 13 can push out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nserted in the connection tube 13 to the outside. That is, the foreign matter 15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way by the air discharged while the second airbag 12 is compressed, with the second airbag 12 being open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first aid method in which the infant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thigh and the back of the infant is vented to the airway in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한편, 연결튜브(13)에 형성된 배출제한부(131)는 이물질부재(15)의 배출을 제한할 수 있다. 가슴(C)이 지면을 향하도록 몸체(102)를 뒤집는 것만으로 이물질부재(15)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제한부(131)는 이물질부재(15)의 배출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상황에서 환자의 등을 적당한 강도로 두드려야 이물질이 배출될 것이므로, 실제 상황과 유사할 수 있게끔 배출제한부(131)는 일정 압력 이상으로 등(B)을 두드리는 경우에만 이물질부재(15)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제한부(131)는 연결튜브(1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이거나, 연결튜브(13)에서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또는, 배출제한부(131)는 이물질부재(15)의 배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판막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배출제한부(131)는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제2에어백(12)에 가해지는 경우에만 이물질부재(15)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강도로 환자의 등을 두드려야 하는지 체감하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부재(15)가 실제로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상승될 수 있으며, 두드려야 하는 위치, 강도 등을 정확하게 숙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13 can restrict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may restrict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n order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merely by reversing the body 102 so that the chest C faces the ground surface. have. Further, in the actual situa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s to be discharged by bending the back of the patient with an appropriate strength,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may restrict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for example, ). ≪ / RTI > For example,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may be a catch formed to protrude inward of the connection tube 13, or may be a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13 such that the diameter thereof is narrowed. Alternatively,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alve plate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n the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131 can allow the foreign matter 15 to be discharged only when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to the second airbag 12. Therefore, the user can feel and learn how much strength the user should strike the patient's back in the actual situation. Further, sinc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foreign matter member 15 is act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learning effect can be raised, and the position, strength, and the like to be hit can be accurately known.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로 인공호흡을 실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 크기, 형상, 비율, 각도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에 유의해야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p of practicing artificial respiration with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to be noted that each component shown in Fig. 5 is schematically shown, and that the position, size, shape, ratio, angle,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are merely illustrative.

도 5를 참조하면, 실습장치(1)를 이용하여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다. 인공호흡은 환자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실시되므로, 사용자는 몸체(102)의 등(B)이 지면을 향하도록 실습장치(1)를 눕히고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B)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42)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됨으로써 제2공간(1412)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에어백(12)은 폐쇄되고, 제1에어백(11)은 개방되어 연결튜브(13)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에어백(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도(A)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기도(A)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연결튜브(13)를 통해 제1에어백(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에어백(11)은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제1에어백(11)은 제1지지판(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므로, 공기가 유입된 제1에어백(11)은 몸체(102)의 가슴(C) 부위를 부풀어 오르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102)의 가슴(C) 부위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공호흡을 수행하면서, 가슴(C) 부위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에어백(11)은 인공호흡에 따른 가슴의 움직임을 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인공호흡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인공호흡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머리(101)를 몸체(10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 각도 젖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101)가 몸체(102)에 대하여 일정 각도 후방으로 젖혀져야 연결튜브(13)가 기도(A)와 연통되는 구조로, 머리(101) 및 몸체(10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실제 인공호흡을 수행하기 전에 기도를 확보하는 행위를 재현하여 실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rtificial respiration can be practiced by using the training device 1. Since the artificial respiration is performed with the patient lying on the ground, the user can practice the artificial respiration by laying down the training apparatus 1 so that the back (B) of the body 102 faces the ground. In this state where the back B faces the ground, the moving member 142 can be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1412 by being moved downward by gravity. Thus, the second airbag 12 is closed, and the first airbag 11 is opened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tube 13. [ When the user injects air into the airway A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irbag 11 is opened,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way A flows into the first airbag 11 through the connecting tube 13 Can be introduced. Therefore, the first airbag 11 can be inflated and inflated by the inflow air. The first airbag 11 is supported by a first support plate (not shown), so that the first airbag 11 into which the air is introduced can inflate the chest area C of the body 102. To this end, the chest area C of the body 102 may be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That is, the user can visually observe the movement of the chest region C while performing artificial respiration. As a result, the first airbag 11 can reproduce the movement of the chest according to the artificial respiration, thereby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ppropriately performing the artificial respiration, thereby enhancing the learning effect. On the other hand, in performing artificial respiration, the head 101 may be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ody 102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ecure airway. For example, the head 101 and the body 10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tube 13 communicates with the airway A when the head 101 has to be bent rearwar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102 hav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practice of securing the airway before actual artificial respiration is performed.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 크기, 형상, 비율, 각도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에 유의해야 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Fig. 6 are schematically shown, and the position, size, shape, ratio, angle,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are merely illustrative.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1)는 인체모형(10), 제1에어백(11), 제2에어백(12), 연결튜브(13), 개폐조절부(14) 및 이물질부재(15)(도 4 참조) 및 압박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airway obstructive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apparatus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human body 10, a first air bag 11, a second air bag 12, a connecting tube 13, (See Fig. 4), and a pressing portion 16, as shown in Fig. In the description of FIG. 6,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연결튜브(13)는 비강튜브(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강튜브(133)는 머리(101)의 코와 연통될 수 있다. 비강튜브(133)를 더 포함함으로써, 실제 인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심폐소생술 또는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호흡의 경우, 코를 막고 입에 숨을 불어넣어야 하며,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호흡의 경우, 코와 입에 동시에 숨을 불어넣어야 한다. 사용자는 실습 목적에 맞게 비강튜브(133)를 막고 인공호흡을 실습하거나, 비강튜브(133)를 포함하여 연결튜브(13)에 동시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다.The connection tube 13 may further include a nasal tube 133. The nasal tube 133 can communicate with the nose of the head 101. By further including the nasal tube 133, it is possible to practic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r artificial respiration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actual human body. In the case of artificial respiration for adults,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nose and breathe into the mouth, and in case of artificial respiration for infants, breathing simultaneously in the nose and mouth. The user can close the nasal tube 133 and practice the artificial respi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actice, or simultaneously breathe into the connection tube 13 including the nasal tube 133.

개폐조절부(14)는 연결공간(141), 이동부재(142) 및 가이드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3)는 이동부재(142)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3)는 연결공간(141) 내에 연결공간(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43)는 연결공간(141) 내에 이동부재(142)의 이동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4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부재(142)에는 가이드부재(14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42)는 가이드부재(14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42)에 관통구가 형성되므로, 이동부재(142)가 이동함에 있어서 연결공간(141) 내의 공기가 관통구를 통해 유동될 수 있으므로, 이동부재(142)는 연결공간(14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43)는 연결공간(141) 내에 돌출 형성되는 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부재(142)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portion 14 may include a connecting space 141, a moving member 142, and a guide member 143. The guide member 143 can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member 142. [ The guide member 143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pace 141 in the connection space 141. That is, the guide member 143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space 141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42.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143 may be formed into a rod shape, and the moving member 142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member 143 can be inserted. The movable member 14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ath by sliding along the guide member 143. [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ovable member 142 so that the air in the connection space 141 can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movable member 142 moves, ). ≪ / RTI > Meanwhile, the guide member 143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connection space 141,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guiding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member 142.

압박부(16)는 가슴(C) 압박 수행이 가능하도록, 몸체(10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압박부(16)는 압박판(161) 및 탄성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6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2 so that the chest C can be pressed. The pressing portion 16 may include a pressing plate 161 and an elastic member 162.

압박판(161)은 몸체(102)에 대한 가슴(C) 압박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몸체(10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박판(161)은 사용자가 몸체(102)의 가슴(C)을 압박할 때, 실제 인체를 압박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박판(161)은 제1에어백(11) 및 제2에어백(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plate 161 can be disposed inside the body 10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hest C pressing against the body 102. [ The pressing plate 161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so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chest C of the body 102, the user feels a feeling similar to the pressing of the human body. The pressure plate 16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irbag 11 and the second airbag 12.

탄성부재(162)는 압박판(161)에 원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62)의 일측은 압박판(161)에 연결될 수 있고, 탄성부재(162)의 타측은 몸체(102)의 후면 즉, 등(B)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62)는 압박판(161)의 가압에 따라 탄성 에너지(potential energy)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62)는 몸체(102)의 전면 방향으로 압박판(161)을 가압함으로써, 몸체(102)에 대한 압박판(161)의 위치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162)에 의하여 몸체(102)에 대한 압박판(161)의 위치가 원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지속, 반복적으로 심폐소생술이 수행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62 can provide an oscillating force to the pressing plate 161.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62 may be connected to the push plate 161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162 may be connected to the back side of the body 102, The elastic member 162 can store the potential energy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late 161. [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62 can restore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161 relative to the body 102 to the original state by pressing the pressing plate 161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102.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161 relative to the body 102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mber 162, the CPR can b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erformed.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For example,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s, devices, and the lik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other ways than the described method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replaced.

1: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10: 인체모형
11: 제1에어백
12: 제2에어백
13: 연결튜브
14: 개폐조절부
15: 이물질부재
A: 기도
C: 가슴
B: 등
1: Airway Closure First Aid Training Device
10: Human body model
11: First airbag
12: Second airbag
13: Connecting tube
14: opening / closing control section
15:
A: Prayer
C: Chest
B: Back

Claims (10)

기도가 형성된 머리와, 상기 머리에 연결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모형;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에 배치되는 제1에어백;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등 부위에 배치되는 제2에어백;
상기 기도와 연통되는 연결튜브; 및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에어백을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시키고, 상기 인체모형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에어백을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시키고, 상기 인체모형의 자세가 변경되면 중력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A human body model including a head formed with airways and a body connected to the head;
A first airbag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first airbag being disposed at the chest of the body;
A second airbag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second airbag being disposed at a back portion of the body;
A connectio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airway; And
The first air bag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back of the torso faces the ground and the second air bag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torso of the torso faces the ground, And an open / close control part operated by gravity when the posture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연결튜브와 연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공간; 및
상기 연결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연결공간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
A connec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tube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moving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space,
Wherein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gravity within the connection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간은, 상기 제1에어백과 연통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2에어백과 연통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에어백은 개방시키고 상기 제2에어백은 폐쇄시키며,
상기 인체모형의 가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에어백은 폐쇄시키고 상기 제2에어백은 개방시키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bag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bag,
The moving member includes:
The first airbag is opened and the second airbag is closed by moving to the second space when the back of the torso is facing the ground,
Wherein the first airbag is closed and the second airbag is opened by moving to the first space when the chest of the manikin is facing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에 삽입되는 이물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부재는 상기 제2에어백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에어백이 압축되면 상기 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matter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Wherein the foreign matter me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way to the outside when the second airbag is compressed when the second airbag is ope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는 상기 이물질부재의 배출을 제한하는 배출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제한부는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상기 제2에어백에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이물질부재의 배출을 허용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Wherein the discharge restricting portion allows the foreign matter member to be discharged only when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airba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는 상기 이물질부재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제한부는 상기 이물질부재가 상기 연결튜브 내에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tube includes an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insertion of the foreign matter member,
Wherein the insertion restricting portion prevents the foreign matter member from being inserted beyon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onnection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백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기도를 통해 상기 제1에어백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몸체의 가슴 부위가 부풀어 오르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Wherein when the first airbag is opened an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bag through the airway, the chest area of the body is swoll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연결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instal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pace,
And the guide member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의 등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에어백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에어백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state of the back of the human body facing the ground,
A first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first airbag; And
And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irb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 및 제2에어백 사이에 배치되는 압박판; 및
상기 압박판에 연결되고, 상기 압박판에 원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도폐쇄 응급처치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ss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irbag and the second airbag; An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pressing plate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late.
KR1020180125546A 2018-10-19 2018-10-19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KR101981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46A KR101981742B1 (en) 2018-10-19 2018-10-19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46A KR101981742B1 (en) 2018-10-19 2018-10-19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742B1 true KR101981742B1 (en) 2019-05-27

Family

ID=6667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546A KR101981742B1 (en) 2018-10-19 2018-10-19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7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7815A (en) * 2019-06-06 2019-08-06 中山大学附属第一医院 A kind of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simulation training station and its training system
CN113838350A (en) * 2021-07-01 2021-12-24 广东开放大学(广东理工职业学院) Medical simulation teaching aid for sputum of respiratory disease patient
CN115844611A (en) * 2022-12-13 2023-03-28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Helimrick first ai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791U (en) * 2010-06-16 2011-12-22 고영석 First aid-education mannequin having multi-functions
KR20120014979A (en) * 2010-08-11 2012-02-21 정재은 Complex education mannequin
KR20170137584A (en) * 2016-06-03 2017-12-13 정재은 Education jacket for hadnding of respiratory ob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791U (en) * 2010-06-16 2011-12-22 고영석 First aid-education mannequin having multi-functions
KR20120014979A (en) * 2010-08-11 2012-02-21 정재은 Complex education mannequin
KR20170137584A (en) * 2016-06-03 2017-12-13 정재은 Education jacket for hadnding of respiratory obstruc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7815A (en) * 2019-06-06 2019-08-06 中山大学附属第一医院 A kind of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simulation training station and its training system
CN110097815B (en) * 2019-06-06 2021-07-20 中山大学附属第一医院 Training operation platform for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simulation and training system thereof
CN113838350A (en) * 2021-07-01 2021-12-24 广东开放大学(广东理工职业学院) Medical simulation teaching aid for sputum of respiratory disease patient
CN115844611A (en) * 2022-12-13 2023-03-28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Helimrick first aid device
CN115844611B (en) * 2022-12-13 2023-12-12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Haimarick first ai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41443U (en) One kind visualization model for training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3199225A (en) Resuscitation teaching apparatus
KR101981742B1 (en) Training apparatus for airway obstruction first aid
US9697750B2 (en) Lung compliance simu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4773865A (en) Training mannequin
US4850876A (en) Training device for practicing emergency life saving techniques
EP2312553B1 (en) Medical patient simulator
KR101973139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or for self-learning and evaluation
US5195896A (en) Manikin construction
EP2537150B1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20120100516A1 (en) Portable practice tool for heart massag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20240078932A1 (en) Patient simulator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3068590A (en)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US20210183269A1 (en) Physiological training system
CN203102714U (en) Advanced adult nursing and CPR simulated man
JP4758901B2 (en) Mask seal trainer
KR200472895Y1 (en) Divce for practicing artificial respiration
KR102014533B1 (en) Mannequin of infant emergency treatment for paramedic training
JP7096453B1 (en) Balloon-shaped sputum aspiration medical simulator
EP2437236B1 (en) Device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echniques
RU163369U1 (en) SIMULATOR FOR TRAINING FIRST AID MEASURES
KR102232810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for infants
JP3245319U (en) learning model
JP2006254938A (en) Exercise implement
Featherstone et al. Manikins and training aids in resusc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