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86B1 -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86B1
KR101980686B1 KR1020180006521A KR20180006521A KR101980686B1 KR 101980686 B1 KR101980686 B1 KR 101980686B1 KR 1020180006521 A KR1020180006521 A KR 1020180006521A KR 20180006521 A KR20180006521 A KR 20180006521A KR 101980686 B1 KR101980686 B1 KR 10198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emai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욱
권민준
Original Assignee
권용욱
권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욱, 권민준 filed Critical 권용욱
Priority to KR102018000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04L51/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6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s, e.g. mapping telephone numbers to data network addresses
    • H04L61/6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Telephone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설치하도록 하고,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메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application)을 설치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 과정;
이메일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통해 작성된 이메일을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전송받는 이메일 발신 과정;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메일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 아이디를 갖는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거나 전화번호 아이디가 없는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이메일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메일 전송 과정; 및
전송된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메일 확인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PROVIDE METHOD FOR EMAIL SERVICE BASED ON MOBILE APPLICATION USING PHONE NUMBER AS EMAIL ID}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작성한 이메일을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도록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응용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 하며, 줄여서 '어플' 또는 '앱'이라고도 한다.
최근, 우편에 의한 메일 교신이 줄어들고 일상 및 업무 등과 관련한 대부분의 의사 또는 정보 소통방식은 이메일(e-mail)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이메일 서비스는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가입된 특정 서버의 메일 전송/수신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데, 온라인상에서 외부의 메일을 수신하는 웹서버가 수신된 메일을 이메일 서비스에 등록된 클라이언트에게 메일을 전송함으로써, 각 클라이언트의 메일 웹창에서 수신된 메일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www.daum.net, www.google.com, www.yahoo.com, www.nate.com, www.naver.com 등을 포함하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여러 업체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메일 아이디(ID)와 패스워드를 등록하여야 한다. 이때, 이메일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부여하는 이메일 ID 개수도 늘어나게 되어 웬만한 ID는 이미 선등록된 경우가 많다.
결국, 사용자는 여러업체 가입시 이메일 ID를 각각 서로 다르게 지정하는 경우가 생겨서 이메일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고자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76473호에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발급하는 이메일 시스템을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터넷을 통해 E-메일 ID 발급시 일반적인 인적사항 외에 사용자의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또는 휴대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 중 사용자가 E-메일 ID로 지정한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ID 발급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인적사항과 대응되는 E-메일 ID를 검색이 가능하도록 키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전화번호를 전자우편 ID로 체계함으로써 일반인이 손쉽게 전자우편 ID를 기억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집전화번호 또는 회사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다수의 구성원이 존재함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고, 휴대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인의 휴대전화번호를 도용하여 가입할 수 있어서 본인인증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 PC에서 이메일 발신/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소의 제약이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메일을 모바일 어플 기반에 적용하고자 노력하던 중,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작성한 이메일을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를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7647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작성한 이메일을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시스템을 만들어 이메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application)을 설치하면, 추가적인 개인정보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함으로써 동일한 전화번호의 중복발급을 방지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도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지 않은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링크(link)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메일 수신자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의 설치를 거부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웹(web)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여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메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application)을 설치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 과정; 이메일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통해 작성된 이메일을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전송받는 이메일 발신 과정;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에 대응하는 이메일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 아이디를 갖는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거나 전화번호 아이디가 없는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이메일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메일 전송 과정; 및 전송된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메일 확인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등록 과정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설치하면 본인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확인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설정 등록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가 이루어진 후, 전화번호 이메일 아이디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에는,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도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의 제3 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는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링크(link)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의 제3 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는 어플 설치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고, 이메일 수신자가 어플 설치거부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가 이루어진 후, 이메일 수신자로부터 수신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어플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발신자가 알고 있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만으로 이메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이메일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www.daum.net, www.google.com, www.yahoo.com, www.nate.com, www.naver.com 등과 같은 웹(web) 이메일 주소를 기억하거나 저장할 필요없이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이메일 아이디를 손쉽게 기억하며, 스마트폰 사용자는 누구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손쉽게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메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설치하면, 추가적인 개인정보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편한 가입이 가능하고, 개인정보의 입력 및 노출을 꺼리는 사용자들을 안심시켜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회원가입을 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함으로써 동일한 전화번호의 중복발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전화번호를 도용하여 회원가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도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링크(link) 시킴으로써 이메일 반송율을 낮추고 이메일 수신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메일 수신자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의 설치를 거부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웹(web)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여 이메일 내용을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이메일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이메일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이메일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10) 및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30)와 연결되고,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제공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한다.
상기 운영서버(30)에는 데이터베이스(35)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는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작성된 이메일을 전송받아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과정이 저장될 뿐 만 아니라 각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며, 가입자 성명, 이용 통신사, 각 모바일 단말기(10, 2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은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사용자 등록 과정(S10), 이메일 발신 과정(S20), 이메일 전송 과정(S30), 이메일 확인 과정(S4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자는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개발하고, 첨부도면 도 1의 구성과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때, 개발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은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 시장인 앱스토어(application store) 등에 올려서 사용자가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 20)가 상기 운영서버(3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사용자 등록 과정(S10)을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단말기(10, 20)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설치하면(S11 단계 참조),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본인인증 절차를 진행하고(S12 단계 참조),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설정 등록한다(S13 단계 참조).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면, 이메일 아이디는 '01012345678 @ ******.CO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메일 아이디 설정등록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요구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아이디 입력이나 패스워드 입력이 필요없기 때문에 회원가입 절차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은 음성출력 기능 및 음성인식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앱스토어에 접속하거나 상기 운영서버(3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운로드가 이루어질 때, 설치 동의를 받아 다운로드와 동시에 자동으로 실행되어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인인증 절차(S12)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모바일 단말기(10, 20)에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인증번호 입력, 지문인식, 음성통화, 홍채인식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본인인증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 2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고(S13 단계 참조), 전화번호 이메일 아이디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한다(S14 단계 참조).
이때,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가입자 성명, 이용 통신사, 각 모바일 단말기(10, 2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 등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할 수 있다.
그후, 상기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여 활성화시키고, 수신자 전화번호 및 이메일 내용을 입력하고 발신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메일을 발신한다(S20 단계 참조).
상기와 같이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10)에서의 이메일 발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1 단계 참조).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5)에 수신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에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3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35)에 수신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여(S32 단계 참조), 전송된 이메일을 수신자가 확인하도록 한다(S40 단계 참조).
상기 S40 단계에서 수신자가 이메일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타인의 확인을 방지할 목적으로 패스워드를 지정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패스워드는 키 입력, 패턴인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40 단계에서는 이메일 내용의 음성출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국어 자동번역 기능을 이용하여 외국어로 수신된 이메일을 수신자가 원하는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31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35)에 수신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로 이메일 도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한다(S51 단계 참조).
이때,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링크(link)되어 있는 링크메시지를 발송하고, 그와 함께 어플설치를 거부할 수 있는 거부메시지를 발송한다(S52 단계 참조).
상기 S51 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와 상기 S52 단계에서 발송되는 링크메시지는 하나로 통합되어 발송되거나, 분리되어 발송될 수 있다.
그후,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에서 링크메시지를 클릭하는지를 확인한다(S53 단계 참조).
상기 S53 단계의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에서 링크메시지를 클릭하면, S10 단계로 이동하여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설치하고, 이메일을 수신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후,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에서 거부메시지를 클릭하는지를 확인한다(S61 단계 참조).
S61 단계의 상기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에서 거부메시지를 클릭하면, 상기 운영서버(30)에서는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로 www.daum.net, www.google.com, www.yahoo.com, www.nate.com, www.naver.com 등과 같은 웹(web)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S62 단계 참조),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이메일 주소가 수신되면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여(S63 단계 참조), 수신자가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경우에 본인인증 절차를 이용하여 기존 전화번호로 수신된 이메일을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발신자 모바일 단말기
20 : 수신자 모바일 단말기
30 : 운영서버
35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이메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application)을 설치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 과정;
    이메일 발신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통해 작성된 이메일을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전송받는 이메일 발신 과정;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메일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 아이디를 갖는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거나 전화번호 아이디가 없는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이메일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메일 전송 과정; 및
    전송된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메일 확인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은,
    전송받은 이메일에 포함된 이메일 수신자의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을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전화번호 아이디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메일 수신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메일 도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등록 과정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설치하면 본인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확인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설정 등록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가 이루어진 후, 전화번호 이메일 아이디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의 제3 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는 전화번호 이메일 어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페이지와 링크(link)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전송 과정의 제3 단계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는 어플 설치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고,
    이메일 수신자가 어플 설치거부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가 이루어진 후, 이메일 수신자로부터 수신된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 내용을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80006521A 2018-01-18 2018-01-18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8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21A KR101980686B1 (ko) 2018-01-18 2018-01-18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21A KR101980686B1 (ko) 2018-01-18 2018-01-18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86B1 true KR101980686B1 (ko) 2019-05-23

Family

ID=6668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521A KR101980686B1 (ko) 2018-01-18 2018-01-18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473Y1 (ko) 1999-10-16 2000-04-15 김병헌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20030052395A (ko) * 2001-12-21 2003-06-27 진한승 휴대폰 번호를 이메일 주소로 이용한 메일 전송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30053471A (ko) * 2011-11-14 2013-05-24 정구인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메일 전송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473Y1 (ko) 1999-10-16 2000-04-15 김병헌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20030052395A (ko) * 2001-12-21 2003-06-27 진한승 휴대폰 번호를 이메일 주소로 이용한 메일 전송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30053471A (ko) * 2011-11-14 2013-05-24 정구인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이용한 이메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메일 전송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3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content
CN101218572B (zh) 通信方法以及计算机系统
EP1146701A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US20120014292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Method
KR20050050112A (ko) 통신 장치에서의 컨텍스트 정보 관리
KR101950636B1 (ko) 단말기, 단말기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주소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50043369A (ko) 통신 서버 장치, 발신 단말 및 그들의 동작 방법
KR20110108133A (ko) 스팸 전화를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3902574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68178A (ja) 電話帳管理システム及び電話帳管理方法
CN100391168C (zh) 一种管理同步标记语言终端设备的方法、系统及终端
KR101980686B1 (ko) 전화번호를 이메일 아이디로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 기반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방법
KR1010952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US200601467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personalized office work
KR100378472B1 (ko) 핫폰의 시리얼번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연결방법
JP2010011026A (ja) 通信接続制御装置、通信接続方法、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359498A (zh) 通信服务器设备及其操作方法
KR100620565B1 (ko) 이동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에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그장치
JPH08204843A (ja) 情報通信端末装置と電子メール自動応答システム及び応答電子メールの自動生成方法
KR20030052395A (ko) 휴대폰 번호를 이메일 주소로 이용한 메일 전송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50246429A1 (en) Information services by means of a telecommunications web site
JP2004021368A (ja) 電子決済サーバ、電子決済システム、電子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172976A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KR100459783B1 (ko) 사이버 휴대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