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20B1 -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20B1
KR101980620B1 KR1020120034618A KR20120034618A KR101980620B1 KR 101980620 B1 KR101980620 B1 KR 101980620B1 KR 1020120034618 A KR1020120034618 A KR 1020120034618A KR 20120034618 A KR20120034618 A KR 20120034618A KR 101980620 B1 KR101980620 B1 KR 10198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evice
control
pointer
signal
sin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6478A (en
Inventor
류재욱
한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20B1/en
Publication of KR2013011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을 지원하는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버스트 명령(Burst Command)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상기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supporting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sink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source device through a MHL (Cable High-definition Link) cabl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and displays a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 method of the sink device includes: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Controlling a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input signal; Transmitting a burst command to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Insert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to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the burst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Description

싱크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을 지원하는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supporting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와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를 상호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에는 DVI(Digital Visual Interactive),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등이 있다.Interfaces connecting the sink device and the source device include DVI (Digital Visual Interactive),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nd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DVI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DDWG(Digital Display Working Group)에 의해 개발된 규격이다. HDMI는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접속 기기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MHL는 HDMI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접속 기기 사이에서 더욱 적은 핀을 통해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달 및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DVI is an interface for delivering digital video signals and is a standard developed by the Digital Display Working Group (DDWG). HDMI is a multimedia interface for delivering uncompressed digital audio and video signals over a single cable, enabling the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between connected devices. The MHL is an interface for delivering digital audio and video signals, such as HDMI, and enables transmission and power supply of high-quality video data through fewer pins between connected de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a source device us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a sink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MHL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MHL protocol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etween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버스트 명령(Burst Command)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상기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sink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source device through a MHL (Cable High-definition Link) cabl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and displays a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 method of the sink device includes: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Controlling a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input signal; Transmitting a burst command to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Insert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to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the burst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패킷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ink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requesting the source devic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tocol defining the control packet is supported; And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rotocol is supported from the source devi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와 관련된 소프트 키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소프트 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 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하드 키에 대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ink device includes: displaying a soft key associated with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on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to the source device when the soft key is selected by the pointer. Here, the soft key may correspond to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터는 상기 공간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ternal input device includes a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pointer can mov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MHL에 의해 정의되는 제어 버스(Control BUS: CBUS)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the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include a control bus (Control BUS: CBUS) defined by an MHL between the source device and the sink device Lt; / RTI > to the sourc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MHL 케이블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콘텐츠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패킷에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source device connected to a sink device through an MHL cable to provide a content to the sink devic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ource device includes receiving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a burst command from the sink device; Detec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sink device in the control packet; And recogniz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s a control comman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패킷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ource device includes: receiving, from the sink device, a confirmation request as to whether or not the protocol defining the control packet is supporte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rotocol is supported to the sink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ques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가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하드 키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ource device further comprises: receiving, from the sink device,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when the soft key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pointer; And recognizing the control signal as an input of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MHL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싱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포인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버스트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에 삽입하며, 상기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device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source device connected via an MHL cable. The sink device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d a pointer controlled based on the input signal;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burst comm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serting the pointer into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the burst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do.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패킷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요청하고, 상기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request the source devic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tocol defining the control packet is supported, and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rotocol is supported from the source devi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하드 키에 대응하는 소프트 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소프트 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하드 키에 의한 입력으로 인식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을 MHL에 의해 정의되는 제어 버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soft key corresponding to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When the soft key is selected by the pointer,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recognized as an input by the hard key to the source devi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via a control bus defined by the MH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MHL 케이블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콘텐츠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패킷에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rce device connected to a sink device via an MHL cable to provide content to the sink device. Wherein the source device comprises: a detector for receiving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a burst command from the sink device and detec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ink device in the control packet;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s a control comman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패킷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from the sink device a confirmation request as to whether or not the protocol defining the control packet is supported, and transmits,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protocol is supported to the sink device Lt; / RTI >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다바이스는, 본체에 위치하는 하드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가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하드 키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ource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hard key located in the bod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from the sink device when the soft key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pointer and recognizes the control signal as the input of the hard key can do.

본 발명에 의하면, MHL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이 소스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명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기존에 비해 확장된 제어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ink device through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MHL burst command can be provided to the source device and u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source device. As a result, extended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sink device and the source device over the MHL inter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싱크 디바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가 용이한 반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는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ource device in a sink device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indirectly control a source device via a sink device. Thus, the control of the sink device is easy, while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is difficult,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 및 외부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 및 외부 입력 장치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외부 입력 장치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MHL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패킷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external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and FIG.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mutu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exter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input device of FIG. 1 in detail.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MHL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input device,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to which the control method of FIG. 8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기를 말하고, 소스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로서 TV, 컴퓨터 모니터, 프로젝터 등을 포함하고, 소스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 DVD 플레이어, PVR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우선, 싱크 디바이스로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In this specification, a sink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source devic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a source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content to a sink device. For example, the sink device includes a TV, a computer monitor, a projector, and the like as a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source device may be a set top box, a DVD player, a PVR player, a digital video recorder, a game device, a camcorder, , A smart phone, and the like. Hereinafter, a video display device implemented as a sink device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외부 입력 장치(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an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신호 입출력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오디오 출력부(180)를 포함한다.1,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an interface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 storage unit 160, Unit 170 and an audio output unit 180.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한다. 반면, RF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The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 For example, if the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tuner 110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On the other hand, if the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tuner 110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As described above, the tuner 110 may be a hybrid tuner capable of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n analog broadcasting signal.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는 복조부(120)로 입력되고,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튜너(1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input to the demodulator 120 and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60 . The tuner 120 can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1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Although one tuner 11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tuners. In this case, the first tuner may receive the first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second tuner may sequentially or periodically receive the second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broadcast channel . The second tuner can convert the RF broadcast signal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or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uner.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of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a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t this time,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such as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on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다른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몬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gital IF signal DIF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of the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t this time,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such as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on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신호 입출력부(13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signal input and output operations, and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 / V I / O section is composed of an Ethernet terminal,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 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 IEEE 1394 terminal, a SPDIF terminal, and a liquid HD terminal. The digital signal input through these termi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At this time, the analog signal inputted through the CVBS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n analog-digital converter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using a W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do.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have.

신호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a video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provided from external devices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game device, a camcorder, Signals and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50. [ The controller 150 can also transmit video signals, audio signals, and data signals of various media files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device, a hard dis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50 can be output to other external apparatuses.

신호 입출력부(130)는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 set top box, for example, a set top box for IPTV (Internet Protocol TV)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signal input and output operations. For example,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can transmit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settop box for IPTV to the controller 150 so as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ignals to IPTV set-top boxes. Here, 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etc.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network.

복조부(120) 및 신호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TS)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여기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and the signal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stream signal TS. The stream signal TS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TS may be an MPEG-2 TS (Transp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Here,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와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4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or power control,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or may transmit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60 t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 The interface unit 140 and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tuning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 voice processor, a data processor, an OSD (On Screen Display) generator, and the like.

제어부(150)는 스트림 신호(TS), 예를 들어,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demultiplex the stream signal TS, for example, the MPEG-2 TS into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고, H.26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등이 조절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e.g., decoding, o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50 decodes an MPEG-2 standard-encoded video signal using an MPEG-2 decoder, and encodes the video signal in accordance with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or an H It is possible to decode the encoded video signal of the .264 standar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such that the brightness, tint, and color of the image signal are adjusted.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70 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not shown) through an external output terminal.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MPEG 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며, AAC 디코더를 이용하여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speech processing, e.g., decoding, o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decodes an MPEG-2 standard-encoded audio signal using an MPEG-2 decoder, and uses an MPEG 4 decoder to decode an MPEG 4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Decodes the encoded voice signal, and decodes the encoded voice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cheme or DVB-H using the AAC decod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for example, a speaker, 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10)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표시되고,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된다.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Here,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input to the controller 150 may be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signal input / output unit 130.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signal-processed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80.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for example, decoding, o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Here, the data signal may include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The EPG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ATSC scheme and DVB-SI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the DVB scheme.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제어부(150)는 OSD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the OSD process.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or an OSD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 graphic or text form based on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 Signal can be generated. The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 menu screen, a widget, and an icon.

저장부(160)는 제어부(160)의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or may store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Or at least one storage medium.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may convert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etc.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into an RGB signal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he display unit 170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The display 18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o perform the functions of an in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6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0 outputs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6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The audio out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외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며,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외부 입력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 원격 제어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공간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에서 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140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interface 140.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device, a mouse, a keyboard, and the like.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interface unit 140 through Bluetooth, RF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pace remote control device. The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can detect an operation of the main body in a space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영상 표시 장치(100)는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케이블, 위성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t least one of ATSC (8-VSB) digital broadcasting, DVB-T (COFDM) digital broadcasting, ISDB-T (BST-OFDM) And can be implemented as a fixe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a terrestrial DMB digital broadcasting, a satellite DMB digital broadcasting, an ATSC-M / H digital broadcast, a DVB-H (COFDM) digital broadcast, a Media Foward Link Only) type digital broadcasting, or the like. Als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PTV.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외부 입력 장치(200)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여기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예로서 TV 수상기가 도시되고, 외부 입력 장치(200)의 예로서 공간 원격 제어 장치가 도시된다.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mutua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a TV receiver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장치(200)는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에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포인터(102)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can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RF communication standard. A pointer 102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사용자는 외부 입력 장치(200)를 상하, 좌우 및 앞뒤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입력 장치(200)는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외부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입력 장치(20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장치(200)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외부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up,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At this time,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can detect the movement and generate an external input signal. To this end,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Als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can generate an external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f the button.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장치(2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102)도 이에 응답하여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서 외부 입력 장치(200)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산출된 포인터 좌표값에 따라 포인터(102)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102)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은 각각 외부 입력 장치(20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pointer 102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moves to the left, as shown, the pointer 102 can also move to the left in response. In more detai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etect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200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nalyze the mo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pointer coordinate value. T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the pointer 102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pointer coordinate value. At this time,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102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respectively.

도 3은 도 1의 외부 입력 장치(200)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입력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감지부(230), 출력부(240), 전원 공급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of FIG. 1 in detail. 3,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user input unit 220, a sensing unit 230, an output unit 240, a power supply unit 250, a storage unit 260, (Not shown).

무선 통신부(210)는 영상 표시 장치(10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10)는 RF 모듈(211) 및 IR 모듈(212)을 구비할 수 있다. RF 모듈(21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IR 모듈(212)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receives a signal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For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n RF module 211 and an IR module 212. The RF module 211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4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the IR module 212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140).

사용자 입력부(220)는 입력 수단으로 키 패드, 키 버튼, 스크롤 키, 조그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00)의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key pad, a key button, a scroll key, and a jog key as input means.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220. [ Such an instruction may be input, for example, by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200 by the user.

감지부(230)는 자이로 센서(231) 및 가속도 센서(232)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1)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공간 움직임을 x, y, z 축을 기준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2)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이동 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30 may include a gyro sensor 231 and an acceleration sensor 232. The gyro sensor 231 can sense the spatial movement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32 can sense the moving speed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or the like.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따른 정보 및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2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상태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또는 무선 통신부(210)을 통한 신호 송수신에 응답하여,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43)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4)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40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the control st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3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40 may include an LED module 241 that is turned on, a vibration module 242 that generates vibration,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An audio output module 243 for outputting sound and a display module 244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 공급부(25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각종 전자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50)는 외부 입력 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소정 키가 조작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supplies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When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not mo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stop power supply,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6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주파수 대역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pplications, frequency band information, and the like related to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이하에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 및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를 포함하는 MHL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n MHL system including a sink device and a source device interconnected via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cabl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MHL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HL 인터페이스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채널, CBUS(Control BUS) 및 VBUS(Voltage BUS)를 포함하고, 이들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디바이스 정보, 제어 신호, 전력 신호 등을 송수신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MHL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MHL interface includes a TMDS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channel, a CBUS (Control Bus), and a VBUS (Voltage BUS), through which audio data, video data, device information, Lt; / RTI >

TMDS 채널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보조 정보(Auxiliary Information) 등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CBUS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로서, 이를 통해 원격 제어 프로토콜(RCP: Remote Control Protocol) 신호, 버스트 명령 등이 송수신될 수 있다. 버스트 명령에는 쓰기 버스트 명령 및 읽기 버스트 명령 등이 있다. VBUS는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TMDS channel is used to transmit video data, audio data,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like. CBUS is a path through which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which a remote control protocol (RCP) signal and a burst comma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burst command includes a write burst command and a read burst command. VBUS is used to transmit power signal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200),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4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input device 200, a sink device 300, and a source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싱크 디바이스(300)와 소스 디바이스(400)는 MHL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400)는 싱크 디바이스(300)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싱크 디바이스(300)는 소스 디바이스(4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도 칭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하는 정보를 의미한다.5,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may be interconnected via an MHL cable. The source device 400 provides the content to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ink device 300 can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source device 400 and display the content on the screen. Content can also be referred to as digital content or multimedia content, and refers to information that digitalizes, processes, and distributes text, images, moving pictures, audio, and the like.

이하에서, 외부 입력 장치(200)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300)에 대해 차례대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while omitting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FIG.

싱크 디바이스(300)는 인터페이스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nk device 3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nd a control unit 330.

인터페이스부(310)는 외부 입력 장치(200), 예를 들어, 공간 원격 제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는, 공간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 정보, 키 조작에 따른 제어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for example, a space remote contro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o receive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external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may include motion inform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device,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320)는 소스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콘텐츠는 소스 디바이스(4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싱크 디바이스(300)에 표시된 영상과 소스 디바이스(400)에 표시된 영상이 동기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image content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400. [ At this time, the image content can correspon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ource device 400. [ This means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ink device 300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source device 400 can be synchronized.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외부 입력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터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These pointers can be controlled based on an external input signal,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와 관련된 소프트 키,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20)는 소스 디바이스(400)에 구비되는 하드 키에 대응하는 소프트 키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soft keys, menus, and the like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40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a soft key corresponding to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400. [

제어부(330)는 포인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버스트 명령 및 제어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트 명령은 MHL 규격에서 정의되는 명령으로, 쓰기 버스트 명령 및 읽기 버스트 명령을 포함한다. 버스트 명령의 생성 시에, 제어 패킷을 송신하는 쪽에서는 버스트 명령을 쓰기 버스트 명령으로 인식하고, 제어 패킷을 수신하는 쪽에서는 버스트 명령을 읽기 버스트 명령으로 인식한다. 제어부(330)는 산출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에 삽입하고, 버스트 명령 및 제어 패킷을 MHL에서 정의되는 제어 버스(CBUS, 도 4 참조)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may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and may generate the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Here, the burst command is a command defined in the MHL specification, and includes a write burst command and a read burst command. The burst command is recognized as a write burst command on the side of transmitting the control packet at the generation of the burst command and the burst command is recognized as the read burst command on the side receiving the control packet. The control unit 330 inser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alculated pointer into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burst command and sends the burst command and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400 via the control bus CBUS (see FIG. 4) defined in the MHL Lt; / RTI >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좌표값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우선,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400)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패킷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이하, ‘좌표 전송 프로토콜’이라고 칭함)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300)와 소스 디바이스(400)가 MHL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30)는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을 소스 디바이스(400)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using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burst command,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first transmit a protocol defining the control packet as described above Quot;). ≪ / RTI > According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MHL cable, the control unit 330 requests the source device 400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It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support is supported from the source device 4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소스 디바이스(400)가 좌표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330)는 포인터의 제어 시에 포인터의 좌표값의 전송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부하가 감소할 수 있다.If the source device 400 does not support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the control unit 330 may not perform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t the time of controlling the pointer. Therefore, the load due to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can be reduced.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된 소프트 키가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330)는,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400)에 구비되는 하드 키에 의한 입력으로 인식되는 제어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싱크 디바이스(300)의 소프트 키가 소스 디바이스(400)의 하드 키를 대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soft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is selected by a pointer, the control unit 3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ognized as an input by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400 to the source device 400 ). This means that the soft key of the sink device 300 can replace the hard key of the source device 400. [

소스 디바이스(400)는 검출부(410), 저장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The source device 400 includes a detection unit 410, a storage unit 420, and a control unit 430.

검출부(410)는 MHL 케이블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을 수신하고, 제어 패킷에서 싱크 디바이스(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다.The detecting unit 410 receives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burst command from the sink device 300 through the MHL cable and can detec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ink device 300 in the control packet.

저장부(420)는 소스 디바이스(400)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각종 애플리케이션, MHL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20)는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및 검출부(410)에 의해 검출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20 may store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source device 400, various applicatio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HL interface,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420 may store coordinate values of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ink device 300 and the pointer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10. [

제어부(430)는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소스 디바이스(400)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400)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서도, 외부 입력 장치(200)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300)의 포인터를 제어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400)는 마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may recogniz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s a control command and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0 may recogniz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s a touch input to the source device 400.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pointer of the sink device 300 using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source device 400, so that the source device 4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ouch input Can be obtained.

또한, 제어부(430)는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30 receives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by the sink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to the sink device 3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또한, 제어부(430)는 싱크 디바이스(300)의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400)의 하드 키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receive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of the sink device 300 from the sink device 300 and can perform a control oper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0 can recogniz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ink device 300 as an input of the hard key of the source device 400 and perform a control ope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싱크 디바이스(300)와 소스 디바이스(400)를 MHL 케이블로 연결하는 단계(S102)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는 단계(S104) 및 상기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40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단계(S106)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6, a step of connecting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with an MHL cable (S102) is performed. Next, a step S104 of transmitting a confirmation request as to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from the sink device 300 to the source device 400 (S104), and a step of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quest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device 400 to the sink device 300 (S106) is performed.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싱크 디바이스(300)와 소스 디바이스(400)가 모두 좌표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 이후 수행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Subsequently, with reference to FIG. 6, the following steps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both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support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 입력 장치(200)의 외부 입력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단계(S108)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싱크 디바이스(300)가 외부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320, 도 5 참조)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제어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포인터는 외부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xternal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to the sink device 300 is performed (S108). Next, a step S110 is performed in which the sink device 300 controls a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refer to FIG. 5) based on an external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pointer can move in one direction based on an external input signal.

이와 같이 포인터가 제어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300)가 버스트 명령을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는 단계(S112)가 수행된다. 버스트 명령이 생성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이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pointer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sink device 300 generates a burst command and transmits the burst command to the source device 400 (S112). When the burst command is generated, the corresponding control packet can be defined, as described above.

이후, 싱크 디바이스(300)가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에 삽입하는 단계(S114) 및 제어 패킷을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는 단계(S116)가 수행된다.Thereafter, the sink device 300 calculate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nd inserts it into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burst command (S114) and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control packet from the sink device 300 to the source device 400 (S116 ) Is performed.

다음으로, 소스 디바이스(400)가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패킷에서 포인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단계(S118) 및 이를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Next, step S118 of detect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 the control packet received from the sink device 300 by the source device 400 and step S120 of recognizing it as a control command are per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HL 버스트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패킷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30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이 소스 디바이스(400)에 제공되어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 명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300)와 소스 디바이스(400) 사이에서 기존에 비해 확장된 제어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sink device 300 through the control packet corresponding to the MHL burst command is provided to the source device 400, Can be used. Thus, extended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through the MHL interfa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패킷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패킷은, 예를 들어, 8 바이트(bytes)의 크기를 가지며, 1 바이트의 카테고리 필드(CATEGORY), 1 바이트의 명령 필드(COMMAND) 및 6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control packet has a size of, for example, 8 bytes and includes a 1-byte category field (CATEGORY), a 1-byte command field (COMMAND), and a 6-byte payload . ≪ / RTI >

카테고리 필드(CATEGORY)는 제어 패킷이 제어 정보 전달을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필드 값(예: 0x01), 연결 장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필드 값(예: 0x02) 등을 가질 수 있다.The category field CATEGORY may have a field value (e.g., 0x01) indicating that the control packet is for control information delivery, a field valu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device type is to be confirmed (e.g., 0x02), and the like.

명령 필드(COMMAND)는 관련 외부 입력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명령 필드(COMMAND)는 제어 패킷이 원격 제어 장치와 관련된 것임을 나타내는 필드 값(예: 0x01), 마우스 장치와 관련된 것임을 나타내는 필드 값(예: 0x02), 키보드 장치와 관련된 것임을 나타내는 필드 값(예: 0x03) 등을 가질 수 있다.The command field (COMMAND) indicates the associated external input device. For example, the command field (COMMAND) may include a field value (e.g., 0x01) indicating that the control packet is associat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 field value indicating that the control packet is associated with the remote device (e.g., 0x02) (E.g., 0x03).

페이로드(PAYLOAD)는 1 바이트의 액션 필드(ACTION), 2 바이트의 X 좌표 필드(X_POS), 2 바이트의 Y 좌표 필드(Y_POS), 1 바이트의 예비 영역 필드(RESERV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션 필드(ACTION)는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에 관한 정보, 외부 입력 장치의 하드 키 정보 등을 나타낸다. 좌표 필드(X_POS, Y_POS)는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 정보, 외부 입력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 등을 나타낸다.The payload PAYLOAD may include a 1-byte action field ACTION, a 2-byte X coordinate field X_POS, a 2-byte Y coordinate field Y_POS, a 1-byte spare area field RESERVED, . The action field ACTION indicates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sink device and the source device are connected, and hard key informa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The coordinate fields X_POS and Y_POS indicate the screen size information of the sink devic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and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ink device 300 and a source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싱크 디바이스(300)가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와 관련된 소프트 키를 디스플레이부(320, 도 5 참조)에 표시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8, first, a step S210 is performed in which the sink device 300 displays a soft key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400 on the display unit 320 (see FIG. 5).

이후, 외부 입력 신호가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300)로 전송되는 단계(S220) 및 싱크 디바이스(300)의 포인터가 외부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고, 포인터에 의해 소프트 키가 선택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Thereafter, when an external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to the sink device 300 (S220) and the pointer of the sink device 300 is controlled based on the external input signal, the soft key is selected by the pointer (S230) is performed.

소프트 키가 선택되는 경우,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30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는 단계(S2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소스 디바이스(400)가 상기 제어 신호를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하드 키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S250)가 수행된다.When the soft key is selecte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is transmitted from the sink device 300 to the source device 400 (S240). Next, the source device 400 recognizes the control signal as the input of the hard key corresponding to the soft key (S2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 디바이스(300)에서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싱크 디바이스(30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4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300)에 대한 제어가 용이한 반면 소스 디바이스(400)에 대한 제어는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source device 400 in the sink device 300 allows the user to indirectly control the source device 400 through the sink device 300 . Accordingly, the control of the sink device 300 is easy, while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400 is difficult,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9는 도 8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싱크 디바이스(300) 및 소스 디바이스(400)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여기서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서 공간 원격 제어 장치가, 싱크 디바이스(300)로서 스마트 TV가, 소스 디바이스(400)로서 스마트 폰이 도시된다.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ink device 300 and the source device 400 to which the control method of FIG. 8 is applied. Here, a remote control device as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a smart TV as the sink device 300, and a smart phone as the source device 400 are shown.

싱크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는, 소스 디바이스(4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외부 입력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302), 각종 소프트 키(322, 324)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소프트 키들(322, 324) 중 적어도 하나(322)는 소스 디바이스(400)의 하드 키(42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 키들(322, 324) 중 적어도 다른 하나(324)는 소스 디바이스(400)의 제어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400)의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소프트 키(324)가 싱크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Contents provided by the source device 400, a pointer 302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various soft keys 322 and 324,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of the sink device 300 have. At this time, at least one 322 of the soft keys 322, 324 may correspond to the hard key 422 of the source device 400. In addition, at least one other 324 of the soft keys 322, 324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ntrol of the source device 400. For example, a soft key 324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screen of the source device 4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of the sink device 300.

또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스 디바이스(400)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애플리케이션 목록 등이 싱크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menu, an application list, and the like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source device 4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of the sink device 300.

싱크 디바이스(300)는 외부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포인터(302)를 제어할 수 있다. 포인터(302)에 의해 특정 소프트 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400)의 하드 키(422)에 대응하는 소프트 키(322)가 선택되는 경우, 싱크 디바이스(300)는 소스 디바이스(440)의 하드 키(422)의 입력으로 인식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ink device 300 can control the pointer 302 based on an external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200. [ When the soft key 322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422 of the source device 400 is selected by the pointer 302, the sink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soft key 322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422 of the source device 400 is selected. A control signal recognized as an input of the hard key 422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ource device 400. [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MHL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MHL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호 연결되면,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요청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제어에 대응되는 좌표값의 전송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MHL 버스트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MHL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에 삽입하며, 상기 MHL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A sink device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source device interconnected via an MHL cable, the device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d a pointer controlled based on the input sig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questing the source devic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is supported when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source device through the MHL cable and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is supported from the source device and,
Wherein,
When the source device does not support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does not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If the source device supports the coordinate transfer protocol,
Generating an MHL burst comm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ointer,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nserting the calculated value into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the MHL burst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MHL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Features a sink devic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하드 키에 대응하는 소프트 키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소프트 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하드 키에 의한 입력으로 인식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oft key corresponding to a hard key included in the source device,
Wherein,
Wherein when the soft key is selected by the pointer, a control signal recognized as an input by the hard key is transmitted to the source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HL 버스트 명령 및 상기 제어 패킷을 MHL에 의해 정의되는 제어 버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nd transmits the MHL burst command and the control packet to the source device via a control bus defined by the MHL.
MHL 케이블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와 상호 연결되어 콘텐츠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MHL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호 연결되면, 좌표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좌표 전송 프로토콜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정보의 전송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MHL 버스트 명령에 따른 제어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패킷에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을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source device interconnected with a sink device via an MHL cable to provide content to the sink device, the source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confirmation request as to whether or not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is supported from the sink device supporting the coordinate transmission protocol when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source device through the MHL cabl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ink device; And
And a detector for receiving a control packet according to an MHL burst command from the sink device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and detec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ink device in the control packet,
Wherein,
And recognize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as a control command.
삭제delete 제 14 항에 있어서,
본체에 위치하는 하드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가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소프트 키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하드 키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hard key located in the body,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oft key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by the pointer,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oft key is received from the sink device, and the control signal is recognized as an input of the hard key device.
KR1020120034618A 2012-04-03 2012-04-03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80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18A KR101980620B1 (en) 2012-04-03 2012-04-03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18A KR101980620B1 (en) 2012-04-03 2012-04-03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78A KR20130116478A (en) 2013-10-24
KR101980620B1 true KR101980620B1 (en) 2019-05-21

Family

ID=4963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618A KR101980620B1 (en) 2012-04-03 2012-04-03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4880A1 (en) * 2021-10-18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rce device for sharing extended screen, sin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78A1 (en) * 2010-08-13 2012-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58A (en) * 2006-11-23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dia sink device, a media source device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media sink devices
US8407605B2 (en) * 2009-04-03 2013-03-26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Application sha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78A1 (en) * 2010-08-13 2012-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78A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06B1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KR10172952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050267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7985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397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4012021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767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US904949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864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77656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16727B1 (en) Multivi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0620B1 (en)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0941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haring ccontents with external input appatatus
KR10168972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7298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853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10606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0735B1 (en) Wireless RF Based Remote Control Device Equipped to Connect with a Headset and Keyboard
KR101772526B1 (en) Input apparatus and input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KR20140106064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349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KR101888529B1 (en) 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736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99742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88528B1 (en) 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