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482B1 -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482B1
KR101980482B1 KR1020180019894A KR20180019894A KR101980482B1 KR 101980482 B1 KR101980482 B1 KR 101980482B1 KR 1020180019894 A KR1020180019894 A KR 1020180019894A KR 20180019894 A KR20180019894 A KR 20180019894A KR 101980482 B1 KR101980482 B1 KR 101980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eads
porous
exosome
separating
exoso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홍성회
김현구
박용
박지호
정직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482B1/ko
Priority to US16/971,108 priority patent/US20200378932A1/en
Priority to EP19758236.4A priority patent/EP3757113A4/en
Priority to CN201980014424.4A priority patent/CN111770931B/zh
Priority to PCT/KR2019/002008 priority patent/WO20191642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04Affinity chromatography
    • B01D15/3809Affinity chromatography of the antigen-antibody type, e.g. protein A, G, L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22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질단백질, 수용성 단백질 등의 불순물 및 엑소좀이 혼합된 생체시료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중 컬럼 및 생체시료에서 엑소좀을 분리하는 방법은 엑소좀 대비 지질단백질, 수용성 단백질의 양을 크게 감소시켜 획득된 엑소좀의 순도 및 수율을 높여 시료 내 엑소좀을 분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MULTIPLE COLUMN CHROMATOGRAPHY AND METHOD FOR ISOLATING EXOSOMES}
본 발명은 다양한 생체분자 및 엑소좀이 혼합된 생체시료로부터 순도 높은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는 세포에서 방출 또는 분비되는 엑소좀(exosome), 엑토좀(ectosome), 미세소포(microvesicle) 및 세포자멸사 소체(apoptotic body)를 포함한 개념으로 그중 엑소좀은 20-150 nm 의 크기를 가지며 세포 내 다소포체(Multi vesicular bodies; MVB)로부터 생성되는 생체 나노 입자이다.
이들 세포외 소포는 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소변, 양수, 모유, 침, 정액 같은 여러 종류의 다양한 생체액(biofluid)에서 비교적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유래된 세포에 따라, 덱소좀(dexosome; 수지상세포에서 유래), 온코좀(oncosome; 암세포에서 유래), 프로타좀(prostasome; 전립선세포에서 유래), 카디오좀(cardiosome; 심근세포에서 유래) 등으로 불린다. 세포의 소포는 그 유래되는 세포나 세포 내 소기관에 따라 다양한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표지단백질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암세포에서 유래된 세포외 소포인 온코좀은 암세포의 성장을 유도하는 유전자의 mRNA를, 항원제시세포(antigen-presenting cell)에서 유래된 세포외 소포는 주조직적합 복합체를 포함한다. 이처럼 세포외 소포는 세포특이적인 단백질이나 뉴클레오티드 같은 생체물질이 고농도로 농축되어 포함된 상태이므로 일반 생체액에선 전체 단백질체의 0.01% 정도로 존재하여 통상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검출이 어려운 단백질이나 뉴클레오티드도 세포외 소포에선 비교적 쉽게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비록 세포외 소포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나 뉴클레오티드의 종류가 전체의 극히 일부이긴 하나 세포외 소포의 물질은 자신이 유래한 세포의 고유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엑소좀 분석은 특정 질환의 진단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엑소좀을 이용한 진단이나 치료방법 연구에서는 순도 높은 엑소좀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엑소좀의 분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5988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의 예로는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e),밀도 원심분리(density centrifuge), 컬럼(column)의 이용, PEG 침전(PEG precipitation; ExoQuickTM, Total Exosome IsolationTM등 사용 포함),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면역-자기분리(immuno-magnetic separation, IMS) 및 음향정제(acoustic separation, acoustic purification)등이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단시간에 비교적 높은 순도의 엑소좀을 수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 많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를 이용하여 엑소좀을 분리하는 경우, 엑소좀과 함께 지질단백질(lipoprotein)이 용출되거나, 두 번 이상의 분리 단계를 수행하면서 엑소좀이 손실되거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컬럼 크로마토크래피 연구는 엑소좀 용출구간에만 집중되었고 지질단백질 용출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세포배양액 또는 혈액 내에는 엑소좀과 비슷한 크기, 밀도를 가진 지질단백질이 항상 함께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엑소좀 연구에 있어서 지질단백질 분리는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생체시료에서 엑소좀과 함께 분리되는 지질단백질, 수용성 단백질 등의 다양한 불순물의 분리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세포배양액 및 혈액에서 컬럼을 이용해 용출되는 각 구간의 입자를 분석함으로써 엑소좀과 불순물을 분리할 수 있는 조건을 최적화하고 이를 이용해 순수한 엑소좀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59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시료로부터 지질단백질, 수용성 단백질과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분리용 다중 컬럼으로서,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b)는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공성 비드 a)는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다공성 비드 b)는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인,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비드 a) 및 다공성 비드 b)의 부피비는 95:5 내지 5:95 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비드는, 아가로오스(agarose), 알릴 덱스트란(allyl dextran)과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 bisacrylamide) 화합물, 메타크릴(methacryl), 덱스트란(dextran)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시료는 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소변, 양수, 모유, 침, 정액 및 세포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을 이용한 엑소좀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다공성 비드는,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에 적층된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엑소좀을 포함하는 시료를 상기 다공성 비드 b)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비드 b)를 통과한 상기 다공성 비드 a)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지질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비드 a) 및 다공성 비드 b)의 부피비는 95:5 내지 5:95 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비드는, 아가로오스(agarose), 알릴 덱스트란(allyl dextran)과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 bisacrylamide) 화합물, 메타크릴(methacryl), 덱스트란(dextran)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시료는 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소변, 양수, 모유, 침, 정액 및 세포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시료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는 다중 컬럼 및 방법은 엑소좀 대비 지질단백질, 수용성 단백질 등의 불순물 양을 크게 감소시켜 획득된 엑소좀의 순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시료내 엑소좀만을 분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컬럼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단일 컬럼과 본 발명의 다중 컬럼을 이용한 엑소좀의 분리 결과를 나타낸다 (2B: 2B 단일 컬럼, Dualcolumn: 본 발명의 다중 컬럼).
A: 컬럼별 분획 시료의 흡광도
B: 동적 광 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통해 확인된 컬럼별 분획 시료에서 입자의 Z-평균 크기.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컬럼을 이용한 실제 분획에서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의 검출 결과이다(ApoB: 지질단백질, CD63: 엑소좀 마커 단백질, 9-15: 컬럼 분획번호 #9-#15).
A: SDS-PAGE
B: 웨스턴 블롯
C: 지질단백질과 엑소좀의 상대적 검출 강도
도 4는 종래 단일 컬럼과 다중 컬럼을 이용한 분획을 비교한 결과이다(Marker: 분자량 확인용 표준 마커, ExoQuick: ExoQuick 분리방법, 2B column: 2B 단일 컬럼, Dual column: 본 발명의 다중 컬럼).
A: 분획물 내의 총단백질 정량 결과
B: SDS-PAGE
C: 웨스턴 블롯
도 5는 종래 단일 컬럼과 본 발명의 다중 컬럼을 이용한 분획물 내 지질단백질에 대한 엑소좀의 상대적 비율을 비교한 결과이다(ExoQuick: ExoQuick 분리방법, 2B column: 2B 단일 컬럼, Dualcolumn: 본 발명의 다중 컬럼).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범위를 설명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을 통해 권리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분리용 다중 컬럼으로서,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b)는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공성 비드 a)는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다공성 비드 b)는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인,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을 이용한 엑소좀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다공성 비드는,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에 적층된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엑소좀을 포함하는 시료를 상기 다공성 비드 b)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비드 b)를 통과한 상기 다공성 비드 a)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지질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분리막은 여러 종류의 비드를 컬럼 용기에 연속적으로 충전할 때, 서로 다른 종류의 비드가 섞이지 않도록 다른 비드 종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중 컬럼에 충전되는 비드는, 아가로오스(agarose), 알릴 덱스트란(allyl dextran)과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 bisacrylamide) 화합물, 메타크릴(methacryl), 덱스트란(dextr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세파로오스(Sepharose) 2B, 4B, 6B, CL-2B, CL-4B 및 CL-6B; 세파크릴(Sephacryl) S-200 HR, S-300 HR, S-400 HR 및 S-500 HR; 및 토요펄(Toyopearl) HW-55, HW-65 및 HW-75 및 Superdex75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파로오스 CL-6B 및 세파크릴 200-HR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비드 a)는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한 비드로서,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고, 다공성 비드 b)는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비드로서,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극의 크기가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질단백질, 엑소좀 및 수용성 단백질 각각의 용출 속도차이에 따른 용출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다공성 비드 a) 및 다공성 비드 b)는95:5 내지 5:95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85:25 내지 25:85의 부피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의 부피비로 충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엑소좀이 포함된 시료는 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소변, 양수, 모유, 침, 정액 및 세포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엑소좀은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후 전체 용출액 중 20 내지 80% 구간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9 내지 57%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럼을 조합한(도 1) 다중 컬럼 분획물 중 엑소좀은 9 내지 15구간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10 내지 12 구간에서는 지질단백질 및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엑소좀 함량을 나타냈다(도 3). 상기 다중 컬럼을 이용하는 경우 PEG precipitation을 이용한 분획법 및 종래의 단일 컬럼에 버금가는 단백질 수율을 얻으면서도(도 4A) 단일 컬럼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순도의 엑소좀 분획을 수득할 수 있어(도 4C 및 5) 엑소좀 분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중 컬럼의 제작
크로마토그래피용 컬럼(직경: 10mm, 높이: 50mm)의 하부에 세파로오스 CL-6B를 70%(v/v)로 충전한 후 상부에 세파크릴 200-HR을 30%(v/v) 충전하여 하부와 상부의 높이 비율이 7:3이 되도록 다중 컬럼을 제작하였다(도 1).
실험예 1: 기존 컬럼 조건에서 엑소좀 분리 능력 확인
크로마토그래피용 컬럼(직경: 10mm, 높이: 50mm)에 충전 비드가 채워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시료로는 혈액을 10000 rcf, 4℃에서 30 min 동안 원심분리 후, 얻어진 상층액인 혈청을 이용하였다. 기존 단일 컬럼 크로마토크래피와 다중 컬럼에 의한 물질의 분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료에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컬럼에 충전된 비드는 단일 컬럼으로 세파로오스 CL-2B 및 CL-6B을 이용하였으며, 다중 컬럼으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을 이용하였다. 시료를 로딩(loading)하기에 앞서, 300ml의 PBS로 충전된 비드를 세척(washing) 하였다. 세척 후, 충전된 컬럼 비드 외에 이동상 버퍼가 다 소진되면 바로 준비된 시료를 로딩하였다. 컬럼에 로딩 되는 시료의 부피는 충전된 비드 전체부피의 5%를 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컬럼에서는 0.3 내지 0.5ml의 시료를 로딩(loading)했다. 이동상의 압력은 2-4 Pa 로 흘려주었다. 시료가 로딩된 시점부터 흘러나오는 용출액 0.5ml씩을 받은 용액구간을 1 구간으로 정의했으며, 채취된 용출액은 280 nm에서의 흡광도를 확인하고, 동적 광 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이용해 Z-평균 크기(Z-Average size)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료는 25-30 구간 내에 모두 용출되었다.
그 결과, 흡광도(도 2A) 및 DLS분석으로는(도 2B)는 분획물 내의 엑소좀, 지질단백질 및 수용성 단백질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혈청에서 엑소좀과 지질단백질 용출의 경향성 비교
혈청 시료에서 각 구간별 엑소좀과 지질단백질 및 수용성 단백질의 용출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의 분획물을 시료로 하여 실시예 1의 다중 컬럼으로 SDS-PAGE 및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1차 항체로 엑소좀 마커 단백질인 CD63에 대한 항체(Santa Cruz사 제조 sc-15363)를 1:500으로 희석하고, 지질단백질 항체인 ApoB-100 항체(Santa Cruz사 제조 sc-25542) 1:1000으로 희석한 다음 희석된 항체들을 사용하여 용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획할 경우 수용성 단백질인 알부민(~65kDa)은 구간번호 #13 이후부터 검출되었으며(도 3A), 지질단백질은 구간번호 #9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 후 #11까지 검출되었다. 엑소좀은 #9에서 소량으로 검출되었고, #11 및 #12 구간에서 가장 진하게 나타난 후, 점차 검출되는 양이 감소했다(도 3B). #9 내지 #15 구간에서 각 구간의 분획물 내 지질단백질과 엑소좀의 양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면, 9 구간(#9)에서는 지질단백질이 주로 나타났지만, 10구간부터 엑소좀이 지질단백질보다 많이 검출되었으며, 11 구간(#11)에서는 분획물 내에서 엑소좀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12 구간(#12)에서는 분획물 내의 지질단백질이 거의 검출되지 않고, 13 구간(#13)부터는 수용성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10 내지 12 구간(#10-#12)이 엑소좀 수득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C).
실험예 3: 분리 방법 및 컬럼에 따른 엑소좀과 지질단백질 분리의 효과 확인
실험예 1의 시료에 원심분리를 이용한 침강법을 수행한 방법; 및 상기 시료에 기존 단일 컬럼 및 본 발명의 다중 컬럼을 이용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를 수행한 분리 방법에 따른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의 분획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침강법은 상업화된 제품인 ExoQuickTM(System Biosciences, Inc.)의 첨가 및 원심분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단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세파로오스 CL-2B 및 CL-6B를 이용하고, 다중 컬럼은 실시예 1에 개시된 다중 컬럼을 이용하였다. 분획 전 시료 및 분획된 시료의 단백질 총량을 정량하고, 상대적 양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SDS-PAGE 및 웨스턴 블롯을 이용해 확인했다. 실험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엑소좀 마커 단백질인 CD63에 대한 항체 및 지질 단백질 마커 단백질인 ApoB 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였으며, CD63/ApoB 웨스턴 블롯은 Bio-Rad 사 ChemiDoc image software 를 이용하여 blot된 시료부분을 밀도계측을 통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 분획된 시료에 포함된 단백질의 총량에 있어서는 세파로오스 CL-6B를 이용한 것이 가장 많은 단백질을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으나(도 4A), 수용성 단백질을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웨스턴 블롯 결과에서는 세파로오스 CL-2B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획물에서 엑소좀이 지질단백질보다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세파로오스 CL-6B 및 실시예 1의 다중 컬럼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지질단백질이 가장 적게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C). 분획물에 포함된 지질단백질 대비 엑소좀의 양을 비교한 결과에 있어서는 다중 컬럼을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순도를 가지고, 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으로서,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비드 b)는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공성 비드 a)는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다공성 비드 b)는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것인,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비드 a) 및 상기 다공성 비드 b)의 부피비는 95:5 내지 5:95 인,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비드는, 아가로오스(agarose), 알릴 덱스트란(allyl dextran)과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 bisacrylamide) 화합물, 메타크릴(methacryl), 덱스트란(dextran)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
  4. 다공성 비드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용 다중 컬럼을 이용한 엑소좀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다공성 비드는, 10M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a); 및 상기 다공성 비드 a) 상에 적층된 500kDa 이하 크기의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비드 b); 를 포함하고,
    엑소좀을 포함하는 시료를 상기 다공성 비드 b)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비드 b)를 통과한 시료를 상기 다공성 비드 a)에 통과시켜 엑소좀과 지질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비드 a) 및 상기 다공성 비드 b)의 부피비는 95:5 내지 5:95 인, 엑소좀 분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비드는, 아가로오스(agarose), 알릴 덱스트란(allyl dextran)과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 bisacrylamide) 화합물, 메타크릴(methacryl), 덱스트란(dextran)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엑소좀 분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소변, 양수, 모유, 침, 정액 및 세포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엑소좀 분리 방법.
  8. 삭제
KR1020180019894A 2018-02-20 2018-02-20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KR101980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94A KR101980482B1 (ko) 2018-02-20 2018-02-20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US16/971,108 US20200378932A1 (en) 2018-02-20 2019-02-20 Multi-column for isolating exosomes and exosome isolation method
EP19758236.4A EP3757113A4 (en) 2018-02-20 2019-02-20 MULTI-COLUMN FOR ISOLATING EXOSOMES AND PROCESS FOR ISOLATING EXOSOMES
CN201980014424.4A CN111770931B (zh) 2018-02-20 2019-02-20 用于分离外泌体的多柱及外泌体分离方法
PCT/KR2019/002008 WO2019164227A1 (ko) 2018-02-20 2019-02-20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94A KR101980482B1 (ko) 2018-02-20 2018-02-20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482B1 true KR101980482B1 (ko) 2019-05-20

Family

ID=6667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894A KR101980482B1 (ko) 2018-02-20 2018-02-20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4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37B1 (ko) 2020-06-29 2021-02-15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고수율의 엑소좀을 분리하는 방법
KR102253418B1 (ko) 2020-10-08 2021-05-18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피부 유산균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4068B1 (ko) 2020-11-12 2021-11-10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자가 포식으로 유도된 인체 지방 유래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4582A (ko) * 2020-07-03 2022-01-1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tps 특성을 이용한 생체 시료 분리 장치
CN115521895A (zh) * 2021-06-24 2022-12-27 上海思路迪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水溶性蛋白作为外泌体提取增强剂的应用及外泌体提取试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30A (ko) * 2011-12-15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포배양에서 엑소좀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엑소좀의 수득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60115988A (ko) 2014-02-27 2016-10-06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엑소좀을 단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160133812A (ko) * 2015-05-13 2016-1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다공성막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분리용 장치
KR20180006923A (ko) * 2015-04-20 2018-01-19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순환하는 인테그린 베타-3 바이오마커 검출용 조성물 및 암의 검출 및 암의 존재 또는 진행, 암의 약물 내성 및 암의 줄기성의 평가 방법
KR20180126365A (ko) * 2017-05-17 2018-11-27 한국과학기술원 생체시료로부터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의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30A (ko) * 2011-12-15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포배양에서 엑소좀의 정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엑소좀의 수득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60115988A (ko) 2014-02-27 2016-10-06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엑소좀을 단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180006923A (ko) * 2015-04-20 2018-01-19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순환하는 인테그린 베타-3 바이오마커 검출용 조성물 및 암의 검출 및 암의 존재 또는 진행, 암의 약물 내성 및 암의 줄기성의 평가 방법
KR20160133812A (ko) * 2015-05-13 2016-1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다공성막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분리용 장치
KR20180126365A (ko) * 2017-05-17 2018-11-27 한국과학기술원 생체시료로부터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의 분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37B1 (ko) 2020-06-29 2021-02-15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고수율의 엑소좀을 분리하는 방법
KR20220004582A (ko) * 2020-07-03 2022-01-1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tps 특성을 이용한 생체 시료 분리 장치
KR102583914B1 (ko) 2020-07-03 2023-09-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tps 특성을 이용한 생체 시료 분리 장치
KR102253418B1 (ko) 2020-10-08 2021-05-18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피부 유산균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4068B1 (ko) 2020-11-12 2021-11-10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자가 포식으로 유도된 인체 지방 유래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21895A (zh) * 2021-06-24 2022-12-27 上海思路迪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水溶性蛋白作为外泌体提取增强剂的应用及外泌体提取试剂
CN115521895B (zh) * 2021-06-24 2024-04-05 上海思路迪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水溶性蛋白作为外泌体提取增强剂的应用及外泌体提取试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482B1 (ko)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KR102059535B1 (ko) 생체시료로부터 엑소좀과 지질단백질의 분리 방법
US20200378932A1 (en) Multi-column for isolating exosomes and exosome isolation method
EP2919902B1 (en) Multimodal anion exchange matrices
KR102130023B1 (ko)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다중 컬럼 및 엑소좀 분리 방법
WO2019178495A1 (en) Methods for purifying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es
Wang et al. Isolation and quantitation of exosomes isolated from human plasma via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using a polyester, capillary-channeled polymer fiber phase
US11807666B2 (en) Chromatographic methods for purification of proteins from plasma
US9278297B2 (en) Method for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media used thereof
Rosado et al. Advances in biomarker detection: Alternative approaches for blood-based biomarker detection
US9580692B2 (en) Method for endotoxin removal
CN111065730A (zh) 利用疏水相互作用分离细胞外囊泡的方法
CN111961637A (zh) 一种基于尺寸排阻层析与超滤结合的细胞外囊泡分离方法
US20160016990A1 (en) Protein purification by means of aqueous two-phase centrifugal extraction
Knight et al. Spiral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of small molecules, peptides and proteins using the spiral tubing support rotor
Hao et al. Rapid and high-capacity loading of IgG monoclonal antibodies by polymer brush and peptides functionalized microspheres
KR20200043990A (ko)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 리간드 고정 담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표적 물질의 정제 방법 및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의 제조 방법
Ghaffari et al. Application of cell-derived exosomes in the hematological malignancies therapy
EP3160982A1 (en) Chromatography method
US11352388B2 (en) Method for chromatography
Maggio et al. Current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urinary extracellular vesicles
KR20240032928A (ko) 바이러스 포획 방법
US11014069B2 (en) Method and chromatography medium
US10041050B2 (en) Method for endotoxin removal
KR20220097337A (ko) 엑소좀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엑소좀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