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696B1 -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 Google Patents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96B1
KR101979696B1 KR1020170099195A KR20170099195A KR101979696B1 KR 101979696 B1 KR101979696 B1 KR 101979696B1 KR 1020170099195 A KR1020170099195 A KR 1020170099195A KR 20170099195 A KR20170099195 A KR 20170099195A KR 101979696 B1 KR101979696 B1 KR 10197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sensor
signal
inform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5686A (en
Inventor
안상섭
이유상
정해철
유영기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한
Priority to KR102017009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96B1/en
Publication of KR2019001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지털 통신기능을 갖는 저전력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자펜은 제어부, 상기 전자펜의 상태 또는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부, 공진 회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진 회로를 구동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센싱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일정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한다.A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a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are provided.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a sensor unit sensing the state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providing the sensor to the control unit, a resonance circuit,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 driver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interval and continuously output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constant driving frequency during a scan period And controls the driving driver.

Description

디지털 통신기능을 갖는 저전력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a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통신기능을 갖는 저전력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a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통상의 능동형 전자펜은 전자기유도 신호를 센서보드에 전송하기 위하여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코일감은 페라이트 코어에 교류 전류를 인가한다. 필압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힘센서를 이용한다.A conventional active-type electronic pen a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to a ferrite core in order to transmi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to a sensor board. Generally, a force sensor is used to sense the pressure.

LC 공진회로에 코일 구동 드라이버를 통하여 일정 주파수로 전자기유도신호를 센서보드로 방사한다. 힘 센서에서 측정된 필압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화하여 센서보드에 필압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한다.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is radiated to the sensor board at a certain frequency through a coil drive driver in an LC resonance circuit. Pressure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ensor board by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일반적으로 필압이 없는 경우에 공진 주파수(fo)로 구동되고 필압 정보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화시킨다면 전력효율이 높았던 공진주파수를 벗어난 주파수로 구동되어 이 경우 전력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Generally, when there is no pressure, it is driven at the resonance frequency fo, and if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it is driven at a frequency out of the resonance frequency, which is high in power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능동형 전자펜의 경우 필압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서 필압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화시키거나,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필압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경우나 추가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저전력 구현에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ctive type electronic pen,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to transmit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of low power when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r when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한국 등록특허 10-1618667호는 통신모듈을 이용한 터치 펜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No. 10-1618667 discloses a touch pen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한국 등록특허 10-1618667호는 분리 가능한 무선 이어폰의 통신 모듈을 터치 펜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며, 이와 같이, 추가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저전력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Korean Patent No. 10-1618667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touch pen shares a communication module of a detachable wireless earphone and 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when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low power.

1. 한국등록특허 10-1618667호1. Korean Patent No. 10-161866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전자펜의 구동 주파수를 전력 효율이 높은 주파수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저전력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 power electronic pen capable of increasing the power efficiency by keeping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electronic pen constant at a frequency with high power efficienc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전자펜의 센싱 정보를 저전력 통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저전력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power electronic pen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to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low-power communic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센싱 정보에 따라 펜 구동 시나리오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저전력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 power electronic pen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hanging a pen driving scenario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 저전력 전자펜과 통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low power electronic 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은 제어부; 상기 전자펜의 상태 또는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부; 공진 회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진 회로를 구동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tate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providing the sensed state to the control unit; Resonant circuit; And a drive driver for driving the resonant circu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drive frequency.

상기 제어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센싱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일정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driver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modulated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interval and controls the driving driver to continuously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constant driving frequency during a scanning perio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자펜의 필압을 센싱하는 필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구간 동안 필압 정보를 상기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통해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of the electronic pen, and may transmit pressur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modulated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during the communication interv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압 정보에 따라, 상기 스캔 구간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decrease the length of the scan perio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펜은 슬립 구간 동안에는 상기 공진 회로의 구동을 중단함으로써, 상기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nic pen does not output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by interrupting the driving of the resonance circuit during the sleep interv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자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전자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pen,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electronic pe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는, 소정의 감지영역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근하거나 접촉되면 상기 안테나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The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board for sensing a signal generated in the antenna when the electronic pen approaches or contacts the antenna using an antenna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 And a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상기 신호 처리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검출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한다.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detects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using digital communication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during a communication interval, and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As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구간은 스타트 신호,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및 버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ection may include a start signal,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캔 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 영역의 모든 영역을 스캔하는 풀 스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 영역의 일부만을 스캔하는 부분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 full scan operation to scan all areas of the sensing area or a partial scanning operation to scan only a part of the sensing area according to the sca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펜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 효율이 높은 주파수로 고정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fixing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electronic pen at a frequency higher than the power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펜의 센싱 정보를 저전력의 디지털 통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transmitt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low-power digital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펜의 센싱 정보에 따라 펜 구동 시나리오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pen driving scenario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진 회로의 구동 주파수에 따른 구동 신호, 즉 전자기 유도 신호의 세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전자펜에서 출력된 신호가 전자 장치에서 수신 및 처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공진 회로가 공진 주파수인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전자펜의 출력 신호 및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서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신호들의 파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하나의 신호 구간(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통신 구간 동안 전자펜에서 출력되는 OOK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신호 구간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신호들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풀 스캔 및 부분 스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nsity of a driving signal, that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resonance circuit shown in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ignal output from an electronic pen is received and processed in an electronic device.
5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pen and a received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resonance circuit is driven at the first frequency and the second frequency which are the resonance frequencies.
6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nsor board shown in FIG. 6;
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veform of sig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9 is a diagram showing one signal period (frame)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OK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during a communication interval.
11A and 11B are graphs showing an example of waveforms of signals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ignal interval.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ull scan and a partial scan.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pen including function buttons.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 or "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거나,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과 결합 또는 접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When a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or when it is mentioned that a layer is bonded or bonded to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May be intervening.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고, 예컨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front, rear,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the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and for example, the sizes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relative to other component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펜 시스템(10)은 전자펜(100) 및 전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electronic pen system 10 may include an electronic pen 100 and an electronic device 300.

전자펜(100)은 페라이트 코어(110), 페라이트 코어(110)에 감긴 코일(120), 센서부(130) 및 펜촉(14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자펜(100)은 제어부(150), 전원부(160), 공진회로(170), 구동 드라이버(180), 및 버튼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00 may include a ferrite core 110, a coil 120 wound around the ferrite core 110, a sensor unit 130, and a nib 140. The electronic pen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50, a power supply unit 160, a resonant circuit 170, a driving driver 180, and a button unit 190.

전자 장치(300)는 투명창(310), 디스플레이(313) 및 센서 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310, a display 313, and a sensor board 320.

전자펜(100)은 전자기유도 신호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하기 위하여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코일(120)을 감은 페라이트 코어(110)에 교류 전류를 인가한다. The electronic pen 100 a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to the ferrite core 110 wound with the coil 120 having the inductance component to transmit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

전원부(160)는 전자펜 내부의 구성요소들로 동작 전압 및/또는 동작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자펜(100)은 자체 배터리를 가질 수도 있고, 자체 배터리 없이 전자 장치(3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3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operating voltages and / or operating currents to the components inside the electronic pen. The electronic pen 100 may have its own battery or may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without its own battery.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include a battery or may have a circu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

센서부(130)는 전자펜(100)의 상태 및/또는 정보를 측정하거나 센싱(sensing)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30)는 힘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13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33), 전자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135), 전자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3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의 센서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센서들 외의 다른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or sensing the state and /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portion 130 may include a force sensor 1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3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33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 tilt sensor 135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electronic pen, an acceleration sensor 137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the like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sensors shown in Fig. 2 may be omitted, or a sensor other than the sensors shown in Fig. 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힘센서(131)는 전자펜(100)의 필압을 센싱하고, 센싱된 필압 정보를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가속도 센서(137)는 전자펜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측정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필압을 산출할 수도 있다.The force sensor 131 senses the pressure of the electronic pen 100 and provides the sensed press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The acceleration sensor 137 may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calculate the pressure based on the measured acceleration information.

제어부(150)는, 구동 드라이버(18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riving driver 180.

제어부(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컨대, Central Processing Unit(CPU))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털 회로 또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circuit or an analog circuit that does not include a processor.

구동 드라이버(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공진 회로(170)를 구동함으로써, 공진 회로(150)가 적어도 두 개의 구간을 가지는 구동 신호를 전자 장치(300)로 출력하도록 한다.The drive driver 180 drives the resonance circuit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resonance circuit 150 outputs the drive signal having at least two sections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공진 회로(170)는 커패시터(171) 및 코일(120)을 포함하는 LC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sonant circu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n LC resonant circuit including the capacitor 171 and the coil 120,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공진 회로(170)는 구동 드라이버(180)에 의해, 특정의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전자 장치(300)의 센서보드(320)로 방사할 수 있다.The resonance circuit 170 can radiat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specific driving frequency to the sensor board 32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by the driving driver 180. [

제어부(150)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전자펜(100)의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정보(즉, 센싱 정보)에 따라 변조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동 드라이버(18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구간에서는 센싱된 정보 외에 버튼 정보 및 스캔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driving driver 180 to output the driving signal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of the electronic pen 1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ensed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button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제어부(150)는 또한, 스캔 구간 동안에는 일정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동 드라이버(1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also control the driving driver 180 to continuously output driving signals having a constant driving frequency during the scan period.

제어부(150)는 또한, 슬립 구간 동안에는 구동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구동 드라이버(1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also control the driving driver 180 so that no driving signal is output during the sleep interval.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에 따라, 펜 구동 시나리오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힘 센서(131)의 필압 정보에 따라 스캔 구간 및/또는 슬립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고, 펜 구동 시나리오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필압 이상이면, 스캔 구간을 줄이고 슬립 구간을 늘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온도 센서(133)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스캔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hange the pen driving scenario according to one or mor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scan interval and / or the sleep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force sensor 131, and change the pen driving scenario.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can reduce the scan interval and increase the sleep interval when the reference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correct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33. [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adjust the scan period according to the sensor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의 파워(power) 또는 세기(amplitude)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PWM(Pulse With Modulation)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구동신호의 평균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power or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lower the average power of the driving signal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driving signal using PWM (Pulse With Modulation). As a resul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예컨대, 제어부(150)는 구동 드라이버(180)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드라이버(180)는 펄스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공진 회로(17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펄스 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PWM 신호의 펄스폭 혹은 듀티율(duty ratio)을 조절함으로써, 구동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pulse signal having a driving frequency to the driving driver 180, and the driving driver 180 may drive the resonance circuit 170 to output the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pulse signal. In this case, the pulse signal may be a PWM signal, and the controller 150 ma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driving signal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or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필압이 높으면, PWM 신호의 듀티율을 낮춤으로써, 구동 신호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reduce the intensity of the driving signal by lowering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when the writing pressure is high.

통신 구간, 스캔 구간 및 슬립 구간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The communication period, the scan period and the sleep peri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B.

버튼부(190)는 전자펜의 기능 또는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버튼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The button unit 190 may include one or more function button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r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pen. The function button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진 회로(170)의 구동 주파수(f)에 따른 구동 신호, 즉 전자기 유도 신호의 세기(A)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공진 회로(170)가 공진 주파수(f0)로 구동되는 경우 구동 신호의 세기(A)가 가장 크고, 공진 회로(170)가 공진 주파수(f0)에서 벗어난 주파수(예컨대, f1=f0+f)로 구동되는 경우, 구동 신호의 세기(A)가 작아진다. 따라서, 공진 회로(170)의 구동 주파수(f)가 공진 주파수(f0)인 경우 전력 효율이 가장 높고, 구동 주파수(f)가 공진 주파수(f0)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력 효율이 낮아진다.Fig. 3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nsity (A) of the drive signal, that i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 frequency f of the resonance circuit 170 shown in Fig. When the resonance circuit 170 is driven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f 0 , the intensity A of the drive signal is the largest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circuit 170 exceeds the resonance frequency f 0 (for example, f 1 = f 0 + f), the intensity A of the drive signal becomes small. Therefore, when the driving frequency f of the resonance circuit 170 is the resonance frequency f 0 , the power efficiency is the highest, and as the driving frequency f is away from the resonance frequency f 0 , the power efficiency becomes lower.

도 4는 전자펜에서 출력된 신호가 전자 장치에서 수신 및 처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공진 회로가 공진 주파수인 제1 주파수(f0)로 구동되는 경우와 공진 회로가 공진 주파수에서 벗어난 제2 주파수(f1= f0+f)로 구동되는 경우, 전자펜의 출력 신호 및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ignal output from an electronic pen is received and processed in an electronic device. Fig. 5 shows a case where the resonance circuit is driven at the first frequency f 0 , which is the resonance frequency, and when the resonance circuit is driven at the second frequency f 1 = f 0 + f, which is out of the resonance frequency, And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received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4 및 도 5를 전자펜(100)에서 출력된 신호(CS1)는 전자 장치의 센서보드(320)의 각 채널(미도시)에 수신되고, 멀티플렉싱을 통해 선택된 채널의 신호가 필터링 및 증폭된다. 전자 장치는 필터링 및 증폭된 신호(CS2)의 피크(peak)를 검출하고, 피크 검출 신호(CS3)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펜(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4 and 5, the signal CS1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100 is received in each channel (not shown) of the sensor board 320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s multiplexed and filtered .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peak of the filtered and amplified signal CS2, converts the peak detection signal CS3 into a digital signal, and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based on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

도 5의 (a) 및 (b)에서 'CS1'는 전자펜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CS2'는 필터링 및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나타내며, 'CS3'는 필터링 및 증폭된 신호(CS2)의 피크를 검출한 신호, 즉 피크 검출 신호를 나타낸다.5A and 5B, 'CS1' represents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pen, 'CS2' represents the filtered and amplified analog signal, 'CS3' represents the peak of the filtered and amplified signal CS2 That is, a peak detection signal.

도 5의 (a) 및 (b)를 비교하면, 공진주파수인 제1 주파수(f0)로 구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주파수(f1)로 구동하는 경우, 전자펜에서 출력(방사)되는 신호 (CS1)의 세기도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센서보드를 통해 측정된 신호(CS2)의 전압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5 (a) and 5 (b), compared with the case of driving with the first frequency f 0 , which is the resonance frequency, the output (radi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when driving with the second frequency f 1 , And the voltage of the signal CS2 measured through the sensor board is also reduced.

따라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진 회로(170)가 공진 주파수(f0)로 구동되는 경우 전력효율이 가장 높고, 공진 회로(170)가 공진 주파수에서 벗어난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전력 효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4 and 5, when the resonance circuit 170 is driven at the resonance frequency f 0 , the power efficiency is the highest, and when the resonance circuit 170 is driven at the frequency out of the resonance frequency,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기존의 전자펜은 필압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필압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화시키거나 무선 통신기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필압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필압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추가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무선 통신에 전력이 소모되므로, 초저전력 구현에 한계가 있다.Conventional electronic pens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to change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sure to transmit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the power efficiency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Further, when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information, power is consumed for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o there is a limit to realizing an ultra low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펜(100)은 전자펜의 공진 회로(170)를 전력 효율이 높은 일정주파수(예컨대, 공진 주파수(f0))로 고정적으로 구동하면서 필압 및 추가의 정보는 통신 구간 동안 디지털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stylus 100 and fixedly driven in a power-efficient constant frequency (e.g., resonant frequency (f 0)), the resonance circuit 170 of the stylus pressure-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he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transferring the digital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digital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통신은 온-오프 변조(On-off keying, 이하 'OOK'라 함)가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digital communication may be on-off keying (OOK).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서보드(32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신호들의 파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nsor board 320 shown in FIG. 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veform of sig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전자펜(1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장치로서, 센서보드(320) 및 신호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300)는 또한 제어부(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to 8,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and includes a sensor board 320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330.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395. [

전자펜(100)에서 출력된 신호(PS1)는 센서보드(32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The signal PS1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100 may be sensed by the sensor board 320. [

센서보드(320)는 전자펜(100)이 센서부(100)에 접근하거나 접촉되면, 이로 인해 센서보드(320)의 안테나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 처리부(330)로 출력한다. 예컨대, 센서보드(320)는 소정의 감지영역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펜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board 320 senses a signal generated on the antenna of the sensor board 320 and outputs the sensed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330 when the electronic pen 100 approaches or contacts the sensor unit 100. For example, the sensor board 320 can sense an electromagnetic wave e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using an antenna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센서보드(320)는 안테나부(410) 및 선택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선택회로(430)는 제1 선택 회로(431) 및 제2 선택 회로(4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board 320 may include an antenna unit 410 and a selection circuit 4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lection circuit 430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circuit 431 and a second selection circuit 433.

안테나부(410)는 소정의 감지 영역에 제1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라인 안테나들(‘X 라인 안테나’또는 'X 축 채널' 이라고도 칭함)(420)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예컨대,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라인 안테나들(‘Y 라인 안테나’ 또는 'Y 축 채널'이라고도 칭함)(4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unit 4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e antennas 420 (also referred to as an 'X-line antenna' or an 'X-axis channel') 420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lso referred to as a 'Y-line antenna' or a 'Y-axis channel') 425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Y direction).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부(410)는 감지 영역을 둘러싸도록 폐루프 형태의 루프 안테나(41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루프 안테나(415)는 공통 전압 또는 접지 전압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tenna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 loop antenna 415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so as to surround the sensing area. At this time, the loop antenna 415 may be connected to a common voltage or a ground voltage.

제1 라인 안테나들(420: X1 ~ Xm, m은 2 이상의 정수)의 일측단은 제1 선택 회로(43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 선택 회로(431)는 제어부(395)의 제어에 의하여, 한번에 1개 또는 두 개의 제1 라인 안테나를 선택하여, 신호 처리부(330)에 연결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line antennas 420 (X1 to Xm, where m is an integer of 2 or mor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election circuit 431. [ The first selection circuit 431 can select one or two first line antennas at a time and can connect to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395. [

제2 라인 안테나들(425: Y1 ~ Yn, n은 2 이상의 정수)의 일측단은 제2 선택 회로(433)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선택 회로(433)는 제어부(395)의 제어에 의하여, 한번에 1개 또는 두 개의 제2 라인 안테나를 선택하여, 신호 처리부(330)에 연결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line antenna (425: Y1 to Yn, where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election circuit 433. The second selection circuit 433 can select one or two second line antennas at a time and connect to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395. [

제1 및 제2 선택 회로(431, 433) 각각은 멀티플렉서 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circuits 431 and 433 may be implemented as a multiplexer or one or more switches.

제어부(395)는 제1 라인 안테나(420)의 스캔 동작(이를 'X축 스캔'이라고도 함)시에는, 제1 선택 회로(431)를 통해, 하나 또는 두 개의 X 라인 안테나의 신호(SX1, SX2)가 신호 처리부(330)로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제2 라인 안테나(425)의 스캔 동작(이를 'Y축 스캔'이라고도 함)시에는, 제2 선택 회로(133)를 통해, 하나 또는 두 개의 Y 라인 안테나의 신호(SY1, SY2)가 신호 처리부(300)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5 outputs the signals SX1 and SX2 of one or two X-ray antennas through the first selection circuit 431 during the scan operation of the first line antenna 420 (also referred to as 'X-axis scan' And a second selection circuit 133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line antennas 421 and 422 to be inpu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330. When the scan operation of the second line antenna 425 The signals SY1 and SY2 of the Y-line antennas can be controlled to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0. [

루프 안테나(415), 제1 및 제2 라인 안테나(420, 425)는 센서 보드(320)을 형성하는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보드(320)는 투명 전극 기판, ITO(Indium Tin Oxide)기판,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B(Flexible PCB)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센서 보드(320)는 루프 안테나(415), 제1 및 제2 라인 안테나(420, 425)가 형성된 기판이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보드(320) 위에는 투명창(310) 및 디스플레이(3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op antenna 415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 antennas 420 and 425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forming the sensor board 320. The sensor board 32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an ITO (Indium Tin Oxide) substrat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or a FPCB (Flexible 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ensor board 320 may be a substrate having the loop antenna 415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 antennas 420 and 425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1, a transparent window 310 and a display 313 may be formed on the sensor board 320.

신호 처리부(330)는 필터 및 증폭기(340), 피크 검출기(peak detector)(35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converter)(360), 프로세서(CPU, 370), 정류기(380), 및 비교기(3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30 includes a filter and amplifier 340, a peak detector 350,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360, a processor 370, a rectifier 380, 385).

필터 및 증폭기(340)는 센서보드(320)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한다.The filter and amplifier 340 filters and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320.

피크 검출기(350)는 필터 및 증폭기(340)의 출력 신호(PS2)의 피크를 검출하여, 검출된 피크 검출 신호(PS3)를 출력한다.The peak detector 350 detects the peak of the output signal PS2 of the filter and amplifier 340 and outputs the detected peak detection signal PS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60)는 아날로그 신호인 피크 검출 신호(PS3)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370)로 디지털 신호를 제공한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60 converts the peak detection signal PS3,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provides the digital signal to the processor 370. [

프로세서(37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전자펜(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370 may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by analyzing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정류기(rectifier)(380)는 필터 및 증폭기(340)의 출력 신호(PS2)를 정류하여 정류 신호(PS4)를 출력한다.A rectifier 380 rectifies the output signal PS2 of the filter and amplifier 340 and outputs a rectified signal PS4.

비교기(380)는 정류 신호(PS4)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PS5)를 프로세서(370)로 제공한다.The comparator 380 compares the rectified signal PS4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provides the comparison signal PS5 to the processor 370. [

프로세서(370)는 비교 신호(PS5)로부터, 통신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출한다. 예컨대, 프로세서(370)는 비교 신호(PS5)로부터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버튼 정보 등을 검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370 detects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from the comparison signal PS5. For example, the processor 370 can detect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comparison signal PS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하나의 신호 구간(또는 '프레임'이라 칭하기도 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펜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9 is a view showing one signal period (also referred to as a 'frame')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that are output consecutively. Each frame may be defined as two or more intervals as shown in FIG.

도 9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스캔 구간, 통신 구간 및 슬립 구간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슬립 구간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각 구간의 순서가 달라질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one frame includes a scan period, a communication period, and a sleep period.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leep interval may be omitted. Also, the order of each section may be different.

스캔 구간은, 전자펜(100)이 일정 주파수로 전자기유도 신호를 전송(방사)하는 구간으로서, 전자 장치(300)로 하여금 전자펜의 위치(즉, 좌표 정보)를 검출하도록 일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계속하여 방사하는 구간이다. 전자펜(100)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구간인 스캔 구간 동안에는 전자장치(300)는 센서보드(320)의 각 채널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하여 펜의 위치(즉, 좌표 정보)를 측정한다. The scan period is a period during which the electronic pen 100 transmits (radiate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The scan period allows the electronic device 30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irradiated. The electronic device 300 measures the position (i.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en through signals output from the respective channels of the sensor board 320 during a scan period in which a drive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by the electronic pen 100 do.

통신 구간은 전자펜이 디지털 통신 방식(예컨대, OOK)으로 전자펜(100)의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는 구간이다. 전송되는 정보는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버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구간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전자펜(100)에서 전송된 디지털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버튼 정보 등을 검출한다.The communication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electronic pen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e.g., OOK).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may include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 analyzes the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to detect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button information, and the like.

슬립 구간은 전자펜으로부터 구동 신호, 즉, 전자기 유도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이다. 슬립 구간 동안에는 전자펜(100)은 공진 회로(170)의 구동을 중단함으로써,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The sleep interval is a period in which the drive signal, that i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During the sleep interval, the electronic pen 100 stops driving the resonance circuit 170, thereby not outputt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는 5ms, 통신 구간의 길이는 1ms, 스캔 구간의 길이는 2.5ms, 슬립 구간의 길이는 1.5ms일 수 있으나, 이러한 수치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각 구간의 길이 및 프레임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one frame may be 5 ms, the length of the communication interval may be 1 ms, the length of the scan interval may be 2.5 ms, and the length of the sleep interval may be 1.5 ms, The length of each section and the frame length may vary.

또한, 전자펜의 제어부(150)는, 펜 구동 시나리오에 따라, 스캔 구간의 길이나 슬립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길이 역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서 센싱된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에 따라, 펜 구동 시나리오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간(예컨대, 스캔 구간, 슬립 구간)이나 프레임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통신 구간 동안 전자펜에서 출력되는 OOK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OOK 신호는 ON 구간과 OFF 구간을 가진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ON 구간은 이진 데이터 '1'을 나타내고, OFF 구간은 이진 데이터 '0'을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of the electronic pen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can interval and the length of the sleep interval according to the pen driving scenario. Accordingly, the frame length can also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50 can change the pen driving scenario according to one or mor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Accordingly, at least one interval (for example, a scan interval and a sleep interval) Or the length of the fram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OK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pen during a communication interval. OOK signal has ON section and OFF section. Referring to FIG. 10A, the ON period may represent binary data '1', and the OFF period may represent binary data '0'.

도 10의 (a)의 실시예에서는, ON 구간에서는 구동 드라이버(180)는 공진 회로(170)를 일정 주파수(예컨대, f0)로 구동하여 일정 주파수(예컨대, f0)의 구동 신호(m(t))를 출력하고, OFF 구간에서는 구동 드라이버(180)는 공진 회로(170)의 구동을 중단한다.10A, in the ON section, the drive driver 180 drives the resonant circuit 170 at a constant frequency (for example, f 0 ) to generate a drive signal m (for example, f 0 ) (t), and the drive driver 180 stops driving the resonance circuit 170 in the OFF period.

도 10의 (b)의 실시예에서는, 이진 데이터 '1'을 나타내는 구간의 전반기(first half period)에만, 구동 드라이버(180)는 공진 회로(170)를 구동하여 일정 주파수(예컨대, f0)의 구동 신호(m'(t))를 출력하고, 후반기(second half period) 및 이진 데이터 '0'을 나타내는 구간에서는 구동 드라이버(180)는 공진 회로(170)의 구동을 중단한다. 도 10(a) 및 (b)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OOK 신호의 ON 구간 또는 OFF 구간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ON 구간 또는 OFF 구간의 길이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진 데이터 1비트를 나타내는 구간을 T라 할 때, ON 구간은 T, T/2, T/4, 또는 T/5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0B, the driving driver 180 drives the resonant circuit 170 to generate a constant frequency (for example, f 0 ) only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section showing the binary data '1' The driving driver 180 stops the driving of the resonant circuit 170 in the period in which the second half period and the binary data '0' are shown. 10 (a) and 10 (b), the ON period or the length of the OFF period of the OOK signal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ON duration or the OFF du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For example, when a section representing one bit of binary data is T, the ON section may be set to T, T / 2, T / 4, or T /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통신 구간에서 OOK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통신을 하는 경우, 공진 회로(170)의 구동을 중단하는 구간이 발생하므로 소모전류 측면에서 이득이다. 특히, 도 10의 (a)의 실시예에 비하여, 도 10의 (b)의 실시예가 소모 전류 측면에서 이득이 더 크다.In this manner, when digit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OOK signal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there is a period in which the resonance circuit 170 is stopped to be driven, which is a gain in terms of consumed current.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10 (a), the embodiment of FIG. 10 (b) has a larger gain in terms of consumed current.

도 11a는 신호 구간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신호들의 파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b는 신호 구간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신호들의 파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1A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waveform of signals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ignal interval. 11B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veform of signals 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period.

도 11a의 실시예에서, 신호 구간은 스캔 구간 및 통신 구간을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11A, the signal section includes a scan section and a communication section.

스캔 구간은 풀 스캔 구간일 수 있다. 첫 번째 풀 스캔 구간에서는, 전자 장치는 X축 채널 전부를 스캔할 수 있다. X축 채널 전부를 스캔한다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제1 라인 안테나들(420: X1 ~ Xm) 전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신호 처리함으로써, 전자펜의 X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can period may be a full scan period. In the first full scan interval, the electronic device can scan all of the X-axis channels. The scanning of all of the X-axis channels can be performed by sequentially selecting all of the first line antennas 420 (X1 to Xm) shown in FIG. 7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to detect the X-coordinate of the electronic pen.

두 번째 풀 스캔 구간에서는, 전자 장치는 Y축 채널 전부를 스캔할 수 있다. Y축 채널 전부를 스캔한다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제2 라인 안테나들(425: Y1 ~ Yn) 전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신호 처리함으로써, 전자펜의 Y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second full scan interval, the electronic device can scan all of the Y axis channels. The scanning of all of the Y-axis channels may mean that the Y-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pen are detected by sequentially selecting and processing the entire second line antennas 425 (Y1 to Yn) shown in FIG.

통신 구간은 스타트 신호,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및 버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트 신호는 통신 구간의 시작임을 알려주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신호이다.The communication section may include a start signal,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The start signal is a predetermined signal for notifying the start of the communication section.

스캔 정보는 풀 스캔인지, 부분 스캔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The sca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it is a full scan or a partial scan.

도 12는 풀 스캔 및 부분 스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ull scan and a partial scan.

풀 스캔이란, 센서보드의 감지 영역 전체를 스캔하는 동작,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채널 전체를 스캔하는 동작, 및/또는 Y축 채널 전체를 스캔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The pull scan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scanning the entire sensing area of the sensor board, for example, an operation of scanning the entire X-axis channel and / or an operation of scanning the entire Y-axis channel, as described above.

부분 스캔이란, 센서보드의 특정 감지 영역(도 12의 부분 스캔 구간)만을 스캔하는 동작, 예컨대, X축 채널의 일부 또는 Y축 채널의 일부만을 스캔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The partial scan may mean an operation to scan only a specific detection area (partial scan section in FIG. 12) of the sensor board, for example, a part of the X-axis channel or a part of the Y-axis channel.

버튼 정보는 부가적인 펜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펜에 버튼 등의 기계적인 스위치 기능을 통해서 전자 장치에 알려주는 정보를 말한다.Butt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nforms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mechanical switch function such as the button directly to the pen, which is necessary to use the additional pen.

이를 위하여, 전자펜은 하나 이상의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lectronic pen may include one or more function buttons.

도 13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pen including function buttons.

이를 참조하면, 전자 펜(100)은 버튼부(190)는 펜 사이트 버튼(191), 지우개 기능 버튼(193), 색상 선택 기능 버튼(195)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펜(100)에서 기능 버튼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펜(100)은 선택된 기능 버튼에 대한 정보(즉, 버튼 정보)를 통신 구간에 포함하여 전자 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300)가 선택된 기능 버튼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onic pen 100 may include a pen site button 191, an eraser function button 193, and a color selecting function button 195,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When any one of the function buttons is selected in the electronic pen 100, the electronic pen 100 transmits information (i.e., butto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function button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by including it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300) to know the selected function button.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자펜 시스템
100: 전자펜
110: 페라이트 코어
120: 코일
130: 센서부
140: 펜촉
150: 제어부
160: 전원부
170: 공진 회로
180: 구동 드라이버
190: 버튼부
300: 전자 장치
310: 투명창
313: 디스플레이
320: 센서 보드
330: 신호 처리부
10: Electronic Pen System
100: Electronic pen
110: ferrite core
120: Coil
130:
140: nib
150:
160:
170: resonant circuit
180: driving driver
190: button portion
300: electronic device
310: Transparent window
313: Display
320: Sensor board
330: Signal processor

Claims (13)

전자펜에 있어서,
제어부;
상기 전자펜의 상태 또는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부;
공진 회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진 회로를 구동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센싱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일정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자펜의 필압을 센싱하는 필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구간 동안 필압 정보를 상기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통해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압 정보에 따라, 상기 스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In the electronic pen,
A control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tate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providing the sensed state to the control unit;
Resonant circuit; And
And a drive driver for driving the resonant circuit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drive frequenc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driver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sensing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period,
During the scan period, controls the drive driver to continuously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constant drive frequency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The sensor unit
And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electronic pen,
And transmits the pressur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via the modulated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during the communication interval,
The control unit
And the length of the scan sec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슬립 구간 동안에는 상기 공진 회로의 구동을 중단함으로써, 상기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is not outputted by interrupting the driving of the resonance circuit during the sleep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자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전자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Wherein the electronic pe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pen,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electronic pen.
전자펜에 있어서,
제어부;
상기 전자펜의 상태 또는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부;
공진 회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진 회로를 구동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센싱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일정한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 유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구동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자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자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전자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공진 회로의 구동 주파수를 보정하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스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In the electronic pen,
A control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tate 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providing the sensed state to the control unit;
Resonant circuit; And
And a drive driver for driving the resonant circuit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drive frequenc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driver to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sensing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period,
Controls the driving driver to continuously output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having a constant driving frequency during a scan period,
The sensor unit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pen,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electronic pen,
When the sensor unit includes the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ler correct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resonance circu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ata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ength of the scan perio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sensor unit includes the acceleration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전자펜의 버튼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전자기 유도 신호를 더 출력하는 전자펜.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ectronic pen
And further output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butt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구간은
스타트 신호, 필압 정보, 및 스캔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펜.
7. The method of claim 6,
A start signal, pressure information, and scan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구간 동안
온-오프 변조(On-off keying)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 정보를 전송하며,
온-오프 변호 신호의 온(ON) 구간 또는 오프(OFF) 구간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전자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on-off keying,
The on or off period of the on-off sign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기 유도 신호의 파워(power) 또는 세기(amplitude)를 제어하는 전자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or amplitude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감지영역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근하거나 접촉되면 상기 안테나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통신 구간 동안에는,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검출하고,
스캔 구간 동안에는 상기 센서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스캔 구간의 길이는 상기 전자펜의 필압 정보에 따라 조절되는 전자 장치.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electronic pen,
A sensor board for sensing and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in the antenna when the electronic pen approaches or contacts the antenna using an antenna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The signal processing unit
Detecting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using digital communication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during a communication period,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detected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oard during a scan period,
And the length of the scan perio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구간은
스타트 신호, 필압 정보, 스캔 정보 및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start signal, pressure information, scan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캔 정보에 따라, 상기 감지 영역의 모든 영역을 스캔하는 풀 스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 영역의 일부만을 스캔하는 부분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3.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a full scan operation to scan all areas of the sensing area according to the scan information or to perform a partial scanning operation to scan only a part of the sensing area.
KR1020170099195A 2017-08-04 2017-08-04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KR101979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95A KR101979696B1 (en) 2017-08-04 2017-08-04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95A KR101979696B1 (en) 2017-08-04 2017-08-04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86A KR20190015686A (en) 2019-02-14
KR101979696B1 true KR101979696B1 (en) 2019-05-20

Family

ID=6536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95A KR101979696B1 (en) 2017-08-04 2017-08-04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734A1 (en) * 2008-06-23 2009-12-2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Electronic pen with automatically retractable nib
JP2014063517A (en) * 2013-12-03 2014-04-10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36B1 (en) * 2008-05-28 2010-09-28 조성환 Table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18667B1 (en) 2014-12-30 2016-05-18 주식회사 엘엠티 touch pen using sensor and communication module, and interface control method of smart phone using the same
KR102301621B1 (en) * 2015-01-16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Stylus pen,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5734A1 (en) * 2008-06-23 2009-12-2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Electronic pen with automatically retractable nib
JP2014063517A (en) * 2013-12-03 2014-04-10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86A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597B2 (en) Configurable active stylus devices
KR101450164B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US10019082B2 (en) Position pointer, signal processing circuit, signal supply controll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8089474B2 (en) Loca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daptive drive signal adjustment
US20170115824A1 (en) Position detector filtering sensed finger and stylus signals in synchronization with display refresh
US20150138144A1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9600096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US104300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put positions via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US20140055420A1 (en) Display identific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JP6900231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method
WO2015137053A1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N114489392A (en) Sensor controller and touch pen
KR20130006165A (en)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EP2570777A2 (en) Sensing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touch objec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9696B1 (en) Low-power electronic pen having digit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the pen
US20100110007A1 (en) Input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1551715A (en) Remote control mouse system
US20100085333A1 (en) Input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673700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ensing noise mitigation using sub-burst sizes
US107398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6256097B2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pen device, electronic terminal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20160291956A1 (en) Active pen reprogramming
KR20160033454A (en) Touch screen apparatus
JP2013025665A (en) Portable terminal
US10613692B2 (en) Touch inte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