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64B1 -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 Google Patents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64B1
KR101979364B1 KR1020180042239A KR20180042239A KR101979364B1 KR 101979364 B1 KR101979364 B1 KR 101979364B1 KR 1020180042239 A KR1020180042239 A KR 1020180042239A KR 20180042239 A KR20180042239 A KR 20180042239A KR 101979364 B1 KR101979364 B1 KR 10197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gear
unit
housing
bel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18004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including a variable speed module. The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comprises: a frame unit which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ing unit, and vertical supporting units vertically placed at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unit; a lower body link unit which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unit in order to provide a walking trace to a foot stepping unit; a treadmill belt which is placed in the horizontal supporting unit, and moves together with the foot stepping unit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foot stepping unit; a belt rotating shaft which is placed in the horizontal supporting unit in order to rotate, and guides rotation of the treadmill belt; an interlocking unit which interlocks the lower body link unit with the belt rotating shaft; and a driving motor; and a variable speed module (300) which is placed between the driving motor (170) and the belt rotating shaft (150) in order to transmit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to the belt rotating shaft, and can change the rotational speed thereof. In addition, the variable speed module comprises: a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ratchet gear (340) which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transmit rotatory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 one direction and in an intermittent manner, and are arranged so that each rotation shaft is matched; a first permanent magnet unit which is plac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which is plac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Therefore, the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can conduct stable walking rehabilitation according to physical abilities of a user.

Description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a variable speed module,

본 발명은 속도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행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전동력을 생성시키는 전동 모터에서는 저속의 일정한 속도를 제공하고 전동 모터에 연결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재활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서 더 빠른 회전 움직임이 생성되면 회전축은 모터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재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system to which a speed can be variably appli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system that provides a constant speed at a low speed in an electric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And the rotation shaft is separated from the motor to allow independent rotation when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at a higher speed.

일반적으로, 보행 재활 기기는 하지 마비나 근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사용되는 기기이다.Generally,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is a device used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hose behavior is uncomfortable due to lower limbs or muscle weakness.

고령화,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뇌병변 장애인 및 하지 관절 수술환자에게 있어 가장 필수적이고 재활 효과가 높은 것은 보행 관련 훈련이 될 수 있다. 정상적인 신체의 가동범위(Range of Motion) 내에서 골격의 움직임과 근육의 수축이완 운동은 보행 훈련 및 재활에 있어 고유 기능을 강화시키고 회복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정상 가동범위 내에서 보행 재활을 시킬 수 있는 보행 재활 기기의 시장은 급속히 팽창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를 대비하여 보행 재활에 널리 활용될 수 있게 값이 싸며 재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보급형 보행 재활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 most essential and most effective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nd lower limb joint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aging, accidents, and stress, can be gait related training. Within the normal range of motion, skeletal movement and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exercis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rengthening and restoring intrinsic function in gait training and rehabilitation. The market for gait rehabilitation equipment that can perform gait rehabilitation within the range of normal operation is rapidly expanding. In order to cope with this tendenc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be widely used for gait rehabilitation, Has been demanded.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특허공보 제10-1790048호에 개시된 트레드밀 기반의 보행 재활 기기는, 이 문헌의 도면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 디딤부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기반의 보행 재활 기기로, 수평 받침부와 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놓이는 수직 받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발 디딤부와 상기 수직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에 보행 궤적을 제공하는 링크 유닛; 상기 수평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가 닿아 상기 발 디딤부와 함께 움직이는 트레드밀 벨트; 및 상기 링크 유닛과 상기 트레드밀 벨트를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The treadmill-based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790048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of this document, includes a treadmill- A rehabilit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section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section and a vertical support section vertically placed on both sides thereof; A link unit provided between the foot step portion and the vertical foot portion and providing a walking trajectory to the foot step portion; A treadmill belt which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and on which the footstep contacts and moves together with the footstep; And an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locking the link unit and the treadmill belt.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장애인이나 환자)가 직접 자신의 힘으로 링크 유닛 및 트레드밀 벨트 등을 움직여야 하므로, 하지재활이 필요한 노인, 인공관절 수술환자, 만성기의 편마비장애인 등은 이용할 수는 있으나, 자신의 신체적 능력만으로 링크 유닛 및 트레드밀 벨트 등을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이나 환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재활 치료실이나 가정 등에서는 사용자의 힘으로 움직이는 수동 보행 재활 기기와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자동 보행 재활 기기를 각각 구비하게 되므로, 보행 재활 기기의 구입 비용이 배가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requires the user (disabled person or patient) to move the link unit and the treadmill belt by his / her own force, he or she can use the elderly requiring artificial rehabilitation, the artificial joint surgery pati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verely handicapped person or patient who can not move the link unit and the treadmill belt by his / her own physical ability can not use it. Therefore,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room or the ho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purchasing the walking rehabilitation equipment is doubled because each of the manual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moves by the user's force and the automatic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moves by the force of the motor are provided.

종래의 재활 치료 기기는 전동 모터가 없는 수동형의 경우 장시간 보행 재활 시 신체 능력이 저하되면 재활이 중단되는 등 연속적인 재활이 어려운 점이 있었고, 재활 기기에 전동 모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동 모터로 회전하는 경우, 전동 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 속도가 보행궤적 구동부에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의 속도에 맞추기 어려운 재활 치료 환자의 경우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보행의지에 따라 보행속도를 조절할 수 없고, 미리 설정된 전동 모터의 회전속도에 의한 급작스러운 시작과 정지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inuous rehabilit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rehabilitation is interrupted when the body ability is deteriorated in a long-time walking rehabilitation in the passive type having no electric motor, and whe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Since the driving speed provided by the electric motor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walking trajectory driving part, it is difficult to use in the case of a rehabilitation patient who is difficult to match the speed of the electric motor. Therefore, the walking speed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disabled person to walk, and sudden start and stop due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previously set electric motor is generated.

등록특허공보 제10-1790048호(등록일: 2017년 10월 19일)Patent Registration No. 10-1790048 (Registered Date: October 19, 20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트레드밀 기반의 보행재활기기에 속도 가변형 모듈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맞게 보행 재활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저속의 전동모터에 의한 안정적인 시작 및 정지가 가능하게 하고, 신체능력이 저하되면 저속의 모터 회전력에 의해 안정적인 보행 재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dmill-based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hich can attach a speed variable module to a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to perform gait rehabilita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physical ability, enable stable starting and stopping by a low- And to provide a means for maintaining stable gait rehabilitation by a low-speed motor rotation force when the body ability is deteriorated.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슬관절의 과신전을 방지할 수 있는 하지 보행 재활 기기를 제공하고, 슬관절의 내회전과 외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하지 보행 재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xcessive knee flexion, and a rest gait rehabilit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knee joint.

본 발명은 발 디딤부를 포함하는 하지 보행 재활 기기로, 수평 받침부와 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놓이는 수직 받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20); 상기 발 디딤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에 보행 궤적을 제공하는 하지용 링크 유닛(130); 상기 수평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가 닿아 상기 발 디딤부와 함께 움직이는 트레드밀 벨트(140); 상기 수평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트레드밀 벨트의 회전을 안내하는 벨트 회전축(150); 상기 하지용 링크 유닛과 상기 벨트 회전축을 연동시키는 연동부(160); 상기 벨트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70); 및 상기 구동 모터(170)와 벨트 회전축(15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을 벨트 회전축에 전달하되, 회전 속도 가변이 가능한 속도가변모듈(300);을 포함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limb gait rehabilitation device comprising a frame part (120)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part and a vertical support part vertically placed on both sides thereof; A lower link unit (130) provided between the foot step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and providing a walking trajectory to the foot step portion; A treadmill belt 140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ar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ootstep part; A belt rotating shaft (150) rotatably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and guiding rotation of the treadmill belt; An interlocking part (160) for interlocking the lower link unit and the belt rotation shaft; A drive motor 170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belt rotation shaft; And a speed variable module (300)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motor (170) and the belt rotating shaft (150)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to the belt rotating shaft, the speed varying module Provide a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속도가변모듈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그리고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고, 회전축이 일치하게 배치되는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유닛(351,353);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유닛(361,363);을 더 포함하고,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래칫기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The speed variable module includes a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ratchet gear (340),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 one direction and intermittently, A first permanent magnet unit (351, 35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unit (361, 36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2 Apply force in the direction that the ratchet gears approach each other.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을 위한 돌기인 제1측면돌기(333)와 제2측면돌기(343)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33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343, which are protrusions for transmitting un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do.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상기 제1영구자석유닛(351,353)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320);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와 상기 제2영구자석유닛(361,363)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력이 상기 제2하우징으로 전달된다.A first housing 320 for accommodating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units 351 and 353; And a second housing (350) for receiving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unit (361, 363),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housing 1 rotational force of the housing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1원주돌기(335);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2원주돌기(345); 상기 제1원주돌기(335)가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325); 및 상기 제2원주돌기(345)가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3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홈(355);을 더 포함한다.A first circumferential projection (335)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 second circumferential projection (345)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 first sliding groove (32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20) so that the first circumferential projection (335) is axially slidably received; And a second sliding groove (35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50) so that the second circumferential projection (345) is axially slidably received.

상기 벨트 회전축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른 경우, 제2래칫기어(340)의 제2측면돌기(343)가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제1측면돌기(333)를 타고 올라서 회전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343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is engaged with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333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belt rotation shaft is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housing. So that rotation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기능 회복 정도에 따라 모듈을 탈착할 수 있어 다양한 훈련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행재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가의 보행재활로봇 및 보행재활기기를 대체하여 보행재활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양질의 보행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st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variety of training protocols by allowing a user to attach and detach a module according to his / her body function recovery degree, thereby maximizing the rehabilitation effect using the gait rehabilit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gait rehabilitation service to a variety of subjects who require gait rehabilitation in place of expensive gait rehabilitation robots and gait rehabilit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과신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탑승자의 슬관절의 과신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슬관절의 과도한 펴짐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어, 환자중심의 연속적인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chnical constitution including the over-suppression portio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ee joint from being overstressed. In other words, excessive expansion of the knee joint can be suppressed without the help of a therapist, and the effect of continuous patient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further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 중 외장 커버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 중 수평 받침부에 구비된 링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를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구동 모터가 착탈부를 통해 벨트 회전축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구동 모터를 장착하기 위해 외장 커버에서 개폐 도어를 열어 구동 모터가 지지된 지지 브라켓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광센서와 반사판과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과신전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내외전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내외전 방지부의 회전 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에 구비되는 속도가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속도가변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2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가변모듈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nder-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under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with the outer cover remove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link unit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underarm rehabilitation apparatus of FIG. 2. FIG.
Fig. 4 is a rear view of the lower limb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driving motor is mounted on a belt rotation shaft through a detachable portion.
6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racket supported by a drive motor is opened by opening an opening / closing door in an outer cover to mount a drive motor.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 sensor, a reflection plate, and a control unit.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suppression portion.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 outside prevention part.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inside / outside prevention por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ed variable module provided in a lower limb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speed module of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nlarg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2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pe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10), 프레임부(120)와, 하지용 링크 유닛(130)과, 트레드밀 벨트(140)와, 벨트 회전축(150)과, 연동부(160)와, 그리고 구동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1 to 10, the lower limb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110, a frame 120, a lower link unit 130, A treadmill belt 140, a belt rotation shaft 150, an interlocking portion 160, and a drive motor 170. [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발 디딤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올려져 고정되는 곳이다. 예를 들어, 발 디딤부(110)는 사용자의 발 바닥이 접하는 발 디딤판과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는 밴드 등으로 이루어진 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ot standing unit 110 is a place where a user's foot is raised and fixe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foot stepping part 110 may include a foot stepping part formed by a foot step tangent to the foot bottom of the user and a band for fixing the foot of the user.

나아가, 발 디딤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술하는 제3 링크 부재(133)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step 10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third link member 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프레임부(120)는, 본 발명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받침부(121)와 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놓이는 수직 받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 및 안전을 위해, 프레임부(120)는 후술하는 외장 커버(18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부(120)는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frame part 120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part 121 and a vertical support part 121 that is vert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121, (Not shown). Further, as shown in Fig. 1, for the sake of appearance and safety, the frame portion 120 can be covered with an outer cover 181 described later. Further, the frame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to which a user can grasp the hand.

링크 유닛(130)은, 발 디딤부(110)에 보행 궤적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10)와 프레임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nk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walking trace to the foot stepping unit 11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oot stepping unit 110 and the frame unit 120 as shown in FIGS. .

예를 들어, 링크 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31), 제2 링크 부재(132), 제3 링크 부재(133), 그리고 제4 링크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131)는 그 일단이 제1 힌지(H1)를 통해 수직 받침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132)는 그 중심 부분에 벤딩부(132a)를 가지는 절곡된 형상을 하며 제2 링크 부재(132)의 일단은 제2 힌지(H2)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3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 링크 부재(133)의 일단은 제3 힌지(H3)를 통해 제2 링크 부재(13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3 링크 부재(133)의 타단은 발 디딤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링크 부재(134)의 일단은 제4 힌지(H4)를 통해 제2 링크 부재(132)의 벤딩부(132a)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4 링크 부재(134)의 타단은 제5 힌지(H5)를 통해 수직 받침부(1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4 힌지(H4)를 원호를 그리며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4 힌지(H4)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한 발이 해당하는 발 디딤부(110)에 힘을 가하면 발 디딤부(110)와 함께 제1, 제2, 제3 및 제4 링크 부재(131)(132)(133)(134)가 해당 힌지를 기준으로 각각 회동되면서 제4 힌지(H4)가 제4 링크 부재(134)에 의해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되어 발 디딤부(10)에 보행 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nk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131, a second link member 132, a third link member 133, and a fourth link member 132, as shown in Figs. Member 134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3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122 through the first hinge H1. The second link member 132 has a bending shape having a bending portion 132a at its central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31 via the second hinge H2.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ne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133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through the third hinge H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133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pped portion 110 . One end of the fourth link member 13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ending portion 132a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through the fourth hinge H4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member 134 is provided on the fifth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122 through the hinge H5 so that the fourth hinge H4 can be moved in a circular arc and the load applied to the fourth hinge H4 can be supported. Therefore, when one of the feet of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corresponding step 10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nk members 131, 132 ( 133) 134 ar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hinges so that the fourth hinge H4 is moved by the fourth link member 134 while drawing an arc to provide a walking locus to the stepping portion 10 .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H1)는 제5 힌지(H5)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132)는 벤딩부(132a)에서 둔각을 이루며 절곡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4, the first hinge H1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fifth hinge H5. Also,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link member 132 may be bent at an obtuse angle in the bending portion 132a.

트레드밀 벨트(140)는, 발 디딤부(110)가 닿는 곳이며, 발 디딤부(110)가 닿을 경우 발 디딤부(110)와 함께 움직이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트레드밀 벨트(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10)가 닿을 수 있는 넓고 평평한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레드밀 벨트(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연결된 폐곡선 형태를 가지며, 수평 받침부(121)에 구비될 수 있다.The treadmill belt 140 is a place where the footstep 110 touches and is a component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footstep 110 when the footstep 110 touches. For example, the treadmill belt 140 may have a wide, flat contact surface that the footstep 110 can touch, as shown in FIGS. 1 and 2. In addition, the treadmill belt 140 has a closed curve shap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121.

특히, 비교적 넓은 접촉면을 가지는 트레드밀 벨트(140)에 발 디딤부(110)가 닿게 되어 보행 재활에 집중할 수 있고, 트레드밀 벨트(140)에 의한 평평한 접촉면의 제공으로 발을 내딛는 시점에서 속도가 빨라지지 않게 실제 지면 보행과 유사한 보행 재활을 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treadmill belt 140 having a relatively wide contact surfac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eadmill 110 so that it can concentrate o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nd the speed is increased at the time of footing with the provision of the flat contact surface by the treadmill belt 140 It is possible to perform walking rehabilitation similar to actual ground walking.

벨트 회전축(150)은, 트레드밀 벨트(140)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벨트 회전축(150)은 수평 받침부(12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belt rotating shaft 150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treadmill belt 140. For example, the belt rotating shaft 15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121.

연동부(160)는, 벨트 회전축(150)과 하지용 링크 유닛(130)을 연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 재활을 하는 동안 자전거 페달과 같이, 좌측 및 우측의 발 디딤부(110) 중 어느 한 발 디딤부(110)가 트레드밀 벨트(140)에 닿으면 나머지 발 디딤부(110)가 체공되는 과정을 번갈아 반복하면서, 링크 유닛(130)에 계속해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 힘이 연동부(160) 및 벨트 회전축(150)을 통해 트레드밀 벨트(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트레드밀 벨트(140)를 밀기 위해 발 디딤부(110)를 트레드밀 벨트(140)에 강하게 접촉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portion 160 is a component that interlocks the belt rotation shaft 150 and the lower link unit 130 with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treadmill belt 140 while one of the left and right footsteps 110, such as the bicycle pedal, touches the treadmill belt 140 while the user is walking and rehabilitating, the remaining footsteps 110 A force can be applied to the link unit 130 continuously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being held and this force can drive the treadmill belt 140 through the linking portion 160 and the belt rotating shaft 150. [ Ultimately, the user does not need to strongly contact the treadmill belt 140 against the treadmill belt 140 in order to push the treadmill belt 14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underbath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예를 들어, 연동부(1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풀리(161), 구동 풀리(162), 그리고 타이밍 벨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 풀리(161)는 제1 링크 부재(131)의 일단[예를 들어, 제1 링크 부재(131)의 일단에 제1 힌지(H1)의 일단이 고정될 경우, 제1 힌지(H1)의 타단]에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복수의 톱니를 가질 수 있고, 구동 풀리(162)는 벨트 회전축(150)에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복수의 톱니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타이밍 벨트(163)는 피동 풀리(161)와 구동 풀리(162)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 부재(131)가 제1 힌지(H1)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피동 풀리(161)가 회전됨과 동시에 타이밍 벨트(163)를 통해 구동 풀리(162)가 회전되어 벨트 회전축(150)이 회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locking portion 160 may include a driven pulley 161, a drive pulley 162, and a timing belt 163,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driven pulley 16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hinge H1 when one end of the first hinge H1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31 The driving pulley 162 is provided on the belt rotating shaft 150 and may have a plurality of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timing belt 163 is provided on the driven pulley 162. [ The driving pulley 161 and the driving pulley 162 can be connected. When the first link member 13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H1, the driven pulley 161 is rotated and the drive pulley 162 is rotated via the timing belt 163, Can be rotated.

특히, 발 디딤부(110)가 트레드밀 벨트(140)에 닿아 움직이는 속도와 트레드밀 벨트(140)의 회전 속도를 동기화하기 위해, 피동 풀리(161)와 구동 풀리(162)의 기어비는 1:1.5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 디딤부(110)가 트레드밀 벨트(140)의 접촉면에 닿을 때 보행 속도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synchronize the speed at which the stepping portion 110 touches the treadmill belt 14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eadmill belt 140, the gear ratios of the driven pulley 161 and the drive pulley 162 are set to 1: 1.5 Lt; / RTI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a sense of unevenness in walking speed when the stepping portion 110 touches the contact surface of the treadmill belt 140.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동부는, 외주면에 톱니가 없는 풀리-벨트 구성품이 사용될 수도 있고, 벨트 없이 기어만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interlocking portion may be a pulley-belt component having no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by gears only without a belt may be used.

구동 모터(170)는, 벨트 회전축(150)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회전축(150)에 착탈부(175)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부(175)에 의한 구동 모터(170)의 탈부착을 통해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를 병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를 한 대 구입하는 것으로, 장애의 정도의 호전에 따라 처음에는 구동 모터(170)를 장착한 자동 모드로 재활을 하다고 장애의 정도가 호전되면 구동 모터(170)를 탈거하여 수동 모드로 재활을 할 수 있어, 장치 구입 비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170 is a component that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belt rotating shaft 150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elt rotating shaft 150 through a detachable portion 17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manual mode and the automatic mode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b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drive motor 170 by the detachable portion 175. In particular, by purchasing a single underarm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gree of the disorder is improved by rehabilitating the automatic mode in which the driving motor 170 is initial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degree of the disorder, (170) can be removed and rehabilitated in the manual mode, thereb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device purchase cost.

예를 들어, 착탈부(1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75a), 지지 브라켓(175c), 그리고 체결 볼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175a)은, 프레임부(120)에 형성될 수 있고, 지지 브라켓(175c)은 구동 모터(170)를 지지하며 체결공(175a)에 상응하는 통과공(175b)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체결 볼트(미도시)는 구동 모터(170)의 축이 벨트 회전축(150)에 결합되면 통과공(175b)과 체결공(175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achable portion 175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175a, a support bracket 175c, and a fastening bolt (not shown),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hole 175a may b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120. The support bracket 175c may support the drive motor 170 and may have a through hole 175b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75a, Whe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170 is coupled to the belt rotation shaft 150, the fastening bolt (not shown)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sequentially into the through hole 175b and the fastening hole 175a.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커버(181)와 개폐 도어(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커버(181)는 프레임부(120)를 감싸며 구동 모터(170)에 상응하는 부분에 착탈용 개방부(181a)를 가질 수 있고, 개폐 도어(182)는 착탈용 개방부(181a)를 개폐시킬 수 있다.1 and 6, the underarm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ver 181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182 . The outer cover 181 covers the frame portion 120 and can have a detachable opening portion 181a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 motor 17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82 can open and close the detachable opening portion 181a, .

따라서, 구동 모터(17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장 커버(181)에서 개폐 도어(182)를 열고[도 6의 (a) 및 (b) 참조], 구동 모터(170)가 지지된 지지 브라켓(175c)을 장착[도 6의 (c) 참조)할 수 있다. 구동 모터(17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이와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Therefore, in order to mount the drive motor 170, first, the opening / closing door 182 is opened in the outer cover 181 (see FIGS. 6A and 6B) (See Fig. 6 (c)). In order to remove the drive motor 170, the reverse operation may be perform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91), 반사판(192), 그리고 제어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he lower limb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191, a reflector 192, and a control unit 193 .

광센서(191)는 수직 받침부(122)에 구비될 수 있고, 반사판(192)은 광센서(191)에 상응하도록 제4 링크 부재(134)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부(193)는 광센서(191)로부터 위치, 속도, 반복 횟수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로부터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재활 강도 등의 재활 진행 정보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스마트디바이스(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191)로는 레이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제어부(193)는 프레임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광센서(191)와 제어부(193)는 전선(19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191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22 and the reflection plate 192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link member 134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tical sensor 191, Spe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etition from the optical sensor 191 and calculates rehabilitation progress information such as the movement time,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rehabilitation intensity from the signal, and provides it as a displayable smart device (not shown) . The optical sensor 191 and the control unit 19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194. The optical sensor 191 may be a laser sensor or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193 may be provided in the frame unit 120, .

따라서, 본 발명의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의 제조사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이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미도시)에 설치될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미도시)를 통해,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재활 강도 등의 재활 진행 정보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고, 재활 진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필요시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재활의 경과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dedicated app provided from the manufacturer of the underarm /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mart device (not shown) of a user, a moving time, a moving distance, Data of rehabilitation progress information such as the rehabilitation strength can be accumulated, rehabilitation progress information can be seen in real time, and the progress of rehabilit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ccumulated data when necessary.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슬관절(11)의 과신전을 방지하기 위한 과신전 방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신전 방지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링크 부재(134)에 구비될 수 있다.8, the underwear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vertight prevention unit 210 for preventing the overeating of the knee 11 of the passenger . As shown in FIG. 8, the extreme prevention part 210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link member 134.

예를 들어, 과신전 방지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211)와 과신전 방지봉(212)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211)는 제4 링크 부재(134)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과신전 방지봉(212)은 높이 조절 부재(211)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슬관절(12)이 접히도록 높이 조절 부재(211)에서 탑승자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발이 바닥을 디디는 순간 과신전 방지봉(212)이 탑승자의 슬관절을 가압하게 되므로, 하나의 보행 사이클(1 Gait Cycle)이 이루어지는 동안, 탑승자의 슬관절(12)의 과신전을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슬관절(12)의 과도한 펴짐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어, 환자중심의 연속적인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조절 부재(211)는 자석(미도시)을 통해 탈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excessive-tension-preven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height-adjusting member 211 and an excessive-prevention bar 212.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11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link member 134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hile the excessive prevention bar 212 is provided on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11 so that the height of the knee joint 12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adjustment member 211 toward the occupant. Therefore, since the excessive prevention bar 212 presses the knee of the passenger at the moment when the foot touches the floor, the overtightness of the knee 12 of the occupant can be prevented during one gait cycle. Ultimately, excessive expansion of the knee joint 12 can be suppressed without the aid of a therapist,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effect of patient-centered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Here,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11 may be detachably attached through a magnet (not shown).

나아가, 과신전 방지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이동 안내 부재(213), 제1 자석(214), 그리고 제2 자석(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후 이동 안내 부재(213)는 레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과신전 방지봉(212)과 높이 조절 부재(211) 사이에 구비되어 과신전 방지봉(21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자석(214)은 전후 이동 안내 부재(213)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제2 자석(215)은 제1 자석(214)에 상응하도록 과신전 방지봉(2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자석(214)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8, the over-tension preventing portion 210 may further include a back-and-forth moving guide member 213, a first magnet 214, and a second magnet 215, as shown in FIG. The back and forth movement guide member 213 may be formed of a rail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ression prevention bar 212 an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11 to guide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supression prevention bar 212. The first magnet 214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ack and forth movement guiding member 213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agnet 215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upression blocking bar 2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magnet 214 And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 214.

따라서, 과신전 방지봉(212)이 전후 이동 안내 부재(213)를 따라 전후 이동되는 동안 척력이 작용하는 동일한 극성의 제1 및 제2 자석(214)(215)을 통해 과신전 방지봉(212)을 자연스럽게 완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슬관절(12)에 가해지는 충격 또한 흡수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Thus, the supression-prevention rod 212 is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14 and 215 of the same polarity to which the repulsive force acts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back and forth movement guide member 213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joint 12 can be absorb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슬관절(도 8의 11)의 내외전을 방지하기 위한 내외전 방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외전 방지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될 수 있다.9, the underarm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 outer-frontal prevention unit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nee of the occupant (11 in FIG. 8) (220). The inner / outer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20 may be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내외전 방지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위치 조절부(221)와 하퇴 파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위치 조절부(221)는 제3 링크 부재(133)에 회전축(S)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하퇴 파지부(222)는 상하 위치 조절부(221)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하퇴부(도 8의 12)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재활 시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환자의 슬관절의 외회전과 내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환자중심의 연속적인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inner / outer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20 may include a vertical position adjusting portion 221 and a lower gripping portion 222.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portion 22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through a rotation axis S while the lower gripping portion 2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portion 221, (12 in Fig. 8). Therefore, in the case of gait rehabilitation, the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patient 's knee joint can be suppressed without the help of the therapist, so that the effect of the patient - centered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further enhanced.

여기서, 상하 위치 조절부(221)는 수직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실린더의 하단부는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될 수 있고, 피스톤은 수직 실린더에 삽입되어 수직 실린더에 상하 이동되고 좌우 회전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에 하퇴 파지부가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하퇴 파지부(222)의 높이를 조절하여 하퇴 파지부(222)를 탑승자의 하퇴부(도 8의 12)에 맞출 수 있다.Here,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unit 221 may include a vertical cylinder and a pist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ylinder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link member 133, and the piston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cylinder,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cylinder, rotated left and right, and the lowered grip may be placed at the upper end thereof. Therefore, the height of the lower gripper 222 can be adjusted to match the lower gripper 222 with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12 in FIG. 8).

또한, 하퇴 파지부(222)는 탑승자의 하퇴부(도 8의 12)의 두께를 고려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띠 형태의 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밴드를 고정하기 위해 벨트로(velcro)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gripper 222 may be formed of a band-shaped band or the lik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lower portion (12 of FIG. 8) of the occupant. Velcro or the like may be used to fix the band .

또한, 회전축(S)에 구간 멈춤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전 방지부(220)가 80도에서 105도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발가락 부분이 지면에 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S may further include a stop (not show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ner / outer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20 so as to rotate in the range of 80 to 105 degrees as shown in FIG. 10 . 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the toe portion is attracted to the ground can be prevented.

======================================================================================================= ===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 보행 재활 기기에 구비되는 속도가변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속도가변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4은 도 12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가변모듈의 측단면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ed variable module provided in a lower limb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ed variable module of FIG. 11,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FIG. 12, and FIG.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spe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하지 보행 재활 기기의 구성은 위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하지 보행 재활 기기와 대부분이 동일하며, 다만 구동 모터(도 5의 170)와 벨트 회전축(도 5의 150) 사이에 속도 가변을 위한 속도가변모듈(300)을 구비한 점만 상이하다. 즉, 구동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동력이 속도가변모듈(300)을 거쳐서 벨트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점만 추가된 구성이다.The rest grenade rehabili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mostly the same as the rest grenade rehabilitation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except that the gap between the drive motor (170 in Fig. 5) and the belt rotation shaft And a speed variable module 300 for varying the speed. That is, only the point where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belt rotation shaft via the speed varying module 300 is added.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추가되는 새로운 구성인 속도가변모듈(300)을 위주로 살펴본다.Therefore, the speed variable module 300, which is a new structure to be add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속도가변모듈(300)은 동력발생기(310), 제1하우징(320), 제1래칫기어(330), 제2래칫기어(340), 제2하우징(350), 베어링(360), 커버(370) 및 전달축(380)을 포함한다.The speed variable module 300 includes a power generator 310, a first housing 320, a first ratchet gear 330, a second ratchet gear 340, a second housing 350, a bearing 360, (370) and a transmission shaft (380).

상기 동력발생기(310)는 상기 구동 모터(도 5, 6의 170)를 내장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전달축(380)은 상기 동력발생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벨트 회전축(도 5 내지 도 6의 150)에 전달하는 축이다. 상기 전달축(380)이 벨트 회전축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전달축(380)이 상기 벨트 회전축을 직접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5 and 6)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The transmission shaft 380 rotates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to the belt rotation axis (FIG. 5 To 150 in Fig. 6). The transmission shaft 380 may be connected to the belt rotation shaft, and the transmission shaft 380 may directly constitute the belt rotation sh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속도가변모듈(300)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즉, 벨트 회전축)으로 전달하되, 모터에서 회전축의 방향으로만(즉, 일방향으로만 전달하고) 동시에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단속적이란, 축이 영구적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력이 항상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만 회전이 전달되고 특정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variable module 300 transmits the rotation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rotation axis (i.e., the belt rotation axis)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e., It is a configuration for intermittently transmitting it. Here, the intermittent means that the axis is permanently connected so that the rotation force is not always transmitted, but the rotation is transmitted only under a specific condition, and the rotation is not transmitted when a certain condition is exceeded.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일방향' 및 '단속적' 전달을 위해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이들의 회전축이 서로 일치하게 배치된다. '회전축'이란 이들 래칫기어가 회전할 때 회전의 기준이 되는 중심축을 의미하며 실재하지는 않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일측면(도 12에서 왼쪽)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유닛(351,353)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일측면(도 12에서 오른쪽)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유닛(361,363)을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340 and 340 coincide with each other for 'one-way' and 'intermittent' transmission. The term "axis of rotation" refers to a central axis on which these ratchet gears rotate when they rotate, and means a virtual axis that is not real.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351 and 353 disposed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12)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units 351 and 353 disposed on one side (right side in FIG. 12) And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361, 363).

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유닛은 각각 두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하여 영구자석유닛을 구성하는 두 개의 자석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영구자석유닛을 구성하는 두 개의 자석이 서로 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 영구자석유닛에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및 제2래칫기어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And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are each formed of two magnets, with the same pole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two magnets constituting the permanent magnet unit act on each other repulsively. Since the two magnets constituting the permanent magnet unit are acted upon by the repulsive force of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existing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units are u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상기 제1하우징(320)은 하우징축(315)이 상기 동력발생기(310)의 체결공(313)에 체결되되, 체결공의 홈(313a)과 측면돌기(315a)가 서로 끼워져서 회전이 전달된다. 그리고, 도 12에서 미설명 부호, 370은 제1하우징의 커버이다.The housing 315 of the first housing 3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313 of the power generator 310 so that the fastening hole 313a and the side wall protrusion 315a are fitted to each other, do. 12, reference numeral 370 denotes a cover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원주면에 제1원주돌기(335) 및 제2원주돌기(345)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 형상이되, 원주면이 서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이 서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측면이 서로 접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3 to 14,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have first circumferential protrusions 335 and second circumferential protrusions 345 formed on respective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axial directio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ide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이때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을 위한 돌기인 제1측면돌기(333)와 제2측면돌기(343)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는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회전이 전달되는데, 회전 전달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측면돌기(333)와 제2측면돌기(343)가 접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제1측면돌기(333)와 제2측면돌기(343)는 일방향 회전 전달(제1래칫기어->제2래칫기어)을 위해 경사면을 가진 돌기로 형성된다. 즉, 제2래칫기어에서 제1래칫기어로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것은 제2래칫기어(340)의 회전이 더 빠른 경우 제2측면돌기(343)가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제1측면돌기(333)를 타고 올라서 회전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이하 설명함).At this time,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33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343, which are protrusions for transmitting un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correspond to each other at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Respectively. The rotation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is transmitted while the sides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33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343 .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s 33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s 343 are formed as protrusions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one-way rotation transmission (first ratchet gear-> second ratchet gear). That is, the rot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atchet gear to the first ratchet gear. This is because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is faster,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343 rides on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333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to prevent rotation transmission Explained.

그리고, 본 발명의 속도가변모듈은,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상기 제1영구자석(351,353)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320)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와 상기 제2영구자석(361,363)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350)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제1하우징->제1래칫기어->제2래칫기어->제2하우징의 순서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벨트 회전축으로 전달된다.The speed variabl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320 for accommodating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s 351 and 353 and a second housing 320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nd the second permanent And a second housing (350) for receiving magnets (361, 363).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housing -> the first ratchet gear -> the second ratchet gear -> the second housing, and finally transmitted to the belt rotating shaft.

여기서, '제1하우징에서 제1래칫기어로 회전 전달' 및 '제2래칫기어에서 제2하우징'으로 회전 전달을 위해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홈과 래칫기어 원주면에 원주돌기를 구비한다.Here, the housing includes a sliding groove and a circumferential projection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tchet gear for 'rotation transmission from the first housing to the first ratchet gear' and rotation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ratchet gear to the second housing'.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1원주돌기(335)와,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2원주돌기(345)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325)과, 상기 제2하우징(3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홈(355)을 더 포함한다.The second ratchet gear 340 includes a first circumferential protrusion 335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protrusion 345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 A first sliding groove 32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20 and a second sliding groove 35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50.

상기 제1원주돌기(335)는 제1슬라이딩홈(325)에 수용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2원주돌기(345)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355)에 수용되고, 회전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The first circumferential projection 335 is receiv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325 and is slidably receive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he second circumferential protrusion 345 is received in the second sliding groove 355 and is slidably receive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따라서,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전달축(380)으로 전달될 때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속도 보다 빨라서 상기 제1 및 제2래칫기어의 제1 및 제2측면돌기가 맞물려서 회전전달이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38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housing is high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hous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ide proj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Rotational transmission is achieved by engaging.

그런데, 제2하우징의 회전속도가 제1하우징 보다 빠른 경우(재활 기기 사용자의 수동힘에 의한 벨트 전달축의 회전속도가 더 빠른 경우), 제2하우징에서 제1하우징으로 회전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른 경우, 제2래칫기어(340)의 제2측면돌기(343)가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제1측면돌기(333)를 타고 올라서 회전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비된다.However,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housing is faster than that of the first housing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belt transmission shaft due to the manual force of the rehabilitation device user is faster), rotation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is not performed. This is because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housing is high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343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is engaged with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331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333) so that rotation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원리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기능 회복 정도에 따라 모듈을 탈착할 수 있어 다양한 훈련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다. 트레드밀 기반의 보행재활기기에 속도 가변형 모듈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맞게 보행 재활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저속의 전동모터에 의한 안정적인 시작 및 정지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etach the modu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very of his / her body function, so that various training protocols can be applied. A speed variable module is attached to a treadmill-based gait rehabilitation device to enable gait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d stable starting and stopping by a low-speed electric motor becomes possible.

사용자의 신체능력이 저하되면 모터의 저속의 회전력에 의해 안정적인 보행 재활을 지속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신체능력이 향상되어 모터 구동에 의한 회전속도보다 빠른 전달축의 움직임이 생성되면 모터 회전과 별도의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f the user's physical ability is deteriorated, stable walking rehabilitation can be sustained by the low rotational torque of the motor. If the user's body ability is improved and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shaft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by the motor driving is generated, Independent rotation is possible.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행재활의 시작 및 끝과 신체능력이 저하되는 시점에는 전동 모터의 도움을 받고, 신체능력이 좋을 경우 전동 모터가 제공하는 일정 속도 이상의 보행 재활을 스스로의 힘으로 구현할 수 있어 장시간 연속적인 보행 재활로 인한 재활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st the electric motor at the start and end of the gait rehabilitation and at the time when the physical ability is deteriorated, and can realize the gait rehabilitation at a constant speed or more provided by the electric motor by itself when the body ability is goo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habilitation effect due to continuous walking rehabilitation for a long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하지 보행 재활 기기
110: 발 디딤부 120: 프레임부
121: 수평 받침부 122: 수직 받침부
130: 하지용 링크 유닛 131: 제1 링크 부재
132: 제2 링크 부재 132a: 벤딩부
133: 제3 링크 부재 134: 제4 링크 부재
140: 트레드밀 벨트 150: 벨트 회전축
160: 연동부 161: 피동 풀리
162: 구동 풀리 163: 타이밍 벨트
170: 구동 모터 175: 착탈부
175a: 체결공 175b: 통과공
175c: 지지 브라켓 181: 외장 커버
181a: 착탈용 개방부 182: 개폐 도어
191: 광센서 192: 반사판
193: 제어부 210: 과신전 방지부
211: 높이 조절 부재 212: 과신전 방지봉
213: 전후 이동 안내 부재 214: 제1 자석
215: 제2 자석 220: 내외전 방지부
221: 상하 위치 조절부 222: 하퇴 파지부
300: 속도가변모듈 310: 동력발생기
320: 제1하우징 330: 제1래칫기어
340: 제2래칫기어 350: 제2하우징
360: 베어링 370: 커버
380: 전달축
100: Lower leg rehabilitation equipment
110: stitching portion 120: frame portion
121: horizontal support portion 122: vertical support portion
130: lower link unit 131: first link member
132: second link member 132a:
133: third link member 134: fourth link member
140: treadmill belt 150: belt rotating shaft
160: interlocking portion 161: driven pulley
162: drive pulley 163: timing belt
170: drive motor 175:
175a: fastening hole 175b: through hole
175c: support bracket 181: outer cover
181a: detachable opening portion 182: opening / closing door
191: light sensor 192: reflector
193: Control section 210:
211: height adjusting member 212: hypersensitive bar
213: back and forth movement guide member 214: first magnet
215: second magnet 220: inner / outer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21: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section 222: lower grip section
300: speed variable module 310: power generator
320: first housing 330: first ratchet gear
340: second ratchet gear 350: second housing
360: Bearing 370: Cover
380: transmission shaft

Claims (6)

발 디딤부; 수평 받침부와 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놓이는 수직 받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20); 상기 발 디딤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에 보행 궤적을 제공하는 하지용 링크 유닛(130); 상기 수평 받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발 디딤부가 닿아 상기 발 디딤부와 함께 움직이는 트레드밀 벨트(140); 상기 수평 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트레드밀 벨트의 회전을 안내하는 벨트 회전축(150); 상기 하지용 링크 유닛과 상기 벨트 회전축을 연동시키는 연동부(160); 상기 벨트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70);를 포함하고,
상기 하지용 링크 유닛은,
상기 수직 받침부에 일단이 제1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2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벤딩부를 가지는 절곡된 형상의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3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발 디딤부에 구비되는 제3 링크 부재; 및 상기 벤딩부에 일단이 제4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받침부의 상부에 제5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4 힌지를 원호를 그리며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4 힌지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4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링크 부재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슬관절의 과신전을 방지하는 과신전 방지부(210);와
상기 구동 모터(170)와 벨트 회전축(15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을 벨트 회전축에 전달하되, 회전 속도 가변이 가능한 속도가변모듈(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
Footsteps; A frame portion 120 including a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and a vertical receiving portion vert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A lower link unit (130) provided between the foot step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and providing a walking trajectory to the foot step portion; A treadmill belt 140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art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ootstep part; A belt rotating shaft (150) rotatably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and guiding rotation of the treadmill belt; An interlocking part (160) for interlocking the lower link unit and the belt rotation shaft; And a driving motor (170)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belt rotating shaft,
Wherein the lower link unit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by a first hinge; A second link member having a bent shape 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by a second hinge and having a bending portion; A third link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a third hin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step portion; And a fourth hinge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bending portion by a fourth hinge and a second end rotatable by a fifth hinge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to move the fourth hinge in a circular arc, And a fourth link member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the hinge,
An overspeed prevention unit 210 provided on the fourth link member to prevent excessive knocking of the knee of a passenger;
And a speed variable module (300)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motor (170) and the belt rotating shaft (150)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to the belt rotating shaft, (10).
제1항에서, 상기 속도가변모듈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 그리고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고, 회전축이 일치하게 배치되는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유닛(351,353);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유닛(361,3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1영구자석유닛과 2개의 제2영구자석유닛 각각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자석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래칫기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ratchet gear 330 and a second ratchet gear 340,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 one direction and intermittently, and in which rotational ax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 first permanent magnet unit (351, 35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unit (361, 36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first permanent magnet units and the two second permanent magnet units are magnets arranged so that a repulsive force acts therebetween so as to apply a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 walk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equipped with a variable module.
제2항에서,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제2래칫기어(3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일방향 회전력 전달을 위한 돌기인 제1측면돌기(333)와 제2측면돌기(343)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33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343, which are protrusions for transmitting un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nd a speed changeable module for changing the speed of the gait.
제3항에서,
상기 제1래칫기어(330)와 상기 제1영구자석유닛(351,353)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320); 및
상기 제2래칫기어(340)와 상기 제2영구자석유닛(361,363)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회전력이 상기 제2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housing 320 for accommodating the first ratchet gear 33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units 351 and 353; And
And a second housing (350) for receiving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unit (361, 363)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housing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housing.
제4항에서,
상기 제1래칫기어(33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1원주돌기(335);
상기 제2래칫기어(340)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제2원주돌기(345);
상기 제1원주돌기(335)가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325); 및
상기 제2원주돌기(345)가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3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홈(355);을 더 포함하는 속도가변모듈을 구비한 보행 재활 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circumferential projection (335)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atchet gear (330);
A second circumferential projection (345)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atchet gear (340);
A first sliding groove (32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20) so that the first circumferential projection (335) is axially slidably received; And
And a second sliding groove (35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50) so that the second circumferential projection (345) is axially slidably received in the second housing (350) .
삭제delete
KR1020180042239A 2018-04-11 2018-04-11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KR101979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39A KR101979364B1 (en) 2018-04-11 2018-04-11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39A KR101979364B1 (en) 2018-04-11 2018-04-11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64B1 true KR101979364B1 (en) 2019-05-16

Family

ID=6667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39A KR101979364B1 (en) 2018-04-11 2018-04-11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2245A (en) * 2011-10-18 2013-04-24 昆山亨利金属科技有限公司 Bilateral type displacing hub ratchet structure
JP2015535704A (en) * 2012-09-26 2015-12-17 ウッドウェイ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readmill with integrated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KR101790048B1 (en) 2017-03-07 2017-10-26 김형식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treadmi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2245A (en) * 2011-10-18 2013-04-24 昆山亨利金属科技有限公司 Bilateral type displacing hub ratchet structure
JP2015535704A (en) * 2012-09-26 2015-12-17 ウッドウェイ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readmill with integrated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KR101790048B1 (en) 2017-03-07 2017-10-26 김형식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treadmi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934B2 (en) Upper and lower limb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JP7231752B2 (en)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KR100731899B1 (en) Power-driven walking supporting device
US86084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ait training
KR101963868B1 (en) Lower limb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120329611A1 (en) Motorized Lower Body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KR101790048B1 (en)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based on treadmill
KR101247078B1 (en) Tendon-Driven Exoskeletal Power Assistive 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39276B1 (en) A sliding assembly and a a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ng thereof
KR101494685B1 (en)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KR101146112B1 (en) Power-driven walking supporting device
WO1989001353A1 (en) Active and passive coordinated walking device
KR100580971B1 (en) Rehabilitation Medicine Device for Compound Joint Motion
KR101492347B1 (en) Rehabilitation sports apparatus of ankle joint
KR102384150B1 (en) A joint assembly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101934268B1 (en) Gait rehabilitation robot
US20170224571A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KR20190073989A (en) Ankle muscle resistive training apparatus
CN111973405A (en) Leg exoskelet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4168B1 (en) Shoulder Rehabilitation Robot
KR20100044359A (en)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KR101979364B1 (en)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module
KR101991243B1 (en) Ergometer for rehabilitation exercise
JP5491706B2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CN111281739A (en) Recovered ectoskeleton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