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58B1 - Plastic ampule - Google Patents

Plastic amp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58B1
KR101978658B1 KR1020107019441A KR20107019441A KR101978658B1 KR 101978658 B1 KR101978658 B1 KR 101978658B1 KR 1020107019441 A KR1020107019441 A KR 1020107019441A KR 20107019441 A KR20107019441 A KR 20107019441A KR 101978658 B1 KR101978658 B1 KR 10197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mension
plastic
separat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5732A (en
Inventor
히데시 나카노
히데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65D1/095Ampoules made of flexible material

Abstract

두부 내의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한 경우여도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을 흔들어 잔존한 내용액을 본체부 내에 낙하시키는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가 용이하게 가능하고, 개봉시의 취급이 바람직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한다.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3)에 분리부(10)를 통해 연설된 두부(6)와, 상기 두부(6)에 연설된 손잡이부(9)를 구비하고, 손잡이부(9)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를 구부(3)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에 있어서, 두부(6) 내의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했다.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을 용이하게 배액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봉하기 쉽고 또한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비산되기 어려워진다.Even if the content liquid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the remaining content liquid can be easily removed by shaking the plastic ampoule before use and dropping the remaining content liquid into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remaining content liquid can be easily removed, Provide plastic ampoules. A head portion 6 extending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10 at a bend portion 3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knob portion 9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6, The hollow portion 8 in the head portion 6 is formed as a main bulb in the plastic ampoule in which the head portion 6 is separated from the bulge portion 3 by opening with the finger. It is possible to easily drain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8 by forming the hollow portion 8 into a main type and to easily open the liquid content and to scatter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8 at the time of opening It gets harder.

Description

플라스틱 앰플{PLASTIC AMPULE}Plastic ampoule {PLASTIC AMPULE}

본 발명은 약액 등의 내용액을 충전한 후에 본체부의 구부(口部)로부터 두부(頭部)를 분리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ampoule capable of separating and opening a head from a mouth of a main body after filling a liquid such as a chemical liquid, and a chemical filled plastic ampoule using such a plastic ampoule.

종래 주사용의 약액 등을 봉입하는 유리제나 플라스틱제 등의 다양한 앰플이 개발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지만, 취급시의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앰플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앰플에 약액을 충전한 주사용 앰플제제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그 일 공정으로서 약액 등의 내용액을 충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의 성형 공정과 내용액의 충전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이른바 블로우 필 시일(blow fill seal)법이 채용되고 있다.A variety of ampoules such as a glass agent and a plastic agent which encapsulate a drug solution for conventional use ar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convenience in handling, the demand for plastic ampoules is increas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jectable ampule preparation filled with the chemical solution in the plastic ampule, since it is necessary to fill the contents solution such as the chemical solution as the one step, the molding process of the plastic ampule and the filling process of the contents solution are continuously performed A so-called blow fill seal method is employed.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1a)을 소(小)분할용 박육부(13a)를 통해 연설(連設)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형태로 제조할 경우가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형태로 제조한 경우에는 플라스틱 앰플 블록에 형성한 소분할용 박육부(13a)의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1a)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1a)은 본체부(2a)의 구부(3a)에 분리부(10a)를 통해 두부(6a)를 연설함과 아울러, 두부(6a) 내를 중공으로 형성하여 구부(3a)[즉, 본체부(2a)]에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2a)의 구부(3a)를 확실하게 개구시키도록 두부(6a)와 본체부(2a)를 연통시키는 분리부(10a)는 잘록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6,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1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mall-division thin-walled portion 13a to form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1a,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ampule block.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the form of a plastic ampule block, the respective plastic ampule 1a is separated from the portion of the small-size thin-wall portion 13a formed in the plastic ampule block and used. In 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1a, the head portion 6a is pro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10a in the bulge portion 3a of the body portion 2a, and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6a is hollowed to form a bend 3a (that is, the main body 2a). The separating portion 10a for communicating the head portion 6a and the main body portion 2a so as to reliably open the bent portion 3a of the main body portion 2a is formed to be constricted.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1a)은, 도 4(B)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a)는 손잡이부(9a)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고, 두부(6a)의 내부에 동 형상의 중공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부(6a)의 하단부는 분리부(10a)를 통해 구부(3a)에 연설되어 있고, 두부(6a)와 일체의 손잡이부(9a)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a)를 구부(3a)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구부(3a)의 상단부에 개구부(4a)가 형성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두부(6a)의 하단부에도 개구부(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부(6a)의 하단부는 분리부(10a)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라스틱 앰플은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제조했을 때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10a)에 연설되는 두부(6a)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p)는 구부(3a)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q)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p<q).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1a shown in Fig. 6 has a head portion 6a having a substantially pentagonal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plane of the knob portion 9a, as shown in Fig. 4 (B) A hollow portion 8a having a circular shape is formed inside the head portion 6a. The lower end of the head 6a is connected to the bend 3a via the separating portion 10a and the head 6a is bent by fingers with the finger 9a integral with the head 6a, The opening 4a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ulge 3a. In this case, similarly, the opening portion 4a is also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6a.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6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parating portion 10a. 7 (B), when the plastic ampule is manufactured by a blown-fill seal method or the like, the plastic ampule has a thickness (p) of the lower end portion (near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a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10a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bulge portion 3a (p < q).

또한,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로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b)의 형상을 손잡이부(9b)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을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두부(6b)의 내부에 동 형상의 중공부(8b)를 형성한 것이 있다. 이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두부(6b)의 하단부가 분리부(10b)를 통해 구부(3b)에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6b)와 일체의 손잡이부(9b)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b)를 구부(3b)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구부(3b)의 상단부에 개구부(4b)가 형성됨과 아울러 두부(6b)의 하단부에 개구부(4b)가 형성된다. 이 형태에서도, 두부(6b)의 하단부는 분리부(10b)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상기 도 6의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제조했을 때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10b)에 연설되는 두부(6b)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p)는 구부(3b)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q)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p<q).4 (C),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6b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along the plane of the handle portion 9b, and the head portion 6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 And a hollow portion 8b of a copper shap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8a. In this plastic ampule,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6b is connected to the bend portion 3b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10b. An opening 4b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3b when the head 6b is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3b by fingering the knob 9b integral with the head 6b with a finger, The opening 4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4b. Also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6b is formed substantially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separating portion 10b. Also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the plastic ampule of Fig. 6, when manufactured by the blown-fill seal method, as shown in Fig. 7 (C), the head portion 6b of the head portion 6b The wall thickness p of the lower end portion (near the separation portion)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bulge portion 3b (p < q).

도 6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a)과 마찬가지의 플라스틱 앰플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접속부를 통해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은 구부와 두부(파지부) 사이에 융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접속부는 용기 본체부로부터 파지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융착부가 축경되어 있는 일은 없다. 또한, 두부는 파지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두부의 하단부는 융착부에 평행하는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융착부 부근의 벽두께에 관한 기재는 없다.A plastic ampule similar to the plastic ampule 1a shown in Fig. 6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Fi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plastic ampoule block, and each plastic ampoule forms a fused portion between a bend portion and a head portion (grip portion). In the plastic ampule of Patent Document 1,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to the grip portion, and the fused portion is not reduced in diameter.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t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along the plan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parallel to the fused portion. However,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the wall thickness in the vicinity of the fused portion.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로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합성 수지제 앰플을 박육부를 통해 연설하여 합성 수지제 앰플 블록을 형성하고, 각각의 합성 수지제 앰플의 어깨부와 세경부(細頸部) 사이에 비틀어끊음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비틀어끊음부의 상하에 걸쳐 형성한 판 형상부에 비틀어끊음부 상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박육부를 형성한 플라스틱 앰플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세경부는 판 형상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경부의 하부는 역원추 형상으로 축경되어 있다. 그 결과, 세경부 전체로서 주발형은 하고 있지 않고, 또한 동 문헌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틀어끊음부와 그 상부 부근의 벽두께는 거의 균일하다.As a conventional plastic ampule,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ampoules are spoken through a thin portion to form a synthetic resin ampoule block, and a synthetic resin ampoule is formed betwee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narrow neck portion of each synthetic resin ampoule And a thin plat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wist brea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n wall portion alo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twist breaking porti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Patent Document 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entagonal sectional shape along the plane of the plate-lik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in-walled portion is reduced in diameter in an inverted conical shape. As a result, the entire neck portion does not have a main shape, and as shown in Fig. 3, the torsion bar portion and the wall thickness near the upper portion are substantially uniform.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로서 특허문헌 3에는 토글을 구비한 헤드와 앰플 본체의 넥 사이에 파단 지점을 형성하고, 토글을 비틀거나 또는 절곡하여 헤드를 파단 지점을 따라 넥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플라스틱제의 앰플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3의 헤드는 토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문헌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헤드나 넥의 벽두께는 거의 균일하다.As a conventional plastic ampule, a plastic ampoule in which a breaking point is formed between a head having a toggle and a neck of an ampule main body, and a toggle is twisted or bent to separate the head from the neck along the breaking point Lt; / RTI > The head of Patent Document 3 has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plane of the togg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wall thickness of the head or neck is almost uniform.

일본 특허 재공표 2004-9377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93775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4-37410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4-37410 일본 특허 공개 평6-218025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218025

도 6 및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는,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중공부의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부의 하단부는 분리부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 조작(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흔들어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본체부 내에 낙하시키는 조작)을 행해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사용되지 않고 로스가 생기고,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비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에는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중공부에 들어간 내용액이 중공부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도, 특허문헌 1이나 도 6[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과 마찬가지로, 두부는 그 중공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부의 하단부는 분리부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하고, 이것이 개봉시에 비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As shown in Fig. 4 (B), the head portion of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6 and Patent Document 1 is formed in a shape of a substantially pentag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parallel to the separating portion The plastic ampoule is shaken while holding the plastic ampule in the hand with the head side of the plastic ampoule up before use, so that the contents solution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is dropp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art, so that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art is not used and a loss is caused, and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art is scattered when the plastic ampule is open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eas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lastic ampule having a chargeable capacity of about 5 ml to 20 ml, since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the contents liquid entering the hollow portion tends to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I can not. Also, in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4 (C), like the plastic ampule shown in Patent Document 1 or Fig. 6 [Fig. 4 (B)],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of a semicircular cross- Si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parat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content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and is easily scattered at the time of opening.

또한, 특허문헌 2의 합성 수지제 앰플은 세경부(본 발명의 중공부에 상당)는 그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세경부의 하부는 역원추 형상으로 축경되어 있으므로 세경부의 내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배액성(排液性)은 상기 도 6[도 4(B)]의 플라스틱 앰플보다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히 용량이 5㎖~20㎖ 정도인 합성 수지제 앰플의 경우에는 세경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이나 도 6[도 4(B),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과 마찬가지로, 세경부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세경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In the synthetic resin ampule of Patent Document 2, the nec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substantially pentagonal shape, and a low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has a reduced diameter in an inverted conical shape. It is considered that the draining property of the remaining liquid inside the container is better than the plastic ampule of Fig. 6 (Fig. 4 (B)). Howev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ynthetic resin ampoule having a capacity of about 5 ml to 20 ml, since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hinned part is not sufficiently ensured, Patent Document 1 or 6 (Fig. 4 (B) ),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on the thinned portion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nned portion and can not be easily removed.

또한, 특허문헌 3의 플라스틱제의 앰플은 헤드(본 발명의 중공부에 상당)는, 특허문헌 3의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 내에 잔존한 내용액의 배액성은 상기 도 6[도 4(B), 4(C)]의 플라스틱 앰플보다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제의 앰플의 경우에는 헤드 내의 용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앰플과 마찬가지로, 헤드 내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헤드 내의 내면에 부착되어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As shown in Fig. 1 of Patent Document 3, since the vertical sectional shape of the ampoule made of plastic in the patent document 3 is substantially elliptical, the head (corresponding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draining property of the remaining liquid is better than that of the plastic ampule of Fig. 6 (Figs. 4 (B) and 4 (C)). However, in the case of an ampoule made of plastic having a capacity of about 5 ml to 20 ml, the volume in the head is not sufficiently secured.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synthetic resin ampule shown in Patent Document 2, It can not easily be removed.

또한, 도 4(B), 4(C)의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이나, 특허문헌 1 및 2의 플라스틱 앰플은 분리부에 연설되는 두부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가 구부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와 동등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어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전해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두부를 비틀어 끊는 것이 의외로 어려워서 의료 현장에 있어서 불편하고 불리하게 되어 있다. 특히, 비틀어 끊기의 최후에 플라스틱의 끈과 같은 것 1개로 두부와 본체부가 연결된 상태가 될 경우가 있고, 이것을 잡아떼기에 수고스러워지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변형된 두부의 하단부가 개봉 직후에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움직임에 의해 두부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비산될 경우도 있다.The plastic ampoules of FIGS. 4 (B) and 4 (C), and the plastic ampoules of Patent Documents 1 and 2, are designed so that the wall thickness of the lower end portion (near the separating portion) When the plastic ampoule is opene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deformed when the whole handle portion is twisted with the head portion at the time of opening the plastic ampoule, so that the bit force is hardly transmit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Because of this, it is unexpectedly difficult to twist the tofu, which makes it uncomfortable and unfavorable to the medical field. Particularly, there is a case where the head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ngle piece of a plastic string at the end of the twisting and breaking. 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head is scattered by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deformed head por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immediately after open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을 흔드는 제거 조작을 행하여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내용액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품보다 개봉하기 쉽고, 또한 개봉시의 중공부의 변형이 적음으로써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되기 어려운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circumstance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drop the contents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by performing a removing operation of shaking the plastic ampule before u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tic ampule capable of using most of them and a chemical-filled plastic ampule using such a plastic ampule. In addition, by forming the hollow portion into a main bulb shape, the plastic ampoule which is easier to open than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which has less deformation of the hollow portion at the time of unsealing, and the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is hardly scattered upon open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mpoul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이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 및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main body,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A plastic ampule which is separated from a bend and is opened. A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and a wall thickness of a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이하, 본 발명 플라스틱 앰플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형태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Mode 1) A plastic ampule having a main body portion,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knob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and separating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 portion by bending the knob portion , And a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ulge.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 wherein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Mode 3)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 wherein a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of 4 mm to 13 mm.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2 또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Mode 4)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 or Embodiment 3, wherein a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a size of 8 mm to 12 mm.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2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5) In any one of Embodiment Modes 2 to 4,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ulb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4 mm to 7 mm Plastic ampoules.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상기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Mode 6)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5, wherein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not less than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실시 형태 7)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7) A plastic ampule having a main body,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knob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and separating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 portion by bending the knob portion , And a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8 mm And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4 mm to 7 mm.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8)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 wherein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9)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 wherein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of 5 mm to 10 mm.

(실시 형태 10)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5㎜~8.5㎜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0)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 wherein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5 mm to 8.5 mm.

(실시 형태 11)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1)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 8 to Embodiment 10, wherein a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 mm to 13 mm.

(실시 형태 12)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6㎜~12㎜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Twelfth Embodiment)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modes 8 to 10, wherein a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o be 6 mm to 12 mm.

(실시 형태 13)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3)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modes 8 to 12, wherein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a size of 9 mm to 11 mm.

(실시 형태 14)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Fourteen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eighth to thirteenth embodiments,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 mm to 6 mm Plastic ampoules.

(실시 형태 15) 실시 형태 14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상기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5)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4, wherein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not less than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실시 형태 16)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6) A plastic ampule having a body portion,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knob portion extending to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knob portion is opened to separate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 portion , And a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a vertical direction of 5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9 mm And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 mm to 6 mm.

(실시 형태 17)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질이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7)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 to 16, wherein the material is a polyethylene resin.

(실시 형태 18)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8)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 to 17, wherein a plastic ampule block is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through a small-size thin portion.

(실시 형태 19) 실시 형태 18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플라스틱 앰플의 각 손잡이부 사이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19)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18, wherein the respective grip portions of adjacent plastic ampoules are separated.

(실시 형태 20)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0)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 Modes 1 to 19,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실시 형태 21) 실시 형태 20에 있어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1)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0,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a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is formed to be 1.2 to 1.8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ng portion.

(실시 형태 22) 실시 형태 20 또는 실시 형태 21에 있어서, 두부 및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대략 같은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2)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0 or Embodiment 21,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a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and the mouth is substantially the same.

(실시 형태 23)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3) A medical fluid fill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opened to separate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ing portion, The ampoul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ampoule is formed as a main body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실시 형태 24)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4) A medical fluid fill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portion, a head portion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at a b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knob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opened to separate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ing portion, Where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ulge, and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3 mm, and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4 mm to 7 mm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end portion.

(실시 형태 2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Fifteenth Embodiment) A medical liquid filling method of a twenty-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a head part extending through a separating part at a b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a handle part extending from the head part, Where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ulge and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s 4 mm to 1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5 mm to 13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5 mm to 13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be 5 mm to 6 mm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end portion.

(실시 형태 26) 실시 형태 23에 있어서, 실시 형태 2~6, 8~15 및 17~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6) A chemical-filled plastic ampoule according to Embodiment 23, wherein the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2 to 6, 8 to 15, and 17 to 22 is used.

(실시 형태 27) 실시 형태 26에 있어서, 약액이 수성 주사용 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7) A chemical-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6, wherein the chemical liquid is an aqueous main use liquid.

(실시 형태 28) 실시 형태 26에 있어서, 약액이 현탁액 또는 유탁액의 주사용 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Embodiment 28) A drug solution 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Embodiment 26, wherein the chemical solution is a suspension or an emuls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은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하게 하는 형상인 것이 특징이며, 주발형을 기본적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는 플라스틱 앰플에 충전되는 내용액의 배액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하게 하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의 플라스틱 앰플인 경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는 3㎜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또한 개구부의 내경 치수는 4㎜ 이상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but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of the plastic ampule is a shape that allows the contents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of the plastic ampule to be easily drained by the removing operation And the main shape is a basic shape.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rained by removing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at leas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t least the hollow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rainag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liquid filled in the plastic ampule And the lik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lastic ampule having a chargeable capacity of 5 ml to 20 ml,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3 mm or more, preferably 4 mm or more,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Is preferably 4 mm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개봉 가능하게 하는 형상인 것이 특징이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를 분리부(q)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p>q).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의 벽두께(q)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A), the wall thickness p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q, (P> q).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thickness p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plastic ampule is 1.2 to 1.8 times larg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separation portio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실시 형태 1)의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구부에 연설되는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으므로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내용액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될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1), since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b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s the main body,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easily removed It is possible to use most of the content liquid and to prevent the content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from being scattered at the time of opening and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can be easily opened and easily handled by the above- have.

실시 형태 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2,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1, since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3 mm to 10 mm, Even if formed,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aining property and to prevent the residual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from remaining,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3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3,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2, since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4 mm to 13 mm, the water conten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art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aining ability and to prevent the residual liquid in the hollow part from remaining, Ampoules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4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 또는 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4,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2 or 3, since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8 mm to 12 mm, Even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is more likely to be dripped,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One plastic ampoul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5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5,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ny one of the embodiments 2 to 4,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is 4 mm to 7 mm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by the removing operation even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so that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is better and the remaining liquid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easy to handle and has good openability.

실시 형태 6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5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6,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not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content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is more easily discharged,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and a plastic ampul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7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and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13 mm,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8 to 12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is 4 to 7 mm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can be easily handled and which can be easily opened by the above-mentioned formation.

실시 형태 8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8,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1, since the min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4 to 10 mm, the water content Even if formed,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aining property and to prevent the residual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from remaining,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9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9,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1, since the min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5 to 10 mm, the water cont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is better,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the plastic can be easily opened Ampoules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10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5㎜~8.5㎜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10,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1, since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5.5 mm to 8.5 mm,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is better,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the plastic can be easily opened Ampoules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11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11,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any one of Embodiments 8 to 10, since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dimension of 5 mm to 13 mm, Even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is better discharged,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easy to handle.

실시 형태 1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6㎜~12㎜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12,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any of the embodiments 8 to 10, since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6 mm to 12 mm, Even if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is better and the liquid content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can be easily handled.

실시 형태 13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13,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any one of Embodiments 8 to 12, since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9 mm to 11 mm, Even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is better discharged,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easy to handle.

실시 형태 14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ny one of the eighth to thirteenth inventions,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is 5 mm to 6 mm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residual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by the removing operation even when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so that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is better and the remaining liquid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easy to handle and has good openability.

실시 형태 15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4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since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not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content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the removing operation, so that the liquid is more easily discharged, the content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and a plastic ampul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16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매우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ulge, and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and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5 mm to 10 mm, 13 mm,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9 to 11 mm, and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is 5 to 6 m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very good and which does not cause the residual liquid to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and which is easy to open and which is easy to handle.

실시 형태 17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재질을 폴리에틸렌 수지로 했으므로 개봉이 용이함과 아울러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ny one of the first to sixteenth inventions, since the polyethylene resin is used as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is easy to open, have.

실시 형태 18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했으므로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the eighteen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eenth inventions, since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are formed through the thin part for small division to form the plastic ampule block,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astic ampule capable of being mass-produced in a large quantity.

실시 형태 19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8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인접하는 각 플라스틱 앰프의 각 손잡이부 사이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 블록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을 분리시키는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분리 작업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19,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18, since the grip portions of the adjacent plastic amplifi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rtion separating the plastic ampule from the plastic ampule bloc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ampule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실시 형태 20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개봉성이 보다 향상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twentie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ny one of the first to nineteenth inventions, since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art of the head is formed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art, When the handle is twisted together with the head portion at the time of opening, the bit force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not deformed, and a plastic ampule having improved opening performanc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21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0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개봉성이 더욱 향상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21,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twentie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is formed to be 1.2 to 1.8 times greater than the wall thickness of the separating portion When the plastic ampoule is opened, the beating force is efficiently transmitted by the separating part when the handle is twisted together with the hand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ead is not deformed, and a plastic ampoule with improved opening performance can be provided have.

실시 형태 2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0 또는 2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 및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거의 같은 두께로 형성했으므로 두부에 충분한 경도가 주어져 개봉시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우수한 개봉성의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lastic ampule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twentieth or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the bend por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Since the bit force is efficiently transmitted by the separating portion at the time of unseal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not deformed, and an excellent openable plastic ampul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23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구부에 연설되는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으므로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되는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chemical liquid 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twenty-third embodiment, since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b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the remaining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easily dropped It is possible to use most of the content liquid and also to prevent the content liquid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from scattering at the time of unsealing and to provide the liquid filled plastic ampoule which is easy to handle and easy to handle by the above- .

실시 형태 24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chemical liquid 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twenty-fourth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and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is 3 mm to 1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4 Since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be 4 mm to 7 mm when the hea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end portion, Filled plastic ampoule which is free from the residual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and is easy to open and which is easy to handle can be provided.

실시 형태 25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매우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chemical liquid 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twenty-fifth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and the dimensions of the hollow portion are 4 mm to 1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5 Since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when the head is separated from the bend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 mm to 6 m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filled plastic ampoule which is excellent in properties and free from residual liquid content in the hollow portion and which is easy to handle and which is easy to open.

실시 형태 26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실시 형태 2~6, 8~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했으므로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using the chemical liquid filled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26, since the plastic ampule described in any one of Embodiments 2 to 6 and 8 to 15 to 17 is us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Embodiment 23,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filled plastic ampoule which is free from the residual liquid in the hollow portion and which is easy to open and which is easy to handle.

실시 형태 27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6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약액이 수성 주사용 액이기 때문에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chemical liquid filled plastic ampule described in Embodiment 27,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Embodiment 26, since the chemical liquid is the aqueous main use liquid, the liquid draining property is good and the contents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hollow por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filled plastic ampoule which is easy to handle and which is easy to open.

실시 형태 28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6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약액이 현탁액 또는 유탁액의 주사용 액이기 때문에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liquid medicine filled plastic ampule described in the twenty-eigh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twenty-sixth invention, since the chemical liquid is the main use liquid of the suspension or emuls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filled plastic ampoule which can be easily handled with good open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저면도(A) 및 상면도(B)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을 복수 연설하여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A),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B) 및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C)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A), (B), (C)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을 복수 연설하여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A),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B) 및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C)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배액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벽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1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A) and a top view (B) of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plastic ampule block integrally molded by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shown in Fig.
Fig. 4 is a front view (A)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head of a plastic ampule shown in Fig. 1, a front view (B)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head of a conventional plastic ampule shown in Fig. 6, (C). Fig.
5 is a front view (A), (B), and (C) showing a section of a head of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plastic ampule block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conventional plastic ampoules. Fig.
Fig. 7 is a front view (A) showing the vicinity of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1, a front view (B)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vicinity of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shown in Fig. 4, (C) showing the vicinity of the separating portion of FIG.
8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 drainage test of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plastic ampule.
9 is a table showing results of measurement of wall thicknesses of plastic ampoules and conventional plastic ampoul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을 도 1~도 4(A)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은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상부를 구성하는 구부(3)와, 구부(3)에 분리부(10)를 통해 연설한 두부(6)와, 플라스틱 앰플(1)을 개봉할 때에 두부(6)에 비트는 힘을 작용시키는 손잡이부(9)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1 (A) and 1 (B), a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ortion 2 and a bent portion A head portion 6 provided on the bending portion 3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10 and a handle portion 9 for applying a beating force to the head portion 6 when the plastic ampule 1 is opened It is basically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은 통상 폴리에틸렌 수지(PE)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성형되고, 그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개의 플라스틱 앰플이 동시에 성형된다.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플라스틱 앰플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부터 보통 실시되고 있는 제조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일본 특허 공고 소36-5985호 공보 등을 참조).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formed by a blown-fill seal method with a polyethylene resin (P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five plastic ampoules . Production of a plastic ampule by the blow-fill sealing method is a manufacturing technique that has conventionally been carried ou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e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6-5985).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앰플(1)에 약액인 내용액(14)을 충전한 앰플제제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의 내용액(14)으로서는 수성 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의 주사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상 약액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내용액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앰플은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약액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형상의 화장품, 화학품(시약 등), 식품(조미료 등) 등을 내용액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앰플에 충전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ampule 1 as described above is filled with the liquid medicine 14, which is a chemical liqui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also be carried out with an ampule preparation. Examples of the aqueous solution 14 of the drug solution filled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jections such as an aqueous solution, a suspension and an emulsion, and the like. no. Further, the plastic amp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hemical liquid, and liquid cosmetic, chemical (reagent etc.), food (seasoning etc.)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앰플(1)의 본체부(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액(14)이 충전된다. 본체부(2)의 하부는 저부(12)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본체부(2)의 상부는 축경되어 본체부(2)보다 소경인 구부(3)가 연설되어 있다. 구부(3)의 상부는 구부(3)보다 더욱 축경되어 어깨부(5)가 형성되고, 어깨부(5)의 상단부는 분리부(10)를 통해 두부(6)의 하단부에 연설되어 있다. 본체부(2), 구부(3) 및 어깨부(5)는 연결부(11)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어 있다. 이 연결부(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개의 플라스틱 앰플(1)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성형했을 때에 인접하는 플라스틱 앰플(1, 1) 사이에 형성되고, 그 후 소분할용 박육부(13)의 부분에 의해 분리되어 단독의 플라스틱 앰플(1)로 된다.Hereinafter,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s. 1 to 3, the main body portion 2 of the plastic ampule 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ntents liquid 14 is filled t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 is closed by the bottom portion 1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 is reduced in diameter so as to have a smaller diameter portion 3 than the main body portion 2. [ An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portion 5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through a separating portion 10.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portion 5, The body portion 2, the bend portion 3, and the shoulder portion 5 are integrally reinforc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 3, when the plastic ampoule block composed of, for example, five plastic ampoules 1 is molded by the blow-fill sealing method, the connecting portion 11 is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plastic ampoules 1, And then separated by the portion of the small-size thin-wall portion 13 to be a single plastic ampule 1.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완만하게 만곡하는 대략 반원구 형상의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부(6)의 하부는 분리부(10)를 통해 구부(3)의 상단부[어깨부(5)의 상단부]에 연설되어 있다. 두부(6)는 구부(3)와의 연설부[분리부(10)]를 제외하고 손잡이부(9)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손잡이부(9)와 두부(6) 사이는 연결부(11)와 마찬가지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한 성형시에 일체로 융착되어 있다. 손잡이부(9)는 연결부(11)와 대략 같은 폭[도 1(A)의 좌우 방향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손잡이부(9)와 연결부(11) 사이[분리부(10)의 연장선 상의 부위]는 분리되어 있다. 플라스틱 앰플(1)을 직립 정치한 경우에 중심을 낮게 해서 안정화시키기 위해 손잡이부(9)의 내부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두부(6)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을 때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의 분리부(10)에 연설되는 부위[분리부 부근, 예를 들면 분리부(10) 위 1㎜의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10)의 벽두께(q)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1)의 개봉시에 두부(6)와 일체의 손잡이부(9)를 손가락으로 비틀면 두부(6)의 분리부(10)에 인접하는 부위[두부(6)의 하부]가 변형되는 일 없이 비트는 힘이 분리부(1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성이 향상된다. 양호한 개봉성을 위해서는 두부(6)의 분리부(10)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10)의 벽두께(q)보다 1.2~1.8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부(6) 및 구부(3)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 및 벽두께(r)를 거의 같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자를 ±10% 내의 범위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A) and 1 (B), the head portion 6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having a gently curved sha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oulder portion 5) of the bend portion 3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10. The head portion 6 is surrounded by the handle 9 except for the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mouth portion 3 and the handle portion 9 and the head portion 6 a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ng portion 11 They are integrally fused at the time of molding by the blow-fill sealing method. The handle 9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connecting portion 11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1 (A)), but the handle 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andle 9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 The upper part of the image] is sepa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handle 9 is formed in a hollow structure in order to stabilize the plastic ampule 1 by lowering its center when the plastic ampule 1 is held upright. 7 (A), when the head portion 6 is formed by the blown-fill sealing method or the like, th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which is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10 (For example, 1 mm above the separating section 10) is formed thick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separating section 10. Therefore, when the plastic ampule 1 is opened, twisting the knob portion 9 with the head portion 6 with the finger causes th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adjacent to the separation portion 10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The bit force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eparation portion 10 without being deformed to improve the openability of the plastic ampule. The wall thickness p of th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1.2 to 1.8 times thick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separating portion 10 in order to ensure good opening performance .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wall thickness p and the wall thickness r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6 and the bend portion 3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hickness to within the range of.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앰플 블록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플라스틱 앰플(1, 1)의 손잡이부(9, 9) 사이는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고, 사용시에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1)로 분리할 때에 소분할용 박육부(13)의 부분만을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부(6)의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부(8)의 하부가 개구부(4)를 통해 구부(5), 즉 본체부(2)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grip portions 9 and 9 of the adjacent plastic ampoules 1 and 1 are separately formed in a state of being molded with a plastic ampoule block. In use, each plastic ampoule 1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only the portion of the small-size thin portion 13 for separation. A hollow portion 8 is formed inside the head portion 6.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 through the opening portion 4, .

도 4(A)에 의거하여,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 앰플(1)에 있어서의 두부(6)의 중공부(8)의 내부 형상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공부(8)는 두부(6)의 형상과 대체로 닮은꼴인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8)의 하단부[두부(6)의 개구부(4)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상단부[도 4(A)에서는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W')의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 이하 최소 치수라고 함](H)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이 중공부(8)의 내면(7)에 부착되지 않고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되도록 3㎜~10㎜, 바람직하게는 4㎜~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8.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hape of the hollow portion 8 of the head 6 in the plastic ampule 1 having a chargeable capacity of about 5 ml to 20 ml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 The hollow portion 8 is formed in a "main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6 and has a hollow portion 8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head portion 6) (The portion of the maximum dimension 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in Fig. 4 (A)) of the hollow portion 8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n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3 mm to 10 mm so that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is not easi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Mm, preferably 4 mm to 10 mm, more preferably 5 mm to 10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5.5 mm to 8.5 mm.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발형」이란 도 4(A)에 추가로도 5(A)~(C)로 나타내어지는 형상도 포함하고, 중공부(8)의 내면(7)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해서 개구부(4)에 도달하는 대략 활 형상의 내면(7)을 갖는 형상을 의미한다. 이 내면(7)은 반드시 전체가 만곡해서 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부분적으로 직선 부분을 가져도 된다.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가급적 중공부(8)의 용적을 크게 하고, 중공부(8)의 내면에 잔액이 부착되기 쉬운 예각인 코너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공부(8)의 하단부와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의 최상부(상부 내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는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하, 최대 치수라고 함)(H')는 4㎜~13㎜로 설정할 수 있고, 5㎜~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12㎜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인 편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최대 치수(H')는 상기 최소 치수(H) 이상의 치수로 설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main mold " refers to a shape shown in Figs. 5A to 5C in addition to Fig. 4A, ) Having a generally bow-shaped inner surface 7 which gently curve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 and reaches the opening 4. The inner surface 7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urved in an entire shape, and may have a straight portion part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hollow portion 8 as much as possible and not to generate a corner having an acute angle with which the balance is likely to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8, A protruded shape is preferable. Therefore,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the portion located substantially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Can be set to 4 mm to 13 mm, preferably 5 mm to 13 mm, and more preferably 6 mm to 12 m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8 preferably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dimension (H ') is set to a dimension not less than the minimum dimension (H).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특징 중 하나는, 도 4(A) 및 도 5(A)~(C)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중공부(8)를 주발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용액(14)이 중공부(8) 내에 잔존한 경우여도 간편한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의 물방울이 중공부(8)의 내면(7)의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로 되돌려지는 것이다. 이 경우,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인 편이 중공부(8)의 내면에 잔액이 부착되기 쉬운 예각인 코너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잔액의 배출에는 더욱 유리하다.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shown in Figs. 4 (A) and 5 (A) to 5 (C) . Even i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8 by making the hollow portion 8 into a shape of a main bulge, a simple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water droplets o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Smoothly falls along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and is returned from the opening portion 4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8 protrudes upward, there is no corner at an acute angle with which the remaining liquid tends to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8, which is advantageous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liquid.

또한, 중공부(8) 내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로 되돌리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취하는 형상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는 특히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으므로, 도 4(B) 및 도 4(C)의 중공부(8a, 8b)의 끝 개소에 내용액(14)이 부착되어 배액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H)를 5㎜ 이상의 치수로 설정했다. 중공부(8)를 형성하는 두부(6)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지나치게 크면 손잡이부(9)를 쥐고 비틀어 끊을 때에 방해되는 경우가 있어서 최소 치수(H)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H)는 3~10㎜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8.5㎜인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최소 치수(H)로 설정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이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한 플라스틱 앰플(1)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liably returning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from the opening portion 4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hape that takes up a sufficient space insid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since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 the content liquid 14 is adhered to the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s 8a and 8b of Fig. 4 (B) So that drainage is impossible. In contrast, 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dimension H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set to a dimension of 5 mm or more. If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ead portion 6 forming the hollow portion 8 is excessively large, there is a case where the knob portion 9 is grasped by tilting the knob portion 9, and therefore, the head portion 6 is preferably 10 mm or less in minimum dimension. Therefore, the minimum dimension 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can be 3 to 10 mm, preferably 4 to 10 mm, more preferably 5 to 10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5.5 Mm to 8.5 mm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is minimum dimension (H),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plastic ampule 1 in which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can be easily drained by the removing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형상을 주발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최소 치수(H)는 예를 들면 5㎜~10㎜의 치수이므로, 내용액(14)이 중공부(8) 내에 잔존한 경우여도 간편한 제거 조작[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1)의 두부(6)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1)을 흔들어 잔존한 내용액(14)을 본체부(2) 내에 낙하시켜 제거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의 물방울이 중공부(8)의 내면(7)의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되돌려진다. 또한, 중공부(8)의 용적이 큰 편이 배액성이 보다 확실해지기 때문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최대 치수(H')는 4㎜~13㎜로 할 수 있고, 5㎜~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12㎜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최대 치수(H')를 설정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제거 조작에 의해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확실하게 낙하시킨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hollow portion 8 is formed as a main shape, and the minimum dimension H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Even i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8, the side of the plastic ampoule 1 with the head portion 6 of the plastic ampoule is raised up before use The operation of dropping the remaining contents liquid 14 in the main body portion 2 by shaking the plastic ampule 1 in the state of the hollow portion 8 is carried out to thereby remove water droplets o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Smoothly falls along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main body portion 8 and is returned from the opening portion 4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 4 (A), the maximum dimension 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mension H' of the hollow portion 8, May be 4 mm to 13 mm, preferably 5 mm to 13 mm, and more preferably 6 mm to 12 mm. By setting the maximum dimension H 'in this way,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is reliably dropped from the opening portion 4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by the removing operation.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의 부위](W')는 큰 편이 중공부(8)의 용적이 커져 배액성이 확실해지지만, 플라스틱 앰플(1)의 구부(3)의 수평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가 바람직하므로 8㎜~12㎜의 치수로 설정했지만, 9㎜~11㎜의 치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4 (A), 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aximum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of the plastic ampule 1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lastic ampule 1 so that the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preferably 8 mm to 12 mm. Dimens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imension is 9 mm to 11 m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의 하단부의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도 4㎜ 이상의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를 4㎜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제거 조작을 행했을 때에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은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용이하게 낙하된다. 또한,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최소 치수(H)를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보다 큰 치수[최소 치수(H)=내경 치수(W)를 포함함]로 형성한 경우에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본체부(2) 내에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는 큰 편이 좋다고도 생각되지만, 두부(6)를 비틀어 끊은 후 개구부(4)로부터 주사통의 선단을 플라스틱 앰플(1) 내에 삽입하여 내용액(14)을 빨아낼 때 7㎜보다 큰 치수에서는 옆 또는 하방으로 플라스틱 앰플(1)을 기울인 경우에 내용액(14)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는 4㎜~7㎜가 바람직하고, 5㎜~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W of the opening portion 4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6 is set to a dimension of 4 mm or more . When the remov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inner diameter W of the opening 4 to 4 mm or more, the remaining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flows from the opening 4 into the main body 2 It falls easily. The minimum dimension H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W of the opening portion 4 (including the minimum dimension H =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W)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can be reliably dropp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which is more preferable. The tip of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plastic ampule 1 from the opening 4 after the head 6 is twisted and broken so that the contents liquid 14 When the plastic ampule 1 is tilted laterally or downwardly at a size larger than 7 mm at the time of sucking, the contents liquid 14 may leak. Therefore, 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W of the opening portion 4 is preferably 4 mm to 7 mm, more preferably 5 mm to 6 mm.

이어서, 도 8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배액성을 비교한 평가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valuation test in which the drainage performance of a plastic amp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plastic amp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배액성 시험)(Drainage test)

(1) 실시품으로서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을, 또한 종래품으로서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을 각각 5개 준비했다. 또한, 실시품 및 종래품의 내용액은 물이고, 플라스틱 앰플의 재질은 동종의 폴리에틸렌 수지이다.(Volume: 5 ml, content liquid volume: 3 ml) shown in Fig. 4 (A) as a practical product and plastic ampoule (capacity: 5 ml, content liquid capacity 3 Ml) were prepar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roduct and the conventional product are water, and the material of the plastic ampule is the same type of polyethylene resin.

(2) 배액성 시험은 A~E의 5인의 시험자가 실시했다.(2) The drainage test was carried out by five persons A to E.

(3) 배액성 시험의 평가는 각 시험자가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아래로 하여 두부 내에 내용액을 충전시킨 후,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한번 흔든 후에 두부 내에 잔존한 내용액의 잔액량을 계측함으로써 행했다.(3) The evaluation of the drainage test was carried out by filling the contents in the head with the head of the plastic ampoule downward, and then shaking the plastic ampoule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head of the plastic ampoule up, By measuring the amount of the remaining liquid of the remaining liquid.

(배액성 시험의 평가)(Evaluation of drainage test)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자 A~E 중 4인은 실시품의 잔액량이 종래품의 잔액량보다 적고, 실시품의 평균 잔액량은 0.016g이며, 또한 종래품의 평균 잔액량은 0.027g이었다. As shown in Fig. 8, in four of the testers A to 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duct wa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the product was 0.016 g, and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was 0.027 g.

도 8의 배액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보아 실시품은 종래품과 비교하여 배액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From the results of the drainage test of FIG. 8,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excellent drainage propert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duct.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성을 비교한 평가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valuation test in which the openability of the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will be described.

(개봉성 시험)(Openability test)

(1) 실시품(주발형)으로서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을, 또한 종래품(표준형)으로서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을 각각 5개 준비했다.(5 ml) shown in Fig. 4 (A) as a practical product (main type) and a plastic ampule (capacity 5 ml) shown in Fig. 4 (B) as a conventional product I prepared dogs.

(2) 개봉성 시험은 6인의 시험자가 실시했다.(2) The openness test was carried out by six testers.

(3) 배액성 시험의 평가는 각 시험자의 감각에 의해 실시품과 종래품의 「개봉 용이함」을 비교함으로써 행했다.(3) The evaluation of the drainage test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ease of opening" between the product and the conventional product according to the sense of each tester.

(개봉성 시험의 평가)(Evaluation of Openability Test)

6인의 시험자 중 3인은 실시품이 개봉 용이하다고 판정하고, 나머지 3인은 실시품도 종래품도 개봉 용이함은 다르지 않다고 판정했다.Three of the 6 testers judged that the product was easy to open, and the remaining three judged that the ease of opening the produc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의사, 간호사의 평가)(Evaluation of doctor, nurse in medical institution)

의료 기관 5시설에 있어서 16인의 의사, 간호사, 약제사에게 상기 실시품을 사용하게 하고, 사용감에 대해 의견 청취를 행했다.At the medical institution 5 facilities, 16 doctors, nurses, and pharmacists were allowed to use the above-mentioned products, and opinions were heard about the feeling of use.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실시품의 개봉성은 모든 의료 기관으로부터 「개봉 용이하다」라는 의견이 얻어졌지만, 도 4(B)와 동 형상의 시판품(기존 제품)에 대해서는 개봉시에 수지를 끊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중공부에 액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시판품에서는 액의 비산에 대한 불만이 3시설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품에 대해서는 비산되기 어렵다라는 평가였다.Whe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it was found that the openability of the product was "easy to open" from all the medical institutions, but there was a case where it was difficult to break the resin at the time of unsealing f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existing product) It was an opinion. Further, in the case where a liquid remained in the hollow portion, there were three complaints about scattering of liquid in a commercial product, but it was evaluated that it was difficult to scatter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개봉성 시험의 결과 및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평가로부터 보아 실시품은 종래품과 비교하여 개봉성이 우수하고, 액이 비산되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From the above results of the openability test and from the evaluation in the medical institution, it was proved that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openabilit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the liquid is hardly scatter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도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지만, 본 발명 실시품쪽이 종래의 것보다 개봉성에 우수하다는 결과가 얻어졌으므로 그 이유에 대해 고찰했다.The plastic amp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plastic ampule in accordance with the blown-fill seal method. However, the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one in terms of the openability.

(플라스틱 앰플의 벽두께의 비교)(Comparison of wall thickness of plastic ampule)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실시품(주발형)의 분리부(10), 및 그 상하 1㎜의 부위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둥글게 절단하고, 각 절단 부위의 벽두께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종래품(표준형)의 플라스틱 앰플도 마찬가지로 절단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은 각 6개씩 행하고, 평균값을 구했다.A plastic ampule was roundly cut at a separating portion 10 of a product (main type) of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4A and a portion of 1 mm above and below it, and the wall thickness of each cut portion was measured using a microscope did. In addition, the plastic ampule of the conventional product (standard type) shown in Fig. 4B was similarly cut and measured. Measurements were made for each of 6 pieces, and an average value was obtained.

(벽두께를 측정한 결과)(Result of measurement of wall thickness)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품은 개구부 위[분리부(10)의 1㎜ 위의 두부(6)의 부위]의 벽두께(p)와 개구부 아래[분리부(10)의 1㎜ 아래의 구부(5)의 부위]의 벽두께(r)는 거의 같았지만, 종래품에서는 개구부 위의 벽두께(p)는 개구부 아래의 벽두께(r)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종래품에서는 개구부[분리부(10)의 부위]의 벽두께(q)보다 개구부 위의 벽두께(p)는 얇았다. 실시품 및 종래품을 개봉한 후의 개구부(4 또는 4a)를 관찰하면, 실시품은 거의 원형과 동일한 개구부이지만, 종래품에서는 변형된 개구부로 되어 있었다. 벽두께의 측정 결과로부터는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6a)와 일체의 손잡이부(9a)를 비틀었을 때에 종래품에서는 벽두께가 얇기 때문에 두부가 변형되어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개봉성이 나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종래품에서는 개봉시에 두부(6a)가 변형됨으로써 두부(6a)에 잔존한 내용액이 변형된 두부(6a)가 개봉 직후에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움직임에 의해 잔액이 비산되기 쉬운 것도 발견되었다. 9,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thickness p of the opening portion (the portion of the head 6 above 1 mm of the separating portion 10)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eparating portion 10 The wall thickness p on the opening portion did not reach half of the wall thickness r under the opening portion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wall thickness p on the opening portion is thinner than the wall thickness q of the opening portion (the portion of the separation portion 10). Observation of the openings (4 or 4a) after opening the product and the conventional product revealed that the product was an opening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ircular shape, but a modified opening in the conventional product.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wall thickness, when the plastic ampoule is twisted together with the knob portion 9a integrally with the head portion 6a at the time of opening the plastic ampoule, the wall thickness is thin in the conventional product, so that the head portion is deformed, It was found that the openability was bad. It has also been found that in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head 6a is deformed at the time of unsealing, so that the head 6a deformed in the head 6a is liable to be scattered by the movement of the head 6a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immediately after opening .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품은 개구부 위의 두부가 개구부 아래와 거의 같은 충분한 벽두께를 가짐으로써 개봉시에 두부(6)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비트는 힘이 분리부(10)에 효율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개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잔액이 비산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fficient wall thickness substantially equal to that und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6 is not deformed at the time of opening, so that the biting force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10, And the balance is hardly scattered.

참고로, 도 9의 본 발명 실시품은 10g의 폴리에틸렌 수지량, 종래품은 11g의 동 수지량으로 제작한 시작품(試作品)이다. 실시품 및 종래품은 다양한 수지량으로 시작하여 가장 개봉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 결과이다. 이렇게, 종래품보다 우수한 개봉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품이 보다 적은 수지량으로 제조 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is a trial product (prototype) made of 10 g of polyethylene resin and 11 g of copper resin in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product and the conventional product started from various resin amounts and were selected as the best ones. In this way,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better openability than the conventional product can be manufactured with a smaller amount of resin,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실시예)(Example)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의 중공부(8)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도 4(A)를 참조].The dimensions of the hollow portion 8 of the head 6 were set as follows in the plastic ampule 1 (volume 5 ml, content liquid volume 3 ml) shown in Fig. 1 (see Fig. 4 (A) .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의 치수](W'):10㎜,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부의 높이](H'):7㎜,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H):6㎜, 개구부(4)의 내경 치수(W):5.5㎜.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the dimension of the maximum diameter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W '): 10 mm and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H '): 7 mm, the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H): 6 mm, and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W) of the opening portion 4: 5.5 mm.

여기에서, 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 및 분리부(10)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상단부[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Here,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4 and the separation portion 10)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upper end portion 8)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에 내용액(14)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1)을 흔들어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본체부(2) 내에 낙하시키는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내용액(14)은 중공부(8)의 내면(7)을 따라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어서 내용액(14)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두부(6)의 중공부(8)를 상기 치수의 주발형으로 형성 함으로써 중공부(8)로부터의 내용액(14)의 배액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이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배액할 수 있고,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14)이 비산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졌다. 또한, 실제로 개봉성을 시험한 결과, 하기 비교예 1의 종래품보다 우수한 개봉성을 갖는 것이 나타내어졌다(상기 배액성 시험 및 개봉성 시험 참조).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lastic ampoule 1 is shaken before us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liquid 14 remains in the hollow portion 8, so that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The contents liquid 14 falls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and is reliably recovered from the opening portion 4 into the main body portion 2 So that most of the content liquid 14 could be used. As a result, in the plastic ampul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8 of the head portion 6 is formed as the main body of the above-mentioned dimension, thereby improving the liquid discharging property of the contents liquid 14 from the hollow portion 8 . In this plastic ampule 1,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can be reliably drained, and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at the time of opening does not scatter lost.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openability, it was shown that the openability was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of Comparative Example 1 (see the drainage test and the openability test).

또한, 도 5(A)~(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도,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의 치수를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의 치수](W'):10㎜,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부의 높이](H'):7㎜,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H):6㎜, 개구부(4)의 내경 치수(W):5.5㎜로 설정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 to 5 (C),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8 is set to be the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 '): 10 mm,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H '): 7 mm, the min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H: 6 mm,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portion 4 (W): 5.5 mm.

여기에서, 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고, 또한 도 5(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내면(7)의 변이 부위[내면(7)이 만곡면으로부터 원추면으로 변화되는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5A and 5B,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hollow portion 8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4)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C), the low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hollow portion 8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 (A portion where the inner surface 7 is changed from the curved surface to the conical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7 of the outer tube 8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 결과, 도 5(A)~(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도,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로부터의 내용액(14)의 배액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고,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배액할 수 있어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14)이 비산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졌다.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 to 5 (C), it is confirmed that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content liquid 14 from the hollow portion 8 is improved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can be reliably drained and the content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 at the time of opening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a)의 중공부(8a)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The dimensions of the hollow portion 8a of the head portion 6a in the plastic ampoule (capacity 5 ml, content liquid volume 3 ml) shown in Fig. 4 (B) were set as follows.

중공부(8a)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a)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Wa'):10㎜, 중공부(8a)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연직 방향 중심부의 높이)(Ha'):5㎜, 중공부(8a)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a)의 내면(7a)의 높이](Ha):4㎜, 개구부(4a)의 내경 치수(Wa):5.5㎜.The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a (the maximum diameter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a): 10 mm, the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8a The height H of the inner surface 7a of the hollow portion 8a is 4 mm and the height H of the opening portion 4a is 5 mm. (Wa): 5.5 mm.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중공부(8a)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거 조작을 실시해도 중공부(8a)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중공부(8a)의 내면(7a)에 부착된 채로 중공부(8a)에 잔존해 버려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개봉성 시험에 있어서는 상기의 본 발명 실시품에 비해 개봉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내어졌다(상기 배액성 시험 및 개봉성 시험 참조).In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4 (B), even i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a is subjected to the same removing operation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a is hollow It remains on the hollow portion 8a while being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7a of the portion 8a and can not be removed. In addition, in the openability test, the openabil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the drainage test and the openability tes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b)의 중공부(8b)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The dimensions of the hollow portion 8b of the head portion 6b in the plastic ampoule (capacity 5 ml, content liquid volume 3 ml) shown in Fig. 4 (C) were set as follows.

중공부(8b)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하단 둘레 가장자리부](Wb'):10㎜, 중공부(8b)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연직 방향 중심부의 높이)(Hb'):5㎜, 중공부(8b)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높이](Hb):4㎜, 개구부(4b)의 내경 치수(Wb):5.5㎜.The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7b of the hollow portion 8b) Wb ': 10 mm and the maximum dimension of the hollow portion 8b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Hb of the inner surface 7b of the hollow portion 8b is 4 mm and the height Hb of the inner surface 7b of the hollow portion 8b is 4 mm. (Wb) of the inner tube 4b: 5.5 mm.

여기에서, 중공부(8b)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높이](Hb)는 개구부(4b)[분리부(10b)]의 내주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의 내면(7b)과의 교점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Here, the minimum vertical dimension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7b of the hollow portion 8b) Hb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8b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4b (separation portion 10b) And an inner surface 7b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edge portion.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중공부(8b)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거 조작을 실시해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b)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중공부(8b)의 내면(7b)에 부착된 채로 중공부(8b)에 잔존해 버려 제거할 수 없었다.In the plastic ampule shown in Fig. 4 (C), even if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ing in the hollow portion 8b is subjected to the same removing operation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ents liquid 14 remained on the hollow portion 8b while being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7b of the hollow portion 8b and could not be removed.

1, 1a : 플라스틱 앰플 2, 2a : 본체부
3, 3a, 3b : 구부 4, 4a, 4b : 개구부
5 : 어깨부 6, 6a, 6b : 두부
7, 7a, 7b : 내면 8, 8a, 8b : 중공부
9, 9a, 9b : 손잡이부 10, 10a, 10b : 분리부
11, 11a : 연결부 12 : 저부
13, 13a : 소분할용 박육부 14 : 내용액
p :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
q : 분리부의 벽두께
r :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
1, 1a: plastic ampule 2, 2a:
3, 3a, 3b: bend 4, 4a, 4b:
5: Shoulder portion 6, 6a, 6b: Tofu
7, 7a, 7b: inner surface 8, 8a, 8b:
9, 9a, 9b: Handles 10, 10a, 10b:
11, 11a: connection part 12: bottom part
13, 13a: small partitioning thin part 14: content liquid
p: wall thickness at the part of the head to be separated
q: wall thickness of separator
r: the wall thickness at the part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art of the bend

Claims (14)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하여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전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해서 활 형상이 되는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부의 상부에 상기 구부보다 축경한 어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를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기 두부의 하단부에 연설하여, 상기 중공부를 상기 구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본체부, 상기 구부 및 상기 어깨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고,
상기 두부는 상기 구부와의 상기 분리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연결부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부 및 상기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의 차가 ±10%내의 범위에 있는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The body portion,
A head portion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at the b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The plastic ampoule separating the tofu from the bend by opening the handle,
Where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in which the entire body is curved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portion to form an oblique shape,
A shoulder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hould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oe portion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with the bending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the bent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are integrally reinforced by a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handle portion except for the separating portion with the bent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thickness of a thickness of a portion in which the difference in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toe and the bend is within a range of 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be 1.2 to 1.8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n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llow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8 mm to 12 mm, And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of 4 mm to 7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5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9 mm to 11 mm, And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an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th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of 5 mm to 6 m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lastic ampule characterized by being manufactured by the blow-fill seal method.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 및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하여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전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해서 활 형상이 되는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부의 상부에 상기 구부보다 축경한 어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를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기 두부의 하단부에 연설하여, 상기 중공부를 상기 구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본체부, 상기 구부 및 상기 어깨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고,
상기 두부는 상기 구부와의 상기 분리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연결부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부 및 상기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의 차가 ±10%내의 범위에 있는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The body portion,
A head portion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at the b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opened so as to separate the head portion from the bend portion and to be opened,
Wherein the hollow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main body in which the entire body is curved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portion to form an oblique shape,
A shoulder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hould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oe portion through the separating portion to communicate the hollow portion with the bending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the bent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are integrally reinforced by a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handle portion except for the separating portion with the bent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is within a range of ±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all thickness of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be 1.2 to 1.8 times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the separating portio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hollow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3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8 mm to 12 mm, And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when separated from the bend is formed to a dimension of 4 mm to 7 mm.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hollow portion has a min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4 mm to 10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5 mm to 13 mm, a maximum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9 mm to 11 mm,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when separated from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a dimension of 5 mm to 6 mm.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 blow-fill sealing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lastic ampule block is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through a thin portion for small division to form a plastic ampule block.
제 12 항에 있어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plastic ampule block is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lastic ampoules through a thin part for small division to form a plastic ampoule block.
KR1020107019441A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KR1019786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5401 2008-04-25
JPJP-P-2008-115401 2008-04-25
PCT/JP2009/058103 WO2009131192A1 (en)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973A Division KR101978657B1 (en)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32A KR20100135732A (en) 2010-12-27
KR101978658B1 true KR101978658B1 (en) 2019-05-15

Family

ID=412169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441A KR101978658B1 (en)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KR1020167036973A KR101978657B1 (en)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973A KR101978657B1 (en) 2008-04-25 2009-04-23 Plastic ampule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40873B2 (en)
EP (1) EP2269558B1 (en)
JP (2) JP5859201B2 (en)
KR (2) KR101978658B1 (en)
CN (1) CN102014845B (en)
AU (1) AU2009238972B2 (en)
CA (1) CA2722551C (en)
HK (1) HK1150745A1 (en)
TW (1) TWI471128B (en)
WO (1) WO200913119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5798A1 (en) * 2009-12-24 2011-06-30 Bm Gol Pty Ltd Single-use containers and uses thereof
AU2011216997A1 (en) * 2010-01-19 2012-08-02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IT1401173B1 (en) * 2010-07-26 2013-07-12 Lameplast Spa FOLDABLE CONTAINER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MED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PRODUCTS
JP6008254B2 (en) * 2011-04-06 2016-10-2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Plastic ampules
US20130018329A1 (en) * 2011-07-14 2013-01-17 Mehta Ketan C Portable ampoule with a specialized tip and sealer
EP2753905B1 (en) * 2011-09-06 2016-09-21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Method for establishing the presence of specified characteristics of a container product and device for performing said method
RU2601268C2 (en) 2011-09-06 2016-10-27 Кохер-Пластик Машиненбау Гмбх Method of detecting preset properties of container product and device for realizing said method
JP5916067B2 (en) * 2011-10-28 2016-05-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Plastic ampules
JP5904441B2 (en) * 2012-04-27 2016-04-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Ampoule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CA2873598A1 (en) * 2012-05-21 2013-11-28 Sanofi Unitary packaging for one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pharmaceutical product
DE102012021525A1 (en) 2012-10-31 2014-04-30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Sealing arrangement and such an associated container
GB2508863A (en) * 2012-12-13 2014-06-18 Francis Michael Devoy Container for liquid antihistamine
DE102013012809A1 (en) 2013-08-01 2015-02-0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Head piece for a container that can be filled with a medium
US10456328B2 (en) * 2013-09-12 2019-10-29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Ampoule for medical liquid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mpoule
CA2956332C (en) 2014-07-29 2021-11-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Container having a head piece, which container can be or is filled with a medium
MX2017005147A (en) 2014-10-24 2017-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quid applicator comprising single-piece body.
USD776266S1 (en) 2014-10-24 2017-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USD776267S1 (en) 2014-10-24 2017-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RU2692820C2 (en) 2014-10-31 2019-06-28 Кохер-Пластик Машиненбау Гмбх Container with container head made as single part
DE102014016192A1 (en) 2014-10-31 2016-05-0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container
JP6385285B2 (en) * 2015-01-06 2018-09-05 常盤薬品工業株式会社 Ampoule container with label
USD777909S1 (en) 2015-07-10 2017-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CN105668035A (en) * 2016-02-03 2016-06-15 黄延庆 Glass cement bottle with high sealing performance
CN106214481A (en) * 2016-08-25 2016-12-14 成都杰仕德科技有限公司 Plastic ampoule bottle and dispensation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DE102017002401A1 (en) 2017-03-07 2018-09-13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Plastic container product
DE102017007443A1 (en) * 2017-08-05 2019-02-07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low molding, filling and closing method and then produced container product, in particular ampoule product
DE102017009012A1 (en) * 2017-09-26 2019-03-28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Container and connecting and manufacturing device
WO2019092562A1 (en) 2017-11-09 2019-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er with applicator tip
CN111615409A (en)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manifold
AU2019237571A1 (en) * 2018-03-23 2020-10-15 Terumo Kabushiki Kaisha Drug-filled synthetic resin ampule, and synthetic resin ampule body used therein
DE102018007991A1 (en) 2018-10-08 2020-04-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container
DE102018007993A1 (en) 2018-10-08 2020-04-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Sealing arrangement with assigned container and a sealant
USD886283S1 (en) * 2019-03-23 2020-06-02 Lawrence Steven Kaye Disposable vial with twist off top
FR3101859A1 (en) * 2019-10-15 2021-04-16 Seriplast Breakable bulb allowing the rupture of an adjacent breakable bulb
CN114585565A (en) 2019-10-21 2022-06-03 乐敦制药株式会社 Resin container and resin container connecting body
US20210121671A1 (en) * 2019-10-24 2021-04-29 Neil Hicks Softgel capsule for controlled delivery of topical and oral products
CN112976543B (en) * 2021-02-05 2023-01-10 抚州市医宝城医疗器械有限公司 Production process, mold and product for producing row-connected plastic ampoule
US20220387256A1 (en) * 2021-06-03 2022-12-08 Kent Byron Vial With Metered Dispenser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WO2023039126A1 (en) * 2021-09-09 2023-03-16 Koska Family Limited Blow-fill-seal (bfs) vials with modified fluid sea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thereof
KR102646529B1 (en) * 2021-10-08 2024-03-13 서울대학교병원 Kit for staining tissue for on-site evalu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958A (en) *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Resin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4118Y1 (en) * 1964-02-09 1966-06-30
US3356244A (en) * 1966-03-28 1967-12-05 Leco Industries Ltd Container for convenient opening
US3917120A (en) * 1971-11-11 1975-11-04 Merck Patent Gmbh Single use container for liqu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3993223A (en) * 1974-07-25 1976-11-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Dispensing container
JPS5437410Y2 (en) 1975-12-26 1979-11-09
JPS5927686Y2 (en) 1977-08-18 1984-08-10 株式会社クボタ purge device
JPS5437410A (en) 1977-08-29 1979-03-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urge invasion preventing circuit for coaxial repeating transmission line
DE3139084C2 (en) * 1981-10-01 1984-08-16 Gerhard 7166 Sulzbach-Laufen Hansen Closure for a container, in particular for a bottle
SE458986B (en) * 1985-03-29 1989-05-29 Draco Ab DOSFOERPACKNING
US5009894A (en) * 1988-03-07 1991-04-23 Baker Cummins Pharmaceutical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JPH01238861A (en) 1988-03-18 1989-09-25 Motoda Kea Kk Patient helping device
US5409125A (en) * 1989-12-11 1995-04-25 Aktiebolaget Astra Unit dose container
NZ244796A (en) * 1992-08-18 1995-05-26 Scherer Corp R P Capsule shell of soft gelatin contains a medicament and has a removable tab
DE4230645C2 (en) 1992-09-12 1996-03-07 Bernd Hansen ampoule
NL1004059C2 (en) * 1996-09-18 1998-03-19 Plastic Moulding Appliances B Assembly of container and snap closur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4245876B2 (en) 2002-08-30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same
WO2004093775A1 (en) * 2003-04-23 2004-11-04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Drug solution filling plastic ampou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40253039A1 (en) * 2003-06-13 2004-12-16 Stenton Richard J. Disposable applicator for topical composition
ITMO20030283A1 (en) * 2003-10-21 2005-04-22 Lameplast Spa BOTTLE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PHARMACEUTICAL,
GB0513581D0 (en) * 2005-07-01 2005-08-10 Norton Healthcare Ltd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958A (en) *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Resin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9558B1 (en) 2015-03-04
CA2722551A1 (en) 2009-10-29
JP5859201B2 (en) 2016-02-10
US20110031157A1 (en) 2011-02-10
CA2722551C (en) 2015-10-20
WO2009131192A1 (en) 2009-10-29
JPWO2009131192A1 (en) 2011-08-25
KR20100135732A (en) 2010-12-27
CN102014845B (en) 2014-11-05
CN102014845A (en) 2011-04-13
EP2269558A1 (en) 2011-01-05
AU2009238972A1 (en) 2009-10-29
AU2009238972B2 (en) 2013-10-10
KR101978657B1 (en) 2019-05-15
HK1150745A1 (en) 2012-01-13
KR20170005877A (en) 2017-01-16
TWI471128B (en) 2015-02-01
EP2269558A4 (en) 2012-06-20
JP3151850U (en) 2009-07-09
TW200946102A (en) 2009-11-16
US8640873B2 (en)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58B1 (en) Plastic ampule
KR101789573B1 (en) Spuit type cosmetics container
US6241124B1 (en) Single-use container
FI120533B (en) Plastic bottl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EP2066570B1 (en) Molded container with raised nipple and use
US9108777B1 (en) Child resistant blow-fill seal container
RU2720965C2 (en)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ontainer of such type
CN107207131A (en) Possesses the container stopper of function of measuring
JP2023506233A (en) Specimen container
JP4871561B2 (en) Blow molded thin container
KR101050516B1 (en) Coffee Mix with Sticks
US890018A (en) Dose-stopper.
KR200197303Y1 (en) Multi function cap
CN210162516U (en) Stem cell preparation packaging bottle
US8747334B1 (en) Method for specimen sample collection
EP4049939A1 (en) Resin container and linked resin container article
RU54783U1 (en) PRE-FILLED DISPOSABLE PIPET FOR APPLICATION FOR PHARMACEUTICAL AND FOOD PRODUCTS
JPS61152551A (en) Gelatin capsule with removable cap
KR101144395B1 (en) A Courage that spoon having been inclued in on a cover
CZ15621U1 (en) Package
ITCO20110050A1 (en) &#34;PUSH PULL CAP FOR CANDIES&#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8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01

Effective date: 201903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