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34B1 -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 Google Patents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34B1
KR101978134B1 KR1020170048681A KR20170048681A KR101978134B1 KR 101978134 B1 KR101978134 B1 KR 101978134B1 KR 1020170048681 A KR1020170048681 A KR 1020170048681A KR 20170048681 A KR20170048681 A KR 20170048681A KR 101978134 B1 KR101978134 B1 KR 10197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ver
charger
electric vehic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6021A (en
Inventor
진봉건
유두진
류현수
김분선
김정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4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34B1/en
Priority to PCT/KR2017/006080 priority patent/WO2018190465A1/en
Publication of KR2018011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는,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충전기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닫힌 상태일 때 거치 공간이 본체의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열린 상태일 때 거치 공간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어되는 커버와, 본체의 복수의 충전 동작에 대응하여 커버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and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car through a charger, and the main body includes a cradle for providing a cradling space of the charger, A cover which is controlled so that the mounting sp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ounting spac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in an opened state and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over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harg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

Figure R1020170048681
Figure R1020170048681

Description

충전 동작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

본 발명은 충전 동작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 charging device installed on a pole for controlling a charger cover in accordance with a charging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car charging device installed on a pole.

최근에는 화석 연료의 고갈문제와 화석 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대기 환경 오염 문제의 심각화에 따라 재생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과, 친환경적인 운송 수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인 운송 수단으로서 전기차(Electric Vehicle, EV)가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산은 전기차가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In recent years, with the problem of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serious problem of air pollution caused by excessive use of fossil fuels, the use of renewable renewable energy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 Electric vehicles (EV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eco-friendly vehicles. Prolifer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is essential for the widespread use of EV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05375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10537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충전 동작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차 충전 장치가 전주에 설치되는데 필요한 안전성을 확보하여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산에 일조할 수 있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stalled on a pole and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diffus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by securing the safety required for insta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by controlling the charger cover according to charging operation, A charging device control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는,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충전기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열린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어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복수의 충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installed on a pole, the charging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er, the main body including: The cover being contro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ounting spac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in the closed state and is op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tate of the cover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charg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 ≪ / RTI >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충전 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가 소정의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ver to chang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determined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일단이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포트;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2 포트; 및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의 개폐상태를 스위칭하는 차단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may include a charging cable whose one e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r; A first por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cable; A second port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istribution line; And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n open / close state between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ort is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to be in a closed state when the cover is in an open state after the blocking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the cover may be controlled to change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fter the blocking portion electrically open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의 상기 충전기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harger is stationary, so that the state of the cover i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fter the charger is mounted on the stand The cover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상기 센서가 상기 충전기의 거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does not detect the mounting of the charger from the time when the blocking unit electrically open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and the main body may be inactivate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된 이후에 잠김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tate of the cover to change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요청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의 제1 충전 동작, 제2 충전 동작, 제3 충전 동작 및 제4 충전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1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3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4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or a charging apparatus that is installed on a pole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e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request; Controlling an opening operation of a cover covering an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charging apparatus after the charging apparatus operates in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or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covering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charging device after the charging device operates i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 ≪ / RTI >

예를 들어, 상기 제1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인증 동작이고, 상기 제2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시작 동작이고, 상기 제3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종료 동작이고, 상기 제4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기 거치 확인 동작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is an authentication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is a power supply start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is a power supply termination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may be a charger mounting verification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예를 들어, 상기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4 충전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3 충전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before the charging device performs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or controls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before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the charging device performs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if it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동작에 따라 충전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및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충전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충전기의 도난을 방지하고 충전기 커버가 차량이나 보행자를 불필요하게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 장치가 전주에 설치되기 용이한 환경이 제공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확장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car charging device control method provided in the electric pole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cover according to the charg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charging device and prevent the charger from being stole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unnecessary interruption of a pedestrian or a pedestrian. Accordingly,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s easily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can be provided,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can be expan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커버가 열린 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의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의 릴의 배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인증 동작에 따른 커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충전 시작 동작 및 충전 종료 동작에 따른 커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충전기 거치 확인 동작에 따른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지능형 분전함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A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B is a view showing the cover of FIG. 1A in an open state.
FIG. 1C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of FIG. 1A.
FIG. 1D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reel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ver contro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ver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rt operation and the charging end opera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according to a charger mounting confirmation operation.
7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shown i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yste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b는 도 1a의 커버가 열린 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B is a view showing the cover of FIG. 1A in an open state.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의 본체(180)는 충전케이블(184), 충전기(185), 거치대(186), 커버(187)를 포함할 수 있다.1A and 1B, a main body 180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cable 184, a charger 185, a cradle 186, a cover 187, have.

본체(180)는 전주(10)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주(10)는 전신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차 충전 장치(100)가 매달릴 수 있고 전기에너지를 배전선로로부터 공급받아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 전달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둥을 의미한다.The main body 180 may b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10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Here, the electric pole 10 is not limited to a pole, but means a pole capable of han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and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electric energy from the electric distribution line and delivering i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

예를 들어, 상기 본체(180)는 배전선로에 연계된 전원케이블(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장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80 may receive power from a power cable 190 connected to a power distribution line, and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본체(180)는 충전케이블(184)을 지지하는 홀더(18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180 may include a holder 183 for supporting the charging cable 184.

충전케이블(184)은 전기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기(185)와 본체(18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184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main body 180 and the charger 185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케이블(184)은 전기차 충전 장치의 충전 시작 이전에 본체(180)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전기차 충전 장치의 충전 종료 이후에 본체(180)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케이블(184)은 릴에 감겨질 수 있으며, 상기 릴의 회전에 의해 연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184 may extend from the body 180 prior to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ay be retracted to the body 180 afte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For example, the charging cable 184 can be wound on a reel, and can be extended or retracted by rotation of the reel.

본체(180)에서 상기 충전케이블(184)이 연장 또는 수축되는 위치는 거치대(186)로부터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충전기(185)가 거치대(186)에 거치된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184)은 본체(180)의 일 지점에서 거치대(186)까지 이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osition at which the charging cable 184 extends or retracts from the main body 180 may be a position away from the holder 186. The charging cable 184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main body 180 to the holder 186 when the charger 185 is mounted on the holder 186.

거치대(186)는 충전기(185)의 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holder 186 may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the charger 185.

커버(187)는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본체(180)의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열린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본체(18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cover 187 can be contro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80 when the mounting spac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80 and in the opened state when the cover 187 is in the closed state.

상기 커버(187)가 열린 상태일 경우, 충전기(185)는 전기차의 운전자에 의해 쉽게 전기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cover 187 is in the open state, the charger 185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easily by the driver of the electric car.

상기 커버(187)가 닫힌 상태일 경우, 충전기(185)는 외부의 충격 또는 부정적인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충전기(185)의 도난은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cover 187 is in the closed state, the charger 185 can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or a negative environment, and the charger 18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le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본체(180)의 복수의 충전 동작에 대응하여 커버(187)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커버(187)는 관리자 및 전기차의 운전자 관점에서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state of the cover 187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harg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180. [ That is, the cover 187 can be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from the viewpoints of the manager and the driver of the electric car.

이에 따라, 충전기(185)는 외부의 충격 또는 부정적인 환경으로부터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충전기(185)의 도난은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운전자가 충전 후에 커버(187)를 닫지 않음에 따라 커버가 차량이나 보행자를 불필요하게 방해하는 문제는 예방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유발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charger 185 can be more efficient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or a negative environment, and the stolen of the charger 185 can be prevent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does not close the cover 187 after charging, the problem that the cover unnecessarily interferes with the vehicle or the pedestrian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한편, 커버(187)의 상태는 커버(187)의 일부 영역에 구비된 모터의 토크에 의해 회전축 제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187)는 자동문과 유사한 슬립(slip) 방식이나 커튼과 유사한 폴딩(folding)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of the cover 187 can be controlled by a torque of the motor provided in a part of the cover 187, but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ver 187 may be opened or closed in a slip or curtain-like folding manner similar to automatic doors.

도 1c는 도 1a의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C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of FIG. 1A.

도 1c를 참조하면, 본체(180)는 전주(10)를 둘러싸는 복수의 조립부재(187a, 187b, 187c, 188a, 188b, 188c, 188d)의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C, the main body 180 may have an assembled structure of a plurality of assembling members 187a, 187b, 187c, 188a, 188b, 188c, 188d surrounding the electric pole 10.

상기 조립 구조는 연결부재(189a, 189b)에 의해 전주(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80)는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assembly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pole 10 by connecting members 189a and 189b. Accordingly, the main body 180 can be fixed to the electric pole 10.

릴(182)은 본체(180)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과 본체(18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릴(182)에서 본체(180)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은 회전에 의해 충전케이블(184)이 감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에 따라 고정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el 182 may include a portion disposed within the body 180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180. The portion of the reel 182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8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harging cable 184 is wound by rotation, and the fixing of the charging cable 18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충전케이블(184)이 전기차의 운전자에 의해 힘을 받을 경우,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릴(182)에서 본체(180)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은 돌출부의 돌출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charging cable 184 is subjected to the force by the driver of the electric ca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prolonged. 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reel 182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80 can be changed to a rotatable state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by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의 릴의 배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FIG. 1D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reel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d를 참조하면, 릴에서 충전케이블(184)이 감겨지는 부분(182a)은 본체(180)와 전주(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80)는 충전케이블(184)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본체(180)의 사이즈는 축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D, a portion 182a around which the charging cable 184 is wound in the reel can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80 and the electric pole 10. Accordingly, the main body 180 can omit the space required to accommodate the charging cable 184, and the size of the main body 180 can be reduced.

한편, 릴에서 본체(18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82b)는 홀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충전케이블(184)을 지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힘에 의해 충전케이블(184)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뚫린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182b protruding from the reel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80 can be connected to the holder. The holder may support the charging cable 184 and may have a perforate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charging cable 184 may pass by an external for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제1 포트(110), 제2 포트(120), 차단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입력부(160), 센서(165), 커버(187)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2,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rt 110, a second port 120, a blocking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 input unit 160, a sensor 165, and a cover 187. [0033]

제1 포트(110)는 전기차(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포트(110)는 도 1에 도시된 충전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ort 11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300. For example, the first po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shown in FIG.

제2 포트(120)는 배전선로(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트(120)는 도 2에 도시된 전원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And the second port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distribution line 20. For example, the second po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shown in FIG.

차단부(130)는 제1 포트(110)와 제2 포트(120)의 사이의 개폐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전기차(300)에 대한 충전 여부는 상기 차단부(130)의 개폐상태 스위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130 may switch the open / close state between the first port 110 and the second port 120. [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vehicle 3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130.

제어부(140)는 통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나 입력부(160)에 의해 입력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차단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130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or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160. [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통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변압기 부하량 정보에 대응되는 부하량이 기준 부하량보다 클 경우에 제1 포트(110)와 제2 포트(12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개방되도록 차단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a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er loa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load amount, the controller 14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port 110 and the second port 120 The block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to be open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부(160)에 의해 입력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 전압, 주파수, 직류/교류 여부, 유선방식/무선방식 여부, 충전 모드 및/또는 충전 속도를 결정하여 차단부(130)의 스위칭 시점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요금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frequency, the DC / AC status, the wired / wireless mode, the charging mode, and / or the charging speed based on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160 The switching point of the block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and charg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여기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인증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인증 동작을 위해 통신부(150)에 의해 서버, 인증기관 또는 결제금융기관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인증기관 또는 결제금융기관은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전기차의 운전자가 전기차 충전 거래 시스템에 가입된 운전자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기초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커버(187)의 상태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thu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certification authority, or the settlement financial institution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for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The server, the certification authority or the settlement financial institution can check whether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is a driver subscrib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action system by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with the stored information, generat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for state control of the cover 187. [

센서(165)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충전기 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165)는 거치대에 내장되거나 거치대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자기 방식 또는 광학 방식을 통해 소정의 위치에 충전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165 may sense whether the charger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ensor 165 may be embedded in a cradle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adle, and may detect whether a charger is pres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a magnetic or optical method.

센서(165)의 감지 결과는 제어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센서(165)의 감지 결과에 따라 커버(187)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커버(187)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의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고, 커버(187)가 차량이나 보행자를 불필요하게 방해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165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0. 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cover 187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165, and controls the state of the cover 187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us, the safety of the charger can be improved, and the cover 187 can be prevented from unnecessarily interfering with the vehicle or the pedestrian.

커버(187)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거나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ver 187 may be chang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or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커버(187)는 통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소정의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만약 인증 정보가 소정의 정보에 대응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버(187)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잠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의 도난은 효율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187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chang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corresponds to predetermined information.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cover 187 may be locked so as not to be opened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Thus, theft of the charg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예를 들어, 상기 커버(187)는 차단부(130)가 제1 포트(110)와 제2 포트(12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이후에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고 차단부(130)가 제1 포트(110)와 제2 포트(12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이후에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커버(187)가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를 불필요하게 방해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ver 187 is changed from a closed state to a closed state after the blocking portion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rt 110 and the second port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be chang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after electrically opening the first port 110 and the second port 1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187 from unnecessarily interfering with the vehicle, the driver, or the pedestrian during the charging process.

설계에 따라, 상기 커버(187)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닫힌 상태로 변경될 때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잠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의 도난은 효율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the cover 187 may be locked so as not to be opened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when the cover 187 is changed to the closed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 Thus, theft of the charg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상기 커버(187)의 상태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적절히 제어되지 않거나 제어부(140)의 제어 조건 만족이 중단된 경우, 통신부(150)는 이상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에 의해 동작 중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전기차(300)에 대한 충전은 중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 각각의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ate of the cover 187 is not appropriate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or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control unit 140 is stopp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transmit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 And can receive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When the operation stop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may be deactivated and the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300 may be stopped. Accordingly,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es can be performed, and saf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es can be improved.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동작이 종료함에 따라 제1 포트(110)와 제2 포트(12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개방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센서(165)가 충전기의 거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통신부(150)는 이상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s terminated, the sensor 165 may be placed on the charger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port 110 and the second port 120 are electrically opened. If it is not detect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transmit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충전 요청을 전달 받는 단계(S110), 제1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20), 커버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30), 제2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40), 커버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50), 제3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60), 커버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70), 제4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80), 커버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지능형 분전함에 의해 수행되거나 서버에 의해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S110), controlling a first charging operation (S120), controlling a cover opening operation (S140),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S150), controlling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S160), controlling the cover opening operation (S170),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Controlling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S180), and controlling the cover closing operation (S190). Fo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or by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shown in Figs. 6 and 7 or remotely by the serve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요청을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의 제1 충전 동작, 제2 충전 동작, 제3 충전 동작 및 제4 충전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1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3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4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or a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nd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e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fter the charging device has operated in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or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Controlling an opening operation of a cover covering an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apparatus; and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in the charging apparatus after the charging apparatus operates i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to be covered.

여기서,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충전 동작 또는 제3 충전 동작 이후에 수행될 수 있고,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2 충전 동작 또는 제4 충전 동작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2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40)부터 커버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70)까지는 생략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may be performed after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or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may be performed after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The process from step S140 for controlling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to step S170 for controlling the cover opening operation may be omitted.

예를 들어, 제1 충전 동작은 전기차 충전 장치의 인증 동작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may be an authentication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제2 충전 동작은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시작 동작일 수 있고, 제3 충전 동작은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종료 동작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may be a power supply start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may be a power supply termination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제4 충전 동작은 전기차 충전 장치의 충전기 거치 확인 동작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may be a charger mounting confirmation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도 4는 인증 동작에 따른 커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ver control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전기차 운전자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를 입력(S210)받고, 충전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서버, 인증기관 또는 결제금융기관으로 송신(S220)하고, 서버, 인증기관 또는 결제금융기관으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수신(S230)하고, 인증 정보에 따라 커버 열림 동작을 제어(S24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from an electric vehicle driver (S210) and transmits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S22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certification authority or the settlement financial institution (S230), and controls the cover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40).

도 5는 충전 시작 동작 및 충전 종료 동작에 따른 커버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ver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rt operation and the charging end opera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충전 요청 정보에 따라 충전의 시작을 제어(S310)하고, 커버 닫힘 동작을 제어(S320)하고, 충전 요청 정보에 따라 충전의 종료를 제어(S330)하고, 커버 열림 동작을 제어(S34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tart of charging (S310) according to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controls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S320) (S330), and controls the cover opening operation (S340).

도 6은 충전기 거치 확인 동작에 따른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according to a charger mounting confirmation opera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충전기의 거치를 확인(S410)하고, 충전기가 거치된 경우에 커버 닫힘 동작을 제어(S420)하고, 다음 전기차 충전을 위해 충전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S43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e mounting of the charger (S410), controls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when the charger is stationary (S420) The activation state of the charging device can be maintained (S430).

만약 충전기가 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충전 종료 이후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S440)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S450)하고, 이상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S460)하고, 동작 중단 정보에 따라 충전 장치를 비활성화(S470)할 수 있다.If the charging device is not stationar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charging is finished (S440).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ransmits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S450)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S460), and the charging device is deactivated (S4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전기차 충전 장치가 제2 충전 동작 또는 제4 충전 동작을 수행하거나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전기차 충전 장치가 제3 충전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도 6의 S450단계와 유사하게 이상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 각각의 안전성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before an opening operation of a cover is controlled, befor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performs a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a fourth charging operation, When the charging device performs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similarly to the step S450 of FIG. Accordingly,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es can be performed, and saf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es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장치는, 충전기 AC 터미널(1001), 누전 차단기(1002), 제1 전력량계(1003), 제2 전력량계(1004), 제1 전력량계 통신단자함(1005), 제2 전력량계 통신단자함(1006), 제1 전류센서(1007), 제2 전류센서(1008), 제1 마그네트 콘텍터(1009), 제2 마그네트 콘텍터(1010), 충전 커넥터(1011), 충전 콘센트(1012), 노이즈 필터(1013), 전원공급장치(1014), 컨트롤러(1015), 카드 리더기(1016), 디스플레이부(1017), 스피커(1018), 조명 장치(1019), 비상 스위치(1020), 도어 솔레노이드(1021), 플러그 센서(1022), 리트렉터(102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cludes a charger AC terminal 1001, an earth leakage breaker 1002, a first watt hour meter 1003, a second watt hour meter 1004, a first watt hour meter communication terminal box 1005, A first current sensor 1007, a second current sensor 1008, a first magnet contactor 1009, a second magnet contactor 1010, a charging connector 1011, a charging receptacle 1012 A power supply 1014, a controller 1015, a card reader 1016, a display portion 1017, a speaker 1018, a lighting device 1019, an emergency switch 1020, a door 1010, A solenoid 1021, a plug sensor 1022, and a retractor 1023.

충전기 AC 터미널(1001)은 전기차 충전 장치와 지능형 분전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2 포트에 대응될 수 있다.The charger AC terminal 1001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EV charging device and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and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port shown in FIG.

누전 차단기(1002)는 전기차 충전 장치에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 충전을 중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차단부에 대응될 수 있다.The earth leakage breaker 1002 can stop charging when an electric leakage occurs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can correspond to the blocking portion shown in Fig.

제1 전력량계(1003)는 제1 모드에 따른 충전시에 충전 전원의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드는 완속 모드일 수 있다.The first watt-hour meter 1003 can measure the amount of power of the charging power source when charging according to the first mode. For example, the first mode may be a slow mode.

제2 전력량계(1004)는 제2 모드에 따른 충전시에 충전 전원의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드는 급속 모드일 수 있다.The second watt-hour meter 1004 can measure the amount of power of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when charging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For example, the second mode may be a rapid mode.

제1 및 제2 전력량계(1003, 1004)의 계량 결과는 요금 정보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The weighing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watt-hour meters 1003 and 1004 can be used for generating the fare information.

제1 전력량계 통신단자함(1005)은 제1 전력량계(1003)의 계량 결과를 컨트롤러(1015) 또는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watt hour meter communication terminal box 1005 can transmit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first watt-hour meter 1003 to the controller 1015 or to the outside.

제2 전력량계 통신단자함(1006)은 제2 전력량계(1004)의 계량 결과를 컨트롤러(1015) 또는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watt hour meter communication terminal box 1006 can transmit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second watt hour meter 1004 to the controller 1015 or to the outside.

제1 전류센서(1007)는 제1 모드에 따라 전기차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current sensor 1007 can measure the current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제2 전류센서(1008)는 제2 모드에 따라 전기차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The second current sensor 1008 can measure the current of the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제1 또는 제2 전류센서(1007, 1008)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은 컨트롤러(1015)에 의한 누전 차단기(1002)의 차단 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first or second current sensor 1007 or 1008 can be used for controlling the cut-off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002 by the controller 1015.

제1 마그네트 콘텍터(1009)는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제1 모드에 따른 충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 contactor 1009 can control the amount of charg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through on / off switching.

제2 마그네트 콘텍터(1010)는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제2 모드에 따른 충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contactor 1010 can control the amount of charge according to the second mode through on / off switching.

충전 커넥터(1011)는 제1 모드 충전을 위해 전기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1 포트에 대응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1011 may have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charging the first mode, an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port shown in FIG.

충전 콘센트(1012)는 제2 모드 충전을 위해 전기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1 포트에 대응될 수 있다.The charging receptacle 1012 may have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charging the second mode, an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port shown in Fig.

노이즈 필터(1013)는 충전 전원의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1013 can filter the noise of the charging power source.

전원공급장치(1014)는 컨트롤러(1015)에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장치(1014)는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014 can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ler 1015 and can convert AC power to DC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1014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컨트롤러(101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15 can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카드 리더기(1016)는 전기차 또는 운전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정보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바일 결제 등 다양한 결제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The card reader 1016 can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rom an electric car or a driver. For example, the paymen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various payment methods such as credit card, check card, and mobile payment.

디스플레이부(1017)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17 can display information visually.

스피커(1018)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speaker 1018 can generate information audibly.

조명 장치(1019)는 운전자 편의를 위해 충전 커넥터(1011) 및 충전 콘센트(1012)를 향하는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The lighting apparatus 1019 can output a light source dir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011 and the charging socket 1012 for operator convenience.

비상 스위치(1020)는 전기차 또는 운전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Emergency switch 1020 may stop charging in response to an input from an electric vehicle or a driver.

도어 솔레노이드(1021)는 충전 커넥터(1011) 보관함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solenoid 1021 can perform the locking fun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charging connector 1011.

플러그 센서(1022)는 충전 커넥터(1011)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감시할 수 있다.The plug sensor 1022 can monitor whether the charge connector 101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리트렉터(1023)는 충전 커넥터(1011)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릴에 감을 수 있다.The retractor 1023 may wind a recharge cable connected to the recharging connector 1011 to the reel.

도 7을 참조하면, 지능형 분전함은, 분전반 AC 터미널(1024), 제3 전력량계(1025), AC 입력 차단기(1026), 서지보호기(1027), 분전반 전원공급장치(1028), 분전반 제어보드(1029), 영상처리장치(1030), 표지판 제어기(1031), 무선 모뎀(1032), 대지 접지(103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분전함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와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능형 분전함이 포함하는 구성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7,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includes a distribution board AC terminal 1024, a third watt hour meter 1025, an AC input breaker 1026, a surge protector 1027, a distribution board power supply 1028, a distribution board control board 1029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30, a sign board controller 1031, a wireless modem 1032, and a ground 1033. [0034] FIG. Since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ng box can be integrated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ng box can be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분전반 AC 터미널(1024)은 지능형 분전함와 배전선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distribution board AC terminal 1024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and the distribution line.

제3 전력량계(1025)는 지능형 분전함을 통과하는 전원의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The third watt-hour meter 1025 can measure the amount of power of the power source passing through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AC 입력 차단기(1026)는 지능형 분전함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AC input breaker 1026 can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from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서지보호기(1027)는 전원을 서지(surge)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surge protector 1027 can protect the power source from a surge.

분전반 전원공급장치(1028)는 분전반 제어보드(1029)의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전반 전원공급장치(1028)는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board power supply 1028 can supply the operating power of the distribution board control board 1029 and can convert the AC power to DC power.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board power supply 1028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분전반 제어보드(1029)는 지능형 분전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board control board 1029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ard.

영상처리장치(1030)는 전기차 충전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30 can control a video apparatus included in a syste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표지판 제어기(1031)는 전기차 충전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에 포함된 충전소 표시판을 제어할 수 있다.The sign controller 1031 can control the fill-in signboard included in the system including the electric-vehicle charging device.

무선 모뎀(1032)은 도 2의 통신부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wireless modem 1032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of FIG.

대지 접지(1033)는 지능형 분전반에 접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The ground ground 1033 can provide a ground voltage to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panel.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지능형 분전함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8A to 8D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shown in FIG.

도 8a는 지능형 분전함의 앞면을 나타내며, 도 8b는 지능형 분전함의 뒷면을 나타내며, 도 8c는 지능형 분전함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8d는 지능형 분전함의 하면을 나타낸다.Figure 8a shows the front side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Figure 8b shows the back side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Figure 8c shows the side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and Figure 8d shows the bottom side of the intelligent distribution box.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지능형 분전함은, 배선용 스위치(2001), 전력량계(2002), 서지보호기(2003), 전원공급장치(2004), 컨트롤러(2005), 영상처리장치(2006), 무선 모뎀(2007), E 타입 모뎀(2008), 분전반 AC 터미널(2009), 외함(201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8A to 8D,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box includes a wiring switch 2001, a watt hour meter 2002, a surge protector 2003, a power supply 2004, a controller 2005,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2006, A modem 2007, an E-type modem 2008, a distribution board AC terminal 2009, and an enclosure 2010. [

외함(2010)은 전주에 부착되거나 상기 전주로부터 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차단기 등을 수용할 수 있다.The enclosure 201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electric pole, and may house a circuit breaker or the like.

한편, 상기 지능형 분전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와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ng box can be integrated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7A to 7D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a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 장치(100), 본체(180), 데이터 집중처리 장치(210), 변압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주(10), 배전선로(20), 주차공간(30), 차량충돌 방지용 볼라드(40), 차량 스토퍼(50), 충전소 표시판(60), 영상 장치(70)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syste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a main body 180, a data concentration processor 210, and a transformer (not shown) And includes the electric pole 10 including the electric pole 10, the distribution line 20, the parking space 30, the bollard 40 for preventing the vehicle collision, the vehicle stopper 50, the charging station display panel 60, May be provided in a charging station.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주(10)에 설치되고 변압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기차(300)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원케이블(190)을 통해 배전선로(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급받을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electric pole 10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electric power from the transformer and charge the electric vehicle 300. [ Fo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may be suppli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20 through the power cable 190.

여기서, 변압기는 배전선로(20)에 연계되어 고압의 전력을 저압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압기는 전주(10) 또는 제2 전주(미도시) 상에 설치된 주상변압기로 구현될 수 있고, 도로나 인도 주위에 설치된 지상변압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transformer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line 20 and can convert high-voltage power to low-voltage power. For example, the transformer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transformer installed on a pole (10) or a second pole (not shown), or may be implemented as a ground transformer installed around a road or a sidewalk.

데이터 집중처리 장치(210)는 상기 변압기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부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량 정보는 상기 변압기에 의해 변환되는 총 전력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의 부하량이 클 경우, 상기 변압기의 수명은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변압기의 손상 빈도는 높아질 수 있으며, 상기 변압기로부터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은 불안정할 수 있다.The data central processing unit 210 may collect and process current, voltage or power data of the transformer to generate load information. Here, the load amoun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total amount of power converted by the transformer. If the load of the transformer is large, the lifetime of the transformer may be reduced, the damage frequency of the transformer may be increased,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may be unstable.

본체(180)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지능형 분전함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차 충전 장치(100)와 일체화될 수 있다.The main body 180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lligent power distributing box shown in Figs. 8A to 8D, and may be integrated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Fig.

예를 들어, 상기 본체(180)는 상기 부하량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부하량 정보에 대응되는 부하량이 기준 부하량보다 클 경우에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비활성화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일시적으로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80 may receive the load amount information and deactivat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when the loa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oad amount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load amount. The deactiv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can temporarily stop the charging.

이에 따라, 상기 변압기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변압기의 손상 빈도는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변압기로부터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은 안정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fetime of the transformer can be extended, the damage frequency of the transformer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can be stabilized.

한편, 상기 변압기에 의해 변환된 전원은 전기차(300)로 공급되기 전에 컨버터에 의해 적어도 한번 더 변환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상기 컨버터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onverted by the transformer can be converted at least once by the converter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300. Depending on the design, the converter can be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100. [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및 통신 접속을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는 전술한 제어부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는 전술한 입력부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접속은 전술한 통신부에 대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shown in Figs. 3 to 6 can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may correspond to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and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may correspond to the input unit described above,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 " part "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reproduce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ystem.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yone can make various variations.

10: 전주
20: 배전선로
30: 주차공간
40: 차량충돌 방지용 볼라드
50: 차량 스토퍼
60: 충전소 표시판
70: 영상 장치
100: 전기차 충전 장치
110: 제1 포트
120: 제2 포트
130: 차단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입력부
165: 센서
180: 본체
181: 리트렉터
182: 릴
183: 홀더
184: 충전케이블
185: 충전기
186: 거치대
190: 전원케이블
200: 배전선로에 연계된 변압기
210: 데이터 집중처리 장치
300: 전기차
10: Electric pole
20: Distribution line
30: Parking space
40: Bollard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50: vehicle stopper
60: Charging station display
70: Imaging device
100: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10: First port
120: second port
130:
140:
150:
160:
165: sensor
180:
181: Retractor
182: Reel
183: Holder
184: Charging cable
185: Charger
186: Cradle
190: Power cable
200: Transformer connected to distribution line
210: Data central processing unit
300: Electric car

Claims (10)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충전기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열린 상태일 때 상기 거치 공간이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어되는 커버;
상기 본체의 복수의 충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일단이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케이블;
상기 충전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포트;
배전선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2 포트; 및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의 개폐상태를 스위칭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And a main body that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and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er,
The main body includes:
A cradle for providing a cradling space for the charger;
The cover being contro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ounting spac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in the closed state and is op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over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harg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A charging cable whose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r;
A first por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cable;
A second port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istribution line; And
A blocking portion for switching an opening and closing state between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Lt; / RTI >
The first por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state of the cover from the opened state to the closed state after the blocking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the blocking unit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the cover is controlled so as to chang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충전 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가 소정의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ver to chang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determined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의 상기 충전기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이후에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harger is stationary or no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ver so that the state of the cover i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fter the charger is mounted on the cra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개방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상기 센서가 상기 충전기의 거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동작 중단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sensor fails to detect the charging of the charger from the time when the blocking unit electrically open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Wherein the main body is disposed in a pole around which electric power is inactivate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operation interrup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된 이후에 잠김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cover so that the state of the cover is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전주에 설치되고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요청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의 제1 충전 동작, 제2 충전 동작, 제3 충전 동작 및 제4 충전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3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인증 동작이고,
상기 제2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시작 동작이고,
상기 제3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전원 공급 종료 동작이고,
상기 제4 충전 동작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기 거치 확인 동작인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or a charging devic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e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request;
Controlling an opening operation of a cover covering an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charging apparatus after the charging apparatus operates in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And
Controlling a closing operation of a cover covering an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charging device after the charging device operates in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Lt; / RTI >
Wherein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is an authentication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is a power supply start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is a power supply termination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Wherein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is a charging device installation check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4 충전 동작으로 동작한 이후에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배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control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covering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er in the charging apparatus 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arging operation,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ncludes a step of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covering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charging device in the charging device after operating in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충전 동작 또는 상기 제4 충전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커버의 닫힘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제3 충전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주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charging device performs the third charging operation before performing the second charging operation or the fourth charging operation or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befor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controlled And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motor.
KR1020170048681A 2017-04-14 2017-04-14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1978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81A KR101978134B1 (en) 2017-04-14 2017-04-14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PCT/KR2017/006080 WO2018190465A1 (en) 2017-04-14 2017-06-12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provided on utility pole and for controlling charger cover in accordance with charging oper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provided on utility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81A KR101978134B1 (en) 2017-04-14 2017-04-14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21A KR20180116021A (en) 2018-10-24
KR101978134B1 true KR101978134B1 (en) 2019-05-15

Family

ID=6379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81A KR101978134B1 (en) 2017-04-14 2017-04-14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8134B1 (en)
WO (1) WO20181904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0262A (en) * 2019-04-29 2022-06-28 ヒョンダイ モーター カンパニー Mutual authentic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110481354A (en) * 2019-06-06 2019-11-22 上海荣灵电力科技有限公司 Power supply system and its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based on electric pole charging unit
KR102289187B1 (en) * 2019-08-26 2021-08-12 정재훈 Smart shutter-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656A1 (en) 2009-04-30 2011-06-16 Gary Starr Charging station with protective door
JP2013150392A (en) 2012-01-17 2013-08-01 Tokiko Techno Kk Charger
KR200478248Y1 (en) * 2015-07-10 2015-09-15 중앙제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omprising Recognition Device for Charging Gun
JP2016500245A (en) * 2012-11-19 2016-01-07 リロス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 アクチエボラグ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installed on a light po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15B1 (en) * 2009-10-05 2011-08-29 주식회사 코디에스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1118899B1 (en) * 2010-10-05 2012-03-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nnection part door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JP2012105375A (en) 2010-11-05 2012-05-31 Panasonic Corp Module of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656A1 (en) 2009-04-30 2011-06-16 Gary Starr Charging station with protective door
JP2013150392A (en) 2012-01-17 2013-08-01 Tokiko Techno Kk Charger
JP2016500245A (en) * 2012-11-19 2016-01-07 リロス パワー ソリューション アクチエボラグ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installed on a light pole
KR200478248Y1 (en) * 2015-07-10 2015-09-15 중앙제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omprising Recognition Device for Charging G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65A1 (en) 2018-10-18
KR20180116021A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987B2 (en) Mechanism for locking and fault detection in an electrical vehicle supply equipment cord reel
US10023063B2 (en) Location-based electric power mediation module, electric vehicle, mediation server, and user certification socket or connector
KR101999127B1 (en) Converter separated typ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apparatus
KR101978133B1 (en)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ad of transformer connected to distribution line
KR101967149B1 (en)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extension of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RU2385809C1 (en) Transport vehicle and electric device
KR102027983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using pad-mounted transformer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9487100B2 (en) Electrical vehicle charging device having a brake to prevent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he power conduit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KR101978134B1 (en)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US11292350B2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N204992679U (en) Electric automobile parking charging system
CN110816343B (en) Mobile charging pile, mobile charging pil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harging pile system
JP2013051780A (en) Charging system for vehicle and charging cable for vehicle
JP6756783B2 (en) In-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KR20220113295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JP2012010447A (en) Charging system
CN11127755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in an electric vehicle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40121965A (en) Electric car and intermediate server for location based power mediation
CN111516540A (en) Safety protection system of charging pile
KR102526236B1 (en) Push-Pull Keypad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6278938A (en) Centralized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