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28B1 -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 Google Patents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28B1
KR101977628B1 KR1020170127257A KR20170127257A KR101977628B1 KR 101977628 B1 KR101977628 B1 KR 101977628B1 KR 1020170127257 A KR1020170127257 A KR 1020170127257A KR 20170127257 A KR20170127257 A KR 20170127257A KR 101977628 B1 KR101977628 B1 KR 10197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ube
main stage
grip portion
holder structur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7677A (en
Inventor
김진오
한진석
박영
Original Assignee
(주)로봇앤드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봇앤드디자인 filed Critical (주)로봇앤드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12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6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3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01F31/201Holders therefor
    • B01F11/0008
    • B01F11/0014
    • B01F15/004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01F31/22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with supporting mean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e.g. describing an orbital path for moving the containers about an axis which intersects the receptacle axis at a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5Driving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실험관 홀더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실험관 홀더 구조체는 상기 볼텍스 장치 상에 탈착 가능한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스테이지, 상기 보조 스테이지의 타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험관이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부에 접촉시키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 및 상기 보조 스테이지 상에 거치되도록,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 가능하다.A test tube holder structure is disclosed, wherein 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includes a main stage removable on the vortex device, a sub stage extending from the main stage in the other direction, a contact portion bending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b stage, And a gripp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stage and holding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test tube to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urface with the contact por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can be held.

Description

실험관 홀더 구조체 및 볼텍스 장치{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 RTI ID = 0.0 >

본원은 실험관 홀더 구조체 및 볼텍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nd a vortex apparatus.

볼텍스 장치(볼텍스 믹서)는 기계적의 진동을 이용하여, 실험관을 흔들어 주는 기구이다. 즉, 실험관을 강제적으로 진동 에너지로 진동시켜 그 내부의 시료에 강제와류 운동(forced-vortex motion)을 일으켜 시료를 녹이거나 농도를 균질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다.A vortex mixer (vortex mixer) is a device that vibrates a tube using mechanical vibration. In other words, it is a product that is used for forcing the sample tube to vibrate with the vibration energy and causing forced-vortex motion in the sample, thereby dissolving the sample or homogenizing the concentration.

예를 들어, 세포가 배양된 실험관은 세포를 실험관 내면으로부터 박리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볼텍스장치를 이용해 세포가 배양된 실험관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세포를 실험관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 cell in which a cell has been cultured may need to be detach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ell. For this purpose, the cell can be peeled from the inside of the cell by applying a vibration to the cell, have.

그런데, 종래의 볼텍스 장치는 Test tube 타입 또는 Flat head 타입에 플라스크, 시험관이나 비커 등을 올려놓고 손으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종래에는 볼텍스 장치의 이용 시, 실험자가 손으로 실험관을 잡고 볼텍스 장치에 고정시켜 볼텍스 장치의 진동이 실험관에 전달되게 하였다.Conventionally, a conventional vortex device is a test tube type or flat head type in which a flask, test tube or beaker is placed on a test tube or a beaker and is supported by a hand. Conventionally, when a vortex device is used,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vortex device was transmitted to the test tube.

이에 따르면, 수동으로 실험관을 볼텍스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실험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장시간 실험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된다는 단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is, since the test tube is manually fixed to the vortex device, the automated process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the accuracy of the experiment is low, and the user is inconvenienced when the experiment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78161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678161.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험관(예를 들어, 플라스크)을 볼텍스 장치에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플라스크 홀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볼텍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sk holder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nd supporting a test tube (e.g., a flask) to a vortex apparatus and a vortex apparatus including the flask holder structur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는, 상기 볼텍스 장치 상에 탈착 가능한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스테이지; 상기 보조 스테이지의 타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험관이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부에 접촉시키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 및 상기 보조 스테이지 상에 거치되도록,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 가능하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st holder holder structure comprising: a main stage detachably mountable on the vortex apparatus; An auxiliary stage extending from the main stage to the other side; A contact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b-stage; And a gripp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stage and holding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test tube to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urface with the contact port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can be held.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험관의 일측부가 통과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의 내면은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의 외면과 마찰 접촉하여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에 걸림 작용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may have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test tube is pass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ed portion of the test tube, And engages the gripped portion.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중공부의 폭 이상일 수 있다.Further, in 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of the test tube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ollow portion.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는 상기 파지부의 하부가 통과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 상기 파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의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대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 상기 파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 복원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작용하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파지부가 파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tage includes a grip portion moving guide groove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 guide rail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on a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to enabl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stage; And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to apply a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grip portion, wherein when the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acts in one direction, And the elastic body is capable of applying a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gripping portion so that the gripping portion is moved to a gripable position,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이동 블록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moving block provided below the main stage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n the guide rail, May apply a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lock.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험관은 상기 파지되는 부분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폭이 점차 커지는 쐐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지되는 부분과 상기 파지부는 쐐기 결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tube has a wedge shape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test tube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gripped portion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gripped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can be wedge- .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는, 상기 파지부의 위치 이동을 소정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restricting a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는,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관의 장착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st holder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provided on the main stage to sense whether the test tube is mounted.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볼텍스 장치는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ortex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is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험관은 타면이 접촉부에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가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태로 메인 스테이지 및 보조 스테이지 상에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관이 볼텍스 장치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tube can be mounted on the main stage and the sub-stage in such a state that the oth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contact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is gripped by the grip portion. Thereby, the test tube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vortex apparatus.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세포 배양 공정 등의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며, 실험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ed process such as a cell culture process can be performed, the accuracy of the experiment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실험관이 거치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가 볼텍스 장치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험관이 거치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를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의 내부 일부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여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의 내부 일부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test tube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vortex apparatus.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st tube is mount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perimen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obliquely from below.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the lower side, showing a part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 connected " with another par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it is " directly connected " "Is includ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op", "top", "under", "bottom"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일측, 일측부, 타측, 타측부, 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타측부,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일측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The term (one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etc.)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the pos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8 o'clock direction generally faces the other side, the 8 o'clock direction generally faces the other side, the 2 o'clock direction generally 1 side,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and the 6 o'clock direction is the lower side in general.

본원은 실험관 홀더 구조체 및 볼텍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nd a vortex apparatus.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이하 '본 홀더 구조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실험관이 거치된 본 홀더 구조체가 볼텍스 장치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실험관이 거치된 본 홀더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홀더 구조체를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홀더 구조체의 내부 일부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여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홀더 구조체의 내부 일부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on which a test tube is mounted is mounted on a vortex apparatus,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on which a test tube is mounted,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bliquely viewed from the lower side, omitting some of the constitutional views to show an inner portion of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part of the holder structure And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omitting some constru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볼텍스(Vortex) 장치(9)에 대한 실험관(8)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에 있어서, 실험관(8)은 실험용 기구를 의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라스크가 실험관(8)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실험관(8)의 종류는 플라스크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크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비커, 샬레 등이 실험관(8)으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enables the mounting of the test tubes 8 to the vortex device 9.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S. 1 and 2,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test tube 8 may mean a laboratory instrument, for example, a flask may be used as the test tube 8. However, the type of the test tube 8 is not limited to the flask. In addition to the flask, various shapes of beakers, chalets, etc. may be used as the test tubes 8.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볼텍스 장치 상에 탈착 가능한 메인 스테이지(11)를 포함한다. 또한,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스테이지(12)를 포함한다. 메인 스테이지(11)와 보조 스테이지(12)는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스테이지(11) 내에 보조 스테이지(12)가 삽입되어 실험관(8)의 사이즈에 따라 보조 스테이지(1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에는 실험관(8)의 거치가 가능하다. 참고로,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에 대한 실험관(8)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스테이지(11)의 상면의 높이와 보조 스테이지(12)의 상면의 높이는 동일 내지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includes a main stage 11 detachable on a vortex device. The holder structure 1 also includes a sub-stage 12 extending from the main stage 11 in the other direction. The main stage 11 and the sub-stage 12 are shown integrally.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age 12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stage 11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b-stage 1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tube 8.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ain stage 11 and the sub-stage 12 can be mounted with the test tubes 8. 5,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tage 11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tage 12 are set to be equal to each other, for the stable mounting of the test tube 8 to the main stage 11 and the sub stage 12. [ The heights can be set to be the same or correspondingly.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볼텍스 장치(9)에 탈착 가능한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텍스 장치(6)의 상면의 돌출부가 연결부(112)에 삽입되어 본 홀더 구조체(1)가 볼텍스 장치(9)에 결합될 수 있다. 3, 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12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main stage 11 and is detachable to the vortex device 9. For example, a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ortex device 6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112 so that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can be coupled to the vortex device 9.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보조 스테이지(12)의 타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13)를 포함한다.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에 대한 실험관(8)의 안착시, 실험관(8)의 타면은 접촉부(13)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3)는 실험관(8)의 타면에 접촉되어 실험관(8)이 메인 및 보조 스테이지(11, 12) 상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후술하는 파지부에 정확히 파지될 수 있도록 실험관(8)을 지지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includes a contact portion 13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b-stage 12. As shown in Fig. The other surface of the test tube 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3 when the test tube 8 is seated on the main stage 11 and the sub stage 12. [ The contact portion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test tube 8 to prevent the test tube 8 from being moved in the other direction on the main and sub stages 11 and 12 and to be gripped accurately by the grip portion The test tube 8 can be supported.

또한,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의 일측부 중 실험관(8)의 적어도 일부의 파지가 가능한 파지 위치(자세히 후술함)에 구비되는 파지부(브라켓)(14)를 포함한다. 파지부(18)는 메인 스테이지(11)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실험관(8)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4)는 실험관(8)이 그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플라스크의 후면)를 접촉부(13)에 접촉시키며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 상에 거치되도록, 실험관(8)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 가능하다. 즉, 본 홀더 구조체(1)에 의하면, 실험관(8)은 타면이 접촉부(13)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가 파지부(14)에 의해 파지되는 상태로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 상에 거치될 수 있다.The holder structure 1 also includes a grip portion (bracket) 14 provided at a gripping position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t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8 can be gripped among the one side portion of the main stage 11 . The grip portion 18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stage 11 and can grasp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8. The gripping portion 14 is designed so that the test tube 8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13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urface thereof (for example, the back surface of the flask) and is mounted on the main stage 11 and the sub-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ding member 8 can be gripp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the test tube 8 is supported by the contact portion 13 at the other surface, and the main stage 11 and the auxiliary stage 12 ). ≪ / RTI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14)는 실험관(8)의 일측부가 통과되는 중공부(14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의 내면은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의 외면과 마찰 접촉하여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에 걸림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험관(8)의 외면 중 파지부(14)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파지되는 부분)은 파지부(14)의 내면과 마찰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험관(8)은 파지부(14)에 파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험관(8)의 타측부가 중공부(141)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파지부(14)는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에 걸림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grip portion 14 may have a hollow portion 141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test tube 8 is passed.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14 can come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to be gripped of the test tube 8, and can engage with the gripped portion of the test tube 8. In other words, th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st tube 8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4 (gripped portion) can be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4, The grip portion 14 can be gripped by the grip portion 14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test tube 8 can be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hollow portion 141. [ It can be said that it is a hanging action.

예를 들어,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의 폭은 중공부(141)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험관(8)의 너비 방향으로의 폭(도 2 참조 10시-4시 방향으로의 폭)은 중공부(141)의 너비 방향으로의 폭(도 2 참조 10시-4시 방향으로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부(14)와 실험관(8)의 마찰 접촉 및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portion to be held by the test tube 8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ollow portion 141. 1 and 2,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tube 8 (width in the direction of 10 o'clock-4 o'clock as viewed in Fig. 2) is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41 Width in the direction of 10 o'clock to 4 o'clock as shown in Fig. 2). As a result, frictional contact and engagement of the gripper 14 and the test tube 8 can be performed.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파지부(14)는 메인 스테이지(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14)는 메인 스테이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 스틱(142), 한 쌍의 기둥 스틱(142)을 연결하는 상측 스틱(143)을 포함할 수 있다. 실험관(8)의 일측부가 일측 방향으로 중공부(141)를 통과하도록, 한 쌍의 기둥 스틱(142)은 일측 및 타측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상측 스틱(143)은 이러한 한 쌍의 기둥 스틱(142)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부(141)가 일측-타측 방향을 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기둥 스틱(142) 및 상측 스틱(143) 각각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와 실험관(8)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쌍의 기둥 스틱(141)의 표면은 고무 또는 세라믹 소재로 코팅되거나 복수의 O-RING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grip portion 1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tage 11. [ The grip portion 14 may include a pair of pillar sticks 142 extending upward from the main stage 11 and an upper stick 143 connecting the pair of pillar sticks 142. The pair of column sticks 142 may be spac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one side of the test tube 8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141 in one direction, May connect such a pair of column posts 142. Accordingly, the hollow portion 141 can be formed so as to fa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For reference, the cross-section of each of the pillar stick 142 and the upper stick 143 may be cir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rip portion 14 and the test tube 8, the surfaces of the pair of column sticks 141 may be coated with a rubber or ceramic material o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ring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스테이지(11)에는 파지부(14)의 하부가 통과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2, the main stage 11 is provided with a gripper moving guide groove 111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per 14 passes therethrough. have.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스테이지(11)에는 파지부(14)의 한 쌍의 기둥 스틱(142) 각각의 하부가 통과 배치되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111)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부(14)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111)을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main stage 11 is formed with a pair of gripper movement guide grooves 111 through which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column sticks 142 of the gripper portion 14 passes, . Accordingly, the grip portion 14 is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long the grip portion movement guide groove 111. [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구비되어 파지부(14)의 하부와 연결되는 이동 블록(17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둥 스틱(142) 각각의 하부는 이동 블록(171)과 연결될 수 있다.4 and 5, 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 moving block 171 provided below the main stage 11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4. [ 4 and 5,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illar sticks 142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71.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은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서 파지부(14)의 메인 스테이지(11)에 대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레일(17)은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서 파지부(14)의 하부와 이동 블록(171)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파지부(14)의 하부와 연결되는 이동 블록(171)이 가이드 레일(17)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파지부(14)는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17)은 LM가이드일 수 있다.4 and 5, 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 guide rail 17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11. As shown in FIG. The guide rail 17 allows the grip portion 14 to move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11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stage 11. The guide rail 17 is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indirect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4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11 through the moving block 171. 3, a moving block 17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4 is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n the guide rail 17. [ Thus, the grip portion 14 is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llustratively, the guide rail 17 may be an LM guide.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구비되고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체(16)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6)의 일단은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탄성체(16)의 타단은 이동 블록(171)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16)는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구비되고 파지부(14)의 하부와 이동 블록(171)을 통해 연결되어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한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체(16)는 이동 블록(171)과 연결될 수 있고, 이동 블록(171)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4 and 5, 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n elastic body 16 provided below the main stage 11 and acting on the grip portion 14 for restoring the position. One end of the elastic body 1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1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16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71. The elastic body 16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11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4 through the moving block 171 to apply a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grip portion 14. [ 3, the elastic body 16 can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71, and can apply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grip portion 14 by apply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moving block 171. [

이러한 본 홀더 구조체(1)에 의하면, 파지부(14)는 위치 복원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작용하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16)는 파지부(14)가 파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the grip portion 14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acts in one direction. Further, the elastic body 16 can exert a position restoring force on the grip portion 14 so that the grip portion 14 can be moved to a gripable position.

즉,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작용하면 파지부(14)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111) 내에서 일측 방향(도 2에서 8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지부(14)와 접촉부(13) 사이의 간격이 확장(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부(14)에 외력을 작용하여 파지부(14)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지부(14)와 접촉부(13)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킨 후, 메인 스테이지(11) 및 보조 스테이지(12) 상에 실험관(8)을 안착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acts on the grip portion 14 in one direction, the grip portion 14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8 o'clock direction in Fig. 2) in the grip portion movement guide groove 111 The gap between the grip portion 14 and the contact portion 13 can be expanded (increased). The user moves the gripping portion 14 in one direction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gripping portion 14 to increase the gap between the gripping portion 14 and the contact portion 13 as much as possible, ) And the test tube 8 on the sub-stage 12.

또한, 외력이 위치 복원력보다 작아지면 힘의 균형을 위해 파지부(14)는 위치 복원력이 작용하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파지부(14)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111) 내에서 타측 방향(도 2에서 2시 방향)으로 이동되며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을 파지하며 파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Also, when the external force is smaller than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the grip portion 14 can be moved toward the other side in which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is applied for the purpose of balance of force. The grip portion 14 is moved in the other direction (2 o'clock direction in FIG. 2) in the grip portion movement guide groove 111 and can be moved to a gripable position by gripping the grip portion of the test tube 8.

이에 따르면, 파지부(14)가 실험관(8)이 파지되었을 때의 위치와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 외의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파지부(14)가 실험관(8)을 파지하지 않을 때의 위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4)에 위치 복원력 외의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파지부(14)가 실험관(8)을 파지하지 않을 때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가정하면(탄성체(16)에 의해 파지부(14)가 초기 위치에 위치해 있다), 파지부(14)가 실험관(8)을 파지할 때의 위치는 파지부(14)에 타측 방향으로의 위치 복원력이 작용하며, 동시에 파지부(14)와 실험관(8) 사이의 마찰 결합 및 걸림 작용에 의해 파지부(14)에 일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지부(14)의 실험관(8)을 파지할 때의 위치는 초기 위치보다 일측을 향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파지부(14)의 파지 가능한 위치라 함은, 파지부(14)의 상기 초기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파지부(14)가 실험관(8)을 파지할 때 갖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grip portion 14 does not act on the grip portion 14 at the time when the test tube 8 is gripped and the grip portion 14 does not have any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and the grip portion 14 does not grip the test tube 8 The position of the time may be different. Specifically, assuming that an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does not act on the gripping portion 14 and the gripping portion 14 does not hold the test tube 8 at the initial positio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16 The position when the grip section 14 grips the test tube 8 acts on the grip section 14 in the other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grip section 14 The holding force is applied to the grip portion 14 in one direction by the frictional engagement and the engagement action between the test tube 8 and the test tube 8, It can be more toward one side. The gripping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4 does not mea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4 but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4 when the gripping portion 14 grips the test tube 8 It can mean.

한편, 실험관(8)은 파지되는 부분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폭이 점점 커지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과 파지부(14)는 쐐기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4)에 실험관(8)이 파지되면, 실험관(8)은 접촉부(13)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지지력을 작용받고, 파지부(14)에는 위치 복원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지부(14)가 실험관(8)에 대해 실험관(8)의 외면에 마찰 결합되며 끼임되는 작용이 구현되며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의 폭은 중공부(141)의 폭 이상으로 설정되며,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부는 폭이 점점 커질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와 실험관(8)의 파지되는 부분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험관(8)은 파지되는 부분의 타측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부까지 쐐기 형상(81)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est tube 8 may have a wedge shape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test tube 8 is gradually increased in width from the gripped portion toward the other side. Thus, the grip portion of the test tube 8 and the grip portion 14 can be wedge-engaged. Specifically, when the test tube 8 is gripped by the gripping portion 14, the test tube 8 is subjected to a supporting force in one direction by the contact portion 13, and the gripping portion 14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 gripping portion 14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est tube 8 with respect to the test tube 8 and the action of being pinched is realized and the wedge connection can be made. Thus,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portion to be gripped by the test tube 8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ollow portion 141, and at least part of the test tube 8 from the gripped portion to the other- Can be large. 1 and 2, the test tube 8 is formed to have a wedge shape (not shown) in at least a par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gripped portion, for easy engagement between the grip portion 14 and the grip portion of the test tube 8, (81).

또한, 본 홀더 구조체(1)는 파지부(14)의 위치 이동을 소정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18)는 가이드 레일(17)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 블록(171)의 위치 이동을 소정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8)는 가이드 레일(17)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구비되어 이동 블록(171)이 가이드 레일(17)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 stopper 18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14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Referring to FIG. 3, the stopper 18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171, which is moved on the guide rail 17, to a predetermined or less extent. For example, the stopper 18 may b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rail 17 so that the moving block 171 does not deviate from the guide rail 17.

또한,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에 구비되어 실험관(8)의 장착 유무를 센싱(감지)하는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structure 1 may include a sensor 15 provided on the main stage 11 to sen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est tube 8 mounted thereon.

또한, 본 홀더 구조체(1)는 메인 스테이지(11)의 하측에 구비되어 탄성체(16), 가이드 레일(17), 이동 블록(171), 스토퍼(18)를 수용하는 케이스(도면번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스테이지(11)의 하부 및 케이스 내부에 파지부(14)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체(16), 가이드 레일(17), 이동 블록(171), 스토퍼(18)가 구비되어 실험관(8)을 재치하는데 걸리는 부분이 없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실험관(8)을 메인 스테이지(11)의 상면에 재치할 수 있다.The holder structure 1 includes a case (not shown) that is provided below the main stage 11 and accommodates the elastic body 16, the guide rail 17, the moving block 171, and the stopper 18, . ≪ / RTI > Therefore, an elastic body 16, a guide rail 17, a moving block 171, and a stopper 18 for moving the grip portion 14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tage 11 and the case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easily place the test tube 8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tage 11 without having to place the test tube 8 in place.

또한, 본원은 상술한 본 홀더 구조체(1)를 포함하는 볼텍스 장치(9)를 제안한다. 볼텍스 장치(9)는 하우징, 모터, 모터의 회전운동을 볼텍스 운동으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 모터 및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홀더 구조체(1)와 결합하는 돌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 vortex device 9 comprising the present holder structure 1 described above. The vortex device 9 may include a housing, a motor, an actuato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a vortex mo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actuator, a protrusion for engaging with the holder structure 1, and the lik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
11: 메인 스테이지
111: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
112: 연결부
12: 보조 스테이지
13: 접촉부
14: 파지부
15: 센서
16: 탄성체
17: 가이드 레일
171: 이동 블록
18: 스토퍼
9: 볼텍스 장치
8: 실험관
81: 실험관의 쐐기 형상인 부분
1: Experimental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Main stage
111: gripper moving guide groove
112:
12: Substage
13:
14:
15: Sensor
16: elastomer
17: Guide rail
171: Moving block
18: Stopper
9: Vortex device
8: Experimenters
81: The wedge-shaped part of the test tube

Claims (9)

볼텍스(Vortex) 장치에 대한 실험관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실험관 홀더 구조체로서,
상기 볼텍스 장치 상에 탈착 가능한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스테이지;
상기 보조 스테이지의 타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험관이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부에 접촉시키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 및 상기 보조 스테이지 상에 거치되도록, 상기 실험관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 가능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험관의 일측부가 통과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의 내면은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의 외면과 마찰 접촉하여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에 걸림 작용 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는 상기 파지부의 하부가 통과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 이동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대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서 상기 파지부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 복원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일측 방향으로 작용하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파지부가 파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인, 실험관 홀더 구조체.
An experimental tube holder structure that enables mounting of a test tube to a Vortex device,
A main stage detachable on the vortex device;
An auxiliary stage extending from the main stage to the other side;
A contact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b-stage; And
And a grip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stage and gripping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capable of grasping at least a part of the test tube so that the test tube contacts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urface with the contact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main stage and the sub stage,
The gripping portion has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test tube pa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ed portion of the test tube to engage with the gripped portion of the test tube,
The main stage includes a gripper moving guide groov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per portio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 guide rail for allowing the grip portion to mov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lative to the main stage from a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And
An elastic body which acts on the grip por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main stage,
Further comprising:
The gripper moves in one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acts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elastic body exerts a position restoring force on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grip portion is moved to a gripable 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관의 파지되는 부분의 폭은 상기 중공부의 폭 이상인 것인, 실험관 홀더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gripped portion of the test tube is not less than the width of the hollow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이동 블록에 위치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인, 실험관 홀더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block provided below the main stage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n the guide rail,
Wherein the elastic body exerts a restoring force on the moving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관은 상기 파지되는 부분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폭이 점차 커지는 쐐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지되는 부분과 상기 파지부는 쐐기 결합하는 것인, 실험관 홀더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st tube has a wedge shape in which at least a part thereof gradually increases in width from the gripped portion toward the other side,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are wedge-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위치 이동을 소정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험관 홀더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ripp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r less,
Further comprising: a labyrinth holder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관의 장착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실험관 홀더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provided on the main stage for sensing whether the test tube is mounte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따른 실험관 홀더 구조체를 포함하는 볼텍스 장치.A vortex device comprising a test tube hold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KR1020170127257A 2017-09-29 2017-09-29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KR101977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57A KR101977628B1 (en) 2017-09-29 2017-09-29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57A KR101977628B1 (en) 2017-09-29 2017-09-29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77A KR20190037677A (en) 2019-04-08
KR101977628B1 true KR101977628B1 (en) 2019-05-13

Family

ID=6616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257A KR101977628B1 (en) 2017-09-29 2017-09-29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6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0003A (en) * 2020-08-13 2020-11-17 陈龙刚 Transfer device for stem cell sampling
CN114130449B (en) * 2021-11-19 2023-02-24 陕西理工大学 Kit for detecting resistance allele of abortion disease of milk goa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599A (en) * 1998-03-05 1999-10-26 Bothers; Ron Scott Reciprocating shaker apparatus
DE102011109332A1 (en) * 2011-08-03 2013-02-07 Eppendorf Ag Laboratory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aboratory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77A (en)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628B1 (en) Holder structure for flask and vortex apparatus
KR101026042B1 (en) Gripper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KR100869046B1 (en) Afm probe
JP6778264B2 (en) Stackable modules
WO2017020525A1 (en) A liquid-drop micro-operation manipulator structure and attitude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764746B2 (en) Panel hanger and bar hanger
CN108890685A (en) Flexible fixture
CN103076226A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ensile mechanical property of metallic foil plate with help of high-frequency vibration
TW201616033A (en) Method of positioning a carrier on a flat surface, and assembly of a carrier and an positioning member
JP6309885B2 (en) Tensile test apparatus and tensile test method
CN208914154U (en) Flexible fixture
CN108872639B (en) Sample holder, fixing member, and sample fixing method
CN216260378U (en) Stable horizontal oscillator
CN214122276U (en) Atomic force microscope probe clamping auxiliary device
AU2006217315B2 (en) Fixing system for at least one fluidic component of a chromatography device
JP2019107739A (en) Electric gripper device
KR20180001807A (en) Jig device
KR20190046751A (en) Microscope mounting type cell stretching apparatus
EP3177387A1 (en) Device for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plasma
CN218824318U (en) Grab a glass device and sample analysis appearance
KR101668463B1 (en) Leaf spring for Fast Tool Servo and Fast Tool Servo having the leaf spring
JP2004325836A (en) Micromanipulator
CN218445537U (en) Grab a glass device and sample analysis appearance
CN216098929U (en) Belt transmission mechanism and manipulator
KR102127325B1 (en) Rack for plat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