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19B1 -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19B1
KR101977619B1 KR1020170161831A KR20170161831A KR101977619B1 KR 101977619 B1 KR101977619 B1 KR 101977619B1 KR 1020170161831 A KR1020170161831 A KR 1020170161831A KR 20170161831 A KR20170161831 A KR 20170161831A KR 101977619 B1 KR101977619 B1 KR 10197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service
service point
point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기술)을 실현하는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일한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셋탑박스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에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는,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 것으로서, 가입자가 원하는 다채로운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하여 구매(결제)한 후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IPTV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구매(결제) 시, 다양한 방식으로 기 지급받아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구매(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포인트는, 앞서 구매(결제)한 결제금액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지급되거나, 별도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구매되는 방식으로 지급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될 수 있는데, 그 서비스포인트가 지급된 셋탑박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제한되고 있다.
한편, 요즘은 한 가정에 여러 대의 셋탑박스를 예컨대 거실에 한대 방에 한대를 설치하여 각기 다른 공간에서 IPTV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한 가정(동일 댁내)에 설치된 셋탑박스임에도 불구하고 거실에 설치된 셋탑박스에 지급된 서비스포인트는 거실에 설치된 셋탑박스에만 사용할 수 있고, 안방에 설치된 셋탑박스에 지급된 서비스포인트는 안방에 설치된 셋탑박스에만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에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는,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셋탑박스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입력에 따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거나, 또는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막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막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셋탑박스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입력에 따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거나, 또는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제어단계는,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제어단계는, 상기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IPTV 서비스에서의 컨텐츠 구매 기회 확대 및 서비스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계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 댁내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가 공유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환경은, 셋탑박스, 공유기(무선중계장치), 및 서비스서버(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가정)에 설치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 자신과 연결된 공유기(무선중계장치)를 통해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예컨대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공유기(무선중계장치)는, 셋탑박스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10)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한 가정(1) 내에 여러 대의 셋탑박스 예컨대 셋탑박스A,B가 각기 다른 공간(예: 거실, 방)에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며, 이 경우 셋탑박스A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를 공유기A로 도시하며 셋탑박스B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를 공유기B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경우는,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에 해당되며, 여기서 셋탑박스A,B는 동일 댁내 기기에 해당된다.
서비스서버(100)는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예컨대,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셋탑박스에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일컫는다.
이러한, 서비스서버(100)는 예컨대 방송 서버(Broadcast Server), VoD 서버(VoD Server), 메타 데이터 서버(Metadata Server), 및 가입자 관리부(Subscriber Management Unit)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서비스서버(10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원하는 다채로운 컨텐츠(예: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 컨텐츠 등)를 검색하여 구매(결제)한 후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IPTV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구매(결제) 시, 다양한 방식으로 기 지급받아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구매(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포인트는, 앞서 구매(결제)한 결제금액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지급되거나, 별도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구매되는 방식으로 지급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될 수 있는데, 그 서비스포인트가 지급된 셋탑박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제한되고 있다.
이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즉,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셋탑박스A,B는 동일 댁내(1)에 설치된 셋탑박스이므로 동일한 가입자가 이용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셋탑박스A에 지급된 서비스포인트를 셋탑박스A에만 사용할 수 있고, 셋탑박스B에 지급된 서비스포인트를 셋탑박스B에만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동일 댁내(1)의 셋탑박스A,B 간에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20)와,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서버(100)는, 이력관리부(1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서버(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서비스서버(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서비스서버(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110)는,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셋탑박스는,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셋탑박스를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 상 도 1을 참조하여 셋탑박스A가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서, 제2셋탑박스는,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 입력에 따라,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를 의미한다.
즉, 제2셋탑박스는, 셋탑박스A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 즉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를 의미하며, 달리 말하면,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셋탑박스A에서는, 사용자(IPTV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공유요청이 입력되면, 연결된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 셋탑박스의 기기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댁내 기기라면, 셋탑박스A에서는, 연결된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 셋탑박스 즉 셋탑박스B의 기기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셋탑박스A에서는,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10)는, 제1셋탑박스 즉 셋탑박스A로부터 제2셋탑박스 즉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때,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에는,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 즉 셋탑박스B의 기기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부(120)는, 제2셋탑박스가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셋탑박스A가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판단부(120)는, 셋탑박스B 즉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단부(120)는, 셋탑박스A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 즉 공유기A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셋탑박스B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 즉 공유기B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근거로,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에 의해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셋탑박스A,B 각각의 공유기A,B의 접속단말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전술의 이력관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130)는, 셋탑박스A,B를 비롯하여 IPTV 서비스에 가입된 각 셋탑박스 별로, 해당 셋탑박스의 무선중계장치(공유기)와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10)이 확인될 때마다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의 식별정보(예: MAC 주소 등)를 누적/저장하여, 공유기에 대한 접속단말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판단부(120)는, 이력관리부(130)에서 셋탑박스A의 공유기A에 대한 접속단말이력정보(이하, 제1접속단말이력정보)와 셋탑박스B의 공유기B에 대한 접속단말이력정보(이하,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20)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예: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 즉 이동통신 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예: 80%) 이상이면,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만약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경우, 댁내(1)에서 드나드는 외부인(이동통신 단말)이 있는 경우를 감안하더라도 주로 생활하는 사람(이동통신 단말)은 동일할 것이므로, 공유기A 또는 공유기B와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들은 상호 대부분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또는, 판단부(120)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 즉 이동통신 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만약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경우, 댁내(1)에서 드나드는 외부인(이동통신 단말)이 있는 경우를 감안하더라도 주로 생활하는 사람(이동통신 단말)은 동일할 것이므로, 공유기A 또는 공유기B와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가장 많인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은 상호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제어부(140)는, 제2셋탑박스 즉 셋탑박스B가 제1셋탑박스 즉 셋탑박스A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셋탑박스A에서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40)는, 셋탑박스A에 의해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금번 셋탑박스A로부터 수신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에 따라 셋탑박스A에서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뿐 아니라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셋탑박스A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가 300포인트이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가 500포인트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인 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인 500포인트를 합산한 800포인트를 공유 서비스포인트로서 셋탑박스A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4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로서 셋탑박스A에 800포인트를 제공하더라도,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와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를, 통합하여 관리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셋탑박스A에서 사용하는 절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셋탑박스A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확인하고, 사용자(IPTV 가입자)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예: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 컨텐츠 등)를 검색한 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구매(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셋탑박스A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확인하고,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요청할 수도 있다.
이렇게, 셋탑박스A에서는, 셋탑박스A 자신의 서비스포인트 뿐 만 아니라 동일 댁내(1)의 셋탑박스A,B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등, 공유 서비스포인트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요청을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으로 통칭하겠다.
제어부(140)는, 앞서 셋탑박스A로 제공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수신 시,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에 따라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을 처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예컨대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가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처리한 후, 셋탑박스A로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를 제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140)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예컨대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가 납입금액 이상인 경우 해당 납입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에,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전체인 경우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를 모두 차감할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에,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인 경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 사용할 또는 사용된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200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는 전체 300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200포인트)를 차감한 후 100포인트가 남게 되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는 차감 없이 유지될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 사용할 또는 사용된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큰 경우,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400포인트)를 차감하고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400포인트) 중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예: 100포인트)를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 300포인트는 모두 차감되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 500포인트는 일부 서비스포인트(400포인트) 중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100포인트가 차감된 후 400포인트가 남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는, 동일 댁내(1)의 셋탑박스A,B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포인트를 전제로,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처리 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 및 공유 서비스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을 발생하는 셋탑박스, 예컨대 전술의 예시의 경우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를 선 사용하고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고도 부족한 경우 동일 댁내 기기인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셋탑박스A가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고 공유 서비스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셋탑박스B가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고 공유 서비스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전술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의 셋탑박스로서 두개의 셋탑박스A,B를 언급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3개의 셋탑박스 또는 그 이상의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설치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는, 동일한 댁내(1)에 다수 개의 셋탑박스A,B가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A,B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에 의해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동일 댁내의 후보기기로 예상된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별도의 판단 기준 즉 접속단말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는, 댁내(1)에 설치된 셋탑박스가 교체되거나 신규 셋탑박스가 추가로 설치되더라도, 가입자 또는 운영자가 별도로 댁내 기기의 정보갱신을 수행하지 않아도, 신뢰도 높게 동일 댁내 기기를 식별(판단)함으로써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IPTV 서비스에서의 컨텐츠 구매 기회 확대 및 서비스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 댁내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가 공유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겠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셋탑박스A 및 셋탑박스A에 연결된 공유기A를 하나로 도시하고, 셋탑박스B 및 셋탑박스B에 연결된 공유기B를 하나로 도시하여 설명하겠다.
셋탑박스A에서는, 사용자(IPTV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공유요청이 입력되면(S10),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 셋탑박스의 기기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댁내 기기라면, 셋탑박스A에서는, S20단계에서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주변 셋탑박스 즉 셋탑박스B의 기기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S30).
이 경우 셋탑박스B는, 셋탑박스A 입장에서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를 의미하며, 달리 말하면,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셋탑박스A에서는, 댁내 후보기기 즉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서비스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40).
이때,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에는,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 즉 셋탑박스B의 기기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서버(100)는, 전술과 같이 셋탑박스A로부터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50)은, 후술할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S50 Yes), 금번 셋탑박스A로부터 수신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에 따라 셋탑박스A에서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뿐 아니라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60~S95).
즉,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셋탑박스A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60).
셋탑박스A에서는, S60단계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확인하고(S70), 사용자(IPTV 가입자)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예: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 컨텐츠 등)를 검색한 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구매(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80).
또는, 셋탑박스A에서는, S60단계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확인하고(S70),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요청할 수도 있다(S8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등, 공유 서비스포인트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요청을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으로 통칭하겠다.
서비스서버(100)는, 앞서 셋탑박스A로 제공한 공유 서비스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수신 시(S80),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에 따라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을 처리할 것이다(S90).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예컨대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공유 서비스포인트가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처리한 후, 셋탑박스A로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를 제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S90).
이때, 서비스서버(10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에,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를 공유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할 것이다(S95).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처리 시 서비스포인트를 공유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하는 과정(S95)은, 후술할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서비스서버(100)는,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지 인지한다(S100).
여기서 제1셋탑박스는,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셋탑박스를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 상 도 1을 참조하여 셋탑박스A가 서비스포인트 공유를 요청하는 경우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서, 제2셋탑박스는,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 입력에 따라,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를 의미한다.
즉, 제2셋탑박스는, 셋탑박스A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 즉 공유기A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를 의미하며, 달리 말하면,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로서 셋탑박스B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서비스서버(100)는, 제1셋탑박스 즉 셋탑박스A로부터 제2셋탑박스 즉 셋탑박스B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셋탑박스B의 기기식별정보 포함)을 수신할 수 있다(S100 Yes).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B 즉 셋탑박스A에 의해 자신과 동일 댁내(1)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의 공유기A에 대한 접속단말이력정보(이하, 제1접속단말이력정보)와 셋탑박스B의 공유기B에 대한 접속단말이력정보(이하,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서버(100)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예: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 즉 이동통신 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예: 80%) 이상이면,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0 Yes).
이는, 만약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경우, 댁내(1)에서 드나드는 외부인(이동통신 단말)이 있는 경우를 감안하더라도 주로 생활하는 사람(이동통신 단말)은 동일할 것이므로, 공유기A 또는 공유기B와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들은 상호 대부분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또는, 서비스서버(100)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 즉 이동통신 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0 Yes).
이는, 만약 셋탑박스A,B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경우, 댁내(1)에서 드나드는 외부인(이동통신 단말)이 있는 경우를 감안하더라도 주로 생활하는 사람(이동통신 단말)은 동일할 것이므로, 공유기A 또는 공유기B와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가장 많인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은 상호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서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0 Yes), 셋탑박스A에서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120~S180).
즉,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에 의해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110 No), 서비스포인트 공유가 불가능함을 셋탑박스A에 회신할 수 있다(S115).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에 의해 예상되는 댁내 후보기기인 셋탑박스B가 셋탑박스A와 실제로 동일한 댁내(1)에 설치된 동일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S110 Yes), 금번 셋탑박스A로부터 수신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에 따라 셋탑박스A에서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뿐 아니라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120~S180).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셋탑박스A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120).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가 300포인트이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가 500포인트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서버(100)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인 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인 500포인트를 합산한 800포인트를 공유 서비스포인트로서 셋탑박스A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셋탑박스A에서 사용하는 절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셋탑박스A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확인하고, 사용자(IPTV 가입자)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예: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 컨텐츠 등)를 검색한 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구매(결제)를 요청하거나,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사용한 IPTV 서비스의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등, 공유 서비스포인트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요청을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으로 통칭하겠다.
서비스서버(100)는, 앞서 셋탑박스A로 제공한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수신 시(S130 Yes),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에 따라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을 처리할 것이다(S140).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는,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 예컨대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을 처리하여,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가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의 구매금액을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 처리한 후, 셋탑박스A로 해당 컨텐츠(예: VoD 컨텐츠)를 제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서버(10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처리 시에,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의 일부인지 판단한다(S150).
서비스서버(100)는,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의 일부가 아닌 경우(S150 No),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전체이므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및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를 모두 차감할 것이다(S155).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처리 시에, 사용할 또는 사용된 서비스포인트가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인 경우(S150 Yes),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판단한다(S160).
서비스서버(10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 사용할 또는 사용된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S160 No),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200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S170).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는 전체 300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200포인트)를 차감한 후 100포인트가 남게 되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는 차감 없이 유지될 것이다.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공유 서비스포인트(800포인트) 중 금번 서비스포인트 사용 요청(예: 컨텐츠 구매(결제) 요청, 월 납입금액 결제 요청) 처리 시 사용할 또는 사용된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 보다 큰 경우(S160 Yes),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400포인트)를 차감하고 일부 서비스포인트(예: 400포인트) 중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300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예: 100포인트)를 셋탑박스B의 서비스포인트(500포인트)에서 차감할 수 있다(S180).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에서, 셋탑박스A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 300포인트는 모두 차감되고 셋탑박스B에 대응하여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포인트 500포인트는 일부 서비스포인트(400포인트) 중 셋탑박스A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100포인트가 차감된 후 400포인트가 남게 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IPTV 서비스에서의 컨텐츠 구매 기회 확대 및 서비스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박스가 동일한 댁내에 다수 개 설치된 경우, 동일 댁내의 셋탑박스 간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서비스서버
110 : 수신부 120 : 판단부
130 : 이력관리부 140 : 제어부

Claims (12)

  1.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셋탑박스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입력에 따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거나, 또는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7. 제1셋탑박스로부터 제2셋탑박스에 대한 서비스포인트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제어단계는,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셋탑박스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서 입력되는 공유요청입력에 따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기기식별정보가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셋탑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셋탑박스에 연결된 무선중계장치에 대하여 관리되는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접속단말이력정보 및 상기 제2접속단말이력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기간 동안 접속된 무선단말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거나, 또는 가장 많은 횟수 접속된 상위 1개 이상의 무선단말이 상호 동일한 경우,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제어단계는,
    상기 제2셋탑박스가 상기 제1셋탑박스와 동일한 댁내 기기인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및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를 합산한 공유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1셋탑박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제어단계는,
    상기 공유 서비스포인트 중 일부 서비스포인트에 대한 사용 요청 처리 시에,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가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일부 서비스포인트 중 상기 제1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 시 부족한 서비스포인트를 상기 제2셋탑박스의 서비스포인트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70161831A 2017-11-29 2017-11-29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KR10197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31A KR101977619B1 (ko) 2017-11-29 2017-11-29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31A KR101977619B1 (ko) 2017-11-29 2017-11-29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619B1 true KR101977619B1 (ko) 2019-05-13

Family

ID=6658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31A KR101977619B1 (ko) 2017-11-29 2017-11-29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6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557A (ko) * 1998-07-17 2001-06-25 암만 챨스 비. 세대내에 복수개의 장치를 갖는 대화형 텔레비젼 프로그램가이드 시스템
KR20040073440A (ko) * 2001-11-21 2004-08-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단일 고객을 위해 할당된 복수의 셋톱 박스들 내에서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2933A (ko) * 2008-02-28 2009-09-02 주식회사 미디어벨로 양방향 tv에서의 그룹 통합 포인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557A (ko) * 1998-07-17 2001-06-25 암만 챨스 비. 세대내에 복수개의 장치를 갖는 대화형 텔레비젼 프로그램가이드 시스템
KR20040073440A (ko) * 2001-11-21 2004-08-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단일 고객을 위해 할당된 복수의 셋톱 박스들 내에서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2933A (ko) * 2008-02-28 2009-09-02 주식회사 미디어벨로 양방향 tv에서의 그룹 통합 포인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64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US9774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multimedia resource and display terminal
US9479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between home device and external server in home network system
CN105159079B (zh) 一种解决家电并发控制冲突的方法和装置
US998627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721854B2 (ja) ユーザ装置に対するアセットのプリフェッチングのためのリソース・プロファイル調整
US20130298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pplications of a mobile device server
KR101358346B1 (ko)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자동 로그인 시스템
US20170316199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ccount
CN108737440B (zh) 一种设备管理的方法、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35022B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2876708A1 (en) Authorizing a computing device across services
KR101977619B1 (ko) 서비스서버 및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CN107241332B (zh) 网关权限的处理方法和装置
KR101953628B1 (ko) 셋탑박스장치 및 셋탑박스장치의 동작 방법
US11412369B2 (en) Method for obtaining a command relating to a profile for accessing a network
EP3313039A1 (en) Home gateway,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101952286B1 (ko) 이벤트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2366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source operation request
CN111162981A (zh) 用于智能设备的绑定方法及装置、智能设备
US9830207B2 (en)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935832A (zh) 一种网络资源的分配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15009593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parameters of data network access via a cable television network terminal
US20120254295A1 (en) Service request recept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40215531A1 (en) Restricting use of a direct-to-home digital broadcast satellite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