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700B1 - Mold for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Mold for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00B1
KR101976700B1 KR1020180010136A KR20180010136A KR101976700B1 KR 101976700 B1 KR101976700 B1 KR 101976700B1 KR 1020180010136 A KR1020180010136 A KR 1020180010136A KR 20180010136 A KR20180010136 A KR 20180010136A KR 101976700 B1 KR101976700 B1 KR 10197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read
disposed
moving
trea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원경
양규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a pneumatic tire capable of reducing a step of removing leakage rubber. The mold for a pneumatic tire comprises: a tread mold part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ide mold par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mold part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a first surface of the tread mold part; and a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tread mold part and the side mold part, wherein the sealing part includes a fixed part and a moving part which moves linearly toward the fixed part by attractive force formed between the fixed part and the same.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Mold for pneumatic ti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old for a pneumatic tire.

타이어는 차량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여 차량의 주행 및 제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타이어는 승차감뿐만 아니라 조정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품 중 하나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Tires play an important role in vehicle driving and braking by contacting the ground. Tires are one of the components to ensure stability and stability as well as ride comfort.

타이어의 제조 공정에서 가류 공정은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그린 타이어를 최종 제품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공정 중 하나로서, 금형(mold)을 이용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ire, the vulcanization process is one of the processes for completing the green tire formed in the molding process as the final product, and uses a mold.

가류 공정은 금형을 이용하여 그린 타이어에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공정시 금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틈을 통해 고무가 식출되는 문제가 있다. 식출 고무는 타이어의 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출 고무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ulcanization process may include a step of applying a predetermined heat and pressure to the green tire using a mol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ubber is put through a ga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mold during the vulcanization process. The molded rubber not only hinders the appearance of the tire but also may deteriorate the performance of the ti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ld for a pneumatic tire that prevents or minimizes the formation of molded rubber.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트레드 금형부;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사이드 금형부; 및 상기 트레드 금형부와 상기 사이드 금형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고정부 및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을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ad mold comprising: a tread mold portion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ide mold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a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tread mold part and the side mold part, wherein the sealing part includes a fixing part and a moving part, wherein the moving part is moved by the attraction force formed between the moving part and the fixing part, A mold for a pneumatic tire, which moves linearly toward a fixed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드 금형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사이드 금형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y one of the mov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tread mold portion, and the remaining one may be disposed in the side mold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 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a groove formed in either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금속편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art includes a metal piece or a magnet, and the fixed par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트레드 금형부;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사이드 금형부;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마주보도록 제1면 및 제2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을 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ad mold comprising: a tread mold portion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ide mold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tread mold portion; A moving part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o as to face the moving part, wherein the moving part moves toward the fixing part by a force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part, A mold for a pneumatic tire is dis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금속편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art includes a metal piece or a magnet, and the fixed par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의 인력이 해제되거나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ortion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portion by a repulsive force that is released between the fixed portion and the releasing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오목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내에 배치되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concave groove, and the moving portion disposed in the groove can move toward the fixed portion by the attraction forc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레드 금형부와 사이드 금형부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밀폐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를 이루는 고무의 식출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공정 중 식출 고무를 제거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gap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by sealing the gap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there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formation of the rubber constituting the pneumatic tire, .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링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선형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neumatic tire formed by a pneumatic tire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for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ling portion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linear movement of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sive or possessive are intended to mean that a feature, or ele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of a film, an area, a component or the like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the case where the par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area, And the lik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f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the particular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quence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that are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and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neumatic tire formed by a pneumatic tire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10), 트레드(10)에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월(20)들을 포함한다. 사이드 월(20)은 트레드(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뚫린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사이드 월(20)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는 림(Rim)과의 결합을 도와주는 비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neumatic tire 1 includes a tread 10, a pair of sidewalls 20 connected at the tread 10. The sidewalls 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10, and may be annular with a central portion opened. At the inner edge of the sidewall 20, a bead portion for assisting engagement with the rim may be disposed.

트레드(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과 트레드 패턴에 의해 구획된 블록(16)들이 위치할 수 있다. 블록(16)은 트레드(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tread 10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ire and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On the surface of the tread 10, the blocks 16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 and tread pattern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ability can be located. The block 16 occupies most of the tread 10, and contacts the ground directly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트레드 패턴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그루브(14)와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4)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트레드 패턴은 원주방향 그루브(14)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16)에 형성되며, 그루브(14)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tread pattern may include grooves 14 for drainage on running in wet roads and sipes for improving traction and braking forces. The groove 14 can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tread pattern may include a transverse groov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grooves 14. The sipes are formed in the block 16 and may be groove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grooves 14. The siphon absorbs moisture at the time of traveling on a wet road surface and cuts off the water film, so that the driv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pneumatic tire 1 can be increased.

사이드 월(20)은 각각 폭방향을 따르는 트레드(10)의 일 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 월(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 부분으로서 한 쌍이 구비된다. 사이드 월(20)은 트레드(10)와 사이드 월(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디 플라이를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이드 월(20)은 트레드(10)와 다른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walls 20 are each arranged to exten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tread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ide walls (20) are provided as a pair of side portions of the pneumatic tire (1). The sidewall 20 protects the body ply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ead 10 and the sidewall 20, provides the lateral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 and enhances the ride feeling by performing the bending motion. The sidewall 20 may also serve to transmit the torque of the engine received through the drive shaft to the tread 10. Sidewall 20 may comprise a rubber material different from tread 10.

공기입 타이어(1)는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그린 타이어는 전술한 공기입 타이어(1)의 비드부, 사이드 월(20), 및 트레드(10)와 대응되는 가류 전의 구성들이 성형된 상태를 말할 수 있다. 성형된 그린 타이어는 금형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온 고압으로 쪄내는 가류 공정을 통해 공기입 타이어(1)가 될 수 있다. The pneumatic tire 1 may be formed by vulcanizing a green tire,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d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1 described above, the sidewall 20, and the vulcanized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tread 10 It can be said to be a molded state. The molded green tire can be made into the pneumatic tire 1 through a vulcanization process in which it is squeez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ile being inserted in a mol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링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선형 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for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ealing portion of FIG. Fig.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100, 이하, 금형이라 함)은 트레드 금형부(110) 및 트레드 금형부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금형부(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pneumatic tire mold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ld) includes a tread mold portion 110 and a side mold portion 1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mold portion.

트레드 금형부(110)는 그린 타이어(GT)의 트레드 부분과 대응된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 금형부(1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됨으로써 그린 타이어(GT)의 트레드 부분을 둘러싸는 세그먼트 타입일 수 있다. 트레드 금형부(110)의 내측면, 즉 그린 타이어(GT)의 트레드 부분과 대응되는 면에는 그린 타이어(GT)의 트레드 부분에 요철무늬, 예컨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그루브(14), 블록(16) 및 사이프 등을 포함하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The tread mold portion 110 corresponds to the tread portion of the green tire GT. In one embodiment, the tread mold portions 110 may be of a segment type surrounding a tread portion of the green tire G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tread mold portions 1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read portion of the green tire GT has a concave-convex patter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mold portion 110, that is,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read portion of the green tire GT, for example, the grooves 14, A concave / convex pattern for forming a tread pattern including a sphere 16 and a sipe may be provided.

사이드 금형부(120)는 그린 타이어(GT)의 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트레드 금형부(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사이드 금형부(120)가 트레드 금형부(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The side mold portion 1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mold portion 110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green tire GT. 2 shows that the side mold portions 120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ead mold portion 110, respectively.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는 내부에 그린 타이어(GT)를 배치한 채로 폐쇄되며, 그린 타이어(GT)는 금형(1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고온 고압의 분위기에서 가류될 수 있다.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그린 타이어(GT)의 고무가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 사이의 틈으로 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 사이에는 실링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are closed while the green tire GT is disposed therein and the green tire GT is supported by the mold 100 and is vulcanized in a high- .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side mold part 120 are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wherein the rubber of the green tire GT is arranged betwee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side mold part 120 A sealing portion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to prevent the mold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ap.

도 2을 참조하면,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서로 분리 가능한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금형부(110)의 제1면(110S)과 사이드 금형부(120)의 제2면(120S)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 사이에는 실링부(130)가 배치되어 제1면(110S)과 제2면(120S)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매우 미세한 틈(갭)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가류 공정 중 그린 타이어(GT)의 고무가 해당 틈으로 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urface 110S of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econd surface 110C of the side mold portion 120 120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sealing portion 130 is disposed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to seal a very fine gap that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110S and the second surface 120S, can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ubber of the green tire (GT) from being put into the gap during the vulcanization process.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130)는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의 접촉면, 예컨대 제1 및 제2면(110S, 120S)이 만나는 접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부(132) 및 이동부(132)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힘, 즉 인력 또는 척력을 제공하는 고정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seal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10S and 120S meet And may include a fixed portion 136 for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or pushing the movable moving portion 132 and the moving portion 132, that is, an attractive force or a repulsive force.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중 어느 하나는 트레드 금형부(110)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사이드 금형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이동부(132)가 트레드 금형부(110)에 구비되고, 고정부(136)가 사이드 금형부(12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다.Either the moving part 132 or the fixing part 136 may be provided i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remaining one may be provided in the side mold part 120. [ 3 shows that the moving part 132 is provided i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fixed part 136 is provided in the side mold part 120. [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132)는 트레드 금형부(110)의 제1면(110S)에 형성된 그루브(110G)에 배치되고, 고정부(136)는 이동부(132)와 마주보도록 사이드 금형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금형부(110)에 형성된 그루브(110G)는 이동부(132)의 두께(t) 보다 큰 깊이(D)를 가질 수 있다. 3, the moving part 132 is disposed on a groove 110G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0S of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36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110A of the tread mold part 110, And can be disposed in the mold section 120. The groove 110G formed in the tread mold portion 110 may have a depth D that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moving portion 132. [

이동부(132)의 일측과 그루브(110G)의 바닥면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이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부재(134)의 길이(Lo)와 이동부(132)의 두께(t)의 합은 그루브(110G)의 깊이(D)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34)와 연결된 이동부(132)는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의 인력의 유무에 따라 그루브(110G)의 깊이 방향(또는 이동부(1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134 having a variable length such as a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moving part 13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10G. In one embodiment, the sum of the length Lo of the elastic member 134 and the thickness t of the moving part 132 may be less than the depth D of the groove 110G. The moving part 132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34 move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groove 110G (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132)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ttraction between the moving part 132 and the fixing part 136 Can be moved linearly.

이동부(132)는 금속 또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석은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이동부(132)가 금속이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로서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동부(132)가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부(132)의 전자석은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moving part 132 may include a metal or a magnet, and the magnet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unit 132 includes a metal or a permanent magnet, and a separate power unit is not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ving part 132 includes an electromagnet, the electromagnet of the moving part 1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at provides a voltage.

고정부(136)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6)는 전원부(140)와 연결되며,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되어 이동부(132)를 당기는 인력을 생성하거나 척력을 생성할 있다.The fixing portion 136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The fixing portion 136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ortion 140 and generates a repulsive force or a repulsive force that is magnetized during current flow to pull the moving portion 132.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riving of a sea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류가 전원부(140)로부터 실링부(130)의 고정부(136)으로 공급되면서,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에는 인력이 생성되고, 인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이 용이한 이동부(132)는 고정부(136)를 향해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132)는 고정부(136)를 향해 이동하면서 면접촉할 수 있으며,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 사이의 미세한 틈은 서로 접촉하는 이동부(132)와 고정부(136)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4, when a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0 to the fixing unit 136 of the sealing unit 130, a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moving unit 132 and the fixing unit 136, The movable part 132, which is easily moved to the fixed part 136, moves linearly toward the fixed part 136. The moving part 132 may be in surface contact while moving toward the fixing part 136. The fine gap betwee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side mold part 120 may include a moving part 132, (Not shown).

일 실시예로, 이동부(132)가 철이나 니켈 등과 같은 금속편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부(132)는 고정부(136)에 흐르는 전류의 온/오프를 통해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전류가 온 되면서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에 생성된 인력에 의해 이동부(132)는 상대적으로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136)를 향해 이동하고, 전류가 오프되면 인력이 해제되면서 이동부(132)는 다시 제자리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moving part 132 includes a metal piece such as iron or nickel, the moving part 132 can linearly move through on / off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xing part 136. [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is turned on, the moving part 132 moves toward the fixed part 136, which is relatively fixed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oving part 132 and the fixed part 136, The moving part 132 can be moved back into place as the attraction force is released.

또 다른 실시예로, 이동부(132)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전원부(140)는 고정부(136)에 양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에는 인력이 생성되어 이동부(132)는 고정부(136)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할 수 있다. 이후, 전압(전류)를 오프하여 인을 해제하거나, 전원부(140)에서 음전압을 인가하여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에 척력을 생성하면 이동부(132)는 고정부(1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ving unit 132 includes a magnet, the power source unit 140 can apply a positive voltage to the fixed unit 136, and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moving unit 132 and the fixed unit 136 So that the moving part 132 can move toward the fixed part 136 and make contact therewith. When the negative voltage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moving unit 132 and the fixing unit 136, the moving unit 132 moves the fixing unit 136 136). ≪ / RTI >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의 인력에 의해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 사이의 미세한 틈은 폐쇄될 수 있으며, 가류 공정이 진행된 이후에는 이동부(132)와 고정부(136) 사이의 인력을 해제하거나 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동부(132)와 고정부(136)를 분리하여 트레드 금형부(110)와 사이드 금형부(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링부(130)의 구성을 통해 식출 고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면서 공기입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The fine gap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110 and the side mold portion 120 can be closed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moving portion 132 and the fixing portion 136. After the vulcanization process, The moving part 132 and the fixing part 13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leasing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36 or by generating the repulsive forc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side mold part 120 have. The pneumatic tire can be manufactured while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formation of the molded rubb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sealing portion 130.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이동부(132)가 트레드 금형부(110)에 배치되고 고정부(136)가 사이드 금형부(120)에 배치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이동부(132)가 사이드 금형부(120)에 배치되고, 고정부(136)가 트레드 금형부(110)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to 4, the moving part 132 is disposed on the tread mold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36 is disposed on the side mold part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eedless to say, in another embodiment, the movable portion 132 is disposed in the side mold portion 120, and the position thereof can be changed, such that the fixed portion 136 is disposed in the tread mold portion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금형
110: 트레드 금형부
120: 사이드 금형부
130: 실링부
132: 이동부
134: 탄성부재
136: 고정부
100: Mold for pneumatic tire mold
110: Tread mold part
120: side mold part
130: sealing part
132:
134: elastic member
136:

Claims (8)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트레드 금형부;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사이드 금형부; 및
상기 트레드 금형부와 상기 사이드 금형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고정부 및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선형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트레드 금형부와 상기 사이드 금형부 사이의 틈을 실링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A tread mold portion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ide mold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And a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The sealing portion
Wherein the movable portion moves linearly toward the fixed portion by a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ovable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Wherein the moving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to seal a gap between the tread mold portion and the side mol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트레드 금형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사이드 금형부에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moving part and the fixed part is disposed in the tread mold part and the other is disposed in the side mold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그루브 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연결된,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ving portion is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a groove formed on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금속편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ncludes a metal piece or a magnet, and the fixed por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트레드 금형부;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 금형부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포함하는 사이드 금형부;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마주보도록 제1면 및 제2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트레드 금형부와 상기 사이드 금형부 사이의 틈을 실링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A tread mold portion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ide mold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ead mold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tread mold portion;
A moving part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And a fix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o face the moving unit,
Wherein the moving part is moved toward the fixed part by an attractive force formed between the fixed part and the fixed part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ed part to seal a gap between the tread mold part and the side mold part, mol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금속편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ncludes a metal piece or a magnet, and the fixed por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의 인력이 해제되거나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ing par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part by a repulsive force that is released between the fixed part and the releasing part or formed between the fixed part and the movable part.
제5항에 있어서,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오목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내에 배치되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입 타이어용 금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concave groove and the moving portion disposed in the groove moves toward the fixing portion by the attraction force.
KR1020180010136A 2018-01-26 2018-01-26 Mold for pneumatic tire KR101976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36A KR101976700B1 (en) 2018-01-26 2018-01-26 Mold for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36A KR101976700B1 (en) 2018-01-26 2018-01-26 Mold for pneumatic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00B1 true KR101976700B1 (en) 2019-05-09

Family

ID=6654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36A KR101976700B1 (en) 2018-01-26 2018-01-26 Mold for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0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739B1 (en) * 2020-05-14 2021-08-2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Maintain Gastight Type Tire vulcanization cure Mold Nased On Thermal Expansion
KR102331281B1 (en) * 2020-10-14 2021-12-0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Mold fixing appratus for tire curing
KR102431590B1 (en) * 2021-06-09 2022-08-1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A mold for preventing tires tear-ou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16U (en) * 1993-08-10 1995-02-28 エヌ・オー・ケー・メグラスティック株式会社 Vulcanization mold
JP2006159596A (en) * 2004-12-07 2006-06-22 Yokohama Rubber Co Ltd:The Tire mold, plug therefor and tire manufactured using tire mold
KR20160046006A (en) * 2014-10-17 2016-04-2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Vulcanizing mold for Tire
JP2016221924A (en) * 2015-06-03 2016-12-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Air discharge mechanism and m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16U (en) * 1993-08-10 1995-02-28 エヌ・オー・ケー・メグラスティック株式会社 Vulcanization mold
JP2006159596A (en) * 2004-12-07 2006-06-22 Yokohama Rubber Co Ltd:The Tire mold, plug therefor and tire manufactured using tire mold
KR20160046006A (en) * 2014-10-17 2016-04-2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Vulcanizing mold for Tire
JP2016221924A (en) * 2015-06-03 2016-12-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Air discharge mechanism and mol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739B1 (en) * 2020-05-14 2021-08-2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Maintain Gastight Type Tire vulcanization cure Mold Nased On Thermal Expansion
KR102331281B1 (en) * 2020-10-14 2021-12-0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Mold fixing appratus for tire curing
KR102431590B1 (en) * 2021-06-09 2022-08-1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A mold for preventing tires tear-o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700B1 (en) Mold for pneumatic tire
US6408910B1 (en) Tread including recessed channel and recessed incision and mold for tread
US8973631B2 (en) Pneumatic tire
JP4357790B2 (en) Tread molding die and tread molding method
CN108237651B (en) Tire vulcanization mold and pneumatic tire
CN103946014A (en) Mould comprising a cavity for moulding a device for closure in a groove
JP2001191741A (en) Pneumatic tire
KR102118109B1 (en) Mold for pneumatic tire
KR101775617B1 (en) Cermic stud for tire
KR101976699B1 (en) Mold for pneumatic tire
JPH09226312A (en) Pneumatic tire
KR20080106313A (en) Tyre
US1440553A (en) Puncture-closing inner tube for pneumatic tires
JP2006151231A (en) Pneumatic tire
CN105829086A (en) Moulding element comprising cutting means for moulding and vulcanizing a tyre tread
KR200192813Y1 (en) Pneumatic tire for automobile
KR101379548B1 (en) Blade for tire vulcanizing mold and pneumatic ti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H10244812A (en) Pneumatic tire and vulcanizing die for pneumatic tire
CN214984644U (en) Ultra-high performance tire
KR0133139B1 (en) Radial tire
JPH10905A (en) Pneumatic tire
US1493190A (en) davis
JP2013047053A (en) Pneumatic tire
JP3577283B2 (en) Tire mold and tire produced thereby
KR101437222B1 (en) Blade for tire vulcanizing mold and pneumatic ti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