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92B1 -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792B1
KR101975792B1 KR1020180080888A KR20180080888A KR101975792B1 KR 101975792 B1 KR101975792 B1 KR 101975792B1 KR 1020180080888 A KR1020180080888 A KR 1020180080888A KR 20180080888 A KR20180080888 A KR 20180080888A KR 101975792 B1 KR101975792 B1 KR 10197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breathing
delete delete
mouthpiece
respi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욱진
Original Assignee
홍성태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이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태,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이욱진 filed Critical 홍성태
Priority to KR102018008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63F2009/0007Games with therapeutic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a method providing a small and IoT-based breathing apparatus to enable breathing training anytime, anywhere, and also sends breathing training data to a smart terminal in real time to operate a breathing training program such as games by using the data, thereb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by training through multimedia contents and allowing systematic breathing training even if a user is not an expert; and a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enabling more effective language training by enabling hearing and speech training through the smart terminal in addition to the breathing training.

Description

호흡 및 언어 훈련 장치{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과 호흡 훈련 장치를 이용한 언어 훈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든 호흡훈련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 단말기와 연계하여 호흡 훈련에 흥미를 부여하여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과, 호흡 훈련 외에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청각 및 발성 훈련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언어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training device and method and a language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respiratory trai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enable respiratory training anytime, anywhere, as well as to give interest in respiratory training in connection with a smart terminal. Respiratory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nd a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more effective language training by enabling hearing and speech training through a smart terminal in addition to breathing training.

호흡 훈련이란 질환 등으로 인한 호흡 곤란 증상을 완화시키고, 올바른 호흡법을 훈련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바른 발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레저/스포츠 활동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행한다.Respiratory training is performed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shortness of breath due to diseas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leisure / sports activities by enabl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right vocalization by training the correct breathing method.

즉, 호흡 훈련은 호흡근 및 횡경막 등의 호흡기 근육강화, 들숨 및 날숨 훈련을 통한 폐확장과 안정적인 산소공급, 꾸준한 호흡훈련을 통한 폐활량 및 폐기능 발달, 원활한 산소공급을 통한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깊고 규칙적인 호흡을 통한 자율신경계 안정과 부교감신경의 활동 촉진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 호흡의 세기와 길이 등의 훈련을 통한 발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한다.In other words, respiratory training includes strengthening the respiratory muscles of the respiratory muscles and diaphragm, exhaling and exhaling lungs, supplying stable oxygen, developing lung capacity and lung function through continuous breathing training, and activating metabolism through deep oxygen supply, deep and regular rules. To improve vocalization through training of autonomic nervous system stability through normal breathing, emotional stability due to promotion of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nd strength and length of breathing.

이러한 호흡 훈련을 위하여 종래에는 아날로그 호흡훈련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아날로그 호흡훈련 도구의 예로는 다수의 실린더 내에 볼을 각각 삽입하여, 호흡시 실린더 안에 들어있는 볼의 높낮이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호흡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다.Conventionally, an analog respiratory training tool was used for such a respiratory training. For example, the analog respiratory training tool inserts balls into a plurality of cylinders, and checks the height change of the balls contained in the cylinders during respiration. There is a device to adjust.

그러나 상기한 종래 아날로그 호흡훈련 장치는 단지 훈련에만 집중해서 개발된 장치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성취욕을 자극할 어떠한 구성도 없어서 쉽게 싫증을 내게 되므로, 호흡 훈련 도구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그 예로 등록실용 20-0354161호에서는 호흡관, 호흡관의 흡기량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및 전기의 세기에 따라 발광의 정도가 제어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호흡 훈련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nalog breathing apparatus is a device developed by focusing only on the training,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induce the user's interest or the desire for achievement. For example, the registered training room 20-0354161 includes a breathing apparatus including a breathing tube, a wind generator that generates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take of the breathing tube, and a light emit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emiss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lectricity. Is publish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호흡 훈련 장치 역시 호흡의 세기나 강약 정도를 단순히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만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호흡훈련에 쉽게 싫증을 내게 되어 지속적인 훈련이 어려워 훈련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spiratory training device is also possible only by simply visually displaying the strength or intensity of breathing, so that the user is easily tired of the respiratory trai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ining effect is difficult because the continuous training is difficult.

한편, 언어장애란 음을 듣고 청취하는 능력, 말(speech)을 만드는 능력, 언어(language)를 구사하는 능력에 심한 장애를 보임으로써 정보전달자와 수용자 사이에 정보전달이 원만하지 않은 것으로 정의 된다(최성규, 2000).On the other hand, speech impairment is defined a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transmitter and receiver by showing severe impairments in the ability to hear and listen to sounds, to make speech, and to speak language. , 2000).

이러한 언어 장애에는 호흡, 발성, 공명, 조음 등의 이상으로 인하여 말의 외형적 표현에 문제를 나타내는 장애를 말하는 구어장애(speech disorder)와, 언어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상징체계의 문제로 인해 구어나 문어의 비정상적 습득, 이해, 혹은 산출을 나타내는 언어기호장애(language disorder)로 크게 구분된다.These speech disorders include speech disorders that indicate problems with the appearance of speech due to abnormalities such as breathing, speech, resonance, and articulation, and a series of symbolic systems used to express and accept the meaning of language. Because of this problem, it is largely classified as a language disorder that indicates abnormal acquisition, understanding, or production of spoken or written language.

이 중 구어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기질적 장애 발생원인을 제거하는 것과 함께 좋은 발성습관을 갖도록 교정하는 훈련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한데, 좋은 발성습관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소리 즉 소리의 강약, 높낮이 등을 구별할 수 있는 청각훈련과, 호흡의 길이와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호흡훈련 및, 호기와 후두의 발성 위치의 협조를 도모하고 수의적으로 소리를 내거나 멈추게 하며 발성 지속하기와 소리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발성훈련 등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In order to treat verbal disorders,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auses of psychological and organic disorders, and to perform training to correct good speech habits.In order to have good speech habits, various sounds, sound intensity and height Auditory training to distinguish the back, breathing training to adjust the length and intensity of breathing, and coordination of the vocal position of the exhalation and larynx; It is required to carry out vocal training and the like to expand.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구어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관을 방문하여, 해당 기관에 구비된 훈련장치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나, 이와 같이 전문기관 방문을 통한 치료의 경우 치료시간이 제한되고, 치료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치료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in order to treat the speech disorder, a professional institution should be visited to use a train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relevant institution. However, in the case of treatment through a specialized institution visit, treatment time is limited and treatment costs incre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 treatment is impossible.

또한, 종래 구어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훈련은 그림이나 단어카드를 이용하거나 상기한 볼과 실린더를 사용한 아날로그 호흡훈련도구를 사용해서 반복된 훈련을 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ining for the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is a method of repeated training using a picture or a word card or an analog respiratory training tool using the above-described ball and cylinder, the user is easily tired of the problem there was.

아울러, 구어 치료를 위해서는 호흡과, 발성 및 청각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지만, 종래 치료장치들은 이들을 하나의 장치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고 각각 수행하도록 별개의 독립된 장치들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줌과 아울러 이들 모두를 동시에 휴대 또는 소지하여야 하므로 효과적인 구어 치료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breathing, speech, and auditory training mus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the spoken language treatment, but conventional treatment devices are not configured to perform them as a single device, but are composed of separate and independent devices to perform each one. In addition, since all of them must be carried or possesse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effective spoken treatment was impossible.

또한, 상기한 종래 구어 치료를 위한 장치들은 훈련 결과가 객관적으로 기록되는 수단이 없어, 훈련의 과정이나 결과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ventional colloquial treatment does not have a means of objectively recording a training resul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check and manage a training process or result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465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02465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2099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099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3132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231328

이에 본 발명은 소형이며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호흡 측정기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든 호흡훈련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호흡훈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등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한 훈련으로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체계적인 호흡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과, 상기 호흡 훈련 외에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청각 및 발성 훈련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언어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 and IoT-based breathing apparatus to enable breathing training anytime and anywhere, and also sends the breathing training data to the smart terminal in real time, using the data to breathe training programs such as games By driving the multimedia conte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nd even a non-professional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enables systematic breathing training,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breathing training and hearing and voice training through a smart terminal by enabl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effective language trai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호기 및 흡기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마우스피스 또는 본체에 형성되어 흡기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통공, 상기 통공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본체 하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호기와 흡기를 구분하고 호기 및 흡기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결과(이하 호흡데이터라 함)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 측정기; 상기 호흡 측정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호흡 훈련을 위한 게임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호흡 측정기로부터 출력되는 호흡데이터에 따라 호흡 훈련 프로그램의 동작이 실시간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 훈련 장치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uthpiece, the mouthpiece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top to form a flow path of air during exhalation and intake, the mouthpiece or body is formed in the intake and exhaust A through-hole, a flow rat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through-hole, a sensor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distinguish between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exhalation and intake, and to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sensor,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A respiratory meter including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unit for transmitting a resul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piration data) by wire or wirelessly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sm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spiratory meter and wired or wirelessly and having a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using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a game for respiratory training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is link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data output from the respiratory meter; There is a breathing training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호기와 흡기를 구분하고 호기 및 흡기량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호흡 측정기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한 게임을 포함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를 연결하는 1단계; 스마트 단말기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호흡 훈련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호흡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호흡 데이터와 출력수단으로 표시되는 호흡 훈련 프로그램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연동시키는 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 방법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ep of connecting the smart device equipped with a breath training program including a game using a multimedia content and breath meter and the multi-content respiratory meter to distinguish the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exhalation and inspiration; Including a second step of driving the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in the smart terminal, and in real time to interlock the image or video of the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displayed as the output means and the respira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respiratory meter In the respirator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호흡 훈련 장치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발성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한 게임이 포함된 발성 훈련 프로그램;이 더 포함된 언어 훈련 장치에 있다.Further,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for the smart terminal in the breathing training device; and a voice training program including a game using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user's voice data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in real time; There is a language training device included.

상기 언어 훈련 장치의 스마트 단말기에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으로 해당 소리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한 후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와 이미지 또는 영상의 매칭여부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수단으로 출력하는 청각 훈련 프로그램;이 더 구비되어, 소리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도록 훈련한다.In the smart terminal of the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 speaker; and outputs an image or video corresponding to the sound to the output means at the same time and outputs the sound to the speaker, and whether the sound input from the input means match the image or image Auditory training program for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data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output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train to accurate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oun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언어 훈련 장치에서 호흡 측정기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결하는 1단계; 스마트 단말기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호흡 훈련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호흡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호흡 데이터와 출력수단으로 표시되는 호흡 훈련 프로그램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연동시키는 2단계; 스마트 단말기의 발성 훈련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마이크로부터 획득된 발성 데이터에 따라 출력수단으로 표시되는 발성 훈련 프로그램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연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단계 및 3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입력수단을 통한 제어신호에 따라 임의의 순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훈련 방법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ep of connecting the breathing apparatus and the smart terminal in the language training device; Driving a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in a smart terminal, and interlocking an image or a video of a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displayed as an output means with a respiratory data transmitted from a respiratory meter in real time; And driving the voice training program of the smart terminal and interlocking an image or a video of the voice training program displayed as an output mean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voice data acquired from the microphone. The language train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s executed in any ord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input means is not performed sequentially.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며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호흡 측정기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든 호흡훈련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호흡훈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등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한 훈련으로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오랫동안 흥미를 유지할 수 있어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제공되는 콘텐츠로 호흡훈련을 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체계적인 호흡 훈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compact and IoT-based respiratory meter to enable breathing training anytime, anywhere, and the respiratory training data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mart terminal By using breathing training programs such as games to run through multimedia content training without feeling bored, you can maintain the interest for a long time,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furthermore by providing breathing training with the provided content Even if it is not,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systematic breathing training.

아울러, 상기 호흡 훈련 외에 언어장애를 극복하는데 요구되는 청각 및 발성훈련을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ystematically performed by using a smart terminal hearing and vocal training required to overcome speech disorders in addition to the breathing training.

아울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므로 동일레벨의 훈련을 반복하더라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훈련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오랫동안 흥미를 유지할 수 있어 훈련 효과가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use of a smart terminal can be trained in a variety of content through the continuous update even if the same level of training is repeated, it can maintain the interest for a long time improves the training effect.

아울러, 훈련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집 및 통계될 수 있어 훈련 효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raining data can be accuratel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determined not only to determine the training effect objectively, but also to perform the training optimized for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 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 측정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공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 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호흡 측정기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hrough-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is a view showing a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a respiratory meter;
9 to 22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to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the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are not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if terms ar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they may 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에 따른 호흡 훈련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흡데이터를 검출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호흡 측정기(100)와, 상기 호흡 측정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호흡데이터와 연계되어 동작되는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spiratory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 respiratory meter 100 that detects respiratory data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the respiratory data output from the respiratory meter 100.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is configured to include a smart terminal 200 is installed.

상기에서 호흡 측정기(1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마우스피스(110), 상기 마우스피스(110)가 상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고 마우스피스(110)와 연결되어 호기 및 흡기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본체(140), 상기 마우스피스(110) 또는 본체(140)에 형성되어 흡기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통공(120), 상기 통공(120)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30), 상기 본체(140) 하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호기와 흡기를 구분하고 호기 및 흡기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50)와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측정된 결과(이하 호흡데이터라 함)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미도시)과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10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the mouthpiece 110, the mouthpiece 110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top and connected to the mouthpiece 110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main body 140, the mouthpiece 110 or the main body 140, the intake and exhaust through which the intake and exhaust air is formed, and the intake and exhaust air during inhalation and intake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150 and the sensor unit 15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40 to distinguish between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measure the amount of exhalation and intake air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module 160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power supply for transmitting the resul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piration data) by wire or wireless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마우스피스(110)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40)의 상단 내주로 삽입되는 연결관(11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112)에는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통공(120)이 천공된다.4 to 5,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thpiece 1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ipe 112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40, the connection pipe 112 There are a plurality of holes 120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부(130)는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12)의 외주에 형성된 각 통공(120)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 또는 걸림턱(132)과 상기 걸림홈 또는 걸림턱(132)에 맞물리도록 본체(14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2)의 돌출정도를 조정하여 통공(120)의 노출수를 조절함으로써 개폐면적을 조정하는 스톱퍼(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5,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or locking jaws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120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112. 1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40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r the locking jaw 132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through-hole 120 by adjusting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connection pipe 1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134).

상기에서 스톱퍼(13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136)의 탄성에 의하여 본체(140)의 중심을 향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홈 또는 걸림턱(132)과 맞물리는 고정홈이나 고정턱이 선단에 형성되어 연결관(11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며,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기거나 미는 간단한 조작으로 달성된다.The stopper 134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14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36 as shown in Figure 5 and the fixing groove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r the locking jaw 132 or A fixed jaw is formed at the tip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pipe 112, this adjustment is achieved by a simple operation that the user pulls or pushes by hand.

한편, 상기 유량조절부(130)의 다른 예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공기 통과 구멍(131)이 구비되며 본체(14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기량 조절판(13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유량에 따라 상기 공기량 조절판(132)을 회전시켜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공기 통과 구멍(131) 중 어느 하나를 통공(120)과 매칭시켜 공기량을 조정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xample of the flow regulat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passage holes 131 having different diameters, 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air amount adjusting plat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main body 140 ( 13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air volume control plate 132 according to the flow rate desired by the user to mat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holes 131 having different diameters with the through-hole 120 to adjust the air volume. .

도면중 미설명부호 134는 상기 공기량 조절판(132)을 회전시키는 핸들이고, 135는 핸들(134)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홀이며, 이외에도 상기 공기량 조절판(132)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의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34 denotes a handle for rotating the air volume control plate 132, 135 is a guide hole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handle 134, and the air volume control plate 132 rotates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ince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60)은 본체(14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세척시 물로 인한 제어모듈(160)의 손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odule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40, damage to the control module 160 due to water is prevented when washing.

한편, 미설명부호 170은 마우스피스 캡을 나타내고, 상기 마우스피스 캡(170)은 본체(140)의 상부와 결합되어 마우스피스(110)를 보호하고, 개방상태에서는 도 8의 (a)에서 (b)와 같이 호흡 측정기(100)의 하종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호흡 측정기(100)의 상하 길이 연장을 통한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70 denotes a mouthpiece cap, the mouthpiece cap 17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40 to protect the mouthpiece 110, in the open state in Figure 8 (a) (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espiratory meter 100, as shown in b) to facilitate storage and to improve the grip through extend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spiratory meter 100.

그리고,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80은 상기 호흡 측정기(100)의 거치대로써, 상기 거치대(180)는 충전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대(180)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80 is a cradle of the respiratory sensor 100, and the cradle 180 may serve as a charging function, and the cradle 180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등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터치패드, 키보드, 모니터 등의 입/출력수단,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하고,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기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며, 스마트 단말기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호흡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호흡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발성 데이터를 훈련 프로그램과 연계시키거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의 승패, 기록 등의 결과를 제어한다.The smart terminal 200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notebook, and includes input / out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 keyboard, a monitor, a speaker, a microphone, and any program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It can be applied to any of them, and by executing the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in the smart terminal, the respira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respiratory meter, or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associated with the training program, or inputt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means to control the results of the winning or losing, recording, etc. of the training program.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훈련 프로그램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각훈련메뉴, 호흡훈련메뉴, 발성훈련인 강도훈련메뉴로 구성되며, 각 메뉴들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한 게임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흥미와 성취욕을 유발시켜 훈련 효과를 개선한다.The training program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is composed of the auditory training menu, breathing training menu, vocal training strength training menu, as shown in Figure 9, each menu consists of a game form us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user continued interest and Improves training effectiveness by inducing achievement desire.

상기에서 호흡훈련메뉴는 구어사용을 위한 흡기와 호기의 양을 늘리고 조절하는 훈련이고, 강도훈련메뉴는 사용자 음성의 크기와 길이를 강화하고 조절할 수 있는 훈련이며, 청각훈련메뉴는 구어 습득의 기본이 되는 소리의 인식, 변별, 이해와 타이밍에 대한 훈련으로 보청기 및 인공와우 사용자의 초기 청능훈련에 효과적이다.In the above respiratory training menu is the training to increase and control the amount of inspiration and exhalation for the use of spoken language, strength training menu is a training to strengthen and control the size and length of the user's voice, auditory training menu is the basic of acquisition of spoken language It is effective for early hearing training of hearing aid and cochlear implant users by training on recognition, discrimination, understanding and timing of sound.

또한, 상기 호흡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호흡 데이터 및 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훈련한 결과는 스마트 단말기의 메모리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관리되어, 훈련을 중지한 후 다시 시작할 때 이전에 종료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의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외부 서버 즉, 전문 훈련기관의 서버 등과 연결되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training through the breathing data and training program of the individual transmitted from the breathing apparatus is recorded and managed in the memory or an external database of the smart terminal, the next step in the previous step when stopping and restarting the training In addition to allowing training to be performed, if necessary, 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hat is, a server of a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 to be utilized.

또한, 본 발명의 훈련 프로그램은 훈련이 필요한 사용자와, 각 사용자를 지도하는 지도자(선생님)를 매칭시켜 기록하여, 지도자가 로그인하여 해당 지도자에 매칭된 사용자의 훈련 레벨조정과 훈련평가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ining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tches the user who needs training with a leader (teacher) for guiding each user to record, so that the leader can log in to adjust the training level and training evaluation of the user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leader, etc. do.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에서 우선 청각 훈련 프로그램을 살펴본다.In these training programs, we first look at hearing training programs.

청각 훈련 프로그램의 예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임의의 소리가 들리면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패드에 출력되는 버튼을 탭하도록 하거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패드 상에 출력되는 각종 동물캐릭터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의 매칭여부를 터치패드상에 출력되는 'O', 'X' 버튼을 통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소리에 잡음을 더 포함시켜 터치패드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매칭시키도록 하여 잡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에 따라 터치패드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거나,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를 듣고 해당 소리가 발생되는 사물을 터치패드에서 선택하여 터치패드에 제시된 공간 중 적당한 위치에 해당 사물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 등이 있다.As an example of the auditory training program, as shown in FIG. 10, when an arbitrary sound is heard using the speaker of the smart terminal, a button output to the touch pad of the smart terminal is tapped, or as shown in FIG. Various animal characters to be output to the speaker and whether the sound output to the speaker to be selected via the 'O', 'X' button output on the touch pad, or as shown in Figure 12 by further including noise in the sound Match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pad to check whether the desired sound can be recognized despite the noise, or as shown in FIG. 13, the image output on the touch pad is output according to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o be selected by the user or output through a speaker as shown in FIG. Select the objects to hear the sound that is being re-occur on the touch pad and the like to position the object to the appropriate location of the area shown on the touch pad.

그리고, 호흡 훈련 프로그램의 예를 하기에서 살펴본다.An example of a breathing training program is discussed below.

일 예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흡 측정기의 호흡 데이터를 기준으로 꺼져가는 장작불의 불꽃을 살리고 연기를 피하도록 하여 시간을 카운터하고 목표 시간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호흡의 세기에 따라 불꽃이 커지고 연기가 날 때는 호흡을 멈추어 호흡을 피하도록 하여, 호기의 양을 늘리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flame of the wood fire that is turned off based on the breathing data of the respiratory meter is used to avoid smoke and to counter the time and achieve the target time. When you smoke, stop breathing to avoid breathing, so that the amount of exhalation can be increased and controlled to enable the use of voice.

다른 예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흡 데이터를 기준으로 종이비행기를 날리되 나무 등의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여 호흡 조절 방법을 익히도록 하는 것으로 호흡세기에 따라 종이비행기의 고도를 조절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여 최종 비행거리를 산출하여 기록을 갱신하거나 목표기록의 도달여부로 승패를 결정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6 to fly the paper plane based on breathing data to avoid obstacles such as trees to learn the breathing control method to adjust the altitude of the paper plane according to the breathing strength to avoid obstacles. The final flight distance is calculated to update the record or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arget record is reached.

또 다른 예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눗방울 크기에 따라 호흡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출력수단 상에 표시된 채색된 비눗방울의 크기보다 더 큰 비눗방울을 만들어 해당 채색된 비눗방울을 막아내는 것으로, 비눗방울 크기는 호흡량에 따라 달라진다.Another example is to adjust the respiratory volu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bbles as shown in Figure 17, to make the bubbl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lored bubbles displayed on the output means to prevent the colored bubbles, Bubble size depends on the volume of breath.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달리기 캐릭터를 통하여 호기와 흡기를 반복하되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달리는 캐릭터 외에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속도로 달리는 경쟁자 캐릭터를 함께 표시하여 경쟁자보다 목표지점에 빨리 도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출력수단 상의 사용자 호흡에 매칭되어 달리는 캐릭터에 들숨 또는 날숨표시와 그 유지시간을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제시된 들숨 또는 날숨표시와 그 유지시간을 충실히 수행할 경우 경쟁자 캐릭터보다 빨리 목표지점에 도착하도록 한다. And as shown in Figure 18 through the running character to repeat the exhalation and inspiration, but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running in response to the user's breath to display the competitor character running at the set speed in the program to reach the target point faster than the competitor, output means The inhalation or exhalation display and its retention time are displayed on the character running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breath in the image, such that the inhalation or expiration of the display and the retention time to reach the target point faster than the competitor character.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기와 흡기를 조절하여 장애물을 통과하여 도착지점에 도착하도록 하는 것으로, 호기 시에는 하강하고 흡기 시에는 승강하도록 하여 수면에 표시되는 깊이가 다른 파도를 수영자가 피해가도록 하는 것으로, 호기와 흡기를 조절하고 그 유지시간 또한 조절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9, by controlling the exhalation and inspiration to pass through obstacles to reach the arrival point, to descend at the time of exhalation and to ascend during inspiration, so that the swimmer avoids waves of different depths shown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other words, training is to control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to maintain their duration.

이와 같이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호흡 측정기에서 측정된 호흡의 강도, 유지시간, 호기인지 흡기인지 등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출력수단인 터치패드상으로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일부인 캐릭터의 이동속도, 강도 또는 높이 등을 포함하는 게임의 변수를 변화시켜, 기록을 갱신하거나 승패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호흡 훈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piratory training program measures the movement speed, intensity, or height of a character, which is a part of an image or a video output on a touch pad, which is an output means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retention time, exhalation, or inhalation of the breath measured by a respirator. By changing the parameters of the game, including, to update the record or to determine the victor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breathing training.

한편, 발성훈련(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강도훈련이라 함)은 스마트 단말기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의 강도와 발성의 유지시간 등을 훈련하는 것으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발성 데이터와 게임 결과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vocal training (called strength train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raining the strength of the voice and voice holding time, etc. using the microphone included in the smart terminal phonation data and gam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result is to work together.

그 예로, 도 20에서는 발성의 강도에 따라 기왓장 격파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여 발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왓장 수에 따라 각각 다른 강도의 발성목표치가 제시되고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가 해당 발성목표치 이상 도달되면 기왓장이 격파되도록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n FIG.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swell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iffness of the voice. The target value of different stiffness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lts, and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used for the corresponding utterance. If you reach the target, you will be defeated.

그리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들을 넘도록 하되 발성 강도에 따라 점프의 높이와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성 강도에 따라 농구에서 슛(미들슛, 덩크슛 등)을 구분하도록 하되 화면에 슛에 따른 발성강도를 제시하여 슛의 종류에 따라 제시된 강도의 발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1, the height of the jump and the distance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iffness, or as shown in FIG. 22, the shots (middle shot, dunk shot, etc.) are distinguished from the basketball according to the stiffness. The vocal strength of the shot is suggested to achieve the vocalization of the suggested intensity according to the type of shot.

이와 같이 강도 훈련 즉 발성 훈련은 음성의 강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터치패드 상에 제시된 강도와 발성의 유지시간 등에 따라 발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일부인 캐릭터 등의 게임 변수를 매칭시켜, 발성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strength training, that is, vocal training, is output to the data and output mean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such as allowing the user to raise or lower the voice intensity arbitrarily or to perform vocalization according to the strength and duration of vocalization presented on the touch pad. Matching game variables, such as a character that is part of an image or a video, to achieve vocal training.

한편, 상기 훈련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는 모두 기록되므로 기록된 결과에 따라 그 난이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가 직접 하거나 사용자를 담당하는 치료자가 조절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sults of the training program are all record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fficulty according to the recorded results, and such adjustment may be adjusted by the user himself or by a therapist in charge of the user.

100 : 호흡 측정기 110 : 마우스피스
120 : 통공 130 : 유량조절부
140 : 본체 150 : 센서부
160 : 제어모듈 200 : 스마트 단말기
100: breathing instrument 110: mouthpiece
120: through hole 130: flow control unit
140: main body 150: sensor
160: control module 200: smart terminal

Claims (12)

호흡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호흡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호흡 측정기(100)와;
상기 호흡 측정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호흡데이터와 연계되어 동작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한 게임 방식의 호흡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 측정기(100)는,
마우스피스(110), 상기 마우스피스(110)가 상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호기 및 흡기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본체(140), 상기 마우스피스(110) 또는 본체(140)에 형성되어 흡기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통공(120), 상기 통공(120)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130), 상기 본체(140) 하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호기와 흡기를 구분하고 호기 및 흡기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50)와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40)에는 마우스피스 캡(170)이 착탈식으로 더 결합되며, 상기 마우스피스 캡(170)은 본체(14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마우스피스를 보호함과 아울러 호흡 측정기(100)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며,
상기 유량조절부(130)는
일단은 상기 마우스피스(110)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40)의 상단 내주로 삽입되는 연결관(112)과, 상기 연결관(112)의 외주에 형성된 각 통공(120)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 또는 걸림턱(132)과 상기 걸림홈 또는 걸림턱(132)에 맞물리도록 본체(14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12)의 돌출정도를 조정하여 통공(120)의 노출수를 조절함으로써 개폐면적을 조정하는 스톱퍼(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발성데이터에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한 게임이 포함된 발성 훈련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으로 해당 소리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한 후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와 이미지 또는 영상의 매칭여부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수단으로 출력하는 청각 훈련 프로그램;이 더 구비되어, 소리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도록 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 장치를 이용한 언어 훈련 장치.
A breathing apparatus 100 for detecting breathing data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etected breathing data by wire or wirelessly;
And a smart terminal 200 in which a game type breathing training program using multimedia content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breathing data output from the breath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The respiratory meter 100,
The mouthpiece 110 and the mouthpiece 110 are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to form a flow path of air during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are formed on the mouthpiece 110 or the main body 140 to intake and The through-hole 120 is exhausted, the flow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through-hole 120,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40 to distinguish between exhalation and inspiration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exhalation and intake And a control module 160 including a sensor module 150 for outputting a sig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transmitting a result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150 by wire or wirelessly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Is composed,
Mouthpiece cap 170 is further coupled to the body 140 in a removable manner, the mouthpiece cap 1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140, while protecting the mouthpiece and breathing Improve the grip of the measuring device 100,
The flow control unit 130 is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thpiece 11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interval between each through-hole 12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112 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40 to b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or locking jaws 132 and the locking grooves or locking jaws 132 formed at corresponding intervals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pipe 112 through the through hole It comprises a stopper 134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by adjusting the number of exposures of 120,
The smart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and a vocal training program including a game using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utterance data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in real time.
The smart terminal has a speaker; and outputs an image or video corresponding to the sound as an output means and outputs a sound to the speaker, and then inputs data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sound inputted from the input means matches the image or image. Auditory training program for determining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output means; Language training device using a breathing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training, to accurate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0888A 2018-07-12 2018-07-12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KR101975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88A KR101975792B1 (en) 2018-07-12 2018-07-12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88A KR101975792B1 (en) 2018-07-12 2018-07-12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92B1 true KR101975792B1 (en) 2019-08-28

Family

ID=6777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88A KR101975792B1 (en) 2018-07-12 2018-07-12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9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64A (en) * 2019-12-27 2021-07-07 (주)이튜 Respiratory training terminal for improving autism and ADHD symptoms
KR20210098383A (en)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휴원트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provision of breathing training using the same, method system and program
KR20210125703A (en)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Respiration training system using mobile game
KR20210126172A (en)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KR102495698B1 (en) * 2022-01-24 2023-02-06 주식회사 하이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ysarthria
KR102572798B1 (en) * 2022-12-22 2023-08-30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Low-frequency upper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device for improving sleep apnea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KR100780531B1 (en) * 2007-01-10 2007-11-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Game system using lip language education
KR101242710B1 (en) * 2011-05-31 2013-03-12 김정환 Diet Gam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KR20130057891A (en) * 2011-11-24 2013-06-03 이장춘 Amusement device using breathing
US20150258370A1 (en) * 2012-10-11 2015-09-17 Bezalel Arkush Breathing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1620992B1 (en) 2014-05-13 2016-05-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Respir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iration training contents
KR101681673B1 (en) * 2015-01-09 2016-12-01 이호진 English trai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und classification in internet
KR20180024651A (en) 2016-08-31 2018-03-08 최윤식 Auditory sense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KR100780531B1 (en) * 2007-01-10 2007-11-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Game system using lip language education
KR101242710B1 (en) * 2011-05-31 2013-03-12 김정환 Diet Gam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KR20130057891A (en) * 2011-11-24 2013-06-03 이장춘 Amusement device using breathing
US20150258370A1 (en) * 2012-10-11 2015-09-17 Bezalel Arkush Breathing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1620992B1 (en) 2014-05-13 2016-05-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Respir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iration training contents
KR101681673B1 (en) * 2015-01-09 2016-12-01 이호진 English train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und classification in internet
KR20180024651A (en) 2016-08-31 2018-03-08 최윤식 Auditory sense training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64A (en) * 2019-12-27 2021-07-07 (주)이튜 Respiratory training terminal for improving autism and ADHD symptoms
KR102310590B1 (en) * 2019-12-27 2021-10-08 (주)이튜 Respiratory training terminal
KR20210098383A (en)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휴원트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provision of breathing training using the same, method system and program
KR102493802B1 (en) * 2020-01-31 2023-01-31 주식회사 휴원트 Breathing training apparatus and provision of breathing training using the same, method system and program
KR20210125703A (en)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Respiration training system using mobile game
KR20210126172A (en)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KR102365405B1 (en) * 2020-04-09 2022-02-21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Respiration training system using mobile game
KR102495698B1 (en) * 2022-01-24 2023-02-06 주식회사 하이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ysarthria
KR102572798B1 (en) * 2022-12-22 2023-08-30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Low-frequency upper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device for improving sleep apn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92B1 (en) Breathing an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KR101884360B1 (en) Portabl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s
Bell The Mechanism of Speech: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American Association to Promote the Teaching of Speech to the Deaf: to which is Appended a Paper Vowel Theories, Read Before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Bunch et al. Dynamics of the singing voice
US20160189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vision and creation of speech stimuli for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KR101598955B1 (en) Speech therapy game device and game method
KR1024956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ysarthria
CN112331308A (en) Multichannel intelligent decompression relaxation management system
Johnstone The effect of emotion on voice production and speech acoustics
Sliiden et al. An evaluation of the breathing strategies and maximum phonation time in musical theater performers during controlled performance tasks
US7258660B1 (en) Speech therapy method
KR20210126172A (en)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RU2367485C1 (en) Method of phonal function recovery in larynx cancer patients underwent conservative surgery
CN112827136A (en) Respiration trai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train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310590B1 (en) Respiratory training terminal
KR102300894B1 (en) System for improving respiration comprehension in internet of things
KR20210068268A (en) Smart Breath
CN114730629A (en) Speech-based respiratory prediction
Kehoe No miracle cures: a multifactorial guide to stuttering therapy
KR20210125703A (en) Respiration training system using mobile game
Ziegler et al. Phonation demonstrates goal dependence under unique vocal intensity and aerobic workload conditions
KR102253649B1 (en) Respiratory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autistic tendency and ADHD symptoms
Miller et al. Dysarthria: Setting the scene
US20230405401A1 (en) Musical instrument therapy device
Williams et al. Cluttering and stuttering exhibited in a young profess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