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77B1 -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477B1
KR101975477B1 KR1020180169687A KR20180169687A KR101975477B1 KR 101975477 B1 KR101975477 B1 KR 101975477B1 KR 1020180169687 A KR1020180169687 A KR 1020180169687A KR 20180169687 A KR20180169687 A KR 20180169687A KR 101975477 B1 KR101975477 B1 KR 10197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animal
iot
bir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시
최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기업
Priority to KR102018016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1/00Hunting appliances
    • A01M31/002Detecting animals in a give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05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using Doppler effect for determining closest range to a target or corresponding time, e.g. miss-dist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lling method using an IoT intelligent type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device using an IoT deep learning camera and drone, which can perform a remote control on a control device. The repel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on step (S1); a sensor turn-on step (S2); an object detection step (S3); an object dividing step (S4); a flash or Doppler sensor operation step (S5); a distance recognition step (S6); a buzzer sounding step (S7); a short distance recognition step (S8); and a step (S9) of repelling or capturing harmful animals or birds.

Description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ep-learning camera and a dr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IoT deep-

본 발명은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도플러센서 및 PIR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드론이 출격하여서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하거나, 유해한 매체를 발사하여 포획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intelligent pest control method using an IoT deep running camera and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venting harmful pest using a camera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 PIR sensor using a deep- It recognizes the approach of animals and catches up with the drones to eliminate harmful animals and birds, or catches and catches harmful media.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network,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user apps are able to access and exterminate harmful animals, IoT Deep Learning Camera that enables remote monitoring of the control device in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user application, and IoT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device using the drone. And a method of using it.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의 딥러닝 기술로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접근하는 것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분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한다) 드론이 출격하여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동작을 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며,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 solar panel or a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and a noxious animal is recognized by a camera's deep-running technique (whether approaching is an animal or an animal, IoT Deep Learning Camera that reduces the burden on farmers by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maintenance cost by preventing the harmful animal control and the eradication operation, and IoT Intelligent Harmful Anim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liminating an avian influenza.

또한,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고,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디바이스(퇴치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amera image analysis technique can distinguish the harmful animals b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can perform the customized control (elimination and capture) for the recognized harmful animals, and the remote control of each control device IoT Deep Learning Camera that allows users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battery, and communication status and take necessary actions, and to recognize the stolen of the repellent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eported control devices (eradication and capture device) And to a method of using 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drones.

현재 농가에서는 멧돼지, 고라니 등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막심하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현 유해동물 방제기에서는 초음파, 진동,레이져, 적외선 등의 다양한 방법이 기술된 바 있다.Currently, damage to crops caused by harmful animals such as wild boar and elk is severe in the farmhouse. 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 various methods such as ultrasonic wave, vibration, laser, and infrared ray have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animal pest control device.

비슷한 적외선을 이용한 그예로는 특허공개 제10-2014-0105679호(공개일자 2014년09월02일)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 복합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수단이 고장 난 경우에는 유해동물퇴치에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유해동물의 근접거리에 따라 위협하는 센서를 달리하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An example of using similar infrared ray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105679 (published on Sep. 02, 2014), which discloses a hybrid sensor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In case, there is a fatal problem in the eradication of harmful animal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a sensor which threatens depending on the proximity distance of a harmful animal is different.

종래 기술 중 가장 많은 효과를 보고 있는 전기울타리 방식은 인명피해가 크고 설치비용과 유지비가 많이 들어 실제 농가에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큰 동물과 작은 해충, 쥐 같은 유해동물의 퇴치 방법은 달라야 할 것이다.The electric fence system, which has the most effect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an actual farmhouse due to a large loss of life, a larg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In addition, the way to combat harmful animals such as wild boar, elk, large animals, small insects and rats should be different.

큰 유해동물인 만큼 농작물에 입히는 피해가 크기 때문에 유해동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인식하지 못했을 때에도 완벽하게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에 야생동물을 향해 멜로디로 제압하는 특허공개 제10-2016-0087102호(공개일자 2016년07월21일)가 있는데, 경고음만으로는 유해동물을 제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 가까운 거리에 접근했을 때, 경고음 뿐만 아니라 치명적인 유해 액체를 분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태양열을 이용한 전원공급에 대해 언급한 기존 특허공개 제10-2010-0033001호(2010년 03월 29일)가 있으나 본 발명은 태양열을 전원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태양광 충전 모듈에 연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유해동물이 비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를 개발한 것에 차이가 있다.Because it is a large noxious animal, it has a large damage to crop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perfectly eradicate even when one sensor is not recognized according to the access distance of the noxious animal. In this method, there is a patent document 10-2016-0087102 (published on July 21, 2016) in which a melody is suppressed against wild animal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suppressing harmful animals only with a warning sou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relates to the injection of a deadly hazardous liquid as well as a beep when approaching a closer dist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solar power charging module, which uses a solar power as a power sour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harmful animals from moving out.

이와 같이 유해동물을 퇴치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많이 있으나 더욱 효율적으로 유해동물을 구분하고 인지하여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고, 현 농촌의 환경을 고려한 저렴한 비용의 유해동물 퇴치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Although there are many methods for eradicating harmful animals in this wa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o recognize and control the harmful animals more efficiently,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st of harmful animal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present rural area .

이에 본 출원인은 본인의 선등록특허 제10-1874564호(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통해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카메라 플래쉬와 다양한 소리 및 기피제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여 유해동물을 퇴치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를 제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위 기술을 개선하여 드론을 이용한 퇴치 및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method of using the deep-running technique through the use of an IoT deep-running camera and an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device using the IoT deep fusion camera using the recognition technology, It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harmful animal by using the camera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and it uses the camera flash and the various sound and repellent to suit the situation and eradicates the harmful animal, and the harmful animal is access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user application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network IoT Deep Learning Camera that enables remotely monitoring of the control system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in the user application, and IoT using the recognition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an algae control device through fusion,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In proposes a technique for combating this to occur, and captured using drones to improve the above technology.

등록특허 제10-1565134호Patent No. 10-1565134 등록특허 제10-1717045호Registration No. 10-1717045 등록특허 제10-1443199호Patent No. 10-1443199 등록특허 제10-1874564호Patent No. 10-187456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도플러센서 및 PIR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드론이 출격하여서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하거나, 유해한 매체를 발사하여 포획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의 딥러닝 기술로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접근하는 것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분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한다) 드론이 출격하여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동작을 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며,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고,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디바이스(퇴치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ognize the approach of a harmful animal by using a camera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 PIR sensor using a deep learning technique, Or to capture and capture harmful media.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network,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user apps are made to be able to monitor the access and extermination situation of the harmful animals, the battery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device, It is only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control device in the system and the user's app, to use the solar panel or battery as the power source, and only to recognize the harmful animal by the camera's deep learning technology The drones are scrambling to control the harmful animal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rmers by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and to manage the maintenance cost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harmful animals b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 the camera image analysis technology.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each installed control device (eradicator), battery, communication status, etc. through remote monitoring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oT Deep Running Camera and Ion Using Dron to Intelligently Identify the Destruction of the Destroy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Destruction and Capture Unit) It is finish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 방제장치(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충전 모듈 또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부(10);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1);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23);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상대운동을 인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도플러센서(25)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40);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51);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기(53);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퇴치 또는 포획작동을 실시하는 드론(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10),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카메라 플래쉬(30), 제어부(40), 버저(51) 및 액체 분사기(53)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72) 상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72)는 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심설치축(70) 상에 구비되어 상시 회전 작동되며, 상기 드론(60)은 이착륙 작동을 위해 케이스(72)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60)의 몸체에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에게 유해한 성분을 발산하는 펠렛 발사기가 구비되어 퇴치를 수행함과 아울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포획하도록 독침 발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방제장치(A)는 설정된 구역내에 30∼100m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어 유해동물 및 조류가 상기 설정된 구역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제장치(A)가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를 켜는 센서 켜짐 단계(S2); 상기 PIR센서(21)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하는 대상 구분 단계(S4);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플래쉬 또는 도플러센서 동작 단계(S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음을 인식하는 거리 인식 단계(S6);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로 접근하였을 때 제어부(40)에 의해 버저(51)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7); 상기 제어부(40)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8);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계속 접근하여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 대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함과 동시에, 드론(60)을 띄워 유해성분을 갖는 펠렛 또는 독침을 발사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는 단계(S9);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unit 10 having a solar charging module or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 harmful animal or bird control apparatus A; A PIR sensor (21) for detecting infrared rays emitted by a harmful animal or algae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 IoT deep running camera 23 for recognizing and distinguishing harmful animals or birds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 microwave Doppler sensor 25 for recognizing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d measuring the distance; A camera flash 30 that illuminates when approaching the noxious animal or bird; A control unit 40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Doppler sensor 2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 buzzer 51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a noxious animal or a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the noxious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which is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distance D1, Liquid injector 53; A drone (60) for performing an eradication or trapping operation so as to eradicate or capture a harmful animal or bird when it is detected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 a PIR sensor 21, an IoT deep running camera 23, a microwave Doppler sensor 25, a camera flash 30, a control unit 40, a buzzer 51, 53 are provided on a case 72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case 72 is provided on a center shaft 70 rota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to be always rotated, A pellet launcher for emitting harmful substances to harmful animals or algae is provided in the body of the drone 60 to perform an eradication and to prevent harmful animals or birds from being trapped, The launcher Wherein the control device A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t intervals of 30 to 100 m to prevent the harmful animals and algae from staying in the set area for a long time, 10); A sensor on step S2 for turning on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A step S3 of sensing the PIR sensor 21 detecting a noxious animal or algae; An object classification step (S4) in which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classifies harmful animals or algae; A flash or Doppler sensor operation step (S5) of operating any one of the camera flash 30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detects and recognizes harmful animals or algae; (S6) recognizing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detected; A buzzer sounding step (S7) for causing the buzzer (51) to sound an audible alarm by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A short range recognition step (S8)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40) is continuously approach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ed and sensed approaching within a second safety distance (D2)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a liquid which can disgust against the harmful animal is sprayed, and the drones And a step (S9) of eradicating 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by emitting a pellet or a poison having a harmful component by floating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when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is not detected, And returning to the step S2 of turning on the PIR sensor when the vehicle is no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and the IoT intelligent pest control device using the drones are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의 작동, 버저(51) 울림, 액체 분사기(53)의 최루액 분사 및 드론(60)의 작동이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amera flash 30, the sounding of the buzzer 51, the syrup spraying of the liquid sprayer 53 and the operation of the drones 60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tepwis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predetermined harmful animal or bird .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도플러센서 및 PIR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드론이 출격하여서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하거나, 유해한 매체를 발사하여 포획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roach of the noxious animal is recognized by using the camera sensor, the Doppler sensor and the PIR sensor utilizing the deep learning technique, and the drones are scrambled to eradicate harmful animals and algae, , Remote monitoring is enabled by reporting the access and extermination status of harmful animals, battery and position of control device to central control system and user app through IoT communication network, Remote control can be made possible.

또한,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의 딥러닝 기술로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접근하는 것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분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한다) 드론이 출격하여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동작을 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며,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only when the solar panel or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and the camera's deep running technology recognizes the harmful animal (it is classified as human or animal so that it does not harm people) And the elim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damage to the person is prevente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efficiently managed, the production cost can be minimized, and the burden on the farmhouse can be reduced.

그리고,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고,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디바이스(퇴치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 the camera image analysis techniqu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harmful animals and to perform customized control (elimination and capture) for the recognized harmful animals, The position, the battery, the communication status, and the like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the necessary measures can be taken, and the stolen of the repelling device can be recogniz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orted control device (erasure and captur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안전거리 내 접근 시 방제장치의 작동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안전거리 내 접근 시 방제장치의 작동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제장치의 설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동작 개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제장치의 작동 흐름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an IoT deep running camera and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for approaching within the first safety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for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peration out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operational flow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도플러센서 및 PIR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드론이 출격하여서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하거나, 유해한 매체를 발사하여 포획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의 딥러닝 기술로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접근하는 것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분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한다) 드론이 출격하여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동작을 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며,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고,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디바이스(퇴치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전원부(10),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카메라 플래쉬(30), 제어부(40), 버저(51), 액체 분사기(53) 및 드론(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approach of a harmful animal by using a camera sensor, a Doppler sensor and a PIR sensor using a deep learning technique, and the drones are scrambled to eradicate harmful animals and algae or catch and capture harmful media, Remote monitoring is enabled by reporting the access and extermination status of the harmful animals and the battery and position of the control device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user's app via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user app, Only when a solar panel or a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and the camera's deep running technology recognizes a harmful animal Animal control and eradication action prevents people from being harmed and efficiently manage maintenance co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rm by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and to distinguish harmful animals b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 the camera image analys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customized control (elimination and capture) for the recognized harmful animals ,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each control device installed (remover) through the remote monitoring, the battery, the communication state, etc., and take necessary measure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device (erasure and captur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ep running camera capable of recognizing the theft of a vehicle and an 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Ion using a drone. More particularly, referring to FIGS. 1 to 6,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e camera flash 30, the control unit 40, the buzzer 51, the liquid injector 53 and the dron 60 .

본 발명의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A)는 멧돼지, 고라니, 조류 등과 같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 및 조류의 방제장치로서, 먼저, 본 발명의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는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멧돼지에게는 치명적인 기피제가 고라니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여 효과적이지 못하다. 고라니의 경우 플래쉬(빛)로 퇴치하는 것이 효과가 크다. 이와 같이 멧돼지와 고라니를 구분하여 특성에 맞게 퇴치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퇴치가 이루어질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으로서, 그 수단은 드론(60)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 멧돼지, 고라니, 조류 등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The IoT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A) using the IoT deep running camera and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and birds damaging crops such as wild boar, elk, algae and the like. IoT Deep Running Using IoT Deep Running Camera and Dron 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System uses camera-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to distinguish harmful animals b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so that customized control (elimination and capture) . For example, a lethal repellent for a wild boar is not effective because it does not have a large effect on the elk. In the case of elk, it is effective to fight off with flash (light). In this way, if boar and elk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efeat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more effective eradication will be achiev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means for eliminating or capturing harmful animals or birds, the means being performed by a drone (60). At this time, the IoT deep-running camera 23 is used for distinguishing a person, a boar, an elk, or a bird by using a deep-running techniqu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하기와 같이 설명하는 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부(10)는 태양광 충전 모듈에 연결되어 태양열 에너지를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upply unit 10 is connected to a solar charging module to use solar energy as electric power, and is configured to use a battery.

상기 전원부(10)를 구비하기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지면 상에 중심설치축(70)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설치축(70)의 상부측에 지면과 이격되어 케이스(72)가 설치되는 바, 상기 케이스(72) 상에 전원부(10) 및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1, a center shaft 70 is provided on the ground and a case 7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shaft 7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installed on the case 72 on the bar.

본 발명은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 및 포획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 디바이스(퇴치기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관제시스템의 경우 Map-based UI(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퇴치기 설치상황,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출현상황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클라우드에 저장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출현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each control device (the controller and the capturing machine) installed through remote monitoring, the battery, the communication state, etc.,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n the case of the central control system, the map-based UI (User interface) is applied to easily recognize the installation situation of the exterminator, the emergence situation of the harmful animal or the bird, etc. And can be configured to predict the emergence of harmful animals or birds through analysis of big data stored in the cloud.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접근하면, 먼저, PIR센서(21)를 통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고, IoT 딥러닝 카메라(23)로 접근하는 동물이 유해동물인지 아니면 조류인지 구분한 다음, 카메라 플래쉬(30)가 작동하고, 버저(60) 및, 자동 분사기(70)를 통해 경고음 및 액체(최루액) 분사를 실시하게 되고, 또한 드론(60)을 띄워 유해성분을 갖는 펠렛 또는 독침을 발사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퇴치 또는 포획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When a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first, the approach of the harmful animal or the bird is detected through the PIR sensor 21, and the animal approaching the IoT deep-running camera 23 is a noxious animal The camera flash 30 is operated and a warning sound and liquid spraying are performed through the buzzer 60 and the automatic sprayer 70 and the drones 60 are floated, To fire or pest the pest or bird.

위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은 미리 설정된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의 작동, 버저(51) 울림, 액체 분사기(53)의 최루액 분사 및 드론(60)의 작동이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PIR센서(21)로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인체 적외선을 감지하고, IoT 딥러닝 카메라(23)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하며, 마이크로 도플러센서(25)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상대운동을 인지하기에 가능하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camera flash 30, sounding the buzzer 51, sneezing spray of the liquid sprayer 53, and drowning of the drones 60 according to the distances to the predetermined harmful animals or birds, The PIR sensor 21 detects the human infrared light of the noxious animal or algae, identifies the noxious animal or bird with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The sensor 25 is capable of recognizing the relative motion of the noxious animal or bird.

상기 사용되는 PIR센서(21)는 인체 감지 센서로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생명체는 일정 온도의 열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외선이 나온다. 상기 적외선과 움직임이 감지되면 신호를 보내주는 방식이다.The PIR sensor 21 used is a human body sensor, which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harmful animals or birds. Since living things have a certain temperature of heat, they emit infrared rays. When the infrared ray and motion are detected, a signal is transmitted.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 멧돼지, 고라니, 조류 등을 구분하게 된다.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is provided to recognize and distinguish harmful animals or birds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s described above. And so on.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도플러센서(25)는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상대운동을 인지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micro Doppler sensor 25 is used to measure the distance by perceiving a relative movement with a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

이러한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도플러센서(25)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40)가 구비되고,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가 구비된다.The control unit 40 receives a signal sensed by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Doppler sensor 2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 camera flash 30 is provided.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51)가 구비되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기(5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a noxious animal or a bird has approached a preset first safety distance D1, the buzzer sounds a warning soun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detected by the Doppler sensor 25 as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which is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than the preset first safety distance D1 as shown in FIG. 3, And a liquid injector 53 for injecting a liquid which can disgust the animal.

상기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 시 버저(51)의 작동과,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 시 액체 분사기(53)가 작동되더라도, 광범위한 설정 영역 내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또는 액체 분사기(53)로도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퇴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퇴치 또는 포획작동을 실시하는 드론(60)을 구비한다.Even if the operation of the buzzer 51 when approaching within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and the operation of the liquid injector 53 when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are carried out, It is not easy. 3, when it is detected by the Doppler sensor 25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has approached the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or when the liquid sprayer 53 detects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And a drone (60) for performing a fighting or catching operation so as to prevent or capture harmful animals or algae when the fighting is not carried out.

상기 드론(60)은 이착륙 작동을 위해 케이스(72)의 상단부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드론(60)을 이용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하기 위해 미도시되었으나, 유해동물 또는 조류에게 유해한 성분을 발산하는 펠렛 발사기가 구비되어 퇴치를 수행함과 아울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포획하도록 독침 발사기가 구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펠렛 발사기 및 독침 발사기는 드론(60)의 몸체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구비된다.The drone 60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72 for the take-off and landing operation. It is not show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capturing harmful animals or birds using the drone 6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pellet launcher for emitting a harmful ingredient is provided to perform an eradication and that a poison-launcher is provided to capture harmful animals or algae. The pellet launcher and the needle launcher are integrally or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of the drone 60.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적외선 및 움직임이 감지되면 PIR센서(21)에서 이를 인식하고, IoT 딥러닝 카메라(23)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한 다음, 유해동물 또는 조류로 판단되고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면 먼저 카메라 플래쉬(30)를 켜서 경고를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R sensor 21 recognizes infrared rays and movements of a harmful animal or algae, recognizes harmful animals or birds in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When approaching within the determined distance, first turn on the camera flash 30 to warn.

그 이후,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를 작동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버저(51)를 통해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고,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액체 분사기(53)를 통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도록 한다. 이때 액체 분사기(53)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기피제(최루액) 등이 사용된다.Thereafter,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is operated and it is detected that the noxious animal or the bird has approached within the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an audible alarm sounds through the buzzer 51,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safety distance D2 approaches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which is closer to the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than the preset first safety distance D1, the harmful animal is sprayed with the liquid that can disgust through the liquid sprayer 53. [ At this time, as a liquid sprayed from the liquid sprayer 53, a repellent agent (leaking solution) or the like is used.

위 구성은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 정도를 거리로 측정 가능하고, 이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거리(D1,D2)를 설정해 놓고 일정거리 이상 농작물에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접근했을 때를 감지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느끼는 위협의 강도를 달리하여 최종적으로 농작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을 때는 드론(60)을 띄워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cess degree of a harmful animal or algae can be measured i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by distanc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distance D1 or D2 is set and the harmful animals or birds (D2), the drones (60) are lifted and the harmful animals or algae are exposed to the birds. In addition, when the birds are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It is aimed at eliminating or capturing.

한편, 본 발명의 케이스(72)의 내부공간에 도 1에서와 같이 상술된 구성인 전원부(10),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카메라 플래쉬(30), 제어부(40), 버저(51) 및 액체 분사기(53)가 설치 구비되며, 또한 상기 케이스(72)는 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심설치축(70) 상에 구비되어 상시 회전되면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케이스(72)가 회전되면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설치축(70) 상에는 케이스(72)를 축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이 구비된다.1, the power source 10,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e camera flash 19, The control unit 40, the buzzer 51 and the liquid injector 53 are installed in the case 70. The case 72 is provided on the center shaft 70 rota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case 72 is rotated to detect a noxious animal or algae. At this time, rotation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ase 72 about the center mounting shaft 70 is provided.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방제장치(A)는 설정된 구역내에 30∼100m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어 유해동물 및 조류가 상기 설정된 구역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apparatus A is installed at intervals of 30 to 100 m in the predetermined zone so that the harmful animals and algae do not stay in the predetermined zone for a long time.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및 포획 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래 S1∼S9단계를 통해 구현되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해동물 또는 조류 방제장치(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1);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23);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상대운동을 인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도플러센서(25)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40);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51);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기(53);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퇴치 또는 포획작동을 실시하는 드론(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및 포획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방제장치(A)가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를 켜는 센서 켜짐 단계(S2); 상기 PIR센서(21)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하는 대상 구분 단계(S4);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플래쉬 또는 도플러센서 동작 단계(S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음을 인식하는 거리 인식 단계(S6);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로 접근하였을 때 제어부(40)에 의해 버저(51)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7); 상기 제어부(40)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8);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계속 접근하여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 대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함과 동시에, 드론(60)을 띄워 유해성분을 갖는 펠렛 또는 독침을 발사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는 단계(S9);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로 돌아가도록 구성된다.The method of eliminating and capturing using the IoT deep running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oT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drone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through steps S1 to S9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n detail, a pow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armful animal or bird control apparatus A; A PIR sensor (21) for detecting infrared rays emitted by a harmful animal or algae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 IoT deep running camera 23 for recognizing and distinguishing harmful animals or birds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 microwave Doppler sensor 25 for recognizing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d measuring the distance; A camera flash 30 that illuminates when approaching the noxious animal or bird; A control unit 40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Doppler sensor 2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 buzzer 51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a noxious animal or a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the noxious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which is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distance D1, Liquid injector 53; A drone (60) for performing an eradication or trapping operation so as to eradicate or capture a harmful animal or bird when it is detected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IoT) dehydrating camera using the IoT deep-running camera and the Ion-IoT intelligent animal and bir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dron, the controller (A) controls the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power-on step (S1) to be supplied; A sensor on step S2 for turning on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A step S3 of sensing the PIR sensor 21 detecting a noxious animal or algae; An object classification step (S4) in which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classifies harmful animals or algae; A flash or Doppler sensor operation step (S5) of operating any one of the camera flash 30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detects and recognizes harmful animals or algae; (S6) recognizing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detected; A buzzer sounding step (S7) for causing the buzzer (51) to sound an audible alarm by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A short range recognition step (S8)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40) is continuously approach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ed and sensed approaching within a second safety distance (D2)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a liquid which can disgust against the harmful animal is sprayed, and the drones And a step (S9) of eradicating 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by emitting a pellet or a poison having a harmful component by floating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when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is not detected, And if it is not within the distance, it returns to the step of turning on the PIR sensor (S2).

이때, 상기 드론(60)의 몸체에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에게 유해한 성분을 발산하는 펠렛 발사기가 구비되어 퇴치를 수행함과 아울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포획하도록 독침 발사기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부(10),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카메라 플래쉬(30), 제어부(40), 버저(51) 및 액체 분사기(53)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72) 상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72)는 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심설치축(70) 상에 구비되어 상시 회전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방제장치(A)는 설정된 구역내에 30∼100m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어 유해동물 및 조류가 상기 설정된 구역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dy of the drone (60) is provided with a pellet launcher for emitting a harmful component to the harmful animal or the bird, so that the poison launcher is provided to capture the harmful animal or bird,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e camera flash 30, the control unit 40, the buzzer 51 and the liquid injector 53 are housed in a case And the case 72 is provided on a center shaft 70 rota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be operated while being rotated at all times, and the control device A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at intervals of 30 to 100 m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noxious animal and the bird do not stay in the set area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전원부(10)는 태양광 충전 모듈 또는 배터리로 구성되게 하고, 미리 설정된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의 작동, 버저(51) 울림, 액체 분사기(53)의 최루액 분사 및 드론(60)의 작동이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0 may be configured by a solar charging module or a battery,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camera flash 30, sound the buzzer 51, sound the liquid in the liquid sprayer 53 So that the tear fluid inj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drones 60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tepwise.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에 의하면 딥러닝 기술이 활용된 카메라 센서와 도플러센서 및 PIR센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인지하고, 드론이 출격하여서 유해동물이나 조류를 퇴치하거나, 유해한 매체를 발사하여 포획하며, IoT 통신망을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 유해동물의 접근과 퇴치상황, 방제장치의 배터리 및 위치 등을 보고하도록 하여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관제 시스템과 사용자 앱에서 방제장치에 대한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의 딥러닝 기술로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접근하는 것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구분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한다) 드론이 출격하여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동작을 하여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며, 유지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작비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가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그리고, 카메라 영상 분석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동물들을 구별하도록 함으로써 인식된 유해동물에 맞는 맞춤형 방제(퇴치 및 포획)를 할 수 있고, 원격모니터링을 통하여 설치된 각 방제 디바이스(퇴치기)의 위치 및 배터리,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며, 보고된 방제디바이스(퇴치 및 포획기)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oT deep-running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eliminating IoT using the intelligent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device using the dron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sensor, the Doppler sensor, and the PIR sensor using the deep- It recognizes the approach, catches up with the drones to eliminate harmful animals and birds, and catches and captures harmful media.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network,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user app are able to access and exterminate the harmful animals, And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is enabled in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user app. Also, it is possible to use the solar panel or the battery as the power source, and to use the camera deep- Only when you recognize an animal (whether it is a person or an animal, The drones are scrambled to control the harmful animals and prevent the harmful animals from being damaged by the drones, the maintenance cost can be efficiently managed, the production cost can be minimized, the burden on the farmers can be reduced, (Elimination and trapping) of the harmful animals recognized by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ique to distinguish the harmful animals,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ustomized type control And the like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and necessary actions can be taken, and the stolen of the repelling device can be recogniz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orted control device (erasure and capture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clarified.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전원부 21 : PIR센서
23 : IoT 딥러닝 카메라 25 :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
30 : 카메라 플래쉬 40 : 제어부
51 : 버저 53 : 액체 분사기
60 : 드론
10: Power source 21: PIR sensor
23: IoT deep running camera 25: Microwave Doppler sensor
30: camera flash 40:
51: Buzzer 53: Liquid sprayer
60: Drones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유해동물 또는 조류 방제장치(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충전 모듈 또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부(10);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PIR센서(21);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23); 상기 방제장치(A)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상대운동을 인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시 조명을 발하는 카메라 플래쉬(30);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도플러센서(25)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40);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51);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기(53);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도록 퇴치 또는 포획작동을 실시하는 드론(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10),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카메라 플래쉬(30), 제어부(40), 버저(51) 및 액체 분사기(53)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72) 상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72)는 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심설치축(70) 상에 구비되어 상시 회전 작동되며, 상기 드론(60)은 이착륙 작동을 위해 케이스(72)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60)의 몸체에는 유해동물 또는 조류에게 유해한 성분을 발산하는 펠렛 발사기가 구비되어 퇴치를 수행함과 아울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포획하도록 독침 발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방제장치(A)는 설정된 구역내에 30∼100m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어 유해동물 및 조류가 상기 설정된 구역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제장치(A)가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ON 단계(S1); 상기 PIR센서(21), IoT 딥러닝 카메라(23) 및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를 켜는 센서 켜짐 단계(S2); 상기 PIR센서(21)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는 대상 감지 단계(S3);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가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하는 대상 구분 단계(S4); 상기 IoT 딥러닝 카메라(23)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인지하여 구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플래쉬(30)와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플래쉬 또는 도플러센서 동작 단계(S5);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25)에 의해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음을 인식하는 거리 인식 단계(S6);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D1) 내로 접근하였을 때 제어부(40)에 의해 버저(51)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는 버저 울림 단계(S7); 상기 제어부(40)로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제2안전거리(D2) 내로 계속 접근하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리 인식 단계(S8);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계속 접근하여 제1안전거리(D1)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D2)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 대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함과 동시에, 드론(60)을 띄워 유해성분을 갖는 펠렛 또는 독침을 발사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 또는 포획하는 단계(S9);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와 상기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았을 때는 PIR 센서 켜짐 단계(S2)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방법.
A power supply unit 10 having a solar charging module or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armful animal or bird control apparatus A; A PIR sensor (21) for detecting infrared rays emitted by a harmful animal or algae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 IoT deep running camera 23 for recognizing and distinguishing harmful animals or birds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 microwave Doppler sensor 25 for recognizing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control device A and measuring the distance; A camera flash 30 that illuminates when approaching the noxious animal or bird; A control unit 40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Doppler sensor 2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 buzzer 51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a noxious animal or a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When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detects that the noxious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the second safety distance D2 which is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distance D1, Liquid injector 53; A drone (60) for performing an eradication or trapping operation so as to eradicate or capture a harmful animal or bird when it is detected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ha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Lt; / RTI >
The power supply unit 10,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the camera flash 30, the control unit 40, the buzzer 51, The case 72 is provided on a center shaft 70 rota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s always rotated. The dron 60 is installed on the case 72 for the take- A pellet launcher for emitting harmful substances to harmful animals or algae is provided in the body of the drone 60 to perform an eradication and a poison launcher is provided to capture harmful animals or algae , Wherein the control device (A) is installed in the set area at intervals of 30 to 100 m to prevent the harmful animals and algae from staying in the set area for a long time,
A power ON step (S1) in which the control device (A)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part (10); A sensor on step S2 for turning on the PIR sensor 21, the IoT deep running camera 23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A step S3 of sensing the PIR sensor 21 detecting a noxious animal or algae; An object classification step (S4) in which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classifies harmful animals or algae; A flash or Doppler sensor operation step (S5) of operating any one of the camera flash 30 and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IoT deep learning camera 23 detects and recognizes harmful animals or algae; (S6) recognizing that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microwave Doppler sensor (25)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detected; A buzzer sounding step (S7) for causing the buzzer (51) to sound an audible alarm by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first safety distance (D1); A short range recognition step (S8)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40) is continuously approach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safety distance (D2); When the harmful animal or bird is approached and sensed approaching within a second safety distance (D2) closer to the first safety distance (D1), a liquid which can disgust against the harmful animal is sprayed, and the drones And a step (S9) of eradicating 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or algae by emitting a pellet or a poison having a harmful component by floating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when the harmful animal or the algae is not detected, And returning to the step S2 of turning on the PIR sensor when the vehicle is not approaching within a distance of the IOT deep-running camera and the IoT intelligent pest control apparatus using the dr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유해동물 또는 조류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30)의 작동, 버저(51) 울림, 액체 분사기(53)의 최루액 분사 및 드론(60)의 작동이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peration of the camera flash 30, the sounding of the buzzer 51, the syrup spraying of the liquid sprayer 53, and the operation of the drones 60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tepwis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redetermined harmful animal or bird IoT Deep Running Camera featuring IoT and Ion using Drones Intelligent pest control method using harmful animal and bird control equipment.
KR1020180169687A 2018-12-26 2018-12-26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KR101975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87A KR101975477B1 (en) 2018-12-26 2018-12-26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87A KR101975477B1 (en) 2018-12-26 2018-12-26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477B1 true KR101975477B1 (en) 2019-05-09

Family

ID=6654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687A KR101975477B1 (en) 2018-12-26 2018-12-26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77B1 (e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608A (en) * 2019-08-08 2019-10-15 长沙奥亚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rod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099463B1 (en) * 2019-09-03 2020-04-09 주식회사 명신전자 Apparatus of dimming type led lighting
WO2020235834A1 (en) * 2019-05-21 2020-11-26 Choi Byeong Gwan Airfield bird strike system using robot drone
KR102234765B1 (en) * 2020-12-15 2021-04-02 주식회사 광진기업 Wild boar Repeller
KR20210070604A (en) * 2019-12-05 2021-06-15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The system of exterminating harmful bird using the automatic drone
CN113054902A (en) * 2021-03-25 2021-06-29 广东海洋大学 Coastal solar intelligent power gener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KR20210101382A (en) 2020-02-07 2021-08-1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radicating wild animals
KR102319380B1 (en) * 2021-03-05 2021-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arine structures for algae eradication using solar power
KR102421359B1 (en)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Method for provide a wire monitoring system
KR102439421B1 (en)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Installation method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monitoring system
KR102439424B1 (en)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Installation method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monitoring system
KR102454968B1 (en) * 2022-06-17 2022-10-17 (주)대광기술 M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box
KR102458632B1 (en) * 2022-06-14 2022-10-26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of providing waste disposal facilities for apartment buildings
KR102465653B1 (en) * 2022-06-17 2022-11-11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of providing parking management facilities for apartment buildings
KR102473889B1 (en) * 2022-06-21 2022-12-07 동양감리(주) Earth leakage monitoring facil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mposed of transformers
KR102476981B1 (en) * 2022-06-14 2022-12-14 (주) 자연과환경 Sludge removal type underground sewage pipe installation method
KR102482190B1 (en) * 2022-03-22 2022-12-29 (주)가온감리단 Method for set up the fixing device of a substation transformer
KR20230067315A (en) 2021-11-09 2023-05-16 (주)투비시스템 A System for Repelling a Harmful Wild lif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083896A (en) 2021-12-03 2023-06-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apture device and animal cap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585603B1 (en) * 2022-09-15 2023-10-06 주식회사 세경 Quarantine disinfection and odor reducing system using IoT
KR20230169695A (en) 2022-06-09 2023-12-18 김병필 Harmful animal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403A (en) * 1996-12-31 1998-10-07 손기락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Using Doppler Sensor
KR101443199B1 (en)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est-repelling system equipped with dispenser for repellent agent
KR101565134B1 (en) 2014-04-14 2015-11-13 주식회사 디안스 Wild animals extermination system
KR20160080448A (en) * 2014-12-29 2016-07-08 이재훈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KR101710689B1 (en) *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ur and feather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Animal extirpator
KR20180001429A (en)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KR101874564B1 (en)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KR101893801B1 (en) * 2017-01-16 2018-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venting threat from animal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403A (en) * 1996-12-31 1998-10-07 손기락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Using Doppler Sensor
KR101443199B1 (en)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est-repelling system equipped with dispenser for repellent agent
KR101565134B1 (en) 2014-04-14 2015-11-13 주식회사 디안스 Wild animals extermination system
KR20160080448A (en) * 2014-12-29 2016-07-08 이재훈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7-03-16 (주)경문엔터테인먼트 Animal extirpator
KR101710689B1 (en) * 2016-03-04 2017-02-28 (주) 엘앤티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ur and feather
KR20180001429A (en) * 2016-06-24 2018-01-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KR101893801B1 (en) * 2017-01-16 2018-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venting threat from animal using drone
KR101874564B1 (en)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34A1 (en) * 2019-05-21 2020-11-26 Choi Byeong Gwan Airfield bird strike system using robot drone
CN110326608A (en) * 2019-08-08 2019-10-15 长沙奥亚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rod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099463B1 (en) * 2019-09-03 2020-04-09 주식회사 명신전자 Apparatus of dimming type led lighting
KR20210070604A (en) * 2019-12-05 2021-06-15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The system of exterminating harmful bird using the automatic drone
KR102392662B1 (en) 2019-12-05 2022-04-29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The system of exterminating harmful bird using the automatic drone
KR20210101382A (en) 2020-02-07 2021-08-1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radicating wild animals
KR102234765B1 (en) * 2020-12-15 2021-04-02 주식회사 광진기업 Wild boar Repeller
KR102319380B1 (en) * 2021-03-05 2021-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arine structures for algae eradication using solar power
CN113054902A (en) * 2021-03-25 2021-06-29 广东海洋大学 Coastal solar intelligent power gener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KR20230067315A (en) 2021-11-09 2023-05-16 (주)투비시스템 A System for Repelling a Harmful Wild lif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083896A (en) 2021-12-03 2023-06-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apture device and animal cap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482190B1 (en) * 2022-03-22 2022-12-29 (주)가온감리단 Method for set up the fixing device of a substation transformer
KR102421359B1 (en)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Method for provide a wire monitoring system
KR102439421B1 (en)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Installation method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monitoring system
KR102439424B1 (en)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Installation method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monitoring system
KR20230169695A (en) 2022-06-09 2023-12-18 김병필 Harmful animal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102476981B1 (en) * 2022-06-14 2022-12-14 (주) 자연과환경 Sludge removal type underground sewage pipe installation method
KR102458632B1 (en) * 2022-06-14 2022-10-26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of providing waste disposal facilities for apartment buildings
KR102465653B1 (en) * 2022-06-17 2022-11-11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of providing parking management facilities for apartment buildings
KR102454968B1 (en) * 2022-06-17 2022-10-17 (주)대광기술 M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box
KR102473889B1 (en) * 2022-06-21 2022-12-07 동양감리(주) Earth leakage monitoring facil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mposed of transformers
KR102585603B1 (en) * 2022-09-15 2023-10-06 주식회사 세경 Quarantine disinfection and odor reducing system using I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77B1 (en)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KR101874564B1 (en)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US105771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n insecticide via unmanned vehicles to defend a crop-containing area against pests
KR101762511B1 (en) The system of exterminating harmful animals and the method of using them
CN109195865B (en) Insect trap
US20180064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ending crops from crop-damaging pests via unmanned vehicles
KR101635317B1 (en) Wasp killing device assembled a beehive
KR101986222B1 (en)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US7884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rtling animals
US9387501B2 (en) Flying insect spray apparatus
US11758899B2 (en) Rodent trap, method of trapping and killing a rodent, and use of a rodent trap
US11636745B2 (en) Detection of animal intrusions and control of a repellent mechanism for detected animal intrusions
CN104705285A (en) Intelligent mosquito repellent device
KR101936306B1 (en)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the same
CN204860716U (en) Portable kill mosquito device
KR20200091524A (en) Crop management system
KR20170137664A (en) A method of how to eliminate birds using speakers and spreader installed on the drones
KR20210064979A (en) Scare Away Noxious Birds and Wild Animals for The Crops
JP6421390B2 (en) Animal disposal method and animal disposal apparatus
AU2021103402A4 (en) IoT Based Smart Rodent Repelling System for Automobiles
KR200203307Y1 (en) Bird control
KR101857372B1 (en) An Apparatus Of Insect Trap
KR102108207B1 (en) Apparatus for luring and trapping insects
KR101966898B1 (en) Auto Security System
AU2021105631A4 (en) A house infestatio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along with identification of harmful p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