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80B1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80B1
KR101973180B1 KR1020120066696A KR20120066696A KR101973180B1 KR 101973180 B1 KR101973180 B1 KR 101973180B1 KR 1020120066696 A KR1020120066696 A KR 1020120066696A KR 20120066696 A KR20120066696 A KR 20120066696A KR 101973180 B1 KR101973180 B1 KR 10197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ed content
terminal
content
mem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43679A (en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80B1/en
Publication of KR2013014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며, 메시지 서비스에 첨부하는 부가 정보 선택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영역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상기 시스템 운용 방법,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memo enter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is added and displayed,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ed to the message service is selected, a search area including the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 system operating method, a service apparatus constituting the system, and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nd a service apparatus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특정 부가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보다 손쉽게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which supports specific information, for example, content-related information designated by a user, And a service device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통신망의 발달과 보급 확대에 힘입어 인터넷 인구가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전자상거래, 포털(portal) 등을 위시한 다양한 컨텐츠(contents)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영역의 경계가 파괴되면서 대다수의 오프라인 서비스가 온라인 서비스로 대체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들을 검색하거나, 청취하거나 하는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타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기를 희망하거나 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검색한 컨텐츠라 하더라도 해당 컨텐츠의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고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그러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결국 원하는 컨텐츠를 찾지 못하여 해당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spread and use of mobile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have reached the stage of mobile convergence, which does not stay in the conventional inherent domain but covers other terminals. Typically,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an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a TV broadcasting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broadcasting such as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In addition, the Internet population is growing at a rapid pace thanks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growth of the Internet, A variety of contents such as e-commerce, a portal, and the like are appearing together. In recent years, as the boundaries of the online and offline areas have been destroyed, a majority of offline services have been replaced with online services. As a result, various services such as searching for and listening to various contents are used. The user often wishes to share certain content with his or her own terminal o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other terminal user. Since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memorize and locate the position of the conten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search for and provide such content, and even if the desired content can not be found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nformation can not be shared,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면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메시지 서비스 운용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이력을 가지는 선택 컨텐츠들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 및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selected by a user while operating a terminal,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lective retrieval and attachment of selected contents having a history, and a service device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선택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함께 표시하고,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에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the system comprising: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memos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nput by the terminal,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and the memo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And a service device for servicing contents on th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의 저장 및 관리, 선택 컨텐츠에 대한 북마크 표식의 부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a terminal, comprising: a cloud service which performs or supports one or more functions of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memos of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Device. ≪ / RTI >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단말기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 통신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단말기에서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장치 제어부;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terminal connection; A device for supporting display of bookmark markers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memos inputted by a user with respect to selected contents when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terminal, A control unit; And a de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a memo input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단말기가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메시지 서비스에 첨부하는 부가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 unit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 list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ques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arch attached to the message service during message service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새로운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제어하거나, 단말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update the selected content list when new content is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or may control to update at least one of the selec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elete some of them.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 컨텐츠 지정에 따라서, 입력부를 통해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선택 컨텐츠와 함께 북마크 표식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ing: an input unit for designating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as selected content and inputting a memo relating to the selected content;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through the input uni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ookmark indici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a memo enter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bookmark markers together with the selected content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부가 정보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매칭되는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검색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itional information search request is input during the message service oper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a search screen displaying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a memo matched to the selected content .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아이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lo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an icon, and a file name.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컨텐츠가 지정되면, 컨텐츠 선택 또는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입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designa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memo input screen of the user related to the content selection or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하거나,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의 존재 여부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extract the keyword from the memo, display the extracted keyword in the bookmark mark, or display the bookmark mark in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mo in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모의 내용을 기반으로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sort and manage the selected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emo.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단계;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를 획득하는 단계; 메모를 지정된 선택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선택 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designating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as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Obtaining a memo for the selected content; Matching the memo with the selected content; And controlling,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displaying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 together with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메시지 서비스 운용을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부가 정보 검색 요청에 따라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 및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and a memo; Outputting a message creation screen for message service operation; Outputting a selected content list in response to a supplementary information search request; A creation step of creating a message including the selected content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anoth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 이용 관련 로그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영역, 선택 컨텐츠에 기입된 메모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may include: an address information area of the selected content; a log information area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an image information area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lected content list, the selecte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mo information area written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과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사전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선택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메모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련된 메모를 참조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쉽게 하여 타 단말기 사용자와의 공유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 transmission system, and a device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nd a memo associated therewith can be more easily confirmed. In addition, a message can be easily searched when transmitting a message based on a message service. By referring to an associated memo, desired contents can be easily made and shared with other terminal users more conveniently To the extent that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의 구성 중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를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의 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 컨텐츠 리스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supporting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in 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pecifying a selected content in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selected content as additional information in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for explaining the designation of a selected content in 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a selected conten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terface for explaining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configuration supporting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단말기(100)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100,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a cloud service apparatus 400 for supporting the cloud services of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이와 같은 구성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통신망(30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거나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에 대하여 사전 정의된 방식에 따라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부가 정보로서 관리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선택한 컨텐츠에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를 북마크 표식에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지정한 선택 컨텐츠들 및 그와 관련된 메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부가 정보로서 관리되는 선택 컨텐츠들은 해당 단말기(100)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부가 정보로서 첨부 되어 타 단말기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부가 정보 선택 기능을 지원하고, 해당 기능 요청 시 선택 컨텐츠들로 구성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컨텐츠로 지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는, 단말기(100)를 통해서 접근 가능한 컨텐츠로서, 단말기(100)의 로컬 저장소, 즉, 단말기(100)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거나,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되어, 통신망(300)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컨텐츠로 지정 가능한 특정 컨텐츠는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사진, 전자도서, 기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100 uses various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When contents are designated as selected contents, bookmark markings are provided according to a predefined method for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thereby managing them as additi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a user's memo relating to a content selected in giving a bookmark mark is visually displayed by including it in a bookmark mark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memo associated with the user. In addition, the selected contents managed a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terminal as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essage service by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0. [ For this, the terminal 100 suppor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selection func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essage service, and can provide the selected contents list composed of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user when the function is requested.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that can be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is content that is accessible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is stored in a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100, that is, a storage medium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Or may be stored in any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and may includ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specific content that can be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web page, a sound source, a video, a photograph, an electronic book, an article, and the like.

아울러, 컨텐츠의 이용은, 단말기(100)를 통해서 해당 컨텐츠에 접근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실행 또는 표시하는 등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모든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content may mean all the processing of the us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uch as acces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100,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executing 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컨텐츠들을 이용하는 과정 중에 기억하고 싶은 또는 타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고 싶은 다양한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타 단말기 사용자와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술한 선택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저장하고 이를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various contents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or to share with other terminal users during the process of using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ntents to be easily shared with other terminal users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may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s and the memo entered by the user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contents and provide the memo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

통신망(300)은 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단말기(100)와 타 단말기 간의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단말기(100)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기지국을 포함하며, 각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호 절환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전송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문자 메시지 예를 들면 LMS 및 MMS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가 포함된 LMS, MMS, 인스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300)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을 제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에 부가 정보, 부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등을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communication for supporting the message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Channels and so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cludes a base station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for call switching. When the terminal 100 is a device suppo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ny one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r may be any one of wireless base station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for supporting a LMS and an MMS service, for example, a text messag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n order to transmit a message service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100 can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LMS, the MMS, and the instant message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other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provides IP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between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he terminal 100 and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에 접속하여, 통신망(300)과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거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사진, 전자도서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해당 컨텐츠들 중 일정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컨텐츠들로 지정하고 해당 선택 컨텐츠들을 별도 수집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들로 구성된 리스트 정보를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에 업로드하여 타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자신이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거나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주소 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포함시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LMS, MMS,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타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100 can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by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terminal 100 may use contents such as a web page, a sound source, a video, a photograph, and an electronic book, which are stored therein or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can do. The terminal 100 may designate certain contents among the contents as selected content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and support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selected contents.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uploads the list information composed of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to support the reception of the list information by the other terminal, or can receive and use the list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0 can provide a selected content list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a message service function.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information, the terminal 100 can search for the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A message can be constructed by including address information as additional information. Th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another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service of the LMS, the MMS, and the instant messenger service.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컨텐츠 종류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텐츠를 단독으로 또는 여러 개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웹 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 음원 서비스 제공 장치, 비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사진 제공 장치, 전자도서 제공 장치, 마켓 서비스 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상술한 각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컨텐츠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그리고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시 검색할 수 있도록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기(100)가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이용에 대한 로그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respectiv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types of contents described above, individually or in a plurality of service apparatuses. 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cific web pag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 video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 photo providing apparatus, an electronic book providing apparatus, and a marke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may provide the address informatio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tinguish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ntents and the user can search the contents aga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may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log information on the content usage when the terminal 100 uses the specific content.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공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에 저장되지 않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한 후,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가 방문하였거나 이용한 컨텐츠들 중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선택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컨텐츠 이용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선택 컨텐츠 리스트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 갱신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100) 사용자가 등록한 다른 단말기들에게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타 단말기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The cloud service device 400 is a device that supports the cloud service of the terminal 100.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share and store a list of selected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of the terminal 100. For this purpose,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 Meanwhile,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store the selected content lis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without being stored in the terminal 100, and may provide the selected content list upon request of the terminal 100. [ To this end,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selected contents selected by the terminal 100 from among contents visited or used by the terminal 100 from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device 200, and store and manage the selected contents.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generates and manages a selected content lis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use of the terminal 100 and provides the updated selected content li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when the selected content list update occurs have.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provide selected content list information to other terminals registered by a user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 request. The other terminal receiv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information can use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 contro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이용 중에 선택한 선택 컨텐츠들을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타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선택 컨텐츠들을 보다 손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s selected by the terminal 100 during the us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o other terminal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ovide the selected contents to be shar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 audio processing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들을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별도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들을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으며, 선택 컨텐츠에 대해서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북마크 표식을 통해 간단하게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자신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입력 신호에 따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 항목을 해당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타 단말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또는 공유하고자 하는 특정 컨텐츠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 및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terminal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use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by connecting to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by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100 may designate specific contents as selected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manage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s as a separate selected contents list.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can use various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t this time, specific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can be designated as selected contents, bookmark marks are given to the selected contents, Thereby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In particular, the bookmark marker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memos entered by the user in relation to the selected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his or her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through bookmark markers. Meanwhile, when providing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the terminal 100 may support to transmit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item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when the reques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ment function occurs . Accordingly,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user to select and transmit specific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or to be shar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와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양한 컨텐츠를 열람하거나 이용하는 과정에서 각 컨텐츠 관련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가 위치하는 주소 정보,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컨텐츠 관련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unit 1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ith the contents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he user can browse or use various contents.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log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is located, in the course of browsing or using various contents. The receive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may be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추가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선택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새로 갱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 또는 갱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selected content list or the newly updated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 The received selected content list or the updated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기능 지원에 따라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 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ll key for a voice call request, a video call key for a video call request, an end key for requesting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end, A volume key and an arrow key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image. Meanwhile, the input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map output to the display unit 140.

이러한 입력부(12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접속 및 컨텐츠 열람과 접근을 위한 입력 신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서 방문 또는 열람한 컨텐츠 또는 저장부(150)에서 열람한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첨부하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n input signal for accessing and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an access signal for accessing and viewing the content, a content visited or brows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lso, the input unit 12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creating a message attaching the selected content as additional information, an input signal for transmitting a message attach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generated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and can be used as a comman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과 단말기(100)의 통화 기능 지원에 필요한 오디오 데이터 수집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접속 과정에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운용에서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동작 수행에 따른 효과음이나 지정된 선택 컨텐츠의 종류 등을 안내하는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a speaker SPK and a microphone MIC for outputting various audio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for collecting audio data necessary for supporting a call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 When 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receives various audio signal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during connec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may output the audio signals.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30 may output a guidance sound for guiding an effect sound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for attaching additional information, a type of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 and the like in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operation. The output function of the audio signal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4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이용 화면,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메시지 작성 및 메시지 전송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의 표시 중에, 다양한 컨텐츠 중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의 전체 면적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형성되어 단말기(100)가 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정보 및 키 맵 등을 확인하고 터치 패널(143)을 운용하여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various menus of the terminal 100 as well a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40 can provide an idle screen, a menu screen, a call screen,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essage creation screen and a message transmission screen for attaching various content use scree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In addition, during the display of the idle screen and the menu screen,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memos input by the user to the selected content among various contents can be given and displayed. The above-mentioned scree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Meanwhile, the display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f the touch panel 143 and the display panel 141. At this time, the touch panel 143 has a size larger tha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141,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be provided as a full touch screen. The user can check various screen information and key map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and operate the touch panel 143 to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message transmission inclu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원 재생 기능, 비디오 재생 기능, 전자도서 열람 기능, 서버 검색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 및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저장부(150)는 서버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브라우저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appli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ng system (OS) of the terminal 100 as well as other options functions such as a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a video playback function, an electronic book browsing function, User data,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a message creation support program 151 and a selection content list 153 for supporting a message service function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when the user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the storage unit 150 may provide an appli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the server search function, for example, a browser to the control unit 160.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은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 작성 기능과, 부가 정보를 첨부한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은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메시지 작성 화면 및 부가 정보 첨부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essage creation support program 151 is a program for supporting a function of creating a messag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messag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to another terminal. To this end, the message creation support program 151 may be loaded into the control unit 160 to provide a message creation scree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ment screen.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검색된 다양한 컨텐츠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사용자 선택 시 단말기(100)에 사전 정의된 방식에 의하여 전자적 특정 표식(북마크 표식)을 부여함으로써 다른 컨텐츠들과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북마크 표식에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함으로써,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자신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lected content list 153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mong various contents retriev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a user's memo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s. The selected content list 153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tents by assigning an electronic specific mark (bookmark mark) to the terminal 100 in a predefined manner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In particular, by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s of the user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n the bookmark markers, the user can confirm his / her memo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only by checking the bookmark markers.

한편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음원, 비디오, 전자도서, 사진, 마켓 등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또는 저장부(150)의 주소 정보 및 해당 컨텐츠 선택에 관한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153)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관련 정보가 어떠한 컨텐츠를 지시하는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입력한 텍스트 정보 또는 메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lected content list 153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the storage unit 150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such as web page, sound source, video, electronic book, photo, market, And lo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lected content list 153 may include text information or memo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what contents are related to the specific content related information.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기능 지원을 위한 신호 흐름과 데이터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terminal 100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processing the data.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signal flow and data control for support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essag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 및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and a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단말기(100)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1)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메시지 작성 지원 프로그램(151)을 호출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 화면은 메시지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작성된 메시지가 출력되는 출력 영역,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영역은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키 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단말기(100)의 가로 세로 배치 변화에 따라 다른 키 맵으로 변경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입력 영역에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가상 키를 제공하거나, 특정 입력 키를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키로 할당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입력 영역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를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에 요청할 수 있다.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supports a message service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The message service support unit 161 may control to activate a message creation screen for creating a messag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or according to preset schedul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call the message creation support program 151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e message creation screen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message cre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area for outputting a created message, and an input area for creating a message. Here, the input area may be composed of a specific key map set as a default, and may be changed to another key map according to user control or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changes of the terminal 100.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provide a virtual key for attach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n input area or assign a specific input key to a key for attaching additional information.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support outputting text corresponding to a signal input in the input area to the output area. In particular,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quest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for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when an input signal for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generated.

한편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로부터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전달받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 작성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텍스트 및 첨부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메시지의 데이터 양을 화인하고, 해당 데이터 양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한 후, 해당 메시지 서비스 방식으로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된 메시지의 데이터 양이 LMS 서비스 제한 폭, 예를 들면 100글자를 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L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는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 양이 LMS 서비스 기준을 넘는 경우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은 사용자가 가입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또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receives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 item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support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tem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Thereafter,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control to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reated text and attached additional information to anoth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At this time,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can control the amount of data of the created message to be in-line, automatically select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and transmit a message created by the corresponding message service method.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data of the created message does not exceed the limit of the LMS service, for example, 100 characters,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can control to transmit a message created using the LMS service.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can control to transmit a message created using the MMS service when the amount of created message data exceeds the LMS service standard. In another case,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control the user to transmit a message through the instant messenger service or the mobile messenger service.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 및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에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때, 예를 들어, 다수의 컨텐츠의 아이콘을 표시할 때, 선택 컨텐츠의 아이콘에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더하여,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은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로부터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화면 전환을 수행하여 별도 화면 상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오버레이 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메시지 작성 화면보다 작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메시지 작성 화면을 구성하는 입력 영역을 대체하여 출력될 수 있다.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최근 선택된 컨텐츠들을 항목으로 가지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특정 컨텐츠 종류별로 구분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이력 관리 모듈(163)는 입력 신호에 의해 지정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에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 모듈(161)에 전달되는 선택 컨텐츠 항목들의 정보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방문한 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extracts and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memo enter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selected content. When display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icon of a plurality of contents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60 displays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notes on the icon of the selected content .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receives an input signal requesting the attachmen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can support to output the selected content list to the display unit 140. At this time,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may support overlay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or switching the screen to output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on a separate screen. The list of selected contents overlaid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can be output smaller tha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For example, the selected content list can be output by replacing the input area constituting the message creation screen. The selected content list may be composed of a list of selected contents having recently selected contents as items or a list of selected contents classified by specific content types. Meanwhile, the content history management module 163 can transmit information on specific selected content items designated by the input signal to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tems transmitted to the message service support module 16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content and log information using the content or visi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선택한 컨텐츠들을 메시지 서비스의 부가 정보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때 선택한 컨텐츠 만을 별도로 보여줌으로써, 컨텐츠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ourse of operating the terminal a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message service, By showing them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trieval of contents.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 컨텐츠의 지정 및 부가 정보 전송 처리가 모두 단말기(100) 자체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처리 과정 중에서 일부 기능을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가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통신부(210), 장치 저장부(250) 및 장치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explained that both the design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the terminal 100 itsel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om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or may be provided by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include a device communication unit 210, a device storage unit 250, and a device control unit 260, as shown in FIG.

장치 통신부(21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단말기(100)에게 다양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치 통신부(210)는 통신망(300)과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통신부(2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선택 컨텐츠 정보들은 장치 제어부(260)에 전달될 수 있다.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can transmit various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the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200 or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information specifying a specific content as selected content from the terminal 100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The received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260.

장치 저장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 운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컨텐츠 제공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징 장치 저장부(250)는 단말기(100)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함에 따라 생성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선택 컨텐츠를 새로 생성하는 경우 갱신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삭제될 수도 있다.The device storage unit 250 may stor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and appli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ing. The feature storage unit 250 may store a selected content list generated by the terminal 100 as a selected content. The selected content list sto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pdated when the terminal 100 newly creates the selected content using other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 Meanwhile, at least a part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be dele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

장치 제어부(26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의 컨텐츠 제공 등을 제어하며, 특히 선택 컨텐츠 리스트 제공과, 갱신 및 삭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특정 단말기(100)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기반으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해당 단말기의 다른 컨텐츠 이용 및 선택 지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그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 요청에 따라 현재 해당 단말기(100)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장치 제어부(260)는 단말기(100)에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선택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북마크 표식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는 메모를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수행 시, 장치 저장부(250)에 저장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200, and in particular, can control the provision, update and deletion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control unit 260 provides content to a specific terminal 100, and upon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specifying a specific content as a selected content from the terminal 100, A content list can be generated. Thereafter, information on other contents use and selection designation of the terminal is collected, an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s list can be updated accordingly. The device control unit 260 may provide a separate screen for check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100. [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00 display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the device control unit 260 can support displaying the bookmark mark indicating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memo included in the book mark mark together.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ing function of the terminal 100, the selected content list stored in the device storage unit 250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이 경우,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이 활성화되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다양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등의 경우, 그 중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메모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북마크 표식을 함께 출력하고, 메시지 작성 중 부가 정보 요청 시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첨부한 후, 전송 지시에 따라 타 단말기에 해당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is activated, the terminal 10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200 or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And can receive the selected content list from the service device 400. [ When the terminal 100 displays various contents lists, the terminal 100 outputs bookmark markers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selected contents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s list together with the bookmark markers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s list, Output the content list to the display unit 140, attach the selected content item designated by the user, and transmit the message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nstruction.

이하, 상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100)가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동작하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 설명하는 과정 중 각 단계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inal 100 operates in a standalone manner, but each of the following processes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200 or the cloud service device 400 Lt; / RTI >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선택 컨텐츠의 지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signating selected contents in 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로컬 또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S101). 상기 과정은 사용자가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를 통해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검색하는 중에,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5, the terminal 1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terminal 1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The content can be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S101). The above process can be performed by designating specific contents as selected contents while using or searching one or more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100,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이에, 상기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를 입력 받는다(S103). 여기서, 메모는,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할일 또는 기억할 내용 또는 주의할 내용 등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입력될 수 도 있고, 선택 가능한 메모 목록을 다수 개 제공하고, 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서 사용자의 메모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receives the user's memo for the selected content (S103). Here, the memo may be freely input by the user as to what the user is to do or memorize, or to be cautious with regard to the selected content, o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memo lists, And can be selected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y acquire a user's memo through the terminal 100. [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메모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메모를 상기 지정된 선택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105). 이때 상기 메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따라서 다수의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user's memo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or the cloud service apparatus 400 matches the memo with the designated selected content and stores it (S105). At this time, at least one keyword may be extracted from the memo, and a plurality of selected content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keyword.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때(S107),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9). 예를 들어, 상기 북마크 표식은, 메모의 존재 여부 또는 메모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S107), th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 in connecti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ntent (S109). For example, the bookmark mark may include at least one keyword extracted from the note presence or memo.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먼저 S2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에 공급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dl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40 as in step S201. For this, the control unit 160 may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or the like to each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terminal 100, and may control to output an idle screen according to predetermined schedule information.

한편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S203 단계에서와 같이 발생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S2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라 파일 재생을 수행하고 재생된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웹 페이지 등을 검색하는 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종류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100)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20 and the input function display unit 140, the controller 160 can check whether the input signal generated in step S203 is an input signal activation of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If the input signal is not an input signal for activating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the controller 160 may branch to step S205 and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may perform file playback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ntrol output of an audio signal of a reproduced file, or perform functions such as searching a specific web page or the like. Her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ermination of the terminal 100 when an input signal for the terminal 100 is generated.

S203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S207 단계에서 부가 정보 첨부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메시지 작성 화면에 부가 정보 첨부를 요청할 수 있는 가상 키 버튼을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부가 정보 첨부를 지원하는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input signal input in step S203 is an input signal for activating the message service function,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requesting attach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step S207. For this, the controller 160 may provide a virtual key button for requesting attach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a message creation screen supporting a message service function, or may provide a menu item supporting attach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한편 S207 단계에서 별도의 부가 정보 첨부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9 단계로 분기하여 기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입력 영역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텍스트, 이미지, 특정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을 지원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 타입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식으로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an input signal for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step S207,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S209 to support the basic message service function. That is, the controller 160 supports creation of a message including a text, an image, a specific audio signal, etc.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or the display unit 1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essage ser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상술한 S207 단계에서 부가 정보 첨부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11 단계로 분기하여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메시지 작성 화면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별도의 화면 전환을 수행하고, 새 화면에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an input signal for attach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step S207,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S211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output the selected content lis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lected content list on the message creation screen by overlay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perform a separate screen switching, and output the selected content list to the new screen.

이후 제어부(160)는 S213 단계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선택 컨텐츠 항목 지정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거나, 화면 복귀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213,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specifying a specific selected content item is generated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If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designating another selected content item or an input signal for returning to the screen is generated at this stage,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the step before step S207 and controls to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again.

S213 단계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15 단계로 분기하여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 정보를 현재 작성 중인 메시지에 첨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과 관련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작성중인 메시지에 첨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S213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선택 컨텐츠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선택된 복수개의 선택 컨텐츠 항목에 대한 부가 정보 첨부를 지원할 수 있다.If an input signal for specifying a selected content item is generated in step S213,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flow to step S215 to add the selected content item information to the message currently being created. For this, the control unit 160 may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 item and may control th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message being crea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213, when an input signal for designating a plurality of selected content items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60 may support attach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selected plurality of selected content items.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S217 단계에서 부가 정보가 첨부된 작성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S219 단계로 분기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17 단계에서 전송 취소 등의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S219 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S2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f an input signal for transmitting the created message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generated in step S217,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created message to the oth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 If an input signal such as transmission cancellation is generated in step S217, the controller 160 may branch to step S203 and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again. After step S219,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S201, You can support to redo the process.

이하에서는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reen interface provided to a terminal during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이용되는 선택 컨텐츠의 지정 및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signation and a display format of a selected content used in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선택 컨텐츠는 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아이콘, 파일명, 썸네일 파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경우,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마크 표식이 부가된다. 상기 북마크 표식은 선택 컨텐츠임을 나타내며 시인성이 높은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북마크 표식 내부에는 해당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가 함께 표시된다.7A and 7B illustrate a case where information about any one of the selected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icon, a file name, a thumbnail file, or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A bookmark mark is added as shown in Fig. The bookmark markers indicate optional contents and can be displayed in any form having high visibility, and at least a part of the memos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together in the bookmark markers.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열어본 다수의 웹 페이지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표시된 다수의 썸 네일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에 북마크 표식을 표시하고, 더불어,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가 존재함을 알리는 표시(예를 들어, M)를 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when the terminal 100 displays a list of a plurality of web pages open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thumbnail, the terminal 10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ed thumbnails (For example, M) indicating that the memo entered by the user is present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bookmark markers.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열어본 다수의 웹 페이지 목록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컨텐츠에 북마크 표식을 표시하고, 상기 북마크 표식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예를 들어, 신발)를 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7 (b), the terminal 100 displays bookmark markers on the selected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while displaying a list of a plurality of web pages opened by the user in the form of thumbnails, A keyword (for example, shoes) extracted from the memo entered by the user can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marker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이용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elected content list used in a message service-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및 통신망(300) 간의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501 화면에 도시한 화면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웹 페이지를 특정 컨텐츠로서 예시한 것이다.The terminal 100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provide various contents.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may access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providing a specific web page as in the screen 501, and may receive and output a web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 The screen shown on the screen 501 exemplifies a web page that sells a specific product as specific contents.

사용자는 501 화면을 검색하는 과정 중에 해당 웹 페이지를 선택 컨텐츠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특정 웹 페이지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기능키를 표시부(140) 일 측에 출력하거나 입력부(120)의 특정 키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검색 중인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뉴 창을 활성화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designate the web page as a selected content item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501 screen. To this end, the terminal 100 may output a separate function key to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40 or assign it to a specific key of the input unit 120 so that a specific web page can be designated as selected content. Alternatively,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menu item for specifying the content being searched as the selected content. Then, the user can perform control such as activation of the menu window to control the content to be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선택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현재 지정된 선택 컨텐츠 항목을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최상위에 배치하거나, 특정 위치에 배치하면서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등의 제어를 통하여 선택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specifying a specific content as selected content, the terminal 100 can support outputt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as shown in the screen 503.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can guide that the selected content is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by controlling the currently selected selected content item at the top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or placing the selected selected content item at a specific position while highlighting the selected content item.

503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선택 컨텐츠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의 특성이 특정 웹 페이지인 경우, 해당 선택 컨텐츠를 웹 페이지(531) 항목에 소속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5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의 웹 페이지 주소 정보(511)를 선택 컨텐츠의 제1 관련 정보(533)로서 503 화면에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정보(513)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정보(513)를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선택 컨텐츠의 제2 관련 정보(53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화면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면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에 특정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캡쳐를 수행하고,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제2 관련 정보(535)로서 등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화면에 다수개의 이미지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어떠한 이미지를 제2 관련 정보로서 등재할 것인지를 묻는 팝업창을 501 화면에서 선택 지정 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디폴트로 웹 페이지 화면 분석 중에 첫 번째로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제2 관련 정보(535)로 등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03 screen shows various selected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by category.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istic of the selected content is a specific web page, th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selected content to belong to the web page 531 and output it as shown in the 503 screen.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web page address information 511 in the 501 screen as the first related information 533 of the selected contents as shown in the screen 503. Meanwhile, the terminal 100 may extract the specific image information 513 included in the screen 501 and provide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513 to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535 of the selected content on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To this end, the terminal 100 collects information included in a web page screen, and when specific imag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web page screen, the terminal 100 automatically captures th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535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Can be controlled. Here,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included in the web page screen,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pop-up window asking which image to be registered as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when selecting and designating from the 501 screen. Alternatively, the terminal 100 may, by default, control the first collected image information during the web page screen analysis to be listed as the second related information 535.

추가로 단말기(100)는 제3 관련 정보(537)로서 5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메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501 화면에서 해당 웹 페이지 화면을 선택 컨텐츠로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모 정보 입력을 위한 메모 작성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모 작성 화면을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 화면에 해당하는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501 화면의 컨텐츠에 대하여 특정 단어를 메모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면서, 입력된 메모 정보를 제3 관련 정보(537)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memo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as the third related information 537 as shown in the screen 503. To this end, th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40 to output a memo preparation screen for inputting memo information when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web page screen as the selected content occurs on the screen 501. Then, the user can input a memo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screen by using the memo creating screen. For example, the user can input a specific word as a memo for the contents of the 501 screen. Then,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inputted memo information to the third related information 537 while construct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상술한 관련 정보들(533, 535, 537)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 어떠한 선택 컨텐츠가 어떠한 정보를 나타내는지를 직관적으로 또는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특정 선택 컨텐츠 항목의 관련 정보로서 날짜 정보나 해당 컨텐츠 이용 시간이나 시점에 관한 로그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The related information 533, 535, and 537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or clearly recognize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arches for the selected content list in the course of using the message service. In addition, the date information or the lo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use time or viewpoint may be added as related information of a specific selected content item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한편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 예를 들면, 음원이나 비디오, 사진과 같은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음원, 비디오, 사진 등의 저장부(150) 저장 위치 정보를 해당 컨텐츠들의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이나 비디오 등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컨텐츠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해당 음원이나 비디오 관련 주소 정보를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0 can select a specific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for example, a content such as a sound source, a video, and a photograph as selected contents. Then, the terminal 100 can provide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150 such as sound source, video, and photograph as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in the selected contents list. Here, a sound source, a video, or the like may be a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In this case,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corresponding sound source or video related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apparatus 200 a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web page conten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로 제공되는 선택 컨텐츠들을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가 저장된 또는 선택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소 정보 및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였거나 방문한 시점 관련 로그 정보를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에서, 첨부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가 어떠한 정보인지를 보다 손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t least one of tex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s 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understand the selected contents provided as add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ddress informatio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stored or provided, and lo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user has used or visited the content, as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message service,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intuitively understand what information is to be attach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이용 중에 부가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9 illustrates a screen interface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ttach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using 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시지 작성 화면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작성 화면은 출력 영역(610)과 입력 영역(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영역(620)은 특정 키들을 포함하는 가상 키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입력 영역(620)에 쿼티 키맵이 출력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입력 영역(620)은 3*4 키맵, 5*4 키맵 등 다양한 키맵으로 변경되거나 전환될 수 있다. 출력 영역(610)은 입력 영역(620)에 출력된 특정 키들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문자 등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a message creation screen and output a message creation screen to the display unit 140 when an input signal requesting activation of a message service function is generated . At this time, the message creation screen may include an output area 610 and an input area 620. The input area 620 may be composed of a virtual keymap including specific keys. In the figure, the QWERTY key map is output to the input area 62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area 620 may be changed or changed into various key maps such as 3 * 4 key map and 5 * 4 key map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or the designer's intention. The output area 610 is an area in which, when specific keys output to the input area 620 are selecte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keys are output.

한편 입력 영역(620)에는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지원을 위하여 첨부 버튼(621)이 할당될 수 있다. 첨부 버튼(621)이 선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부가 정보 첨부 기능 지원을 위하여 6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이 출력되거나, 605 화면에서와 같은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ttachment button 621 may be assigned to the input area 620 in order to support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ttachment button 621 is selected, a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may be output as shown in FIG. 603 or a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may be output as shown in FIG. 605 to support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tach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603 화면을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영역(630)를 601 화면에서 입력 영역(620)이 출력되었던 영역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또는 교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603 화면에 출력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 영역(630)은 선택 컨텐츠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해당 카테고리 선택을 위하여 탭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of all, the terminal 100 can display the selected content list area 630 overlaid on the area where the input area 6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601 and output or replace the selected content list area 630. The selected content list area 630 displayed on the screen 603 may classify the selected contents by each category and provide a tab for selecting the category.

한편 단말기(100)는 6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을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05 화면에 나타낸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을 시간 순서로 나열한 것으로서, 최근 선택 컨텐츠 리스트 순서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 화면(640)은 별도의 카테고리 구분 없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들 중 선택된 컨텐츠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컨텐츠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문 및 선택된 이력이 있는 특정 웹 페이지, 검색 및 선택 이력이 있는 특정 음원, 검색 및 선택 이력이 있는 비디오나 사진 또는 전자도서, 방문 및 선택 이력이 있는 마켓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0 can support to output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640 on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the screen 605.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640 shown on the screen 605 is a list of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n chronological order, an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recently selected contents list. The selected content list screen 640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ed contents among various contents based on the terminal 100 by a user without any separate category. Here, the selected contents may include a specific web page with visited and selected history, a specific sound source with search and selection history, a video or photo or electronic book with search and selection history, a market with visited and selected history, .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603 화면 및 605 화면의 선택 컨텐츠 리스트가 각각 주소 정보만을 나타낸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컨텐츠 리스트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다양한 관련 정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련 정보를 확인하면서 어떠한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지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603 화면 및 605 화면에서 특정 선택 컨텐츠가 지정되면 단말기(100)는 607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선택 컨텐츠의 관련 정보들을 특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출력 영역(610), 부가 정보 영역(650) 및 입력 영역(620)을 포함하는 화면을 607 화면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lected content list of the 603 screen and the 605 screen is shown only as the address inform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ed content list can display various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as in the 503 screen, and the user can determine which selected content to designate as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confirming th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specific contents are selected on the 603 screen and the 605 screen, the terminal 100 can support to output relat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s as shown in the screen 607 to a specific area. For this, the terminal 100 may configure a screen including the output area 610,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650, and the input area 620 as shown in FIG.

출력 영역(610)은 입력 영역(620)에서 선택된 키들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가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607 화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영역(610)은 부가 정보 영역(650)의 할당으로 인해 이전 601 화면에서 출력되던 출력 영역(610)에 비하여 보다 협소한 영역을 가지도록 리사이징될 수 있다. The output area 610 may be an area where text generated by the keys selected in the input area 620 is output. The output area 610 output from the screen 607 can be resized to have a narrower area than the output area 610 that was output on the previous screen 601 due to the alloc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650.

부가 정보 영역(650)은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서 지정된 선택 컨텐츠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 영역(650)은 선택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관련 정보 영역(651),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가 출력되는 제2 관련 정보 영역(652),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메모 정보가 출력되는 제3 관련 정보 영역(6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부가 정보 영역(650)에 표시된 정보 영역들을 확인하여 자신이 어떠한 선택 컨텐츠를 지정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650 is an area in which the selecte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is outputted. For exampl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650 includes a first related information area 651 for outputt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a second related information area 652 for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And a third related information area 653 for outputting information or memo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areas display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a 650 to check what selected content he / she has designated.

입력 영역(620)은 메시지 작성을 위한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거나, 다른 부가 정보를 추가로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입력 영역(620)을 실질적으로 601 화면에서의 입력 영역(620)과 동일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로 다른 부가 정보를 첨부하고자 할 경우, 첨부 버튼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put area 620 supports a variety of input signals to support text entry or additional attach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The input area 6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put area 620 on the screen 601. If the user wishes to attach additional additional information, the user may perform an input signal generating operation for activating the attach button.

이후 단말기(100)는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를 특정 메시지 서비스 방식 예를 들면 LMS, MMS, 인스턴트 메신저, 모바일 메신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작성된 부가 정보가 첨부된 메시지에 따라 운용될 메시지 서비스 방식의 종류를 화면 일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작성된 메시지에 따라 텍스트나 이미지 정보를 화면 일 측에 출력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terminal 100 supports to transmit a messag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to another terminal through a specific message service method such as LMS, MMS, instant messenger or mobile messenger.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scree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f another terminal, and may provide a type of a message service method to be operated according to a message attached with the currently created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one side of the screen. That is, the terminal 100 can output text or image information to one sid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reated message.

한편 단말기(100)는 503 화면, 603 화면 또는 605 화면 등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조정을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503 화면, 603 화면 또는 605 화면 등에서 선택 컨텐츠 리스트 편집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해당 메뉴 활성화 시, 선택 컨텐츠 리스트의 특정 항목들을 삭제하거나, 이미 기재된 선택 컨텐츠 항목의 관련 정보를 수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100 can support to adjust the selected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or adjusting the selected content list on the 503 screen, the 603 screen, or the 605 screen. For this, the terminal 100 provides a menu for editing a selected content list on a 503 screen, a 603 screen, or a 605 screen. When the menu is activated, the terminal 100 deletes specific items of the selected content list, Can be modif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작성 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생성한 선택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선택 컨텐츠를 부가 정보로서 손쉽게 검색하고 첨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arch and attach at least one specific selected content from the selected content list created in advance by the user as additional information Support.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 부가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의 경우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 magnetic disk such as a floppy disk, A magneto-optical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program instructions also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기능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Herein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이용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타 단말기와 공유하고자 할 경우 해당 컨텐츠들의 검색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메시지 서비스 기반으로 간단히 해당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nd a device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And can easily support the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ssage service.

100: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오디오 처리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200: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
210: 장치 통신부 250: 장치 저장부 260: 장치 제어부
300: 통신망 400: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100: terminal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audio processing unit 140: display unit 150:
160: control unit 200: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210: device communication unit 250: device storage unit 260: device control unit
300: communication network 400: cloud service device

Claims (16)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상기 선택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를 이용한 시점의 로그 정보 또는 방문한 시점의 로그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모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가 확인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A bookmark marker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memos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nput by a user when displaying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and displayed when the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is designated as the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A terminal for providing log information of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is used or log information of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is accessed,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memo by matching; And
And a content providing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Extracts a keyword from the memo, displays the extracted keywor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bookmark mark, and supports a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to be confirmed only by checking the bookmark mark.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2 is abandoned due to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메모의 저장 및 관리,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북마크 표식의 부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ud service device for performing or supporting at least one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memos for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and adding a bookmark mark to the selected content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terminal, Base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단말기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 통신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가 선택 컨텐츠로 지정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이 함께 표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를 이용한 시점의 로그 정보 또는 방문한 시점의 로그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가 확인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terminal connection;
When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is designated as a select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s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nput by the user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is displayed together A device controller for supporting log information of a time point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or log information of a time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used; And
And a de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ntent and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a memo inputted by a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The device control unit
The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memo; displaying the extracted keywor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bookmark mark, so that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is confirmed only by checking the bookmark mark, Service devic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4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메시지 서비스 운용 중에 메시지에 첨부할 부가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vice control unit
Wherein the terminal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 list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quests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message during message service operation.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5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새로 지정된 선택 컨텐츠를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상기 선택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선택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vice control unit
And controls to add the newly selected selected content to the selected content list or delete at least a part of the selected content included in the selected content list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Service device.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고,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선택 컨텐츠 지정에 따라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가 표시될 때,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부가하여 표시하며, 상기 선택 컨텐츠를 이용한 시점의 로그 정보 또는 방문한 시점의 로그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를 포함하는 선택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선택 컨텐츠와 함께 북마크 표식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가 확인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An input unit for designating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as selected content and inputting a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log information at a time point when the content is used or log information at a time when the content is visit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a selected content list including a memo inputted by a user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ntent; An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bookmark markers together with the selected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he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memo; displaying the extracted keywor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bookmark mark, so that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is confirmed only by checking the bookmark mark,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1 is abandoned due to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의 존재 여부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bookmark markup by displaying whether a note on the selected content exists in the bookmark markup.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2 is abandoned due to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의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컨텐츠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classifies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of the memo.
단말기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 컨텐츠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메모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메모를 상기 지정된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 컨텐츠를 표시할 때, 상기 메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북마크 표식을 상기 선택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부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선택 컨텐츠를 이용한 시점의 로그 정보 또는 방문한 시점의 로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북마크 표식에 포함되도록 표시하여 상기 북마크 표식의 확인만으로 선택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가 확인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The terminal designating at least one specific content as selection conten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The terminal obtaining a memo for the selected content;
The terminal matching the memo with information about the designated selected content and storing the memo; And
When the terminal displays the selected content, a bookmark mark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memos is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log information at the time of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the log information at the visited time The method comprising:
The providing step
Extracting a keyword from the memo, displaying the extracted keywor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bookmark mark, and confirming the memo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ntent only by checking the bookmark ma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66696A 2012-06-21 2012-06-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973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en) 2012-06-21 2012-06-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en) 2012-06-21 2012-06-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79A KR20130143679A (en) 2013-12-31
KR101973180B1 true KR101973180B1 (en) 2019-04-26

Family

ID=4998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96A KR101973180B1 (en) 2012-06-21 2012-06-2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498A (en) * 2014-05-29 2015-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nd applying bookmark
KR102251470B1 (en) * 2014-09-26 2021-05-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link in mobile messenger and web link providing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07B1 (en) * 2007-09-28 2014-04-1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through Association with Memo Application in Wireless Internet Browser of Mobile Station
KR20090095348A (en)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favorites site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20090122763A (en)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Bookmark managing server, and system comprising the bookmark manag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82358B1 (en) * 2008-06-04 2014-04-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Managing Bookmark Information with Integration
KR101541811B1 (en) * 2009-12-11 201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ookmark service in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79A (en)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6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CN102473304B (en) Metadata token system, image search method and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marking gesture thereof
JP6434199B2 (en) Message-based dialogue function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2005315B1 (e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ce
KR101995775B1 (en) Searching Support Method For a plurality of Item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13338B1 (en) Sharing Method of Service Pag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the same
KR101841574B1 (en) Detecting method for a certain cut of Moving Imag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20210201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741698B1 (en)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KR101844903B1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Complex Recording And Portable Device thereof
EP2752777A2 (en) Method for intelligent search service using situation recognition and terminal thereof
CN105164678A (en) Audio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20140119611A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EP2704034A1 (en) Content search method based on cloud service, and system and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3242871A (en) Function cooperating method for termina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1966708B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ckground contents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60001250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20019979A (en) Mobile twrminal and screen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731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a Message Service, Service Devic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2862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5228595A (en) Server device and program
KR201500090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function which is associated memo function
KR20130045128A (en) Method and appratus for making personalized contents
KR101466093B1 (en) Portable device for location data service,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