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16B1 -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 Google Patents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16B1
KR101972516B1 KR1020180044888A KR20180044888A KR101972516B1 KR 101972516 B1 KR101972516 B1 KR 101972516B1 KR 1020180044888 A KR1020180044888 A KR 1020180044888A KR 20180044888 A KR20180044888 A KR 20180044888A KR 101972516 B1 KR101972516 B1 KR 10197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ter
module
woofer
speaker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현
박민구
김민겸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in a high voice range while being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The two-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witter module, a woofer module separated from the twitter module and a cable connecting the twitter module and the woofer module. The twitte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of a user and the woofer module is worn to be adjacent to the rear part of the auricle of the user and diverges from each other. A voice rang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witter module through the woofer module.

Description

2 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2 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본 발명은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위터(twitter)와 우퍼(woofer)를 분리시키고 튜브로 연결하여 고음역대 음색을 대폭 개선한 이어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structure in which a high-frequency tone is greatly improved by separating a twitter and a woofer and connecting the tube.

통상, 스피커는 스마트폰, 휴대용 통신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MP3,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마이크로 스피커(이어폰)는, 일정한 크기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자기회로시스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 사이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 코일에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진동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이 진동하면,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여 전기 신호를 음파(소리)로 변환하게 된다. 자기회로시스템,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은 스피커의 드라이버를 이룬다. Generally, speakers are widely used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into acoustic signal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notebook computers, MP3, and the like. The micro speaker (earphone) includes a frame forming an internal space with a predetermined size, a magnetic circuit system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forming a void, a diaphragm mounted on the frame, an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and between the gap It includes a voice coil located. At this time, the voice coil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Therefore, when an external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the voice coil vibrates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when the voice coil vibrates, the diaphragm vibrates to convert the electric signal into sound waves (sound). The magnetic circuit system, diaphragm and voice coil make up the driver of the speaker.

홈 시어터와 같은 비교적 대형의 스피커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스피커는 방사되는 음파에 따라 고주파음을 방사시키는 트위터 유닛과 중저주파음을 방사시키는 우퍼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음향 방사 경로를 달리하여 인클로우져에 설치한 2-way형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7-0069265호는 우퍼 인클로우져의 외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트위터 인클로우져의 외벽에 타단이 고정된 위치 가변형 트위터 스피커를 개시하고 있다.Micro speakers, as well as relatively large speakers such as home theaters, include tweeter units that emit high frequency sounds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waves emitted, and woofer units that emit low and medium frequencies. It is equipped with a 2-way speak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9265 discloses a variable position tweeter speaker having one end fixed to an outer wall of a woofer enclos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an outer wall of a tweeter enclosure.

마이크로 2way형 스피커의 경우 동일한 하우징 내에 동축으로 트위터 유닛과 우퍼 유닛을 장착하고 각각 다른 주파수대의 음역을 방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피커의 부피가 커지며, 미세 부품의 설계와 장착이 어려워 난이도가 높은 공정이다.In the case of the micro 2-way speaker, it is common to mount the tweeter unit and the woofer unit coaxially in the same housing and radiate sound range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but the speaker is bulky and difficult to design and mount minute components. .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줄이고 제조와 장착이 용이하며 고음역대의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volume of a speaker, easily manufacture and install the speaker, and grea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high-frequency range.

본 발명에 따른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는 트위터 모듈(2)과, 상기 트위터 모듈(2)과 이격된 우퍼 모듈(4)과,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을 연결하는 튜브(6)로 이루어지며, The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weeter module 2, a woofer module 4 spaced apart from the tweeter module 2, and a tube 6 connecting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module 4. It consists of

트위터 모듈(2)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고, 우퍼 모듈(4)은 사용자의 귓바퀴 뒷 부분에 인접하여 착용되어 서로 분기되며,The tweeter module 2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the woofer module 4 is worn adjacent to the rear part of the user's forefinger and branches to each other.

음역대 전기 신호는 상기 우퍼 모듈(4)을 거쳐 상기 트위터 모듈(2)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weeter module 2 via the woofer module 4.

또한, 상기 우퍼 모듈(4)에는 우퍼 스피커(44)를 수용하는 우퍼 하우징(42)이 위치하고, 상기 트위터 모듈(2)에는 트위터 스피커(24)를 수용하는 트위터 하우징(22)이 위치하며, In addition, a woofer housing 42 for receiving a woofer speaker 44 is located in the woofer module 4, and a tweeter housing 22 for receiving a tweeter speaker 24 is located in the tweeter module 2.

상기 튜브(6)는 외부의 피복부(66) 사이에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가 통과하는 제1전달부(68)와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가 통과하는 제2전달부(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be 6 has a first transfer portion 68 through which the sound wave 100 of the low and mid frequency band passes between the outer cover portion 66 and a second transfer portion 69 through which the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200 pass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음역대 전기 신호 중 중저주파수 전기 신호는 상기 우퍼 스피커(44)를 통과하여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로 변환되어 제1전달부(68)를 통하여 트위터 스피커(24)로 전달되어 트위터 스피커(24)와 하우징 사이의 경로(240)를 통하여 귀의 외이도로 전달되고,In addition, the mid-low frequency electrical signal of the sound-band electric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woofer speaker 44 is converted into the sound wave 100 of the medium-low frequency band is transmitted to the tweeter speaker 24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68 is tweeter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through the path 240 between the 24 and the housing,

상기 음역 전기 신호 중 고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를 통과하지 않고 제2전달부(69)를 통하여 전송되어 트위터 스피커(24)를 통과한 후 고주파수대 음파(200b)로 전환되어,The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of the sound fiel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unit 69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oofer speaker 44, passes through the tweeter speaker 24, and then is converted into the high frequency band sound wave 200b.

상기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상기 중저주파수 음파(100)는 병렬적으로 귀의 외이도로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gh frequency band sound waves 200b and the low and medium frequency sound waves 100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in parallel.

또한, 상기 트위터 하우징(22)의 중심을 둘러싸는 외곽에는 다수의 미세한 개방 슬롯(220)이 배열되어 이어폰(1)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외부 소음이 슬롯(220)을 통하여 귀에 전달되어 외부의 위험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inute open slots 220 are arranged outside the center of the tweeter housing 22 so that external noises are transmitted to the ears through the slots 220 while using the earphones 1.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en.

또한, 상기 튜브(6)에는 복수의 경계선(610)이 형성되어 경계선(610)을 기준으로 트위터측 튜브와 우퍼측 튜브를 구부려 귀로의 삽입과 귓바퀴 뒤로의 착용을 원활히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에 있어서, 트위터 모듈(2)과, 상기 트위터 모듈(2)과 이격된 우퍼 모듈(4)과,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을 연결하는 튜브(6)로 이루어지며, 트위터 모듈(2)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고, 우퍼 모듈(4)은 사용자의 귓바퀴 뒷 부분에 인접하여 착용되어 서로 분기되며, 음역대 전기 신호는 상기 우퍼 모듈(4)을 거쳐 상기 트위터 모듈(2)로 전달되며, 상기 튜브(6)는 외부의 피복부(66) 사이에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가 통과하는 제1전달부(68)와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가 통과하는 제2전달부(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역대 전기 신호 중 중저주파수 전기 신호는 상기 우퍼 스피커(44)를 통과하여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로 변환되어 제1전달부(68)를 통하여 트위터 스피커(24)로 전달되어 트위터 스피커(24)와 트위터 하우징 사이의 경로(240)를 통하여 귀의 외이도로 전달되고, 상기 음역대 전기 신호 중 고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를 통과하지 않고 제2전달부(69)를 통하여 전송되어 트위터 스피커(24)의 드라이버를 통과한 후 고주파수대 음파(200b)로 전환되어, 상기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상기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는 병렬적으로 귀의 외이도로 동시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중저주파수대 음파(100)를 시간차 없이 듣도록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ube 6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undary lines 610 are formed to bend the tweeter-side tube and the woofer-side tube relative to the boundary line 610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ear and wearing behind the ax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2-way tube-type earphone structure, the tweeter module 2, the woofer module 4 spaced apart from the tweeter module 2, the tube connecting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module 4 (6), the tweeter module (2)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canal, the woofer module (4) is worn adjacent to the rear part of the user's forefinger and branched from each other, 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 is the woofer module (4) The tube 6 is transmitted to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tube 6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unit 68 and a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200 through which sound waves 100 of the low and mid frequency bands pass between the outer cover 66. And a second transmission unit 69 through which the low-frequency electric signal of 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woofer speaker 44 and converted into sound waves 100 of the low-frequency band of the first transmission part. (68) is passed to the tweeter speaker (24) to the tweeter speaker (24) It is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through the path between the housing 240, the high-frequency electrical signal of the sound ban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unit 69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iver of the woofer speaker 44, the tweeter speaker ( After passing through the driver of 24), the high frequency band sound wave 200b is converte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sound wave 200b and the low and mid frequency band sound wave 100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in parallel, so that the user may have a high frequency band sound wave ( 200b) and provides a two-way tube-type earpho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user's ear canal so as to hear the mid- and low-frequency band 100 without time differen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퍼와 트위터 모듈을 분리 장착하여 고음역대의 음색이 대폭 개선되며 귀로의 착용이 매우 편리한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fer and tweeter modules are separately mounted, and the tone of the high range is greatly improved, and a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is very convenient to be worn by the ear.

도 1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를 전방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어폰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의 전기신호 및 음파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의 고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을 실제 착용한 것을 귀의 전방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착용 모습을 귀의 뒷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tructure of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and sound wav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wearing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ear,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wearing state of FIG. 7 from the back of the ear.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2-way tube-type earpho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를 전방과 후방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어폰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의 분해 조립도이다. 1 is a view of the two-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rear view,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tructure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two-way tubular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2way 튜브형 이어폰(1)은 크게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과,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을 연결하는 튜브(6)로 이루어지며, 트위터 모듈(2)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고, 우퍼 모듈(4)은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착용된다.The 2-way tubular earpho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weeter module 2, a woofer module 4, a tube 6 connecting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module 4, and a tweeter module. (2)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the woofer module 4 is worn behind the user's auricle.

상기 튜브(6)의 한쪽에는 우퍼 케이스(60)가 형성되며, 우퍼 모듈(4)의 케이싱(40)과 결합되어 우퍼 하우징(42)을 이룬다. 튜브(6)의 타측에는 트위터 케이스(62)가 형성되며, 트위터 모듈(2)의 케이싱(20)과 결합되어 트위터 하우징(22)을 이룬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트위터 하우징(22)은 트위터 모듈(2)의 트위터 스피커(24)를 수용하고, 우퍼 하우징(42)은 우퍼 모듈(4)의 우퍼 스피커(44)를 수용하고 있다.A woofer case 6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ube 6, and is coupled to the casing 40 of the woofer module 4 to form a woofer housing 42. A tweeter case 6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tube 6, and is coupled to the casing 20 of the tweeter module 2 to form a tweeter housing 22. As shown in FIG. 3, the tweeter housing 22 houses the tweeter speaker 24 of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housing 42 houses the woofer speaker 44 of the woofer module 4.

상기 트위터 하우징(22)의 중심을 둘러싸는 외곽에는 다수의 미세한 개방 슬롯(220)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어폰(1)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외부 소음이 슬롯(220)을 통하여 귀에 전달되어 외부의 위험을 알 수 있도록 한다. In the outer periphery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tweeter housing 22, a plurality of fine open slots 220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external noise is transmitted to the ears through the slot 220 while using the earphone 1, thereby preventing external danger. Make sure you know.

우퍼 하우징(42)의 입구부에는 포트(440)가 외부로 연장되고, 포트(440)를 통하여 외부 전자기기와 접속된 케이블이 삽입되어 우퍼 모듈(4)로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A port 440 extends to the inlet of the woofer housing 42, and a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port 440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woofer module 4.

외부 전자기기에서 전달되는 음역대 전기 신호는 먼저 상기 우퍼 모듈(4)을 거친 후 트위터 모듈(2)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크로스오버 회로에 의하여 고주파수 전기 신호와 중저주파수 전기 신호로 나뉘어 공급되며, 중저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46)를 통과하여 진동에 의하여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 도 4 참조)로 변환되고, 고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를 통과하지 않고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 도 4 참조) 상태 그대로 튜브(6)로 전달된다.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first passed through the woofer module 4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weeter module 2. Specifically, the electric signal is divided into a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and a low and low frequency electric signal by a crossover circuit (not shown), and the low and low frequency electric signal passes through the driver 46 of the woofer speaker 44 and is vibrated by the low and low frequency band. Is converted into sound waves 100 (see FIG. 4), and the high-frequency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ube 6 as it i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iver of the woofer speaker 44 (200 (see FIG. 4)).

상기 튜브(6)는 외부의 피복부(66) 사이에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가 통과하는 제1전달부(68)와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가 통과하는 제2전달부(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전달부(68,69)는 우퍼 모듈(4)에서 트위터 모듈(2)까지 음파 및 신호가 같이 병렬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ube 6 has a first transfer portion 68 through which the sound wave 100 of the low and mid frequency band passes between the outer cover portion 66 and a second transfer portion 69 through which the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200 passes. It is made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68 and 69 are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waves and signals in parallel from the woofer module 4 to the tweeter module 2.

상기 튜브(6)의 트위터측에는 2개, 우퍼측에는 1개의 경계선(610)이 형성되는데, 경계선(610)을 기준으로 트위터측 케이블과 우퍼측 케이블을 비교적 자유롭게 구부려 귀로의 삽입과 귓바퀴 뒤로의 장착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경계선(610) 사이의 케이블 부분은 주로 귓바퀴에서 귀이도까지 이어지는 부분이므로 장착 후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된 자세가 유지된다.On the tweeter side of the tube 6, two boundary lines 610 are formed on the woofer side. The tweeter side cable and the woofer side cable are relatively freely bent relative to the boundary line 610 to allow insertion into the ear and behind the wheel. I can do it smoothly. Since the cable portion between the boundary line 610 is mainly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auricle to the ear canal, a stable posture is maintained so as not to move after mounting.

도 4는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1)의 전기신호 및 음파 전달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and sound wav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중저주파수대 음파(100)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46)를 통과하여 방사된 후 제1전달부(68)를 통하여 트위터 스피커(24)로 전달되며 드라이버(26)를 통과하지 않고 트위터 스피커(24)와 하우징 사이의 경로(240)를 통하여 귀의 외이도로 전달된다.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46)를 통과하지 않고 제2전달부(69)를 통하여 전송되어 트위터 스피커(24)의 드라이버(26)를 통과한 후 진동에 의하여 고주파수대 음파(200b)로 전환되어 귀의 외이도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중저주파수대 음파(100)가 귀의 외이도로 병렬적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The mid-low frequency band sound wave 100 is radiated through the driver 46 of the woofer speaker 44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weeter speaker 24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68 an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iver 26. It passes through the path 240 between the 24 and the housing to the ear canal. The high frequency electrical signal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unit 69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iver 46 of the woofer speaker 44, passes through the driver 26 of the tweeter speaker 24, and then vibrates by vibration. The frequency band is converted to sound waves 200b and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Through this process, the high frequency sound wave 200b and the low and mid frequency sound wave 100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in parallel to the ear canal.

도 6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1)의 고역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을 적용한 주파수-음압 그래프(80)를 트위터 스피커만을 장착한 그래프(82)와 우퍼 스피커만을 장착한 그래프(84)와 같이 도시하였다.6 is a graph showing the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sound pressure graph 80 to which the earpho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the graph 84 with only the speaker.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1)을 이용하는 경우, 2kHz 미만의 중저음역대에서는 우퍼 스피커를 장착한 경우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고, 2kHz 이상의 고음역대에서는 트위터 스피커를 장착한 경우와 유사한 성능을 보여 고음역대의 음색이 대폭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역대 전반에 걸쳐 경계 주파수를 기준으로 중저주파수에서는 우퍼, 고주파수에서는 트위터 기능을 병렬적으로 수행함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2-way tubular ear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 and low-frequency band of less than 2kHz shows a similar performance as when the woofer speaker is mounted, in the high-frequency band of 2kHz or more shows similar performance as the tweeter speaker is mounted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significant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weeter function is performed in parallel at the woofer and the high and low frequencies at the low and mid frequencies based on the boundary frequency.

도 7은 본 발명의 2way 튜브형 이어폰(1)을 실제 착용한 것을 귀의 전방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귀의 뒷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트위터 모듈(2)은 외이도로 삽입되며, 우퍼 모듈(4)은 귀의 뒷바퀴 높이의 중간 부분에서 인체의 연골과 접촉하여 설치된다. 7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wearing of the 2-way tubular ear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ear, Figure 8 is a view from the back of the ear. The tweeter module 2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the woofer module 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cartilage of the human body at the middle of the rear wheel height of the ea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6)가 경계선(610)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구부려 지므로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을 2way 타입으로 분기하여 인체에 착용하고, 착용 후 헐거워 지지 않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be 6 is bent freely on the basis of the boundary line 610,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module 4 are branched into a 2-way type and worn on the human body. You can maintain your posture.

또한, 도7,8에서는 튜브(6)가 귀 윗부분으로 꺾여 우퍼 모듈(4)에 연결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튜브(6)는 트위터 모듈(2)에서 귀 중간을 걸쳐서 형성되고 귀 중간 부근에서 절곡되어 우퍼 모듈(4)에 연결됨으로써 집게 형식으로 강성을 주어 귀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튜브(6)는 트위터 모듈(2)에서 귀 하측으로 연장되고 귀 하측에서 절곡되어 우퍼 모듈(4)에 연결될 수도 있다.7 and 8, the tube 6 is bent over the ear and connected to the woofer module 4. In another embodiment, the tube 6 is formed over the middle of the ear in the tweeter module 2 and near the middle of the ear. It is bent and connected to the woofer module 4 to give rigidity in the form of tongs and seated on the ear, or the tube 6 extends from the tweeter module 2 to the lower side of the ear and is bent from the low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woofer module 4. It may b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nd corrections will be possible.

1 : 2way 튜브형 이어폰 2 : 트위터 모듈
4 : 우퍼 모듈 6 : 튜브
22 : 트위터 하우징 24 : 트위터 스피커
26 : 트위터 드라이버 42 : 우퍼 하우징
44 : 우퍼 스피커 46 : 우퍼 드라이버
68 : 제1전달부 69 : 제2전달부
1: 2way tubular earphone 2: tweeter module
4: woofer module 6: tube
22: tweeter housing 24: tweeter speaker
26: twitter driver 42: woofer housing
44: woofer speaker 46: woofer driver
68: first delivery unit 69: second delivery unit

Claims (5)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에 있어서,
트위터 모듈(2)과, 상기 트위터 모듈(2)과 이격된 우퍼 모듈(4)과, 트위터 모듈(2)과 우퍼 모듈(4)을 연결하는 튜브(6)로 이루어지며,
트위터 모듈(2)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고, 우퍼 모듈(4)은 사용자의 귓바퀴 뒷 부분에 인접하여 착용되어 서로 분기되며,
음역대 전기 신호는 상기 우퍼 모듈(4)을 거쳐 상기 트위터 모듈(2)로 전달되며,
상기 튜브(6)는 외부의 피복부(66) 내부에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가 통과하는 제1전달부(68)와 고주파수 전기 신호(200)가 통과하는 제2전달부(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역대 전기 신호 중 중저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를 통과하여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로 변환되어 제1전달부(68)를 통하여 트위터 스피커(24)로 전달되어 트위터 스피커(24)와 트위터 하우징 사이의 경로(240)를 통하여 귀의 외이도로 전달되고,
상기 음역대 전기 신호 중 고주파수 전기 신호는 우퍼 스피커(44)의 드라이버를 통과하지 않고 제2전달부(69)를 통하여 전송되어 트위터 스피커(24)의 드라이버를 통과한 후 고주파수대 음파(200b)로 전환되어,
상기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상기 중저주파수대의 음파(100)는 병렬적으로 귀의 외이도로 동시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고주파수대 음파(200b)와 중저주파수대 음파(100)를 시간차 없이 듣도록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In the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It consists of a tweeter module (2), a woofer module (4) spaced apart from the tweeter module (2), and a tube (6) connecting the tweeter module (2) and the woofer module (4),
The tweeter module 2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the woofer module 4 is worn adjacent to the rear part of the user's forefinger and branches to each other.
The audio ban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weeter module 2 via the woofer module 4,
The tube 6 has a first transfer portion 68 through which the sound wave 100 of the low and mid frequency band passes and a second transfer portion 69 through which the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200 passes. Made, including
The mid- and low-frequency electrical signal of 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woofer speaker 44 is converted to the sound wave 100 of the mid-low frequency band and transmitted to the tweeter speaker 24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68 to the tweeter speaker 24. Is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through a path 240 between the tweeter housing and the tweeter housing,
The high frequency electric signal among the sound band electric signals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unit 69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river of the woofer speaker 44 and passes through the driver of the tweeter speaker 24 and then is converted into the high frequency sound wave 200b. Became,
The high-frequency band sound wave 200b and the mid-low frequency band sound wave 100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ear canal in parallel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high-frequency band sound wave 200b and the mid-low frequency band sound wave 100 without time difference.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 모듈(4)에는 우퍼 스피커(44)를 수용하는 우퍼 하우징(42)이 위치하고, 상기 트위터 모듈(2)에는 트위터 스피커(24)를 수용하는 트위터 하우징(22)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woofer module 4, a woofer housing 42 for receiving a woofer speaker 44 is located, and in the tweeter module 2, a tweeter housing 22 for receiving a tweeter speaker 24 is located.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 하우징(22)의 중심을 둘러싸는 외곽에는 다수의 미세한 개방 슬롯(220)이 배열되어 이어폰(1)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외부 소음이 슬롯(220)을 통하여 귀에 전달되어 외부의 위험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outer periphery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tweeter housing 22, a plurality of fine open slots 220 are arranged so that external noise is transmitted to the ears through the slots 220 even when the earphone 1 is in use. 2way tubular earpho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ble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6)에는 복수의 경계선(610)이 형성되어 경계선(610)을 기준으로 트위터측 튜브와 우퍼측 튜브를 구부려 귀로의 삽입과 귓바퀴 뒤로의 착용을 원활히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boundary lines 610 are formed in the tube 6 to bend the tweeter tube and the woofer side tube based on the boundary line 610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ear and the wearing behind the ear wheels. .
KR1020180044888A 2018-04-18 2018-04-18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KR101972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88A KR101972516B1 (en) 2018-04-18 2018-04-18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88A KR101972516B1 (en) 2018-04-18 2018-04-18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516B1 true KR101972516B1 (en) 2019-08-16

Family

ID=6780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88A KR101972516B1 (en) 2018-04-18 2018-04-18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5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937A (en) * 2004-11-11 2006-05-16 주성대학산학협력단 Ear-phone
KR20120055258A (en) *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External noise inflowing apparatus for earphone
US9860645B1 (en) * 2017-01-05 2018-01-02 Ryan C. Tsui Multi-driver air-tube ear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937A (en) * 2004-11-11 2006-05-16 주성대학산학협력단 Ear-phone
KR20120055258A (en) *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External noise inflowing apparatus for earphone
US9860645B1 (en) * 2017-01-05 2018-01-02 Ryan C. Tsui Multi-driver air-tube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8854B2 (en) Multiple receivers with a common spout
US10034076B2 (en) Earphone
US11265645B2 (en) Acoustic chambers damped with side-branch resona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7499555B1 (en)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coustic stray field cancellation
US90201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USRE48424E1 (en) Custom fit in-ear monitors utilizing a single piece driver module
US6681022B1 (en) Two-way communication earpiece
US8989425B2 (en) Earphone
CN107517420B (en) Earphone device
US11240591B2 (en) Internal control leak integrated in a driver frame
US9762991B2 (en) Passive noise-cancellation of an in-ear headset module
CN114902693A (en) Sound output device
US7110563B2 (en) Headphone
CN111801950A (en) Wireless earphone
CN112995825A (en) Sound output device
CN113242485A (en) In-ear earphone
KR101634236B1 (en) Acoustic Hybrid Earphone With Acoustic Filter
JP2023538849A (en) Earpiece port configuration
KR102004360B1 (en) Earphone and vibration modules combined 2way tube type acoustic device
KR101972516B1 (en) 2way tube type earphone structure
JP2019121896A (en) Neck type speaker device
CN210639374U (en) Intelligent head-mounted equipment
CN215601470U (en) Earphone set
CN215678914U (en) Intelligent glasses
JP2019121897A (en) Neck type speak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