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696B1 -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696B1
KR101970696B1 KR1020170109915A KR20170109915A KR101970696B1 KR 101970696 B1 KR101970696 B1 KR 101970696B1 KR 1020170109915 A KR1020170109915 A KR 1020170109915A KR 20170109915 A KR20170109915 A KR 20170109915A KR 101970696 B1 KR101970696 B1 KR 10197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eable membrane
housing
scalp
electrolyte solution
e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3728A (en
Inventor
이성환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69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6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containing electrolytes, conductive gels or pas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61B2562/0215Silver or silver chloride con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61B2562/0217Electrolyte con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4Coupling media or elements to improve sensor contact with skin or tissu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은 뇌파 측정 전극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소정의 공간에 충진된 전해질 용액;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되어, 삼투현상으로 상기 전해질 용액이 투과되는 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막은 물 분자만 투과될 수 있는 반투과성막 또는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가 투과되는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전투과성막이고, 상기 투과막이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할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두피 또는 피부로 삼투현상이 유도되어, 상기 투과막과 두피 또는 피부 사이에 전해질 층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 electrod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ical conducto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and measuring an ionic current,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permeable membran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skin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solution permeates, wherein the permeable membrane permeates only water molecules Permeable membrane or electrolytic ion is permeated, and when the permeabl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skin, osmotic phenomenon is induc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scalp or skin , An electrolyt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ermeable membrane and the scalp or skin.

Description

뇌파 측정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뇌파 측정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EG electrode and an apparatus including the EEG electrode.

뇌파는 두뇌 활동 시 뇌 피질에서 발생되는 이온전류를 전기전도체를 통해 전기전류로 변환하여 측정되는 전기적신호이다. 뇌 속 뉴런들의 점화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전류는 대략 1~2mV의 크기이며 전기 포텐셜의 원리에 의해 두뇌 피질에서 두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온전류가 두피방향으로 이동할 때 두피 내부의 저항에 의해 1/10의 크기인 100μV로 작아진다. 두피에 도달한 이온전류는 두피 각질층의 두께, 두피 기름, 머리카락, 공기 등의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Electroencephalogram (EEG) is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measured by converting ion currents generated in the brain cortex into electric current through electrical conductors during brain activity. The ion current generated by the ignition of neurons in the brain is about 1 to 2mV in size, and moves to the scalp from the cerebral cortex by the principle of electrical potential. When the ion curren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calp, it is reduced to 100 μV which is one tenth of the size by the resistance inside the scalp. The ionic currents reaching the scalp are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scalp oil, hair, and air.

일반적으로 뇌파를 측정 할 때 습식 전극, 건식, 및 반건식 전극으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습식 전극은 두피 겉면에 흐르는 뇌 신호 관련 이온전류를 전해질 겔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전해질 겔의 핵심 역할은 두피와 전극사이에 전해질 이온의 길을 형성하여 전극 방향으로 이온전류의 이동을 돕는다. 또한 전해질 겔은 두피와 전극 사이의 공극을 메꾸며 두피 각질층 내부에 침투하여 두피기름이나 머리카락의 영향을 최소화시켜 임피던스를 낮춘다. 따라서 습식 전극은 전해질 겔의 사용으로 낮은 임피던스(5~15kΩ)의 뇌파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두피와 전극 사이에 전해질 겔을 삽입하는 데에 30분~1시간 정도의 셋업과정이 필요하고 끈적끈적한 전해질 겔로 인해 두피와 머리카락이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게다가 2시간 정도 뒤에 전해질 겔이 마르면 뇌파 측정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In general, brain waves can be divided into wet electrode, dry electrode, and semi-dry electrode. The wet electrode measures the ion current related to the brain signal flowing on the scalp surface using an electrolyte gel. The core role of the electrolyte gel is to form the path of the electrolyte ion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 to assist in the movement of the ion current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In addition, the electrolyte gel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tratum corneum and permeates the gap between the scalp and electrod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scalp oil or hair, thus lowering the impedance. Therefore, the wet electrode is capable of EEG measurement with a low impedance (5 to 15 k?) By using an electrolyte gel. However, it takes about 30 minutes to 1 hour to set up the electrolyte gel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 and the scalp and hair are severely contaminated by the sticky electrolyte gel. In addition, when the electrolyte gel is dried about 2 hours later, EEG measurement efficiency drops.

건식 전극은 전해질 겔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전도성의 전기전도체 물질로 전극을 제작하여 뇌파를 측정한다. 대표적으로 유연성 있는 폴리머소재의 전도성 고무 물질이 사용된다. 건식 전극의 장점은 전해질 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장시간의 셋업과정이 필요 없고 사용 전후 두피를 오염 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건식 전극은 피부 각질층, 두피와 전극 사이의 공극, 두피기름, 머리카락의 요인들로 발생되는 높은 접촉 임피던스(80kΩ)의 문제가 존재하기에 뇌파 측정에 신뢰도가 낮다. 이 접촉 임피던스를 줄이기 위해 전극을 두피에 최대한 밀착시키기 위해 전극 캡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두피에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움직임이 발생 시 두피와 전극 사이의 흔들림으로 인해 전극-두피 고정이 어긋나기 쉽고 측정하는 뇌파가 노이즈에 오염되기 쉽다.The dry electrode is made of a highly conductive electrical conductor material without the use of an electrolyte gel to measure the EEG. Typically, a conductive polymeric material of flexible polymer is used. Advantages of dry electrodes are that they do not use electrolytic gel, so they do not require a long setup time and do not contaminate the scalp before and after use. However, dry electrode has low reliability in electroencephalography because of high contact impedance (80kΩ) caused by factors such as skin stratum corneum, air gap between scalp and electrodes, scalp oil and hair. To reduce the contact impedance, a method of applying pressure using an electrode cap to make the electrod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calp is used, but it may cause pain to the scalp. In addition, when movement occurs, the electrode-scalp fixation tends to be shifted due to shaking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s, and the measured EEG is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noise.

반건식 전극은 위에 언급된 습식 전극과 건식 전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전극이다. 반건식 전극의 원리는 전극 내부에 전해질 용액을 미리 저장하고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면 전극 내부에 저장된 전해질 용액이 두피와 전극 사이에 삽입하여 뇌파를 측정한다. 두피와 전극 사이에 삽입된 전해질 용액은 접촉 임피던스를 낮추고 전극과 두피 사이에 전해질 이온의 길을 만들며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에 뇌파가 덜 영향을 받도록 도와준다. 기존 습식 전극에서 사용하는 전해질 겔과 비교하면 전해질 용액은 사용전후 두피의 오염도가 매우 낮으며 높은 전도성으로 뇌파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 반건식 전극 연구들은 전해질 용액을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 여러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Semi-dry electrodes are electrod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wet electrodes and dry electrodes mentioned above. The principle of semi-conductive electrode is to store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inside of the electrode and attach the electrode to the scalp. The electrolyte solution stored inside the electrode is inserted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 to measure the EEG. The electrolyte solution inserted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s lowers the contact impedance and makes the path of the electrolyte 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calp, and helps the brain to be less influenced by motion noise. Compared with the electrolyte gel used in the conventional wet electrode, the electrolytic solution has a very low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calp before and after use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EEG with high conductivity. However, existing semi-dry electrode studies have several limitations on how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solution.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51699호 (발명의 명칭: 건식전극을 이용한 뇌파측정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1699 (entitled " Electroencephalographic Apparatus Using Dry Electrodes)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피와 전극 사이에 외부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이며 자연스럽게 전해질 용액을 제공할 수 있는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which can continuously and stably provide an electrolyte solution without using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소정의 공간에 충진된 전해질 용액;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되어, 삼투현상으로 상기 전해질 용액이 투과되는 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막은 물 분자만 투과될 수 있는 반투과성막 또는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가 투과되는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전투과성막이고, 상기 투과막이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할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두피 또는 피부로 삼투현상이 유도되어, 상기 투과막과 두피 또는 피부 사이에 전해질 층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EG electrod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ical conducto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and measuring an ionic current,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permeable membran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skin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solution permeates, wherein the permeable membrane permeates only water molecules Permeable membrane or electrolytic ion is permeated, and when the permeabl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skin, osmotic phenomenon is induc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scalp or skin , An electrolyt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ermeable membrane and the scalp or skin.

또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는 복수의 뇌파 측정 전극; 및 상기 뇌파 측정 전극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피검자의 뇌파신호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in wav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EEG electrodes; And a processor unit for acqui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EG electrode and acquiring an EEG sig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stored algorithm.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삼투압을 이용하여 두피와 전극 사이에 지속적으로 전해질 용액을 제공하여, 뇌파를 측정하는데 셋업 시간이 거의 필요하지 않고, 사용 전후 두피의 오염도가 낮아 사용 편의성이 높으며, 장시간 높은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smotic pressure is continuously used to provide an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the scalp and the electrodes, a set-up time is hardly required for measuring brain waves,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calp before and after use is low, , It is possible to maintain high conductivity for a long time.

또한, 두피에 실제 닿는 전극 면적을 조정할 수 있어, 접촉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고, 움직임에 의한 흔들림에도 안정적인 뇌파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lectrode area actually touching the scalp, thereby lowering the contact impedan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stable EEG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even when it is shaken by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성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성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막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의 삼투현상의 확산 속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EG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mipermeabl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paren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EG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transparen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lgorithm for adjusting the diffusion rate of the osmotic phenomenon of the EEG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 about ",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 or " step "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 step for.

본원은 뇌파 측정 전극(10)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EG electrode 10 and a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1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성막(11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투과성막(11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막(11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의 삼투현상의 확산 속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EG electrod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mipermeable membran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EG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meable membran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lgorithm for adjusting the diffusion rate of the osmotic phenomenon of the EEG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1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EG electrod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뇌파 측정 전극(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의 공간에 전해질 용액(11)이 충진된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체(200)를 포함한다.The EEG electrode 10 has a housing 100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11 and an electric conductor 200).

또한, 하우징(100)은 두피에 접촉되어, 삼투현상으로 전해질 용액(11)이 투과되는 투과막(11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includes a permeable membrane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11 permeates due to osmotic phenomena.

삼투현상의 원리는 저농도의 용매가 고농도의 용액 방향으로 막을 통해 자발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두 용액 사이에 스스로 농도의 평형을 이루는 자연법칙이다. 이러한 삼투현상을 뇌파 측정 전극(10)에 활용하면 외부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100) 내부에 저장된 전해질 용액(11)을 두피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inciple of osmosis phenomenon is that a low concentration solvent spontaneously moves through a membrane in the dire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and it is a natural law to balance the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solutions by themselves. When the osmotic phenomenon is applied to the EEG electrode 10, the electrolyte solution 11 stored in the housing 100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scalp direction without using external energy.

투과막(110)은 셀룰로오즈계막, 비셀룰로즈계막, 비초산셀룰로즈막 등으로 유연성이 있어, 굴곡면의 두피에 밀착이 가능한 형태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The permeable membrane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cellulosic membrane, a noncellulosic membrane, a nonacetic acid cellulose membrane, or the like, which is flexible and can be adhered to the scalp of the curved surface.

또한, 투과막(110)은 약 100um이내의 두께를 가져, 최소한의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면서 충분히 얇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전해질 용액(11)은 나트륨, 염소 등의 전해질 이온을 포함하고, 농도가 0% 초과 0.9%미만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두피 내부의 염분 농도는 6%이고, 뇌파 측정 전극(10) 내부의 전해질 용액(11)의 농도를 0%초과 0.9%미만으로 맞추었을 때,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두피 또는 피부로 삼투현상이 유도되어, 투과막(110)과 두피 또는 피부 사이에 전해질 층이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transmissive film 110 has a thickness of about 100 micrometers or less, and can be made to have a sufficiently thin thickness with a minimum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11 contains electrolyte ions such as sodium and chlorine, and the concentration may be more than 0% and less than 0.9%. In other word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n the EEG electrode 10 is set to more than 0% and less than 0.9%, the salinity concentration in the scalp is generally 6% Or an osmotic phenomenon may be induced in the skin, and an electrolyt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permeable membrane 110 and the scalp or skin.

또한, 투과막(110)은 물 분자만 투과될 수 있는 반투과성막(111) 또는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가 투과되는 복수의 미세홀(112a)이 형성된 전투과성막(112)일 수 있다.The transmissive film 110 may be a transmissive film 111 through which only water molecules can permeate or a transmissive film 112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holes 112a through which water molecules bonded with electrolyte ions are formed are formed.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투과막(110)이 물 분자만 투과될 수 있고,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는 투과될 수 없는 반투과성막(111)으로 형성될 경우, 두피의 각질층, 땀샘, 및 모낭 속에 존재하는 염분이온에 의해 전해질 용액(11)의 물 분자가 삼투현상으로 인해 투과막(110)을 투과하게 되고, 이때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분자는 투과되지 않는다. 투과된 물분자는 두피의 각질층, 땀샘 및 모낭 속으로 침투하고, 염분 이온과 결합되며, 물 분자와 결합된 염분 이온은 반투과성막(111)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투과성막(111)의 표면에 붙어,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 사이에 전해질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뇌 신호 관련 이온전류는 전해질 층을 통해 뇌파 측정 전극(10)쪽으로 이동하고, 전기 전도체(200)는 이온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2, when the permeable membrane 110 is permeable to only water molecules and water molecules combined with electrolyte ions are formed of a permeable membrane 111 that can not permeate, the stratum corneum of the scalp, And water ions in the electrolyte solution 11 permeate through the permeable membrane 110 due to the osmotic phenomenon due to the saline ions present in the hair follicle. At this time, the water molecules bound to the electrolyte ion are not transmitted. The permeated water molecules penetrate into the stratum corneum, the sweat glands and the hair follicles of the scalp and bind to the saline ions, and the saline ions combined with the water molecules can not pass through the semipermeable membrane 111 and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semipermeable membrane 111 , And an electrolyte layer can be formed betwee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At this time, the ion current related to the brain signal moves to the EEG electrode 1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ic conductor 200 can measure the ion current.

도 3을 참조하면, 투과막(110)이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가 투과되는 복수의 미세홀(112a)이 형성된 전투과성막(112)일 경우,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는 투과막(110)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홀(112a)을 통해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 사이로 이동하여 전해질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뇌 신호 관련 이온전류는 전해질 층을 통해 뇌파 측정 전극(10)쪽으로 이동하고, 전기 전도체(200)는 이온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3, when the permeable membrane 110 is a membrane and a membrane 112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holes 112a through which water molecules combined with electrolyte ions are formed is formed, water molecules combined with electrolytic ions pass through the permeable membrane 110, The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electrode 10 may be 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ne holes 112a formed i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to form an electrolyte layer. At this time, the ion current related to the brain signal moves to the EEG electrode 1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electric conductor 200 can measure the ion current.

또한, 뇌파 측정 전극(10)은 최적의 삼투현상 속도를 가지는 투과막(110)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EG electrode 10 can efficiently measure EEG using the permeable membrane 110 having an optimal osmotic development rat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하우징(100)은 투과막(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링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수신부(120) 및 외부 수신부(12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receiving portion 120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lid 130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receiving portion 120,

외부 수신부(120)는 뇌파 측정 전극(10)의 기본 형태를 유지시켜주며, 모발 겉면에 흐르는 미세한 뇌 신호 관련 이온 전류를 뇌파 측정 전극(10) 내부로 이동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수신부(120)는 전도성 폴리머 소재나 전도성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receiving unit 120 can maintain the basic shape of the EEG electrode 10 and move the ion current related to the minute brain signal flowing into the surface of the hair into the EEG electrode 10. Therefore, the external receiving unit 120 preferably uses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or a conductive metal material.

또한, 투과막(110)은 외부 수신부(120)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상이 가해지거나 미세홀(112a)이 막힐 경우, 새로운 투과막(110)으로 교체할 수 있다.The permeable membrane 110 is replaceably installed in the external receiving unit 120 and can be replaced with a new permeable membrane 110 when the membrane is damaged or the microhole 112a is clogged.

덮개부(130)는 부도체 물질로 구성되며, 전기 전도체(200)를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e lid part 13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can fix the position of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또한, 덮개부(130)에는 전해질 용액(11)을 보충할 수 있는 주입구(131)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은 주입구(131)를 막는 마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해질 용액(11)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주입구(131)를 개방하여, 전해질 용액(11)을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뇌파 측정 전극(1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p 130 may further include an injection port 131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11 can be replenished and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cap 140 blocking the injection port 131. [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11 needs to be replenished, the injection port 131 can be opened to supply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ereby, the EEG electrode 10 can be used semi-permanently.

하우징(100)은 너비 1.5cm이하, 높이 2.5cm이하로 제작되어, 200~600uL의 전해질 용액(11)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뇌파 측정 전극(10)은 10~20uL/h의 속도로 삼투현상이 진행되어, 최소 20시간 ~ 최대 60시간동안 삼투현상이 진행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s manufactured to have a width of 1.5 cm or less and a height of 2.5 cm or less so that 200 to 600 uL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can be stored therein. In addition, the electroencephalogram phenomenon progresses at a rate of 10 to 20 uL / h in the EEG electrode 10, and the osmotic phenomenon can proceed for a minimum of 20 hours to a maximum of 60 hours.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도체(2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conduc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기 전도체(200)는 단부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두피 또는 모발에 흐르는 뇌 신호 관련 이온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전도체(200)는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며, Ag, AgCl, Cu, Au, T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도성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The electrical conductor 200 has an end located within the housing 100 and is capable of measuring ion currents associated with brain signals flowing through the scalp or hair. For this purpose,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using at least one of Ag, AgCl, Cu, Au, and T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전기 전도체(200)의 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사각형의 모양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오목 사각형의 형태는 표면적이 다른 형태에 비하여 넓기 때문에 전해질 이온이 표면에 붙기 유리하여, 효율적으로 이온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오목사각형이란 사각형의 꼭짓점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he end portion of the electric conductor 200 can be designed in the shape of a concave square as shown in Fig. Since the shape of the concave quadrangle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types of surface, electrolyte ions are bonded to the surface, and the ion current can be efficiently measured. The above-mentioned concave square may mean a square shape in which a vertex of a rectangle is recessed inwar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전기 전도체(200)는 너비를 하우징(100) 너비의 절반 이하로 만들어 전해질 용액(11)의 내부에서 입자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may have a width less than a half of the width of the housing 100, so that movement of the particles inside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s not disturbed.

아울러, 전기 전도체(200)의 단부는 하우징(100) 높이의 1/2~1/3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100) 내의 전해질 용액(11)이 삼투 현상에 의해 줄어드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기 전도체(200)의 단부가 1/2 이상의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전해질 용액(11)이 점차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전기 전도체(200)의 단부가 전해질 용액(11)에 잠기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며, 1/3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경우, 투과막(110)에 붙게 되어 투과막(110)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end of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is located between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housing 100 and is not affected by the reduc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n the housing 100 by the osmosis phenomenon desirable. In other words, when the end portion of the electric conductor 200 is located at a position of 1/2 or more, as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s gradually moved to the outside, the end portion of the electric conductor 200 is not immer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f the height is less than 1/3 of the height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the permeable membrane 110 may be damaged and damage the permeable membrane 11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1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EG electrod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10)은 하우징(100)이 단면이 타원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00)은 럭비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EEG electrod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n ellipse in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100. Illustratively,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ugby ball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ear of a user.

하우징(100)은 타원의 장축의 일측에 위치하는 덮개부(130), 및 타원의 장축의 타측에 위치하는, 전도성 폴리머 또는 전도성 고체 물질인 외부 수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lid 130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jor axis of the ellipse and an external receiving unit 120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jor axis of the ellipse and being a conductive polymer or a conductive solid material.

또한, 투과막(110)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가 덮개부(130)의 둘레부에 고정되고, 타측 모서리가 외부 수신부(120)의 둘레부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ve film 110 may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one side edge may b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lid part 130, and the other side edge may b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external receiving part 120.

뇌파 측정 전극(10)은 전기 전도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EG electrode 10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nversion unit 150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electrical conductor into a digital signal.

뇌파 측정 전극(10)은 전기 전도체(200), 신호 변환부(150), 및 외부 수신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달부(210)는 전기 전도체(200) 및 외부 수신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신호 변환부(150)로 전송할뿐 만 아니라, 전기 전도체(200) 및 외부 수신부(120)를 지지하여 하우징(1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EEG electrode 10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10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the signal conversion unit 150, and the external reception unit 120 to each other.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10 not only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and the external reception unit 120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150 but also supports the electrical conductor 200 and the external reception unit 120, 100).

이와 같이 형성된 뇌파 측정 전극(10)이 귀 내부의 외이도에 삽입되면, 투과막(1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귀의 외이도 벽체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귀의 외이도와 투과막(110)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질 층을 통해 뇌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thus formed EEG electrode 10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ear, a part or the whole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wall of the ear, and the ear canal is formed between the ear canal of the ear and the permeable membrane 110 EE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막(11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various embodiments of the transparent film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투과막(11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이 울툴불퉁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과막(110)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피나 피부의 부착 위치에 따라 모발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투과막(110)의 형태를 선택하여 뇌파 측정 전극(10)을 부착하여, 삼투현상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transmissive film 110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outer surface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ose outer surface is wrinkled, as shown in Fig. 5 (b) . Further, the transmissive film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s shown in Fig. 5 (c). In other words, since the amount of hair varie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calp or the skin, the shape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may be selected to attach the EEG electrode 10 to control the rate of the osmotic phenomen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는 복수의 전극(10), 뇌파 측정 전극(1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피검자의 뇌파신호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E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unit f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electrodes 10 and an EEG electrode 10 and acquiring an EEG sig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stored algorith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전극(10)의 삼투현상의 확산 속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lgorithm for adjusting the diffusion rate of the osmotic phenomenon of the EEG electrod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피 각질층의 두께 및 두피나 피부의 모발의 양에 따라 투과막(110) 및 전해질 용액(11)의 농도를 선택하여, 최적의 삼투현상 속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합니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the concentration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11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rny layer of the scalp of the user and the amount of hair on the scalp or skin, I will.

먼저, 아래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삼투현상의 발생시간은 투과막(110)과 두피 각질층의 두께에 반비례하고, 온도와 분자의 확산 속도와 농도차이,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의 닿는 표면적의 크기, 투과막(110) 내의 구멍의 크기, 구멍의 수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 사이에 삼투현상을 짧은 시간에 유도하려면 위의 비례하는 요인들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First, the occurrence time of the osmotic phenomen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transmembrane membrane 110 and the horny layer of the scal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diffusion speed and concentration of the molecules, The size of the contact area, the size of the hole in the permeable membrane 110, and the number of hol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duce the osmosis phenomenon in a short time betwee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i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portional factors.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1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1

또한, 아래 [수학식 2]을 살펴보면, 단위시간당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 사이에 삽입되는 전해질 용액(11)의 양, 즉 삼투현상의 확산 속도는 온도와 농도차이,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의 실제 닿는 면적, 투과막(110) 내의 구멍의 크기, 투과막(110)의 구멍의 수량에 비례하고, 투과막(110)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 사이에 알맞은 양의 전해질 용액(11)을 삽입하기 위해서 위의 비례하는 요인들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nserted betwee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per unit time, that is, the diffusion rate of the osmotic phenomenon,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transmissive film 110, in proportion to the actual contact area of the transmissive film 10, the size of the hole in the transmissive film 110, and the number of holes in the transmissive film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portional factors to insert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betwee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2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2

다시 말해, 전해질 용액의 삼투현상 속도는, 도 6을 참조하면, 삼투현상 속도 관련 요인인 투과막(110)의 두께와 형태 및 전해질 용액(11)의 농도를 조절하여, 변경될 수 있다.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6, the osmotic development rat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11, which are factors related to the osmotic development rate.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두피 각질층의 두께 및 두피나 피부의 모발의 양에 맞는 투과막(110)의 형태 및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과막(110)의 두께는 100μm이하로 90μm, 80μm, 70μm 등일 수 있으며, 두피 각질층의 두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피나 피부의 모발의 양에 따라 투과막(110)이 접촉되는 면적이 상이하기 때문에, 형태가 다른 투과막(110)을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삼투압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In detail,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horny layer of scalp and the amount of hair on the scalp or skin. Illustratively, the thickness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may be less than 100 μm, such as 90 μm, 80 μm, 70 μm, etc., and may be selected and us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horny layer.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hair on the scalp or skin, the osmotic pressure rate desired by the user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permeable membrane 110 having a different form.

또한, 사용자는 전해질 용액(11)의 농도를 0% 초과에서 0.9% 미만 사이로 선택하여, 삼투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0.1%, 0.2%, 0.3%, 0.4%, 0.5%, 0.6%, 0.7%, 0.8%의 농도의 전해질 용액(11)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농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can selec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11 between 0% and less than 0.9% to adjust the osmotic pressure rate. Illustratively, the electrolyte solution 11 having a concentration of 0.1%, 0.2%, 0.3%, 0.4%, 0.5%, 0.6%, 0.7% and 0.8% .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는 뇌파 측정 전극(10)이 부착되는 피부 또는 두피의 모발의 양, 두피 각질측의 두께에 따라 전해질 용액(11)의 농도, 투과막(110)의 형태, 투과막(110)의 두께를 선택하여, 최적의 삼투현상 속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6, the user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11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skin or scalp hair to which the EEG electrode 10 is attached, the thickness of the horny side of the scalp, the permeability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And the thickness of the permeable membrane 110 can be selected to have the optimum osmotic development rate.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3
Figure 112017083982394-pat00003

상기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삼투 현상의 진행시간은 하우징(100)의 전해질 저장소 용량에 비례하고, 두피와 뇌파 측정 전극(10)사이에 삽입되는 전해질 용액(11)의 양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반건식 전극(10)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전해질 저장 용량을 늘리고 삼투현상을 늦추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3), the progress time of the osmotic phenomenon is proportional to the electrolyte storage capacity of the housing 100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11 inserted between the scalp and the EEG electrode 10 .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semi-edible electrode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by increasing the electrolyte storage capacity and slowing the osmosis phenomenon.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뇌파 측정 전극 11 : 전해질 용액
100 : 하우징
110 : 투과막 120 : 외부 수신부
130 : 덮개부 131 : 주입구
140 : 마개
150 : 신호 변환부
200 : 전기 전도체
210 : 신호 전달부
10: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electrode 11: Electrolyte solution
100: Housing
110: Transmission film 120: External receiving section
130: lid part 131: inlet
140: Plug
150: Signal conversion section
200: electric conductor
210:

Claims (18)

뇌파 측정 전극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소정의 공간에 충진된 전해질 용액;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되어, 삼투현상으로 상기 전해질 용액이 투과되는 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막은
물 분자가 투과되는 반투과성막 또는 전해질 이온과 결합한 물 분자가 투과되는 복수의 미세홀이 형성된 전투과성막이고,
상기 투과막이 두피 또는 피부에 접촉할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두피 또는 피부로 삼투현상이 유도되어, 상기 투과막과 두피 또는 피부 사이에 전해질 층이 형성되는 뇌파 측정 전극.
In the EEG electrode,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ic conducto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easuring an ion current,
The housing
A permeable membran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calp or skin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is permeated by osmotic phenomenon,
The permeable membrane
Permeable film through which water molecules are permeated, or a plurality of fine holes through which water molecules bonded with electrolyte ions are permeated,
Wherein an osmotic phenomenon is induc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the scalp or skin when the permeable membrane contacts the scalp or skin, and an electrolyt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ermeable membrane and the scalp or sk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의 형태와 두께 및 상기 전해질 용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전해질 용액의 삼투압 속도가 변경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smotic pressure rat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permeable membran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의 농도는 0% 초과 0.9%미만인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more than 0% and less than 0.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과막의 상부에 위치하고, 링형상으로 형성고, 전도성 폴리머 또는 전도성 고체 물질인 외부 수신부; 및
상기 외부 수신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n external receiving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ermeable membrane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being a conductive polymer or a conductive solid material; And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rnal receiv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해질 용액을 보충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것인 뇌파 측정 전극.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ver
And an injection port capable of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solution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부도체 물질로 형성된 것인 뇌파 측정 전극.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id part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제작되며,
타원의 장축의 일측에 위치하는 덮개부; 및
타원의 장축의 타측에 위치하고, 전도성 폴리머 또는 전도성 고체 물질인 외부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막은
단면이 상기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가 상기 덮개부의 둘레부에 고정되고, 타측 모서리가 상기 외부 수신부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 lid pa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jor axis of the ellipse; And
And an external receiving portion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jor axis of the ellipse and is a conductive polymer or a conductive solid material,
The permeable membrane
Wherein one end edge is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portion and the other edge is fixed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external receiv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 신호 변환부, 및 외부 수신부를 서로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conductor,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external reception uni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은
외부면에 울툴불퉁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eable membrane
Wherein the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uberanc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은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핀부를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eable membrane
And a plurality of pin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은 셀룰로오즈계막, 비셀룰로즈계막 및 비초산셀룰로즈막 중 하나인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meable membrane is one of a cellulosic film, a noncellulosic film, and a nonacetic cellulos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막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meable membrane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는 전도성이 높은 Ag, AgCl, Cu, Au, T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conductor includes at least one of Ag, AgCl, Cu, Au, and Ti having high conducti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는 단부가 오목 사각형 모양인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conductor has an end concave lik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의 1/2 내지 1/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electric conductor is located between 1/2 and 1/3 of the height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200ul~600ul의 전해질 용액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Wherein an electrolyte solution of 200ul to 600ul can be stor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뇌파 측정 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electrical conductor into a digital signal.
뇌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뇌파 측정 전극; 및
상기 뇌파 측정 전극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피검자의 뇌파신호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뇌파 측정 장치.
In an EEG instrument,
A plurality of EEG electrod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And
And a processor unit f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EG electrodes and acquiring EEG signal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stored algorithm.
KR1020170109915A 2017-08-30 2017-08-30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70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15A KR101970696B1 (en) 2017-08-30 2017-08-30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15A KR101970696B1 (en) 2017-08-30 2017-08-30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28A KR20190023728A (en) 2019-03-08
KR101970696B1 true KR101970696B1 (en) 2019-04-19

Family

ID=6580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915A KR101970696B1 (en) 2017-08-30 2017-08-30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651A (en) * 2021-12-09 2022-04-1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Flexible contact with gradient porosity, gel semi-dry electrode containing flexible contact and electroencephalogram cap containing flexible contact
CN115844413B (en) * 2022-11-21 2023-09-22 天津大学 Novel comb-shaped electroencephalogram acquisition dry electrod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3596A (en) 1998-01-28 2002-05-14 アルザ・コーポレーション Electric transfer electrode assembly with low initial resistance
US20040073104A1 (en) 2001-02-23 2004-04-15 Riccardo Brun Del Re Enhanced pickup-electrode
JP2009522011A (en) 2005-12-30 2009-06-11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Iontophoresi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substance to a biological interface
JP2012161419A (en) 2011-02-04 2012-08-30 Shiseido Co Ltd Instrument for electroencephalography, sensor and method of electroencephalography
JP2014057642A (en) 2012-09-14 2014-04-03 Sony Corp Biosignal measurement electrode and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JP2016000363A (en) 2015-10-05 2016-01-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Body surface-mounted electrod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8991B2 (en) * 2005-06-29 2012-10-24 コンプメディクス リミテッド Sensor assembly with a conductive bridge
KR101308540B1 (en) * 2012-02-14 2013-09-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EEG and bioelectr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capacitive electrode comprising polymer foam and system using thereof
KR20170051699A (en) 2015-10-30 2017-05-1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Apparatus for EEG Detector using Dry Electrod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3596A (en) 1998-01-28 2002-05-14 アルザ・コーポレーション Electric transfer electrode assembly with low initial resistance
US20040073104A1 (en) 2001-02-23 2004-04-15 Riccardo Brun Del Re Enhanced pickup-electrode
JP2009522011A (en) 2005-12-30 2009-06-11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Iontophoresi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substance to a biological interface
JP2012161419A (en) 2011-02-04 2012-08-30 Shiseido Co Ltd Instrument for electroencephalography, sensor and method of electroencephalography
JP2014057642A (en) 2012-09-14 2014-04-03 Sony Corp Biosignal measurement electrode and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JP2016000363A (en) 2015-10-05 2016-01-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Body surface-mounted electrode,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28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ppel et al. Dry-contact electrode ear-EEG
US10238869B2 (en) Electrode system for electrical stimulation
US10898094B1 (en) Dry physiological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ss et al. Micromachined electrodes for biopotential measurements
KR101280096B1 (en) Sensor Assembly with Conductive Bridge
JP4984102B2 (en) electrode
KR101970696B1 (en)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999915B2 (en) Biological electrodes used for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and biological treatment, and electrode pads used therefor
KR102123065B1 (en) Membrane based semi-dry electrode for recording electroencephalogram
EP3033994A1 (en) Electrode for biopotential sensing
US20210313529A1 (en) Internal-ion gated electrochemical transistors
US20220240827A1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measuring electric voltages
US3420223A (en) Electrode for biological recording
Griss et al. Spiked biopotential electrodes
Jakab et al. EEG sensor system development consisting of solid polyvinyl alcohol–glycerol–NaCl contact gel and 3D-printed, silver-coated polylactic acid electrode for potential brain–computer interface use
US3669110A (en) Compressible biomedical electrode
US20150265176A1 (en) Neurophysiological Dry Sensor
JP2022137320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electrode
WO2019162518A1 (en) Electrode for detecting bioelectrical signals
Arai et al. Long-term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using polymer-based dry microneedle electrode
JP2021522872A (en) Electrically functional polymer microneedle array
CN113855034A (en) Microneedle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astagnola et al. Recording high frequency neural signals using conformable and low-impedance ECoG electrodes arrays coated with PEDOT-PSS-PEG
RU2234851C2 (en) Electrode device
JP2015221138A (en) Brain wave measurement apparatus and brain wave measur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