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153B1 -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 Google Patents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153B1
KR101969153B1 KR1020170173444A KR20170173444A KR101969153B1 KR 101969153 B1 KR101969153 B1 KR 101969153B1 KR 1020170173444 A KR1020170173444 A KR 1020170173444A KR 20170173444 A KR20170173444 A KR 20170173444A KR 101969153 B1 KR101969153 B1 KR 10196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leg
pin
protru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용
박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엠텍
Priority to KR102017017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HUD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un visor of a car; connection leg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glass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on legs to be spaced from the main body. The HUD mounting apparatu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n visor for the car and positions a support contact point with the car on glass of the car formed in the front side to prevent shaking caused by external shock and to minimize shaking thereof caused by shaking of the car.

Description

HUD 장착 기구{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pparatus for a HUD,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sun visor)에 HUD(Head Up Display)에 장착이 가능한 HUD 장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D mounting mechanism that can be mounted on a head up display (HUD) on a sun visor for a vehicle.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선바이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차량과의 지지접점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HUD 장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 visor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vehicle sun visor and which is made from a vehicle glass having a support contact with the vehicle ahead, thereby preventing shak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To a HUD mounting mechanism that can be minimized.

HUD(Head Up Display)는 전방표시장치로서, 자동차 분야에서는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기 위해 차량의 전방측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HUD (Head Up Display) is a front display device and is installed in the automobile field so as to output an image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o enhanc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river.

즉 HUD는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차 앞유리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 앞 유리창에 반사시켜 계기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HUD display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so that it can be reflec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o that the gauge information can be grasped at a glance.

상세하게는, 상을 확대시키고 허상의 위치를 늘리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유리면이 구비되며, 본체로부터 이미지가 출력되어 유리면을 통과하면, 차량의 유리창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식별하여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concave glass surface for enlarging the image and increas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image is provided. When an image is output from the main body and passes through the glass surface, an image is formed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To be delivered.

한편, 종래 HUD는 차량에 설치될 때, 대시보드(dashbord)의 상측에 놓여지거나 또는 등록특허공보 제10-1268122호에서와 같이, 차량의 천정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HUD is plac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the upper side of a dashboard when installed in a vehicle, or in a form of being coupled to the ceiling of a vehicle, such as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68122.

그러나 종래 대시보드 상측에 놓여지거나 차량의 천저에 결합되는 형태의 HUD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흔들리고, 이에, 영상이 앞유리에 정확하게 투영되지 않아 정보를 전달받는데 있어 한계가 따르며, 주행도중 운전자가 올바른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터치를 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UD,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dashboard or coupl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is easily shaken by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image is not accurately projected on the windshield, There is a risk of exposure to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the process of touching to adjust to the correct posi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268122호(2013.05.21.)Patent Registration No. 10-1268122 (Feb.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선바이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차량과의 지지접점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HUD 장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un visor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vehicle sun visor, And to provide a HUD mounting mechanism capable of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mechanism itself caused by shaking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체와 유리면을 연결하는 연결다리에 설치되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와 접점을 이루는 지지다리는 연결다리로부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차량에 설치가 가능한 HUD 장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ngle of the support leg, which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leg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glass surface and forms the contact point with the vehicle glass formed at the front, is adjusted from the connection leg, And to provide a HUD-equipped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vehicles.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는 차량의 선바이저에 탈부착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된 연결다리; 및 연결다리에 결합되어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detachably attached to a sun visor of a vehicle; A connecting leg connected to the body; And a glass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ng leg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technical problem.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차량과의 지지접점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nd detached from a vehicle sun visor and is made from a vehicle glass having a support contact with the vehicle in front so as to prevent shak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o minimize shaking of the mechanism itself caused by vehicle shake It has a remarkable effect.

또한, 본체와 유리면을 연결하는 연결다리에 설치되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와 접점을 이루는 지지다리는 연결다리로부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차량에 설치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Further, since the support legs provided at the connection legs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glass surface and forming the contact points with the vehicle glass formed at the front are configured to be adjusted in angle from the connection leg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vehic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연결다리의 폭 조절을 위한 폭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폭조절수단의 동작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폭조절수단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지지다리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지지다리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연결다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wid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width of a connecting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dth adjusting means is slidably moved in the HUD attach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support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pport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 in the best wa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shown what is not necessary in order to reveal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ublicly known structure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dd, .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sun visor)에 HUD(Head Up Display)에 HUD(Head Up Display)의 장착이 가능한 HUD 장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D mounting mechanism capable of mounting a head up display (HUD) on a head up display (HUD) on a sun visor for a vehicle.

먼저, 선바이저(sun visor, 10)는 운전자의 눈을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치로, 주로 운전자석의 정면 상측에 접혀진 상태로 구비된다.First, a sun visor 10 is provided to protect the eyes of the driver from direct sunlight. The sun visor 10 is mainly fol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magnet.

또한, 차량의 유리는 자동차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HUD 장착 기구가 상기 선바이저(10)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다양한 종류에 관계없이 어떠한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 접촉되어 지지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Further, the glass of the vehicle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is specification, the HUD moun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n visor 1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ny vehicle regardless of various kinds of vehicles, So that the swinging of the vehicle can be minimiz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연결다리의 폭 조절을 위한 폭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폭조절수단의 동작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폭조절수단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지지다리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지지다리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연결다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D attach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the HUD attach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dth adjusting means is slidably moved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pport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pport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leg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는 차량용 선바이저(1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차량과의 지지접점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바이저(100), 연결다리(200), 유리면(300) 및 지지다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n visor 10 for a vehicle and is made of a vehicle glass having a support contact with the vehicle in front so as to prevent shak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includes a sun visor 100, a connecting leg 200, a glass surface 300, and a support leg 400. The sun visor 100 includes a connecting leg 200, a glass surface 300,

선바이저(100)는 차량의 선바이저(10)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DLP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유리면(300) 측으로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n visor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n visor 10 of the vehicle and has a DLP function to output an image to the glass surfac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에서, DLP(Digital Light Processing)는 디지털 광원 처리 기술로, 이미지가 출력되면, 유리면(300)을 통과하여 차량의 유리창에 출력된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이다.Here,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is a digital light source processing technology that, when an image is output, passes through a glass surface 300 to form an image output to a window of a vehicle.

이러한 선바이저(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선바이저(1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다리체결부(110), 거치다리(120) 및 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sun visor 100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sun visor 10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leg fastening portion 110, a mounting leg 120, and a protrusion 130, do.

다리체결부(110)는 선바이저(100)의 상단면에 후방측으로 개구된 행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거치다리(12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The leg fastening part 110 has a rearward open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sun visor 100 and is inserted and fastened by a mounting leg 120 to be described later.

거치다리(120)는 다리체결부(1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 선바이저(10)의 일부분을 감쌓아 선바이저(100)가 선바이저(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unting bracket 12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leg fastening portion 110 so that a part of the sun visor 10 is depressed and the sun visor 100 is coupled to the sun visor 10.

이러한 거치다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단에 위치한 부분은 다리체결부(110)의 개구된 부분에 삽입되고, 상단에 위치한 부분은 선바이저(10)가 거치다리(12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선바이저(10)가 거치다리(120)의 안쪽면과 다리체결부(110)의 상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2, a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ed portion of the leg fastening portion 110, and a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leg fastening portion 110, The visor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leg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fastening portion 110 when the visor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leg 120. [

이때, 다리체결부(110)의 상단 부분은 선바이저(10)의 일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선바이저(100)가 선바이저(10)에 결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eg fastening portion 110 presses one side of the sun visor 10, so that the sun visor 100 is coupled to the sun visor 10.

돌출부(130)는 선바이저(100)의 상단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거치다리(120)의 내측 공간에 선바이저(10)가 삽입되면, 선바이저(10)의 타측면을 가압하게 된다.The protruding portion 130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un visor 100. When the sun visor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leg 120, And pressurized.

이에, 거치다리(120)와 돌출부(130)에 의해 선바이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선바이저(10)에 선바이저(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The sun visor 100 is firmly coupled to the sun visor 10 by pressing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un visor 10 with the mounting leg 120 and the projection 130.

설계조건에 따라, 돌출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0)의 상단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projections 130 may be inclin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from one side of the top surface of the sun visor 100 to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

즉 선바이저(100)의 전방측은 돌출부(130)의 높이가 높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sun visor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30 is high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side.

이에, 돌출부(130)가 선바이저(10)의 타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돌출부(130)의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된 부분은 선바이저(10)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경사진 면을 따라 점점 낮은 힘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선바이저(10)와 선바이저(100)가 외부의 충격이나 차량 자체의 흔들림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rojections 1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visor 10, the portion of the projections 130 having the highest height presses the visor 10 stro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n visor 10 and the sun visor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a shaking of the vehicle itself.

연결다리(200)는 선바이저(100)와 후술되는 유리면(30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유리면(300)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eg 200 functions to connect the sun visor 100 and a glass surface 3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sun visor 100, And a pair of terminals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light source 300.

바람직하게는, 선바이저(100)와 연결되는 부분에 폭조절수단(210)이 구비되어 한 쌍의 연결다리(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고, 유리면(300)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유리면(300)의 양 끝단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Preferably, a width adjusting means 210 is provid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un visor 100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legs 200. A portion connected to the glass surface 300 is formed in the glass surface (Not shown).

이에, 한 쌍의 연결다리(200)는 선바이저(100)와 연결된 부분의 폭이 변함에 따라, 유리면(300) 연결다리(200)가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유리면(300)의 굴곡된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선바이저(10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가 유리면(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리면(300)의 굴곡된 정도에 따라 차량의 유리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the width of a portion of the pair of connecting legs 200 connected to the sun visor 100 is changed, the angle of the connecting leg 200 of the glass surface 300 is changed so that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glass surface 300 The size of the image output to the glass of the vehicle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glass surface 300 during the process of pass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sun visor 100 through the glass surface 300. [

즉 유리면(300)의 굴곡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리면(300)을 통과하여 차량의 유리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glass surface 300, the size of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glass surface 300 and outputted to the glass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폭조절수단(210)은 한 쌍의 연결다리(200)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핀부재(211), 탄성부재(212), 버튼부재(213) 및 스프링부재(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width adjusting unit 210 includes a pin member 211, an elastic member 212, a button member 213, and a spring member (not shown) 214).

핀부재(211)는 선바이저(100)에 형성된 장공(140)에 삽입되며, 연결다리(200)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둘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걸림홈(211a)이 형성된다.The pin member 211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40 formed in the sun visor 100 and is pushed to face each other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leg 200. The pin member 211 ha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핀부재(211)에 형성된 다수 개의 걸림홈(211a)은 후술되는 버튼부재(213)의 걸림돌기(213a)가 하나의 걸림홈(211a)에 끼워져 걸림됨으로써, 선바이저(100)로부터 핀부재(211)의 이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11a formed in the pin member 211 are engaged with the pin member 213 from the sun visor 100 by engaging the locking protrusions 213a of the button member 213, 211 of the mobile terminal.

탄성부재(212)는 핀부재(211)의 끝단을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핀부재(211)를 선바이저(100) 외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연결다리(20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lastic member 212 functions to elastically support the end of the pin member 211.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n member 211 to the outside of the sun visor 100, 200 to extend outward.

버튼부재(213)는 핀부재(211)에 형성된 다수 개의 걸림홈(211a) 중 선택된 하나의 걸림홈(211a)에 걸림되어 핀부재(211)의 이동을 단속하거나 또는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여 핀부재(211)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utton member 213 is engaged with a selected one of the engagement grooves 211a formed in the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211a formed in the pin member 211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in member 211 is interrupted or released, So that the member 211 can move.

이러한 버튼부재(213)는 일부분이 선바이저(100)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걸림홈(211a) 중 선택된 하나의 걸림홈(211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13a)가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선바이저(10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button member 213 is partially provided in the sun visor 100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213a which is engaged with a selected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11a, And projects outwardly from the visor 100.

이때, 걸림돌기(213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2)가 탄성지지하는 방향, 즉 핀부재(211)가 외측으로 이동되려는 방향에 형성된 부분은 높이가 낮고, 반대로, 탄성부재(212)가 위치하는 방향인 핀부재(211)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은 높이가 높은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protrusion 213a has a low height at a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212 is elastically supported,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in member 211 is to be moved outward, The portion of the pin member 211,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mber 212 is located,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may be a sloped surface having a high height.

이에, 핀부재(21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누르면, 걸림돌기(213a)의 경사진 면을 따라 상기 핀부재(211)는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이동되어 한 쌍의 연결다리(200) 폭이 좁아진 후, 상기 걸림돌기(213a)가 다수 개의 걸림홈(211a) 중 하나의 걸림홈(211a)에 걸림되면, 핀부재(211)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pin member 211 is pushed inward from the outside, the pin member 211 is naturally moved i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213a to narrow the width of the pair of connection legs 200, When the latching protrusion 213a is engaged with one of the latching recesses 211a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recesses 211a, the pinned state of the pinning member 211 is maintained.

반대로, 버튼부재(213)를 누르면, 걸림홈(211a)으로부터 걸림돌기(213a)가 이탈됨으로써, 선바이저(100)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핀부재(211)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부재(211)를 선바이저(100)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한 쌍의 연결다리(200)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후, 버튼부재(213)의 누름을 해제하면, 걸림돌기(213a)가 다수 개의 걸림홈(211a) 중 하나의 걸림홈(211a)에 걸림됨으로써, 핀부재(211)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Conversely, when the button member 213 is pushed, the latching protrusion 213a is released from the latching groove 211a so that the pin member 211 is movable along the slot formed in the sun visor 100.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pair of connection legs 200 is widened by pushing the pin member 211 to the outside of the sun visor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mber 212. [ When the pushing of the button member 213 is released, the locking protrusion 213a is engaged with one of the locking grooves 211a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11a so that the pin member 211 is held in a fixed state .

스프링부재(214)는 버튼부재(213)의 끝단을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213)를 선바이저(100) 외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걸림돌기(213a)가 걸림홈(211a)에 걸림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The spring member 214 elastically supports the end of the button member 213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utton member 213 to the outside of the sun visor 100 by elastic force so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213a So that the engagement state of the engagement groove 211a is maintained.

설계조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조절수단(210)은 선바이저(100) 내부에 구비되되, 선바이저(100)의 전면측과 배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5,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n visor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sun visor 100 .

예를 들어, 폭조절수단(210)을 커버하는 별도의 케이스(도면에 미표시)가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가 선바이저(100) 내부에 구비되며, 본체(100)에 형성된 장공(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면측과 배면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장공(140)을 따라 연결다리(20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separate case (not shown in the figure) for covering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is formed. The case is provided inside the sun visor 100, and the long hole 14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5, the connection leg 20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 along the elongated hole 140 by being formed to be long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에, 선바이저(100)와 후술되는 유리면(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선바이저(10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가 유리면(300)을 통과하는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차량의 유리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 및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sun visor 100 and the glass surface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sun visor 100 and the glass surface 300 is controlled, The size and sharpness of the image can be adjusted.

지지다리(4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다리(200) 각각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다리(200)의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6 and 7, the support leg 40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connection legs 20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leg 200 so as to protrude outward.

이러한 연결다리(200)는 선바이저(100)가 선바이저(10)에 결합되면, 끝단이 차량의 유리 전면에 접촉되어 지지접점을 형성하므로, 선바이저(100)와 유리면(300)을 연결하는 연결다리(200)가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차량과 함께 흔들리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차량과 별도로 흔들려 차량의 유리에 출력되는 이미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un visor 100 is coupled to the sun visor 10, the connecting leg 200 contacts the glass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to form a supporting contact, so that the sun visor 100 is connected to the glass surface 300 The connection leg 200 minimizes the shaking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vehicle and makes it swing with the vehicle so that the shaking of the image outputted to the glass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by shaking the vehicle separately from the vehicle due to the external impact.

즉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HUD 장착 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가 흔들려 보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자체의 흔들림 발생시 선바이저(100)가 함께 흔들리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유리에 출력되는 이미지가 흔들려 보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haking of the apparatus itself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vehicle is minimized so that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HUD attaching mechanism is prevented from being shaken, so that the sun visor 100 shakes when the shake of the vehicle itself occurs, The output image can be prevented from appearing shaken.

이때, 지지다리(4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도조절부(410)에 의해 연결다리(200)로부터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6 and 7, the support leg 40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from the connection leg 200 by the angle adjusting unit 410 to adjust the angle.

각도조절부(410)는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형성하는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빗살무늬돌기(411), 각도조절관통공(412), 단턱(413) 및 이탈방지핀(4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gle adjusting unit 410 is provided to adjust the angles formed by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The angled adjusting protrusion 411,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the step 413, Prevention pin 414 as shown in FIG.

빗살무늬돌기(411)는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서로 인접하는 면 각각에 외측으로 다수 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의 빗살무늬돌기(411)는 후술되는 각도조절관통공(412)을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omb teeth protrusions 411 ar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comb teeth protrusions 411 protrude outward from each of the adjacent surfaces of the coupling leg 200 and the support leg 400, And is formed in a radial shape with reference to the hole 412.

각도조절관통공(412)은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인접하는 면을 포함하여 내,외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이탈방지핀(414)이 끼워져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상호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is form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including the side where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ater described release preventing pin 414 is inserted, 200 and the support leg 400 ar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단턱(413)은 각도조절관통공(412)의 양 끝단 각각에 형성된다.The step 413 is form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이탈방지핀(414)은 각도조절관통공(412)을 관통하고, 단턱(413)에 걸림되어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상호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in 414 penetrates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and is engaged with the step 413 to prevent the connection leg 200 and the support leg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ength is variable.

이러한 이탈방지핀(414)은 제1이탈방지핀(415), 제2이탈방지핀(416)및 스프링(4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lease prevention pin 414 includes a first release prevention pin 415, a second release prevention pin 416, and a spring 417.

제1이탈방지핀(415)은 각도조절관통공(412)의 양 끝단에 형성된 단턱(413) 중 하나의 단턱(413)에 걸림되는 걸림턱(415a)이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is formed at the end thereof with a stopping protrusion 415a which is engaged with one of the stepped ends 413 of the stepped ends 4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2이탈방지핀(416)은 각도조절관통공(412)의 양 끝단에 형성된 단턱(413) 중 다른 하나의 단턱(413)에 걸림되는 걸림턱(416a)이 끝단에 형성되고, 제1이탈방지핀(415)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is formed at its end with a stopping protrusion 416a which is engaged with the other one of the stepped ends 4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prevent pin 415 so as to be slidable.

스프링(417)은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 사이에 구비되어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을 연결하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이 서로 인접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pring 417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to connect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Preventing pin 415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각도조절부(410)는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를 이격시키면, 서로 맞물려 있던 빗살무늬돌기(411)가 이탈되어 상기 연결다리(200)로부터 지지다리(400)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반대로, 지지다리(4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스프링(417)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인접하면서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 각각에 형성된 빗살무늬돌기(411)는 그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에 삽ㅇ비됨으로써, 연결다리(200)로부터 지지다리(400)는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When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angle adjusting portion 410 separates the interdigital protrusions 411 from each other and the supporting leg 4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leg 200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7 and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are in a freely rotatable state, The comb teeth protrusion 411 formed on each of the coupling legs 400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support leg 400 from the coupling leg 200 is firmly coupled without being rotated.

이에, 운전자가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를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 연결다리(200)로부터 지지다리(40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상기 지지다리(400)의 끝단과 차량의 유리가 접하는 부분에서 지지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접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흔들림에 따른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er installs the HUD attach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vehicle, the support leg 400 is easily rotated from the connection leg 200, and the portion of the end of the support leg 400, So that the support contact can be form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haking.

이때, 지지다리(400)는 연결다리(200)의 폭조절수단(210)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40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support leg 400 may be provided with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of the connection leg 200 so that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400 may be variable.

설계조건에 따라, 지지다리(400)의 끝단은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end of the support leg 400 may be in the form of a suction plate.

이러한 흡착판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다리(400)의 끝단이 차량의 전면에 위치한 유리에 접촉되면, 차량의 유리에 흡착되게 됨으로써, HUD 장착 기구가 선바이저(10) 뿐만 아니라 차량의 유리에도 흡착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ction plate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When the end of the support leg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las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the suction plate is attracted to the glass of the vehicle, It can be adsorbed to the glass so as to be more firmly bon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에서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다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다리(200)의 중심을 따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한 쌍의 연결다리(200)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형성되는 면은 돌기가 형성되고, 반대로, 외측에 형성되는 면은 내측에 형성되는 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ng leg 200 having a long shape i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leg 200, The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ide where the legs 200 face each oth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on the contrary, the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ide can be formed thicker than the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ide.

이때, 연결다리(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면의 돌기는 상기 연결다리(20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돌기는 섬유소재(fiber)와 같은 이종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leg 200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connection leg 200, or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using different materials such as fiber It is possible.

이는 새의 날개 뼈의 내부 구조와 비슷한 것으로, 인장력을 받는 부위에서는 상기 돌기에 의하여 인장강도를 더 강하게 보강하고, 압축력을 받는 부위에서는 단면적을 크게하여 압축강도를 더 강하게 보강하게 된다.This is similar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ird's wing bone. In the region subjected to the tensile force, the tensile strength is strengthened more strongly by the projection, and in the region subjected to the compressive force, the sectional area is increased.

따라서, 한 쌍의 연결다리(200) 사이의 폭이 가변되어, 상호간에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이 용이하고, 오랜 시간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더라도 영구 변형되는(벌어진 상태로 복원이 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widths of the pair of connection legs 200 are varied, they can be easi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even if they are widened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even if the state is kept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a problem.

바람직하게는, 연결다리(200)의 단면이 원형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도 8의 (A)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도 8의 (B)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8A.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leg 200 is circular, it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8A.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leg 200 is rectangular, hav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HUD 장착 기구는 차량용 선바이저(1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차량과의 지지접점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기구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UD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ehicle sun visor 10, and the support contact with the vehicle is formed on the vehicle glas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by preventing shaking due to external impac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king of the mechanism itself caused by the vehicle shake.

또한, 선바이저(100)와 유리면(300)을 연결하는 연결다리(200)에 설치되어 전방에 형성된 차량 유리와 접점을 이루는 지지다리(400)는 연결다리(200)로부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차량에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The supporting leg 400 provided at the connection leg 200 connecting the sun visor 100 and the glass surface 300 and forming a contact with the vehicle glass formed at the fron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from the connection leg 200 , The effec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vehic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has.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 : 선바이저 100 : 본체
110 : 다리체결부 120 : 거치다리
130 : 돌출부 140 : 장공
200 : 연결다리 210 : 폭조절수단
211 : 핀부재 211a : 걸림홈
212 : 탄성부재 213 : 버튼부재
213a : 걸림돌기 214 : 스프링부재
300 : 유리면 400 : 지지다리
410 : 각도조절부 411 : 빗살무늬돌기
412 : 각도조절관통공 413 : 단턱
414 : 이탈방지핀 415 : 제1이탈방지핀
415a, 416a : 걸림턱 416 : 제2이탈방지핀
417 : 스프링
10: Sun visor 100: Body
110: leg fastening part 120:
130: protrusion 140: elongated hole
200: connecting leg 210: width adjusting means
211: pin member 211a:
212: elastic member 213: button member
213a: locking projection 214: spring member
300: glass surface 400: support leg
410: Angle adjusting part 411:
412: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3:
414: release prevention pin 415: first release prevention pin
415a, 416a: engagement jaw 416: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7: Spring

Claims (10)

차량의 선바이저(10)에 탈부착되는 선바이저(100);
상기 선바이저(100)에 연결된 연결다리(200); 및
상기 연결다리(200)에 결합되어 선바이저(1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리면(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다리(200)는
상기 선바이저(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상기 유리면(300)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폭조절수단(210)에 의해 한 쌍의 연결다리(200) 사이의 폭이 조절되며,
상기 폭조절수단(210)은
선바이저(100)에 형성된 장공(140)에 삽입되며, 연결다리(200)의 끝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둘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걸림홈(211a)이 형성된 핀부재(211);
상기 핀부재(211)의 끝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12);
일부분은 선바이저(100)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 개의 걸림홈(211a) 중 선택된 하나의 걸림홈(211a)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13a)가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분은 선바이저(10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버튼부재(213); 및
상기 버튼부재(213)의 끝단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버튼부재(213)를 누르면 걸림홈(211a)으로부터 걸림돌기(213a)가 이탈되어 상기 장공(140)을 따라 핀부재(211)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A sun visor (100) detachably attached to a sun visor (10) of a vehicle;
A connecting leg 200 connected to the sun visor 100; And
And a glass surface 300 coupled to the connection leg 200 and spaced apart from the sun visor 100,
The coupling leg 200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sun visor 100 and both ends of the glass surfac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legs 200 is adjusted by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A pin member 211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40 formed in the sun visor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1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eg 200, ;
An elastic member 212 for elastically supporting an end of the pin member 211;
A part of the protrusion 213 is provided inside the sun visor 100 a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13a which is engaged with a selected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11a and the other part is protruded outside the sun visor 100 A button member 213 formed in a shape of a button; And
And a spring member 214 elastically supporting an end of the button member 213,
When the button member 213 is pushed, the locking protrusion 213a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11a and the pin member 211 is moved along the slot 14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100)는
상단면에 후방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다리체결부(110);
상기 다리체결부(110)에 끼워져 선바이저(10)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ㄷ'자 형태의 거치다리(120); 및
상기 선바이저(100)의 상단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치다리(120)의 내측 공간에 선바이저(10)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130)는 선바이저(10)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n visor (100)
A leg fastening part 110 opened to the rear side on the upper surface;
A 'C' shaped mounting leg 120 inserted into the leg fastening part 110 to press one side of the sun visor 10; And
And a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un visor 100,
Wherein the protrusion (130)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sun visor (10) when the sun visor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leg (1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선바이저(100)의 상단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130)
Wherein the guide visor is inclined so as to be gradually lowered from one side of the top surface of the sun visor (100) toward the oth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210)은
상기 선바이저(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선바이저(100)의 전면측과 배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adjusting means 210
The sun visor (100)
Is sli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sun visor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다리(200)의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다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다리(400)의 끝단은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leg 400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leg 200,
And the end of the support leg (40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lass of the vehic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400)는
각도조절부(410)에 의해 연결다리(200)로부터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leg 400
And the angle is adjusted by being rotated from the connecting leg (200) by the angle adjusting part (4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10)는
상기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서로 인접하는 면 각각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빗살무늬돌기(411);
상기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 각각을 관통하는 각도조절관통공(412);
상기 각도조절관통공(412)의 양 끝단 각각에 형성된 단턱(413); 및
상기 각도조절관통공(412)을 관통하고, 단턱(413)에 걸림되어 상기 연결다리(200)와 지지다리(400)가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41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탈방지핀(414)은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angle adjusting unit 410
A comb-like protrusion 411 protruding outward from each of the surfaces of the connection leg 200 and the support leg 400 adjacent to each other;
An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leg 200 and the supporting leg 400, respectively;
A step 4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And
And an escape prevention pin 414 penetrating the angle adjusting through hole 412 and engaged with the step 413 to prevent the connection leg 200 and the support leg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
Wherein the release prevention pin (414) is variable in length.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414)은
하나의 단턱(413)에 걸림되는 걸림턱(415a)이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 제1이탈방지핀(415);
다른 하나의 단턱(413)에 걸림되는 걸림턱(416a)이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핀(415)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이탈방지핀(416); 및
상기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 사이에 구비되어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을 연결하는 스프링(417);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이탈방지핀(415)과 제2이탈방지핀(416)은 상호간에 멀어져 이탈방지핀(414)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되, 상기 스프링(417)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인접하도록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 장착 기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release prevention pin 414
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in 415 formed at the end of the stopper 415a to be engaged with one step 413 and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formed at an end of the stop protrusion 416a to be engaged with the other step 413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And
And a spring 417 provided betwee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to connect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in 415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 416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ins 415 and 41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llow the length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in 414 to be varied so as to return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7 Features a HUD mounting mechanism.
KR1020170173444A 2017-12-15 2017-12-15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KR101969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44A KR101969153B1 (en) 2017-12-15 2017-12-15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44A KR101969153B1 (en) 2017-12-15 2017-12-15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153B1 true KR101969153B1 (en) 2019-04-15

Family

ID=6610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44A KR101969153B1 (en) 2017-12-15 2017-12-15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15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76B1 (en) * 2006-12-19 200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101268122B1 (en) 2011-11-28 2013-06-04 팽정희 Folding type hud device which has a touchpad control
WO2014049733A1 (en) * 2012-09-26 2014-04-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Head-up display
KR20140069684A (en) * 2012-11-29 2014-06-10 이기영 A mobile phone mount for vehicles
WO2014162420A1 (en) * 2013-04-01 2014-10-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Virtual-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76B1 (en) * 2006-12-19 2008-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101268122B1 (en) 2011-11-28 2013-06-04 팽정희 Folding type hud device which has a touchpad control
WO2014049733A1 (en) * 2012-09-26 2014-04-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Head-up display
KR20140069684A (en) * 2012-11-29 2014-06-10 이기영 A mobile phone mount for vehicles
WO2014162420A1 (en) * 2013-04-01 2014-10-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Virtual-imag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1166B2 (en) Sensor bracket
US10272849B2 (en) In-vehicle camera attached to windshield forming inhibition space therebetween
US9188780B2 (en) Head-up display system
US10293760B2 (en) Sensor bracket
JP3166671U (en) Sun visor
KR930004066Y1 (en) Car-mounted video displaying apparatus
CN110418737B (en) Mounting structure with release mechanism for in-vehicle device
US8966826B2 (en) Handle base attachment structure
CN113260535A (en) Bracket for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KR10196915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head up display
DK2860064T3 (en) Terminal layout
US5014169A (en) Sun visor
KR20140115608A (en) Cellular phone holder for car
US20150021961A1 (en) Holder for an operating console in an aircraft seat
CN108454516B (en) Safety mirror and motor vehicle
KR102356557B1 (en) Terminal holder mounted in a tuyere
JP6440523B2 (en) Vehicle rearview mirror
JP6506043B2 (en) Vehicle room mirror
KR101735634B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20030029473A (en) Child safety seat
CN211808987U (en) Sun shading device
CN110762346B (en) Mobile terminal clamping device and vehicle
CN213262160U (en) Rearview mirror assembly
KR20140140236A (en) Cellular phone holder for car
CN116648565A (en) Vehicle light screen with bill 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