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22B1 -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22B1
KR101968522B1 KR1020190005121A KR20190005121A KR101968522B1 KR 101968522 B1 KR101968522 B1 KR 101968522B1 KR 1020190005121 A KR1020190005121 A KR 1020190005121A KR 20190005121 A KR20190005121 A KR 20190005121A KR 101968522 B1 KR101968522 B1 KR 10196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nnel
server
communication
remo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0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terminal unit (RTU) of a remote monitoring/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TU: receives site data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site facilities and analyzes the site data to recognize a type of the received site data; determines at least one channel from a multichannel, which corresponds to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TU to a plurality of servers included in different local networks through a wide area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ite data; acquires an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among nodes of the at least one channel; and, based on the address of the at least one node, generates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site data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site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ccordingly, the RTU recognizes a type of site data received from each site facility, determines a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site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ite data, and classifies and transmits the site data to each server belonging to a different local network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reby efficiently transmitting site data to each server in a remote monitoring/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rvers.

Description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멀티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원격단말유닛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channels in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a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

원방감시제어(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중 각 서버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원격단말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a remote terminal unit.

원방감시제어(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원방의 현장에 설치된 센서, 계측기 등과 같은 현장설비로부터 현장설비가 측정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 데이터를 원격단말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가 수집하고, 원격단말유닛이 수집한 현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감시센터에 설치된 서버로 전송하여, 현장의 상황을 온라인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collects the field data from the field facilities such as sensors and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remote site, which shows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eld facilities, by the Remote Terminal Unit (RTU) , And transmits the site data collected by the remote terminal unit to the server installed in the central monitoring center through the network, thereb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ituation of the site on-line.

일반적으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현장 설비는 현장 설비의 현장 데이터를 RTU로 전송하고, 원격단말유닛은 복수 개의 현장설비로부터 전송된 현장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한다. 서버는 각 현장설비로부터 전송된 현장 데이터를 통하여 현장의 상황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현장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현장설비는 예를 들어, 펌프, 압력계, 유량계, 수위계, 수질계,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Generally,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e field facility transfers the field data of the field facility to the RTU, and the remote terminal unit transfers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to the server. The server can monitor and control the situation of the site through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site facility.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an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field facilities. Various types of on-site facilities include, for example, pumps, pressure gauges, flow meters, water meters, water quality meters, cameras, and the like.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단말유닛은 다양한 종류의 현장설비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현장설비로부터 상이한 종류의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원격단말유닛은 일부 현장설비로부터 현장에서의 전력, 압력, 유량 등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일부 현장설비로부터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원격단말유닛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와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와 같이 상이한 종류의 현장데이터를 현장설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remote terminal unit of the remote surveillance control system receives different types of field data from various types of field facilities to various types of field facilities. For example, the remote terminal unit receives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measured values of power, pressure, flow rate, etc. from the field facility and receives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the image from some other field facility. The remote terminal unit may receive different types of field data from the field facility, such as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measurements and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the image.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현장설비로부터 단순히 현장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현장설비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뿐, 현장설비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처리하는 기능이 없다. 또한,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하나의 상위 기기인 마스터 중계 장치 또는 서버와만 연결된다. 원격단말유닛(2)은 연결된 하나의 마스터 중계 장치로만 각 현장설비로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현장설비로부터 수신된 모든 현장데이터를 연결된 하나의 상위기기인 마스터 중계 장치 또는 서버로만 전송한다.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각 현장설비의 현장데이터를 수신한 마스터 중계 장치 또는 서버는 수신된 각 현장설비의 현장데이터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각 현장데이터가 필요한 서버로 전송한다.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데이터를 분석 및 분류하는 기능이 없고 오직 하나의 상위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현장설비의 현장데이터를 연결된 하나의 상위기기로 전송하고 상위기기에서 데이터를 분석 및 분류하여 다른 지역망(Local Area Network)에 위치된 서버로 다시 전송한다.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s merely receive field data from the field facility or transmit control commands to the field facility, but do not have the capability to analyze or process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the field facility.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is connected only to a master relay device or a server which is one master device. The remote terminal unit 2 can transmit the received field data to each site facility only with one master relay apparatus connected thereto.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only transmits all the site data received from the field facility to the master relay device or the server, which is a connected master device. The master relay device or the server receiving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analyzes and classifies the field data of each received field facility and transmits the field data to the required server. Since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analyzing and classifying data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nly one host device, it transmits the field data of all the field equipments to one connected host device and analyzes and classifies the data in the host device To another server located in another local area network.

이에 따라,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이 포함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각 지역망마다 현장데이터를 분석, 분류 및 연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마스터 중계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마스터 중계 장치가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류하여 마스터 중계 장치와 다른 지역망의 서버로 다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 자원이 낭비되고 데이터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essentially requires a master relay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analyzing, classifying, and calculating field data for each local network. In addition, since the master relay apparatus classifies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of the other local network different from the master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resources are wasted and data processing is delaye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격단말유닛(2)은 현장설비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현장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원격단말유닛(2)과 연결된 제 1 지역망의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로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원격단말유닛(2)은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바로 제 2 지역망의 영상 서버(10)로 전송하지 못하고, 제 1 지역망의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로 전송하고,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는 원격단말유닛(2)으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에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분류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다시 제 2 지역의 제 2 마스터 중계 장치(5) 및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를 통하여 영상서버(1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2 transmits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the field facility to the first master relay apparatus 4 of the first regional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 ).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2 can not transmit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directly to the video server 10 of the second area network, and the first master relay apparatus 4 of the first area network , The first master relay device 4 classifie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in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 and transmit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back to the second master relay (5) and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to the video server (10).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는 제 1 지역망에 배치된 HMI(Human Machine Interface) 서버(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할 현장데이터를 제 1 지역망에 포함된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로 전송하고,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는 HMI 서버(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한다. The first master relay device 4 transmits the fiel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HMI (Human Machine Interface) server 8 and the database server 9 disposed in the first area network to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classifie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HMI server (8) and the database server (9).

또한,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별도의 무선 라우터를 통하여 서버 또는 마스터 중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유선통신으로 서버로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고, 유선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면 무선통신을 통하여 현장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은 별도의 무선 라우터를 통하여 서버와 무선통신하기 때문에, 유선통신의 에러로 인하여 무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한 후 유선통신이 복구되더라도, 유선통신으로 자동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does not support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server or a master relay device via a separate wireless router. A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transmits field data to a server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field data to a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a fault occurs in the wired communication. Since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through a separate wireless router, even if the wired communication is restored after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thod by wireless communication due to an error of the wi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wired communication There was no problem.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격단말유닛(2)은 유선통신을 통하여 인터넷과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현장데이터를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한다. 원격단말유닛(2)은 유선통신에 장애가 발생하여 유선통신을 통하여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원격단말유닛(2)과 연결된 무선 라우터(3)로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라우터(3)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현장데이터를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4)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한다. 종래의 원격단말유닛(2)은 별도의 무선 라우터(3)를 통하여 무선통신하기 때문에, 원격단말유닛(2)의 유선통신이 복구되더라도 무선통신에서 다시 유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할 수 없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2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field data to the first master relay device 4 and the database server 9 via the Internet do. The remote terminal unit 2 transmits the field data to the wireless router 3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 and transmits the field data to the wireless router 3 when the wireless terminal unit 2 can not transmit the field data through wired communication, Transmits the field data to the first master relay device (4) and the database server (9)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2 wirelessly communicates via the separate wireless router 3,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not be changed agai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wired communication even if the wired communication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 is resto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9566호 “스카다(SCADA)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는 스카다 시스템의 호스트 서버와 원격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격 단말로부터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호스트 서버의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원격 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대응하는 호스트 서버의 통신 서비스를 통해 디바이스 데이터를 호스트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서버가 이용하는 하나의 프로토콜만으로 다양한 원격 단말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는 스카다 시스템에서 다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호스트 서버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호스트 서버로 전송할 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서버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호스트 서버가 데이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서버로 다시 전송해야 하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는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와 호스트 서버 사이의 유선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무선통신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데이터 전송 중계 장치와 호스트 서버 사이의 유선통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무선통신을 통하여 호스트 서버와의 통신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109566 entitled " Data Transfer Relay Device in SCADA System " relates to a data transfer relay device for relaying data transfer between a host server and a remote terminal of a Scada system, The protocol of the device data acquired from the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protocol of the host server and the dev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s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host server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remote terminal, And a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data acquired from a remote terminal. Such a conventional data transfer relay device converts protocols of various device data into protocol of the host server in the Scada system and transmits them to the host server but does not transmit them to different servers depending on the type of data. And has to be transmitted to different servers again. In addition, since the data transfer relay device does not have a function of chang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when a fault occurs in the wi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transfer relay device and the host server, even if there is a problem in the wi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transfer relay device and the host ser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with the host server can not be maintained.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현장데이터를 식별하고 분류하여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원격단말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site data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each of a plurality of servers and a remote terminal uni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단말유닛(Remote Terminal Unit)에 있어서, 복수 개의 현장설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채널 관리부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A remote terminal unit of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field data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A data analyzer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received field data by analyzing field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iver; Determines at least one channel among multi-channels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ident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 channel management unit for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And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ield data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a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field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based on the address of the at least one node obtained by the channel manag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광역망을 거쳐 상기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복수 개의 데이터 타입 별로 매핑되어 기록된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Wherei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refers to a channel table in which addresses of nodes for connecting to the respective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nd addresses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mapped by a plurality of data types, Determining at least one channel of the multi-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of field data, and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상기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는 상기 각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의 어드레스이거나 상기 각 지역망의 VPN 서버의 어드레스이다. The address of the node for connecting to each local network is the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of each local network or the address of the VPN server of each local network.

상기 채널 테이블에는 제 1 데이터 타입에 매핑된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제 1 서버가 속해 있는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의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1 서버의 TCP 포트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제 2 데이터 타입에 매핑된 VPN 서버의 IP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Wherein the IP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of the local network to which the first server belongs and the TCP port number of the first server are recorded in the channel table, The IP address of the mapped VPN server and the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recorded.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모듈;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광역망으로 유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유선통신모듈;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광역망으로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유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 사이에서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스위칭(switch)하는 스위칭모듈; 및 상기 스위칭모듈의 통신방식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모듈을 포함한다.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packe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packet;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by wir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to transmit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 switching module for switch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betwee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a communication mode of the switching module.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에서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한다.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from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to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disabled, And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module is disabled.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한다.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 중 통신 품질이 더 높은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한다.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to a communication mode with a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during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식별하고 분류하여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단말유닛(Remote Terminal Unit)에서 복수 개의 현장설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plurality of server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ield data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at a remote terminal unit; Identifying the type of field data by analyzing the field data received by the remote terminal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dentified field data;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Generating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ield data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a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field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at least one no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원격단말유닛이 서로 다른 지역망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버와 각각 채널을 설정하고, 복수 개의 현장설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고,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의 통신경로인 멀티채널 중 식별된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을 결정한다. 원격단말유닛이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을 결정함으로써, 원격단말유닛은 현장설비의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가 필요한 각 서버로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각 서버는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바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망에 배치된 서버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다시 전송하거나 다른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다시 수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원격단말유닛이 복수 개의 현장설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신속하게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각 서버들로 분배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수신한 각 서버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현장 및 현장설비의 상태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 remote terminal unit in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sets a channel with each of a plurality of servers arranged in different local networks, analyzes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to identify the type of data, A channel to transmit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identified among the multi-channels, which is a communication path to each of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By determining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remote terminal unit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he remote terminal unit can classify and transmit the data of the field facility to each server requiring the corresponding data. Since each server can receive only necessary data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directly from the server, it is not necessary to classify the data into a server arranged in another local network and transmit it again or receive data again from another server. Accordingly,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e remote terminal unit can quickly distribute the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field equipments to the respective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and each server receiving the data can use the data The status of the field and on-site facilities can be quickly provided to the manager of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또한, 원격단말유닛에서 현장설비의 데이터를 분류, 분석 및 연산 처리하여, 원격단말유닛이 각 지역망의 서버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종래의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분류, 분석 및 연산 처리하는 마스터 중계 장치를 각 지역망마다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가의 장비인 마스터 중계 장치를 지역망마다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방감시제어시스템 설치 시에 필요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terminal unit classifies, analyzes, and computes the data of the field facility, and the remote terminal unit directly transmits the data to the server of each local network, the conventional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lassifies, It may not be provided for each local network.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aster relay apparatus, which is an expensive apparatus, for each local network, so that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st required when installing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또한, 원격단말유닛이 무선통신기능 및 유선통신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통신방식을 통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항상 최상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terminal unit includes b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even if a failure occurs in ei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wired communicatio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other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 can be reliably transmitted to the server. Thus,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can always maintain the best communication state.

또한, 원격단말유닛이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 중 유선통신이 복구된 경우, 유선통신으로 다시 통신방식을 스위칭함으로써, 무선통신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통신요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is restored while the remote terminal unit is transmitting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communication charges that may occur d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switching the communication mode back to wired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을 포함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단말유닛을 포함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도 2에 도시된 원격단말유닛의 구성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식별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된 패킷을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2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mote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terminal unit shown in FIG. 2 of FIG. 3.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identif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transmitting a packet shown in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hannel.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현장설비, 원격단말유닛(RTU, Remote Terminal Unit), 마스터 중계 장치 및 서버로 구성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원격단말유닛이 데이터를 분류하여 복수 개의 서버 중 각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한 각종 상태 및 정보를 중앙의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전송된 상태 및 정보를 분석 및 제어하여 각종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카다(SCADA) 시스템,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장설비”는 서버와 원거리에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송배전 등을 위한 전력기기, 각종 센서,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노드”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처리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어드레스”는 고정 IP 어드레스, 사설 IP 어드레스, TCP/UDP 포트 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기호로서 사용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on-site facilities, a remote terminal unit (RTU), a master relay device, and a server, To each of the servers.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 remote monitoring " control system,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ransmits various states and information at remote locations to a centr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SCADA) system,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the like, by analyz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and effectively operating various facilities. The term " on-site facility " means a device installed on a sit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of a server, including devices for power devices,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Quot; means an apparatus or a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 address " includes a fixed IP address, a private IP address, a TCP / UDP port number, and the like. Further,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단말유닛을 포함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복수 개의 현장설비(1), 원격단말유닛(Remote Terminal Unit, 20),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 HMI(Human Machine Interface) 서버(8), 데이터베이스 서버(9) 및 영상 서버(1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HMI 서버(8), 데이터베이스 서버(9)와 영상 서버(10)를 포함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상술한 서버 이외의 다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mote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on-site facilities 1, a remote terminal unit 20, a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server 8, a database server 9, and a video server 10. 2 includes the HMI server 8, the database server 9 and the video server 1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shown in FIG. But may include other servers than servers.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현장설비(1)가 원격단말유닛(20)과 각각 연결된다. 복수 개의 현장설비(1) 각각은 원격단말유닛(20)과 설정된 통신링크를 통하여 각 현장설비(1)에서 생성된 현장데이터를 전송한다. 현장설비(1)는 예를 들어, 펌프, 압력계, 유량계, 수위계, 수질계,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현장설비(1)가 전력량계인 경우, 전력량계는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력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원격단말유닛(20)으로 전송하고, 현장설비(1)가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는 현장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원격단말유닛(20)으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on-site facilities 1 are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spec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field equipments 1 transmits the field data generated in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1 through the set communication link with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he field facility 1 includes, for example, a pump, a pressure gauge, a flow meter, a water gauge, a water quality meter, a camera,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field facility 1 is a watt hour meter, the watt hour meter measures the power value used in the field, transmits the field data indicating the measured power value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 Is a camera, the camera generates field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the field, and transmit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generated image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원격단말유닛(20)은 복수 개의 현장설비(1) 각각으로부터 각 현장설비의 현장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분석하고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여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한다. 원격단말유닛(20)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상이한 지역망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버 중 각 서버로 현장설비의 현장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단말유닛(20)은 서버로부터 각 현장설비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을 각 현장설비(1)에 전달하여, 서버로 하여금 각 현장설비(1)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ceives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1, analyzes the field data of the received field facility 1, identifies the type of field data, To a hub or switch device or server belonging to the < / RTI >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classify and transmit the field data of the field facility to each server among a plurality of servers disposed in different regional networks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ceives control commands for the respective field equipments from the serv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s to the respective field equipments 1 so that the server can control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1 Let's do it.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와 통신링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링크를 통하여 각 현장설비(1)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단말유닛(20)은 RS-232 통신, RS-485 통신, 아날로그 통신, 디지털 통신, Ethernet 등과 같은 방식으로 현장설비(1)와 통신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The remote terminal unit 2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link with each field facility 1 and receives field data from each field facility 1 via a set communication link.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link with each field facility 1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link with the field facility 1 in a manner such as RS-232 communication, RS-485 communication, analog communication, digital communication, Ethernet, and the like.

또한,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를 각 서버의 종류에 따라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현장설비(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각 현장설비(1)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제 1 지역망의 HMI 서버(8)로 전송하여 각 현장설비(1)의 동작 상태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process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field facility 1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server. For example,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alyzes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field facility 1 to determine whether each field facility 1 is operating normally, and determines whether each field facility 1 The operation state data can be generated.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the operation state data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field facility 1 to the HMI server 8 of the first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tate of each field facility 1 to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It can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원격단말유닛(20)은 각 현장설비(1)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현장설비(1)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의 변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장설비가 유량계의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은 파이프에 흐르는 유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고, 압력계의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은 파이프의 압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그래프를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HMI 서버(8)로 전송하고, HMI 서버(8)는 그래프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단말유닛(20)은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연산하는 등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HMI 서버(8)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remote terminal unit 20 may analyze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field facility 1 to generate a graph of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each field facility 1. [ When the field facility is a flow meter,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generate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flow rate flowing in the pipe in real time. In the case of the pressure gauge,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change the pressure of the pipe in real time You can create a graph to represent.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processing data representing the generated graph to the HMI server 8, and the HMI server 8 can output the graph and provide it to the manager.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perform a process such as analyzing or calculating the field data of the field facility 1, and transmit the generated process data to the HMI server 8.

각 지역망에 위치된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7)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7)와 연결된 각 서버로 라우팅한다.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7)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로 분류 및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역망의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는 광역망을 통하여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 및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데이터 및 처리데이터의 목적지 서버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9)와 HMI 서버(8)로 라우팅한다.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중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라우팅하고, 처리데이터는 HMI 서버(8)로 라우팅한다. 제 2 지역망의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영상 서버(10)로 라우팅한다. The hubs or switch devices 6 and 7 located in each local network receive data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route the received data to each server connected to the hub or switch device 6,7. The hub or switch devices (6, 7) serve to classify and relay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the serve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of the first area network receives the field data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via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received field data and the destination of the processing data And routes it to the database server 9 and the HMI server 8 based on the address of the server.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routes the on-site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out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the database server 9 and routes the processed data to the HMI server 8. A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of the second area network receives the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the image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routes the received field data to the video server (10).

제 1 지역망에 위치된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하고,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처리데이터를 HMI 서버(8)로 전송한다. 제 2 지역망에 위치된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영상 서버(10)로 전송한다.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located in the first area network transmit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the database server 9 and transmits And transmits the processed data to the HMI server 8.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located in the second area network transmit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the video server 10.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중 전력량계, 수압계, 압력계 등과 같이 현장의 전력량, 수압, 압력 등 현장의 특정 상태를 측정하는 현장설비(1)로부터 각 현장설비(1)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원격단말유닛(20)에서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The database server 9 receives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stores the measurements indicated by the received field data in the storage of the database server 9. The database server 9 receives data from a field facility 1 for measuring a specific state of a field such as a power meter, a hydraulic meter, a pressure gauge or the like among a plurality of the field equipments 1, Receives the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value, and stores the received measured value in the storage of the database server 9. [ The database server 9 receives and stores the unprocessed data in the remote terminal unit 20.

영상 서버(10)는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영상 서버(10)와 연결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영상 서버(10)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영상 서버(10)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중 카메라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는 현장설비로부터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상 서버(10)는 수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video server 10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hub or the switch device 7 and outputs the received data through the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server 10 or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of the video server 10 . The video server 10 receives on-site data representing an image from a field facility for photographing an image, such as a camera, among a plurality of the field facilities 1. The video server 10 may output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received image to an administrator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by using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a printer, or the like.

HMI 서버(8)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처리된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처리데이터를 그래프, 다이어그램, 이미지 등을 통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HMI 서버(8)는 원격단말유닛(20)로부터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HMI 서버(8)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현장설비(1) 중 펌프와 유량계에 대한 처리데이터를 수신하여, 펌프가 현재 동작중이라는 사실과 현재 펌프에 흐르는 유속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HMI server 8 receives the processing data processe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provides the received processing data to the manager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rough a graph, a diagram, an image, and the like. The HMI server 8 receives the processing data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outputs the current state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based on the processing data. For example, the HMI server 8 receives the processing data for the pump and the flow meter in the field facility 1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informs the manager of the fact that the pump is currently operating and the flow rate flowing in the present pump .

또한, HMI 서버(8)는 관리자로부터 각 현장설비(1)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각 현장설비(1)의 제어명령을 마스터 중계 장치와 원격단말유닛을 통하여 각 현장설비(1)로 전송할 수 있다. HMI 서버(8)는 입력된 제어명령을 원격단말유닛(20)을 통하여 각 현장설비로 전송함으로써, 각 현장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HMI server 8 can receive control commands for the respective field equipments 1 from the manager, and transmit control commands of the inputted field equipments 1 to the respective field equipments 1 through the master relay device and the remote terminal units (1). The HMI server 8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field facility by transmitting the input control command to each field facility through the remote terminal unit 20. [

도 3의 도 2에 도시된 원격단말유닛의 구성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단말유닛(20)은 복수 개의 현장설비(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01), 각 현장설비(1)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202),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을 관리하는 채널관리부(203) 및 패킷을 광역망을 통하여 상이한 지역망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204)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terminal unit shown in FIG. 2 of FIG. 3. FIG. 3,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201 for receiving data from a plurality of the field equipments 1, a data analyzing unit 202 for analyzing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1, A channel management unit 203 for managing multi-channels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paths to a plurality of servers, and a communication unit 204 for transmitting the packets to a plurality of servers arranged in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a wide area network.

원격단말유닛(20)의 데이터 수신부(201)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201)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각각과 설정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각 현장설비(1)로부터 각 현장설비(1)에 의해 생성된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201)는 각 현장설비(1)로부터 수신한 현장데이터를 데이터 분석부(210)로 입력한다. The data receiving unit 201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ceives the field data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e field equipments 1. The data receiving unit 201 receives the site data generated by each site facility 1 from each site facility 1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establish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ite facilities 1. The data receiving unit 201 inputs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each field facility 1 to the data analysis unit 210.

데이터 분석부(202)는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된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현장데이터를 분석하고,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석부(202)는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데이터의 타입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현장설비(1)는 압력계, 유량계, 수위계 등과 같이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설비, 카메라 등과 같이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설비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가 현장의 압력, 전력, 수위 등과 같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인지,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지 등을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현장데이터가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인지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 인지를 식별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채널 관리부(203)로 입력한다.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inputted from the data reception unit 201, thereby identifying the type of field data.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the field data and identifies the type of the field data. More specifically,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the type of data represented by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For example, the field facility 1 includes on-site facilities for generating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measured values such as pressure gauges, flow meters, water gauges, etc., and on-site facilities for generating field data representative of images such as cameras.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whether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is data indicating measured values such as pressure, electric power, water level, etc., data indicating an image, and the like. The data analysis unit 202 identifies the type of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data analysis unit 202 identifies whether the field data is a data type indicating a measurement value or a data type indicating an image. The data analysis unit 202 inputs the type of the identified field data to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단말유닛(20)은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수신된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된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취합, 계산, 파일화 등의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연산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현장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력계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전력값을 모두 합산하여 현장에서 사용되는 총전력량을 계산하고, 총전력량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terminal unit 20 further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The data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field data of the field facility 1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201. The data processing section can collect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input from the data receiving section 201, perform arithmetic processing such as calculation and filing, and generate processing data indicating the arithmetic processing result.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power used in the field by summing all the power values indicated by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meters installed in the field, and generate the processing data indicat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또한, 데이터 처리부는 각 현장설비(1)로부터 전송되는 현장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현장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각 현장설비(1)가 정상 또는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이 현장설비의 측정값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현장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이 정상범위 내인 경우 해당 현장설비의 동작이 정상이라고 결정하고, 해당 현장설비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생성한다. 반대로, 데이터 처리부는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이 정상범위 밖인 경우 해당 현장설비의 동작이 비정상이라고 결정하고, 해당 현장설비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데이터 분석부(202)로 입력한다. 데이터 분석부(202)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데이터가 데이터 처리부에서 연산 처리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처리데이터 타입임을 식별한다. The data processing sec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operates normally based on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1), and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processing data indicating that each of the field equipments (1) Lt; / RTI >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ment value indicated by the field data of the field facility 1 is compared with the normal ran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field facility to determine whether the field facility is operating normally.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evant field facility is normal when the measured value indicated by the field data is within the normal range, and generates the process data indicating that the relevant field facility is norm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value indicated by the field data is outside the normal range, the data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evant field facility is abnormal and generates the process data indicating that the field facility is abnormal. The data processing unit inputs the generated processing data to the data analysis unit 202.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the processing data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identifies that the processing data is a processing data type indicating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채널 관리부(203)는 데이터 분석부(202)에 의해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각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관리부(203)는 데이터 분석부(202)에서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채널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채널이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경로에 해당하며, 출발지와 목적지를 가지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널은 원격단말유닛(20)과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각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단말유닛(202)으로부터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및 HMI 서버(8)로 연결되는 제 1 채널,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연결되는 제 2 채널, 및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 및 영상 서버(10)로 연결되는 제 3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manages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paths from a remote terminal unit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a wide area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ield data ident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202 Determine at least one channel to transmit each field data, and obtain the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a channel through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ident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202. In this specification, a channel corresponds to a communication path for transmitting dat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node having a source and a destination, and relaying data between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 this embodiment, a channel means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each server belonging to a different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the remote surveillance control system shown in FIG. 2 may include a first channel, a first hub, or a switch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2 6 and a database server 9, and a third channel connected to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video server 10.

채널 관리부(203)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기초하여 원격단말유닛(20)과 연결된 멀티채널 중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한다. 채널 관리부(203)는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각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를 결정하고, 결정된 서버가 포함된 채널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관리부(203)는 광역망을 거쳐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와 복수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데이터 타입 별로 매핑(mapping)되어 기록된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한다. 여기서, 노드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 또는 통신처리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및 서버들을 포함한다.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at least one channel to transmit the field data among the multi-channels connected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based on the type of the field data identified.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final destination to which each site data is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ite data, and determines a channel including the determined server.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refers to the channel table recorded by mapping the address of the node for connecting to each local network via the wide area network and the address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by data type And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multi-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of field data identified. Here, the node is a terminal device or a communic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hub or a switch device, and servers.

채널 테이블은 원격단말유닛(20)의 스토리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고, 채널 테이블은 현장데이터의 타입 별로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채널과 각 채널에 포함되는 노드들의 어드레스가 매핑되어 기록되어 있다. 채널 테이블은 각 채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예를 들어, 서버, 서버가 속해 있는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 등)의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테이블은 데이터 타입 별로 해당 데이터 타입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 기록되고, 각 채널의 최종 목적지 서버의 어드레스, 및 해당 데이터 타입의 최종 목적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들의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는 각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각 지역망의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를 포함하고,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는 각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의 어드레스 및 각 지역망의 VPN 서버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고정 IP 어드레스, 사설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TCP/UDP 포트 번호 등을 포함한다. The channel tabl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not shown)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he channel table maps the channels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and the addresses of the nodes included in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type of field data. The channel table records the addresse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each channel (for example, a server, a node for connecting to a local network to which the server belongs, etc.).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table stores a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ata type for each data type, records the address of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of each channel, and at least one node to be connected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of the corresponding data type Address is recorded. A node for accessing each local network includes a hub or a switch device of each local network and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server of each local network. The address of a node for connecting to each local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The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device of the local network and the address of the VPN server of each local network. Here, the address includes a fixed IP address, a private IP address, a MAC address, a TCP / UDP port numb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채널 테이블은 제 1 데이터 타입에 제 1 채널이 매핑되고, 복수 개의 서버 중 제 1 채널에 최종 목적지인 제 1 서버가 속해 있는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의 IP 어드레스, 및 제 1 서버의 TCP/UDP 포트 번호가 제 1 채널에 함께 기록되어 있고, 제 2 데이터 타입에 제 2 채널이 매핑되고, 복수 개의 서버 중 제 2 채널에 최종 목적지인 제 2 서버가 속해 있는 가상사설망의 VPN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제 2 서버의 사설 IP 어드레스가 제 1 채널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tab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hannel is mapped to the first data type, the IP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device of the local network to which the first server,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And the TCP / UDP port number of the first server are recorded together in the first channel, the second channel is mapped to the second data type, and the second server,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belongs to the second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e IP address of the VPN server of the virtual private network, and the private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er are recorded together in the first channel.

예를 들어, 채널 테이블에는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대하여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구성되는 제 1 채널이 매핑되고, 제 1 채널에 포함된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가 매핑된 제 1 채널 부분에 함께 기록된다. 여기서 제 1 채널의 최종 목적지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9)이고,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는 데이터베이스 서버(9)에 접속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노드이다. 채널 테이블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대하여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로 구성되는 제 2 채널이 매핑되고, 제 2 채널에 포함된 제 2 허브 스위치 장치(7)의 어드레스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가 매핑된 제 2 채널 부분에 함께 기록되고, 데이터 처리부에서 연산 처리된 처리데이터의 타입에 대하여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로 구성되는 제 3 채널이 매핑되고, 제 3 채널에 포함된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가 매핑된 제 3 채널 부분에 함께 기록된다. For example, in the channel table, a first channel composed of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is mapped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indicating the measured value, and the first channel included in the first channel The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are recorded together in the first channel portion to which they are mapped. Here,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of the first channel is the database server 9, and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is the node which must go through to access the database server 9. [ A second channel composed of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image server 10 is mapped to the type of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in the channel table and the second hub switch device 7 And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are mapped to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and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are connected to the type of process data processed and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And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included in the third channel and the address of the HMI server 8 are mapped together in the third channel part.

채널 관리부(203)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과 채널 테이블에 기초하여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채널 관리부(203)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인 경우,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로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채널 관리부(203)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인 경우,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로 영상 서버(10)를 결정하고, 영상 서버(10)를 포함하는 제 3 채널을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관리부(203)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처리데이터로 식별된 경우,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처리데이터의 최종 목적지로 HMI 서버(8)를 결정하고, HMI 서버(8)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처리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a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based on the type of field data identified and the channel table.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ed type of field data is a data type indicating a measured value,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e database server 9 a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field data indicating the measured value with reference to the channel table, The second channel including the database server 9 can be determined as a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e video server 10 a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by referring to the channel table when the identified type of field data is a data type representing the im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hird channel including the channel as the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e HMI server 8 a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processing data by referring to the channel table when it is identified by the processing data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channel can be determined as a channel for transmitting processing data.

또한, 채널 관리부(203)는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채널 관리부(203)는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및 서버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관리부(203)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제 1 채널을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한 경우,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채널 관리부(203)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통신부(204)로 입력한다. Also,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btains the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the determined channel by referring to the channel table.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btains the address of the hub or the switch device and the server included in the chann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dentified field data. 2, whe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first channel including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is a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value, 1 address of the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are acquired.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inputs the acquired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to the communication unit 204.

통신부(204)는 현장설비(1)로부터 수신된 현장데이터에 대하여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복수 개의 서버 중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채널 관리부(203)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통신부(204)는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각각과 인터넷과 같은 광역망(WAN, Wide Area Network)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한다.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패킷의 바디(body)에 현장데이터가 포함되는 패킷을 생성한다. 통신부(204)는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 경우,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패킷의 바디에 측정값이 포함되는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204)는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제 2 채널을 통하여 생성된 패킷을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04 acquires, via the channel determined by the field data received from the field facility 1,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field data received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b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Based on the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that has been determin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 communication unit 204 establishes a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and a wide area network (WAN) such as the Internet.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an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the determined channel in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in the body of the packet. The communication unit 204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field data is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d value,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in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measured value in the body of the packet. Then, the communication unit 204 transmits the packet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including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04)는 패킷 생성모듈(2041), 유선통신모듈(2043), 무선통신모듈(2044), 스위칭모듈(2043), 및 스위칭 제어모듈(2045)을 포함한다. 패킷 생성모듈(2041)은 채널 관리부(203)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각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패킷 생성모듈(2041)은 각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즉 최종 목적지 서버 및 최종 목적지 서버가 속해 있는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를 헤더 부분에 포함하고, 현장데이터를 바디 부분에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a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a switching module 2043, and a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includes an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obtained b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each field data.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includes an address of a node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a chann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field data, i.e., a node to which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and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belong, in the header portion ,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in the body part.

예를 들어, 채널 관리부(203)에서 현장데이터가 측정값을 나타내는 타입으로 식별되어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구성되는 제 1 채널을 결정하고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획득한 경우, 패킷 생성모듈(2041)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제 1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은 헤더 부분에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바디 부분에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한다. 패킷 생성모듈(2041)은 생성된 패킷을 스위칭모듈(2042)로 입력한다.For example, i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the field data is identified as a type indicating the measured value, so as to determine a first channel constituted by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When the address of the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are acquired,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generates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value to the database server 9 via the first channel. The packet for transmission to the database server 9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in the header part and includes the field data indicating the measured value in the body part.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inpu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switching module 2042.

또한, 채널 관리부(203)에서 현장데이터가 이미지를 나타내는 타입으로 식별되고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로 구성되는 제 2 채널을 결정하고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획득한 경우, 패킷 생성모듈(2041)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제 2 채널을 통하여 영상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한다. 영상 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은 헤더 부분에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의 어드레스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바디 부분에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한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in the channel management section 203 the second channel in which the field data is identified as a type representing the image and which is constituted by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video server 10 and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generates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o the video server 10 through the second channel. The packet for transmission to the video server 10 includes the address of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in the header portion and include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in the body portion.

또한, 채널 관리부(203)에서 처리데이터의 타입으로 식별되고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로 구성되는 제 3 채널을 결정하고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획득한 경우, 패킷 생성모듈(2041)은 처리데이터를 제 3 채널을 통하여 HMI 서버(8)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생성한다. HMI 서버(8)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은 헤더 부분에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바디 부분에 처리데이터를 포함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a third channel identified by the type of process data i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and constituted by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and to determine the third channel constituted by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When the address of the server 8 is acquired,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generates a packet for transferring the processing data to the HMI server 8 via the third channel.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HMI server 8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HMI server 8 in the header part and includes processing data in the body part.

스위칭모듈(2042)은 원격단말유닛(20)이 광역망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사이에서 통신방식을 스위칭(switch)한다. 스위칭모듈(2042)은 유선통신과 무선통신 사이에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고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되는 패킷을 유선통신모듈(2043) 또는 무선통신모듈(2044)로 입력한다. 스위칭모듈(2042)은 스위칭 제어모듈(2045)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칭모듈(2042)이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으로 변경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유선통신모듈(2043)로 입력한다. 스위칭모듈(2042)이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으로 변경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무선통신모듈(2044)로 입력한다.The switching module 2042 switches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wide area network. The switching module 2042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between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puts a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trolled by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changes the communication mode to wired communication,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changes the communication mode to wireless communication,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스위칭모듈(2042)의 통신방식 스위칭을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의 상태에 기초하여,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할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고,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한다.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controls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switching module 2042. [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to either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state of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 More specifically,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disabled,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d communic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disabled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trolled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스위칭모듈(2042)이 유선통신모듈(2043)로 연결된 경우, 유선통신모듈(2043)이 복수 개의 서버 중 임의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요청 프레임 또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이 정상인지 불능인지 결정한다.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스위칭모듈(2042)이 무선통신모듈(2044)로 연결된 경우, 무선통신모듈(2044)이 복수 개의 서버 중 임의의 서버로부터 데이터 요청 프레임 또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이 정상인지 불능이지 결정한다. 스위칭제어모듈(2045)은 스위칭모듈(2042)이 연결된 유선통신모듈(2043) 또는 무선통신모듈(2044)에서 데이터 요청 프레임 또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스위칭모듈(2042)과 연결된 유선통신모듈(2043) 또는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통신이 불능이라고 결정한다.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determines whether a data request frame or an acknowledgment frame is received from any of the plurality of serve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normal or not. 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receives a data request frame or an acknowledgment frame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normal or impossible.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module 2042 when the data request frame or the acknowledgment frame is not received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o which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n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by the module 204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disabled.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단말유닛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무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패킷을 각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반대로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유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패킷을 각 서버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가 불능인 경우 정상인 다른 하나의 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함으로써, 일부 통신이 불능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단말유닛(20)의 일부 통신 기능이 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서버와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d communic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when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disabled.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when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disabled.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disabled, the remot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packet to each serv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switched by wired communication and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each server by wire. When either one of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disable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switched to another communication which is normal, so that the packet can be transmitted stably even if som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Even if som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s disable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can be maintained.

또한,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한다.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은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 중 어떠한 것으로도 서버로 현장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의 통신 요금을 비교하면, 유선통신의 경우 통신속도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고 무선통신의 경우 패킷의 전송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선통신은 통신속도가 빠를수록 통신요금이 비싸지지만 패킷의 전송량이 많아지더라도 통신요금이 비싸지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무선통신은 패킷의 전송량에 따라 통신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패킷의 전송량이 많아질수록 통신요금이 비싸진다. 이러한 통신요금의 차이에 따라, 무선통신과 유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유선통신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무선통신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과 비교하여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격단말유닛(20)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한다.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to wired communica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3 are normal do.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an transmit the field data to the server in any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Generally, when the communication charges of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compared, in the case of the wired communication, the char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peed, and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harge is impo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acket transmission. More specifically, in wired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speed,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ee, but the communication fee does not become higher even if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packet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fee is charg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packet, so that the communication fee becomes higher as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packet increas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communication charges, when b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d communication are normal,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by the wired communication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cost compared to the packet transmiss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ly,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의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통신 품질이 더 높은 통신방식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모듈(2042)은 현재 패킷을 전송하고 있는 통신방식의 통신품질을 결정하고, 현재 통신방식의 품질이 일정수준 이하인 경우 다른 통신방식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품질은 통신부(204)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데이터 패킷의 손실률 및 QoS(Quality of Servic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204)는 통신부(204)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통신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수신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통신부(204)는 현재 통신방식의 통신품질이 나쁘다고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performs the communication method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during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2 may determine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scheme in which the packet is currently being transmitted and may control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to another communication scheme when the quality of the current communication scheme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communication quality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 loss rate of a data packet, and quality of service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04 can determine the communication quality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4. [ When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mmunication section 204 can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current communication method is bad.

예를 들어, 원격단말유닛(20)의 무선통신모듈(2044)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무선통신의 통신품질이 나쁘다고 결정하고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원격단말유닛(20)의 유선통신모듈(2043)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손실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의 통신품질이 나쁘다고 결정하고,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bad, The switching module 2042 can be controlled to switch from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Conversely, when the loss rate of the data packet received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d communication is bad, Lt; RTI ID = 0.0 > 2042 < / RTI >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모듈(2042)은 무선통신의 통신품질과 유선통신의 통신품질을 비교하고, 유선통신의 통신품질 및 무선통신의 통신품질 중 더 높은 통신품질을 갖는 통식방식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모듈(2042)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04)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패킷을 각 서버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2 compare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witching module 2042 to switch.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204 transmits packets to each server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유선통신모듈(2043)은 생성된 패킷을 광역망으로 유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유선통신모듈(2043)은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방식으로 광역망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유선통신모듈(2043)은 생성된 패킷을 유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서로 다른 지역망에 위치된 각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모듈(2043)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유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하여,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 1 지역망에 속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한다. 유선통신모듈(2043)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유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 2 지역망에 속해 있는 영상 서버(10)로 전송한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by wire to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wired to a wide area network in a manner such as Ethernet.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s to the wide area network by wire, so that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is transmitted to each final destination server located in different regional networks. For exampl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representing a measured value to a wide area network by wire, and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representing a measured value to a database server (9).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ransmits the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o the wide area network by wired line and transmits the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o the video server 10 belonging to the second area network .

무선통신모듈(2044)은 생성된 패킷을 광역망으로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무선통신모듈(2044)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WCDMA, LTE 등과 같은 방식으로 광역망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무선통신모듈(2044)은 생성된 패킷을 무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서로 다른 지역망에 위치된 각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모듈(2044)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무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하여,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 1 지역망에 속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전송한다. 무선통신모듈(2044)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무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하여,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제 2 지역망에 속해 있는 영상 서버(1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de area network in a manner such as a wireless LAN (WLAN), a WiFi, a Bluetooth, a WCDMA, and an L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thereby transmitting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to each final destination server located in different regional network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d value to a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representing a measured value to a database server (9).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o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image to the video server 10 belonging to the second area network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부(202)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통신부(204)에 입력한다. 또한, 처리데이터의 헤더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통신부(204)는 처리데이터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하여 HMI 서버(8)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04)는 처리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2044) 또는 유선통신모듈(2043)을 이용하여 HMI 서버(8)로 전송한다. 유선통신모듈(2043)이 불능인 경우 무선통신모듈(2044)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HMI 서버(8)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반대로 무선통신모듈(2044)이 불능인 경우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HMI 서버(8)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unit 202 inputs, to the communication unit 204, a packet including processing data generated based on the field data of each site facility 1 in the data processing unit. In addition, the header of the processing data includes the address of the HMI server 8 of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e communication unit 204 transmits the process data to the HMI server 8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204 transmits the process data to the HMI server 8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or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disable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swit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o wirelessly transmit the packet including the processing data to the HMI server 8, and conversely,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disable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to wire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packet including processing data to the HMI server 8 by wire.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각 현장설비(1)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망을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9)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측정값을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The database server 9 receives the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measured value of each field facility 1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stores the measured value indicated by the field data in the storage of the database server 9 do. The database server 9 receives the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wirelessly or by wire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the like. The database server 9 stores the measurement value indicated by the field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in the storage.

영상 서버(10)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영상 서버(10)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광역망을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영상 서버(10)는 현장데이터가 나타내는 이미지를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 서버(10)는 수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The video server 10 receives a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representing an image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 The video server 10 receive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representing an image wirelessly or wired through a wide area network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d the video server 10 transmits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field data to a monitor, Output using the same output device. Also, the video server 10 stores the field data representing the received image in the storage.

HMI 서버(8)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원격단말유닛(20)에서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HMI 서버(8)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되는 처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HMI 서버(8)가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현장에서 사용되는 총전력량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 경우, HMI 서버(8)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총전력량을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또는, HMI 서버(8)가 어느 하나의 현장설비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 경우, HMI 서버(8)는 경보를 울려 현장설비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HMI server 8 receives a packet including processing data generated in the remote terminal unit 20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 The HMI server 8 outputs the current state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based on the processing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For example, when the HMI server 8 receives a packet containing processing data indicat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used in the field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he HMI server 8 outputs the total amount of power used in the field And outputs it to the manager of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lternatively, when the HMI server 8 receives a packet including processing data indicating that any one of the field facilities is abnormal, the HMI server 8 alerts an alarm to indicat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ield facility, .

도 4는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식별하고 분류하여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중 각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원격단말유닛(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each server among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Each of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remote terminal unit 20.

401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데이터 수신부(201)는 복수 개의 현장설비(1) 각각으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한다. 각 현장설비(1)는 현장설비가 측정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현장설비(1)와 연결된 원격단말유닛(20)으로 전송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데이터 수신부(201)는 수신된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데이터 분석부(202)로 입력한다. In step 401,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ceives the field data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e field equipments 1. The data receiving unit 201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ceives the field data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eld equipments 1. Each on-site facility 1 generates on-site data indicative of on-site data or images representing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on-site facility and transmits the on-site data to the remote terminal unit 20 connected to each on-site facility 1. The data receiving unit 201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nputs the field data of each received field facility 1 to the data analysis unit 202.

402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수신된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데이터 분석부(202)는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석부(202)는 현장데이터가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지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지 분석하고,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지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지 식별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202)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각 현장설비(1)의 현장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고, 생성된 처리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가 연산 처리된 값을 나타내는 처리데이터인지를 식별한다.In step 402,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dentifies the type of field data by analyzing the field data of the received field facility 1. The data analysis unit 202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nalyzes the type of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More specifically,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alyzes whether the field data is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ment value or field data indicating an image, and if the type of field data is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ment value or field data indicating an image . In addition, the data analyzing unit 202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on the field data of each field facility 1 in the data processing unit, analyzes the generated processing data, and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data is processing data representing the arithmetic processed value.

403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채널 관리부(203)는 데이터 분석부(202)에서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기초하여,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의 멀티채널 중 해당 현장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단말유닛(20)의 채널 관리부(203)는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장데이터가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으로 식별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9)가 포함된 채널을 측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의 채널로 결정한다. 채널 관리부(203)는 현장데이터가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으로 식별된 경우, 영상 서버(10)가 포함된 채널을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의 채널로 결정한다. 또한, 채널 관리부(203)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처리데이터로 데이터 타입이 식별된 경우, HMI 서버(8)가 포함된 채널을 처리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의 채널로 결정한다. In step 403, the remote terminal unit 20 determines at least one channel among the multi-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aths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dentified field data .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fers to the channel table based on the type of the field data ident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202 and determines the channel numb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ers The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field data is determined.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refers to the channel table and, when the field data is identified as a data type indicating a measurement value, It is determined as a data type channel. When the field data is identified as a data type representing an image,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a channel including the image server 10 as a channel of a data type representing an image. In addition, when the data type is identified by the processing data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e channel including the HMI server 8 as the channel of the data type of the processing data.

404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채널 관리부(203)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포함되는 노드들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널 관리부(230)는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노드들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채널 관리부(203)는 원격단말유닛(20)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서버까지의 통신경로인 각 채널에 포함되는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및 서버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채널 관리부(203)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채널을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한 경우, 채널 관리부(203)는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채널 관리부(203)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 및 HMI 서버(8)를 포함하는 채널을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한 경우, 채널 관리부(203)는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또한, 채널 관리부(203)가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 및 영상 서버(10)를 포함하는 채널을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결정한 경우, 채널 관리부(203)는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의 어드레스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In step 404, the remote terminal unit 20 obtains the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acquires the addresses of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30 refers to the channel table to acquire the addresses of the nodes included in the determined channel.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obtains addresses of hubs or switch devices and servers included in each channel, which is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o a server belonging to different regional networks via a wide area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channel including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is a channel for transmitting a packet,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hub The address of the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are acquired. Whe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channel including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is a channel for transmitting a packet,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controls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HMI server 8 are acquired. Whe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channel including the second hub or the switch device 7 and the video server 10 is a channel for transmitting a packet,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controls the second hub, (7) and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405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복수 개의 서버 중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결정된 채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패킷의 바디(body)에 현장데이터가 포함되는 패킷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 경우,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패킷의 바디에 측정값을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현장데이터의 타입이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인 경우,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의 어드레스 및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패킷의 바디에 이미지를 나타내는 현장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처리데이터의 타입인 경우, 통신부(204)는 패킷의 헤더에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1)의 어드레스 및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패킷의 바디에 처리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In step 405,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site data to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site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o the address of the obtained at least one node . The communication unit 204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includes an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the determined channel in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field data in the body of the packet.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field data is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d value,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the switch device 6 and the address of the database server 9 in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field data indicating a measurement value in the body of the packet. When the type of the field data is field data representing an image,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the address of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address of the video server 10 in the header of the packet, Lt; RTI ID = 0.0 > field data. ≪ / RTI > In the case of the type of process data, the communication unit 204 includes the address of the second hub or the switch device 1 and the address of the HMI server 8 in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includes the processing data in the body of the packet And generates a packet.

406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통신부(204)는 패킷 생성모듈(2041)에서 생성된 패킷을 채널 관리부(203)에서 결정한 채널을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모듈(2042)이 유선통신모듈(2043)과 연결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유선통신모듈(2043)로 입력하고 유선통신모듈(2043)은 유선으로 생성된 패킷을 광역망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스위칭모듈(2042)이 무선통신모듈(2044)과 연결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무선통신모듈(2044)로 입력하고 무선통신모듈(2044)는 무선으로 생성된 패킷을 광역망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In step 406,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The communication unit 204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the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wirelessly or by wire through the channel determined by the channel management unit 203. [ More specifically, 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2043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When the switching module 2042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To the wide area network,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406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4061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의 상태에 기초하여 패킷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원격단말유닛(20)의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의 상태에 기초하여,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할지를 결정한다.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transmitting the packet shown in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determined channel. Referring to FIG. 5, step 406 shown in FIG. 4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In step 4061, the remote termina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packet wirelessly or by wire based on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d communication.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performs the communication by either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And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he scheme.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단말유닛(20)의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유선통신모듈(2043)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여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결정하고, 무선통신모듈(2044)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여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여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disabled,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o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d communic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so as to wirelessly transmit the packet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disabled, it decides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and transmit the packet by wire. In addi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and decides to transmit the packet by wi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통신모듈(2043) 및 무선통신모듈(2044)가 모두 정상인 경우, 스위칭 제어모듈(2045)은 무선통신의 통신품질과 유선통신의 통신품질을 비교하고, 유선통신의 통신품질 및 무선통신의 통신품질 중 더 높은 통신품질을 갖는 통식방식으로 스위칭하여 현장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무선통신모듈(2044)과 유선통신모듈(2043) 사이에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스위칭 제어모듈(2045) 및 스위칭모듈(2042)과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스위칭 제어모듈(2045)이 생성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유선통신모듈(2043)로 입력하고, 스위칭 제어모듈(2045)이 생성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무선통신모듈(2044)로 입력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are normal,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compare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switched in a communicative manner with a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to decide to transmit the field data. The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mod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an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5 and the switching module 2042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nd outputs the packet to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2043. [ The switching module 2042 inpu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

4061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이 생성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4062 단계로 진행하고, 원격단말유닛(20)이 생성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한 경우 4063 단계로 진행한다. 4062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생성된 패킷의 최종 목적지 서버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4061 단계에서 유선통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유선으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061 단계에서 생성된 패킷을 유선통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고,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유선통신모듈(2043)로 입력한다. 유선통신모듈(2043)은 입력된 패킷을 광역망으로 유선으로 전송함으로써,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유선통신모듈(2403)은 패킷 생성모듈(2041)에서 생성된 패킷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한다. In step 4061, i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determines to transmit the generated packet by wi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62. If the remote terminal unit 20 determines to transmit the generated packet by wireles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063 do. In step 4062,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by wire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of the packet generated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In step 4061,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the remote terminal unit 20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by wire.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packet generated in step 4061 to the wired communication, the switching module 2042 switches the communication method from wired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packe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And inputs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43.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transmits wired packets to the wide area network through the input packet,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403 transmits a packet generated based on the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the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to the wired network.

예를 들어, 패킷이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유선통신모듈(2043)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한다. 패킷이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유선통신모듈(2043)은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영상 서버(10)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이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유선통신모듈(2043)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HMI 서버(8)로 패킷을 유선으로 전송한다. For example, if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the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To the database server 9,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channel 10 including the video server 10 when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video server 10. [ To the video server 10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043 also includes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when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To the HMI server 8,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4063 단계에서,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생성된 패킷의 최종 목적지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4061 단계에서 생성된 패킷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원격단말유닛(20)은 생성된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061 단계에서 생성된 패킷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기로 결정된 경우, 스위칭모듈(2042)은 통신방식을 유선통신에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고, 패킷 생성모듈(2041)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무선통신모듈(2044)로 입력한다. 무선통신모듈(2044)은 입력된 패킷을 무선으로 광역망으로 전송함으로써, 패킷을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 무선통신모듈(2044)은 패킷 생성모듈(2041)에서 생성된 패킷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In step 4063, the remote terminal unit 20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of the packet generated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If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packet generated in step 406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terminal unit 20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packet generated in step 406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witching module 2042 switches the communication method from wired communic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puts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44.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the input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thereby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final destination server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wirelessly transmits a packet generated based on the address of at least one node included in the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2041.

예를 들어, 패킷이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2044)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데이터베이스 서버(9)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데이터베이스 서버(9)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패킷이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2044)은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7)와 영상 서버(10)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영상 서버(10)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이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2044)은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6)와 HMI 서버(8)를 포함하는 채널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인 HMI 서버(8)로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For example, if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database server 9, To the database server 9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When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and the video server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is connected to the second hub or switch device 7, To the video server 10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44 also includes a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an HMI server 8 if the packet includes the address of the first hub or switch device 6 and the HMI server 8 To the HMI server 8,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단말유닛은 현장데이터로부터 전송된 현장데이터를 현장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단말유닛은 현장데이터를 분류하여 각 서버에서 필요한 현장데이터를 각 서버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종래의 원격단말유닛이 하나의 서버와만 연결되어 모든 현장데이터를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다른 서버로 다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격단말유닛을 포함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단말유닛에서 현장데이터를 분류하여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고,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 각각으로의 채널을 통하여 직접 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종래의 원방감시제어시스템보다 신속하게 현장데이터를 각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맞추어 각 현장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terminal unit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can classify the field data transmitted from the field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and transmit the classified field data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ers of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e remot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field data and directly transmits the field data necessary for each server to each server so that the conventional remote terminal unit is connected to only one server and transmits all field data to the connected serv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rver transmits data again to another server. Accordingly,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remot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field data in the remote terminal unit, identifies the type of the field data, and transmits the local data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ers It is possible to directly transmit the field data to the server that needs the field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by transmitting the data directly to each ser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단말유닛이 무선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무선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 중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각 서버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단말유닛은 보다 안정적으로 서버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terminal unit includes b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even if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fails, And can transmit packets to each server by switching. Accordingly, the remote terminal unit can more reliably transmit the packet to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단말유닛에서 유선통신의 고장으로 인하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던 중 유선통신이 복구된 경우, 통신방식을 무선통신에서 유선통신으로 다시 통신방식을 스위칭하여 유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원격단말유닛이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통신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ired communication is restored while data is transmitted to a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ue to failure of wired communication in a remote terminal unit, the communication method is changed from wireless communication to wired communication,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wired communication.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mote terminal unit from imposing excessive communication charges that may occur in the remote surveillance control system due to data transmiss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격단말유닛에서 통신품질이 높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항상 최상의 통신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data to the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having a high communication quality in the remote terminal unit,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the best communication quality in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현장설비 2, 20: 원격단말유닛
201: 데이터 수신부 202: 데이터 분석부
203: 채널 관리부 204: 통신부
4: 제 1 마스터 중계 장치 5: 제 2 마스터 중계 장치
6: 제 1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7: 제 2 허브 또는 스위치 장치
1: field facility 2, 20: remote terminal unit
201: data receiving unit 202: data analyzing unit
203: channel management unit 204:
4: first master relay device 5: second master relay device
6: first hub or switch device 7: second hub or switch device

Claims (9)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단말유닛(Remote Terminal Unit)에 있어서,
복수 개의 현장설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채널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채널 관리부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광역망을 거쳐 상기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복수 개의 데이터 타입 별로 매핑되어 기록된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In a remote terminal unit of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field data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field equipments;
A data analyzer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received field data by analyzing field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iver;
Determines at least one channel among multi-channels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ident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 channel management unit for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And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ield data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a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field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based on the address of the at least one node obtained by the channel management sec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Wherei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refers to a channel table in which addresses of nodes for connecting to the respective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nd addresses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mapped by a plurality of data types, Determining at least one channel of the multi-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eld data, and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는 상기 각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의 어드레스이거나 상기 각 지역망의 VPN 서버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ress of a node for connection to each local network is an address of a hub or a switch of each regional network or an address of a VPN server of each regional networ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테이블에는 제 1 데이터 타입에 매핑된 제 1 채널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제 1 서버가 속해 있는 지역망의 허브 또는 스위치의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1 서버의 TCP 포트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제 2 데이터 타입에 매핑된 제 2 채널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제 2 서버가 속해 있는 가상사설망의 VPN 서버의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서버의 사설 IP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The method of claim 3,
An IP address of a hub or a switch of a local network to which a first server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included in the first channel mapped to the first data type belongs and the TCP port number of the first server are recorded in the channel table , The IP address of the VPN server of the virtual private network to which the second server belongs in the plurality of servers included in the second channel mapped to the second data type and the private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er are recorded Remote termina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모듈;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광역망으로 유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유선통신모듈;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광역망으로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유선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 사이에서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스위칭(switch)하는 스위칭모듈; 및
상기 스위칭모듈의 통신방식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A packe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packet;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by wir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o the wide area network to transmit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A switching module for switching a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between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d a switch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switching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이 불능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한 무선통신에서 상기 유선통신모듈에 의한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switches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from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to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disabled, And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module is impossible.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통신방식을 상기 유선통신으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remote terminal un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when bot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모듈은 사이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이 모두 정상인 경우,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 중 통신 품질이 더 높은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신방식을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단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witching module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ethod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during the 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both the inter-wired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 normal. Terminal unit.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멀티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단말유닛(Remote Terminal Unit)에서 복수 개의 현장설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단말유닛에 의해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현장데이터의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부터 광역망을 거쳐 서로 다른 지역망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서버까지의 통신 경로에 해당하는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상기 수신된 현장데이터의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역망을 거쳐 상기 각 지역망에 접속하기 위한 노드의 어드레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복수 개의 데이터 타입 별로 매핑되어 기록된 채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현장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멀티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송하는 방법.
A method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in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using multi-channels,
Receiving field data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field facilities at a remote terminal unit of a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Identifying the type of field data by analyzing the field data received by the remote terminal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remote terminal unit to a plurality of servers belonging to different loc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dentified field data;
Obtaining an address of at least one of the nodes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hannel;
Generating a packe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field data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a final destination of the received field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at least one node; 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cket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t least one channel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n address of a node connecting to each of the regional networks via the wide area network and a channel table in which addresses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mapped by a plurality of data types,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channel among the multi-channel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 of the field data.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90005121A 2019-01-15 2019-01-15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KR101968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21A KR101968522B1 (en) 2019-01-15 2019-01-15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21A KR101968522B1 (en) 2019-01-15 2019-01-15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22B1 true KR101968522B1 (en) 2019-04-12

Family

ID=6616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21A KR101968522B1 (en) 2019-01-15 2019-01-15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1017A (en) * 2021-08-14 2021-11-23 三峡大学 Transmission line group tower construction distance field wireless monitor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34A (en) * 2002-03-26 2002-04-17 김정렬 Wireless telemetering system
JP2003229790A (en) * 2001-11-27 2003-08-15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790A (en) * 2001-11-27 2003-08-15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20029034A (en) * 2002-03-26 2002-04-17 김정렬 Wireless telemeter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1017A (en) * 2021-08-14 2021-11-23 三峡大学 Transmission line group tower construction distance field wireless monitoring system
CN113691017B (en) * 2021-08-14 2023-08-01 三峡大学 Wireless monitoring system for long-distance and near-distance field construction of power transmission line tow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318B2 (en) Real-time network analyzer
JP5249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ty network outage detection
CN111052668A (en) Residence time measurement for optimizing network services
US98660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faults and control in an electrical power grid
CN109067592B (en) Intelligent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CN103081410B (en) Communication quality surveillance, communication quality supervision method
US20170295514A1 (en) Communication aggregation system, control device, processing load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10086926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06571689A (en)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diagnosing substation telemetering fault based on multi-data source comparison technology
KR101968522B1 (en) Method and remote terminal unit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 multi-channel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EP2530875A1 (en) Method for monitoring quality parameters in a customer premises network
CN107819596A (en) Diagnostic method, the apparatus and system of SDN failure
CN112671596A (en) Remote control automatic test system and test method
CN115277500A (en) Time delay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TSN (traffic sequence indicator) flow, storage medium and controller
JP2002077161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ation, and record medium
US20210044518A1 (en) Network service selection device and network service selection method
KR20150014739A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measure and manage quality of experience in network system
CN113691454A (e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2393759A (en) Cable shaft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device
WO20200260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of field equipment
CN117675871B (en) IPv6 network-based multi-channel water conservancy intelligent interaction front-end network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eidou No. three
US120104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of field equipment
KR1019998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tate of field devices
KR201101287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JP2003008647A (en) Prob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