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76B1 -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 Google Patents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76B1
KR101967176B1 KR1020160126880A KR20160126880A KR101967176B1 KR 101967176 B1 KR101967176 B1 KR 101967176B1 KR 1020160126880 A KR1020160126880 A KR 1020160126880A KR 20160126880 A KR20160126880 A KR 20160126880A KR 101967176 B1 KR101967176 B1 KR 10196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writing instrument
wire
unit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6361A (en
Inventor
정지민
Original Assignee
정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민 filed Critical 정지민
Priority to KR102016012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3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는 필기구에 장착되는 필기구 보조장치로서, 상기 필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부; 상기 LED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구의 기울기가 적정 범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필기구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and a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mounted on a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body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writing instrument; A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and measuring a tilt of the writing instrument; An LED unit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and emitting light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out of a preset rang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LE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riting implement assisting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n inclination of a writing implement to maintain an appropriate range of angles is provided.

Description

필기구 보조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본 발명은 필기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 자세를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필기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aid apparatus, and a writing aid apparatus capable of helping correct writing position.

필기구는 문자를 쓰거나 그림 등을 그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로서 연필, 볼펜, 만년필, 사인펜 등 다양한 종류와 모양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Writing instruments are tools that are used to write letters or draw pictures, and various types and shapes such as pencils, ballpoint pens, fountain pens, and felt-tip pe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컴퓨터의 보급과 주변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필기구를 이용한 필기가 거의 사라지고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고 그림 등도 저장된 이미지나 그리기 전용의 툴을 이용하여 프린트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However, due to the spread of computers in recent years and the development of peripheral devices, handwriting using a writing instrument has almost disappeared, characters and the like have been input using a keyboard, and pictures and the like have been printed and output using stored images or tools dedicated to drawing .

이와 같이 어린 시절부터 의하여 연필이나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수기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나 그림의 출력이 늘어남에 따라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부터 필기구를 바르게 잡는 방법을 모르게 되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되고 필기구와 친숙하지 않는 것 등이 원인이 되어 필체가 바르게 되지 못하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use of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cil or a ballpoint pen has been reduced since childhood, and the output of characters or pictures using a computer has increased, a cause for not knowing how to properly hold a writing instrument from a kindergarten or an elementary school And not being familiar with writing instruments, etc., the handwriting will not be correc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필기구 또는 필기구를 수용하는 형태의 홀더에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면서 결정된 손가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엄지와 검지 사이를 필기구가 벗어나지 못하도록 큰 크기의 돌기를 돌출시키는 형태의 교정기가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mined finger from being detached whil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in a holder for accommodating a writing instrument or a writing instrument, or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from separating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 protrusion of a protrusion of a protrusion is proposed.

상기와 같은 교정기의 경우에는 필기구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필기구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는 일조할 수 있으나, 교정기에 일체로 형성되는 큰 돌기에 의하여 상당한 거부감이 있고, 사용이 편리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alibrator, it is possible to help users who use the writing instrument to catch the writing instrum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rge projec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raightener has a considerable rejection feeling,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구의 기울기가 적정 범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필기구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ing implement assisting apparatus capable of assisting an inclination of a writing instrument to maintain an appropriate range of angle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필기구에 장착되는 필기구 보조장치로서, 상기 필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부; 상기 LED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mounted on a writing instrument, the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writing instrument; A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and measuring a tilt of the writing instrument; An LED unit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and emitting light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out of a preset rang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LED unit.

또한, 상기 측정부는,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는 구형의 바디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선; 상기 바디부 내에서 굴러다니며,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전선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수은액적; 상기 전선이 상기 수은액적과 통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전선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pherical body having a hollow interior;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and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unit and installed in the body part; A mercury droplet rolling in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part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an insulat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ctric wire so that the electric wir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rcury droplet.

또한, 상기 전선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상호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플러스 전선;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상호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상기 플러스 전선과 이격되는 복수개의 마이너스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수은액적이 상기 플러스 전선과 상기 마이너스 전선을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LED부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Further, the electric wires exten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ic wires, one end of which is interconnecte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negative wires each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nterconnected at one e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wire, wherein the mercury droplet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wire and the negative wir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LED unit from the power source unit.

또한, 상기 필기구의 기설정된 기울기 범위는 40°내지 5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of the writing implement may be 40 to 50 degrees.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구 사용자가 최적의 필기자세를 유지하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필기구 보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riting implement auxiliary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 writing implement to maintain an optimum writing posture.

또한, 필기구의 기울기가 40°내지 50°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kept within the range of 40 DEG to 50 DEG.

도 1은 종래의 필기구 보조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에 적용된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의 LED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측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의 LED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측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circuit applied to the writing implement in Fig. 2,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asuring uni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unit of the writing implement in FIG. 2,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asuring unit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ED unit of the writing implement auxiliary apparatus of FIG.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riting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에 적용된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ircuit applied to the writing implement auxiliary apparatus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100)는, 필기시 부정확한 자세를 교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로서, 몸체부(110)와 측정부(120)와 LED부(130)와 전원부(140)를 포함한다.2 and 3, the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assisting in correcting an incorrect posture at the time of writing, and includes a body 110, a measuring unit 120, And includes an LED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상기 몸체부(110)는 소정의 필기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실린더 구조로 마련된다. 한편, 몸체부(110)의 단부에는 필기구(P)가 장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110 is mounted in a predetermined writing instrument and is provided with a hollow cylinder structure in which the interior is hollow. Meanwhile, a sensing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ody 110 to sense whether the writing instrument P is mounted.

상기 측정부(120)는 필기구(P)의 기울기를 실질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서, 바디부(121)와 전선(122)과 수은액적(125)과 절연체를 포함한다.The measuring unit 120 substantially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and includes a body 121, a wire 122, a mercury droplet 125, and an insulator.

상기 바디부(121)는 측정부(12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 중공(中空)의 구형태로 마련된다. 바디부(121)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설치 위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dy part 121 forms an outer shape of the measurement part 120 and is provided in a hollow spherical shape. The body part 12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상기 전선(122)은 후술하는 전원부(140)와 LED부(130)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스 전선(123)과 마이너스 전선(124)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전선(122)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마그네슘(Mg)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나, 전기적 전도성을 갖고 내부식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ic wire 122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unit 140 and the LED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 positive wire 123 and a negative wire 124.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ny one of iron (Fe), nickel (Ni), cobalt (Co), and magnesium (M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상기 플러스 전선(123)은 바디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된다. 한편, 복수개로 마련되는 플러스 전선(123)의 일단은 통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된다. The positive wires 123 extend from one end of the body 121 and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n the other hand,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positive wires 123 are integr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relea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한편, 하나의 묶음으로 통합되는 플러스 전선(123)의 단부 쪽은 바디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원부(140)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positive wire 123,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bundle,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140.

상기 마이너스 전선(124)은 바디부(12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된다. 한편, 복수개로 마련되는 마이너스 전선(124)의 일단은 통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된다.The negative wires 124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21 and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n the other hand,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negative wires 124 are integr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relea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한편, 하나의 묶음으로 통합되는 마이너스 전선(124)의 단부 쪽은 바디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전원부(140)와 연결된다.The end of the negative wire 124,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bundle,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part 140.

한편, 통합되지 않는 단부의 플러스 전선(123) 다발과 통합되지 않는 단부의 마이너스 전선(124) 다발은 서로 이격되되,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ndle of negative wires 124 at the ends that are not integrated with the bundles of positive wires 123 at the ends that are not integrated are spaced from each other, but arranged in a staggered fashion.

상기 수은액적(125)은 바디부(121)에 액적 형태로 마련되며, 바디부(121) 내에서 굴러다닐 수 있도록 배치된다. 수은액적(125)의 직경은 플러스 전선(123)과 마이너스 전선(124)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플러스 전선(123)과 마이너스 전선(124)의 이격거리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rcury droplets 125 are arranged in a droplet form in the body part 121 and are arranged to be able to roll in the body part 121. The diameter of the mercury droplet 125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ve wire 123 and the negative wire 124 so that the mercury droplet 125 can contact the positive wire 123 and the negative wire 124 at the same time.

상기 절연체는 바디부(121)의 내에 설치되며, 전선(122)의 일영역을 둘러쌈으로써, 전선(122)이 수은액적(125)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체는 필기구(P)의 기울기가 40°내지 50°사이인 경우에 전극과 수은액적(125)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insulator is disposed within the body portion 121 and surrounds a region of the wire 122 to prevent the wire 122 from contacting the mercury droplet 125.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or is installed so that the electrode and the mercury droplet 125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is between 40 ° and 50 °.

상기 LED부(130)는 몸체부(110)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후술하는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발광하는 부재이다.The LED unit 130 is mounted on an end of the body 110 and emits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unit 140 according to a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ode.

상기 전원부(140)는 LED부(13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selectively supplies power to the LED unit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122.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보조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필기구(P)의 상단에 본 실시예의 필기구 보조장치(100)를 장착한다. 감지센서는 필기구(P) 상에 필기구 보조장치(10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하며, 이때부터 필기구 보조장치(100)가 작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기구 보조장치(100)에 의하여 필기구의 정상 각도가 40°~ 50°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P desired by the user. The sensing sensor senses that the writing instrument assis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writing instrument P, and the writing assisting apparatus 100 operates from this point on.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rmal angle of writing utensils is described as 40 ° to 50 ° by the writing implement auxiliary device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의 LED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측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2의 필기구 보조장치의 LED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측정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asuring uni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unit of the writing implement in FIG. 2,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a measurement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ED unit of the writing implement in FIG. Fig.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필기구(P)의 기울기에 따른 LED부(1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D unit 13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1. 사용자에 의한 필기구(P)의 기울기가 40°~ 50°범위를 벗어나는 경우1.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P) by the user is out of the range of 40 ° to 50 °

사용자에 의하여 필기구(P)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바디부(121)의 내에 수은액적(125)이 굴러다니면서 플러스 전선(123)과 마이너스 전선(124)을 연결시킨다.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is out of the preset range by the user, the mercury droplet 125 rolls in the body portion 121 to connect the positive wire 123 and the negative wire 124.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스 전선(123)과 마이너스 전선(12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원부(140)와 LED부(130)가 서로 연결되며, LED부(130)로부터 전원부(140)에 전원이 공급된다.4, when the positive wire 123 and the negative wire 1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ower source unit 140 and the LED unit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ower sourc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LED unit 130. [ Is supplied with power.

전원이 공급되면서 LED부(130)가 발광하고, 사용자에게 필기 자세가 적절하지 않음을 경고한다. While the power is being supplied, the LED unit 130 emits light and warns the user that the writing posture is not appropriate.

2. 사용자에 의한 필기구(P)의 기울기가 40°~ 50°범위 내인 경우2.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P) by the user is within the range of 40 ° to 5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부(130)의 발광에 의하여 경고를 받은 사용자가 필기 자세를 변경하여 필기구(P)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게 되는 경우에, 바디부(121)는 굴러다니면서 절연체 상에 위치하게 된다. 5, when the user who has been warned by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unit 130 changes the handwriting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body part 121 rolls And is placed on the insulator.

이러한 경우, 절연체는 수은액적(125)이 전선(122)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전원부(140)와 LED부(13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LED부(130)의 발광이 중단되고, 사용자는 필기자세가 적절함을 인지하고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insulator blocks the mercury droplet 125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122, and the electric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unit 140 and the LED unit 130 is shut off as a whole. Therefore,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unit 130 is stopped, and the user is perceived that the writing posture is appropriate, and the posture is maintain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기구(P)의 기울기를 기 설정된 범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P can be maintained by the user 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rrect postur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몸체부 120 : 측정부
130 : LED부 140 : 전원부
110: body part 120: measuring part
130: LED unit 140:

Claims (4)

필기구에 장착되는 필기구 보조장치로서,
상기 필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부;
상기 LED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는 구형의 바디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선; 상기 바디부 내에서 굴러다니며, 상기 필기구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전선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수은액적; 상기 전선이 상기 수은액적과 통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전선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상호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플러스 전선;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상호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며, 각각이 상기 플러스 전선과 이격되는 복수개의 마이너스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수은액적이 상기 플러스 전선과 상기 마이너스 전선을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LED부에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필기구의 기설정된 기울기 범위는 40°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보조장치.
A writing implement auxiliary device mounted on a writing implement,
A body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writing instrument;
A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and measuring a tilt of the writing instrument;
An LED unit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and emitting light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out of a preset rang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LED unit,
Wherein the measuring unit comprises:
A spherical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inside;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and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unit and installed in the body part; A mercury droplet rolling in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part of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an insulat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is not energized with the mercury droplet,
A plurality of positive wire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art, one end of the positive wire being mutual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of the positive wir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negative wires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one end of the negative wire being mutual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there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mercury droplet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wire and the negative wir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the LED unit,
Wherei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of the writing implement is 40 to 50 degre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6880A 2016-09-30 2016-09-30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KR101967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880A KR101967176B1 (en) 2016-09-30 2016-09-30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880A KR101967176B1 (en) 2016-09-30 2016-09-30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61A KR20180036361A (en) 2018-04-09
KR101967176B1 true KR101967176B1 (en) 2019-04-09

Family

ID=6197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880A KR101967176B1 (en) 2016-09-30 2016-09-30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1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19B1 (en) * 2019-01-16 2020-11-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encil and Chopsticks Calibration Devices
WO2020211216A1 (en) * 2019-04-13 2020-10-22 刘志昌 Light-emitting pen cap for cultivating pen holding interest of chi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10B1 (en) * 2006-04-12 2008-03-07 주식회사 숲엔들 Writing imp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14B1 (en) * 2004-05-12 2006-06-08 조욱제 Golf Putter having Clinometer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10B1 (en) * 2006-04-12 2008-03-07 주식회사 숲엔들 Writing imp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61A (en)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242B2 (en) Writing stylus
US10105983B2 (en) Marking pen
US20190339796A1 (en) Touch pen, touch device, and system for calligraphy practice
US9671877B2 (en) Stylus tool with deformable tip
KR101967176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writing
TW201704942A (en) Method, kits and stylus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US20160229219A1 (en) Pen/Pencil Grip
TW201816562A (en) Stylus and its tip structure
US20150212600A1 (en) Stylus tool with deformable tip
KR20110105500A (en) Writing instruments having stylus pen function
CN108446036B (en) Intelligent writing equipment and intelligent writing system
US20140219702A1 (en) Pen/Pencil Grip
JP2009501093A (en) Electronic pen with 3D force sensor
CN109407861B (en) Active pen, touch terminal, touch drawing system, touch drawing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70101888A (en) Writing implements
JP5211562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built-in double head refill
US20140085248A1 (en) Double head stylus having light pointer
JP3195847U (en) stylus
JP2013222375A (en) Information input pen
KR101260904B1 (en) Writ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stylus pen for touch screen
JP2013125415A (en) Input pen
JP3183919U (en) Touch pen with ballpoint pen
JP2011242903A (en) Capacitive pen
KR101279452B1 (en) Multi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5446502B (en) A kind of handwriting pen of lear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