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64B1 -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64B1
KR101966164B1 KR1020170004892A KR20170004892A KR101966164B1 KR 101966164 B1 KR101966164 B1 KR 101966164B1 KR 1020170004892 A KR1020170004892 A KR 1020170004892A KR 20170004892 A KR20170004892 A KR 20170004892A KR 101966164 B1 KR101966164 B1 KR 10196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eyeball
examina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3069A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64B1/en
Publication of KR2018008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사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하는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 및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에 안과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와, 상기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구비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과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orn by an examine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an image providing unit (120) for providing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to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herein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comprises three dimensional And an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for monitoring a change in an eyeball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inspection image display, wherein the visual observation display unit (111)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using reality, and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using a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안과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안과 검사가 가능한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pec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ophthalmic tests using a virtual reality and a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안과 검사로서, 사시검사, 양안 운동검사, 안구 회선검사, 입체시검사, 양안시 검사, 복시검사, 동공검사, 안진검사, 시야검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각 검사 종류에 따라 적합한 별도의 검사 장비가 필요하고, 부정확한 경우도 많으며, 비교적 넓은 검사 공간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trabismus test, binocular test, ocular circuit test, stereoacuity test, binocular test, diplopia test, pupil test, nystagmus test and visual field test are perform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inaccurate, and a relatively large inspection space is required in some cases.

예를 들어, 기존의 사시검사에서는 최소 6m의 검사 공간이 필요하고 50프리즘디옵터 이상의 마비사시, 제한사시에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였고, 양안 운동검사에서는 원거리 정면의 타겟을 보게 한 후 머리를 움직여 9gaze 방향을 보게 하는데 머리를 돌리는 정도가 일관적이지 못해 그 결과가 부정확 경우가 많으며, 시야 검사 시 검사하는 동안 피검사자가 지속적으로 정면을 주시하여야 하나, 주변시야에 나타나는 빛을 따라보는 등 정면주시를 유지하지 못하여 검사 신뢰도가 저하된다.
(특허문헌 1) KR10-2015-0110475 A
(특허문헌 2) KR10-2009-0024097 A
For example, conventional strabismus examination requires a minimum of 6 m of examination space, an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trabismus at rest with strabismus of more than 50 prism diopters. In the binocular test, The result is inaccurate because the degree of turning the head is not consistent. During the visual field test, the examinee must keep an eye on the front face continuously. The reliability of the test is degraded.
(Patent Document 1) KR10-2015-0110475 A
(Patent Document 2) KR10-2009-0024097 A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안과 검사를 줄어든 검사 공간에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which can be accurately performed in an inspection space in which various ophthalmic examinations are reduc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검사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하는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 및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에 안과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와, 상기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구비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이 제공된다.An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orn by an examine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an image providing unit (120) for providing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to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herein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comprises three dimensional And an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for monitoring a change in an eyeball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inspection image display, wherein the visual observation display unit (111)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using reality is provided.

상기 안구 모니터링 모듈은 피검사자의 양쪽 눈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1,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113, 11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 각각은 대응하는 안구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대응하는 안구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eye monitoring module comprises first and second eye monitoring units (113, 114) independently of each eye of the examine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ye monitoring units comprises infrared rays A camera and a gaze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gaze of the corresponding eyeball.

상기 안과 검사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제공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vid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안과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안과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안구의 상태를 상기 안구 모니터링 모듈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of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 examination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And an eyeball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eyeball changing corresponding to the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ball displayed through the image display step using 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do.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원거리 및 근거리 타겟 영상이 우안과 좌안에 번갈아 디스플레이되어서 사시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image display step, the distant and near targe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so that strabismus inspec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눈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한 눈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동시켜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까지 옮기고,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에서 양안 타겟의 거리차를 측정하여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eye movement is detect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he image corresponding to a single eye is moved in the image display step to move to a point where the eye movement does not occur, and the distance difference of the binaural target is measured So that the dead time can be measured.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타겟 영상을 정면, 위, 아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의 위치에 각각 구현하고 이에 대응한 안구의 위치를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확인하여 양안 운동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he target image is imaged in the front, top, bottom,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and lower right positions and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eyeball is observ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하는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 및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에 안과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와, 상기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구비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므로, 다양한 안과 검사가 정확하게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검사 공간도 현저하게 줄어든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the HMD device 110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worn by an examine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an image providing unit (120) for providing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to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herein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comprises three dimensional And an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for monitoring a change in an eyeball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inspection image display, wherein the visual observation display unit (111) Since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reality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ophthalmologic examinations accurately, and the examination space i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using a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100)은 피검사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안과검사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110)(이하, '안과검사용 HMD 장치'라 함)와,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로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120)와, 검사자가 영상 제공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와,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피검사자의 안구 영상을 검사자에게 보여주는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와,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피검사자의 안구 영상 및 검사 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안과 검사 시스템(100)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사시검사, 양안 운동검사, 안구 회선검사, 입체시검사, 복시검사, 동공검사, 안진검사, 시야검사 등의 다양한 안과 검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과검사용 HMD 장치(100)는 다른 구성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서 원격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using a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100 using a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pparatus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 image providing unit 120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with an HMD unit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 eyeball imag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an eye image of a subject acquired from the HMD device 110 for eye examination to an examiner, an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an eye image of the examinee acquired from the subject and the examination result.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100 performs various ophthalmologic examinations such as strabismus examination, binocular exercise test, ocular circuit examination, stereopsis examination, diplopia examination, pupillary examination, nystagmus test, and visual field examination using the virtual reality . Although not shown, the HMD device 10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can be configured to enable remote inspection by being connected to other configurations by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는 안과 검사를 위해 피검사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이다.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는 영상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응한 피검사자의 안구 영상을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한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의 구성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는 영상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와,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를 구비한다.The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is a device to be worn on the head by a teste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The HMD devic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110 displays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data providing unit 120 to the examinee and provides the ocular image of the examinee to the examinee.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for this purpose is shown in FIG. 2, the HMD devic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110 includes an inspection image display unit 111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ophthalmologic inspec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And an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for monitoring a change in an eyeball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는 영상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를 착용한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은 안과 검사 종류에 따라 검사자가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The inspection image display unit 111 displays the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to the testee wearing the HMD apparatus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for inspection 111 can be controlled by the inspector through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the type of eye examination.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은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은 피검사자의 양쪽 눈 각각을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안구 모니터링 유닛(113)과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114)을 구비한다. 제1 안구 모니터링 유닛(113)과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114) 각각은 대응하는 안구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대응하는 안구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를 구비한다. 시선 추적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EOG 센서(Electrical oculography), 코일 시스템(Coil system) 및 적외선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안구 추적(tracking)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에 의해 피검사자의 양쪽 안구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시선 정보가 획득되며, 획득된 촬영 영상 및 시선 정보는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와 저장부(150)로 제공된다.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monitors the state of the eyeball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111 for inspection. The eye-monitoring module 112 includes a first eye-monitoring unit 113 and a second eye-monitoring unit 114 that independently monitor each eye of the examinee. Each of the first eye monitoring unit 113 and the second eye monitoring unit 114 includes an infrared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corresponding eyeball and a gaze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gaze of the corresponding eyeball. For example, EOG sensor, a coil system, and an eye tracking method using an infrared camera image can be used as the eye tracking unit. Accordingly, both the eyeball and the eyeball images of the testee are obtained by 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and the obtained image and eyeball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eyeball image display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50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피검사자의 머리의 회전 정보도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에도 HMD 장치(110)는 일반적인 HMD에서 사용되는 구성 및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HMD devic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110 may include a gyro sensor to acquire and output rota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s head. In addition, the HMD device 110 may include all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used in a general HMD.

영상 제공부(120)는 안과 검사 종류에 따라 필요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HMD 장치(110)의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로 제공한다. 영상 제공부(120)는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된다.The video data providing unit 120 provides the 3D virtual reality image required for the type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 to the image display unit 111 for inspection of the HMD device 110. The video data providing unit 120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제어부(130)는 검사자에 의해 조작되어서 영상 제공부(120)를 제어한다. 검사자는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영상 제공부(120)를 제어하여 안과 검사 종류에 따라 필요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안구검사용 HMD 장치(110)로 제공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by being operated by an examiner. The inspector controls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using the control unit 130 to provide the necessary 3D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eye examining HMD apparatus 110 according to the type of eye examination.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사자에게 안구검사용 HMD 장치(110)의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에 의해 획득된 피검사자의 양쪽 안구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시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검사자는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보여지는 피검사자의 양쪽 안구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진단하게 된다.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는 안구검사용 HMD 장치(110)의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기 검사 정보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eyeball image display unit 140 displays images of both eyes of the examinee and sight lin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of the HMD device for eyeball examination 110 to the examiner. The examiner is diagnosed using the captured image and eye line information of both eyes of the examinee, which is viewed through the eye image display unit 140. The eyeball imag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an image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112 of the HMD device for eyeball examination 110 but may also display basic tes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저장부(150)에는 안구검사용 HMD 장치(110)의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에 의해 획득된 피검사자의 양쪽 안구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시선 정보가 저장되고, 검사 후에 검사자는 필요에 따라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shot images and sight line information of both eyes of the examinee obtained by the eye monitor module 112 of the HMD device for eyeball examination 110. After the test, (140). ≪ / RTI >

이제, 위에서 설명한 안과 검사 시스템(100)을 이용한 안과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 검사 방법은 안구검사용 HMD 장치(110)의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와,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안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단계와, 안구 모니터링 단계를 통해 획득된 안구 상태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한다. 안과 검사 시스템(100)을 이용한 안과 검사 방법은 검사자가 실시간으로 제어하면서 피검사자의 안구 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검사자의 실시간 제어 및 모니터링없이도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지시에 따라 피검사자가 검사를 스스로 수행하고, 검사자가 결과를 추후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안과 검사 방법을 구체적인 검사 종류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 examination through an image display unit 111 for inspection of an HMD device for eyeball examination 110, An eyeball monitoring step for monitoring a state of an eyeball changing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ball displayed through the eyeball monitoring step, and a diagnostic step for analyzing and diagnosing an eyeball state acquired through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100 can be performed by monitoring the eye condition of the examinee while controlling the examiner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system 100 may be displayed on the examination image display unit 111 without real-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the testee performs the test himself, and the examiner can check the result later. Hereinafter,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 specific examination type.

사시검사Strabismus examination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원거리(6m) 및 근거리(33cm) 타겟 영상을 우안과 좌안에 2 내지 3초 간격으로 번갈아 디스플레이하며, 안구 모니터링 단계를 통해 눈의 움직임이 관찰된다. 사시의 경우 눈의 움직임이 감지되며, 눈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한 눈의 타겟 영상을 이동시켜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까지 옮기고,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시점에서 양안 타겟의 거리차를 측정하여 사시각을 측정한다. 이는 임상에서 시행되는 교대가림검사법을 응용한 것이다. 한 눈의 시력이 매우 나쁜 경우에는, 하나의 광원을 보게 하고 그 각막에 맺히는 반사점의 위치 차이를 확인한 후, 광원을 움직여 같은 위치의 각막에 반사점이 맺히게 하는 광원 위치를 찾아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임상에서 시행되는 각막반사점검사법을 응용한 것이다.In the image display step, the distant (6m) and near (33cm) targe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in the right eye and left eye at intervals of 2 to 3 seconds, and eye movement is observed through the eye monitoring step. In the case of strabismus, the motion of the eye is detected. When the motion of the eye is detected, the target image of the eye is moved to the point where the motion of the eye does not appear. When the motion of the eye is not observed, And the deviation time is measured. This is a clinical application of the alternate blindness test. When the visual acuity of one eye is very bad, it is necessary to look at a single light source, check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reflex points on the cornea, and then move the light source to find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have. This is a clinical application of the corneal reflex method.

사시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타겟 위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머리를 기울여 검사를 하는 경우,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의 기울어짐을 나타내어 일관된 머리 기울임 정도를 알 수 있게 하고, 피검자가 평소 사경(머리 기울임)이 있는 경우 그 정도 또한 측정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asily realize various target positions necessary for the strabismus examination and to observe the inclination of the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hen the head is tilted and to examine the degree of coherent head tilting, ) Can also be measured.

종래의 사시검사에서는 최소 6m의 공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시검사 방법에 의하면 검사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사시검사는 50프리즘디옵터 이상의 마비사시, 제한사시에서 정확한 측정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각막반사점 검사는 매우 불확실한 검사이나 본 발명에 따른 검사는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킨다.In the conventional strabismus examination, a space of at least 6 m is required. However, according to the strap exa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space can be greatly reduced. In the conventional strabismus test, it is almost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trabismus strabismus and strabismus strains having a diopter greater than 50 prism diopters, but the accuracy can be greatly impr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al reflex point test is highly uncertain, but th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accuracy.

사시검사에서 사시각은 검사자가 타겟의 위치를 변화에 따른 눈의 움직임을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확인함으로써 측정될 수도 있고, 시선추적부를 이용하여 관찰되는 눈의 움직임에 따라 타겟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사시각이 자동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In the strabismus examination, the observer may be measured by checking the movement of the ey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target in real time using the infrared camera,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is moved according to the eye movement observed using the eye- The dead time may be measured automatically.

양안 운동검사Binocular exercise test

눈의 운동검사 시 정면, 위, 아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의 9 방향을 주시(9 gaze)하게 하면서 검사하게 된다. 일반적인 검사시 원거리 정면의 타겟을 보게 한 후 머리를 움직여 9gaze 방향을 보게 하는데 머리를 돌리는 정도가 일관적이지 못해 그 결과가 부정확 경우가 많아. VR을 통해 일정한 위치의 타겟을 구현하고, 이를 볼 때의 안구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각 눈 근육의 기능항진 및 기능저하를 판별할 수 있다. 9gaze 방향에 시표를 구현하여 이를 주시하면서 사시검사에 기재된 사시각측정방법을 이용하여 9gaze 방향의 사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When examining the movement of the eyes, it examines the nine directions of the front, top, bottom,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right upper and lower right. In general tests, you see the target in the far front, then move the head to see the 9gaze direction, but the degree of turning the head is not consistent and the results are often inaccurate. VR can be used to realize a target at a certain position and monitor the position of the eye when viewing the target, so that the functional hyperactivity and the functional deterioration of each eye muscle can be discriminated. 9gaze can be measured in the direction of 9gaze using the deviation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in the strabismus examination while observing the target in the direction of the gaze.

또한 우안과 좌안이 볼 수 있는 영상을 분리하여, 9-gaze 시 양안의 안구 위치가 다른 경우 각 눈이 향하는 위치를 판별해낼 수 있다(Lancaster red-green test 구현). 우안으로 9개 바향의 목표시표만 보이도록 구현하고, 좌안으로는 표시자 만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때 표시자는 피검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우안으로 보이는 목표시표를 좌안으로 보이는 표시자로 겹치도록 조정하게 한다. 이때 표시자의 위치를 도식화하여 결과물로 나타낸다. 동일한 검사를 우안과 좌안을 바꾸어 반복 시행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the position of each eye when the binocular position of the eye in 9-gaze is different (Lancaster red-green test implementation). It implements the right-eye view so that only the target signs of nine directions are visible, and the left-hand side displays only the indicators. At this time, the indicator allows the subject to move, and adjusts the target chart displayed as the right eye to overlap with the indicator displayed as the left ey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arker is shown as a result. Repeat the same test by changing the right eye and left eye.

입체시Stereoscopic 검사 inspection

양안에 다양한 디스패리티(disparity)를 갖는 다른 영상을 보여주면 입체로 느끼는데, 이를 VR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로 여러 가지 다른 입체시 검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현재의 입체시 검사는 고정되어 있는 타겟인데, 움직이는 타겟을 이용한 입체시 검사 또한 구현해 볼 수 있어, 새로운 입체시검사를 개발할 수 있다.If you display different images with different disparity in both eyes, you can feel it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VR, and you can create several different stereoscopic examinations with one device. The present stereoscopic vision test is a fixed target, but stereoscopic vision test using a moving target can also be implemented, and a new stereoscopic vision test can be developed.

안구 회선 검사Eye line examination

각 눈에 하얀선, 붉은선의 수평선 이미지를 보여주며, 안구 회선이 있어 두 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을 경우, 피검사자가 영상을 조정하여 일치하도록 바꾸게 하며, 이 때 피검사자에 의해 돌아간 이미지가 안구 회선의 정도가 된다.It shows a horizontal line image of a white line and a red line in each eye. If there is an eye line and the images of the two eyes are inconsistent and inclined, the examinee adjusts the image so that the image is changed to match. It becomes the degree of the eye line.

복시검사Diplopia examination

양안에 각각 다른 색의 점을 보여주고 둘이 겹치도록 조정한다. 9gaze 방향을 보게 하며, 검사결과는 점의 위치 관계와 떨어진 거리를 표시하게 된다.Show the points of different colors in both eyes and adjust them to overlap each other. 9gaze direction, and the test results will show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oints and the distance away.

동공검사Pupillary examination

가상현실을 시청하는 동공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며,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게 된다. 양안에 번갈아 빛 자극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동공반사의 정도(직경, 반응속도)를 그래프화 할 수 있으며, 시신경이상 시 나타나는 상대적구심성동공장애의 경우 양안의 빛 자극에 차이를 주어 그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다.The pupil that views the virtual reality is photographed and monitored with an infrared camera, and the size of the pupil is measured. The degree of pupil reflex (diameter, reaction rate) that occurs when alternating light stimuli are applied to both eyes can be graphed. In the case of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isorder when optic nerve abnormality occurs,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extent of light stimulation in both eyes .

안진검사Nystagmus test

가상현실을 시청하는 안구의 움직임을 타겟팅하여 안진의 진폭과 정도를 그래프화 한다.Graph the amplitude and the degree of the nystagmus by targeting the movement of the eyeball watching the virtual reality.

시야검사Visual field examination

시야 검사 시 환자는 검사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정면을 주시하여야 하나, 주변시야에 나타나는 빛을 따라보는 등 많은 환자에서 정면주시를 유지하지 못하여 검사 신뢰도가 저하된다.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시선 추적(eye tracking) 기술을 통해 눈의 움직임에 따라 정면주시의 위치가 바뀐다면, 즉 환자가 검사화면의 중앙 이외에는 볼 수 없도록 검사화면이 눈을 따라다니게 한다면, 이러한 검사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검사시간 내내 머리를 고정하고 불편한 자세에서 검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어려움도 해소되며, 검사 공간도 줄어들 수 있다. During the visual field examination, the patient should keep an eye on the front face continuously while observing the light in the peripheral visual field. If the position of the frontal view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ye through the use of the virtual reality and the eye tracking technique, that is, if the patient follows the eye such that the patient can not see the center of the test screen,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head should be fixed and examined in an uncomfortable posture throughout the examination time. This difficulty is also solved, and the examination space can be reduced.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안과 검사 시스템
110 : HMD 장치
120: 영상 제공부
130 : 제어부
140 : 안구영상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100: Ophthalmology inspection system
110: HMD device
120:
130:
140: eyeball image display unit
150:

Claims (13)

피검사자가 안과 검사를 위해 착용하는 안과검사용 HMD 장치(110); 및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에 안과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안과검사용 HMD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안과 검사를 위한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부(111)와, 상기 검사용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한 안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모듈(112)을 구비하고,
상기 안구 모니터링 모듈은 피검사자의 양쪽 눈 각각을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제1,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113, 11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안구 모니터링 유닛 각각은 대응하는 안구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대응하는 안구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An HMD device (110)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orn by an examine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And an image providing unit 120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imag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to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The HMD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comprises an image display unit 111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subject to be examined on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ophthalmologic examin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an eye monitoring module (112) for monitoring a change in an eyeball corresponding to the image,
Wherein the eye monitoring module includes first and second eye monitoring units (113, 114) for independently monitoring each eye of the examine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ye monitoring units captures an image of a corresponding eyeball And an eye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line of sight of the corresponding eyebal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과 검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viding unit.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과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안구 검사용 3차원 가상현실 영상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안구의 상태를 상기 안구 모니터링 모듈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안구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An ocular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 image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 examination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And
And an eyeball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eyeball changing corresponding to the 3D virtual reality image for eyeball displayed through the image display step using the eyeball monitoring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원거리 및 근거리 타겟 영상이 우안과 좌안에 번갈아 디스플레이되어서 사시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tance and near targe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in the image display step to perform strabismus examin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눈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한 눈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동시켜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까지 옮기고, 눈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 지점에서 양안 타겟의 거리차를 측정하여 사시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eye movement is detect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he image corresponding to a single eye is moved in the image display step to move to a point where the eye movement does not occur, and the distance difference of the binaural target is measured And measuring an angle of devi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타겟 영상을 정면, 위, 아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의 위치에 각각 구현하고 이에 대응한 안구의 위치를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확인하여 양안 운동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he target image is implemented in the front, top, bottom, left, right,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and lower right positions and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eyeball is observ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양안에 다양한 디스패리티(disparity)를 갖는 다른 영상을 보여주어서 입체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reoscopic vision is checked by displaying another image having various disparities in both eyes in the image display ste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각 눈에 수평선 이미지를 보여주며,
안구회선이 있어서 두 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경우 피검사자로 하여금 영상을 조정하여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안구 회선 검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 horizontal line image is displayed on each eye in the image display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image so as to match the test subject when the images of the two eyes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due to the presence of an ocular circuit, thereby performing the ocular circuit tes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양안에 각각 다른 색의 점을 보여주고 둘이 겹치도록 조정하는 복시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nd displaying a point of different color in each of the eyes in the image display step and performing a double check to adjust the overlapping of the two poin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여 동공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upil size is measur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and a pupil examination is per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니터링 단계에서 안진의 진폭과 정도를 측정하여 안진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ystagmus amplitude and the degree of nystagmus are measured in the eyeball monitoring step to perform a nystagmus tes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영상이 눈을 따라다니도록 하는 조정되어서 시야검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구 검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nd a visual field inspec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image so that the eye follows the eye in the image display step.
KR1020170004892A 2017-01-12 2017-01-12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KR101966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892A KR101966164B1 (en) 2017-01-12 2017-01-12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892A KR101966164B1 (en) 2017-01-12 2017-01-12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69A KR20180083069A (en) 2018-07-20
KR101966164B1 true KR101966164B1 (en) 2019-04-05

Family

ID=6310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892A KR101966164B1 (en) 2017-01-12 2017-01-12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112B1 (en) * 2020-02-11 2020-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for Patients with Exotropi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153322A (en) * 2021-05-11 2022-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eye alignment in strabismus
US11596302B2 (en) 2021-05-11 2023-03-07 Neuroptek Corporation Inc. Eye examina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smart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60A1 (en)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exfoliation
KR102041460B1 (en) * 2018-09-03 2019-1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Diagnosis apparatus for dizziness using virtual reality with no head movement
WO2020050497A1 (en)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엠투에스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WO2020050496A1 (en)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엠투에스 Optometric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ophthalmologic examination method using same
KR102304369B1 (en) * 2018-09-04 2021-09-23 주식회사 엠투에스 SYSTEM AND METHOD FOR EXAMINATING ophthalmic using VR
KR102170499B1 (en) * 2018-09-04 2020-10-28 주식회사 엠투에스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eye examination
KR102295587B1 (en) 2019-01-15 2021-08-31 주식회사 엠투에스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ity-based visual field inspection
KR102198356B1 (en) * 2018-11-28 2021-0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ortable inspecting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KR102224209B1 (en) * 2019-03-11 2021-03-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gle of strabismus
KR102280944B1 (en) * 2019-08-06 2021-07-23 김경태 Method for eye state inspec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226198B1 (en) 2019-08-27 2021-03-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Visual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two eyes flow
KR102243332B1 (en) * 2020-02-13 2021-04-2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Apparatus for purpil inspection using mobile terminal
KR102412649B1 (en) 2020-10-07 2022-06-23 주식회사 엠투에스 Eye-health measurement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CN113080842B (en) * 2021-03-15 2023-06-27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Head-mounted vision testing equipment, vision tes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49616B1 (en) * 2021-09-03 2023-06-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ye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493A (en) * 2008-09-22 2010-04-30 Koichi Kikuchi System for deciding viewer's feeling on viewing scene
JP2010099335A (en) * 2008-10-24 2010-05-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Stereoscopic viewing function exami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586B1 (en) * 1998-07-21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Testing Squint in Head Mounted Display
KR101711093B1 (en) * 2015-02-11 2017-03-02 울산과학기술원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eye movement and perceptual function for self diagnosis and training of dement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493A (en) * 2008-09-22 2010-04-30 Koichi Kikuchi System for deciding viewer's feeling on viewing scene
JP2010099335A (en) * 2008-10-24 2010-05-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Stereoscopic viewing function examining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112B1 (en) * 2020-02-11 2020-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for Patients with Exotropi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1162207A1 (en) * 2020-02-11 2021-08-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exotropia patients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20153322A (en) * 2021-05-11 2022-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eye alignment in strabismus
US11596302B2 (en) 2021-05-11 2023-03-07 Neuroptek Corporation Inc. Eye examina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smartphone
US11712163B2 (en) 2021-05-11 2023-08-01 Neuroptek Corporation Inc. Eye examination apparatus with cameras and display
KR102563365B1 (en) * 2021-05-11 2023-08-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mbulatory monitoring of eye alignment in strabism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69A (en)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1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olgic test using virtual reality
JP7223491B2 (en) Subjective optometric device and subjective optometric program
CN109310314A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for eye position deflection measurement
EP3581088B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of eye
KR101812249B1 (en) Automatic measurement machine of strabismus
US95724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human vision
JP2020054784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US20220071484A1 (en) Virtual reality-based portable nystagmography device and diagnostic test method using same
RU2480142C2 (en) Device and method of remote evaluation of human visual analyser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out training exercises for development of binocular and higher visual functions
JP6822798B2 (en)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KR1022955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ity-based visual field inspection
CN113288044B (en) Dynamic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KR102474483B1 (en) Co-determination of accommodation and disjunction
JP6892540B2 (en) Ophthalmic equipment
CN113080836A (en) Non-center gazing visual detection and visual training equipment
WO2018203297A1 (en) Ocular misalignment
JP7227812B2 (en) ophthalmic equipment
JP7320574B2 (en) ophthalmic equipment
JP7406413B2 (en) ophthalmology equipment
US20240049963A1 (en) Cover-Uncover Test in a VR/AR Headset
CN210330543U (en) VR visual function inspection device
JP5706508B2 (en) Ophthalmic equipment
JP7034243B2 (en)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JP7227811B2 (en) ophthalmic equipment
JP7034242B2 (en)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