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33B1 - Box type doorlock apparatus - Google Patents

Box type doorlock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33B1
KR101965533B1 KR1020180048259A KR20180048259A KR101965533B1 KR 101965533 B1 KR101965533 B1 KR 101965533B1 KR 1020180048259 A KR1020180048259 A KR 1020180048259A KR 20180048259 A KR20180048259 A KR 20180048259A KR 101965533 B1 KR101965533 B1 KR 10196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oor
handle
ke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맥스
Priority to KR102018004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1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using balls or the like cooperating with no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door lock device having a slim structure allowing for locking and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nly with a latch block itself, constructed to determine whether to open the door by the user having a key and the intruder not having the key by means of binding balls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constructed such that cancellation of a locking state of the door and opening thereof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nly with a handling operation of the user by disposing a rotary block for an inner handle on the same axis as other components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of the latch block and connecting the rotary block for an inner handle to an indoor side handle, thereby enabling components to be optimally disposed in a narrow space, preventing the intruder from arbitrarily intrude from the outside even by the simple and compact configur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price competitiveness, and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박스형 도어락 장치{Box type doorlock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type 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박스형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하고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서도 침입자에 의한 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박스형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shaped door lock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shaped door lock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preventing an arbitrary opening of a door by an intruder even with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일반적으로 문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를 록킹 및 개방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어락 장치라 한다.Generally, a device for locking and opening a door rotated with respect to a door frame is called a door lock device.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매립 설치되고, 도어의 록킹 및 개방을 위해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설치되며 그 부품들 중 일부는 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작동되게 하는 모티스(관용구)를 의미하기도 하고, 이러한 모티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장치와, 상기 디지털 장치와는 별개로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키 조작 장치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Such a door lock device is embedded in a door and is provided with parts that are powerfully connected to the indoor side handle and the outdoor side handle for locking and opening of the door, and some of the parts are provided with a motor And a digital device for generating a digital signal for operating the motis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s well as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separately from the digital device, And a key manipul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key.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상기 도어락 장치 또한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특히, 침입자에 의한 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개선하는 기술 또한 최근에 구매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door lock device has also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the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the intruder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technique for improving the user convenience has also recent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ing power.

따라서, 실내측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나가고자 할 경우에는, 한 번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이와 함께 실외측에서 침입자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됨은 물론, 간소한 구성과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될 것이 요구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wishes to go out from the room side, a technique of opening the door by a single oper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a technique of preventing an intruder from entering the room from outside is required, It is required to be designed in a compact structure.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25645호를 예로 들 수 있다. One such technique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5645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부품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간소하고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내측에서의 도어 개방을 위한 조작의 편리성 및 실외측에서의 침입자에 의한 임의 침입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박스형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rranging components in a narrow space, Type door lock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intrusion by an intruder on the outdoor 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박스형 도어락 장치는, 문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에 설치되어서 그 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여러 면들 중 문틀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측 핸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외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외측핸들용 삽입홈들을 구비하며, 중심에 록킹해제용 키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키블럭이 배치되는 외측핸들용 회전블럭;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과 키블럭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홈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블럭의 회전에 따라 그 키블럭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면에 의한 가압됨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결속용 볼들;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에 위치한 한 쌍의 결속용 볼들이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과 소통되는 한 쌍의 결속홈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결속홈들에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들이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과 함께 회전되는 매개블럭; 상기 매개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 핸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내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내측핸들용 삽입홈들을 구비하는 내측핸들용 회전블럭;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과 상기 매개블럭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 작동날개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래치블럭 간의 동력 연결을 위한 제1연결 유닛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데드볼트 간의 동력 연결을 위한 제2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x-type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a door of a door, which is installed on a door rotated about a door frame, And a housing part which is embedded in the door frame and extends from the fixing part and has a moun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pair of outer handl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and in which the outdoor side handle is fitted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outdoor side handle, A rotation block for an outer handle on which a key block for disposing the key block is disposed; And a pair of seat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rotary block for the outer handle and the key block and being pres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by being pressed by a relatively protruding surface of the key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lock Pairs of binding balls; A pair of coupling balls dispose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rotary block for the outer handl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ating groove so that a pair of binding ball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can be selectively moved, An intermediate block rotatable together with the outer handle rotating block only when the pair of binding balls are positioned in the binding grooves; And a pair of inner handle insertion groove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so as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block and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inner handle, block; A sliding member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ng blade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any one of the inner handle rotating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s and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latch block for enab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dead bolt for locking the sliding member with the door,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형 도어락 장치는, 래치블럭 자체만으로 도어의 록킹 및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슬림형 구조가 채택되었고, 비교적 간소한 구성을 가지는 결속용 볼들에 의해 키를 가진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침입자에 의한 도어 개방 여부가 좌우되도록 구성되며, 래치블럭의 동작에 관여하는 내측핸들용 회전블럭을 다른 구성들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시키고, 그 내측핸들용 회전블럭을 실내측 핸들과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핸들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록킹상태 해제 및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좁은 공간에 부품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간소하고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외측에서의 침입자에 의한 임의 침입 방지를 가능하게 하여 품질 및 가격 경쟁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door lo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adopts a slim structure that enables the locking and opening of the door by only the latch block itself, and the user who has the key by the binding balls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inner handle rotatable block which is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latch block is arranged on the same axis as the other structures and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is connected to the inner handle And the door is locked and released simultaneously by only the handle operation by the u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optimally arrange parts in a narrow space, and even with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intrusion by the intruder Not only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but also user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ioniz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도어락 장치에 채용된 커버부재를 제거하고 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고 캡부재를 나머지 구성들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캡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실외측에서 키를 조작하기 이전과 이후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본 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5와 같은 동작 이후에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실외측 핸들을 조작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5와 같은 동작 없이 실외측 핸들만을 조작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실내측에서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기 이전과 이후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본 실시예의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side of a case with a cover member removed in a box-shaped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and showing the cap member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member is removed in FIG. 2; FIG.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operation states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a key on the outdoor side are compared.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the case where the outdoor side hand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fter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en only an outdoor side handle is operated without the same operation as in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ng stat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in-room-side handle at the indoor side are compa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도어락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ox-type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도어락 장치에 채용된 커버부재를 제거하고 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고 캡부재를 나머지 구성들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캡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실외측에서 키를 조작하기 이전과 이후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본 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도 5와 같은 동작 이후에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실외측 핸들을 조작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와 같은 동작 없이 실외측 핸들만을 조작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실내측에서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기 이전과 이후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보인 본 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a case with a cover member removed in a box-type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member is removed in FIG. 2,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member is removed from the outside,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en the outdoor side hand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side handle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operation stat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side handle at the indoor sid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도어락 장치는, 문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에 설치되어서 그 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와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결속용 볼(16)들과 매개블럭(18)과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슬라이딩부재(24)와 제1연결 유닛과 제2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box-lik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rotated with respect to a door frame to selectively lock the door, and includes a case 10, A connecting block 18, an inner handle rotating block 20, a sliding member 24, a first connecting unit,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여러 면들 중 문틀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0a)와 상기 고정부(10a)에 연결되는 하우징부(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부(10b)는, 상기 고정부(10a)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1 and 2, the case 10 includes a fixing part 10a which is fixed to an opposing face of the door frame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and which faces the door frame, And a housing part 10b connected to the housing 10a. The housing part 10b is a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10a and forming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parts can be installed.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은, 실외측 핸들(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서 그 실외측 핸들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측 핸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외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외측핸들용 삽입홈(12a)들을 구비한다.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is connected to an outdoor side handle (not shown)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outdoor side handle. The rotary block 1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10, And a pair of outer handle insertion grooves 12a into which the outdoor handle is inserted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outer handl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키블럭(14)과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매개블럭(18)과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 간의 배치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 and 4, an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key block 14, the inner handle rotating block 20, the intermediate block 18, and the outer handle rotating block 12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즉,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의 내측에는 상기 매개블럭(18)이 배치되고, 상기 매개블럭(18)의 내측에는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이 배치되며,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의 내측에는 상기 키블럭(14)이 배치된다. That is, the intermediate block 18 is disposed inside the rotary block 20 for the inner handle, the rotary block 12 for the external handle is disposed inside the intermediate block 18, The key block 14 is disposed inside the rotation block 12.

이러한 배치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동일한 축선을 따라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의 최적 배치를 통해 컴팩트한 구조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This embodiment having this arrangement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installed along the same axis, thereby enabling a compact structure design through an optimal arrangement of par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루는 각 구성의 기능 및 동작 설명과 함께 실외측에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과정과 실내측에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과정을 순차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unction and an operation description of each constit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or opening process by the user at the outdoor side and a door opening process by the user at the indoor side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1) 실외측에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1) Opening of the door by the user on the outdoor side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는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결속용 볼(16)들과 매개블럭(18)과 슬라이딩부재(24)와 제1연결 유닛과 제2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door is opened by the user on the outdoo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block 12 for the outer handle, the binding balls 16, the intermediate block 18, the sliding member 24,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은, 상기 키블럭(14)과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홈(12b)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안착홈(12b)들에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16)들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The outer handle rotation block 12 includes a pair of seating grooves 12b formed between the outer handle 12 and the key block 14 so that the pair of binding balls 12b ar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s 12b, (16).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16)들은, 각각 상기 안착홈(12b)들에 배치되고, 도 5의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블럭(14)의 회전에 따라 그 키블럭(14)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The pair of binding balls 16 are disposed in the respective seating grooves 12b and as shown in FIG. 5 (b),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lock 14, Is moved radially outward by being pressed by the relatively protruding protrud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4).

즉,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16)들은 실외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에 의해 상기 키블럭(14)의 돌출면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상기 안착홈(12b)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키(록킹해제용 키) 조작 또는 제어 메커니즘에 의한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돌출면에 의한 가압상태가 해제된 경우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That is, when the pair of binding balls 16 are pressed out by the projecting surface of the key block 14 by key operation by the user outdoors, And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when the pressing state by the projecting surface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 (locking release key) or the motor by the control mechanism.

이와 같이, 상기 키 조작에 의해 상기 키블럭(14)이 도 5의 (a)에서 (b)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키블럭(14)과 기어 연결된 모터연결블럭(30)이 회전되고, 그 모터연결블럭(30)과 연결된 제2연결 유닛(본 실시예에서는 데드작동블럭(40))이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도어의 록킹을 좌우하는 데드볼트(36)가 케이스(10)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5 (a) to (b) by the key operation, the motor connection block 30 geared to the key block 14 is rotated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the dead operating block 40 in this embodiment) connected to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is rotated so that the dead bolt 36 which controls the locking of the door is rotated by the case 10 So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is released.

본 실시예와 같은 박스형 도어락 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록킹을 좌우하는 데드볼트(36)와 도어의 개폐를 좌우하는 래치블럭(28)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키 조작에 의해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 6과 같은 동작이 추가로 수행된 경우에 한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Since the deadbolt 36 which controls the locking of the door and the latch block 28 which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re independently operated at the posit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door only when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6 is further performed.

도 6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채용된 매개블럭(18)은,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의 안착홈(12b)과 소통되는 한 쌍의 결속홈(18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6, an intermediate block 18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outer handle rotation block 12,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 And a pair of coupling grooves 18a communicating with the seating groove 12b of the rotary block 12 for the outer handle.

상기 결속홈(18a)들은, 상기 안착홈(12b)에 위치한 한 쌍의 결속용 볼(16)들이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부분으로,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16)들이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매개블럭(18)과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The binding grooves 18a are portions where a pair of binding balls 16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b are moved and selectively fitted, and only when the pair of binding balls 16 are positioned So that the intermediate block 18 and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can be rotated together.

즉, 도 7과 같이 상기 결속홈(18a)에 결속용 볼(16)들이 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실외측에서 키 조작 없이 실외측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도어 개방에 영향을 줄 수 없는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만이 실외측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될 뿐, 도어의 개방에 영향을 주는 매개블럭(18)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6와 같이 상기 키 조작에 의해 결속홈(18a)에 결속용 볼(16)들이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매개블럭(18)이 상기 결속용 볼(16)들에 의해 서로 구속된 상태로 함께 회전된다. That is, when the binding balls 16 are not located in the binding groove 18a as shown in FIG. 7, if the outdoor side handle is operated without a key operation on the outdoor side, Only the rotary block 12 for the outer handle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side handle and the intermediate block 18 influenc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not rotated. 6, when the binding balls 16 are positioned in the binding groove 18a by the key operation, the outer handle rotating block 12 and the intermediate block 1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for the binding And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balls 16 constrain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매개블럭(18)은 상기 제1연결 유닛(본 실시예에서는 래치작동블럭(38))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래치블럭(28)과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은 상기 래치블럭(28)과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매개블럭(18)과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이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만 도어가 개방된다. The intermediate block 18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a latch block 28 which enabl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ch operation block 38)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intermediate block 18 and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are rotated together as the rotary block 12 for use is not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atch block 28. [

만약,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 7과 같이 키 조작 없이 실외측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36)의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어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음은 물론, 이와는 별개로 래치블럭(28)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만이 회전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If an intruder intends to open the door by operating the outdoor side handle without a key operation as shown in FIG. 7 from outside,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36 can not be affect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can not be unlocked due to the rotation of only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which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latch block 28 separately.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을 가지는 결속용 볼(16)들에 의해 키를 가진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침입자에 의한 도어 개방 여부가 좌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좁은 공간에 부품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간소하고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외측에서의 침입자에 의한 임의 침입 방지를 가능하게 하여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by the user having the key and the intruder not having the key is controlled by the binding balls 16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ptimally arrange the components in a narrow spa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rbitrary intrusion by an intruder on the outdoor side even with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한편, 상기 제1연결 유닛과 제2연결 유닛은, 가각 상기 실외측 도어와 데드볼트(36) 및 래치블럭(28), 그리고 실내측 도어와 데드볼트(36) 및 래치블럭(28) 간의 동력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ower between the outdoor side door and the dead bolt 36 and the latch block 28 and between the indoor side door and the dead bolt 36 and the latch block 28 The connection is made possible, and a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2)실내측에서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과정2) opening process of the door by the user on the indoor side

실내측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는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슬라이딩부재(24)와 제1연결 유닛과 제1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door is opened by the user on the indoor sid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nner handle rotating block 20, the sliding member 24,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은, 상기 매개블럭(18)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 핸들(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내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내측핸들용 삽입홈(20a)들을 구비한다. The inner handle rotating block 2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block 18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an indoor handle And a pair of inner handle insertion grooves 20a into which the indoor handle is insert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8의 (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핸들 조작에 의해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이 회전되면, 그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래치블럭(28)이 상기 제1연결 유닛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데드볼트(36)가 상기 제2연결 유닛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실내측 핸들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록킹상태 해제 및 도어의 개방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 한다. 8 (a), when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door handle,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is rotated by the inner handle, And the latch block 2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inner handle rotation block 20 and the dead bolt 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reby simultaneously releasing the locking state and opening the door.

결국, 본 실시예는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을 다른 구성들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시키고, 그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을 실내측 핸들과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핸들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록킹상태 해제 및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있으면서도 사용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제품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is arranged on the same axis as the other structures, and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is connected to the indoor handle, The locking state can be released simultaneously and the open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u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roduct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user convenience.

3) 3) 내측핸들용For inner handle 회전블럭(20)과The rotating block 20 and 래치블럭Latch block (28) 및 (28) and 데드볼트Dead bolt (36) 간의 동력 연결을 위한 구성들 RTI ID = 0.0 > 36 < / RTI >

먼저 실내측 핸들 조작시 도어가 개방되는 메카니즘 및 이러한 메카니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다 .First, a mechanism for opening the door when the indoor side handle is operated and constructions for enabling such a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핸들에 연결된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 도어의 록킹을 좌우하는 데드볼트(36) 및 도어의 개방을 좌우하는 래치블럭(28) 사이의 동력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는 날개작동용 회전부(20b)와 작동날개(22)들과 슬라이딩부재(24)와 제1연결 유닛과 제2연결 유닛이 채용되었다. 8, a power connection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connected to the indoor handle, the dead bolt 36 which controls the locking of the door, and the latch block 28 which control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wing operating rotary portion 20b, the operating blades 22, the sliding member 24,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are employed.

즉, 상기 날개작동용 회전부(20b)는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의 원통형의 자유회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날개(22)들 사이에 형성된 작동홈(22a)에 삽입된다. In other words, the vane operating rotary part 20b projects radially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free-rotation part of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and the operating grooves 22a (22a) formed between the pair of operating vanes 22 ).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측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날개작동용 회전부(20b)는 상기 작동날개(22)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작동날개(22)는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4) 및 그 슬라이딩부재(24)에 연결된 제1연결 유닛(래치작동블럭(38))과 제2연결 유닛(데드작동블럭(40))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연결 유닛과 제2연결 유닛은 각각 래치블럭(28)과 데드볼트(36)를 동시에 케이스(10) 내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도어의 록킹해제 및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door side handle, the vane operation rotary part 20b presses one of the operation vanes 22, and the pressurized operation vane 22 rotates while the sliding member (Dead operating block 40)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latch operating block 38)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24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The lock block 28 and the dead bolt 36 are simultaneously drawn into the case 10 so that the door is unlocked and opened simultaneously.

다음으로 실외측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메카니즘 및 그 메카니즘 구현을 위한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mechanism for opening the door at the outdoor side and the structures for implementing the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핸들과 연결된 매개블럭(18)과 데드볼트(36) 및 래치블럭(28) 사이의 동력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는, 상기 실내측에서 도어 개방을 위한 구성과 유사하게,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의 날개작동용 회전부(18b)와 동일한 위치에 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날개작동용 회전부(18b) 및 작동날개(22)들이 채용되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in the configuration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intermediate block 18 connected to the outdoor side handle and the dead bolt 36 and the latch block 28, A wing actuating rotary part 18b and operating wings 22 are arranged to be layer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wing actuating rotary part 18b of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즉,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록킹해제용 키를 조작하여 키블럭(14)이 회전하게 되면, 그 키블럭(14)과 기어 연결된 모터연결블럭(30)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연결블럭(30)의 회전에 의해 제2연결 유닛이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6)를 케이스(10) 내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도어의 록킹상태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unlocking key as shown in FIG. 5 to rotate the key block 14,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geared with the key block 14 rotates, and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The locking of the door is released by pulling the dead bolt 36 inside the case 10 while the second connecting unit is rotated.

이와 같이,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매개블럭(18)이 함께 결속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한 이후에, 실외측 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매개블럭(18)에 마련된 날개작동용 회전부(18b)가 작동날개(22)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작동날개(22)는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4) 및 그 슬라이딩부재(24)에 연결된 제1연결 유닛을 통해 상기 래치블럭(28)을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시킨다.When the outside handle is operated, after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and the intermediate block 18 are put in a state in which they can be rotated together, And the pressurized operating vane 22 is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24 and the sliding member 24 thereof And the door is opened by pulling the latch block 28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unit.

한편,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은,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과는 달리 상기 날개작동용 회전부(20b)에 대응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자유회전부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nlike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the outer handle rotary block 12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wing operation rotary part 20b, but is formed in a cylindrical body .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실내측 도어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20) 및 작동날개(22)들이 순차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실외측 도어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용 볼(16)들이 결속홈(18a)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매개블럭(18)이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지 않는 이상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door door is operated, the door can be opened as the inner handle rotary block 20 and the operation blades 22 are sequentially rotated, When the door is operated, the coupling balls 16 are positioned in the coupling groove 18a so that the outer handle rotation block 12 and the intermediate block 18 are not in a state in which they can be rotated together. So that it can not be opened.

본 실시예에 채용된 모터연결블럭(30)은, 상기 키블럭(14)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위치에 마련된 다른 회전중심축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축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섹터기어부(30a)와 연동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tor connection block 3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other rotation center axis provid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key block 14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 sector gear portion 30a, and an interlock jaw.

상기 섹터기어부(30a)는, 상기 키블럭(14)의 회전력을 상기 제2연결 유닛 측에 전달시켜 주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키블럭(14)에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동턱은, 상기 슬라이딩부재(24)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그 회전력을 슬라이딩부재(24) 측에 전달시켜 줄 수 있게 한다. The sector gear portion 30a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ey block 14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to the key block 14,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liding member (24)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liding member (24).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제1연결 유닛은 상기 래치작동블럭(38)을 포함하고 이루어지고, 제2연결 유닛은 연동턱과 데드작동블럭(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rst connection unit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latch operation block 38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includes an interlocking jaw and a dead action block 40. [

상기 래치작동블럭(38)은, 상기 모터연결블럭(30)의 회전중심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4)의 래치작동턱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되고 그 회전력을 상기 래치블럭(28)에 전달하여 준다. The latch actuating block 38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latch block 28. The latch block 2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 blocks 28,

상기 연동턱은, 상기 모터연결블럭(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4)의 일측과 접촉되어서, 그 모터연결블럭(30)과 슬라이딩부재(24)를 필요에 따라 서로 연동되게 한다. The interlocking jaw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otor connection block 30 and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24 so that the motor connection block 30 and the sliding member 24 are required As shown in FIG.

상기 데드작동블럭(40)은, 상기 연동턱과 함께 회전되는 모터연결블럭(30)의 섹터기어부(30a)에 기어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력을 상기 데드볼트(36)에 전달하여 준다. The dead operating block 40 is connected to the sector gear portion 30a of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rotated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jaw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 To the dead bolt (36).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실내측 핸들과 실외측 핸들이 작동된 경우에 그 작동력을 상기 작동날개(22)들과 슬라이딩부재(24)를 통해 데드볼트(36) 및 래치블럭(28)까지 전달할 수 있게 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6 and 8, when the indoor side handle and the outdoor side handle are operated,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ead bolt (not shown) through the operating blades 22 and the sliding member 24 36 and the latch block 28 to enable opening of the door.

한편, 도 4와 같은 도어 록킹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록킹해제 이후 도 6과 같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는, 키블럭(14)이 도 4와 같은 원래의 위치(외측핸들용 회전블럭(12)과 매개블럭(18)이 서로 결속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복원되어야 한다. 5, after the door is opened as shown in FIG. 6, the key block 14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outer handle rotating block (The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block 12 and the intermediate block 18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키블럭(14)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위치에 마련된 다른 회전중심축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축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키블럭(14)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섹터기어부(30a)를 구비하는 모터연결블럭(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provided on another rotation center axis provid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key block 14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in a power- And a sector gear portion (30a) for transferring the electric power to the key block (14).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키블럭(14)과 모터연결블럭(30)이 그 사이에 마련된 매개기어와 상기 섹터기어부(30a)를 통해 동력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키블럭(14)의 조작 이후 모터 구동으로 그 키블럭(14)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키블럭(14)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 초래되는 침입자에 의한 예기치 않은 주거 침입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key block 14 and the motor connecting block 30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gear provided therebetween through the sector gear portion 30a, As the key block 14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motor driving after the operation of the key block 14, the unexpected residential intrusion by the intruder, which is caused when the key block 14 is not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obvious that all modifications and concrete examples which can easily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케이스 10a:고정부
10b:하우징부 12:외측핸들용 회전블럭
12a:외측핸들용 삽입홈 12b:안착홈
14:키블럭 16:결속용 볼
18:매개블럭 18a:결속홈
18b:날개작동용 회전부 20:내측핸들용 회전블럭
20a:내측핸들용 삽입홈 20b:날개작동용 회전부
22:작동날개 22a:작동홈
24:슬라이딩부재 28:래치블럭
30:모터연결블럭 30a:섹터기어부
32:캡부재 34:키연결블럭
36:데드볼트 38:래치작동블럭
40:데드작동블럭
10: Case 10a:
10b: housing part 12: rotating block for outer handle
12a: Insertion groove for outer handle 12b:
14: key block 16: binding ball
18: intermediate block 18a: binding groove
18b: rotating part for blade action 20: rotating block for inner handle
20a: Inner handle insertion groove 20b:
22: operating wing 22a: operating groove
24: sliding member 28: latch block
30: motor connecting block 30a: sector gear portion
32: cap member 34: key connection block
36: Dead bolt 38: Latch actuating block
40: Dead operating block

Claims (4)

문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에 설치되어서 그 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여러 면들 중 문틀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측 핸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외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외측핸들용 삽입홈들을 구비하며, 중심의 관통된 부분에 록킹해제용 키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키블럭이 배치되는 외측핸들용 회전블럭;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과 키블럭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홈들에 배치되고, 상기 키블럭의 회전에 따라 그 키블럭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면에 의한 가압됨으로써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결속용 볼들;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에 위치한 한 쌍의 결속용 볼들이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과 소통되는 한 쌍의 결속홈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결속홈들에 상기 한 쌍의 결속용 볼들이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외측핸들용 회전블럭과 함께 회전되는 매개블럭;
상기 매개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측 핸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실내측 핸들이 끼워지는 한 쌍의 내측핸들용 삽입홈들을 구비하는 내측핸들용 회전블럭;
상기 내측핸들용 회전블럭과 상기 매개블럭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 작동날개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래치블럭 간의 동력 연결을 위한 제1연결 유닛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의 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데드볼트 간의 동력 연결을 위한 제2연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도어락 장치.
The door is installed on a doo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and selectively locks the door.
A fixing part fixed to an opposing face of the door frame which faces the door frame among the various surfaces of the door frame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and a housing which is embedded in the door frame and extends from the fixing part, A case including a part;
And a pair of outer handl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ase and in which the outdoor handle is inserted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outdoor handle, A rotary block for an outer handle in which a key block for interacting with the key block is disposed;
And a pair of seat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rotary block for the outer handle and the key block and being press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by being pressed by a relatively protruding surface of the key block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lock Pairs of binding balls;
A pair of coupling balls disposed in a manner to surround the rotary block for the outer handl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ating groove so that a pair of binding ball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can be selectively moved, An intermediate block rotatable together with the outer handle rotating block only when the pair of binding balls are positioned in the binding grooves;
And a pair of inner handle insertion groove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so as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block and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inner handle, block;
A sliding member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ng blade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any one of the inner handle rotating block and the intermediate blocks and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deadbolt for enabling the locking of the door and the sliding member and a first connecting unit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latch block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lock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블럭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위치에 마련된 다른 회전중심축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축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키블럭에 전달시켜 주고 상기 제2연결 유닛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섹터기어부를 구비하는 모터연결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key block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another rotation center axis provid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key block and being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to the key block, And a motor gear block having a sector gear portion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유닛은, 상기 모터연결블럭의 회전중심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래치작동턱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되고 그 회전력을 상기 래치블럭에 전달하여 주는 래치작동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motor connection block, And a latch operating block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latch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유닛은,
상기 모터연결블럭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과 접촉되는 연동턱; 및
상기 연동턱과 함께 회전되는 모터연결블럭의 섹터기어부에 기어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력을 상기 데드볼트에 전달하여 주는 데드작동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An inter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motor connecting block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otor connecting block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sliding member; And
And a dead operating block which is gear-connected to a sector gear portion of the motor connecting block rotated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jaw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dead bolt Boxed door lock device.
KR1020180048259A 2018-04-26 2018-04-26 Box type doorlock apparatus KR101965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59A KR101965533B1 (en) 2018-04-26 2018-04-26 Box type doorloc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259A KR101965533B1 (en) 2018-04-26 2018-04-26 Box type doorlock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33B1 true KR101965533B1 (en) 2019-04-03

Family

ID=661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259A KR101965533B1 (en) 2018-04-26 2018-04-26 Box type doorlock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09A (en) * 2001-02-22 2001-05-07 김종수 A door lock having the tubular type of lever
KR20020089139A (en) * 2002-04-30 2002-11-29 주식회사 정화테크 Latch bolt functioning structure of tubular type door lock
US20040144143A1 (en) * 2002-07-29 2004-07-29 Tu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Lock engaging-and-disengag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09A (en) * 2001-02-22 2001-05-07 김종수 A door lock having the tubular type of lever
KR20020089139A (en) * 2002-04-30 2002-11-29 주식회사 정화테크 Latch bolt functioning structure of tubular type door lock
US20040144143A1 (en) * 2002-07-29 2004-07-29 Tu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Lock engaging-and-disengag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0411B2 (en) Door lock with controllable handle operation
US20160258189A1 (en) Electronic Control for Lock Assembly and Conversion Method
JP2005520956A (en) Lock
US10890019B2 (en) Reversible electric door lock
WO2019165812A1 (en) Three-station mechanism of load switch
KR101965533B1 (en) Box type doorlock apparatus
JP2019529750A (en) Handle device
JP3880661B2 (en) Electric lock
KR101965532B1 (en) Tubular latch type doorlock apparatus
KR100516150B1 (en) Door lock device lever assembly
KR101241231B1 (en) Door lock
KR101767495B1 (en) Anti Panic Mortise Lock having Clockwise and Countclockwise Opening Operation
KR20040069314A (en) A door lock mechanism
KR101037203B1 (en) Digital door lock apparatus improving opening and closing efficiency
KR20110130545A (en) Handle unit of door lock device and door lock device having it
KR100544963B1 (en) Back Set of Door Lock Equipment
KR101983498B1 (en) Tubular latch type doorlock double locking apparatus
CN206722586U (en) A kind of looped network cabinet door lock
KR101595853B1 (en) 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CN109653602B (en) Digital door lock including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structure
JPH026205Y2 (en)
KR100997918B1 (en) A doorlock with open manual key
KR200399410Y1 (en) The tempered glass door the system which locks
KR101322308B1 (en) Clutch assembly for thumbturn
KR100922344B1 (en) Mortise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