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101B1 - Smart Automatic Door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Automatic Do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101B1
KR101964101B1 KR1020180067178A KR20180067178A KR101964101B1 KR 101964101 B1 KR101964101 B1 KR 101964101B1 KR 1020180067178 A KR1020180067178 A KR 1020180067178A KR 20180067178 A KR20180067178 A KR 20180067178A KR 101964101 B1 KR101964101 B1 KR 10196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module
wir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평
Original Assignee
지티앤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앤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티앤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1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utomatic inne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entries to a user. The system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ing module provid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 upper track including guide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rom side to side; a door installed to be able to be physical slid from side to side; a moving guide combined with the door; a first wire fixed to one end of the moving guide; a second wir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guide; a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pulling the door in an opening direction; a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pulling the door in a closing direction; and a user terminal inpu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Description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Smart Automatic Door System}{Smart Automatic Door System}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주택의 중문을 자동으로 개폐하고 출입을 관리하는 중문 개폐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충전형 배터리의 전원 공급으로 인체감지 센서 및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 후 자동으로 중문의 개폐가 가능하면서 출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nes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n apartment or a house, and more particularly, (IoT) -based smart middl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entrance and exit to a user while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middle door after detecting a user.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동문 시스템은 보통 건물 출입 현관문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무게가 100 ~ 200kg 되는 유리문 등에 많이 활용하며, 아파트나 주택의 실내에 설치되는 중문의 경우는 무게가 100kg 이하인데 이에 적합한 중문용 자동문 시스템이 없어서 현관문에 적용되는 자동 개폐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와서 적용하는 실정이다.The automatic door system applied to the sliding door system is usually applied to the entrance door of the building and it is widely used for glass doors weighing 100 ~ 200kg. In the case of the Chinese doors installed in the apartments or houses, the weight is less than 100kg. There is no automatic door system, so the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applied to the front door is taken and applied.

이러한 자동 개폐 시스템은 다수의 센서 및 제어장치, 풀리, 레일 등의 구성품이 복잡하고 많아서 설치도 복잡하고 대부분 고가여서 건물 출입문에 많이 적용되며, 구성이 복잡해서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A/S 문제가 많이 발생하나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도 존재한다.Suc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complicated and many installation parts are complicated and many of them are expensive, so they are applied to a door of a building,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there is a problem of A / S There are a lot of part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easily.

아파트 중문은 실내에 설치되므로 기존 현관 자동문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작고 직접적인 보안성에 문제가 없어서 중문의 역할에 맞게 자동 개폐가 잘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가성비가 좋은 자동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Since the apartment door is installed indoors, it is required to provide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easy to install, and has a high causticity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role of the Chinese door because the door is relatively small in weight and relatively safe.

또한, 기존 자동문은 수동으로 도어 스위치를 활용하거나 또는 중문 상단 중앙에 인체감지 센서 등으로 사용자를 인식해서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데 이의 문제점은 전류 소모가 많아 상시 전원(AC 220V)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아파트 현관의 천장 조명등 부근에서 전원을 뽑아내는 작업도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automatic door can automatically open / close the door by manually using the door switch or recognizing the user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t the upper center of the middle door. The problem of this is that the power source (AC 220V) There is a troublesome and time-consuming operation to extract power from the ceiling light of the apartment entran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18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184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09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50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단순한 구조와 구성품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중문 자동문 시스템의 복잡한 구성으로 설치가 어렵고 설치 비용 및 시간의 소모가 많았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한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structure and components to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 installation, complicated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Jungmun automatic door system, And the price is also l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C 220V 상시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팩의 전원을 활용함으로써, 자동문 시스템의 구성이나 동작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주거지의 준공 후에도 전기 공사가 따로 필요없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power of the battery pack instead of using the AC 220V constant power source, not only the current consumed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automatic door system is minimized, We want to provide a way to make it unnecessar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기존 자동문의 방식인 도어 중앙 상단부의 상시 구동하는 인체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해서 자동개폐하는 방법 대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계한 사용자 자동 인식/확인 및 개폐를 해주는 것으로 개념 추가하는 것으로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하도록 인체감지 센서 대신에 도어 스위치내에 송신 전용 BLE 비콘을 두어 영역 진입 시에 사용자 인증 바로 수행 가능하고 이를 통한 도어 개폐 자동 실행(개별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 확인 가능) 인증 후 도어를 바로 열어두고 있어서사전 사용자 확인에 따른 도어 오픈 상태에 있음에 따라 진입하며 기다리거나 끊어짐이 없이 연결하여 바로 실내로 진입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a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user throug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which is always driven at the center upper end portion of the door, which is a conventional automatic door system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t the time of entry into the area by putting transmission exclusive BLE beacon in the door switch instead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so as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by adding the concept of automatic recognition / confirmation and opening / closing of the connected user. (User can be identified through individual smartphone). Since the door is opened immediately after the authentication and the door is opened according to the pre-user confirmation, it is desired to provide a method of entering into the room without any waiting or breakage .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시스템은 상단에 형성되어 양방향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된 상부트랙, 상기 상부트랙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물리적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 상기 이동가이드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1와이어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를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2와이어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원점 인식 센서 모듈, 상기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 혹은 인체를 감지하고, BLE 비콘 기능과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유무선 도어 스위치,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닫힘 와이어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 사용자 ID, 닫힘 유지 모드 설정시간, 도어 닫힘 속도, 도어 열림 속도, 사용자 감지 영역 설정, 출입 정보/보안 상태 알림 서비스, 출입 정보 설정 및 IoT 기기 연동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med at an upper end to provid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 upper track having guide holes formed in a left- A first wi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o be coupled to the door, a first wire fix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a second wir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ement guide, A motor 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for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pulling the movement guide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wi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for pulling the gu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 wired / wireless door switch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to detect a user or a human body in the setting area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pressing the BLE beacon function and the button, Main controller that controls auto open / close wire module, User ID, Closed mode setting time, Door closing speed, Door opening speed, User detection area setting, Access information /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service, Access information setting and IoT device interlocking setting And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현관 혹은 실외 측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실내 측 일면에 설치되어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includes an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or outside of the door to detect a user in a setting area, Wired door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는 설정 영역 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비콘(BLE Beacon) 무선 통신 신호를 단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항시 송신하는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과,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 외 여러 사람의 중문 통과 완료 여부를 감지하고, 통과 완료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메인제어기로 전송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comprises a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or always transmitting a BLE beac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for sensing the approach of a user in a setting area to the user terminal unidirectionally, And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assed through the middle door of the user or a user other than the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ain controller when the passage completion state is det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점 인식 센서 모듈은 상기 이동가이드에 연결되는 자력센서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자력센서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제1홀센서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자력센서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제2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or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and a magnetic force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moves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 second hall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moves when the door is closed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to detect the closing of the door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홀센서, 제2홀센서,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홀센서가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홀센서가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all sensor, the second hall sensor,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When the first hall sensor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When the second hall sensor senses the closing of the door, And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is cut of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력 소모가 적은 충전형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팩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pack for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pow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includes a charging unit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 battery charging jack indicating a state of the power supply, And a status display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의 양쪽 상단에 각각 설치된 닫힘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닫힘 유지 모듈은 상기 닫힘 유지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메인제어기를 통해 제어가 되며 유지하는 보안/취침 모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closed holding module provided at both upper ends of the door, and the closed holding module controls and maintain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during the closed holding set time through the main controller And a security / sleep mode fun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 정보 및 ID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입력받아 IoT 기기에 제공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혹은 외부인의 출입을 감지하며, 상기 출입 감지 정보를 홈 IoT 허브로 제공하는 다수의 IoT 기기 및 상기 다수의 IoT 기기와 관리서버를 연계하는 홈 IoT 허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 영역 내 접근할 경우에 사용자 확인을 위해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의 양방향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와 출입 감지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 및 출입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the I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detects the entrance of the user or outsider, A plurality of IoT devices provided as IoT hubs and a home IoT hu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th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IoT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server confirm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provides the user verification result and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user confirmation result and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은 도어 사이즈에 구애됨이 없이 쉽게 설치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주택/아파트 현관 중문 등에 최적화되고 적합한 자동문 시스템이 되겠으며, 이에 따라 가성비가 좋아 확대 적용이 가능하여 상업적으로도 매출 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easily without any restriction on the door size, and is cheap, so that it will be an automatic door system optimized and suitable for a house / apartment front door, Sinc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application due to the rain,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ales also in commerc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구성에 따라 스마트폰 앱을 통한 자동문 제어기의 동작 설정 혹은 활용 설정 스위치 수량의 적용 최소화로 제어기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닫힘 속도, 열림 속도, 장애물감지시간, 개방유지시간, 외출/귀가 모드 설정, 정보 알림 서비스 및 사용자등록/설정, 홈 IoT 전자기기 연결 설정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the size of the controller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automatic door controller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use of the setting switch quantity, Speed, obstacle detection time, open retention time, outgoing / return mode setting,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and user registration / setting, home IoT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etting and so 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히는 과정이나 열리는 과정에서 장애물 감지가 가능하여 노인이나 어린아이가 중간에 끼어서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stacle can be detected in the process of closing or opening the door,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that an elderly person or a young child is caught in the middle and inju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이 있는 사람이 집에 접근하면 중문에서 사용자 인식을 함에 따라 추가적인 서비스로 가족 귀가 알림 같은 것을 보호자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이는 보통 노약자나 아이들 또는 치매 노인이 집에 있지 않고 밖으로 나간다든지 하는 것을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가족이 보호해야 할 대상이 있는 경우 외부에서 웹서버를 통해 이런 상황을 알림 서비스해 줌에 따라 인지할 수 있어서 안심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 who has a smartphone accesses the home, he or she can inform the guardian of the family home, for example, By allowing the caregiver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y are out of the home, and if the family has a target to protect, it can be relieved to be able to recognize the situation through a web server from outside.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업계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점 인식 센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도어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구성의 실제 모습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d / wireless door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ctu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를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500)은 도어(30), 제1와이어(42), 제2와이어(44),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 유무선 도어 스위치(80), 메인제어기(90), 닫힘유지모듈(120), 인체감지센서(84), 무선 송수신 모듈(10), 배터리팩(112), 배터리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114)를 포함한다.1,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500 includes a door 30, a first wire 42, a second wire 44, a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The closed wire module 60,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the main controller 90, the closed holding module 120, the human body sensor 84,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10, the battery pack 112, And a status display unit 114. [

도어(30)는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안내홀(22)이 형성된 상부트랙(20)의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물리적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30)는 기존의 아파트 혹은 주택을 포함한 집안 내 설치되는 중문(中門)으로, 기존의 중문은 현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고, 직접적인 보안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는다.The door 30 is physically slid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track 20 on which the guide holes 22 are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 door 30 is a middle door installed in a house including an existing apartment or house. The conventional door is relatively less in weight than the front door and does not provide a direct security system.

제1와이어(42)는 상기 안내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30)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40)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2와이어(44)는 상기 이동가이드(40)의 타단에 고정된다.The first wire 42 is fix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4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2 and coupled to the door 30 and the second wire 44 is fix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4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1와이어(42)와 제2와이어(44)는 통상의 와이어(Wire)로써, 상기 제1와이어(42) 및 제2와이어(44)는 일단에 링형의 매듭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40)에 걸어질 수 있다.The first wire 42 and the second wire 44 are formed of a conventional wire and the first wire 42 and the second wire 44 are formed in a ring- And can be hooked on the guide 40.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은 상기 제1와이어(42)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1와이어(42)의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를 상기 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여기서 여는 동작에 대한 멈추는 것은 엔코더휠센서로부터 얻은 위치값에 따라 적당한 이동거리를 이동한 후 그 값과 일치하는 위치에 멈추고 와이어 모듈내의 클러치를 해제하여 둔다. 이러한 클러치 해제 동작은 다음 이어지는 닫힘 동작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 열림/닫힘 와이어 모듈은 해당 기능의 동작을 마치면 항상 이렇게 클러치를 해제하여 둔다.The motor driving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pulls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42 and pulls the moving guide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wire 4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30 is opened. Here, stopping for the opening operation is to move the proper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obtained from the encoder wheel sensor, stop at the position matching the value, and release the clutch in the wire module. This clutch releasing operation smoothes the following closing opera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wire module always releases the clutch when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finished.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은 상기 제2와이어(44)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2와이어(44)의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40)를 상기 도어(30)가 닫히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The motor driving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wind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44 and holds the movement guide 40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wire 4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30 is closed I pull it.

유무선 도어 스위치(80)는 상기 도어(30)의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 혹은 인체를 감지하고,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도록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이 내장되며,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80)는 상기 도어(30)의 현관 혹은 실외 측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와, 상기 도어(30)의 실내 측 일면에 설치되어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30)를 개폐하는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b)를 포함한다.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30 and detects a user or a human body in the setting area and detects a user's access. The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is built in, Respectively.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ncludes an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30 or outside of the door 30 to detect a user in the setting area, And an in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b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30 when the button is pressed.

메인제어기(90)는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과 상기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을 제어한다.The main controller 90 controls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닫힘유지모듈(120)은 상기 도어(30)의 양쪽 상단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설정한 닫힘 유지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3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보안 모드 및 취침 모드 기능을 갖는다.The closed holding module 120 is installed in both upper ends of the door 30 and is a security mode in which the door 30 is kept lock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et by the user via the user terminal 100, It has a sleep mode function.

인체감지센서(84)는 상기 도어(30)의 열림 상태에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 외 여러 사람의 중문 통과 완료 여부를 감지하고, 통과 완료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메인제어기(90)로 전송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84)는 현관문 쪽 또는 실외 측의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에만 내장되며,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 옆면에서 도어(30)의 정면을 따라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sens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assed through the middle door of the door 30 when the door 30 has been opened. se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is built in only the external wired or wireless door switch 80a on the door or outdoor side and can detect the human bod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0 o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rnal wired and wireless door switch 80a .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84)는 인체 감지 센싱 영역에 따라 좌우 45도 이내 영역에서 인체 감지를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30)가 닫히는 중간에 인체 감지가 가능하여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끼이는 현상이 없도록 이에 따른 장애물 감지 및 도어 열림 후 닫는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senses a human body in an area within 45 degre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ing area. Accordingly, the human body can be sensed in the middle of the door clos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stacle and control the closing operation after opening the door.

또한, 상기 도어스위치 내의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은 설정 영역 내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고, 비콘(BLE Beacon : Bluetooth Low Energy Beacon) 무선 통신 신호를 단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항시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in the door switch senses the access of the user terminal in the setting area and transmits a beacon (BLE Beacon: Bluetooth Low Energy Beac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 one direc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에 적용하는 비콘(Beacon)은 원래 지상 무선 기지 등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항공기, 선박, 자동차를 포함한 이동체 내의 기기에서 수신하여, 위치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였으나, 현재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하고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비콘 그 자체는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실제 정보 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저주파 비콘, LED 비콘, Wifi 비콘, Bluetooth 비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A beacon applied to the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is a device for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osition by receiving a radio wave emitted from a ground wireless base station or the like in a mobile device including an aircraft, , And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detects smart devices in short distance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technology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The beacon itself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locating information. The actual information transmission is based 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and infr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signal transmitted, a low frequency beacon, an LED beacon, a Wifi beacon, a Bluetooth beacon .

배터리팩(112)은 기존 자동문 시스템의 상시 AC 220V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와는 달리 본 발명에는 충전형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팩(112)에 내장된 충전형 배터리를 통해 추가 전기 공사 작업이 필요 없이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상시 전원이 아니기 때문에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이때,도어 하단부에는 좌우에 상관없이 충전을 위한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114)가 상기 배터리의 전압 상태 혹은 충/방전량 등을 포함한 배터리 상태를 표시한다.Unlike the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pack 112 is always connected to the AC 220V power source of the existing automatic doo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mount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battery pack 112 Since it can be installed without needing additional electric work, installation work is easy,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ecause it is not always power source. At this time, a charge jack for charging and a status display unit 114 indicate the battery state including the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the charging / discharging amount, and the like, irrespective of whether the battery is left or right.

본 발명의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500)은 전원 공급은 상시전원 또는 배터리팩(112) 둘다 활용이 가능하며, 상기 상시전원이 인가되더라도 항상 배터리팩(112)을 통해 전체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배터리팩(112)의 구조는 내부에 리튬 폴리머 또는 리튬 이온 등 2차 전지가 있고, 이의 전원을 승압 회로를 사용해서 모터 구동 전원(12~15V)을 얻는다. 또한, 저전력 소모를 위해 평소에는 모터 구동 전원(12~15V) 공급을 차단하고 있다가,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할 때에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평소에는 모터 구동 전원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류 소모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한다.The automatic open / close control system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power to both the constant power source or the battery pack 112. Even when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applied, the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battery pack 112 It is possible.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pack 112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polymer or a lithium ion, and a power source for the battery pack 112 is a step-up circuit to obtain a motor drive power source 12 to 15V. In addition, in order to consume low power, the supply of motor drive power (12 ~ 15V) is normally cut off, but when the open or close operation is performed,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to supply power. Normally, the sleep mode is maintained in a low current consumption state in which the motor driving power is inactivated.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0)은 상단에 형성되어 양방향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상기 양방향 무선 통신은 Zigbee(미도시), Wifi, Bluetooth, Z-wave 등의 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상기 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고, 상기 Bluetooth는 전파를 이용하여 전자 장비 간의 짧은 거리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며, 상기 Zigbee 또는 Z-wave는 주로 가정용 자동화(Home Automation)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가정에서 스마트 홈을 위해 가정의 정보기기, 가전기기, 생활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단거리 무선 접속 기술이다.The wireless transceiver module 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to provid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dopts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not shown), Wifi, Bluetooth, Z-wave, etc., and the Wifi is a technology that allows electronic devices to connect to a wireless LAN. The Zigbee or Z-wav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ainly used for home automation. It is a technology for home information equipment, household appliance, It is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y that can control life devices and the like.

따라서, BLE 비콘 신호를 인식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계하여 사용자 확인 및 도어(30) 자동 개폐를 한 후에는 사용자가 중문을 통과하는지를 감지함으로써 닫힘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중문이 닫히는 도중에 다른 인체가 감지되면 계속 도어(30) 열림 상태를 유지하거나, 닫히는 도중이면 다시 열어 주는 동작이 필요하다.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80)에 내장된 인체감지센서(84)를 통해 상기 중문을 통과하는 사용자 혹은 사용자 외 출입자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after the BLE beacon signal is recognized and the user confirmation and the door 30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must be able to control the closing operation time by sensing whether the door passes through the middle door. If another human body is sensed while the middle door is closed,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oor 30 open or to open it again when the door 30 is closed. And detects a user or an outside user passing through the middle door throug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built in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and can perform the operation.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84)의 계속 동작시에는 전류 소모가 많으므로 사용자 확인에 따른 자동 개폐 동작 시에만 상기 인체감지센서(84)를 동작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즉,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의 버튼 눌림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시에만 인체감지센서(84) 작동 여부 제어가 가능하다.Since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human body sensor 84 i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human body sensor 84, the human body sensor 84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during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firmation. That is, in order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is operated only when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500)은 상부트랙(20), 안내홀(22), 이동가이드(40), 제1와이어(42), 제2와이어(44),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 원점인식센서(70), 자력센서(72), 메인제어기(90), 전원공급부(110)를 포함한다.2,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500 includes an upper track 20, a guide hole 22, a movement guide 40, a first wire 42, a second wire 44, A motor driving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 motor driving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an origin recognition sensor 70, a magnetic force sensor 72, a main controller 90, and a power supply unit 110.

상부트랙(20)은 3연동 슬라이딩 모듈이 내장된 사각틀 구조로, 내부에 도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상기 안내홀(22)을 형성한다.The upper track 20 has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with three interlocking sliding modules. The upper track 20 has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a door can be installed, and the guide hole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이동가이드(40)는 상기 안내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가이드(40)가 이동하면 상기 도어(30)도 연동 이동된다.The movement guide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2 and is coupled to the door 30. Accordingly, when the movement guide 40 is moved, the door 30 is also moved in an interlocked manner.

원점인식센서(70)는 모터 모듈 내부의 엔코더 휠센서부를 통해 열린 위치 값을 정밀하게 감지한다. 이때, 상기 휠센서부는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과 상기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의 각 권취축의 후단에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30)의 열림과 닫힘을 보조적으로 감지한다.The origin recognition sensor 70 precisely detects the open position value through the encoder wheel sensor portion inside the motor module. At this time, the wheel sensor un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each of the wind-up shafts of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motor, ) Is detected additionally.

자력센서(72)는 상기 이동가이드(40)에 연결되고, 영구자석이 내장된다.The magnetic force sensor 72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40, and a permanent magnet is embedded therein.

전원공급부(110)는 제1홀센서(74), 제2홀센서(76),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power to the first hall sensor 74, the second hall sensor 76,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전력 소모가 적은 충전형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팩(112)과 상기 도어 하단부에는 좌우에 상관없이 충전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잭 및 충전형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114)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 battery pack 112 for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pow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a charging jack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regardless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And a status display unit 114. The status display unit 114 displays the status of the batter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점 인식 센서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 인식 센서 모듈(70)은 자력센서(72), 제1홀센서(74) 및 제2홀센서(76)를 포함한다.3, the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70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or 72, a first hall sensor 74, and a second hall sensor 76. [

제1홀센서(74)는 도어(30)가 열릴 때, 상기 자력센서(72)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72)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한다.The first Hall sensor 74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72 moves when the door 30 is opened and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72 to sense opening of the door 30 .

제2홀센서(76)는 도어(30)가 닫힐 때, 상기 자력센서(72)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72)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30)의 완전한 닫힘을 감지한다.The second hall sensor 76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72 moves when the door 30 is closed and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72 to detect the complete closing of the door 30 do.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상기 제1홀센서(74)가 상기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홀센서(76)가 상기 도어(30)의 완전 닫힘을 감지하면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한다.When the first hall sensor 74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30, the power supply unit 70 supplies power to the motor driving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nd the motor driving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To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in order to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when the second hall sensor 76 senses a complete closing of the door 30 Off the pow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도어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d / wireless door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도어 스위치(80)는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와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b)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에는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과 인체감지센서(84)가 내장되어있고, 상기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b)는 스위치 기능만 존재한다.4,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ncludes an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and an in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b, and the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is provided with a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The in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b has only a switch function.

즉,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80a)에 내장된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은 설정 영역 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비콘 무선통신 신호를 단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항시 송신하면, 사용자가 집 혹은 설정 영역 내로 접근했을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내 앱(App)이 자동으로 인지하여 무선 송수신 모듈(10)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으로 사용자 ID 정보 확인을 통해 사용자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built in the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always transmits the beac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for sensing the access of the user in the setting area to the user terminal 100 unidirectional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home or setting area, the app in the user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0 by confirming the user ID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IoT 기기(300), 홈 IoT 허브(400)를 포함한다.5,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500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management server 200, an IoT device 300, and a home IoT hub 400.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ID, 닫힘 유지 모드 설정시간, 도어 닫힘 속도, 도어 열림 속도, 사용자 감지 영역 설정, 출입 정보 알림 설정 및 IoT 기기 연동 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inpu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D, a closing maintenance mode setting time, a door closing speed, a door opening speed, a user detection area setting, an access information notification setting, and an IoT device interlocking setting It is possible.

관리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IoT 기기(300)에 제공한다.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provides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300.

IoT 기기(300)는 사용자 혹은 외부인의 출입을 감지하며, 상기 출입 감지 정보를 홈 IoT 허브로 제공한다.The IoT device 300 detects the access by a user or an outsider and provides the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home IoT hub.

홈 IoT 허브(400)는 다수의 IoT 기기와 관리서버를 연계한다.The home IoT hub 400 links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a management server.

상기 IoT 기기(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감지 영역 내 접근할 경우에 사용자 확인을 위해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0)의 양방향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와 출입/침입 감지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 및 출입 감지 정보를 제공한다.The IoT device 300 confirm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0 to confirm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sensing area, Provides the user verification result and access / intrusio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the user confirmation result and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구성의 실제 모습이다.7 is an actu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50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smart middle door automatic control system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귀가시 중문 자동 열림을 위한 구동 과정이다.First, it is a driving process for automatic opening of the Chinese door when returning home.

1) 유무선 도어 스위치(80)에 내장된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82)이 항시 구동하며 단방향 통신 신호를 보낸다.1) The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82 built in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always operates and sends a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signal.

2) 사용자 단말기(100)가 감지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APP)이 자동으로 인지하면, 무선 송수신 모듈(10)의 양방향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ID 정보를 통한 사용자를 확인한다.2) When the user terminal 100 enters the detection area, if th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he ID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Identify the user through information.

3)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메인제어기(90)는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을 통해 중문을 자동 열림 슬라이딩 동작하여 열어두고 대기한다.3) When the user confirmation is completed, the main controller 90 opens the middle door through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to open and wait.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집 현관문 근처에 접근했을 때 혹은 감지 영역 내 접근했을 때, 현관문의 키를 열거나 도어락을 해제하여 열고 들어오는 시간이 있으므로 일정시간 대기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00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house entrance door or approaches the detection area, the door lock key is opened or the door lock is released.

4)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현관문을 통과해 집으로 들어오면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80) 내의 인체감지센서(84)를 구동하여 사용자 혹은 그 외 여러 사람의 중문 통과 완료 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을 통해 도어(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 것을 해제하고 메인제어기(90)는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로 중문을 자동 닫힘 슬라이딩 동작으로 닫는다.4) When the user having the user terminal 100 enters the house through the entrance door, the body sensor 84 in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s drive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assed the door The main controller 90 releases the door 30 from being held in the opened state by the recognition, and the main controller 90 closes the middle door with the motor closing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by the automatic closing sliding operation.

상기 인체감지센서(84)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 인식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30)가 열리는 동안에만 장애물 감지를 위한 수단으로 구동되며, 이외의 상태에서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In order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84 is driven as means for detecting an obstacle only while the door 30 is automatically opened according to a user's recognition.

5) 상기 메인제어기(90)와 연계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어 중문을 통과해 완전히 귀가 또는 출입한 것을 확인하고, 상기 귀가 정보 또는 출입 정보를 관리서버(200) 혹은 메인제어기(90)에 등록되어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5) The user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ssociated with the main controller 90,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nformation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middle door, and the user returns the home information or acces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main controller To the terminal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terminal 90.

이때, 홈 IoT 허브(400)와 연계한 시스템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메인제어기(90)는 무선 송수신 모듈(10)을 통해 인터페이스 하는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 확인은 할 수 없으나, 누군가 집에 몇 시에 귀가했다는 알림을 홈 IoT 허브를 연계해서 보호자에게 앱(App)을 통한 알림이나 문자를 통한 알림을 제공한다.At this time, when the system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home IoT hub 400 is performed, the main controller 90 interfaces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0, 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carry the user terminal 100, I can not, but I notify someone at home about home at home IoT hub to connect to the caregiver through apps (apps) or text alerts.

또한, 상기 홈 IoT 허브(400)와 연계 동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앱(App)자체에서 단말기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귀가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f there is no association with the home IoT hub 400,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e-mail information through a text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user register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terminal .

다음은, 외출시 중문 자동 열림을 위한 구동 과정이다.The following is a driving procedure for automatic opening of Chinese doors at the time of going out.

1) 유무선 도어 스위치(80)의 버튼을 눌렀을 때, 메인제어기(90)는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50)을 통해 중문을 자동 열림 슬라이딩 동작한다.1) When the button of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s pressed, the main controller 90 automatically slides the middle door through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50.

2)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현관문을 통과하면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80) 내의 인체감지센서(84)를 구동하여 사용자 혹은 그 외 여러 사람의 중문 통과 완료 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을 통해 도어(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 것을 해제하고 메인제어기(90)는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60)로 중문을 자동 닫힘 슬라이딩 동작으로 닫는다.2) When the user having the user terminal 100 passes through the front door, the body sensor 84 in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 is driven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user or others have completed the middle door, The main controller 90 releases the door 30 from being held open by the recognition and the main controller 90 closes the middle door by the motor closing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60 with the automatic closing sliding operation.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84)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 인식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30)가 열리는 동안에만 장애물 감지를 위한 수단으로 잠시 구동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한다.At this time,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84 is temporarily driven by the means for detecting an obstacle while the door 30 is automatically opened according to the user's recognition in order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nd switches to the standby state.

3) 사용자가 중문을 통과해 나가는 시점에서 비콘 영역 혹은 감지 영역내에 진입한 것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앱(App)이 인지하고 사용자 확인을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10)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ID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3)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beacon area or the detection area at the time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middle door, the ID of the user is recognized by the application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by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4) 상기 메인제어기(90)와 연계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어 중문을 통과해 완전히 외출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외출 정보를 관리서버(200) 혹은 메인제어기(90)에 등록되어있는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100)로 제공한다.4)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with the main controller 90 and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middle door, and the outgoing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main controller 90 To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or the guardian.

이때, 홈 IoT 허브(400)와 연계한 시스템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메인제어기(90)는 무선 송수신 모듈(10)을 통해 인터페이스 하는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 확인은 할 수 없으나, 누군가 집에서 몇 시에 외출했다는 알림을 앱(App)을 통한 알림이나 문자를 통한 알림을 제공한다.At this time, when the system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home IoT hub 400 is performed, the main controller 90 interfaces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0, 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carry the user terminal 100, But it also provides notification via app or notification via text that someone notices that they are out at home.

또한, 상기 홈 IoT 허브(400)와 연계 동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앱(App)자체에서 단말기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외출 정보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f there is no linkage with the home IoT hub 400,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outgoing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terminal through a text message .

다음은, 보안/취침 모드에서의 구동 과정이다.The following is the driving process in the security / sleep mode.

1) 가족이 모두 귀가하여 취침하는 시간대를 설정 가능하고 또는 외부에서 홈IoT허브와 무선송수신모듈이 연계하여 보안 모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1) It is possible to set the time zone when all the family goes home and sleep, or the security mode can be set and controlled externally by connecting the home IoT hub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 이러한 보안/취침 모드에서는 도어 닫힘 유지 모듈(120)이 동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확인이 되지 않으면 도어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사용자 확인이 되지 않으면 도어 자동 개폐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관문외에 추가로 보안 유지를 할 수 있는 이중 보안 시스템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2) In this security / sleep mode, when the door close holding module 120 is operated, if the user can not be confirmed, th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es not operate unless the user's confirmation is made even if the door switch is pres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user confirmation process so as to be able to operate as a double security system capable of further securing security outside the front door.

3) 이러한 보안/취침 모드에서 외부의 현관문을 해제하고 침입하더라도 실내의 중문이 추가 잠금 상태에 있어서 이중 보안 시스템이 되며, 이러한 모드에서 외부 도어 스위치를 누르는 것이 감지되면 BLE 비콘 및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식 과정을 수행하여 정해진 시간내에 확인하여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도둑으로 간주하여 홈IoT허브와 연계해 사용자에게 침입 알림 및 경찰 신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3) In this security / sleep mode, even if the outside door is unlocked and the door is closed, the indoor door is in the additional lock state and the double security system is activated. In this mode, when the external door switch is pressed, the BLE beacon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truder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sider them to be thieves if they are not registered users, thereby providing an intrusion notification and police notification service to the user in connection with the home IoT hub.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무선 송수신 모듈 20 : 상부트랙
30 : 도어 40 : 이동가이드
42 : 제1와이어 44 : 제2와이어
50 :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60 :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
70 : 원점 인식 센서 모듈 72 : 자력센서
74 : 제1홀센서 76 : 제2홀센서
80 : 유무선 도어 스위치 80a :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
80b :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 82 :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
84 : 인체감지센서 90 : 메인제어기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전원 공급부
112 : 배터리팩 114 : 배터리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
120 : 닫힘 유지 모듈 200 : 관리서버
300 : IoT 기기 400 : 홈 IoT 허브
500 :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10: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 upper track
30: Door 40: Moving Guide
42: first wire 44: second wire
50: Motor-driven auto-open wire module
60: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70: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72: magnetic force sensor
74: first hall sensor 76: second hall sensor
80: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a: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0b: In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82: BLE beacon radio transmission module
84: human body detection sensor 90: main controller
100: user terminal 110: power supply unit
112: Battery pack 114: Battery charging jack and status indicator
120: Closed holding module 200: Management server
300: IoT device 400: Home IoT hub
500: Smart middle door automatic open / clo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상단에 형성되어 양방향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된 상부트랙;
상기 상부트랙 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물리적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
상기 이동가이드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1와이어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를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을 권취하여 상기 제2와이어 일단에 고정된 이동가이드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는 원점 인식 센서 모듈;
상기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 혹은 인체를 감지하고,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유무선 도어 스위치;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닫힘 와이어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 및
사용자 ID, 닫힘 유지 모드 설정시간, 도어 닫힘 속도, 도어 열림 속도, 사용자 감지 영역 설정, 출입 정보/보안 상태 알림 서비스, 출입 정보 알림 설정 및 IoT 기기 연동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유무선 도어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현관 혹은 실외 측 일면에 설치되어 설정 영역 내 사용자를 감지하는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실내 측 일면에 설치되어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유무선 도어 스위치는, 설정 영역 내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비콘(BLE Beacon) 무선 통신 신호를 단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항시 송신하는 BLE 비콘 무선송신모듈과,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 외 여러 사람의 중문 통과 완료 여부를 감지하고, 통과 완료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메인제어기로 전송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module formed on the upper side to provid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 upper track in which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 door which is physically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track;
A movement guid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coupled to the door;
A first wire fix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A second wir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ement guide;
A motor 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for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and pulling the movement guide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wi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for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and pulling the moving guide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wi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n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wired / wireless door switch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to detect a user or a human body in a setting area and open / close the door by pressing a button;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 / close wire module; And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D, a closed maintenance mode setting time, a door closing speed, a door opening speed, a user detection area setting, access information /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service, access information notification setting, ; ≪ / RTI >
The wired / wireless door switch includes an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a door or outside of the door to detect a user in a setting area, an internal wired / wireless do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Switches,
Wherein the external wired / wireless door switch comprises: a BLE beaco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or always transmitting a BLE beacon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for sensing an approach of a user terminal in a setting area to the user terminal unidirectionally; And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assage of the middle door of the user is completed or not, and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ain controller when the passage completion state is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 인식 센서 모듈은,
상기 이동가이드에 연결되는 자력센서와,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자력센서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제1홀센서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자력센서가 이동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센서의 자력을 센싱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제2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igin recognition sensor module includes:
A magnetic force sensor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A first hall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moves when the door is opene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to detect opening of the door,
And a second hall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sensor moves when the door is closed,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orce sensor to detect the closing of the do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센서, 제2홀센서,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홀센서가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홀센서가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 구동 자동 열림 와이어 모듈 및 모터 구동 자동 닫힘 와이어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all sensor, the second Hall sensor,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when the first hall sensor senses opening of the door, and when the second hall sensor senses closing of the door And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driven automatic opening wire module and the motor-driven automatic closing wire module is cut of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력 소모가 적은 충전형 배터리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팩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충전잭 및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supply unit,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 battery charging jack for displaying a state of the power source, and a status display unit, wherein the battery charger includes a battery pack for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pow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쪽 상단에 각각 설치된 닫힘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닫힘 유지 모듈은 상기 닫힘 유지 설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보안/취침 모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osed holding module provided at both upper ends of the door,
Wherein the close maintenance module has a security / sleep mode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door lock state during the closed hold setting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 정보 및 ID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입력받아 IoT 기기에 제공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혹은 외부인의 출입을 감지하며, 상기 출입 감지 정보를 홈 IoT 허브로 제공하는 다수의 IoT 기기; 및
상기 다수의 IoT 기기와 관리서버를 연계하는 홈 IoT 허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감지 영역 내 접근할 경우에 사용자 확인을 위해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의 양방향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와 출입 감지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 및 출입/침입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I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A plurality of IoT devices for detecting access by users or outsiders and providing the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a home IoT hub; And
And a home IoT hu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the management server,
The IoT device checks the I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confirm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sensing area, and transmits the user confirmation result and access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user confirmation result and access / intrusion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KR1020180067178A 2018-06-12 2018-06-12 Smart Automatic Door System KR101964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78A KR101964101B1 (en) 2018-06-12 2018-06-12 Smart Automatic Do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78A KR101964101B1 (en) 2018-06-12 2018-06-12 Smart Automatic Do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101B1 true KR101964101B1 (en) 2019-07-31

Family

ID=6747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78A KR101964101B1 (en) 2018-06-12 2018-06-12 Smart Automatic Do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10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34B1 (en) 2020-10-12 2021-05-31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An inner gate for indoor with media glass
KR20220122153A (en) 2021-02-26 2022-09-02 (주)리얼감 Smart Access Control System
KR20220122152A (en) 2021-02-26 2022-09-02 (주)리얼감 Smart Door Apparatus
CN114991615A (en) * 2022-05-23 2022-09-02 广东欧派克家居智能科技有限公司 Automatic intelligent door and window driv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5142760A (en) * 2022-01-23 2022-10-04 上海臻兆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door control system based on terminal interconnec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12B1 (en) * 2007-12-31 2008-12-09 (주) 룩스 Bicycle parking door assembly and bicycle parking device
KR20140141847A (en) 2013-05-31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oor lock, door including the door lock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KR101535098B1 (en) 2015-01-24 2015-07-09 채준석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KR101550037B1 (en) * 2014-07-11 2015-09-07 권인희 Open and closing System for sliding type automatic door
KR20160025393A (en)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73173B1 (en) * 2017-06-01 2017-09-13 이상국 Ho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KR101792497B1 (en) * 2017-05-17 2017-11-02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Lock system using bluetooth for automatic door
KR20180058140A (en) * 2016-11-23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orloc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12B1 (en) * 2007-12-31 2008-12-09 (주) 룩스 Bicycle parking door assembly and bicycle parking device
KR20140141847A (en) 2013-05-31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oor lock, door including the door lock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KR101550037B1 (en) * 2014-07-11 2015-09-07 권인희 Open and closing System for sliding type automatic door
KR20160025393A (en)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5098B1 (en) 2015-01-24 2015-07-09 채준석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KR20180058140A (en) * 2016-11-23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orlock
KR101792497B1 (en) * 2017-05-17 2017-11-02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Lock system using bluetooth for automatic door
KR101773173B1 (en) * 2017-06-01 2017-09-13 이상국 Ho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34B1 (en) 2020-10-12 2021-05-31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An inner gate for indoor with media glass
KR20220122153A (en) 2021-02-26 2022-09-02 (주)리얼감 Smart Access Control System
KR20220122152A (en) 2021-02-26 2022-09-02 (주)리얼감 Smart Door Apparatus
CN115142760A (en) * 2022-01-23 2022-10-04 上海臻兆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door control system based on terminal interconnection
CN114991615A (en) * 2022-05-23 2022-09-02 广东欧派克家居智能科技有限公司 Automatic intelligent door and window driv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101B1 (en) Smart Automatic Door System
US10838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US8643465B2 (en) Network ID activated transmitter
CA2726796C (en) Method and system of conditionally operating a movable barrier
US8193935B2 (en) RFID perimeter alarm monitoring system
WO2018098301A1 (en) Detection of authorized user presence and handling of unauthenticated monitoring system commands
US20120272576A1 (en) System an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s
ES2516890T3 (en) Electronic door panel, elevator system that includes an access door having said electronic door panel integrated therein, and access door provided with said electronic door panel
US2011003207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oving Access Barriers Initiated by Mobile Transmitter Devices
US8269626B2 (en) Perimeter alarm monitoring system
US201303005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device and system status
WO2019191606A1 (en) Compact door closer
CN106842965A (en) A kind of intelligent door sensor and its system
US7994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veable barrier using a loop detector
JP5988189B2 (en) Electric lock system
CN202215137U (en) Electric roll-up window/door
Vijetha et al. A Review: Antitheft Sensor Controlled Home Security System
EP4369321A2 (e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20230046442A (en) Door locking apparatus for sensing pet
KR102133571B1 (en) Built-In PlugHub System
CN106094559A (en)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home furnishing monitoring system
KR20120019571A (en) Controlling system using lighting device and tile sensor used thereof
CN110566093A (en) Novel smart window
CN210862572U (en) Door body aperture detection device
KR102423313B1 (en)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