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22B1 -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 Google Patents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22B1
KR101963322B1 KR1020170061526A KR20170061526A KR101963322B1 KR 101963322 B1 KR101963322 B1 KR 101963322B1 KR 1020170061526 A KR1020170061526 A KR 1020170061526A KR 20170061526 A KR20170061526 A KR 20170061526A KR 101963322 B1 KR101963322 B1 KR 10196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collecting
dust collector
dust
grain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6742A (en
Inventor
한종규
김영춘
이우찬
Original Assignee
동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한테크(주) filed Critical 동한테크(주)
Priority to KR102017006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22B1/en
Publication of KR2018012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04C5/13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formed as a vortex finder and extending into the vortex chamber; Discharge from vortex finder otherwise than at the top of the cyclon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ver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1Bulkheads or central bodies in the discharge opening

Landscapes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가 1차 집진기와 2차 집진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하되 집진 과정에서 선회력이 향상되고,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ted air mixed with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d from a grain dryer is collected while passing through a primary dust collector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in order to improve a turning force in a dust collecting process and prevent a deterioration of an air- Disclosed i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grain dryer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dust collection so that foreign matter can be smoothly separated.

Description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grain dryer,

본 발명은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분리 수집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건조기의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집진원통과, 상기 집진원통의 내부에서 흡입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와, 상기 집진원통의 후단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1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집진기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집진원통 후방의 상면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1차 집진 후 걸러진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이송하는 배출유도관과; 상기 배출유도관의 타측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연결되는 원심분리통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2정화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차 집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 of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a grain dryer through a blowing blowe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increasing dust collecting efficiency through a cyclone effect, A dust collecting cylinder in which an air inlet is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so as to allow contaminated air having foreign matter mixed therein to be introduced therein and a diffusion part for generating a swirling for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diffusing an inlet diameter in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And an exhaust box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form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purified purified air whil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 discharge indu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transfer the foreign matter filter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ng together with the air; A centrifugal separa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so as to communicate and is deflected to one side so as to provide a centrifugal force, a second purifying air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centrifugal separator disposed in the bottom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including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having an end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from the dust-collecting device.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가공하여 식용으로 유통되는데 가공하기 전까지 보관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함량이 있어 쉽게 변질되므로 건조가 필수적인 까닭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고 배습하여 일정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 주는 곡물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cereals such as rice and barley which are harvested from the mountain are processed and distributed for edible purposes. Since it is too much moisture to be stored until processing, it is easily defo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ry the dried hot air forcibly, Grain dryers are widely used to dry them.

상기와 같은 이유로 널리 이용되는 곡물건조기는 불순물이 생산물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송풍기를 설치하였으나, 이는 불순물을 단순히 생산물과 분리만 할 뿐 분리된 불순물을 모아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며, 오염물질이 필터링되지 않고 그대로 공기중에 방사되기 때문에 이웃 간에 피해를 주며 이에 농가 분쟁, 사용자 호흡기 장애 및 농촌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e impurities from being contained in the product, the grain dryer generally used for the above reasons is provided with a blower in general. However,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collecting the separated impurities, only the impurities are separated from the product, And pollutants are not filtered and are radiated into the air as they are harmful to neighbors, resulting in disadvantages such as farm disputes, user respiratory disorders, and rural environmental problem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곡물건조기에 직접 연결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집진기가 필요하였으나, 종래에는 곡물건조기와 별도로 설치되어 곡물건조기가 배출하여 외부에 흩뿌려지도록 방사된 오염공기를 무분별하게 흡입하여 공기를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사이클론식 집진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 dust collector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was directly connected to a conventional grain dryer. However, conventionally, the grain dryer wa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grain dryer, and the polluted air radiated to be scattered to the outside was removed And the dust is removed by the centrifugal force while rotating the air.

그러나, 이와 같은 집진기는 먼지와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그 집진량의 한계로 인하여 지속적인 집진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기존에 제공되던 집진기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직선상에 위치하여, 유입된 오염공기가 최단거리인 직진으로 진행하게 되어 오염공기의 선회류가 진행하는 경로가 짧아 그 영향을 짧은 시간 동안만받게 되어 효율적인 집진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또한, 크고 중량감 있는 이물질의 분리는 가능하나 미세먼지는 원심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필터링하지 못하게 되어 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dust collector, it is difficult to exhibit a continuous dust collection effect due to the limit of the dust collection amount in a place where dust and dust are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past,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The flow of the swirling flow of the polluted air is short and the influence thereof is received only for a short tim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icient dust collection. Further, it is possible to separate large and heavy foreign matters, The filtration can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purification effect can not be maximized.

한편, 최근의 곡물건조기는 곡물의 품질을 우선시 하여 저온 대풍량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곡물건조기 내에 이물질이 함유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습송풍기가 대형화 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효율 대비 저렴한 집진장치로 사이클론 방식이 사용되는데, 배습송풍기가 대형이고 구경이 커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기에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grain dryer, since the quality of grain is prioritized and converted to a low-temperature-to-air-flow system, a dehumidifying blower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grain dryer is becoming larger. In general, the cyclone system is used as an inexpensive dust collector compared with the efficiency, but it is not applicable to a cyclone dust collector having a large size and large diameter ventilation fa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크기기 비교적 작고 대구경의 배습송풍기를 적용할 수 있는 수평형 사이클론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도1 내지 2 참조) 이러한 방식은 배습송풍기에서 직접 연결하여 선회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방식인데, 선회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배풍저항이 발생하여 곡물건조 시 건조성능 저하의 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물질 배출관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하여 포대로 수거할 때 포대 내부에 이물질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까지 배출되어 포대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물질 배출관에서 배출될 때 저항을 받아 분리력 저하와 집진기 본체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 저하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포대 입구로 분진이 배출되므로서 포집해서 다시 뿌리는 형태가 되므로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orizontal type cyclone system capable of applying a small size and large diameter ventilation blower was used (refer to FIGS. 1 and 2). This syste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fan, It is a dust collecting method that separates foreign matters. However, the drying resistance is deteriorated during the drying of grains due to the occurrence of air flow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wirling force. In addition, when a foreign object is discharged through a foreign material discharge pipe and collected into a bag, not only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into the bag but also air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bag and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bag. And the pressure in the main body of the dust collector increases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In addition, since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inlet of the bag, the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is reduc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998호(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5998 (dust collector for grain dry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곡물건조기의 배습송풍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혼입 공기의 선회기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습송풍기의 송풍손실을 최소화하여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grain dryer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또한,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되고 포대 입구로 분진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grain dryer, which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is lowered and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inlet of the bag due to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bag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air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분리 수집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건조기의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집진원통과, 상기 집진원통의 내부에서 흡입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와, 상기 집진원통의 후단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1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집진기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집진원통 후방의 상면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1차 집진 후 걸러진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이송하는 배출유도관과; 상기 배출유도관의 타측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연결되는 원심분리통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2정화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차 집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은 단부가 상기 배기박스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2차 집진 후 형성된 제2정화공기가 배기박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박스 내부에는 제1정화공기가 배기될 때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제2정화공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저항을 받지 않도록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부위에 마주보도록 분리덕트가 설치되어 제1정화공기와 제2정화공기가 굴뚝효과와 흡인 효과를 통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 of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a grain dryer through a blowing blower,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increasing dust collecting efficiency through a cyclone effect A dust collecting cylinder connected to the duct of the grain dryer and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of the grain dryer and having an air inlet formed at the front thereof so as to allow contaminated air mixed with the foreign matter to flow therein and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diffusing an inlet diameter in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And an exhaust box connected to the rear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form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iltered whil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ow; A discharge indu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transfer the foreign matter filter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ng together with the air; A centrifugal separa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so as to communicate and is deflected to one side so as to provide a centrifugal force, a second purifying air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centrifugal separator disposed in the bottom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including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having an end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haust box so that the second purified air formed after the second dust collec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exhaust box, When the first purified air is exhausted, it is not subjected to resistance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pur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To the exhaust pipe and so as to face the portion to be connected to be in communication separation duct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one so that the first purified air to the second purified air can be smoothly exhausted through a chimney effect and suc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유도관은 1차 집진 후의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신속하게 투입하기 위한 가속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곡물건조기의 오염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1차 집진기 및 2차 집진기를 통해 집진하되, 가속장치를 통해 1차 집진 후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투입함으로써 오염공기가 확산부를 통과하면서 강제로 선회되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하여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효율이 저하되어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ncludes an accelerator for accelerating the polluted air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on and rapidly injecting the polluted air into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of the grain dryer is supplied to the primary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The dust is collected through a car dust collector, and the polluted air discharged after the first dust collection through the accelerator is accelerated to be injected into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whereby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cibly turning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portion, And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is lowered because the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부는 흡입 구경을 확산시키기 위한 원뿔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이면서 원주방향으로 부착되어 선회력을 향상시키는 제1선회날개와,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직진성을 제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이면서 원주방향으로 부착되어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선회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ffusing portion may include a conical hub for diffusing the intake port diameter, a first turning van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mprove the turning force, And a second turning vane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generate a turning force so as to be radi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굴뚝효과와 대류 현상을 통해 제1정화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박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집진 엘보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배기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box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first purified air through the chimney effect and the convection phenomenon, And the dust collecting elbow is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exhaust direction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가 1차 집진기와 2차 집진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하되 집진 과정에서 선회력이 향상되어 이물질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ted air mixed wit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grain dryer is colle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mary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sequentially, but the turning force is improved 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배출유도관 내부의 가속장치를 통해 공기유입구로 투입되는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선회력이 향상되고 1차 집진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저항이 감소되는 효과와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f accelerating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through the accelerator inside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to improve the turning forc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primary dust collector to lower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ventilation fa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또한, 상기 확산부를 통해 오염공기가 선회기류를 유지하면서 이물질의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foreign matter can be separated more smoothly while the polluted air maintains the swirl flow through the diffusion portion.

또한, 상기 배기박스 상부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1차 집진기를 통해 형성된 제1정화공기와 2차 집진기를 통해 형성된 제2정화공기가 굴뚝효과와 흡입효과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포대에 이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포대 내부에 공기가 투입되지 않으므로 포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포대 입구로 분진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 air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box, so that the first purified air formed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 purified air formed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o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chimney effect and the suction eff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bag is increased due to no air being introduced into the bag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thereby lower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and remarkably reducing the problem of discharging dust to the bag inlet It is effective.

도 1 내지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곡물건조기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연결상태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1차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도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가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의 예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집진장치 및 분리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grain dryer. FIG.
3 is a connection state diagram of a grain dryer and a dust collector for a grain dryer having improved dust collec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llustrate examples of a dust collector for a grain dryer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rimary dust collector for a grain dryer having improved dust collec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induction pipe and an acceleration device provid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are schematic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secondary dust collector and a separ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ust collector for a grain dryer having improved dust collec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의 배습송풍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혼입 공기의 선회기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습송풍기의 송풍손실을 최소화하여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rling air flow of the mixed air mixed wit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moisturizing blower of the grain dryer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and the blowing loss of the moisturizing blower can be minimized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1차 집진기(100)와, 배출유도관(200)과, 2차 집진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imary dust collector 100, a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도 3은 곡물건조기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연결상태도로서,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곡물건조기(1)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습용 송풍기(2)와 덕트(3)로 연결되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가 1차 집진기(100)를 통해 1차 집진하여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걸러진 이물질은 배출유도관(200)을 통해 2차 집진기(300)로 재투입하여 2차 집진함으로써 오염공기 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FIG. 3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grain dryer and a dust collector for a grain dryer having improved dust collec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er 2 and the duct 3 so that the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the grain dryer is primarily collected through the primary dust collector 100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ipe 20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parate the foreign matter in the polluted air by re-inputting it into the car dust collector 300 and collecting it secondarily.

상기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공기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질량감이 큰 이물질은 쉽게 분리가 가능하나, 미세먼지의 경우에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분리가 잘 되지 않아 반복적인 집진과정을 거쳐야 하기 하므로, 1차 집진기(100) 및 2차 집진기(300)를 통해 집진기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집진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In the case of the fine dust, since it is contained in the air and is not easily separated, it is required to perform a repeated dust collecting process. Therefor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time of staying inside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집진기(100)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는 배습용 송풍기(2)를 통해 투입된 오염공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imary dust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ows shown in the drawing show the path of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blowing fan 2.

상기 1차 집진기(100)는 집진원통(110)과, 상기 집진원통 내부 전방에서 흡입 구경을 확산시켜주는 확산부(120)와, 상기 집진원통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배기박스(130)로 구성된다. The primary dust collector 100 includes a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a diffuser 120 for diffusing an inlet diameter in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and an exhaust box 130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

상기 집진원통(110)은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곡물건조기의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된다.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through the cyclone effect.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is connected to the duct of the grain dryer through a front surface thereof, (111) is formed.

여기에서, 상기 공기유입구(111)는 집진원통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오염공기의 유입을 위한 덕트(3)와 연결이 용이하고, 오염공기를 내부로 더욱 골고루 확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물질의 분리에 적합하게 입구의 풍속을 감소시켜 상기 확산부를 통한 회전수의 증대를 유도하여 원심력을 높여 줌으로써 짧은 거리에서의 분리력을 향상시기 위한 것이다.Here, the air inlet 111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the end, so that it is easily connected to the duct 3 for the inflow of polluted air, and the polluted air is diffused evenly into the inside And increasing the centrifugal force by induc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through the diffuser by reducing the wind velocity of the inlet, which is suitable for separation of foreign matter,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force at a short distance.

상기 확산부(120)는 상기 집진원통의 내부에서 흡입 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원뿔형의 허브(121)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선회날개(122)와,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123)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선회날개(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7, the diffusion unit 120 includes a conical hub 121 and a hub 121. The hub 121 includes a hub 121, A plurality of first turning blades 12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guide 123 extending from a rear edge of the hub, and a plurality of second turning blades 124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

상기 허브(121)는 흡입 구경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집진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원뿔형태로서, 원뿔의 꼭지점 일부분이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123)는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집진원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원통체로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직진성을 부여한다. The hub 121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collecting tube so as to diffuse the suction hole, and a part of the vertex of the cone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air inlet 111, Is extended from the rear edge of the hub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impart straightness to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s a cylindrical body.

상기 제1선회날개(122)는 곡물건조기로부터 들어오는 오염공기를 집진원통(110)의 내주면 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하되 오염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허브(12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의 각을 갖고서 기울어진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제2선회날개(124) 또한 곡물건조기로부터 들어오는 오염공기를 집진원통(110)의 내주면 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하되 오염 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12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의 각을 갖고서 기울어진 형태로 부착된다. The first swirl vane 122 diffuses the contaminated air coming from the grain dryer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while radiating the ai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can form a swirling air flow. The second swirling vane 124 is also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by diffusing the contaminated air coming from the grain dryer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12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부(120)는 통과하는 오염공기가 선회하고 배습기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중심부의 풍량이 약함에 따라 분리원통의 원주방향으로 쏠려 분리력이 향상되도록 후방은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전방은 오염공기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한 원뿔형의 허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과한 오염공기가 중심부에 위치한 원뿔형의 허브(121)에 의해 확산되면서 풍속이 감속되도록 하여 정압의 상승으로 인해 제1선회날개(122) 및 제2선회날개(124)를 통과하면서 강한 선회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가이드(123)를 통과할 때에는 직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선회기류를 유지하면서 함유된 이물질 입자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벽면 쪽으로 쏠리면서 기류에서 분리된 후 배출유도관(200)을 통해 2차 집진기(300)로 투입하고, 정화된 제1정화공기는 자연스럽게 배기박스(130)로 투입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ing unit 12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so that the separated air is circulated and the separating force is increa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as the air volume in the central portion is weak And the front portion is made of a conical hub for minimizing the friction of the contaminated air.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air inlet 111 is diffused by the conical hub 121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air speed is reduced so that the first swirl vane 122 and the second swirl vane 122 124, so that a strong swirling force is generated. When passing through the guide 123, the straightness is secured. At the same time, foreign matt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swirling airflow are separated from the airflow while being scattered toward the wall surface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through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and the purified first purified air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exhaust box 130.

상기 배기박스(130)는 상기 집진원통(110)의 후단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1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된다. The exhaust box 130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and has an air outlet 131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from which foreign matter is filtered.

상기 공기배출구(131)는 1차 집진 후 정화된 제1정화공기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보다 높아 온도차가 발생함에 따른 굴뚝효과와 대류 현상을 통해 제1정화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박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131)의 단부에 소정길이의 공기배출관(미도시)을 추가적으로 더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기배출구의 상단에 집진 엘보(미도시)가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엘보의 방향 조절을 통해 배기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air outlet 131 is connected to the exhaust outlet 131 so that the first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smoothly through a chimney effect and a convection phenomenon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higher tha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s shown in FIG. Further, an air discharge pipe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n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 131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the chimney. A dust collecting elbow (not show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 So that the exhaust direction can be controlled efficiently.

상기 배출유도관(200)은 상기 집진원통 후단의 상부 일측에 일측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1차 집진 후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이송한다.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so as to communicate with one end thereof, and the polluted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transferred after primary collection.

또한, 상기 배출유도관에는 도 4a, 4b 및 6과 같이 1차 집진 후의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속장치(210, 예를 들어 가속속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4A, 4B and 6,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s equipped with an accelerator 210 (for example, an accelerating speed air blower) for accelerating the contaminated air after the first dust collecting so as to be rapidly charged into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

곡물건조기용 배습용 송풍기(2)의 송풍에너지는 확산부의 선회날개(122,124), 분리판(112)을 통과하면서 배풍저항을 받아 점차 감소할 수 있고, 이는 곧 곡물건조기의 건조성능 저하로 직결될 수 있다. The blowing energy of the blower 2 for the grain dryer can be gradually reduced by receiving the wind resista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swirling vanes 122 and 124 and the separator plate 112 of the diffuser portion, .

본 발명은 상기 곡물건조기의 오염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1차 집진기(100) 및 2차 집진기(300)를 통해 집진하되, 상기 가속장치(210)를 통해 1차 집진 후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투입하는 구성을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투입된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송풍에너지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곡물건조기의 건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송풍에너지 감소를 억제하여 이물질의 분리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of the grain dryer are collected through the primary dust collector 100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and the polluted air discharg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on through the accelerator 210 is accelerated So that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grain dry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as much as possible by preventing the blowing energy from being lower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grain dryer, So that the separating force of the foreign matt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다음으로, 도 8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2차 집진기(300)는 원심분리통(310)과, 배기관(320)과, 이물질 배출관(330)과, 포집마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8 to 9, a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ifugal separator 310, an exhaust pipe 320,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30, and a collecting sack 340 .

상기 원심분리통(310)은 상기 배출유도관(200)의 타측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원통체로써, 상기 배출유도관을 통해 투입된 오염공기 내의 이물질만을 골라 하측의 이물질 배출관으로 떨어뜨리는 것으로, 상기 배출유도관을 통해 투입되는 오염공기에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출유도관의 단부가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연결된다. The centrifugal separator (310) is a cylindrical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so that only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are dropp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at the lower side, The end of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s connected to a position deflected to one side so as to provide centrifugal force to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상기 배기관(320)은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배기박스(13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2차 집진 후 이물질이 걸러진 제2정화공기를 배기박스 내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배기박스 내부로 배출된 제2정화공기는 배기박스 상부의 공기배출구로 배출된다. The exhaust pipe 320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one end of the exhaust pipe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haust box 1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ipe 320. The second exhaust pipe 320 discharges the second purified air, . The second purified air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box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of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box.

상기 이물질 배출관(330)은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포집마대(340)는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물질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end portion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collecting sidewall (340) is provided below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And collects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상기 이물질 배출관(330)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원심력을 갖고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던 오염공기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관에 의해 계속해서 하강하지 못하고 거꾸로 올라오는 반발력이 발생하면서 중량이 있는 이물질들은 그대로 추락하여 포집마대(340)로 투입되도록 하고, 가벼운 공기(제2정화공기)만이 상승하여 배기관을 통해 배기박스로 재투입된다. The reason why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30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bottom is that the repulsive force that can not be continuously lowered by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The heavy foreign substances are crashed and put into the collecting sack 340. Only light air (second purified air) rises and is returned to the exhaust box through the exhaust pipe.

상기 이물질 배출관(330)과 포집마대(340)는 축적된 이물질의 수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30 and the collecting sack 340 are provided to facilitate collection of the accumulated foreign substances, so that no additional labor is consumed.

종래의 수평형 집진기는 가로방향의 길이가 확보될수록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집진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평형 집진기를 설치하는 공간은 가로방향의 길이가 약 1.7~2m 내외로서 설치공간의 한계가 있다. 또한, 집진 후 여과된 정화공기를 전방으로 배출해야 하므로 집진기의 후면에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했다.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더라도 후단으로 갈수록 송풍기의 송풍에너지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송풍기의 송풍에너지를 증대시키기 위해 단순히 기존의 송풍기를 마력이 더 높은 송풍기로 대체할 경우 오염공기가 집진기 내부에서 이물질과 분리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a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cured, the time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polluted air becomes longer, so that the efficiency of dust collection can be increased. However, in general,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is about 1.7 to 2 m There is a limit of installation space inside and outside. Further, since the purified air filtered after the dust collection is to be discharged forward, sufficient space has to be secured also on the rea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In addi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ufficiently secur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blowing energy of the blower decreases toward the rear end. In order to increase the blowing energy of the blower, simply replacing the existing blower with a blower having a higher horsepow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air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in the dust collector but is discharged as it i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직형 집진기는 집진 후 여과된 정화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므로 수평형 집진기에 비해 가로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는 있으나 집진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집진기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직경이 늘어나면 결국 높이가 상승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평형 집진기와 마찬가지로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정화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는 배기관을 시공하여 덕트로 연결해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vertical type dust collector discharges the purified air filtered after the dust coll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may be relatively narrow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collection amount, As the diameter of the dust collector increases, the height of the dust collector increases and the height of the dust collector increases. Further, in ord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n exhaust pipe passing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must be installed and connected with a duct, so that the construction is troublesome and complicated.

본 발명은 1차 집진기(100)와 2차 집진기(300)가 배출유도관(200)을 통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오염공기가 집진되는 시간을 증대시켜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배기관의 단부를 상기 배기박스와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1차 집진기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제1정화공기 및 제2정화공기를 함께 배출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수평형 집진기 및 수직형 집진기 시공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집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기존의 수직형 집진기가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관과 덕트를 시공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The primary dust collector 100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ar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time for collecting polluted air, The first purified air and the second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togethe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primary dust coll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ation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and vertical type dust collector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conventional vertical dust collector can dispense with the work for constructing the exhaust pipe and the duct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기박스(130) 내부에는 배기관을 통해 투입된 제2정화공기와 제1정화공기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굴뚝효과와 흡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분리덕트(132)가 구비된다. Next, a separate duct 132 for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the first purified air and enhancing the chimney effect and the suction effect is provided in the exhaust box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상기 분리덕트(132)는 상기 배기관(320)과 배기박스(130)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부위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단부가 공기배출구(131)를 향해 설치되어 배기관을 통해 투입된 제2정화공기가 대류현상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상승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The separation duct 132 is installed to face the exhaust pipe 320 so that the exhaust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box 130 and has an end directed toward the air outlet 131. The second purified air, Guides to rise naturally due to the phenomenon.

만약, 상기 분리덕트(132)가 구비되지 않으면 배기중인 제1정화공기와 배기관(320)을 통해 배기박스(130) 내부로 유입되는 제2정화공기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면서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배기가 원활하지 않으면 집진원통(1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배습용 송풍기의 송풍에너지가 감소하므로 1차 집진기(100)의 집진 효율성이 저하되며, 배기관(320)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가속장치(210)를 통해 1차 집진 후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투입하더라도 2차 집진기의 원심분리통(310)의 내부에서 원심력이 저하되므로 집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기박스 내부에 분리덕트(132)를 구비하여 제1정화공기와 제2정화공기 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If the separation duct 132 is not provided, the first purified air being exhausted and the second purified air flowing into the exhaust box 130 through the exhaust pipe 32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do. If the exhaust gas is not smooth, the pressure inside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rises and the blowing energy of the blowing blower is reduced.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primary dust collector 100 is lowered and the pressure inside the exhaust pipe 320 rises.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centrifugal separator 310 of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is lowered even if the polluted air is accelerated after the first dust collection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or 210 and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duct 132 is provided inside the exhaust box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purified air and the second purified ai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기박스(130)는 상기 집진원통(1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xhaust box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상기 배기박스(13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배기관(320)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133)가 구비되는데, 만약, 상기 배기박스(130)가 집진원통(110)과 고정결합된다고 가정하면 2차 집진기(3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대응되는 형상의 배기관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배기박스(130)가 집진원통(1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 2차 집진기(3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배기박스(130)를 회전시킨 후 배기관(320)과 연결구(133)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시공할 때나 1차 또는 2차 집진기의 위치를 변경할 때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 connection port 133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exhaust box 1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20. If it is assumed that the exhaust box 130 is fixed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cylinder 110,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ust collector 300,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xhaust pipe with a corresponding shape. However, when the exhaust box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1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box 13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flexib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imary or secondary dust collecto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가 1차 집진기와 2차 집진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하되 집진 과정에서 선회력이 향상되어 이물질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회력 증대로 인해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저항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1차 집진을 거친 후 형성된 오염공기가 가속장치를 통해 신속원활하게 2차 집진기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1차 집진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 저하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ted air mixed wit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grain dryer is colle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mary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sequentially, but the turning force is improved 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blower for blow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turning force. Especially, the polluted air formed after the first dust collecting is quickly and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st collector By lowering the pressure inside the primary dus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of the blowing blower from being lowered, thereby minimiz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곡물건조기 2 : 배습용 송풍기
3 : 덕트
10 : 집진기 11 : 투입구
12 : 팬 13 : 포집마대
100 : 1차 집진기
110 : 집진원통 111 : 공기유입구
112 : 분리판
120 : 확산부 121 : 허브
122 : 제1선회날개 123 : 가이드
124 : 제2선회날개
130 : 배기박스 131 : 공기배출구
132 : 분리덕트 133 : 연결구
200 : 배출유도관 210 : 가속장치
300 : 2차 집진기 310 : 원심분리통
320 : 배기관 330 : 이물질 배출관
340 : 포집마대
1: Grain dryer 2: Blower blower
3: Duct
10: dust collector 11: inlet
12: Fans 13: Collection Stands
100: primary dust collector
110: dust collecting cylinder 111: air inlet
112: separator plate
120: diffusion part 121: hub
122: first turning wing 123: guide
124: 2nd turning wing
130: exhaust box 131: air outlet
132: separation duct 133:
200: discharge induction pipe 210: accelerator
300: secondary dust collector 310: centrifugal separator
320: exhaust pipe 330: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40: Collection Saddle

Claims (5)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분리 수집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건조기의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는 집진원통(110)과, 상기 집진원통의 내부에서 흡입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120)와, 상기 집진원통 후단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1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되는 배기박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집진기(100)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집진원통 후방의 상면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1차 집진 후 걸러진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이송하는 배출유도관(200)과;
상기 배출유도관의 타측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연결되는 원심분리통(310)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제2정화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320)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이물질 배출관(330)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마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차 집진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은 단부가 상기 배기박스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2차 집진 후 형성된 제2정화공기가 배기박스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박스 내부에는 제1정화공기가 배기될 때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제2정화공기와의 간섭으로 인해 저항을 받지 않도록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부위에 마주보도록 분리덕트가 설치되어 제1정화공기와 제2정화공기가 굴뚝효과와 흡인 효과를 통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 of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a grain dryer through a blowing blower,
And a dust collecting cylind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through the cyclone effect and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of the grain dryer and having an air inlet 111 formed at the front thereof so as to allow the contaminated air, A diffusion part 120 for generating a swirling force while diffusing a suction port in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so as to radiat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diffusion part 12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end of the dust collecting part, A primary dust collector 100 including an exhaust box 130 in which an air outlet 131 for discharging the first purified air is formed;
A discharge induction pipe (20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to transfer the foreign matter filter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ng with the air;
A centrifugal separator (3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so as to communicate and deflected to one side so as to provide a centrifugal force, a centrifugal separator (320) vert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2, an exhaust pipe 32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330 formed by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having an end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including a collecting sack (34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300)
Wherein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exhaust box so that the second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exhaust box,
A separate duct is installed in the exhaust box so as to face the exhaust pipe in such a manner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so as not to be resisted by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pur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when the first purified air is exhausted, And the air and the second purified air can be exhausted smoothly through the chimney effect and the suction effect, thereby increas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관은 1차 집진 후의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신속하게 투입하기 위한 가속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곡물건조기의 오염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1차 집진기 및 2차 집진기를 통해 집진하되, 가속장치를 통해 1차 집진 후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가속하여 2차 집진기로 투입함으로써 오염공기가 확산부를 통과하면서 강제로 선회되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하여 배습용 송풍기의 배풍효율이 저하되어 곡물건조기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2.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or for accelerating the polluted air after the first dust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of the grain dryer is collected through a primary dust collector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and the polluted air discharg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on is accelerated through an accelerator to be introduced into a secondary dust collector, Wherei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reduc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grain dryer due to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blowing of the blower for blowing due to the occurrence of a resistance in the course of forcible tur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흡입 구경을 확산시키기 위한 원뿔형의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이면서 원주방향으로 부착되어 선회력을 향상시키는 제1선회날개와,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직진성을 제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이면서 원주방향으로 부착되어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선회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ing portion comprises: a conical hub for diffusing an intake port; a first turning vane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mprove a turning force; And a second swinging blad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generate a swirling force so as to be radi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Dust collector for grain dryer with increased effici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굴뚝효과와 대류 현상을 통해 제1정화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박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집진 엘보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배기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the air outlet port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exhaust box to smoothly discharge the first purified air through the chimney effect and the convection phenomenon,
And a dust collecting elbow rotatable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air outlet so that the exhaust direction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삭제delete
KR1020170061526A 2017-05-18 2017-05-18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KR101963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26A KR101963322B1 (en) 2017-05-18 2017-05-18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26A KR101963322B1 (en) 2017-05-18 2017-05-18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42A KR20180126742A (en) 2018-11-28
KR101963322B1 true KR101963322B1 (en) 2019-03-28

Family

ID=6456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26A KR101963322B1 (en) 2017-05-18 2017-05-18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16A (en) 2022-01-14 2023-07-21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Super turbo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12B1 (en) * 2022-07-22 2023-06-05 정상완 Dust collector for grain dr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620Y1 (en) * 2007-03-23 2008-08-29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Collector of circulation grain dryer
KR200465998Y1 (en) * 2010-06-07 2013-04-30 김두현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KR101672637B1 (en) * 2015-06-16 2016-11-03 민경동 A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620Y1 (en) * 2007-03-23 2008-08-29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Collector of circulation grain dryer
KR200465998Y1 (en) * 2010-06-07 2013-04-30 김두현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KR101672637B1 (en) * 2015-06-16 2016-11-03 민경동 A dust coll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16A (en) 2022-01-14 2023-07-21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Super turbo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42A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5015A (en) Centrifugal pellet dryer
EP3507557B1 (en) Pellet dryer with additional blower
US2721767A (en) Insulation blower
KR101963322B1 (en)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EP0060572B1 (en) Drier, particularly for plastic material
KR101672637B1 (en) A dust collector
EP3504497B1 (en) Pellet dryer with outlet guidance plate
CN106178706A (en) The air cleaning system of air-flow equilibrium
CN103008239B (en) Seperator and wind sorting system
CN202962880U (en) Separator and wind separation system
CN202962877U (en) Separator and wind separation system
JPH0118713B2 (en)
CN105251751B (en) Mine dust emission and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146687B1 (en)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CN103008237B (en) Wind power sorting system
CN205825594U (en) A kind of flash dryer
CN103008238A (en) Separating machine and wind power sorting system
CN103056107B (en) Seperator and wind sorting system
CN202962881U (en) Wind separation system
CN103008241B (en) Seperator and wind sorting system
CN202962884U (en) Winnower and winnowing system
CN202962883U (en) Separator and wind separation system
CN202962879U (en) Separator and wind separation system
CN213713889U (en) Pneumatic type whirl drying machine
CN202962878U (en) Separator and wind sepa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