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062B1 -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062B1
KR101960062B1 KR1020120093255A KR20120093255A KR101960062B1 KR 101960062 B1 KR101960062 B1 KR 101960062B1 KR 1020120093255 A KR1020120093255 A KR 1020120093255A KR 20120093255 A KR20120093255 A KR 20120093255A KR 101960062 B1 KR101960062 B1 KR 10196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tent
remote acce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341A (ko
Inventor
신인영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062B1/ko
Priority to EP13831078.4A priority patent/EP2888711B1/en
Priority to PCT/KR2013/007409 priority patent/WO2014030889A1/en
Priority to CN201380049691.8A priority patent/CN104685530B/zh
Priority to US13/974,661 priority patent/US9374354B2/en
Publication of KR2014003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41A/ko
Priority to US15/170,342 priority patent/US9788206B2/en
Priority to US15/680,652 priority patent/US101544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의 선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간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 간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기기간 연결 및 콘텐트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기에 저장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검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에 연결하여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콘텐트를 공유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검색하여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화 통화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검색하고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공유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제 1 기기가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간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위한 암호 키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암호 키를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인증을 위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 2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권한을 인증 받기 위한 텍스트를 상기 제 2 기기로 텍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텍스트와 상기 수신된 텍스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에 대한 원격 접속 및 콘텐트 공유를 위한 권한을 인증 받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 대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기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요청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상기 콘텐트를 전송할 제 3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제 3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3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제 3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기기에 연결된 원격 접속을 통해 상기 제 3 기기에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를 공유할 상기 제 3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 중 상기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기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공유 방법은, 상기 제 1 기기가 공유 가능한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공유 방법은, 상기 제 2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콘텐트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된 기기의 목록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는, 상기 제 1 기기, 상기 제 1 기기가 속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콘텐트 공유를 위한 인증 방법은 서버가 제 2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 1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 및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권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의 통화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을 위한 인증 키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번호의 저장 여부에 기초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에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인증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트를 공유하는 제 1 기기는 제 2 기기에 대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고,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제 2 기기와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콘텐트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정보 송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인증을 위한 암호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암호 키를 상기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텍스트를 공유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로 공유하는 정보 송수신부공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에 대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스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공유부는,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트 공유부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 중 콘텐트를 공유할 제 3 기기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 3 기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서버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전화 연결 상태 확인부와,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에 대해 콘텐트를 공유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의 통화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을 위한 인증 키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번호 저장 여부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에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인증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에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서버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송수신한 텍스트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송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에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연결된 제 3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기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수신 받을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기기로부터 수신할 제 2 기기의 콘텐트 및 콘텐트를 수신 받을 제 1 기기에 연결된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콘텐트를 전송”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콘텐트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콘텐트를 수신”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와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는 전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하고, 네트워크(140)를 통해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가 전화 통화 중, 제 1 기기(110)에 전화 통화 중인 기기로 콘텐트 공유를 지시하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요청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및 제 2 기기(120)에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를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원격 접속에 기초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하고, 제 2 기기(120)에 전송된 콘텐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에 연결된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하고,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기기(130)가 제 2 기기(120)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를 통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제 3 기기(13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제 3 기기(130)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제 3 기기(130)의 IP 정보를 이용하여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와 전화 통화 연결 중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210)로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200) 서버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프리젠스 서버(210)는 기지국(200) 서버로부터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의 통화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 사이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프리젠스 서버(210)는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젠스 서버(210)는 제 1 기기(110)로 제 2 기기(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젠스 서버(210)에 저장된 제 2 기기(120)의 IP 정보 또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IP 정보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리젠스 서버(210)로부터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110)는 프리젠스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연결된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전송하고 제 2 기기(120)가 콘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프리젠스 서버(210)와 기지국(200) 서버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구분된 하드웨어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라 함은 인증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로 콘텐트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와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S310). 이후,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에 따라 제 2 기기(120)가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서버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는 제 1 기기(110)의 식별 정보, 제 2 기기(120)의 식별 정보 및 원격 접속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서버로부터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의 통화 연결 상태에 기초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기기(110)에 구비된 촬영 수단을 구동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촬영 수단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영상을 획득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제 2 기기(120)에 표시함으로써, 제 2 기기(120) 사용자가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의 얼굴을 확인하고 인증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기기(110)는 공유 가능한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하는 경우, 공유 가능한 콘텐트는 제 1 기기(110), 제 1 기기(110)에 연결된 기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가 콘텐트를 수신하는 경우, 공유 가능한 콘텐트는 제 2 기기(120),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콘텐트일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표시된 콘텐트의 목록 중에서 제 2 기기(120)와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1500에서와 같이 콘텐트의 목록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제 1 기기(110)에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1400)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요청을 하는 경우, 제 1 기기(110)는 서버로 로그인 세션(session)에 대한 세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400)는 세션 ID에 대응되는 로그인 세션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 인증 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인증 결과를 기초로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에 대한 원격 접속을 기초로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에 저장된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1500). 표시된 목록 중에서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와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기기(120)와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제 2 기기(120)로 요청할 수 있다. 인증을 요청 받은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기기와의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는 제 2 기기(120)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된 제 2 기기(120)로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하고, 제 2 기기(120)에 전송된 콘텐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기기(11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1500). 표시된 목록 중에서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와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기기(120)와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서버(1400)로 요청할 수 있다. 인증을 요청 받은 서버(1400)는 별도의 기지국(200) 서버 또는 서버(1400)에 구비된 연결 상태 확인부(1420)를 통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간에 대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 경우, 서버(140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서버(1400)는 제 2 기기(120)의 IP 주소를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1400)는 제 2 기기(120)의 IP 주소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 제 2 기기(12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된 제 2 기기(120)로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고, 제 2 기기(120)에 전송된 콘텐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하고, 제 3 기기(130)와 콘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기기(130)는 제 2 기기(120)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 휴대 전화기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방식으로 연결된 텔레비전이 제 3 기기(130)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3 기기(130)는 제 2 기기(120)와 직접 연결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기기(130)는 제 2 기기(120)와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으로 연결된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제 3 기기(13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기기뿐만 아니라 아닌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와 같은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서 연결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딸이 어머니와 전화 통화 중, 어머니의 휴대 전화기에 연결된 텔레비전에서 딸의 휴대 전화기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에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해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S410). 여기서, 원격 접속 서비스는 제 2 기기(120)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전송하고 재생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 및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20).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부터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성공된 경우(S430),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즉, 제 1 기기(110)에 제 1 기기(110)와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의 전화 번호가 제 1 기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콘텐트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서버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대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에 설치된 전화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 및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기기의 전화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제 2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대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20)를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서버(1400)로 제 2 기기(120)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400)가 인증 정보와 함께 제 1 기기(110)로부터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접속 서비스에 있어서,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증 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에 대한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대한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서버(1400)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와 함께 제 1 기기(110)에 저장된 인증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서버(1400)로부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30). 여기서,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S540), 서버(1400)로부터 제 2 기기(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S540),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송수신한 텍스트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S610). 또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620).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제 1 기기(110)가 수신하고, 제 1 기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 받아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고, 제 2 기기(120)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확인하여 인증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제 2 기기(120)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기기(120)가 수신된 텍스트와 기 설정된 답변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수신된 텍스트와 기 설정된 답변이 일치하는 경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S640),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6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송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S710). 또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20). 제 1 기기(110)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의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통해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고, 제 1 기기(110)의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기 설정된 답변과 일치하는 경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부터 인증이 되었다는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 1 기기(110)가 인증에 성공한 경우(S740).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에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S810).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부터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20). 여기서, S820단계는 본 실시예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제 2 기기(120)로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의 사용자로부터 전화 통화를 통해 원을 그리라는 지시를 받고, 제 1 기기(110)의 사용자가 제 1 기기(110)를 움직임으로써 제 1 기기(110)에 구비된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가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S850),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85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 1 기기(110)는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1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는 제 1 기기(1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 2 기기(1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의 전화 번호 또는 기기의 맥 주소(MAC address)와 같이 기기에 대해 부여된 식별번호일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S920). 여기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다른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가 인증을 수행한 결과 제 1 기기(110)의 인증 요청을 수락하는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서(S930), 제 1 기기(110)는 인증이 성공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S940).
제 1 기기(110)는 인증이 성공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콘텐트를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S95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을 통해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S1020),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기기(120)에 연결할 수 있다(S1030).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망 및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목록을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인터넷 망을 선택하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네트워크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제 2 기기(120)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네트워크에 대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제 2 기기와 연결된 제 3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S1110). 여기서,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는 제 2 기기(120)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일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1120). 예를 들어, 도 15의 1510 또는 도 16의 1600에서와 같이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에는 제 2 기기(12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 중 제 1 기기(110)가 공유하기 위해 선택한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에 텔레비전 및 오디오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와 공유할 콘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제 1 기기(110)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텔레비전만 목록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 중 콘텐트를 공유할 제 3 기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S113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공유 가능한 콘텐트의 목록 및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제 3 기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와 같이 공유할 콘텐트를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에 포함된 항목에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통한 입력에 따라서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제 3 기기(130)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160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1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1610) 중에서 소정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영역으로부터 기기에 대한 목록(1600) 중에서 소정의 기기를 표시하는 영역에 대해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가 제 1 기기(110)에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는 제 1 기기(110)에 표시된 GUI에 포함된 커서를 통해 입력 받거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따라서,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경우, 제 1 기기(110)는 ‘사진 1’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Device 2’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와 전화 통화가 연결된 기기이다.
제 1 기기(110)는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하고, 제 3 기기(13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114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서,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1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의 전화 통화 연결을 중계하는 기지국 서버로부터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400)는 서버(1400)에 구비된 연결 상태 확인부(1420)를 통해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서버(1400)는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220). 이후,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1230). 이 때,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로 제 2 기기(120)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기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131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정보 송수신부(1320)와, 인증 결과를 기초로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원격 접속에 기초해 제 2 기기(120)와 콘텐트를 공유하는 콘텐트 공유부(134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와 전화 통화가 연결된 기기이다. 인증부(1310)는 제 1 기기(110)와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13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정보 송수신부(13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고,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310)는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부터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 간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정보 송수신부(13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송수신부(1320)는 인증을 요청하는 정보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330)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1310)는 저장부(133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330)는 제 1 기기(110)에 구비된 저장 매체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3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부(1330)에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부(13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310)가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3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암호 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부(1310)는 저장부(133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310)가 저장부(133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정보 송수신부(1320)는 인증 정보와 함께 저장부(1330)에 저장된 암호 키를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 키는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송수신부(1320)는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텍스트를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화 통화를 통해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게 전달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텍스트를 통해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제 2 기기(120)에 기 설정된 텍스트와 수신된 텍스트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텍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로 인증을 수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기(120)에 제 2 기기(120)의 사용자 성명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기기(120)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통해 성명을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음성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제 1 기기(120)의 사용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에 기 설정된 사용자 성명과 SMS에 포함된 텍스트가 일치하는 경우,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송수신부(132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화 통화를 통해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게 전달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음성 데이터를 통해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음성인식을 통해 음성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기기(120)는 제 2 기기(120)에 기 설정된 텍스트와 음성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로 인증을 수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스처 입력부(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송수신부(1320)는 인증 정보와 함께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서버(140) 또는 제 2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400) 또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제스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가 인증 정보와 함께 제 1 기기(110)를 들고 원을 그리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제 2 기기(120)가 인증 정보와 함께 제 2 기기(120)를 들고 원을 그리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트 공유부(1340)는 인증부(1310)에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는 네트워크 연결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1360)는 서버(1400) 또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 2 기기(120) 또는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제 3 기기(13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20) 또는 제 3 기기(130)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구조도이다.
서버(1400)는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1410)와,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의 전화 통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연결 상태 확인부(1420)와, 인증부(1410)가 수행한 인증에 대한 결과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하는 인증 결과 전송부(1430)와, 인증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144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은 제 2 기기(120)에 대해 원격 접속하고, 제 2 기기(120)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요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연결 상태 확인부(1420)에서 확인된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연결 상태 확인부(1420)에서 확인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증 키로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1 기기(110)의 인증 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연결 상태 확인부(1420)를 통해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로부터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기기(110)에 제 2 기기(1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기기(110)의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로부터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텍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두 텍스트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의 비교 결과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부(1410)는 제 2 기기(120)로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410)는 제 2 기기(120)로 인증 요청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기기(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1400)로 반환할 수 있다. 인증부(141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인증 요청에 대해 동의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증부(141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상태 확인부(142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결 상태 확인부(142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 간의 전화 통화를 직접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직접 제 1 기기(110) 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 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상태 확인부(1420)는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20)의 전화 통화를 중계하는 기지국(200) 서버로부터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결과 전송부(1430)는 인증부(1410)에서 수행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증 결과 전송부(1430)는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정보는 서버(1400)에 구비된 저장부(1440)에 저장되어 있거나, 제 2 기기(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10)에서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서버(1400)는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의 I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결과 전송부(1430)는 수신된 제 2 기기(120)의 IP 정보를 제 1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440)는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정보 및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정보는,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키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 간에 연결된 전화 연결 상태에 해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가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제 2 기기(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1500). 또한, 제 1 기기(110)는 공유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20)간에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 1 기기(110)는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공유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하고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여 제 2 기기(120)에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트를 선택하고 공유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서, 제 2 기기(120) 및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1510). 제 1 기기(110)는 표시된 목록을 통해 표시된 목록 중에서 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목록 중에서 기기가 선택됨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하고, 선택된 기기에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원격 접속된 기기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기가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전화 통화가 연결된 제 2 기기(120)로부터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160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1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1610) 중에서 소정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영역으로부터 기기에 대한 목록(1600) 중에서 소정의 기기를 표시하는 영역에 대해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가 제 1 기기(110)에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는 제 1 기기(110)에 표시된 GUI에 포함된 커서를 통해 입력 받거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따라서,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경우, 제 1 기기(110)는 ‘사진 1’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제 2 기기(120)에 연결된 ‘Device 2’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기기(120)는 제 1 기기(110)와 전화 통화가 연결된 기기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기기로부터 수신할 제 2 기기의 콘텐트 및 콘텐트를 수신 받을 제 1 기기에 연결된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10)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170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기(110)에 연결된 기기는 제 1 기기(110)와 홈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을 제 2 기기(120) 또는 서버(1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수신된 콘텐트의 목록(17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110)에 표시된 제 2 기기(120)의 콘텐트 목록(1710) 중에서 소정의 콘텐트를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기기의 목록(1700) 중에서 소정의 기기를 나타내는 영역에 대해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가 제 1 기기(110)에 확인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따라서, 공유할 콘텐트 및 콘텐트를 공유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경우,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20)에 원격 접속하여 ‘사진 1’에 대응되는 콘텐트를 제 1 기기(110)에 연결된 ‘Device 2’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 2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 1 기기
120: 제 2 기기
130: 제 3 기기

Claims (38)

  1.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간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공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한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위한 암호 키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암호 키를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텍스트를 상기 제 2 기기로 텍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에 대한 원격 접속 및 콘텐트 공유를 위한 권한을 인증 받기 위한 것인 콘텐트 공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에 대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공유 방법은,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상기 콘텐트를 전송할 제 3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3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3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기기와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트를 공유할 상기 제 3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 중 상기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기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공유 방법은,
    상기 제 1 기기가 공유 가능한 콘텐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목록 중에서 공유할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된 기기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콘텐트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된 기기의 목록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상기 제 1 기기, 상기 제 1 기기가 속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및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고려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콘텐트를 공유하는 제 1 기기에 있어서
    제 2 기기에 대한 전화 통화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결과 및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기기에 원격 접속하고,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제 2 기기와 상기 콘텐트를 공유하는 콘텐트 공유부를 포함하는 제 1 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정보 송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인증을 위한 암호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 2 기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암호 키를 상기 인증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텍스트를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로 공유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원격 접속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위한 것인 제 1 기기.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에 대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스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공유부는,
    상기 전화 통화의 연결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제 1 기기.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공유부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원격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기기에 연결된 기기 중 콘텐트를 공유할 제 3 기기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 3 기기에 원격 접속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기와 콘텐트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기기.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제 1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93255A 2012-08-24 2012-08-24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96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255A KR101960062B1 (ko) 2012-08-24 2012-08-24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EP13831078.4A EP2888711B1 (en) 2012-08-24 2013-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PCT/KR2013/007409 WO2014030889A1 (en) 2012-08-24 2013-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CN201380049691.8A CN104685530B (zh) 2012-08-24 2013-08-16 用于共享内容的方法和装置
US13/974,661 US9374354B2 (en) 2012-08-24 2013-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15/170,342 US9788206B2 (en) 2012-08-24 2016-06-0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15/680,652 US10154412B2 (en) 2012-08-24 2017-08-18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255A KR101960062B1 (ko) 2012-08-24 2012-08-24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41A KR20140034341A (ko) 2014-03-20
KR101960062B1 true KR101960062B1 (ko) 2019-03-19

Family

ID=5014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255A KR101960062B1 (ko) 2012-08-24 2012-08-24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374354B2 (ko)
EP (1) EP2888711B1 (ko)
KR (1) KR101960062B1 (ko)
CN (1) CN104685530B (ko)
WO (1) WO2014030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54B1 (ko) * 2009-10-30 2016-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이용 이력에 기반한 네트워크 컨텐트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036962A (zh) * 2012-12-06 2013-04-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文件的共享方法及手持设备
US9323916B1 (en) * 2013-02-14 2016-04-26 Google Inc. Secure authorization for accessing content on a shareable device
WO2015108397A1 (en) 2014-01-20 2015-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916209B1 (en) * 2014-03-03 2019-11-20 Nokia Technologies Oy Input axis between an apparatus and a separate apparatus
US9509799B1 (en) 2014-06-04 2016-11-29 Grandios Technologies, Llc Providing status updates via a personal assistant
US8995972B1 (en) * 2014-06-05 2015-03-31 Grandios Technologies, Llc Automatic personal assistance between users devices
US9112849B1 (en) * 2014-12-31 2015-08-18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CN106302969B (zh) * 2015-06-03 2020-08-21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恢复通讯录的方法及终端
US10212171B2 (en) 2015-10-07 2019-02-19 Spotify Ab Dynamic control of playlists
US10628482B2 (en) 2016-09-30 2020-04-21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ng playlists
KR102588498B1 (ko) 2016-11-07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를 인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20117B2 (en) 2018-03-19 2021-09-14 Hcl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legating access of sensitive information
US20190370094A1 (en) * 2018-06-01 2019-12-05 Apple Inc.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KR20200079081A (ko) * 2018-12-24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5509423A (zh) * 2021-06-04 2022-12-23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方法、图形界面及相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018A (ja) * 2005-12-09 2007-06-28 Fujitsu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ファイル共有方法およびファイル共有プログラム
US20090234955A1 (en) * 2008-03-13 2009-09-17 Mark Gregory Hanley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JP2009237662A (ja) * 2008-03-26 2009-10-15 Nec Corp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131B2 (en) 1998-12-30 2002-07-23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co-browsing over cable television and controlled through computer telephony
AU4116501A (en) * 2000-04-24 2001-11-07 Neotechkno Corporation External device and authentication system
NL1015612C2 (nl) * 2000-07-05 2002-01-08 Alexander Theodorus Jansen Werkwijze en systeem alsmede gegevensdrager voor het verkopen van koopwaar.
JP2002141895A (ja) 2000-11-01 2002-05-17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CA2394215A1 (en) * 2000-11-10 2002-05-16 Ntt Docomo, Inc.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undertak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20040203595A1 (en) * 2002-08-12 2004-10-14 Singhal Tara Ch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ellular telephone and a transient pass code
US7474741B2 (en) * 2003-01-20 2009-01-06 Avaya Inc. Messaging advise in presence-aware networks
DE602005007653D1 (de) 2004-04-12 2008-08-07 Ind Academic Coop Verfahren, Vorrichtungen und Speichermedien zur Bereitstellung von Multimedia-Diensten unter Berücksichtung der Endeinrichtungsfähigkeiten
US7676026B1 (en) * 2005-03-08 2010-03-09 Baxtech Asia Pte Ltd Desktop telephony system
KR100921554B1 (ko) * 2005-08-30 2009-10-14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통화중에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 및 제어할 수 있는콘텐츠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43887A1 (en) * 2005-11-01 2007-10-18 Fonemine, Inc. Platform for telephone-optimized data and voice services
US20070168457A1 (en) * 2006-01-18 2007-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dressing computer-related problems
US20080091799A1 (en) * 2006-10-16 2008-04-17 Weaver Ralph J Access to Internet Content Via Telephone
US8365258B2 (en) * 2006-11-16 2013-01-29 Phonefactor, Inc. Multi factor authentication
KR100858650B1 (ko) *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8724789B2 (en) * 2007-08-06 2014-05-13 Yellow Pages Systems and methods to connect people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via directory assistance
US20090094531A1 (en) * 2007-10-05 2009-04-09 Microsoft Corporation Telephone call as rendezvous mechanism for data sharing between users
US8595816B2 (en) * 2007-10-19 2013-11-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8160568B2 (en) * 2008-05-27 2012-04-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hereof
KR20100000656A (ko)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상대방과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81469A (ko) 2010-01-08 2011-07-14 차영규 음성호출 전화연결 및 디지털티브이 화상정보를 지원하는 마이폰장치
KR20110128487A (ko)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EP2737657A1 (en) * 2011-07-25 2014-06-04 Emue Holdings Pty Ltd Call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GB201106976D0 (en) * 2011-10-03 2011-10-03 Corcost Ltd Corcost-SG002
US9690926B2 (en) * 2014-03-25 2017-06-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established network activ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018A (ja) * 2005-12-09 2007-06-28 Fujitsu Ltd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ファイル共有方法およびファイル共有プログラム
US20090234955A1 (en) * 2008-03-13 2009-09-17 Mark Gregory Hanley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JP2009237662A (ja) * 2008-03-26 2009-10-15 Nec Corp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85530A (zh) 2015-06-03
US9374354B2 (en) 2016-06-21
US20140059644A1 (en) 2014-02-27
EP2888711B1 (en) 2018-12-12
US10154412B2 (en) 2018-12-11
WO2014030889A1 (en) 2014-02-27
US9788206B2 (en) 2017-10-10
US20160277931A1 (en) 2016-09-22
US20170347265A1 (en) 2017-11-30
EP2888711A4 (en) 2016-04-06
EP2888711A1 (en) 2015-07-01
CN104685530B (zh) 2018-11-16
KR20140034341A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062B1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US11671826B2 (en) Voice control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tegration
US8458369B2 (en) Automatic peripheral discovery, authorization, and sharing across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8806577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device server
WO2017054355A1 (zh) 无线网络接入方法、装置和系统
US9438530B2 (en) System for synchronizing information
US20150095933A1 (en) Device Pairing
US9066123B2 (en) System for monetizing resources accessible to a mobile device server
US10172116B2 (en) Messaging abstraction in a mobile device server
JP2023139032A (ja) 複数のデバイスを使用してメディア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
KR102493026B1 (ko)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2092731B1 (ko) 페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79551B1 (ko) Opmd 시스템에서의 배타적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 매체
US9232281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4080004B (zh) 专网接入方法及装置
KR102668255B1 (ko)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WO2023185888A1 (zh) 一种通信方法、相关装置和相关系统
KR102133903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102102780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EP2680524A1 (en)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CN116916087A (zh) 一种视频投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