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79B1 -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79B1
KR101959479B1 KR1020180102694A KR20180102694A KR101959479B1 KR 101959479 B1 KR101959479 B1 KR 101959479B1 KR 1020180102694 A KR1020180102694 A KR 1020180102694A KR 20180102694 A KR20180102694 A KR 20180102694A KR 101959479 B1 KR101959479 B1 KR 10195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region
watermark
area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송백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잉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잉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잉랩
Priority to PCT/KR2018/0118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831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영역에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코드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마킹 방법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WATERMARKING METHOD AND DETECTING METHOD FOR THE SAME}
실시 예는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워터 마크의 삽입/추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컨텐츠 영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 변조 방지 및 영상의 저작권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의 일반 컨텐츠 영상이 다량으로 복사가 가능하고, 저자의 동의 없이 복사 및 변조 등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적재산권 침해가 날로 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일반 컨텐츠 영상에 대한 저작권 보호와 인증에 대한 해결책이 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종래 일반 컨텐츠 영상의 보호 방법으로는 방화벽, 암호화 등과 같은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일반 컨텐츠 영상은 복제가 쉽고 그 복사본과 원본의 질적 차이가 거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할 수 있지만, 컨텐츠 영상을 제작하고 공급하는 입장에서는 불법 복제 및 무단 도용이 만연해질 수 있기 때문에 커다란 문제이다.
이에 따라 최근 워터 마킹 기술이 제안되고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워터 마킹 기술은 불법적인 복제와 변조에 대해 지적재산권의 보호대상이 되는 일반 컨텐츠 영상에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신호를 삽입함으로써 정보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이다.
다만, 압축, 로테이트, 재촬영 등으로 인한 경우, 워터 마크 검출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실시 예는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워터 마킹에도 사람이 영상 데이터의 변형을 인지하기 어려운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압축 또는 로테이트 등 변화로부터 강인함이 향상된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변형, 왜곡에도 검출 정확도가 개선된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방법은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영역에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코드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이한 압축률로 압축하여 재생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영역으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영상 데이터 중 공통으로 추출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을 필터링하여 제4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영역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는 데이터 키 및 복구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와 상기 삽입 영역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영역의 개수가 상기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보다 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상기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구 코드는,
에러 정정 코드(EC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검출 방법은 제4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4 영상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와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을 불러오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워터 마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 시간이 단축된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워터 마킹에도 사람이 영상 데이터의 변형을 인지하기 어려운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또는 로테이트 등 변화로부터 강인함이 향상된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제1 영상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검출된 제1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제1 영역에 반영된 가상 코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상이한 압축률로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서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제3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 영역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4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3 영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워터 마크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제1 영상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검출된 제1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제1 영역에 반영된 가상 코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상이한 압축률로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방법은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S110),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20) 및 삽입 영역에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고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S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S110)에서는 서버가 디지털 문서를 사용하는 다수의 제공자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문서는 영상, 이미지 등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웹툰 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공자는 영상 등에 대한 저작권자로 작가, 사용권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제1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 자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리자 등에 의해 제1 영상 데이터 및 후술하는 제4 영상 데이터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20)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워터 마크가 삽입되는 삽입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20)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21),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22), 가상 코드를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3)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제2 영역을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21)에서 도 3과 같이 제공자로부터 입력받은 제1 영상 데이터에서 필터링되어 제1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먼저, 제1 영상 데이터(I1)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변환되고, 고주파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를 통과하여, 고주파 영역만 추출될 수 있다. 즉, 제1 영상 데이터(I1)는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범위는 전술한 고주파 영역으로 영상에 따라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고, 고주파대역통과필터도 해당 범위로 통과 대역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은 제1 영상 데이터(I1)에서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각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I1)가 이미지인 경우에, 제1 영상 데이터(I1)는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하므로 각 픽셀 별로 구획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영상 데이터(I1)에서 각 픽셀은 좌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은 비트로 제공되는 영역으로 코드의 단위 영역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상 데이터(I1)는 9개의 픽셀로 구획되어, 행/열이 각각 3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행/열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9개의 픽셀은 각각 (0,0), (0,1), (0,2), (1,0), (1,1), (1,2), (2,0), (2,1), (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개수, 크기)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술한 내용으로 이하 설명한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I1)는 밝기의 세기(명도) 간의 차이가 큰 부분에서 미분 등에 의하여 고주파 영역의 픽셀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상 데이터(L1)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I1)는 이미지이고 이산 데이터로서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유한 차이(finite difference)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다른 이산 데이터 처리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I1)는 (0,1), (1,0), (2,1), (1,2) 픽셀에서 -1을 가지고, (1,1) 픽셀에서 4을 가지는 것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 때, (1,1) 픽셀은 인접한 4개의 픽셀((0,1), (1,0), (2,1), (1,2) 픽셀)보다 큰 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영역으로, 제1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람이 변화(예컨대, 명도, 채도 등의 차이)를 인지하기 어려워 원본에 의해 사람이 인지하는 명도, 채도 등은 영상의 원작자 의도가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 데이터(I1)를 통해 검출된 제1 영역(S1)은 제1 영상 데이터(I1)에서 밝기의 세기(명도) 차이가 큰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S1)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I1)에서 밝기의 세기가 큰 선을 중심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 중 일부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더라도,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워 원본 영상의 질감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22)는 제1 영역(S1)에 대응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코드는 제1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된 제1 영역(S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은 하나의 비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S1)은 그레이 스케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S1)은 0 내지 7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S1)에서 각 픽셀은 명도의 차이에 의해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S1)에서 명도가 큰 부분은 '7'에 해당하고, 명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은 '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명도의 값에 따라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명도의 값이 작으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픽셀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영역(S1)은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S1)은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은 소정 범위의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로 필터링되므로, 필터링된 제1 영역은 상기 범위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픽셀 내에서 높은 주파수(전술한 제1 범위의 주파수)가 일부 존재하는 경우에 높은 주파수의 주변 영역에 가상 코드가 삽입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주파수가 감소하여 사람이 가상 코드 삽입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코드가 삽입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워터 마크가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사람이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코드는 임의의 비트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제1 영역(S1)의 모든 픽셀에 적용되는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가상 코드는 소정의 비트를 갖는 데이터가 반복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가상 코드는 64비트의 데이터가 반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상 코드는 제1 영역(S1)에서 필터링, 리사이즈(resizse) 등의 변화에도 강인성이 높은 픽셀을 미리 선별하기 위한 데이터인 바, 실시예에 다른 워터 마킹 방법은 다양한 변화(필터링, 리사지드 등)에도 강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밝기의 세기(명도)가 감소하므로, '0'에서 '1'로 변화하기보다 '1'에서 '0'으로 용이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코드는 모든 비트가 '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1'로 이루어진 가상 코드가 제1 영역(IS)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이후에 제1 영역 중 변화에 대한 강인성이 큰 픽셀만을 선별하여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므로, 워터 마크가 적용 후 제3 자가 다양한 변화를 가한 후 이미지를 불법 유출하더라도 용이하게 워터 마킹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코드를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3)는 제1 영상 데이터(원본 이미지)와 가상 코드가 적용된 제1 영역(IS, 도 6 참조)을 합성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와 가상 코드가 적용된 제1 영역을 알파 머지(Alpha Merge)로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알파 머지는 제1 영상 데이터에 알파 값(밝기 세기)를 변형하면서 제1 영역과 합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합성 시, 제1 영상 데이터의 알파(Alpha) 값은 중간 레벨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알파 값이 1 내지 100의 범위를 갖는 경우, 알파 머지 시 전체 범위 대비 알파 값의 비율은 1:0.3 내지 1:0.8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5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1:0.3보다 작은 경우에 합성 후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고, 상기 비율이 1:0.8보다 큰 경우에 사람이 변화를 인지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다만, 알파 값뿐만 아니라, 색상, 히스토그램(Histogram), 색 밸런스(color balance), 명암(contrast)을 변화하여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변화에 대해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면서 검출이 용이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설명에서 영역 간의 합성은 공통 영역의 추출로 이루어지고, 영역과 영상 데이터 간의 합성은 상술한 알파 머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제2 영역을 삽입 영역으로 추출(S124)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 영역은 저장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I2)는 제1 영상 데이터와 다양한 변화(밝기, 색상, 명암 등)에 대한 기준값(threshold)을 기준으로 제2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밝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0'에서 '1'로 변화하기 어려우므로, 제2 영역은 제1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강인성이 개선되면,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동일한 픽셀 개수 및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영역(S1)의 각 픽셀에서 밝기에 대한 기준값 대비 이상의 밝기를 갖는 픽셀은 '1'로 처리되고, 기준값보다 작은 밝기를 갖는 픽셀은 '0'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S2)이 검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영역(S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서 도시한 제1 영역(S1)의 일부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제2 영역(S2)은 후술하는 워터 마크가 적용되는 삽입 영역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영역은 제3 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변화에도 강인성이 향상된 픽셀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제3 자의 변형하더라도 용이하게 유출한 제3 자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술한 가상 코드를 삽입한 합성된 제2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영상 데이터는 상이한 압축률로 복수 개 생성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제2 영상 데이터는 제2-1 영상 데이터(I2a), 제2-2 영상 데이터(I2b), 제2-3 영상 데이터(I2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영상 데이터는 상이한 압축률을 가지므로 밝기 등의 변화가 주파수 별로 상이하게 일어날 수 있기에,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추출된 제2 영역도 상이할 수 있다. 먼저, 제2-1 영역(S2A)은 제2-1 영상 데이터(I2a) 로부터 추출되고, 제2-2 영역(S2B)는 제2-2 영상 데이터(I2b)로부터 추출되고, 제2-3 영역(S2C)는 제2-3 영상 데이터(I2c)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1 영역(S2A)은 픽셀 개수가 7개이고, 제2-2 영역(S2B)은 6개, 제2-3 영역(S2C)은 4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개수, 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2 영역은 제2-1 영역(S2A), 제2-2 영역(S2B) 및 제2-3 영역(S2C)에서 공통으로 추출된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삽입 영역인 제2 영역은 상이한 압축률에도 개선된 강인성을 제공하여, 제3 자의 변형에도 용이하게 워터 마크를 추출하게 한다.
그리고 삽입 영역에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고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할 수 있다(S130). 이로써, 변화에 강인한 삽입 영역에 워터 마크를 삽입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서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제3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 영역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4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3 영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는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131), 제3 영역을 필터링하여 제4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132), 및 제4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S131)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영역(S1)과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S2')을 합성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된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S2')은 전술한 삽입 영역으로 검출된 제2 영역에 워터 마크를 적용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워터 마크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키와 복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S2')에서 '1'은 제1 영역과 마찬가지로 픽셀 내에 원형이면서 흰색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S1)과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S2') 간의 합성으로 공통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S1)과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S2')은 비트 간의 앤드(and) 연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통 영역인 제3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으며, 이러한 원의 크기는 이미지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제3 영역을 필터링하여 제4 영역(S4)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링은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영역이 제1 범위의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로 필터링되므로, 제4 영역은 제1 범위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픽셀 내에서 높은 주파수(전술한 제1 범위의 주파수)가 일부 존재하는 경우에 높은 주파수의 주변 영역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주파수가 감소하여 사람이 워터 마크 삽입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미지 등을 서버 등에 요청하는 사용자 별로 상이한 인덱스(index)를 가질 수 있다. 인덱스(index)는 예시적으로 32비트 이상을 갖는 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수와 무관하게 워터 마크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수에 제한이 없다.
또한, 각 사용자 정보 별로 상이한 인덱스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아이피 주소, 접근 시간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정보를 통해 불법 유통한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덱스는 해당 수에 맞춰 이진수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이진수는 워터 마크의 데이터 값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 마크의 데이터 값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역으로 추출하여 불법 유통한 사람을 알아낼 수 있다.
예컨대, 인덱스 중 '1394878345'는 01010101110110, 00010111000111, 11110111010111, 000111011101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의 데이터 값(P1)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는 복구 코드(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구 코드(P2)는 에러 정정 코드(EC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구 코드(P2)는 순환 반복 체크(CRC) 및 리드-솔로몬 코드(R-S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순환 반복 체크(CRC) 및 리드-솔로몬 코드(R-S code)는 삽입 영역의 개수에 복구 코드(P2)로 수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는 복구 코드를 통해, 데이터 값이 왜곡되거나 변형되더라도 원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특히, 명도에 의해 흰색과 흑색 간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경우 왜곡 시에 추출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복구 코드(P2)는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컨대,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리드솔로몬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 반복 코드를 통해 무결성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리드-솔로몬 코드를 통해 인접하여 왜곡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에러를 교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워터 마크는 컨볼루션 코드(convolutional cod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 에러 검출 및 정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은 하나의 비트에 대응하므로,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2배이상인 경우에,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르면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경우에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와 삽입 영역의 개수를 비교한(S134) 후,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 이상인 제1 영상 데이터에만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S135). 다만, 이러한 단계는 전술한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을 생성하기(S131) 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워터 마크 삽입 시부터 강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보다 작은 제1 영상 데이터의 경우, 워터 마크를 삽입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 이상인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왜곡 및 변형으로부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 영역의 공통 영역으로 제3 영역을 합성하여, 필터링을 통해 제4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 제4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33).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영상 데이터는 원본인 제1 영상 데이터와 제4 영역이 알파 머지(Alpha Merge)로 합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파 머지는 제1 영상 데이터에 알파 값(밝기 세기)를 변형하면서 제1 영역과 합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합성 시 제1 영상 데이터의 알파(Alpha) 값은 중간 레벨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알파 값이 1 내지 100의 범위를 갖는 경우, 알파 머지 시 전체 범위 대비 알파 값의 비율은 1:0.3 내지 1:0.8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5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1:0.3보다 작은 경우에 합성 후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고, 상기 비율이 1:0.8보다 큰 경우에 사람이 변화를 인지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다만, 알파 값뿐만 아니라, 색상, 히스토그램(Histogram), 색 밸런스(color balance), 명암(contrast)을 변화하여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변화에 대해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면서 검출이 용이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제4 영역을 통해 워터 마크가 적용하더라도, 사람이 변형을 감지하기 어려운 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합성된 제3 영상 데이터는 워터 마크에 대응된 사용자 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워터 마크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추출 방법은 제4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210), 제4 영상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을 불러오는 단계(S220),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하는 단계(S230), 상기 워터 마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S240) 및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4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S210). 제4 영상 데이터는 제3 자에 의해 불법 유통된 영상 데이터 일 수 있다. 제4 영상 데이터는 워터 마크가 반영된 제3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다양한 변화에 의해 변형된 제3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4 영상 데이터는 제3 영상 데이터가 다양한 크기, 밝기로 변형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영상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와 매칭하여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을 불러올 수 있다(S220). 즉, 제4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는 관리자이나, 제4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 간의 다양한 매칭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S230). 비교 영역은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동일한 위치를 가지므로,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 간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과 원본인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 간에 다양한 변화(밝기, 색상, 명암 등)에 대한 기준값(threshold)을 기준으로 추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추출 영역은 기 삽입된 워터 마크 또는 변형, 왜곡된 워터 마크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변화는 밝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추출 영역은 삽입 영역, 비교 영역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 영역의 각 픽셀에서 밝기에 대한 기준값 이상의 밝기를 갖는 픽셀은 '1'로 처리되고, 기준값보다 작은 밝기를 갖는 픽셀은 '0'으로 처리되어 추출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마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S240). 즉, 추출 영역은 기 삽입된 워터 마크 또는 변형된 워터 마크의 비트를 가질 수 있으며, 데이터 값(P1), 복구 코드(P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마크는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비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총 32비트인 경우, 워터 마크는 64비트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추출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구 코드를 통해 에러를 복구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값 추출에 있어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6과 같이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가 반복된(예컨대, n번) 구조이므로, 복수 개의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를 각각 조합하여, 데이터 값을 복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가 3번 반복된 워터 마크에서, 첫번째 복구 코드, 두번째 복구 코드 및 세번재 복구 코드의 조합으로 에러를 복구할 수 있다. 복구 시 복구 불가능한 경우 복구할 수 없다는 출력이 제공되는 의미에서 복구된 비트는 무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복구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복구된 데이터 값(P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그리고 불러온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250). 사용자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자가 영상 데이터에 왜곡 및 변형을 가하더라도 강인성을 개선하여 보다 정확하게 영상 데이터를 불법으로 유통시킨 제3 자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워터 마킹 시스템은 서버(1000), 사용자(2000) 및 제공자(3000)를 포함한다.
서버(1000)는 디지털 문서를 사용자(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문서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는 웹툰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디지털 문서를 사용하는 다수의 제공자(300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영상 데이터에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00)는 다수의 제공자(3000)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직접 또는 다양한 수단 및 경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2000)가 소정의 영상을 요청하면, 서버(1000)는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상하고, 합성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2000)에게 송부할 수 있다. 이 대, 서버(1000)는 사용자(2000)에게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직접 또는 다양한 수단 및 경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0)는 제3 자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제3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워터 마크를 검출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2000)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서버(1000)는 제공자(3000)의 허가 없이 유통된 영상 데이터의 워터 마크를 검출하여, 허가 없이 유통한 사용자(2000)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자는 제공자(3000)를 포함하며, 제공자(3000)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유통 허가 등을 받은 자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수신부(1100), 송신부(1200), 전처리부(1300), 삽입부(1400), 검출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0)는 제공자(300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2000)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의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부(1100)는 제1 수신부(1110)와 제2 수신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신부(1110)는 제공자(3000)로부터 수신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공자(3000)는 영상 데이터의 저작권자로 작가일 수 있다.
제2 수신부(1100)는 사용자(2000)로부터 제4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4 영상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00)에서 사용자(2000)로 제공된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와 제1 영상 데이터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4 영상 데이터는 제3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4 영상 데이터는 제3 영상 데이터에 사용자 또는 제3 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압축, 변형 등의 가공이 이루어진 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200)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이 합성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2000)에게 송신하고, 제4 영상 데이터 내의 워터 마크를 통해 검출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자 등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서버(1000)의 관리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로, 송신부(1200)는 제1 송신부(1210)와 제2 송신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송신부(1210)는 제1 영상 데이터와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이 합성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20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신부(1220)는 제4 영상 데이터 내의 워터 마크를 이용하여 검출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처리부(1300)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전처리부(1300)는 제1 영역 검출부(1310), 제1 필터부(1320), 가상 코드 생성부(1330), 제2 영상 데이터 생성부(1340), 제2 영역 추출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영역 검출부(1310)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 검출부(1310)는 제1 영상 데이터에서 필터링되어 제1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검출부(1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 검출부(1310)는 제1 영상 데이터를 고주파대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에 통과시키며 고주파 영역만 추출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 검출부(1310)는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은 제1 영상 데이터(I1)에서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각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필터부(1320)는 검출된 제1 영역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필터부(1320)는 제1 영역을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은 소정 범위의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로 필터링되므로, 필터링된 제1 영역은 상기 범위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픽셀 내에서 높은 주파수(전술한 제1 범위의 주파수)가 일부 존재하는 경우에 높은 주파수의 주변 영역에 가상 코드가 삽입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주파수가 감소하여 사람이 가상 코드 삽입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필터링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상 코드 생성부(1330)는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된 제1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코드는 임의의 비트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모든 픽셀에 적용되는 비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코드는 소정의 비트를 갖는 데이터가 반복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상 코드는 제1 영역(S1)에서 필터링, 리사이즈(resizse) 등의 변화에도 강인성이 높은 픽셀을 미리 선별하기 위한 데이터인 바, 실시예에 다른 워터 마킹 방법은 다양한 변화(필터링, 리사지드 등)에도 강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코드 및 가상 코드의 생성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 생성부(1340)는 제1 영상 데이터와 가상 코드가 적용된 제1 영역을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상 데이터 생성부(1340)는 알파 머지(Alpha Merge)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영상 데이터 생성부(1340)는 제1 영상 데이터와 가상 코드가 적용된 제1 영역을 밝기 세기를 변형하면서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 생성부(1340)과 관련하여, 알파 값, 합성 방법 등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영역 추출부(1350)는 제2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제2 영역은 후술하는 워터 마크가 적용된 삽입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은 제3 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변화에도 강인성이 향상된 픽셀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제3 자의 변형하더라도 용이하게 유출한 제3 자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술한 가상 코드를 삽입한 합성된 제2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영역을 검출 또는 추출하는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삽입부(1400)는 워터 마크가 삽입된 제3 영역을 생성하고, 제3 영역을 필터링한 제4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삽입부(1400)는 제3 영역 생성부(1410), 제2 필터부(1420), 제3 영상 데이터 생성부(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3 영역 생성부(1410)는 전처리부에서 복수 개의 제2 영상 데이터를 통해 추출된 삽입 영역을 제1 영역과 합성하여 제3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영역 생성부(1410)은 제1 영역과 삽입 영역를 비트 간의 앤드 연산을 통해 제3 영역을 합성할 수 있다. 이 때, 삽입 영역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는 복구 코드(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구 코드(P2)는 에러 정정 코드(EC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구 코드(P2)는 순환 반복 체크(CRC) 및 리드-솔로몬 코드(R-S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순환 반복 체크(CRC) 및 리드-솔로몬 코드(R-S code)는 삽입 영역의 개수에 복구 코드(P2)로 수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마크는 복구 코드를 통해, 데이터 값이 왜곡되거나 변형되더라도 원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특히, 명도에 의해 흰색과 흑색 간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경우 왜곡 시에 추출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복구 코드(P2)는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컨대,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리드솔로몬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 반복 코드를 통해 무결성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리드-솔로몬 코드를 통해 인접하여 왜곡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에러를 교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워터 마크는 컨볼루션 코드(convolutional cod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 에러 검출 및 정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은 하나의 비트에 대응하므로,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2배이상인 경우에, 워터 마크는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 이상인 제1 영상 데이터에만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행은 전술한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이 생성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워터 마크 삽입 시부터 강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보다 작은 제1 영상 데이터의 경우, 워터 마크를 삽입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 삽입 영역의 개수가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 이상인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왜곡 및 변형으로부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생성부(1410)에서 제3 영역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필터부(1420)는 제3 영역을 필터링하여 제4 영역(S4)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링은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영역이 제1 범위의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로 필터링되므로, 제4 영역은 제1 범위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픽셀 내에서 높은 주파수(전술한 제1 범위의 주파수)가 일부 존재하는 경우에 높은 주파수의 주변 영역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주파수가 감소하여 사람이 워터 마크 삽입에 따른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영상 데이터 생성부(1430)는 제4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영상 데이터는 원본인 제1 영상 데이터와 제4 영역이 알파 머지(Alpha Merge)로 합성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파 머지는 제1 영상 데이터에 알파 값(밝기 세기)를 변형하면서 제1 영역과 합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합성 시 제1 영상 데이터의 알파(Alpha) 값은 중간 레벨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알파 값이 1 내지 100의 범위를 갖는 경우, 알파 머지 시 전체 범위 대비 알파 값의 비율은 1:0.3 내지 1:0.8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5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1:0.3보다 작은 경우에 합성 후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고, 상기 비율이 1:0.8보다 큰 경우에 사람이 변화를 인지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다만, 알파 값뿐만 아니라, 색상, 히스토그램(Histogram), 색 밸런스(color balance), 명암(contrast)을 변화하여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변화에 대해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면서 검출이 용이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제4 영역을 통해 워터 마크가 적용하더라도, 사람이 변형을 감지하기 어려운 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합성된 제3 영상 데이터는 워터 마크에 대응된 사용자 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영상 데이터 생성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검출부(1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가 없이 유통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워터 마크를 검출하여 사용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허가 없이 유통된 제2 영상 데이터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부(1500)는 영상 매칭부(1510), 워터 마크 검출부(1520), 워터 마크 매칭부(1530), 사용자 정보 검출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매칭부(1510)는 제2 수신부(1120)을 통해 수신된 제4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매칭부(1510)는 제4 영상 데이터(예컨대, 유출된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제3 영상 데이터가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매칭부(1510)는 SURF를 통해 제4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매칭부(1510)는 제4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는 관리자이나, 제4 영상 데이터와 제1 영상 데이터 간의 다양한 매칭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매칭부(1510)는 영상 데이터의 복수 개의 지점 예를 들어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지점과 복수 개의 제2 지점으로 인해, 벡터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매칭부(1510)는 복수 개의 벡터가 모두 매칭되는 경우 비교 대상인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매칭부(1510)는 상기 복수 개의 벡터가 동일 크기의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에서 동일한 방향을 갖는 경우에도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터 마크 검출부(1520)는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비교 영역은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동일한 위치를 가지므로,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 간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워터 마크 검출부(1520)는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추출하고, 삽입 영역과 비교 영역을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터 마크 검출부(1520)는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과 원본인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 간에 다양한 변화(밝기, 색상, 명암 등)에 대한 기준값(threshold)을 기준으로 추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추출 영역은 기 삽입된 워터 마크 또는 변형, 왜곡된 워터 마크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변화는 밝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추출 영역은 삽입 영역, 비교 영역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 영역의 각 픽셀에서 밝기에 대한 기준값 이상의 밝기를 갖는 픽셀은 '1'로 처리되고, 기준값보다 작은 밝기를 갖는 픽셀은 '0'으로 처리되어 추출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워터 마크 매칭부(1530)는 제4 영상 데이터에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워터 마크 정보를 제3 영역 생성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워터 마크에 대한 정보는 제4 영상 데이터마다 대응하여 테이터 처리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워터 마크 매칭부(1530)는 워터 마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즉, 추출 영역은 기 삽입된 워터 마크 또는 변형된 워터 마크의 비트를 가질 수 있으며, 데이터 값(P1), 복구 코드(P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마크는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2번 이상 반복된 비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값, 순환 반복 체크 및 리드솔로몬 코드가 총 32비트인 경우, 워터 마크는 64비트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추출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구 코드를 통해 에러를 복구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값 추출에 있어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워터 마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가 반복된(예컨대, n번) 구조이므로, 복수 개의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를 각각 조합하여, 데이터 값을 복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값(P1) 및 복구 코드(P2)가 3번 반복된 워터 마크에서, 첫번째 복구 코드, 두번째 복구 코드 및 세번재 복구 코드의 조합으로 에러를 복구할 수 있다. 복구 시 복구 불가능한 경우 복구할 수 없다는 출력이 제공되는 의미에서 복구된 비트는 무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복구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복구된 데이터 값(P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검출부(1540)는 워터 마크 매칭부(1530)에서 매칭된 워터 마크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제3 영상 데이터마다 워터 마크가 대응되고 워터 마크도 사용자 별로 대응되도록 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 검출부(1540)는 대응된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자가 영상 데이터에 왜곡 및 변형을 가하더라도 강인성을 개선하여 보다 정확하게 영상 데이터를 불법으로 유통시킨 제3 자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워터 마킹 및 워터 마킹 검출을 수행하는 워터 마킹 시스템의 워터 마킹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영역에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1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적용되는 가상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코드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컴퓨터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되는 워터 마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이한 압축률로 압축하여 재생성되는 워터 마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삽입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삽입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영상 데이터 중 공통으로 추출된 영역인 워터 마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된 삽입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합성한 제3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을 필터링하여 제4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영역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마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워터 마크는 데이터 키 및 복구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와 상기 삽입 영역의 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 영역의 개수가 상기 워터 마크의 비트 개수의 1배보다 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상기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마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코드는, 에러 정정 코드(ECC)를 포함하며, 순환 반복 체크(CRC) 및 리드-솔로몬 코드(R-S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워터 마킹 방법.
  7. 워터 마킹 및 워터 마킹 검출을 수행하는 워터 마킹 시스템의 워터 마킹 방법에 있어서,
    제4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4 영상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와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을 불러오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삽입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4 영상 데이터의 비교 영역을 비교하여 워터 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워터 마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4 영상 데이터의 원본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각 단계는 컴퓨터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되는 워터 마킹 검출 방법.
KR1020180102694A 2017-10-27 2018-08-30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KR10195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1805 WO2019083191A1 (ko) 2017-10-27 2018-10-08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0 2017-10-27
KR20170140990 2017-10-27
KR1020180037383 2018-03-30
KR20180037383 2018-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479B1 true KR101959479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694A KR101959479B1 (ko) 2017-10-27 2018-08-30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479B1 (ko)
WO (1) WO20190831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29A (ja) * 2001-10-30 2003-05-09 Sony Corp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96618B1 (ko) * 2002-06-27 2009-05-08 주식회사 케이티 워터마크 삽입/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2609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워터마크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영상 촬영 장치
KR20170101428A (ko) * 2016-02-29 2017-09-06 한국과학기술원 Dibr 3차원 영상을 위한 템플릿 기반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349A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케이티 워터마크 삽입/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2555B1 (ko) * 2009-02-20 2015-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터마크 삽입 기능이 포함된 영상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8394B1 (ko) * 2010-10-26 2014-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축 변조 및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삽입 및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29A (ja) * 2001-10-30 2003-05-09 Sony Corp 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埋め込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96618B1 (ko) * 2002-06-27 2009-05-08 주식회사 케이티 워터마크 삽입/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2609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워터마크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영상 촬영 장치
KR20170101428A (ko) * 2016-02-29 2017-09-06 한국과학기술원 Dibr 3차원 영상을 위한 템플릿 기반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191A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Effective self-embedding watermarking scheme for image tampered detection and localization with recovery capability
US6771797B2 (en) Watermarks carrying content dependent signal metric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signal alteration
EP33083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atermarking
Zhang et al. Fragile watermarking with error-free restoration capability
JP4767927B2 (ja) デジタル信号の保護を容易にする方法
US6993153B2 (en) Self-orienting watermarks
Wang et al. A majority-voting based watermarking scheme for color image tamper detection and recovery
US71877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picture data and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US20030070075A1 (en) Secure hybrid robust watermarking resistant against tampering and copy-attack
KR101744744B1 (ko) 불법 콘텐츠 유통 방지 및 불법 배포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Elshoura et al. A secure high capacity full-gray-scale-level multi-image information hiding and secret image authentication scheme via Tchebichef moments
Belferdi et al. A Bayer pattern-based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color image tamper detection and restoration
CN106530205B (zh) 一种鲁棒性水印嵌入、检出方法及装置
US92399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atermarking a sequence of images,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a sequence of watermarked images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Wang et al. Review on self-embedding fragile watermarking for image authentication and self-recovery
KR101959479B1 (ko) 워터 마킹 방법 및 검출 방법
Tohidi et al. A new image watermarking scheme for efficient tamper detection, localization and recovery
Pan et al. A lossless watermarking scheme for halftone image authentication
Hisham et al. Numbering with spiral pattern to prove authenticity and integrity in medical images
Tefas et al. Image watermark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Lin et al. Color image authentication with tamper detection and remedy based on BCH and Bayer pattern
Tohidi et al. Efficient self-embedding data hiding for image integrity verification with pixel-wise recovery capability
D’Angelo et al. Watermark-based authentication
Melman et al. Methods for countering attacks on image watermarking schemes: Overview
Chang et al.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digital image authentication using pixel dif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