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46B1 -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 Google Patents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46B1
KR101959246B1 KR1020170028212A KR20170028212A KR101959246B1 KR 101959246 B1 KR101959246 B1 KR 101959246B1 KR 1020170028212 A KR1020170028212 A KR 1020170028212A KR 20170028212 A KR20170028212 A KR 20170028212A KR 101959246 B1 KR101959246 B1 KR 10195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language
degre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1808A (en
Inventor
최동훈
Original Assignee
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훈 filed Critical 최동훈
Priority to KR102017002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46B1/en
Publication of KR2018010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는, 기설정된 언어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고,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DB 관리부, 및 구축된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nd method are disclosed. The language disturbance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 reference wor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nguage training cycle and receiving pronunciation data for a reference word, An analysis unit for comparing the converted text with pre-stored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degree of matching, a DB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the analyzed degrees of agreement to build a training result database, and a language training And the like.

Description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본 발명은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발음을 분석하여 언어 재활 치료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nd method capable of analyzing a pronunciation input from a user to determine whether a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is performed well.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가장 큰 차이는 의사소통의 도구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간혹 영장류와 같은 동물이 장기간에 걸친 훈련의 결과로 제한된 범위의 언어형태를 습득할 수 있지만, 그 폭과 다양성 및 엄밀한 규칙성의 측면에서 사람의 언어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other animals is that they use language as a tool of communication. Occasionally animals such as primates can acquire a limited range of language forms as a result of long-term training, but at a level comparable to human language in terms of their breadth, diversity and rigorous regularity.

인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뇌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구상되고 이를 표현하는 낱말과 말소리가 선택되면 특정 기관에서 말소리가 만들어져 의사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때 뇌 조직이 관장하는 부분이 언어(language)이고, 주변 기관에서 소리를 만드는 부분이 말(speech)에 해당한다.When we look at the process of human communication, we first think about the meaning to be conveyed from the brain, and when the words and phrases expressing it are selected, the speech is made and sent to the specific agency. In this case, the part where the brain tissue is controlled is the language, and the part making the sound in the surrounding organism corresponds to the speech.

언어는 생각과 의사소통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합적인 상징체계로 다섯 가지 척도, 즉 소리의 규칙에 관한 음성학(phonology), 단어의 의미와 조합에 관한 규칙인 의미론(semantics), 단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형태론(morphology), 문장에서 단어가 문법적으로 잘 사용되는지에 관한 통사론(syntax), 및 문맥상 말을 적절하게 시작하고 화제를 잘 이어나가는지에 관한 화용론(pragmatics)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Language is a complex symbolic system for communicating thought and communication in a variety of ways. It consists of five scales: phonology of rules of sound, semantics of rules of word meaning and combination, Morphology about how it is constructed, syntax about whether a word is used syntactically in a sentence, and pragmatics about whether to properly start a topic and keep it in context. have.

한편, 말은 의사소통을 위하여 호흡계, 후두, 구강 등이 소리를 만드는 운동과정을 말한다. 즉, 말을 만드는 과정은 횡격막과 늑간근, 복근, 흉쇄유돌근이 작용하는 호흡과정과 후두에서 소리를 만드는 발성과정, 그리고 혀와 턱 그리고 인두근의 움직임에 따른 조음과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horse is a movement process that makes sounds by the respiratory system, larynx, oral cavity, etc. for communication.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a horse can be divided into a breathing process in which diaphragm and intercostal muscles, abdominal muscles,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ct, a vocalization process in the larynx, and an arti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ngue, chin and pharyngeal muscles.

선진국의 통계에 의하면 전체 인구의 약 5%가 언어치료 대상자라 한다. 언어문제를 가지고 있는 개인은 의사소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사회 및 경제적 활동의 제약으로 정신적인 고통과 좌절을 겪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언어치료 대상자들에게는 정확한 진단을 통한 언어재활이 매우 중요하다.According to statistics from developed countries, about 5% of the population is the subject of speech therapy. Individuals with language problems may experience mental pain and frustration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language rehabilitation through accurate diagnosis is very important for language therapy subjects.

해마다 언어 관련 장애우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언어치료 대상자들에게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유사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 분석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러한 시스템이 부재한 실정이다.As the number of language-related disabilities increases year by year, accurate diagnosis of language therapy subjects requires an analysis system based on extensive data on patients with similar symptoms. However, up to now, such a system is not available.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20008호(2016.02.23.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20008 (published on February 23, 2016)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기적으로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로부터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을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여 트레이닝 진행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언어 장애의 트레이닝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ronunciation of a reference word periodically from a user having a language disorder, And to provide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nd method which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ining of the languag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는, 기설정된 언어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고,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DB 관리부, 및 구축된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e language disturbance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erence wor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nguage training cycle, An interface unit,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input pronunciation data into text, an analyzing unit for comparing the converted text with pre-stored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matching degree, a DB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the analyzed matching degree to build a training result databas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language training using the established training result database.

바람직하게, 변환부는 STT(Speech to Text) 변환 모듈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onversion unit may be a Speech to Text (STT) conversion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 DB 관리부는 기준 단어별로 부적합한 발음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적합 유사 단어를 일치 정도에 따른 단계별로 저장 관리하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B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nonconformity word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unsuitable similar words corresponding to inappropriate pronunciation for each reference wor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matching.

또한 바람직하게, 분석부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analyzing unit can analyze the degree of coincidence using data stored in the nonconformity word database.

또한 바람직하게, 정보 제공부는 트레이닝 기간 동안에 대하여 치료 과정, 치료 효과,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 및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gener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including the treatment process, the treatment effect, prediction information on future training results, and information on future setting and presentation of the treatment direction for the training period.

또한 바람직하게, 정보 제공부는 분석된 일치 정도가 기설정된 달성 레벨보다 높게 나타나면,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give a training weight value when the analyzed degree of agreeme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achievement leve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은, 기설정된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구축된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for training a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reference wor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training period, receiving pronunciation data for a reference word from a user terminal, Comparing the converted text with previously stored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degree of coincidence, building a training result database by accumulating the analyzed degrees of coincidence, and constructing a training result database by using the constructed training result database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raining.

바람직하게, 변환하는 단계는, STT(Speech to Text) 변환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verting step may use a STT (Speech to Text) conversion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 기준 단어별로 부적합한 발음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적합 유사 단어를 일치 정도에 따른 단계별로 저장 관리하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uilding an unsuitable word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unsuitable similar words corresponding to inappropriate pronunciation for each reference word in a step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matching.

또한 바람직하게, 분석하는 단계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analyzing step may analyze the degree of coincidence using data stored in the nonconforming word database.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하는 단계는, 트레이닝 기간 동안에 대하여 치료 과정, 치료 효과,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 및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roviding step may gener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of treatment, the therapeutic effect, the prediction of future training results, and the setting and presentation of future treatment directions for the training period have.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하는 단계는, 분석된 일치 정도가 기설정된 달성 레벨보다 높게 나타나면,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providing step may provide a training weight if the analyzed degree of coincidence is higher than the preset attainment level.

본 발명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및 방법은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할 때마다 이를 텍스트화하여 분석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언어 트레이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server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server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a user having a language disability inputs pronunciation data for a reference word and continuously constructs a vast database by continuously analyzing the analyz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raining information.

또한, 정확한 언어 트레이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결과 레포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향후 언어 트레이닝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언어 트레이닝에 대한 사용자의 의지를 굳건히 하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result report to the user based on accurate language training information, the user can grasp his / her state in detail, establish a language training plan in the fu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system.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에 포함된 DB 관리부의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B management unit included in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ining a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re an element, component, apparatus, or system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a program or an element made up of softwa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component,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 or software (e.g., drivers necessary to run an operating system or hardware, etc.) necessary to run or operate the computer system.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or elements)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ny form of software and hardware,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시스템은, 유무선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erver 10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는 본 발명에서 언어 장애를 트레이닝하기 위한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소정 정보를 주고 받는다.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erver 100 is a server for performing a main function for training a language disord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hanges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through a network.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는 기설정된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중 해당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을 하며, 분석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한다. The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server 100 provides reference words to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according to a preset training period, receives pronunciation data of the reference words, analyzes the data, Keep it in database.

또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의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server 10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language training to the user using the database data.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impaired train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접속하여 언어 트레이닝을 받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패드, 및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장치를 구비한 사용자에 해당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are terminals corresponding to a user who is connected to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s language training.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user having a terminal such as an electronic pad, .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접속하여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가 제공하는 기준 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기준 단어를 발음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발음 데이터를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로부터 언어 트레이닝 관련 정보를 제공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are connected to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to provide the user with a reference word provided by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and allow the user to pronounce the reference word, And transmits the pronunciation data to the language impaired training server 10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can receive the language training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이미 접속한 이력이 있는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사전에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개인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장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may be a terminal device having a history already connected to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and may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in advance, Device.

사용자가 제공한 개인 정보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가입할 때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개인의 언어 장애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의 언어 장애 정보에 관한 정보는 병원과 같은 기관에서 발급받은 언어 장애 진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는 개인별로 제공되는 기준 단어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the individual's language impairment, including information that the client typically provides when subscribing to the server.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s language impair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result of a language impairment diagnosis issued by an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Accordingly, 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erver 100 can use the reference word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as a measure to provide differently.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 패드와 헤드셋을 구비한 노트북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와 접속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notebook having the electronic pad and the headset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ither device can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변환부(120), 분석부(130), DB 관리부(140), 정보 제공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2, 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10, a conversion unit 120, an analysis unit 130, a DB management unit 140, (150), and a control unit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중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설정된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고, 이 기준 단어를 사용자가 직접 발음을 하게 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다.The user interface unit 110 supports an interface with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More 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unit 110 provides a reference wor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ining cycle, and allows the user to pronounce the reference word, and receives pronunciation data based on the user's voice.

변환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변환부(120)에서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동작은 STT(Speech to Text) 변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TT 변환 모듈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version unit 120 converts the pronunciation data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into text. The operation of converting the pronunciation data into text in the conversion unit 120 can be performed by a STT (Speech to Text) conversion module. Since the STT conversion module is a known technology,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분석부(130)는 변환부(120)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부(130)는 기구축된 유사단어 DB를 활용할 수 있는데, 유사단어 DB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analysis unit 130 compares the data converted by the conversion unit 120 with the previously stored similar words and analyzes the degree of matching. At this time, the analysis unit 130 may utilize the pre-established similar word DB, and the similar word D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분석부(130)는 유사단어 DB를 활용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 1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 후, 이 데이터는 다시 유사단어 DB에 저장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0 can obtain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using the similar word DB. Also, after the result as shown in Table 1 is obtained, this data can be stored again in the similar word DB.

기준 단어 : 하늘Reference word: sky 유사단어A similar word 일치 정도Degree of agreement 하눌Hanul 90 %90% 하널Harbor 90 %90% 한얼Han 90 %90% ...... ...... 한울Hanul 80 %80% 한흘One day 80 %80% ...... ...... 하흘Hach 70 %70% 하헐The 70 %70% ...... ......

표 1을 참조하면, "하늘"이라는 기준 단어가 사용자에게 제시되었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하늘"을 발음하면, 사용자가 발음한 "하늘"은 변환부(120)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되고, 분석부(130)에서는 사용자가 발음한 "하늘"이 기준 단어 "하늘"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여 표 1에서의 일치 정도를 퍼센트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reference word "sky" is presented to the user and the user pronounces "sky"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And the analysis unit 130 analyzes how much the user pronounced "sky"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word "sky ", and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in Table 1 can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일치 정도가 90%인 경우, 언어장애가 심하지 않거나 혹은 언어 장애가 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시스템을 통해 많이 개선된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일치 정도가 70% 혹은 그 이하인 경우, 언어장애가 심각한 수준으로 규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지속적으로 언어 트레이닝을 해야 하는 상태로 사용자의 언어 트레이닝 주기를 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degree of coincidence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30 is 90%, the language disorder is not severe, or the language disorder is greatly improved through the speech disorder training system. In addition, if the degree of coincidence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30 is 70% or less, the language disorder can be defined as a serious level. In this case, the language training period of the user can be shortened You can set it.

DB 관리부(140)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DB 관리부(140)는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후술하는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정보 제공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DB 관리부(140)의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B management unit 140 manages at least one database in order to manag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140 accumulates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30 to build a training result databas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raining result databas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have. The operation of the DB management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정보 제공부(150)는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일치 정도와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별로 다르게 설정된 트레이닝 기간 동안에 대하여 치료 과정, 치료 효과,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 및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는, 이전에 제시된 다른 정보들 즉, 치료 과정, 치료 효과, 및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들보다도 더욱 구체적인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항목에 해당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language training using the degree of matching analyzed by the analyzing unit 1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training result databas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language training, such as a training process, a treatment effect, prediction information on future training results, and information on future setting and presentation of a treatment direction, Can be generated. Here, information on the setting and presentation of the treatment direction in the future may be set so as to set and present a more specific treatment direction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other information, that is, the treatment process, the therapeutic effect, The state corresponds to the item.

또한, 정보 제공부(150)는 기생성한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의 효과에 대한 기간 대비 분석 정보, 통계 정보, 비교 정보, 및 예측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에는 사용자가 언어 트레이닝의 효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utiliz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that has been prepared,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the language training on the period, analysis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comparison information, And the user training repor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user training unit 110 can generate a training report for the user. Training reports for users can include various types of graphs so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effects of language training.

또한, 정보 제공부(150)는 일치 정도가 기설정된 달성 레벨보다 높게 나타나면,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0)는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 이 또한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may give a training weight value when the degree of matching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achieving level. I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has given a training weight, it is also preferably included in the user training report.

제어부(160)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변환부(120), 분석부(130), DB 관리부(140), 및정보 제공부(150)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signal input / output between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conversion unit 120, the analysis unit 130, the DB management unit 14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발음데이터가 변환부(120)에 의해 변환되고,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되며, DB 관리부(140)에 의해 데이터베이화되어 정보 제공부(150)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s voice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the control unit 160 converts the pronunciation data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by the conversion unit 120, 130, and is controlled by the DB management unit 140 so as to be provided as information requir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에 포함된 DB 관리부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DB management unit included in a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한 DB 관리부(140)는 회원정보 DB(140a), 기준단어 DB(140b), 유사단어 DB(140c), 및 트레이닝 결과 DB(140d)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DB management unit 140 shown in FIG. 2 may include a member information DB 140a, a reference word DB 140b, a similar word DB 140c, and a training result DB 140d .

회원정보 DB(140a)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가입한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 가입하는 회원들은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일 수 있고, 혹은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보호자일 수도 있다.The member information DB 140a is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members who have joined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00. [ Here, the members joining 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server 100 may be users with language impairments, or guardians of users with language impairments.

회원정보 DB(140a)에 저장되는 회원 정보는 통상 클라이언트들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간단한 개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 언어 장애의 정도 예를 들면, 병원과 같은 기관으로부터 진단받은 언어 장애 진단 결과가 회원정보 DB(140a)에 저장되는 회원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언어 장애의 정도는 사용자가 언어 트레이닝을 거치는 과정에서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information DB 140a includes simple personal information basically requested by the server in order for the clients to access the server and use the server. Further,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 language disorder, the degree of language disorder, for example, a result of diagnosis of a language disorder diagnosed by an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e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ber information DB 140a. In addition, the degree of language impairment may be updated from time to time as the user goes through language train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 장애의 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병원과 같은 기관으로부터 진단받은 언어 장애 진단 결과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언어 장애 진단 결과가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어 장애 진단 결과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라 할지라도, 언어 트레이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후술하는 기준단어 DB(140b)로부터 추출된 기준 단어를 제시하여 이를사용자가 발음하도록 한 후, 이 발음 결과를 이용하여 언어 장애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egree of language impairment may be the result of diagnosing the language impairment diagnosed by an institution such as the hospital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result of the diagnosis of the language impairment. More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language training is necessary even for a user who does not have a language trouble diagnosis result, a reference word extracted from a reference word DB 140b described later is presented and the user is pronounced , And the degree of the language disorder can be grasped by using the pronunciation result.

기준단어 DB(140b)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서 사용자의 언어 트레이닝에 사용하기 위하여 기설정한 기준 단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기준 단어는, 사용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따라 제공되는 단어들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단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반드시 단어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언어 트레이닝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단어의 수준에서 벗어나 문장으로 기준 단어가 제공될 수도 있다.The reference word DB 140b is a database for storing the reference words previously set for use in language training of the user in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00 in a databas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words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language disorder of the user. Although the term "reference word" is us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ords. For example, the higher the level of language training,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reference word will be provided as a sentence outside the level of the word.

또한, 기준단어 DB(140b)는 언어 장애 정도가 심각한 수준인 사용자들을 위한 비교적 쉬운 발음의 단어군, 언어 장애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수준인 사용자들을 위한 어려운 발음의 단어군, 및 언어 장애 정도가 중간 수준인 사용자들을 위한 중간 발음의 단어군으로 구분하여 기준 단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word DB 140b is a group of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words for users whose degree of language impairment is severe, a group of difficult pronunciation words for users whose degree of language impairment is not severe, Level word group for users who are in the middle level.

유사단어 DB(140c)는 기준 단어를 기준으로 기준 단어의 정확한 발음 이외에 다르게 발음된 즉, 부적합한 발음을 텍스트화한 유사 단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The similar word DB 140c is a database that stores similar word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reference word based on the reference word, that is, different words that are improperly pronounced.

유사 단어는, 기준 단어 하나에 대하여 복수 개가 존재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따라 하나의 기준 단어에 대하여도 상이한 발음을 보이기 때문이다.There are a plurality of similar words for one reference wor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ifferent pronunciations are displayed for one reference wor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user's language disorder.

유사단어 DB(140c)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표 2에 예시하였다. 또한, 유사단어 DB(140c)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을 때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data stored in the similar word DB 140c is shown in Table 2. Also, the similar word DB 140c can be updated every time when the pronunciation data by the user's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기준단어 : 하늘










Reference word: sky










유사 단어A similar word 일치 정도Degree of agreement
하눌Hanul 90 %90% 하널Harbor 90 %90% 한얼Han 90 %90% 한흘One day 90 %90% ...... ...... 한울Hanul 80 %80% 한흘One day 80 %80% ...... ...... 하흘Hach 70 %70% 하헐The 70 %70% ...... ...... 기준 단어 : 바다




Standard word: sea




받하Receive 90 %90%
받아receive 90 %90% ...... ...... 바하Baja 70 %70% 바아Bar 60 %60% ...... ......

트레이닝 결과 DB(140d)는 사용자별로 언어 장애 트레이닝의 결과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기설정된 언어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하고,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서 이 입력된 발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결과가 트레이닝 결과 DB(140d)에 저장된다.The training result DB 140d is a database that stores the results of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for each user. More specifically, the user inputs a pronunciation of a reference word provided from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nguage training cycle, And the language impairment training result to be acquired using the pronunciation data is stored in the training result DB 140d.

트레이닝 결과 DB(140d)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표 3에 예시하였다.The data stored in the training result DB 140d is shown in Table 3.

사용자 A



User A



기준 단어Reference word 입력값Input value 일치 정도Degree of agreement
1회차1st round 하늘sky 하헐The 70 %70% 2회차Second round 하늘sky 한울Hanul 80 %80% 3회차 Three times 하늘sky 하눌Hanul 90 %90% 4회차Four times 하늘sky 하늘sky 100 %100% 사용자 B

User B

1회차1st round 하늘sky 하헐The 70 %70%
2회차Second round 하늘sky 한흘One day 90 %90% ...... ...... ...... ......

표 3을 살펴보면, 사용자 A는 총 4회차의 언어 트레이닝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기준 단어 "하늘"에 대하여 70%의 일치 정도를 보이는 수준에서 100%의 일치 정도를 보이는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A에 대하여 언어 트레이닝이 완료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A는 기준 단어 "하늘"에 대하여는 완벽한 발음을 갖게 되었으나, 다른 단어에 대하여는 향상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A가 다른 기준 단어에 대하여도 완벽한 발음을 갖게 될 때까지 언어 트레이닝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3, the user A has undergone a total of four consecutive language training step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A has improved to a level of 100% matching at a level of 70% matching with the reference word "sky" . However, language training is not completed for user A. That is, the user A has perfect pronunciation for the reference word "sky ", but may not have improved for other words.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language training be continued until user A has perfect pronunciation for other reference words.

본 실시예에서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에서 회원정보 DB(140a), 기준단어 DB(140b), 유사단어 DB(140c), 및 트레이닝 결과 DB(140d)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의 양 및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는 얼마든지 더 세분화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plained that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00 constructs the member information DB 140a, the reference word DB 140b, the similar word DB 140c, and the training result DB 140d, But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amount and type of information, the database can be further subdivided or consolid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여러 유형의 발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토대로 언어 트레이닝 진행에 따른 분석 결과를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peech disturbanc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pronunciation data acquired from a user having a plurality of language impairments are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analysis result By again managing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ccur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ining a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training a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특정 사용자의 언어 트레이닝 주기가 되면, DB 관리부(140)는 기준단어 DB(140b)로부터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기준 단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기준 단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다(S301).The DB management unit 140 extracts a reference word to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reference word DB 140b and outputs the extracted reference word to the corresponding user via the user interface unit 110. [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S30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시된 기준 단어를 확인한 후, 기준 단어를 자신의 음성으로 직접 발음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100)로 전송한다(S303).After confirming the presented reference wor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directly pronounces the reference word through his or her own voice and transmits the pronunciation to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303).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발음데이터가 입력되면(S30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이 입력된 발음데이터를 변환부(120)로 제공한다(S307).When the pronunciation data of the user's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user interface unit 110 in operation S305, the user interface unit 110 provides the input pronunciation data to the conversion unit 120 in operation S307 ).

변환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제공받은 발음데이터를 STT 모듈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하고(S309), 발음데이터에 대한 텍스트를 분석부(130)로 제공한다(S311).The conversion unit 120 converts the pronunciation data provid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10 into text by the STT module in step S309 and provides text for the pronunciation data to the analysis unit 130 in step S311.

분석부(130)는 발음데이터에 대한 텍스트를 DB 관리부(140)와의 연동에 의해 유사단어 DB(140c)에 기저장된 유사단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한다(S313).The analysis unit 130 analyzes the similarity of the pronunciation data using the similar word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similar word DB 140c in association with the DB management unit 140 (S313).

분석부(130)는 기준 단어와 유사단어 DB(140c)의 유사 단어를 비교 분석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를 DB 관리부(140)로 제공하고(S315), DB 관리부(140)는 분석부(130)의 분석 결과를 유사단어 DB(140c)에 반영하여 유사단어 DB(140c)를 업데이트한다(S317).The analysis unit 130 provides the analysis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 words of the reference word and the similar word DB 140c to the DB management unit 140 at step S315 and the DB management unit 140 The analysis result is reflected in the similar word DB 140c to update the similar word DB 140c (S317).

이후, DB 관리부(140)는 유사단어 DB(140c)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정보 제공부(150)로 제공하고(S319), 정보 제공부(150)는 유사단어 DB(140c)의 최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를 생성한다(S321).Thereafter, the DB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updated information of the similar word DB 140c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S319),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uses the latest information of the similar word DB 140c And generates a training report for the user (S321).

정보 제공부(15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다(S323).The user training report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S323).

이러한 절차에 의해, 사용자는 언어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자신이 입력한 발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수 있으며, 언어 트레이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도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용 트레이닝 레포트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앞으로의 언어 트레이닝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user can know the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pronunciation input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language training cycle, and can also know whether or not the language training is being performed effectively. Moreover, user training reports can help the user actively plan for future language training.

100 :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변환부 130 : 분석부
140 : DB 관리부 150 : 정보 제공부
160 : 제어부
100: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110: user interface section
120: conversion unit 130:
140: DB management unit 150:
160:

Claims (12)

기설정된 언어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DB 관리부; 및
상기 구축된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트레이닝 기간 동안에 대하여 치료 과정, 치료 효과,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 및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 reference wor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nguage training cycle and receiving pronunciation data for the reference wor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input pronunciation data into text;
An analyzer for comparing the converted text with pre-stored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degree of matching;
A DB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the analyzed degrees of agreement to construct a training result database; And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language training using the established training result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including a treatment process, a treatment effect, prediction information on future training results, and information on setting and presentation of a treatment direction for a training period during the training period Language disability training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STT(Speech to Text) 변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unit is a Speech to Text (STT) convers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기준 단어별로 부적합한 발음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적합 유사 단어를 상기 일치 정도에 따른 단계별로 저장 관리하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B management unit includes an unsuitable word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unsuitable similar words corresponding to inappropriate pronunciation for each of the reference words in a step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degre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alyzing unit analyzes the degree of matching using data stored in the nonconforming word data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분석된 일치 정도가 기설정된 달성 레벨보다 높게 나타나면,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gives a training weight value when the analyzed degree of coinciden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achievement level.
기설정된 트레이닝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기준 단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발음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발음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유사단어와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일치 정도를 누적하여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트레이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트레이닝 기간 동안에 대하여 치료 과정, 치료 효과, 향후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예측 정보, 및 향후 치료 방향의 설정과 제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언어 트레이닝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를 이용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
Providing a reference word to a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raining period;
Receiving pronunciation data for the reference word from the user terminal;
Converting the input pronunciation data into text;
Comparing the converted text with pre-stored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degree of matching;
Accumulating the analyzed degrees of agreement to construct a training result database; And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language training using the established training results database,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may include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nguage training,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reatment process, a treatment effect, prediction information on future training results, Wherein the language obstacle training server generates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using the language disorder training ser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STT(Speech to Text) 변환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를 이용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verting step uses an STT (Speech to Text) conversion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단어별로 부적합한 발음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적합 유사 단어를 상기 일치 정도에 따른 단계별로 저장 관리하는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를 이용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constructing an unsuitable word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unsuitable similar words corresponding to inappropriate pronunciation for each of the reference words in sta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ching. W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부적합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일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를 이용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nalyzing step analyzes the degree of matching using data stored in the nonconforming word databas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일치 정도가 기설정된 달성 레벨보다 높게 나타나면, 트레이닝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 트레이닝 서버를 이용한 언어 장애 트레이닝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viding step provides the training weight value when the analyzed degree of agreeme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achievement level.
KR1020170028212A 2017-03-06 2017-03-06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KR1019592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12A KR101959246B1 (en) 2017-03-06 2017-03-06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12A KR101959246B1 (en) 2017-03-06 2017-03-06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08A KR20180101808A (en) 2018-09-14
KR101959246B1 true KR101959246B1 (en) 2019-07-04

Family

ID=6359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12A KR101959246B1 (en) 2017-03-06 2017-03-06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0777A (en) * 2021-05-28 2021-09-28 华东师范大学 End-to-end sound barrier voic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comparison lear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44B1 (en) 2014-09-04 2015-1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imilarity of Natural Language
JP2017504444A (en) 2013-10-31 2017-02-09 パウ−サン ハルタ Computing technolog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nguage related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09A (en)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디오텍 Method and apparatus for studying simillar pronounciation
KR101647193B1 (en) 2014-08-12 2016-08-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ntence based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KR101703253B1 (en) * 2015-07-15 2017-02-06 대한민국 The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an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4444A (en) 2013-10-31 2017-02-09 パウ−サン ハルタ Computing technolog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nguage related disorders
KR101579544B1 (en) 2014-09-04 2015-1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Similarity of Natural Langu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08A (en)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75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and recommending optimal treatment plans in adaptive telemedical or other contexts
US11923057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20220415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optimize patient compliance
US113376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ign patients to cohorts and dynamically controlling a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the assignment during an adaptive telemedical session
US20230078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optimize a peak performance
US20210350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20210134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lemedicine-enabled hardware to optimize rehabilitative routines capable of enabling remote rehabilitative compliance
US20220331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Anonymize Competitive Performance Rankings in a Rehabilitation Setting
KR1019268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picture psychological inspection service for psychological screening
CN102149319B (en) Alzheimer's cognitive enabler
US11659350B1 (en) Metaverse dating
US20160189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vision and creation of speech stimuli for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CN110598611B (en) Nursing system, patient nursing method based on nursing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933291A (en) Medical information recommendation device, method, system,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evitz et al. Obtaining objective clinical measures during telehealth evaluations of dysarthria
Robles-Bykbaev et al. An ontology-based expert system to generate therapy pla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mmunication disorders
KR20210017616A (en) Diagnosis device for Parkinson's disease
KR101959246B1 (en) Server and method for training speech disorder
Dhakal et al. IVACS: I ntelligent v oice A ssistant for C oronavirus Disease (COVID-19) S elf-Assessment
CN113687744A (en)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emotion adjustment
US201201513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directed stress assistance
KR20220089913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development disorder using deep learning module
KR20200056863A (en) Home care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people with dementia based on lifelog
JP201917065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espedes-Simangas et al. Mobile application to improve the therapy process in children with delayed speech on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