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85B1 - Fluid filt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luid filtr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85B1
KR101958285B1 KR1020170083467A KR20170083467A KR101958285B1 KR 101958285 B1 KR101958285 B1 KR 101958285B1 KR 1020170083467 A KR1020170083467 A KR 1020170083467A KR 20170083467 A KR20170083467 A KR 20170083467A KR 101958285 B1 KR101958285 B1 KR 10195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duit
fluid flow
perforated plate
fl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3032A (en
Inventor
양준모
원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지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지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지앤씨
Priority to KR102017008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8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유체 내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는 유체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유체여과장치는, 하부에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부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내부에 유체유동공간을 포함하며, 유체유동공간의 단면적이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는 용기부, 유체유동공간의 하부에 배치된 제1타공판, 유체유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타공판보다 면적이 큰 제2타공판, 제1타공판과 제2타공판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공간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 입자상의 필터부재, 유입구를 통해 유체유동공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필터부재를 제1타공판으로부터 제2타공판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메인펌프, 및 유입구 전단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유체에 주입하는 기포주입부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fluid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filtering and treating a foreign substance in a fluid. The fluid filtration device includes an inlet for inflowing a flui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 flui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luid flow space therein,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 space increases upwardly from the inlet port to the outlet port, A first perforated plat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 second perforated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n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 second perforated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A main pump that injects fluid upwardly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inlet to form a fluid flow that accelerates the filter member from the first pier to the second pier, And a bubble injecting portion for injecting bubbles into the fluid.

Description

유체여과장치{Fluid filtration apparatus}Fluid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내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는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filt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filtering and treating foreign matter in a fluid.

여과장치는 대개 공극이 있는 여과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가 여과재를 통과하면 공극보다 큰 이물질들이 여과재에 퇴적되며 유체가 정화된다. 보다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서는 여과재의 종류를 바꾸어 공극의 크기를 줄여야 한다.The filtration apparatus is formed by a structure that filters out foreign matter by using a filter medium having a gap. When a fluid containing a foreign substance passes through the filter medium, foreign substances larger than the air gap are deposited on the filter medium and the fluid is purified. In order to filter out fine particles, the size of the pores must be reduced by changing the type of filter medium.

이러한 여과재는 대부분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면 구조 등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고정된다. 고정된 여과재를 유체가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유체 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유동경로의 서로 다른 지점에 하나 이상의 여과재를 배치하여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Such a filter medium is mostly composed of a surface structure or the like which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is fixed on the flow path of the fluid. The foreign matter in the fluid can be filtered out by allowing the fluid to pass through the fixed filter medium. One or more filter media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flow path to improve throughput.

그러나, 이와 같은 처리구조는 유체 유동과는 상관 없이 여과재가 유체의 유동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신속한 처리나 원활한 유체 순환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액체인 유체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커 여과재의 면 구조와 불필요하게 접촉하며 유동저항이 증가되므로 처리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구조는 여과재에 불순물이 퇴적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such a treatment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material greatly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irrespective of the fluid flow, so that rapid treatment or smooth fluid circulation may be difficult. Particularly, a liquid fluid is relatively dense and may be more difficult to process because it undesirably contact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filter medium and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In addition, this treatment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wash even when impurities are deposited on the filter material. Therefore, it needs to be improved.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5450호, (2004.04.29), 도면 1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35450, (Apr. 24, 2004), Drawing 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 내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는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유체 순환이 가능하고 세척도 용이한 구조의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id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filtering and treating a foreign substance in a fluid, and also to provide a fluid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more efficient fluid circulation and easy cleaning And a fluid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유체여과장치는, 하부에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부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체유동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는 용기부;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하부에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타공판;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상부에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타공판보다 면적이 큰 제2타공판;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 상기 제1타공판과 상기 제2타공판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 입자상의 필터부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체유동공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제1타공판으로부터 상기 제2타공판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메인펌프; 및 상기 유입구 전단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유체에 주입하는 기포주입부를 포함한다.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for flowing a flui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 fluid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luid 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contain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and enlarging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 first perforated plat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at a low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 second perforated plat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n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 particulate filter member filled in the fluid flow space with a volume smaller than that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ed plates; A main pump for injecting fluid upwardly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inlet port to form a fluid flow that accelerates the filter member from the first pier plate to the second pier plate; And a bubble injecting unit for injecting bubbles into the fluid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상기 유체유동공간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uid flow space may have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above to below.

상기 제1타공판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굴절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rforated plate may be formed as a bending plate protruding upward from below.

상기 제1타공판은 상방으로 볼록한 구면, 및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rforated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wardly convex spher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상기 제2타공판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 및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erforated plate may have at least one of a shap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 shape including a slope, and a shape including a plane.

상기 제2타공판은 상기 유체유동공간과 상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된 역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erforated plate may have an inverted conical shape inverted from the fluid flow space.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타공판의 모선과 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bus bar of the second perforated plate.

상기 제1타공판은 중앙부의 제1면과, 외주부에 상기 제1면에 대해 외측으로 하향 굴절되어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확산시키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erforated plate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t a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at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being downwardly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to diffuse the flui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luid flow space increases.

상기 필터부재는 구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ay be formed of a spherical fiber material.

상기 필터부재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보다 입경이 작거나 큰 제2부재가 혼합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ay be a mixture of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상기 제1타공판 및 상기 제2타공판에 형성된 통공의 직경이 상기 필터부재의 입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ameters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punched plate and the second punched plat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lter members.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일 측에는 상기 메인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펌프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는 상기 기포주입부가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관로, 및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제2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condu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let,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pump and the bubble injector connected between the main pump and the inlet to supply the fluid to the vessel,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to the outlet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container.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제1관로의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공급탱크, 및 상기 제2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체공급탱크와 연결된 제3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luid supply tan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duit and a third conduit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tank.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제2관로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정화탱크, 및 상기 유체유동공간 세척 시 상기 정화탱크의 유체를 상기 용기부 내 상기 유체유동공간으로 공급하는 제4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purifying tan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duit for receiv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and a purge tank for purifying the fluid in the purge tank, And a fourth conduit for supplying the second conduit to the second conduit.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제4관로는 상기 제2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정화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4관로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로부터 상기 제4관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향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보조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conduit is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and is connected to the purifying tank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conduit to discharge fluid from the purifying tank to the outlet through the fourth conduit,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ump that forms a flow.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부로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제5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fth condu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injecting purge gas into the fluid flow space.

상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제5관로는 일단부가 상기 제1타공판과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5관로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5관로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제1타공판으로부터 상기 제2타공판을 향하는 상기 퍼지가스의 흐름을 형성하는 블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fifth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nd the inlet port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fth channel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erforated plate through the one end of the fifth channel, And a blower for forming a flow of the purge gas towar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유동에 따라 적절히 유동저항을 조절하며 원활하게 유체를 여과시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유체 유동에 따라서 필터부재를 압축하여 공극을 조절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이를 이용한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유체가 처리되는 공간의 효율적인 구조설계를 통해 에너지 낭비를 줄이면서도 공극의 크기를 적절히 유지하여 여과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도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장치를 보다 청결히 유지하고 수명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esistanc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luid flow, and the fluid can be smoothly filtered. In particular, since the filter member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fluid flow to adjust or maintain the pores,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processing using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efficient structure design of the space in which the fluid is treated can reduce the energy waste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pores appropriatel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filtration ability. In addition, cleaning can also be carried out very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keeping the device cleaner and extending its lif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여과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용기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용기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제1타공판의 예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제2타공판의 예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용기부 내 필터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유체여과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perforated plate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perforated plate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lter member in the container portion of Fig. 3;
FIGS. 7 to 10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ntir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유체'는 빗물(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우수는 물 이외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여과장치는 이러한 유체를 여과하는 장치로 우수를 여과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fluid " may include rainwater (excellent). The storm may be that which includes foreign matter other than water.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filtration of stormwater by an apparatus for filtering such fluid.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여과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uid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여과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용기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용기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여과장치(1)는, 유체유동공간(103)이 형성된 용기부(100), 용기부(100)의 유체유동공간(103)에 배치된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 유체유동공간(103) 내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103a)의 내부에 수용공간(103a)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 입자상의 필터부재(200), 유체유동공간(103)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필터부재(200)를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메인펌프(11), 및 기포를 생성하여 유체유동공간(103)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주입하는 기포주입부(300)를 포함한다.1 to 3, a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100 having a fluid flow space 103, a fluid flow space 103 of the container unit 100,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disposed in the fluid flow space 103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3a form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in the fluid flow space 103 A filter member 200 on a particle filled in a volume smaller than the space 103a and a fluid injected upward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103 to filter the filter member 200 from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o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nd a bubble injector 300 for generating bubbles and injecting the bubbles into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bubble injection unit 300 includes a bubble generator 300,

본 발명의 유체여과장치(1)는 입자상의 필터부재(200)가 유체유동공간(103) 내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충전된 구조로서 필터부재(200)는 유체 유동에 따라 가속된다. 즉, 필터부재(200)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유체 유동에 대응하여 이동하며 배치가 변경된다. 특히, 필터부재(200)는 입자 형태로 이루어져 유동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유체에 의해 가속되어 제2타공판(120) 측에서 압축된다. 이로 인해 입자상의 필터부재(200)에 형성된 공극 등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particulate filter members 200 are fluidly fill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in the fluid flow space 103, 200 are accelerated according to fluid flow. That is, the filter member 200 is not fixed, but moves in response to fluid flow and its arrangement is changed. In particular, the filter member 200 is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is easily formed and is compressed by the fluid on the second pier 120 side. Accordingly, the foreign substances can be more effectively treat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voids or the like formed in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200.

특히, 유체유동공간(103)은 단면적(횡단면의 면적일 수 있다)이 용기부(100)의 유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필터부재(200)의 압축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유체여과장치(1)는 펌프 등으로 유체의 유속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유체유동공간(103)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필터부재(200)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가 절약되어 보다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fluid flow space 10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which may be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increases upwardly between the inlet 101 and the outlet 102 of the vessel 100. With this structure, compression of the filter member 200 can be effectively induced. That is, the fluid filtration device 1 can efficiently compress the filter member 200 by u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flow space 103 without greatl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by using a pump or the like. Thus, the energy for driving the apparatus is saved,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operation.

또한, 단면적이 변화하는 유체유동공간(103)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필터부재(2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저항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를 보다 원활히 순환시켜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타공판(110)으로 유체를 분배 및 확산하여 유체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필터부재(200)에 가해지는 압력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2타공판(120)으로는 필터부재(200) 후단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표면적을 증가시켜 유체 순환이 원활하게 하고 필터부재(200)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lso, by us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fluid flow space 103 whose sectional area chang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200 can be suitably reduced, and the fluid can be circulated and processed more smooth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diffuse the fluid to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o smooth fluid flow, and to mak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member 200 uniform.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increase the discharge surface area of the fluid discharged to the rear end of the filter member 200 to smooth the fluid circulation and to hold the filter member 200 and to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stably.

또한, 유체유동공간(103)으로 유입되는 유체에는 기포주입부(300)로 기포를 주입하여 계면에 의한 흡착 등의 상승효과로 미세한 이물질도 용이하게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부재(200)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기부(100)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관로 구조로 퍼지가스 등을 유체유동공간(103)에 제공하고 필터부재(200)의 움직임을 유발하여 필터부재(200)를 매우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luid flow space 103 may be filled with bubbles into the bubble injector 300, so that minut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collected and processed by a synergistic effect such as adsorption by the interface. When the filter member 200 is to be cleaned by attaching a foreign substance to the filter member 200, a purge gas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fluid flow space 103 with a channel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unit 100, So that the filter member 200 can be cleaned very cleanly.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유체여과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여과장치(1)는 하부에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101), 상부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102), 및 내부에 유입구(101) 및 배출구(102)와 연통되는 유체유동공간(103)을 포함하며, 유체유동공간(103)의 단면적이 유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는 용기부(100), 유체유동공간(103)의 하부에 유입구(101)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타공판(110), 유체유동공간(103)의 상부에 배출구(10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타공판(110)보다 면적이 큰 제2타공판(120), 유체유동공간(103) 내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103a)의 내부에 수용공간(103a)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 입자상의 필터부재(200), 유입구(101)를 통해 유체유동공간(103)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필터부재(200)를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메인펌프(11), 및 유입구(101) 전단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유체에 주입하는 기포주입부(300)를 포함한다.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includes an inlet 101 for introducing a fluid into a lower portion thereof, a discharge port 102 for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luid flow space 103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101 and the discharge port 102, A container section 100 in which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 space 103 increases upwardly between the inlet port 101 and the outlet port 102 and the inlet port 101 and the inlet port 101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uid flow space 103, A second perforated plate 120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02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 particulate filter member 200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03a form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in a volume smaller than the receiving space 103a, The filter member 200 is moved from the first pier 110 to the second pier 120 by injecting fluid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103 And a bubble injecting unit 300 for injecting the fluid into the fluid by generating bubbles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101. [

이하,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도 보다 명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fluid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내부에 유체유동공간(103)을 포함한다. 유체유동공간(103)과 연통되는 유입구(101)는 하부에 배치되고, 배출구(102)는 상부에 배치된다. 즉, 용기부(100)는 하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하여 상부로 통과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유체유동공간(10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횡단면의 면적일 수 있다)이 유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된다. 특히, 유체유동공간(103)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체유동공간(103)은 콘(cone)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뿔의 꼭지점이 되는 부분(하단부)을 반드시 뾰족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관로 등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예를 들어, 평면 등의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container portion 100 includes a fluid flow space 103 therein. An inlet 101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flow space 103 is disposed at the bottom and an outlet 102 is disposed at the top. That is, the container unit 100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luid flow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n particular, the fluid flow space 103 increases in cross-sectional area (which may be the area of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inlet 101 and the outlet 102, as shown in FIGS. In particular, the fluid flow space 103 may have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above to below. That is, the fluid flow space 10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changes continuously. At this time, the vertex (lower end) of the con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ointed, bu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flat surface for smooth connection of the pipeline and the like.

용기부(100)는 유체유동공간(10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의 형상 자체도 원뿔 또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부(100)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져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용기부(100) 둘레에 원통형상의 하우징(130) 등의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용기부(100)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The container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uid flow space 103. That is, the shap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tself may also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e or cone. In this case, since the container section 100 has a smaller sectional area as it goes downward, stability may be lowered. Therefore, the support structure such as the cylindrical housing 130 may be applied around the container section 100 to improve stability.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unit 100 can be enhanced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support structures as needed.

제1타공판(110)은 유체유동공간(103)의 하부에 유입구(101)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타공판(110)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타공판(110)은 유체유동공간(103) 하부에서 필터부재(20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제1타공판(110)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굴절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볼록한 구면, 및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101 at the bottom of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allow a fluid to pass therethrough.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may also support the filter member 200 under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may be formed as an incised plate protruding upward from below,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wardly convex spher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제2타공판(120)은 유체유동공간(103)의 상부에 배출구(10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타공판(110)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즉, 유체유동공간(103)의 단면적이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므로 그에 대응하여 제2타공판(120)의 면적을 제1타공판(1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2타공판(120) 역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2타공판(120)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 및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02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103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hat is,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 space 103 increases and increases, the area of the second pier plate 12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ier 110 in correspondence thereto.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allow fluid to pass therethrough.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have at least one of a shap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 shape including a slope, and a shape including a plane.

제1타공판(110) 및 제2타공판(120)은 유체유동공간(103)을 구획하여 유체유동공간(103) 내에 수용공간(103a)을 형성한다. 즉, 유체유동공간(103)은 내부에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10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103a) 내부에 수용공간(103a)보다 작은 부피로 입자상의 필터부재(200)가 충전된다. 따라서 필터부재(200)는 수용공간(103a) 내부에서 유동하며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입자상의 필터부재(200)가 수용공간(103a)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타공판(110) 및 제2타공판(120)에 형성된 통공(도 4 및 도 5의 110a, 120a 참조)의 직경은 필터부재(200)의 입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partition the fluid flow space 103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103 a in the fluid flow space 103. That is, the fluid flow space 103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103a formed between the first pier plate 110 and the second pier plate 120 therein. The particulate filter element 200 is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03a with a smaller volume than the receiving space 103a. Therefore, the filter member 200 flow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3a and the arrangement thereof can be changed. The diameters of the through holes (see 110a and 120a in FIGS. 4 and 5) formed in the first punched plate 110 and the second punched plate 120 are set so that the particle filter member 200 does not flow out of the receiving space 103a May be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filter member (200).

제1타공판(110) 및 제2타공판(120)의 구조와 유체유동공간(103)을 포함하는 용기부(100)의 작동과정에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unit 100 including the fluid flow space 103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필터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필터부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공간(103a) 내에 수용공간(103a)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03a)의 나머지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유체유동공간(103) 내 별도의 유체 흐름이 없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공판(110)에 지지되어 중력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고, 유체유동공간(103)내 유체 흐름이 형성되면 그에 따라 가속되어 유동할 수 있다. 특히 유입구(101)를 통해 유체가 주입되어 유체유동공간(103) 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하는 유체흐름이 형성되면, 필터부재(20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으로 가속된다.The filter member 200 is made of a particulate material as shown in Fig. The filter member 200 is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03a with a smaller volume than the receiving space 103a as shown in Figs. And thus can flow to the remaining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3a. The filter member 200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as shown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fluid flow in the fluid flow space 103,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and flow. Particularly, when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port 101 and flows upward from below in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filter member 200 is moved from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o the second And accelerated by the perforated plate 120.

필터부재(200)는 예를 들어, 구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섬유재의 조직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구형의 입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특히 액체인 유체)에 침수되면 자체 부력은 거의 없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200)는 유체 내에서 부력으로 부유하는 대신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200)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부재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예를 들어, 제1부재(201), 및 제1부재(201)보다 입경이 작거나 큰 제2부재(202)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부재(201)보다 입경이 작은 제2부재(202)가 예시되었다. 이와 같이 서로 입경이 다른 부재가 혼합된 경우 필터부재(200) 사이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메워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filter member 2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pherical fiber material. The filter member 200 may have a gap formed between the tissues of the fibrous material. The filter element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pherical particles and may have little self buoyancy when immersed in a fluid (particularly a fluid). Therefore, the filter member 200 can flow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tead of buoyantly floating in the fluid. As shown in FIG. 2, the filter member 200 may be formed by mixing two or more members having different sizes. The filter member 200 may be a mixture of the first member 201 and the second member 202 whose particle diameter is smaller o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201, 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202 having a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201 is illustrated on the drawing. When the member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re mixed,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members 200 can be more effectively filled and the throughput can be increased.

용기부(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구(141)가 형성된다. 점검구(141)를 개방하면 외부에서 용기부(100)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구(141)를 통해 용기부(100) 내부를 수리하거나 유지보수 할 수 있고 필터부재(200)를 충전하거나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부(100)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투시창(142)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처리과정 등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점검구(141), 투시창(142) 등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용기부(100)의 구현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ainer unit 100 has one or more check ports 141 formed therein. When the inspection port 141 is opene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nit 100 can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unit 100 can be repaired or maintained via the inspection port 141, and the filter member 200 can be charged or exchanged. In addition, one or more transparent windows 142 are formed in the container unit 100 to monitor the internal processes. The positions of the inspection port 141, the viewing window 142,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container unit 100.

이러한 용기부(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로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거나, 퍼지가스 등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펌프(11)를 비롯한 펌프구조, 기포주입부(300) 등도 이러한 관로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용기부(100)에 연결된 관로 및 그와 관련한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container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 pipe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supply or discharge the fluid, or to supply purge ga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ump structure including the main pump 11,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pipe. Hereinafter, the pip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portion 100 and the structure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유입구(101)에는 제1관로(10)가 연결된다. 제1관로(10)는 일단부가 유입구(101)와 연결되며, 일 측에는 메인펌프(11)가 연결되고, 메인펌프(11)와 유입구(101)의 사이에는 기포주입부(300)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관로(10)를 통해 용기부(100)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메인펌프(11)는 제1관로(10)에 연결되어 유입구(101)를 통해 유체유동공간(103)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고, 필터부재(200)를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conduit 10 is connected to an inlet 101. One end of the first conduit 10 is connected to the inlet 101 and the main pump 11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pump 11 and the inlet 101 . The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portion 100 through the first conduit 10. That is, the main pump 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10 to inject fluid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103 through the inlet port 101, and the filter member 200 to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o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제1관로(10)의 타단부에는 유체공급탱크(400)가 배치된다. 유체공급탱크(400)는 처리대상 유체를 외부로부터 유입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유체를 제1관로(10)를 통해 용기부(100)로 공급한다. 유체공급탱크(400)는 압력탱크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공급탱크(400)에 저장되는 처리대상 유체는 예를 들어, 빗물 등일 수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를 유체공급탱크(400)에 저장하였다가 처리할 수 있다.A fluid supply tank 40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duit 10. The fluid supply tank 400 inflows and stores the fluid to be treated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stored fluid to the container section 100 through the first conduit 10. The fluid supply tank 4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essure tank or a part of the fluid supply tank 400 may be opened. The fluid to be treated stored in the fluid supply tank 400 may be, for example, rainwater or the like, but need not be so limited. The fluid containing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stored in the fluid supply tank 400 and then processed.

메인펌프(11)는 유체공급탱크(400)의 내부로 연장된 제1관로(10)에 연결된 유체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펌프(1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펌프가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쌍으로 형성된 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유체공급탱크(400)에는 메인펌프(11)와 연결된 레벨조정기(401)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벨조정기(401)는 유체공급탱크(400)의 수위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벨조정기(401)는 전자식 센서를 포함하거나 부유체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레벨조정기(401)는 감지된 수위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메인펌프(1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를 용기부(100)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main pump 11 may be formed as a fluid pump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10 exten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fluid supply tank 400. The main pump 11 may have one or more pumps formed in pairs and at least one of the paired pumps to drive the fluid. A level regulator 401 connected to the main pump 11 may be installed in the fluid supply tank 400. The level regulator 401 may serve to check and adjust the level of the fluid supply tank 400. The level regulator 401 may include an electronic sensor or may sense the water level in a mechanical manner using a float or the like. The level adjuster 401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water level to operate the main pump 11. In this way, fluid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ntainer portion 100.

기포주입부(300)는 제1관로(10)의 메인펌프(11)와 유입구(101) 사이에 연결된다. 기포주입부(300)는 유입구(101) 전단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유입구(101)로 주입되는 유체에 주입한다. 기포주입부(300)는 예를 들어, 제1관로(10) 상에 연결된 이젝터(ejecto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주입부(300)는 유체 유동에 따른 압력 차로 공기 등을 흡입하여 유체 내 확산시키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기포주입부(300)는 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직경을 갖는 미세기포를 다수 생성하여 유체에 주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내 주입된 기포의 계면에 의한 흡착효과 등을 이용하여 보다 미세한 이물질까지 매우 용이하게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내 기포는 필터부재(200)에 부착되어 필터부재(200)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바 유체유동공간(103) 내 필터부재(200)의 움직임(유체유동공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하며 가속되는 움직임)을 강화할 수 있다.The bubble injecting section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pump 11 of the first duct 10 and the inlet 101.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generates bubbles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101 and injects the bubbles into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let 101.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n ej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10.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may be formed to suck air and diffuse it into the fluid by a pressure difference due to the fluid flow.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can generate a large number of minute bubbles having a diameter in the unit of micrometers and inject them into the fluid. Accordingly, by using the adsorption effect by the interface of the injected bubbles in the fluid, it is possible to collect even finer foreign matters very easily. In addition, the bubbles in the fluid may be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200 to move the filter member 200 up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fluid flow space, Flow and accelerated motion).

제1관로(10) 상에는 관로를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밸브(12)가 형성된다. 제1조절밸브(12)는 예를 들어, 메인펌프(11) 측의 주밸브(12a)와 기포주입부(300) 측의 서브밸브(12b, 12c)로 구성될 수 있다. 주밸브(12a)와 서브밸브(12b, 12c)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제1관로(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제1관로(1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제1조절밸브(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위치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배치나 개수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A first control valve (12) is provided on the first conduit (10) to open or close the conduit or regulate the flow rate. The first control valve 12 may be constituted by the main valve 12a on the main pump 11 side and the sub valves 12b and 12c on the bubble injecting portion 300 sid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duit 10 or the first conduit 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using the main valve 12a and the sub valves 12b and 12c in combin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ontrol valve 12 need not be limited in installation posi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rrangement and number as required.

배출구(102)에는 제2관로(20)가 연결된다. 제2관로(20)는 일단부가 배출구(102)와 연결되어 용기부(100)의 유체를 배출한다. 제2관로(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용기부(100) 내에서 필터부재(200)를 통과하여 정화된 유체일 수 있다. 제2관로(20)의 타단부에는 이러한 용기부(100)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정화탱크(500)가 배치된다. 즉, 용기부(100)에서 배출된 정화된 유체를 정화탱크(500)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용기부(100) 내부를 세척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정화탱크(500) 역시 밀폐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개방된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관로(20) 상에는 제2조절밸브(21)를 형성하여 관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it (20)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2). One end of the second conduit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02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duit 20 may be fluid that has been purified through the filter member 200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duit 20, a purifying tank 500 for receiv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100 is disposed. That is, the purified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unit 100 may be stored in the purification tank 500 and then supplied to the use place, and may be used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nit 100, if necessary. The purification tank 500 may also be formed in a closed form or a partially opened form. And a second control valve (21)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it (20) so that the conduit can be opened and closed.

제3관로(30)는 제2관로(20)에서 분기되어 유체공급탱크(400)와 연결된다. 제3관로(30)는 배출구(102)와 연결된 제2관로(20)에서 분기되므로 배출구(102)로 배출된 유체를 유체공급탱크(400)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제3관로(30)에도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3조절밸브(31)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제2조절밸브(21)로 제2관로(20)를 폐쇄하고, 제3조절밸브(31)로 제3관로(30)를 개방하여, 배출구(102)로 배출된 유체를 유체공급탱크(400)로 우회시킬 수 있다. 여과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를 예비 순환시켜 용기부(100) 내 압력을 조절하고 필터부재(200)를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third conduit 30 branches from the second conduit 20 and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tank 400. The third conduit 30 is branched at the second conduit 2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02 so that the fl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2 can be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tank 400 again. A third control valve 31 is provided in the third conduit 3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onduit. If necessary, the second control valve 21 closes the second conduit 20, and the third control valve 31 to open the third conduit 30 to bypass the fl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2 to the fluid supply tank 400. It is possible to preliminarily circulate the fluid in this manner before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and compress the filter member 200 before starting the filtration operation in earnes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제4관로(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유동공간(103) 세척 시 정화탱크(500)의 유체를 용기부(100) 내 유체유동공간(103)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4관로(40)는 제2관로(20)에서 분기되어 정화탱크(500)에 연결되며, 제4관로(40)의 일 측에는 정화탱크(500)로부터 제4관로(40)를 통해 배출구(102)로 향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보조펌프(41)가 배치된다. 따라서 보조펌프(41)를 구동하여 정화탱크(500) 내 정화된 유체를 다시 용기부(100)로 공급하고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4관로(40) 상에도 관로를 개폐 가능한 제4조절밸브(42)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제4관로(40)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보조펌프(41) 역시 정화탱크(500) 내부로 연장된 제4관로(40)에 연결된 유체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conduit 40 functions to supply the fluid in the purification tank 500 to the fluid flow space 103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during the cleaning of the fluid flow space 103 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conduit 40 is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20 and is connected to the purifying tank 500. One side of the fourth conduit 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00 through the fourth conduit 40, An auxiliary pump 41 is disposed which forms a fluid flow to the fluid path 102. [ Accordingly, the auxiliary pump 41 is driven to supply the purified fluid in the purification tank 500 to the container unit 100 again, and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 fourth control valve 42 is also formed on the fourth pipe 40 so that the fourth pipe 40 can be kept closed while not in use. The auxiliary pump 41 may also be formed as a fluid pump connected to the fourth conduit 40 extending into the purge tank 500.

제5관로(50)는 용기부(100)의 일 측에 연결되어 유체유동공간(103) 내부로 퍼지가스를 주입한다. 제5관로(50)는 일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공판(110)과 유입구(101)의 사이에 연결되며, 제5관로(50)의 일 측에는 유입구(101)와 연결된 제5관로(50)의 일단부를 통해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을 향하는 퍼지가스의 흐름을 형성하는 블로워(5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 세척작업은 제5관로(50)를 통해 주입된 퍼지가스(공기일 수 있다)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퍼지가스를 이용하여 유체유동공간(103) 내 입자상 필터부재(200)를 유동시킨 후, 다시 정화탱크(500)에서 공급된 유체로 세척하여 용기부(100) 내에 들어있는 필터부재(200)를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블로워(51)는 외부 공기 등을 유입하여 제5관로(50)로 주입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블로워(51)와 인접한 제5관로(50) 일 측에는 압력계(53)를 설치하여 관내 주입압력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5관로(50) 상에도 관로를 개폐 가능한 제5조절밸브(52)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제5관로(50)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e fifth conduit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to inject purge gas into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fifth conduit 5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inlet port 101 and has a fifth conduit 50 connected to the inlet port 101 at one side of the fifth conduit 50, A blower 51 may be disposed to form a flow of the purge gas from the first pier plate 110 to the second pier plate 120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pier plate 120. That is,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can be more effectively carried out using the purge gas (which may be air) injected through the fifth conduit 50. Particularly,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200 in the fluid flow space 103 is flowed using the purge gas, and then the filter member 200 is washed wit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500, 200) can be washed very effectively. The blower 51 may be configured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fifth conduit 50 and a pressure gauge 53 may be provided on the fifth conduit 50 adjacent to the blower 51 to increase the injection pressure It can be formed so as to be adjusted appropriately. The fifth control valve 52 is also formed on the fifth conduit 50 so that the fifth conduit 50 can be kept closed while the conduit is not in use.

한편, 제1관로(10) 일 측에는 드레인관(60)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관(60)은 유입구(101)와 인접한 위치에서 제1관로(1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드레인관(60)은 용기부(100) 내부에서 세척 작업을 진행한 후 배출되는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드레인관(60)은 찌꺼기를 처리하는 처리부(6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처리부(600)는 슬러지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드레인관(60)은 외부 처리시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드레인관(60) 역시 관로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61)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rain pipe 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duit 10. The drain pipe (60) can be branched from the first conduit (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let (101). The drain pipe 60 is used for discharging debris discharged after cleaning operation in the container unit 100. The drain pipe 60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600 for processing the residue, and the processing unit 600 may be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ludge or the like. If necessary, the drain pipe 6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reatment facility. The drain pipe (60) is also provided with a drain valve (6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nnel so that it can be kept closed while not in use.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타공판과 제2타공판의 구조, 이를 이용한 유체의 분배, 확산과정, 및 용기부 내 필터부재의 유동과정 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ed plates, the distribu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the fluid using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ed plates, and the flow process of the filter member in the contai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제1타공판의 예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유체여과장치의 제2타공판의 예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용기부 내 필터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작동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perforated plate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n incision oblique view of an example of a second perforated plate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lter member in the container portio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1타공판(110)은 도 4의 (a)와 같이 중앙부의 제1면(111)과, 외주부에 제1면(111)에 대해 외측으로 하향 굴절되어 유체유동공간(103)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즉, 상방)으로 유체를 확산시키는 제2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타공판(110)은 외주부에 경사면(즉, 제2면)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유체를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은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유체는 제1타공판(110)의 통공(110a)을 통과하여 유동하는바 각각의 통공(110a)을 하나의 노즐로 생각할 수 있다. 통공(110a)들은 타공판의 면에 대해 수직하게 관통되어 있어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면(111)의 통공(110a)을 이용하여 제1면(111)에 수직한 상방으로 상승하는 유체흐름을 조성할 수 있고, 제2면(112)의 통공(110a)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진 유체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단방향이 아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하며 분배되고 확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pier 110 is bent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urface 111 and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central portion as shown in FIG. 4 (a) 103)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diameter (i.e., upward) of the fluid. That is,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has an inclined surface (i.e., a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so that the fluid can be more effectively distributed using the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may b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10a of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each through hole 110a can be regarded as one nozzle. The through holes 110a penetrate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so as to create a fluid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a fluid flow rising upwar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11 by using the through hole 110a of the first surface 111, and by using the through hole 110a of the second surface 112, Thereby creating an inclined fluid flow extending outwardly. Thus, the fluid can be distributed and diffused forming flows in different directions rather than in unidirectional directions.

이러한 기능은 도 4의 (b)와 같이 제1타공판(110)이 구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면을 따라 통공(110a)의 배열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더욱 다양한 방향으로 유체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형태 외에도 곡면이나 경사면 등을 포함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제1타공판(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1타공판(110)을 형성하여 균일하게 분배된 유체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에 의해 압력을 받아 가속되는 입자상 필터부재(도 1 내지 도 3의 200참조)가 일 측으로 편중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This function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first pier plate 110 includes a spherical surface as shown in FIG. 4 (b). In this case, sinc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s 110a is continuously changed along the spherical surface, fluid flow can b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Further,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hapes, various types of first perforated plates 110 protruding upwardly including curved surfaces, inclined surfaces, and the like can be formed. Thus,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to form a uniformly distributed fluid f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see 200 in Figs. 1 to 3) that is accelerated by the pressure by the fluid is biased to one side.

도 5를 참조하면, 제2타공판(120)은 도 5의 (a)와 같이 유체유동공간(도 1 내지 도 3의 103참조)과 상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된 역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타공판(120)은 단면적이 증가된 유체유동공간(103) 상부에서 다시 상방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며 확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타공판(12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바 내부 공간에 입자상 필터부재(도 1 내지 도 3의 200참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도 1 내지 도 3의 102참조)는 이러한 제2타공판(120)의 모선(도 3의 121참조)과 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통공(120a)을 통해 모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유지하며 보다 용이하게 관로로 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have a shape of an inverted cone in which the fluid flow space (refer to 103 in FIGS. 1 to 3) and the up-down direction are reversed as shown in FIG. 5A.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103 having an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As a result,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nd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see 200 in FIGS. 1 to 3) can be stably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compressed state can be maintained. 3) of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so as to flow out through the through-hole 120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s bar (see FIG. 3)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pipeline more easily.

제2타공판(120) 역시 도 5의 (b)와 같이 구면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2타공판(120)은 구면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입자상 필터부재(도 1 내지 도 3의 200참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타공판(120)은 이러한 형상 외에도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 등으로도 변형될 수 있고, 곡면과 경사면이 서로 조합된 형상 등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제2타공판(120)을 형성하여 필터부재(200)를 지지하고 압축상태를 유지하며 필터부재를 통과한 유체를 배출구(102)로 배출할 수 있다.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also be deformed to include a spherical surface as shown in FIG. 5 (b). Also in this case,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can more stably receive the particle filter member (see 200 in FIGS. 1 to 3) and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by using the space inside the spherical surfac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be deformed into a shape including a plane in addition to this shape, or may be deformed into a shape in which a curved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support the filter member 200 and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fluid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02.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부재(200)는 제1타공판(110)과 제2타공판(120) 사이의 수용공간(103a) 내부에서 유체(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되며 배치가 바뀌게 된다. 우선, 도 6의 (a)와 같이 유입구(101)로 유체가 주입되지 않는 경우, 필터부재(200)는 중력에 의해 제1타공판(110) 위에 유지된다. 그러나, 도 6의 (b)와 같이 유체(A)가 제1관로(10)를 통해 유입구(101)로 주입되면, 유체유동공간(103) 내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A)흐름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필터부재(200)가 가속되며 함께 이동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타공판(110)에 의해 분배되고 확산된 유체(A)흐름에 의해 필터부재(200)도 함께 확산되며 제2타공판(1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lter member 200 is accelerated and displac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3a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s shown by the fluid A . 6 (a), when the fluid is not injected into the inlet 101, the filter member 200 is held on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by gravity. 6 (b), when the fluid A is injected into the inlet 101 through the first conduit 10, the fluid A flows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fluid flow space 103, So that the filter member 200 is accelerated and moved together. At this time, the filter member 200 is also diffused by the flow of the fluid (A) distributed and diffused by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and can be moved to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side.

이에 따라 필터부재(200)는 도 6의 (c)와 같이 제2타공판(120) 측으로 압박되며 서로 밀착되고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필터부재(200)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유체유동공간(103)의 구조에 대응하여, 하단부가 좁고 상단부가 넓은 상하 비대칭 구조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하단부를 통해 유체(A)를 유입하여 필터부재(200)에 유입되는 유체(A)의 유속을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대적으로 넓은 상단부를 통해 유체(A)를 배출하므로 확장된 면을 통해 유체(A)의 유동저항을 줄이고 보다 원활하게 유체(A)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단면적이 달라지는 유체유동공간(103)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입자상 필터부재(200)를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도, 유체(A)는 원활하게 유동시켜 여과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lter member 200 is pressed towar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s shown in FIG. The compressed filter member 200 maintains a vertically asymmetric structure with a narrow bottom end and a wide top end,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luid flow space 103 whose 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below to upward. Therefore,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A flowing into the filter member 200 by flowing the fluid A through the relatively narrow lower end portion can be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speed. In addition, on the contrary, since the fluid A is discharged through the relatively wide upper end portion,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A can be reduced and the fluid A can be smoothly passed through the expanded surface. By us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fluid flow space 103 having a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uid A can smoothly flow and be filtered while effectively compressing the particulate filter element 200.

또한, 필터부재(200)는 유체(A)의 유속이나 그에 대응하는 압력(동압력일 수 있다)에 따라서 압축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공극의 크기(평균크기일 수 있다)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유체(A)에 함유된 서로 다른 크기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여과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degree to which the filter member 200 is com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A or the corresponding pressure (which may be a dynamic pressure) can be adjusted, the size of the pores (which may be an average siz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foreign substances of different sizes contained in the fluid (A) by adjusting them as necessary.

또한, 유체(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포주입부(도 1 내지 도 3의 300참조)에서 주입된 미세기포들이 함유되어 있는바 기포의 흡착효과 등으로 미세한 이물질도 용이하게 포집하여 필터부재(200)로 걸러낼 수 있으며, 기포가 필터부재(200)에 부착되어 필터부재(200)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바 유체유동공간(103) 내 필터부재(200)의 움직임(유체유동공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하며 가속되는 움직임)도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유동공간(103)의 구조적 특징, 그로 인해 유체유동공간(103) 내에서 효과적으로 압축되며 유체(A)를 여과하는 입자상 필터부재(200), 유체(A) 내에 주입된 기포 등으로 인한 상승효과로 유체(A) 내 이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fluid A easily collects minute foreign matter by the adsorption effect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bubbles injected from the bubble injecting unit (refer to 300 in FIG. 1 to FIG. 3) And the bubbles can be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200 to raise the filter member 200. The movement of the filter member 200 in the fluid flow space 103 Movemen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ward and accelerating motion). As suc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flow space 103, and therefore the particulate filter element 200 that is effectively compressed within the fluid flow space 103 and that filters the fluid A, bubbles injected into the fluid A, It is possible to highly effectively filter and treat the foreign matter in the fluid A with the synergistic effect caused by the synergistic effect.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유체여과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여과과정을 설명하고, 이후 세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ntire fluid filtr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First, explain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n explain the cleaning process.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밸브(12)를 조절하여 제1관로(10)를 개방하고, 메인펌프(11)를 작동시켜 용기부(100)에 유체(A)를 공급한다. 유체(A)는 유체공급탱크(400)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유체공급탱크(400)의 유체(A)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A)는 고형의 이물질 등을 함유한 빗물일 수 있으며 유체여과장치(1)를 빗물을 여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체여과장치(1)의 용도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이물질이 함유된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정화하는 데 유체여과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ntrol valve 12 is adjusted to open the first conduit 10, and the main pump 11 is operated to supply the fluid A to the container unit 100 . The fluid A may be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tank 400 and the fluid A in the fluid supply tank 400 may include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fluid A may be a rainwater containing solid foreign matter or the like, and the fluid filtering apparatus 1 may be used for filtering rainwater. However,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use of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and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1 can be used to purify various kinds of fluids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유체(A)는 기포주입부(300)를 통과하며 기포(미도시)가 주입된 상태로 용기부(100)에 공급된다. 유체(A)는 유체유동공간(103)을 유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를 향해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한다. 메인펌프(11) 의해 형성되는 유체(A)흐름에 의해서 입자상 필터부재(200)가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제2타공판(120)으로 가속되며 유동한다. 그러나 필터부재(200)가 제2타공판(120)측으로 도달하여 충분히 압축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A)를 바로 제2관로(20)로 배출하지 않고, 제3관로(30)를 통해 우회시켜 유체공급탱크(400)로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제2조절밸브(21)를 조절하여 제2관로(20)를 폐쇄하고, 제3조절밸브(31)를 조절하여 제3관로(30)를 개방함으로써 유체공급탱크(400)와 용기부(100)의 사이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유체(A)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필터부재(200)를 제2타공판(120)측으로 충분히 압축시킬 수 있다.The fluid A passes through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and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unit 100 in a state where bubbles (not shown) are injected. The fluid A flows upwardly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103 toward the outlet 102 from the inlet 101.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200 is accelerated and flows from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o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by the flow of the fluid A formed by the main pump 11. However, since it takes time for the filter member 200 to reach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side and sufficiently compress it, the fluid A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second channel 20 as shown in FIG. 7, Circulated through the conduit (30) to the fluid supply tank (400). That is, the second control valve 21 is adjusted to close the second conduit 20, and the third control valve 31 is adjusted to open the third conduit 30, (A) flow that is repeatedly circulated between the fluid inlet (100). In this way, the filter member 200 can be sufficiently compressed towar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side.

필터부재(200)가 충분히 압축되고 유체(A)가 원활히 순환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조절밸브(31)를 조절하여 제3관로(30)는 폐쇄하고, 제2조절밸브(21)를 조절하여 제2관로(20)를 개방한다. 따라서 용기부(100)를 통과한 유체(A)는 자연스럽게 제2관로(20)를 따라서 정화탱크(500)로 배출된다. 즉,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A)에 기포주입부(300)로 기포를 주입하고, 용기부(100)로 공급하여, 유체유동공간(103)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시켜 유체유동공간(103) 내 압축된 필터부재(200)로 이물질을 용이하게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여과된 유체(A)는 제2타공판(120)을 통과하여 배출구(102)로 유도되고 제2관로(20)를 따라 정화탱크(500)에 저장된다.When the filter member 200 is sufficiently compressed and the fluid A is circulated smoothly, the third control valve 31 is adjusted to close the third conduit 30 as shown in Fig. 8,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21) to open the second conduit (20). Therefore, the fluid A having passed through the container portion 100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purification tank 500 along the second conduit 20. That is, the bubbles are injected into the bubble injecting unit 300 into the fluid A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 and supplied to the container unit 100 to flow upward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103,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filtered with the compressed filter member 200. The filtered fluid A passes through the second perforated plate 120 and is led to the outlet 102 and is stored in the purification tank 500 along the second conduit 20.

정화탱크(500)에 저장된 유체(A)는 타 사용처로 수송되거나 방류될 수 있으며 인접한 시설에서 재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부(100) 내부를 세척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유체(A)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화할 수 있다.The fluid A stored in the purification tank 500 may be transported to or discharged from other uses, and may be recycled at an adjacent facility. It may also be us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the foreign matter of the fluid A can be filtered and purified.

한편, 필터부재(200) 등의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과정을 연속하여 진행하며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밸브(12)와 제2조절밸브(21)를 조절하여 제1관로(10) 및 제2관로(20)를 폐쇄하고, 제3조절밸브(31)와 제5조절밸브(52), 드레인밸브(61)를 조절하여, 제3관로(30), 제5관로(50), 드레인관(60)을 개방한다. 이로 인해, 제5관로(50)와 용기부(100), 제3관로(30) 및 유체공급탱크(400)로 연결된 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유동통로를 따라 퍼지가스(B)가 공급된다. 즉, 제5관로(50)에 연결된 블로워(51)를 작동시켜 용기부(100)의 유체유동공간(103) 내부로 퍼지가스(B)를 분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member 200 or the like needs to be cleaned, the processes shown in FIGS. 9 and 10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cleaned effectively. First, as shown in FIG. 9, the first control valve 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21 are adjusted to close the first and second conduits 10 and 20, and the third control valve 31, the fifth control valve 52 and the drain valve 61 are adjusted to open the third pipe 30, the fifth pipe 50 and the drain pipe 60. As a result, a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fifth conduit 50 and the container portion 100, the third conduit 30, and the fluid supply tank 400 is formed and purge gas B is supplied along the flow passage. The purge gas B may be injected into the fluid flow space 103 of the container unit 100 by operating the blower 51 connected to the fifth conduit 50.

이로 인해 유체유동공간(103) 내 입자상 필터부재(200)는 크게 유동할 수 있다. 특히, 퍼지가스(B)는 제5관로(50)를 통해서 하방의 제1타공판(110)으로부터 공급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필터부재(200)를 다시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입자상 필터부재(200)는 승강하며 요동하거나 진동하여 퇴적물 등의 찌꺼기(C)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찌꺼기(C)는 드레인관(60)을 통해 처리부(600) 등으로 유입되어 처리된다.As a result, the particulate filter member 200 in the fluid flow space 103 can flow largely. Particularly, the purge gas B is supplied from the first perforated plate 110 through the fifth conduit 50, and the filter member 200 descending due to gravity can be pushed upward again. As a result, the particulate filter element 200 can move up and down, swing or vibrate to discharge sediments C such as sediments. The discharged debris C is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unit 600 or the like through the drain pipe 60 and processed.

이와 같은 과정을 진행한 후, 다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된 유체(A)를 이용한 세척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5조절밸브(52)를 조절하여 제5관로(50)는 폐쇄하고, 제4조절밸브(42)를 조절하여 제4관로(40)를 개방한다. 제4관로(40)의 보조펌프(41)를 작동시키면, 정화탱크(500) 내 저장된 정화된 유체(A)가 제4관로(40)를 통해 배출구(102)을 거쳐 용기부(100)의 상부로 공급된다. 즉, 정화된 유체(A)는 퍼지가스(도 8의 B참조)와는 반대로 용기부(100) 내 유체유동공간(103)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며 필터부재(200)를 재차 세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형의 찌꺼기(C) 등도 세척작용에 의해 분리하여 드레인관(60)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찌꺼기(C)는 역시 처리부(600) 등으로 유입되어 처리된다.After the above process, the cleaning process using the purified fluid A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0, the fifth control valve 52 is adjusted to close the fifth conduit 50, and the fourth control valve 42 is adjusted to open the fourth conduit 40. As shown in Fig. When the auxiliary pump 41 of the fourth conduit 40 is operated, the purified fluid A stored in the purge tank 500 flows through the fourth conduit 4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 That is, the purified fluid A drop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uid flow space 103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contrary to the purge gas (see FIG. 8B), and the filter member 200 is washed again. As a result, the solid residues C and the like can be separated by the cleaning action and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60 very effectively. The discharged debris C is also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unit 600 or the like and processed.

이와 같이 연속된 세척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용기부(100) 내 수용된 필터부재(200)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입자상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세척과정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200)의 입경보다 작은 통공(도 4 및 도 5의 110a, 120a참조)을 갖는 제1타공판(110) 및 제2타공판(120)으로 필터부재(200)가 격렬히 유동하더라도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세척과정을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continuous cleaning process, the filter member 200 and the like housed in the container unit 100 can be cleaned very effectively. Since the filter member 200 is in a particulate form and can move freely in various directions, such a cleaning process can be more effective. Even if the filter member 200 is vigorously moved by the first pier 110 and the second pier 120 having through holes (see 110a and 120a in FIGS. 4 and 5) smaller tha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ter member 200, So that the cleaning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이와 같이 세척과정을 진행한 후에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다시 세척과정을 진행하며 매우 효율적으로 유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과정 전체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 관로에 형성된 조절밸브와, 메인펌프(11), 보조펌프(41), 블로워(51) 등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를 매우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After the washing process, the filt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gain as described above, and if necessary, the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gain and the fluid can be processed very efficiently. This entire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remotely controlling the main pump 11, the auxiliary pump 41, the blower 51, etc., and the control valve formed in each pipe by using the control device. In this way, the fluid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 can be very effectively purifi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유체여과장치 10: 제1관로
11: 메인펌프 12: 제1조절밸브
12a: 주밸브 12b, 12c: 서브밸브
20: 제2관로 21: 제2조절밸브
30: 제3관로 31: 제3조절밸브
40: 제4관로 41: 보조펌프
42: 제4조절밸브 50: 제5관로
51: 블로워 52: 제5조절밸브
53: 압력계 60: 드레인관
61: 드레인밸브 100: 용기부
101: 유입구 102: 배출구
103: 유체유동공간 103a: 수용공간
110: 제1타공판 110a, 120a: 통공
111: 제1면 112: 제2면
120: 제2타공판 121: 모선
130: 하우징 141: 점검구
142: 투시창 200: 필터부재
201: 제1부재 202: 제2부재
300: 기포주입부 400: 유체공급탱크
401: 레벨조정기 500: 정화탱크
600: 처리부
A: 유체 B: 퍼지가스
C: 찌꺼기
1: fluid filtration device 10: first channel
11: main pump 12: first control valve
12a: Main valve 12b, 12c: Sub valve
20: second conduit 21: second control valve
30: third pipe 31: third control valve
40: fourth pipe 41: auxiliary pump
42: fourth control valve 50: fifth conduit
51: blower 52: fifth control valve
53: Pressure gauge 60: Drain tube
61: drain valve 100: container portion
101: inlet 102: outlet
103: fluid flow space 103a: accommodation space
110: first perforated plate 110a, 120a: through hole
111: first side 112: second side
120: second pier plate 121:
130: housing 141:
142: view window 200: filter member
201: first member 202: second member
300: air bubble injector 400: fluid supply tank
401: Level regulator 500: Purification tank
600:
A: Fluid B: Purge gas
C: Waste

Claims (17)

하부에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부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체유동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상방으로 증가하며 확대되는 용기부;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하부에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타공판;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상부에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타공판보다 면적이 큰 제2타공판;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 상기 제1타공판과 상기 제2타공판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보다 작은 부피로 충전된 입자상의 필터부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체유동공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제1타공판으로부터 상기 제2타공판으로 가속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메인펌프; 및
상기 유입구 전단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유체에 주입하는 기포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동공간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타공판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굴절판으로 형성되어 유체를 분배 및 확산시키고,
상기 제2타공판은 상기 유체유동공간과 상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된 역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고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유체흐름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제2타공판 측으로 압축되며 하단부가 좁고 상단부가 넓은 상하 비대칭 구조를 유지하는 유체여과장치.
And a fluid 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wherei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 space is upwardly direct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n enlarged container portion;
A first perforated plat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at a low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 second perforated plat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flow space an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 particulate filter member filled in the fluid flow space with a volume smaller than that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forated plates;
A main pump for injecting fluid upwardly from below the fluid flow space through the inlet port to form a fluid flow that accelerates the filter member from the first pier plate to the second pier plate; And
And a bubble injecting unit for injecting bubbles into the fluid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Wherein the fluid flow space has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above to below,
The first perforated plate may be formed as a bent s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below to distribute and diffuse the fluid,
The second perforated plate is formed in a shape of an inverted cone arranged vertically opposite to the fluid flow space, and a space for receiving the filter member and maintaining a compressed state is formed therein,
Wherein the filter member is accelerated by the fluid flow to be compressed toward the second pier plate side, and has a narrow bottom end and a wide top end asymmetric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공판은 상방으로 볼록한 구면, 및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erforated plat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upwardly convex spherical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공판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 및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erforated plate has at least one of a shape including a curved surface, a shape including an inclined plane, and a shape including a pla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타공판의 모선과 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let port is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bus bar of the second perforate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공판은 중앙부의 제1면과, 외주부에 상기 제1면에 대해 외측으로 하향 굴절되어 상기 유체유동공간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확산시키는 제2면을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erforated plate includes a first surface at a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at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reof that is refracted downward outward relative to the first surface to diffuse the flui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luid flow space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구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진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is a spherical fiber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보다 입경이 작거나 큰 제2부재가 혼합된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 first member, and
And a second memb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smaller o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공판 및 상기 제2타공판에 형성된 통공의 직경이 상기 필터부재의 입경보다 작은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ameter of a through-hole formed in the first punched plate and the second punched plate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ilt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일 측에는 상기 메인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펌프와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는 상기 기포주입부가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1관로, 및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제2관로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inlet,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pump, and the bubble injector connected between the main pump and the inlet to supply fluid to the vessel;
And a second conduit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utlet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vess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의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공급탱크, 및
상기 제2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체공급탱크와 연결된 제3관로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luid supply tan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duit, and
And a third conduit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tan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로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부에서 배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정화탱크, 및
상기 유체유동공간 세척 시 상기 정화탱크의 유체를 상기 용기부 내 상기 유체유동공간으로 공급하는 제4관로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urifying tan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duit for receiv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portion,
And a fourth conduit for supplying the fluid in the purifying tank to the fluid flow space in the container portion during the cleaning of the fluid flow sp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관로는 상기 제2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정화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4관로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로부터 상기 제4관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향하는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보조펌프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ourth conduit is branched from the second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purifying tank,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ump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urth conduit to form a fluid flow from the purge tank to the outlet through the fourth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유동공간 내부로 퍼지가스를 주입하는 제5관로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fth condu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ssel for injecting purge gas into the fluid flow spa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5관로는 일단부가 상기 제1타공판과 상기 유입구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5관로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5관로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제1타공판으로부터 상기 제2타공판을 향하는 상기 퍼지가스의 흐름을 형성하는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유체여과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one end of the fifth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late and the inlet,
And a blow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fth conduit to form a flow of the purge gas from the first pier through the one end of the fifth conduit toward the second pier.
KR1020170083467A 2017-06-30 2017-06-30 Fluid filtration apparatus KR101958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467A KR101958285B1 (en) 2017-06-30 2017-06-30 Fluid filt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467A KR101958285B1 (en) 2017-06-30 2017-06-30 Fluid filt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2A KR20190003032A (en) 2019-01-09
KR101958285B1 true KR101958285B1 (en) 2019-03-15

Family

ID=6501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467A KR101958285B1 (en) 2017-06-30 2017-06-30 Fluid filtr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009A (en) * 2000-02-08 2001-08-14 Ngk Insulators Ltd Filter medium filling type filter device
JP2002239308A (en) * 2001-02-15 2002-08-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Filter apparatus using floating filter medium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2013248563A (en) * 2012-05-31 2013-12-12 Kamata Bio Eng Kk Filtering device, filtering method of the same, and backwashing method of filter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612B2 (en) * 1993-07-30 1998-07-02 水道機工株式会社 Water filtration method containing dissolved manganese using permeable membrane
KR100491476B1 (en) 2002-10-22 2005-05-27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Fluid filter apparatus, absorbtion chiller and heater using the same
KR20100102881A (en) * 2009-03-12 2010-09-27 박영택 Filtering device of having multi filtering-la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009A (en) * 2000-02-08 2001-08-14 Ngk Insulators Ltd Filter medium filling type filter device
JP2002239308A (en) * 2001-02-15 2002-08-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Filter apparatus using floating filter medium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2013248563A (en) * 2012-05-31 2013-12-12 Kamata Bio Eng Kk Filtering device, filtering method of the same, and backwashing method of filter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2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353B2 (en) Membrane module with pulsed airlift pump
JP2018108585A (en) Air diffusion device, air diffus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20110163019A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76574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ant
EP2690070A1 (en) Dissolved-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KR20150073568A (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cartridge-type submerged end-fre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eration apparatus having intermittent/continuous ae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177304B1 (en)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and a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nozzle for generating micro and/or naco bubbles
WO2006125168A2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348752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reduction
JP6316156B2 (en) Sedimentation pond
KR101446272B1 (en) Oil-water separator
JP4456632B2 (en) Density control type fiber yarn microfiltration equipment
KR101757205B1 (en) A Filtration Device For Swirl Upflow Type Water Processing
KR101958285B1 (en) Fluid filtration apparatus
CN106902556B (en) Ultrasonic air-water backwashing filter tank
KR102397619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1715564B1 (en) Flotation device using high efficiency tank for dissolving a gases into liquids
JP5743095B2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equipment
KR101594197B1 (en) Filtering device having a cleaning function
JP2009066469A (en) Filtration apparatus and gas jetting apparatus
JP6694374B2 (en)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iltration device
KR101927778B1 (en) Method for backwashing of ceramic membrane using a blower
WO2004103916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354522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CN113302161B (en) Device for injecting a fluid into a liquid, method for cleaning said device and effluent treatment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