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4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40B1
KR101957240B1 KR1020160041446A KR20160041446A KR101957240B1 KR 101957240 B1 KR101957240 B1 KR 101957240B1 KR 1020160041446 A KR1020160041446 A KR 1020160041446A KR 20160041446 A KR20160041446 A KR 20160041446A KR 101957240 B1 KR101957240 B1 KR 10195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assage
heat exchanger
in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487A (ko
Inventor
이동근
이기성
양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6004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40B1/ko
Priority to CN201780021121.6A priority patent/CN109073243A/zh
Priority to JP2018541677A priority patent/JP2019511691A/ja
Priority to PCT/KR2017/002800 priority patent/WO2017175983A2/ko
Publication of KR2017011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 등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 실내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타측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유로(110a,110c), 상기 제1공기유로(110a,110c)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230)가 구비된 실내기(1); 상기 실내기(1)의 제1공기유로(110a,110c)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b),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b)와 제2공기유로(21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150,250,170,270,150-1,250-1)를 구비한 실외기(2)를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 중에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된 형태의 공기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0744호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그 난방 제어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고,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해 냉방 및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실내기와 실외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 기능만 동작하도록 되어있어, 환기 기능을 일체로 구현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기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필터 등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청소하기가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 등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청소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도조절과 냉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 기능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 실내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타측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유로(110a,110c), 상기 제1공기유로(110a,110c)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230)가 구비된 실내기(1); 상기 실내기(1)의 제1공기유로(110a,110c)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b),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b)와 제2공기유로(21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150,250,170,270,150-1,250-1)를 구비한 실외기(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외기(2)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b)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회전하는 흡착재를 포함하는 로터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130,230)는, 상기 실내공기의 입구부인 제1공기유로(110a)에 구비된 필터(120,130)와, 상기 실내공기의 출구부인 제1공기유로(110c)에 구비된 필터(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실내의 온도와 습도 및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50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c)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2)와, 상기 가습필터(520-2)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수단은, 상기 가습필터(520-2)의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2)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530-2)에 저장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배수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외기(2)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b)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환기모드시 상기 제1공기유로(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도록 그 내부 유로 방향이 설정되고; 냉난방 및 가습 모드 시 상기 제1공기유로(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과한 후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그 내부 유로 방향이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실외기(2)의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필터(220)와 상기 실내기(1)의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필터(230)를 거쳐 실내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50,250,170,270)는 히트펌프(60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1열교환기(15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기(250)와,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3열교환기(17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4열교환기(270)로 이루어지고; 실내 가습 또는 실내 난방 시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50)와 제4열교환기(270)가 응축기와 증발기로 작동하고; 실내 제습 또는 실내 냉방 시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250)와 제3열교환기(270)가 응축기와 증발기로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실내 공기를 난방하거나 가습하는 경우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열교환기(150-1)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열교환기(250-1)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를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하고, 실내기에 필터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장치에서 습도조절과 냉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4개의 열교환기를 응축기와 증발기로 각각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냉난방과 습도조절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고, 냉난방 능력 및 습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유로전환부를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습도 조절과 냉난방과 공기 청정 및 환기 모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분공급부로부터 수분을 실내 공기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습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시 실외공기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에 구비된 많은 필터에서 여과된 후 실내로 유입되므로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무급수 가습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난방 및 급수 가습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제습 및 냉방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공기 청정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환기 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기(1)는 스탠드형으로서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고, 천장형으로서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에어컨 실외기실이나 보일러실 등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1)에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타측 실내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유로(110; 110a,110c)와 상기 제1공기유로(110; 110a,110c)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23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기(1)의 일측에 구비된 제1공기유로(110a)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이고, 실내기(1)의 타측에 구비된 제2공기유로(110c)는 실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부이다.
상기 필터(120,130,230)는, 프리 필터(120)와, 기능성 필터(130) 및 헤파 필터(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필터의 종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프리 필터(120)는,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필터(130)는 항균, 항바이러스, 알레르기 등의 유해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다.
상기 헤파 필터(230)는 공기 중의 미립자를 여과하기 위한 고성능 필터로서,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기 직전에 여과할 수 있도록 실내기(1)에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실내기(1)에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 및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 및 실내 오염도로부터 실내 난방 모드, 냉방 모드, 가습 모드, 제습 모드, 공기 청정 모드, 환기 모드 중 어느 하나가 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120,130,230) 및 센서가 실내기(1)에 구비되면, 필터(120,130,230) 또는 센서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는 작업이 편리해진다.
상기 실외기(2)에는 제1공기유로(110;110b), 제2공기유로(210), 로터부재(300), 유로전환부(400), 수분공급부(500), 히트펌프(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b)는 실내기(1)에 구비된 제1공기유로 입구부(110a)와 출구부(110c)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중간부이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110a,110b,110c)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공기가 유동하는 배관뿐만 아니라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공기유로(210)도 동일하다.
상기 제1공기유로(110b)에는 제1열교환기(150), 제3열교환기(170), 제1송풍기(160)가 순차 구비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150)와 제3열교환기(170)는 히트펌프(600)를 구성함으로써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기능한다.
상기 제1송풍기(160)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제1공기유로(110)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는, 일측의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210a)와, 상기 로터부재(300)의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중간부(210b)와, 상기 유입된 실외공기를 다시 실외의 타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부(2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에는, 프리 필터(220), 제2열교환기(250), 댐퍼(280), 제4열교환기(270), 제2송풍기(260)가 순차 구비된다.
상기 프리 필터(220)는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에 구비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250)와 제4열교환기(270)는 히트펌프(60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상기 제2송풍기(260)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제2공기유로(210)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댐퍼(280)는 상기 제2영역(320)과 제4열교환기(270) 사이로서,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중간부(210b)와 바이패스유로(285)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85)는 실외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댐퍼(280)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바이패스유로(28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를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하거나 제2영역(320)을 통과한 공기를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와 바이패스유로(285)가 연결되도록 상기 댐퍼(280)의 방향이 설정된 경우에는, 바이패스유로(285)를 통해 유입된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다시 실외로 배출되므로, 제2영역(320)으로는 실외공기가 유동하지 않는다. 만약 차가운 실외공기가 제2영역(320)을 통과하게 되면 제2영역(320)에서 온도가 하락한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떨어져 열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댐퍼(280)와 바이패스유로(285)가 구비됨으로 인해 차가운 실외공기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재(300)에는 그 내부에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1영역(310)은 제1공기유로(110)에 연결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320)은 제2공기유로(210)에 연결된 영역이다.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 사이에는 수분공급부(500)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는 제3영역(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영역(320)에서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제2영역(320)에서 이물질이 흡착된 흡착재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분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이 제1영역(310) 및 제2영역(320)과 독립된 제3영역(330)에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다만, 제3영역(33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3영역(330)을 제2영역(320)과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분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은 제2영역(320)에 공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310)과 제2영역(320) 및 제3영역(330)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로터부재(300)의 흡착재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410),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420), 상기 제1영역(310)과 연결되는 제1배출구(430), 상기 제2영역(320)과 연결되는 제2배출구(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일례로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제1유입구(41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2유입구(420)를 제1배출구(430) 또는 제2배출구(440)로 연결되도록 연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게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00)는, 가습공기유로(540) 상에 구비되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510), 상기 제3송풍기(51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할 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필터(520), 상기 가습필터(520)의 하단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 상기 수조(5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550), 상기 수조(53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5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530) 내부에는 물이 소정의 수위로 채워져 있고, 상기 가습필터(520)는 상기 물에 하단 일부가 침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습필터(52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520)를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가습필터(520)에 흡착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습한공기가 되어 가습공기유로(540)를 따라 제3영역(33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3영역(3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된 후 건조하게 된 공기는 다시 제3송풍기(510)에 의해 가습필터(520)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습공기유로(540)는 폐(閉)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550)가 구비된 급수관(570)은 수도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560)가 구비된 배수관(580)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연결되어 수조(530)의 물을 외부로 배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분공급부(500)를 구비하게 되면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가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필터(520)가 물에 일부가 침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가습필터(520)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수단에서 분사된 물이 가습필터(520)를 적시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수관(570)의 단부에는 분사수단으로서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600)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610), 난방시에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제1열교환기(150), 냉방시에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제2열교환기(250), 상기 제1열교환기(15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압시키는 제1팽창밸브(630-1), 상기 제2열교환기(25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압시키는 제2팽창밸브(630-2), 상기 제2팽창밸브(630-2)에서 감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제3열교환기(170), 상기 제1팽창밸브(630-1)에서 감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시키는 제4열교환기(270), 상기 압축기(61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방과 난방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6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600)가 난방 작동하는 경우, 냉매는 압축기(610), 사방밸브(620), 제1열교환기(150), 제1팽창밸브(630-1), 제4열교환기(270), 압축기(610)를 따라 순환한다.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경로를 제1냉매순환경로(640-1)라 한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150)는 응축기로 작동되어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4열교환기(270)는 증발기로 작동되어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히트펌프(600)가 냉방 작동하는 경우, 냉매는 압축기(610), 사방밸브(620), 제2열교환기(250), 제2팽창밸브(630-2), 제3열교환기(170), 압축기(610)를 따라 순환한다.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경로를 제2냉매순환경로(640-2)라 한다. 이 경우 제2열교환기(250)는 응축기로 작동되어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3열교환기(170)는 증발기로 작동되어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1열교환기(150)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는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250)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는 로터부재(300)의 제2영역(320)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무급수 가습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무급수 가습 모드란, 수분공급부(500)에서 제3영역(330)으로 수분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이용하여 실내 가습을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유로전환부(400)는 제1유입구(410)와 제1배출구(430)가 연결되고, 제2유입구(420)와 제2배출구(440)가 연결되도록 방향전환게이트는 제1위치로 설정된다.
또한,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 및 압축기(610)가 온(On)되며, 로터부재(300)는 회전한다. 댐퍼(280)는 제2영역(320)을 통과한 공기가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압축기(610)가 온(On)되면, 냉매는 상기 제1냉매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한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150)는 응축기로 작동되어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2열교환기(250)는 증발기로 작동된다.
한편, 제1송풍기(160)의 가동에 의해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를 통해 실내기(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 기능성 필터(130), 유로전환부(400), 제1열교환기(150), 제1영역(310), 헤파 필터(230)를 순차 거친 후 실내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내공기는 제1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또한, 제2송풍기(260)의 가동에 의해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프리 필터(220), 유로전환부(400), 제2열교환기(250)를 순차 거친 후 제2영역(320)을 통과한다. 이 경우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제2영역(320)의 흡착재에 흡착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250)가 증발기로 작동하여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수분의 흡착량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 제2영역(320)에서 실외공기의 수분이 흡착된 흡착재가 로터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제1영역(310)에 위치하면, 제1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제1영역(310)의 흡착재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증발시켜 습한 실내공기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거쳐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열교환기(250)와 제3열교환기(170)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으므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여 난방 및 급수 가습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 및 급수 가습 모드시, 유로전환부(400)에서 방향전환게이트가 제1위치로 설정되고,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 및 압축기(610)가 온(On)되며, 로터부재(300)가 회전하는 것은 무급수 가습 모드와 동일하다. 또한, 냉매는 제1냉매순환경로(640-1)를 따라 유동하여, 제1열교환기(150)가 응축기로 작동하고, 제4열교환기(270)가 증발기로 작동한다는 점에서도 동일하다.
수분공급부(500)에서 제3영역(330)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댐퍼(280)의 방향이 바이패스유로(285)에서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무급수 가습 모드와 차이가 있다.
수분공급부(500)는 제3영역(330)에 수분의 공급을 위해 급수밸브(550)가 개방되어 수조(530)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며, 제3송풍기(510)가 온(On)되어 가습공기유로(540)를 순환하는 공기는 가습필터(520)를 거치면서 습한공기가 되어 로터부재(300)의 제3영역(33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3영역(330)에서 흡착된 수분은 로터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제1영역(310)에 위치하게 된다.
제1송풍기(160)의 가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실내공기는 로터부재(300)의 제1영역(310)을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제3영역(33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되어 제1영역(310)에 위치하고, 상기 가열된 실내공기가 제1영역(310)을 통과하면서 흡착재의 수분을 증발시켜 습한 실내공기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실내 가습과 함께 실내 난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송풍기(260)의 가동에 의해 실외공기는 바이패스유로(285)를 통해 유입되어 제4열교환기(270)를 거쳐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타측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차가운 실외공기가 제2영역(320)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차가운 실외공기가 제1영역(3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습 및 냉방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 및 냉방 모드시, 유로전환부(400)에서 방향전환게이트가 제1위치로 설정되고,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 및 압축기(610)가 온(On)되고, 로터부재(300)가 회전하며, 수분공급부(500)에서 수분이 공급되지 않는 점은 무급수 가습 모드와 동일하다.
제습 모드 시 압축기(610)가 온(On)되면, 냉매는 제2냉매순환경로(640-2)를 따라 순환한다. 이 경우 제2열교환기(250)가 응축기로 작동하고, 제3열교환기(170)가 증발기로 작동한다.
제1송풍기(160)가 가동되면 실내공기는 제1영역(310)을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1영역(310)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상기 제1영역(310)에서 수분이 제거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제3열교환기(170)에서 낮아지므로 실내 냉방 효과가 있다.
제2송풍기(260)가 가동되면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2열교환기(2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제2영역(32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310)에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한 로터부재(300)의 흡착재가 회전하여 제2영역(320)에 위치하게 되면, 제2영역(320)을 통과하는 가열된 실외공기에 의해 흡착재의 수분이 증발되어 실외공기는 습한공기 상태가 되어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내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져,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 청정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청정 모드시에는 제1송풍기(160)가 온(On)되고, 유로전환부(400)의 방향전환게이트가 제1위치로 설정된다. 압축기(610)는 오프(Off)되고, 수분공급부(500)에서는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1송풍기(160)의 가동으로 인해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의 1차 여과가 이루어지고, 기능성 필터(130)에서 알레르기 등의 유해요소가 제거되며, 제1영역(310)을 통과한 후 헤파 필터(230)에서 미립자가 제거된다. 상기 헤파 필터(23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공기의 청정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실내공기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터부재(300)를 회전시키고, 제2송풍기(260)를 가동시킨다. 상기 로터부재(300)의 흡착재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되어 있어 실내공기가 흡착재 표면에 접촉하면 냄새 제거가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여 환기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제1송풍기(160)와 제2송풍기(260)가 가동된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400)의 방향전환게이트는 제2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압축기(610)는 오프(Off)되고, 수분공급부(500)에서는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2송풍기(260)의 가동에 의해 제1공기유로(110)의 입구부(110a)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프리 필터(120), 기능성 필터(130), 유로전환부(400), 제2영역(320)을 순차 통과한 후 제2공기유로(210)의 출구부(210c)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송풍기(160)의 가동에 의해 제2공기유로(210)의 입구부(210a)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프리 필터(220), 유로전환부(400), 제1영역(310), 헤파 필터(230)를 순차 통과한 후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는 복수의 필터(220,230)를 거쳐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로전환부(400)에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환기모드시 실외공기는 제2공기유로(210)에 구비된 프리 필터(220)에서 여과된 후 제1공기유로(110)에 구비된 헤파 필터(230)에서도 여과되므로,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에 구비된 필터(220,230)를 모두 거치면서 여과된 후 실내로 유입되므로,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230)는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모드에서 실내 공기 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도 여과하게 되므로, 필터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헤파 필터(230)를 실내기(2)에 구비하게 되면 필터 교체가 용이해지므로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히트펌프(600) 대신 온수의 공급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제1열교환기(150-1)와 제2열교환기(250-1)가 구비되어 있고, 바이패스유로(285)와 댐퍼(280) 구성이 없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150-1)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내 공기가 가열된다. 온수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공급관(152-1)과 온수공급밸브(151-1)를 통해 제1열교환기(150-1)에 공급되고, 제1열교환기(150-1)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온도가 하락한 후 온수환수관(153-1)으로 유동한다.
또한, 온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공급관(152-1)과 온수공급밸브(251-1)를 통해 상기 제2열교환기(250-1)로 공급된다.
제2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도, 가습모드, 난방모드, 공기 청정 모드, 제습 모드, 환기 모드의 작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모드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송풍기(160-2)와 수분공급부(500-2)가 실내기(1)에 구비되고, 로터부재(300-2)는 제1영역(310-2)과 제2영역(320-2)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수분공급부(500-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실내기(1)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500-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2)와, 상기 가습필터(520-2)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서 상기 가습필터(520-2)의 하단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2)와, 상기 수조(530-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관(570-2)에 구비된 급수밸브(550-2)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530-2)의 물은 배수관(580-2)과 배수밸브(560-2)를 통해 외부로 배수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습필터(520-2)를 제1공기유로(110)의 출구부(110c) 상에 위치시키고 제1송풍기(160-2)의 가동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제1,제2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가습공기유로(540)와 제3송풍기(51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로터부재(300-2)에도 제3영역(330)을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제3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도, 가습모드, 난방모드, 공기 청정 모드, 제습 모드, 환기 모드의 작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모드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히트펌프와 온수를 이용한 열교환기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히터, 보일러 및 지역 난방 등 다양한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 제1공기유로 120 : 프리 필터
130 : 기능성 필터 150,150-1 : 제1열교환기
160,160-2 : 제1송풍기 210 : 제2공기유로
220 : 프리 필터 230 : 헤파 필터
250,250-1 : 제2열교환기 260 : 제2송풍기
280 : 댐퍼 285 : 바이패스유로
300,300-2 : 로터부재 310,310-2 : 제1영역
320,310-2 : 제2영역 330 : 제3영역
400 : 유로전환부 410 : 제1유입구
420 : 제2유입구 430 : 제1배출구
440 : 제2배출구 500,500-2 : 수분공급부
510 : 제3송풍기 520,520-2 : 가습필터
530,530-2 : 수조 540 : 가습공기유로
550,550-2 : 급수밸브 560,560-2 : 배수밸브
570,570-2 : 급수관 580,580-2 : 배수관
600 : 히트펌프 610 : 압축기
620 : 사방밸브 630-1 : 제1팽창밸브
630-2 : 제2팽창밸브 640-1 : 제1냉매순환경로
640-2 : 제2냉매순환경로

Claims (11)

  1. 일측 실내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를 타측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공기유로(110a,110c), 상기 제1공기유로(110a,110c)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20,130,230), 상기 제1공기유로(110c)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필터(520-2)와 상기 가습필터(520-2)에 수분이 흡착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수분공급부(500-2)가 구비된 실내기(1);
    상기 실내기(1)의 제1공기유로(110a,110c)와 연결된 제1공기유로(110b), 양단이 실외와 연결된 제2공기유로(210), 상기 제1공기유로(110b)와 제2공기유로(21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150,250,170,270,150-1,250-1)를 구비한 실외기(2);
    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2)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b) 상에 구비된 제1영역(310)과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320)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회전하는 흡착재를 포함하는 로터부재(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130,230)는, 상기 실내공기의 입구부인 제1공기유로(110a)에 구비된 필터(120,130)와, 상기 실내공기의 출구부인 제1공기유로(110c)에 구비된 필터(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실내의 온도와 습도 및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수단은, 상기 가습필터(520-2)의 일부를 침지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0-2)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530-2)에 저장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배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2)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b)와 제2공기유로(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와 제2공기유로(210)의 유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전환부(400)는,
    환기모드시 상기 제1공기유로(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c)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도록 그 내부 유로 방향이 설정되고;
    냉난방 및 가습 모드 시 상기 제1공기유로(110a)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통과한 후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그 내부 유로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실외기(2)의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필터(220)와 상기 실내기(1)의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필터(230)를 거쳐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50,250,170,270)는 히트펌프(60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영역(3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1열교환기(15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기(250)와, 상기 제1영역(310)을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3열교환기(170)와, 상기 제2영역(320)을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4열교환기(270)로 이루어지고;
    실내 가습 또는 실내 난방 시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50)와 제4열교환기(270)가 응축기와 증발기로 작동하고;
    실내 제습 또는 실내 냉방 시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250)와 제3열교환기(170)가 응축기와 증발기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난방하거나 가습하는 경우 상기 제1공기유로(110) 상에 구비된 열교환기(150-1)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 상기 제2공기유로(210) 상에 구비된 열교환기(250-1)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2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41446A 2016-04-05 2016-04-05 공기조화기 KR10195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46A KR101957240B1 (ko) 2016-04-05 2016-04-05 공기조화기
CN201780021121.6A CN109073243A (zh) 2016-04-05 2017-03-15 空气调节机
JP2018541677A JP2019511691A (ja) 2016-04-05 2017-03-15 空気調和機
PCT/KR2017/002800 WO2017175983A2 (ko) 2016-04-05 2017-03-1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46A KR101957240B1 (ko) 2016-04-05 2016-04-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87A KR20170114487A (ko) 2017-10-16
KR101957240B1 true KR101957240B1 (ko) 2019-03-13

Family

ID=6000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46A KR101957240B1 (ko) 2016-04-05 2016-04-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511691A (ko)
KR (1) KR101957240B1 (ko)
CN (1) CN109073243A (ko)
WO (1) WO201717598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1178B (zh) * 2020-12-01 2023-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乾燥設備及乾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44055A (ja) * 2021-09-17 2023-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3044058A (ja) * 2021-09-17 2023-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175A (ja) * 1999-07-12 2001-01-26 Ebara Corp 除湿装置
JP2002224529A (ja) * 2001-01-31 2002-08-13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2010151376A (ja) * 2008-12-25 2010-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343A (ja) * 1988-07-06 1990-01-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H0812010B2 (ja) * 1991-09-21 1996-02-0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空気調和機
JPH05196258A (ja) * 1991-10-03 1993-08-06 Hitachi Metals Ltd 空気調和設備
JPH05346253A (ja) * 1992-06-12 1993-12-27 Aten:Kk 湿度調節型換気装置
JPH09296948A (ja) * 1996-05-07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968224B2 (ja) * 1997-01-21 1999-10-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空調機及び空調システム
JP2000146220A (ja) * 1998-11-02 2000-05-26 Nissan Motor Co Ltd 空気調和手段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0186834A (ja) * 1998-12-21 2000-07-04 Sanyo Electric Co Ltd 除塵兼加湿装置
JP2000314541A (ja) * 1999-04-30 2000-11-14 Sanyo Electric Co Ltd 陽圧換気装置
JP4333986B2 (ja) * 2003-11-14 2009-09-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624130B2 (ja) * 2005-02-22 2011-02-0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864982B2 (ja) *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816252B2 (ja) * 2006-05-26 2011-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CN2937903Y (zh) * 2006-06-29 2007-08-22 陈国宝 悬吊型组合式无室外机的节能环保空调
CN100487330C (zh) * 2006-06-29 2009-05-13 陈国宝 悬吊型组合式无室外机的节能环保空调
KR100781267B1 (ko) * 2006-12-05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CN101995062A (zh) * 2010-11-09 2011-03-30 帝思迈环境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全热回收的调湿新风热泵
KR101434563B1 (ko) * 2012-06-19 2014-08-27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데시칸트 공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175A (ja) * 1999-07-12 2001-01-26 Ebara Corp 除湿装置
JP2002224529A (ja) * 2001-01-31 2002-08-13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2010151376A (ja) * 2008-12-25 2010-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空調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1178B (zh) * 2020-12-01 2023-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乾燥設備及乾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243A (zh) 2018-12-21
KR20170114487A (ko) 2017-10-16
JP2019511691A (ja) 2019-04-25
WO2017175983A2 (ko) 2017-10-12
WO2017175983A3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8283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816267B2 (ja) 湿度調節装置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82839B1 (ko)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110709643B (zh) 换气系统
JP7464868B2 (ja) 空気質の調整システム
KR20130013576A (ko)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506019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8534519A (ja) 湿度調節器
JP2008256284A (ja) 空気調和装置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100607108B1 (ko)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102180663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11089665A (ja) 調湿装置
CN108885023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US20220178597A1 (en) Ventilation device and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90024394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4487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335411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0618211B1 (ko) 삼투압방식을 이용한 제습장치
KR1025060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94298A (ja) 空気調和装置
JP3835920B2 (ja) 温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