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090B1 -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 Google Patents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090B1
KR101955090B1 KR1020170053820A KR20170053820A KR101955090B1 KR 101955090 B1 KR101955090 B1 KR 101955090B1 KR 1020170053820 A KR1020170053820 A KR 1020170053820A KR 20170053820 A KR20170053820 A KR 20170053820A KR 101955090 B1 KR101955090 B1 KR 10195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lectrochromic device
state
time
electrochro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0305A (en
Inventor
박상현
김병동
최윤철
유상우
김철환
Original Assignee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립하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090B1/en
Priority to US15/844,429 priority patent/US10739662B2/en
Priority to CN202210763702.XA priority patent/CN115202121A/en
Priority to EP18761827.7A priority patent/EP3564743A4/en
Priority to JP2019569651A priority patent/JP7000465B2/en
Priority to CN202210764239.0A priority patent/CN115202122A/en
Priority to CN201880015704.2A priority patent/CN110383163B/en
Priority to PCT/KR2018/002602 priority patent/WO2018160049A2/en
Publication of KR2018012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090B1/en
Priority to US16/557,478 priority patent/US11175560B2/en
Priority to KR1020190117232A priority patent/KR102369094B1/en
Priority to US17/452,056 priority patent/US11681198B2/en
Priority to KR1020220024187A priority patent/KR202200296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일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voltage is applied for a critical time such that a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a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ustain step,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second threshold time.

Description

전기변색장치 및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실시 예는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실시 예는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chromic device.

전기변색이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색이 변경되는 현상이다. 상기 전기변색될 수 있는 물질은 전기변색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Electric discolor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is changed based on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caus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defin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유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후방 미러(Rear View Mirror) 용도로 이용되어, 주야간에 자동차 후방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후방차량의 강한 불빛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되어 왔다.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been used to control light transmittance or reflectivity of a window glass for construction or automobile glass. Particularly,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used for a rearview mirror used in a vehicle, and has been used to prevent a strong light of a rear vehicle reflected through a rear mirror of a car in the daytime from disturbing a driver's view.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경우 전원에 의해 변색되므로, 원하는 변색정도를 구현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압을 적절히 제어해야하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chromic device,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hat a voltage to be applied must be appropriately controlled in order to achieve a desired degree of discoloration since it is discolored by a power source.

또한,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변색과정 및 유지과정에서는 전원이 필요하므로, 면적이 커질수록 소비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power is required in the discoloration process and the maintenance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s the area increases.

실시 예는 원하는 변색레벨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desired color fading level.

실시 예는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electrochromic device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실시 예는 영역별 변색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discoloration deviation per region.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일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voltage is applied for a critical time such that a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a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ustain step,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second threshold tim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적어도 임계시간만큼인 인가시간동안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인가시간동안 제2 유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holding ste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sustain voltage is applied for an application time that is at least a threshold time for allowing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to correspond,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sustain voltage for a first application time period to maintain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 The controller may apply a second sustain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period to maintain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은,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하는 변색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시간동안 인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임계시간과 같거나 긴 시간일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storage layer,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a first state having a first transmittance; And a holding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aintained for a duration of time in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matched.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최초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다른 인가전압을 인가하여 원하는 변색레벨을 구현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apply a different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initial state to realize a desired color change level.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임계시간보다 긴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영역별 변색편차를 줄일 수 있다.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a time longer than the critical time, thereby reducing the discoloration deviation per region.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임계시간에 기초하여 구동전압 인가시간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based on the critical tim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임계시간에 기초하여 유지전압의 인가시간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ime of the sustain voltage based on the critical tim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내부 전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착색 초기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착색 완료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투과율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변색완료 후 전압인가가 해제되었을 때의 전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탈색 초기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탈색 완료상태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투과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인가전압과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인가전압과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과정과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시간별 전기변색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압에 대한 임계시간의 그래프이다.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전압차에 따른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듀티 사이클에 따른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uring colora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upon decoloriza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potential before a voltage is appli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change in the initial stage of coloring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change in the coloring completion step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Fig. 11 is a diagram showing potentials when voltage application is released after completion of color fading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potential change in an initial stage of decolorizat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 diagram showing a potential change in the decolorized state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ions in the de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ions in the decoloring process and the 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0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1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electrochromic behavi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respect to time. FIG.
22 is a graph of the threshold time for a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3 is a diagram showing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4 is a diagram showing a threshold time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5 is a graph showing a threshold time according to a duty cycl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 제3 투과율을 가지는 제3 상태 또는 제4 투과율을 가지는 제4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고, 상기 제3 투과율은 상기 제2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4 투과율은 상기 제3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짐 -,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2 상태가 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4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3 상태가 된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form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Or a fourth state having a fourth transmittance, wherein the second transmittanc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and the third transmittanc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transmittance , The fourth transmittanc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third transmittance, and whe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tate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the first state, And whe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tate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the fourth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the third state.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은 상기 이온의 이동에 의해 변색될 수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상기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은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을 가지고,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과 상기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have a binding force with the ions,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s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문턱전압과 상기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을 해제하기 위한 제2 문턱전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voltage for releasing the binding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s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for releas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전기변색층은 내부전위를 가지고, 상기 내부전위는 상기 전기변색층에 위치하는 이온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has an internal potential, and the internal potential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ons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전위와 제1 문턱전압의 합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voltage higher than the sum of the internal potential and the first threshold voltage to move the 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전위와 제1 문턱전압의 차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voltage lower than a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otential and the first threshold voltage to move the ions.

상기 제1 상태, 제2 상태, 제3 상태 또는 제4상태는 상기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이온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the third state, or the fourth state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상기 제1 상태, 제2 상태, 제3 상태 또는 제4 상태는 상기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이온과 상기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이온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the third state, or the fourth st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s contained in the ion storage layer.

상기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은 물리적 결합력 또는 화학적 결합력일 수 있다.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s may be a physical binding force or a chemical binding force.

상기 전기변색층과 이온저장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물리적 구조가 서로 상이하여, 상기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물리적 결합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physical structur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hysical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이온은 수소이온 또는 리튬이온일 수 있다.The ion may be a hydrogen ion or a lithium ion.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 또는 제3 투과율을 가지는 제3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투과율은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고, 상기 제3 투과율은 상기 제2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짐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3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며,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은 서로 다를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pplying a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ions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form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or a third state having a third transmittance, Wherein the second transmittanc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and the third transmittanc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transmittance,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the electrochromic device The electrochromic device changes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 second state by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a first state,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chang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 second state by applying a second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인지 제3 상태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lectively apply on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 second state based on whether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a first state or a third state ha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인지 제3 상태인지에 기초하여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한 과정이 착색과정인지 탈색과정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rocess for chang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econd state based on whether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third state is a coloring process or a decoloring process and determines whether any one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And can be selectively applied.

상기 제어부는 이전 상태변경에 인가되었던 전압을 통해 이전상태를 판단할수 있다.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previous state through the voltage applied to the previous state change.

상기 착색과정에서의 구동전압과 탈색과정에서의 구동전압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storing a driving voltage in the coloring process and a driving voltage in the coloring process.

상기 저장부에는 착색과정에서의 목적상태별 구동전압과 탈색과정에서의 목적레벨별 구동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stores the driving voltage for each target state in the coloring process and the driving voltage for each target level in the color decoloring process.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착색 또는 탈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탈색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이 인가되면 착색되되,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 사이에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태가 유지되는 제3 전압이 존재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control unit for applying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olor or decolor at least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a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 third voltage may be present betwee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the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제3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에 존재하는 이온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third voltage is applied, the ions exist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may not mov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착색 또는 탈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하여 탈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을 인가하여 착색시키되,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불변전압구간만큼 더 클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olor or decolor at least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by a constant voltage section by applying a second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tate of being discolored by applying the second voltage.

상기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은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을 가지고,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과 상기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have a binding force with the ions,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s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불변전압구간은 제1 문턱전압과 제2 문턱전압의 합과 대응되고, 상기 제1 문턱전압은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전압이고, 상기 제2 문턱전압은 상기 이온저장층과 상기 이온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Wherein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corresponds to a sum of a first threshold voltage and a second threshold voltage and the first threshold voltage is a voltage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s, And may be a voltage for releasing the bond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ion.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제1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 상기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이 인가되어 제2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 상기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일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voltage is applied for a critical time such that a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a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threshold time is a first threshold time whe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second critical time.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 초기상태와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2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 초기상태는 제3 상태로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iscolored to the first state, the initial state and the initial stat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iscolored to the second state may be the same as the third state.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3 상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changed by the third state.

상기 제3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의 투과율 차이가 작아지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줄어들 수 있다.If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third state and the first state is small, 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reduced.

상기 임계시간은 온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can be changed by temperature.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부터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contact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changed from a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임계시간 동안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은 편차를 가질 수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for a critical time,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may be varied.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의 편차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의 면저항에 비례할 수 있다.The deviation between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may be proportional to the sheet resistance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voltag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임계시간에 비해 긴시간일 수 있다.The second threshold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적어도 임계시간만큼인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로 변경시키는 경우 제1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상태로 변색시키는 경우 제2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hange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to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by at least a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for a first application time when changing the state to the first state and applies a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when changing the state to the second state.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에 비해 긴 시간일 수 있다.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제1 인가시간과 상기 제2 인가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the same.

상기 제1 인가시간과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면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가 최고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변경될 수 있는 모든 상태로 변경시 제2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to all states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changed when the second state has a maximum transmitt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변색시 인가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lor change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현재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었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현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based on a voltage appli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to a current state.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현재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었던 전압이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storing a voltage appli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to a current stat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2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3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1 상태의 전기변색소자가 상기 제3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의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2 상태의 전기변색소자가 상기 제3 상태로 변색되는 경우의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이며, 상기 제1 임계시간과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transmittance and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greater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State or a third stat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transmittance,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first threshol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first state is discolored to the third state is set to a first threshold time , The critical time when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the second state changes to the third state is a second critical time, Liver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2 임계시간에 비해 긴 시간일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ime.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상태와 제3 상태의 투과율 차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투과율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third state,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었던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2 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었던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hreshold time is determin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ppli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to the first state and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is the tim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Can be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first voltag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2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3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적어도 임계시간만큼인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의 전기변색소자를 상기 제3 상태로 변경시키는 위해 제1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의 전기변색소자를 상기 제3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2 인가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transmittance and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greater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State or a third stat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transmittance,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control portion controls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for a first application tim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first state to the third state, And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second state to the third state.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가시간동안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인가시간동안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have the sam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second application time.

상기 제1 상태가 최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이고, 상기 제3 상태가 최고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모두 제1 인가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tate is the lowest transmittance and the third state is the highest transmittance, all the voltages output from the controller may be output during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의 투과율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인가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3 상태의 투과율 차이에 기초하여 제2 인가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first application time based on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second application time based on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third state .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일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voltage is applied for a critical time such that a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a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ustain step,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second threshold time.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임계시간 보다 길 수 있다.The second threshold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상기 유지단계는 유지전압이 인가되는 인가시간과 유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비인가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유지단계에서,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1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3 임계시간이고,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2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4 임계시간일 수 있다.Wherein the holding step includes an applying time period in which the holding voltage is applied and an unenrolled period in which the hold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in the holding ste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the unenrolled time is the first unenchanted time,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third threshold time and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a fourth critical time if the unauthorized time is a second unauthorized time.

상기 제1 비인가시간이 상기 제2 비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경우, 상기 제3 임계시간은 상기 제4 임계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When the first unauthorized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unauthorized time, the third threshold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time.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은 제1 유지전압이고,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은 제2 유지전압일 수 있다.The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may be a first sustain voltage, and the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econd state may be a second sustain voltage.

상기 제1 유지전압은 상기 제2 유지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holding voltag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hold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제1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일 수 있다.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iscolored into the first state in the discoloring step is a third state, and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coloration into the second state is a third state.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3 상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changed by the third state.

상기 제3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의 투과율 차이가 작아지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줄어들 수 있다.If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third state and the first state is small, 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reduced.

상기 임계시간은 온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can be changed by temperature.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제1 상태로 변색되는 임계시간은 제5 임계시간이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이 인가되어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임계시간은 제6 임계시간이며,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5 임계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일 수 있다.Wherein the threshold time that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step of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ause the discoloration of the first state is a fifth threshold tim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is the sixth threshold time, and 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fifth threshold tim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적어도 임계시간만큼인 인가시간동안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인가시간동안 제2 유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oved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have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holding ste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sustain voltage is applied for an application time that is at least a threshold time for allowing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to correspond,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sustain voltage for a first application time period to maintain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 The controller may apply a second sustain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period to maintain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유지단계는 유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비인가시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유지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1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3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2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4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Wherein the maintaining step further includes a non-application time when the holding voltage is not applied, and in the holding ste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n the non-application time is the first non-application time, And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first holding voltage for the fourth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first state when the non-application time is the second non-application time.

상기 제1 비인가시간이 상기 제2 비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경우 상기 제3 인가시간은 상기 제4 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If the first unauthorized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unauthorized time, the third application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ourth application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가 최고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변경될 수 있는 모든 상태로 변경 후 상기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인가시간 동안 유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when the second state has the highest transmittance, and then apply the sustain voltage for the second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changed state.

상기 제어부는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1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1 변색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2 변색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color fading voltag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 first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a second color fading voltag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econd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

상기 제1 변색전압은 상기 제1 유지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discoloration voltage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sustain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1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1 변색전압 인가시간 동안 제1 변색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2 변색전압 인가시간 동안 제2 변색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1 변색전압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 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a first color fading voltage during the first color fad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o change the color fading element to the first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The first discoloration voltage application time may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second discoloration voltage application time may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pplication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변색시 인가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lor change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은,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하는 변색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시간동안 인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임계시간과 같거나 긴 시간일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storage layer,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a first state having a first transmittance; And a holding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aintained for a duration of time in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second voltage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matched.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제1 전압을 인가시간 동안 인가하는 인가단계; 및 상기 제1 전압을 비인가시간동안 인가하지 않는 비인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인가시간의 길이에 의해 상기 인가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Wherein the maintaining step comprises: applying the first voltage for an application time; And a non-energizing step of not applying the first voltage for a non-energizing time, and the energizing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unenergized time.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비인가시간과 비례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may be proportional to the unauthorized time.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상기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상기 변색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1 상승시간을 가지고, 상기 유지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2 상승시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승시간은 상기 제2 상승시간에 비해 짧을 수 있다.In the color change step, the first voltage has a first rise time, the first voltage has a second rise time, and the first rise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rise time.

상기 변색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1 상승각도을 가지고, 상기 유지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2 상승각도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승각도는 상기 제2 상승각도에 비해 작을 수 있다.In the coloring step, the first voltage may have a first rising angle, the first voltage may have a second rising angle, and the first rising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rising angle.

상기 제1 상승각도는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first elevation ang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전기변색장치1. Electrochromic devic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1)는 제어모듈(100) 및 전기변색소자(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chromic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module 100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전기변색장치(1)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 can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전기변색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모듈(100)에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supply 2 may supply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 [ The external power supply 2 may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00. The external power supply 2 may supply voltage and / or current to the control module 100. The external power supply 2 may supply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구동전원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반사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탈색 또는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탈색 또는 착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based on the power receiv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and supply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driv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rough the driving power.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dis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discolor or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be discolored or color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탈색 또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hang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or 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미러일 수 있다. 상기 변색소자(200)는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일 경우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a mirror. The discoloration element 200 may be a window.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the reflectance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transmittance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착색되면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탈색되면 반사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the reflectance may decreas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olored, and the reflectance may increas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착색되면 투과율이 감소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탈색되면 투과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transmittance decreases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olored, and the transmittance increases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00)은 제어부(110), 전원변환부(12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control modul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power conversion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nd a storage unit 140. Referring to FIG.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변환부(12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the output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4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30)로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output unit 130 to control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전원(2) 또는 상기 전원변환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be operated by a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강하시켜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10 operates according to the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he controller 11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power. For example, when an AC voltage is input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he controller 110 may convert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use it for operation. Also, when the direct current voltage is inputt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he control unit 110 can lower the direct current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use it for the operation.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receive current and / or voltag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receive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내부전원을 상기 제어모듈(100)의 각각의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제어부(11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로 상기 내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원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가 상기 제어부(110)로 내부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에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generate an internal power supply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convert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o generate internal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 the output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40. The internal power source may be an operation power source for operat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The control unit 110, the output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40 may be operated by the internal power source.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supplies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may not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be o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capable of converting power.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고, 직류전원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한 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and change the power supply to a DC power supply. Alternatively,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change the level after chang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o DC power.

상기 전원변환부(12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직류전압으로 변경한 후 변경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적으로 조정하는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고, 펄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receives the A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changed DC voltage after changing the DC voltage. In this cas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include a regulat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include a linear regulator that directly adjusts the supplied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generates pulses based on the supplied power, and adjusts the amount of pulses to output the adjusted voltage. A switching regulator may be included.

상기 전원변환부(12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공급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receives a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2,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supplied DC voltage.

상기 전원변환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전원은 다수의 전압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120)는 상기 제어모듈(1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internal power output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may generate an internal power supply having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required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to operate.

상기 출력부(130)는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내부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다른 레벨을 가지는 구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The output unit 13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based on the internal power supply. The output unit 13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output unit 130 may a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output unit 130 may output a driving voltage having a different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at is, the output unit 13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by a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by a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상기 구동전압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착색과 탈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특정레벨이 0인 경우 상기 구동전압의 극성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 또는 탈색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loring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determined by the rang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if the driving voltage is higher than a specific level,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lower than a specific level. Alternative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ecolorize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higher than a specific level,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if the driving voltage is lower than a specific level. When the specific level is 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hanged to a colored or discolored state by the polarity of the driving voltage.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가 결정될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는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착색 또는 탈색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정도보다 큰 제2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큰 레벨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착색정도는 더 클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a first level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to a first degree. When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to a second degree larger than the first level. That is, when a large level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greater.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when a lar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decreas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a larger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decrease.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구동전압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에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data related to the driving voltage.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iscoloration degree. In the storage unit 140, driving voltages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로부터 변색정도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로드하여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discoloration degree from the outside, loads the corresponding driving voltage from the storage unit 140,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전극(210),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이온저장층(240)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210, an electrochromic layer 220, an electrolyte layer 230, an ion storage layer 240, and a second electrode 250. . ≪ / RTI >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및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lyte layer 2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One of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reflects incident light and the other may transmit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reflect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윈도우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인듐(indium), 주석(tin), 아연(zinc), 및/또는 옥사이드(oxide)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doped)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window,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metal doped with at least one of indium, tin, zinc, and / . ≪ / RTI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or indium zinc oxide (IZO).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미러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 중 어느 하나는 투명전극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210)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250)은 투명전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210)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금(Au), 은(Ag)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5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mirror,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ther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ivity. The first electrode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chromium (Cr), titanium (Ti), gold (Au), silver (Ag), and tungsten . ≪ / RTI >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상기 제1 전극(2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변색될 수 있다.The optical property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anged by ion moveme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scolored by ion moveme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전기변색층(220)에는 이온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 may be implan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When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light transmittance and / or light absorptivity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anged. When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reduced. When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When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reduced and colored.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주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Ions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separat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releas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ang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separat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 or light absorptivity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ang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ized by removing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separated,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reby color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r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separat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TiO, V2O5, Nb2O5, Cr2O3, MnO2, FeO2, CoO2, NiO2, RhO2, Ta2O5, IrO2 및 WO3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ovement.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TiO 2, V 2 O 5, Nb 2 O 5, Cr 2 O 3, MnO 2, FeO 2, CoO 2, NiO 2, RhO 2, Ta 2 O 5, IrO 2 and WO 3.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상기 전해질층(23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3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positioned on the electrolyte layer 23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이동에 의해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store ions.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in optical properties by ion migration.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by ion movement.

상기 이온저장층(240)에는 이온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이온이 주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s may b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When ions ar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 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by implanting ions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so that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be reduced and discolored. The ions ar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so that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be reduced and colored.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주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The ions implan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separated. When the 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releas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releas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 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oxidized by removing ions from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by removing ions from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moved, so that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by oxidation. Or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이온저장층(240) 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전기변색층(220)은 IrO2, NiO2, MnO2, CoO2,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및 titanium-vanadium oxide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물리적 내부구조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물리적 내부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ovement.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IrO2, NiO2, MnO2, CoO2,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and titanium-vanadi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fferent from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전해질층(23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 사이의 이온의 이동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의 입장에서는 이동통로가 되는데 반해, 전자의 입장에서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통해 이온은 이동할 수 있으나 전자는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와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으나, 전자를 교환할 수는 없다.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be a path for transferring ions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cts as a barrier in terms of electrons, while it acts as a transport channel in the case of ions. That is, ions can move through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ut electrons can not move. In other words,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but can not exchange electrons.

상기 전해질층(23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0)은 고체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0)은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HfO2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및 Hf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be a solid. The electrolyte layer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HfO2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and HfO2.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주입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은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released, the separated ions can b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released, Layer 220 as shown in FIG. The ions may be moved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서로 다른 반응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은 서로 반대되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산화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환원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될 수 있다.The chemical reactions occurr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fferent reactions.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opposite chemical reactions.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oxidiz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reduc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oxidized.

이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대향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serve as an opposite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의 이동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anged by ion movement.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에는 서로 대응되는 상태변경이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도 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도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환원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also be dis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oxidiz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and colore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reduc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have.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에는 서로 다른 상태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산화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의 서로 다른 상태 변경에 의해서도 투과도가 조절될 수 있다.Different states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oxidiz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oxidized and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have.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the transmittance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도는 착색된 층의 투과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착색시켰을 때,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착색시켰을 때의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착색층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determined by the transmittance of the colored layer,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less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when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color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 is colored. Therefor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olored layer.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uring coloration. Fig.

도 4a는 초기 상태의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 an initial state.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초기 상태에서의 전기변색소자(200)는 제어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o su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이온저장층(240)에는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형성과정에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은 H+ 및 Li+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inject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260 may be at least one of H + and Li +.

도면에서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이온은 전기변색층(220) 및 전해질층(23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기변색층(220) 및 전해질층(230)의 형성과정에서도 이온이 주입될 수도 있다.Although a plurality of ions 260 ar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0 in an initial state. That is, ions may also be implan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탈색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so that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in a state of being reduced and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4B,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에 저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250)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전압과 저전압은 상대적 개념으로 상기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된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low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apply a high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250. Here, the high voltage and the low voltage may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by a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by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210)에 전자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제1 전극(2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제1 전극(210)은 제1 전극(210)의 일측의 컨택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상기 컨택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는 상기 제1 전극(210)을 따라 상기 제1 전극(21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전자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의 전체영역에는 전자가 배치된다.Electrons may be injected into the first electrode 210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ns may move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ward the first electrode 210. Since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ntact region of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10, electrons moved to the contact reg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The first electrode 210 can be moved to the other side along the first electrode 210. Electrons are arrang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10 by electron moveme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10 to the other side.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다수의 이온(260)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전자와 다수의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와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전극(2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자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해질층(230)은 상기 이온(260)의 이동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막으므로,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머무를 수 있다.Since the electrons have polariti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lurality of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move in a direction to be close to each other by attraction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plurality of ions .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can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y attraction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ions. The electrons may move toward the second electrode 250 by attraction with the ions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ions 260 may move toward the first electrode 210 by attraction with the electrons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may remain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ecause the electrolyte layer 230 is used as a path of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prevents the electrons from moving. .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주입됨으로써 이온을 얻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착색되고, 이온을 잃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btained by ion implantation of the ions 260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reduced in color,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which has lost ions may be colored by oxidation. 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상기 전자의 제1 전극(210)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과 상기 제2 전극(250) 방향으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는 상기 제1 전극(2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전극(2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복합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위치하던 이온(260) 또한 상기 전자가 주입되는 영역에서의 이동이 먼저 일어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50 can occur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electrons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50 while being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10,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Such movement of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cause migration of the ions 260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electrons injected region.

즉,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어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먼저이동하고,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어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이온은 나중에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먼저 변색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 나중에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영역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외곽영역에 위치한다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변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순차적으로 착색될 수 있다.That is, ions of a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control module 100, are first moved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control Ions in the contact area and in the spaced apart area where the modul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can move later. As a resul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firs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may be discolored later in the area apart from the contact area. For example, if the contact region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in order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sequentially colored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주입되는 전자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의 변색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주입되는 전자의 개수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주입되는 전자의 개수는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20)의 전위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electrons inject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number of electrons injected by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by the control module 100. The number of electrons injected by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determined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That is, the control module 100 can control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djusting the voltage level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도 4c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변색이 완료된 경우 이온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C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ions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undergone color change.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주입된 전자와 전자에 의해 이동한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태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4C, when the electrons injected by the control module 100 and ions 260 moved by the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state Is maintained.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상태는 유지되는데, 이를 메모리 효과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maintained,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memory effect.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는 이온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머물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Ions exist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remain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eve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the control module 100. As a result,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element 200 can be maintained.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시 상태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upon decolorization.

도 5a는 초기상태의 전기변색장치의 나타내는 도면이다.5A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in an initial state.

도 5a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초기 상태에서의 전기변색소자(200)는 제어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상태이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20)에는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colored state, 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착색된 상태이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착색된 상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atively colored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in a reduced colored state.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250)에 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전압과 저전압은 상대적 개념으로 상기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된다. 상기 탈색과정에서의 전위차는 도 4의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차와 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착색과정에서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이고, 탈색과정에서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apply a low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250. [ Here, the high voltage and the low voltage may be a relatively higher voltage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in relation to the first electrode 210.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by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decoloring process may be opposit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in the coloring process of FIG.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during the coloring process is a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during the decoloring process is low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 May be a voltage of a level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50.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250)에 전자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제2 전극(25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제2 전극(250)은 상기 제2 전극(250)의 일측의 컨택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상기 컨택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는 상기 제2 전극(250)를 따라 상기 제2 전극(25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5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의 전자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전극(250)의 전체영역에는 전자가 배치된다.Electrons may be injected into the second electrode 250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ns may move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ward the second electrode 250. Since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ntact region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electrons moved to the contact reg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may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along the electrode 250. Electrons are dispos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50 by electron movement from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to the other side.

상기 전자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다수의 이온(260)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전자와 다수의 이온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와 이온(260)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이온(260)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자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전극(2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해질층(230)은 상기 이온(260)의 이동통로로 이용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막으므로, 상기 전자와 상기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머무를 수 있다.Since the electrons have polariti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lurality of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move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due to attraction between the electrons and a plurality of ions .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can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by attraction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The electrons may move toward the first electrode 210 by attraction with the ions 260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260 may move toward the second electrode 250 by attraction with the electrons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electrons and the ions 260 may remain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because the electrolyte layer 230 is used as a path of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주입됨으로써 이온을 얻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산화탈색되고, 이온을 잃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환원탈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될 수 있다.When the ions 260 ar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 storage layer 240 that has obtained ions is oxidized and discolored,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at has lost ions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상기 전자의 제2 전극(250)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과 상기 제1 전극(210) 방향으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는 상기 제2 전극(25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전극(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의 복합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하던 이온(260) 또한 상기 전자가 주입되는 영역에서의 이동이 먼저 일어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10 can occur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electrons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10 while being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Such movement of the electr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cause the ions 260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electrons to be injected to move first.

즉, 상기 제2 전극(25)과 상기 제어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의 이온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먼저이동하고, 상기 제2 전극(250)과 상기 제어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이온은 나중에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먼저 변색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 나중에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영역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외곽영역에 위치한다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변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외곽영역으로부터 중앙영역 순서로 순차적으로 탈색될 수 있다.That is, the ions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25 and the control module 100 are first moved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Ions in the contact area and in the spaced apart area where the modul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can move later. As a resul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firs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may be discolored later in the area apart from the contact area. For example, if the contact region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in order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sequentially decolorized from the outer region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도 5c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변색이 완료된 경우 이온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C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ions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undergone color change.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주입된 전자와 전자에 의해 이동한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태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5C, when the electrons injected by the control module 100 and ions 260 moved by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state Is maintained.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maintain a decolorized state.

2. 전기변색소자의 전압인가2. Voltage applic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00 can apply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20)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applied voltage may be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2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단계와 유지단계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an applying step and a holding step.

상기 인가단계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변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목적하는 변색레벨로 변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는 최초변색단계와 변색레벨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ying step may be a step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he applying step may be such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o a desired color fading level. The applying step may include an initial discoloring step and a discoloring level changing step.

상기 최초변색단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변색시키는 전압을 인가시키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변색레벨 변경단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특정 변색레벨로 변색된 상태에서 다른 변색레벨로 변색시키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discoloring step may be defined as a step of applying a voltage for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lor fading level changing step may be defined as a step of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a different fading level in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been discolored to a specific fading level.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유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단계에서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단계에서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sustain step refers to a step of applying a sustain voltag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sustaining voltage in a pulse form in the sustain step. The control module 100 can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periodically applying a pulse-like sustain voltage in the sustain step.

즉,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간동안 하이레벨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기간동안에는 로우레벨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주기적으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로우레벨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이 상기 유지단계에서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에 비해 상태유지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a high level voltage for a specific period and a low level voltage for a remaining period instead of continuously applying the voltage in the sustain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high level voltage periodically and a low level voltage during the remaining perio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state maintenanc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a method in which the control module 100 continuously applies a voltage by applying a pulse-like sustain voltage in the sustain step.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서 인가단계를 제외한 기간들은 유지단계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100)은 유지단계동안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을 일정한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유지단계에서 유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목적 레벨이 아닌 다른 레벨로 자연 변색된 전기변색소자(200)를 다시 목적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The periods except for the application step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sustain step, and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sustain voltage in a pulse form during the sustain step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 module 100 can mainta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t the target level again by applying the sustain voltage in the sustain step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naturally discolored to a level other than the target level with the passage of tim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자연 변색은 인가단계가 종료된 이후의 시간에 비례하므로, 상기 인가단계의 종료시점에 따라 상기 유지단계에서 인가되는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의 주기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인가단계가 종료된 이후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전압이 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인가단계가 종료된 이후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전압이 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할 수 있다.Since the natural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proportional to the time after the application step is completed, the period of the sustain voltage having the pulse shape applied in the sustain step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nd time of the application step. For example, when the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long is long, the control module 100 relatively lengthens the time of applying the sustain voltage to the high level, When the tim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device 200 is relatively short, the control module 100 can relatively shorten the time at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applied to the high level.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자연 변색은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된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레벨에 비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tural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scoloration level of the discolored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application step.

즉,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자연변색정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경우에는 상기 인가단계의 목적레벨과 자연변색 후 변색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상기 유지전압이 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high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application step may have a relatively large degree of natural discolora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high discoloration degree in the application ste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level of the application step and the discoloration level after natural discoloration may be relatively large.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00 can maintain a relatively long time for applying the sustain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high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application step.

또한,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작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자연변색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작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경우에는 상기 인가단계의 목적레벨과 자연변색 후 변색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인가단계에서 변색정도가 작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상기 유지전압이 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small discoloration degree in the application step may have a relatively small natural discoloration degree.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small discoloration degree in the application ste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level of the application step and the discoloration level after natural discoloration may be relatively small.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00 can maintain a relatively short time during which the sustain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ing a small discoloration degree in the application step.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승기간 이후 일정레벨의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승시간은 상기 유지단계에서의 상승시간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승기간은 상기 유지단계에서의 상승기간보다 길 수 있다.θ1)가 되도록 인가한 후 일정레벨의 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승시간에서 인가전압의 기울기가 제2 각도(θ2)가 되도록 인가한 후 일정레벨의 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θ1)는 상기 제2 각도(θ2)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θ1)는 상기 제2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θ2)는 직각일 수 있다.In the apply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voltage after the rising period. The rising time in the applying step may be different from the rising time in the holding step. The rising period in the applying step may be longer than the rising period in the holding step. [Theta] 1), and a voltage of a certain level may be maintained. In the hold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having a slope of the applied voltage at a rising time to a second angle? 2, and then maintain a voltage of a certain level. The first angle? 1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angle? 2. The first angle? 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2. The second angle [theta] 2 may be a right angle.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대적으로 서서히 증가시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 내부가 전기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상승기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 내부가 전기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각도(θ1)가 예각이 되도록 인가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apply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gradually increase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being electrically damaged. That is, in the apply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the rising period for a relatively long time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being electrically damaged. In other words, in the apply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n applied voltage so that the first angle? 1 is acute, thereby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being damaged.

상기 제1 각도(θ1)는 인가되는 일정레벨의 전압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 내부의 손상은 인가되는 일정레벨의 전압의 크기에 기인하므로, 상기 일정레벨의 전압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제1 각도(θ1)는 커질 수 있고, 상기 일정레벨의 전압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제1 각도(θ1)는 작아질 수 있다.The first angle? 1 may be changed based on a voltage of a certain level to be applied. Since the damage insid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ue to the magnitude of a voltage of a certain level to be applied, the first angle? 1 can be increased when the voltage of the certain level is large, The first angle? 1 can be made smaller.

상기 유지단계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에 의해 내부전압이 존재하는 상태이므로, 전압이 급격히 상승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승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인가하여 목적레벨로 회복되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In the sustain step,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state in which an internal voltage is present due to discoloration, so that even if the voltage is abruptly increase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not be electrically damaged. Therefore, in the maintenance step, the control module can speed up the recovery to the target level by applying the rise time relatively short.

다만, 자연변색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이 변색되지 않은 초기상태로 돌아간 경우에는 상기 유지단계에서도 제2 각도(θ2)가 예각인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not discolored due to natural discoloration, a voltage having an acute angle of the second angle? 2 may be applied in the maintaining step.

3. 전기변색장치의 착색과정3. Coloration process of electrochromic device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내부 전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potential before a voltage is appli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어모듈(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전극(210),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이온저장층(240)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10, an electrochromic layer 220, an electrolyte layer 230, an ion storage layer 240, and a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이온저장층(240)에는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efore the voltage is applied may be in a discolored state. 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dispos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각각의 층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전위는 접지를 기준으로하는 전위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50)의 내부전위는 제1 내부전위(Va)로 정의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는 제2 내부전위(Vb)로 정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는 제3 내부전위(Vc)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전극(210)의 내부전위는 제4 내부전위(Vd)로 정의될 수 있다. Each laye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have an internal potential. The internal potential may be a potential based on the ground.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second electrode 250 is defined as a first internal potential Va,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defined as a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efined as a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defined as a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내부전위(Va)와 제4 내부전위(Vd)는 0일 수 있다.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ccordingly,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and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may be zero.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는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an internal potential.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2 내부전위(Vb) 및 제3 내부전위(Vc)는 빌트인 퍼텐셜(Built-in potential)일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 및 제3 내부전위(Vc)는 각각의 층의 물질 특성, 인접하는 층의 물질과의 관계 및 포함하는 이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built-in potentials.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varied by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respective lay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s of the adjacent layers, and the included ions.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의 에너지 준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by an energy level of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40.

또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이온저장층(240)과 상기 전해질층(230)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이온저장층(240)과 상기 제2 전극(250)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로 표시될 수 있다.Or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0. Or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Even if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in energy level between the adjacent layers,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포함된 이온(26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원(Vb)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포함된 이온(260)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by the ions 260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Vb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ions 260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한 이온저장층(240) 자체의 에너지 준위,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차이 및 포함된 이온(26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한 이온저장층(240) 자체의 에너지 준위,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차이 및 포함된 이온(260)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energy leve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tself, the energy level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layer, and the contained ions 260. Alternatively,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etermined in a complex manner by the energy leve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tself, the energy level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layer, and the included ions 260.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의 에너지 준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an energy level of a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또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제1 전극(210)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40)과 상기 전해질층(230)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로 표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Or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a difference in energy level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4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0. Even i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determined by a difference in energy level between adjacent layers,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포함된 이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포함된 이온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the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한 전기변색층(220) 자체의 에너지 준위,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차이 및 포함된 이온(26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한 전기변색층(220) 자체의 에너지 준위, 인접하는 층과의 에너지 준위차이 및 포함된 이온(260)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energy leve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tself, the energy level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layer, and the contained ions 260. Alternatively,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can be determined in a complex manner by the energy leve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tself, the energy level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layer, and the contained ions 260.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착색 초기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change in the initial stage of coloring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에 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250)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low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a high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제2 전극(250)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전극(250)의 내부전위가 인가되는 고전압에 대응되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50)의 제1 내부전위(Va)는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As th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rise corresponding to a high voltage applied thereto.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of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rise to correspond to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

상기 제2 전극(25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2 전극(250)의 내부전위의 상승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도 상승한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의 상승으로,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2 내부전위(Vb)도 상승한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동일한 레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부전위(Va)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다른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에 비해 높을 값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lso increases as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second electrode 250 rises. As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rises,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lso increases.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at the same level. Alternatively,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have different levels.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40)과 전기변색층(220)의 전위차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 사이에 전위차가 생성될 수 있다.As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ncreases,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can be generated. 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s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rises.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존재하던 이온(260)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ions 260 existing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move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ions 260 may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가 일정범위 이상이 되면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서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잃어 산화변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260)을 얻어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잃어 산화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260)을 얻어 환원착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 및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착색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 및 상기 전기변색층(220)이 착색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은 낮아질 수 있다. The ions 260 may be moved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in a certain range or more have.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lose the ions 260 and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by moving the ions 260 from the ion storage layer 240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May obtain ions 260 to be reduced and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oxidatively colored by losing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olored by reducing ions 260. The ion-storing layer 24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olored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lowered by coloring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과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의 입자사이에 물리적으로 삽입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The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exist in a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physically inserted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Alternatively,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hemically bonded to the mater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존재하던 이온(260)을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일정범위 이상의 전위차가 필요하다. 상기 이온(26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의 전압은 제1 문턱전압(Vth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otential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range is required to release the binding of the ions 260 existing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to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minimum voltage required to release the bond between the ions 260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efined as a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ions 260 may be transferred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 전위(Vc)가 상승할 수 있다.As the ions 260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rise. The third electric potential Vc can be raised by moving the ions 260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착색 완료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change in the coloring completion step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과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o receive a voltage.

도 8에서 상기 제2 전극(250)에 인가되었던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상승하고,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존재하던 이온(260)이 이동한다.8,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rises due to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ions 260 existing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move.

도 9는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상승할 수 있다.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s completed. As the ions 260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rise.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can be increased by moving the ions 260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는 일정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일정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일정레벨 차이가 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제1 문턱전압(Vth1)만큼 차이가 날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즉, 착색완료단계에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제2 내부전위(Vb)의 차이는 제1 문턱전압(Vth1)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rise to a certain level.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rise to a certain level.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rise until a certain level difference from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rise until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differ from each other. That is, in the coloring completion ste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이온(260)이 이동되며,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상승하는데,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차이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의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이온(260)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에서 상기 제1 문턱전압(Vth1)을 뺀 값만큼 까지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에 변경이 없는한 유지될 수 있다.The ions 260 move according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ris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ions 260 can not move. Therefore,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can be increased only up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from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maintained as long as there is no change i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투과율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도 10의 전압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위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도 7과 같이 초기상태가 탈색상태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다수의 이온(260)을 포함한다.10 may refer to a potential difference du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s shown in FIG. 7,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discolored state in an initial state. The ion storage layer 24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ions 26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더라도, 일정레벨까지는 투과율이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온(260)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인가된 전위차가 일정레벨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온(260)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에서 이동하므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미만인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인 경우에만 이동한다.Even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rises, the transmittance does not change to a certain level. A plurality of ions 260 present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inject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until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reaches a certain level. ). A plurality of ions 260 existing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move above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so tha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becomes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without moving when the first electrode 210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미만인 경우에는 이온(260)의 이동이 없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인 경우에는 이온(260)이 이동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미만인 경우에는 투과율의 변화가 없고,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인 경우에는 투과율이 변경된다.Therefore,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ions 260 do not move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not discolored .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ions 260 are moved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Therefore,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re is no change in the transmittance and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2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transmittance is changed.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이 착색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은 특정투과율까지 낮아질 수 있다.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colored, ) Gradually decreases.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lowered to a specific transmittance.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1 전압(V1)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1 투과율(T1)을 가질 수 있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2 전압(V2)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투과율(T2)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압(V1)은 상기 제2 전압(V2)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1 투과율(T1)은 상기 제2 투과율(T2)보다 클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an chang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have the first transmittance T1 by applying a first voltage V1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have a second transmittance T2 by applying a second voltage V2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first voltage V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voltage V2, and the first transmittance T1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transmittance T2.

또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현재상태와 관계없이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대투과율(Ta)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압(V2)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투과율(T2)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1 투과율(T1)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압(V2)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투과율(T2)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an change the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second voltage V2 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maximum transmittance Ta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second transmittance T2 .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second voltage V2 in a state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first transmittance T1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transmit the second transmittance T2 So that it can be discolored.

상기 제어모듈(100)이 현재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원하는 투과율로 변색시킬 수 있어, 현재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ontrols the siz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a desired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Can be omitted.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원하는 투과율로 변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change to a desired transmittance based on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변색완료 후 전압인가가 해제되었을 때의 전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potentials when voltage application is released after completion of color fading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어모듈(100)은 변색이 완료된 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인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제1 전극(210)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제2 전극(250)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은 플로팅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an release the voltage application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fter the discolo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and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loating.

상기 제2 전극(250)에 인가되었던 전압이 제거되어 상기 제2 전극(250)의 내부전위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는 하강할 수 있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is removed and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second electrode 250 can be lowered.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may fall.

상기 제2 전극(250)의 내부전위가 하강하여 상기 제2 전극(250)과 연결된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 또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가 하강하여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하강할 수 있다.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lowered and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also be lowered.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may drop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fall.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가 하강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와 전위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머무를 수 있다.The ions 260 may remain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even if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falls and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ccurs.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인가되었던 전압이 해제되어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메모리 효과(memory effect)라고 정의할 수 있다.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s releas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ions 260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This can be defined as a memory effect.

상기 메모리 효과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변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비가 줄어들어 소비전력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emory effect can maintain the discolored state even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maintain the cond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메모리 효과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이온(260)이 이동하여 변색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누설효과(leakage effect)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누설효과는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누설효과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자연변색될 수 있다.Even i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a memory effect, the ion 260 may move naturally over time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may be changed. This can be defined as a leakage effect. The leakage effect may be proportional to tim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naturally discolored by the leakage effect.

4. 전기변색장치의 탈색과정4. Discoloration process of electrochromic device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변색완료 후 전압인가가 해제되었을 때의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임과 동시에 상기 전기변색장치가 착색된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기 전의 내부전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chromic device when voltage application is released after completion of discolo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shows the internal potential before a voltage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olored. FIG.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어모듈(10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The control module 100 does not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an initial state. The control module 100 does not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전기변색층(260)에는 다수의 이온(2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60)에 다수의 이온(260)이 존재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는 착색상태일 수 있다.In the initial state, a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positio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60.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colored by the presence of a plurality of ions 260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60.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와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내부전위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보다 클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an internal potential.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greater than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보다 낮을 수 있다.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different from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low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탈색 초기단계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potential change in an initial stage of decolorizat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250)에 저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a low voltage to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제1 전극(210)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전극(210)의 내부전위가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인가되는 고전압에 대응되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의 제4 내부전위(Vd)는 상기 제어모듈(1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As th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first electrode 210 may rise corresponding to the high voltage appli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of the first electrode 210 may rise to correspond to a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1 전극(210)의 제4 내부전위(Vd)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도 상승한다.Since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of the first electrode 210 rises, The internal potential Vc also increases.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4 내부전위(Vd)는 동일한 레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4 내부전위(Vd)는 서로 다른 레벨일 수 있다. 상기 제4 내부전위(Vd)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may be at the same level. Alternatively,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may be at different levels. The fourth internal potential Vd may have a higher value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 사이에 전위차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 사이에 전위차가 생성될 수 있다.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s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ncreases. 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s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rises.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던 이온(260)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ions 260 exist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can move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The ions 260 may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가 일정범위 이상이 되면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상기 이온(260)을 잃어 산화변색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이온(260)을 얻어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산화탈색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환원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탈색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상기 이온저장층(240)이 탈색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은 높아질 수 있다.The ions 260 can be moved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within a certain range have.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by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by losing the ions 26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receive the ions 260 to be reduced and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reduced and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scolored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ecoloriz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의 입자사이에 물리적으로 삽입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exist in a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the material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physically inserted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lternatively, the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hemically bonded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던 이온(260)을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일정범위 이상의 전위차가 필요하다. 상기 이온(260)과 상기 전기변색층(220)을 구성하는 물질과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의 전압은 제2 문턱전압(Vth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가 상기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otential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range is required to release the binding of the ions 260 exist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o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minimum voltage required to release the bond between the ions 260 and the material forming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efined as a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 ions 260 can be moved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260)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의 세기와 상기 이온저장층(240)과 상기 이온(260)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의 세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내부물질의 물리적 구조가 상이하므로, 상기 이온(260)과의 물리적 결합의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내부물질의 화학구조가 상이하므로, 상기 이온(260)꽈의 물리적 결합의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The intensity of the physical and / or chemical coupling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s 260 and the intensity of the physical and / or chemical coupling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ions 26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have. Since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tensity of physical coupling with the ions 260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have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from each other, the intensity of the physical coupling between the ions 26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different.

따라서,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2 문턱전압(Vth2)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제1 문턱전압(Vth1)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상승할 수 있다.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be raised by moving the ions 260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can be raised by moving the ions 260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서 탈색 완료상태의 전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potential change in the decolorized state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어모듈(100)과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o receive a voltage.

도 12에서 상기 제1 전극(210)에 인가되었던 고전압에 의해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상승하고,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던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한다.12,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rises due to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The ions 260 exist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도 13은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상승할 수 있다.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s complete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can be raised by moving the ions 260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내부전위는 일정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일정레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제2 문턱전압(Vth2)만큼 차이가 날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즉, 탈색완료단계에서 상기 제 3 내부전위(Vc)와 제2 내부전위(Vb)의 차이는 제2 문턱전압(Vth2)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The internal potential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rise to a certain level.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rise to a certain level.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rise until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differ.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n the decoloring completion step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이온(260)이 이동되며, 상기 이온(2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상승하는데, 상기 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차이가 상기 제2 문턱전압(Vth2)의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이온(260)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에서 상기 제2 문턱전압(Vth2)을 뺀 값만큼 까지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제3 내부전위(Vc)에 변경이 없는 한 유지될 수 있다.The ions 260 move according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ris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 The ions 260 can not mov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3 internal potentials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s Vb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refore,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can be increased only up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from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maintained as long as there is no change i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완료후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의 전압인가가 해제되는 경우 도 7과 같은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When the voltage applic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s released after the discoloration is complete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투과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도 14의 전압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위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은 제2 전극(25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위차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도 11과 같이 초기상태가 착색상태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기변색층(220)은 다수의 이온(260)을 포함한다.14 may refer to a potential difference du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voltage may be a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an initial state of a colored state as shown in FIG.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ions 26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더라도, 일정레벨까지는 투과율이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온(260)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인가된 전위차가 일정레벨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온(260)은 상기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에서 이동하므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미만인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상기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인 경우에만 이동한다.Even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rises, the transmittance does not change to a certain level. The plurality of ions 260 presen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ion storage layer 240 until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reaches a certain level. ). Since a large number of ions 260 presen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ove above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becomes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do not move but move only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미만인 경우에는 이온(260)의 이동이 없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인 경우에는 이온(260)이 이동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변색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미만인 경우에는 투과율의 변화가 없고,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인 경우에는 투과율이 변경된다.Therefore,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re is no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not discolored .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 ions 260 move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Therefore, 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re is no change in transmittance, and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2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 transmittance is changed.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전위차가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이 탈색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은 특정투과율까지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discolored, ) Gradually increases.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creased to a specific transmittance.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상기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3 전압(V3)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3 투과율(T3)을 가질 수 있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4 전압(V4)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4 투과율(T4)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전압(V3)은 상기 제4 전압(V4)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3 투과율(T3)은 상기 제4 투과율(T4)보다 작을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have the third transmittance T3 by applying the third voltage V3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have a fourth transmittance T4 by applying a fourth voltage V4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third voltage V3 may be smaller than the fourth voltage V4, and the third transmittance T3 may be smaller than the fourth transmittance T4.

또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상기 제2 문턱전압(Vth2)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현재상태와 관계없이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소투과율(Tb)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4 전압(V4)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4 투과율(T4)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3 투과율(T3)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4 전압(V4)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4 투과율(T4)을 가지도록 변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fourth voltage V4 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minimum transmittance Tb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fourth transmittance T4 .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fourth voltage V4 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the third transmittance T3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transmit the fourth transmittance T4 So that it can be discolored.

상기 제어모듈(100)이 현재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원하는 투과율로 변색시킬 수 있어, 현재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ontrols the siz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a desired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 current state, Can be omitted.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원하는 투과율로 변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change to a desired transmittance based on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

5. 착색과 탈색에서의 전압인가에 따른 투과율5. Transmittance according to voltage application in coloring and decolorization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인가전압과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de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앞서 설명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착색과정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색장치는 탈색과정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determined by a voltage appli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Also, as shown in FIG. 14, the transmittance can be determined by the voltage applied in the decoloring process.

도 15에서는 착색과정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투과율의 변화와 탈색과정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투과율의 변화를 비교하여 설명한다.In FIG. 15, the change of the transmittance by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and the change of the transmittance by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are compared and described.

도 15의 제1 상태(S1)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S2)는 상기 제1 상태(S1)보다 낮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제3 상태(S3)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소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제4 상태(S4)는 상기 제2 상태(S2)와 상기 제3 상태(S3) 사이의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전압(V)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위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전위차는 제1 전극(210)을 기준으로 제2 전극(250)의 전압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state S1 of FIG. 15 indicates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a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second state S2 indicates a state having a lower transmittance than the first state S1 The third state S3 indicates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a minimum transmittance and the fourth state S4 indicates a state where the transmittance between the second state S2 and the third state S3 . In addition, the voltage V means a potential difference du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may be defined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de 210.

도 16a는 제1 상태(S1)에서의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A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first state S1.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내부전위를 가지지 않는다.The control module 100 does not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do not have an internal potential.

상기 이온(26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상태(S1)가 될 수 있다.The ions 260 may be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 the first state S1 because the ions 260 are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상기 이온(260)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260)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비해 높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제2 내부전위(Vb)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에 비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a relatively high internal potential by the ions 260.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have a higher internal potential tha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y the ions 260.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

도 16b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내부전위와 이온(260)의 위치를 나타낸다.16B shows the internal potential and the position of the ions 260 in a state where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s completed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module 100. FIG.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5 전압(V5)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에 제5 전압(V5)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과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가 제5 전압(V5)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과 상기 제1 전극(210)의 전위차가 제5 전압(V5)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B,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fifth voltage V5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IG.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fifth voltage V5 to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voltage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is a fifth voltage V5.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voltage such tha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is a fifth voltage V5.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제5전압(V5)이 인가되어 상기 제1 내부전위(Va)가 상기 제5 전압(V5)까지 상승한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2 내부전위(Vb) 또한 상승하여 상기 제1 내부전위(Va)와 대응되는 레벨을 가진다.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fifth voltage V5 to raise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to the fifth voltage V5.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lso rises with the rise of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to have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을 얻어 환원착색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잃어 산화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이 착색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2 상태(S2)가 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착색에 의해 상기 제1 상태(S1)보다 낮은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S2)가 될 수 있다.The ions 260 can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colored by reducing ions,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lose its ion 260 and may be colored by oxida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be colored to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t this tim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 the second state S2.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come a second state S2 having a lower transmittance than the first state S1 due to coloring.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는 이온(260)을 얻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특정한 레벨차이가 날때까지 상승하여,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내부전위(Vb)보다 제1 문턱전압(Vth1)만큼 낮은 레벨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제3 내부전위(Vc)의 차는 제1 문턱전압(Vth1)일 수 있다.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increased by obtaining the ions 260.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rises until a specific level difference from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reached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ion 260 is complete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b is lower tha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by a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여기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하는 이온(260)의 개수와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하는 이온(260)의 개수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변색정도와 관련된다. 즉,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는 이온의 개수가 많으면,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착색정도는 크고,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존재하는 이온의 개수가 작으면,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착색정도는 작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와 연관되므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에 비례할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ons 260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number of ions 260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related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at is, when the number of ions presen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high,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high, and when the number of ions presen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small,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discoloration layer 220 is small. Sinc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is related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는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하는 이온(260)과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위치하는 이온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ratio of ions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o ions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도 17a는 제3 상태(S3)에서의 전기변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7A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third state S3.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은 내부전위를 가지지 않는다.The control module 100 does not apply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do not have an internal potential.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40)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3 상태(S3)가 될 수 있다.The ions 260 may be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Since the ions 260 are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4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 a third state S3.

상기 이온(26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26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비해 높은 내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제2 내부전위(Vb)에 비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도 16의 제2 내부전위(Vb)보다 크게 도시하였는데, 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실제 전위 값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have a relatively high internal potential by the ions 26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have a higher internal potential than the ion storage layer 240 due to the ions 260.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Here,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shown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n FIG. 16, which is for eas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represent the actual potential value.

도 17b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내부전위와 이온(260)의 위치를 나타낸다.17B shows the internal potential and the position of the ions 260 in a state where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s completed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module 100. FIG.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제5 전압(V5)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5 전압(V5)은 도 16b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에 제5 전압(V5)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과 제1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가 제5 전압(V5)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상기 제2 전극(250)과 상기 제1 전극(210)의 전위차가 제5 전압(V5)이 되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B,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the fifth voltage V5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IG. The fifth voltage V5 is equal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FIG. 16B.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fifth voltage V5 to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voltage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is a fifth voltage V5.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apply a voltage such tha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is a fifth voltage V5.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제5전압(V5)이 인가되어 상기 제1 내부전위(Va)가 상기 제5 전압(V5)까지 상승한다. 상기 제1 내부전위(Va)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2 내부전위(Vb) 또한 상승하여 상기 제1 내부전위(Va)와 대응되는 레벨을 가진다.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the fifth voltage V5 to raise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to the fifth voltage V5.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lso rises with the rise of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to have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potential Va.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2 내부전위(Vb)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을 잃어 산화탈색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얻어 환원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60)이 탈색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탈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4 상태(S4)가 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탈색에 의해 상기 제3 상태(S3)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제4 상태(S4)가 될 수 있다. 상기 제4 상태(S4)는 상기 제3 상태(S3)보다 투과율이 높은 상태일 수 있다.The ions 260 may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loses ions and is oxidized and decolorized,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receives the ions 260 to be reduced and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60 may be discolored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At this tim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 the fourth state S4.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come a fourth state S4 having a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third state S3 due to decoloration. The fourth state S4 may have a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third state S3.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제3 내부전위(Vc)는 이온(260)을 잃어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특정한 레벨차이가 날때까지 하강하여,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내부전위(Vb)보다 제2 문턱전압(Vth2)만큼 높은 레벨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제2 내부전위(Vb)의 차는 제2 문턱전압(Vth2)일 수 있다.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may drop due to the loss of the ions 260.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lowered until a specific level difference from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reached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lower tha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when the movement of the ion 260 is completed. Vth2).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may be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여기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투과율에 비례할 수 있다. Here,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proportional to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도 16과 도 17을 비교하면, 도 16과 도 17은 초기상태가 다르고 인가하는 전압은 동일하다. 도 16은 착색을 위해 제5 전압(V5)을 인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은 탈색을 위해 제5 전압(V5)을 인가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의 초기상태는 최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이고, 도 17의 초기 상태는 최저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이다.Comparing FIG. 16 and FIG. 17, FIGS. 16 and 17 show different initial states and voltages applied thereto. Fig.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fth voltage V5 is applied for coloring, and 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fth voltage V5 is applied in order to decolorize. The initial state in FIG. 16 is the state having the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initial state in FIG. 17 is the state having the lowest transmittance.

도 16b에서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와 도 17b에서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도 16b에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도 17b에서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fter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fter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ions 260 in FIG. have. In FIG. 16B,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n FIG. 17B.

도 16b에서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상기 제5 전압(V5)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상기 제5 전압(V5)에 비해 제1 문턱전압(Vth1)만큼 작을 수 있다.In FIG. 16B,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smaller than the fifth voltage V5.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V5 by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도 17b에서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상기 제5 전압(V5)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크기는 상기 제5 전압(V5)에 비해 제2 문턱전압(Vth2)만큼 클 수 있다. In FIG. 17B, the magnitude of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larger than the fifth voltage V5.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greater than the fifth voltage V5 by a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따라서, 도 16b의 광학적 상태인 제2 상태(S2)에서의 투과율은 도 17b의 광학적 상태인 제4 상태(S4)에서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착색과정에서 특정전압을 인가하고, 탈색과정에서 특정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광학적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착색과정에서 특정전압을 인가하고 탈색과정에서 착색과정에 인가했던 특정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착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은 탈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Therefore,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state S2, which is the optical state in Fig. 16B, may be high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fourth state S4 in the optical state in Fig. 17B.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applies a specific voltage in the coloring process and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decoloring process, the optical state may be changed.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vary the transmittance when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and a voltage equal to a specific voltage applied during the coloring process is applied. That is, the transmittance when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coloring process may be greater than the transmittance when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decoloring process.

다만, 도면에서는 착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이 탈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보다 큰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착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이 탈색과정에 특정전압을 인가받는 경우의 투과율보다 작을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the transmittance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coloring process is greater than the transmittance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color decoloring proces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Conversely, May be smaller than the transmittance when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in the process.

이러한 현상은 전술한 이온의 이동과 문턱전압에 기인한 결과일 수도 있고, 전기변색층(220)과 이온저장층(240)이 서로 다른 문턱전압을 가지는 결과일 수도 있다.This phenomenon may be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ions and the threshold voltage described above, or may result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having different threshold voltages.

추가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과정인지 탈색과정인지에 따라 인가하는 구동전압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과정을 판단하여 이에 기초한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0 may vary a driving voltage to be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a coloring process or a decoloring process. The control module 100 may determine the discoloration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apply a driving voltage based on the discoloration process.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변색과정별 구동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140)에는 착색과정에서의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과 탈색과정에서의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voltage for each discoloration proces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That is,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coloring process and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discoloring proces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또한, 상기 제어모듈(100)은 이전에 인가한 전압에 기초하여 변색과정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저장부(140)에 출력한 구동전압을 기록하고, 이후 구동시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 구동전압을 불러와 현재 구동전압과 비교하여 변색과정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 구동전압에 의해 이전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전 상태와 목적 상태를 비교하여 변색과정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0 may determine the discoloration process based on the previously applied voltage.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00 records the driving voltage outputted to the storage unit 140, and then, upon driving, retrieves the previous driving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compares the previous driving voltage with the current driving voltage, The process can be judged. The control module 100 calculates the previous state by the previous driving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compares the calculated previous state with the target state to determine the discoloration process, Can supply.

예를 들어, 착색과정인 도 16b의 제2 상태(S2)와 동일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탈색과정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제6 전압(V6)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6 전압(V6)은 상기 제5 전압(V5)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도 16b의 제3 내부전위(Vc)와 동일한 내부전위를 가지려면, 도 17b에서의 제3 내부전위(Vc)를 하강시켜야하므로, 상기 제5 전압(V5)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면, 탈색과정에서 제2 상태(S2)를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realize the same state as the second state S2 of FIG. 16B, which is a coloring process,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the sixth voltage V6 in the decoloring process. The sixth voltage V6 may be a voltage lower than the fifth voltage V5. In order to have the same internal potential as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n FIG. 16B,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n FIG. 17B must be lowered. Therefore, when a voltage lower than the fifth voltage V5 is applied, A second state S2 may be implemented.

반대로, 탈색과정인 도 17b의 제4 상태(S4)와 동일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착색과정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5 전압(V5)보다 큰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7b의 제3 내부전위(Vc)와 동일한 내부전위를 가지려면, 도 16b에서의 제3 내부전위(Vc)를 상승시켜야 하므로, 상기 제5 전압(V5)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착색과정에서 제4 상태(S4)를 구현할 수 있다.In contrast, in order to realize the same state as the fourth state S4 of FIG. 17B, which is a color decoloring process, the control module 100 can apply a voltage higher than the fifth voltage V5 . In order to have the same internal potential as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n FIG. 17B,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n FIG. 16B must be raised. Therefore,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fifth voltage V5 is applied, The fourth state S4 may be implemented.

6. 착색과 탈색과정에서의 불변구간6. Invariant sections during coloration and decolorization

도 18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인가전압과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탈색과정과 착색과정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colo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도 18의 제3 상태(S3)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소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5 상태(S5)는 상기 제3 상태(S3)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전압(V)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한 전위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전위차는 제1 전극(210)을 기준으로 제2 전극(250)의 전압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The third state S3 in FIG. 18 indicates a stat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s a minimum transmittance and the fifth state S5 indicates a state having a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third state S3 . In addition, the voltage V means a potential difference du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Here, the potential difference may be defined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de 250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de 210.

도 18은 제1 구간(P1), 제2 구간(P2) 및 제3 구간(P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간(P1)은 탈색구간일 수 있고, 제2 구간(P2)은 불변구간일 수 있고, 상기 제3 구간(P3)은 착색구간일 수 있다.FIG. 18 includes a first section P1, a second section P2 and a third section P3. The first section P1 may be a decolorizing section, the second section P2 may be an unchanging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P3 may be a coloring section.

상기 제1 구간(P1)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3 상태(S3)에서 제5 상태(S5)로 변경되는 구간일 수 있고, 상기 제2 구간(P2)은 제5 상태(S5)를 유지하는 구간일 수 있고, 상기 제3 구간(P3)에서 제5 상태(S5)로 변경되는 구간일 수 있다.The first period P1 may be a period during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hanges from the third state S3 to the fifth state S5 and the second period P2 may be a period during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hanges from the fifth state S5 ), And may be a section that changes from the third section P3 to the fifth section S5.

도 19a는 제1 구간(P1)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first section P1.

도 18과 함께 도 19a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3 상태(S3)에서 제5 상태(S5)로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3 상태(S3)에서 제5 상태(S5)로 탈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A together with FIG. 18,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hanged from the third state S3 to the fifth state S5.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discolored from the third state S3 to the fifth state S5.

상기 제3 상태(S3)에서 상기 이온(260)은 상기 전기변색층(2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전극(250)에 점차적으로 레벨이 낮아지는 전압(V)을 인가하면,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낮아져서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260)을 잃어 산화탈색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얻어 환원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20)의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점차 낮아진다.In the third state (S3), the ions (260) may be locat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t this time, when a voltage (V)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level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is lowered, and the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may move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In this process,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loses ions 260 to be oxidized and decolorized,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may receive ions 260 to be reduced and decolorized. The ions 260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re transferred to the ion storage layer 240 so that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gradually decreases.

상기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7 전압(V7)에 도달한 상태로 전압의 하강이 중단되면, 상기 제3 내부전위(Vc) 또한 특정 레벨까지 하강한후 하강이 중단된다. 이 때,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 상기 제7 전압(V7)의 전압차이는 제2 문턱전압(Vth2)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내부전위(Vc)는 상기 제7 전압(V7)보다 상기 제2 문턱전압(Vth2)만큼 높은 전압을 가지는 상태에서 전압하강이 중단된다.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reaches the seventh voltage V7 and the voltage drop is stoppe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lso falls to a certain level and then falls. At this tim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seventh voltage V7 may be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at is,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lowered by a voltage higher than the seventh voltage V7 by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도 19b는 제2 구간(P2)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9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second section P2. FIG.

도 18과 함께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5 상태(S5)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P2)은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더라도 투과율이 유지되는 구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B together with FIG. 18,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maintained in the fifth state S5. The second section P2 may be a section where the transmittance is maintained even if the applied voltage rises.

일반적인 경우 인가되는 전압을 상승시키면, 착색에 의해 투과율이 작아진다. 다만, 이전 구간이 탈색구간인 경우 일정범위동안 전압을 상승시킨다고 하더라도 투과율이 변경되지 않는다. 전압의 변경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되지 않는 구간을 불변구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applied voltage is increased, the transmittance is decreased by coloring. However, if the previous section is a decolorizing section, the transmittance is not changed even if the voltage is raised for a certain range. An interval in which the transmittance is not changed by changing the voltage can be defined as an invariable interval.

상기 불변구간은 이전 구간이 탈색구간인 경우 착색을 위해 전압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나타날 수도 있고, 이전 구간이 착색구간인 경우 탈색을 위해 전압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The invariable section may be displayed when the voltage is increased for coloring in the previous section, or may be decreased when the previous section is the coloring section.

상기 제1 구간(P2)에 의해 제 7 전압(V7)이 인가되었던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V)을 점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V)이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온(260)은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전압(V)은 불변전압구간(Vd)에서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온(260)은 이동하지 않는다. The voltage V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which the seventh voltage V7 has been applied can be gradually increased by the first section P2. Even if the voltage V rises, the ions 260 do not move. Even if the voltage V rises in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the ions 260 do not move.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를 기준으로 제1 문턱전압(Vth1) 및 제2 문턱전압(Vth2)만큼 편차를 가지는 전압구간일 수 있다.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의 하한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보다 제2 문턱전압(Vth2)만큼 낮은 값일 수 있고,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의 상한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보다 제1 문턱전압(Vth1)만큼 큰 값일 수 있다.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may be a voltage section having a deviation by a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and a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based o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The lower limit of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may be a value low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by a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and the upper limit of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may be a value low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May be a value that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상기 제3 내부전위(Vc)보다 낮은 불변전압구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압(V)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의 차이가 상기 제2 문턱전압(Vth2)보다 작아져 상기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없어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변동이 없으며,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되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가 유지된다.When a voltage of a constant voltage range low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applied, the voltage V become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from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260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due to no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not discolored. Whereby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maintained.

상기 제3 내부전위(Vc)보다 높은 불변전압구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압(V)은 상기 제3 내부전위(Vc)와의 차이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보다 작아져 상기 이온(260)이 상기 이온저장층(2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이온(260)의 이동이 없어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변동이 없으며, 상기 전기변색층(220) 및 이온저장층(240)은 변색되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가 유지된다.When a voltage of a constant voltage section higher tha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applied, the voltage V become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260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ion storage layer 240.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due to no movement of the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re not discolored. Whereby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maintained.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은 상기 제1 문턱전압(Vth1) 및 제2 문턱전압(Vth2)의 크기의 합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온(260)과 상기 전기변색층(220) 또는 이온저장층(240)의 결합력이 크면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이 커지고, 상기 이온(260)과 상기 전기변색층(220) 또는 이온저장층(240)의 결합력이 작으면 상기 불변전압구간(Vd)이 작아질 수 있다.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may correspond to a sum of magnitudes of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th2. Therefore, if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r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large,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becomes large, and the ions 26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or If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small,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Vd may be small.

도 19c는 제3 구간(P3)에서의 전위와 이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9C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ion in the third section P3.

도 18과 함께 도 19c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5 상태(S5)에서 제3 상태(S3)로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5 상태(S5)에서 제3 상태(S3)로 착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C together with FIG. 18,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hanged from the fifth state S5 to the third state S3.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from the fifth state S5 to the third state S3.

상기 제3 상태(S3)에서 다수의 이온(260)의 중 일부의 이온은 상기 이온저장층(240)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8 전압(V8)보다 높은 전압(V)을 인가하면 상기 제2 내부전위(Vb)가 상승하여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260)이 상기 전해질층(230)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third state S3, ions of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ons 260 may be located in the ion storage layer 240. When the voltage V higher than the eighth voltage V8 is applied,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rises and the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pas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0 And may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상기 제8 전압(V8)은 제2 구간(P2)의 상기 제3 내부전압(Vc)보다 제1 문턱전압(Vth1)만큼 더 큰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3 구간(P3)에서는 제8 전압(V8)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제2 전극(250)으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2 내부전위(Vb)와 상기 제3 내부전위(Vc)의 차이 값이 제1 문턱전압(Vth1)보다 높아져서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eighth voltage V8 may be higher than the third internal voltage Vc of the second section P2 by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In the third period P3, a voltage higher than the eighth voltage V8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50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internal potential Vb and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is The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can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because the ion storage layer 240 is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th1.

이 과정에서 상기 전기변색층(220)은 이온(260)을 얻어 환원착색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40)은 이온(260)을 잃어 산화착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40)의 이온(260)이 상기 전기변색층(220)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 내부전위(Vc)가 점차 높아진다.In this process,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receives ions 260 and is reduced and colored,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loses ions 260 and can be oxidized and colored. The ions 260 of the ion storage layer 240 move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so that the third internal potential Vc gradually increases.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불변구간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착색과 탈색을 변경할 때 상기 불변구간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based on the constant section and apply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the driving power based on the constant section when the coloring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이전과정을 판단하여 다른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이전과정이 탈색과정인 경우 상기 불변구간의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불변전압구간보다 더 큰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이전과정이 착색과정인 경우 상기 불변구간의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불변전압구간보다 더 작은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탈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determine a previous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apply a different driving voltage. The control module 100 can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voltage higher than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without applying the voltage of the constant section when the previous process is a decoloring process. When the previous process is a coloring process,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voltage smaller than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and dis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without applying the voltage of the constant section.

7. 임계전압7. Threshold Voltage

도 20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20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전기변색소자(200)는 제어모듈(100)과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다수의 분할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분할영역 내지 제n 분할영역(270a 내지 270n)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영역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include first to n-th divided regions 270a to 270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은 상기 제어모듈(100)과 연결되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일부영역일 수 있다.Each of the divided regions may be a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각각의 분할영역은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전기적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전극(210),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이온저장층(240)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층은 각각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할영역과 같이 실제로 분할되는 영역은 없으며, 상기 분할영역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기적인 해석을 위해 가상으로 분할된 영역일 수 있다.Each partition may be an electrical area, not a physically divisible area.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210, an electrochromic layer 220, an electrolyte layer 230, an ion storage layer 240, and a second electrode 250, 200 may each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Therefore, there is no region that is actually divided as the divided region, and the divided region may be a region that is virtually divided for electrical analysi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제1 분할영역 내지 제n 분할영역(270a 내지 270n)은 모두 동일한 등가회로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은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연결저항(Ra) 및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은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연결저항(Ra) 및 커패시터(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first to nth divided regions 270a to 270n may be all interpreted as equivalent circuits. The nth divided region 270n includes a first resistor R1, a second resistor R2, a connection resistor Ra, and a capacitor C, for example, . The nth divided region 270n may be interpreted to include a first resistor R1, a second resistor R2, a connection resistor Ra, and a capacitor C. [

상기 제1 저항(R1)의 일단과 상기 제2 저항(R2)의 일단은 인접하는 분할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은 상기 연결저항(Ra) 및 커패시터(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저항(Ra)의 양단은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 및 제2 저항(R2)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패시터(C)의 양단은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 및 제2 저항(R2)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djacent divided reg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sistor Ra and the capacitor C. That is, both ends of the connection resistor R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both ends of the capacitor C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여기서 수평방향은 도 3의 x방향 또는 y방향일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은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컨택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250)을 따라 이격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은 도 3의 z방향일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은 상기 제1 전극(210)에서부터 상기 제2 전극(25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he x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in Fig.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area of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long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the z direction in Fi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first electrode 210 to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제1 저항(R1)은 상기 제2 전극(250)의 일부영역의 수평방향으로의 저항일 수 있다. 상기 제2 저항(R2)은 상기 제1 전극(210)의 일부영역의 수평방향으로의 저항일 수 있다. The first resistor R 1 may be a res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second resistor R2 may be a res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210. [

상기 연결저항(Ra)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수직방향으로의 저항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저항(Ra)은 상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저항일 수 있다. 상기 연결저항(Ra)은 상기 제1 전극(210),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이온저장층(240) 및 제2 전극(250)의 수직방향의 저항 및 상기 제1 전극(210)과 전기변색층(220) 사이의 접촉저항, 상기 전기변색층(220)과 전해질층(230) 사이의 접촉저항, 상기 전해질층(230)과 이온저장층(240) 사이의 접촉저항 과 상기 이온저장층(24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접촉저항의 합일 수 있다.The connection resistance Ra may be a res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at is, the connection resistance Ra may be a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connection resistance Ra is determined by a res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lyte layer 230,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and the electrolyte layer 230,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2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ion storage layer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상기 커패시터(C)는 상기 제1 전극(210)과 상기 제2 전극(250)과 상기 전기변색층(220), 전해질층(230) 및 이온저장층(240)에 의해 생성되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의 커패시턴스의 합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용량일 수 있다.The capacitor C may be a capacitor generated by the first electrode 210,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electrochromic layer 220, the electrolyte layer 2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40 . The sum of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C) in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may be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RC지연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여, 일정한 전압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전압은 직렬연결된 제1 저항(R1), 제2 저항(R2) 및 연결저항(Ra)에 의해 분배된 저항일 수 있다. 즉, 상기 일정한 전압은 전압분배법칙에 의해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에 인가된 전압의 Ra/(R1+R2+Ra)배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은 도체의 저항이고, 상기 연결저항(Ra)은 도체와 부도체의 조합의 저항이므로, 상기 연결저항(Ra)은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보다 극도로 큰 값을 가지므로, RC지연에 의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즉, RC지연에 의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에 인가되는 전압과 유사해질 수 있다. 극단적으로, RC지연에 의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해 질 수 있다.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rises over time by the RC delay and can reach a constant voltage. The constant voltage may be a resistance divided by a first resistor R1, a second resistor R2 and a connection resistor Ra connected in series. That is, the constant voltage may be a voltage of Ra / (R1 + R2 + Ra) tim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nth divided region 270n by the voltage division law. Since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resistances of conductors and the connection resistor Ra is a combination of a conductor and a nonconductor, the connection resistor Ra is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R1,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may correspond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n-th divided region 270n,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capacitor C may correspond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n- have. That is, after the time due to the RC delay,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may be similar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nth divided region 270n. Extremely, after a time due to the RC delay,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may become equal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nth divided region 270n.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인접하는 분할영역의 입력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인접하는 분할영역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할영역(270a)의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2 분할영역(270b)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영역(270a)의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2 분할영역(270b)의 제1 저항(R1)의 일단 및 제2 저항(R2)의 일단에 인가될 수 있다.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may be equal to the input voltage of the adjacent division region. That is,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may be applied to the adjacent division region. For example, a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of the first divided region 270a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divided region 270b. A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of the first divided region 270a may be applied to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of the second divided region 270b and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R2.

상기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입력전압에 비례하므로, 다수의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RC지연에 의해 순차적으로 차징될 수 있다.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of the divided area is proportional to the input voltage,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can be sequentially charged by the RC delay.

다수의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는 순차적으로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 중 상기 제어모듈(100)과의 거리가 가까운 분할영역이 먼저 차징되고, 상기 제어모듈(100)과의 거리가 먼 분할영역이 나중에 차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할영역의 커패시터(C) 중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분할영역이 먼저 차징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분할영역이 나중에 차징될 수 있다.The capacitors C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can sequentially rise in voltage. A divided area having a distance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s first charged among the capacitors C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a divided area that is distan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harged later. A divided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capacitors C is first charged and the divided region separated from the contact region is charged later .

상기 다수의 분할영역 중 제1 분할영역(270a)의 커패시터(C)가 먼저 차징되고, 상기 제n 분할영역(270n)의 커패시터(C)까지 순차적으로 차징될 수 있다.The capacitor C of the first divided region 270a among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may be firstly charged and the capacitor C of the nth divided region 270n may be sequentially charged.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은 상기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이므로, 상기 커패시터(C)에 차징되는 전압에 의해 변색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is a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the degree of discolora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도 2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시간별 전기변색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1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electrochromic behavi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respect to time. FIG.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전압이 인가되면, 초기 단계에서는 도 21a과 같이 상기 제어모듈(10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 먼저 변색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은 변색되지 않는다. 즉,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과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변색정도는 다른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의 투과율과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투과율은 다를 수 있다. 착색과정에서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의 투과율은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first discolored And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is not discolored. That is,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the area apart from the contact area may b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may be different.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in the coloring process may be smaller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중기단계에서는 도 21b와 같이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한 영역은 변색의 완료되고,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은 변색이 시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과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변색정도는 다른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은 목표변색정도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변색정도는 목표변색정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의 투과율과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투과율은 다를 수 있다. 착색과정에서 상기 컨택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의 투과율은 상기 컨택영역과 이격된 영역의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기단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목표변색정도에 도달한 영역의 면적이 점점 넓어진다.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목표변색정도에 도달한 영역은 상기 컨택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In the middle stage in which the voltage is continuously a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s shown in FIG. 21B,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is discolored and the region separated from the contact region is discolored Can be started. In this cas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and the area apart from the contact area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area adjacent to the contact area reaches the target discoloration degree, the discoloration degree of the area remote from the contact area may not reach the target discoloration degree. In other words,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may be different.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contact region in the coloring process may be smaller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region apart from the contact region. The area of the region that has reached the target discoloration degree gradually widen with the passage of time in the middle stage. The area reaching the target discolor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may be widen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area.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어 완료단계에 도달하면, 도 21c와 같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영역의 변색이 완료된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전압이 인가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영역의 변색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임계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When the voltage is continuously a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reach the completion stage, the entir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as shown in FIG. 21C. The time from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when the entir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is defined as a threshold time.

상기 임계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전영역의 변색상태는 균일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변색상태의 편차는 일정수준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투과율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변색상태의 최대편차는 일정수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투과율의 편차는 0% 내지 30%일 수 있다.When the critical time is reached, the discoloration state of the entir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uniform. When the critical time is reached, the deviation of the discolor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less than a certain level. When the critical time is reached, the transmittances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maximum deviation of the discolor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less than a certain level. When the critical time is reached, the deviation of the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0% to 30%.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임계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균질하게 변색되는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영역별 변색상태의 편차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영역별 변색상태의 최대편차가 커질 수 있다.The critical time may b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at is, the larger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longer the critical time. In other words, as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reases, the time during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niformly discolored may be prolonged. The deviation of the discoloration state of each of the electrochromic devices 200 may also b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s 200. As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reases, the maximum deviation of the discolore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increased.

상기 임계시간은 도 22와 같이 전압차에 비례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may be proportional to the voltage difference as shown in FIG.

상기 전압차는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전압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충진되어 있던 전압과의 차이값일 수 있다.The voltage difference may be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voltage a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and a voltage charg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전압차는 현재변색상태와 목표변색상태의 차이값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충진되어 있던 전압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현재 변색상태와 대응되고, 인가되는 전압은 목표변색상태와 대응되므로, 상기 전압차는 현재변색상태와 목표변색상태의 차이 값에 비례할 수 있다.The voltage difference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iscoloration state and the target discoloration state. 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orresponds to the current discoloration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the applied voltage corresponds to the target discoloration state, Can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value.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3 is a diagram showing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3에서는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명한다.23,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the control module 100 in the application step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은 상기 임계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로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시간(tb)은 상기 임계시간(ta)보다 클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time for which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s appli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hreshold time. The time tb during which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ta.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임계시간(ta)에 따라 고정된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설정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임계시간(ta)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0 may su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setting the fixed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according to the threshold time ta. Alternatively,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according to the threshold time ta.

상기 제어모듈(100)이 고정된 구동전압 인가시간(tb)동안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최대 임계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최대 임계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임계시간은 탈색상태에서 최대 착색상태로 변색될 때 필요한 임계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어떤 상태로 변경되든 최대 임계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구동전압 인가 시간 산출을 생략할 수 있어 연산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When the control module 100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during a fixed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the control module 100 sets the maximum threshold tim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o The driving voltage can be applied for a time longer than the maximum threshold time. The maximum threshold time may be a critical time required when the color is changed from the decolorizing state to the maximum coloring state. The control module 100 can apply the driving voltage for a time longer than the maximum threshold tim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reby omitting calculation of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alculation.

상기 임계시간(tb)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tb)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임계시간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과 관련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에 따라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설정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tb may be related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threshold time tb may b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Since the maximum threshold time is also related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sets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driving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200.

상기 제어모듈(100)이 상기 임계시간(ta)에 따라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장치(200)의 현재전위를 측정하여 이를 기초로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변경하여 상기 전기변색장치(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장치(200)의 현재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module 100 changes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according to the threshold time ta, the control module 100 measures the current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drive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changing the drive voltage application time tb.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asurement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current potential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또는 상기 제어모듈(100)은 미리 저장된 임계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임계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임계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tb)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 데이터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면적과 관련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module 100 may change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based on previously stored threshold time data.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threshold time data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100 controls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b based on the threshold tim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Can be changed. The threshold time data may also be related to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상기 임계시간 데이터는 전압차 및/또는 온도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전압차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제어모듈(100)은 이전에 인가되었던 전압과 인가전압을 비교하여 전압차를 산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임계시간(ta)보다 긴 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은 이온의 이동과 관련되므로, 상기 임계시간 데이터는 상기 온도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임계시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threshold time data may be data related to voltage difference and / or temperature. Since the threshold time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difference, the control module 100 calculates the voltage difference by comparing the previously applied voltage with the applied voltage, and outputs the driving voltage for a time longer than the corresponding threshold time ta . Since the threshold time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ions, the threshold time data may be data related to the temperature. The control module 10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in real time and change the threshold tim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real time.

상기 임계시간 데이터는 인가단계에서의 데이터와 유지단계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reshold time data may include data at the application step and data at the maintenance step.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임계시간 데이터는 상기 전압차 및/또는 온도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유지단계에서의 임계시간 데이터는 상기 전압차, 온도 및/또는 유지단계 중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 일 수 있다. The threshold time data in the applying step may be data related to the voltage difference and / or temperature. The threshold time data in the holding step may be data related to a time during which the voltage is not applied during the voltage difference, the temperature, and / or the holding step.

도 24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전압차에 따른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showing a threshold time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4a는 탈색상태에서 목표변색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전압차에 의한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4A is a diagram showing a threshold time due to a voltage difference depending on a target color fading level in a color fading state.

도 24a에서 제1 구동전압(V21)은 탈색상태에서 제1 착색상태로 변경시킬 때 인가되는 구동전압이고, 제2 구동전압(V22)은 탈색상태에서 제2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나타낸다.In FIG. 24A, the first driving voltage V21 is a driving voltage applied when changing from the discolored state to the first colored state, and the second driving voltage V22 is a driving voltage applied when the discolored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colored state. Voltage.

상기 제1 착색상태는 상기 제2 착색상태보다 착색정도가 더 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색상태는 상기 제2 착색상태보다 투과율이 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전압(t21)은 상기 제2 구동전압(t22)보다 큰 전압일 수 있다.The first colored state may mean a state where the degree of coloring is larger than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first colored state may mean a lower transmittance than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first driving voltage t21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voltage t22.

상기 탈색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탈색상태에서 제1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전압차는 제1 구동전압(t21)과 동일하고, 상기 탈색상태에서 제2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전압차는 제2 구동전압(t22)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전압차는 상기 제2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전압차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2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2 임계시간(t22)은 상기 제1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1 임계시간(t21)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착색상태로 균질하게 착색될 때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1 착색상태로 균질하게 착색될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Since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n the decoloring state, when the decoloring state is changed to the first coloring state, the voltage difference is equal to the first driving voltage t21 , And the voltage difference when changing from the decolorizing state to the second coloring state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driving voltage t22. Since the voltage difference when changing to the first coloring state is smaller than the voltage difference when the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coloring state, the second threshold time t22 when the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coloring state,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t21 when the first threshold time t21 is changed. That is, the time requir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niformly colored in the second colored state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niformly colored in the first colored state.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상기 제1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1 임계시간(t21)과 상기 제2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2 임계시간(t22)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기 제1 임계시간(t21)과 제2 임계시간(t22)에 기초하여 구동전압 인가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a first threshold time t21 when the first coloring state is changed and a second threshold time t22 when the second coloring state is changed And the control module 100 determines a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based on the first threshold time t21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t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outputs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driving voltage can be applied.

상기 제어모듈(100)은 탈색상태에서 제1 착색상태로 변경 시킬 때 상기 제1 임계시간(t21)보다 긴 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착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00)은 탈색상태에서 제2 착색상태로 변경시킬 때 상기 제2 임계시간(t22)보다 긴 시간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를 착색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can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driving voltage for a time lon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t21 when the control module 100 changes from the decolored state to the first colored stat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0 can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driving voltage for a time lon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ime t22 when the control module 100 changes from the decolored state to the second colored state.

도 24b는 착색상태에서 다른 변색레벨로 변경할 때의 전압차에 의한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4B is a graph showing a threshold time due to a voltage difference when changing from a colored state to another color fading level.

도 24b에서 제1 구동전압(V31)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1 착색상태에서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는 구동전압이고, 제2 구동전압(V32)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착색상태에서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나타낸다.24B, the first driving voltage V31 is a driving voltage applied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first colored state to the third colored state, and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Represents a driving voltage applied when the organic EL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second colored state to the third colored state.

상기 제1 착색상태는 상기 제2 착색상태보다 착색정도가 더 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색상태는 상기 제2 착색상태보다 투과율이 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전압(V31)은 상기 제2 구동전압(V32)보다 큰 전압일 수 있고, 상기 제3 구동전압(V33)은 상기 제1 구동전압(V33)보다 큰 전압일 수 있다.The first colored state may mean a state where the degree of coloring is larger than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first colored state may mean a lower transmittance than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first driving voltage V31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and the third driving voltage V33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V33.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초기상태가 제1 착색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제1 구동전압(V31)이 차징되어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초기상태가 제1 착색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제1 구동전압(V31)이 인가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initi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the first colored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rged with the first driving voltage V31. That is, when the initi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the first colored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first driving voltage V31 is appli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초기상태가 제2 착색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제2 구동전압(V32)이 차징되어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초기상태가 제2 착색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는 제2 구동전압(V32)이 인가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initi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in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rged with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That is, when the initi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the second colored stat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the same as the case where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is appli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1 착색상태에서 상기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압차는 제1 전압차(Vd1)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1 착색상태에서의 구동전압은 제1 구동전압(V31)이고, 상기 제3 착색상태에서의 구동전압은 제3 구동전압(V33)이고, 상기 제3 구동전압(V33)과 상기 제1 구동전압(V31)의 차이는 제1 전압차(Vd1)일 수 있다. The voltage differenc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first colored state to the third colored state may be the first voltage difference Vd1. Wherein the driving voltage in the first colore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a first driving voltage V31 and the driving voltage in the third colored state is a third driving voltage V33,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voltage V33 and the first driving voltage V31 may be the first voltage difference Vd1.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제2 착색상태에서 상기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전압차는 제2 전압차(Vd2)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제2 착색상태에서의 구동전압은 제2 구동전압(V32)이고, 상기 제3 착색상태에서의 구동전압은 제3 구동전압(V33)이고, 상기 제3 구동전압(V33)과 상기 제2 구동전압(V32)의 차이는 제2 전압차(Vd2)일 수 있다. The voltage differenc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second colored state to the third colored state may be the second voltage difference Vd2. Wherein the driving voltage in the second colore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and the driving voltage in the third colored state is the third driving voltage V33,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3 and the second driving voltage V32 may be the second voltage difference Vd2.

상기 제1 전압차(Vd1)는 상기 제2 전압차(Vd2)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1 착색상태에서 상기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1 임계시간(t31)은 상기 제2 착색상태에서 상기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의 제2 임계시간(t32)보다 짧을 수 있다.Since the first voltage difference Vd1 is smaller than the second voltage difference Vd2, the first threshold time t31 when the first coloration state is changed to the third coloration state is the second coloration state May be shorter than a second critical time (t32) when the third coloring state is changed to the third coloring state.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이전상태가 저장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는 이전에 출력된 구동전압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때마다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제1 착색상태와 제2 착색상태가 저장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a previous state. That is,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the previously outputted driving voltage. The control module 100 may store the driving voltage in the storage unit 140 whenever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 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a first coloring state and a second coloring state.

상기 제어모듈(100)의 저장부(140)에는 전압차에 따른 임계시간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1 착색상태에서 상기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어모듈(100)은 목표인가전압인 제3 구동전압(V33)과 저장되어 있던 제1 구동전압(V31)을 비교하여 제1 전압차(Vd1)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전압차(Vd1)와 대응되는 제1 임계시간(t31)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임계시간(t31)보다 길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of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a threshold time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fference. When the first coloring state is changed to the third coloring state, the control module 100 compares the third driving voltage V33, which is the target applied voltage, with the stored first driving voltage V31, The voltage difference Vd1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 module 100 determines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based on the first threshold time t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voltage difference Vd1 and applies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pplied driving voltag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t31.

또한, 제2 착색상태에서 제3 착색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어모듈(100)은 목표인가전압인 제3 구동전압(V33)과 저장되어 있던 제2 구동전압(V32)을 비교하여 제2 전압차(Vd2)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2 전압차(Vd2)와 대응되는 제2 임계시간(t32)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전압 인가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인가시간은 상기 제2 임계시간(t32)보다 길 수 있다.Also, when the second coloring state is changed to the third coloring state, the control module 100 compares the third driving voltage V33, which is the target applied voltage, with the stored second driving voltage V32, The voltage difference Vd2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 module 100 may determine the driving voltage application time based on the second threshold time t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oltage difference Vd2 to a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hav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applied driving voltage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ime t32.

도면에서는 전기변색소자(200)를 낮은 착색상태에서 높은 착색상태로 변경시킬 때를 설명하였으나, 전기변색소자(200)를 높은 착색상태에서 낮은 착색상태로 변경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탈색되는 과정에서도 상기의 기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탈색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전압차에 의해 임계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a low coloring state to a high coloring state has been described,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a high coloring state to a low coloring state. That is, the substrate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even in the process of discoloring. The threshold time may be varied by the voltage difference even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또한, 도 24와 이에 대응되는 상세한 설명의 기재는 인가단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지단계에서도 이와 대응되는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유지단계에서 이전상태는 인가단계에서 인가된 전압일 수도 있고, 현재 유지단계의 전 유지단계에서 인가된 전압일 수도 있다. 상기 이전상태와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임계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24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corresponding thereto have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application step as an example, the corresponding feature may be applied in the maintenance step. In the holding step, the previous state may be a voltage applied in the applying step or a voltage applied in the previous holding step of the current holding step. The threshold tim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8. 유지전압8. Holding voltage

도 2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듀티 사이클에 따른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5 is a graph showing a threshold time according to a duty cycl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5는 유지 단계에서의 듀티 사이클에 따른 임계시간에 대해 설명한다.25 illustrates the threshold time according to the duty cycle in the sustain step.

도 25a는 비인가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을 때의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b는 비인가시간이 상대적으로 길 때의 임계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5A is a diagram showing the threshold time when the unguided time is relatively short, and FIG. 25B is a diagram showing the critical time when the unguided time is relatively long.

도 25a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00)은 인가단계와 유지단계에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A,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 the application step and the maintenance step.

상기 인가단계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변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는 상기 제어모듈(100)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목적하는 변색레벨로 변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는 최초변색단계와 변색레벨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ying step may be a step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he applying step may be such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discolored by the control module 100 to a desired color fading level. The applying step may include an initial discoloring step and a discoloring level changing step.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유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유지단계에서 펄스형태의 유지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The sustain step refers to a step of applying a sustain voltag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The control module 100 may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applying a sustaining voltage in a pulse form in the sustain step.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제1 시점(t41)까지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시점(t41)까지 일정구간동안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일정레벨의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는 제1 기간(w1)동안 유지될 수 있다.In the applying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the driving voltage until the first time t41.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driving voltage that gradually increas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ill the first time t41 and apply a driving voltage of a certain level. The applying step may be maintained during the first period w1.

상기 유지단계는 인가기간과 비인가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가기간은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비인가기간은 상기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기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지단계에서는 상기 인가기간과 비인가기간이 반복해서 나타남으로써 상기 제어모듈(100)은 펄스형태의 전압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인가할 수 있다.The maintaining step may include an application period and a non-application period. The application period may be defined as a period during which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the non-application period may be defined as a period during which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In the sustain step, the control module 100 may apply a pulse-shaped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by repeatedly displaying the application period and the non-application period.

상기 인가단계가 종료되는 제1 시점(t41)부터 인가기간이 시작되는 제2 시점(t42) 사이의 기간은 제2 기간(w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간(w2)은 비인가 기간일 수 있다. 상기 비인가 기간이 종료되는 제2 시점(t42)부터 상기 인가기간이 종료되는 제3 시점(t43) 사이의 기간은 제3 기간(w3)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time t41 at which the application step ends and the second time t42 at which the application period starts is defined as a second period w2. The second period w2 may be a non-period. The period between the second time t42 at which the un-charged period ends and the third time t43 at which the uncharged period ends is defined as a third period w3.

상기 인가기간은 인가단계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크기 및 상기 비인가기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간(w3)은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와 제2 기간(w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eriod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e voltage applied in the application step and the non-application period. The third period (w3)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and the second period (w2).

상기 제3 기간(w3)은 상기 제1 기간(w1)보다 짧을 수 있다.The third period (w3)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w1).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와 인가기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비인가기간에서의 상태변화가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자연 변색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에 차징된 전압과 구동전압의 차이가 커지므로, 상기 유지단계에서의 임계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인가기간은 임계시간보다 길어야 하므로,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인가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Describ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and the application period in the application step,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drive voltage in the application step, the larger the state change in the non-application period. That is,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in the application step, the greater the degree of natural discoloration.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in the applying step,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the driving voltage, so that the threshold time in the holding step can be increased. Since the application period must be longer than the critical time, the application period may become longer as the magnitude of the drive voltage increases.

상기 인가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최저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에서 최고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이 때의 유지단계에서의 임계시간은 최대임계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최대임계시간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와 관계없이 최대임계시간 동안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00)의 연산량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pplication step,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a state having the lowest transmittance to a state having the highest transmittance, the critical time in the sustain step may be the maximum critical time. The control module 100 stores the maximum threshold time in the storage unit 140 and applies a driving voltage for a maximum critical time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in the applying step, Can be maintained. Thereby,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0 can be reduced.

도 25a 및 도 25b를 통해 상기 비인가기간과 인가기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면, 도 25b의 인가단계는 도 25a의 인가단계와 동일하다.25A and 25B, the application step of FIG. 25B is the same as the application step of FIG. 25A.

상기 인가단계가 종료되는 제1 시점(t41)부터 인가기간이 시작되는 제4 시점(t44) 사이의 기간은 제4 기간(w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간(w4)은 비인가 기간일 수 있다. 상기 비인가 기간이 종료되는 제4 시점(t44)부터 상기 인가기간이 종료되는 제5 시점(t45) 사이의 기간은 제5 기간(w5)으로 정의될 수 있다. A period between a first time t41 at which the application step ends and a fourth time t44 at which the application period begins is defined as a fourth period w4. The fourth period w4 may be a non-period. The period between the fourth time t44 at which the non-charging period ends and the fifth time t45 at which the charging period ends is defined as a fifth period w5.

도 25a의 비인가 기간은 도 25b의 비인가기간보다 짧다. 즉, 제2 기간(w2)은 제4 기간(w4)에 비해 짧은 기간이다.The non-energizing period of Fig. 25A is shorter than the non-energizing period of Fig. 25B. That is, the second period w2 is shorter than the fourth period w4.

상기 비인가기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00)의 상태변화가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비인가기간이 길어질수록 자연변색정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비인가기간이 길어질수록 현재 전기변색소자(200)에 차징된 전압과 구동전압의 차이가 커지므로 상기 유지단계에서의 임계시간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인가기간은 임계시간보다 길어야 하므로, 상기 비인가기간이 길수록 상기 인가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As the unlit period becomes longer, the state chan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increased. That is, the longer the unlit period, the greater the degree of natural discoloration. The longer the unlit period,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and the driving voltage, and thus the critical time in the maintaining step can be increased. Since the application period is longer than the critical time, the longer the application period, the longer the application period.

즉, 도 25a의 비인가기간은 도25b의 비인가기간보다 짧으므로, 도 25a의 인가기간을 도 25b의 인가기간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를 균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25A is shorter than the non-energizing period of FIG. 25B,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setting the application period of FIG. 25A shorter than the application period of FIG. 25B, It is possible to maintain uniformity.

다시 말해, 도 25a의 제2 기간(w2)이 도 25b의 제4 기간(w4)보다 짧으므로, 도 25a의 제3 기간(w3)을 도 25b의 제5 기간(w5)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전기변색소자(200)의 변색정도를 균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second period w2 in Fig. 25A is shorter than the fourth period w4 in Fig. 25B, the third period w3 in Fig. 25A is set shorter than the fifth period w5 in Fig. The power can be reduced and the discoloration degre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can be maintained uniformly.

상기 유지단계에서 듀티 사이클은 인가기간과 비인가기간의 합과 인가기안의 비를 의미하므로, 상기 듀티 사이클은 대응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인가단계에서의 구동전압의 크기가 커지면 듀티 사이클도 상승시켜 변색정도를 균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sustain step, the duty cycle means a ratio between the sum of the application period and the non-application period and the application period, so that the duty cycle can be maintained to correspond. However, when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in the application step is increased, the duty cycle is also increased,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can be maintained uniformly.

상기 제1 기간(w1)은 상기 제3 시간(w3)과 같거나, 상기 제1 기간(w1)은 상기 제3 기간(w3)보다 길수 있다. 상기 비인가기간인 제2 기간(w2)이 무한대로 길어져, 자연변색이 진행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100)가 초기상태로 돌아갔다면, 상기 제1 기간(w1)은 상기 제3 기간(w3)과 동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w1)은 제3 기간(w3)보다 길 수 있다. 이 경우 제3 기간(w3)을 제1 기간(w1)보다 짧게 설정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The first period w1 may be equal to the third period w3 or the first period w1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period w3. If the second period w2 is extended to infinity and natural coloration progresses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the first period w1 may correspond to the third period w3, Can be the same. Otherwise, the first period w1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period w3. In this case, the third period w3 may be set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w1,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제어모듈
110: 제어부
120: 전원 변환부
130: 출력부
140: 저장부
200: 전기변색소자
210: 제1 전극
220: 전기변색층
230: 전해질층
240: 이온저장층
250: 제2 전극
100: control module
110:
120: Power conversion section
130:
140:
200: electrochromic device
210: first electrode
220: electrochromic layer
230: electrolyte layer
240: ion storage layer
250: second electrode

Claims (28)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임계시간동안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1 임계시간이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2 임계시간이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제1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인 전기변색장치.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pplying a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ions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form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o be changed to < RTI ID = 0.0 >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 voltage is applied for a critical time such that a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a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The controller applies a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ustain step,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first threshold time,
The critical time for maintaining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second critical time,
Where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iscolored to a first state in a discoloring ste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third state and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coloration into the second state is a thir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임계시간 보다 긴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threshold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threshol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단계는 유지전압이 인가되는 인가시간과 유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비인가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유지단계에서,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1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3 임계시간이고,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2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임계시간은 제4 임계시간인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stain step includes an application time when a sustain voltage is applied and a non-application time when a sustain voltage is not applied,
In the step of maintain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he threshold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third threshold time when the unoccupied time is the first unoccupied time,
And the threshold tim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fourth threshold time when the unoccupied time is a second unoccupied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인가시간이 상기 제2 비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경우, 상기 제3 임계시간은 상기 제4 임계시간보다 긴 시간인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third threshold time is lon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time when the first untouch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untouch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은 제1 유지전압이고,
상기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전압은 제2 유지전압인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voltage for maintaining the first state is a first holding voltage,
And the sustain voltage for maintaining the second state is a second sustain volt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전압은 상기 제2 유지전압보다 작은 전기변색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holding voltage is smaller than the second holding volt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3 상태에 의해 변경되는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hreshold time is changed by the third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와 상기 제1 상태의 투과율 차이가 작아지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줄어드는 전기변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first threshold time is reduced when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etween the third state and the first state is sm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은 온도에 의해 변경되는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shold time is changed by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이 인가되어 제1 상태로 변색되는 임계시간은 제5 임계시간이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이 인가되어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임계시간은 제6 임계시간이며,
상기 제1 임계시간은 상기 제5 임계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인 전기변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shold time at which the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coloring ste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hange color to the first state is a fifth threshold time,
Wherein the threshold time at which the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step of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change its color to the second state is a sixth threshold time,
Wherein the first threshold time is shorter than the fifth threshold time.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이동시켜 적어도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투과율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지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적어도 임계시간만큼인 인가시간동안 유지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인가시간동안 제2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변색단계에서 제1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인 전기변색장치.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pplying a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ions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form a first state having at least a first transmittance or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transmittance, To be changed to < RTI ID = 0.0 >
Wherei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sustain voltage for an application time of at least a threshold time so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correspond to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 sustain step,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a first sustain voltage for a first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a second sustain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second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iscolored to a first state in a discoloring step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third state and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coloration into the second state is a third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전기변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is longer than the first application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단계는 유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비인가시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유지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1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3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인가시간이 제2 비인가시간이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4 인가시간동안 제1 유지전압을 인가하는 전기변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ld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n unappealing time in which the holding voltage is not applied,
In the step of maintain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a first sustain voltage for a third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first state when the non-application time is a first non-application time,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sustain voltage for a fourth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first state when the non-application time is a second non-application ti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인가시간이 상기 제2 비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경우 상기 제3 인가시간은 상기 제4 인가시간보다 긴 시간인 전기변색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third application time is longer than the fourth application time when the first non-application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non-application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가 최고 투과율을 가지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변경될 수 있는 모든 상태로 변경 후 상기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인가시간 동안 유지전압을 인가하는 전기변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ny state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hanged when the second state has the highest transmittance, and applies the sustain voltage for a second application time to maintain the changed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1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1 변색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2 변색전압을 인가하는 전기변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color fading voltag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a first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econd color fading voltag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econd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전압은 상기 제1 유지전압과 동일한 전기변색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discoloration voltage is equal to the first sustaining voltag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1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1 변색전압 인가시간 동안 제1 변색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제2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2 변색전압 인가시간 동안 제2 변색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1 변색전압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인가시간 보다 길거나 같은 전기변색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ler applies the first discoloration voltage during the first discoloration voltage application tim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first state in the discoloring step,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econd color fading voltage during the second color fading voltage application time to change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the second state in the color fading step,
Wherein the first color fading voltage application time is long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pplication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변색시 인가시간을 결정하는 전기변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olor change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저장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투과율을 가지는 제1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하는 변색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1 전압을 인가시간동안 인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가시간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1 영역의 투과율과 제2 영역의 투과율이 대응되도록 하는 임계시간과 같거나 긴 시간이고,
상기 변색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2 투과율을 가지는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제2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로 변색되는 초기상태는 제3 상태인인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n ion storag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
A decoloring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a first state having a first transmittance; And
And a maintaining step of applying a first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firs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maintained for a duration of time,
Wherein the application time is equal to or longer than a critical time in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orresponds to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The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n a second state having a second transmittance,
Where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first state is changed to the first state is the third state, and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color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is the third stat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제1 전압을 인가시간 동안 인가하는 인가단계; 및
상기 제1 전압을 비인가시간동안 인가하지 않는 비인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인가시간의 길이에 의해 상기 인가시간이 결정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maintaining step comprises: applying the first voltage for an application time; And
And a non-energizing step of not applying the first voltage for an unauthorized period of time,
And the application time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non-application tim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비인가시간과 비례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threshold time is proportional to the unlicensed tim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threshold time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시간은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application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1 상승시간을 가지고,
상기 유지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2 상승시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승시간은 상기 제2 상승시간에 비해 짧은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color change step, the first voltage has a first rise time,
In the maintaining step, the first voltage has a second rise time,
Wherein the first rise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rise tim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1 상승각도을 가지고,
상기 유지단계에서 제1 전압은 제2 상승각도을 가지며,
상기 제1 상승각도는 상기 제2 상승각도에 비해 작은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color change step, the first voltage has a first rising angle,
In the maintaining step, the first voltage has a second rising angle,
Wherein the first rising angl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ising angl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승각도는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어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first rising ang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voltage.
KR1020170053820A 2017-03-03 2017-04-26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KR101955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20A KR101955090B1 (en) 2017-04-26 2017-04-26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US15/844,429 US10739662B2 (en) 2017-03-03 2017-12-1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8761827.7A EP3564743A4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JP2019569651A JP7000465B2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s and electrochromic devices including electrochromic elements
CN202210764239.0A CN115202122A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ochromic element
CN201880015704.2A CN110383163B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ochromic element
CN202210763702.XA CN115202121A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ochromic element
PCT/KR2018/002602 WO2018160049A2 (en) 2017-03-03 2018-03-05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US16/557,478 US11175560B2 (en) 2017-03-03 2019-08-30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190117232A KR102369094B1 (en) 2017-03-03 2019-09-24 Electrochromic device
US17/452,056 US11681198B2 (en) 2017-03-03 2021-10-22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24187A KR20220029626A (en) 2017-03-03 2022-02-24 Electrochrom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20A KR101955090B1 (en) 2017-04-26 2017-04-26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42A Division KR102084879B1 (en) 2019-02-27 2019-02-27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305A KR20180120305A (en) 2018-11-06
KR101955090B1 true KR101955090B1 (en) 2019-03-08

Family

ID=6432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20A KR101955090B1 (en) 2017-03-03 2017-04-26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0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818B1 (en) * 2020-08-13 2021-09-30 (주)오리온엔이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electrochrom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5141A (en) 2005-01-13 2006-07-27 Fujitsu Ltd Method for driving electrodeposition type display device
JP2006218362A (en) 2005-02-09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xygen pump
JP2015143826A (en) 2013-12-26 2015-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Driving device for electrochromic element, electrochromic device, optical filter, imaging device, lens unit, and window material having electrochromic element,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chromic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510B1 (en) * 1995-08-02 1998-11-16 주용수 A compost fermentation device for waste food
KR100820157B1 (en) * 2002-03-08 2008-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Smart window using electrochromic mat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52041B1 (en) * 2004-03-16 2007-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Driving circuit for electrochromic display
KR20060053111A (en) * 2004-11-11 2006-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mirror or window displaying information
KR100733925B1 (en) * 2005-03-16 2007-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ECD control apparatus
KR100931183B1 (en) * 2006-09-06 200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device dri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38343B1 (en) * 2014-12-26 2016-07-11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chromic-thermochromic hybri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5141A (en) 2005-01-13 2006-07-27 Fujitsu Ltd Method for driving electrodeposition type display device
JP2006218362A (en) 2005-02-09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xygen pump
JP2015143826A (en) 2013-12-26 2015-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Driving device for electrochromic element, electrochromic device, optical filter, imaging device, lens unit, and window material having electrochromic element,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chrom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305A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3191A (en) Electrochromic device
JP3762568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EP00114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2020509434A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electrochromic device
KR20060088114A (en) Reset pulse driving for reducing flicker in an electrophoretic display having intermediate optical states
CN102486915B (en) Driving method of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7402488B (en) Method for driving electrochromic el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ding voltage
KR101955163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1955090B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KR101955089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1906048B1 (en) Electrochromic device
US20090160846A1 (en) Display device
KR20190023064A (en) Electrochromic device
KR20190025596A (en) Electrochromic device
KR20190025597A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chromic element
KR102296307B1 (en) Electrochromic device
US20190108795A1 (en)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EP1430358B1 (en) Electrophoretic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EP3523832B1 (en) Actuator device based on an electroactive polymer
JP6812774B2 (en) Element control device and element control method
EP3377939B1 (en) Electro-optic displays
JP6812773B2 (en) Element control device and element control method
JP3639588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US11830448B2 (e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TWI835384B (en)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