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700B1 -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700B1
KR101952700B1 KR1020120083755A KR20120083755A KR101952700B1 KR 101952700 B1 KR101952700 B1 KR 101952700B1 KR 1020120083755 A KR1020120083755 A KR 1020120083755A KR 20120083755 A KR20120083755 A KR 20120083755A KR 101952700 B1 KR101952700 B1 KR 10195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personalized
information
intern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695A (ko
Inventor
금지은
류영선
송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00B1/ko
Priority to US13/954,115 priority patent/US9692805B2/en
Priority to PCT/KR2013/006870 priority patent/WO2014021624A1/en
Priority to EP13824790.3A priority patent/EP2880787B1/en
Publication of KR2014001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는, 방송 서버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를 통해 상기 단말로 수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S}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채널과 통신 채널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텔레비전(TV)을 통해 사용자가 개인화된 방송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방송과 통신 환경은 점차 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각 기술들은 리비젼(revision)을 거듭하면서 다른 기술과 섞이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컨버전스 환경에서 여러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소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구성하고 이를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상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경로를 사용하여 전송하며, 사용자는 방송 및 통신이 융합된 환경에서 융합된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상적인 TV 뉴스의 화면은 증권 시세 표시기(ticker)와 뉴스 타이틀 사이에 뉴스 앵커의 얼굴을 보여줄 수 있으나, 융합된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TV를 보면서 제시된 검색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수신기의 성능도 높아짐에 따라서 큰 화면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display)와 함께 방송과 통신을 융합하여 집이나 이동 중에도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 장치(device)들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경에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를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에게 유연하게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전송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의 방송사에서 사용자나 사용자 장치 별로 특화된 TV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의 특성을 방송사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채널로 방송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때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장치의 상황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를, 방송 서버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를 제공 가능한 관리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인터넷 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상의 관리 서버가 단말로부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주소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HbbTV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방통융합 환경에서 사용자가 방송 중에 광대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한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HbbTV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TV(104)는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112)과 광대역 채널(broadband channel)(116)을 통해서 방송국으로부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트(Audio and Video (A/V) Content)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방송채널(112)은 방송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광대역 채널(116)은 일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채널이 될 수 있다. 방송사(102)는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 TV(104)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방송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V(104)는 AIT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 즉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광대역 채널(116)과 방송 채널(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TV(10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광대역 채널(116)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방송사(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광대역 채널 혹은 별도의 통신 수단(예를 들어 백본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접속되는 인터넷(106)을 통해 TV(104)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TV(104)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 두 채널(112,11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방송사(1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방통융합 환경에서 사용자가 방송 중에 광대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단말(206)은 일 예로서 TV 혹은 방송 서비스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기기(mobile device)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단말(206)이 광대역 채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경우의 절차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사/어플리케이션 제공자(202)는 방송 스트림을 제공하는 방송 서버(204) 및 인터넷 서버(208)와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과정 210에서 단말(206)은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고 방송 서버(2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과정 212에서 방송 서버(204)은 방송 스트림에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포함하여 단말(206)에게 전송한다.
과정 214에서 단말(206)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208)에 대한 인터넷 주소, 일 예로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혹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AIT로부터 추출하고, 과정 216에서 상기 URL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버(208)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과정 218에서 인터넷 서버(208)은 단말(206)에게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과정 220에서 단말(206)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 즉 실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단말(206)은 방송채널 및 광대역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방송사(2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절차에서 단말(206)은 인터넷 서버(208)에게 단말(206)의 사용자 정보 및/또는 장치 정보를 전달할 수 없으며, 인터넷 서버(208)는 단말(206)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단일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 및/또는 장치 환경을 고려하여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말의 장치 종류가 TV인지 혹은 휴대 기기인지에 따라 화면 크기에 적합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인근의 맛집 정보 혹은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시청 기록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에는 매우 다양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을 위해, 단말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즉 URL을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를 이하 개인화된(Customization) URL이라 칭하기로 하며, 상기 인터넷 서버는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단말에게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개인화된 URL은 일 예로서 방송 서버가 제공하는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통해 단말에게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개인화된 URL은 다른 경로, 일 예로서 인터넷 서버나 오프라인 전단지 등을 통해 전달되거나 혹은 단말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개인화된 URL을 포함하는 AIT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application_type As required, eg Flash or HTML
application_control_code Not used
Customization URL The server manages user/device data
Customization Parameter The application can be customized with this parameter
application_descriptor()
application_profile_length 0 (no application profile provided)
service_bound_flag Set as required
visibility Not used
application_priority Set as required
transport_protocol_label At least one
transport_protocol_descriptor()
protocol_id 0x03 (broadband server)
selector_bytes Carry the min. application version
simple_application_location_descriptor()
initial_path_bytes Parameters for the application
<표 1>을 참조하면, AIT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일 예로서 플래시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을 지시하는 application_type과 어플리케이션의 설명을 나타내는 application descriptor과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transport protocol descriptor과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simple application location descriptor 등과 함께, 사용자 및/또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개인화된 URL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인화 파라미터(Customization Parameter)가 AIT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개인화 파라미터는 인터넷 서버 혹은 단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개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일 예로 장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성별/나이, 시청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AIT로부터 획득한 URL이 가리키는 인터넷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넷 서버는 방송 서버 혹은 단말의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 단말의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넷 서버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단말의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과정 310에서 단말(306)은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고 방송 서버(2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306)이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도중 과정 312에서 방송 서버(304)는 방송 스트림 안에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포함시켜 단말(306)에게 전송한다. 상기 AIT는 개인화된 UR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개인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AIT는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개인화 플래그(Customization Flag)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개인화된 URL은 개인화 플래그가 YES(일 예로 '1')인 경우에 포함될 수 있다. 과정 314에서 단말(306)은 상기 AIT으로부터 개인화된 URL(혹은 URI)을 도출한다.
과정 316에서 단말(306)은 단말(306)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또는 장치 정보와 시청 기록 등을 상기 개인화된 URL이 가리키는 인터넷 서버(308)에게로 전송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단말(306)은 AIT에 포함된 개인화 플래그가 '1'인 경우에 개인화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과정 318에서 인터넷 서버(308)는 단말(306)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 장치 정보 및/또는 시청 기록 등을 이용하여 단말(306)을 위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과정 320에서 단말(306)은 상기 AIT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개인화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버(308)에게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단말(306)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단말(306)에 대한 사용자 및/또는 장치 정보(이하 사용자/장치 정보 혹은 개인화 정보라 칭함)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정 316은 생략된다. 과정 322에서 인터넷 서버(308)는 단말(306)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이를 단말(306)에게 전송한다. 과정 324에서 단말(306)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 즉 실행한다.
이하 단말에서 인터넷 서버로 개인화 정보를 전달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할 때 사용자/장치 정보를 함께 인터넷 서버로 전송한다. 인터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장치 정보에 기반해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단말에게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은 인터넷 서버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메시지에 포함되는 URL에 사용자/장치 정보를 추가하거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HTTP 메시지의 HTTP 요청 헤더에 사용자/장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장치 종류가 디지털 TV(Digital TV)를 나타내는 dtv이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정보가 suwon인 경우를 설명한다.
첫번째로 사용자/장치 정보가 ATI로부터 도출된 URL에 첨부되는 경우, HTTP 메시지의 UTL은 하기와 같이 변형된다.
http://server_ip/application.html?device=dtv&region=suwon
다음으로 사용자/장치 정보가 HTTP 요청 헤더에 포함되는 경우, HTTP 요청 헤더는 하기와 같이 확장된다.
GET / HTTP 1.1
Host: server_ip
Accept: text/*
x-extension-device: dtv
x-extension-region: suwon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장치 정보가 HTTP 메시지의 요청 본문(Request Body)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장치 정보는 하기와 같은 포맷으로 추가된다.
POST / HTTP 1.1
Host: server_ip
Content-Type: text/plain
Content-Length: xx
Device=dtv&region=suwon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과정 330에서 단말(306)은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고 방송 서버(3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306)이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도중 과정 332에서 방송 서버(304)는 방송 스트림 안에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포함시켜 단말(306)에게 전송한다. 상기 AIT는 개인화된 UR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개인화 플래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정 334에서 단말(306)은 상기 AIT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의 URL(혹은 URI)을 도출한다.
과정 336에서 단말(306)은 상기 AIT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버(308)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단말은 개인화 플래그가 YES(일 예로서 '1')를 지시하는 경우에, 인터넷 서버(308)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은 개인화 플래그가 YES(일 예로서 '1')를 지시하는 경우에, 인터넷 서버(308)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면서,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가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과정 338에서 인터넷 서버(308)는 단말(306)의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306)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 가능한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306)에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른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306)의 가입자 서버, 방송사(302) 혹은 다른 수단을 통해 획득 가능한 개략적인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다.
과정 340에서 단말(306)은 상기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CSS(Cascading Style Sheets)의 미디어 쿼리(media query)를 이용하여 단말(306)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른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한다.
하기는 단말(306)에서 사용 가능한 CSS 미디어 쿼리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에서는 장치 종류가 휴대 기기인 경우, dtv인 경우, 장치 종류가 dtv이고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이 suwon인 경우의 쿼리에 대한 예들을 나타내었다.
@media screen and (device: mobile) {
}
@media screen and (device: dtv) {
}
@media screen and (device: dtv) and (region: suwon) {
}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방송사/어플리케이션 제공자(402)는 방송 스트림을 제공하는 방송 서버(404), 인터넷(408) 상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 및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408b)와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과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408b)는 단말(406)이 광대역 채널을 통해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는 단말들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단말들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408b)는 다양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의 지시에 따라 해당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10에서 단말(406)은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고 방송 서버(4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406)이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도중 과정 412에서 방송 서버(404)는 방송 스트림 안에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포함시켜 단말(406)에게 전송한다. 상기 AIT는 개인화된 UR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개인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다른 실시예로서 AIT는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414에서 단말(306)은 상기 AIT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를 지시하는 개인화된 URL(혹은 URI)을 도출한다.
과정 416에서 단말(406)은 상기 AIT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개인화된 URL)가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에게로 단말(406)에 대한 사용자/장치 정보를 전송한다. 과정 418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408a)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406)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주소 정보(URL 혹은 URI)을 도출하고, 과정 420에서 상기 도출된 URL에 대응하는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408b)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을 재전송한다. 과정 422에서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408b)는 요청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406)에게 전송하며, 과정 424에서 단말(406)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과정 510에서 단말(506)은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고 방송 서버(5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506)이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도중 과정 512에서 방송 서버(504)는 방송 스트림 안에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포함시켜 단말(506)에게 전송한다. 상기 AIT는 개인화된 UR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개인화 플래그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표 2>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하는 AIT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application_type As required, eg Flash or HTML
application_control_code Not used
Customization_flag Indicate whether the application can support customization. If the value is '1', the device should send user/device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URL.
application_descriptor()
application_profile_length 0 (no application profile provided)
service_bound_flag Set as required
visibility Not used
application_priority Set as required
transport_protocol_label At least one
transport_protocol_descriptor()
protocol_id 0x03 (broadband server)
selector_bytes Carry the min. application version
simple_application_location_descriptor()
initial_path_bytes Parameters for the application
<표 2>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AIT는 Customization URL 및 Customization Parame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정 514에서 단말은 AIT에 포함된 개인화 플래그의 값이 '1'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1'이 아니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반면 개인화 플래그의 값이 '1'이면 과정 516에서 단말(506)은 AIT에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개인화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버(508)에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단말(506)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518에서 인터넷 서버(508)은 단말(506)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과정 520에서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506)에게 전송한다. 과정 522에서 단말(506)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단말은 인터넷 서버로부터 이미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변경되는 부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서버에서 이미 전달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다이나믹하게 업데이트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단말은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변경되는 부분을 인터넷 서버에 요청하며, 그 응답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방송 통신 융합 단말기의 구성에 개인화 정보 저장 블록(626)이 추가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방송 채널 및 광대역 채널을 액세스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 구성에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인터페이스(620)을 통해 단말(610)은 AIT 데이터, 선형 A/V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및 스트림 이벤트를 방송사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들은 역다중화기(622)를 통해 AIT 필터(624)와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클라이언트(632) 및 방송 처리부(630)에게 전달된다. DSM-CC 클라이언트는 DSM-CC 객체 카루셀(object carousel)을 통해 전달되는 마지막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하여 런타임 환경 처리부(Runtime Environment)(614)로 제공한다.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는 양방향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들(612)이 실행되는 개념적인 개체(abstract component)를 의미한다. 브라우저(618)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자(616)은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를 구성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은 AIT 필터(624)로 통해 제공된 AIT 데이터를 평가하고 해당하는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lifecycle)을 제어한다. 브라우저(618)은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응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선형 A/V 컨텐트는 방송 처리부(630)에서 통상적인(standard)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단말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방송 처리부(630)는 통상적인 DVB 단말에서 제공되는 모든 DVB 기능을 포함한다. 방송 처리부(630)는 채널 리스트, EIT p/f 테이블(Event Information present/following table), 튜닝(tuning)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 및 기능들을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에게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어플리케이션(612)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형 A/V 컨텐트를 변형(scale and embed)하는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636)가 동작한다. 미디어 플레이어는 A/V 컨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광대역 인터페이스(628)는 단말(610)을 위한 인터넷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단말(610)은 광대역 인터페이스(628)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인터넷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형 컨텐츠(Content on Demand)와 같은 또한 비선형 A/V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634)는 단말이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기능들을 제공하며, 특히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에게 전달하고 비선형 A/V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어(636)에게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616)는 방송 인터페이스(620)를 통해 방송사로부터 수신된 AIT를 해석하여 상기 AIT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인화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AIT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한다. 일 예로서 상기 AIT에 포함된 개인화 플래그의 값이 '1'이거나, 상기 AIT에 인터넷 서버의 개인화된 URL이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AIT에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의 URL이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자(616)는 개인화 정보 저장 블록(626)에게, 기 저장된 사용자/장치 정보를 광대역 인터페이스(628)를 통해 인터넷 시스템(600) 내의 인터넷 서버(도시하지 않음)에게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부(702)는 광대역 채널을 통해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에게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해 기 수신된 사용자/장치 정보가 존재하거나, 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에 대한 사용자/장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상기 사용자/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대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송신부(706)는 광대역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단말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개인화 가능하도록 구성된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송신부(706)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판단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 혹은 단말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이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가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범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송신부(706)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의 URL을 도출하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704)는 별도의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상기 URL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1)

  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 및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단말에 의해 방송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범용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단말이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단말이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방송 서버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자동 시작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인화되는 기준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인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또는 본문 내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7.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버로부터 획득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형성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광대역 채널을 통해 인터넷 서버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 및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인터넷 서버가 상기 단말을 위한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또는 본문 내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0.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 및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범용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에 있어서,
    방송 서버로부터 획득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형성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광대역 채널을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가능한 인터넷 서버의 주소 정보 및 방송사가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화 플래그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며,
    상기 개인화 플래그가 상기 방송사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을 위한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상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범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인화되는 기준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인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에게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또는 본문 내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인화되는 기준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인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광대역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 또는 본문 내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
KR1020120083755A 2012-07-31 2012-07-3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5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55A KR101952700B1 (ko) 2012-07-31 2012-07-3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3/954,115 US9692805B2 (en) 2012-07-31 2013-07-30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PCT/KR2013/006870 WO2014021624A1 (en) 2012-07-31 2013-07-31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EP13824790.3A EP2880787B1 (en) 2012-07-31 2013-07-31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55A KR101952700B1 (ko) 2012-07-31 2012-07-3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695A KR20140016695A (ko) 2014-02-10
KR101952700B1 true KR101952700B1 (ko) 2019-02-28

Family

ID=5002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755A KR101952700B1 (ko) 2012-07-31 2012-07-31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2805B2 (ko)
EP (1) EP2880787B1 (ko)
KR (1) KR101952700B1 (ko)
WO (1) WO2014021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636B2 (ja) * 2011-11-02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78227A4 (en) * 2013-03-19 2016-08-17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JP6418162B2 (ja) * 2013-09-30 2018-11-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5960767B (zh) * 2014-02-03 2019-10-18 Lg电子株式会社 广播接收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60352793A1 (en) * 2014-02-17 2016-12-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a hybrid broadcast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hybrid broadcast service
US20160182977A1 (en) * 2014-12-19 2016-06-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interaction with advertisements on hybrid terminals
CN107124670A (zh) * 2017-04-25 2017-09-01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打开应用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7369A1 (en) * 2002-05-17 2003-11-20 Heredia Edwin Arturo Flexible application information formulation
KR100517809B1 (ko) * 2002-12-23 2005-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선호 프로파일을 적용한 웹 컨텐트 전송 방법
KR100630616B1 (ko) * 2004-07-15 2006-10-02 주식회사 위즈링크 개인 맞춤 온-라인 상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39104B1 (ko) * 2006-05-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5623B1 (ko) 2006-07-21 2008-09-0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탈 방송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유니캐스팅 전송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73950B1 (ko) 2007-01-10 2008-12-1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KR101723228B1 (ko) 2010-04-29 2017-04-0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21879B1 (ko) 2010-05-07 2011-03-17 (주)안타레스 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융합서비스 제공방법
KR101763887B1 (ko) 2011-01-07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동기화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20120233235A1 (en) * 2011-03-07 2012-09-13 Jeremy David Allaire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nt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624A1 (en) 2014-02-06
US20140040424A1 (en) 2014-02-06
EP2880787B1 (en) 2018-02-28
EP2880787A1 (en) 2015-06-10
EP2880787A4 (en) 2016-03-16
US9692805B2 (en) 2017-06-27
KR20140016695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700B1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193256B (zh) 利用统一的epg获取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KR100956825B1 (ko) 프리뷰 컨텐츠 수신방법 및 iptv 수신기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A3041982C (en) Broadcast identifier signaling
US20180139476A1 (en) Dynamic event signaling
US20230009099A1 (en) Receiving device, and signaling device
KR20140125686A (ko)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ndo et al. Cross-media platform for the unification of broadcast and broadband program-viewing environments
US10389461B2 (en) Method for decoding a service guide
CA3081282C (en) Service list
KR20180034332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A3041449C (en) Dynamic event signaling
KR20150140147A (ko) 하이브리드 방송을 위한 하위버전 호환성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376804A1 (e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KR20170134180A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A3040829C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