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102B1 -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 Google Patents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102B1
KR101949102B1 KR1020180119804A KR20180119804A KR101949102B1 KR 101949102 B1 KR101949102 B1 KR 101949102B1 KR 1020180119804 A KR1020180119804 A KR 1020180119804A KR 20180119804 A KR20180119804 A KR 20180119804A KR 101949102 B1 KR101949102 B1 KR 10194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edication
alarm
protection a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준
최은섭
Original Assignee
박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준 filed Critical 박기준
Priority to KR102018011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1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intake assistance method using a medicine intake assistance system includes: a step of setting medicine intake alarm information for a user based on medicine intake information inputted from a protection institute and a user; a step of providing a medicine intake alarm for the user through an operation of a medicine intake assistance device of the medicine intake assistance system and a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medicine intake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a step of determining intak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depending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cine intake assistance devic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tep of providing the protection institute with medicine intake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intak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ny one among sound signal information,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and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nsure accurate drug guidance by enabling a user to sur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taken medicine or not.

Description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al-

본 발명은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및 보호기관 모두로부터 입력받은 복약 정보에 따라 설정된 복용 알람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복약 패턴 정보가 보호기관 측으로 제공되는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s auxiliary system and a medicinal aids method using the medicin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s assisting system and a medicinal aids assist method using the medicines, And the user's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s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dication assistant method using the same.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며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복약지도와 건강상담은 필수적이다. 다만, 사회적으로 취약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독거 노인, 저시력자, 농어촌 거주 노인 등의 경우에는 약물을 복용하는데 있어 복약지도가 약 구매 시 진행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올바른 복약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과다 약물 복용 또는 비 복용으로 인하여 복약순응도의 저하와 약물 부작용으로 건강이 악화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t is essential that professional and academic medication guidance and health counseling are in progress at the moment of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low vision man, and elderly people resid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hich ar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here is a limit to the continuous medication even if the medication instruction is proceeded. In particular, due to the excessive use of drugs or non-use of drugs due to adverse drug compliance and adverse drug reactions, the health is deteriorating or severe cases of death are occurring in the present situ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전의 약품보관장치는 약품보관기능과 약 복용 시간의 알림기능과 주기적인 복용이 반드시 필요한 환자의 약 복용여부를 외부의 관리자로 하여금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약 복용여부가 단순히 약 보관장치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가 있다. 즉, 도어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노인이나 저시력자의 경우에는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단순 도어 개방여부만으로는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렵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onventional medicine storage device has a function of storing medicine, notifying the time of taking medicine, and allowing the external administrator to manage whether or not the patient who takes the medicine should take the medicine periodically. However, Is simply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of the medicine storage device is opened or not. That is, in spite of the opening of the door, the elderly person or the low vision person may not be able to take the medic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medication is actually taken only by opening the door.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742호 "메시지 송신에 의해 환자의 약복용 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약품보관장치" (2011.02.14 공개)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14742 "Medication Storage Device That Can Manage Patient's Medication Cycle by Transmission of Messages" (Published on February 14,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복약지도가 진행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user to reliab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drug has been taken to proceed with accurate drug administration.

또한, 사용자의 복약 패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mpt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user's medication patter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 disclosed.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support method using a medication support syste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은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시스템의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 및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보호기관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tion assistance method using the medication assistance system includes setting up dose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A step of providing an alarm to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the step of judg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 step of providing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a user as a protection agency on the basis of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s taking,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ny of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and sound sig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s wearable device On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보호기관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보호기관으로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기관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보호기관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medicines assisting method using the medicines 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is set based on the medicament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the user medicament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A step of inputting protection agent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tection agency, a step of judging wheth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a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tc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as the protection agenc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request information is sent to the protection agency Whether taking the alarm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received response information, whether or no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외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복용 알람 정보는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the medication support method using the medic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is set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 from the user , And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user's outgo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에는 복약 보조 시스템에서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medicines assisting method using the medicines 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judg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cines assisting devic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evice is operated,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ware of the provided dosing alarm, a step of sensing whether or not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The step of sensing the information may further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복약 보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auxiliary syste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알람설정부,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알람제공부,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복용판단부 및 복용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보호기관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복약패턴제공부가 포함되고,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arm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n alarm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an alarm for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ak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 bio-signal information and a sound signal obtained from a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re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bio-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의 알람설정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고, 보호기관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보호기관으로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며,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기관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보호기관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alarm setting part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protection agent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protection agency,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tch,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is gener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with respect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의 알람설정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외출정보가 입력되고, 복용 알람 정보는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the alarm setting unit of the medicines 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taking into account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의 복용판단부에서는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고,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가 확인되며,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고,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될 수 있다.In the dosing determination unit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is sensed, whether or not the user is aware of the provided dosing alarm is confirmed, and the medication And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sens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약 보조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의 복약 현황을 보호기관(Ex. 의료기관, 요양기관, 가족 등)으로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응급의료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assista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medication status is continuously provided to a protection institution (eg, a medical institution, a medical institution, a family, etc.),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emergency medical situations that may occur to a us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In other words, undesirabl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의 복약패턴제공부에서 생성된 복용 패턴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ation-assisted method using a medication-assist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up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a user in the medic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user's dosage information in the medication-assist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dication-assi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dose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of the medication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with other part in betw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assistant method using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10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ines assisting method using the medicines ass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dicines ass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은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S100),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S200),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S300) 및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보호기관(30)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S400)가 포함되고,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medication support method using the medication suppor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us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30, A step S200 of providing a dosing alarm to the user through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nd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according to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S300) in which the user's result inform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and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nd the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is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30)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he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and the sound sig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Which may be on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복약 보조를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이 포함되나, 바람직하게는 사회적 취약 계층인 독거 노인, 저시력자, 정신 질환 환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보호기관(30)에는 상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단체 혹은 개인도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호기관(30)에는 요양기관, 의료기관, 가족, 담당 의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lly includes all persons who can receive medication assistance, but preferably is a socially vulnerable elderly person living alone, a low vision person, a psychiatric patien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group or an individual who can protect the user. For example,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may include a medical institution, a medical institution, a family member, ha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복약 보조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복약 보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assisting the user with medicines according to each step of the medicinal assis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up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30 in the medication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S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10), 보호기관(30)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20),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S130) 및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보호기관(30)으로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S140)가 포함되고,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기관(30)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보호기관(30)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medication-assistant method using the medication-ass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ing-up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30 In step S100,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step S110,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S120),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And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n the protection agent 30 sends the alarm information to the protection agency 30 (step S130) (S140) in which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med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protection agency 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repl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30 with respect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먼저, 본 발명의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이 설정되는데, 복용 알람이란 복약 보조 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해진 시간에 복약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복약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에 해당될 수 있다.First, in the medication assista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for taking a user is set. An alarm for taking a medication is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user device such as a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r a wearable device at a predetermined time, May be corresponding to a signal for induction.

즉,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복용 알람이 설정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복약 정보는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 보조 장치는 물론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는 사용자가 약사 등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얻은 처방 정보에 기초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에는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taking alarm to be provided for the user to be s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s well as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10.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prescrip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 user from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pharmacist.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medication time, a kind of medication to be taken, and a method of taking medicines.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된 이후에는 보호기관(30)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약 보조 시스템(10)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보조기관으로부터 보조기관 복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의 통신 방식에는 다양한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보조기관 복약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와 마찬가지로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기관 복약 정보에는 사용자의 개인 건강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복약 방법이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개인 건강 정보가 추가적으로 보호기관(30)으로부터 복약 보조 시스템(10)으로 수신될 수 있다.Aft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ted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The medicinal-support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uxiliary-medicinal-medicinal-medicinal information from an auxiliary institution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used for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method. Like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the auxiliary medication med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medication time, a kind of medication to be taken, a medication method according to medication typ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uxiliary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user'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y additionally be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30 to the medication assistant system 10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edication metho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health state of the current user.

상기와 같이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복약 정보를 입력받은 뒤에는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서 잘못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보호기관(30)으로부터 제대로 복약 정보를 사용자가 얻지 못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 판단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과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이 서로 다른 부분은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본 발명의 복약 보조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identical. That is, it is judged wheth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erroneous information can be inputt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not obtain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properly. In other words, the medication time inputted from the user, the type of medication to be taken, the method of taking the medication by type, the medication time inputted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the type of medication to be taken, And the process of confirming that there is no part can be performed by the medication assista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에는 상기 복약 정보 간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용 알람 정보에는 상기에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수신한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Thereafter, depending on whether the medication information matches or not,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osing alarm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the medication time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the type of medication to be taken, and the method of taking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ype.

이와는 달리, 사용자 복약 정보와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보호기관(30)으로 보호기관 복약 정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정확한 복용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보호기관(30)으로 하여금 복약 정보를 재차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복약 보조 시스템(10)에서는 확인 요청 정보를 보호기관(30) 측으로 상기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with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re-confirming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tection agency 30 may be provided. That is, in order to allow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to confirm the medication information again so as to provide an accurate taking alarm to the user,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10 transmits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via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Lt; / RTI >

이후에는 보호기관(30)으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회신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보호기관(30) 측에서 재차 보호기관 복약 정보를 제공해주면서 기존에 입력된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올바른 것이라고 확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재차 제공된 보호기관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received reply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provides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gain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the inputted protection agent medication information is correct, the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provided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즉,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Ex.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등)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기초로 정확한 복용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과정들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ep S100 of setting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described above,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Ex. Medication time, kind of medication to be taken, May be performed to provide the user with an accurate taking alarm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matc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외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복용 알람 정보는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Also, in the medicinal support method using the medicinal suppor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etting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medici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The step of inputting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taking out alarm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외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에는 외출 전 알람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외출 중에 복용할 약을 휴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외출 중 약 복용 시간이 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약 복용 알람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출 정보에는 사용자의 외출 스케쥴에 관련된 정보로써, 사용자의 외출 시간, 외출 장소, 외출 목적, 외출 시 활동 등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외출 정보에는 날씨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상기 외출 시간, 외출 장소, 외출 목적, 외출 시 활동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날씨정보를 고려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 복용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goes out on the basis of the outgo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pre-outgoing alarm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medication to be taken while going out. In addition, when the user takes a medication taking-out time while going out,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medicine taking alarm. Theref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outgo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uting schedule of the user, including the time of the user's outing, the place of going out, the purpose of going out, In addition, weather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outgoing information, so that information on the outing time, outing place, outing purpose, activity at the time of going out, and weather information a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type and method of taking the medicines have.

다음으로는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Next, in step S200, an alarm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according to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S100)에서 생성된 복용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복용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 보조 장치에서는 약이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가 미리 정해진 알림 시간에 돌출되고, 그와 동시에 사운드 신호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약 보조 장치에서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약 복용을 알리는 사운드 신호가 함께 출력됨으로써 복용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는 복용할 약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둥형 로봇 혹은 복수개의 관절을 가지는 로봇 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약 보조 장치에서는 LED 모듈이 점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 신호로써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는 약 복용 시간에 사용자 또는 요양사 등 미리 정해진 수신인의 스마트폰에 통화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용 알람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a taking alar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100 in which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is set.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ridge in which medicines are accommodated may protrude at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time, and a sound signal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dosing alarm by exposing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a sound signal informing of medication. The medicinal supplements may include a columnar robot or a robot arm having a plurality of joints in order to allow drugs to be taken out. In addition,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the LED module may be turned 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as an alarm signal for taking. In addition, in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the taking alarm signal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a call to a predetermined smartphone of a recipient, such as a user or a nursing home, at a drug-taking time.

상기와 같이 복약 보조 장치 외에도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용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스마트 팔찌,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걸이, 귀걸이 등 다양한 액세서리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복용 알람은 LED 등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복용 알람을 색깔, 문자, 도형 등으로 표시하거나, 사운드 신호 및 진동 신호 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복용 알람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복용 알람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저시력자, 전맹(全盲)자에 대하여는 진동을 통하여 복용 알람 등을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촉각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터치 기능, 전자 기기의 햅틱 기능 등을 이용하여 저시력자, 전맹자가 수월하게 출력정보(ex. 복용 알람 등)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the taking alarm may be provid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may include smart bracelet, smart watch, smart glasses, etc. as shown in FIG. 4, but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and earrings may be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The dosing alarm provid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can be displayed by color, letter, figure or the like us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ED, or provided to the user by a sound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That is,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 of the dosing alarm provid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a dosing alarm can be provid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in various ways. Particularly, it is also possible to perceive a low-vision person or an all-blind person through a vibration by taking an alarm. Further, by using a touch function for maximizing a tactile sense of a user, a haptic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etc.,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output information (e.g., taking alarm) by a low vision person or a whole mang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복약 보조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Next, in step S300,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in the medicinal-aid device may be determined in the medicinal assi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user's dosage information in the medication-assist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S300)에는 복약 보조 시스템(10)에서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S310),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S320),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S330) 및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되는 단계(S3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medication-assisting method using the medication-ass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are judged In operation S300, it is determined whether operation of the medication auxiliary unit 10 is performed in operation S310. In operation S3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aware of the provided dose alarm S320. A step S330 of sensing whether or not the medicine to be taken is removed and a step S340 of sensing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즉, 복약 보조 시스템(10)에서는 복약 보조 장치가 제대로 동작(Ex. 약 돌출, 사운드 신호 제공, LED 점등 등)되었는지가 먼저 확인될 수 있다. 복약 보조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제대로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복약 보조 장치가 동작되었는지 여부가 먼저 확인될 수 있다.That is, in the medicinal-support system 10, it can be first ascertained whether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operates properly (Ex.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properly even though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has not been operated properly.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has been operated can be confirmed first.

이후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복약 보조 장치 혹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된 복용 알람을 사용자가 인식하였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약 보조 장치에서 미리 구비된 버튼을 눌러 복용 알람이 중단되도록 하였거나,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복용 알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호(Ex. 터치 동작 신호, 숫자 입력 신호 등)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람이 제공된 사실을 인식하였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Thereafter,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recognized the dosing alarm provided through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r the user's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press the button provided in advance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to stop the taking alarm, or input the user's signal (Ex. Touch operation signal, numeric input signal, etc.) corresponding to the dose alarm to the user's wearable device,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alarm recognizes the fact that the alarm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알람 인식 여부가 확인된 뒤에는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이 수용된 카트리지의 하단면에 부착된 위치 감지 센서(Ex. 자이로 센서 등)를 통해 카트리지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됨으로써 카트리지의 이동이 확인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위치 변동이 확인된 뒤에는 복약 보조 장치에 구비된 중량 감지 센서를 통해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이 돌출 혹은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약을 잡음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 및 사용자가 잡은 약을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는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fter the user's recognition of the alarm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has been removed from the medication-assistive device can be sensed. Specifically, movement of the cartridge can be confirmed by sens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artridg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Ex. Gyro sensor or the lik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fter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artridge is confirmed,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medicine is projected or exposed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weigh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drug to be taken is removed. However, the way in which the above-mentioned medicine is removed is sensed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ethods can be used.

상기와 같이 약이 장치로부터 제거된 것이 확인된 뒤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fter the drug is confirmed to have been removed from the device,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sensed through the user's wearabl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ny one of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and sound sig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우선, 모션 인식 정보부터 살펴보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스쳐 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스쳐 신호에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작할 수 있는 제스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 팔을 굽힌 상태에서 팔꿈치가 하늘로 향하도록 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제스쳐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팔을 굽힌 상태에서 팔꿈치가 하늘로 향하도록 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행한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쳐 신호로 인식하여 약을 복용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팔꿈치를 이용한 제스쳐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제스쳐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First of all, from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he wearable device can be generated by receiving a preset gesture signal while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The gesture signal may include a gesture that the user can operate in the course of taking the medicine. For example, a user may be included in a gesture for expressing the action of one of the processes for the user to take the medicine, while the user is bent his / her arm and takes his / her elbow toward the sky in order to take the medicine. That is, when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of turning the elbow toward the sky in a state where the arm is b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recognizes the action of the user as a gesture signal, Can be recognized as one. However, the gestures using the elbow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gestures can be preset.

또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복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는데, 상기 생체 신호 정보에는 혈압, 체내 수분량 등 사용자의 신체에서 약이 복용됨으로써 변화될 수 있는 신호는 제한이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생체 신호 정보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 안쪽에 부착된 생체 신호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혈압 등이 측정될 수 있고, 측정된 혈압을 기초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take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The bio-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signals that can be changed by taking medicine from the user's body such as blood pressure and body water amount. The bio-signal information may be measured through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That is, the user's blood pressure or the lik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bio-signal sens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mart watch with the user wearing the smart watch,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aken the predetermined medicine based on the measured blood pressure .

더불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리 신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약 보조 장치의 카트리지로부터 약 봉지 또는 약 용기를 제거한 경우에 상기 약 봉지를 뜯거나 찢는 소리 혹은 약 용기의 뚜껑을 여는 소리등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센싱된 소리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약 봉지를 찢어서 약을 꺼내거나 약 용기의 뚜껑을 열어 약을 꺼내는 등의 사용자의 약 복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medica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ound signal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user taking the medicine. For example, when the user removes the medicine bag or medicine container from the cartridge of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the sound of tearing or tearing the medicine bag or opening the lid of the medicine container can be sensed through the user's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nalyzes the sensed soun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aking the medicines, for example, the user tears the medicine bag to take medicine or opens the lid of the medicine container to take the medicine.

전술한 사용자의 동작 정보 중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센싱되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mo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he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and the sound signal inform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and information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 by sensing through various methods may be included.

추가적인 예로써,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영상촬영부(미도시) 및 영상분석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S330) 이후에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촬영부에서는 영상촬영이 수행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이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영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됨으로써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may include an image capturing unit (not shown) and an image analyzing unit (not shown), and after the step S330, it is sensed whether or not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medication- The image capturing unit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can perform image capturing and the captured image is analyzed through various image analysis methods such as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aking the medicine.

즉, 전술한 여러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복용한 약의 종류, 약의 개수, 복용 방법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through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It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user took the medicine, but also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medicine taken, the number of the medicine, So that the result information on dose can be judg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방법에서는 상기 단계(S30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를 기초로 보호기관(30)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medication assista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is provided to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based on the user's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S300 (S400) .

즉,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를 누적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정해진 시기마다 정해진 양의 약을 제대로 복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패턴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복용 패턴 정보가 보호기관(30)으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pattern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appropriately takes a predetermined amount of medicine is determined based on accumulated data accumulat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result of the user, and the generated dose patter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otection agency 30 ). ≪ / RTI >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패턴제공부에서 생성된 복용 패턴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dose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of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일자 별 혈압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횟수가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패턴제공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매일 3번 약을 복용해야하는 경우 기준 횟수인 3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일자 별로 얼마만큼의 횟수만큼 약을 복용하였는지에 관한 복용 패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함께 제공되는 사용자의 혈압 정보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복약 시 측정된 혈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혈압 정보와 복약 횟수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패턴에 따라 혈압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5,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of each day of the user is shown together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ok the medicine by the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of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10. When the user needs to take the medicine three times daily, dose pattern information on how many times the user took the medicine based on the reference number of 3 on the date can be generated.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provided together in FIG. 5, may be displayed on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medication times are provided together so as to intuitively determine how the blood pressure changes according to a user's medication pattern.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일주일 동안 요일 별 사용자가 아침, 점심, 저녁의 정해진 시간 중 어느 시간에 약을 복용하였는지에 관한 복용 패턴 정보가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패턴제공부를 통해 생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아침 시간에는 일주일 내내 비슷한 시간(대략 8시)에 약을 복용하였으나, 점심과 저녁에는 아침보다는 불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는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즉, 보호기관(30)에서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복용 패턴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질병 혹은 질환 개선 정도가 파악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 dosage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of the morning, lunch, and evening during a week is obtained through a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Respectively. That is, referring to FIG. 6, in the morning, the medicine was taken at about the same time (approximately 8:00) throughout the week, bu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atient was taking the medicine irregularly in the morning and at lunch rather than in the morning. In other words,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can receive the dosage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reby grasping the degree of disease or disease improvement of the user.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월(11월)에 약의 종류 별로 얼마나 잘 복용했는지 여부가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패턴제공부를 통해 생성되어 보호기관(3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11월에 A, B, C의 세가지 약을 복용한 경우에 약의 종류 별로 정해진 시간 내에 복용하지 않은 횟수를 체크함으로써 복용률이 계산될 수 있고, 계산된 복용률은 도 7에서와 같이 숫자로는 물론 보호기관(30)의 의사나 요양사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약 모양에 퍼센테이지로 색깔이 칠해짐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aken the medicines according to the kind of medicines in a certain month (November) through the medicinal-drug-pattern providing unit of the medicinal-aid system 10 and provided to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 That is, when three medicines A, B, and C are taken in November, the dose rate can be calculated by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medicines are not take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alculated dose rate But can also be displayed by coloring with a percentage in the shape of the medicine so that i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physician or nurse of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다만, 상기 도 5 내지 도 7에서 제공되는 복용 패턴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약패턴제공부에서는 사용자의 복용 패턴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호기관(30)에서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생성됨으로써 보호기관(30)으로 제공될 수 있다.However, the dosing patterns provided in FIGS. 5 to 7 are all examples. In the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part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aking patterns are intuitively And can be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30 by being generated in a recognizable mann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dication-ass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복약 보조 시스템(10)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은 사용자 및 보호기관(30)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알람설정부(100),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알람제공부(200),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복용판단부(300) 및 복용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보호기관(30)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복약패턴제공부(400)가 포함되고,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medical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arm setting unit 100 for setting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An alarm providing unit 200 for receiving an alarm for a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alarm information for taking the patien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400 in which the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is provided to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on the basis of the taking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ose determining unit 300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ny one of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he bio-signal information, and the sound sig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알람설정부(1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고, 보호기관(30)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보호기관(30)으로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며,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기관(30)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보호기관(30)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alarm setting unit 100 of the medical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protection agent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protection institution 30, And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tch,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the us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30) is provided with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epl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3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s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알람설정부(1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외출정보가 입력되고, 복용 알람 정보는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larm setting unit 100 of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assista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 from the user, and the taking out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 보조 시스템(10)의 복용판단부(300)에서는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고,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여부가 확인되며,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고,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sing determination unit 300 of the medication auxiliar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whether the medication auxiliary apparatus is operated, whether or not the user is aware of the provided dosing alarm, It is sensed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to be taken by the user has been removed, and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sens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복약 보조 시스템 20: 웨어러블 디바이스
30: 보호기관
100: 알람설정부 200: 알람제공부
300: 복용판단부 400: 복약패턴제공부
500: 복약 보조 장치
10: medication auxiliary system 20: wearable device
30: Protection organization
100: alarm setting unit 200:
300: taking determination unit 400:
500: Medication aid device

Claims (8)

복약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시스템의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
(c)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호기관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a)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보호기관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상기 보호기관으로 상기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호기관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보호기관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상기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복약 정보에는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및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LED, 사운드 및 진동으로 복용 알람을 제공하고, 복약 보조 시스템의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을 제공하며,
상기 (c) 단계에는 상기 복약 보조 시스템의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의 돌출 여부, 사운드 신호 제공 여부 및 LED 점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 상기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 신호 및 숫자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복용 알람 인식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이 수용된 카트리지의 위치 변동 여부 및 압력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모션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약 복용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몸의 일부가 움직임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에 해당되고, 상기 생체 신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부착된 생체 신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신호에 해당되고,
상기 복약 패턴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일 별 복용 횟수 정보, 시간대 별 복용 정보 및 약 종류별 복용률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보조 방법.

A method for assisting in medicines using a medicines auxiliary system,
(a) setting dos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med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a protection agency;
(b) providing a dose alarm to the user through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and the medication aiding device of the medication aid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c) determin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nd
(d) providing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protection agency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ny one of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and sound sig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Wherein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protection agency, the determination is made that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and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th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otection agenc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to be set accor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with respect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es medication time, dosage And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a method of the kind of the drug and the dose of each drug class,
In the step (b), an alarm for taking the user's LED, sound, and vibr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Taking alarm,
In the step (c),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is sensed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edicine is projected, whether or not a sound signal is provided, and whether the LED lights up in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of the medication supplementary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whether the user recognizes an alarm to be taken based on any one of the touch operation signal and the numeric input signal of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is changed or n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nsing whether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sens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Wherein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when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is worn by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for taking a medicine and the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s to a signal measured through a bio-signal sensor attached to th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daily use by the user, information on dosing by time of day, and dose rate information by type of medica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외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용 알람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보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Wherein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삭제delete 복약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및 보호기관으로부터 입력된 복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되는 알람설정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는 알람제공부;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가 판단되는 복용판단부; 및
상기 복용판단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복용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호기관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약 패턴 정보가 제공되는 복약패턴제공부;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모션 인식 정보, 생체 신호 정보 및 소리 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알람설정부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복약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보호기관으로부터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한다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복약 정보 및 보호기관 복약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상기 보호기관으로 상기 보호기관 복약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정보가 제공되며, 상기 복약 정보 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호기관으로 제공된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하여 상기 보호기관으로부터 수신한 회신 정보에 따라 상기 복용 알람 정보가 설정될지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복약 정보에는 복약 시간, 복용할 약의 종류 및 약의 종류 별 복용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알람제공부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용 알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LED, 사운드 및 진동으로 복용 알람이 제공되고, 상기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복용 알람이 제공되며,
상기 복용 판단부에서는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의 돌출 여부, 사운드 신호 제공 여부 및 LED 점등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보조 장치의 동작 여부가 센싱되고, 상기 제공된 복용 알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 신호 및 숫자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복용 알람 인식 여부가 확인되며, 상기 복약 보조 장치에서 약이 수용된 카트리지의 위치 변동 여부 및 압력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약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복용할 약이 제거되었는지 여부가 센싱되고,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센싱되며,
상기 모션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약 복용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몸의 일부가 움직임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에 해당되고, 상기 생체 신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부착된 생체 신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신호에 해당되고,
상기 복약 패턴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일 별 복용 횟수 정보, 시간대 별 복용 정보 및 약 종류별 복용률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보조 시스템.
In the medicinal-aid system,
An alarm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the protection agency;
An alarm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an alarm for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A dos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nd
And a medication patter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protection agency based on the user's result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ose judging unit,
Wherei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ny one of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biometric signal information, and sound sign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The alarm setting unit receives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s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tection agency, determines whether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and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And if the user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are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protection agency med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repl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tection agency with respect to the confirmation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protection agency, By type of medicine and kind of medicine Contains at least any one of a method for,
In the alarm providing unit, an alarm for taking an LED, sound, and vibr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an alarm is given to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And,
In the dose determining unit, whether or not the medicine auxiliary device is operated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projected, whether a sound signal is provided, whether the LED is turned on, and the touch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The medication auxiliar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s the taking alarm on the basis of any one of the number input signals and the number input signal, Whether or not the medicine is removed is sense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sens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Wherein the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when the wearable wearable device is worn by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for taking a medicine and the biological signal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The wearable device corresponds to a signal measured through a bio-signal sensor attached to th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medication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daily use by the user, time-of-day information, and dose rate information of each type of medicin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설정부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외출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복용 알람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외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보조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larm setting unit receives the user's outgo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Wherein the taking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outgoing information of the user.
삭제delete
KR1020180119804A 2018-10-08 2018-10-08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KR101949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04A KR101949102B1 (en) 2018-10-08 2018-10-08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04A KR101949102B1 (en) 2018-10-08 2018-10-08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102B1 true KR101949102B1 (en) 2019-02-18

Family

ID=6556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04A KR101949102B1 (en) 2018-10-08 2018-10-08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10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7781A (en) * 2020-04-14 2020-10-13 上海丰饶医疗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glasses medicine taking ident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GB2593131A (en) * 2019-10-25 2021-09-22 Price Dawn Wearable device
CN113544791A (en) * 2019-03-25 2021-10-22 欧姆龙健康医疗事业株式会社 Medication situation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343525B1 (en) * 2020-08-19 2021-12-27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adherence has been fulfilled considering medication adherence pattern and server using same
US11405594B2 (en) 2018-04-30 2022-08-02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cting event of object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management server operating same
US11647167B2 (en) 2019-05-07 2023-05-09 Inhandplus Inc.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detection of events by using camer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24085320A1 (en) * 2022-10-21 2024-04-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how to use eyedrops, and recording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742A (en) 2009-08-06 2011-02-14 조길형 Medicine keeping apparatus managing taking-time of medicine punctually by message service
KR20120075532A (en) * 2010-11-2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dica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for
KR20160129614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제윤메디컬 User Authentication system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60134950A (en) * 2015-05-14 2016-11-24 주식회사 인포피아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sonal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742A (en) 2009-08-06 2011-02-14 조길형 Medicine keeping apparatus managing taking-time of medicine punctually by message service
KR20120075532A (en) * 2010-11-2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dica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for
KR20160129614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제윤메디컬 User Authentication system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60134950A (en) * 2015-05-14 2016-11-24 주식회사 인포피아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sonal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594B2 (en) 2018-04-30 2022-08-02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cting event of object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management server operating same
US11695903B2 (en) 2018-04-30 2023-07-04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cting event of object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management server operating same
CN113544791A (en) * 2019-03-25 2021-10-22 欧姆龙健康医疗事业株式会社 Medication situation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US11647167B2 (en) 2019-05-07 2023-05-09 Inhandplus Inc.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detection of events by using camer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GB2593131A (en) * 2019-10-25 2021-09-22 Price Dawn Wearable device
CN111767781A (en) * 2020-04-14 2020-10-13 上海丰饶医疗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glasses medicine taking ident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344338B1 (en) * 2020-08-19 2021-12-29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KR102476665B1 (en) * 2020-08-19 2022-12-12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WO2022039521A1 (en) * 2020-08-19 2022-02-24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has been administered and server using same
KR20220022887A (en) * 2020-08-19 2022-02-28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US11304656B2 (en) 2020-08-19 2022-04-19 Inhandplus Inc. Wearable device for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KR102344101B1 (en) * 2020-08-19 2021-12-29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adherence has been fulfilled and server using same
US11457862B2 (en) 2020-08-19 2022-10-04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has been administered and server using same
KR102344449B1 (en) * 2020-08-19 2021-12-29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KR20230006624A (en) * 2020-08-19 2023-01-10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KR102343532B1 (en) * 2020-08-19 2021-12-27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adherence has been fulfilled considering medication adherence type and server using same
US11660048B2 (en) 2020-08-19 2023-05-30 Inhandplus Inc. Wearable device for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KR102343525B1 (en) * 2020-08-19 2021-12-27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adherence has been fulfilled considering medication adherence pattern and server using same
KR102595326B1 (en) * 2020-08-19 2023-10-27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US11832962B2 (en) 2020-08-19 2023-12-05 Inhandplus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has been administered and server using same
US11950922B2 (en) 2020-08-19 2024-04-09 Inhandplus Inc. Wearable device for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WO2024085320A1 (en) * 2022-10-21 2024-04-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how to use eyedrops, and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2B1 (en) The medication aid system and medication aid method for operating by the system
US1053524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argeted interactive health status notification and confirmation
US9144399B2 (en) Medication recording device
US115592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harmacological therapeutics including a health monitoring device
US202100076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ll detection
JP7105164B2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24005003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has been administered and server using same
JP2018086201A (en) Health management type pet robot
Omar et al. An intelligent assistive tool for Alzheimer’s patient
KR20170000123A (en) Care system for patien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US20190252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rapeutic compliance
Prasath et al. A Smart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Using IoT
US2023005880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 medical device
GB2431858A (en) Wearable medical alert device
JP2003225284A (en) Supporting device of control of taking medicine
US11763924B2 (en) Supporting patients in the repeated taking of drugs
US20190009049A1 (en) Digital command prompting device for dementia patients using augmented reality
Divya et al. An Extensive Review on Emergency Assistance Applications
TR2023013940A2 (en) DRUG INt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Rotariu et al. Assistive technologies to support communication with neuro-motor disabled patients
JP7282534B2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7113156B1 (e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Fatima et al. IoT Driven Smart Pill Box to Remind of Consumption
Luca et al. Innovative Assistive System for Monitoring People with Alzheimer
Rotariu et al. Assistive Technologies to Support Communication with Neuro-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