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078B1 -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 Google Patents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078B1
KR101949078B1 KR1020180012985A KR20180012985A KR101949078B1 KR 101949078 B1 KR101949078 B1 KR 101949078B1 KR 1020180012985 A KR1020180012985 A KR 1020180012985A KR 20180012985 A KR20180012985 A KR 20180012985A KR 101949078 B1 KR101949078 B1 KR 10194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strate
main body
enga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수
이진우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8001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0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memory device easy to replace parts. Since a substrate contact unit of a substrate unit and memory contact unit of a memory unit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the memory unit and substrate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ccordingly, under a test process before shipping a product or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memory unit and substrate in a use process, the USB memory device has the effect that only defective parts may be replaced.

Description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부 및 기판 중 불량이 발생된 부품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memory device that is easy to replace pa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memory device that allows replacement of only a defective memory part and a defective part of the board.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장치는 컴퓨터와 주변장치를 접속하는 버스 규격을 뜻하는 용어로서,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MP3, PMP, PDA, 메모리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SB 메모리 장치는 외부장치의 USB 포트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소정속도의 데이터 전송을 통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임의의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나 소형 하드디스크를 구비한 것으로서,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에 비하여, 대용량 파일의 이동이 가능하고, 통신속도가 빠르며,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방식으로 사용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소형이고 휴대가 간편한 스틱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a USB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is a term for a bus standard connecting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and is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an MP3, a PMP, a PDA and a memory device. Such a USB memory device is connected to a USB port of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USB interface, and is provided with a flash memory or a small hard disk in order to read pre-stored data or to write arbitrary data through data transmission at a predetermined speed Compared to existing portable storage devices, it is capable of moving large files, has a high communication speed, is easy to use in a plug and play manner, and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have.

도 1은 종래 USB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USB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본체와 케이스가 분해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mory body and a case of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are disassemb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USB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본체(10), 메모리본체(10)가 삽입되는 케이스(20) 및 케이스(20)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30)를 포함한다. 메모리본체(10)는 베이스(13)와, 베이스(13)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 1 USB 단자(11)와, 베이스(13)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USB 단자(12)를 포함한다. 제 1 USB 단자(11)는 예를 들면 휴대용 기기의 USB단자 등에 접속되는 B 타입 단자 또는 C 타입 단자로 구성되고, 제 2 USB 단자(12)는 예를 들면 컴퓨터의 USB단자에 접속되는 A 타입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기기는 그 부피가 점차 소형화되고 있어, 제 1 USB 단자(11)의 경우, 기존 B 타입 단자를 소형화하여 표준화시킨 마이크로 USB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1 and 2,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includes a memory body 10, a case 20 into which the memory body 10 is inserted,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30 that supports the case 20 to rotate . The memory main body 10 includes a base 13, a first USB terminal 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3 and a second USB terminal 1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13. The first USB terminal 11 is, for example, a B type terminal or a C type terminal connected to a USB terminal of a portable device. The second USB terminal 12 is, for example, an A type Terminal. He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becoming smaller in size,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USB terminal 11, a micro USB terminal having a miniaturized standardized B type terminal can be applied.

베이스(13)는 기판(13a)과,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기판(13a)의 상면에 실장되는 메모리부(13b)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13a)의 양측에 제 1 USB 단자(11)와 제 2 USB 단자(12)가 각각 구비된다. 메모리부(13b)는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The base 13 includes a substrate 13a and a memory portion 13b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3a so as to store data. A first USB terminal 11 and a second USB terminal 1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3a. The memory unit 13b includes, for example, a flash memory or the like.

회전지지부(30)는 베이스(13)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지지부(3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13)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USB 단자(11)와 제 2 USB 단자(12) 중 어느 한 단자가 외부로 노출된다.The rotary support 30 supports the base 13 to be rotated, and is formed in a 'C' shape in section. One of the first USB terminal 11 and the second USB terminal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base 13 is rotated.

한편, 메모리부(13b)는 융착 공정에 의하여 기판(13a)의 상면에 일체로 실장되는데, 테스트 과정에서 또는 사용 과정 도중, 메모리부(13b) 또는 기판(13a)에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메모리부(13b)와 기판(13a)은 이미 융착되어 일체화 된 상태이므로, 메모리부(13b) 또는 기판(13a) 중 어느 하나만 불량이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까지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 memory unit 13b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3a by the fusion process. If a failure occurs in the memory unit 13b or the substrate 13a during the test process or during the use process, The portion 13b and the substrate 13a are already fused and integrated so that even if any one of the memory portion 13b or the substrate 13a is defective, the other portion needs to be replaced.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22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2248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부와 기판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테스트 과정 하에서, 또는 사용 과정 도중 메모리부 및 기판 중 불량이 발생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memory unit and a substrate detachable so that only a defective part in a memory unit and a substrate can be replaced during a test process or during use And to provide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memory uni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a base having terminal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 main body formed to cover the base and having one end opened to expose the terminal to the outside, wherein the USB memory device is easy to replace.

또한, 상기 기판의 일측에 기판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기판접촉부와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메모리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memory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the memory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the memory portion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기판의 일측에 제 1 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타측에 제 2 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면부에 상기 기판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면부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substrate may have a first surface portion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substrate conta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first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타단부에 실장되는 단자기판과, 상기 단자기판의 일단부에 상기 제 2 면부의 타단부와 멀어지도록 돌출되는 노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oard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an exposur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t one end of the terminal board. Thereby providing a USB memory device with easy replacement of parts.

또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제 2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면부와 상기 본체 사이로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부와 상기 본체 사이로 상기 결합캡이 삽입되면,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결합캡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제 1 개방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termina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a coupling cap inserted into the second surface portion of the coupling cap so as to be detachable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When the coupling cap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oard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단자기판의 일단부에 상기 노출단자가 구비될 때, 상기 단자기판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에 납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캡은, 상기 제 2 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부가 상기 단자기판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제 1 결합판; 및 상기 제 2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판의 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 2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단자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제 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캡이 상기 본체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판의 일단부는 상기 단자기판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결합판의 일단부는 상기 납땜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납땜부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exposed terminal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board, a solder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board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A first coupling plate inserted into the terminal board,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late being engaged with the terminal board; And a second coupling plate which is integrally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and has one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late is positioned to engage with the terminal board when the coupling cap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is recessed to receive the soldering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be caught by the soldering portion.

또한, 상기 베이스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판의 일면에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걸림부가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concavely or convexly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located opposite to the base,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locked.

또한,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having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l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rota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본 발명은 기판부의 기판접촉부와 메모리부의 메모리접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메모리부와 기판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품 출고 전 테스트 과정 하에서, 또는 사용 과정 도중 메모리부 및 기판 중 어느 한 부품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불량이 발생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of the substrate portion and the memory contact portion of the memory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emory portion and the substrate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emory portion and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defective part.

또한, 결합캡이 본체로 삽입되면, 본체에 먼저 삽입되어 있던 베이스는 본체 외부로 임의로 탈거되지 아니하고, 본체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cap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base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not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but is firmly coupled to the main body.

또한, 본체에 삽입된 결합캡은 본체에 단순 걸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캡은 작업자의 압력으로 인하여 억지로 본체 외부로 탈거될 수 있어, 부품 교체 등을 위하여 본체에 삽입된 베이스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결합캡을 본체에서 탈거한 후, 베이스를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cap inserted in the main body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the coupling cap can be forcibly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ue to the pressure of the operator, so that the bas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cap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after removing the coupling cap from the main body.

도 1은 종래 USB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USB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본체와 케이스가 분해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베이스에 결합캡이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결합캡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결합캡이 본체에 결합된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본체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mory body and a case of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are disassemble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is latched on a base of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parts replacement is eas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ain body.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ain body.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ous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USB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SB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B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Fig.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1000: 도 10 도시)는 베이스(100) 및 본체(200)를 포함하며, 하우징(400: 도 10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10, a USB memory device 1000 (shown in FIG. 10), which facilitates parts replac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and a main body 200, and a housing 400 Fig. 10).

베이스(100)는 기판(110), 메모리부(120) 및 제 1, 2 단자(112, 13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예를 들면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판(110)은 그 길이방향 상측에 평평하게 제 1 면부(110a)가 구비되고, 그 길이방향 하측에 평평하게 제 2 면부(110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면부(110b)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단자(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면부(110b)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제 2 단자(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USB 단자는 통상적으로 호스트 컴퓨터 등에 접속되는 A 타입 단자와, 휴대단말기 등에 접속되는 소형의 B 타입 단자 및 C 타입 단자가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12)는 A 타입 단자에 해당하는 일반 USB 단자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제 2 단자(130)의 노출단자(134)는 소형의 B 타입 단자 또는 C 타입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100 includes a substrate 110, a memory unit 120,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2 and 130. The substrate 11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for exampl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110 has a first surface 110a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surface 110b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terminal 112 is integrally formed at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and the second terminal 130 is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On the other hand, a USB terminal using a USB interface typically has an A-type terminal connected to a host computer or the like, and a small B-type terminal and a C-type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12 is constituted by a general USB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A type terminal, and the exposed terminal 134 of the second terminal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stituted by a small B type terminal or a C type terminal .

메모리부(120)는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MP3, PMP, PDA 등의 다양한 외부기기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되며, 데이터 전송을 통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임의의 데이터를 쓰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메모리부(120)는 억지로 착탈 가능하도록 제 1 면부(110a)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제 1 면부(110a)에는 기판접촉부(114)가 돌출 형성되고, 메모리부(120)의 기판접촉부(114)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기판접촉부(114)와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메모리접촉부(122)가 구비된다. 이처럼 메모리부(120)는 납땜 등에 의하여 기판(110)에 실장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접촉부(114)와 메모리접촉부(122)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부(120)와 기판(110)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품 출고 전 테스트 과정 하에서, 또는 사용 과정 도중 메모리부(120) 및 기판(110) 중 어느 한 부품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불량이 발생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memory unit 120 is composed of a flash memory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an MP3, a PMP, and a PDA by a USB interface method, , And is configured to write arbitrary data. The memory uni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10a by an adhesive or the like so as to be detachably detachable. A substrate contact portion 114 protrudes from the first face portion 110a and contacts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114 of the memory portion 120. The memory contact portion 114 contacts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114, (Not shown). The memory unit 120 is configured not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10 by soldering but to be detachably and electrically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contact unit 114 and the memory contact unit 122. Accordingly, the memory unit 120 and the substrate 11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memory unit 120 and the substrate 110 under the pre-product testing process or during the use process ,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defective parts.

제 2 단자(130)는 제 2 면부(110b)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실장되는 단자기판(132)과, 상기 단자기판(132)의 일단부에 상기 제 2 면부(110b)의 타단부와 멀어지도록 돌출되는 노출단자(134)를 포함한다. 노출단자(134)는 예를 들면 C 타입 단자로 구성된다. The second terminal 130 includes a terminal board 132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11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terminal 13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110b at one end of the terminal board 132. [ And an exposed terminal 134 that protrudes so as to be exposed. The exposure terminal 134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C type terminal.

본체(200)는 베이스(100)의 외형을 커버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 1 단자(1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개방부(202)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본체(2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제 2 단자(13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2 개방부(204)가 관통 형성된다. 베이스(100)는 제 1 개방부(202)를 통하여 본체(20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200)의 상측과 하측에 후술하는 하우징(400: 도 10 도시)과 결합되도록 제 1 회전홀(201a)과 제 2 회전홀(201b)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as to cover the outer shape of the base 100. A first opening 202 is formed at one longitudinal end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1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pening 20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30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base 1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202. A first rotation hole 201a and a second rotation hole 201b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0 so as to be coupled with a housing 400 (shown in FIG. 10) described later.

결합캡(300)은 본체(200)로 삽입된 베이스(10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개방부(202)를 통하여 제 2 면부(110b)와 본체(200) 사이로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캡(300)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upling cap 300 prevents the base 10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200. The coupling cap 300 is inserted and detach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and the main body 200 through the first opening 202, do. The coupling cap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베이스에 결합캡이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결합캡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is engaged with a base of a USB memory device in which components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of a USB memory device that is easy to replac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자기판(132)은 제 2 면부(110b)에 실장되고, 단자기판(132)의 일단부에 노출단자(13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노출단자(134)는 제 2 면부(110b)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단자기판(132)의 타단부는 제 2 면부(110b)에 위치되는데, 이때, 단자기판(132)의 타단부와 제 2 면부(110b) 사이가 납땜 결합되어, 단자기판(132)의 타단부와 제 2 면부(110b) 사이에 납땜부(136)가 돌출 형성된다.7 and 8, the terminal board 132 is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and the exposed terminal 134 is formed on one end of the terminal board 132 so as to protrude from the exposed terminal 134,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board 132 is positioned at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board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by soldering, And a soldering portion 136 is formed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결합캡(300)은 본체(200)로 삽입된 베이스(10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제 2 면부(110b)와 상기 본체(200) 사이로 삽입되는 것으로, 제 1 결합판(310) 및 제 2 결합판(320)을 포함한다. 제 1 결합판(310)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제 2 면부(110b)를 따라 본체(200)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 1 결합판(310)은 일단부가 단자기판(132)의 타단부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제 2 결합판(320)은 제 2 면부(110b)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판(310)의 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 2 면부(110b)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단자기판(132)의 일면을 덮도록 제 1 결합판(310)보다 돌출된 상태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결합판(320)의 일단부는 납땜부(136)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캡(300)이 본체(200)로 삽입될 때, 제 1 결합판(310)의 일단부는 제 2 면부(110b)를 따라 슬라아딩되다가 단자기판(132)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제 2 결합판(320)의 오목부(322)는 납땜부(136)에 걸리도록 위치된다.The coupling cap 300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and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base 10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is not arbitrarily detached.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320 as shown in FIG.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along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is positioned such th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board 132. The second coupling plate 320 is integrally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positioned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110b. One end of the coupling plate 32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110b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so as to cover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ard 132.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320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322 so as to insert the soldering portion 136 therein. When the coupling cap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is slid along the second surface portion 110b and is positioned to be hung on the terminal board 132, The concave portion 322 of the engaging plate 320 is positioned to be engaged with the soldering portion 136.

이처럼 제 2 면부(110b)와 본체(200) 사이로 결합캡(300)이 삽입되면, 제 1 결합판(310)에 단자기판(132)이 걸림 위치되고 납땜부(136)가 오목부(322)에 걸림 위치되므로, 단자기판(132)은 상기 결합캡(300)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단자기판(132)은 상기 제 1 개방부(202)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결합캡(300)이 본체(200)로 삽입되면, 본체(200)에 먼저 삽입되어 있던 베이스(100)는 본체(200) 외부로 임의로 탈거되지 아니하고, 본체(200)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coupling cap 300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110b and the main body 200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substrate 132 is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310 and the soldering portion 136 is engaged with the recess 322, The terminal board 132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cap 300 so that the terminal board 132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first opening 202 direction. That is, when the coupling cap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the base 100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is not removed from the main body 200, .

한편, 베이스(1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결합판(320)의 일면에 제 1 걸림부(324)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의 상기 제 1 걸림부(3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걸림부(324)가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도록 제 2 걸림부(210)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200) 내부로 삽입된 결합캡(300)은 본체(2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걸림부(324)와 제 2 걸림부(210)는 단순 걸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캡(300)은 작업자의 압력으로 인하여 억지로 본체(200) 외부로 탈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에 삽입된 베이스(100)를 본체(200)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먼저, 결합캡(300)을 본체(200)에서 탈거한 후, 베이스(100)를 본체(2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324 is convex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320 positioned opposite to the base 10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324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24 of the main body 200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10 is concavely formed so that the first latching portion 324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ccordingly, the coupling cap 30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is firmly fixed to the main body 200. Sinc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324 and 210 are fastened together, the coupling cap 300 can be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0 forcibly due to the pressure of the operator. When the base 10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0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0, the coupling cap 300 is first removed from the main body 200, 200 to the outsid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결합캡이 본체에 결합된 다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ate in which a coupling cap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ain body.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1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결합판(320)의 일면에 제 1 걸림부(324)가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의 상기 제 1 걸림부(3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걸림부(324)가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도록 제 2 걸림부(212)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9, a first engaging portion 324 is formed in a convex or concave shape on one surface of a second engaging plate 320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se 100,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12 may be formed to be convex so that the first latching portion 324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324.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의 본체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USB memory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housing.

도 3,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400)은 본체(200)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지지판(410)과, 상기 제 1 지지판(410)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지지판(420)과, 상기 제 1 지지판(410)과 상기 제 2 지지판(420)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지지판(410)과 제 2 지지판(420) 사이에 본체(200)가 위치된다. 이때, 제 1 지지판(410)에는 본체(200)의 제 1 회전홀(201a)에 삽입되도록 제 1 회전돌기(412)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지지판(420)에는 본체(200)의 제 2 회전홀(201b)에 삽입되도록 제 2 회전돌기(422)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제 1 지지판(410)과 제 2 지지판(420)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제 1 단자(112) 또는 제 2 단자(130)를 하우징(400)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3, 4, and 10, the housing 400 is for rotating the main body 200,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410, a second support plate 410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late 410, 2 supporting plate 420 and a connecting part 430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410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420. The main body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4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0. A first rotation protrusion 412 protrudes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41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on hole 201a of the main body 200 and a second rotation protrusion 412 protrudes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420, The second rotation protrusion 422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201b. The main body 200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4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20 to expose the first terminal 112 or the second terminal 13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00.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0: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
100: 베이스 110: 기판
110a: 제 1 면부 110b: 제 2 면부
112: 제 1 단자 114: 기판접촉부
120: 메모리부 122: 메모리접촉부
130: 제 2 단자 132: 단자기판
134: 노출단자 136: 납땜부
200: 본체 201a: 제 1 회전홀
201b: 제 2 회전홀 202: 제 1 개방부
204: 제 2 개방부 210, 212: 제 2 걸림부
300: 결합캡 310: 제 1 결합판
320: 제 2 결합판 322: 오목부
324: 제 1 걸림부 400: 하우징
410: 제 1 지지판 412: 제 1 회전돌기
420: 제 2 지지판 422: 제 2 회전돌기
430: 연결부
1000: USB memory device with easy parts replacement
100: base 110: substrate
110a: first surface portion 110b: second surface portion
112: first terminal 114: substrate contact
120: memory part 122: memory contact part
130: second terminal 132: terminal board
134: Exposure terminal 136: Soldering part
200: main body 201a: first rotation hole
201b: second rotating hole 202: first opening
204: second opening portion 210, 212: second engaging portion
300: coupling cap 310: first coupling plate
320: second coupling plate 322:
324: first latching part 400: housing
410: first support plate 412: first rotation projection
420: second support plate 422: second rotation projection
430:

Claims (9)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판의 타측에 구비되는 단자를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에 기판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기판접촉부와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메모리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측에 제 1 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타측에 제 2 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면부에 상기 기판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면부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면부의 타단부에 실장되는 단자기판과, 상기 단자기판의 일단부에 상기 제 2 면부의 타단부와 멀어지도록 돌출되는 노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제 2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면부와 상기 본체 사이로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결합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부와 상기 본체 사이로 상기 결합캡이 삽입되면,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결합캡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단자기판은 상기 제 1 개방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단자기판의 일단부에 상기 노출단자가 구비될 때, 상기 단자기판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가 납땜 결합되어, 상기 단자기판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면부 사이에 납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캡은,
상기 제 2 면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부가 상기 단자기판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제 1 결합판; 및
상기 제 2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판의 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 2 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단자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제 2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캡이 상기 본체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판의 일단부는 상기 단자기판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결합판의 일단부는 상기 납땜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납땜부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억지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면부에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
A memor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memory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a base having terminal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nd a body formed to cover the base,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 memory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memory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A first surfac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 second surfac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ortion,
The terminal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med at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terminal form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substrat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an exposur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t one end of the terminal substrate,
A first open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rs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cap inserted detachably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opening,
When the coupling cap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the main body, the terminal substrate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cap, the terminal substrate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first opening direction,
When the exposed terminal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boar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board is soldered between the second face portion and the solder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board and the second face portion ,
The coupling cap
A first coupling plat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long the second surface portion, the first coupling plate being position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terminal substrate; And
A second coupling plate integrally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and having one end extending to cover one surface of the terminal substrat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Including,
One end of the first engaging plate is positioned to engage with the terminal board when the engaging cap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so as to insert the soldering portion, And a soldering portion,
Wherein the memor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by an adhesi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판의 일면에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걸림부가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concavely or convexly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which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se,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교체가 용이한 USB 메모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using having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l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Wherein the main body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to expose the terminals to the outside.
KR1020180012985A 2018-02-01 2018-02-01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KR101949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85A KR101949078B1 (en) 2018-02-01 2018-02-01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85A KR101949078B1 (en) 2018-02-01 2018-02-01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078B1 true KR101949078B1 (en) 2019-02-15

Family

ID=6536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85A KR101949078B1 (en) 2018-02-01 2018-02-01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07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1279A1 (en) 2005-03-18 2006-09-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protective cap
JP2007066678A (en) 2005-08-31 2007-03-15 Biko System Works:Kk Connection prevention member of usb port and unauthorized connection prevention method
KR200445476Y1 (en) * 2008-12-01 2009-08-04 이진우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KR101384855B1 (en) * 2013-06-12 2014-04-15 이동훈 Combination usb memory and card reader for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1279A1 (en) 2005-03-18 2006-09-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protective cap
JP2007066678A (en) 2005-08-31 2007-03-15 Biko System Works:Kk Connection prevention member of usb port and unauthorized connection prevention method
KR200445476Y1 (en) * 2008-12-01 2009-08-04 이진우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KR101384855B1 (en) * 2013-06-12 2014-04-15 이동훈 Combination usb memory and card reader for smar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438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367309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I631774B (en) Keyboard, contac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contact structure
TWI566481B (en) The use of waterproof colloid fixed connection terminals and circuit board signal connector
US9519316B2 (en) Flash drive with attached cover
KR101949078B1 (en) Usb memory apparatus for easily parts change
CN10555151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035434B1 (en) Connector
JP2001111664A (en) Mount structure of ic card and battery pack for electronic device
KR20080062670A (en) Sim card gender
KR2007002137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external card device
TWI385868B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CN217934510U (en) Mobile storage device
US11611177B2 (en) USB type-C male connector
KR20050055412A (en) Socket for combined use of two different types of memory cards
CN219961098U (en) Mobile terminal
CN213026622U (en) Video connector with terminal welding part inspection hole
KR100960752B1 (en) Handheld device equipped with detachable and rotatable connector
KR100480056B1 (en) Mobile terminal with card seperation prevention bracket
CN209948212U (en) Video connector with terminal welding part inspection hole
TW201607171A (en) Electronic device and tray unit thereof
KR100467975B1 (en) Structure of Mounting SIM Card in GS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M480188U (en) Electronic connector for coupling a first circuit board and a second circuit board
KR200461098Y1 (en) Socket for USB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