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114B1 -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114B1
KR101948114B1 KR1020180159783A KR20180159783A KR101948114B1 KR 101948114 B1 KR101948114 B1 KR 101948114B1 KR 1020180159783 A KR1020180159783 A KR 1020180159783A KR 20180159783 A KR20180159783 A KR 20180159783A KR 101948114 B1 KR101948114 B1 KR 10194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shing
attribute
code
image fi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Priority to KR102018015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1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24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echniqu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n apparatus of publishing content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elements contained in an image file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design guid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n eleme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irst element of a first image file including the first element; an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first element to obtain an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a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he publishing code includes a first publishing code and a second publishing code.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publishing code by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generates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user input.

Description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0001]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0002]

본 개시(開示)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element)를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디자인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an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design guide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애플리케이션(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함) 및 웹 페이지와 같은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작업 중에서, 예컨대 디자인 작업 및 퍼블리싱 작업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작업"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에 대한 기획안을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작하는 작업을 지칭하며, "퍼블리싱 작업"은 디자인 작업을 통해서 제작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화면을 제작하는 작업을 지칭한다.Among the tasks for producing content such as an application (including a mobile application) and a web page, for example, there is a design work and a publishing work. Generally, " design work " refers to a task of produc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a plan for an application or a web page, and " publishing work " And the like.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이하 "디자이너"라 지칭함)는 기획안을 기초로 이미지를 제작한다. 예컨대 디자이너는 포토샵(등록상표), 일러스트레이터(등록상표) 및 스케치(등록상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작한다. 디자이너는 또한 이미지를 제작한 후 예컨대 미리 지정된 파일 네이밍 규칙에 따라서 해당 이미지에 이름을 부여할 수도 있다. 디자인 작업을 통해서, 예컨대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다.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이미지는 이하 엘리먼트라고도 지칭된다. 엘리먼트는 예컨대 비트맵 이미지, 벡터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텍스트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엘리먼트 각각은 예컨대 이미지 파일에 지정된 레이어, 채널 또는 벡터 속성을 이용하여 다른 엘리먼트와 구별될 수 있다.Work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signers") who perform design work produce images based on the plan. For example, a designer creates an image using a program such as Photoshop (registered trademark), Illustrator (registered trademark), and Sketch (registered trademark). The designer may also assign a name to the image in accordance with, for example, predetermined file naming rules after producing the image. Through the design work, for example, an image file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is generated. The image included in the image file is also referred to as the following element. The ele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bitmap image, an image such as a vector image, and may include a text image.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elements, for example, by using the layer, channel, or vector attribute specified in the image file.

퍼블리싱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이하 "퍼블리셔"라 지칭함)는 기획안 및 디자이너에 의해서 제작된 이미지 파일을 기초로 사용자 화면을 제작한다. 퍼블리셔는 특히 사용자 화면에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를 배치하고 각 엘리먼트에 적합한 코드(이하 "퍼블리싱 코드"라 지칭함)를 작성하여 각 엘리먼트와 정합한다. 퍼블리싱 작업을 위해서, 퍼블리셔는 예컨대 HTML, HTML5, 자바스크립브(JavaScript) 및 CSS와 같은 코드를 사용한다.An op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ublisher ") who performs a publishing job produces a user screen based on a project plan and an image file produced by a designer. In particular, a publisher places a plurality of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on a user's screen, creates a code suitable for each el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blishing code"), and matches the elements. For a publishing job, the publisher uses code such as HTML, HTML5, JavaScript, and CSS.

퍼블리싱 작업이 수행된 이후에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퍼블리싱된 결과를 기초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즉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를 제작한다.After the publis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program developer creates a content, i.e., an application or a web site, to provide the actual service based on the published result.

이상과 같은 작업들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가 제작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n application or a web site can be produc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ar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 번째로, 디자이너는 제작된 이미지 파일에 이름을 부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파일 이름은 일련 번호를 기초로 부여된다. 디자이너, 퍼블리셔 및 프로그램 개발자는 일련 번호를 기초로 의사 소통을 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미 파일의 이름이 일련 번호를 기초로 부여되는 경우, 디자이너, 퍼블리셔 및 프로그램 개발자 사이에서 원활한 의사 소통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세부적인 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부 회사의 경우, 이미지 파일의 이름은 파일 네이밍 규칙을 이용하여 부여된다. 파일 네이밍 규칙은 각각의 회사마다 다를 수 있으며, 또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가 이미지 파일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자체가 복잡한 작업이며, 또한 디자이너가 이미지 파일에 이름을 부여하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이미지 파일의 이름의 일련 번호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미지 파일의 이름이 파일 네이밍 규칙에 맞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가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것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엘리먼트 각각에 이름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엘리먼트의 이름을 각각 부여하기 위해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First, the designer must give the created image file a name. In general, the image file name is given based on the serial number. Designers, publishers, and program developers communicate on a serial number basis. If the name of the file is already given based on the serial numb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smoothly between a designer, a publisher, and a program developer, and a detailed collaboration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for some companies, the name of the image file is given using file naming rules. File naming rules can be different for each company, and can also vary depending on the customer's request. Therefore, naming an image file by a designer is a complex task,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rror may occur while a designer gives a name to an image file. For example, an error may occur in the serial number of the image file name, or an error may occur that the image file name does not match the file naming rule.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designer to manage the image file. In addition, a name may be given to each of a plurality of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In that ca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assign each of the element names.

두 번째로, 퍼블리셔는 디자이너가 제작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작성하여야 하지만, 퍼블리셔 역시 이미지 파일의 이름의 일련 번호 또는 파일 네이밍 규칙을 숙지하고 있어야 정확한 퍼블리싱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부여하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퍼블리셔가 퍼블리싱 작업을 수행하는 것 역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Secondly, the publisher should write the publishing code using the image file created by the designer, but the publisher should be aware of the serial number of the image file name or the file naming rule to be able to publish correctly. Also, in the case where an error occurs while giving the name of the image fil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ublisher performing the publishing operation also causes an error.

세 번째로, 퍼블리셔가 퍼블리싱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예컨대 사용자 화면에 이미지 파일의 각 엘리먼트를 배치하고 각 엘리먼트에 적합한 퍼블리싱 코드를 작성하여 각 엘리먼트와 정합하는 것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Third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while the publisher is performing the publishing work, for example, each element of the image file is placed on the user screen, and a publishing code suitable for each element is written and matched with each element.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8329호.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8329.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목적은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을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디자인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design gu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엘리먼트 추출부; 상기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하는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 및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는 제1 퍼블리싱 코드 및 제2 퍼블리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ment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a first element of a first image file including a first element; An element attribute analyzer for analyzing the first element to obtain an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a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wherein the publishing code includes a first publishing code and a second publishing code, Wherein the cod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publishing code by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generates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attribute and the user input of the first element A content publishing device is provided.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을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디자인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that can generate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and automatically generate a design guide.

따라서, 종래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작업과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작업과 디자인 가이드를 생성하는 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각 작업을 수행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가능성도 대폭 줄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generating the publication code, designating the name of the element, and creating the design guide. In addi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퍼블리싱 코드의 생성을 위한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미지 팔에 포함되는 제1 엘리먼트와 다른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다른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디자인 가이드 정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tent publish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image fil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element included in a first image arm and another element included in another image fil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design guide information in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tent publis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이하,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거나 변형하여 도시하거나 또는 축척이 다르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technology described herein, only a part of the actual structure is show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art thereof may be omitted or shown, or the scales may be shown differently.

<실시예><Examples>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는 엘리먼트 추출부(110)와,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와,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는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와,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150)와, 엘리먼트 저장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tent publ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element extracting unit 110, an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and a publishing code generating unit 130. 1,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an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150, and an element storage unit 160 .

우선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an image file used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image fil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파일은 내부에 다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파일은 제1 레이어(210), 제2 레이어(220), 제3 레이어(230) 및 제4 레이어(240)를 포함한다. 제1 레이어(210)에는 예컨대 배경 화면 이미지(310)가 배치된다. 제2 레이어(220)에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가 배치된다. 제3 레이어(230)에는 예컨대 제2 버튼 이미지(330)가 배치된다. 제4 레이어(240)에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에 대응하는 제3 버튼 이미지(340)가 배치된다. 제3 버튼 이미지(340)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가 표시되는 부분에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제1 버튼 이미지(320)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제3 버튼 이미지(340)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전체적인 형태는 유사하지만 명암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파일은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이어(220), 제3 레이어(230) 및 제4 레이어(240)에서 각 이미지가 배치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예컨대 투명한 부분으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210) 내지 제4 레이어(240)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미지 파일에는 다른 레이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링을 위한 필터 레이어, 그룹으로 묶인 이미지들을 위한 그룹 레이어 등과 같은 레이어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예컨대 이미지 파일 내의 복수의 이미지 중 일부가 그룹으로 묶어서 지정된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 및 제2 버튼 이미지(330)는 하나의 채널로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각각은 비트맵 이미지일 수도 있지만 벡터 속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예컨대 포토샵(등록상표), 일러스트레이터(등록상표) 및 스케치(등록상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Referring to FIG. 2, an image fi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therein. For example, the image file shown in FIG. 2 includes a first layer 210, a second layer 220, a third layer 230, and a fourth layer 240. For example, a background image 310 is disposed in the first layer 210. For example, the first button image 320 is disposed in the second layer 220. [ For example, the second button image 330 is disposed in the third layer 230. [ The fourth layer 240 includes a third button image 34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tton image 320, for example. The third button image 340 is an image displayed by replacing the first button image 320 when a user input such as a mouse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button image 320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third button image 340 is similar in overall shape to, for example, the first button image 320, but may have different shades or colors. Meanwhile, the image file may include channel informa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each image is arranged in the second layer 220, the third layer 230, and the fourth layer 240 may be designated as a transparent portion, for example. Meanwhile, although the first layer 210 to the fourth layer 240 have been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other layers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image file. For example, a filter layer for filtering, a group layer for grouped images, and the like. The channel information indicates, for example, that a part of a plurality of images in the image file is designated by being grouped. For example,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may be designated as one channel.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images may be a bitmap image, but may have a vector attribute. Such an image file is generated using a program such as Photoshop (registered trademark), Illustrator (registered trademark), and Sketch (registered trademark).

이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publish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엘리먼트 추출부(110)는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한다. 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이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파일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extracts the first element of the first image file including the first element.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image file is an image file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먼트 추출부(110)는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지정된 레이어 정보, 채널 정보 및 벡터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레이어(220)에 제1 버튼 이미지(320)만이 도시되었으므로, 엘리먼트 추출부(110)는 제2 레이어(220)에 도시된 제1 버튼 이미지(320)를 제1 엘리먼트로 추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may extract the first el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ayer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vector attribute specified in the first image file. For example, since only the first button image 320 is shown in the second layer 220, 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can extract the first button image 320 shown in the second layer 220 as the first element have.

한편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가 벡터 속성을 가지는 경우, 즉 예컨대 일러스트레이터(등록상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벡터 속성을 가지도록 생성된 경우, 벡터 속성을 이용하여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button image 320 has a vector attribute, i.e., is generated to have a vector attribute using a program such as an illustrator (registered trademark), the first element is extracted using the vector attribute It is possible.

한편 제1 버튼 이미지(320) 및 제2 버튼 이미지(330)는 버튼 그룹이라는 명칭으로 하나의 채널로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1 버튼 이미지(320) 및 제2 버튼 이미지(330)를 제1 엘리먼트로서 추출할 수도 있다.If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are designated as one channel under the name of a button group,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엘리먼트 추출부(110)에 의해서 추출된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제1 엘리먼트가 사용자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 및 제1 엘리먼트의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analyzes the first element extracted by 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to obta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More specifically,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may include the size and position where the first element is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and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예컨대 제1 엘리먼트가 제1 버튼 이미지(320)인 경우, 제1 엘리먼트가 사용자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는 제1 버튼 이미지(320)의 크기 및 제2 레이어(220) 내에서 제1 버튼 이미지(320)가 배치되는 위치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의 색상 정보는 제1 버튼 이미지(320)의 색상을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ment is the first button image 320,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element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ize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in the second layer 220, Can be automatically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unit 320 is disposed.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may be automatically obtained based on the color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제1 엘리먼트의 텍스트 정보,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 제1 이미지 파일 내에서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된 그룹 정보 및 제1 엘리먼트와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functio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group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in the first image file, 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of the second element.

예컨대 제1 엘리먼트가 제1 버튼 이미지(320)인 경우, 제1 엘리먼트의 텍스트 정보는 제1 버튼 이미지(320)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이라고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서 "버튼"이라고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예컨대 딥 러닝 알고리즘 및 AI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학습하고 분석하는 분석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분석 로직을 이용하여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버튼 이미지(320)가 배치되는 위치 및 크기, 표시되는 텍스트, 제1 버튼 이미지(320)의 형태, 즉 박스 형태를 기초로,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를 "버튼"이라고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이너가 제1 버튼 이미지(320)에 대해서 "확인 버튼"이라고 명칭을 지정했다면, 예컨대 제2 레이어(220)의 명칭을 "확인 버튼 레이어"라고 지정해 놓았다면,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이러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파일 내에서 상기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된 그룹 정보는 예컨대 제1 엘리먼트인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제2 버튼 이미지(330)가 그룹으로 묶어서 지정된 것을 나타낸다. 제1 이미지 파일 내에서 상기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된 그룹 정보는 예컨대 이미지 파일 내의 채널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와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 정보는, 예컨대 제2 엘리먼트가 제2 버튼 이미지(330)이라면,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제2 버튼 이미지(330)가 함께 표시되고, 어느 이미지에 대해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느냐에 따라서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제2 엘리먼트가 제3 버튼 이미지(340)이라면,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 정보는 예컨대 제1 버튼 이미지(320)가 표시되는 부분에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제1 버튼 이미지(320)를 대체하여 제3 버튼 이미지(340)가 표시된다는 관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3 버튼 이미지(340)는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제2 버튼 이미지(330)가 함께 표시될 수 있고 그 중 제1 버튼 이미지(320)에 대해서만 제3 버튼 이미지(340)가 제1 버튼 이미지(320)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고,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제3 버튼 이미지(340)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고, 제1 버튼 이미지(320)와 제3 버튼 이미지(340)와 전체적인 형태가 유사하지만 예컨대 색상이 다르거나 명암이 다르다는 점을 기초로,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버튼 이미지(320)가 표시되는 부분에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제1 버튼 이미지(320)를 대체하여 제3 버튼 이미지(340)가 표시된다는 관계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이 예시적으로 기재되었지만,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엘리먼트에 부가될 수 있는 다양한 속성, 예컨대 제1 엘리먼트에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텍스트에 폰트 정보, 마진 정보, 텍스트 크기 정보 및 정렬 정보와 같은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엘리먼트에 대한 표시 옵션 정보(예컨대, 밝기가 변화하거나 이미지가 날아오는 형태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옵션)와 같은 속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element is the first button image 320, the textual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may be automatically obtained as "OK" by analyzing the first button image 320. The functio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may be automatically obtained, for example, as a " button " by analyzing the first button image 320. [ More specifically, the element attribute analysis unit 120 may include analysis logic for learning and analyzing data using, for example,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AI technology.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may analyze the first element using the analysis logic to obta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For example,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may analyze the first button image 320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the displayed text, and the shape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The designated function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obtained as " button ". On the other hand, if the designer designates the name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as " OK button ", for example, if the name of the second layer 220 is designated as & Can additionally use this information to obtain functio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The group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in the first image file indicates, for example, that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which are the first element, are grouped together. The group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in the first image file can be obtained automatically, for example, by analyzing channel information in the image file. The correspond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may be such that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for example, if the second element is the second button image 330, May be displayed together and may mean that another opera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which image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For example, if the second element is the third button image 340,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may be,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such as a mouse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button image 320 is displayed The third button image 340 is displayed by replacing the first button image 320 with the third button image 340. [ For example, the third button image 340 may display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second button image 330 together, and only the third button image 340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may be displayed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third button image 340 may be grouped into one group and the first button image 320 and the third button image 340 may be grouped into one group, Based on the fact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button image 340 is similar to that of the button image 340,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first button image 3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button image 32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btain the relation that the third button image 340 is displayed by replacing the first button image 320 when it is applied. Although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re exemplarily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text may further include attributes such as font information, margin information, text size information, and alignment information if the various attributes that may be added to the first element, e.g., the first element, include text. And may further include attributes such as display op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element (e.g., an option such that the brightness changes or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loating form).

이와 같이,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엘리먼트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can automatically acquire at least a part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first element.

한편,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화면을 통하여 제1 엘리먼트의 속성에 대해서 사용자 확인 또는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디자이너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 제1 이미지 파일 내에서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된 그룹 정보 및 제1 엘리먼트와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 정보와 같은 정보는 자동적으로 획득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갱신할 수 있다. 즉 자동적으로 획득한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갱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may acquire at least a part of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user input. That is,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a user confirmation or a user input is display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hrough a user screen, and then, based on the user input (for example, a user input inputted by the design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t leas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element may be obtained.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functio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group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in the first image file, 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are automatically An error may occur when acquiring. Accordingly,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can acquire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more accurately by acquiring at least a part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through user input. In addition,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may update at least a part of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a user input. At leas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automatically acquired first element may be updated via user input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에 의해서 획득된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예컨대 딥 러닝 알고리즘 및 AI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학습하고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코드 생성 로직을 기초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미리 저장된 다수의 참조 코드와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cquired by the element attribute analysis unit 120. [ More specifically,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may include code generation logic that learns and analyzes data using, for example,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AI technology to generate a publishing code.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code generation logic. When generating the publishing code, the publishing code generating unit 130 automatically generates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a plurality of pre-stored reference codes and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or receives the user input and publishes Generate the code.

보다 구체적으로 퍼블리싱 코드는 제1 퍼블리싱 코드 및 제2 퍼블리싱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ublishing code may include a first publishing code and a second publishing code.

제1 퍼블리싱 코드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서 생성된다. 즉,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제1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The first publishing code is generated by automatically converting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That is,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automatically converts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o generate the first publishing code.

예컨대, 제1 엘리먼트가 사용자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 및 제1 엘리먼트의 색상 정보, 제1 엘리먼트에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텍스트에 폰트 정보, 마진 정보, 텍스트 크기 정보 및 정렬 정보와 같은 속성은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제1 퍼블리싱 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퍼블리싱 코드는 HTML 태그로서, "style="width:?px;", "style="height:?px;", "style="font-family:?px;", "style="font-color:?px;", "style="font-weight:?px;", "style="background-color:?px;" 등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제1 엘리먼트에 포함된 텍스트의 폰트가 HTML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없는 경우, 표시 가능한 폰트로 변경하거나, 또는 제1 엘리먼트의 색상 정보를 HTML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정보로 변환하는 것과 같은 작업도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attributes such as font information, margin information, text size information, and sorting information may be added to the text if the first element includes color and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position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And may b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the first publishing code by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 For example, the first publishing code may be an HTML tag, such as "style =" width:? Px; "," style = "height:? Px;", "style =" font-family:? Px; px; "," style = "background-color:? px;"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the font of the text included in the first element can not be displayed using HTML, the font can be changed to a displayable font, or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can be converted into color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using HTML Can also be performed automatically.

제2 퍼블리싱 코드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다. 즉,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The second publishing code is generat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nd user input. That is,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user input.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퍼블리싱 코드의 생성을 위한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5 레이어(250)에 포함되는 이미지(350)는 상품 재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제1 엘리먼트가 이미지(350)이라면,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이미지(350)를 분석하여 제1 엘리먼트의 기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 즉 "데이터베이스 연결"이라는 기능 정보로서 획득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제1 엘리먼트의 기능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갱신할 수도 있다.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이 "데이터베이스 연결"이라는 기능 정보를 포함한다면, 단순히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즉 기능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듯이,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어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350)에 표시할 정보를 획득할 지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이를 기초로 예컨대 퍼블리셔와 같은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 입력과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이용하여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 즉 제2 퍼블리싱 코드의 일부 부분은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추가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image 350 included in the fifth layer 250 is an image for displaying a product inventory. If the first element is an image 350, the element attribute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image 350 to determine that the func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extracts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nd displays it, i.e., .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may acquire or update the fun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through user input. If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includes function information called " database connection ", it is not possible to generate the publishing code simply by using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i.e., the function information. 3,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user input, for example, from which database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350 is to be acquired, For example, a user such as a publisher. Upon receiving the user input,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the second publishing code using the user input and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That is, a portion of the second publishing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added through user input. By this process, the publishing code generating unit 130 can generate the second publishing code.

제2 퍼블리싱 코드는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연결"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필요한 다른 속성들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 및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ublishing code is illustratively described using, for example, " database connection " function information, but is not so limited. That is,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may receive the user input in connection with other attributes requiring user input, and may generate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user input and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한편 제1 엘리먼트는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지만, 제1 이미지 파일이 아닌 다른 이미지 파일, 예컨대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다른 엘리먼트와 대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ment i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but may correspond to another image file other than the first image file, for example, another elemen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미지 팔에 포함되는 제1 엘리먼트와 다른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다른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element included in a first image arm and another element included in another image file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제1 엘리먼트, 즉 버튼 이미지(320)는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제3 엘리먼트, 즉 이미지(360)가 대응될 수 있다. 제3 엘리먼트는 예컨대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5 레이어(26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엘리먼트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 추출부(110)와,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와,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를 통하여 추출되고 그 속성이 획득되고 퍼블리싱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elemen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that is, the button image 320, may correspond to the third elemen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that is, the image 360. [ The third element may be placed, for example, in the fifth layer 260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The third element may be extracted through 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and the publishing code generat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and the attribute may be obtained and a publishing code may be generated .

도 4를 참조하면, 예컨대 제1 엘리먼트와 제3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는 예컨대 사용자 화면에 버튼 이미지(320)를 표시하다가 버튼 이미지(320)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이미지(360)를 표시하는 관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indicates that the button image 320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and the image 360 is displayed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mage 320 Lt; / RTI &gt;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3 엘리먼트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는 제1 엘리먼트와 제3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를 자동적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제1 엘리먼트와 제3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를 반영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 즉,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사용자 화면에 제1 엘리먼트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3 엘리먼트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may further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elemen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can automatically acquire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or acquire or update it through user input.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publishing code by reflect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ment and the third element. That is,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publishing code including a code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element on a user screen and display a third element on a user screen based on a user input.

한편,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는 예컨대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제1 HTML 파일을 작성하고, 제2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제2 HTML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화면에 제1 엘리먼트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3 엘리먼트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코드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제1 HTML 파일과 제2 HTML 파일이 서로 링크될 수 있다.Meanwhile,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may create a first HTML file for the first image file and a second HTML file for the second image file, for example. The first HTML file and the second HTML file can be linked to each other by generating code tha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element on the user screen and display the third element on the user screen based on the user input as described above have.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는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디자인 가이드 정보는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전체에 대해서 생성되며,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생성된 정보도 포함한다.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design guide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all of a plurality of elements included in the image file, and also includes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first element.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에 있어서, 디자인 가이드 정보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design guide information in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며, 디자인 가이드 정보는 예컨대 제1 엘리먼트의 이미지, 이미지의 크기, 색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폰트, 텍스트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다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디자인 가이드 정보는 미리 지정된 정책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디자인 가이드 정보는 이미지의 이름 부여 정책, 이미지의 저장에 대한 정책, 포함되는 정보에 대한 사항 등 다양한 요구 조건을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는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기 전에 이러한 정책을 미리 입력받고, 해당 정책에 따라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가이드 정보는 예컨대 워드 파일 및 파워포인트 파일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first element, the size of the image, the color, the font of the text included in the image, and the text size. Meanwhil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information. That is,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For example,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flecting various requirements such as an image naming policy, a policy for storing images, and information about included information. 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policy in advance before generating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licy.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word file and a power point file.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가 미리 지정된 정책에 따라서 또한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했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 확률도 최소화할 수 있다.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can automatically generate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olicy so that the work required to generate the design guide information can be minimized . Also, the probability of errors occurring during the creation of design guide information can be minimized.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는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ment name designating unit 150.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150)는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미리 저장된 파일 네이밍 규칙을 기초로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한다.The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150 specifies the name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pre-stored file naming rules.

예컨대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각각에 대해서 이름을 일일이 지정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우며, 이름을 지정하다가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미리 저장된 파일 네이밍 규칙을 기초로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가능성도 대폭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designating a name for each of a plurality of element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is very cumbersome, and an error may occur when designating a n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me of the first element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pre-stored file naming rule. This saves a lot of time and money in naming the element, and it also reduces the likelihood of an error occurring when you name the element.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150)를 통하여 지정된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은 예컨대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가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name of the first element designated through the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150 can also be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design guide information.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는 엘리먼트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ment storage unit 160.

엘리먼트 저장부(160)는 퍼블리싱 코드에 지정된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저장한다. 엘리먼트 저장부(160)가 복수의 엘리먼트 각각을 저장하는 위치, 즉 디렉토리는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가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는 각 엘리먼트가 저장된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element storage unit 160 stores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director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ublishing code. The directory where the element storage unit 160 stores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that is, the directory,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design guide information. That is, 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may generate design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 directory in which each element is stored.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tent publis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며, 예컨대 전술한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10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executed by the computing device and can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content publishing device 100, for example.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한다(S110). 단계 S110은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지정된 레이어 정보, 채널 정보 및 벡터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엘리먼트 추출부(11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first, the first element of the first image file including the first element is extracted (S110). Step S110 may include extrac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ayer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vector attribute specified in the first image file. Details of the step S110 can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 extracting unit 11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10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한다(S120). 단계 S120은 제1 엘리먼트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엘리먼트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12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12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first element is analyzed to obta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S120). Step S120 may comprise automatically acquiring at leas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first element and obtaining at leas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user input It is possible. Details of the step S120 can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12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20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한다(S130). 단계 S130은, (c-1)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제1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0은 사용자 화면에 제1 엘리먼트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3 엘리먼트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13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13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is generated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S130). Step S130 includes: (c-1)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o generate a first publishing code; And (c-2) generating a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attributes and user input of the first element. Step S130 may include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that includes code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element on a user screen and display a third element on a user screen based on user input. Details of step S130 can be referenc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130,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S130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은 단계 S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step S140.

단계 S140은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기초로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14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14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tep S140 is a step of generating design guide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Details of the step S140 can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4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40 will be omitte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은 단계 S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6,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step S150.

단계 S150은 제1 엘리먼트의 속성 및 미리 저장된 파일 네이밍 규칙을 기초로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단계이다. 단계 S15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15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tep S150 is to specify the name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pre-stored file naming rule. Details of the step S150 can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15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50 will be omitte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은 단계 S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6,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step S160.

단계 S160은 퍼블리싱 코드에 지정된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제1 엘리먼트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단계 S160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엘리먼트 저장부(16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단계 S1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tep S160 is a step of stor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director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ublishing code. Details of the step S160 can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 storage unit 160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ep S160 will be omitted.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을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디자인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that can generate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and automatically generate a design guide.

따라서, 종래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작업과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작업과 디자인 가이드를 생성하는 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각 작업을 수행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가능성도 대폭 줄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generating the publication code, designating the name of the element, and creating the design guide. In addition, Can be reduced.

비록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y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ques set forth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권리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re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herei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herein.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 내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을 분석하여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디자인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and a content publishing method that can generate a publishing code by analyzing elements included in an image file and automatically generate a design guide.

따라서, 종래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작업과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작업과 디자인 가이드를 생성하는 작업을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으며, 각 작업을 수행하다가 오류가 발생하는 가능성도 대폭 줄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generating the publication code, designating the name of the element, and creating the design guide. In addition, Can be reduced.

100: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110: 엘리먼트 추출부
120: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 130: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
140: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 150: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
160: 엘리먼트 저장부
100: Content publishing apparatus 110: Element extracting unit
120: element property analyzing unit 130: publishing code generating unit
140: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150: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160: Element storage unit

Claims (20)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엘리먼트 추출부;
상기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하는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 및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는 제1 퍼블리싱 코드 및 제2 퍼블리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An eleme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first element of the first image file including the first element;
An element attribute analyzer for analyzing the first element to obtain an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A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Lt; / RTI &gt;
Wherein the publishing code comprises a first publishing code and a second publishing code,
Wherein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first publishing code by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generates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attribute and the user input of the first element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추출부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지정된 레이어 정보, 채널 정보 및 벡터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ment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first el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layer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and vector attribute specified in the first image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은, 상기 제1 엘리먼트가 사용자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 및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includes a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element displayed on a user screen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은,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텍스트 정보, 상기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되는 기능 정보, 상기 제1 이미지 파일 내에서 상기 제1 엘리먼트에 대해서 지정된 그룹 정보 및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2 엘리먼트의 대응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element, function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group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first element in the first image file, And correspondence information of a second element included in the first image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엘리먼트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automatically acquires at least a part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first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속성 분석부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획득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ment attribute analyzing unit obtains at least a part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a user inpu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3 엘리먼트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 생성부는, 사용자 화면에 상기 제1 엘리먼트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3 엘리먼트를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further compri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elemen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Wherein the publishing code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publishing code including code tha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element on a user screen and display the third element on the user screen based on a user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디자인 가이드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sign gui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design guide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및 미리 저장된 파일 네이밍 규칙을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엘리먼트 이름 지정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ment name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name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pre-stored file naming rule;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블리싱 코드에 지정된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저장하는 엘리먼트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me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director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ublishing code,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으로서,
(a)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퍼블리싱 코드는 제1 퍼블리싱 코드 및 제2 퍼블리싱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및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A method of content publishing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 extracting the first element of a first image file comprising a first element;
(b) analyzing the first element to obtain an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c) generating a publishing code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Lt; / RTI &gt;
Wherein the publishing code comprises a first publishing code and a second publishing code,
The step (c)
(c-1)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to generate the first publishing code; And
(c-2) generating the second publishing code based on the attributes and user input of the first element
Gt; a &lt; / RTI &gt; content publish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서 지정된 레이어 정보, 채널 정보 및 벡터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a) may include extract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ayer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vector attribute specified in the first image file
Gt; a &lt; / RTI &gt; content publish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엘리먼트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b) comprises automatically obtaining at leas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first element
Gt; a &lt; / RTI &gt; content publish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b) comprises: obta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user input
Gt; a &lt; / RTI &gt; content publishing method.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속성은 제2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제3 엘리먼트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c-3) 사용자 화면에 상기 제1 엘리먼트를 표시하다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3 엘리먼트를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퍼블리싱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further compri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elemen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file,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c-3) generating the publishing code, the code including code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element on a user screen and display the third element on the user screen based on a user inpu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d)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 generating design guide information for the first image fil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further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
(e)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속성 및 미리 저장된 파일 네이밍 규칙을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e) designating a name of the first element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element and a previously stored file naming rule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further comprises:
제19항에 있어서,
(f) 상기 퍼블리싱 코드에 지정된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엘리먼트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f) storing the first element based on directory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publishing code
Wherein the content publishing method further comprises:
KR1020180159783A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KR101948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83A KR101948114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83A KR101948114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114B1 true KR101948114B1 (en) 2019-02-14

Family

ID=6536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783A KR101948114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1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936A (en) 2009-10-06 2013-02-28 スキフ・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combination of publications based on templ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936A (en) 2009-10-06 2013-02-28 スキフ・エルエルシー System and method for combination of publications based on templa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655B2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ng captured input images into an interactive demonstration presentation for an envisioned software product
US6823495B1 (en) Mapping tool graphical user interface
US78408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extraction from forms
US2009012587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nal product of a target software product
US8589877B2 (en) Modeling and linking documents for packaged software application configuration
US2008010408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remotely editable machine-readable document
US20110010645A1 (en) User unterface construction with mockup images
US20080104508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editable machine-readable document
US20080104493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achine-readable document
IL226027A (en) Bidirectional text checker and method
US200801045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nstruction of a machine-readable document
Pimpler Programming ArcGIS with Python Cookbook
KR20170071553A (en) Mathematical formula processing metho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4661286A (en) Large-screen visual code gener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282398B1 (en) Editing tool for domain-specific objects with reference variables corresponding to preceding pages
KR10194811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ublishing contents
US8495600B2 (en) Display metho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device
US20100138735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CN117897710A (en)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for solving industrial data conversion problem
Bragagnolo et al. Challenges for layout validation: Lessons learned
US20080098918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achine-readable document
Heydt D3. js by example
Moser et al. Documentation generation from annotated source code of scientific software: position paper
Cutts QGIS Quick Start Guide: A beginner's guide to getting started with QGIS 3.4
JP2014013490A (en) Image region division device, method thereof,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