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89B1 -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89B1
KR101944989B1 KR1020170078033A KR20170078033A KR101944989B1 KR 101944989 B1 KR101944989 B1 KR 101944989B1 KR 1020170078033 A KR1020170078033 A KR 1020170078033A KR 20170078033 A KR20170078033 A KR 20170078033A KR 101944989 B1 KR101944989 B1 KR 10194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act
sensing switch
regulator
bridg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8011A (en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장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호 filed Critical 장철호
Priority to KR102017007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89B1/en
Publication of KR2018013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접점 온 상태를 유지하되 온도가 제 1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감지 스위치, 제 1 감지 스위치를 통해 전압이 미공급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인버터로부터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Emergency alert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rsons are disclosed. The apparatus includes a rectifying section for rectifying an AC current into a direct current, a first sensing switch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section, for maintaining a contact ON state and switching to a contact OFF state when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n inverter for outputting a high signal when not supplied, and a relay for supplying battery power to a load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inverter.

Figure R1020170078033
Figure R1020170078033

Description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Emergency alarming apparatus}[0001]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나 정전시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는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rning device capable of informing the outside of a fire or a power failure.

화재 감지 경보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잘 알려진 화재 감지 경보 방식은 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접점되는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여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면, 전류가 스위치를 통해 발광 소자 및/또는 스피커 등의 부하로 흐르게 되어 경보가 이루어지게 된다.Fire detection alarm technology is well known. A well-known fire alarm system uses a switch that is in contact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a certain level. When a fire occurs and the switch is switched from OFF to ON,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a switch to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 or a load such as a speaker, and an alarm is generated.

그런데 화재 감지를 위한 스위치는 평소에는 미접점 상태를 유지하는바, 시간이 흐를수록 접점 공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계속 쌓이게 된다. 이는 화재 발생시 스위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지 못하게 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여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더라도 이물질로 인해 도통되지 않아 화재 경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switch for detecting a fire normally maintains a non-contact stat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ccumulates in the contact space with time. This prevent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when a fire occurs. That is, even if the switch is switched from OFF to ON due to a fire, the foreign matter does not conduct and the fire alarm is not performed.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922호 (2002년 6월 21일 공고)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8922 (issued on June 21, 2002)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that ensures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일 양상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접점 온 상태를 유지하되 온도가 제 1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감지 스위치, 제 1 감지 스위치를 통해 전압이 미공급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인버터로부터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rectifying part and a rectifying part for rectifying an alternating current to a direct current and includes a first sensing switch for maintaining a contact ON state, An inverter for outputting a high signal when a voltage is not supplied through the first sensing switch, and a relay for supplying battery power to a load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inverter.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1 감지 스위치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위치하여 입력 전압을 강하하는 제 1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gulator located at the input or output of the first sensing switch to drop the input voltage.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접점 온 상태를 유지하되 온도가 제 2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감지 스위치, 및 제 2 감지 스위치를 통해 정류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switch for maintaining the contact ON state and switching the contact OFF state when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battery for receiving the rectified current through the second sensing switch can do.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2 감지 스위치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위치하여 입력 전압을 강하하는 제 2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aler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gulator located at an input or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ensing switch to drop the input voltage.

부하는 시각적 알림 수단과 청각적 알림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may include visual notification means and audible notific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나 정전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확실히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알림과 청각적 알림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비장애인은 물론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도 모두 확실하게 경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r a power failure occurs, the user can be warned clearly. In addition, visual notification and auditory notifica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both the non-disabled and the visually impaired can be warned with certaint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rsons.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트랜스포머(110)는 상용전원인 AC 220V를 입력받아 AC 6V로 변환한다. 정류부(110)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다이오드일 수 있다. 브리지다이오드(110)는 AC 6V를 DC 5V로 정류한다.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브리지다이오드(11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온도가 제 1 기준치 미만시에는 접점 온 동작하며, 온도가 제 1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로 동작한다. 즉, 평상시에는 접점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가 제 1 기준치 이상에서 제 1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접점 오프 상태에서 접점 온 상태로 전환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바이메탈형 온도 스위치이다. 이 같은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former 110 receives AC 220V, which is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converts it to AC 6V. The rectifying unit 110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to direct current, and may be a bridge diode as shown in FIG. The bridge diode 110 rectifies AC 6V to DC 5V. The first sense switch 1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idge diode 110.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operates to turn on the contact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o turn off the contact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at is, the contact-on state is maintained at normal times, and the contact-off state is switched when a fire occurs. If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first reference value from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is of course switched from the contact off state to the contact on stat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is a bimetallic temperature switch.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switches 120 may be connected in series.

인버터(130)는 배터리(170)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하는데,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IC이다. 도 1에서, 인버터(130)는 온 상태의 제 1 감지 스위치(120)를 통해 1번 핀으로 직류 전압이 공급되면 2번 핀의 출력 전압은 0V(로우 신호)가 되며, 제 1 감지 스위치(120)가 오프되어 1번 핀으로 직류 전압이 미공급되면 2번 핀의 출력 전압은 플러스 전압(하이 신호)이 된다. 이때, 플러스 전압은 5V일 수 있다.The inverter 130 operates by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170. When the low signal is input, the inverter 130 outputs a high signal. When a high signal is input, the inverter 130 outputs a low signal. In FIG. 1, when the DC voltage is supplied to the first pin through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in the ON state,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pin becomes 0 V (low signal),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is off and the DC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pin,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pin becomes a positive voltage (high signal). At this time, the positive voltage may be 5V.

릴레이(140)는 인버터(130)로부터 출력 전압이 공급되면, 즉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부하(200)로 배터리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에서, 릴레이(140)는 + 단자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릴레이(140)의 3번 단자는 2번 단자와 연결된다. 즉, 평상시에 릴레이(140)의 3번 단자는 2번 단자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 단자에 인버터(13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면 3번 단자와 2번 단자의 연결은 끊어지고 3번 단자와 1번 단자 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3번 단자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1번 단자를 통해 부하(200)로 출력된다. 부하(200)는 시각적 알림 수단과 청각적 알림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알림 수단은 발광다이오드(LEDs)일 수 있으며, 조명등(201)과 점멸등(20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조명등(201)은 비상용 조명으로 사용되며, 점멸등(203)은 비장애인은 물론 청각 장애인을 위한 비상 경고 알림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청각적 알림 수단은 스피커(203)일 수 있으며, 비장애인은 물론 시각 장애인을 위한 비상 경고 알림용으로 사용된다.The relay 140 supplies battery power to the load 200 when an output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inverter 130, that is, when a high signal is input. In FIG. 1, when the relay 140 is not supplied with a voltage to the + terminal, the third terminal of the relay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That is, the third terminal of the relay 140 maintains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during normal operation. In this state, when the output voltage from the inverter 130 is supplied to the + termin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cut off,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thir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Accordingly, battery power supplied to the third terminal is output to the load 2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e load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sual notification means and an audible notification means. The visual notification means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on light 201 and a flashing light 202. The illuminating lamp 201 is used as an emergency light, and the flashing lamp 203 is used for emergency warning notifications for non-handicapped people as well as hearing-impaired persons. The audible notification means may be a speaker 203 and is used for emergency alert notifica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well as the non-disabled.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1 레귤레이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귤레이터(150)는 제 1 감지 스위치(12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하여 입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강하 혹은 승압)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이다. 이때, 입력 전압은 6V이며, 제 1 레귤레이터(150)의 출력 전압은 5V일 수 있다. 제 1 레귤레이터(150)를 두어 6V 전압을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이유는 인버터(130)의 동작 전압에 맞추기 위함이다. 또한,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1 레귤레이터(15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서지전압(surge voltage) 제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콘덴서(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aler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gulator 150. The first regulator 150 is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locat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and converting (dropping 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At this time, the input voltage is 6V,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regulator 150 may be 5V. The reason why the first regulator 150 is provided to convert the 6V voltage to the 5V voltage is to match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inverter 130. [ In addition, the emergency aler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rst condenser 19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regulator 150 to remove a surge voltage.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2 감지 스위치(160)와 배터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감지 스위치(160)는 배터리(170)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170)와 일체를 이룬다. 제 2 감지 스위치(160)는 온도가 제 2 기준치 미만시에는 접점 온 동작하며, 온도가 제 2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로 동작한다. 즉, 평상시에는 접점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온도가 높을 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가 제 2 기준치 이상에서 제 2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접점 오프 상태에서 접점 온 상태로 전환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감지 스위치(160)는 바이메탈형 온도 스위치이다.The emergency aler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switch 160 and a battery 170.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170 and is integral with the battery 170.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operates to turn on the contact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o turn off the contact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at is, the contact-on state is normally maintained while the contact-off state is switche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If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second reference value from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act-off state is switched to the contact-on stat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is a bimetallic temperature switch.

배터리(170)는 브리지다이오드(110)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제 2 감지 스위치(160)를 통해 공급받아 충전된다. 따라서, 배터리 온도가 제 2 기준치 미만일 경우에만 제 2 감지 스위치(160)가 온되어 배터리(170)가 충전되며, 제 2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제 2 감지 스위치(160)가 오프되어 충전되지 않는다. 이 같은 제 2 감지 스위치(160)에 의해 배터리 과충전 방지는 물론 충전 회로 손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배터리(170)의 전원전압은 인버터(130)에 공급되어 동작 전원으로 이용되며, 릴레이(140)의 3번 단자로 공급되고 1번 단자로 출력되어 부하(200)의 동작 전원으로 이용된다.The battery 170 is charged by receiving the DC voltage rectified by the bridge diode 110 through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Therefore, only when the battery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is turned on and the battery 170 is charged. When the battery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is turned off and is not charged. By such a second sensing switch 160, damage to the charging circuit as well as prevention of overcharging of the battery is prevente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supplied to the inverter 130 and used as an operation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battery 170 is supplied to the third terminal of the relay 140,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제 2 레귤레이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레귤레이터(180)는 제 2 감지 스위치(16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하여 입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강하 혹은 승압)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전압은 6V이며, 제 2 레귤레이터(180)의 출력 전압은 5V이다. 제 2 레귤레이터(180)를 두어 6V 전압을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이유는 회로의 동작 전압인 5V에 맞추기 위함이다. 또한,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는 브리지다이오드(110)와 제 2 레귤레이터(180)의 사이에 연결되어 서지전압 제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콘덴서(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오드(193)는 역류 방지를 위함이다.The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gulator 180. The second regulator 180 is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locat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nsing switch 160 and converting (dropping 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In one embodiment, the input voltage is 6V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regulator 180 is 5V. The reason why the 6V voltage is converted to the 5V voltage by placing the second regulator 180 is to match the operating voltage of 5V of the circuit. The emergency aler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non-emergency pers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cond capacitors 192 connected between the bridge diode 110 and the second regulator 180 for removing the surge voltage. The diode 193 serves to prevent backflow.

도 2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경고 장치의 본체(10)는 형광등 모듈(2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지만 본체(10)의 내부와 연결되어 도 1과 같은 회로도를 구성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형광등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감지 스위치(12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조명등(201)과 점멸등(202) 및 스피커(203)가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rsons.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of the emergency warning device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fluorescent lamp module 2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may be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 bu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o form the circuit diagram of FIG.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uorescent lamp. That is, the first sensing switch 120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to detect a fire. 2,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with a lighting lamp 201, a flasher 202, and a speaker 203.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트랜스포머 110 : 정류부(브리지다이오드)
120 : 제 1 감지 스위치 130 : 인버터
140 : 릴레이 150 : 제 1 레귤레이터
160 : 제 2 감지 스위치 170 : 배터리
180 : 제 2 레귤레이터 191 : 제 1 콘덴서
192 : 제 2 콘덴서 193 : 다이오드
200 : 부하 201 : LED 밝기등
202 : LED 점멸등 203 : 스피커
100: Transformer 110: rectification part (bridge diode)
120: first sensing switch 130: inverter
140: relay 150: first regulator
160: second sensing switch 170: battery
180: second regulator 191: first capacitor
192: second capacitor 193: diode
200: Load 201: LED brightness
202: LED blinking light 203: Speaker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
브리지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배터리;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접점 온 상태에서 온도가 제 1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접점 오프 상태에서 온도가 제 1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접점 온 상태로 전환하는, 직렬 연결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감지 스위치;
제 1 감지 스위치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하여 브리지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1 레귤레이터;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하고,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으로부터 복수의 제 1 감지 스위치 및 제 1 레귤레이터를 통해 전압이 공급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며, 복수의 제 1 감지 스위치의 접점 오프로 인해 전압이 미공급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인버터로부터 플러스(+) 단자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배터리와 연결된 단자와 부하와 연결된 단자 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배터리와 연결된 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부하와 연결된 단자를 통해 출력함에 의해 배터리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는 릴레이;
배터리의 일면에 부착되어 배터리와 일체를 이루고, 접점 온 상태에서 온도가 제 2 기준치 이상시에는 접점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접점 오프 상태에서 온도가 제 2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접점 온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감지 스위치;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제 2 감지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브리지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2 레귤레이터;
제 1 레귤레이터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서지전압(surge voltage) 제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콘덴서; 및
브리지다이오드와 제 2 레귤레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서지전압 제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콘덴서;를 포함하고,
배터리는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으로부터 제 2 레귤레이터 및 제 2 감지 스위치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복수의 제 1 감지 스위치와 제 2 감지 스위치는 모두 바이메탈형 온도 스위치인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
A bridge diode rectifying the alternating current to direct current;
A battery charged with DC voltage rectified by the bridge diode;
And is switched to the contact-on state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the contact-off state, and to the contact-on state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the contact-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switches provided at a position for detecting a fire;
A first regulator locat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nsing switch for converting a DC voltage rectified by the bridge diode to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a low signal when a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idge diode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sense switches and the first regulator. When the voltage is not supplied due to the contact off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e switches, An inverter for outputting a signal; And
When a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inverter to the plus (+) terminal, an electr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and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is outputted throug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
And the second contact is turned on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the contact off state, Sensing switch;
A second regulator loca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idge diode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for converting the DC voltage rectified by the bridge diode to a constant voltage;
At least one first capaci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regulator for removing a surge voltage; And
And one or more second capacitors connected between the bridge diode and the second regulator for surge voltage removal,
The battery is charged by receiving a voltage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idge diode through the second regulator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An emergency warning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sensing switch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are bimetallic temperature switches.
제 4 항에 있어서,
부하는 시각적 알림 수단과 청각적 알림 수단을 포함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ad is an emergency alert for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cluding visual and audible alerts.
KR1020170078033A 2017-06-20 2017-06-20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KR101944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33A KR101944989B1 (en) 2017-06-20 2017-06-20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33A KR101944989B1 (en) 2017-06-20 2017-06-20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11A KR20180138011A (en) 2018-12-28
KR101944989B1 true KR101944989B1 (en) 2019-02-01

Family

ID=6500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33A KR101944989B1 (en) 2017-06-20 2017-06-20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451A (en) 2019-01-09 2020-07-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Vibration hat for the dea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257A (en) * 2002-06-04 2004-01-15 Hochiki Corp Fire alarm
JP2008135321A (en) 2006-11-29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13077912A (en) 2011-09-29 2013-04-25 Seiko Instruments Inc Switch circuit
JP2014106219A (en) * 2012-11-30 2014-06-09 Noritz Corp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for abnormal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nd hot water supply device
KR101576604B1 (en) * 2015-05-29 2015-12-10 장철호 Fir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JP5894565B2 (en) 2013-08-13 2016-03-30 株式会社東芝 Regulator and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6345B2 (en) * 1990-09-07 1999-11-10 富士通電装株式会社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JP3227073B2 (en) * 1995-04-28 2001-11-12 ホーチキ株式会社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device
KR200278922Y1 (en) 2002-03-14 2002-06-21 서경종 Apparatus for alarming a fire detection
JP5588370B2 (en) * 2011-01-25 2014-09-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Output circuit, temperature switch IC, and battery pack
KR20160073607A (en) * 2014-12-17 2016-06-27 (주)씨리얼 Emergency room light system for a fire sens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257A (en) * 2002-06-04 2004-01-15 Hochiki Corp Fire alarm
JP2008135321A (en) 2006-11-29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13077912A (en) 2011-09-29 2013-04-25 Seiko Instruments Inc Switch circuit
JP2014106219A (en) * 2012-11-30 2014-06-09 Noritz Corp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for abnormal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nd hot water supply device
JP5894565B2 (en) 2013-08-13 2016-03-30 株式会社東芝 Regulator and switch device
KR101576604B1 (en) * 2015-05-29 2015-12-10 장철호 Fir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11A (en)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91145A1 (en) Fluorescent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on/off mode switching method therefor
EP2058922A1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CN107276208B (en) Automatic supply and control device for emergency power supply with fire alarm function
JP5076859B2 (en) Lighting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l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lighting device
JP2011072138A (en) Batter charger for electric power tool
KR101944989B1 (en)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CN206181430U (en) Emergent LED lamp of intelligence
JP2009146714A (en) Lighting-up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illumination, and illuminating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JP5914728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JP5467212B2 (en) Light bulb-type LED lamp that doubles as a portable light in an emergency
JP5559602B2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US7298098B2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JP6501174B2 (en) Guide light signal device and guide light system
US20100066250A1 (en) Combination emergency light and nightlight
CN108270130A (en) Socket and electric power system
GB2489982A (en) Electric switch including alarm detector and evacuation route indicator
KR20030087133A (en) Portable Emergency Lantern
KR101587634B1 (en) Illumin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2226886A (en) Emergency lighting fixture
KR200275615Y1 (en) Power supply apprartus for Elevator emergency illumination lamp
JP3179025U (en) lighting equipment
CN210868230U (en) Induction emergency lamp
JPH06290356A (en) Guiding lamp signal device and disaster preventive system
KR200305625Y1 (en) A flashlight for disaster
JP2006278054A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