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56B1 -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56B1
KR101943456B1 KR1020120045780A KR20120045780A KR101943456B1 KR 101943456 B1 KR101943456 B1 KR 101943456B1 KR 1020120045780 A KR1020120045780 A KR 1020120045780A KR 20120045780 A KR20120045780 A KR 20120045780A KR 101943456 B1 KR101943456 B1 KR 10194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picture
additional information
encoding
pictu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439A (ko
Inventor
신일홍
윤장우
이현우
류원
권영달
한상훈
권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456B1/ko
Priority to US13/873,427 priority patent/US20130291011A1/en
Publication of KR2013012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코딩 서버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출력된 부가 정보를 처리하는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에서 출력된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버레이 믹싱부와,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 의해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출력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Transcoding Server and Method for Overlaying Added Information to Dynamic Image in Transcoding Server}
본 발명은 동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화면 전송 상황에서 동영상에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과 디지털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서,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양방향 방송 수신기(예를 들어, IPTV, DMB 수신기, 셋탑 박스 등)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 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의 경우에는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상에 부가 정보가 오버레이(OVERLAY)되어 제공되거나 콘텐츠와 별도의 창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현재 클라우드 기술과 통신망 기술의 발달로 씬 클라이언트(thin-client)나 제로 클라이언트(zero-client) 기반의 서비스를 활용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다. 씬-제로 클라이언트(Thin-zero client)가 되려면 서버측에서 상당한 연산을 수행하는 반면 단말에서는 아주 단순한 연산만 수행토록 해야 한다.
따라서, 동영상 콘텐츠를 이러한 씬-제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가 정보 오버레이에 필요한 OS, Middelware등의 요소를 제외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에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동작을 서버에서 수행하여 단말의 연산을 줄이도록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에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되, 서버에서의 연산을 줄이도록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코딩 서버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출력된 부가 정보를 처리하는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에서 출력된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버레이 믹싱부와,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 의해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출력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 가능한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으로,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에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오버레이된 동영상을 단말에 전송하여 씬-제로 클라이언트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가 정보 요청이 있을 때에만, 부가 정보 오버레이 동작을 수행하여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부가 정보 오버레이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를 수행하는 트랜스코딩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부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복호기(21)를 통해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된 동영상이나 오디오 코덱의 타입을 찾아서 복호화하고, 부가정보 미들웨어(22)를 통해 부가 정보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오버레이 믹서(23)가 복호기(21)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부가 정보 미들웨어(22)로부터 출력되는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한다. 출력된 부가 정보가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는 내장되거나 또는 외부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출력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20)에서 오버레이 믹싱을 수행함에 따라, 단말에서의 연산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는 씬-제로 클라이언트 구현에 장애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에서 수행하던 오버레이 믹싱을 수행하는 트랜스코딩 서버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를 수행하는 트랜스코딩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와, 트랜스코딩 서버(100)와, 단말(30)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서버(10)와 트랜스코딩 서버(1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서버(10)와 트랜스 코딩 서버(100)가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10)는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트랜스 코딩 서버(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동영상 데이터는 압축된 형태의 데이터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코딩 서버(100)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 데이터를 오버레이 믹싱하여 단말(30)에 전송한다.
단말(30)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트랜스코딩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트랜스코딩 서버(100)에 부가 정보를 요청할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말(30)은 트랜스코딩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가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30)은 부가 정보를 위해 미들웨어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복호화 기능만 수행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예전 단말에서 필요한 OS, Middleware 등의 복잡한 구조를 탈피하여 입력처리를 위한 펌웨어(firmware)와 동영상 복호기만으로 단말의 구성이 가능하다.
그런데, 트랜스코딩 서버(100)에서 오버레이 믹싱과 부호화를 수행함에 따라 과도한 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코딩 서버(100)는 단말(30)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에만 오버레이 믹싱을 수행하고, 단말(30)로부터 요청에 없을 때에는 오버레이 믹싱을 수행하지 않고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시킨다. 즉, 오버레이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부호화를 수행하며,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되면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입력된 동영상 데이터를 그대로 단말(30)로 재전송하는 구조를 채택한다. 사용자는 시청중에 항상 부가정보를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트랜스코딩 서버(100)에서의 부호화에 따른 부하를 상당량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코딩 서버(100)는 수신부(110), 복호화부(120), 부가정보 미들웨어부(130), 오버레이 믹서부(140), 동영상 캡쳐부(150)와, 부호화부(160) 및 송신부(170)을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서버(1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부(120), 부가정보 미들웨어부(130) 및 부호화부(160)에 입력시키는 디멀티플렉싱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수신부(110)는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부(120)와 부호화부(160)에 모두 입력하고, 수신된 부가 정보는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130)에 입력한다.
복호화부(120)는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즉,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한다.
부가정보 미들웨어부(130)는 단말(30)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이 있을 때에만,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정보를 미들웨어 처리하여 출력한다.
오버레이 믹서부(140)는 복호화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한다. 그런데, 오버레이 믹서부(140)는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130)로부터 부가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는다. 즉, 단말(30)로부터 부가 정보 요청이 있을 때에만 부가 정보를 동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시킨다.
동영상 캡쳐부(150)는 오버레이 믹서부(140)에 의해 부가 정보가 오버레이된 동영상을 캡쳐하여 부호화부(160)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60)는 부가정보가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부(160)는 부가 정보 요청이 있을 때에는 부호화를 수행하고, 부가 정보 요청이 없으면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시킨다. 즉, 동영상 캡쳐부(150)에 의해 입력되는 합성 동영상 데이터가 있을 경우, 부호화부(160)는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그러나, 만일 동영상 캡쳐부(150)에 의해 입력되는 합성 동영상 데이터가 없을 때에는 수신된 복호화되지 않은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시킨다.
이를 위해 부호화부(160)는 상세하게는 바이패싱부(161),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 참조 프레임 버퍼(163) 및 비디오 부호화 입력 버퍼(164)를 포함한다.
바이패싱부(161)는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시킨다. 즉, 수신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복호화되지 않은 데이터이므로,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송신부(170)를 통해 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한다.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는 부가 정보가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송신부(170)를 통해 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한다.
참조 프레임 버퍼(Reference frame buffer)(163)는 복호화부(120)에 의해 복호화된 화면이 입력받는다. 부가정보 요청이 없을 때에도, 항상 복호 화면을 저장해두어 부호화부(160)와 복호화부(120)의 동작의 동기(sync)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는 참조 프레임 버퍼(162)에 저장된 현재 복호화된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부호화 입력 버퍼(164)는 동영상 캡쳐부(150)에서 입력되는 부가 정보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면,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는 부호화 입력 버퍼(164)에 저장된 합성 동영상을 부호화한다.
송신부(170)는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단말(3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과, 수신된 바이패싱된 동영상 데이터 또는 부가정보 합성 동영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멀티플렉싱 기능을 수행한다. 즉, 부가 정보 합성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는 부가 정보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부가 정보 합성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바이패싱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부가 정보 요청이 없을 때, 부호화부(160)에서 단순히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bypassing)하면 동영상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복호화부(120)는 오버레이된 화면을 이전정보로 참조하여 현재 입력된 비트스트림의 복호화를 수행하여 잔여정보와 합을 하기 때문에 화면이 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부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 화면의 프레임은 I/P/B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I 프레임은 이전 화면과의 연관성(dependency)이 존재하지 않는 화면이며 전송시 복호기 시작 화면이 된다. IDR(Instantaneous Decoder Refresh)이라고도 부르며 실시간 방송에서는 채널 전환시에 I 프레임을 찾아서 복호화를 수행한다.
P/B 프레임은 복호화된 이전 화면의 정보를 사용하여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P/B 프레임은 이전 정보와의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정보가 바뀔 경우 다시 부호화해서 생성해야만 한다.
따라서, 복호화부(120)는 부가 정보 요청 종료 시점 이후에도 오버레이 믹싱이 필요하지 않지만, P/B 프레임을 복호하여 부호화 입력 버퍼(164)에 입력해준다. 그리고, 요청 종료 시점에서 다음 I 프레임이 나올때까지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가 작동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프레임이 나올 경우 복호 화면 정보만이 참조 프레임 버퍼(163)에 입력되며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162)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
즉, 부가정보 요청이 있을시 오버레이된 현재 화면의 정보는 비디오 입력 버퍼에 입력되며 참조 프레임 버퍼(Reference frame buffer)를 참조하여 P/B 프레임의 압축을 수행한다. 즉, 트랜스코딩 서버는 항상 동작되는 복호기와 부가정보 요청시 동작을 시작하는 부호기와 요청 종료 시점에서 다음 I 프레임까지 부호화를 수행하며 I 프레임부터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바이패싱(bypassing)하여 서버의 부하를 상당량 줄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에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랜스코딩 서버는 510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트랜스 코딩 서버는 52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520 단계의 판단 결과 부가 정보가 요청되었을 경우, 트랜스코딩 서버는 530단계에서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540 단계에서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의 오버레이 믹싱을 수행한다.
그리고, 550 단계에서 합성 동영상을 캡쳐하고, 560 단계에서 합성 동영상 데이터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호화된 화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호화와 동기를 맞추어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또한,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된 후에, 이전에 복호화된 화면 정보와 연관성이 없는 프레임이 출력될까지 부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트랜스코딩 서버는 570 단계에서 합성 동영상의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520 단계의 판단 결과, 부가 정보가 요청되지 않았을 경우, 트랜스코딩 서버는 580 단계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트랜스코딩 서버는 부가 정보가 요청되지 않았을 때에도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여, 복호 결과를 저장한다. 따라서, 복호화와 바이패싱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동기를 맞춘다.
그리고, 트랜스코딩 서버는 590 단계에서 바이패싱된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한다.

Claims (10)

  1.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처리하는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와,
    상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에서 처리된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버레이 믹싱부와,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 의해 오버레이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되, 복호화된 화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호화부의 복호화와 동기를 맞추어 프레임을 부호화는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미들웨어부는
    부가 정보 요청이 있을 때에만 부가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부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서 출력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송신부로 출력하고,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되면,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하여 상기 송신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오버레이 믹싱부에 의해 생성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호화 입력 버퍼와,
    부가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부호화 입력 버퍼에 저장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에 전송하는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와,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된 동영상을 바이패싱하여 상기 송신부에 전송하는 부호화 바이패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복호화부에 의해 복호화된 화면 정보를 저장하는 참조 프레임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는
    상기 참조 프레임 버퍼를 참조하여 상기 복호화부와 동기를 맞추어 프레임을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동영상 부호화부는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된 후에, 이전에 복호화된 화면 정보와 연관성이 없는 프레임이 출력될까지 부호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
  7.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 가능한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의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복호화된 화면 정보를 참조하여 복호화와 동기를 맞추어 프레임을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부가 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부가 정보 요청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합성 동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상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바이패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부가 정보 요청이 종료된 후에, 이전에 복호화된 화면 정보와 연관성이 없는 프레임이 출력될까지 부호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코딩 서버에서의 동영상 부가 정보 오버레이 방법.
KR1020120045780A 2012-04-30 2012-04-30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KR10194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80A KR101943456B1 (ko) 2012-04-30 2012-04-30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US13/873,427 US20130291011A1 (en) 2012-04-30 2013-04-30 Transcoding server and method for overlaying imag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80A KR101943456B1 (ko) 2012-04-30 2012-04-30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439A KR20130122439A (ko) 2013-11-07
KR101943456B1 true KR101943456B1 (ko) 2019-01-29

Family

ID=4947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80A KR101943456B1 (ko) 2012-04-30 2012-04-30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91011A1 (ko)
KR (1) KR101943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3439A1 (en) * 2013-11-19 2015-05-21 Sony Corporation Providing increased bandwidth for transmission of audio video content and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therewith
US10063912B2 (en) * 2014-02-28 2018-08-2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daptive transcoding bypass system
CN104780390A (zh) * 2015-04-07 2015-07-15 天脉聚源(北京)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装置
KR101933031B1 (ko) * 2016-08-11 2018-12-27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KR101833942B1 (ko) * 2017-01-05 2018-03-05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합성을 위한 트랜스코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9951B2 (en) * 2001-05-24 2006-08-29 Vix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system
KR100631685B1 (ko) * 2004-06-15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64241B1 (ko) * 2008-10-07 2010-06-16 주식회사 케이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75128B2 (en) * 2013-03-15 2019-04-30 Activevideo Networks, Inc. Multiple-mo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video content
WO2014197879A1 (en) * 2013-06-06 2014-12-11 Activevideo Networks, Inc. Overlay rendering of user interface onto source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1011A1 (en) 2013-10-31
KR20130122439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6737B2 (en) Video strea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67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composite video image
KR101943456B1 (ko)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MX2013005996A (es) Control de usuario de la pantalla de codigos de matriz.
CN108055497B (zh) 一种会议信号播放方法和装置、视频会议终端、移动设备
WO2018024231A1 (zh) 拼接墙与移动智能终端互联方法和装置
JP5284494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20140091021A (ko)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US20050163225A1 (en)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and method thereof
JP6453345B2 (ja) テレビ装置上でウェブ・コンテンツをリモート・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媒体
CN101778285A (zh) 一种音视频信号无线传输系统及其方法
EP2901704A1 (en) Video data
US9729931B2 (en) System for managing detection of advertisements i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n a digital TV decoder
US20140112636A1 (en) Video Playback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Sharing Video from a Source Device on a Wireless Display
US201100850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3D Video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9118803B2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KR101077029B1 (ko) 비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90001627A (ko)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CN113747099B (zh) 视频传输方法和设备
JP2018520546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テンツをレンダリングする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デコーダ、及びこの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テンツを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レンダリング装置
EP1511302A2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decoder
WO2013098896A1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の制御方法
KR101114953B1 (ko) 양방향 데이터 방송 장비,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보안 인증 방법
CN114640862A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处理器
KR100693552B1 (ko) 다중 멀티미디어 파일 연결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