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19B1 -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19B1
KR101943419B1 KR1020120065397A KR20120065397A KR101943419B1 KR 101943419 B1 KR101943419 B1 KR 101943419B1 KR 1020120065397 A KR1020120065397 A KR 1020120065397A KR 20120065397 A KR20120065397 A KR 20120065397A KR 101943419 B1 KR101943419 B1 KR 10194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touch
input devic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1190A (en
Inventor
이동헌
권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50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3227B1/en
Priority to JP2013000127A priority patent/JP2013143139A/en
Priority to CN201310003838.1A priority patent/CN103279274B/en
Priority to US13/735,379 priority patent/US9342168B2/en
Priority to MX2014015378A priority patent/MX340896B/en
Priority to BR112014031855A priority patent/BR112014031855A2/en
Priority to PCT/KR2013/004448 priority patent/WO2013191382A1/en
Priority to IN424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424A/en
Publication of KR2013008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며, 전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system, and the input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input mode to the touch mode whe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Accordingly, the user can switch modes naturally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for switching modes, and feedback on switching can be provid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Figure R1020120065397
Figure R1020120065397

Description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표시하는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an input mode of an input device.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각 기능별로 분류된 복수의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각종 커맨드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A display system is a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generated by itself. The display system includes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devices do. The display system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kinds of devices according to functions to be implemented. For example, the display system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for transmitting various commands to the display device. Generally, such an input device is implemented as a remote controller of a display device.

입력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터치모드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동작하는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로 동작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모드전환 버튼을 사용하여, 두 개의 모드를 상호 전환한다.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either a touch mode operating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a user or a gesture mode operating according to a motion of an input device, Switch modes.

그런데,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중 모드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정된 모드전환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켜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떨어뜨려,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switch the mode during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user must operate the designated mode switching button, thereby interrupting the interaction during the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user's immersion into the interface operation an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

또한, 이러한 모드 전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알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입력장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nformation on the mode switching is not provided to the us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know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so that the user may inconvenience the use of the input device.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input mode to the touch mode whe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제어부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when motion of the input devi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detected.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command for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to the display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display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on the display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command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opaquely.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gauge that displays the transition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제어부는, 제스처모드에서는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무시하며, 터치모드에서는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입력장치의 모션은 무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gnor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the gesture mode and ignores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the touch mode.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and a tou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motion, And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otion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motions or more.

한편,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eanwhile,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touch mode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and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having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more is detected.

제어부는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의 모션의 강도, 횟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의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o the display device a comman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tepwise indicating a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istance of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Can be controlle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motion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터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input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o the touch mode upon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the input mode from the input unit to the touch mode in the gesture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어부는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o the gesture mode upon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the input mode from the input unit to the gesture mode in the touch mod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display the step of switching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opaque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gauge that displays the transition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input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o the gesture mode upon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the input mode from the input unit to the gesture mode from the touch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step-by-step display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motion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perating an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n a gesture mode according to motion of the input device; Sensing a user's touch input; And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touch mode if the sensed touch in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And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if the sensed mo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sending a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display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on the display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can be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transmitting a command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opaquely.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gauge that displays the transition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입력장치가 터치모드로 전환되면,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입력장치의 모션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ignoring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입력장치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면,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ignoring the touch input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and a tou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motion, And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otion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motions or more.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perating an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n a touch mode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a use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And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if the sensed mo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입력장치의 입력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a command for stepwis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mmand may include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a command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th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the motions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an input mode from an input device to a touch mode in a gesture mod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touch mod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to switch the input mode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ep of display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input mode step by step.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stepwise can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in an opaque manner.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게이지를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step of stepwise displaying can switch the input mode step by step through the gauge.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ommand to switch an input mode from an input device to a gesture mode in a touch mod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based on the received comman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ay stepwise display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motion of the input device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n input devic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 touch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e touch sensing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tion of the user, When the touch mode is detected,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and when the input mod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having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more is detected, And an input device for transmitting a command for displaying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가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can step-by-step display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2 are view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device 100 that process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 and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as an image, a display device 100 that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remotely And an input device 20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command / data / information /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 data / information /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100.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입력장치(200)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각각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 TV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broadcast images based on broadcast signal / broadcast information / broadcast data received from transmission equipment of a broadcast station, and the in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er To a display system (1) implemented. However, the type of displayable image is not limited to the broadcast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a moving image based on signals / data received from various types of image sources (not show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UI) for displaying a still image, an application, an on-screen display (OSD)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실시예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본체에 접속된 모니터이며, 입력장치(200)가 해당 컴퓨터본체와 통신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a display system 1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system in which a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computer main body and the input device 200 communicates with the computer main body .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that are variously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 통신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The input device 200 is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infrared communication, RF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input device 20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by being operated by the user.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와,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20)를 포함한다. 모션감지부(220)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정보 또는 모션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uch sensing unit 210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220 for sensing a self motion by a user. The motion sensing unit 220 includes a gyro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the touch information or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1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2,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first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data, a display unit 100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display unit 100, And a second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unit 160.

한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와, 입력장치(200)의 모션(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2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2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40)와, 터치감지부(210) 또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장치(200)는 각종 메뉴키, 번호키 등의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200 includes a touch sensing unit 210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220 for sensing a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A communication unit 2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or the motion sensing unit 220. [ And a second controller 260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ntroller 260.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buttons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such as various menu keys, number keys, and the like.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ceived image signal and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wirelessly receive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not shown), or may transmit a composite video, a component video, a super video, a SCART ,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tandard, and the like.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includes a tuner for tuning the broadcast signal for each channel when the image signal is a broadcast signal.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제1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video signal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video signal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an AV device,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may be derived from data receive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 this cas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o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network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may be derived from data stored in a non-volatile first storage unit 150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or the like. The first storage unit 150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not shown) to which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connected when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provided outside.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various image processing processes for the image signals. The image processor 120 outputs a video signal having undergone the above process to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perform decoding corresponding to various image formats, de-interlacing, frame refresh rate conversion, noise reduction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etail enhancement, line scanning,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may be realized as a group of individual configurations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of these processes, or a System-on-Chip (SoC) in which various functions are integrated.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display unit 130 is not limited and may be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surface- electron 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a liquid crystal type,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ght thereto, and a panel (Not shown).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아이콘(그래픽) 등을 포함하며, 텍스트는 숫자와 문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UI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1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indicating an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 Here, the user interface includes text, an icon (graphic) and the like, and the text includes numbers and characters. Here, if the display unit 130 i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touch the UI of the display unit 130 to transmi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to the first controller 160. [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한다. 또한, 제1통신부(14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1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the command / data / information /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the command / data / information /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o the input device 2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can us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nput device 200.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infrared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Zigbee, Bluetooth and the like.

제1통신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영상처리부(12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is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dongle or a modu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not shown) of the display device 100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Not shown).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The first storage unit 150 stores unlimite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60.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disc drive. The first storage unit 150 is accessed by the first control unit 1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60 reads / writes / modifies / deletes / updates the data.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Th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includes,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various applications executable on the operating system, image data, additional data, and the like.

제1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ler 16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for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FIG.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160 perform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by performing the progress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110 .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예컨대, 터치모드 또는 제스처모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도 3 내지 도 5의 31, 32, 35, 36 및 도 8 내지 도 12의 61, 62, 6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UI (Fig. 3 (a)) indicating an input mode (for example, a touch mode or a gesture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based on a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And 31, 32, 35, 36, and 61, 62, 63 in Figs. 8 to 12).

이하, 입력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00)는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며, 복수의 입력모드는 터치감지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모드(touch mode)와, 입력장치의 모션(motion)(움직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스처모드(gesture mode)를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modes, and the plurality of input modes includes a touch mode in which a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a user to a touch detection sensor, And a gesture mod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motion.

예를 들어, 입력장치(200)는 제스처모드에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에 대한 페이지 스크롤(Page Scroll)을 수행하도록 하고, 터치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의 항목에 대한 선택(포커스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device 200 allows the user to perform page scroll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in the gesture mode, (Focus shift) on the item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the user.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페이지 스크롤과 같은 큰 단위의 동작에 대하여는 제스처모드로, 항목의 선택과 같은 작은 단위의 동작에 대하여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입력에 의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device 200 is set to operate in a gesture mode for a large unit operation such as page scroll and a touch mode for a small unit operation such as item selec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various user input examples can be applied.

터치감지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다양할 수 있으며, 탭(tap), 탭보다 강하게 터치하는 클릭(click), 더블 클릭, 드래그(drag), 슬라이드(slide), 플리킹(flicking) 등을 모두 포함한다. 터치감지부(21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The touch sensing unit 210 includes a touch sensing sensor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The user's touch input may be various and includes both a tap, a click that is stronger than a tap, a double click, a drag, a slide, and flicking. When the touch sensing unit 210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he second controller 26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모션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현재 자세에서, 입력장치(200)의 3축 또는 6축에 대한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2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제2제어부(25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정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The motion sensing unit 220 includes a motion sensing sensor that senses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he motion sensing sensor includes a gyro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The motion sensing unit 220 measures acceleration and angular velocity of the input device 200 with respect to three or six axes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cond controller 26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제2통신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1통신부(140)에 대응하는 통신규격을 가진다. 예컨대, 제2통신부(220)는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소정 커맨드를 송수신하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nd has a communication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comma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infrared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Zigbee, Bluetooth, and the like.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by,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perform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제2저장부(250)에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제2저장부(250)에는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에 관한 정보가 독취, 저장 및 업데이트되며, 입력장치(100)의 모션 감지를 위한 자세정보가 독취, 저장 및 업데이트된다. Data to be access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260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The second storage unit 250 reads, stores, and updates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and reads, stores, and updates attitude information for motion sensing of the input device 100.

제2제어부(250)는 모션감지부(220)의해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각속도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입력장치(200)의 모션정보를 산출한다. 제2제어부(260)는 산출된 모션정보를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자세정보와 비교 및 보정하고, 그 결과를 소정 커맨드로서 제2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The second controller 250 calculate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accel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sensed by the motion sensor 220.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mpares and corrects the calculated motion information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and transmits the result as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do.

제2저장부(2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The second storage unit 25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The second storage unit 250 is access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26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60 reads / writes / modifies / deletes / updates the data.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및 모션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ler 260 controls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either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or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to transmit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표시되는 UI(31, 32, 35, 36)는 입력장치(200)의 현재의 입력모드 정보, 입력모드의 전환정보(예컨대,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의 전환 또는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의 전환)를 포함할 수 있다.3 to 5 are view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isplayed UIs 31, 32, 35, and 36 indicate the current input mode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switching information of the input mode (for example, switching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 ≪ / RTI >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2저장부(250)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준값 및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대한 제2기준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고,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에 대응하는 값이 된다. 여기서, 강도는 모션에 의한 입력장치(200)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erence value for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for the motion of the input apparatus 200 ar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and a tou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 motion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a mo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Here, the intensity can be determined by any one of or a combination of the moving distance, moving speed, and moving area of the input device 200 by motion.

본 실시예는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이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거나, 각각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cases w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are set to the same value or are set to different values.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중 제1기준값 이상에 대응하는 커맨드 및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 중 제2기준값 이상인 커맨드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ler 260 receiv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first reference value or more of a touch input of the user sensed by the touch sensing unit 210 and a motion corresponding to a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to transmit any one of the commands having the two or more reference values to the display device 100. [

여기서, 송신되는 커맨드는 입력장치(200)가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입력장치(200)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가 제1기준값 이상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면,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모션에 대응하는 커맨드(예컨대, 페이지 스크롤 커맨드)와 함께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임을 나타내는 UI 즉, 메시지(31, 32)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시지(31, 32)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Here, the command to be transmitted may include a command to display a UI indicating that the input device 200 is one of a plurality of input modes. For example, when the motion sensing unit 220 senses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having a first reference value or more in a state where the input device 200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as shown in FIG. 3, (31, 32) indicating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is the gesture mode, together with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tion (for example, a page scroll comm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Here, the displayed messages 31 and 32 include icons, text, and the like.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40)를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4와 같이 페이지 스크롤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메시지(31, 3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displays the page scrolled screen The display unit 130 is controlled. Also, the first control unit 16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messages 31 and 32 such as icons and texts indicating the current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

한편, 입력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되는 커맨드는 입력장치(200)가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put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 command for switching the input device 200 to another mode in which the input device 200 operates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modes.

예를 들어,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제1기준값 이상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도 5와 같이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33, 34)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시지(35, 36)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the second control unit 260 determines whether a touch input of a first reference value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of the input device 200 The second control unit 260 switches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touch mode and displays messages 33 and 34 indicating that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a comman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 Here, the displayed messages 35 and 36 include icons, text, and the like.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5와 같이 터치모드로 전환되어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33, 34)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메시지(35, 3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outputs the command in the touch mod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a plurality of items (33, 34) that can be switched and selected. Also, the first controller 16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messages 35 and 36 such as icons and texts indicating the current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1, 32, 35, 36)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터치모드로 전환됨과 같이 입력모드가 어느 하나(제스처모드)에서 다른 하나(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3 to 5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messages 31, 32, 35, and 36 indicating the current input mode are displayed. However,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y one of the input modes (Gesture mode) to another (touch mode).

사용자는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탭, 드래그 등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33, 34) 중 어느 하나(34)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33 and 34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rough operations such as tapping and dragging with respect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of the input device 200. [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a corresponding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60)는 도 5와 같이 선택된 항목(34)을 포커스, 포인트, 커서, 하이라이트, 깜빡임 처리 등에 의해 강조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selection resul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 Here, the first controller 16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highlight the selected item 34 as shown in FIG. 5 by focusing, pointing, cursor, highlighting, blinking, or the like.

한편, 입력장치(200)에는 메뉴키, 숫자키, 방향키(4방향 버튼) 등의 버튼이 더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터치감지부(210) 뿐 아니라 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를 선택할 수도 있다. If the input devic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buttons such as a menu key, a numeric key, and a direction key (four-way button), the user operates buttons as well as the touch sensing unit 210, You can also select the displayed UI.

본 발명 실시예의 입력장치(200)에서 제2제어부(260)는 제2기준값 이상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감지되어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1기준값 미만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이를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제2제어부(260)는 제1기준값 이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어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2기준값 미만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감지되면 이를 무시한다.In the input device 2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having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more is sensed and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If this is detected, ignore it. Similarly, the second controller 260 ignores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over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다른 하나에서 감지되는 제1 또는 제2기준값 미만의 입력은 무시한다. 또한,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라도, 다른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되면 이는 유효한 입력이 되어, 입력모드가 전환된다. 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put of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value is detected in any one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20, Ignore the input. In addition, even when the input of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value is detected in any one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20, if the input of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value is detected in the other, And the input mode is switched.

본 발명은 이렇게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가 모두 지원되는 입력장치(200)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제한하여 동작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낮다. 또한, 제1기준값 이상의 터치 또는 제2기준값 이상의 모션에 의해 입력모드가 상호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00 in which only the touch sensing unit 210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re supported to operate in any one of the input modes, In addition, since the input modes are mutually switched by the touch of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more or the motion of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more, the user can switch the mode naturally without artificial operation for switching the mode,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제스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01).As shown in FIG. 6, the input device 200 may operate in a gesture mode, which is an input mod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sensing unit 220 (S401).

입력장치(200)는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403). 여기서, 제스처모드는 후술하는 도 7의 단계 S507에서 입력모드가 전환된 것일 수 있다.In operation S403, the input device 200 senses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while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Here, the gesture mode may be one in which the input mode is switched in step S507 of FIG. 7 described later.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여기서,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기준값은 제2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다.The second controller 260 of the input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sensed at step S40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t step S405. 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and a tou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5의 판단결과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S407).If the touch inpu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5, the second controller 260 switches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touch mode, and transmi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sensed in step S403,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00 (S407).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407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5, 3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409). 여기서, 단계 S409에서 표시되는 메시지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in step S407 and displays the messages 35 and 36 indicat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100 on the display unit 130 (S409). Here, the message displayed in step S409 may includ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한편,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5의 판단결과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은 무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5 that the touch input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second controller 260 ignores the touch input sensed in step S403.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6 in that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in a state of operating in the touch mod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터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501). 여기서, 터치모드는 도 6의 단계 S407에서 입력모드가 전환된 것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nput device 200 may operate in a touch mode, which is an input mod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S501). Here, the touch mode may be one in which the input mode is switched in step S407 of FIG.

입력장치(200)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에 대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한다(S503).In operation S503, the input device 200 senses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with respect to the motion sensing unit 220 whil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여기서,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2기준값은 제2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기준값은 도 6의 단계 S405의 제1기준값과 동일 또는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260 of the input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input detected in step S50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S505). 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motion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 motion over a predetermined intensity, and a motion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25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a value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step S405 in Fig.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5의 판단결과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S507).If the motion inpu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step S505, the second controller 260 switches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gesture mode, and transmi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put sensed in step S503,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S507).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507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1, 3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509). 여기서, 단계 S509에서 표시되는 메시지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in step S507 and displays the messages 31 and 32 indicat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100 on the display unit 130 (S509). Here, the message displayed in step S509 may includ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한편,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5의 판단결과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은 무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5 that the motion inpu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second controller 260 ignores the motion input detected in step S503.

이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하면, 기준값 이상의 터치 또는 모션에 의해 입력모드가 상호 전환되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키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put modes are mutually switched by the touch or motion of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without interrupting the interaction during the opera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8 to 12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면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과 비교하여 볼 때,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의 동일 도면부호 및 동일 부재명을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is displayed step by step in comparison with the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to FIG.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member name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for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제2저장부(250)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및 입력장치(100)의 모션에 대한 제3기준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3기준값은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단계별로 설정된 복수의 값이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stores a third reference value for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he motion of the input apparatus 100. Here,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 plurality of values set in stages for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구체적으로, 제3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강도, 소정 횟수 및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횟수 이상의 탭 또는 클릭,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등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설정된 복수의 값(예를 들어, 1차입력값, 2차입력값, 3차입력값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강도는 모션에 의한 입력장치(200)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Specifically, the third reference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intensity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 motion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draggin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the touch sensing unit 210, (For example, a primary input value, a secondary input value, a tertiary input value, and the like) set in stages in response to the above touch or the like. Here, the intensity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moving distance, a moving speed, and an area of the moving area of the input device 200 by mo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a command for displaying the UI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

여기서, 제2제어부(260)는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60 switches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gesture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ntensity, and frequency of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2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can be controlled so as to transmit a command for displaying a UI that displays the UI stepwise.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입력장치(20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스처모드로 입력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해 입력장치(200)를 흔드는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nput device 200 a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the user may move the input device 200 in a gesture mode, Can be selected.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고,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UI(61, 62)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제2제어부(260)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결과를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각각의 단계별로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2통신부(24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220 senses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user interface UI for the input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a comman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 Here, the displayed UIs 61 and 62 include icons, text, and the like.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mpar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sensing unit 220 with the value set for each step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and transmi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Can be transmitted.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UI(61, 62, 6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입력장치(200)를 흔드는 강도, 횟수, 거리 등에 대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and outputs the command to the input device 200 in accordance with command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UIs 61, 62, and 63 such as an icon and text that stepwise indicate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The user can immediately confirm the feedback on the intensity, the number of times, the distance, and the like shaking the input device 200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UI(61, 62)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UIs 61 and 6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ntensity, and frequency of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1차입력으로 약하게 흔드는 경우, 제2제어부(260)는 1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1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9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1, 6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hakes the input device 200 lightly with a primary input, the second control unit 260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input value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he first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primary inpu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and display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primary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UIs 61 and 62 with the transparency corresponding thereto as shown in FIG. .

사용자는 도 9에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61, 62)의 투명도를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좀더 강한 모션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입력장치(200)를 2차입력으로 좀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2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2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10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3, 64)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도 10의 UI(63, 64)는 도 9의 UI(61, 62)에 비하여 좀더 선명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onfirms that a stronger motion is required for switching to the gesture mode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UIs 61 and 6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FIG. Strongly shake it. The second control unit 260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input value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60 transmit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input valu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inpu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UIs 63 and 64 with the transparency corresponding thereto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Is 63 and 64 of FIG. 10 are clearer than the UIs 61 and 62 of FIG.

계속해서,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63, 64)의 투명도를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보다 더 강한 모션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입력장치(200)를 3차입력으로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3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3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11과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4, 65)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도 11의 UI(65, 66)는 도 9 및 도 10의 UI(61, 62, 63, 64)에 비하여 보다 더 선명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10, the user confirms that a stronger motion is required for switching to the gesture mode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UIs 63 and 64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sets the input device 200 to 3 You can rock more strongly with the car input. The second control unit 260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put value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60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put valu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inpu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UIs 64 and 65 with the transparency corresponding thereto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Is 65 and 66 of FIG. 11 are clearer than the UIs 61, 62, 63, and 64 of FIGS.

즉,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That is, the UIs 61, 62, 63, 64, 65, and 66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re stepwise adjusted in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여기서, 1차입력 내지 3차입력은 입력장치(200)에 대한 모션의 강도에 의해 구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모션의 횟수에 따라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장치(200)를 1회 흔드는 경우 도 9와 같은 UI(61, 62)가 표시되고, 입력장치(200)를 2 내지 4회 흔드는 경우 도 10과 같은 UI(63, 64)가 표시되고, 입력장치(200)를 5회 이상 흔드는 경우 도 11과 같은 UI(65, 66)가 표시되는 실시예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강도와 횟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입력모드의 전환 단계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case where the primary input to the tertiary input are distinguished by the intensity of the motion for the input device 2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can be displayed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tions. 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shaken once, UIs 61 and 62 shown in FIG. 9 are displayed.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shaken 2 to 4 times, UIs 63 and 64 shown in FIG. 10 are displayed And the UIs 65 and 66 shown in FIG. 11 are displayed when the input device 200 is shaken more than five time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mprehensively determine th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motions of the input device 200, and to determine the switching mode of the input mode.

또한, 1차입력, 2차입력 및 3차입력은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1차입력값, 2차입력값 및 3차입력값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The primary input, the secondary input, and the tertiary input may correspond to the primary input value, the secondary input value, and the tertiary input valu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50, respectively.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splay the UIs 65 and 66 of the display unit 130 opaqu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is completed.

즉, 제2제어부(260)는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입력모드에 대한 UI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하고,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하여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nput mode to the gesture mode is completed, the second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to transmit a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display the UI for the input mode opaquely , The first control unit 160 may opacify the UIs 65 and 66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to feedback to the user that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여기서, 도 9 내지 도 11에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61, 63, 65)과, 제스처모드에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입력을 위한 가이드(62, 64, 66)를 포함한다. The UIs 61, 62, 63, 64, 65 and 66 shown in Figs. 9 to 11 include icons 61, 63 and 65 indicating input modes of the input device 200, (62, 64, 66) for motion input of the camera (200).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아이콘(61, 63, 65)을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이드(62, 64, 66)를 통해 입력장치(200)를 좌우로 회전하여 이전/다음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하로 회전하여 화면에 대한 줌(zoom)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받을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through the icons (61, 63, 65)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200 can be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select the previous / next image, and the user can be informed that the screen can be rotated up and down to perform zooming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강도 또는 횟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가이드(62, 64, 66)는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강도나 횟수를 텍스트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for the input mod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nsity or the number of motions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For example, the guides 62, 64, and 66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provide the intensity or the number of motions of the input device 200 necessary for completing the switch to the gesture mode, as text or the like.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투명도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UI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드에 대한 UI(67, 68)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gauge)를 포함할 수 있다.The UIs 61, 62, 63, 64, 65, and 66 for the input mod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to 11 have been described by exemplifying the case where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is expressed by transparenc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UI 67, 68 for the input mode may include a gauge for display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의 전환상태에 대응하는 만큼 도 12의 게이지의 상태 바(bar)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게이지의 상태 바의 위치에 따라 입력모드의 전환 정도를 판단하고, 입력장치(200)를 좀더 강하게 흔드는 등의 방식으로 입력모드의 전환을 완료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sets the state bar of FIG. 12 to the right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input mode, based on the comman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nput mode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200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moving image. The user can determine the degree of switching of the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tus bar of the gauge and complete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n such a manner as to shake the input device 200 more strongly.

한편, 본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입력모드에 대한 UI를 확인하여 터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 정도를 판단하고, 터치감지부(210)를 좀더 세게 문지르는 등의 방식으로 입력모드의 전환을 완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Is 61, 62, 63, 64, 65, and 66 for the input m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splay stepwise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The user checks the UI of the input mod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to determine the degree of switching of the input mode to the touch mode and switches the input mode by rubbing the touch sensing unit 210 more firmly Can be completed.

이하,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터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01).As shown in FIG. 13, the input device 200 may operate in a touch mode, which is an input mod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ouch sensing unit 210 (S701).

입력장치(200)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에 대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한다(S703).In operation S703, the input device 200 senses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200 with respect to the motion sensing unit 220 in a state of being operated in the touch mode.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703에서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S705).The second control unit 260 of the input device 200 transmits the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th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the motions of the input device detected in step S703 (S705 ).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705의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1, 62, 63, 64, 65, 66, 67, 68)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부(130)를 제어한다(S707). 여기서, 단계 S707에서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 67, 68)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투명도, 게이지 등에 의해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모드에 대한 UI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강도 또는 횟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command of step S705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61, 62, 63, 64, 65, 66 , 67, and 68 (S707). Here, the UIs 61, 62, 63, 64, 65, 66, 67, and 68 displayed in step S707 can display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200 to the gesture mode stepwise by transparency, And may display the UIs 65 and 66 opaque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UI for the input mod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tensity or the number of motions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반대 즉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버튼을 사용하는 일반모드에서 제스처모드 또는 터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the input device 200 is switched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se of switching from the gesture mode to the touch mode, The gesture mode or the touch mode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장치(200)에서 입력모드의 전환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적절한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200 displays a user interface providing step-by-step switching information of the input mode, and provides the user with appropriate visual feedback in real- Thereby reducing the confusion of the user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1통신부
150 : 제1저장부
160 : 제1제어부
200 : 입력장치
210 : 터치감지부
220 : 모션감지부
240 : 제2통신부
250 : 제2저장부
260 : 제2제어부
100: display device
110:
120:
130:
140: first communication section
150: first storage unit
160:
200: input device
210: Touch sensing unit
220: Motion detection unit
24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50: second storage unit
260: second control section

Claims (45)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가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터치감지부에 소정 강도의 터치에 대응하는 제1기준값 미만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동작중인 상기 제스처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In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input device is operated in one of a touch mode and a gesture mod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i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sensed input device when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The gesture mode being maintained whe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unit, the touch input being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of a predetermined strength,
When the touch input unit is operated in the gesture mode, when the touch input unit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touch mode when the touch input unit detect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not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o transmit the input mode switching signal to the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모션감지부에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미만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동작중인 상기 터치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unit senses the touch input when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touch mod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nsed to the motion sensing unit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So as to transmit the input mode switching signal to the in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to th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ser interface stepwise displays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on the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in an opaque manner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gauge for display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삭제delete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의 드래그 또는 소정 횟수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대응하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강도의 모션 또는 소정 횟수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alue furthe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touch sensing unit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ouches,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motion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motion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가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모션감지부에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미만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동작중인 상기 터치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In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input device is operated in one of a touch mode and a gesture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unit senses the touch input when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touch mod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nsed to the motion sensing unit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mode switching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의 강도, 횟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ignal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tepwise indicating a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istance of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ata to th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ser interface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a motion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소정 강도의 터치에 대응하는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제스처모드로부터 터치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상기 전환된 입력모드가 터치모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에 대응하는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부터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상기 전환된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nput device operating in either a touch mode or a gesture mode,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from the input device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device,
When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of a user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of a predetermined strength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including an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to switch from the gesture mode to a touch mode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witched input mode is a touch mod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ouch input sensed by the touch sensing unit from the input devic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motion of an input devic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f motion from the input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switch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witched input mode is a gesture mode, / RTI >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ser interface stepwise displays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opaque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gauge for display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부터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the user interface provi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motions required for completing the input mode switching to the gesture mode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이 소정 강도의 터치에 대응하는 제1기준값 미만이면 동작중인 상기 제스처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sensing motion of an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operating in either a touch mode or a gesture mode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i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device;
Sensing a user's touch input by the touch sensing unit;
Maintaining the gesture mode in operation if the sensed touch input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Switching an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to a touch mode and transmitting an input mode switch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ensed touch in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모션이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미만이면 동작중인 상기 터치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감지된 모션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device senses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ing device;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by the motion sensing unit;
Maintaining the touch mode in operation if the sensed motion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f motion;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to the gesture mode if the sensed mo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and transmitting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a signal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user interface stepwise displays the switching process of the input mode on the display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is adjusted stepwis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in an opaque manner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gauge for display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의 드래그 또는 소정 횟수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대응하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강도의 모션 또는 소정 횟수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8,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alue furthe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 drag of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touch sensing unit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ouches,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alue furthe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motion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motion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모션이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미만이면 동작중인 상기 터치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감지된 모션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sensing a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input device operating in either the touch mode or the gesture mode operates in the touch mode;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is sensed in the touch sensing unit;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by the motion sensing unit;
Maintaining the touch mode in operation if the sensed motion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f motion;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to the gesture mode and transmitting the input mode switching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ensed mo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a signal for stepwis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ignal includes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a sig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a motion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소정 강도의 터치에 대응하는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제스처모드로부터 터치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상기 전환된 입력모드가 터치모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에 대응하는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부터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상기 전환된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 touch sensing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sensing motion of an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operating in either a touch mode or a gesture mode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 motion of an input devic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device from an input device operating in the gesture mode;
Receiving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of a user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of a predetermined strength from the input device while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from the gesture mode to the touch mode and that the switched input mode is a touch mode;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ouch input sensed by the touch sensing unit from an input device operating in the touch mode;
Receiving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motion of an input devic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f motion from the input device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And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and that the switched input mode is the gesture mode. Way.
삭제delet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input mode step by step.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Wherein the step of stepwise displaying is to stepwise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is completed,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in an opaque manner.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게이지를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stepwise displays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step by step through a gau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부터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A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 intensity and a frequency of motion of the input device required for completing the switching of the input mode whe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from the touch mode to the gesture m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모드와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입력모드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터치감지부에 소정 강도의 터치에 대응하는 제1기준값 미만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동작중인 상기 제스처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에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모션감지부에 소정 거리의 모션에 대응하는 제2기준값 미만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동작중인 상기 터치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모션감지부에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In a display system,
A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input device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nd an input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in either a touch mode or a gesture mode, the touch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ing unit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e input device includes:
When the input mode is operated in the gesture mode, the motion sensing unit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is sensed, When the touch input of a user is detected that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Wherein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a touch mode when the touch sensing unit detects a touch input of a user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ile the input device operates in the gesture mode, Signal,
When the input mode is operated in the touch mod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sens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sensing unit senses the touch input,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distance is detected,
When the motion of the input devic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nsed to the motion sensing unit while the input device is operating in the touch mode, the input mode of the input device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더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가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input device further transmits a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the input mode,
Wherei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tep-wise indicates that the input mode is switched.
KR1020120065397A 2012-01-06 2012-06-19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101943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0167.8A EP2613227B1 (en) 2012-01-06 2013-01-03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00127A JP2013143139A (en) 2012-01-06 2013-01-04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201310003838.1A CN103279274B (en) 2012-01-06 2013-01-06 Input unit,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US13/735,379 US9342168B2 (en) 2012-01-06 2013-01-07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MX2014015378A MX340896B (en) 2012-06-19 2013-05-21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BR112014031855A BR112014031855A2 (en) 2012-06-19 2013-05-21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device of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PCT/KR2013/004448 WO2013191382A1 (en) 2012-06-19 2013-05-21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IN424DEN2015 IN2015DN00424A (en) 2012-01-06 2013-05-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1756 2012-01-06
KR1020120001756 2012-01-06
KR1020120002420 2012-01-09
KR20120002420 2012-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0A KR20130081190A (en) 2013-07-16
KR101943419B1 true KR101943419B1 (en) 2019-01-30

Family

ID=4899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97A KR101943419B1 (en) 2012-01-06 2012-06-19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43139A (en)
KR (1) KR101943419B1 (en)
CN (1) CN103279274B (en)
IN (1) IN2015DN0042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461B2 (en) 2021-03-1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mma of the same
US11908370B2 (en) 2022-03-25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03A (en) * 2014-02-27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input
KR102302233B1 (en) * 2014-05-26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WO2017134732A1 (en) * 2016-02-01 2018-09-27 富士通株式会社 Input device, input support method, and input support program
US10509487B2 (en) * 2016-05-11 2019-12-17 Google Llc Combining gyromouse input and touch input for navigation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6950608B2 (en) * 2018-03-29 2021-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Control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1736A (en) * 2009-03-30 2010-10-14 Sony Corp Input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2011253493A (en) * 2010-06-04 2011-12-15 Sony Corp Operation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128B1 (en) * 2008-11-14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senso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10148786A1 (en) *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s
US8803655B2 (en) * 2010-05-11 2014-08-1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1736A (en) * 2009-03-30 2010-10-14 Sony Corp Input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2011253493A (en) * 2010-06-04 2011-12-15 Sony Corp Operation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461B2 (en) 2021-03-1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mma of the same
US11908370B2 (en) 2022-03-25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0A (en) 2013-07-16
IN2015DN00424A (en) 2015-06-19
CN103279274A (en) 2013-09-04
JP2013143139A (en) 2013-07-22
CN103279274B (en)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24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3419B1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102169521B1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227B1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565628B2 (en)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130080891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03845B2 (en)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772842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4149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1986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3775A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88229A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61352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EP1961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MX2014015378A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10179931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