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37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371B1
KR101942371B1 KR1020120078574A KR20120078574A KR101942371B1 KR 101942371 B1 KR101942371 B1 KR 101942371B1 KR 1020120078574 A KR1020120078574 A KR 1020120078574A KR 20120078574 A KR20120078574 A KR 20120078574A KR 101942371 B1 KR101942371 B1 KR 10194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rame
compressed data
scene change
enco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3148A (en
Inventor
김선태
곽지영
유미선
송준근
마평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371B1/en
Publication of KR2014001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제1 인코딩부;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의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장면 전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encod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mpressing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first compressed data; A first encoding unit 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A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mpressing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transition of a video frame by compar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d encoding a video frame scene change in the mobile radio environment, ≪ / RTI >

Description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비디오 인코딩 장면 전환 이외의 유용하지 않은 정보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encoding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encoding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종래에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고급응용들은 프로세서의 사양이 높은 PC급 유선 환경에서 낮은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 인코딩 후 전송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왔다. 그러나 점차, 비디오 인코딩/디코딩에 대한 응용이 널리 퍼짐에 따라 비디오 코덱의 ASIC화가 진행되어 보다 해상도가 높은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Conventionally, advanced applications such as multimedia have been implemented by real-time encoding and transmitting low-resolution video contents in a PC-class wired environment with high processor specifications. However, as the application to video encoding / decoding has become more and more widespread, the ASIC of video codec has progressed and higher resolution applications have become possible.

이러한 현상은 PC급의 유선 환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도 그대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패드(iPad, 삼성 Tab)등의 기기에서도 고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인코딩하거나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henomenon proceeded not only in the PC-class wired environment but also in the mobile device environment providing the user's mobility. As a result, it is now possible to encode and play back high-resolution video content 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mobile pads (iPad, Samsung Tab).

하지만, 모바일 기기 환경은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무선환경하에서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압축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무선환경은 유선환경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패킷 전달율을 보이며,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비해 패킷 수가 늘어남에 따라 패킷 전달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obile device environment is based on mobility, so it is necessary to transmit compressed data for multimedia applica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However, the wireless environment exhibits a packet transmission rate which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in the wired environment, and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is lowered as the number of packets increases compared with the bandwidth of the network to be provided.

이러한, 비디오의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비디오 압축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장면 전환 감지 후 비디오 인코딩이 진행된다.Such a technique of detecting a scene change of a video and transmitting a video compressed stream generally proceeds to video encoding after scene change detection.

즉, 카메라나 화면 캡쳐 등의 원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장면 전환을 감지하기 위해서 비디오 전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비디오 전처리 후 나오는 입력 영상들의 상호 비교로 장면 전환을 감지하게 된다. 화면 전환된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구현 응용에 맞게 비디오 인코딩을 수행한 후 압축 비트스트림이 생성되면, 이를 전송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비디오 영상통화 중 종료 명령이 떨어지면 모든 프로그램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That is, raw data such as a camera and a screen capture are input, and a video preprocessing is performed to detect a scene change.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by mutual comparison of the input images after the video preprocessing. Based on the converted image information, video encod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application, and a compressed bitstream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Finally, if the end command is lost during the video call, all program execution ends.

상기에 서술한 장면 전환 감지기술은 비디오 인코딩 전 단계에서 수행하게 되며 이 기술은 비디오 프레임을 드랍하거나 비트율을 낮게 하려는 것이 아니고 비디오 화면의 흐름을 예측하여 장면 전환 프레임에 많은 비트율을 제공하여 더욱 좋은 화질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The scene change detection technique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 a stage before video encoding. The technique does not drop a video frame or lower a bit rate but predicts a flow of a video screen to provide a large bit rate to a scene change frame, Is transmitted.

하지만,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응용은 대부분 비디오를 찍어서 로컬에 저장하거나 영상을 재생하여 감상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대한민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8-000075308호(2008년 07월 31일 출원)에 개시된 '동영상 부호화 데이터율 제어를 위한 실시간 장면 전환 검출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영상통화 시스템'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응용은 영상통화에 국한되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경우, 영상 통화 중 불필요한 중복적인 정보 즉, 변화없는 화면에 대해서는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의 비디오 인코딩은 아무리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 성능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반드시 하드웨어 가속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는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비디오를 전처리하고 장면 전환 감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비디오 인코딩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most of the multimedia applications in the mobile device environment are those in which video is mostly captured and stored locally, or images are reproduced and watched,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0075308 (filed on July 31, 2008)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pplications such as 'real-time scene change detection method for video coding data rate control, video call quality improvement method using video call system and video call system', transmission using wireless network are limited to video cal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not to transmit unnecessary redundant information in the video call, that is, a screen that does not change. In addition, video encoding in a mobile device environment must use a hardware accelerator, no matter how good the processor performance of a mobile device is. This has the problem that preprocessing the video and adding the scene change detection function in the mobile device environment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against the video enco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모바일 환경에서의 비디오 인코딩 장면 전환 이외의 유용하지 않은 정보를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패킷 전달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network bandwidth by eliminating non- Video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또한,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장면 전환 정보를 무선 라우터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혼잡할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패킷 드랍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which can support packet drop according to priorities when network congestion is provided by effectively providing scene change information to a wireless router It has its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제1 인코딩부;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의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장면 전환 감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fram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first compressed data by compressing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A first encoding unit 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A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mpressing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for compar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to detect a scene change of a video frame.

상기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P프레임 타입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compresses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into a P frame type.

상기 장면 전환 감지부는,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비트 양을 각각 산출하는 비트 산출부; 상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트 양의 합이 상기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cene change detection unit comprises: a bi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bit amount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respectively;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sum of the calculated bit amounts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And a detection unit detecting that a scene change has occurred if the sum of the bit amoun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bit amou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비교부는 하기의 수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mparator compares the sum of the calculated bit amounts with a preset reference bit amount based on Equation (1) below.

[수식 1][Equation 1]

If i=1 ,If i = 1,

|Rprev(i) - Rcurr| > α *Rth | R prev (i) - R curr | > α * R th

Else Else

(1/(N-1))∑δ(i)*| Rprev(i) - Rcurr| > Rth , i=2~N(1 / (N-1))?? (I) * | R prev (i) - R curr | > R th , i = 2 to N

여기서, Rprev는 제1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 Rcurr는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 δ는 영상프레임의 가중계수, α *Rth는 기 설정된 기준비트 량에 통상 P프레임에서 생성된 비트량이 α 배임을 의미한다.Here, R prev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R curr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Is the weighting factor of the image frame,? * R th is the normal P frame Means that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in?

상기 수식 1에 기초하며, 상기 제1 압축데이터 및 제2 압축데이터의 Intra 모드의 수를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하기의 수식 2를 통해 장면전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based on Equation (1) using the number of Intra modes of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to detect a scene change according to Equation (2).

[수식 2][Equation 2]

Ith < I(N) I th &Lt; I (N)

여기서, I(N)은 현재 프레임에서 Intra Mode 개수이며, Ith < I(N)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Here, I (N) is the number of Intra Mode in the current frame, and I th <I (N)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상기 수식 1에 기초하며, 인코딩된 제2 압축 데이터의 MV (움직임 벡터)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하기의 수식 3을 통해 장면전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ene change is detec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3) for detecting a scene change using the MV (motion vector) of the encoded second compressed data based on Equation (1).

[수식 3][Equation 3]

D > Dth D> D th

여기서, D는 현재 프레임의 MV 값의 표준편차 값으로 ∑(MV(xi)^2+ MV(yi)^2)으로 구할 수 있으며, D > Dth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Here, D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V of the current frame, and MV (xi) ^ 2 + MV (yi) ^ 2, where D> D th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제2 인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encoding unit for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이때, 상기 제2 인코딩부는,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재 인코딩부; 및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량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하는 비트 재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encoding unit may include: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current video frame detected as the scene change to an I frame type; A re-encoding unit for re-encoding a current video frame set to the I frame type; And a bit re-calculation unit for initializing a bit amount calcul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restoring a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검출 및 인코딩 방법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단계;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nd encoding a video frame transition,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first compressed data by compressing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compressing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And compar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to detect video frame transitions.

상기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과 비교한 결과, 상기 비트 양의 합이 상기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transition of the video frame includes a step of comparing a sum of a bit amount calculated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If it is detected that the scene change has occurred.

상기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after detecting the video frame scene change.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has been detected, re-encoding a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비디오 인코딩 장면 전환 이외의 유용하지 않은 정보를 제거하여 비디오 프레임 압축시에 생성되는 압축 비트스트림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이용하여 패킷 전달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moves the non-useful information other than the video encoding scene change in the mobile environment and outputs a compressed bit stream By minimizing.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network bandwidth efficiently.

또한, 상기와 같이 장면 전환 정보를 무선 라우터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혼잡할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패킷 드랍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scene chang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out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ort packet drop according to the priority when the network is conge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비디오 압축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에 채용되는 장면 전환 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에 채용되는 제2 인코딩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방법에서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of transmitting a video compressed stream by detecting a transition of a video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employed in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cond encoding unit employed in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encoding a current frame in which a scene change is detected in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s of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비디오 압축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chnique for detecting a video frame transition and transmitting a video compressed str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비디오 압축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은 비디오 인코딩 후 장면 전환을 감지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영상통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 또는 화면 캡쳐 어플리케이션 등으로부터 비디오 원시 데이터를 입력(S100) 받아 전 처리를 수행(S200)한다. 전 처리가 수행된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구현 응용에 맞게 비디오 인코딩을 수행(S300)한다. 그 다음 모바일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인코딩이 수행된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장면 전환을 감지(S400)한다. Referring to FIG. 1,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a video compressed stream by detecting a transition of a video fr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video call in a mobile terminal by detecting a scene change after video encoding. In more detail, the video source data is input from a camera or a screen captur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100), and the preprocessing is performed (S200).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n which the pre-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video encod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application (S300). Then,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based on the encoded image information using the hardware accelerator provided by the mobile processor (S400).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장면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100)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장면 전환이 감지된 후 압축 비트 스트림이 생성되면 이를 전송(S500)한다. 영상통화 중 종료 명령(S600)이 떨어지면 모든 응용 프로그램 수행을 종료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100 for detecting a scene change and a method thereof,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ext, when a compressed bitstream is generated after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S500), the compressed bitstream is transmitted. When the termination command during the video call (S600) falls, execution of all application programs is termina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에 채용되는 장면 전환 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에 채용되는 제2 인코딩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employed in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cond encoding unit employed in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100)는 크게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110), 제1 인코딩부(120).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130), 장면 전환 감지부(140), 제2 인코딩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ng unit 110 and a first encoding unit 120. A second compression data generation unit 130,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140, and a second encoding unit 150.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110)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10 compresses the previous video frame before the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the first compressed data.

제1 인코딩부(120)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한다.The first encoding unit 120 encodes the current video frame.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130)는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130)는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P프레임 타입으로 압축을 수행한다.The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30 compresses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At this time, the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30 compresses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into a P frame type.

여기서 P프레임 타입은 GOP(Group of Pictures) 즉, 키 프레임부터 다음 키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모음의 프레임 타입 중 하나로, Previous 또는 Predicted Frame 이라 불리며, 이전에 나온 키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프레임으로 화질 및 용량이 중간급이다. GOP의 프레임 타입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GOP의 프레임 타입에는 I, P, B의 세 가지가 있으며 I프레임 타입과 B프레임 타입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I프레임 타입은 Infra Frame의 약자로, 쉽게 말해 키 프레임으로 화질 및 용량도 최상급이다. B프레임 타입은 Bidirectional Frame의 약자로, 전후의 I/P 프레임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된 프레임으로, 본 발명에서는 화질 및 용량이 최하급인 B프레임 타입은 적용되지 않는다.Here, the P frame type is one of the frame types of a frame collection from a GOP (Group of Pictures), that is, a key frame to a next key frame, and is called Previous or Predicted Frame. The P frame type is a frame composed of previously- And medium capacity. To describe the frame type of the GOP in more detail, there are three types of frame types of GOP, I, P and B. The characteristics of the I frame type and the B frame type are as follows. The I frame type is abbreviation of Infra Frame. The B frame type is an abbreviation of Bidirectional Frame. The B frame type i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I / P frames before and after. The B frame type having the minimum image quality and capacity is no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장면 전환 감지부(140)는 제1 압축 데이터와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의 장면 전환을 감지한다.The scene change detection unit 140 compares the first compressed data with the second compressed data to detect a scene change of a video frame.

이를 위해, 장면 전환 감지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산출부(141), 비교부(143), 감지부(145)를 구비할 수 있다.3, the scene change detection unit 140 may include a bit calculation unit 141, a comparison unit 143, and a sensing unit 145. [

비트 산출부(141)는 제1 압축 데이터와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비트 양을 각각 산출한다.The bit calculator 141 calculates the bit amount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respectively.

비교부(143)는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과 비교한다. 비교부(143)는 하기의 수식 1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과 비교한다.The comparing unit 143 compares the sum of the calculated bit amounts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The comparing unit 143 compares the sum of the calculated bit amount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1) with the preset reference bit amount.

[수식 1][Equation 1]

If i=1 ,If i = 1,

|Rprev(i) - Rcurr| > α *Rth | R prev (i) - R curr | > α * R th

Else Else

(1/(N-1))∑δ(i)*| Rprev(i) - Rcurr| > Rth * i, i=2~N, (1 / (N-1))?? (I) * | R prev (i) - R curr | > R th * i, i = 2 to N,

여기서, Rprev는 제1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이고, Rcurr는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이고, α *Rth는 기 설정된 기준비트 량에 통상 P프레임에서 생성된 비트량이 α 배임을 감안한 수식이다. 즉, |Rprev(i) - Rcurr| > α *Rth 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 또한, δ는 영상프레임의 가중계수를 의미하며, δ(i)에서 i가 증가함에 따라 δ(i) 값은 감소한다. 따라서 최근 프레임에 많은 비중을 두게 된다.
Here, R prev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R curr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 R th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in the P frame, It is a formul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elief. That is, | R prev (i) - R curr | > α * R th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Also, δ denotes the weighting factor of the image frame. As δ (i) increases, the value of δ (i) decreases. Therefore, it places a lot of weight on recent frames.

또한, 본 발명은 장면 전환 감지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비트량뿐만 아니라 제1 압축데이터 및 제2 압축데이터의 헤더데이터를 통해 Intra 모드로 인코딩된 매크로 블록 수를 알 수 있게 됨으로써, Intra 모드의 수를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수식 2에 기초한다.In addition, in the scene change detection, the number of macroblocks encoded in the Intra mode can be known through the header data of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as well as the bit amount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detect a scene change. This i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2).

[수식 2][Equation 2]

Ith < I(N) I th < I (N)

여기서, I(N)은 현재 프레임에서 Intra Mode 개수이며, Ith < I(N)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
Here, I (N) is the number of Intra Mode in the current frame, and I th <I (N)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한편, 본 발명은 장면 전환 감지에 있어서, 인코딩된 제2 압축 데이터의 MV (움직임 벡터)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 감지를 할 수 있다. MV의 값을 뽑아내어 각각의 절대값을 취한 후에 표준편차를 구해 일정 값(Dth)을 넘게 되면 역시 비트량과 Intra 모드의 수에 의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해서 I프레임으로 재 인코딩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기의 수식 3에 기초한다.Meanwhile, in the scene change detection, the scene change dete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MV (motion vector) of the encoded second compressed data. If MV is taken and the absolute value of each MV is taken, the standard deviation is obtained. If it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D th ), the re-encoding is performed as an I frame for the current video frame as in the method by the number of bits and Intra mode Which i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3).

[수식 3][Equation 3]

D > Dth D> D th

여기서, D는 현재 프레임의 MV 값의 표준편차 값으로 ∑(MV(xi)^2+ MV(yi)^2)으로 구할 수 있으며, D > Dth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
Here, D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V of the current frame. MV (xi) ^ 2 + MV (yi) ^ 2, where D> Dth denotes scene change detection.

감지부(145)는 비교 결과, 비트 양의 합이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한다.If the sum of the bit amoun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bit amount, the detection unit 145 detects that a scene change has occurred.

제2 인코딩부(150)는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프레임을 재 인코딩한다.The second encoding unit 150 re-encodes the current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이를 위해, 제2 인코딩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151), 재 인코딩부(153), 비트 재산출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the second encoding unit 150 may include a setting unit 151, a re-encoding unit 153, and a bit re-calculation unit 155, as shown in FIG.

설정부(151)는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한다.The setting unit 151 sets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as the I frame type.

재 인코딩부(153)는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한다. The re-encoding unit 153 re-encodes the current video frame set to the I frame type.

비트 재산출부(155)는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량을 초기화하고,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한다.
The bit re-calculation unit 155 initializes the bit amount calcul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recalculates the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방법에서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감지 방법(S400)은 앞서 설명한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 인코딩 장치(100)를 이용한다.Referring to FIG. 5, a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method (S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video frame scene change encod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먼저,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한다.(S410)First,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is compressed to generate first compressed data (S410)

다음으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한다.(S420) Next, the current video frame is encoded (S420)

다음으로,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한다.(S430) 이는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130)에 의해서,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P프레임 타입으로 압축이 수행된다.Next,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is compressed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S430). The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30 compresses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into a P frame type.

다음으로, 제1 압축 데이터와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한다.(S440) 이는 장면 전환 감지부(140)에 의해서, 제1 압축 데이터와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 결과비트 양의 합이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한다.Next, the first compression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are compared to detect a video frame scene change (S440). This is because the scene chang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bits calcul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When the sum of the positive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bit amount, the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마지막으로,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한다.(S445) 이는 제2 인코딩부(150)에 의해서,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이 수행된다. Finally,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is re-encoded (S445). This is performed by the second encoding unit 150 to re-calculate the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작 I프레임 타입이 먼저 인코딩된 후 7번째 P프레임 타입에서 장면 전환이 감지되는 예이다. This is an example in which a scene change is detected in the 7th P frame type after the start I frame type is first encod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시작 I프레임 타입이 인코딩되고 여기서 생성되는 비트량이 저장된다. 그 후 P프레임 타입에 대해서 인코딩이 수행되며, 바로 이전 I프레임 타입과의 비트량과 비교된다. 비교 후 일정 값을 넘지 않아 다음 P프레임 타입이 인코딩되며, 이 후에는 이전에 수행되었던 I, P1의 비트량과 비교하게 된다.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I프레임 타입에서 생성되는 비트량은 통상 P프레임 타입에서 생성되는 비트량의 α 배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문턱 값을 정하게 된다. P6까지는 인코딩이 진행되는 동안 설정해 놓은 Rth값 보다 작아 장면 전환이 감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P7프레임 즉, A는 생성되는 비트량이 설정값 Rth값 보다 커져서 장면 전환을 감지한 경우로, 이 P7프레임 타입은 다시 I프레임타입으로 재 인코딩되며, 이전에 저장된 비트량 정보는 리셋이 된다. 즉, 새로운 I프레임 타입이 설정되면 시작 I프레임 타입처럼 다시 똑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First, the start I frame type is encoded and the bit amount generated here is stored. The encoding is then performed for the P frame type, and compared to the bit amount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I frame type. After comparison, the next P frame type is encoded without exceeding a certain value, and after that, it is compared with the bit amount of I, P 1 which has been performed previously. In this case,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in the I frame type is normally multiplied by α time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in the P frame type, so that the threshold valu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is. Up to P 6 , the scene transition was not detected because it was smaller than the R th value set during encoding. However, the P 7 frame, that is, A is a case where scene change is detected because the generated bit amount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R th . The P 7 frame type is re-encoded as an I frame type, and the previously stored bit amount information is reset . That is, when a new I frame type is set, the same process as the start I frame type is performed again.

또한, 도 4에 제시된 예를 바탕으로 비트량의 감소를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I= 3A, RP= A라고 하면, 장면 전환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RWSC = RI + 13RP = 16A, 장면 전환을 이용해서 I프레임 타입만 전송하는 경우에는 RSC = 2RI= 6A 가 된다. 즉 16/6 = 2.7배의 비트량 절감효과를 보이게 된다.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reduction of the bit amount based on the example shown in FIG. 4 is as follows. R I = 3A, R P = Speaking of A, if not a transition has R WSC = R I + 13R P = 16A, the case of transmitting only the I-frame type by using the scene change, the R SC = 2R I = 6A . That is, the bit rate reduction effect of 16/6 = 2.7 times is shown.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트량 절감 효과와 더불어 이 기법의 다른 효과가 있다. 즉, 기존에는 비디오 시퀀스를 B처럼 압축해서 전송을 하여 시퀀스 중간의 중요 프레임(여기서는 P7장면전환 프레임) 이전 프레임(P7)의 압축 패킷이 손실될 경우 그 뒤의 영상 데이터는 많은 화질 열화가 된다. 하지만 장면 전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C의 경우에는 화면 전환에서 독립적인 영상을 생성하였으므로 화질열화에 영향이 미치지 아니한다. 이때, 패킷 전달을 하게 되는 라우터를 거치게 되는 경우에, 패킷의 발생량이 과도하게 라우터의 전송능력을 넘어서게 될 경우 장면전환에 대한 정보를 가진 시퀀스 즉, C에서는 패킷의 중요도에 따라 I프레임 타입 외에 다른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화질의 열화나 중요 데이터의 손실없이 전송이 가능한 효과를 보이게 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of this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bit amount reduction effect a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past, if a compressed sequence of a video sequence is compressed and transmitted, and a compressed packet of a frame (P 7 ) before a significant frame in the middle of the sequence (here, P 7 transition frame) is lost, do. However, in the case of C,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cene change, since the image is generated independently by the screen switching,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not affected.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generated packets exceeds the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router in the case of going through a router to which a packet is to be transmitted, a sequence having information on scene change, that is, C, By remov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transmit withou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or loss of important data.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 장치
110 :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
120 : 제1 인코딩부
130 :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
140 : 장면 전환 감지부
150 : 제2 인코딩부
100: Video frame scen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device
110: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20: a first encoding unit
130: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140: scene change detection unit
150: second encoding section

Claims (12)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데이터 생성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제1 인코딩부;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의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장면 전환 감지부; 및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제2 인코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코딩부는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량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하는 비트 재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A first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mpressing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first compressed data;
A first encoding unit 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A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mpressing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scen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cene change of a video frame by compar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A second encoding unit for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Lt; / RTI &gt;
The second encoding unit
And a bit re-calculation unit for initializing a bit amount calcul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and restoring a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P프레임 타입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mpressed data generation unit comprises:
And compresses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into a P frame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전환 감지부는,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비트 양을 각각 산출하는 비트 산출부;
상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트 양의 합이 상기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ene change detection unit comprises:
A bi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bit amount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respectively;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sum of the calculated bit amounts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And
A detecting unit detecting that a scene change occurs if the sum of the bit amoun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bit amou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Wherein the video fram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하기의 수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비트 양의 차이와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수식 1]
If i=1 ,
|Rprev(i) - Rcurr| > α *Rth
Else
(1/(N-1))∑δ(i)*| Rprev(i) - Rcurr| > Rth , i=2~N
여기서, Rprev는 제1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 Rcurr는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비트량, δ는 영상프레임의 가중계수, α *Rth는 기 설정된 기준비트 량에 통상 P프레임에서 생성된 비트량이 α 배, N은 이전 비디오 프레임의 총 개수이며 i가 작을수록 최근 프레임임을 의미하고, δ는 영상프레임의 가중계수를 의미하며, δ에서 i가 증가함에 따라 δ값은 감소하고, 최근 프레임에 많은 비중을 두게 됨을 의미하고, ∑은 i가 증가함에 따라 δ(i)*| Rprev(i) - Rcurr| 에 대한 섬메니션을 수행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bit amount and the preset reference bit amount based on Equation (1) below.
[Equation 1]
If i = 1,
| R prev (i) - R curr | > α * R th
Else
(1 / (N-1))?? (I) * | R prev (i) - R curr | > R th , i = 2 to N
Here, R prev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R curr is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pressed data,? Is the weighting factor of the image frame,? * R th is the normal P frame Is the number of previous frames, N is the total number of previous video frames, i is the more recent frame, i is the weighting factor of the video frame, and δ decreases as i increases in δ , We mean that we will put a lot of weight on the recent frame, and Σ means that δ (i) * | Rprev (i) - Rcurr | Which means that it is performing the summation to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1에 기초하며, 상기 제1 압축데이터 및 제2 압축데이터의 Intra 모드의 수를 이용하는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하기의 수식 2를 통해 장면전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수식 2]
Ith < I(N)
여기서, I(N)은 현재 프레임에서 Intra Mode 개수이며, Ith는 기 설정된 Intra 모드의 개수이며, Ith < I(N)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
5. The method of claim 4,
Detecting a scene change based on Equation 1 and detecting a scene change using the number of Intra modes of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Fram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device.
[Equation 2]
I th < I (N)
Here, I (N) is the number of Intra Mode in the current frame, I th is the number of predetermined Intra modes, and I th <I (N)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1에 기초하며, 인코딩된 상기 제2 압축 데이터의 MV(움직임 벡터)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하기의 수식 3을 통해 장면전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수식 3]
D > Dth
여기서, D는 현재 프레임의 MV 값의 표준편차 값으로 ∑(MV(xi)^2+ MV(yi)^2)으로 구할 수 있으며, Dth는 MV를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값이며, D > Dth는 장면 전환 감지를 의미한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3) for detecting a scene change using an MV (Motion Vector) of the encoded second compressed data based on Equation (1) A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device.
[Equation 3]
D> D th
Here, D is a standard deviation of the MV of the current frame, MV (xi) ^ 2 + MV (yi) ^ 2, and D th is MV Value, and D > Dth means scene change det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코딩부는,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I프레임 타입으로 설정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재 인코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ncoding unit comprises: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is detected to an I frame type;
A re-encoding unit for re-encoding a current video frame set to the I frame type;
Wherein the video fram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현재 비디오 프레임 전의 이전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1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압축하여 제2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면 전환이 감지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재 인코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 인코딩된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비트량을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방법.
Compressing a previous video frame before a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first compressed data;
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Compressing the encoded current video frame to generate second compressed data;
Comparing the first compressed data with the second compressed data to detect a video frame transition; And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has been detected;
Lt; / RTI &gt;
In re-encoding the current video frame in which the scene change has been detected,
And re-encoding a bit amount from the re-encoded current video fram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장면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압축 데이터와 상기 제2 압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비트 양의 합과 기 설정된 기준비트 양을 비교한 결과, 상기 비트 양의 합이 상기 기준비트 양 이상이면 장면 전환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환경에서의 비디오 프레임 장면전환 검출 및 인코딩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tecting the video frame transition comprises:
When a sum of the bits calculated from the first compressed data and the second compressed data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bit amount and the sum of the bit amoun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bit amount, To a video frame transition detection and encoding method in a mobile wireless environ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8574A 2012-07-19 201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KR101942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4A KR10194237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74A KR10194237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48A KR20140013148A (en) 2014-02-05
KR101942371B1 true KR101942371B1 (en) 2019-04-18

Family

ID=5026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74A KR10194237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3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10B1 (en) 2021-05-28 2021-12-17 주식회사 쿠오핀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ultra low lat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1914B2 (en) * 2015-08-27 2021-03-16 Intel Corporation Reliable large group of pictures (GOP) file streaming to wireless displ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965B2 (en) * 1999-01-14 2005-01-12 ミツビシ・エレクトリック・リサーチ・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video data in compressed forma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25B1 (en) * 2006-07-27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Real-time scene-change detection for rate control of video enco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965B2 (en) * 1999-01-14 2005-01-12 ミツビシ・エレクトリック・リサーチ・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video data in compressed form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510B1 (en) 2021-05-28 2021-12-17 주식회사 쿠오핀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ultra low lat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48A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138B2 (en) Adaptive video processing of an interactive environment
RU237773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er assisted frame rate up conversion (ea-fruc) for video compression
JP3636677B2 (en) Decoder having digital video stabilization function and digital video stabilization method
US9197912B2 (en) Content classification for multimedia processing
TWI586177B (en) Adaptive bit rate control based on scenes
US9071841B2 (en) Video transcoding with dynamically modifiable spatial resolution
US9253063B2 (en) Bi-directional video compression for real-time video streams during transport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JP5957532B2 (en) Scene change detection for perceptual quality assessment in video sequences
JP5227875B2 (en) Video encoding device
CN107770538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scene switching frame
US8243117B2 (en) Processing aspects of a video scene
CN106162199B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processing with back channel message management
KR1006126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of Video Quality
JP2008543214A (en) Video image qual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dec auxiliary information
JP200619732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program
KR1019423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frame scene change detection and encoding in mobile wireless environment
Uhl et al. Comparison study of H. 264/AVC, H. 265/HEVC and VP9-coded video streams for the service IPTV
CN112040232B (en) Real-tim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real-time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5756154B2 (en) Video coding parameter calculation apparatus, video coding parameter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Kang et al. The decision scheme of frame importance factor for video streaming system
JP5141656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EP4072133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EP1921866A2 (en) Content classification for multimedia processing
TWI683572B (en) Video bit rat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based on dynamic picture information
KR201200564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Joint Source-Channel 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