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29B1 - Pillow - Google Patents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29B1
KR101940229B1 KR1020170049794A KR20170049794A KR101940229B1 KR 101940229 B1 KR101940229 B1 KR 101940229B1 KR 1020170049794 A KR1020170049794 A KR 1020170049794A KR 20170049794 A KR20170049794 A KR 20170049794A KR 101940229 B1 KR101940229 B1 KR 10194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eet member
cervical vertebra
main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6902A (en
Inventor
노근호
Original Assignee
노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근호 filed Critical 노근호
Priority to KR102017004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2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골을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고,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상기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후두골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튜브를 포함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that adjusts the height of a portion supporting the occipital bone and stably supports the occipital bone.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rvical vertebra that supports a cervical vertebra of a user, a cervical vertebra that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And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from the hindlim bone receiving portion and being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to be supported.

Description

베개{Pillow}Pillow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 및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stably supporting the occipital bone.

일반적으로 베개는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때, 머리를 받치는 도구로써 사용되며, 라텍스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써, 라텍스 베개는 높은 유연성과 뛰어난 복원력을 가진다.Generally, a pillow is used as a tool to support the head when resting, sleeping, or using latex-like materials. As an example, a latex pillow has high flexibility and excellent resilience.

그러나 종래의 라텍스 베개는 높은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부분의 옆 부분에서 머리의 무게나 자세에 따라 경추를 지지하는 부분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을 발생시킨다.However, the conventional latex pillow is liable to be pulled toward the portion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depending on the weight or posture of the head in the side portion of the portion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 due to the high flexibility.

따라서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옆 부분이 경추를 지지하는 부분 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게 된다.Accordingly, as the side portion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user is pulled toward the portion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8795호(2015. 04. 09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8795 (published on April 28,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골을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고,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고,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that adjusts the height of a portion supporting the occipital bone and stably supports the occipital bon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that adjusts the height of a portion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 and stably supports the cervical vertebr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상기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후두골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튜브를 포함한다.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rvical vertebra that supports a cervical vertebra of a user, a cervical vertebra that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And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from the hindlim bone receiving portion and being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to be supported.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튜브를 내장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수용 공간에 내장되어 부착부재로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tube is embedded, and the tube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with an attaching member.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에 절개되어 상기 튜브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hindle-bone receiving portion may be cut in the back of the receiving space to enable insertion of the tube.

상기 튜브는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향하는 제1쉬트 부재와, 상기 제1쉬트 부재 상에 배치되어 열융착되는 제2쉬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may include a first sheet member fac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sheet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rmally fused.

상기 튜브는 상기 제2쉬트 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복수 층의 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들은 상기 제2쉬트 부재 측에서 최대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2쉬트 부재에서 멀어질 수록 낮아지는 경도를 가질 수 있다.The tub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d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member, and the pads may have a hardness at which the pads have the maximum hardness at the second sheet member side and lower at the second sheet member, have.

상기 제1쉬트 부재와 상기 제2쉬트 부재는 열융착 라인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에서 중간에 배치되어 후두골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메인 팽창부, 상기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서 상향 선회되어 상기 중간부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서브 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heat fusion lines and are arranged in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a middle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And a sub expander which is pivoted upward from both sides to support both side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상기 경추 받침부에서 상기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경추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보조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rvical vertebrae toward the lateral extension and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rvical vertebrae to be supported.

상기 경추 받침부는 상기 보조 튜브를 내장하는 보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절개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ervical vertebrae may form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auxiliary tube is embedd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an incision li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두골 받침부에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튜브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누워서 후두골로 후두골 받침부를 누를 때, 튜브가 후두골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hindcastus bearing portion, so that when the user lie down and press the hindguk bone bearing portion with the hindpaw bone, the tube can b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indpaw b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튜브의 높이 설정에 따라 후두골 받침부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고, 후두골 받침부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튜브의 변형에 따라 후두골을 중간부 및 양측부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osterior capsule receiving por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ube, and the posterior capsule can be stably supported to the middle portion and the two side portions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tube, despite the deformation of the posterior capsule receiving portion.

또한, 튜브가 변형되어 후두골의 중간부 및 양측부를 지지함에 따라 양측의 측방 연장부가 후두골 받침부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보다 안락함을 느끼고,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s the tube is deformed to support the middle portion and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occipital bone, the side extending portions on both sid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toward the back bone receiving portion. That is, the user feels more comfortable and can maintain comfort.

또한, 튜브의 상면에 구비되는 복수 층의 패드들은 외측에서 최소 경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가면서 점점 높아지는 경도를 가진다. 따라서 후두골 받침부가 후두골을 지지할 때, 후두골 받침부의 변형이 조절되고, 후두골에 가해지는 이물질감, 압박감 및 튀는 느낌이 감소될 수 있다.The pads of the plurality of layer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have a minimum hardness from the outside and a hardness increasing gradually toward the inside. Therefore, when the posterior fossa supporter supports the occipital bone, the deformation of the fossa supporter can be controlled and the sense of foreign substance, pressure, and splashing applied to the occipital bone can be reduced.

또한, 튜브의 변형 및 복수 층의 패드들은 사용자의 후두골을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of the tube and the pads of the multiple layers can ergonomically support the user's occipital b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개를 후방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적용되는 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seen from behi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ube applied to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를 후방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베개(1)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에 내장되어 높이를 조절하고 후두골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튜브(20)를 포함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viewed from behind. 1 and 2, the pillow 1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and a tube 20 which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djusts its height and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do.

몸체(10)는 xy평면에서 볼 때, 구획될 수 있는 경추 받침부(11), 후두골 받침부(12) 및 측방 연장부(13)를 포함한다. 경추 받침부(11), 후두골 받침부(12) 및 측방 연장부(13)는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 includes a cervical vertebrae 11, a hindgrain bearing portion 12 and a lateral extension portion 13 that can be partitioned when viewed in the xy plane. The cervical vertebrae 11, hindgut bearing 12 and lateral extension 13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such as natural latex, synthetic latex or memory foam.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는 몸체(10)의 x축 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측방 연장부(13)는 몸체(10)의 x축 방향에서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는 y축 방향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The cervical vertebra 11 and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1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ervical vertebrae 11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respectively. The cervical vertebrae 11 and the back bone receiving portion 12 are disposed forward and rearward in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사용자가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경추 받침부(11)는 사용자의 경추 부분을 지지한다. 경추 받침부(11)에서 가운데 부분은 위쪽으로 볼록한 라운드를 이루며, 가운데 부분의 높이에 비하여, 양 사이드 부분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When the user laid down the pillow 1, the cervical vertebrae 11 supports the cervical portion of the user. In the cervical vertebrae 11, the middle portion forms an upwardly convex round, and the height of both side portions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portion.

후두골 받침부(12)는 경추 받침부(11)의 후방에 연결(y축 방향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 받침부(12)는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며, 경추 받침부(11)에서 위쪽의 후두골 받침부(12)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두골 받침부(12)에서 가운데 부분은 주변에 비해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osterior hook receiv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cervical vertebrae 11 (connected in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user laid down the pillow 1, the posterior hook receiving portion 12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extends from the cervical vertebrae 1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In the hindle-bone receiving portion 12, the middle portion may be recessed to be low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측방 연장부(13)는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에서 양측(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측방 연장부(13)는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 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extension portions 13 extend on both sides (x-axis direction) in the cervical vertebrae 11 and the occipital bone support portion 12. The lateral extension 13 can be formed higher than the cervical spine 11 and the hind bone support 12.

튜브(20)는 후두골 받침부(12)에서 측방 연장부(13)를 향하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뻗어 내장된다. 튜브(20)의 높이 설정에 따라 후두골과 경추를 각각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12)와 경추 받침부(11)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The tube 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rom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toward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13. The heights of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and the cervical vertebrae 11, which support the posterior bones and the cervical vertebrae, respectively, can be se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ube 20.

튜브(20)의 일측에는 공기 라인(31)이 연결되고, 공기 라인(31)에는 조절 밸브(32)가 구비된다. 조절 밸브(32)는 측방 연장부(13)에 내장되는 펌프(33)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라인(31)을 통하여 튜브(20)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튜브(20)를 팽창시킬 수 있게 한다. An air line 3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ube 20 and a regulating valve 32 is provided in the air line 31. The control valve 32 allows the air supplied by the pump 33 contained i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13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e 20 through the air line 31 to expand the tube 20 .

또한, 조절 밸브(32)는 개방되어 튜브(20)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조절 밸브(32)와 펌프(33)의 작동에 따라 튜브(20)에 공기를 채우게 되면 높이가 높아지고, 공기를 빼게 되면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ulating valve 32 may be opened to drain the air filled in the tube 20. When the tube 20 is filled with ai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32 and the pump 33, the height is increased, and when the air is taken out, the height can be lowered.

사용자의 후두골 압력에 의하여 후두골 받침부(12)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튜브(20)는 채워지는 공기에 의하여 양측에서 상향 선회되는 구조로 변형되어, 후두골(OB)을 중간부(OB3) 및 양측부(OB1, OB2)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도 6 참조).Even when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is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back of the user, the tube 20 is deformed into a structure which is pivoted upward from both sides by the air to be filled, So that they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portions OB1 and OB2 (see Fig. 6).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후두골 받침부(12)는 튜브(20)를 내장하는 수용 공간(S1)을 형성한다. 수용 공간(S1)은 튜브(20)에 공기가 채워지거나 배출되어 변형되는 경우, 후두골 받침부(12)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2 to 4,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forms a receiving space S1 in which the tube 20 is housed. The receiving space S1 is formed so as to deform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when the tube 20 is filled with air or discharged and deformed.

튜브(20)는 수용 공간(S1)에 내장되어 부착부재(24)로 수용 공간(S1)의 바닥에 부착된다. 따라서 튜브(20)의 변형에 따라 수용 공간(S1)을 형성하는 후두골 받침부(12)의 설정된 형상으로의 변형이 수반될 수 있다.The tube 20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space S1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S1 by the attaching member 24. [ Thus, deformation of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which forms the receiving space S1,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tube 20, may be accompanied by de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일례로써, 부착부재(24)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튜브(20)는 부착부재(24)로 수용 공간(S1)의 바닥에 부착되고, 수용 공간(S1)의 다른 부분에서 분리된다.As an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24 may be formed of a Velcro tap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ube 2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S1 with the attaching member 24, and separated from the oth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S1.

도시하지 않았으나, 튜브는 수용 공간의 내면에 전면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튜브에 공기를 채우는 경우, 후두골 받침부의 높이가 높아지고, 튜브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경우 후두골 받침부의 높이가 낮아진다.Although not shown, the tube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ll over the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tube is filled with air, the height of the hindgut base is increased, and when the air is taken out from the tube, the height of the hindgrain base is lowered.

후두골 받침부(12)는 수용 공간(S1)의 후방에 몸체(10)를 절개하는 절개라인(L1)을 구비한다. 절개라인(L1)은 수용 공간(S1)에 튜브(20)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써, 절개라인(L1)의 외주에는 외피에 지퍼(25)가 구비되어 절개라인(L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posterior hook receiving portion 12 has a cutout line L1 for cutting the body 10 behind the receiving space S1. The incision line L1 allows the tube 20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1. For example, a zipper 2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cision line L1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line L1.

도 5는 도 2에 적용되는 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튜브(20)는 수용 공간(S1)의 바닥을 향하는 제1쉬트 부재(51)와, 제1쉬트 부재(51) 상에 배치되어 열융착되는 제2쉬트 부재(52)를 포함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ube applied to Fig. 4 and 5, the tube 20 includes a first sheet member 51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S1, a second sheet member 51 disposed on the first sheet member 51 and heat- (52).

제1쉬트 부재(51)와 제2쉬트 부재(52)는 열융착 라인(WL)으로 구획되는 메인 팽창부(513)와 서브 팽창부(511, 512)를 포함한다. 열융착 라인(WL)은 메인 팽창부(513)와 서브 팽창부(511, 512)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내부 공간을 좁아지게 하는 제1폭(W1)을 형성하고, 다른 부분에서 제1폭(W1)보다 큰 제2폭(W2)을 형성한다.The first sheet member 51 and the second sheet member 52 include a main expanding portion 513 and sub-expanding portions 511 and 512 which are divided into a heat fusion line WL. The thermal welding line WL forms a first width W1 for narrowing the inner space at a portion connecting the main expanding portion 513 and the sub-expanding portions 511 and 512, (W2) larger than the first width (W1).

즉 메인 팽창부(513)가 수용 공간(S1)의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튜브(20)에 공기를 공급하면, 바닥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된 서브 팽창부(511, 512)는 열융착 라인(WL)에 의하여, 메인 팽창부(513)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향 선회 변형될 수 있다.That is, when air is supplied to the tube 20 in a state where the main inflating unit 513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S1, the sub inflating units 511, Can be swiveled upwards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expanding portion (513) by the wire (WL).

도시하지 않았으나, 튜브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쉬트 부재가 하면을 형성하는 제1쉬트 부재보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제2쉬트 부재에 절곡 유도부를 구비하는 경우, 튜브에 공기를 공급하면, 서브 팽창부는 쉽게 상향 선회 변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the second sheet member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ube is made of a material more flexible than the first sheet member forming the lower surface, or if the second sheet member is provided with the bending guide portion, The expanding portion can be easily upwardly orally deformed.

메인 팽창부(513)는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튜브(20)의 중간에 배치되어, 공기가 채워질 때, 후두골(OB, occipital bone)의 중간부(OB3)를 지지한다. 서브 팽창부(511, 512)는 메인 팽창부(513)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공기가 채워질 때, 메인 팽창부(513)의 양측에서 상향 선회되어 중간부(OB3)의 양측부(OB1, OB2)를 지지한다.The main expanding portion 513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tub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supports the middle portion OB3 of the occipital bone OB when air is filled. The sub inflating portions 511 and 51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inflating portion 513 and are pivote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inflating portion 513 when the air is filled so that the side portions OB1, OB2.

이와 같이, 튜브(20)가 메인 팽창부(513)의 양측에서 서브 팽창부(511, 512)가 상향 선회 변형되어 후두골(OB)의 중간부(OB3) 및 양측부(OB1, OB2)를 지지함에 따라, 양측의 측방 연장부(13)가 후두골 받침부(12)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보다 안락함을 느끼고,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ube 20 is deformed upwardly on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ing portion 513 so as to upwardly deform the middle portion OB3 and both side portions OB1 and OB2 of the occipital bone O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extension portions 13 on both sides from being pulled toward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That is, the user feels more comfortable and can maintain comfort.

튜브(20)는 제2쉬트 부재(52)의 상면에 부착되는 복수 층의 패드들(53)을 더 포함한다. 패드들(53)은 제2쉬트 부재(52) 측에서 최대 경도를 가지고 제2쉬트 부재(52)에서 멀어질 수록 낮아지는 경도를 가진다.The tube 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53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member 52. The pads 53 have a maximum hardness on the side of the second sheet member 52 and a hardness that decreases as they are away from the second sheet member 52. [

복수 층의 패드들(53)은 후두골 받침부(12)가 후두골(OB)을 지지할 때, 후두골 받침부(12)의 변형을 조절하고, 메인 팽창부(513)에 의하여 후두골(OB)에 가해지는 이물질감, 압박감 및 튀는 느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튜브(20) 및 패드들(53)은 사용자의 후두골(OB)을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ds 53 adjust the deformation of the occipital bone supporter 12 when the occipital bone supporter 12 supports the occipital bone OB and adjust the deformation of the occipital bone supporter 12 by the main expander 51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ression of foreign matter, the feeling of pressure and the feeling of splashing. The tube 20 and the pads 53 can ergonomically support the occipital bone OB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제2실시예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same configurations are omitt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베개(2)는 보조 튜브(60)를 더 포함한다. 일례를 들면, 보조 튜브(60)는 제1실시예의 튜브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illow 2 of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tube 60. Fig. For example, the auxiliary tube 60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tube of the first embodiment.

보조 튜브(60)는 경추 받침부(15)에서 측방 연장부(13)를 향하는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경추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auxiliary tube 60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rom the cervical vertebrae 15 toward the side extension portion 13 and to b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rvical vertebrae to be supported.

경추 받침부(15)는 보조 튜브(60)를 내장하는 보조 수용 공간(S2)을 형성한다. 보조 수용 공간(S2)은 보조 튜브(60)에 공기가 채워지거나 배출되어 변형되는 경우, 경추 받침부(15)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ervical vertebra 15 forms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n which the auxiliary tube 60 is house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is formed so as to deform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15 when the auxiliary tube 60 is filled with air or discharged and deformed.

보조 튜브(60)는 보조 수용 공간(S2)에 내장되어 부착부재(26)로 보조 수용 공간(S2)의 바닥에 부착된다. 따라서 보조 튜브(60)의 변형에 따라 보조 수용 공간(S2)을 형성하는 경추 받침부(15)의 설정된 형상으로의 변형이 수반될 수 있다.The auxiliary tube 60 is embedd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by the attachment member 26. [ Therefore, deformation of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15, which forms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auxiliary tube 60 can be accompanied by deformat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경추 받침부(15)는 수용 공간(S1)과 보조 수용 공간(S2)을 연결하도록 몸체(10)를 절개하는 절개라인(L2)을 구비한다. 절개라인(L2)은 절개라인(L1) 및 수용 공간(S1)을 경유하여, 보조 수용 공간(S2)에 보조 튜브(60)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The cervical vertebrae 15 has an incision line L2 for cutting the body 10 to connect the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The incision line L2 makes it possible to insert the auxiliary tube 60 into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via the incision line L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1.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조 튜브(60)의 메인 팽창부가 보조 수용 공간(S2)의 바닥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조 튜브(60)에 공기를 공급하면, 서브 팽창부는 열융착 라인에 의하여, 메인 팽창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향 선회 변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tube 60 in a state where the main expansion portion of the auxiliary tube 6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the sub- And can be de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메인 팽창부는 길이 방향에서 보조 튜브(60)의 중간에 배치되어, 공기가 채워질 때, 경추의 중간부를 지지한다. 서브 팽창부는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공기가 채워질 때,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서 상향 선회되어 경추 중간부의 양측부를 지지한다.The main expand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auxiliary tube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middle por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when the air is filled. The sub expandable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able portion and is pivote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able portion to support both side portions of the cervical vertebra when the air is filled.

이와 같이, 보조 튜브(60)가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서 서브 팽창부가 상향 선회 변형되어 경추의 중간부 및 양측부를 지지함에 따라 양측의 측방 연장부(13)가 경추 받침부(11) 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보다 안락함을 느끼고,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tube 60 is pivotally deformed upward on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ing portion to support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cervical vertebra,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s 13 on both sides are pulled toward the cervical vertebrae 11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user feels more comfortable and can maintain comfort.

보조 튜브(60)는 상면에 부착되는 복수 층의 패드들(63)을 더 포함한다. 패드들(63)은 보조 튜브(60) 측에서 최대 경도를 가지고 보조 튜브(60)에서 멀어질 수록 낮아지는 경도를 가진다.The auxiliary tube 6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63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he pads 63 have a maximum hardness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tube 60 and a hardness that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auxiliary tube 60 increases.

복수 층의 패드들(63)은 경추 받침부(15)가 경추를 지지할 때, 경추 받침부(15)의 변형을 조절하고, 보조 튜브(60)에 의하여 경추에 가해지는 이물질감, 압박감 및 튀는 느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조 튜브(60) 및 패드들(63)은 사용자의 경추를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ds 63 adjust the deform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15 when the cervical vertebra 15 supports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foreign substance sensation, The feeling of bouncing can be reduced. The auxiliary tube 60 and pads 63 can ergonomically support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베개(2)는 후두골 받침부(12)의 튜브(20)에 더하여 경추 받침부(15)의 보조 튜브(60)를 구비하여, 후두골과 경추를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개는 후두골 받침부에 튜브를 구비하지 않고, 경추 받침부에만 보조 튜브를 구비하여, 경추만을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illow 2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tube 60 of the cervical spine 15 in addition to the tube 20 of the occipital bone receiving portion 12 to ergonomically support the occipital bone and the cervical spine You may. Although not shown, the pillow does not have a tube in the hindbrain receiving portion, and only the cervical vertebra is ergonomically supported by having an auxiliary tube only in the cervical vertebra.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2: 베개 10: 몸체
11, 15: 경추 받침부 12: 후두골 받침부
13: 측방 연장부 20: 튜브
24, 26: 부착부재 31: 공기 라인
32: 조절 밸브 33: 펌프
51, 52: 제1, 제2쉬트 부재 53, 63: 패드
60: 보조 튜브 511, 512: 서브 팽창부
513: 메인 팽창부 L1, L2: 절개라인
OB: 후두골 OB3: 중간부
OB1, OB2: 양측부 S1: 수용 공간
S2: 보조 수용 공간 WL: 열융착 라인
W1: 제1폭 W2: 제2폭
1, 2: pillow 10: body
11, 15: cervical pedestal part 12: hindgut base part
13: side extension 20: tube
24, 26: attachment member 31: air line
32: regulating valve 33: pump
51, 52: first and second sheet members 53, 63: pad
60: auxiliary tube 511, 512: sub-
513: main expanding part L1, L2: incision line
OB: posterior bone OB3: middle part
OB1, OB2: both sides S1: accommodation space
S2: auxiliary receiving space WL: heat fusion line
W1: first width W2: second width

Claims (8)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상기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후두골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튜브
를 포함하며,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튜브를 내장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수용 공간에 내장되어 부착부재로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에 부착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중간에 배치되어 후두골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메인 팽창부, 및
상기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메인 팽창부의 양측에서 상향 선회되어 상기 중간부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서브 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팽창부와 상기 서브 팽창부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내부 공간을 좁아지게 하는 제1폭을 형성하고, 다른 부분에서 제1폭보다 큰 제2폭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팽창부는 상기 바닥에 부착되고,
상기 서브 팽창부는 상기 바닥과 분리되고 채워지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메인 팽창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향 선회 변형되는 베개.
A cervical vertebra that supports a cervical vertebra of a user, a cervical vertebra that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supports the occipital bone of the user, and a lateral extension tha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the occipital vertebra; And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hind bone support portion toward the side extension portion and being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to be supported;
/ RTI >
The hindle-bone receiving portion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tube is housed,
The tube being embed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with an attaching member,
The tube
A main expanding portion disposed in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And a sub expander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er and being pivote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expander to support both side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 first width for narrowing the inner space at a portion connecting the main inflating portion and the sub inflating portion and a second width larger than the first width at another portion,
Wherein the main expansion portion is attached to the floor,
Wherein the sub inflating portion is upwardly pivotally de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inflating portion by the air separated and filled in the bottom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에 절개되어 상기 튜브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d-
And a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is opened to allow insertion of th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향하는 제1쉬트 부재와,
상기 제1쉬트 부재 상에 배치되어 열융착되는 제2쉬트 부재를 포함하는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be
A first sheet member fac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sheet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rmally fused theret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2쉬트 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복수 층의 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들은
상기 제2쉬트 부재 측에서 최대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2쉬트 부재에서 멀어질 수록 낮아지는 경도를 가지는 베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ube
And a plurality of pad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member,
The pads
Wherein the second sheet member has a maximum hardness at the second sheet member side and a lower hardness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hee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팽창부 및 상기 서브 팽창부는
상기 제1쉬트 부재와 상기 제2쉬트 부재의 열융착 라인으로 구획되는 베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expanding portion and the sub-
And a heat-sealing line between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받침부에서 상기 측방 연장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 내장되고, 지지되는 경추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보조 튜브를 더 포함하는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rvical vertebra to the lateral extension and being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rvical vertebrae to be suppo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받침부는 상기 보조 튜브를 내장하는 보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절개 라인으로 연결되는 베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ervical vertebrae forms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containing the auxiliary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an incision line.
KR1020170049794A 2017-04-18 2017-04-18 Pillow KR101940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4A KR101940229B1 (en) 2017-04-18 2017-04-18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94A KR101940229B1 (en) 2017-04-18 2017-04-18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02A KR20180116902A (en) 2018-10-26
KR101940229B1 true KR101940229B1 (en) 2019-01-18

Family

ID=6409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94A KR101940229B1 (en) 2017-04-18 2017-04-18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52B1 (en) * 2020-05-29 2021-10-28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Smart chair capable of detecting noninvasive biosignal and processing data in the sitting st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09B1 (en) * 2019-05-07 2020-10-15 윤준서 Neck Stretch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716A (en) * 2001-02-14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ir type pillow
JP2005095470A (en) * 2003-09-26 2005-04-14 Jex Inc Portable pillow
KR200474184Y1 (en) * 2013-04-12 2014-09-23 황종범 A memory foam pillow cushion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795A (en)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몽미테 Ordered Functional Pill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716A (en) * 2001-02-14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ir type pillow
JP2005095470A (en) * 2003-09-26 2005-04-14 Jex Inc Portable pillow
KR200474184Y1 (en) * 2013-04-12 2014-09-23 황종범 A memory foam pillow cushion adjus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52B1 (en) * 2020-05-29 2021-10-28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Smart chair capable of detecting noninvasive biosignal and processing data in the sitting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02A (en)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963A (en) Adjustable support cervical pillow
EP1444909B1 (en) Boots liner
JP6016944B2 (en) Helmet with adjustment device for helmet comfort liner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940229B1 (en) Pillow
KR19980018312A (en) Surface Pad System for Surgical Tables
KR101645927B1 (en) Two-in-one technical changing type ergonomic pillow
KR101816882B1 (en) Functional pillow
KR101742734B1 (en) Pillow
CN102582672A (en) Structure of support pad for infants
JPH11266985A (en) Human body engineering based pillow
KR101940228B1 (en) Pillow
KR100997536B1 (en) Pillow For Heavy Sleep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1969095B1 (en) Pill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15257B1 (en) A pillow including pocket springs
KR101787439B1 (en) Functional pillow
JP6060105B2 (en) Support tool and bag
KR101975555B1 (en) Pillow
KR200384141Y1 (en) Pillow
KR200344858Y1 (en) Cushion
KR102355396B1 (en) Pillow
KR101974118B1 (en) Height control pillow
KR101987417B1 (en) Hea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Pillow
KR200480282Y1 (en) Latex pillow having multi function
KR200226847Y1 (en) Neck pillow for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