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406B1 - Mobile base st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obile base st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06B1
KR101937406B1 KR1020180075789A KR20180075789A KR101937406B1 KR 101937406 B1 KR101937406 B1 KR 101937406B1 KR 1020180075789 A KR1020180075789 A KR 1020180075789A KR 20180075789 A KR20180075789 A KR 20180075789A KR 101937406 B1 KR101937406 B1 KR 10193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cking
communication
user
mobi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수철
강병욱
홍수운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7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ase station system capable of mitigating a shadow area in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structure mounted on a vehicle or a flying object, and improving operation performance through variable beam 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base station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receiv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vable base station (200) formed in a vehicle or a flying object to prov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scription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MOBILE BASE STATION SYSTEM}[0001] MOBILE BASE STATION SYSTEM [0002]

본 발명은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또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통신구조물을 통해서 통신 음영지역을 개선하고 가변형 빔 형성을 통해서 시스템의 운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improving communication shadow areas through a communication structure mounted on a vehicle or a vehicle, .

공중 무선 네트워크 구성방법은 지상 대 지상, 지상 대 공중, 공중 대 지상, 공중 대 공중 방식으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민수의 상용통신에서는 지상 대 지상 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비행기와의 통신은 지상 대 공중, 공중 대 지상 방식을 사용한다. 공중 대 공중 방식의 경우는 군수분야 및 군집제어 등에 사용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ublic wireless network varies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from the ground to the air, from the air to the ground, from the air to the air. Generally, in the commercial communication of civilian water, the ground-to-ground method is mainly used,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airplane uses the ground-to-air or air-ground method. In the case of the public-to-public system, it is used for the military field and cluster control.

종래에는 고정된 기지국 및 위성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자가 산에 들어가게 되면 수신감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고, 또한 군수분야에서는 지상장비와 항공기 간 통신 시 가시선에 확보되지 않거나 전파 재밍 환경에서는 통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Conventionally, in Korea, where 70% of the country is mountainous using fixed base station and satellite communica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is not smooth due to insufficient reception sensitivity when users enter mountains, and in the field of logistic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aircraft is not ensured in the line of sight or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n the jamming environment.

등록특허 10-1576415, 등록일자 2015년 12월 03일, '이동형 릴레이, 기지국 및 릴레이 통신 시스템'Registration No. 10-1576415, registered on Dec. 03, 2015, 'Mobile Relay, Base Station and Relay Communication System' 등록특허 10-1782114, 등록일자 2017년 09월 20일, '이동형 기지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Registration No. 10-1782114, Registered on Sep. 20, 2017, 'Mobile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통신구조물을 통해서 통신 음영지역을 개선하고 가변형 빔 형성을 통해서 시스템의 운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a communication shadow area through a communication structure mounted on a vehicle or a flying object, And a base st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멸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단말기; 및 차량 또는 비행체로 구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bile base station which is composed of a vehicle or a vehicle and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형 기지국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구조물; 및 상기 통신구조물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운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base st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structure formed at one side of the mobile base sta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ler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용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의 운용모드를 공중 대 공중, 공중 대 지상, 지상 대 공중 및 지상 대 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운용모드 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의 주파수, 전송률, 대역폭 및 암호화를 설정할 수 있는 운용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의 출력을 자동 또는 중지 또는 낮음 또는 중간 또는 높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출력설정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의 방사패턴을 자동 또는 방향성 또는 전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방사패턴 설정부; 및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의 수신신호 추적을 자동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수신신호 추적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mode setting unit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o at least one of air-to-air, air-to-ground, ground-to-air, and ground-to-ground; An operation setting unit that allows a user to set a frequency, a transmission rate, a bandwidth, and encryptio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An output sett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o automatic, stop, or low, or at least one of intermediate or high; A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o at least one of automatic,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And a reception signal trace sett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reception signal tracing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o automatic or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구조물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다각형 배열구조의 안테나 모듈부; 상기 안테나 모듈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의 신호레벨 검출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수신 빔 형성 처리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빔을 가변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부에 송신하는 송신 빔 형성 처리부; 상기 안테나 모듈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기저대역의 채널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송수신 변복조부; 및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가 수신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가 빔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ncludes: an antenna module part having a polygonal array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o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antenna module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signal level detection of a received signal,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A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or for changing a beam according to a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beam to the antenna module;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em for performing baseband channe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eamforming unit to vary the bea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reception beam forming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 컨트롤러의 출력설정부와 방사패턴 설정부의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가 검출한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수신 받아 상기 신호레벨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ting of the output setting section and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se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is automatically set by the user, the control section sets the signal level of the reception signal detected by the reception beam forming section to And control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transmission beam to vary through the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or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 컨트롤러의 출력설정부와 방사패턴 설정부와 수신신호 추적설정부의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가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ting of the output setting unit,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and the received signal tracking setting unit of the operation controller is automatically set by the user, Or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t least one of DOA tracking and RF tracking,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beam intensity and pattern to vary through the transmission beamformer according to the acquire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차량 또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통신구조물을 통해서 통신 음영지역을 개선하고 가변형 빔 형성을 통해서 시스템의 운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base station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mounted on the vehicle or the air vehicle and by forming the variable b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의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통한 통신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가변형 빔 형성 순서예시도1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가변형 빔 형성 순서예시도2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equence through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beam forming sequenc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ariable beam forming sequenc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limited to a "directly connected" element, When " comprising ", it is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단말기(100) 및 차량 또는 비행체로 구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지국(20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통신단말기(100)는 차량 또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형태이거나 사람이 지상에서 소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a vehicle or a vehicle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mobile base station 20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a vehicle or an airplane, or may be mounted on a groun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은,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구조물(210) 및 상기 통신구조물(210)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운용 컨트롤러(2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통신구조물(210)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다각형 배열구조의 안테나 모듈부(211)와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의 신호레벨 검출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와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 빔을 가변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에 송신하는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와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기저대역의 채널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송수신 변복조부(214) 및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가 빔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5)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용 컨트롤러(220)는,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운용모드를 공중 대 공중, 공중 대 지상, 지상 대 공중 및 지상 대 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운용모드 설정부(221)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주파수, 전송률, 대역폭 및 암호화를 설정할 수 있는 운용설정부(222)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출력을 자동 또는 중지 또는 낮음 또는 중간 또는 높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출력설정부(223)와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방사패턴을 자동 또는 방향성 또는 전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방사패턴 설정부(224) 및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수신신호 추적을 자동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수신신호 추적설정부(225)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운용 컨트롤러(220)의 운용모드 설정부(221)를 통해서 통신구조물(210)과 단말기장치(100)간의 운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운용 컨트롤러(220)의 운용설정부(222)를 통해서 통신구조물(210)의 주파수, 전송률, 대역폭 및 암호화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설정부(223), 방사패턴 설정부(224) 및 수신신호 추적설정부(225)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설정이 가능하나, 사용자가 이동형 기지국(200)을 운용하면서 일일이 통신에 개입하여 통신상태에 따라 설정을 바꿔주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자동으로 설정 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 mobile base station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structure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mobile base station 200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includes an antenna module unit 211 having a polygonal arrangement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ntrol unit 220 for controlling the antenna module unit 211 and controls the receiving beam forming processor 212 and the controller 215 to perform signal level detection or GPS tracking or DOA tracking or RF tracking of the received signal, A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ing unit 213 for transmitting to the antenna module unit 211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14 for performing channe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of a base band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unit 211, Is received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2 is configured hayeoseo a control unit 215 that the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ing section 213 is controlled so as to vary the beam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received signal.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setting unit 221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t least one of air-to-air, air-ground, ground-to- And an operation setting unit 222 in which the user can set the frequency, the transmission rate, the bandwidth and the encryptio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d the user can set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utomatic or stop or low, A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4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t least one of automatic,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And a reception signal tracking setting unit 225 that can set the reception signal tracking of the receiver 210 to automatic or GPS tracking, or DOA tracking or RF tracking. Hayeoseo consists. The user can set the operation mode betwee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221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and set the operation setting unit 222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The transmission rate, bandwidth, and encryptio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can be manually set. The output setting unit 223,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4 and the reception signal tracking setting unit 225 may be manually set as required by the user. Howev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mobile base station 200,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state, so it is preferable to set it automaticall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통신구조물(210)을 탑재한 이동형 기지국(200)이 통신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구조물(210)을 통해서 수신신호의 신호레벨 검출 또는 수신신호의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통신중인 통신단말기(100)와의 통신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빔을 가변하여 통신단말기(100)와 통신함으로써 운용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통신구조물(210)은 도 4와 같이 통신단말기(100)가 근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근거리 빔을 형성하고, 통신단말기(100)가 원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원거리 빔을 형성함으로써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의 운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base station 200 hav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210 receiving signal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perform the signal level detection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GPS tracking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DOA tracking or the RF tracking to change the beam so a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communication, So that the operating performance can be enhanced. 4,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forms a short-distance beam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forms a long distance beam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t a long distance,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7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통한 통신단말기와의 통신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rough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통한 통신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통한 이동형 기지국(200)과 단말기장치(100)의 통신은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이 통신구조물(210)을 통해 상기 단말기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와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이 빔을 가변하여 통신구조물(210)을 통해 단말기장치(100)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20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5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base station 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mobil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d a step S200 of transmitting signals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by varying the beams of the mobile base station 200. [

상기 단계(S200)의 경우에는 두 가지 경우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검출한 신호레벨을 수신 받아 상기 신호레벨에 따라 빔을 가변하는 경우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획득한 정보에 따라 빔을 가변하는 경우가 있다.The control unit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receives the signal level detected from the reception signal by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2 and outputs the signal level to the signal level The control section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determines whether the beam is changed according to information obtained by the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ing section 212 performing at least one of GPS tracking, DOA tracking, and RF tracking from the received signal The beam may be varied.

먼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검출한 신호레벨을 수신 받아 상기 신호레벨에 따라 빔을 가변하는 경우는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가변형 빔 형성 순서예시도1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200)는 사용자가 운용 컨트롤러(220)의 출력설정부(223)와 방사패턴 설정부(224)의 설정을 자동하는 설정하는 단계(S210)와 다음으로 통신구조물(210)의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안테나 모듈부(211)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단계(S220)와 마지막으로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검출한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에 따라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를 통해 상기 단말기장치(100)로 송신하는 단계(S230)로 이루어진다.6 shows a case where the control unit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receives the signal level detected by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2 from the reception signal and varies the beam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ariable beam forming sequenc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step S200 includes a step S210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settings of the output setting unit 223 and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4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by the user, The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ing unit 212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detects the signal level of the recep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211 and the control unit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or 213 to vary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transmission beam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of the reception signal detected by the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or 212, To the device 100 (S230).

다음으로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획득한 정보에 따라 빔을 가변하는 경우는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물의 가변형 빔 형성 순서예시도2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200)는 사용자가 운용 컨트롤러(220)의 출력설정부(223), 방사패턴 설정부(224) 및 수신신호 추적설정부(225)의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S240)와 다음으로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상기 안테나 모듈부(21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의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S250)와 마지막으로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제어부(215)가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를 통해 상기 단말기장치(100)로 송신하는 단계(S26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25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5)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만을 상시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행하도록 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필요시에는 상기 세가지 추적을 모두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단계(250)를 상기 제어부(215)가 획득하는 정보는 상기 추적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들을 모두 포함한다.Next, when the control unit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varies the bea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reception beam forming unit 212 performing at least one of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from the received signal Is shown in Fig.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ariable beam forming sequenc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n step S200, the user automatically sets the settings of the output setting unit 223,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4, and the reception signal tracking setting unit 225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or 212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via the antenna module unit 210 and the RF tracking The control unit 215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beam through the transmission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3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2,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pattern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antenna module 211 (S260). In step 250, the control unit 215 acquires information by causing the always-receiving beamforming processing unit 212 to perform either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or if necessary, performs all three tracking So as to acquir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hat the controller 215 acquires in the step 250 includes all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lly obtained through the tracking.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차량 또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통신구조물을 통해서 통신 음영지역을 개선할 수 있고 가변형 빔 형성을 통해서 시스템의 운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mounted on the vehicle or the airplane and improve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system through the variable beam form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통신단말기
200 : 이동형 기지국
210 : 통신구조물
211 : 안테나 모듈부
212 : 수신 빔 형성 처리부
213 : 송신 빔 형성 처리부
214 : 송수신 변복조부
215 : 제어부
220 : 운용 컨트롤러
221 : 운용모드 설정부
222 : 운용설정부
223 : 출력설정부
224 : 방사패턴 설정부
225 : 수신신호 추적설정부
100: communication terminal
200: mobile base station
210: communication structure
211: Antenna module section
212: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or
213: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or
214: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215:
220: Operation controller
221: Operation mode setting section
222: Operation setting section
223: Output setting section
224: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5: Receive signal trace setting unit

Claims (6)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단말기(100); 및
차량 또는 비행체로 구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지국(200);
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은,
상기 이동형 기지국(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통신단말기(10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구조물(210); 및
상기 통신구조물(210)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운용 컨트롤러(220);
를 포함하되,
상기 운용 컨트롤러(220)는,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운용모드를 공중 대 공중, 공중 대 지상, 지상 대 공중 및 지상 대 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운용모드 설정부(221);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주파수, 전송률, 대역폭 및 암호화를 설정할 수 있는 운용설정부(222);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출력을 자동 또는 중지 또는 낮음 또는 중간 또는 높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출력설정부(223);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방사패턴을 자동 또는 방향성 또는 전방향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방사패턴 설정부(224); 및
사용자가 상기 통신구조물(210)의 수신신호 추적을 자동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수신신호 추적설정부(2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In a mobile base station system,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bile base station (200) comprising a vehicle or a vehicle and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 RTI >
The mobile base station (200)
A communication structure 210 formed at one side of the mobile base station 200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n operation controller 220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 ≪ / RTI &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An operation mode setting unit 221 in which a user can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t least one of air-to-air, air-ground, ground-to-air, and ground-to-ground;
An operation setting unit 222 in which a user can set a frequency, a transmission rate, a bandwidth, and an encryptio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 output setting unit (223)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utomatic, stop, low, or at least one of intermediate or high;
A radiation pattern setting unit (224) allowing a user to set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t least one of automatic,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And
A received signal trace setting unit 225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received signal tracing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to automatic or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The base station system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구조물(210)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다각형 배열구조의 안테나 모듈부(211);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의 신호레벨 검출 또는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
제어부(215)의 제어에 따라 빔을 가변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에 송신하는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
상기 안테나 모듈부(21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기저대역의 채널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송수신 변복조부(214); 및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수신신호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가 빔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structure (210)
An antenna module unit 211 of a polygonal array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or 21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antenna module 211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signal level detection,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of a received signal;
A transmission beam forming processor 213 for changing the bea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5 and transmitting the beam to the antenna module 211;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m unit 214 for performing channe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of a baseband of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unit 211; And
A control unit 215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beamforming processor 213 to vary the bea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cessor 212;
The base station system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5)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 컨트롤러(220)의 출력설정부(223)와 방사패턴 설정부(224)의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3)가 검출한 수신신호의 신호레벨을 수신 받아 상기 신호레벨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4)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215,
When the setting of the output setting section 223 and the radiation pattern setting section 224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is automatically set by the user, the signal level of the reception signal detected by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cessing section 213 is set to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beam forming unit (214) to vary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transmission beam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5)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 컨트롤러(220)의 출력설정부(223)와 방사패턴 설정부(224)와 수신신호 추적설정부(225)의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 빔 형성 처리부(212)가 GPS추적 또는 DOA추적 또는 RF추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 빔 형성 처리부(213)를 통해 송신 빔의 세기 및 패턴을 가변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215,
When the settings of the output setting section 223, radiation pattern setting section 224 and received signal tracking setting section 225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20 are automatically set by the user, the reception beam forming processing section 212, Receives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t least one of GPS tracking, DOA tracking, or RF tracking, and controls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transmission beam to vary through the transmission beamforming processor 213 according to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mobile base station system comprising:
KR1020180075789A 2018-06-29 2018-06-29 Mobile base station system KR101937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89A KR101937406B1 (en) 2018-06-29 2018-06-29 Mobile base st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89A KR101937406B1 (en) 2018-06-29 2018-06-29 Mobile base st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406B1 true KR101937406B1 (en) 2019-01-10

Family

ID=6502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89A KR101937406B1 (en) 2018-06-29 2018-06-29 Mobile base st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539A (en) * 2020-07-14 2022-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mittency-aware federated learning method for 3D cellular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4489A1 (en) 2014-11-06 2017-02-23 Ubiqomm Llc Beam forming and pointing in a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for broadband access
US20170163336A1 (en) * 2014-10-16 2017-06-08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forming and pointing toward ground coverage area cells for broadband ac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63336A1 (en) * 2014-10-16 2017-06-08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forming and pointing toward ground coverage area cells for broadband access
US20170054489A1 (en) 2014-11-06 2017-02-23 Ubiqomm Llc Beam forming and pointing in a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for broadband acc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539A (en) * 2020-07-14 2022-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mittency-aware federated learning method for 3D cellular network
KR102416342B1 (en) 2020-07-14 2022-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mittency-aware federated learning method for 3D cellular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8133B1 (en) Terrestrial communications network suitable for providing air-to-ground connectivity
CN108028698B (en) LEO satellite is captured in the case where no compass
US6735438B1 (en) Antenna for air-to-ground communication
US10103824B2 (en) Antenna alignme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22369B1 (en) High-capacity hybrid terrestrial/satellite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3687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irspace coverage capability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20060141929A1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1447001B (e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quipment
US8547277B1 (en) Airborne cell tow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CN103348606A (en) Real-time calibration of an air to ground communication system
US20190190676A1 (en) Customizing Transmission of a System Information Message
US8428580B1 (en) Aviatio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TWI656758B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aircraft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9871570B1 (en) Beam determining unit and beam-searching method for a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
KR20190116398A (en) Send a message based on the determined beam configuration
CN112798017B (en) Scattering antenna alignment device based on inertial navigation
US20210399409A1 (en) Rtk base station apparatus and sign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5960343A (en) Mobile communications
KR101937406B1 (en) Mobile base station system
CN110651452B (en) Interference elimination method in air-to-ground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 network node
KR10064514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pattern direction of array antenna
ES2282921T3 (en) PREVENTION OF RADIO INTERFERENCES IN A MOBILE NETWORK.
US20180199326A1 (en) Real time adaptation of a mobile repeater antenna pattern
US11528074B2 (en) Repeater system for LPWA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40048206A1 (en) Trans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