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279B1 -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279B1
KR101936279B1 KR1020180026552A KR20180026552A KR101936279B1 KR 101936279 B1 KR101936279 B1 KR 101936279B1 KR 1020180026552 A KR1020180026552 A KR 1020180026552A KR 20180026552 A KR20180026552 A KR 20180026552A KR 101936279 B1 KR101936279 B1 KR 10193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haft
metal rod
semi
finish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Priority to KR102018002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23B13/021Feeding device having intermittent movement
    • B23B13/022Feeding device having intermittent movement being placed in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4Cutting-off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48Measuring or det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03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in a lath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new structure to effectively process a shaft used for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The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a position control means (60), an auxiliary chuck (70), an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a discharge unit (A), and a discharge container (110). Therefore, working time and costs can be reduced.

Description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for a shaft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ocessing a shaft used 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는 원봉형태로 구성된 샤프트가 결합된다.Generally,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is combined with a shaft formed in a round bar shape.

이러한 샤프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금속봉체의 전후 양단과 둘레면이 가공된 원봉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se shaft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ng metal rod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re processed.

도 2 내지 도 6은 이러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를 가공할 때 사용되는 샤프트 가공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작업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금속봉체(1)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 후측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금속봉체(1)가 고정되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를 가공하는 가공유닛(40)과,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2 to 6 illustrate an example of a shaft machining apparatus used for machining a shaft of such a steering wheel, which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working space 11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the fore-and-aft direction, A supply means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for supplying the metal rod 1 and a rear side rotational center axis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 chuck 30 to which the metal rod 1 supplied by the means 20 is fixed and which is rotated by a drive motor 31 and a metal rod 30 fixed to the chuck 30, 1 and a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ing means 20, the chuck 30 and the processing unit 40. [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봉체(1)의 상하면을 지지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금속봉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로울러(22)로 구성된다.The supply means 20 includes a support 21 extending rearward and rearward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spaced a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rom the support 21,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22 which are rotated by a drive motor to transport the metal rod 1 forward.

상기 척(30)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봉체(1)는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척(30)의 전방으로 공급한다.The chuck 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2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nd the metal rod 1 transported forward by the supply means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그리고, 상기 척(3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조(33)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금속봉체(1)가 공급되면 상기 조(33)가 금속봉체(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tanks 33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uck 30 so that when the metal rod 1 is supplied by the supply means 20, So as to be fixed.

상기 가공유닛(40)은 상기 조(33)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기 위한 툴이 구비되며, 상기 툴의 전후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금속봉체(1)를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achining unit 40 is provided with a tool for machining a front end portion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fixed to the jaw 33 and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ool, 1).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제작할 샤프트(3)의 반제품(2)의 도면데이터가 미리 입력되어,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을 제어하여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둘레면을 가공한다.The control unit 50 inputs the drawing data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to be manufactured in advance and controls the supply unit 20, the chuck 30 and the machining unit 40,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rod body 1 is fixed.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금속봉체(1)가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공급되면, 상기 척(30)의 조(33)가 내측으로 전진되어 상기 금속봉체(1)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31)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금속봉체(1)가 회전되도록 한다.4, when the metal rod 1 is su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by the supply means 20, the tank 33 of the chuck 30, The metal rod 1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the drive motor 31 so that the metal rod 1 is rotated.

그리고, 상기 금속봉체(1)가 회전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40)이 미리 입력된 형태대로 상기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여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생산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된 반제품(2)을 절단하여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5, when the metal rod 1 is rotated,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are processed in the form in which the machining unit 40 is input in advance, The produced semi-finished product 2 is cut and then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가공유닛(40)에 의해 생산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이 잘려져 하측으로 배출되면, 상기 공급수단(20)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금속봉체(1)를 다시 전방으로 밀어 상기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하고, 전술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을 반복적으로 생산한다.Then,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produced by the machining unit 40 is cut and discharged downward, the feeding means 20 pushes the metal rod 1 back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2) of the shaft (3) o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are machined, by repeatedly projecting the chuck (30) forward.

그리고, 이와 같이 생산된 반제품(2)은 별도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가공함으로써,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3)를 완성하게 된다.T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thus produced is further processed by using a separate processing apparatus to complete the shaft 3 of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그런데, 이러한 샤프트 가공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만을 가공하여, 후단부가 가공되지 않은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제작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only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supplied by the supply means 20 are machined so that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 Can be produced.

따라서, 상기 샤프트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생산한 후, 별도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반제품(2)의 후단부를 추가적으로 가공하여 샤프트(3)를 생산하여야 함으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fter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having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finished is produced by using the shaft processing apparatu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3),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working time and cost are increas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등록특허 10-1323132호,10-132313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ft process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ocessing a shaft used 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작업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금속봉체(1)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 후측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금속봉체(1)가 고정되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여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제작한 후 잘라내는 가공유닛(40)과,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척(30)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봉체(1)의 상하면을 지지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금속봉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로울러(22)로 구성되어, 금속봉체(1)를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척(30)의 전방으로 공급하도록 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조절수단(60)과, 상기 척(30)과 마주보도록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의 전단부에 결합된 후 상기 반제품(2)이 상기 가공유닛(40)에 의해 절단되면 절단된 반제품(2)의 전단부를 지지하여 반제품(2)의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척(7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는 보조가공유닛(8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넘겨받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A)과,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닛(A)에서 배출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work space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metal ro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metal rod 1 supplied by the supply means 20 is fixed to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have a rotation center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huck 30 which is rotated by a drive motor 31 and a front end and a peripheral surface of a metal rod 1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is fixed to the chuck 30, And a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eeding means (20), the chuck (30) and the processing unit (40), wherein the chuck (30) (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2)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supplying means (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21)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rod (1) and are rotated by a driving motor to forward the metal rod And a feed roller 22 for feeding the metal rod 1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In the shaft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steering wheel, The chuck 30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positioned inside the work space 11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facing the chuck 30 so that the chuck 30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2) of the shaft (3) fixed to the shaft (3), and after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cut by the processing unit (40), the front end of the cut semi-finished product An auxiliary chuck 7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An auxiliary machining unit 80 for machining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fixed to the chuck 70 to complete the shaft 3 and an auxiliary machining unit 8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11, A discharge unit A which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unit A and discharges the shaft 3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discharge conveyor (110) for discharging the shaf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척(70)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제품(2)이 삽입되는 결합공(71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4)와, 상기 보조척(7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71b)에 반제품(2)이 삽입될 때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7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경보수단(51)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금속봉체(1)가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결합공(71b)에 금속봉체(1)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척(70)을 후퇴시키고,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의 신호를 수신하여 금속봉체(1)에 의해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밀려난 거리를 측정하여,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가 미리 입력된 거리와 오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51)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hole 71b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chuck 70 so as to extend forward and into which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inserted. In the coupling hole 71b, A resilient member 74 provided inside the engaging hole 71b and resiliently biasing the slide block 73 to slide rearward; A linear scal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chuck 70 and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73 to measure a distance in which the slide block 73 is slid forward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The control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alarm means 51 and the control means 50 controls the supply means 20 to connect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When the metal rod body 1 is supplied so as to protrude forward of the chuck 30, the auxiliary block 70 is retract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etal rod 1 is inserted into the metal block 1 and the signal of the linear scale 75 is received and the slide block 73 is pushed forward by the metal rod 1 And a warning is given to the operator by driving the alarm means (51) when an error is generated with a distance that the slide block (73) A machin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유닛(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금속봉체(1)의 지름에 비해 폭이 큰 개구부(92a)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지지블록(92)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양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회동축(93a)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 수직상태에서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93)와, 상기 지지바(93)에 연결되어 지지바(93)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94)와, 상기 회동중의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93b)에 원웨이베어링(9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구동축(95)과, 상기 구동축(95)에 연결되어 구동축(95)을 정역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97)와, 상기 구동축(95)의 전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풀리(98)와, 상기 지지바(93)의 상단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종동풀리(99)와,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척(70)에 의해 공급된 샤프트(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벨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은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을 상호 고정하여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의 고정을 해제하여 구동축(95)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A) is formed as a block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opening (92a)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 A supporting block 92 which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so as to be laterally spac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block 92, A pair of support bars 93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by a coaxial shaft 93a so as to be rotatable outwardly in a vertical state, and a support bar 93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93, A pair of elastic members 94 elastically pressurizing to rotate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and a coupling hole 93b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the one way bearing 96 A pair of coupled drive shafts 95, A pair of drive motors 97 connected to the base drive shaft 95 to rotate the drive shaft 95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pair of drive pulleys 98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rive shaft 95, A pair of driven pulleys 99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and a pair of driven pulleys 99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And a pair of belts 100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shaft 3 so that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rotates outward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ry shaft 93a ar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outward and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inward ,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ry shaft (93a)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and the drive shaft (95) is freely rotated Of the steering wheel shaft machin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는,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조절수단(60)과, 상기 척(30)과 마주보도록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의 전단부에 결합된 후 상기 반제품(2)이 상기 가공유닛(40)에 의해 절단되면 절단된 반제품(2)의 전단부를 지지하여 반제품(2)의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척(7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는 보조가공유닛(8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넘겨받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A)과,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닛(A)에서 배출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공유닛(40)을 이용하여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반제품(2)을 제작한 후, 상기 위치조절수단(60)과 보조척(70) 및 보조가공유닛(80)을 이용하여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전후단과 둘레면이 모두 가공된 샤프트(3)를 완성하고, 상기 배출유닛(A)과 배출컨베이어(110)를 이용하여 완성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한다.The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positioned inside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facing the chuck 30,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joined to the front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which is fixed to the chuck 30, An auxiliary chuck 7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cut semi-finished product 2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when the cutting is performed by the auxiliary chuck 70, An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for processing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to complete the shaft 3; a shaft 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orking space 11 and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A)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ing unit (A) and discharging it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ing unit And a discharge conveyor 110 for discharging the tread 3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semi-finished product 2 having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processed is manufactured using the processing unit 4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processed by using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e auxiliary chuck 70 and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to complete the shaft 3 in which both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peripheral surfaces are processed, The finished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by using the unit A and the discharge conveyor 110. [

따라서,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반제품(2)을 생산한 후,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여야 하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와 달리, 별도로 후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ish the shaft 3 by machin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through a separate post-process after producing the semi-finished product 2 having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processed, Otherwis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post-processing separate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cost.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의 일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후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제3 실시예의 배출유닛을 도시한 후측면도,
도 23은 도 2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steering wheel,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aft process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shaft processing device for a steering wheel,
FIGS. 4 to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haft process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7 is a side view of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FIG. 9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haft machin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ircuit diagram of a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to 18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aft processing device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haft machin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0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haft machin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haft machin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rear side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of a third embodiment of a shaft machining apparatus for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2,
Figs. 24 and 2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3,
26 to 28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작업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금속봉체(1)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 후측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금속봉체(1)가 고정되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를 가공하는 가공유닛(40)과,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7 to 18 illustrate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haft of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working space 11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the fore-and-aft direction, A supply means 20 for supplying the metal rod 1 and a rotation center ax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 chuck 30 to which the supplied metal rod 1 is fixed and which is rotated by a drive motor 31 and a processing unit 30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which processes the metal rod 1 fixed to the chuck 30, Unit 40 and a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ing means 20, the chuck 30 and the processing unit 4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prior art.

이때, 상기 척(30)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huck 3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봉체(1)의 상하면을 지지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금속봉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로울러(22)로 구성되어, 금속봉체(1)를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척(30)의 전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ly means 20 includes a support 2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2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22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rods 1 and forwardly transporting the metal rods 1 by being rotated by a driving motor so that the metal rods 1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2 of the chuck 30, To the front side of the chuck 30 via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조절수단(60)과, 상기 척(30)과 마주보도록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방향이 조절되는 보조척(7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는 보조가공유닛(8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넘겨받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A)과,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닛(A)에서 배출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10)가 더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is disposed in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is provided i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as to face the chuck 30, An auxiliary chuck 70 which is provided in the work space 11 and whose rear end is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so as to complete the shaft 3, A discharge unit A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11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shaft 3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and a discharge unit A And a discharge conveyor 110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unit A for discharging the shaft 3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바닥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과, 상기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에 의해 측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과, 상기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에 의해 전후방향위치가 조절되는 이송대(63)로 구성된다.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includes a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extending laterally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1 and a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extending from the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Rear direction position adjusting means 6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rear direction position adjusting means 62 and adjusting the lateral position by the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And a conveyance belt 63 whos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is adjust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adjustment means 62. [

이때, 상기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과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은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리드스크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과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송대(63)의 측방향과 전후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position adjusting means 62 use a guide rail and a lead screw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and rotated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by a driving mot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means 61 and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adjusting means 62,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positions of the conveying table 63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이러한 측방향위치조절수단(61)과 전후방향위치조절수단(62)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60)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상기,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variety of position adjusting means 60 for precis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using the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61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means 62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보조척(7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이송대(63)의 후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71a)에 의해 회전되는 척본체(71)와, 상기 척본체(71)의 후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조(72)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chuck 70 is formed in a circular block shape extending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has a chuck body 71 whose front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onveying table 63 and rotated by a driving motor 71a, And a plurality of jaws 7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huck main body 71.

그리고, 상기 척본체(71)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여 제작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이 삽입되는 결합공(71b)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chuck main body 71 is provided at the rear central portion with a front end and a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fixed to the chuck 30, And the hole 71b is formed to extend forward.

상기 조(72)는 상기 척본체(71)의 후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공(71b)에 삽입된 반제품(2)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도록 구성된다.The jaw 72 is configured to be radially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huck body 71 to press-fix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따라서,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상기 가공유닛(40)을 이용하여 가공하여 샤프트(3)의 반제품(2)이 완성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상기 보조척(70)이 전진하여 상기 반제품(2)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공(71b)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반제품(2)이 정해진 길이만큼 결합공(71b)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조(72)가 반제품(2)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Therefore, wh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etal rod 1 fixed to the chuck 30 are machined using the machining unit 40 to complete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The auxiliary chuck 70 advances to insert the tip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nto the engaging hole 71b by inser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2 into the engaging hole 71b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jaw 72 presses and fixes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그리고, 이와 같이 보조척(70)에 반제품(2)의 선단부가 고정되면, 상기 가공유닛(40)이 가공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잘라내어 반제품(2)이 보조척(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When the front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unit 40 cuts the rear end of the processed semi-finished product 2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chuck 70 .

상기 보조가공유닛(80)은 상기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툴을 상기 작업공간(11)의 후측면에 고정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상기 보조가공유닛(80)에 밀착시키면, 반제품(2)의 후단부가 정해진 형태대로 가공된다.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is constituted by fixing a plurality of tools for machining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to the rear side of the work space 11.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processed in a predetermined shape.

이때, 상기 보조가공유닛(80)은 상기 척(30)의 우측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huck 30.

상기 배출유닛(A)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11)의 우측에 구비되어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핑거부재(91)가 구비된 피커의 형태로 구성된다.8, the discharge unit A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work space 11,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is pressed and fixed And a pair of finger members (91) adapted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때, 상기 배출유닛(A)은 상기 작업공간(11)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연결된 도시 안된 실린더기구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unit (A) is configured to be laterally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work space (11) laterally by means of an unillustrated cylinder mechanism connected to one side.

즉, 상기 배출유닛(A)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건네 받은 후,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컨베이어(110)의 상측으로 샤프트(3)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unit A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shaft 3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is passed and then moved to the right side to move the discharge conveyor 110 And to discharge the shaft 3 upward.

상기 배출컨베이어(110)는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일반적인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한다.The discharge conveyor 110 uses a general belt conveyor extending forward from the underside of the discharge unit A.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샤프트(3)의 도면이 입력되어, 상기 척(30)과 가공유닛(40)을 제어하여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여 샤프트(3)의 반제품을 제작한 후, 상기 보조척(70)과 위치조절수단(60) 및 보조가공유닛(80)을 제어하여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고, 상기 배출유닛(A)을 이용하여 완성된 샤프트(3)를 상기 배출컨베이어(110)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50 receives the drawing of the shaft 3 and controls the chuck 30 and the machining unit 40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fixed to the chuck 30 The semi-finished product of the shaft 3 is processed and then the auxiliary chuck 70 and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and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are controlled to process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And to discharge the completed shaft (3) to the discharge conveyor (110) using the discharge unit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상기 보조척(70)이 상기 배출유닛(A)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금속봉체(1)가 전진되어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된다.11,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huck 7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charge unit A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metal rod 1 is advanced and projected forward of the chuck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

그리고, 상기 척(30)이 작동되어 금속봉체(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면, 상기 구동모터(31)에 의해 척(30)이 회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여 미리 입력된 형태대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함으로써,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제작한다.The chuck 3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1 when the chuck 30 is operated to press and fix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metal rod 1,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is manufactur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40 to process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in a previously inputted form.

그리고, 반제품(2)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보조척(70)이 위치조절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반제품(2)의 전단부에 결합고정된다.13,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chuck 70 is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semi-finished product 2 fixed to the chuck 30 As shown in Fig.

그리고, 반제품(2)에 보조척(70)이 결합고정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40)이 반제품(2)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반제품(2)이 상기 금속봉체(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14, the machining unit 40 cuts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so that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separated from the metal rod (not shown) 1).

그리고, 상기 반제품(2)이 분리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상기 보조척(70)이 위치조절되어 상기 반제품(2)의 후단부를 상기 보조가공유닛(80)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보조가공유닛(80)이 반제품(2)의 후단부를 정해진 형태대로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한다15,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chuck 70 is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moved to the auxiliary machining unit 2, (80),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processes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complete the shaft (3)

그리고, 상기 샤프트(3)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보조척(70)이 위치조절되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된 샤프트(3)를 상기 배출유닛(A)의 핑거부재(91)의 사이로 삽입한다.When the machining of the shaft 3 is completed,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chuck 70 is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finished shaft 3 is moved to the discharge unit Is inserted between the finger members (91) of the main body (A).

이때, 상기 배출유닛(A)은 좌측으로 위치이동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unit A is moved to the left.

그리고, 상기 샤프트(3)가 상기 핑거부재(91)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핑거부재(91)가 상기 샤프트(3)의 둘레면을 가압고정하며, 상기 보조척(70)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보조척(7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샤프트(3)로부터 보조척(70)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다.When the shaft 3 is inserted between the finger members 91, the finger member 91 presses and fixe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 and the auxiliary chuck 70 The auxiliary chuck 70 is moved forwar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auxiliary chuck 7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haft 3. [

그리고, 상기 보초척(70)이 샤프트(3)로부터 분리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닛(A)이 우측으로 위치조절된 후, 핑거부재(91)를 벌려서 핑거부재(91)에 고정된 샤프트(3)를 하측의 배출컨베이어(110)로 배출한다.18, after the discharge unit A is positioned to the right, the finger member 91 is opened to open the finger member 91 (see FIG. 18) To the discharge conveyor 110 on the lower side.

따라서, 완성된 샤프트(3)가 상기 배출컨베이어(110)에 의해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샤프트(3)의 제작을 완료한다.Thus, the completed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by the discharge conveyor 110,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of the shaft 3. [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샤프트(3)를 제작할 수 있다.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shaft 3 can be repeatedly manufactured.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는,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조절수단(60)과, 상기 척(30)과 마주보도록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의 전단부에 결합된 후 상기 반제품(2)이 상기 가공유닛(40)에 의해 절단되면 절단된 반제품(2)의 전단부를 지지하여 반제품(2)의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척(7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는 보조가공유닛(8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넘겨받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A)과,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닛(A)에서 배출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공유닛(40)을 이용하여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반제품(2)을 제작한 후, 상기 위치조절수단(60)과 보조척(70) 및 보조가공유닛(80)을 이용하여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전후단과 둘레면이 모두 가공된 샤프트(3)를 완성하고, 상기 배출유닛(A)과 배출컨베이어(110)를 이용하여 완성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한다.The shaf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teering wheel has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positioned in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located i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as to face the chuck 30 (2) to the machining unit (40) after being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An auxiliary chuck 7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cut semi-finished product 2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when the cutting is performed by the auxiliary chuck 70, An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for processing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to complete the shaft 3 and a shaft 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orking space 11 and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A)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A)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 And a discharge conveyor 110 for discharging the sheet 3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semi-finished product 2 having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processed is manufactured using the processing unit 4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processed by using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e auxiliary chuck 70 and the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to complete the shaft 3 in which both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peripheral surfaces are processed, The finished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by using the unit A and the discharge conveyor 110. [

따라서, 전단부와 둘레면이 가공된 반제품(2)을 생산한 후,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여야 하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와 달리, 별도로 후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ish the shaft 3 by machin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through a separate post-process after producing the semi-finished product 2 having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processed, Otherwis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post-processing separate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cost.

도 19 내지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조척(70)에는,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4)와, 상기 보조척(7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71b)에 반제품(2)이 삽입될 때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75)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경보수단(51)이 연결된다.19 to 21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chuck 70 is provided with a slide block 73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71b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 elastic member 74 provided inside the coupling hole 71b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slide block 73 to slide backward; a slide block 73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uck 70, Further comprising a linear scale (75)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71b) and measuring the distance the slide block (73) is slid forward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Means 51 are connected.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은 지름이 상기 결합공(71b)의 내경에 대응되는 실린더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slide block 73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ngagement hole 71b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상기 탄성부재(74)는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의 전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73)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The elastic member 74 uses a compression coil spring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e block 73 to press the slide block 73 backward.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은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에 연결된다The linear scale 75 is embedded in the coupling hole 71b and is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73

이러한 리니어스케일(75)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various kinds of linear scales 75 are developed and us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경보수단(51)은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경광을 출력하는 경광등으로 구성된다.The alarm means 51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and a warning lamp for outputting a light.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경보수단(5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5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ignal of the linear scale 75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arm means 51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금속봉체(1)가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척(30)을 작동시켜 척(30)의 조(33)에 의해 금속봉체(1)가 고정되도록 한다.When the metal rod 1 is projected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by the supply means 20, The chuck 30 is operated to fix the metal rod 1 by the jaw 33 of the chuck 30. [

그리고, 상기 금속봉체(1)가 척(30)에 고정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척(70)이 상기 금속봉체(1)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보조척(70)을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시켜 상기 결합공(71b)에 금속봉체(1)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When the metal rod 1 is fixed to the chuck 30, the control means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o move the auxiliary chuck 70 The auxiliary chuck 70 is mov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metal rod 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71b.

그리고 상기 보조척(70)이 정해진 거리만큼 후퇴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의 신호를 수신하여 금속봉체(1)에 의해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밀려난 거리를 측정하여,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가 미리 입력된 거리와 오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51)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When the auxiliary chuck 70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means 50 receives the signal of the linear scale 75 and moves the slider block 73 forwar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20, the chuck 30 and the machining unit 40 is stopped when a distance and a distance in which the slide block 73 has been previously inputted are generated and an error is generated, The warning means 51 is driven to warn the operator.

즉, 상기 금속봉체(1)를 이용하여 정확한 형태의 샤프트(3)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봉체(1)가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척(30)의 전방으로 정확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공급되어야 한다.That i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haft 3 of the correct shape by using the metal rod 1, the metal rod 1 is to be projected by the supply means 20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by an accurate length Should be supplied.

그런데,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금속봉체(1)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이송로울러(22)를 이용하여 금속봉체(1)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 금속봉체(1)와 이송로울러(2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금속봉체(1)를 정확한 길이로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된다.The feeding means 20 pushes the metal rod 1 forward by using the feed roller 22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rod 1 so that the metal rod 1 and the feed rollers 22 ,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etal rod 1 can not be supplied with an accurate length.

이때, 상기 보조척(70)을 정해진 거리만큼 전진시켜, 보조척(70)의 관통공(32)의 내부로 금속봉체(1)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봉체(1)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를 측정하면, 상기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chuck 70 is advan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metal rod 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auxiliary chuck 70, and the metal bar 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auxiliary chuck 70,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metal rod 1 is supplied so as to project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by an accurate length when the distance by which the slide block 73 is pushed by the body 1 is measured.

즉, 상기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척(30)의 전방으로 돌출 되었을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은 미리 입력된 거리만큼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며,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척(30)의 전방으로 돌출 되지 못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는 미리 입력된 거리와 오차가 발생된다.That is, when the metal rod 1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chuck 30 by an accurate length, the slide block 73 is pushed forward by a distance inputted in advance, and the metal rod 1 is moved In the case where the slide block 73 is not projected forward of the chuck 30, a distanced distance of the slide block 73 is generated with a distance previously inputted.

따라서,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은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수단(51)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후속조치를 하도록 경고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metal rod 1 is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by an accurate length by measuring the distance the slide block 73 is pushed using the linear scale 75, 1 is not projected forwardly of the chuck 30 by an accurate length, the control means 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haft machining device of the steering wheel and drives the alarm means 51 to follow-up .

반대로, 상기 보조척(70)이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미리 입력된 거리만큼 후퇴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을 제어하여 보조척(70)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후, 상기 척(30)과 가공유닛(40)을 구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고, 연속적으로, 상기 위치조절수단(60)과 보조척(70) 및 보조가공수단을 제어하여 샤프트(3)를 가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e block 73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auxiliary chuck 70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means 50 controls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e auxiliary chuck 70 is return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the chuck 30 and the machining unit 40 are driven to machine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as described above, ,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e auxiliary chuck (70) and the auxiliary processing means are controlled to process the shaft (3).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는 상기 보조척(70)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제품(2)이 삽입되는 결합공(71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4)와, 상기 보조척(7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71b)에 반제품(2)이 삽입될 때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7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경보수단(51)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금속봉체(1)가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결합공(71b)에 금속봉체(1)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척(70)을 후퇴시키고,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의 신호를 수신하여 금속봉체(1)에 의해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밀려난 거리를 측정하여, 금속봉체(1)가 밀려난 거리가 미리 입력된 거리와 오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51)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함으로,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금속봉체(1)가 정확한 길이만큼 금속봉체(1)가 공급되지 못한 상태에서, 샤프트(3)의 반제품(2)을 가공함으로써,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haf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teering wheel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71b extending forwardly at the center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chuck 70 to insert the semi-finished product 2, A resilient member 74 provided inside the engaging hole 71b and resiliently pressing the slide block 73 to slide backward; The linear block 73 is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uck 70 and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73 to measure the distance that the slide block 73 slides forward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And the control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50 via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by the supply means 20, So that the metal rod 1 is projected forward of the chuck 30, The auxiliary chuck 70 is retract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etal rod 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71b and the signal of the linear scale 75 is received, 73 are measured and a warning is given to the operator by driving the alarm means 51 when a distanced distance of the metal rod 1 is previously inputted and an error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by machining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in a state where the metal rod 1 is not supplied with the metal rod 1 by the correct length by the means 20 There are advantages.

도 22 내지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출유닛(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금속봉체(1)의 지름에 비해 폭이 큰 개구부(92a)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지지블록(92)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양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회동축(93a)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 수직상태에서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93)와, 상기 지지바(93)에 연결되어 지지바(93)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94)와, 상기 회동중의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93b)에 원웨이베어링(9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동축(95)과, 상기 구동축(95)에 연결되어 구동축(95)을 정역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97)와, 상기 구동축(95)의 전면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풀리(98)와, 상기 지지바(93)의 상단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종동풀리(99)와,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척(70)에 의해 공급된 샤프트(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벨트(100)로 구성된다.22 to 28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scharge unit A is formed in a block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 A support block 92 provided so that the opening 92a penetrat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opens downwardly; and a support block 92 having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spaced laterally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 92 A pair of support bars 93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in a vertical state outwardly by a pivot 93a extending rearward at a lower end thereof, A pair of elastic members 94 connected to the support bars 93 and elastically biasing the support bars 93 so as to rotate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94 connected to the engagement holes 93b,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bearing (96) A pair of drive pulleys 98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ive shaft 95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95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95; A pair of driven pulleys 99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bars 93 and a pair of driven pulleys 99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And a pair of belts 100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haft 3 supplied by the pair of rollers 70.

상기 지지블록(92)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이 상기 배출컨베이어(110)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연장된다.The support block 9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and has a lower e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nveyor 110.

이때,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바(93)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바(93)의 전면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92b)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 stopper 92b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ar 93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 93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 it so as not to rotate inward.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92a)의 양측 하단에 위치되면서 지지블록(92)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92c)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92c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so as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lock 9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being positioned at both lower ends of the opening 92a.

상기 지지바(93)는 하단에 구비된 회동축(93a)이 상기 관통공(92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93a)을 중심으로 상단이 내외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bar 9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92c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93 is pivotally moved inward and outward around the pivot shaft 93a.

상기 결합공(93b)은 상기 지지바(93)의 회동축(93a) 중앙부에 전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oupling hole 93b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bar 93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93a.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은 도 23 내지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을 상호 고정하여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의 고정을 해제하여 구동축(95)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23 to 25,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outwardly, the one-way bearing 96 is engaged with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ry shaft 93a So that the driving shaft 95 and the turning shaft 93a are rotated when the driving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bar 93 is rotated inward. And the drive shaft 95 is freely rotate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은 상기 구동축(95)의 외측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경사홈(96b)이 일정간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내륜(96a)과, 상기 내륜(96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93a)의 결합공(93b)에 결합고정되는 외륜(96c)과, 상기 경사홈(96b)의 내부에 구비되는 키부재(96d)로 구성된다.The one-way bearing 96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drive shaft 95 and has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96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n outer ring 96c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groove 96a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93b of the rotary shaft 93a and a key member 96d provided in the inclined groove 96b, do.

이때, 상기 경사홈(96b)은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점차 얕아지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inclined grooves 96b are configured so as to gradually become shallow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outward.

즉, 좌측의 원웨이베어링(96)의 경우, 상기 경사홈(96b)은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얕아지도록 구성되며, 우측의 원웨이베어링(96)은, 상기 경사홈(96b)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얕아지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left one way bearing 96, the inclined grooves 96b are configured so as to gradually become shallower toward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ight one way bearings 96 are formed such that the inclined grooves 96b are inclined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상기 키부재(96d)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된다.The key member 96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따라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95)이 외측으로 회전되면, 즉, 좌측의 구동축(9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의 구동축(9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96d)가 경사홈(96b)의 얕은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키부재(96d)가 상기 내륜(96a)과 외륜(96c)의 사이에 끼워져 내륜(96a)과 외륜(96c)이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24,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outward, that is, when the left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right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key member 96d is moved to the shallow portion of the inclined groove 96b so that the key member 96d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ring 96a and the outer ring 96c, 96c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반대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95)이 내측으로 회전되면, 즉, 좌측의 구동축(9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축(9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96d)가 경사홈(96b)의 깊은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륜(96a)과 외륜(96c)의 고정이 해제되어, 내륜(96a)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35,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ward, that is, when the left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inner ring 96a is moved to the deep portion of the inclined groove 96b so that the fixing of the inner ring 96a and the outer ring 96c is released so that the inner ring 96a can freely rotate

상기 탄성부재(94)는 상기 회동축(93a)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바(93)와 지지블록(92)에 결합되어 지지바(93)를 인접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The elastic member 94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93a and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93 and the support block 92 to rotate the support bar 93 in the adjacent direction, .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97)에 의해 상기 구동축(95)이 외측으로 회전되면, 도 24 및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의 작용에 의해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이 일체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94)가 압축되면서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24 and 26,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outward by the drive motor 97, the drive shaft 95 and the pivot shaft 95 are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one-way bearing 96, So that the support bar 93 is pivoted outwardly while the elastic member 94 is compressed.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97)에 의해 상기 구동축(95)이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원웨이베어링(96)에 의해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94)의 탄성에 의해 도 25 및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수직을 이루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ward by the drive motor 97,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ry shaft 93a are released from being fixed by the one-way bearing 96, 94,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inwardly to be vertical,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지지바(93)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97)를 더욱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95)이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풀리(98)를 회전시킨다.28, the drive shaft 95 is continuously rotated and the drive pulley 98 is driven to rotate the drive pulley 98, as shown in FIG. 28, when the drive motor 97 is rotated further inward while the support bar 93 is vertical. .

상기 구동모터(97)는 상기 지지블록(92)의 후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95)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축(95)을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drive motor 97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lock 92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95 to rotate the drive shaft 95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는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종동풀리(99)는 상기 지지바(93)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상기 구동풀리(98)의 수직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nd the driven pulley 99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upper side of the drive pulley 98 when the support bar 93 is vertically erected. Respectively.

상기 벨트(100)는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된다.The belt 100 is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이때,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간격은,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둘레면에 결합된 벨트(100)의 인접면이 상기 샤프트(3)의 지름에 비해 조금 좁게 이격되도록 조절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is set such that the adjacent surface of the belt 100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ive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3. [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haf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teering wheel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평상시에는 도 24 및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97)에 의해 상기 구동축(95)이 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바(93)의 상단이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24 and 26, the drive shaft 97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97 at a predetermined angle outward to rotat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93 outwardly .

이때, 상기 벨트(100)는 지지바(93)와 함께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belt 100 and the supporting bar 93 are kept outwardly open.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가 상기 벨트(100)의 사이로 공급되면, 도 25 및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97)가 정회전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9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벨트(100)가 상기 샤프트(3)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When the shaft 3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belts 100, as shown in FIGS. 25 and 27,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in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94 so that the belt 100 presses both sides of the shaft 3. [

이와 같이 벨트(100)가 샤프트(3)의 양측을 가압하면 상기 구동모터(97)는 정지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lt 100 presses both sides of the shaft 3, the drive motor 97 is stopped.

그리고, 상기 벨트(100)가 샤프트(3)의 양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척(70)의 조(72)가 외측으로 벌어져 샤프트(3)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의해 보조척(7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샤프트(3)가 보조척(7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17, when the belt 100 is pressed and fix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3, the jaw 72 of the auxiliary chuck 70 spreads outward to fix the shaft 3 And the auxiliary chuck 70 is moved forwar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shaft 3 is released from the auxiliary chuck 70. [

그리고, 상기 보조척(70)이 샤프트(3)로부터 전방으로 완전히 이탈되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97)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풀리(98)를 인접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벨트(100)의 인접측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벨트(100)에 의해 양측면이 밀착된 샤프트(3)가 하강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샤프트(3)는 상기 벨트(100)의 하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110)의 상면으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샤프트(3)는 배출컨베이어(110)에 의해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28, the driving motor 97 is driven to drive the driving pulley 98 in the adjacent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ulley 98 is transmitted to the sub- The adjacent side of the belt 100 is lowered so that the shaft 3 having both side faces closely contacted by the belt 100 is lowered and finally the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lt 100 The discharged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by the discharge conveyor 110. [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3) 제조장치는, 상기 배출유닛(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금속봉체(1)의 지름에 비해 폭이 큰 개구부(92a)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지지블록(92)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양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회동축(93a)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 수직상태에서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93)와, 상기 지지바(93)에 연결되어 지지바(93)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94)와, 상기 회동중의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93b)에 원웨이베어링(9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구동축(95)과, 상기 구동축(95)에 연결되어 구동축(95)을 정역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97)와, 상기 구동축(95)의 전면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풀리(98)와, 상기 지지바(93)의 상단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종동풀리(99)와,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척(70)에 의해 공급된 샤프트(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벨트(100)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척(70)에 의해 상기 벨트(100)의 사이로 샤프트(3)가 삽입되면, 상기 구동모터(97)를 구동시켜 상기 벨트(1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샤프트(3)가 벨트(10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배출컨베이어(110)로 배출되도록 한다.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haft 3 of a steering wheel having such a structure, the discharge unit A is formed in a block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opening 92a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 at the center, A support block 9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A pair of support bars 93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92 by a pivot 93a extending rearward in a vertical state outwardly, A pair of elastic members 94 elastically pressurizing the bars 93 so as to rotate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and a one-way bearing 96 on a coupling hole 93b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in the front- Lt; RTI ID = 0.0 > rotatably & A pair of drive shafts 95 connected to the drive shafts 95 to rotate the drive shafts 95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pair of drive pulleys A pair of driven pulleys 99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93 and a driving pulley 98 coupl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n pulley 99, And a pair of belts 100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haft 3 supplied by the auxiliary chuck 70. The shaft 3 is inserted between the belts 100 by the auxiliary chuck 70, The drive motor 97 is driven to drive the belt 100 so that the shaft 3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lt 100.

따라서, 상기 배출컨베이어(110)로 배출되는 샤프트(3)가 서로 충돌하여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afts 3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10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and being scratched or damaged.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출유닛(A)은 상기 보조척(70)에서 건네 받은 샤프트(3)를 단순히 하측에 위치된 배출컨베이어(110)의 상부로 낙하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A simply drops the shaft 3 passed from the auxiliary chuck 70 to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conveyor 110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이때, 상기 배출컨베이어(110)는 천천히 샤프트(3)를 이송하도록 구성됨으로, 낙하된 샤프트(3)가 배출컨베이어(110)에 올려진 다른 샤프트(3)와 충돌하여 서로 긁히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conveyor 110 is configured to slowly transfer the shaft 3 so that the dropped shaft 3 may collide with another shaft 3 mounted on the discharge conveyor 110 and may be scratched or damaged have.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벨트(100)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3)가 배출컨베이어(110)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배출함으로, 배출컨베이어(110)로 배출된 샤프트(3)가 서로 충돌하여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shaft 3 is lift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nveyor 110 by using the belt 100, so that the shafts 3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10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특히,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은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을 상호 고정하여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의 고정을 해제하여 구동축(95)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outward, the one-way bearing 96 is fixed to the support bar 93 by fixing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tion shaft 93a to each other, 93 and the driving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bar 93 is rotated inwardly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driving shaft 95 and the turning shaft 93a, To rotate freely.

따라서, 상기 지지바(93)를 내외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구동모터(97)를 정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지지바(93)를 내외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된 후에는 상기 구동풀리(98)를 구동시킬 수 있음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supporting bar 93 can be rotated inward and outward only by rotating the driving motor 97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thout us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for turning the supporting bar 93 inward and outward, Since the driving pulley 98 can be driven after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inwar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high.

10. 본체 20. 공급수단
30. 척 40. 가공유닛
50. 제어수단 60. 위치조절수단
70. 보조척 70. 보조가공유닛
A. 배출유닛 110. 배출컨베이어
10. Body 20. Supply means
30. Chuck 40. Processing unit
50. Control means 60. Positioning means
70. Auxiliary chuck 70. Auxiliary processing unit
A. Discharge unit 110. Discharge conveyor

Claims (3)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작업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금속봉체(1)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 후측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금속봉체(1)가 고정되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척(3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금속봉체(1)의 전단부와 둘레면을 가공하여 샤프트(3)의 반제품(2)을 제작한 후 잘라내는 가공유닛(40)과,
상기 공급수단(20)과 척(30) 및 가공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척(30)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금속봉체(1)의 상하면을 지지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금속봉체(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로울러(22)로 구성되어,
상기 금속봉체(1)를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척(30)의 전방으로 공급하도록 된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작업공간(11)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조절수단(60)과,
상기 척(30)과 마주보도록 상기 위치조절수단(60)에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척(30)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된 샤프트(3)의 반제품(2)의 전단부에 결합된 후 상기 반제품(2)이 상기 가공유닛(40)에 의해 절단되면 절단된 반제품(2)의 전단부를 지지하여 반제품(2)의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척(7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반제품(2)의 후단부를 가공하여 샤프트(3)를 완성하는 보조가공유닛(80)과,
상기 작업공간(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척(70)에 고정된 샤프트(3)를 넘겨받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A)과,
상기 배출유닛(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닛(A)에서 배출된 샤프트(3)를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1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닛(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금속봉체(1)의 지름에 비해 폭이 큰 개구부(92a)가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지지블록(92)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양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회동축(93a)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92)의 전면에 수직상태에서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지지바(93)와,
상기 지지바(93)에 연결되어 지지바(93)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94)와,
상기 회동중의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93b)에 원웨이베어링(9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구동축(95)과,
상기 구동축(95)에 연결되어 구동축(95)을 정역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모터(97)와,
상기 구동축(95)의 전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풀리(98)와,
상기 지지바(93)의 상단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종동풀리(99)와,
상기 구동풀리(98)와 종동풀리(99)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척(70)에 의해 공급된 샤프트(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벨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베어링(96)은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을 상호 고정하여 지지바(9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축(95)이 상기 지지바(93)가 내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기 구동축(95)과 회동축(93a)의 고정을 해제하여 구동축(95)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
A main body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ving a work space 11 formed therein,
A supply means 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for supplying the metal rod 1,
The metal rod 1 supplied by the supply means 20 is fixed to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rotation center ax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huck 30,
A processing unit 40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which processes the front end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rod 1 fixed to the chuck 30 to produce a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and,
And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20), the chuck (30) and the processing unit (40)
The chuck (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2) passing through its front and rear surfaces,
The feeding means (20)
A support table 21 provided to extend rearward and rearward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feed rollers 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supporter 21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rod 1 and rotated by a driving motor to feed the metal rod 1 forward Respectively,
Wherein the metal rod (1) is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chuck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positioned inside the work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The front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of the shaft 3, which is provided i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so as to face the chuck 30 and is fixed to the chuck 30 by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 auxiliary chuck 7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cut semi-finished product 2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cut by the processing unit 40 after being joined,
An auxiliary processing unit 80 provided inside the work space 11 and processing the rear end of the semi-finished product 2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to complete the shaft 3;
A discharge unit (A)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11) for passing a shaft (3) fixed to the auxiliary chuck (70)
And a discharge conveyor 110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unit A for discharging the shaft 3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discharge unit (A)
A support block 92 having an opening 92a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tal rod 1 and opening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etal rod 1,
The supporting block 92 is formed of a bar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supporting blocks 9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lock 92, A pair of support bars 93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in a vertical state,
A pair of elastic members 94 connected to the support bars 93 to elastically press the support bars 93 to rotate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A pair of drive shafts 95 rotatably coupled through a one-way bearing 96 to an engagement hole 93b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pair of drive motors 97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95 to rotate the drive shaft 95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 pair of drive pulleys 98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rive shaft 95,
A pair of driven pulleys 99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93,
And a pair of belts 100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iving pulley 98 and the driven pulley 99 and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shaft 3 supplied by the auxiliary chuck 70,
The one-way bearing 96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rotates outwardly,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ry shaft 93a are fixed to each other, When the drive shaft 95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93 is rotated inward, the drive shaft 95 and the rotation shaft 93a are released from the fixation of the drive shaft 95, Thereby rotating the steering shaft fre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척(70)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제품(2)이 삽입되는 결합공(71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결합공(7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73)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4)와,
상기 보조척(7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7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71b)에 반제품(2)이 삽입될 때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리니어스케일(7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에는 경보수단(51)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척(30)의 관통공(32)을 통해 금속봉체(1)가 척(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결합공(71b)에 금속봉체(1)의 전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척(70)을 후퇴시키고, 상기 리니어스케일(75)의 신호를 수신하여 금속봉체(1)에 의해 슬라이드블록(73)이 전방으로 밀려난 거리를 측정하여, 슬라이드블록(73)이 밀려난 거리가 미리 입력된 거리와 오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경보수단(51)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의 샤프트 가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chuck (7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71b) extending forward to insert the semi - finished product (2)
A slide block 73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ngagement hole 71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elastic member 74 provided inside the engagement hole 71b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slide block 73 to slide backward,
The linear block 73 is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uck 70 and connected to the slide block 73 to measure the distance that the slide block 73 slides forward 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2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71b. Further comprising a scale (75)
An alarm means (5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50)
When the metal rod 1 is suppli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chuck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chuck 30 by the supply means 20, The auxiliary chuck 70 is retracted such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etal rod 1 is inserted into the linear scale 75 and the slide block 73 is pushed forward by the metal rod 1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linear scale 75 And a warning is given to the operator by driving the alarm means (51) when an error is generated with a distance that the slide block (73) Processing equipment.
삭제delete
KR1020180026552A 2018-03-06 2018-03-06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KR101936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52A KR101936279B1 (en) 2018-03-06 2018-03-06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52A KR101936279B1 (en) 2018-03-06 2018-03-06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279B1 true KR101936279B1 (en) 2019-01-08

Family

ID=6502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52A KR101936279B1 (en) 2018-03-06 2018-03-06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2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47A (en) 2020-01-31 2021-08-10 오영택 Shaft rod manufactu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325A (en) * 1999-12-28 2001-07-06 Ngk Spark Plug Co Lt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enter electrode for spark plug
JP2012056000A (en) * 2010-09-08 2012-03-22 Citizen Holdings Co Ltd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of 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325A (en) * 1999-12-28 2001-07-06 Ngk Spark Plug Co Lt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enter electrode for spark plug
JP2012056000A (en) * 2010-09-08 2012-03-22 Citizen Holdings Co Ltd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of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47A (en) 2020-01-31 2021-08-10 오영택 Shaft rod manufact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657B1 (en) CNC machine
EP1155773A1 (en) Conveyor device with chain links driven by a toothed belt
CN109482716B (en) Punching machine
KR101936279B1 (en) steering wheel shaft processing apparatus
KR101885574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KR101844532B1 (en) Cutting and Processing System
CN111941026B (en) A equipment for abnormal shape pin
KR100873855B1 (en) Chamfering and Marking Machines
EP3838479A1 (en) Deburring machine for the finishing of elements made of wood, metal,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US54656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belt-shaped member
JPH02187301A (en) Wood working machine, especially chamferring machine
KR101791178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button
CN214054520U (en) Mechanical blanking feeding positioning device
US736939A (en) Grinding apparatus.
JP2020146858A (en) Double end tenoner
CN113103014B (en) Automatic production system for drilling tool base body pipe
CN220050817U (en) Automatic cutting and tapping equipment for round pipe workpiece
CN218904417U (en) Sheet positioning device
JPH079294A (en) Workpiece setting ruler in edge preparation machine
JPH0627234Y2 (en) Work feeder
CN217859130U (en) Transfer device for grooving workpieces
JPS5869005A (en) Improved split preventive device of automatic circulation woodworking machine
KR20000017667U (en) Automatic Edge Bending Machine With Assembly Having A Groove
JP2000117533A (en) Circular saw cutter
US1649854A (en) Machine for making multiple fastener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