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55B1 -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55B1
KR101935355B1 KR1020120026527A KR20120026527A KR101935355B1 KR 101935355 B1 KR101935355 B1 KR 101935355B1 KR 1020120026527 A KR1020120026527 A KR 1020120026527A KR 20120026527 A KR20120026527 A KR 20120026527A KR 101935355 B1 KR101935355 B1 KR 10193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ssage
devices
pres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4742A (en
Inventor
고경석
최환석
최인환
송원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5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message from at least one partn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Wi-Fi; determining whether the partner device that transmits the message supports the Wi- Checking whether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partner device conform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Wi-Fi service is supported, and setting a connection with the partner device if the signal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

Description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본 발명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에 지원 가능한 와이파이 서비스 기능을 상호 인지하고 그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Wi-Fi service function that can be supported between devices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ly. The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for example, a mobile phone including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a smart TV, and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최근 들어,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즉,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y, a wired network, which many people are using, is being replaced by a wireless network. That is, since the mobility restriction of the wired network can be solved by the wireless technology, many technologies using the wireless network are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spread and use of various mobile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융합(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TV의 경우에는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와이파이 접속 기능과 같이 인터넷 기능 등이 지원되어, 영상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In particular, recent portable terminals and multimedia devices are converging to the area of other terminals without staying in the conventional inherent domain. Typically, in the case of TV, intelligent network TV, which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 in addition t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supports internet function like Wi-Fi connection function while being faithful t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provides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ideo call an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re added.

한편,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휴대 단말이나 노트북 등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s also referred to as a Wi-Fi (Wireless Fidelity), which means that a wireless network can be conveniently used like a hi-fi audio. It is possible to use the Internet through a portable terminal or a notebook comput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mobile phone is installed.

특히, 휴대 단말의 대중화와 더불어 개방형 무선 네트워크로서 잠재성을 지닌 무선 랜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와이파이는 학교, 공항, 호텔, 사무실 등 도시 전체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with the popularization of portable terminals, wireless LANs with potential as an open wireless network are rapidly expanding, and WiFi is being used to provide high-speed data services throughout cities such as schools, airports, hotels, and offices.

그러나, 와이파이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에 따라 별도의 AP 없이 디바이스간 무선 통신만으로 직접 링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콘텐츠 시장이 급속하게 커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어 더욱 그러하다.However, if Wi-Fi is to be us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Internet can be us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centered on the place where the AP is installed. Accordingly, it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form a direct link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ly b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without a separate AP. Particularly, as the content market rapidly grows, the desire to share contents among multimedia devices is increasing.

그에 따라, 디바이스간 AP 없이 원하는 디바이스와 직접 연결을 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 등이 소개되고 있으나, 직접 연결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의된 바가 없어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 Accordingly, Bluetooth, Wi-Fi Direct technology that directly connects to a desired device without an AP between devices is introduced, but there is no definition of a method of selecting a device to be directly connected, which is inconvenient It is getting bigger.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에서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연결할 디바이스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선택이 용이하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검색된 디바이스가 많거나 동일 기종의 디바이스가 검색될 경우 어떤 디바이스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인지 찾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Generally, in order to form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link between devices in Bluetooth or Wi-Fi direct, a user has to select a device to be connected directly through a separate menu.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selection is easy because the user has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to be connected in advance, and when there are many devices searched or devices of the same model are searched, it is difficult to find out which device is to be connected .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디바이스간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in a device so that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link can be formed without a separate network equipment between the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디바이스간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정보를 상호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정의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protocol for mutually confirming Wi-Fi service support information so as to provide a Wi-Fi service capable of forming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link without a separate network equipment between devices.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무선 연결 링크를 수행하는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that automatically selects an optimal device that meets predetermined criteria among devices supporting Wi-Fi service and performs a wireless connection lin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message from at least one partn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Wi-Fi; determining whether the partner device that transmits the message supports the Wi- Checking whether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partner device conform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Wi-Fi service is supported, and setting a connection with the partner device if the signal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통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가 없어도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forming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link between devices without a separate network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원 정보를 상호 확인할 수 있어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를 빠르게 선택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a direct wireless connection link between devices without a separate network equipment, support information support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utually confirmed, You can choose to establish a conn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devices supporting the Wi-Fi service, the optimum device that meets predetermined criteria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to improve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device.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effects of the more specific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following t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연결 가능한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연결 환경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using Wi-Fi direc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operating a Wi-Fi service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operating a Wi-Fi service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rovide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firming whether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list of partner devices connectable in a device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sets a connection environment in a device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IPTV 등을 포함한 텔레비전 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a smart TV, a television including an IPTV, and the like.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Fi devic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송신측 역할을 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이하, '송신 디바이스'라 한다)(100)와, 수신측 역할을 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이하, '수신 디바이스'라 한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Fi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mitting device") serving as a transmitting side, a Wi-Fi device serving as a receiving side (200).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다수 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와이파이 모듈이 내장된 음악재생 플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 게임 단말, 프린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다양한 전자기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 개로서 설명한다.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device 200 may be a plurality of Wi-Fi devices. For example, the receiving device 200 may b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usic player having a Wi-Fi module, a display device, a portable game terminal, and a print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ceiv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as any one or more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above.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의 시스템은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00)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능을 지원하고, 다이렉트 접속(DA - Direct Access) 모드로 상호 간에 다이렉트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 간에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를 통하지 않고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1, a Wi-Fi-bas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Wi-Fi Direct func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100 and a receiving device 200, and a DA-Direct Access ) Mode to connect directly to each other. That is, FIG. 1 illustrates a relationship in which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in the direct connection mode. In this system, WiFi devices 100 and 200 located in close proximity can directly connect to a direct connection mode using a WiFi module without going through an access point (AP - Access Point).

그리고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은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수신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level, ToA(time of arrival) 값 등)를 식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자진 수신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ignal information (e.g., RX Gain, RSSI, ToA, Etc.) and determine the self-receiving device to have a signal strength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for a Wi-Fi service.

이와 같이,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로 통신한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함으로써, 근거리에 존재하고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determining the partner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Wi-Fi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t is possible to select a partner device that exists in the vicinity and can efficiently communicate.

또한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자신들이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지원 정보를 상호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00)에서 전달된 지원 정보를 식별한다. 그리고 송신 디바이스(100)는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 신호 세기로 선별한 결과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 중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utually transmit support information for the functions they support. Fo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based on a Wi-Fi service i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dentifies the suppo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200.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an select a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among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ccording to a result of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referring to the support information.

다만, 상대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기준은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선별한 후,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However, the criterion for selecting the partner device may be different in order, and the receiving device supporting the Wi-Fi service may be selected, and then the receiving device with the highest signal strength may be selected.

또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펌 웨어 형태 등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execution application for providing the Wi-Fi service may be embedded in a device in a firmware form or the like.

이러한 지원 정보 전달과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method for transferring the support informa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final destination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f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한편, 도 1에서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간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이 반드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의한 연결만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경우의 시스템과, AP를 통하여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간에 연결하는 시스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1,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are interconnected in a direct connection mode. However,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do not necessarily support a direct connection mode connection. That is,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ystem for us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system for connecting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through an AP.

예를 들어,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하고, 핫 스팟 지역에서 AP를 경유하여 중계기(예컨대, 라우터)를 통하여 인터넷 네트워크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AP가 구비되지 않은 지역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AP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호 간에 연결 설정이 곤란한 경우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사이의 AP를 통해 연결 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Fi devices 100, 200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via a repeater (e.g., a router) via an AP in a hot spot area. In this system,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can access the Internet network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n area where the AP is not provided. In addition,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can establish a connection through the AP between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to process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when the direct connection mode is not directly established between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1의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00)에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Wi-F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may be configured in common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00 of FIG. 1 as described abo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화면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부,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모듈, 마이크(MIC - Microphone)와 스피커(SPK - 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진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등)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2, the Wi-Fi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In addition, the Wi-Fi device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depending on its type. For example, the Wi - Fi device includes an audio processor (not shown)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creen data, a radio frequency (RF) module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 microphone (MIC)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functions,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for performing reception and rep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ing (e.g.,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AP 모듈(미도시)과 스테이션(STA - Station)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AP 모듈을 웨이크(wake)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거나 STA 모듈을 웨이크하여 비 AP(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supports an IP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Fi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AP module (not shown) and a station (STA - Station) module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operate in a non-AP mode (STA mode) by waking the AP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o operate in the AP mode or wake up the STA module.

본 명세서에서 상기 non-AP 모드(STA 모드)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바이스 측의 기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100)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on-AP mode (STA mode) represents a mode in which a Wi-Fi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device-side function in providing a Wi-Fi-based service. For example, it may represent a mode that operates as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AP 모드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AP 측의 기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200)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AP mode indicates a mode in which the Wi-Fi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function of the AP in providing a Wi-Fi-based service. For example, it may represent a mode operating as the receiving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대한 기술 규격은 Wi-Fi P2P(Peer to Peer)로 통칭된다. P2P 그룹 내부에서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망에서 AP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이를 P2P 규격에서는 P2P Group Owner(이하 GO)라고 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AP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디바이스가 P2P 그룹 내에서 GO인 경우를 포함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AP 모드, non-AP 모드, STA 모드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Meanwhile, the technical specification for Wi-Fi direct is referred to as Wi-Fi peer to peer (P2P). There is a device in the P2P group that plays the role of the AP in the existing infrastructure network, which is referred to as the P2P Group Owner (GO) in the P2P standard. Thus, operating in the AP mode herein includes the case where the device is GO in the P2P group. However, the AP mode, the non-AP mode, and the STA mode are distinguish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is specification.

상기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AP 모드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지원 정보에 대한 송신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AP 모드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가 포함된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AP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AP 모드에서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송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 메시지(예컨대, 프로브 요청 메시지 (Probe Request message))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제어부(140)가 전달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예컨대, 프로브 응답 메시지(Probe Response message))를 AP 모듈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cesses transmission of support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Wi-Fi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in the AP mode of the Wi-Fi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iodically broadcast a beacon message including support information of the Wi-Fi device in the AP mode through the AP modul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request message (e.g., a probe request message) from a Wi-Fi device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n FIG. 1) operating in a non-AP mode in the AP mode, (140).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support information of a Wi-Fi devic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40 (for example, a probe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AP module.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non-AP 모드에서 STA 모듈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수신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STA 모듈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지원 정보가 포함되어 전달되는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probe request message as described above to the other Wi-Fi device (for example, the receiving device 200 in FIG. 1) operating in the AP mode through the STA module in the non-AP mode of the Wi-Fi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beacon message or the probe response message including supporting information from the other Wi-Fi device operating in the AP mod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TA module, and may transmit the beacon message or the probe response message to the control unit 140.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roc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 and an 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컨 메시지, 프로브 요청 메시지, 프로브 응답 메시지,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 등의 메시지 송수신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messages such as the beacon message, the probe request message, the probe response message,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gain in a method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described later.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와이파이 기능 실행(예컨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 간 연결 설정을 위한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수행 등)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부(120)는 별도로 리모트 컨트롤러 형태로 구비되고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20 senses an operation of the user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pad for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related to a Wi-Fi function execution for using a Wi-Fi based service (for example, performing a Wi-Fi Protected Setup (WPS) functi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 Buttons, and the like. However, the input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ler, and the Wi-Fi devices 100 and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put signals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 통신부(110)에 의한 AP 모드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통신부(110)에 의한 non-AP 모드(STA 모드)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자동 인증(Auto Provision)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 전송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신호세기(RX Gain) 등)를 이용한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to be executed and processed in the Wi-Fi devi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volatile memory devices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Fi device,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AP mode operation control operation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non-AP mode (STA mode) operation control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Wi-Fi device, automatic information of the Wi-Fi device, support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Wi-Fi device, program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peration, (RX Gain), etc.), which is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or temporarily stored.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 결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threshold)을 저장할 수 있고,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정보 테이블과 관련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an optimal partner device, and may store an information table for providing support information of the Wi-Fi device. Hereinafter, the information tab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WPS 기능의 자동화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주기에 따라 통신부(110)의 AP 모듈을 웨이크하거나 통신부(110)의 STA 모듈을 웨이크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Fi device. The controller 140 can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function operations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of a Wi-Fi device and operations related to automated operation of the WPS functions of the Wi-Fi device. Also, the AP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wakened or the STA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wak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period.

그리고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의 운용 방식에 따라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AP 모드와 non-AP 모드(STA 모드)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비컨 메시지를 비컨 인터벌(beacon interval)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송할 때 상기 비컨 메시지에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 mode and the non-AP mode (STA mode) of the Wi-Fi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beacon message is periodically broadcast according to a beacon interval when operating in the AP mode as a Wi-Fi device, the control unit 140 stores the manufacturer information of the Wi-Fi device in the beacon message, Including support information for functions and capabilities.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non-AP(STA 모드)로 동작하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Fi device is operating in the AP mode, when receiving the probe request message from the partner Wi-Fi device operating in the non-AP (STA mode), the controller 140 adds the probe response message to the Wi- Manufacturer information, and support information on functions and capabilities supported by the Wi-Fi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AP 모드로 동작하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지원 정보를 체크하여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Wi-Fi device is operating in the non-AP mode (STA mode), the controller 140 receives suppor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when receiving a beacon message or a probe response message from a partner Wi- You can check to see the features and capabilities that your peer WiFi device supports.

특히,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서비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와 같이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an optimal counterpart WiFi device for a Wi-Fi-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by referring to the suppor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unterpart Wi-Fi device at the time of execut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Wi-Fi service.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요청된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1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선별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 등)를 식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can primarily select a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quested specific service by referring to the support information of the beacon message or the probe response messag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rimary sorting,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final destination device for Wi-Fi service by identifying signal information (e.g., received signal strength, etc.) of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디오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획득된 지원 정보를 체크하여 비디오데이터의 출력 기능을 가지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후 비디오 데이터를 결정된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can control Wi-Fi servic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rtner device and the execution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video data reproduc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heck the acquired support information to determine a relative Wi-Fi device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video data. Then,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video data to the determined relative Wi- So that it is possible to output video data through the partner Wi-Fi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경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한 연결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위해 정의된 방식에 따라 핀 코드 또는 입력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rtner Wi-Fi device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40 can control connection establishment by transmitting / receiving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Wi-Fi device operates in the non-AP mod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PIN code or an input command code according to a method defined for the Wi-Fi Protected Setup (WP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의 핀 코드 또는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을 위한 핀 코드를 자동 입력하거나, WPS 기능을 위한 입력 메뉴 활성화를 제어하여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WIFI device operates in the AP mode, the control unit 140 automatically inputs a PIN code for the WPS function according to a pin code or an input command code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정의된 지원 정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 간에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원 정보에 의한 동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에 의한 자동 인증으로 WPS 기능의 자동화에 따른 연결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Wi-Fi devices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upport information defined in the beacon message or the probe response me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ame Wi-Fi service is provided while supporting information is provided, connection establishment according to automation of the WPS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automatic authentication by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various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the normal function of the Wi-Fi device.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모든 정보통신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에 대한 응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게임 단말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i-Fi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 devices therefor. For exampl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cellular phone,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 digital broadcasting play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music player (e.g.,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gam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Fi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s TV (Television), Large Format Display (LFD), Digital Signage (DS), media pole, PC-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Hereinafter, an intelligent network TV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a Wi-Fi device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TV, and all devices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FIG. 3 is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lete some configuration modules or add new configuration modules according to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방송수신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메모리(340), 컨트롤러(350), 유저 인터페이스(360), 디스플레이부(370), 오디오출력부(38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3, a device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er 310, a network interface 3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a memory 340, a controller 340, A user interface 360, a display unit 370, an audio output unit 380, and a power supply unit 390.

방송수신부(310)는 방송수신모듈(미도시), 디코더(미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방송수신모듈과 디코더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구비하면서 방송수신모듈과 디코더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3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not shown), a decoder (not shown), and a network interface 32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design not to include the network interface 320 while having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and the decoder, if necessary. Alternatively, the network interface 320 may be designed so as not to includ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and the decoder It is possible.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외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지상파,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소스 디바이스는 방송국, 케이블 사업자, VOD 사업자 등의 서버 또는 위성일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The broadcast signal includes all signals such as terrestrial waves, satellite broadcasts, and cable broadcasts,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may be a server or satellite of a broadcasting station, a cable operator, a VOD provider,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튜너,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또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 tuner for selecting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viously stored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 network interface 320 or a tuner And a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the audio data and the video data included in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The demultiplexer demultiplexes the digital IF signal DIF and demodulates the digital IF signal DIF.

상기 디코더는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한다. The decoder includes an audio decoder and a video decoder, wherein the demultiplexed audio data is decoded in the audio decoder and the demultiplexed video data is decoded in a video decoder.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컨트롤러(350)로 입력되고, 상기 컨트롤러(350)는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부(3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380)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decoded audio data and video data are input to a controller 350. The controller 350 performs an additional operation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37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380 d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방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외부 신호에 대응한 다른 종류의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신호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Thu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the broadcast program content according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It also includes playing back other kind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external signal can b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20 described lat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3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i-Fi), Wi-Fi Direct,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0)는 도 2에서 설명한 통신부(110)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가 본 발명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2, and when the network interface 320 uses Wi-Fi dir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nterface 390 searches for at least 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via Wi-Fi direct .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스케줄 정보는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스케줄 정보를 공유할 때 방송 스케줄 정보도 함께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320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a network, and receive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The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40 so that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may be shared whe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shared.

상기 메모리(3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340 may be implemented by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r the like. The memory 3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350, It can also be saved.

또한,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340 may also function as a temporary storage of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or the network interface 320. Further, the memory 340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that are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or the network interface 320.

또한, 상기 메모리(340)는 도 2에서 설명한 저장부(130)일 수 있다. Also, the memory 340 may be the storage unit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외부 장치와 디바이스(3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evice 3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50) 또는 메모리(3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D (Blu-ray Disc, Blu-ray Disc) player,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hav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may receiv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forward it to the controller 350 or the memory 340.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35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3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3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36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35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35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36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0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The control signal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or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5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400. [

디스플레이부(370)는 컨트롤러(3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7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7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350 or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330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 The display unit 37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오디오출력부(380)는 컨트롤러(35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3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380 receives a voice processed signal,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50, and outputs the voice. The audio output unit 38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전원공급부(390)는 디바이스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35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7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3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90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throughout the device. For example, a controller 350,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unit 370 for video display, and an audio output unit 380 for audio output, Can be supplied.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36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4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360. For this purpose, the remote controller 400 may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R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컨트롤러(350)는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140)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may be the controller 1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도 4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using Wi-Fi direct.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는 크게 두 단계(phase)의 연결 과정을 갖는다. 첫째로, 두 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서로 상대방을 발견(find)을 하는 단계이고, 둘째로, 서로 발견된 디바이스들 간에 P2P GO 또는 P2P 틀라이언트의 역할을 결정하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단계로 구성된다. 이를 기초로, 도 4를 참조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A device using Wi-Fi direct has two phases of connection process. First, two WiFi devices are found to discover each other, and second, a group formation step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ole of a P2P GO or P2P client among the devices found to each other . On this basis, an embodiment for setting up a Wi-Fi direct connec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via Wi-Fi dir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송신 디바이스는 기존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AP 등을 찾는 과정과 같은 검색(Scan) 동작을 수행하는데(S400), 상기 검색(Scan) 절차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The transmitting device performs a scanning operation such as searching for an AP and the like in an existing Wi-Fi device (S400). There are two types of the scanning procedure.

첫 번째는 능동 검색(Active Scan) 방법이다. 능동 검색 방법은 연결 설정하고자 하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먼저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AP 모드의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수신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통해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first is an active scan method. In the active search method, a non-AP mode Wi-Fi device to be connected first transmits a probe request message to a relative Wi-Fi device in the AP mode. The probe request message may include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requested by a non-AP mode Wi-Fi device. Upon receiving the probe request message, the AP mode Wi-Fi device transmits a probe response message to the non-AP mode Wi-Fi device in response to the probe request message. The probe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a WIFI direct connection. Accordingly, the non-AP mode Wi-Fi device can obtain the list of candidate Wi-Fi devices through the received probe response message.

두 번째는 수동 검색(Passive Scan) 방법이다. 수동 검색 방법은 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존재와 지원 능력(신호 세기, 사용 가능한 비트레이트(bitrate) 등)을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에게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비컨 메시지를 전송하는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리스트와 더불어,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또는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 정보와 능력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The second is a passive scan method. The manual search method is a method of using a beacon message transmitted from a Wi-Fi device operating in the AP mode. The beacon message indicates a value transmitted from the AP mode Wi-Fi device. This beacon message can be periodically broadcast to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presence and support capability (signal strength, available bitrate, etc.) of the AP mode Wi-Fi device. According to this, the Wi-Fi device operating in the non-AP mode (STA mode) provides a list of candidate Wi-Fi devices for transmitting a beacon messag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network connection through the candidate Wi-Fi device, and / Service type information and capabilit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능동 검색 방식에서의 동작과 수동 검색 방식에서의 동작을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n the active search method and the operation in the manual search method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만, 검색 절차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수신(Liste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0). 3개의 소셜 채널(social channel) 중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여 수신 상태로 유지되다가 만약 다른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탐색 상태에서 전송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로브 응답 메시지로 응답한다. However, if the WiFi direct device can not be searched in the search procedure, a Liste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400). Only one of three social channels is selected and maintained in a reception state, and if a prob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nother Wi-Fi device in a search state is received, the probe response message is transmitted.

상기 수신(Listen) 절차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탐색(Search)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0).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능동 탐색을 실시하는데, 이때 빠른 탐색을 위하여 탐색의 범위를 한정하여 채널 1, 6, 11의 소셜 채널을 사용하여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If a device is not found in the Listen procedure, a sear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probe request message (S400). The probe request message is used to perform an active search. In this case, a search can be performed using the channels 1, 6, and 11 by limiting the range of the search for a fast search.

상대 디바이스가 발견되면(S410), 서비스를 이용할 디바이스가 어떤 종류의 규격을 가지는지 알아볼 수 있고, 호환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 내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른 디바이스에서 호환이 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다. When a partner device is found (S410), it is possible to know what kind of standard is used for a device to use the service, and service discovery for confirming a compatible service can be u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ervice provided inside the device is compatible with another device.

이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존재 확인이 완료되면, 그룹 형성 단계로 진입한다. 발견된 상대 디바이스가 GO인지 아닌지 판단하여(S420), GO가 아닌 경우(S420-NO) GO 협상(negotiation)을 수행한다(S430). GO 협상 단계에서는 서로의 디바이스가 P2P GO 또는 P2P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협상하고 P2P 그룹 내부에서 사용할 동작 채널(operaing channel)을 설정하게 된다. When the existence confirmation of the partner device is completed, the group forming step is ente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und partner device is GO or not (S420). If not (S420-NO), GO negotiation is performed (S430). In the GO negotiation phase, each device negotiates a role as a P2P GO or P2P client and sets an operation channel to be used in the P2P group.

상대 디바이스가 GO이거나(S420-YES), GO 협상이 완료되면 WPS(Wi-Fi Protected Setup)를 수행한다(S440). GO가 클라이언트를 인증(authentication) 등을 해주기 위한 과정으로 PIN, PBC, NF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링크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If the partner device is GO (S420-YES), the WPS (Wi-Fi Protected Setup) is performed when the GO negotiation is completed (S440). The GO can use PIN, PBC, NFC, etc. to process the client authentication. Through this process, link setting can be completed.

다만, 이때, 발견된 상대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해야만 하는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불편함이 있어 자동으로 특정 디바이스를 연결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owever, in this cas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discovered partner devices, the user must select a partner device to connect to, and if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partner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and a specific device is automatically connec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송신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로 동작하는 다수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을 나타낸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operating a Wi-Fi service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he transmitting device 100 represents a Wi-Fi device operating in a non-AP mode (STA mo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ceiving devices 200 include a plurality of Wi-Fi devices operating in the AP mode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의 검색을 위해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S500). 본 명세서에서 프로브 요청 메시지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송신 디바이스(100))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서비스(예컨대,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 실행, 재생, 출력, 저장 등의 요청 기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의 검색하기 위해 와이파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transmitting device 100 broadcasts a probe request message to search neighboring Wi-Fi devices (S500). The probe request message is used herein to refer to a specific service requested by a Wi-Fi device (e.g., transmitting device 100) in non-AP mode (e.g., requested function information such as data execution, playback, . ≪ / RTI > In this way, you can run Wi-Fi-based applications to search for Wi-Fi devices.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510). 이때, 본 발명의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이용하여 제조사 정보, 지원하는 기능 및 역량의 지원 정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지원 정보 등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들(200) 중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210)와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230, 250)가 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수신 디바이스(2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반면, 다른 수신 디바이스들(230,250)은 표준 규약에 따르는 일반적인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eceiving devices 200 having received the probe request message transmit the probe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probe request message (S510). At this time, the receiving device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ine and transmit manufacturer information, supporting functions and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service, and the like using a specific field of the probe response messag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is a device 210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receiving devices 200 and a device 230 and 250 not providing the device, the receiving devic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probe response Th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defined and transmitted in a specific field of the messag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and FIG. On the other hand, the other receiving devices 230 and 250 can transmit a general probe response message conforming to the standard protocol.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수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프로브 응답 메시지들이 수신되면, 각 프로브 응답 메시지들의 특정 필드를 체크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판별한다(S520).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의된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210)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probe response messages are received from the neighboring receiving devices 200,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hecks a specific field of each probe response messag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ing device supports the Wi-Fi service (S520). Accordingly, referring to the support information defi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ceiving device 210 supporting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한편, 송신 디바이스(100)는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일 때(예컨대, 수신 디바이스(210), 수신 디바이스(230)), 해당 수신 디바이스들(210, 230)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여(S530), 조건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를 상대 디바이스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S540). When the number of receiving devices supporting the requested service is plural (for example, the receiving device 210 and the receiving device 230), the transmitting device 100 transmits the rece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devices 210 and 230 (S530), and finally the device conforming to the condition can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opponent device (S540).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수신 디바이스들(210,230)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level, ToA(Time of Arrival) 값 등)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송신 디바이스(100)는 신호 정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상대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that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devices 210 and 230 (for example, RX gai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level, ToA (Time of Arrival)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a device having the highest signal information as a final destination devic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signal information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10)가 결정될 경우, 결정된 수신 디바이스(210)와 와이파이 연결 설정을 위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S550).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자동 인증에 의한 자동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자동 연결 요청 및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 또는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에 따라 무선 암호화 설정을 위한 핀 코드 또는 버튼 입력 명령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device 210 is determined, the transmitting device 100 transmits an 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 for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with the determined receiving device 210 (S550). In this specification,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dicates a message for requesting automatic connection establishment by automatic authentication with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connection request And setting data in advance as promised standards.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PIN code or a button input command code for setting a wireless encryption according to a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method or a PBC (Push Button Configuration) method.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56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 시 PIN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코드를 이용한 자동 입력에 의하여 송신 디바이스(100)와의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BC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에 대응하는 버튼의 자동 활성화에 의하여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transmits an 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S560).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prepares the connection setting with the transmitting device 100 by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IN code included in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IN method upon receipt of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 respons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lternatively, upo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may prepare the connection setting by automatically activat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WPS function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command code included in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BC method, A response message can be transmitted.

그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570).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실행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S580).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for Wi-Fi communication by comple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and complete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S570) . When the connection setting is comple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or the like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S58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에 의해 비디오데이터 재생이 요청되고, 송신 디바이스(100)가 화면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 간에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질 경우, 수신 디바이스(2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비디오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한 송신 데이터(100)는 수신된 비디오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video data reproduction is requested by the receiving device 210, and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screen data.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setting by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by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device 210 transmits the video data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0 ). Then, the transmission data 100 receiving the video data can output the received video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 송신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로 동작하는 다수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을 나타낸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operating a Wi-Fi service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he transmitting device 100 represents a Wi-Fi device operating in a non-AP mode (STA mo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ceiving devices 200 include a plurality of Wi-Fi devices .

먼저,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수신 디바이스들(200)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S500), 상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비컨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송신 디바이스(100)의 비컨 메시지 수신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전에 수행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방송하며,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그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First,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an receive a beacon messag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surrounding receiving devices 200 (S500). The receiving devices 200 can periodically broadcast a beacon message have. Accordingly, reception of the beacon message of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prior to execution of the Wi-Fi-based application to provide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performed after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at is, the beacon message periodically broadcasts the Wi-Fi device in the AP mode, and the Wi-Fi device in the non-AP mode can periodically receive the beacon message.

상기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들(210, 230)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 level, ToA 값) 등)를 식별하여 수신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S610).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신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조건으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20). Upon receiving the beacon message,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dentifies signal information (e.g., received signal strength (RX Gain, RSSI level, ToA value) of the receiving devices 210 and 230) (S610). ≪ / RTI > In operation S620,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selecting a receiving device having a threshold value or more on condition that the signal information has a predetermined threshold or more, and transmitting the probe request message.

다만,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송신 디바이스(100)는 신호 정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상대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최종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210)인 것을 가정한다. Howev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signal information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a device having the highest signal information as the final destination device. It is assumed that the partner device finally determi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he receiving device 210. [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30). 이때,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 및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제조사 정보, 지원하는 기능 및 역량의 지원 정보 등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일반적인 디바이스는 표준 규약에 따르는 일반적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eceiving device 210 receiving the probe request message transmits the probe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ing device (S63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fine and send manufacturer information, supporting functions and capability information to specific fields of the probe request message and the probe response message. Accordingly, the device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ine and transmi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n a specific field of a probe request message or a probe response message, and a general device can transmit a general message conforming to a standard protocol.

그에 따라, 상기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대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판별하고(S640),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와이파이 연결 설정을 위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 device supports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obe response messag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device 210 (S640). If the receiving device 210 supports the WiFi service,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s transmitted (S650).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자동 인증에 의한 자동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자동 연결 요청 및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PIN 방식 또는 PBC 방식에 따라 무선 암호화 설정을 위한 핀 코드 또는 버튼 입력 명령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dicates a message requesting automatic connection establishment by automatic authentication with a predetermined standard in advance. When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about it is included in the promised standard in advance.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pin code or a button input command code for setting a wireless encryption according to a PIN scheme or a PBC scheme.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66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IN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코드를 이용한 자동 입력에 의하여 송신 디바이스(100)와의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BC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에 대응하는 버튼의 자동 활성화에 의하여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transmits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ing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S660).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prepares the connection setting with the transmitting device 100 by automatically inputting the PIN code included in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IN method upon receipt of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 respons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lternatively, upon receiving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the receiving device 210 may prepare the connection setting by automatically activat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WPS function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command code included in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PBC method, An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can be transmitted.

다음으로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술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670).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실행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간 송수신할 수 있다(S680). Next,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may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for Wi-Fi communication by completing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and may complete the mutual connection establishment (S670) . When the connection setting is comple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or the like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device 210 (S68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프로브 요청 메시지 내의 특정 필드(710)에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정의해둔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n example of defining service information to be supported in a specific field 710 in the probe request message, and it can be determined by using a message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값 필드(710)을 'Requested Device Typ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속성값 필드(710)가 'Requested Device Type'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정보가 정의되는 서비스 정보 필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면 '1'또는 'TRUE', 제공하지 않으면 '0' 또는 'FALSE'값을 가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속성값(710)이 필수인지 선택인지 정의하는 필드(720)에 선택(optional)으로 설정하고, 내용 필드(730)에 속성값에 대한 설명을 저장해둘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attribute value field 710 may be defined as a 'Requested Device Type'. The 'Requested Device Type' field of the attribute value field 710 indicates a service information field in which Wi-Fi service sup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When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or 'TRUE' If not, it can be defined to have a value of '0' or 'FALSE'. An optional value may be set in the field 720 defining whether the attribute value 710 is mandatory or optional and a description of the attribute value in the content field 730 may be stor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정보 속성 포맷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자동 인증을 통하여 연결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n example of a device information attribute format in a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In the case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is completed through automatic authentic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명이 ''Number of Secondary Device Types'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라 값을 달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값이 '0'이면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인증 및 연결을 수행하고, 그 값이 '0'이 아니면 'Secondary Device Type List' 필드 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인지 확인하여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eld name can be set to '' Number of Secondary Device Types '' according to whether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r not. Accordingly, if the value is '0', authentication and connection are performed according to a general procedure. If the value is not '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using the 'Secondary Device Type List' And transmits and receives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and an automatic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for WiFi communication and complete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two.

이와 같이,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 또는 디바이스 속성 정보의 특정 필드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 인증 수행 등을 수행하여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through a specific field of a messag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r a specific field of device property information, and perform automatic authentication or the like to establish a connection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There are advantages.

다만, 이러한 방법 이외에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이 서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Wi-Fi Protected Setup (Wi-Fi Protected Setup) IE (Information Element) can be used to search for services available to the devices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도 9는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100)가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S910), 수신 디바이스(200)는 상기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920). 상기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와 같이 지원하는 서비스인지 확인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firming whether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As shown in FIG. 9,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100 transmits a service search request message (S910), the receiving device 200 generates and transmits a service search response message in response to the service search request message ( S920). The service search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ervice to be supported such as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WPS IE는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 및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를 패킷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의미하고,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PS IE can be used to packetize the service search request message and the service search response message, which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service search, respectively. That is, the service search request message means a probe request message including a WPS IE including a data field for a service search request, and the service search response message includes a probe including a WPS IE including a data field for a service search response Response messag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상기 도 10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FIG.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the Wi-Fi device may correspond to a device operating in a non-AP mode (STA mode).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주변에 존재하는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0). 상기 수신한 메시지는 상대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컨 메시지와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Wi-Fi device operating in the non-AP mode receives a message from at least one partn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Wi-Fi network existing in the vicinity (S1000). The received message may be either a beacon messag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partner device and a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y the partner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to the partner device.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AP mode periodically receive the beacon messages broadcasted, or the peripheral Wi-Fi devices in the AP mode transmit the beacon messages in the non-AP mode in response to the probe request message And receive a probe response message.

상기 메시지 수신시, 상대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010).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서 미리 정의된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messa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rtner device supports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10).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received message by using a predefined service information field.

상대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한다(S1020). 상기 신호 정보가 신호 세기에 대하여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When the partner device supports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partner device conforms to a preset condition (S1020). If the signal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the signal strength, it can be checked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한다(S1030). 이때, 미리 정의된 규약에 따른 자동 인증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을 설정한다. 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 connection with a partner device is established (S 1030). At this time, if a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execution of a WPS (Wi-Fi Protected Setup) function is transmitted to the partner device by automat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tocol, and if a response message for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Set up connection by automatic authentic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과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나, 도 10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이다. 그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100)가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200) 중 다이렉트 접속에 따른 연결 설정을 수행할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a Wi-Fi device may correspond to a device operating in a non-AP mode (STA mode), but unlike FIG. 10,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final destination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setup according to the direct conn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200. [

먼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1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First, a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partner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Wi-Fi (S1100). As described above, the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AP mode may periodically broadcast a beacon message, or the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AP mode may receive the beacon message broadcasted by the neighboring Wi- Message can be received.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수신한 메시지의 기설정된 필드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110), 이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지 판별한다(S1120). The control unit of the Wi-Fi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Wi-Fi device supports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ecking a predetermined field of the received message (S1110), and discriminates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determined to support the Wi- (S1120).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상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신호 정보를 확인하여(S1130).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S1140).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신호 정보는 수신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 정보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신호 세기를 판별하는 규약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내에 각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정보들 중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각 디바이스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신 신호 세기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tner devices is checked (S1130). A device having the signal information whose signal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can be selected (S114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ed signal strength, bit rate, and the like, and the signal information may be acquired according to a protocol for determining signal strength in a Wi-Fi device. Or may further include signal information (e.g., signal strength, bit rate, etc.) of each of the devices in the messag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f the Wi-Fi device can select a device having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among the sign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dentif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each device, and compare the identified received signal strength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기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선별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다수 개인지 판별하여(S1150), 다수 개인 경우,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S1160), 최종 디바이스로 결정한다(S1170).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최고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arily selected devices by using the signal information (S1150), if there are a plurality of devices, a device having signal information of the highest value is selected (S1160) ). For example, a device with the highest received signal strength can be selected as the final device.

한편, 선별된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기준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르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의 연결 회수 등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lected devices, it is possible to select a specific device through a different criterion in addition to a method of selecting a device having signal information of the highest valu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a selection of a user, a type of a device, a number of times of connection of a device, and the lik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나, 도 11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 설정을 수행할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e Wi-Fi device may correspond to a device operating in a non-AP mode (STA mode). However, unlike FIG. 1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providing a Wi-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inal partner device to perform the connection setting.

먼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First, a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partner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via Wi-Fi (S1200). As described above, the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AP mode may periodically broadcast a beacon message, or the neighboring Wi-Fi devices in the AP mode may receive the beacon message broadcasted by the neighboring Wi- Message can be received.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수신한 메시지의 기설정된 필드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210), 신호 정보를 확인하여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한다(S1220). 즉,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대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Wi-Fi device checks a predetermined field of the received messag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S1210), checks the signal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ignal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S1220 ).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device having signal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among partner devices determined to support the Wi-Fi service.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신호 정보는 수신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 정보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신호 세기를 판별하는 규약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내에 각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신호세기, 비트 레이트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정보들 중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ed signal strength, bit rate, and the like, and the signal information may be acquired according to a protocol for determining signal strength in a Wi-Fi device. Or may further include signal information (e.g., signal strength, bit rate, etc.) of each of the devices in the messag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f the Wi-Fi device can select a device having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among the signal information.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면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상대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지 판별한다(S1230). 상대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 경우, 취합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1240),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상대 디바이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counterpart devices meeting the predetermined condition (S1230).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a list of collected devices is displayed (1240), and control can be made so that the partner device can be manually selected by the user.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연결 가능한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단말(1300)인 경우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list of partner devices connectable in a device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 case where the device providing the Wi-Fi service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0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정보를 수신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수 개의 상대 디바이스들 중에서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1순위로 추천하고(1310), 나머지 상대 디바이스들은 신호 세기 기준으로 후보 리스트(132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환경 설정 메뉴(1330)를 통하여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우선 순위를 새로 설정하거나, 신호 정보에 대한 임계값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As shown in FIG. 13, when sig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 device having the highest signal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counterpart devices is recommended as a first rank (1310) And generates and displays a candidate list 1320 based on the intensity. However, as shown in FIG. 13, it is possible to newly set the priority to determine the partner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menu 1330, or to set a threshold value for the signal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별도의 다른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1순위로 추천한 디바이스(1310)를 자동으로 최종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Also, when the user does not have any other selection for the preset time period,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lect the device 1310 recommended in the first place as the final device and establish the connection.

그리고,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 경우에 대해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신호 정보만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다수 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는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별도로 표시(예를 들어, '자동 연결 가능', '자동 인증 가능', '본 서비스 제공 기기' 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실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13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devices support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candidate list. However, unlike the above, by checking only the signal information, a list is generated for a plurality of devices meeting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whether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xample, Connection can be made, '' automatic authentication is possible, '' this service providing device ', etc.) so that the service execu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 디바이스를 연결할 최종 디바이스로 결정하고(S1250), 결정된 최종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한다(S1260). In step S1250, the device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as the final device to be connected, and a connection with the determined final device is established in step S126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연결 환경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단말(1400)인 경우로서, 도 13에서 연결 환경 설정 메뉴(1330)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sets a connection environment in a device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when the device providing the Wi-Fi service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400 and is selected when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menu 1330 is selected in FI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신호 세기 설정 메뉴(1410)를 통하여 임계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 이전에는 기설정된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when it is desired to select a partner device having a signal strength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partner device, the user can reset the threshold value through the signal strength setting menu 1410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t the default value before the setting of the user.

다만,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는 경우 신호 세기로 나타내면 사용자가 임계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통신하고자 하는 거리를 설정하도록 하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거리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하기 용이한 신호 세기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임계값에 해당하는 신호 세기(Pr)는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R)를 이용하여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However, if it is set by a us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much is appropriate for the user to set a threshold value by expressing the signal strength. Therefore, a distance to be communicated may be set, and the device may set up a WiFi direc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ignal strength that is easy to be stored and store it in the memory. Accordingly, the signal intensity P r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alue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using the distance R input by the user.

Figure 112012020956043-pat00001
Figure 112012020956043-pat00001

(Pt는 transmit power, Gt 및 Gr은 gain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λ는 c/f이고, c는 light velocity, f는 frequency)(P t is transmit power, G t And G r is the gain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l is c / f, c is light velocity, f is frequency)

예를 들어, 임계값 산출을 위한 기본 조건이 Pt = 15㏈m, Gt = 0㏈i, Gr = 0㏈i, f = 2412 ㎒이고,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R)가 30㎝ 거리라고 하면, Pr 값은 약 -14㏈m 이 되므로 +/- 의 약 3㏈ 정도의 오차를 고려하면 약 50cm 이내에서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basic conditions for threshold calculation are P t = 15 dBm, G t = 0 dBi, G r = 0 dBi, f = 2412 MHz and the distance R input by the user is 30 cm If the distance is P r, the value of P r is about -14 dBm. Therefore, considering the error of about 3 dB of +/-, the relative device is selected within about 50 cm.

이와 같이, 신호 세기의 임계값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 이외에, 상대 디바이스의 종류(1420)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기기에 대해서 적용되도록 할 수 있고, 휴대폰, PC, TV 등 특정 디바이스 종류들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디바이스 종류들만 적용되도록 하는 경우, 수신한 메시지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식별하여 서비스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 종류별 임계값 설정 즉 최대 신호 세기값(1430)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Thus, in addition to setting the threshold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by the user, the type of the partner device 1420 can also be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4,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capable of Wi-Fi service, and only specific device types such as a mobile phone, a PC, and a TV can be applied. If only specific device types are to be applied, device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in the received message to determine whether the service is applicable. In addition, the threshold setting for each device type, that is, the maximum signal strength value 1430, can be set differently.

이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연결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user to set the kind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rtner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priority can be given in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partner device.

또한, 도 14에서는 단말기의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적용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에 대해서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에 따라 연결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FIG. 14, the user sets the type of the terminal, the signal strength, and the like as one embodiment, but the contents that the user can se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t an area to which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prioritize the terminal type, signal strength, and the like to set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단말기 종류를 1순위로, 신호 세기를 2순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것을 가정한다. 1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 종류가 TV인 경우, 다수 개의 상대 디바이스들 중 TV가 있다면 TV를 상대 디바이스로 최종 결정하면 된다. 그러나 TV가 여러 개이거나 모두 TV가 아닌 경우라면,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최종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providing the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types are set to the first priority and the signal strength is set to the second priority. If the terminal ty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k is TV, if there is a TV among a plurality of partner devices, the TV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a partner device. However, if there are multiple TVs or none of them, then the final devi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signal strength.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Furthermore, although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ew embodiment to be implemented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Wi-Fi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Wi-Fi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network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both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of the method are explain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two inventions can be supplementarily applied as necessary.

100, 200 와이파이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00, 200 Wi-Fi devices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Storage unit 140 Control unit

Claims (5)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GO (Group Owner)이면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클라이언트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GO가 아니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GO를 설정하기 위한 협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Wi-Fi service in a first device,
Receiving a message from at least one second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Fi;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message supports the Wi-Fi service;
Forming a group with the second device;
Checking whether signal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conform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Wi-Fi service is supported; And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device if the signal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rein forming a group with the second device comprises:
Wherein if the second device is a GO (Group Owner), the first device is set as a client, and if the second device is not a GO, a negotiation for setting a GO with the second device is performed How to provide WiFi services on you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비컨 메시지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the message comprises:
Wherein the first device receives the beacon messag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and the response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device, How to prov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서 미리 정의된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
And using the predefined service information field in the received message to provide a WiFi service in the firs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정보가 신호 세기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체크하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conform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comprises:
And checks that the signal information meets a predetermined condition if the signal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the signal streng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기정의된 규약에 따른 자동 인증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tablishing of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device comprises: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execution of a WPS (Wi-Fi Protected Setup) function to the second device by automat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by automatic authent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when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request message.
KR1020120026527A 2012-03-15 2012-03-15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KR101935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en) 2012-03-15 2012-03-15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en) 2012-03-15 2012-03-15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42A KR20130104742A (en) 2013-09-25
KR101935355B1 true KR101935355B1 (en) 2019-01-04

Family

ID=4945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en) 2012-03-15 2012-03-15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4446A1 (en) * 2013-12-16 2015-06-25 Intel Corporation Remote wakeup for wi-fi devices
KR102450686B1 (en) * 2019-12-30 2022-10-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wireless connection between mulple termina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46A1 (en) 2002-12-30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devices in wireless LAN home network environment
US20050078644A1 (en) 2003-10-14 2005-04-14 Intel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US20060221919A1 (en) 2005-04-05 2006-10-05 Mcrae Matthew B Wireless connection selection and setu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844B1 (en) * 2010-05-14 2017-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OF Wi-Fi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46A1 (en) 2002-12-30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devices in wireless LAN home network environment
US20050078644A1 (en) 2003-10-14 2005-04-14 Intel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US20060221919A1 (en) 2005-04-05 2006-10-05 Mcrae Matthew B Wireless connection selection and set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42A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8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OF Wi-Fi DEVICE
KR1016823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OF Wi-Fi DEVICE
US10091047B2 (en) Connecting devices to networks
KR101700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EP2723108B1 (en) Wi-Fi P2P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602051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udio/video stre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92805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mobi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06609B1 (en) A mobile device, an electronic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therefor
CN102651901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755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4207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35355B1 (en) 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KR201300423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000004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O20150371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WO202318184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14676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40041241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KR20100073716A (en) Network acces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0720A (en) Apparatus for enabling intuitiv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