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00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000B1
KR101935000B1 KR1020180025913A KR20180025913A KR101935000B1 KR 101935000 B1 KR101935000 B1 KR 101935000B1 KR 1020180025913 A KR1020180025913 A KR 1020180025913A KR 20180025913 A KR20180025913 A KR 20180025913A KR 101935000 B1 KR101935000 B1 KR 10193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thumbnail imag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9002A (en
Inventor
은동진
김학준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00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5/23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기기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Discloses a device control method for identifying a registered device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identified devi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identified device.

Description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한 영상에서 인식된 기기의 컨텐트를 표시하고, 이를 연결된 다른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a device recognized in an image through a camera and playing the content on another device connected thereto, and ≪ / RTI >

최근 증강 현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회적, 문화적으로 많은 활용이 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출시되면서 증강 현실 관련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일본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t has become widely used in social and cultural term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related application software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with the launch of high performance smartphones or tablet PCs. 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ique for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It is also referred to as Mixed Reality (MR) because it combines the virtual worlds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m as one image. The hybrid VR system is a hybrid VR system that combines the real environment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Since the late 1990s,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Augmented reality,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real world with a virtual world, uses a virtual environment created by computer graphics, but the protagonist is a real environment. Computer graphics serv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needed for the real world. By overlapping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on the real image that the user is viewing, it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creen becomes blurred.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 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된다. Virtual reality technology allows a user to be immersed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the real environment can not be seen. Howeve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hich is a mixture of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objects, allows the user to see the real environment and provides better realism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you use a smartphone camera to illuminate the surroundings,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a nearby store, phone number, and the like is displayed as a stereoscopic image.

원격의료진단·방송·건축설계·제조공정관리 등에 활용된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게임 및 모바일 솔루션 업계·교육 분야 등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Remote medical diagnosis, broadcasting, architectural design,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etc. Recently, smartphones have become widely used and commercialized, and various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in the game and mobile solution industry and education fiel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생할 기기와 컨텐트를 가지고 있는 기기를 보면서 직관적으로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to intuitively share content while watching a device to be played back and a content having the cont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registered device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identified devi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identified device.

상기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es: requesting the identified device for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wherein receiving the user input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상기 기기 제어 방법은 기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 method may further comprise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for pre-stored content, and wherein receiving the user input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상기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 썸네일, 컨텐트 메타데이터 및 컨텐트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ent thumbnail, a content metadata, and a content file name.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 재생 명령을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receiving the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compris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n identifiable device capable of being reproduced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identified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a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상기 컨텐트 재생 명령을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to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address of the content to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상기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 정보를 드래그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mov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for mov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n identified device capable of being dragged and reproduc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registered device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Receiving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execu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xecuting the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y include reproduc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소정의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된 소정의 기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인식된 소정의 기기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소정의 영상 분석을 통하여 기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기기의 영상 정보와 등록된 소정의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matching and registering predetermined device video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a predetermined camera with the recognized predetermined device information and registering the registered device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The step of identifying comprises: recognizing the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analysis on a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Compar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with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registered; And identifying the recognized devi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ler for identifying a registered device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And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identified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identified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ler for identifying a registered device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And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enario for the method of Figure 3;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enario for the method of Figure 5;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enario for the method of Figure 7;
9 is a view showing a scenario related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등록된 기기란 미리 소정의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미리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기의 기기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인식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에 매칭된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식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identifies registered devices on a screen input through a camera. Registered device means a device in which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devic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previously store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by matching with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hereafte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compare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recognized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with the sto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if it matches, the device information matching the compa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Identify the corresponding device.

단계 1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자체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트 정보를 이동시키는 일 예로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In step 12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identified device. For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can request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receive and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or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itself. In this cas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or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reproduc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i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itself . In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for stored content,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may receive user input to move to the identified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moving the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drags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drops it to the identified device.

단계 1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단계 120의 예에서, 제어 명령은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의미한다. 단지 재생 명령은 예일 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의 특징에 따라 제어 명령은 다양할 수 있다.In step 13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transmit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identified device. In the example of step 120, the control command indicates a playback command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e playback command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and the control comm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put.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고 표시 중인 기기의 영상을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captures an image through a camera included i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and inputs an image of the device being displayed.

단계 2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입력된 기기 영상으로부터 기기 영상 인식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기기를 검색한다. 소정의 네트워크의 예로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 HomeRF(Radio Freque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SB(Ultra Wir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1394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HomePNA(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In step 22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analyzes the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image. Furthe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searches for devices connectable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Examples of a given network include Zigbee, Wi-Fi, bluetooth, IEEE 802.11, HomeRF, Infrared Data Association, USB (Ultra WireB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1394, or wired protocol based protocols such as Ethernet,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Network.

단계 2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기기 정보를 매칭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표시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표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매칭시킨다.In step 23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matches the analyzed device video recognition information with corresponding device informati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displays the analyzed device video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s.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ed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 the selected display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

단계 2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기기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 및 연결되는 기기의 기기 정보(예를 들어, 기기의 고유 ID)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의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물론, 양 정보의 매칭 정보 또한 저장된다.In step 24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stores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devi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store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evice and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device (for example, the unique ID of the device) in a predetermined storag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Of course, matching information of both pieces of information is also sto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우선,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표시된 기기를 인식한다. 그 후,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비교한다. 일치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기기로 식별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를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선으로 다른 기기와 구별되게 표시)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 중에서 컨텐트가 재생 가능한 기기의 경우, 식별 표시와 다른 방법으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1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identifies registered devices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First,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recognizes the displayed device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Thereafter,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is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registered by the method of FIG. If they match,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identifies the device that is matched with the compa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may indicate that the identified device is an identified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indication (for example, displayed in a border on the border with other devices). Further, in the case of a device in which the content can be reproduced from among the identified devices,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may be further displayed by a method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display.

단계 3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기기 및 컨텐트의 저장 폴더명과 같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 및 컨텐트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의 썸네일 및 컨텐트의 파일명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In step 32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requests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such as the storage folder name of the device and the content, and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In addition,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and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may includ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단계 3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또한, 식별된 기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플레이 리스트와 같은 메뉴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트 정보가 복수인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개수의 제한을 두어 컨텐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반원의 모양으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회전시켜 다른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계 310 내지 단계 3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모든 등록된 기기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포커싱된 기기에 대해서만 단계 310 내지 단계 330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step 33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receives and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may be arranged around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and may be displayed on a menu screen such as a play lis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identified device.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may limit the number of pieces of content to display the content, and may further display other pieces of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orm of a semicircle around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a drag signal of the user's clock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provides the focusing function in steps 310 to 330, the content information for all the registered devices is not displayed but the steps 310 to 330 are performed only for the focused devices .

단계 3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In step 34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receives a user input that moves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The user moves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 device identified by a predetermined input means. For example, the user may drag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drop it on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단계 35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컨텐트 재생 명령과 함께 컨텐트 재생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함께 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를 직접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컨텐트 정보 자체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는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In step 35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transmits a reproduction command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produced identifiable device. In this cas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can transmit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together with the content reproduction command. I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ransmits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t is possible. Further,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may request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to transmit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to the directly reproduced identified device. Of course, this is not the case when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itself. 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enario for the method of Figure 3;

도 4a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 및 카메라(42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카메라(42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도 4a에서는,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로는 텔레비전(411), 노트북(412), 냉장고(413) 등이 있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카메라(4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식별된 기기는 일반 기기와는 다르게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깔 표시 등등)를 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식별된 기기로는 텔레비전(411)과 노트북(412)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등록된 기기가 식별된 후에는, 기기(400)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요청한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도 4a에서, 컨텐트 정보의 예로써, 디스플레이(410) 화면에 각각의 컨텐트의 썸네일(401~404)이 표시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즉, 노트북(412) 주변에 컨텐트 썸네일(401~404)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썸네일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경우, 반원 모양의 썸네일(401~404)이 회전하면서 다른 썸네일이 표시된다. 사용자(430)가 표시된 썸네일(403)을 재생 가능한 기기인 텔레비전(411)에 드래그 & 드랍(drag & drop)하는 경우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컨텐트 썸네일(403)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트 주소를 추출하여 텔레비전(411)에 전달하고, 텔레비전(411)에 재생 명령을 송신한다. 그 후, 텔레비전(411)은 수신한 컨텐트 주소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4b는 텔레비전(411)에서 컨텐트 썸네일(403)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400 includes a display 410 and a camera 420. FI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400 identifies the devices registered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420. [ In Fig. 4A, devic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410 include a television 411, a notebook 412, a refrigerator 413, and the like. 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400 identifies the device registered in the devi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410 through the camera 420. [ The identified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dication (for example, a color indication on the border, etc.) unlike a general device. In FIG. 4A, it is assumed that the identified device is a television 411 and a notebook 412. After the registered device is identified, the device 400 requests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Thereafter, when receiving the requested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400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410. [ In FIG. 4A, as an example of the content information, thumbnails 401 to 404 of respectiv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410. FIG. In FIG. 4A, content thumbnails 401 to 404 are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that is, the notebook 412. When the user drags the thumbnail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semicircular thumbnails 401 to 404 rotate and other thumbnail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430 drag and drop a thumbnail 403 displayed on the television 411 as a reproducible devic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400 controls the content playback device 403 included in the content thumbnail 403 Extracts the content address, transfers it to the television 411, and transmits the playback command to the television 411. Thereafter, the television 411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address. 4B shows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umbnail 403 is reproduced on the television 411.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은 도 3의 단계 3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step 510 is the same as step 310 of FIG. 3, and thus will b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단계 5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기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즉,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는 도 3의 단계 320에서 설명한 컨텐트 정보와 동일하다. 단계 5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도 3의 단계 320 및 단계 330과 같이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In step 52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displays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tself. The content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content information described in step 320 of FIG. In step 52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requests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such as step 320 and step 330 in FIG. 3,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and then displays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itself Mor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단계 530 및 단계 540은 도 3의 단계 340 및 단계 350과 유사하다. 다만, 사용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컨텐트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인 것이 차이가 있다. 물론,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더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컨텐트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뿐만 아니라 수신한 컨텐트 정보인 것이 차이가 있다.Steps 530 and 540 are similar to steps 340 and 350 of FI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ontent information that can be moved by the user is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layer control device itself. Of cours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dentified device and further displayed, the content information that can be moved by the user is not only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layer control device itself, but also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There is a difference.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enario for the method of Figure 5;

도 6a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610) 및 카메라(62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카메라(62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도 6a에서는,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로는 텔레비전(611), 노트북(612) 등이 있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카메라(6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식별된 기기는 일반 기기와는 다르게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깔 표시 등등)를 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식별된 기기로는 텔레비전(611)과 노트북(612)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자체 저장된 컨텐트 정보인, 컨텐트 썸네일(605~608)을 소정의 영역(630)에 표시한다. 또는, 부가적으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요청한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도 6a에서, 컨텐트 정보의 예로써, 디스플레이(610) 화면에 각각의 컨텐트의 썸네일(601~604)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체 저장된 컨텐트 썸네일(605~608) 중 하나를 드래그 & 드랍으로 재생 가능한 기기에 이동시킬 수 있고, 수신한 컨텐트 썸네일(601~604) 중 하나를 드래그 & 드랍으로 재생 가능한 기기에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에서는 사용자(640)가 자체 저장된 컨텐트 중 표시된 썸네일(606)을 재생 가능한 기기인 노트북(612)에 드래그 & 드랍(drag & drop)하는 경우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컨텐트 썸네일(606)에 대응되는 컨텐트 주소를 추출하여 노트북(612)에 전달하고, 노트북(612)에 재생 명령을 송신한다. 그 후, 노트북(612)은 수신한 컨텐트 주소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6b는 노트북(612)에서 컨텐트 썸네일(606)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600 includes a display 610 and a camera 620. FI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600 identifies the registered device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camera 620. [ 6A, there are a television 611, a notebook 612, and the like as device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610. FIG. 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600 identifies the device registered in the devi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610 through the camera 620. [ The identified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dication (for example, a color indication on the border, etc.) unlike a general device. In Fig. 6A, it is assumed that the identified device is a television 611 and a notebook 612. [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600 displays content thumbnails 605 to 608, which are self-stored content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630. Or, 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600 requests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Then, when receiving the requested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600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610. [ In FIG. 6A, as an example of content information, thumbnails 601 to 604 of respectiv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610. In this case, the user can move one of the self-stored content thumbnails 605 to 608 to a device that can be reproduced by drag & drop, and can select one of the received content thumbnails 601 to 604 to be reproducible by drag & Can be moved. 6A, in the case where the user 640 drag and drop a displayed thumbnail 606 of self-stored content to the notebook 612, which is a reproducible devic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600 controls the content thumbnail 606 Extracts the content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606, delivers it to the notebook 612, and transmits the playback command to the notebook 612. [ Thereafter, the notebook computer 612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nt address. 6B shows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umbnail 606 in the notebook 612 is reproduc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 내지 단계 730은 도 3의 단계 310 내지 단계 33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steps 710 to 730 are the same as steps 310 to 330 of FIG. 3,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단계 7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7에서는 도 3 또는 도 5의 방법과 다르게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입력이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라는 사용자 입력이다.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단순히 컨텐트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를 본 단계에 따른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이 활성화(예를 들어,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하여 버튼에 드랍하는 경우)를 본 단계에 따른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At step 74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device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In Fig. 7, unlike the method of Fig. 3 or Fig. 5,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tself reproduc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input is a user input to reprodu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tself.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a button for simply recognizing the click of the content information as a us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step or providing an interface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itself is provided, and the button is activated (for example, A case where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is dragged and dropped on a button) is recognized as a user input according to this step.

단계 75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In step 750,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reproduc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related to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텔레비전의 경우 이동하는 경우가 드물겠지만, 노트북과 같은 경우 잦은 이동으로 인하여 고정된 위치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등)를 가상의 노트북으로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할 수가 있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가상 등록된 기기를 카메라를 통하여 비추는 경우, 노트북으로 등록된 기기로 식별하고,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상 등록된 기기와 노트북과는 통신 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900)는 카메라(920)를 통하여 냉장고(912)가 디스플레이(910) 화면에서 인식되는 경우, 이를 등록된 기기인 노트북으로 인식하여 컨텐트 정보(901~904)를 요청하여 표시하고, 도 3 내지 도 8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elevision, it is unlikely to move, but in the case of a laptop, it may not be in a fixed position due to frequent movement. In this case, a device (for example,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etc.) which does not have a content can be registered by a method of FIG. 2 as a virtual notebook. In the case where the virtually registered device is illuminated through the camera, the content reproducing device control device identifies the device as a device registered with the notebook, and can request and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virtual registered device and the notebook must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9, when the refrigerator 912 is recogniz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910 through the camera 920, the content reproducing device control device 900 recognizes the information as a registered device, 904, and perform the method of FIGS. 3 through 8.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와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된 기기와 통신 상태만 유지된다면, 장애물(예를 들어, 벽)이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기기를 표시하고, 등록된 기기에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후, 도 3 내지 도 8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rol device and the device registered by the method of FIG. 2 is maintained, if there is an obstacle (e.g., a wall) You can also request and display content information on a registered device. Thereafter, the method of Figs. 3 to 8 can be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는 영상 입력부(1010), 제어부(1020), 저장부(1030), 사용자 입력부(1040), 디스플레이부(1050) 및 통신부(106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인식될 기기와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네트워크의 예로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 HomeRF(Radio Freque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SB(Ultra Wir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1394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HomePNA(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1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010, a control unit 1020, a storage unit 1030, a user input unit 1040, a display unit 1050, and a communication unit 1060 do.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rol apparatus 1000 is connected to a device to be recognized through a video input unit 1010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Examples of a given network include Zigbee, Wi-Fi, bluetooth, IEEE 802.11, HomeRF, Infrared Data Association, USB (Ultra WireB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1394, or wired protocol based protocols such as Ethernet,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Network.

영상 입력부(1010)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다만,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면 그 제한은 없다.The video input unit 1010 means a camer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amera, and there is no restriction as long as it is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providing an image.

디스플레이부(105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후술할 컨텐트 정보에 대해서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050 displays an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Also, content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displayed.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등록된 기기란 미리 소정의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가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미리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기의 기기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 후, 제어부(1020)가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인식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에 매칭된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식별한다. The control unit 1020 identifies the device register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50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The registered device means a device in which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in advance. The control unit 1020 store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and stores it by matching with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compare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recognized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with the sto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if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to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identifies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사용자 입력부(1040)는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통신부(103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가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040)는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트 정보를 이동시키는 일 예로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일 예로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user input 1040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identified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20 requests the identifie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30 to receive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or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on the display unit 1050 . In this case, the user input unit 104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n identifiable device capable of being reproduced, or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reproduc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 In another example, if the display portion 1050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for the stored content, the user input 1040 may receive user input to move to the identified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moving the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drags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drops it to the identified device. The user input unit 1040 may be a touch screen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unit 1050.

그 후,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통신부(106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 명령은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의미한다. 단지 재생 명령은 예일 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의 특징에 따라 제어 명령은 다양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device ident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0. [ The control command indicates a playback command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e playback command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and the control comm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put.

각각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Each specif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 소정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that performs a method of registering a predetermined device will be described.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 중인 기기의 영상을 입력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입력된 기기 영상으로부터 기기 영상 인식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기기를 검색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20)는 선택된 표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매칭시킨다. 그 후, 제어부(1020)는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기기 정보를 저장부(1030)에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020 captures an image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and inputs an image of the device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50. [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analyzes the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imag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20 searches for devices connectable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displays the analyzed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s on the display unit 1050. 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50 and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40, the control unit 1020 displays the selected display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nnectable device Match.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stores the devic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devic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030.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that performs a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우선,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표시된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비교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영상 인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기기로 식별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식별된 기기를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선으로 다른 기기와 구별되게 표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50)에 식별된 기기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20)는 식별된 기기 중에서 컨텐트가 재생 가능한 기기의 경우, 식별 표시와 다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050)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020 identifies the registered device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 First, the control unit 1020 recognizes the displayed device on the screen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extracts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and recognizes the image of the registered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Compare with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matches, the control unit 1020 identifies the device that is matched with the compared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20 may display the identified device in the display unit 1050 through a predetermined display (for example, display on the rim differently from other devices). Further, in the case of a device whose content can be reproduced from among the identified devices, the control unit 1020 may further display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050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display.

제어부(1020)는 통신부(106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기기 및 컨텐트의 저장 폴더명과 같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 및 컨텐트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의 썸네일 및 컨텐트의 파일명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020 requests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such as the storage folder name of the device and the content, and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In addition,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and the file name of the content may includ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1050)는 식별된 기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플레이 리스트와 같은 메뉴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트 정보가 복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050)는 개수의 제한을 두어 컨텐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반원의 모양으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회전시켜 다른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가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50)는 모든 등록된 기기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포커싱된 기기와 관련된 컨텐트 정보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050 receives and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050 may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around the transmitted device, and the display unit 1050 may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on a menu screen such as a play list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device It is possible.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pieces of content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050 may limit the number of pieces of content to display the content, and may further display other pieces of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050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orm of a semicircle around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drag signal of the user's clock or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40 , It may be rotated to display other content informa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provides a focusing function, the display unit 1050 does not display content information about all registered devices, but displays only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cused device You may.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The user input unit 1040 receives a user input for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The user moves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40 to a device identified by a predetermined input means. For example, the user may drag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drop it on the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그 후,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컨텐트 재생 명령과 함께 컨텐트 재생 기기에 통신부(106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20)는 함께 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2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를 직접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컨텐트 정보 자체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는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transmits the reproduction command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produced identifiable apparatu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20 can transmit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together with the content playback comm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0. [ I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the control unit 1020 transmits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together. If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apparatus hav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20 may request th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content information to transmit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to the directly reproduced identified device. Of course, this is not the case when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itself. 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address information.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that performs the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디스플레이부(1050)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에 대응되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050)는 제 1 실시예에서 기술한 외부 기기에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050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30. That is, the display unit 1050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player control apparatus 1000 itself. Of course, the display unit 1050 may further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The user input unit 1040 receives a user input for moving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o a reproducible identified devic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0 transmits the reproduction command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content information to the reproduced identifiable apparatus.

즉,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 저장된 컨텐트도 표시하고 이를 재생 가능한 등록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다.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itself is also displayed and can be transmitted to a registered device that can reproduce the content.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that performs the content playback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이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라는 사용자 입력이다.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단순히 컨텐트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040)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이 활성화(예를 들어,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하여 버튼에 드랍하는 경우)를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The user input unit 1040 receives user input for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input is a user input to reprodu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i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1000 itself.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there is provided a button for recognizing as a user input when simply clicking the content information, 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1040 with an interface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1000 itself, (For example, when dragging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and dropping it on a button) is recognized as a user input.

제어부(1020)는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한다.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The control unit 1020 reproduc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020 receiv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이다.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is reproduced from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1000 itself.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부(1020)는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등)를 컨텐트를 갖는 가상의 기기로 등록할 수가 있다. 제어부(1020)는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를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비추는 경우, 이를 등록된 기기로 식별하고,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와 가상의 기기와는 통신 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20 can register a device (e.g.,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etc.) that does not have content as a virtual device having content. When the control unit 1020 illuminates a device having no conten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010, the control unit 1020 identifies the device as a registered device, and can request and display the content informa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device that does not have the content and the virtual device should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부(1020)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와 등록된 기기와 통신 상태만 유지된다면, 장애물(예를 들어, 벽)이 있는 경우에도 등록된 기기를 표시하고, 등록된 기기에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하고, 상기 기술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20 may display registered devices even when there is an obstacle (e.g., a wall) if only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apparatus 1000 and registered devices is maintained , Requests the registered device for content information, displays the content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devi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disk management method can be easily deduced by the program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5)

전자 기기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장치에서,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제 1 기기 이미지,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터치하고, 상기 터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서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 device,
Identifying at least one registered device i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t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a thumbnail image representing the content of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thumbnail image on a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together with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first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Displaying on the periphery of the imag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thumbnail image; And
Receiv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 RTI >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thumbnail image comprises the steps of: touching the thumbnail image among the first device image and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touched thumbnail image on the screen To the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questing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for the thumbnail image;
Receiving the thumbnail image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And
Gt; a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eceiving the thumbnail image comprises receiving at least one of content metadata and a content file n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n address of the content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제 1 기기 이미지,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을 함께 표시하되,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터치하고, 상기 터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전자 장치.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device,
A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registered device i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f the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thumbnail image represent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Displaying the first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registered registered device, the received thumbnail image, and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togeth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thumbnail image on the periphery of the first device image A display unit; And
A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thumbnail image;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Wherein the user input unit is configured to touch the thumbnail image among the first device image and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and to display the touched thumbnail image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receiving user input to move to the are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인,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quests a thumbnail image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and receives a thumbnail image from the identified registered device.
전자 장치가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트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를 보내라는 요청을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전송된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터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된 것인, 방법.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content,
Receiving a request from a first device to send a thumbnail image thumbnail imag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the thumbnail image thumbnail image to the first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Receiving, from the first devic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playback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thumbnail imag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a second devic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 RTI >
Th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via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transmitted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first device together with a first device image of the first device and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as the thumbnail image is touched and moved from the first device image and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o the predetermined area, , Wa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electronic device is registered with the first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a search signal from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device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search signal;
/ RTI >
Wherei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used by the first device to register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촬영된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된 기기 이미지가 비교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식별되는 것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identified by the first device by comparing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urrently photographed by the first device and the registered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썸네일 이미지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humbnail image comprises transmitting a thumbnail image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metadata and the content file na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상기 등록된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humbnail image thumbnai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device at a periphery of the registered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electronic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 이미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vice image of the second device,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humbnail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of the first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콘텐트의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of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 / RTI >
콘텐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트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보내라는 요청을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전송된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터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된 것인, 전자 장치.
A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ntent,
Communication interface;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Receiving from the first device a request to send a thumbnail image of content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sending the thumbnail image to the first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processor for receiving, from the first devic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playback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a second devic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 RTI >
The process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via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Wherein the transmitted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first device together with a first device image of the first device and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as the thumbnail image is touched and moved from the first device image and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o the predetermined area, , An electronic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것인,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electronic device is registered with the first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the search signal from the first device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transmit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device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search signal,
Wherein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used by the first device to register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촬영된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된 기기 이미지가 비교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식별되는 것인,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identified by the first device by comparing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urrently photographed by the first device with the registered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ocessor is operable to transmit the at least one of the content metadata and the content file name to the first device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상기 등록된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humbnail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device at a periphery of the registered device image representing the electronic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 이미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인,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evice image of the second device, the device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humbnail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of the first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콘텐트의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전자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ocessor is operable to execute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to provi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second device.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claim 1. 제 8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claim 8.
KR1020180025913A 2018-03-05 2018-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KR101935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en) 2018-03-05 2018-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en) 2018-03-05 2018-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87A Division KR101837082B1 (en) 2011-01-20 2011-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02A KR20180029002A (en) 2018-03-19
KR101935000B1 true KR101935000B1 (en) 2019-01-03

Family

ID=619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en) 2018-03-05 2018-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0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47B1 (en) 2018-07-11 2023-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02A (en)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0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AU2021204725B2 (en) Localization determination for mixed reality systems
EP2523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US9678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KR101839319B1 (en) Contents search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04019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operate on virtual object using real object
US10499004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producing content
US20160134942A1 (en)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040479A (en) Alternate view video playback on second screen
CN10526490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video between media devices
US20170262061A1 (en)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00161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digital contents among heterogeneous devices
RU250008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ve operation information
US20120314043A1 (en) Managing multimedia contents using general objects
KR101935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1077914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AU20152553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CN115243085A (en) Display device and device interconn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