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76B1 -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76B1
KR101933576B1 KR1020160163055A KR20160163055A KR101933576B1 KR 101933576 B1 KR101933576 B1 KR 101933576B1 KR 1020160163055 A KR1020160163055 A KR 1020160163055A KR 20160163055 A KR20160163055 A KR 20160163055A KR 101933576 B1 KR101933576 B1 KR 10193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roller
convey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2877A (en
Inventor
유영석
Original Assignee
(주)스케일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케일트론 filed Critical (주)스케일트론
Priority to KR102016016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6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8Applying bands of rubber treads, i.e. applying camel 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1Abrading the tyre, e.g. buffing, to remove tread and/or sidewalls rubber, to prepare it for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4Applying an intermediate adhesive layer, e.g. cement or cushioning element between carcass and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8Removing the worn out tread from the carcass, e.g. by pulling a continuous wire embedded between tread and carc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9Means for holding the tyre on a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된 트레드(Tread)부를 재생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트레드부를 용이하게 공급 및 이송하고, 그 새로운 트레드부를 마모된 트레드부를 제거시킨 타이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정밀하게 절단하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트레드부를 타이어 측으로 이송시켜 그 타이어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트레드부의 공급, 이송, 절단, 접착을 자동화함으로써, 균일한 성능의 재생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어, 품질 향상과 함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generating and reusing a worn tread portion of a tire, comprising the steps of: feeding and transporting a new tread portion easily and transporting the new tread portion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from which the worn tread portion has been removed The tread portion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transferred to the tire side to firmly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while automating the supply, transportation, cutting and adhesion of the tread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rapidly and precisely molding a tire,

Figure R1020160163055
Figure R1020160163055

Description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0001]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0002]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된 트레드(Tread)부를 재생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트레드부를 용이하게 공급 및 이송하고, 그 새로운 트레드부를 마모된 트레드부를 제거시킨 타이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정밀하게 절단하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트레드부를 타이어 측으로 이송시켜 그 타이어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트레드부의 공급, 이송, 절단, 접착을 자동화함으로써, 균일한 성능의 재생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어, 품질 향상과 함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ed tire forming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worn tread portion of a tire so as to be used ag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generated tir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new tread portion is easily supplied and transferred, The tread portion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transferred to the tire side to firmly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while being precisely cu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moved tire. To a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rapidly and accurately molding a regenerated tire having a uniform performan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work and the ease of opera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는 차체에 장착되어 지면과 접촉하므로서 차체의 전체적인 중량과 하중을 지탱하고, 엔진으로 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노면에 전달하며,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를 보호하며,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여 안전한 주행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utomobile tire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contacts the ground surface to support the overall weight and load of the vehicle body,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engine to the road surface, to absorb the impact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Of the braking force to the road surface to ensure safe running.

이러한 타이어는 주행시 트레드부가 집중적으로 마모되기 때문에, 이 트레드 부분 만을 재생(Retreading)하여 재사용하며, 이렇게 재생된 타이어는 자원의 재활용과 공해방지에 크게 기여한다.In such a tire, since the tread portion is intensively worn at the time of running, only the tread portion is retreated and reused, and the tire thus regenerated greatly contributes to recycling of resources and prevention of pollution.

일반적인 타이어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는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두꺼운 고무층의 트레드(Tread)부가 형성되고, 이 트레드부에는 노면과의 마찰계수를 확복하고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tire structure is formed with a tread portion of a thick rubber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road surfac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ire, and a tread portion is provided on the tread por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Various types of grooves are formed.

또한, 타이어의 중앙에는 자동차의 동력을 타이어에 전달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재의 림에 끼워지며 비교적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진 비드부가 형성되고, 이 림에는 타이어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밸브가 내장되며, 고무층에는 타이어에 인성과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복수개의 비드와이어, 벨트, 섬유나 스틸와어이로 형성된 보강재가 매립 설치된다.In the center of the tire, there is formed a bead portion made of a relatively thick rubber layer which is fitted in a rim of a metal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automobile to the tire, and a valve for injecting air into the tire is built in A plurality of bead wires, a belt, and a reinforcing material formed of fibers or steel and tongue are embedded in the rubber layer in order to impart toughness and tension to the tire.

이 중에서, 트레드부는 접지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주행시 가장 심하게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데, 트레드부의 마모가 심한 타이어는 제성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신속하게 교체해 주어야 한다.Among them, the tread portion serves as a ground surface, which causes the wear most seriously at the time of traveling. However, tires with a heavy wear of the tread portion can not exhibit their performance, so they must be replaced promptly.

이에 따라, 트레드부가 마모된 타이어는 정품타이어로 교체하여야 하나, 정품타이어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마모된 트레드부를 재생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재생 타이어로 교체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Accordingly, although the tire with the tread portion worn out needs to be replaced with a regular ti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replace the worn tread portion with a reclaimed tire that can be reused because of the high cost of the original tire.

재생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타이어의 마모된 트레드부를 버핑 가공하여 여분의 트레드를 긁어내고, 버핑된 부위를 세멘팅(Cementing) 가공한 후 세멘팅된 부위에 미가황된 고무를 부착하여 성형하고, 이를 금형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가황하여 새로운 트레드부를 접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As a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laimed tire, there has been known a method in which a worn tread portion of a tire is buffed to scrape off extra tread, a buried portion is subjected to cementing, and then an unvulcanized rubber And a new tread portion is adhered by vulcaniz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old.

하지만, 미가황된 고무를 트레드부에 접착하여 성형하는 경우 트레드부를 회전시키면서 성형한 뒤에 별도의 가황지를 사용하여 타이어를 가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성형기 및 가황기와 같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였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재생 타이어의 성형이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ngrained rubber is formed by adhering to the tread portion, it is necessary to vulcanize the tire by using a separate vulcanized paper after molding while rotating the tread portion. Therefore, expensive equipments such as a molding machine and a vulcanizer are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reduced as the molding of recycled tires proceeds manual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트레드부가 버핑 가공된 타이어를 금형 내에 투입하여, 금형 내에서 트레드부를 직접 사출 성형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트레드부를 성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 방법 역시 고가의 가황기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 a method of injecting a tread portion of a tire into a mold, directly molding the tread portion in the mold, and molding the tread portion in a single process has been used. However, this method also requires an expensive vulcanizer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95282호(2000.06.27.등록,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95282 (registered and regenerated tire molding device)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7521호(2015.11.17.공개, 타이어 성형패드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재생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127521 (published on November 17, 2015), a tire forming pad and a tire recycling method using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트레드부를 용이하게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고, 새로운 트레드부를 마모된 트레드부를 버핑한 후 접착제가 도포된 타이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로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트레드부를 타이어 측으로 이송시켜 타이어의 외주면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접착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트레드부의 공급, 이송, 절단, 접착을 자동화함으로써, 균일한 성능의 재생 타이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어 품질 향상과 함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read portion that can easily supply and transport a new tread portion, buff the worn tread portion, The tread portion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precisely cut to transfer the tread portion to the tire side to firmly and accurately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while automating the feeding, feeding, cutting and adhesion of the tread portion, Can be 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드부(11)를 버핑시킨 타이어(10)를 고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고정구(110)의 상측에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에 접착된 트레드(20)를 가압하기 위해 메인길이조절부(160)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는 가압롤러(13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타이어(10)의 위치조절을 위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타이어이송부(170)가 설치되어 진 타이어회전몸체(100);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부에는 트레드인입부(201)로 인입된 트레드(20)를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가 위치된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트레드이송롤러부(21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진 트레드이송몸체(200);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트레드인입부(201)로 인입되는 트레드가 감겨진 트레드권취롤(310)을 결속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권취롤지지체(320)가 형성된 트레드공급부(300);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출부(202)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에 트레드(20)를 부착시키기 전에 상기 타이어(10)의 표면에 접착제(30)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공급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는 수직이동레일(141)이 형성된 수직지지대(14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140)에는 상기 수직이동레일(14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메인길이조절부(1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부재(150)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150)의 일측에는 보조길이조절부(133)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롤러(13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50)의 하부에 중앙 또는 일측이 힌지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에 힌지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된 한 쌍의 평롤러지지구(132)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보조길이조절부(133)의 동작에 의해 타이어의 사이드월(Sidewall)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평가압롤러(130a)와, 상기 평가압롤러(130a)의 후방에 트레드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로 상하 높이조절 및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압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트레드(20)를 가압하도록 된 한 쌍의 국부가압롤러(130b)로 구성되며,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입부(201)에는 트레드의 인입을 유도하기 위해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의 공급유도롤러(221)가 형성된 트레드인입유도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입유도부(220)의 앞쪽에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트레드절단부(230)가 설치되며,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휘어진 트레드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휨방지롤러가 구비된 트레드휨방지부(260)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출부(202)의 상부에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가압하여 상기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접착시키도록 트레드접착안내롤러(292)가 구비된 트레드접착안내부(290)가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re fixing member 110 for fixing and rotating a tire 10 having a tread portion 11 buried therein, A pressure roller 130 is provided which is vertically moved by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in order to press 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10, A tire rotating body 100 provided with a tire transfer unit 170 to be mov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read 20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and the tread 20 drawn in by the tread pulling part 20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tread pulling part 202 where the tire rotating body 100 is positioned A plurality of tread conveying roller units 2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t least one winding roll support 3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a tread winding roll 310 wound with a tread leading to the tread entrance 201 A formed tread supply unit 300; An adhesive agent for applying an adhesive 30 to the surface of the tire 10 before the tread 20 is attached to the tire 10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tread-out portion 202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a vertical support rail 140 having a vertical movement rail 14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ire rotation body 100. The vertical support rail 140 is provid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rail 141,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The auxiliary movable member 150 is vertically move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roller 130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roller 130 is connected to the flat roller angle regulating member 134 A pair of hingedly coupled parts An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which is coupled to the flat roller support 132 of the tire and is tilted toward the sidewall of the tire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er 133, A pair of local pressing rollers 130b and 130c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at the rear of the treads 130a and 130b, And a tread pull-in portion 220 having a pair of feed rollers 221 facing each other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o guide the tread into the tread pull-in portion 201 of the tread transport body 200 And a tread cutting portion 23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read pulling-in inducing portion 220 to cut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feeding roller portion 210 to a predetermined length, 00),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are pressed so that the curved tread is flattened and the rotating force is applied to the tread-out portion 202 side A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having a bending prevention roller is provided on the tread portion 202 and a tread 20 transferred by the tread transfer roller portion 210 is pressed onto the tread portion 202, Is provided with a tread adhesive guide portion (290) provided with a tread adhesive guide roller (292) for adhering to the tread portion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새로운 트레드부의 공급과 이송이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새로운 트레드부를 접착 대상이 되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정밀하게 절단하여 그 타이어의 외주면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드부의 공급, 이송, 절단, 접착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생 타이어를 성형함으로써, 생산속도의 증가와 함께 품질이 향상되고,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stably supply and feed the new tread, and the new tread is precisely cu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to be bond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firmly adhe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By automating the feeding, feeding, cutting and bonding of the tread portion, the regenerated tire can be 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This is an increas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회전몸체에 타이어이송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의 일측에 접착제공급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제공급유닛의 토출구에 접착제가 토출되어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회전몸체에 가압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가압롤러가 트레드부에 트레드를 가압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부가압롤러가 트레드부에 트레드를 가압하는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롤러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공급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공급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인입유도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절단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절단길이설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휨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가이드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부에 가이드축연결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트레드접착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에 트레드의 접착이 시작될 때 트레드접착안내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에 트레드의 접착이 종료될 때 트레드접착안내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필름분리부가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의 일면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타면에 접착면보호필름이 접착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이송몸체에 높낮이조절수단과 회동지지부가 설치되어 트레드인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re rotating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supply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adhesive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ed to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roller is installed on a tir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valuation pressure 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a tread on a tread por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tread on the tread portion,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ad feeding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ad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is installed on a tread conveying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ead cut portion is install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ead fixing portion is install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tting length setting unit is install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ead bending prevention unit is install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ide roller unit is installed on a tread conveying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in a guide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ead adhesive guide is provid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ead is pressed by the tread adhesion guide when the tread starts to be attached to the tr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ead is pressed by the tread adhesion guide portion when the tread is finished to be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m separator is installed on a tread transf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and an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the other side,
2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tread-out portion is adjusted by provid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turning support portion in the tread-moving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1 attached hereto.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크게 재생할 대상이 되는 타이어(10)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타이어회전몸체(100)와, 그 타이어(10)를 재생하기 위한 트레드(20)를 이송시켜 타이어회전몸체(100)에 고정 결합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접착 가능하게 인출시키는 트레드이송몸체(200)로 구성된다.1, a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tire rotating body 100 for fixing and rotating a tire 10 to be regenerated, And a tread conveying body 200 for conveying the tread 20 for regeneration and pulling the tread 20 to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fixedly coupled to the tire rotating body 100.

상기의 타이어회전몸체(100)는 트레드부(11)를 버핑시킨 타이어(10)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타이어고정구(110)가 끼워져 타이어(10)를 고정시키고, 그 타이어고정구(110)에 타이어회전모터(120)의 구동력이 전달되게 설치되어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상태의 타이어(10)가 회전되게 형성된다.The tire rotating body 100 includes a tire fixing hole 110 rotatably mounted on a central axis of a tire 10 buffered with the tread portion 11 to fix the tire 10, And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ixing hole 110 is rotated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tire rotating motor 120 is transmitted.

여기서, 타이어고정구(110)는 타이어(10)의 중심부에 끼워져 타이어회전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타이어회전축(111)과, 이 타이어회전축(11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타이어(10) 중심부의 직경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크(11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타이어(10)의 중심부에 타이어회전축(111)과 스포크(112)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포크(112)의 길이가 타이어(10)의 중심부에 긴밀히 밀착 고정되게 조절함으로써 타이어(10)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tire fastener 110 includes a tire rotating shaft 111 fitted in the center of the tire 10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ire rotating motor 120 and a plurality of the rotating shaft 111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rotating shaft 111, The spokes 11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ire 10 so that the tire rotation axis 111 and the spokes 112 are engaged with the spokes 112, The tire 10 can be fixed firmly and easi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ire 10 to be closely fixed to the center of the tire 10.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는 트레드인입부(201)에 인입된 트레드(20)를 타이어고정구(110)에 결합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 측으로 이송시키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가 상기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그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인출된 트레드(20)가 타이어회전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되도록 형성된다.The tread transfer body 200 includes a tread transfer roller unit 210 for transferring the tread 20 drawn into the tread penetration unit 201 to the tread unit 11 side of the tire 10 coupled to the tire fixture 110 A plurality of treads 20 are provided alo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the tread 20 drawn by the tread feeding roller portion 210 toward the tread-out portion 202 is rotated by the tire rotating motor 120 Is formed to adhere along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여기서, 트레드(20)는 일면에는 조종안정성, 견인력, 제동력 및 배수성능을 위한 그루브(21, Groove)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트레드(20)의 타면에는 트레드부(11)와의 접착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면보호필름(22)이 분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접착면보호필름(22)은 트레드부(11)에 트레드(20)를 접착하기 이전에 분리시켜야 할 것이다.Grooves (2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20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braking force and drainage performance. Foreign matters are adher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ead 20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may be releasably adhered to prevent the tread portion 11 from being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before the tread 20 is adhered thereto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마모된 트레드부(11)를 버핑시킨 타이어(10)를 타이어고정구(110)에 끼워넣게 되면 타이어회전축(111)의 외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포크(112) 길이가 가변되면서 타이어(10)의 중심부에 긴밀히 밀착되어 타이어(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When the tire 10 having the buried tread portion 11 is buried in the tire fastening hole 110,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or more) piece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rotating shaft 111 The lengths of the spokes 112 are variable and closely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tire 10 to firmly fix the tire 10.

여기서, 복수개의 스포크(112)는 타이어회전축(111)이 타이어(10)의 중심축과 일치될 수 있도록 동일한 길이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lurality of spokes 112 may preferably have the same length to allow the tire rotation axis 111 to coincide with the center axis of the tire 10. This is because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ixing hole 110 So that it can be stab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또한, 타이어고정구(110)는 타이어회전몸체(10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트레드이송몸체(200) 및 트레드이송롤러부(210)를 수평하게 설치하는 것이 트레드(20)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되는 트레드(20)가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인출되면서 트레드부(11)를 따라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ire fastener 110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tire rotating body 100. This is because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the tread transfer roller unit 210 are installed horizontally, So that the tread 20 drawn out from the tread-out portion 202 can be easi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while horizontally pulling out in the width direction.

이때,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의해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트레드회전몸체에 고정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접착제(30)를 도포하여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곧바로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접착제(30)를 트레드부(11)에 용이하고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서 타이어회전모터(120)에 의해 타이어(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tread 20 is being transported by the tread transfer body 200, the adhesive 30 is applied to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fixed to the tread rotating body and is taken out from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The tire tread 20 may be direct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The tread portion 11 may be easily and uniformly coated with the adhesive 30 by a tire rotating motor 120, (10)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트레드부(11)에 접착제(30)가 도포된 이후에는 타이어(10)가 트레드(20)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타이어회전모터(120)를 구동시키고, 타이어(10)가 회전하는 동안 트레드(20)가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하면 트레드(20)의 접착대상면이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될 수 있는 것이며,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를 따라 고르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이어(10)의 회전속도를 트레드(2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fter the adhesive 30 is applied to the tread portion 11, the tire rotating motor 120 is driven so that the tire 1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the tire 10 is rotated The surface to be bonded of the tread 20 can be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when the tread 20 begins to be drawn out of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and the tread portion 20 can be bonded to the tread portion 11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ire 10 to be the same as the feeding speed of the tread 20 in order to uniformly adhere.

이처럼, 상기의 구성들을 통해 재생할 대상이 되는 타이어(1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회전시킬 수 있고, 일방향으로 이송된 트레드(20)가 인출되면서 트레드부(11)를 따라 고르게 접착시켜 타이어(10)를 재생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작업으로 트레드(20)를 부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 절감을 통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tire 10 to be regenerated can be easily and firmly fixed and rotated, and the tread 20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can be uniform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while being pulled out,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o reduce the defect rate caused by the manual attachment of the tread 20,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labor costs It is effectiv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회전몸체(100)에는 도 2와 같이 트레드인출부(202)에 설치되어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를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타이어이송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2, the tire rotating bod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ire 10 fixed to a tire fixing hole 110 installed on a tread- , And a tire transfer unit 170 capable of transferring the left, righ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타이어이송부(170)는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이송부(170a)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이송부(170b)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ire transfer portion 170 includes a left and right transfer portion 170a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a front and rear conveying portion 170b pro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여기서, 상기한 좌우이송부(170a) 및 전후이송부(170b)는 레일이송모터(171a,171b)의 구동력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레일회전축(172a,172b)과, 그 레일회전축(172a,172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게 결합되어 트레드회전몸체에 고정 설치되며 레일회전축(172a,172b)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트레드회전몸체를 이송시키는 레일이송블럭(173a,173b)과, 좌우이송부(170a)와 전후이송부(170b)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이송레일(174a,174b)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and right conveying sections 170a and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sections 170b are provi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so as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driving forces of the rail conveying motors 171a and 171b, 172b and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ail rotating shafts 172a, 172b to be fixed to the tread rotating body and to transfer the tread rotating body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ail rotating shafts 172a, 172b And conveying rails 174a and 174b for guiding the conveying directions of the left and right conveying portions 170a and the front and rear conveying portions 170b.

이러한 타이어이송부(170)를 통해 재생 대상이 되는 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트레드인출부(202)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트레드이송몸체(200)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접착되기 이전에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드부(11)의 위치를 트레드(20)의 인출 위치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하여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되는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를 따라 정확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모된 트레드부(11)를 버핑시킨 타이어(10)의 고정과 트레드부(11)에 트레드(20)를 접착하여 재생시킨 타이어(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ead 20 pulled out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by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ire 10 to be regenerated through the tire transfer portion 170, The tread 20 pulled out of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read portion 11 can be adjusted to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tread 20, The tread 10 can be accurate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and the tread 20 can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by fixing the tire 10 which has been buried with the worn tread portion 11,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의 타이어이송부(170)에 의해 타이어회전몸체(100)가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도 3a 및 3b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일측에는 트레드인출부(202)의 측에서 트레드(20)가 타이어(10)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30)를 트레드(20)의 폭에 해당하는 너비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토출폭조절부재(510)에 의해 토출구(520)로 토출시키는 접착제공급유닛(500)이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tire rotating body 100 is provided so as to be transportable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tire transferring unit 170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tread- 202 by means of a discharge width adjusting member 510 formed to be adjustable in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read 20 so as to adhere the tread 20 to the tire 10, (Not shown).

이때, 접착제공급유닛(500)에는 별도의 저장용기(530)에 저장된 접착재료(531)를 가열시키는 히터(540)를 구비하여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타이어(10)와 트레드(20)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supply unit 500 is provided with a heater 540 for heating the adhesive material 531 stored in the separate storage container 530, so that the tire 10 and the tread 20 made of rubber material can be easily bonded .

이러한 접착제공급유닛(500)을 통한 접착제(30)의 도포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토출구(520)에서 접착제(30)가 토출되는 너비를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폭과 대응되게 토출폭조절부재(510)를 조절한 상태에서, 타이어이송부(170)를 이용해 타이어이송몸체를 이동시켜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가 토출구(520)에 인접되게 위치시키고,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가 토출구(520)에 인접되게 위치되면 타이어회동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타이어(10)를 회전시키며, 타이어(10)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토출구(520)에서는 접착제(30)를 일정한 양으로 토출시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를 따라 균일하게 접착제(30)가 도포되는 것이다.The width of the tread 20 to be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tread 20 to which the adhesive 30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52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tread 20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astener 110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not shown) by moving the tire transfer body using the tire transfer portion 170 with the discharge width adjusting member 510 adjusted, 520 and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520 to rotate the tire 10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tire 10 is rotated The adhesive 30 is applied uniformly along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by discharging the adhesive 30 in a predetermined amount at the discharge port 520.

여기서, 접착제공급유닛(500)에 의해 트레드부(11)에 접착제(30)가 도포되는 동안에는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의해 트레드(20)가 이송되는 과정에 있도록 하여, 트레드부(11)에 접착제가 도포된 타이어(10)를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트레드인출부(202)로 트레드(2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ile the adhesive 30 is applied to the tread portion 11 by the adhesive supply unit 500, the tread 20 is being transported by the tread transport body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read 20 can be pulled out by the tread-out portion 202 when the adhesive-coated tire 10 is moved to the tread-out portion 202 side so that an effici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처럼, 접착제공급유닛(500)을 이용해 트레드(20)에 해당하는 폭으로 토출되는 접착제(30)가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를 따라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어, 트레드부(11)를 따라 견고하게 트레드(20)가 접착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adhesive 30 discharg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read 20 can be uniformly appli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by using the adhesive supply unit 500 and the tread portion 11 The tread 20 can be adhered firmly along the tread 20,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read 20, as well as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타이어회전몸체(100) 상측에는 타이어고정구(110)에 결합된 타이어(10)가 회전하는 동안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4, a tread 20 attached to the tire fixing part 110 is pressed against the tread part 11 while the tire 10 is rotated on the tire rotating body 100, A pressure roller 130 may be installed.

상기의 가압롤러(130)는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40)의 수직이동레일(14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부재(150)에 결합되고, 그 상하이동부재(150)는 수직지지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메인길이조절부(160)에 결합되어, 메인길이조절부(16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가압롤러(130)를 상하로 이동시켜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가 가압되도록 하거나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메인길이조절부(16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The pressure roller 130 is coupled to a vertical moving member 150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moving rail 141 of a vertical support 14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tire rotating body 100, The ash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140 and is coupled to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whose length is adjusted up and down. When the length of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is changed,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may be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so that the tread 20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is pressed or released. Cylinder.

하지만, 가압롤러(130)가 메인길이조절부(16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를 가압하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미도시)에 가압롤러(130)를 설치하여 모터의 구동축에 의한 회전력이 회동부재가 결합된 회동축에 전달되도록 설치하거나, 실린더로드가 실린더몸체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회동부재의 일측이 가압되어 회전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pressure roller 13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and presses the bonded tread 20 along the tread portion 11 is only one embodiment, A pressure roller 130 may be installed on a rotating member (not shown) pivotal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so that the rotating force of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to which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he length of the cylinder rod drawn out from the cylinder body may be varied so that one side of the pivoting member is pressed and rotated.

이러한 가압롤러(130)를 통해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가 회전하는 동안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되어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가 가압됨에 따라,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품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tread 20 pulled out of the tread-out portion 202 and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is press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astener 110 through the pressure roller 130, , The tread 20 can maintain a firm adhered state to the tread portion 11, and the product stability can be increased.

이때, 상기의 가압롤러(130)는 도 4와 같이 트레드인출부(202)에 트레드부(11)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평롤러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레드(20)를 폭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평가압롤러(130a)와, 그 평가압롤러(130a)의 후방에서 트레드부(1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국부롤러회전축(13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평가압롤러(130a)에 의해 가압되고 난 트레드(20)를 재차 부분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국부가압롤러(130b)로 구성될 수 있다.4, the pressure roller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read-out portion 202 around a flat roller rotation axis 131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11 to form a tread 20, And a pair of local roller rotation shafts 135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11 at the rear of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And a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that is rotatably coupled and is pressurized by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and partially presses the tread 20 again.

여기서 평가압롤러(130a)는 타이어(10)의 크기와 폭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둘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국부가압롤러(130b)의 전방에 상호 이격되게 연속해서 설치되거나 국부가압롤러(130b)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가압롤러(130a)는 국부가압롤러(130b)의 전방에 두 개가 구비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속해서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Here,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may be installed one or more than one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width of the tire 10, and if more than two are provided,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front of the local pressure roller 130b Or two of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s 1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local pressure roller 130b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처럼 가압롤러(130)를 평가압롤러(130a)와 국부가압롤러(130b)로 구분하여 설치함으로써, 평가압롤러(130a)를 통해서는 트레드(20)에 접착된 트레드(20)를 폭방향을 따라 일시에 가압하여 트레드(20)의 접착면 대부분을 트레드부(11)에 접착시킬 수 있고, 국부가압롤러(130b)를 통해서는 평가압롤러(130a)에 의해 가압된 부분은 물론 평가압롤러(130a)를 통해서는 가압하기 힘든 그루브(21)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여 트레드(20) 홈 사이에 위치한 접착면까지도 트레드부(11)에 접착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는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가 견고하고 균일한 접착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품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고 이를 통한 제품 신뢰도 역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20 is guid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rough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by separating the pressure roller 130 into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and the local pressure roller 130b So that most of the adhered surface of the tread 20 can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and the portion pressed by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through the local pressure roller 130b can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press the portion of the tread 20 which is difficult to press through the groove 130a to adhere to the tread portion 11 even to the adhesive surface located between the grooves of the tread 20, As the bonded tread 20 maintains a firm and uniform adhesion state, the product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also increased.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평가압롤러(130a)는 평롤러회전축(131)의 양 끝단부에 평가압롤러(13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평롤러지지구(1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 평롤러지지구(132)의 중앙 또는 일측은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하이동부재(150)에 힌지축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평롤러지지구(132)의 타측은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 상하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보조길이조절부(133)의 일측 끝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길이조절부(133)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도 5의 (a)와 같이 수평상태로 트레드(20)를 가압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평롤러지지구(13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타이어(10)의 사이드월(Sidewall)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5, 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lat roller rotation shaft 131 by a flat roller support 132 which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flat roller support 13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ire rotation body 100 as a hinge shaft,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part 133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part 133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in the upper part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so that the length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part 133 The tread 20 may be pressed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5A or the flat roller support 132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as shown in FIG. 5 (b) And may be formed so as to be tilted toward the sidewall.

이때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가압롤러(130a)는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인 만큼, 둘 중 어느 하나는 타이어(10)의 좌측 사이드월 측으로 기울어지고 다른 하나는 타이어(10)의 우측 사이드월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wo of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s 1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provided, one of them is inclined toward the left sidewall of the tire 10 and the other is tilted toward the right sidewall of the tire 10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서는 평가압롤러(130a)와 대응되는 개수로 보조길이조절부(133)를 구비하여 각각의 보조길이조절부(133)에 하나의 평가압롤러(130a)가 작동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나, 작동의 편의성 및 부품비용의 절감차원에서는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150)에 형성된 상하이동레일(15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를 더 구비하여,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의 양측에는 각각의 평가압롤러(130a)에 결합된 평롤러지지구(132)의 타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의 중앙부에는 보조길이조절부(133)의 일측 끝단부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보조길이조절부(133)를 통해 두 개의 평가압롤러(130a)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auxiliary length adjusting portions 133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pressing roller 130a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is operated on each auxiliary length adjusting portion 133, A flat roller angle regulating member 134 that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moving rail 15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The other side of the flat roller support 132 coupled to each of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s 130a is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lat roller angle regulating member 134,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part 133 is provided at the center part so that the two evaluation pressure rollers 130a are symmetrically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rough one auxiliary length adjusting part 133. [

이러한 평가압롤러(130a)는 보조길이조절부(133)를 이용해 높낮이가 조절되어 트레드(20)의 가압력을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를 이용해 두 개의 평가압롤러(130a)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경사진 상태로 트레드(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트레드(20)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을 일시에 가압하면서도 트레드(20)의 양측 부분까지 트레드부(11)의 곡률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가 더욱 견고하고 균일하게 접착되는 효과가 있다.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can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tread 20 by adjusting the height by using the auxiliary length adjuster 133 and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two evaluation pressure rollers 134 The tread 20 can be pressed in a tilted stat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read 20 while press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tread 20 at the same time. 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is more firmly and uniformly adhered.

더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국부가압롤러(130b)는 한 쌍의 국부롤러회전축(135)에 결합되어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국부가압실린더(13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국부가압실린더(136)는 외주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폭조절축(138)에 가압폭조절블럭(137)을 매개로 결합되고, 그 가압폭조절축(138)은 타이어고정구(110)의 상부에 결합된 상하이동부재(150)에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그 상하이동부재(150)의 일측에는 가압폭조절축(138)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폭조절모터(139)가 설치되어, 그 가압폭조절모터(139)에 의해 가압폭조절축(138)이 회전함에 따라 가압폭조절블럭(137), 국부가압실린더(136) 및 국부가압롤러(130b)가 트레드부(1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 이동하면서 트레드(20)의 가압부위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6,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by a local pressurizing cylinder 136 which is coupled to a pair of locally roller rotary shafts 135 and is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The local pressurizing cylinder 136 is coupled to a pressurization width regulating shaft 13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symmetrically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er thereof via a pressurization width regulating block 137, 138 are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ire fixing member 11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nd a press width adjusting shaft 13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movable member 150, And a pressing width adjusting motor 139 that rotates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motor 139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block 137. As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shaft 138 rotates by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motor 139, The local pressurizing cylinder 136, and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d portion 11 it can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to be reciprocated formed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tread portion (20).

이러한 국부가압롤러(130b)는 국부가압실린더(136)를 이용해 높낮이가 조절되어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를 가압하는 힘을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가압 부위가 용이하게 조절됨에 따라 평가압롤러(130a)에 의해 가압된 트레드부(11)를 다시 가압할 수 있음은 물론, 평가압롤러(130a)를 통해 가압하기 힘든 트레드(20)의 홈 부분까지 가압하여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가 더욱 견고하고 균일하게 접착되는 효과가 있다.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can be controlled in height by using the local pressurizing cylinder 136 to control the pressing force of 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press the tread portion 11 pressed by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again and press the tread portion 11 to the tread portion 20 which is difficult to press through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is more firmly and uniformly adhered.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이송롤러부(210)는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양 끝단부가 설치되어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이송롤러회전축(211)과, 그 이송롤러회전축(211)이 중심부에 끼워져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롤러체(212)와, 그 이송롤러체(212)의 외주면에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드정렬롤러(21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7,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is provided at both 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roller (not shown) formed to be rotatabl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 conveying roller body 212 which rotate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tread 20 is conveyed with the conveying roller rotating shaft 211 insert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onveying roller body 212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veying roller body 212, And a tread alignment roller 213 rotatably coup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200.

이러한 트레드이송롤러부(210)를 통해 이송롤러회전축(211), 이송롤러체(212) 및 트레드정렬롤러(213)가 함께 회전하면서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인입된 트레드(20)를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면서도, 트레드정렬롤러(213)에 의해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송되는 트레드(20)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어, 트레드(20)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인출되는 트레드(20)를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켜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read 20 drawn into the tread transfer body 200 while the transfer roller rotation shaft 211, the transfer roller body 212 and the tread aligning roller 213 rotate together through the tread transfer roller unit 210, The tread 20 transferred to the tread-out portion 202 side by the tread aligning roller 213 can be alig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tread portion 202 side, 20 can be smoothly transported and the tread 20 drawn to the tread-out portion 202 can be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ad-transporting body 200 and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The tread portion 11 can be easily attach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11.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8과 같이 트레드인입부(201)에 인접된 위치에서 트레드(20)가 감겨진 트레드권취롤(310)이 트레드(20)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풀어진 트레드(20)가 트레드인입부(201)에 인입되게 형성된 트레드공급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8, the tread-wound body 200 is rotated in the unwin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by the tread-wound-up roll 310 wound with the tread 2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read-in portion 201, A tread supply unit 300 may be installed to draw the tread 20 into the tread inlet 201.

이를 통해 트레드(20)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입부(201)에 용이하게 트레드(20)를 공급시켜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and transport the tread 20 and to easily feed the tread 20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of the tread transport body 2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공급부(300)는 트레드권취롤(31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권취롤회전축(340)이 구비되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트레드권취롤(310)이 안착되게 형성된 권취롤지지체(320)와, 그 권취롤지지체(320)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좌우 양측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형성된 권취롤이송레일(3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9, the tread feeder 300 is provided with a take-up roll rotation shaft 340 on which the tread rewinding roll 310 is rotatably fit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o that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feed body 200 A take-up roll support 320 formed to receive at least one tread-wound rewinding roll 310 thereon and a take-up roll conveying rail 330 formed so that the rewinding roll support 320 is conveyed along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ead- ).

이를 통해 권취롤지지체(320)에 복수개의 트레드권취롤(310)을 설치한 상태에서 권취롤이송레일(330)을 따라 권취롤지지체(320)를 이송시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트레드권취롤(310)에 감겨진 트레드(20)가 트레드인입부(201)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지속적으로 트레드(20)를 공급할 수 있고, 감겨진 트레드(20)가 모두 트레드이송몸체(200)에 공급되어 사용을 완료한 트레드권취롤(3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증대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 plurality of tread rewinding rolls 310 are installed on the rewinding roll supporter 320 to transfer the rewinding roll supporter 320 along the rewinding roll transferring rail 330 to the selected one of the tread rewinding rolls 310, The tread 20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read transfer body 200 so that the tread 20 wound around the tread transfer body 200 can be supplied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1,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tread rewinding roll 310 that has been supplied to the used tread reel 200 and us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work, as well as improving the productivity.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권취롤지지체(320)의 일측에는 권취롤회전축(340)이 트레드(20)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권취롤회전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권취롤회전모터를 통해 트레드권취롤(310)에 감겨진 트레드(20)가 트레드인입부(201)에 자동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트레드(20)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winding roll rotation moto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inding roll support 32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winding roll rotation shaft 340 rotates in the unwin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the tread 20 wound around the tread-wound roll 310 is automatically fed to the tread-in portion 201 through the winding-up roll rotating motor so that the tread 20 can be easily supplied .

상기한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0과 같이 트레드인입부(201)에 공급된 트레드(20)를 가압함과 동시에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트레드(20)의 인입과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한 이송이 유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트레드인입유도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tread transfer body 200 is provided to press the tread 20 supplied to the tread penetration portion 201 an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side, A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220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pull-in and conveyance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여기서, 트레드인입유도부(220)는 트레드(20)의 가압과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공급유도롤러(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220 is formed by forming a feed guide roller 22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so that pressing of the tread 20 and supply of rotational force to the tread- .

이러한 공급유도롤러(221)는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부에 설치된 공급유도롤러(221a)는 공급롤러높이조절실린더(222)에 의해 트레드의 상면이 가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공급유도롤러(221b)는 공급롤러회전모터(223)에 의해 트레드(20)의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레드(20)가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ly guide roller 221 is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is pressed by the supply roller height adjusting cylinder 222,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ly guide roller 221b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is rotated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by the feeding roller rotating motor 223 so that the tread 20 can be smoothly drawn.

그러나, 공급유도롤러(221)를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설치하는 것 외에도,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하부에는 트레드(20)의 하면이 지지되는 지지판(미도시)을 설치한 상태에서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에만 트레드(20)의 상면을 지지판으로 가압할 수 있는 공급유도롤러(221)가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However, in addition to providing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eed guide roller 221 on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 support plate (not shown)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is provided below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 supply guide roller 2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20 to the support plate.

이러한 트레드인입유도부(220)는 트레드인입부(201)에 공급된 트레드(20)가 트레드이송몸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트레드(20)의 인입과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한 트레드(2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220 prevents the tread 20 supplied to the tread pull-in portion 20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tread pull- And the tread 20 can be smoothly f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0050]

상기한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1a 및 11b와 같이 트레드인입부(201)에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어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설정된 길이로 이송된 트레드(20)를 절단하는 트레드절단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11A and 11B, the tread feed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 feed body 201 which is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feed body 200, And a tread cut portion 230 for cutting the conveyed tread 20 may be provided.

이러한 트레드절단부(230)를 통해 트레드인입부(201)에서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트레드(20)를 타이어(1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 즉,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의 양 끝단면이 정확히 맞닿아 지지될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이송몸체에서 트레드(20)가 모두 인출된 상태가 되면 그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를 모두 감싸면서 트레드(20)의 양 끝단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어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tread 20 is extended from the tread inflow portion 201 toward the tread inflow portion 202 through the tread cut portion 230 so that the tread portion 20 is extended to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The tread 20 covers the entire tread portion 11 so that the tread 20 can be removed from the tread 20 when the tread 2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transfer body, 20 are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a firm adhered state can be maintained.

여기서, 트레드절단부(230)는 트레드(2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트레드(20)를 절단하는 트레드절단날(231)과, 그 트레드절단날(231)이 트레드(2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절단날이송체(233)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read cut portion 230 includes a tread cutting blade 231 for cutting the tread 20 and rotating in a direction to press the tread 2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er blade 233 is a cutter blade that reciprocat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tter.

여기서, 절단날이송체(233)는 도 11a와 같이 랙(Rack)과 피니언(Pinion)의 맞물림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는 달리 도 11b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실린더몸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며 길이가 조절되게 형성된 실린더일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blade feeding body 233 is formed so as to convert a rotary motion into a linear motion or a linear motion to a rotary motion on the contrary by the engagement of a rack and a pinion as shown in FIG. 11A,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B, the cylinder rod may be drawn or drawn into the cylinder body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and the cylinder may be formed to have a controlled length.

또한, 트레드절단날(231)의 외면에는 트레드(20)의 절단면을 거칠어지게 하는 숫돌면(232)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의 양 끝단면이 밀착되었을 때, 넓은 접촉 면적으로 밀착시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숫돌면(232)에 의해 거칠게 형성된 절단면이 요철(凹凸)에 의해 맞물려 결합된 것과 같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가 더욱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desirable to form a grindstone surface 23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ead cutting blade 231 for roughening the cut surface of the tread 20, When the end face is closely adhered, the end face of the tread portion 232 is tightly supported by a wide contact area and is rigidly supported such that the cut surface roughly formed by the abrasive face 232 is engaged with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So that the tread 20 adhered to the base 11 can be maintained in a more firmly adhered state.

이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에 트레드절단부(23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균일한 절단면을 얻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절단면 또는 절단길이의 불균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tread cutting portion 230 is provided on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uniform cut surface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a safet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a cut surface or a n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트레드절단부(230)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트레드절단부(230)가 작동하는 동안 트레드(20)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하는 트레드고정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12, a tread fixing part 2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tread cutting part 230 to press-fix the tread 20 so that the tread 20 does not move while the tread cutting part 230 is operated, 240 may be provided.

이러한 트레드고정부(240)를 통해 트레드(20)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절단될 수 있어,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되는 트레드(20)의 길이를 더욱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트레드부(11)에 트레드(20)를 접착시킨 이후 트레드(20)의 끝단면을 잘라내거나 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 소요를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 속도가 향상되며, 제품 성능 및 제품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tread 20 can be cut in a fixed state without flowing through the tread fixing portion 240 so that the length of the tread 20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can be cut more precise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dditional work such as cutting the end surface of the tread 20 after the tread 20 is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work is increased and the working speed is improved, Product performance and product stability are improved.

이때의 트레드고정부(240)는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된 트레드고정실린더(241)에 의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하방으로 승강되며 트레드(20)의 상면을 가압하는 트레드가압승강판(242)과, 트레드이송몸체(200)에 트레드이송롤러부(210)의 상부와 대응되는 높이 즉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하면과 대응되는 높이로 설치되어 트레드가압승강판(242)이 하강되어 트레드(20)의 상면을 가압하였을 때 트레드(20)의 하면이 고정되게 지지하는 트레드고정지지판(24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read fixing part 240 is lif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by the tread fixing cylinder 24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the trea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20 is pressed The steel sheet 242 is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that is,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to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a tread fixing support plate 243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in a fixed manner when the tread 20 is lower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20 is pressed by the tread.

또한, 상기의 트레드고정부(240)는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는 두 개의 트레드고정부(240)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트레드절단부(2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read fastenin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tread fastening portions 200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supporting body 200, 24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they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ead cut portion 230, respectively.

만약 트레드인입부(201)에 상기한 트레드인입유도부(220)가 설치된 경우에는 그 트레드인입부(201)가 트레드고정부(240)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때의 트레드고정부(240)는 트레드절단부(230)의 후방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f the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220 is installed in the tread pull-in portion 201, the tread pull-in portion 240 can serve as the tread fixing portion 24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one or more than two tread cut portions 2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한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3과 같이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어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인출될 트레드(20)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절단길이설정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13, a cut length setting unit 250 for setting the length of the tread 20 to be fed to the tread-out unit 202 side by the tread-feed roller unit 210, May be provided.

이러한 절단길이설정부(250)를 통해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를 접착 대상이 되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해당하는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추가적은 작업 소요를 줄이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ead 20 transported by the tread transfer body 200 can be accurately cut through the cut length setting unit 250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to be bon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 requirement and improve the product quality.

이때의 절단길이설정부(250)는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정된 절단 길이에 고정되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절단길이감지센서(251)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트레드(20)의 이송 길이를 식별하고 절단길이감지센서(251)에 의해 감지되는 트레드(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수치안내자(2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utting length setting unit 250 detects the tread 20 transported by the tread feeding roller unit 210 and is fixed to a predetermined cutting length by being installed movably alo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 cut length detection sensor 251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tread 20 to the control unit 600 and a conveyance length of the tread 20 install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a numerical guide 252 configure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tread 20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read 20 sensed by the cutting length detection sensor 251.

여기서, 절단길이감지센서(251)는 트레드(2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절단길이감지센서(251)가 감지하는 트레드(20)의 위치를 수치안내자(252)에 표시된 길이에 따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조절 가능한 광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ting length detection sensor 251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tread 20 is fed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tread 20 detected by the cutting length detection sensor 251 according to the length indicated on the numerical guide 252 It is preferable that an optical sensor that can be adjusted while being visually recognized is used.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4와 같이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휨방지롤러가 설치되어 휘어진 상태의 트레드(20)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형성된 트레드휨방지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bending prevention roller (not shown)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and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tread- And a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formed to extend the bent tread 20 in a flat state can be provided.

이를 위해 트레드휨방지부(260)는 트레드부(11)에 접착되는 트레드(2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이송몸체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롤러(261)와, 그 하부지지롤러(261)의 상측에서 그루브(21)가 형성된 트레드(2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가압롤러(262)와, 하부지지롤러(261)가 트레드(20)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지지롤러회전모터(263)와, 상부가압롤러(262)의 가압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롤러높이조절실린더(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includes a lower support roller 261 and a lower support roller 261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to rotat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An upper pressure roller 262 installed to rotate alo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20 formed with the groove 21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ing roller 261, A supporting roller rotating motor 263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tread 20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a supporting roller height adjusting cylinder 264 for adjusting the pressing height of the upper pressing roller 262 Lt; / RTI >

또한, 트레드(20)가 평평하게 펼치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부지지롤러(261)와 상부가압롤러(262)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트레드(20)가 상향되게 휘어진 상태로 공급된 경우에는 상부가압롤러(262)의 크기를 하부지지롤러(261)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로 하향되게 휘어진 상태로 공급된 경우에는 상부가압롤러(262)의 크기를 하부지지롤러(261)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the lower support roller 261 and the upper pressure roller 262 to have different sizes in order to spread the tread 20 flatly. When the tread 20 is fed in an upwardly bent state The size of the upper pressure roller 26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support roller 261. In contrast, when the upper pressure roller 262 is fed in a downwardly curved state, the size of the upper pressure roller 26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support roller 261 It is preferable to form it large.

여기서, 트레드(20)가 휘어지게 되는 이유는 통상 타이어(10)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레드(20)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롤 형상으로 권취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이와 같이 권취된 상태의 트레드(20)는 권취된 기간이나 환경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고무재질의 특성상 권취된 상태에서 풀어진 초기에는 권취되었을 때의 휘어진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에 의해 트레드이송몸체(200)로 공급할 때는 물론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휘어져 있게 된다.Here, the reason why the tread 20 is warped is that it is wound in a roll shape in order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the tread 20 normally used for regenerating the tire 10. In this state, The tread 20 may be supplied to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due to the nature of the rubber material, due to the property of returning to the curved shape at the time of winding, But also continues to be bent while being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as well.

물론,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트레드(20)의 자중에 의해 휘어져 있던 정도가 완만해질 수는 있으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평평하게 펼쳐지는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Of course, the degree of bending due to the weight of the tread 20 during conveyance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can be gentle, bu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spread flatly without applying a physical force .

만약, 트레드이송몸체(200)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트레드(20)를 휘어져 있는 상태로 두게 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f the tread 20 fed to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fed is left bent,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먼저, 휘어진 부분이 상향되게 공급된 경우 트레드인입부(201)에 인입된 끝단부가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간섭되어 트레드(20)의 원활한 이송에 방해가 되고, 반대로 휘어진 부분이 하향된 경우 자중에 의해 일부 펴진 상태가 되기는 하겠으나 이 역시도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적어 원활하게 이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First, when the bent portion is upwardly fed, the end portion drawn into the tread inlet portion 201 interferes with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to interfere with the smooth conveyance of the tread 20, and when the bent portion is down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is less likely to be smoothly conveyed due to its small size.

다음으로, 트레드절단부(230)가 구비되어 설정된 길이로 트레드(20)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길이로 절단하기 어려워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거나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트레드(20)가 구부러진 상태에서는 트레드절단길이설정부(250)에 의해 감지된 길이로 절단되더라도 설정된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절단되어,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의 양 끝단면이 서로 긴밀하게 맞닿은 상태가 될 수 없어 트레드부(11)에 고루 접착되면서도 양 끝단면이 긴밀히 맞닿을 수 있도록 절단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Next, when the tread cut portion 230 is provided to cut the tread 20 to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difficult to cut the tread 20 to an accurate length, which may require additional work or cause defective products. That is, even if the tread 20 is cut at the length detected by the tread cutting length setting unit 250 in the bent state, the tread 20 is cut to a length longer than the set leng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utting operation so that the end faces of the both ends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evenly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because the end faces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 다음으로, 타이어(10)의 크기에 맞게 트레드(20)를 미리 절단한 상태로 권취한 경우에는 트레드인출부(202)로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균일하고 견고하게 접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다수개의 타이어(10)를 지속적으로 재생하여야 할 때에는 타이어회전몸체(100)에 타이어(10)를 교체 설치할 때마다 트레드인입부(201)에서 새로운 트레드(20)를 공급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Next, when the tread 20 is wound in a state in which the tread 20 is cut beforeh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ire 10, the tread 20 drawn out to the tread-out portion 202 is uniform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11 It is difficult to adhere the new tread 20 to the tire rotating body 100. When a plurality of tires 10 are to be continuously reproduced, It is troublesome and uncomfortable to work.

이에 따라, 트레드휨방지부(260)를 통해 휘어진 상태로 트레드이송몸체(200)에 놓여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동안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트레드(20)의 공급 및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설정된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트레드인출부(202)에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를 따라 균일하게 접착되어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us, by placing the tread 20 on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while being bent through 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the tread 20 can be spread flatly while being conveyed, thereby smoothly feeding and conveying the tread 20 The tread 20 pulled out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can be uniform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to produce a uniform quality product, .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드휨방지부(260)는 트레드절단길이설정부(250)와 트레드절단부(230) 사이에 하나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트레드절단부(230) 후방에 둘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트레드이송몸체(200)에 트레드인입유도부(220)가 구비된 경우에는 공급유도롤러(221)를 하부지지롤러(261) 및 상부지지롤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시켜 트레드휨방지부(26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트레드휨방지부(260)의 설치 개소를 줄일 수도 있는 것이다.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as being provided between the tread cutting length setting portion 250 and the tread cutting portion 230. However, When the tread pull-in guide 220 is provided on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the feed guide roller 22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ower support roller 261 and the upper support roller, 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can be installed at a reduced size.

또한, 트레드휨방지부(260) 후방에는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동시에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에 트레드(2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트레드휨방지부(260)에 의해 평평하게 펼쳐진 이후 트레드인출부(202)로 인출되는 시간동안 다시 원래의 휘어진 상태로 복원되려는 경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트레드(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균일하게 접착되는데 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휨방지바(265)를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read 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The tread 20 can be bent only within a limited range when the tread 20 is flattened by the tread portion 260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bent state during the time taken out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flection preventing bar 265 that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being uniformly adhered to the portion 11.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5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 양측에 트레드(20)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트레드(20)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설정된 위치에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so as to be adjustable in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read 20, A guide roller portion 270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ead 20 is conveyed and guiding the tread 20 to be conve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can be provided.

이를 위해 가이드롤러부(270)는 도 16a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외주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폭조절축(271)과, 그 가이드폭조절축(271)의 양측 외면에 나사결합되어 가이드폭조절축(27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폭조절블럭(272)과, 가이드폭조절블럭(272)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회전축(273)과, 가이드롤러회전축(273)에 중심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274)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가이드폭조절축(27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그 가이드폭조절블럭(272)이 가이드폭조절축(27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함과 동시에 가이드폭조절블럭(272)이 트레드인입부(201) 또는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폭조절지지축(275)과, 가이드폭조절축(271)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이드간격조절수단(27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6A, the guide roller unit 270 is instal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has a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thread is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2 which is screwed to both outer sides of the width adjusting shaft 271 and is moved along the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and a guide roller rotating shaft 273 A guide roller 274 fitt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roller rotation shaft 273 so as to penetrate the center portion and rotatabl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The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2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271 to guide the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2 to move along the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2 can guide the tread- (202) sid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width adjusting the support shaft 275 and the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and the guide gap adjus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in positive and reverse (276).

여기서, 가이드간격조절수단(276)은 수동에 의해 회전하는 핸들,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핸들과 모터를 함께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Here, the guide interval adjusting means 276 may be a manual rotating handle, a moto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by the power, or a handle and a motor may be installed together so that one of them can be selectively used It can also be installed.

첨부한 도면에서는 가이드롤러(274)가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트레드(20)가 가이드롤러(274)의 설정된 폭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면서도 트레드이송몸체(200)에 놓여 이송되는 동안 가이드롤러(274)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guide roller 274 is formed in a shape of a top surface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so that the tread 20 can be moved within a set width of the guide roller 274, So that the guide roller 274 is not released during the feeding.

하지만, 가이드롤러(274)는 상기한 상광하협의 원뿔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직경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롤러(미도시)의 상부에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트레드이탈방지편(미도시)을 설치하여 된 것일 수도 있다.However, the guide roller 274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onical shape having the above-mentioned vertical light-converging shape, and may be provided on the roller (not shown) having a cylindrical shape of the same diame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tread.

이때, 가이드롤러부(270)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설정된 구간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만큼, 트레드이송롤러부(2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guide roller unit 270 is for guiding and transporting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alo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unit 210 is installed in a spaced space.

또한, 가이드롤러부(270)는 트레드(20)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각각의 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트레드이송몸체(200)에 놓여 이송되는 트레드(20)가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롤러(274)의 폭이 모두 동일하게 조절되어야 할 것임을 감안해 복수개의 가이드롤러부(270)가 동일한 폭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guide rollers 270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widths of the treads 20 along the width of the tread 20, but the tread 20, which is placed on the tread transfer body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 units 270 can be adjusted to have the same width considering that the widths of the guide rollers 274 should be adjusted to be the same.

이를 위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하부 양측에서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가이드롤러회전축(273)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이드축연결부재(277)를 설치하고, 이 양측의 가이드축연결부재(277) 사이에 가이드폭조절축(271)을 설치하며, 가이드폭조절축(271)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가이드축연결부재(277)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폭조절지지축(27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 277 for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rotating shaft 273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t both lower sides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installed A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s 277 on both sides and the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 277 is not moved arbitrarily forward or rearward of the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guide width adjusting support shaft 275 so as to smoothly move.

이때의 가이드축연결부재(277)는 각각의 가이드롤러회전축(273)에 설치된 가이드폭조절블럭(272)을 대신해 복수개의 가이드롤러회전축(273)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일 수도 있으나, 가이드폭조절블럭(272)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가이드폭조절블럭(272)이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guide roller rotation shafts 27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lace of the guide width adjustment blocks 272 provided on the respective guide roller rotation shafts 273, The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read 20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hereof.

또한 가이드축연결부재(277)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구간 내에서 가이드롤러(274)의 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전체 가이드롤러(274)의 폭이 일괄적으로 조절되게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Also, the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 277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width of the guide roller 274 in at least one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entire guide roller 274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May be installed in a controlled manner.

여기서 가이드간격조절수단(276)에 의한 구동력이 복수개의 가이드폭조절축(271)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가이드폭조절축(271)과 대응되는 개수로 가이드간격조절수단(276)을 설치하거나, 복수개의 가이드폭조절축(271)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When the driving force by the guide gap adjusting means 276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uide width adjusting shafts 271, the guide groove adjusting means 276 corresponding to the guide width adjusting shafts 271 is installed Or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guide width adjusting shafts 271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이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에 가이드롤러부(270)를 구비함으로써, 트레드(20)가 설정된 구간으로 이동되도록 정렬됨에 따라 트레드(20)의 인입 및 이송은 물론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트레드(20)가 인출되는 경우에도 트레드부(11)에 접착될 위치로 정확히 인출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트레드절단부(230)가 구비되어 설정된 길이로 트레드(20)를 절단한 경우에도 절단된 트레드(20)가 가이드롤러부(270)를 따라 일렬로 나란히 이송 및 인출됨에 따라 반복적인 타이어(10) 재생 작업에도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guide roller portion 270 in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s described above, the tread 20 is arranged to be mov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so that the tread 20 can be moved in and out of the tread- Even when the tread 20 is pulled out, it can be accurately drawn out to the position to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The tread cut portion 230 is provided, The cut treads 20 are fed and drawn in a line along the guide roller portion 270 so that uniform quality products can be produced in the repetitive operation of the tire 10,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7과 같이 트레드인출부(2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가 회전하는 동안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접착되도록 가압하는 트레드접착안내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17, the tread-mov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out portion 202, which is installed on the tread-pulling portion 202, And a tread adhesive guide portion 290 for pressing the tread adhesive portion 20 so as to be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이러한 트레드접착안내부(290)는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를 따라 더욱 견고하고 균일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트레드인출부(202)의 상부에 타이어고정구(110)에 결합된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 측으로 길이가 조절되게 설치된 트레드접착실린더(291)와, 그 트레드접착실린더(291)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드(20)의 폭방향을 따라 상면을 가압하는 트레드접착안내롤러(29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tread adhesive guide 290 is intended to allow the tread 20 drawn from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to be more firmly and uniformly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A tread adhering cylinder 291 whose length is adjusted to the side of the tread portion 11 of the tire 10 coupled to the tire fastener 110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ead adhering cylinder 210, And a tread adhesive guide roller (291)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20).

이러한 트레드접착안내부(290)는 도 18a와 같이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접착을 시작할 때와 도 18b와 같이 설정된 길이의 트레드(20)가 모두 인출되어 접착이 종료될 때에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인출이 시작되는 트레드(20)의 끝단부가 트레드부(11)에 접착되는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도 인출이 완료된 트레드(20)의 끝단부가 트레드부(11)에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18A, when the tread 20 drawn out from the tread-out portion 202 starts to adhere to the tread portion 11 and when the tread 20 having the set length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tread 20 to be drawn out is fixed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tread 20 is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does not move, So that the end portion is firmly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여기서, 트레드부(11)에 트레드(20)가 접착되는 동안 트레드접착안내부(290)를 트레드(20)의 접착이 시작될 때와 종료될 때에만 작동하도록 설정한 이유는 트레드부(11)에 접착된 상태의 트레드(20) 양 끝단면이 정확히 맞닿아 밀착된 상태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으로, 만약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접착되는 동안 트레드접착안내부(290)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될 경우 가압된 힘에 의해 타이어(10)의 외경이 변하게 되어 트레드부(11)를 따라 균일하게 접착이 어렵게 될 뿐 아니라, 트레드접착안내부(290)의 가압력에 의해 트레드부(11)를 따라 접착된 트레드(20)의 끝단부 길이가 일부 남아 절단할 경우에는 최초 설정된 길이보다 짧게 되어 결국에는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tread adhered portion 290 is set to operate only when the adhesion of the tread 20 is started and when the adhesion of the tread 20 is finished while the tread 20 is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is that the tread portion 11 The tread 20 is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11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 surfaces of the tread 20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uter diameter of the tire 10 is changed by the pressurized force so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dhere along the tread portion 11 and the tread adhesion portion 290 is pressed by the tread adhesive guide portion 290, If the length of the end portion of the tread 20 adhered along the portion 11 is cut to some extent, the length may be shorter than the initially set length, which may eventually lead to defective products.

이와 같이, 트레드이송몸체(200)에 트레드접착안내부(290)를 구비하여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트레드부(11)에 정확하게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의 편의성 증대와 품질 향상은 물론 제품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ead attachment guide portion 290 is provided on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the tread 20 drawn out from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is accurately bonded to the tread portion 11, It has an effect of enhancing quality as well as enhancing product stability.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트레드부(11)를 따라 트레드(20)의 접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트레드(20)의 양 끝단부가 밀착 지지된 상태라 하더라도 다른 부위에 비해 접착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트레드(20)의 양 끝단부를 연결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의 고정을 위해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tread 20 is adhered along the tread portion 11 though not shown, even if the both ends of the tread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dhesive force of the tread 20 is weak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20), and a hand tool or a power tool can be used to fix the fixing member.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19와 같이 트레드인출부(202)의 하부에 설치되어 트레드(20)가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인출되기 시작하면 도 20과 같이 트레드(2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된 접착면보호필름(22)을 트레드(20)로부터 분리시키는 필름분리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when the tread 2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d-out portion 202 and the tread 20 is drawn out to the tread-out portion 202 side, And a film separator 280 separating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detachably adhered to the tread 20 from the tread 20.

이러한 필름분리부(280)는 앞서 언급했듯이 트레드부(11)에 접착되는 트레드(20)의 접착대상면 즉, 그루브(21)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접착된 접착면보호필름(22)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lm separator 28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11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to be bonded of the tread 2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groove 21 is formed. To easily separate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adhered thereto.

이때의 필름분리부(280)는 트레드인출부(202)에 트레드(20)가 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며 트레드(20)의 하면이 지지하는 필름지지롤러(281)와, 필름지지롤러(281)에 접착면보호필름(22)이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필름분리롤러(282)와, 필름분리롤러(282)가 필름지지롤러(281)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필름분리실린더(28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lm separating unit 280 is provided with a film supporting roller 281 which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tread 20 is drawn out to the tread-out portion 202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A film separating roller 282 for pressing the support roller 281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oller 281 and a film separating roller 282 for separating the film separating roller 282 from the film supporting roller 281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cylinder 283.

이에 따라, 트레드(20)가 트레드인출부(202)로 인출되기 시작할 때에만 작업자가 트레드(20)에 접착된 접착면보호필름(22)을 일부 분리하여 필름지지롤러(281)와 필름분리롤러(282) 사이에 위치시키고 난 이후, 필름분리롤러(282)가 접착면보호필름(22)을 필름지지롤러(281)에 밀착되도록 필름분리실린더(283) 작동시키면, 트레드(20)의 이송속도로 회전하는 필름지지롤러(281)에 의해 이 필름지지롤러(281)에 밀착된 필름분리롤러(282)가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필름지지롤러(281)와 필름분리롤러(28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필름지지롤러(281)와 필름분리롤러(282) 사이에 위치한 접착면보호필름(22)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only when the tread 20 starts to be drawn out to the tread-out portion 202, the operator partially separates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adhered to the tread 20, When the film separating roller 282 operates the film separating cylinder 283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ve film 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lm supporting roller 281, The film separating roller 28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m supporting roller 281 is rotated by the film supporting roller 281 rotating by the film separating roller 281,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22 positioned between the film supporting roller 281 and the film separating roller 282 can be separat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름분리롤러(282)에 의해 분리된 접착면보호필름(22)이 인출되는 측에 별도의 수거용기(미도시)를 설치한 경우에는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when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22 separated by the film separation roller 282 is drawn out, the processing can be facilitated, which is preferable.

상기의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도 21과 같이 트레드인출부(202)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트레드(20)의 인출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높낮이조절수단(410)과, 트레드인입부(20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낮이조절수단(410)에 의해 트레드인출부(202)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트레드이송몸체(200)가 설정된 경사각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된 회동지지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21, the height of the tread 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ixing hole 110, As the height of the tread-out portion 202 is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d-in portion 201, the height of the tread- The rotation support part 420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transfer body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러한 높낮이조절수단(410)과 회동지지부(420)를 통해 트레드부(11)에 접착 가능한 위치에서 트레드(20)가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되는 타이어(10)의 크기에 관계없이 트레드인출부(202)로부터 인출된 트레드(20)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tread 20 can be pulled out from the tread portion 11 at a position where the tread portion 11 can be adhered via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and the pivotal supporting portion 4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ead 20 drawn out from the tread-out portion 202 can be easily adhered.

물론, 높낮이조절수단(410)을 트레드이송몸체(200)에 설치하지 않고, 타이어회전몸체(100)에 설치하여 타이어(10)가 고정되는 타이어고정구(11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트레드부(11)를 따라 트레드(20)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타이어고정구(110)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타이어고정구(110)의 무게와 타이어(10)의 무게는 물론 가압롤러(130)가 구비된 때에는 이 가압롤러(130)의 무게까지 높낮이조절수단(410)이 견뎌야 하기 때문에 무리한 하중으로 인해 쉽게 고장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may not be provided on the tread transfer body 200 but may be provided on the tire rotating body 10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ire fastener 110 to which the tire 10 is fixed, The weight of the tire fastener 110 and the weight of the tire 10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roller 110.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must withstand the weight of the pressing roller 130 when the pressing roller 130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device 410 may be easily damaged or broken due to an unreasonable load.

또한, 타이어고정구(110)가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타이어고정구(110)와 높낮이조절수단(410)의 연결부에서 미세한 떨림이 전달되어 트레드(20)가 설정된 위치에서 인출되더라도 트레드부(11)를 따라 정확히 접착되기 어려워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Even if the tread 20 is pulled out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due to the small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ire fixing member 11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tire fixing member 110,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may be defective.

이에 따라,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해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하부에 높낮이조절수단(410)과 회동지지부(420)를 설치하여 트레드인출부(202)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means 410 and the turning support portion 420 ar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will be.

상기의 제어부(600)는 타이어회전몸체(100)와 트레드이송몸체(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타이어고정구(110)에 타이어(10)가 끼워질 경우 타이어회전축(111)의 외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포크(112)가 타이어(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직경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타이어이송부(170)의 이송 위치를 제어하여 트레드인출부(202)에 트레드(20)가 인출되는 위치와 접착제공급유닛(500)에 접착제(30)가 토출되는 위치로 정확히 이송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and the tread transfer body 200 so that when the tire 10 is inserted into the tire fixing hole 110,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spokes 112 installed can be adjusted to a diameter at which the tire 10 can be fixed and the tread 20 is drawn out to the tread-out portion 202 by controlling the feeding position of the tire- And the adhesive 30 is accurately transfer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adhesive 30 is discharged to the adhesive supply unit 500.

또한, 트레드공급부(300)를 통해 트레드이송몸체(200)로 트레드(20)가 공급되기 시작할 때에는 트레드인입유도부(220)를 동작시켜 지속적으로 트레드(20)가 인입되도록 유도하고, 가이드롤러부(270)를 트레드(20)의 폭에 맞게 조절하며, 트레드휨방지부(260)를 동작시켜 트레드(20)의 휘어진 상태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한다.When the tread 20 is started to be supplied to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through the tread feeding part 300, the tread pull-in inducing part 220 is operated to continuously guide the tread 20, 270 are adjusted to the width of the tread 20 and the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0 is operated to cause the tread 20 to be bent in a flat state.

더불어, 절단길이감지센서(251)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가 제어부(600)에 전달된 경우에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트레드고정부(240)와 트레드절단부(23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설정된 길이로 이송된 트레드(20)를 절단하고, 트레드절단부(230)의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트레드고정부(240)에 의한 트레드(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트레드인입유도부(220)와 트레드휨방지부(260)를 다시 작동시켜 트레드(20)를 이송시킨다.When th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cutting length detection sensor 25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0, the operation of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tread fixing unit 240 and the tread cutting unit 230 are sequentially operated to cut the tread 20 transpor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tread cut portion 230 is completed, the fixed state of the tread 20 by the tread fixing portion 240 is released, The lead inducing portion 220 and the tread bending preventing portion 260 are operated again to feed the tread 20.

이후, 트레드인출부(202)로 트레드(20)가 인출되어 트레드부(11)에 접착되기 시작하면 트레드접착안내부(290)를 작동시켜 트레드(20)의 일측 끝단부가 트레드부(11)에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초기 접착이 완료된 이후에는 트레드접착안내부(29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트레드(2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며, 트레드(20)가 모두 인출된 상태가 되면 다시 트레드접착안내부(290)를 작동시켜 트레드(20)의 타측 끝단부가 트레드부(11)에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Thereafter, when the tread 20 is pulled out to the tread portion 202 by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the tread adhesion guide portion 290 is operated so that one end of the tread 20 is tied to the tread portion 11 After the initial bonding is completed, the tread adhesive guide 290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release the pressed state of the tread 20, and the state in which the tread 2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tread adhesive guide 290 is operated agai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read 20 is firmly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11. [

이때, 트레드(20)의 인입이 시작될 때, 트레드휨방지부(260)로 트레드(20)가 이송되었을 때, 트레드인출부(202)에서 트레드(20)가 인출을 시작할 때와 끝날 때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의 구성들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tread 20 is transferred to the tread deflector 260, when the tread 20 starts to be pulled, the tread 20 is detected when the tread 20 starts and ends the withdrawal from the trea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ens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sensed from each sens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is controlled.

이에 더해, 트레드인출부(202)에서 트레드(20)의 타측 끝단부가 인출되어 트레드접착안내부(290)의 작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가압롤러(130)를 작동시켜 트레드부(11)에 접착된 트레드(20)를 견고하게 접착시키면 되는데, 이때에도 타이어고정구(110)의 회전속도, 평가압롤러(130a)와 국부가압롤러(130b)가 트레드(20)를 가압하는 힘과 시간, 평가압롤러(130a)의 각도의 기울기, 국부가압롤러(130b)의 이동 폭 등을 제어부(600)에 설정하여 그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면 된다.In addition, after the other end of the tread 20 is pulled out from the tread-out portion 202 and the operation of the tread adhesion guide portion 290 is completed, the pressure roller 130 is operated to move the tread 20, The rotation speed of the tire fastener 110 and the force and time for the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and the local pressure roller 130b to press the tread 20, 130a and the movement width of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may be set in the control unit 600 so as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새로운 트레드부(11)의 공급과 이송이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새로운 트레드부(11)를 접착 대상이 되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정밀하게 절단하여 그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드부(11)의 공급, 이송, 절단, 접착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생 타이어를 성형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증대,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제품 안전성 증대,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generated tir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nd transfer of the new tread portion 11 can be made continuous and stable, and the new tread portion 11 can be made The tread portion 11 can be precisely and accurately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b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10 and the supply, By molding the regenerated tire quickly and accurate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mprove the productivity, improve the quality, increase the product safety,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10 : 타이어 11 : 트레드부
20 : 트레드 21 : 그루브
22 : 접착면보호필름
30 : 접착제
100 : 타이어회전몸체 110 : 타이어고정구
111 : 타이어회전축 112 : 스포크
120 : 타이어회전모터 130 : 가압롤러
130a : 평가압롤러 130b : 국부가압롤러
131 : 평롤러회전축 132 : 평롤러지지구
133 : 보조길이조절부 134 : 평롤러각도조절부재
135 : 국부롤러회전축 136 : 국부가압실린더
137 : 가압폭조절블럭 138 : 가압폭조절축
139 : 가압폭조절모터 140 : 수직지지대
141 : 수직이동레일 150 : 상하이동부재
151 : 상하이동레일 160 : 메인길이조절부
170 : 타이어이송부 170a : 좌우이송부
170b : 전후이송부 171a,171b : 레일이송모터
172a,172b : 레일회전축 173a,173b : 레일이송블럭
174a,174b : 이송레일
200 : 트레드이송몸체 201 : 트레드인입부
202 : 트레드인출부 210 : 트레드이송롤러부
211 : 이송롤러회전축 212 : 이송롤러체
213 : 트레드정렬롤러 220 : 트레드인입유도부
221 : 공급유도롤러 222 : 공급롤러높이조절실린더
223 : 공급롤러회전모터 230 : 트레드절단부
231 : 트레드절단날 232 : 숫돌면
233 : 절단날이송체 240 : 트레드고정부
241 : 트레드고정실린더 242 : 트레드가압승강판
243 : 트레드고정지지판 250 : 절단길이설정부
251 : 절단길이감지센서 252 : 수치안내자
260 : 트레드휨방지부 261 : 하부지지롤러
262 : 상부가압롤러 263 : 지지롤러회전모터
264 : 지지롤러높이조절실린더 265 : 휨방지바
270 : 가이드롤러부 271 : 가이드폭조절축
272 : 가이드폭조절블럭 273 : 가이드롤러회전축
274 : 가이드롤러 275 : 가이드폭조절지지축
276 : 가이드간격조절수단 277 : 가이드축연결부재
280 : 필름분리부 281 : 필름지지롤러
282 : 필름분리롤러 283 : 필름분리실린더
290 : 트레드접착안내부 291 : 트레드접착실린더
292 : 트레드접착안내롤러
300 : 트레드공급부 310 : 트레드권취롤
320 : 권취롤지지체 330 : 권취롤이송레일
340 : 권취롤회전축
410 : 높낮이조절수단 420 : 회동지지부
500 : 접착제공급유닛 510 토출폭조절부재
520 : 토출구 530 : 저장용기
531 : 접착재료 540 : 히터
600 : 제어부
10: tire 11: tread portion
20: Tread 21: Groove
22: 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30: Adhesive
100: Tire rotation body 110: Tire fixture
111: tire rotation axis 112: spoke
120: tire rotation motor 130: pressure roller
130a: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b: Local pressure roller
131: plain roller rotation shaft 132: flat roller support
133: auxiliary length adjuster 134: flat roller angle adjusting member
135: local roller rotation axis 136: local pressure cylinder
137: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block 138: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shaft
139: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motor 140: Vertical support
141: vertical moving rail 150:
151: Up and down moving rails 160: Main length adjusting part
170: Tire transferring part 170a:
170b: front and rear conveyance units 171a and 171b: rail feed motor
172a and 172b: rail rotating shafts 173a and 173b:
174a, 174b: Feed rail
200: tread transfer body 201: tread inlet
202: Tread withdrawal portion 210: Tread conveyance roller portion
211: conveying roller rotating shaft 212: conveying roller body
213: Tread alignment roller 220: Tread pull-
221: feed induction roller 222: feed roller height adjustment cylinder
223: Feed roller rotating motor 230: Tread cutting section
231: Tread cutting blade 232: Wheel surface
233: cutting blade transfer body 240: tread fixing portion
241: Tread fixing cylinder 242:
243: Tread fixing support plate 250: Cutting length setting unit
251: Cutting length detection sensor 252: Numerical guide
260: Tread bending prevention portion 261: Lower support roller
262: upper pressure roller 263: support roller rotation motor
264: support roller height adjustment cylinder 265: anti-warp bar
270: guide roller portion 271: guide width adjusting shaft
272: guide width adjusting block 273: guide roller rotating shaft
274: guide roller 275: guide width adjusting support shaft
276: guide gap adjusting means 277: guide shaft connecting member
280: film separator 281: film supporting roller
282: Film separating roller 283: Film separating cylinder
290: Tread adhesion guide 291: Tread bonding cylinder
292: Tread Adhesive Guide Roller
300: Tread supply unit 310: Tread winding roll
320: take-up roll support 330: take-up roll conveying rail
340: take-up roll rotating shaft
410: height adjusting means 420:
500: Adhesive supply unit 510 Discharge width adjustment member
520: discharge port 530: storage container
531: Adhesive material 540: heater
600:

Claims (19)

트레드부(11)를 버핑시킨 타이어(10)를 고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고정구(110)의 상측에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에 접착된 트레드(20)를 가압하기 위해 메인길이조절부(160)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는 가압롤러(13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타이어(10)의 위치조절을 위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타이어이송부(170)가 설치되어 진 타이어회전몸체(100);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부에는 트레드인입부(201)로 인입된 트레드(20)를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가 위치된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트레드이송롤러부(21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진 트레드이송몸체(200);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입부(201)로 인입되는 트레드가 감겨진 트레드권취롤(310)을 결속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권취롤지지체(320)가 형성된 트레드공급부(300);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출부(202)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에 트레드(20)를 부착시키기 전에 상기 타이어(10)의 표면에 접착제(30)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공급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회전몸체(100)의 상부에는 수직이동레일(141)이 형성된 수직지지대(14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140)에는 상기 수직이동레일(14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메인길이조절부(1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부재(150)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150)의 일측에는 보조길이조절부(133)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롤러(13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50)의 하부에 중앙 또는 일측이 힌지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평롤러각도조절부재(134)에 힌지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된 한 쌍의 평롤러지지구(132)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보조길이조절부(133)의 동작에 의해 타이어의 사이드월(Sidewall) 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평가압롤러(130a)와, 상기 평가압롤러(130a)의 후방에 트레드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로 상하 높이조절 및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압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트레드(20)를 가압하도록 된 한 쌍의 국부가압롤러(130b)로 구성되며,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입부(201)에는 트레드의 인입을 유도하기 위해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의 공급유도롤러(221)가 형성된 트레드인입유도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입유도부(220)의 앞쪽에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트레드절단부(230)가 설치되며,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드(2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휘어진 트레드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력을 가하도록 휨방지롤러가 구비된 트레드휨방지부(260)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출부(202)의 상부에는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가압하여 상기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에 접착시키도록 트레드접착안내롤러(292)가 구비된 트레드접착안내부(2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A tire fixing hole 110 for fixing and rotating the tire 10 having the tread portion 11 buried therein is formed and a tread 20 adhered to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10 is formed on the tire fixing hole 110, A pressure roller 130 is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ed by the main length adjuster 160 in order to press the tires 10 and is moved to the front, A tire rotating body 100 on which a tire transferring unit 170 is installed;
The tread 20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tire rotating body 100 and the tread 20 drawn in by the tread pulling part 20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tread pulling part 202 where the tire rotating body 100 is positioned A plurality of tread conveying roller units 2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 tread formed on one side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or more winding roll supports 320 to bind and support a tread winding roll 310 wound with a tread pulled into the tread entering portion 201; A supply unit 300;
An adhesive agent for applying an adhesive 30 to the surface of the tire 10 before the tread 20 is attached to the tire 10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tread-out portion 202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Unit 500,
A vertical support rail 140 having a vertical movement rail 14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ire rotation body 100 and the vertical support rail 140 is fitt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rail 141,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unit 133 and the flat and angular adjustment members 134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auxiliary length adjusting unit 133, Respectively,
The pressure roller 130 is hinged to the flat roller angle regulating member 134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pressure roller 130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ving member 150, An evaluation pressure roller 130a which i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flat roller support members 132 and is inclined toward the sidewall of the tire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ngth adjuster 133, A pair of locally pressurized rollers 130a and 130b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roller 130a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and the width of the tread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130b)
The tread pulling-in portion 201 of the tread-mov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 pull-in inducing portion 220 having a pair of feed-inducing rollers 221 facing each other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o guide the treads, A tread cut portion 23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ead induction portion 220 to cut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conveyance roller portion 210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bending prevention roller is provided so as to pres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ead 20 conveyed by the tread conveyance roller unit 210 so that the bent tread is flattened an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tread-out portion 202 side A tread bending preventing portion 260 is provided on the tread portion 11 and a tread portion 20 of the tread portion 11 is press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 De-bonding guide roller 292, the tread adhesive guide portion reproduction tire form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90 is provide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가압롤러(130b)의 상하 높이조절을 위해, 각각의 국부가압롤러(130b)에는 국부가압실린더(136)가 설치되고,
상기 국부가압롤러(130b)의 폭조절을 위해, 상기 상하이동부재(150)의 하부 후방측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폭조절축(138)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가압폭조절축(138)에 연결되어 가압폭조절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폭조절모터(139)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폭조절축(138)에는 가압폭조절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가압폭조절블럭(137)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폭조절블럭(137)에는 상기 국부가압실린더(136)가 하나씩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a local pressurizing cylinder 136 is installed on each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local pressurizing roller 130b, a press width adjusting shaft 138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members 150 is provided. And a pressing width adjusting motor 139 connected to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shaft 138 for rotating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shaft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ressing width adjusting shaft 138, A pair of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blocks 137 which ar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rotation are provided in the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block 137 and the local pressurizing cylinders 136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ressurizing width adjusting block 137. [ Mo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는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양 끝단부가 설치되어 상기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이송롤러회전축(211)과, 그 이송롤러회전축(211)이 중심부에 끼워져 상기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롤러체(212)와, 그 이송롤러체(212)의 외주면에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레드인출부(202) 측으로 회전하며 상기 트레드(20)가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폭방향을 따라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정렬되도록 형성된 트레드정렬롤러(2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 conveying roller unit 210 includes a conveying roller rotating shaft 211 provided at both 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nd rotatabl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The conveying roller body 212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veying roller rotation shaft 211 is insert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ead 20 is conveyed. The tread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read withdrawal portion 202 and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an aligning roller (2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상기 트레드절단부(230)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드절단부(230)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트레드(20)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 고정하는 트레드고정부(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 transferr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 fixing portion 240 adjacent to the tread cutting portion 230 to press and fix the tread 20 to prevent the tread 20 from flowing while the tread cutting portion 230 is operated Wherein the tire is a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에는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의 상측에 상기 트레드(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이송된 트레드(20)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절단길이감지센서(251)와,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면에 상기 트레드(20)의 이송방향으로 설치되어 트레드(20)의 길이 및 상기 절단길이감지센서(251)의 위치조절을 위한 수치안내자(252)로 구성된 절단길이설정부(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 20 which is disposed above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and is movabl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d 20 and conveyed by the tread conveying roller portion 210, A cut length detection sensor 251 for detecting the tread 20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600 and a cut length detection sensor 251 for detecting the tread 2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And a numerical guide 252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 length detection sensor 251. The cut length setting unit 250 includes a cutting length setting unit 25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는 그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상부 양측에 상기 트레드(20)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이송롤러부(210)에 의해 상기 트레드(2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드(20)가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설정된 위치에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2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is adjustab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read 20, And a guide roller part (270) rotatably install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tread (20) is fed and guided to guide the tread (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read conveying body (200) Mold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출부(202) 하부에는 상기 트레드(20)를 타이어(10)의 트레드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트레드(20)의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접착된 접착면보호필름(22)을 트레드(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필름분리부(2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202 of the tread transfer body 200 is provided with a tread portion 20 which is removab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d 20 when the tread 20 is attached to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10. [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separator (280) is provided for separating the film (22) from the tread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의 트레드인출부(202) 하부에는 상기 타이어고정구(110)에 고정된 타이어(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레드(20)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수단(410)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인입부(201)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드인출부(202)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트레드이송몸체(200)가 설정된 경사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는 회동지지부(4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 adjuster 41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read 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ire 10 fixed to the tire fixture 11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ead-out portion 202 of the tread- And a tiltable support portion 420 is hinge-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ead-in portion 201 so that the tread-support body 2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tread- Wherein the tire is a tire.
KR1020160163055A 2016-12-01 2016-12-01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KR1019335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55A KR101933576B1 (en) 2016-12-01 2016-12-01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55A KR101933576B1 (en) 2016-12-01 2016-12-01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77A KR20180062877A (en) 2018-06-11
KR101933576B1 true KR101933576B1 (en) 2018-12-28

Family

ID=626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055A KR101933576B1 (en) 2016-12-01 2016-12-01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569A (en) *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Tire scrubb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0333B (en) * 2019-04-04 2021-05-25 杭州绿丞科技有限公司 A broken hole of scrap tire detects filling device for scrap tire recycles
WO2021091985A1 (en) * 2019-11-06 2021-05-14 Bridgestone Bandag, Llc Splice-match builder
CN111845222B (en) * 2020-07-02 2022-07-26 南京瑞贻电子科技有限公司 Tire cover pushes up auxiliary device
KR102593903B1 (en) * 2023-03-08 2023-10-25 (주)스케일트론 Buffing device for vehicle ti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88Y1 (en) * 1998-09-23 2001-10-25 신형인 Tread Semi-finished Product Feeder with Center Retention
JP2002086587A (en) * 2000-09-14 2002-03-26 Bridgesto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eading
JP2006056091A (en) * 2004-08-19 2006-03-02 Yokohama Rubber Co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strip member
JP2009160882A (en) * 2008-01-09 2009-07-23 Bridgestone Corp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recapped tire
JP2012131167A (en) * 2010-12-22 2012-07-12 Sumitomo Rubber Ind Ltd Green tire forming method
JP5121835B2 (en) * 2007-09-05 2013-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vulcanized ti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006A (en) 1993-12-29 1995-08-01 Sensor Technol Kk Occupant detection system for front passenger seat
KR20150127521A (en) 2014-05-07 2015-11-17 김재만 Tire tread and tire retreading method using th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88Y1 (en) * 1998-09-23 2001-10-25 신형인 Tread Semi-finished Product Feeder with Center Retention
JP2002086587A (en) * 2000-09-14 2002-03-26 Bridgesto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eading
JP2006056091A (en) * 2004-08-19 2006-03-02 Yokohama Rubber Co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strip member
JP5121835B2 (en) * 2007-09-05 2013-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vulcanized tire
JP2009160882A (en) * 2008-01-09 2009-07-23 Bridgestone Corp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recapped tire
JP2012131167A (en) * 2010-12-22 2012-07-12 Sumitomo Rubber Ind Ltd Green tire form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569A (en) *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Tire scrubbing machine
KR102156391B1 (en) 2019-01-23 2020-09-17 신한곤도라주식회사 Tire scrubb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77A (en)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576B1 (en) Apparatus for forming a retread
US11639079B2 (en) Process for applying noise-reducing elements to a tyre for vehicle wheels
USRE25349E (en) Method of forming an endless tire tread and sidewall
EP3212390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 a noise reducing element to a tyre for vehicle wheels
CN203077629U (en) High-efficiency three-drum forming machine
CN103009651A (en) High-efficiency three-drum forming machine
US20080149258A1 (en) Tire assembly applier with cutter mechanism
CN1026561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inding of an elongated element onto a collection reel with the interposition of a service fabric
US111799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rubber sheet member
US20220355560A1 (en) Apparatus for depositing a piece of band-like elastomeric element on a forming support in a process for build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KR102002038B1 (en) Apparatus for forming retread
US2849049A (en) Method of forming an endless tire tread and sidewall portion on a carcass band and product thereof
US5385626A (en) Strip winder for a tire building machine
US4090835A (en)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omeric edge to a sheet of elastomeric fabric
CA2164484C (en) Solid rubber tire separation system, method and cutting head
US4410390A (en) Belt folding apparatus
CN107512017A (en) A kind of two-drum forming machine pads glue feed frame
JP20031123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aching strip with lug
US2805699A (en) Tire buffing apparatus
KR101904961B1 (en) Apparatus for buffing recapped tires
EP12911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ndless reinforced rubber articles
US20220402228A1 (en) Splice-match builder
JP5090799B2 (en) Rehabilitated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rehabilitated tire manufacturing apparatus
US7416012B2 (en) Apparatus for detaching supporting fabric from elastomeric material
CN107953583B (en) Thin film feeding device of tire cord fabric tube form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