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819B1 -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 Google Patents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819B1
KR101926819B1 KR1020160110067A KR20160110067A KR101926819B1 KR 101926819 B1 KR101926819 B1 KR 101926819B1 KR 1020160110067 A KR1020160110067 A KR 1020160110067A KR 20160110067 A KR20160110067 A KR 20160110067A KR 101926819 B1 KR101926819 B1 KR 10192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tton
infrared
pointing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4242A (en
Inventor
조창석
Original Assignee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비시스 filed Critical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819B1/en
Priority to PCT/KR2016/012198 priority patent/WO2018043805A1/en
Publication of KR2018002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89Field-of-view determination; Aiming or pointing of a spectrometer; Adjusting alignment; Encoding angular position; Size of measurement area; Position tracking
    • G02B27/2214
    • G02B27/22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포인팅 장치는, 다수의 버튼이 표시된 버튼 표시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발광할 수 있는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안 및 우안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는 입체시용 필터층; 상기 입체시용 필터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포인팅 위치를 획득하는 포인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층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The pointing device includes: a button display layer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displayed; An illuminat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button indicator lay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capable of emitting light; A stereoscopic filter layer positioned above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capable of separating imag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nd a pointing layer positioned above the stereoscopic filter layer to obtain a pointing position of a user, wherein the pointing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And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Description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

본 발명은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자동차 버튼이나 무인 키오스크 버튼은 잦은 누름으로 인한 고장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기계식 버튼은 미려한 외관의 3차원 무안경식 비접촉 버튼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Since the automobile button or the unmanned kiosk button is often damaged by frequent pressing, such a mechanical button is required to switch to a three-dimensional non-eye contactless button having a beautiful appearance.

아울러, 메르스 등의 전염성이 강한 병이 유행하는 시기에는 접촉식 버튼보다는 3차원 가상 버튼에 의한 비접촉식을 선호할 것으로 보여 위생적인 면에서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addition, when th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mers were prevalent, the non - contact type would be preferred by the three - dimensional virtual button rather than the contact butt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will increase from the hygienic point of view.

또한, 기존의 터치 패널 방식은 현금인출기 등의 상부에 설치한 몰래 카메라 등에 의해 비밀번호가 노출되기 쉬우나, 3차원 가상 버튼은 카메라 찍히는 영상이 우리 눈에서 보는 3차원 입체 영상과 달라서 비밀번호 등의 보안에도 기여할 수 있어 뱅킹 등을 위해 그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method, the password is easily exposed by a secret camera installed on the cash dispenser or the like, but the 3D virtual button is different from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seen in the eyes by the camera, And the necessity for banking and the like is greatly increased.

아울러, 손에 액체 등을 수시로 묻혀야 하는 직업에서는 가상 버튼이 훨씬 효율적이어서 직업별 기기에서의 수요가 새로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irtual buttons will be more efficient in occupations where liquids are often buried in the hands, which will create demand for occupational devices.

3차원 무안경 입체시 기술은 사용자의 양안에 좌우 영상을 각기 보여줄 수 있도록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 또는 패러렐랙스 배리어(Parallex Barrier)와 같은 무안경 입체시용 필터를 영상 위에 겹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술이 발전되어 있다.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tereoscopic technique is a method in which a non-stereoscopic stereoscopic filter such as a lenticular lens or a parallel barrier is overlaid on the image so that the left and right images can be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user, Technology is developing.

아울러, 액정 디스플레이 위에 무안경 입체시용 필터를 겹쳐서 입체시 버튼 화면을 구현하도록 하는 시도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체시용 필터에 좌우 영상을 교차로 배합하는 역할을 액정 디스플레이가 수행하도록 하여, 버튼이 눌려진 경우는 버튼의 눌려진 모습을 담은 화면으로 액정을 교체하면 되기에 구현을 할 수 있다. 다만,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버튼 세트는 저가의 보급형으로는 사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There is also an attempt to realize stereoscopic button screens by superimposing a non-eye stereoscopic effect filter on a liquid crystal display. In this ca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erforms the function of mixing the stereoscopic image filter with the right and left images in an intersecting manner.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liquid crystal can be replaced with a screen containing the depressed state of the butt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button set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s a low-cost type.

아울러, 버튼을 무안경 입체시로 구현할 경우의 기술적인 문제는, 입체 화면에 비접촉 방식으로 포인팅이 된 손가락의 위치를 특정하는 문제와 포인팅이 된 버튼을 포인팅이 되지 않은 버튼과 차별화된 모습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있다. 포인팅이 된 버튼을 포인팅이 되지 않은 버튼과 차별화된 모습으로 보여주어야 하는 문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08152호(3차원 입력 표시 장치, 2011.06.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위에 무안경 입체시를 구현할 경우에 눌려진 버튼과 그렇지 않은 버튼을 담은 화면을 동적으로 송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동적 영상 송출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 technical problem in the case of embodying the button in the non-eyeglasses stereoscopic display is that the problem of specify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pointed in the non-contact manner on the stereoscopic screen and the problem of pointing the button are differentiated It is to be given. The problem that the pointed button should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unpointed button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08152 (3-dimensional input display device, June 26, 2011)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transmit a screen containing pressed buttons and non-pressed buttons when the non-eye stereoscopic vision is implemented on the display. Howev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dynamic image deliver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is necessarily required.

입체 화면에 비접촉식으로 포인팅이 된 손가락의 위치를 특정하는 문제는 버튼이라는 좁은 공간상에서 저비용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면 현재까지는 실용적인 해결책이 나와 있지 않다.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방법들은 적외선 발광 램프와 적외선 카메라를 조합한 것이 대부분으로, 투사된 2차원 적외선 영상을 적외선 카메라로 입력받아 포인팅이 된 손끝의 반사광 밝기 변화를 해석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08152호에서는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특정하는 문제를, 센서로부터 방출된 적외선 광을 손가락의 반사광 포착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만 제안하고 있을 뿐, 더 이상의 구체적인 해결 방식을 제시하지 않았다. The problem of specifying the position of a pointed finger in a stereoscopic screen is not a practical solution so f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that it should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in a narrow space of a button. To date, most of the proposed methods combine infrared ray lamp and infrared camer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change of pointed fingertip by inputting projected two - dimensional infrared image into infrared camera.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108152 proposes only that the problem of specifying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finger can be solved by captur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finger by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sensor. Did not do it.

참고로, 국제공개특허공보 WO2014/030902A1(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2014년 2월 27일)에서는 손바닥을 화면으로 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For reference, in the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WO2014 / 030902A1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Feb. 27, 2014), a palm-shaped screen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비접촉 버튼 방식으로 기계적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capable of minimizing a mechanical failure by a non-contact button method.

아울러,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시에 의해 버튼의 영상을 사용자만이 관찰할 수 있어, 카메라에 의한 버튼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which can observe an image of a button only by a user by means of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vision and can prevent exposure of button information by a camera. .

또한,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동적 영상 송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저가로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that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by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dynamic image sending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다수의 버튼이 표시된 버튼 표시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발광할 수 있는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안 및 우안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는 입체시용 필터층; 및 상기 입체시용 필터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포인팅 위치를 획득하는 포인팅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button display layer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 illuminat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button indicator lay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capable of emitting light; A stereoscopic filter layer positioned above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capable of separating imag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nd a pointing layer positioned above the stereoscopic filter layer to obtain a user's pointing 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팅층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의 내측에 위치한 적외선 투과 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의 내측에 위치한 수평 편광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Specifically, the pointing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filter disposed inside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emitting device and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And a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disposed inside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emitting device and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아울러,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는, 상기 버튼 표시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분리하는 조명 격벽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partition wall layer formed below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separati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는,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학습시키되, 상기 신경 회로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에 의한 검출된 적외선 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버튼 표시층에 표시된 각각의 버튼을 출력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a pointing position of a finger by using a neural network, and the neural network uses an infrared ray value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as an input value, As the output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층은, 상기 버튼 표시층에 표시된 다수의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각각, 조명 디바이스가 배치되고, 사용자가 버튼을 포인팅한 경우, 해당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팅이 된 버튼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llumination lay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displayed on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when the user points the button,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A button that has been pointed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아울러, 상기 버튼 표시층은, 좌안 및 우안의 각 시점으로 분할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교차되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tton display layer may be displayed by intersect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which are divided into respective viewpoint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본 발명의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따르면, 비접촉 버튼 방식으로 기계적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시에 의해 버튼의 영상을 사용자만이 관찰할 수 있어, 카메라에 의한 버튼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동적 영상 송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저가로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inting device using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cal failure can be minimized by the non-contact button metho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user can observe an image of a button by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vision, thereby preventing exposure of the button information by the camera.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button at a low cost by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dynamic image sending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포인팅층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버튼 표시층 및 필터층에 의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의 합성 설명도.
도 4는 제어 보드의 제어부에 의한 학습 방법의 설명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inting layer;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ynthesis of left eye and right eye images by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the filter layer;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earning method by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bo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in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inting device 100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100)는, 포인팅층(10), 보호층(20), 입체시용 필터층(30), 버튼 표시층(40), 조명 격벽층(50), 조명층(60) 및 제어 보드(70)를 포함한다.1, the pointing device 100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ing layer 10, a protective layer 20, a stereoscopic filter layer 30, A display layer 40, an illumination barrier layer 50, an illumination layer 60, and a control board 70.

포인팅층(10)은, 보호층(20) 및 입체시용 필터층(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11) 및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inting layer 10 is preferably located on top of the protective layer 20 and the stereoscopic filter layer 30 a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nd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12.

즉, 포인팅층(10)은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3차원으로 획득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10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팅층(10)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11)와 적외선 수광 소자인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12)로 구성되어 손가락의 3차원 위치를 산출한다. 적외선 발광 소자(11)로는, 저가의 적외선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That is, the pointing layer 10 is a portion for obtaining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finger in three dimensions, and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top of the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ing layer 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nd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12 as an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nger. As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a low-cost infrared lamp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포인팅층(10)의 위치 산출은, 적외선 발광 소자(11)의 발광량의 적분값과 수광 소자인 적외선 센서(12)별 적외선의 총 적분량을 계산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에서의 위치 산출 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3차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포인팅층(10)의 높이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손가락의 2차원 상의 좌표만을 확인하면 된다. 포인팅층(10)의 높이 영역 밖에서 손가락이 진입하여 포인팅층(10)의 3차원 영역대에 들어오면 손가락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layer 10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and the total amount of infrared light for each infrared sensor 12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e specific position calculation princi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pointing layer 10 for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is very limited so that only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finger can be checked. The position of the finger can be calculated when the finger enters the pointing layer 10 and enters the three-dimensional region of the pointing layer 10.

적외선 발광 소자(11)와 적외선 센서(12)는 각각, 다수개가 포인팅층(10)의 둘레에 구비된 지지대(15)에 고정 장착되어 지지되되, 적외선 발광 소자(11)와 적외선 센서(12)가 교차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nd the infrared ray sensor 12 are fixedly mounted on a support 15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pointing layer 10, Are arranged in an intersection.

도 2는 포인팅층(10)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inting layer 10.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인팅층(10)은, 수평 편광 필터(13)와 적외선 투과 필터(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pointing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13 and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filter 14. [

수평 편광 필터(13)와 적외선 투과 필터(1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11) 및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12)의 내측에 위치하되, 적외선 투과 필터(14)가 수평 편광 필터(13)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13 and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filter 14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at least on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nd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12, 13). ≪ / RTI >

본 발명과 같이 적외선 카메라가 아닌 적외선 센서(12)를 이용하는 기기를 실내외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및 다른 램프의 간섭광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센서(12)와 적외선 발광 소자(11)가 배치되어 있는 포인팅층(10)에 수평 편광 필터(13)와 적외선 투과 필터(14)를 부착하여 일반광에 의한 잡음과 사선으로 들어오는 적외선 간섭광들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where an apparatus using an infrared sensor 12 other than an infrared camera is used in an indoor or outdoor environmen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terference between sunlight and other lamps may be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olarizing filter 13 and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filter 14 are attached to the pointing layer 10 on which the infrared ray sensor 12 and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re disposed, It is possible to block infrared interference light as much as possible.

즉, 일반 가시 조명 혹은 태양광 하에서 적외선 센서(12)에는 많은 외부 간섭 적외선이 입력된다. 본 발명의 포인팅층(10)에서는 블라인드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수평 방향으로 입력되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수평 편광 필터(13)와 적외선 투과 필터(14)를 결합하여 적외선 센서(12) 앞, 즉,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발광 소자(11) 및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12)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외부의 간섭 적외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under the general visible light or the sunlight, a large amount of external interference infrared light is input to the infrared sensor 12. In the pointing lay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nds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filter 13, which transmits only light inp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mbined with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filter 14, By arranging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and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12, the interference infrared rays can be minimized.

보호층(20)은, 입체시용 필터층(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투명한 보호막 또는 보호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20 serves to protect the stereoscopic effect filter layer 30, and may be formed using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a protective plate.

3차원을 인식하기 위하여는 좌우 양안의 각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이 입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입체시용 필터층(30)은, 버튼 표시층(40)의 상부에 위치하며, 3차원 입체시를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In order to recognize the three dimensions, the images viewed from the respective viewpoint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hould be input. To this end, the stereoscopic effect filter layer 30 is positioned above the button display layer 40 and serves to separat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for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viewing.

입체시용 필터층(30)은, 무안경에 의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패럴랙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또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시용 필터층(30)은 렌티큘라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reoscopic effect filter layer 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system in order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image by glasses. Specifically, the stereoscopic viewing filter layer 30 is preferably a lenticular filter.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한줄씩 교차로 배합된 영상은 역시 좌우 한줄 씩 분리하도록 설계된 렌티큘러 렌즈의 모양에 맞게 정합되어 좌우의 영상이 각기 분리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formed by alternating left and right lines are matched to the shape of a lenticular lens designed to separate left and right lines one by one so that left and right images are separately outputted.

버튼 표시층(40)은, 다수의 버튼(41)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display layer (4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uttons (41) are displayed.

버튼(41)이 표시된 버튼 표시층(40)의 부분은,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층(60)의 조명 디바이스(61)가 발광할 경우, 반투명한 버튼(41)을 통해 사용자가 조명층(60)의 조명 디바이스(61)의 발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버튼 표시층(40)에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표시하는 방법은,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판 등에 버튼(41)을 인쇄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of the button display layer 40 on which the button 41 is displayed is translucent. That is, when the illumination device 61 of the illumination layer 60 emits light,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illumination device 61 of the illumination layer 60 emits light through the translucent button 41. The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button on the button display layer 40 may be implemented by printing the button 41 on a glass plate or a plastic plate.

도 3은 버튼 표시층(40) 및 입체시용 필터층(30)에 의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의 합성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ynthesis of the left eye and right eye images by the button display layer 40 and the stereoscopic effect filter layer 30. Fig.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튼 표시층(40)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41)은 좌안 및 우안의 각 시점으로 분할되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교차되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3, at least one button 41 displayed on the button display layer 40 is divided into respective viewpoints of the left eye and right eye,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splayed in an intersecting manner.

즉, 적어도 하나의 버튼(41)은, 3차원 그래픽으로 버튼(41)의 3차원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좌우 양안의 각 시점으로 분할하여 한 줄씩 좌우 영상을 교차하여 배합 제작한다. 좌우 한줄씩 교차로 배합된 영상은 역시 좌우 한줄씩 분리하도록 설계된 입체시용 필터층(30)의 필터 모양에 맞게 정합되어 좌우의 이미지가 각기 분리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That is, at least one button 41 produces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button 41 in a three-dimensional graphic, divid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to the right and left eyes, and mixes the left and right images one by one. The images formed by the intersections of left and right lines are matched to the filter shape of the stereoscopic filter layer 30 designed to separate left and right lines one by one so that left and right images are separately outputted.

조명 격벽층(50)은, 격자 형상으로, 조명층(60)의 상부, 즉 버튼 표시층(40)의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61)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명 격벽층(50)에 의해,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61)로부터 발광된 빛은 해당 버튼(41)의 배경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illumination partition wall layer 5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layer 60, i.e., below the button indication layer 40, and serves to separate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61.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each of the illumination devices 61 can display only the background of the corresponding button 41 by the illumination partition wall layer 50.

조명층(60)은, 버튼 표시층(40)의 하부에 위치하며, 발광할 수 있는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6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층(60)의 조명 디바이스(61)로는, 발광 다이오드 및/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명용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layer 6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61 located below the button display layer 40 and capable of emitting light. As the illumination device 61 of the illumination layer 60, various illumination elements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s and / or laser diodes can be used.

조명층(60)은, 포인팅이 된 버튼(41)이 포인팅이 안된 버튼(41)과 다른 색을 표시하게 하도록 함으로서 포인팅 부분을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포인팅층(10)에서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 보드(70)의 제어부가 조명층(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버튼(41)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명 디바이스(61)가 발광하도록 함으로서 눌러진 버튼(41)을 확인하도록 한다.The illumination layer 60 serves to recognize the pointing portion by allowing the pointed button 41 to display a different color from the pointed-out button 41. [ That is,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board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yer 60 using the position data obtained in the pointing layer 10, so that the illumination device 61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41 So as to confirm the depressed button 41 by letting it emit light.

또는, 조명층(60)에 포함된 모든 조명 디바이스(61)는 항시 발광하고 있다가, 버튼(41)이 포인팅된 경우 해당 버튼(41)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명 디바이스(61)가 발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ll the illumination devices 61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layer 60 are always illuminated, and when the button 41 is pointed, the illumination device 61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41 does not emit light You may.

아울러, 조명층(60)에 포함된 모든 조명 디바이스(61)는 항시 'A'색으로 발광하고 있다가, 버튼(41)이 포인팅된 경우, 해당 버튼(41)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명 디바이스(61)를 'B'색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l the lighting devices 61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layer 60 emit light in the color 'A' at all times, and when the button 41 is pointed, the lighting device 6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41 61 may be made to emit light in the color "B".

즉, 조명층(60)은, 버튼 표시층(40)에 표시된 다수의 버튼(41)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각각, 조명 디바이스(6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버튼(41)을 포인팅한 경우, 해당 버튼(41)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 디바이스(61)를 이용하여 포인팅이 된 버튼(41)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illumination layer 6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llumination device 61 is dispos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41 displayed on the button display layer 40. The user can display the pointed button 41 by using the lighting device 6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button 41 when the user points the button 41. [

본 발명의 제어 보드(70)는 제어부로서 역할을 하며, 적외선 발광 소자(11)가 빛을 발광하도록 하고, 이때의 적외선 센서(12)로부터 수광되는 빛의 양을 산출하여 손가락이 포인팅된 위치값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적외선 발광 소자(11), 적외선 센서(12) 및 조명 디바이스(6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 board 7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to emit light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infrared sensor 12 at this time, .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the infrared sensor 12, and the lighting device 61.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11)에서 발광된 적외선 빛으로부터 다수의 적외선 센서(12)에서 획득한 값으로 손가락의 3차원 위치를 계산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nger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11 to a value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2.

도 4는 제어 보드(70)의 제어부에 의한 학습 방법의 설명도이다. 참고로 제어부는, C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earning method by the control unit of the control board 70. Fig. For referenc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제어부에 의한 손가락의 3차원 위치의 계산은 신경 회로망의 학습 기능을 이용하며,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12)별로 적외선의 입력값과 손가락의 2차원 포인팅 위치를 학습시키는 것에 의하여 3차원의 위치를 파악한다. 신경 회로망은 입력층과 중간층, 출력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적외선 센서(12)로부터 입력된 적외선 밝기값을 신경 회로망에 학습시켜서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구한 후 파악된 입력 위치를 제어부에서 해당 위치에 속한 조명을 점등하여 값이 입력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The calcul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nger by the control unit uses the learning function of the neural network. Specifically, by learning the infrared input value and the two-dimensional pointing position of the finger for each infrared sensor 12, do. The neural network may be composed of an input layer, an intermediate layer, and an output layer. The infrared brightness value inputted from each infrared sensor 12 is learned in the neural network, and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finger is obtained. And informs the user that the value has been input by lighting the belonging light.

즉, 본 발명에서는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학습시키되, 신경 회로망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12)에 의한 검출된 적외선 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버튼 표시층(40)에 표시된 각각의 버튼(41)을 출력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ing position of the finger is learned by using the neural network, and the neural network uses the infrared ray detected by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12 as an input value, It is preferable to use each button 41 as an output valu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100)에 따르면, 무안경 입체시 표현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가상 버튼 세트를 표시하고 가상 공간상에 장착된 포인팅 위치 판독 장치인 포인팅층(10)을 통해 손가락의 3차원 상에서의 위치를 판독하여 가상 버튼(41)의 온/오프를 확인하고 해당 버튼(41)이 눌려졌음을 표시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inting device 100 using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button set is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the non-eye stereoscopic representation technology and the pointing position read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finger on the three-dimensional plane is read through the pointing layer 10 as the device to check the on / off state of the virtual button 41 and to indicate that the corresponding button 41 has been pressed.

본 발명과 같은 작은 범용성 버튼 형태에서의 포인팅 장치(100)는 2가지의 해결 과제를 가지고 있는바, 하나는 좁은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하나는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가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포인팅 위치 특정 방식의 경우에는, 손가락의 반사광 분석을 위한 카메라 방식이 아닌 적외선 램프와 같은 적외선 발광 소자(11)와 적외선 센서(12)를 다수 배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위치별 적외선 램프에서 송출하는 적외선은 2차원 상으로 분산 배치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12)에서 감지되는데 다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 강도는 사전 학습된 신경 회로망에 의해 손가락 포인팅 위치로 변환된다. 이의 원리는 빛이 가려지는 방향에 배치된 센서들은 간섭광들이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수광 감도가 약해지고, 이는 신경 회로망에 의하여 학습 된다는 점이다.The pointing device 100 in the form of a small universal button like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problems to be solved, one to be able to utilize in a narrow space, and the other to be able to configure the hardware for implementation at a low cost . To this end, in the case of the pointing position specify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frared ray emitting devices 11 and infrared ray sensors 12 such as infrared lamps other than a camera type for analyzing reflected light of a finger are arranged.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lamps for each position are detected by an infrared sensor 12 which is two-dimensionally dispersed and arranged. The infrared intensity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is converted into a finger pointing position by the pre-learned neural network. The principle of this is that the sensor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blocking the light have relatively weak light receiving sensitivity even though they have interference light, which is learned by the neural network.

아울러, 본 발명과 같이 적외선 카메라가 아닌 적외선 센서(12)를 이용하는 기기를 실내외에서 이용하는 경우는 태양광 및 다른 램프의 간섭광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간섭광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적외선 발광 소자(11)와 적외선 센서(12)가 배치되어 있는 패널면에 수평 편광 필터(13)와 적외선 필터를 부착하여 일반광에 의한 잡음과 사선으로 들어오는 적외선 간섭광들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외 걸러지지 않은 간섭광들은 신경 회로망에 의한 다양한 환경에 대한 사전 학습에 의하여 대처가 된다.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버튼의 경우에는 아침, 낮, 밤 및 날씨에 따른 태양광 적외선의 차이가 크고, 방향도 바뀌기 때문에 신경 회로망에 의한 적응적인 학습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설치 장소가 제한될 필요가 있다. 신경 회로망에 의한 사전 학습에 의하여 시간 및 날씨에 따른 태양광 및 기타 조명기기들의 불규칙한 적외선량의 변화를 감안한 포인팅 포착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device using an infrared sensor 12 other than an infrared camera is used in an indoor or outdoor environmen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terference between sunlight and other lamps becomes a problem.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light, a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13 and an infrared filter are attached to the panel surface on which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 and the infrared ray sensor 12 are disposed, So that interference light can be blocked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terference lights that are not filtered out are treated by preliminary learning of various environments by neural networks. In the case of a button intended to be used indoors or outdoors, since the difference in the sunlight infrared ray varies depending on the morning, the day, the night, and the weather, the installation place is limited unless the adaptive learning method by the neural network is used There is a need. The pre-learning by the neural network makes it possible to acquire pointing taking into account the irregular changes in the amount of infrared rays of sunlight and other lighting devices depending on time and weather.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100)는, 적외선 발광 소자(11) 및 적외선 센서(12)를 사용하기에 저렴하고 소형화된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어 소형 범용성 버튼에 사용 가능하고, 다수의 적외선 센서(12)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각 입력들을 신경 회로망의 입력 노드로 연결하도록 하여 사전 학습에 의하여 공장이나 야외, 실내 등에 적합한 수식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inexpensive and miniaturized hardware to use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 and the infrared sensor 12 and can be used for a small general purpose button and a large number of infrared sensors 12 ) Are arranged two-dimensionally and each input is connected to an input node of a neural network, so that a formula suitable for a factory, outdoor, or the like can be provided by prior lear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100)에 따르면, 비접촉 버튼 방식으로 기계적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시에 의해 버튼의 영상을 사용자만이 관찰할 수 있어, 카메라에 의한 버튼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동적 영상 송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저가로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inting device 100 using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cal failure can be minimized by the non-contact button metho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user can observe an image of a button by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vision, thereby preventing exposure of the button information by the camer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pointing device 100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by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dynamic image sending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100 : 포인팅 장치
10 : 포인팅층 20 : 보호층
30 : 입체시용 필터층 40 : 버튼 표시층
50 : 조명 격벽층 60 : 조명층
70 : 제어 보드
11 : 적외선 발광 소자 12 : 적외선 센서
13 : 수평 편광 필터 14 : 적외선 투과 필터
15 : 지지대 41 : 버튼
61 : 조명 디바이스
100: Pointing device
10: pointing layer 20: protective layer
30: stereoscopic effect filter layer 40: button display layer
50: light barrier layer 60: illumination layer
70: control board
11: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2: Infrared ray sensor
13: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14: Infrared transmission filter
15: support 41: button
61: Lighting device

Claims (8)

다수의 버튼이 표시된 버튼 표시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발광할 수 있는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층;
상기 버튼 표시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안 및 우안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는 입체시용 필터층; 및
상기 입체시용 필터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포인팅 위치를 획득하는 포인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층은,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다수의 적외선 센서; 상기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센서의 내측에 위치한 적외선 투과 필터;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센서의 내측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입력되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수평 편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센서는 각각, 지지대에 고정 장착되어 지지되되, 상기 다수의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센서가 상기 지지대를 이용한 4개의 변을 따라 하나씩 교차로 배열되고,
상기 적외선 투과 필터가 상기 수평 편광 필터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A button display layer displaying a plurality of buttons;
An illuminat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button indicator lay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capable of emitting light;
A stereoscopic filter layer positioned above the button display layer and capable of separating imag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nd
And a pointing layer positioned above the stereoscopic filter layer to obtain a user's pointing position,
Wherein the pointing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filter disposed inside the plurality of infrared ray emitting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infrared ray sensors; And a horizontal polarization filter positioned inside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nd transmitting only light inp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re fixedly mounted on a sup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four sides using the support,
And the infrared transmitting filter is located inside the horizontal polarizing fil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버튼 표시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분리하는 조명 격벽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int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tion barrier layer formed below the button indicator layer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포인팅 위치를 학습시키되,
상기 신경 회로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에 의한 검출된 적외선 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버튼 표시층에 표시된 각각의 버튼을 출력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inting device comprises:
A pointing position of a finger is learned using a neural network,
The neural network includes:
Wherein an infrared ray value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infrared ray sensor is used as an input value and each button displayed on the button display layer is used as an outpu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층은,
상기 버튼 표시층에 표시된 다수의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각각, 조명 디바이스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llumination layer
Wherein the lighting device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displayed on the button display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층은,
사용자가 버튼을 포인팅한 경우, 해당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팅이 된 버튼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llumination layer
Wherein when the user has pointed the button, the button pointed by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표시층은,
좌안 및 우안의 각 시점으로 분할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교차되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display layer
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which are divided in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displayed in an intersecting manner.
KR1020160110067A 2016-08-29 2016-08-29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KR101926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67A KR101926819B1 (en) 2016-08-29 2016-08-29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PCT/KR2016/012198 WO2018043805A1 (en) 2016-08-29 2016-10-27 Pointing apparatus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67A KR101926819B1 (en) 2016-08-29 2016-08-29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42A KR20180024242A (en) 2018-03-08
KR101926819B1 true KR101926819B1 (en) 2018-12-07

Family

ID=6130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067A KR101926819B1 (en) 2016-08-29 2016-08-29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6819B1 (en)
WO (1) WO2018043805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8352A1 (en) * 2004-02-17 2008-03-20 Smar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a pointer within a region of interest
JP2011108152A (en) * 2009-11-20 2011-06-02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Three-dimensional input display device
KR101168987B1 (en) * 2006-07-25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168B2 (en) * 2005-12-09 2012-10-02 Edge 3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virtual-touch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20000663A (en)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for processing 3d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8352A1 (en) * 2004-02-17 2008-03-20 Smar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a pointer within a region of interest
KR101168987B1 (en) * 2006-07-25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key assembly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JP2011108152A (en) * 2009-11-20 2011-06-02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Three-dimensional inpu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42A (en) 2018-03-08
WO2018043805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8243B2 (en) Head-tracking enhanced stereo glasses
US8159526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EP1909255B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40340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ble projected augmented/virtual reality appliance
CN106131536A (en) A kind of bore hole 3D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exhibition system and methods of exhibiting thereof
JP2006084963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496312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20180348960A1 (en) Input device
US10990062B2 (en) Display system
US20140240228A1 (en) User interface display device
WO20150575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ble projected augmented/virtual reality appliance
WO2013161498A1 (en) Display input device
JP397604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20240019715A1 (en) Air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US10739670B2 (en) Physical object reconstruction through a projection display system
JP2006133665A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1926819B1 (en)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JP7172207B2 (en) input device
US2011021617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view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92570A (en) Pointing device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button
CN212163542U (en)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display system
JP2022097901A (en) Space floating video display device
CN111586394A (en)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0466901Y1 (en) Stereoscopic kiosk capable indicating observation position
TR201606363A2 (en) A multifunction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