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648B1 -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 Google Patents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648B1
KR101926648B1 KR1020170116200A KR20170116200A KR101926648B1 KR 101926648 B1 KR101926648 B1 KR 101926648B1 KR 1020170116200 A KR1020170116200 A KR 1020170116200A KR 20170116200 A KR20170116200 A KR 20170116200A KR 101926648 B1 KR101926648 B1 KR 10192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convex portions
composi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8985A (en
Inventor
전기원
서석진
최형석
최한울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ublication of KR2018002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1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과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이 결합 형성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가 일체화되어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여 외장재로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 커버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xterior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pattern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for light and a pattern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for light are combine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osite pattern mold in which an exterior composite pattern sheet is integrated to form a mol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onic device cover that can be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with a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The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substrate layer and includes a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a second pattern including first recesses.

Description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및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a composite pattern sheet including the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including the composite pattern sheet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패턴들이 결합 형성되는 복합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반사 기능을 가지는 복수개의 패턴들이 결합 형성되는 복합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atterns are combin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different reflection functions are combined and formed.

또한 본 발명은 복합 패턴 시트가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osite pattern mold in which a composite pattern sheet is formed in a mold shap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커버로 부착되는 전자기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cover attached to an electronic device.

전자제품 등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외장재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높이고 있다.In recent years,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to increase the esthetics of the exterior material.

그런데 종래의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에칭(etching), 전주 공법 등의 기법들을 통하여 점과 선이 조합된 2D 표현에 국한되어 있다.However, the pattern formed on the conventional facings is limited to a 2D representation in which points and lines are combined through techniques such as photolithography, etching, and electrophoresis.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881호 (공개일 : 2011.03.09.)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24881 (published on March 30,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과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패턴이 결합 형성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in which a pattern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for light and a pattern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for light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가 일체화되어 몰드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 패턴 몰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mposite pattern mold in which an exterior composite pattern sheet is integrated to form a mol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구비하여 외장재로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 커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over which can be used as an exterior material by providing an exterior composite pattern sheet.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를 제안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the second pattern including first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또한 본 발명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the first pattern including first concav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inverted from top to bottom A composite pattern mold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위에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forming a second pattern layer on a base film, the second pattern layer including second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Forming a first pattern layer on the second pattern layer, the first pattern layer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replicating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in a composite pattern to produce a composite pattern mold.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lm to be attached to a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base layer serving as a base film; And a first pattern formed on the bas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the first concavitie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the first concaviti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a pattern layer containing a second pattern for patterning the second patter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외장재에 광학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3D 디자인이 훨씬 용이해지며, 복합적으로 적용한 패턴을 이용하여 심도와 입체감을 구현함으로써 심미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광학적 연출도 가능해진다.First, by gi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o the exterior material, the 3D design becomes much easier. By applying the complex applied pattern, the depth and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can be realized, thereby enhancing the esthetic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various optical production.

둘째, 두가지 이상의 광학 패턴 반사 효과를 하나로 중첩시켜 새로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Second, two or more optical pattern reflection effects can be superimposed to produce a new effect.

셋째, 외장재를 통해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에 대하여 기대할 수 있다.Third, it can contribute to the upgrading of products through exterior materials, and it can be expe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products in the premium marke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7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8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9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0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1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12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13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참고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lenticular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4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6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7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8 is a thir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9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is considered.
10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is considered.
11 is a first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FIG. 12 is a secon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FIG.
13 is a thir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pattern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pattern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ilm for an electronic devic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기존의 외장재에 사용되는 패턴의 경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에칭(etching), 전주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점과 선이 조합된 2D 표현에 국한되어 있다.Patterns used in existing facades are limited to 2D representations that combine points and lines through photolithography, etching, and electroforming.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같은 광학 설계된 패턴을 적용하여 3D 디자인 표현을 통해 외장재에 휘도감 및 심도를 부여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학 설계된 단일 레이어(layer) 패턴만의 효과가 아닌 복합 패턴을 통하여 2가지 광학 효과를 구현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sign in which an optical design pattern such as a lenticular pattern is applied to give a luminance and depth to an exterior material through a 3D design expression.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ed to realize two optical effects through a composite pattern rather than an effect of only a single layer pattern optically designed.

이하 본 발명에서는 외장 필름의 표면에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여 외장용 3D 광반사 효과를 가지는 복합(다중) 패턴 설계 방안 및 구비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omposite (multi) pattern designing method and conditions for providing an optical property to the surface of a covering film to have a 3D light reflection effect for external use.

기존 외장용으로 사용되는 패턴은 2D 이미지의 디자인 묘사가 한계였으나, 최근 들어 광학적 특성을 가진 패턴(ex.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의 삽입으로 제품 표면에 휘도감과 심도 표현이 가능한 필름 구조를 적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The pattern used for the existing external use was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design of the 2D image. However, recently, a product which adopts a film structure capable of expressing brightness and depth on the product surface by inserting a pattern having an optical characteristic (ex. Lenticular pattern) Are being released.

본 발명에서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패턴 조합을 통하여 특정 각도(angle)에서 입체성 부여 및 심도 표현이 가능한 복합(다중) 패턴 설계 방안 및 그 구비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multi) pattern design scheme capable of imparting stereoscopic characteristics and depth representation at a specific angle through a combination of patterns having optic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or its application are proposed.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패턴들을 중첩시켜 각각의 광학적 특성들을 동시에 발현시키는 시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는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진 패턴(ex.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진 패턴(ex.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을 하나의 베이스 기재(base substrate) 위에 다중으로 형성시켜 최종적으로 한 개의 복합 패턴이 되는 시트이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eet that superimposes patterns having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to simultaneously express respective optical characteristics. 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e pattern shee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ttern having a diffuse reflection effect (e.g., a lenticular pattern) and a pattern having a mirror reflection effect (e.g., a prism pattern) which is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in multiple layers to finally form a single composite pattern.

복합 패턴 시트는 조합의 구성에 따라 복합적인 광학적 특성(각도의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 3D 입체감 부여 등), 인쇄성, 후가공성, 외관, 시인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can affect complex optical properties (changes in color depending on changes in angles, 3D stereoscopic effect, etc.), printability, post-processability, appearance, and visibilit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mbina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합 패턴 시트(100)는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복합 패턴 시트(100)는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자기기의 일측에 커버로 부착되어 3D 광반사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formed by combining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on a substrate layer.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bove structure to obtain a 3D light reflection effect.

도 1에 따르면,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 및 프리즘 패턴(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ncludes a lenticular pattern 110 and a prism pattern 120.

렌티큘러 패턴(110)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렌티큘러 패턴(110)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enticular pattern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s 111 having a fine size and having a diffuse reflection effect with respect to l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other than the lenticular pattern 110 may be used as long as the pattern has a diffuse reflection effect on light.

렌티큘러 패턴(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좌우 출사광이 전면 확산 형태로 출사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휘도감이 전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2, since the left and right outgoing lights of the lenticular pattern 110 are emitted in a front diffused form, the lenticular pattern 110 can emit light uniform in brightness over the entire lenticular pattern.

도 2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 렌티큘러 패턴(110)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출광 분포 특성을 토대로 하여 그 패턴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다.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lenticular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can design the pattern design based on the outgoing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렌티큘러 패턴(1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오목부(111)는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4㎛ ~ 40㎛의 깊이를 기초로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조합을 고려할 때, 오목부(111)의 깊이는 6㎛ ~ 13㎛인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recesses 111 includ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can be formed on the base layer based on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u m to 200 mu m and a depth of 4 mu m to 40 mu m. When considering the combination of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11 is 6 mu m to 13 mu m.

또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포함되는 오목부(111)들 사이의 간격은 20㎛ ~ 100㎛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111 includ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may be 20 占 퐉 to 100 占 퐉.

한편 렌티큘러 패턴(110)에는 음각 패턴의 오목부(111)들 대신에 양각 패턴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돌기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4㎛ ~ 40㎛의 높이를 기초로 기재 위에 형성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hat protrusions of a relief pattern are form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instead of the concave portions 111 of the relief pattern. At this time, the protrusions can be formed on the base material based on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u m to 200 mu m and a height of 4 mu m to 40 mu m.

프리즘 패턴(120)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의 볼록부(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프리즘 패턴(120)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ism pattern 120 may have a plurality of prism-shaped protrusions 121 having a minute size and having a mirror reflection effect with respect to l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other than the prism pattern 120 may be used as long as the pattern has a mirror reflection effect.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은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볼록부(121)들은 원뿔 형상이나 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vex portions 121 provided in the prism pattern 120 are formed in a prism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s 121 may be conical or pyramidal.

프리즘 패턴(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되는 빛의 각도와 볼록부(121)의 꼭지각(angle)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굴절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의 맺힘(거울 반사)에 따라 다양한 깊이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3, since the prism pattern 120 adjusts the refrac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angle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ap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121,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a sense of depth.

도 3은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 프리즘 패턴(120)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사이각 조절에 따라 그 패턴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sm pattern 120 can design the pattern design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shown in FIG.

프리즘 패턴(120)에 포함되는 각각의 볼록부(121)는 30도 ~ 160도의 꼭지각을 기초로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거울 반사 특성의 최적화를 고려할 때, 볼록부(121)의 꼭지각은 80도 ~ 14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Each convex portion 121 included in the prism pattern 120 may be formed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based on a vertex angle of 30 degrees to 160 degrees. When considering the optimization of the mirror reflection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hat the ap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121 is 80 degrees to 140 degrees.

또한 볼록부(121)는 꼭지각의 조건에 따라 10㎛ ~ 100㎛의 피치(pitch) 및 4㎛ ~ 20㎛의 높이를 가지도록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121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so as to have a pitch of 10 mu m to 100 mu m and a height of 4 mu m to 20 mu m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rtex angle.

볼록부(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볼록부(121)의 단면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볼록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부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21 may be an isosceles triangle as shown in FIG.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having a semicircle.

도 4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프리즘 패턴(120)은 볼록부(121)들을 입체감을 주는 방향의 효과에 따라 등변이 아닌 부등변 형태의 프리즘 형상의 것들로 구성할 수 있다.4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FIG. 4, the prism pattern 120 can be formed of prism-shaped prismatic shapes instead of isoscele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121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121)의 꼭지각 부분을 뾰족하게 형성하지 않고, 둥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ex angle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121 may be rounded without being sharpened.

볼록부(121)의 꼭지각의 형태는 뿔 모양 뿐만 아니라 라운드(round)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볼록부(121)의 꼭지각이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경우, 제품의 취급성을 고려하여 볼록부(121)는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1R ~ 20R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R은 원의 반지름을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The shape of the vert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121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s a round shape as well as a horn shape. The convex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1R to 20R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in consideration of handling property of the product when the ap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121 is formed in a round shape. In the above, R denotes the radius of a circle, and the unit is μm.

복수개의 볼록부(121)들이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되는 경우, 이 볼록부(121)들은 일직선 상에서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은 그 정점(peak)들이 연합하여 물결 모양(wave form)을 형성하도록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21 are formed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the convex portions 121 may be arranged so as to have the same interval and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in a straight line.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s 121 having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ir peaks coalesce to form a wave form.

볼록부(121)들이 일직선 상에서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결합으로 인해 복합 패턴 시트(100)에서 소정 비율의 도트(dot)를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도트 표출 성능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높이차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는 볼록부(121)들을 포함하는 그룹과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는 볼록부(121)들을 포함하는 그룹이 공존하면서 발생되는 것인데, 복합 패턴 시트(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convex portions 121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spacing and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in a straight line,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are combined, ) Can be expressed. Such a dot display performance has a group of convex portions 121 having the same interval and the same height difference and formed in a line having the same interval and different height difference from the group including convex portions 121 formed in a lin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sthetics of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구비되는 오목부(111)들과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의 교차 배열에 기인하여 소정 비율의 도트를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display a predetermined ratio of dots due to the cross arrangement of the concave portions 111 provid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convex portions 121 provided in the prism pattern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복합 패턴 시트(100)의 전면에서 도트가 표출될 경우, 오히려 심미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그룹(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로 구성된 그룹)(210)과 제2 소그룹(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는 볼록부(121)들로 구성된 그룹)(220)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의 일부분에서 도트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dots are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t may be a factor that hinders aesthetic sen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first small group (a group consisting of convex portions 121 located on a straight line and having the same interval and the same height difference) 210 and a second small group It is preferable to mix the groups of the convex portions 121, which are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and have the same interval and different height difference, in an appropriate ratio so that the dots are displayed in a part of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

도 5는 복합 패턴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즘 패턴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n개의 제1 소그룹(210)과 1개의 제2 소그룹(220)을 1개의 대그룹으로 하여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트 형상의 구비 조건을 고려하여 1개의 대그룹에 구비되는 제1 소그룹(210)의 개수(n)를 1 ~ 10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트의 인위적 제작 가능성, 선명성 등을 고려할 때, 제1 소그룹(210)과 제2 소그룹(220)의 비율을 10: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ism pattern constituting a composite pattern sheet. 5, in the present invention, n first subgroups 210 and one second subgroup 220 can be repeatedly formed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as one large grou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n) of the first subgroups 210 included in one large group can be selected from 1 to 10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dot shape. It is desirable to set the ratio of the first subgroup 210 and the second subgroup 220 to 10: 1 in consideration of artificial production possibility and sharpness of the do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대그룹을 형성하는 제2 소그룹(220)의 개수가 1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소그룹(220)의 개수는 제1 소그룹(210)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다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도트 형상의 구비 조건으로 충분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econd subgroups 220 forming the large group is not limited to one. If the number of the second subgroups 2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the first subgroups 210, the condition for providing the dot shape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

또한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은 높이차가 없는 제1 소그룹(210)과 높이차가 있는 제2 소그룹(220)을 적절한 비율로 조합시켜 직선 구간과 높이차 구간에 따라 반복된 개수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first subgroup 210 having no height difference and a second subgroup 220 having a height difference at appropriate ratios and repeating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121 according to the straight line section and the height difference section . ≪ / RTI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소그룹(210)만으로 구성되는 프리즘 패턴(120)을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틸트시켜 도트를 표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dots by tilting the prism pattern 120 composed only of the first subgroup 210 to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

도 6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도트(330)는 상하에 위치하는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배열들이 교차하는 구간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310은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하는 오목부(111)들의 배열 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320은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하는 볼록부(121)들의 배열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6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Referring to FIG. 6, the dots 330 can be generated in the section where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cross each other. 6, reference numeral 310 denot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s 111 forming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s 121 forming the prism pattern 120 .

본 발명에서 도트는 사각 형상(특히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지는 음각 패턴으로 표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도트는 사각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일측의 길이가 1㎛ ~ 10㎛인 크기(size)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곡률 반경이 3R ~ 20R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ts may be expressed in an engraved pattern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articular, a rectangular shape inclined in a certain directio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the like. These dots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1 μm to 10 μm on one side in the case of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3R to 20R in the case of a circular structure .

한편 본 발명에서 도트의 표출을 고려할 때, 프리즘 패턴(120)에 포함되는 볼록부(121)의 꼭지각은 90도 ~ 16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121 included in the prism pattern 120 is formed to be 90 to 160 degrees, considering the dot display.

복합 패턴 시트(100)의 일측에서 표출되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반사 휘도를 구현함으로써 시각적인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7은 광원의 위치 변화에 따른 도트의 형상 변화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dot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can maximize visual aesthetics by implementing reflection brightness in a specific direction. 7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FIG. 7 shows a change in shape of a dot according to a change in position of a light source.

각 도트의 크기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육안으로 판별될 수 있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점 형태부터 선 형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일례로 광원이 어두운 부분에서는 복수개의 도트들이 점 형태(340)로 시인될 수 있으며, 광원이 밝은 부분에서는 복수개의 도트들이 선 형태(350)로 시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의 밝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는 복수개의 도트들은 그라데이션 느낌을 가지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A plurality of dots which can be determined visu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dot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various ways from a point shape to a line shape. For example, a plurality of dots may be visible in the dot shape 340 in the dark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nd a plurality of dots may be visible in the line shape 350 in the light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ots display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can have an effect of giving a gradation feel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도트가 미시인되도록 복합 패턴 시트(100)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so that the dot is microscopic according to the product design.

복합 패턴 시트(100)는 이상 설명한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합 패턴 시트(100)를 형성하기 위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tilt angle)은 0도 ~ 360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described above. The tilt angle of the prism pattern 120 with respect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for forming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from 0 degree to 360 degrees.

그러나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 각각의 배열에 따른 모아레 현상(moire)을 제거하고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은 30도 ~ 60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리즘 패턴(120)은 n개의 제1 소그룹(210)과 1개의 제2 소그룹(220)의 조합으로 구성됨은 물론이다.8, in order to remove the moir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and to enhance the esthetics, the prism pattern 120 may be formed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The tilt value is preferably selected from 30 degrees to 60 degrees. In this case, the prism pattern 12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n first subgroups 210 and one second subgroup 220.

도 8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패턴 시트의 일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8은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을 40도로 선택했을 때 복합 패턴 시트(100)의 예시이다.8 is a third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8 shows an example of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when the tilt value of the prism pattern 120 with respect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is selected to be 40 degrees.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을 최적 각도(즉 30도 ~ 60도)에서 선택하는 경우, 복합 패턴 시트(100)는 반사되는 빛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tilt value of the prism pattern 120 with respect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is selected at the optimum angle (i.e., 30 to 60 degrees),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can control the flow of the reflected light.

도 9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9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한 프리즘 패턴(120)의 틸트 값이 +40도 또는 -40도일 때 스마트폰의 외장재로 쓰인 복합 패턴 시트(100)에서 빛의 흐름이 발생하는 현상(360)을 보여주는 예시이다.9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is considered. 9 shows a phenomenon 360 in which a light flow occurs i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used as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smartphone when the tilt value of the prism pattern 120 with respect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is +40 degrees or -40 degrees, .

복합 패턴 시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의 설계치에 따라 인위적인 빗살 무늬(460)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이 고려된 복합 패턴 시트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can generate an artificial comb pattern 460 according to the design values of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as shown in FIG. 10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pattern sheet in which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is considered.

빗살 무늬(370)는 프리즘 패턴(120)에 구비되는 볼록부(121)들의 피치(pitch)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빗살 무늬(370)는 시선의 각도에 따라 시인 여부가 변화할 수 있다.The comb pattern 37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121 provided in the prism pattern 120. The hatch pattern 370 can be visually recognized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line of sight.

본 발명에서 빗살 무늬(370)를 생성하려는 경우, 볼록부(121)는 5㎛ ~ 30㎛의 피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볼록부(121)의 피치가 30㎛를 초과할 경우, 빗살 무늬(370)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b teeth 370 are to be produced, the convex portions 121 preferably have a pitch of 5 mu m to 30 mu m.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 121 exceeds 30 mu m, the comb-like pattern 370 may not be recognized.

본 발명에서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와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ffuse reflection effect by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a mirror reflection effect by the prism pattern 120 are simultaneously develop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1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11 is a first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을 포함하는 복합 패턴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기재층 위에 액상 폴리머를 충진시키면, 이 액상 폴리머의 경화 수축율에 따라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가 발생한다. 기저층(410)의 이러한 형상 변화는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발생되며, 렌티큘러 패턴(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에 따라 0.5㎛ ~ 2㎛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값을 가지는 형태로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liquid phase polymer is filled on the substrate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attern sheet including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the shape of the base layer 410 changes according to the curing shrinkage ratio of the liquid polymer. This shape change of the base layer 410 is gener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and can be chang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lenticular pattern 110. [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base layer 410 may vary in a shape having different height values within a range of 0.5 탆 to 2 탆 depending on positions.

이하에서는 기저층(410)에서 형상 변화가 발생한 부분을 오목부로 정의한다. 또한 렌티큘러 패턴(110)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기저층(4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분하기 위해, 기저층(4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제1 오목부로 정의하고, 렌티큘러 패턴(110)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제2 오목부로 정의한다.Hereinafter, a portion where the shape change occurs in the base layer 410 is defined as a concave portio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base layer 410 is defined as a first concave portion so as to distinguish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from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base layer 410 and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lenticular pattern 110 Is defined as a second concave portion.

기저층(410)의 형상 변화로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제1 오목부가 생성되면, 기저층(410)의 제1 오목부들을 통하여 렌티큘러 패턴(110)와 같은 광에 대한 확산 반사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due to the shape change of the base layer 410, A diffuse reflection effect can be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즘 패턴(120)과 렌티큘러 패턴(110)을 결합시켜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520)와 함께 렌티큘러 패턴(110)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530)를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패턴(120)에 의한 거울 반사 효과(520)와 함께 기저층(410)의 제1 오목부에 의한 확산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렌티큘러 패턴(110) 없이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과 이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의 결합으로 복합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sm pattern 120 and the lenticular pattern 110 are combined so that the mirror reflection effect 520 by the prism pattern 120 and the diffuse reflection effect 530 by the lenticular pattern 110 are concurrently expressed 12 and 13, the mirror reflection effect 520 by the prism pattern 120 and the diffuse reflection effect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base layer 410 can be simultaneously generated It become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without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21 generate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It is also possible.

도 12는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고, 도 13은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결합에 따른 복합 반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참고도이다.FIG. 12 is a secon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resulting from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and FIG. 13 is a third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reflection effect resulting from a combination of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렌티큘러 패턴(110)으로 인해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 사이에 생긴 기저층(510)의 파동 범위에 따라, 프리즘 패턴(120)의 볼록부(121)들은 서로 다른 그룹들끼리 서로 다른 기울기 값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different groups of 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interse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ave range of the base layer 510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21 of the prism pattern 120 by the lenticular pattern 110 But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slope values.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들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1 오목부들은 3R ~ 40R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21 have a round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recesses may be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3R to 40R.

제1 오목부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기저층(410)은 프리즘 패턴(120)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이 경우 기저층(410)은 거울 반사를 통한 입체감 증대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반면 제1 오목부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커지는 경우, 기저층(410)은 렌티큘러 패턴(110)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이 경우 기저층(410)은 확산 반사를 통한 밝기 변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밝기 변화와 입체감 표현의 동시 최적화를 고려할 때, 제1 오목부는 3R ~ 20R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become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base layer 410 becomes a shape close to the prism pattern 120. In this case, the base layer 410 can obtain an effect of enhanc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mirror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base layer 410 has a shape close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In this case, the base layer 410 can obtain a brightness change effect through diffuse refl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multaneous optimization of brightness change and stereoscopic effect expres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3R to 20R.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21)들과 제1 오목부들이 함께 렌티큘러 패턴(110) 위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오목부들의 폭은 볼록부(121)들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2 and 13, when the convex portions 121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are formed together 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the wid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s 12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wid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121)들의 폭이 제1 오목부들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s 121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한편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에는 제2 패턴층이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to have a height,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may be positioned below a virtual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이상 설명한 복합 패턴 시트(100)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described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100)는 1차적으로 광학 설계된 패턴을 적용하여 반사되는 빛의 발현을 통해 휘도, 질감 및 심도에 따른 입체감을 표현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i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optically designed pattern is applied to express a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luminance, texture and depth through the reflection of light, thereby enhancing the esthetics.

둘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패턴 시트(100)는 렌티큘러 패턴(110)과 프리즘 패턴(120)을 병합시켜 각각의 패턴이 가지는 반사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킴으로써 새로운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Second,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new aesthetic feeling by simultaneously combining the lenticular pattern 110 and the prism pattern 120 and simultaneously manifest the reflection effect of each pattern.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mplex pattern mold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osite pattern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합 패턴 몰드(500)는 복합 패턴 시트(100)를 몰드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복합 패턴 시트(100)가 상하 반전되어 형성된다. 즉 복합 패턴 몰드(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볼록부(121)가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complex pattern mold 500 is formed by molding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n a mold, and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formed by vertically inverting. 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composite pattern mold 500 has the first concave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the convex portion 121 on the lower side.

다음으로 이러한 복합 패턴 몰드(5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pattern mold 500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pattern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베이스 필름(610)의 일면 위에 제1 패턴층(620)을 형성한다(S710).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으로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폴리머를 적용하여 렌티큘러 패턴(110)을 형성시킬 수 있다.First, a first pattern layer 6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610 (S7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ticular pattern 110 may be formed by the first pattern layer 620, and the lenticular pattern 11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polymer.

본 발명에서 베이스 필름(610)은 기재층(substrate layer)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필름(610)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ilm 610 corresponds to a substrate lay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base film 610.

이후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한다(S720). 이때 서로 다른 두 패턴이 모두 표출되도록 제2 패턴층(6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패턴이라 함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볼록부(121)들과 관련된 제1 패턴 및 볼록부(121)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1 오목부들과 관련된 제2 패턴을 말한다.Thereafter, a second pattern layer 630 is formed on the first pattern layer 620 (S720). At this time,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is formed so that the two different patterns are all exposed. Here, two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pattern and the convex portions 121 related to the convex portions 121 that generate the mirror reflection effect with respect to light, 1 " refers to a second pattern associated with recesses.

본 발명에서는 제2 패턴층(630)으로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렌티큘러 패턴(110)과 마찬가지로 폴리머를 적용하여 프리즘 패턴(120)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prism pattern 120 may be formed by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and the polymer may be applied to the prism pattern 120 in the same manner as the lenticular pattern 110. [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시킬 때에, 제1 패턴층(620) 위에서 적정 각도로 제2 패턴층(630)을 틸팅(tilting)시킨 후에 UV 경화 기법을 통해 제1 패턴층(620) 위에 제2 패턴층(6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부피 최적율에 따라 UV 경화시 균일한 비율로 기저층의 형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layer 630 may be tilted at an appropriate angle above the first pattern layer 620 to form a second pattern layer 630 on the first pattern layer 620,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pattern layer 620. [ In this case, the shape change of the base layer can be induced at a uniform rate in UV curing according to the volume optimum.

이후 제1 패턴층(620)과 제2 패턴층(630)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로 일체화시킨다(S730). 본 발명에서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1 패턴층(620)과 제2 패턴층(630)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할 수 있다.Then, the first pattern layer 620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are duplicated as a composite pattern and integrated with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S7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ttern layer 620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may be duplicated in a complex pattern by using a UV imprinting technique.

이후 복합 패턴 시트(100)를 상하 반전시켜 복합 패턴 몰드(500)를 제조한다.Thereafter,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vertically inverted to produce the composite pattern mold 500.

한편 복합 패턴 시트(100)가 제조되면, 복합 반사 성능 및 은폐력을 확보하고 휘도감과 착색 효과를 얻기 위해 증착 공정과 인쇄 공정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복합 패턴 시트(100) 상에 증착층, 인쇄층 등을 차례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manufactured, a deposition layer, a printing layer,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sequentially by using a vapor deposition process and a printing process sequentially to secure a composite reflection performance and a hiding power, Can be formed in order.

인쇄 공정에서 스크린 인쇄 방식(screen printing)을 이용할 경우, 사양에 따라 인쇄 도수가 달라질 수 있다. 공판 인쇄의 특성상 최종적인 복합 패턴 시트(100)의 높이를 20㎛ 이하로 설계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When screen printing is used in the printing process, the printing frequency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When the final composite pattern sheet 100 is designed to have a height of 20 μm or less, the most stable printing quality can be secur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패턴층(620)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630)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the second pattern layer 630 including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without forming the first pattern layer 620.

본 발명에서는 점착층을 포함한 기재 상에 별도의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고, UV 임프린팅(imprinting)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복합 패턴층을 형성하며, 각각의 컬러(color)에 적합한 증착층, 인쇄층 등을 포함하여 전자기기 커버용 외장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rimer layer is formed on a substrate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omposite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by using an UV imprinting coating method, a printing layer, and the like suitable for the color of the electronic device cover.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ilm for an electronic devic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버 필름(8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패턴층(840)에 의해 3D 광반사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 필름(800)은 필름층(810), 점착층(820), 기재층(830), 패턴층(840), 증착층(850) 및 인쇄층(860)을 포함한다.The cover film 800 is attached to a cover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has a 3D light reflection effect by the pattern layer 840. [ The cover film 800 includes a film layer 810, an adhesive layer 820, a base layer 830, a pattern layer 840, a deposition layer 850, and a print layer 860.

필름층(810)은 커버 필름(800)을 제조할 때 최상위층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라이너(liner) 등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층(810)은 라이너 성분을 포함하여 이형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층(810)은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될 때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점착층(820)이 모바일 단말의 커버 유리에 접착된다.The film layer 810 is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when the cover film 800 is manufactured, and may be formed based on a liner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layer 810 may be formed as a release film including a liner component. The film layer 810 is removed when attached to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adhesive layer 820 is bonded to the cover glass of the mobile terminal.

점착층(820)은 필름층(81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점착층(820)이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기능이 있는 필름 형태의 것이라면 그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The adhesive layer 820 is positioned under the film layer 810 and may be formed of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820 is not limited to an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ilm (OCA), and any film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film having an adhesive function.

기재층(830)은 점착층(82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기재층(830)이 PET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기재층(830)은 PC(Poly-Carbonate)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se layer 830 is located under the adhesive layer 820 and may be formed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owever, the base layer 830 is not limited to PE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ubstrate layer 830 may be formed of PC (Poly-Carbonate).

패턴층(840)은 기재층(83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합 패턴 시트(100)와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즉 패턴층(840)은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과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턴층(840)은 UV(Ultra-Violet ray) 경화 기법을 통해 렌티큘러 패턴과 프리즘 패턴을 결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필름(800)은 이러한 패턴층(840)을 포함함으로써 3D 광반사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pattern layer 840 is located under the base layer 830 and has the same concept as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That is, the pattern layer 84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The pattern layer 84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lenticular pattern and a prism pattern through an ultraviolet ray (UV) curing technique. The cover film 800 includes such a pattern layer 84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a 3D light reflection effect.

증착층(850)은 패턴층(84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산화타이타늄(TiO2), 이산화규소(SiO2), 산화티타늄(Ti3O5), 인듐(Indium) 등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증착층(850)은 복합 패턴 시트(100)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메탈라이징(metalizing) 기법 등 증착 공정을 통해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850 is located under the pattern layer 840 and is made of a metal oxide such as titanium dioxide (TiO 2 ), silicon dioxide (SiO 2 ), titanium oxide (Ti 3 O 5 ), indium As shown in FIG. The deposition layer 850 is for reflecting light incident o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and may be formed in the cover film 800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a metalizing technique.

인쇄층(860)은 증착층(85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필름 형태의 것으로 특정의 인쇄 기법에 따라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860)은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 layer 860 is locat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850 and may be formed in the cover film 800 according to a specific printing technique in the form of a film. This printed layer 860 may be formed for shielding or no conductive.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 필름(800)은 필름층(810)과 점착층(820) 사이에 로고층(logo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고층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심볼(symbol)을 인쇄함으로써 커버 필름(8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6, the cover film 800 may further include a logo layer between the film layer 810 and the adhesive layer 820. This logo layer can be formed in the cover film 800 by printing symbols such a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이상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1 to 16,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도 1의 복합 패턴 시트(1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First, an external composite pattern sheet will be described. The external composite pattern sheet to be described below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pattern sheet 100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한다.A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제1 패턴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패턴은 도 1의 프리즘 패턴(1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 a substrate layer, and includes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The first pattern corresponds to the prism pattern 120 of FIG.

제2 패턴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패턴에 구비되는 제1 오목부들은 도 12 및 도 13의 제1 오목부들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second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includes first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The first concave portions provided in the second pattern correspon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s in Figs. 12 and 13.

본 발명에서 제1 패턴에 포함되는 볼록부들의 피치(pitch)는 제2 패턴에 포함되는 제1 오목부들의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may be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included in the second pattern.

볼록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이 그룹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은 도 5의 제1 소그룹(210)에 대응하는 개념이며, 제2 그룹은 도 5의 제2 소그룹(2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convex portion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ccording to a row or a column, and these groups are divided into at least one first group (a group having protrusions with no height difference) and at least one second group A group provided). The first group corresponds to the first subgroup 210 of FIG. 5, and the second group corresponds to the second subgroup 220 of FIG.

상기에서 제1 그룹의 개수는 제2 그룹의 개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그룹과 제2 그룹 간 비율은 1 ~ 10 : 1로 형성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irst groups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the second groups. For example, the ratio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may be 1 to 10: 1.

또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제2 그룹과 이 제2 그룹보다 더 많은 개수의 제1 그룹은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Also,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second groups and a larger number of the first groups than the second groups may b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base layer.

또한 제2 그룹은 기재층 위에 웨이브(wa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roup may be formed in a wave form on the substrate layer.

또한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은 90도 ~ 160도의 꼭지각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protrusions having a height difference can be formed based on the apex angle of 90 to 160 degrees.

볼록부들은 30도 ~ 160도의 꼭지각, 10㎛ ~ 100㎛의 피치, 5㎛ ~ 30㎛의 피치 및 4㎛ ~ 20㎛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vertex angle of 30 degrees to 160 degrees, a pitch of 10 mu m to 100 mu m, a pitch of 5 mu m to 30 mu m, and a height of 4 mu m to 20 mu m.

볼록부들은 그 단면이 이등변삼각형과 부등변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n isosceles triangle and a triangle shape.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vex portions may be rounded at the upper end thereof.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vex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ir upper ends are angled.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는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ternal composite pattern sheet may include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제1 패턴층은 앞서 설명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first pattern layer includes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described above.

제2 패턴층은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패턴층은 도 1의 렌티큘러 패턴(1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second pattern layer is formed below the first pattern layer and includes second concaviti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The second pattern layer corresponds to the lenticular pattern 110 of FIG.

제2 오목부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과 4㎛ ~ 40㎛의 깊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들은 20㎛ ~ 10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cesses may be formed based on at least one condition of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u m to 200 mu m and a depth of 4 mu m to 40 mu m. The second concave portions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of 20 탆 to 100 탆.

제2 패턴층은 제1 패턴층에 대하여 30도 ~ 60도 틸트(tilt)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layer may be tilted by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layer.

한편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에 제2 패턴층이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may be arranged to have a height,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may be positioned under a virtual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볼록부들과 제2 오목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그룹과 제2 오목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그룹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s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ccording to a row or a column and at least one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s related to the convex portions and at least one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s relat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s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groups associated with the convex portions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group including protrusions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at least one first group provided with protrusions having no height difference.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복합 패턴 몰드는 도 14의 복합 패턴 몰드(5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Next, the complex pattern mold will be described. The composite pattern mold to be described below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pattern mold 500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몰드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포함하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A composite pattern m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by inverting the top and bottom.

상기에서 제1 패턴은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제2 패턴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 a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es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The second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다음으로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pattern mold will be described.

먼저 베이스 필름 위에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킨다(STEP A). 제2 패턴층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First, a second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STEP A).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includes second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이후 제2 패턴층 위에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킨다(STEP B). 제1 패턴층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패턴층은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n, a first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pattern layer (STEP B). The first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The first patter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tter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including first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STEP B에서는 제2 패턴층에 대하여 제1 패턴층이 미리 정해진 각도 틸팅되도록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각도로 30도 ~ 60도를 이용할 수 있다.In STEP B, the first pattern lay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pattern layer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ttern layer.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angle of 30 to 60 degrees can be used.

STEP B에서는 UV 경화 기법을 이용하여 제2 패턴층 위에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STEP B,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pattern layer on the second pattern layer by using a UV curing technique.

이후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한다(STEP C).Thereafter,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are copied in a composite pattern to produce a composite pattern mold (STEP C).

STEP C에서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1 패턴층과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할 수 있다.In STEP C,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can be duplicated as a composite pattern by using the UV imprinting technique.

STEP C에서는 복합 패턴을 상하 반전시킨 뒤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할 수 있다.In STEP C, a composite pattern mold can be manufactured by reversing the composite pattern up and down.

한편 본 발명에서는 STEP B와 STEP C 사이에, 제1 패턴층 위에 액상 폴리머를 충진시켜 볼록부들 사이에 제1 오목부들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오목부들은 제2 패턴층과 마찬가지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STEP B and STEP C, the first concave portions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by filling the liquid material on the first pattern layer. The first concave portions have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s in the second pattern layer.

다음으로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전자기기 커버용 필름은 도 16의 커버 필름(8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nic film cover film to be described below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cover film 800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기재층 및 패턴층을 포함한다. 일례로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to be attached to a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base layer and a pattern layer.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may be attached to a cover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기재층은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6의 기재층(83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base layer serves as a base film, and corresponds to the base layer 830 in Fig.

패턴층은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6의 패턴층(84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패턴층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한다.The pattern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corresponds to the pattern layer 840 in Fig. The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a second pattern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including first concave portion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do.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증착층, 인쇄층, 점착층 및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vapor deposition layer, a printing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film layer.

증착층은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증착층은 도 16의 증착층(85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증착층은 메탈라이징 기법(metalizing)이나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is formed below the pattern layer and serves to reflect incident light. The deposition layer corresponds to the deposition layer 850 of FIG. The deposition layer can be formed of an oxide of the reverse metal using a metalizing or deposition process.

인쇄층은 증착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인쇄층은 도 16의 인쇄층(86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The printing layer is formed below the deposition layer, and serves as a shield or a no conductive layer. The print layer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print layer 860 in Fig.

점착층은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점착층은 도 16의 점착층(8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layer and serves as an adhesive. The adhesive layer corresponds to the adhesive layer 820 in Fig.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dhesive film for optical (OCA).

필름층은 점착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6의 필름층(81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필름층은 라이너(liner) 성분을 기초로 이형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m layer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corresponds to the film layer 810 in Fig. The film layer may be formed as a release film based on a liner component.

전자기기 커버 필름은 로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logo layer.

로고층은 필름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심볼이 인쇄되는 것이다.The logo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lm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nd the symbol is prin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2)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A first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 first pattern layer including a second pattern including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pattern layer and including second recess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Wherei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is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의 폭은 상기 볼록부들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convex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의 곡률 반경은 3R 내지 12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is 3R to 12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ccording to a row or a column and the groups include at least one second group comprising protrusions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at least one first group comprising protrusions having no height difference Wherein the composite pattern sheet for external u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개수는 상기 제2 그룹의 개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groups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groups.
제 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2 그룹과 상기 제2 그룹보다 더 많은 개수의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he second groups and the number of the first groups that are larger than the second groups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base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은 상기 기재층 위에 웨이브(wav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group is formed in a wave form on the base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은 90도 ~ 160도의 꼭지각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trusions having the height difference are formed on the basis of a vertex angle of 90 to 160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30도 ~ 160도의 꼭지각, 10㎛ ~ 100㎛의 피치, 5㎛ ~ 30㎛의 피치 및 4㎛ ~ 20㎛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vertex angle of 30 degrees to 160 degrees, a pitch of 10 mu m to 100 mu m, a pitch of 5 mu m to 30 mu m, and a height of 4 mu m to 20 mu m Pattern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단면이 이등변삼각형과 부등변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re formed in one of an isosceles triangle and a triangl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re rounded at an upp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그 상단부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re formed such that their upper ends are angl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은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패턴층은 렌티큘러 패턴(lenticular pattern)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층의 제1 또는 제2 패턴은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ttern layer is formed to include a prism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is formed to have a lenticular pattern,
Wherein the first or second pattern of the first pattern layer comprises a prism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 4㎛ ~ 40㎛의 깊이 및 20㎛ ~ 100㎛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u m to 200 mu m, a depth of 4 mu m to 40 mu m, and an interval of 20 mu m to 100 mu 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들은 높낮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오목부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 아래는 상기 제2 패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to have a height and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is the second pattern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층은 상기 제1 패턴층에 대하여 30도 ~ 60도 틸트(til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attern layer is tilted by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과 상기 제2 오목부들은 행 또는 열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며, 상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그룹과 상기 제2 오목부들과 관련된 그룹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그룹은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x portions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ccording to a row or a column, and at least one third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s related to the convex portions, and groups relat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s And the at least one fourth group selected intersects each oth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과 관련된 그룹들은 높이차가 없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룹과 높이차가 있는 돌출부들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복합 패턴 시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groups associated with the convex portions include at least one second group comprising protrusions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at least one first group provided with protrusions having no height difference.
기재층(substrate layer)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가 반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A first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 first pattern layer including a second pattern including a first pattern; And
And a second pattern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pattern layer and including second recess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reversed.
베이스 필름 위에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여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Forming a second pattern layer on the base film, the second pattern layer including second recess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on the second pattern layer and a second pattern including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Forming a first patterned layer including the first patterned layer; And
A step of duplicating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in a composite pattern to produce a composite pattern mold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삭제delet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패턴층에 대하여 상기 제1 패턴층이 미리 정해진 각도 틸팅되도록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orming of the first pattern layer comprises forming the first pattern layer such that the first pattern laye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ttern lay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로 30도 ~ 60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orming of the first pattern layer comprises using the predetermined angle of 30 to 60 degree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UV 경화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패턴층 위에 상기 제1 패턴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orming of the first pattern layer comprises forming the first pattern layer on the second pattern layer using a UV curing techniqu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UV 임프린팅(im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층과 상기 제2 패턴층을 상기 복합 패턴으로 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abricating step replicates the first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pattern layer in the composite pattern using a UV imprinting techniqu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 패턴을 상하 반전시킨 뒤 상기 복합 패턴 몰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패턴 몰드 제조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tep of fabricating the composite pattern mold comprises vertically inverting the composite pattern to produce the composite pattern mold.
전자기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필름으로서,
베이스 필름 역할을 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거울 반사 기능이 있는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볼록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1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며, 광에 대해 확산 반사 기능이 있는 제2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A film to be attached to a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A base layer serving as a base film;
A first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the first pattern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mirror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nd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 first pattern layer comprising a first pattern to form a first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pattern layer and including second recesses having a diffuse refl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light;
And a cover film covering the electronic devic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전자기기의 커버로 모바일 단말의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cover film is attached to a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co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 역할을 하는 인쇄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접착제 역할을 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위에 형성되는 필름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29. The method of claim 28,
A deposition layer formed below the pattern layer and serving to reflect incident light;
A printing layer formed below the deposition layer, the printing layer serving as a shield or a no conductive material;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se layer, the adhesive layer serving as an adhesive; And
The film layer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a cover film covering the electronic devic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심볼이 인쇄되는 로고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ymbo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lm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Wherein the cover film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라이너(liner) 성분을 기초로 이형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증착층은 메탈라이징 기법(metalizing)이나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커버 필름.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film layer may be formed as a release film based on a liner component,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dhesive film for optical (OCA)
Wherein the deposition layer is formed of an antimony oxide using a metalizing or deposition process.
KR1020170116200A 2016-09-09 2017-09-11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KR1019266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65 2016-09-09
KR20160116765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85A KR20180028985A (en) 2018-03-19
KR101926648B1 true KR101926648B1 (en) 2018-12-07

Family

ID=619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00A KR101926648B1 (en) 2016-09-09 2017-09-11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6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44B1 (en) 2018-04-10 2023-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Decoration element
CN109444999A (en) * 2018-11-13 2019-03-08 江阴通利光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optical film for simulating 3D curved surface and electronic product casing and screen comprising it
CN109982532B (en) * 2019-04-25 2021-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016731A (en)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back cover
KR20230042863A (en) * 2021-09-23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US20230090870A1 (en) * 2021-09-23 2023-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205A (en) * 2006-08-11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Reflection sheet and reflection screen
JP2009291966A (en) * 2008-06-03 2009-12-17 Sanko Gosei Ltd Decorative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205A (en) * 2002-04-19 2004-01-08 Watanabe Shoko:Kk Electrode and device using same
KR101611286B1 (en) * 2009-09-03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a master mold for forming micro pattern on a film applied to outside of appliances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film using the master mold and appliances to which the micro pattern film is applied
JP5798233B1 (en) * 2014-12-22 2015-10-21 株式会社精工技研 Decorative plastic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205A (en) * 2006-08-11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Reflection sheet and reflection screen
JP2009291966A (en) * 2008-06-03 2009-12-17 Sanko Gosei Ltd Decorativ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85A (en)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648B1 (en) Composite pattern sheet, composite pattern mold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ver film with composite pattern sheet
EP246930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lens-like light directing structure
WO2019182098A1 (en) Optical device
CN103025515B (en) Intracavity optics
JP5463755B2 (en) Decorative body
JP2008165167A (en) Plane lens sheet using light transmission rate difference
US10792947B2 (en) Optical structure
JP6201289B2 (en) Image display body and information medium
JP2021522908A (en) Decorative material
KR20190118496A (en) Decoration element
JP5906653B2 (en) Display body and article
KR101951693B1 (en) Design deco film using asymmetry optical pattern
CN208888533U (en) A kind of what comes into a driver's resolution element and display device
CN107615110B (en)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KR100971465B1 (en) Integral photography sheet by special effect
JP4985245B2 (en) Image display sheet and image display product
JP5845567B2 (en) Micro lens decoration
CN112505805A (en) Imaging film and electronic equipment shell
JP2019093716A (en) Decorative body, decorative body illumination facility, decorative body production device and decorative body production method
KR20150081963A (en) Light diffusion plate
CN220626788U (en) Transmission-reflection integrated microlens magnifying imaging film and anti-counterfeiting product
WO2024051355A1 (en) Decorative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9025860A (en) Decorative body, decorative body production device and method
JP5736729B2 (en) Micro lens decoration
CN117712251A (en) Peep-proof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