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21B1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21B1
KR101924621B1 KR1020110082838A KR20110082838A KR101924621B1 KR 101924621 B1 KR101924621 B1 KR 101924621B1 KR 1020110082838 A KR1020110082838 A KR 1020110082838A KR 20110082838 A KR20110082838 A KR 20110082838A KR 101924621 B1 KR101924621 B1 KR 10192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ischarge control
image
display un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0294A (en
Inventor
김석
황광조
김의태
진유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21B1/en
Publication of KR2013002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여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1 편광과 제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패턴드 리타더; 및 오프 레벨로 제1 방전제어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오프 레벨보다 높고 풀-온 레벨보다 낮은 슬라이트-온 레벨로 제2 방전제어전압을 발생하며,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과 제2 방전제어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 중의 제1 픽셀은, 제1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1 화소전극을 갖는 제1 상부 메인 표시부; 상기 제1 스위치와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2 화소전극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 화소전극을 공통전압으로 충전된 공통라인에 연결하는 제1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제1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제3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3 화소전극을 갖는 제1 하부 표시부를 구비한다.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image; A pattern driver configured to split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to first and second polarized lights; And generates a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at an off level and generates a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t a slit-on level higher than the off level and lower than a full-on level, And a control voltage genera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two discharge control voltages; A first pixel of the pixels includes a first upper main display having a first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a data line via a first switch;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second switch driven at the same timing as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pixe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A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having a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auxiliary display portion; And a thir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third switch.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IMAGE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2차원 평면 영상(이하, '2D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이하,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implementing a two-dimensional plane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2D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3D image').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회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최근 영상표시장치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 또는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한다.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and circuit technology, the recent image display device can selectively implement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The image display device implements a 3D image using a binocular stereoscopic technique or an autostereoscopic technique.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이 있고 두 방식 모두 실용화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기 위한 패럴렉스 베리어 등의 광학판을 표시 화면의 앞에 또는 뒤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안경방식은 표시패널에 편광 방향이 서로 다른 좌우 시차 영상을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The binocular parallax method uses parallax images of right and left eyes with large stereoscopic effect, and both glasses and non-glasses are used, and both methods are practically used. In the non-eyeglass system, an optical plate such as a parallax barrier for separating the optical axis of left and right parallax images is installed in front of or behind the display screen. In the spectacle method, left and right parallax image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are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nd stereoscopic images are implemented using polarized glasses 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액정셔터 안경방식은 표시소자에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하고 이 표시 타이밍에 동기하여 액정셔터 안경의 좌우안 셔터를 개폐함으로써 3D 영상을 구현한다. 액정셔터 안경은 좌안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수 프레임 기간 동안 그의 좌안 셔터만을 개방하고, 우안 이미지가 표시되는 우수 프레임 기간 동안 그의 우안 셔터만을 개방함으로써 시분할 방식으로 양안 시차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액정셔터 안경방식은 액정셔터 안경의 데이터 온 타임이 짧아 3D 영상의 휘도가 낮으며, 표시소자와 액정셔터 안경의 동기, 및 온/오프 전환 응답 특성에 따라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이 심하다.In the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system,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frame units, and a left-eye and right-eye shutter of the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is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isplay timing. The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open the left eye shutter only during the odd frame period in which the left eye image is displayed and only the right eye shutter is opened during the excellent frame period in which the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to produce binocular parallax in a time division manner. In such a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system, the data on time of the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is short, and the brightness of the 3D image is low, and the 3D crosstalk is very likely to occur depending on the synchronization of the display element and the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and on / off switching response characteristics.

편광 안경방식은 표시패널 상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포함한다. 편광 안경방식은 표시패널에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수평라인 단위로 교대로 표시하고 패턴드 리타더를 통해 편광 안경에 입사되는 빛의 편광특성을 절환한다. 이를 통해, 편광 안경방식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includes a patterned retarder attached on a display panel.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alternately displays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on a display panel alternately in a horizontal line unit, and switches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light incident on the polarizing glasses through the pattern-driven retarder. As a result,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can realize a 3D image by spatially divid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이러한 편광 안경방식에서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라인 단위로 이웃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되지 않는 상하 시야각 (vertical viewing angle)이 좁은 편이다. 크로스토크는 편광 안경의 단안(좌안 또는 우안)에서 좌안 및 우안 이미지가 중첩적으로 보여질 때 발생된다.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되지 않는 상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패턴드 리타더에 블랙 스트라이프를 형성하는 방안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85983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시야각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블랙 스트라이프는 2D 영상의 휘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를 초래한다.
In this polarizing glasses system, sinc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splay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ine unit, the vertical viewing angle at which no crosstalk occurs is narrow. Crosstalk occurs when the left eye and right eye images are superimposed on the monocular (left eye or right eye) of polarized glasse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185983 proposes a method of forming a black stripe on a pattern reliader in order to widen a vertical angle of view in which crosstalk does not occur. However, the black stripe used for improving the viewing angle causes a side effect which greatly reduces the luminance of the 2D ima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D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도록 한 편광 안경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glasses type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widening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a 3D image without lowering the brightness of the 2D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여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1 편광과 제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패턴드 리타더; 및 오프 레벨로 제1 방전제어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오프 레벨보다 높고 풀-온 레벨보다 낮은 슬라이트-온 레벨로 제2 방전제어전압을 발생하며,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과 제2 방전제어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 중의 제1 픽셀은, 제1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1 화소전극을 갖는 제1 상부 메인 표시부; 상기 제1 스위치와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2 화소전극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 화소전극을 공통전압으로 충전된 공통라인에 연결하는 제1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제1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제3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3 화소전극을 갖는 제1 하부 표시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to selectively display a 2D image and a 3D image; A pattern driver configured to split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to first and second polarized lights; And generates a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at an off level and generates a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t a slit-on level higher than the off level and lower than a full-on level, And a control voltage genera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two discharge control voltages; A first pixel of the pixels includes a first upper main display having a first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a data line via a first switch;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second switch driven at the same timing as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pixe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A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having a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auxiliary display portion; And a thir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third switch.

상기 픽셀들 중에서 상기 제1 픽셀에 수직으로 이웃하여 상기 제1 픽셀의 아래에 배치된 제2 픽셀은, 제4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4 화소전극을 갖는 제2 상부 메인 표시부; 상기 제4 스위치와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제5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5 화소전극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5 화소전극을 상기 공통라인에 연결하는 제2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제2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제6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6 화소전극을 갖는 제2 하부 표시부를 구비한다.A second upper main display portion having a four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fourth switch, the second pixel being disposed below the first pixel, the pixel vertically adjacent to the first pixel among the pixels; A fif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fifth switch driven at the same timing as the fourth switch, and a fif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having a two-discharge control switch; And a six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sixth switch.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제1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1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1 스캔펄스에 의해 동시에 턴 온 및 턴 오프 되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2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2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2 스캔펄스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 되고; 상기 제4 스위치와 제5 스위치는 상기 제2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3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3 스캔펄스에 의해 동시에 턴 온 및 턴 오프 되며; 상기 제6 스위치는 상기 제3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4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4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4 스캔펄스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 된다.Wherei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connected to a first gate line and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nd off by a first scan pulse applied to the first gate line; The third switch is connected to a second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first gate line and is turned on and off by a second scan pulse applied to the second gate line; The fourth switch and the fifth switch are connected to a third gate line disposed under the second gate line and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nd off by a third scan pulse applied to the third gate line; The sixth switch is connected to a fourth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third gate line and is turned on and off by a fourth scan pulse applied to the fourth gate line.

각각의 프레임은 제1 서브 프레임 기간과, 이 제1 서브 프레임 기간에 이은 제2 서브 프레임 기간으로 시분할되고; 상기 제1 게이트라인과 제3 게이트라인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기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게이트라인과 제4 게이트라인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기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구동된다.Each frame is time-divided into a first sub-frame period and a second sub-frame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sub-frame period; The first gate line and the third gate line are sequentially driven within the first sub frame period; The second gate line and the fourth gate line are sequentially driven within the second sub frame period.

상기 2D 영상 구현을 위한 2D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캔펄스에 동기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레벨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상부 메인 표시부와 제1 상부 보조 표시부는 제1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하부 표시부는 제2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상부 메인 표시부와 제2 상부 보조 표시부는 제3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2 하부 표시부는 제4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한다.In the 2D mode for realizing the 2D image, the levels of data voltages supplied to the data lin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to fourth scan pul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upper main display unit and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a 2D image of a first level; Wherein the first lower display unit displays a 2D image of a second level; The second upper main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a 2D image of a third level; And the second lower display unit displays the 2D image of the fourth level.

상기 3D 영상 구현을 위한 3D 모드에서, 상기 제1 상부 메인 표시부는 제1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하부 표시부와 상기 제2 상부 메인 표시부는 동일한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하부 표시부는 제2 좌안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상부 보조 표시부와 제2 상부 보조 표시부는 블랙 영상을 표시한다.In the 3D mode for realizing the 3D image, the first upper main display unit displays a first left eye image; Wherein the first lower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main display unit display the same right eye image; The second lower display unit displays a second left eye image;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black images.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영상 구현을 위한 2D 모드에서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에 의해 오프 되고, 상기 3D 영상 구현을 위한 3D 모드에서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의해 슬라이트-온 된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es are turned off by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in a 2D mode for realizing the 2D image and are turned off b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in a 3D mode for implementing the 3D image, - Turns on.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과 제2 방전제어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방전 제어라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방전 제어라인에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제2 화소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상기 공통라인에 접속되는 드레인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방전 제어라인에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제5 화소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상기 공통라인에 접속되는 드레인전극을 갖는다.Wherein the display panel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control line to whic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re selectively applied;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상기 제1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차단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허여하여 상기 제2 화소전극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공통전압 레벨까지 방전시키고; 상기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제5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차단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제5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허여하여 상기 제5 화소전극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공통전압 레벨까지 방전시킨다.Wherei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interrupt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in the 2D mode and permit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in the 3D mode, Discharging a voltage charged in the pixel electrode to the common voltage level;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isconnects the fifth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current path in the 2D mode and permits the fifth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current path in the 3D mode, And discharges the voltage charged in the pixel electrode to the common voltage level.

상기 패턴드 리타더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상기 제1 편광으로 통과시키는 제1 리타더와,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상기 제2 편광으로 통과시키는 제2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은 상기 제1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상기 제2 상부 보조 표시부 각각에 대향된다.
The patterned retarder including a first retarder for passing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a second retarder for passing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second polarized light; And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retarder and the second retarder is opposed to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픽셀 각각을 상부 메인 표시부,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상부 보조 표시부, 하부 표시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2D 모드에서는 방전제어 스위치를 오프 시켜 상부 보조 표시부를 상부 메인 표시부와 동일한 2D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로 기능시키고, 3D 모드에서는 방전제어 스위치를 슬라이트 온 시켜 상부 보조 표시부를 블랙 계조 영상을 표시하는 블랙 스트라이프로 기능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2D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of the pixels as an upper main display unit,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having a discharge control switch, and a lower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2D mode, the discharge control switch is turned off so that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functions as an imag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ame 2D image as the upper main display unit, the discharge control switch is turned on in the 3D mode, As a black strip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wide viewing angle of the 3D image without lowering the luminance of the 2D imag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부 메인 표시부와 상부 보조 표시부와 하부 표시부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을 조절하여 2D 및 3D 이미지의 해상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Furtherm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resolution of 2D and 3D images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ata voltages applied to the upper main display, the upper auxiliary display, and the lower display.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상부 보조 표시부의 개구면적을 조절함으로써 3D 영상의 휘도 향상 또는 상하 시야각 확장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select the brightness enhancement of the 3D image or the up and down viewing angle expansion by adjusting the aperture area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 안경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3은 수직으로 이웃한 2개의 픽셀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픽셀 어레이와 패턴드 리타더의 얼라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전압 발생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1 및 제2 방전제어전압의 전압 레벨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공급되는 스캔펄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픽셀의 접속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2D 모드에서 픽셀들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0은 화소전극-공통전극 간 전위차와, 투과율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2D 모드에서 픽셀들의 영상 표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3D 모드에서 픽셀들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3은 3D 모드에서 픽셀들의 영상 표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polarizing glasses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 shows two vertically neighboring pixels.
4 is a diagram showing an aligned state of a pixel array and a patterned retarder;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voltage generator shown in FIG. 2;
6 is a diagram showing voltage levels of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s;
7 is a view showing scan pulses supplied in an interlaced manner;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shown in FIG. 3;
9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pixels in a 2D mode;
10 is a view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a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transmittance.
11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state of pixels in 2D mode.
12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pixels in a 3D mode;
13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state of pixels in 3D mode.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I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 안경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보여준다. FIG. 1 and FIG. 2 show a polarizing glasses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영상표시장치는 표시소자(10), 패턴드 리타더(20), 제어부(30), 패널 구동부(40) 및 편광 안경(5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device 10, a pattern driver 20, a controller 30, a panel driver 40, and polarizing glasses 50.

표시소자(10)는 액정표시소자(온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소자(10)를 액정표시소자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electrophoresis (EPD) device. Hereinafter, the display element 10 will be described mainly with reference to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표시소자(10)는 표시패널(11)과, 상부 편광필름(Polarizer)(11a)과, 하부 편광필름(11b)을 포함한다. The display element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1, an upper polarizing film 11a, and a lower polarizing film 11b.

표시패널(11)은 두 장의 유리기판들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L), 이 데이터라인들(DL)과 각각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L)이 배치된다. 이러한, 신호라인들(DL,GL)의 교차 구조에 의해 표시패널(11)에는 다수의 단위 픽셀들(UNIT PIX)을 포함한 픽셀 어레이가 형성된다. 단위 픽셀(UNIT PIX)은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구현을 위한 3개의 픽셀들(PIX)을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수직으로 이웃한 제1 픽셀(PIX1) 및 제2 픽셀(PIX2) 각각은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를 구비한다. 상부 표시부(UDIS)는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액티브 블랙 스트라이프로 기능하는 상부 보조 표시부(USP)로 이루어진다. 표시패널(11)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는 공통라인과, 방전제어전압들(LCV1,LCV2)이 공급되는 방전 제어라인이 더 형성된다. 표시패널(11)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The display panel 11 includes two glass substrates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on the lower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1 so as to intersect with the data lines DL. The intersection structure of the signal lines DL and GL forms a pixe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pixels UNIT PIX in the display panel 11. [ The unit pixel UNIT PIX has three pixels PIX for red (R), green (G) and blue (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 each vertically adjacent first pixel PIX1 and a second pixel PIX2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UDIS and a lower display unit LDIS. The upper display unit UDIS includes an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nd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serving as an active black stripe. A common line to which the common voltage Vcom is supplied and a discharge control line to which the discharge control voltages LCV1 and LCV2 are supplied ar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1. [ On the upper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1, a black matrix and a color filter are formed.

표시패널(11)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필름(11a, 11b)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는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리기판들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larizing films 11a and 11b are attached to the upper glass substrate and the lower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1 to form an alignment film for setting a pre-tilt angle of the liquid crystal. The common electrode to which the common voltage Vcom is suppli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glass substrate in a vertic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TN (Twisted Nematic) mode and VA (Vertical Alignment) mode. In the IPS (In Plane Switching)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glass substrate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in a horizont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a Fringe Field Switching mode. A column spacer for maintaining a cell gap of the liquid crystal cell may be formed between the glass substrates.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소자(10)는 투과형 표시소자, 반투과형 표시소자, 반사형 표시소자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표시소자와 반투과형 표시소자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2)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12)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ny form such as a transmissive display device, a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and a reflective display device. In the transmissive display element and the semi-transmissive display element, the backlight unit 12 is required. The backlight unit 12 may be implemented as a direct type backlight unit or an edge type backlight unit.

패턴드 리타더(20)는 표시패널(11)의 상부 편광필름(11a) 상에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20)의 기수 라인들에는 제1 리타더(RT1)가 형성되고, 패턴드 리터더(20)의 우수 라인들에는 제2 리타더(RT2)가 형성된다. 제1 리타더(RT1)의 광흡수축과 제2 리타더(RT2)의 광흡수축은 서로 다르다. 제1 리타더(RT1)는 상부 편광필름(11a)을 통해 입사되는 선편광의 위상을 1/4 파장 만큼 지연시켜 입사광을 제1 편광(예컨대, 좌원편광)으로 통과시킨다. 제2 리타더(RT2)는 상부 편광필름(11a)을 통해 입사되는 선편광의 위상을 3/4 파장 만큼 지연시켜 입사광을 제2 편광(예컨대, 우원편광)으로 통과시킨다. The patterned retarder 20 is attached on the upper polarizing film 11a of the display panel 11. [ A first retarder RT1 is formed on the odd number lines of the pattern reliader 20 and a second retarder RT2 is formed on the even lines of the pattern writer 20. [ The light absorption axes of the first retarder RT1 and the second retarder RT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retarder RT1 delays the phase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upper polarizing film 11a by a quarter wavelength to pass the incident light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e.g., the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 second retarder RT2 delays the phase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upper polarizing film 11a by 3/4 wavelength to pass the incident light through the second polarized light (e.g.,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제어부(30)는 모드 선택신호(SEL)에 따라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패널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터치 스크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키보드, 마우스,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 선택신호(SEL)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2D 모드 동작과 3D 모드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에 인코딩된 2D/3D 식별 코드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규격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에 코딩될 수 있는 2D/3D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2D 모드와 3D 모드를 구분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nel driver 40 in the 2D mode or the 3D mode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SEL. 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mode selection signal SEL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 touch screen, an on-screen display (OSD), a keyboard, a mouse and a remote controller, And 3D mode operation can be switched.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2D / 3D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a digital broadcast standard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To distinguish the 2D mode from the 3D mode.

제어부(30)는 3D 모드 하에서 비디오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3D 영상 데이터를 좌안 영상의 RGB 데이터와 우안 영상의 RGB 데이터로 분리한 후, 좌안 영상의 RGB 데이터와 우안 영상의 RGB 데이터를 패널 구동부(40)의 데이터 드라이버(40A)에 공급한다. 제어부(30)는 2D 모드 하에서 비디오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2D 영상의 RGB 데이터를 패널 구동부(40)의 데이터 드라이버(40A)에 공급한다.The control unit 30 separates the RGB image data input from the video source in the 3D mode into the RGB data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GB data of the right eye image and outputs the RGB data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GB data of the right eye image to the panel driver 40 To the data driver 40A. The control unit 30 supplies the RGB data of the 2D image input from the video source under the 2D mode to the data driver 40A of the panel driving unit 40. [

제어부(3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DCLK) 등의 타이밍신호들을 이용하여 패널 구동부(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panel driving unit 40 using the timing signals such a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dot clock DCLK, Lt; / RTI >

데이터 드라이버(40A)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는 1 수평라인분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1 수평기간 중에서 데이터의 시작점을 지시하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 SSP), 라이징(Rising) 또는 폴링(Falling)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의 래치동작을 제어하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 SSC), 데이터 드라이버(40A)의 출력을 제어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및 표시패널(11)의 액정셀들에 공급될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하는 극성제어신호(POL) 등을 포함한다.A dat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40A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SP), a rising start signal A source sampling clock (SSC) for controlling the latch operation of the data on the basis of the falling edge of the data,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data driver 40A, And a polarity control signal POL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data voltage to be supplied to the liquid crystal cells of the liquid crystal cells 11,

게이트 드라이버(40B)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는 한 화면이 표시되는 1 수직기간 중에서 스캔이 시작되는 시작 수평라인을 지시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 GSP), 게이트 드라이버(40B) 내의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ate Shift Clock : GSC), 및 게이트 드라이버(40B)의 출력을 제어하는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 GOE) 등을 포함한다. The ga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40B includes a gate start pulse (GSP) indicating a start horizontal line from which a scan starts in one vertical period in which one screen is displayed, a gate driver 40B A gate shift clock signal GSC for sequentially shifting the gate start pulse GSP and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ate OU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gate driver 40B, Enable: GOE).

제어부(30)는 데이터 제어신호와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도 6과 같이 표시패널(11)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입력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타이밍신호들(Vsync,Hsync,DE,DCLK)을 체배하여 N×f(N은 2이상의 양의 정수, f는 입력 프레임 주파수)Hz의 프레임 주파수로 패널 구동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프레임 주파수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에서 60Hz이며, PAL(Phase-Alternating Line) 방식에서 50Hz이다. The control unit 30 can drive the display panel 11 in an interlace manner using the data control signal and the gate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30 multiplies the timing signals (Vsync, Hsync, DE, DCLK) synchronized with the input frame frequency to generate a frame signal having a frame frequency of Nxf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2 or more and f is an input frame frequenc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can be controlled. The input frame frequency is 60 Hz in the 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NTSC) system and 50 Hz in the PAL (Phase-Alternating Line) system.

패널 구동부(40)는 표시패널(11)의 데이터라인들(DL)을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40A)와, 표시패널(11)의 게이트라인들(GL)을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40B)와, 표시패널(11)의 방전 제어라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전압 발생부(40C)를 포함한다.The panel driver 40 includes a data driver 40A for driving the data lines DL of the display panel 11 and a gate driver 40B for driving the gate lines GL of the display panel 11, And a control voltage generator 40C for driving the discharge control lines of the display panel 11. [

데이터 드라이버(40A)의 소스 드라이브 IC들 각각은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Latch),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or, DAC),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0A)는 데이터 제어신호(SSP,SSC,SOE)에 따라 2D 또는 3D 영상의 RGB 데이터를 래치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0A)는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2D 또는 3D 영상의 RGB 데이터를 아날로그 정극성 감마보상전압과 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데이터 드라이버(40A)는 게이트 드라이버(40B)로부터 출력되는 스캔펄스(또는, 게이트펄스)에 동기되도록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DL)로 출력한다. 데이터 드라이버(40A)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표시패널(11)의 하부 유리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Each of the source driver ICs of the data driver 40A includes a shift register, a latch,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 output buffer, and the like. The data driver 40A latches the RGB data of the 2D or 3D image according to the data control signals SSP, SSC and SOE. The data driver 40A converts the RGB data of the 2D or 3D image into the analog positive gamma compensation voltage and the negative gamma compensation voltage in response to the polarity control signal POL to reverse the polarity of the data voltage. The data driver 40A outputs the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DL so as to be synchronized with the scan pulse (or gate pulse) output from the gate driver 40B. The source drive ICs of the data driver 40A can be bonded to the lower glass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1 by a TAB (Tape Automated Bonding) process.

게이트 드라이버(40B)는 게이트 제어신호(GSP,GSC,GOE)에 따라 게이트 하이 전압과 게이트 로우 전압 사이에서 스윙되는 스캔펄스를 발생한다. 그리고, 게이트 제어신호(GSP,GSC,GOE)에 따라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L)에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40B)는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어레이(Gate shift register array)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40B)의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어레이는 표시패널(11)에서 픽셀 어레이가 형성된 표시영역 바깥의 비 표시영역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GIP 방식에 의해,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들은 픽셀 어레이의 TFT 공정에서 픽셀 어레이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The gate driver 40B generates a scan pulse that swings between the gate high voltage and the gate low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gate control signals GSP, GSC, and GOE. In accordance with the gate control signals GSP, GSC and GOE, the scan pulses are supplied to the gate lines GL in an interlaced manner. The gate driver 40B includes a gate shift register array and the like. The gate shift register array of the gate driver 40B may be formed in a GIP (Gate In Panel) method in a non-display area outside the display area where the pixel array is formed in the display panel 11. [ With the GIP scheme, the gate shift registers can be formed with the pixel array in the TFT process of the pixel array.

제어전압 발생부(40C)는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을 발생하고, 모드 선택신호(SEL)에 따라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을 선택적으로 방전 제어라인에 공급한다.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은 오프 레벨(게이트 로우 전압)로 발생되고,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은 오프 레벨보다 높고 풀-온 레벨(게이트 하이 전압)보다 낮은 슬라이트-온 레벨로 발생되되 공통전압(Vcom)보다 높게 발생된다.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은 도 8에 도시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어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의 전류 패스 동작을 스위칭한다. The control voltage generating unit 40C generates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and outputs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ion signal SEL. And the voltage LCV2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is generated at an off level (gate low voltage)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higher than the off level and lower than the pull-on level (gate high voltage) And is generated higher than the common voltage Vcom.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ar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s of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shown in FIG. 8 to supply current to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And switches the operation.

편광 안경(50)은 좌안 편광필터를 갖는 좌안(50L)과 우안 편광필터를 갖는 우안(50R)을 구비한다. 좌안 편광필터는 패턴드 리타더(20)의 제1 리타더(RT1)와 동일한 광흡수축을 가지며, 우안 편광필터는 패턴드 리타더(20)의 제2 리타더(RT2)와 동일한 광흡수축을 가진다. 예들 들면, 편광 안경(50)의 좌안 편광필터는 좌원편광 필터로 선택될 수 있고, 편광 안경(50)의 우안 편광필터는 우원편광 필터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편광 안경(50)을 통해 표시소자(10)에 공간분할 방식으로 표시된 3D 영상 데이터를 감상할 수 있다.The polarizing glasses 50 include a left eye 50L having a left eye polarization filter and a right eye 50R having a right eye polarization filter. The left eye polarizing filter has the same optical absorption axis as the first retarder RT1 of the patterned retarder 20 and the right eye polarizing filter has the same optical absorption axis as the second retarder RT2 of the patterned retarder 20 I have. For example, the left eye polarizing filter of the polarizing glasses 50 may be selected as a left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and the right eye polarizing filter of the polarizing glasses 50 may be selected as a right circular polarization filter. The user can view the 3D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 in a space division manner through the polarized glasses 50.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PIX) 중에서 수직으로 이웃한 2개의 픽셀들(PIX1,PIX2)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4는 픽셀 어레이와 패턴드 리타더(20)의 얼라인 상태를 보여준다. FIG. 3 shows two vertically adjacent pixels PIX1 and PIX2 among the red, green and blue pixels PIX shown in FIG. 4 shows an alignment state of the pixel array and the pattern reliader 20.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픽셀(PIX1)은 2개의 게이트라인들(GL1,GL2)과 1개의 데이터라인(DL1)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를 구비한다. 상부 표시부(UDIS)의 개구 면적은 하부 표시부(LDIS)의 개구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거나 또는, 하부 표시부(LDIS)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UDIS and a lower display unit LDIS, which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wo gate lines GL1 and GL2 and one data line DL1 do.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display portion UDIS may be design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r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제1 픽셀(PIX1)의 상부 표시부(UDIS)는 제1 게이트라인(GL1)과 방전 제어라인(CONL)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를 포함한다.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1 게이트라인(GL1)에 게이트 하이 전압의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데이터라인(D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방전 제어라인(CONL)에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이 인가될 때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n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nd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ate line GL1 and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do. The upper main display UMP and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SP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when a scan pulse of a gat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whe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appli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2 게이트라인(GL2)을 사이에 두고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2 게이트라인(GL2)에 게이트 하이 전압의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데이터라인(D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is disposed under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of the first pixel PIX1 with the second gate line GL2 therebetween.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when a scan pulse of a gat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제2 픽셀(PIX2)은 2개의 게이트라인들(GL3,GL4)과 1개의 데이터라인(DL1)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를 구비한다.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UDIS and a lower display unit LDIS which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wo gate lines GL3 and GL4 and one data line DL1.

제2 픽셀(PIX2)의 상부 표시부(UDIS)는 제3 게이트라인(GL3)과 방전 제어라인(CONL)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를 포함한다.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3 게이트라인(GL3)에 게이트 하이 전압의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데이터라인(D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방전 제어라인(CONL)에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이 인가될 때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n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nd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gate line GL3 and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do. The upper main display portion UMP and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when a scan pulse of a gat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whe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appli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4 게이트라인(GL4)을 사이에 두고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4 게이트라인(GL4)에 게이트 하이 전압의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데이터라인(D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is disposed under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with the fourth gate line GL4 therebetween.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when a scan pulse of a gat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ourth gate line GL4.

2D 모드에서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그에 이웃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동일한 2D 영상을 표시한다. 3D 모드에서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그에 이웃한 상부 메인 표시부(UMP)가 좌안 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데 반해 블랙 계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2D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2D 모드에서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그에 이웃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동일한 2D 영상을 표시한다. 3D 모드에서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그에 이웃한 상부 메인 표시부(UMP)가 좌안 또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데 반해 블랙 계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2D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In the 2D mode,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displays the same 2D image as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djacent thereto. In the 3D mode,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displays the black gradation image while the adjacent upper main display unit UMP displays the left eye or right eye image, so that the luminance of the 2D image is not reduced It serves to widen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3D images. Similarly, in the 2D mode,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lays the same 2D image as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djacent thereto. In the 3D mode,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lays black gradation images while the adjacent upper main display unit UMP displays the left eye or right eye imag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2D image is not lowered It serves to widen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3D images.

2D 모드에서 제1 픽셀(PIX1)의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 제2 픽셀(PIX2)의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는 각각 서로 다른 2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3D 모드에서 블랙 계조 영상을 표시하는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 사이에 배치된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와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는 동일 계조의 우안(또는 좌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에는 좌안(또는 우안)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에는 우안(또는 좌안)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3D 모드에서 표시 영상은 블랙 계조를 띠는 각 픽셀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를 사이에 두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다. The upper display unit UDIS and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and the upper display unit UDIS and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can display different 2D images have.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and the upper main display portion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osed betwee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s USP for displaying the black gradation image in the 3D mode have the same gradation Right eye (or left eye) image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a left eye (or right ey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and a right eye (or left ey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have. In the 3D mode, the display image has a form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lternate with each other over the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USP of each pixel that is in black gradation.

수평 방향으로 이웃한 다수의 제1 픽셀들(PIX1)에 의해 기수 픽셀 라인이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웃한 다수의 제2 픽셀들(PIX2)에 의해 우수 픽셀 라인이 형성된다고 가정할 때, 패턴드 리타더(20)는 도 4와 같이 제1 리타더(RT1)와 제2 리타더(RT2)의 경계 부분이 기수 픽셀 라인에 배치된 제1 픽셀들(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과 대향되고 또한 우수 픽셀 라인에 배치된 제2 픽셀들(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과 대향되도록 픽셀 어레이에 얼라인된다.Assuming that an odd pixel lin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rst pixels PIX1 neighbo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ven pixel lin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econd pixels PIX2 neighbo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4, the delitters 20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retarder RT1 and the second retarder RT2 is arranged o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And is aligned with the pixel array such that it is opposed to the upper auxiliary displays USP of the second pixels PIX2 disposed in the even pixel lin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전압 발생부(40C)의 세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6은 제1 및 제2 방전제어전압의 전압 레벨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7은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공급되는 스캔펄스를 보여준다.FIG. 5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voltage generator 40C shown in FIG. 6 shows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s. 7 shows scan pulses supplied in an interlaced manner.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전압 발생부(40C)는 DC-DC 발생기(402)와 멀티플렉서(4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voltage generator 40C includes a DC-DC generator 402 and a multiplexer 404.

DC-DC 발생기(402)는 입력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을 발생한다. The DC-DC generator 402 generates a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a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using an input DC power source.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은 도 6과 같이 표시패널의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는 스캔펄스(SP)의 게이트 로우 전압(VGL)과 동일한 오프 레벨(OL)로 발생될 수 있다. 스캔펄스(SP)의 게이트 로우 전압(VGL)이 -5V로 선택되는 경우,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은 -5V로 발생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may be generated at the same off level OL as the gate low voltage VGL of the scan pulse SP capable of turning off the switch of the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When the gate-low voltage VGL of the scan pulse SP is selected to be -5V,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may be generated at -5V.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은 도 6과 같이 공통전압(Vcom)보다 높고 표시패널의 스위치를 풀 온(full-on)시킬 수 있는 스캔펄스(SP)의 게이트 하이 전압(VGH)보다 낮은 슬라이트 온 레벨(slight on level, SOL)로 발생된다.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은 도 8에 도시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의 온 상태를 오프 레벨보다 높고 풀 온 레벨보다 낮은 슬라이트 온 레벨(SOL)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공통전압(Vcom) 사이에서 적절한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공통전압(Vcom)이 7.5V로 선택되고 스위치를 완전히 온(fully on)시킬 수 있는 스캔펄스(SP)의 게이트 하이 전압(VGH)이 28V로 선택되는 경우,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은 8V-12V로 발생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lower than the gate high voltage VGH of the scan pulse SP which is higher than the common voltage Vcom and allows the switch of the display panel to be full- It is caused by a slight on level (SOL).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set to a gate high level so that the ON state of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shown in FIG. 8 can be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off level and a lower level May be selected as an appropriate value between the voltage VGH and the common voltage Vcom. When the gate high voltage VGH of the scan pulse SP, which allows the common voltage Vcom to be selected to 7.5V and the switch to be fully on, is selected as 28V,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8V-12V. ≪ / RTI >

멀티플렉서(404)는 모드 선택신호(SEL)에 따라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을 선택적으로 방전 제어라인(CONL)에 출력한다. 멀티플렉서(404)는, 2D 모드에서는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을 방전 제어라인(CONL)에 공급하고, 3D 모드에서는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을 방전 제어라인(CONL)에 공급한다.The multiplexer 404 selectively outputs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ion signal SEL. The multiplexer 404 supplies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in the 2D mode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in the 3D mode.

도 8에 도시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은 제1 방전제어전압(LCV1)에 따라 오프되고 제2 방전제어전압(LCV2)에 따라 슬라이트 온 된다.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의 슬라이트 온에 의해 그에 연결된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의 충전 전압은 공통전압 레벨로 방전되기 시작한다.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이 공통전압 레벨로 완전히 방전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충전 및 방전 순서가 상대적으로 빠른 표시패널의 상단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충전 및 방전 순서가 상대적으로 늦은 표시패널의 하단부에서는 해당 프레임 내에서 완전한 방전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shown in FIG. 8 ar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The charging voltage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connected thereto by the slit-on of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common voltage level. It takes a certain time until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ar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common voltage level. There is no problem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panel in whic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equence is relatively fast, but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panel in which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equence is relatively late, the time required for complete discharging in the frame may be insufficient.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의 충분한 방전 시간 확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과 같은 인터레이스 방식에 따라 한 프레임을 제1 서브 프레임(SF1)과 제2 서브 프레임(SF2)으로 시분할하고, 제1 서브 프레임(SF1)내에서 상부 표시부들(UDIS)에 접속된 기수 게이트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 이후에 제2 서브 프레임(SF2)내에서 하부 표시부들(LDIS)에 접속된 우수 게이트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도 7에서, "SP1,SP3,...,SPn-1"은 기수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스캔펄스를 나타내고, "SP2,SP4,...,SPn"은 우수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스캔펄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인터레이스 구동 방식에 의해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의 방전 시간은 해당 프레임마다 제2 서브 프레임(SF2)만큼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랙 계조 레벨의 홀딩 타임이 증가되며, 그 결과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이 좀 더 양호하게 블랙 스트라이프로 기능하게 된다.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discharge time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ime-divide one frame into a first sub-frame SF1 and a second sub-frame SF2 according to the interlace method shown in Fig. 7, Sequentially driving the odd gate lines connected to the upper display units UDIS in the sub-frame SF1, successively driving the outermost gate lines connected to the lower display units LDIS in the second sub-frame SF2 . SP2, SP4, ..., SPn "denote scan pulse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odd gate lines, and" As shown in FIG. By this interlace driving method, the discharge time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can be sufficiently secured for each frame by the second sub-frame SF2. As a result, the holding time of the black gradation level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function more as a black stripe.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픽셀(PIX1,PIX2)의 접속 구성을 상세히 보여준다. 도 9는 2D 모드에서 픽셀들(PIX1,PIX2)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10은 화소전극-공통전극 간 전위차(V)와, 투과율(T)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1은 2D 모드에서 픽셀들(PIX1,PIX2)의 영상 표시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12는 3D 모드에서 픽셀들(PIX1,PIX2)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13은 3D 모드에서 픽셀들(PIX1,PIX2)의 영상 표시상태를 보여준다.FIG. 8 shows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PIX1 and PIX2 shown in FIG. 3 in detail. 9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pixels PIX1 and PIX2 in the 2D mode and Fig. 10 is a waveform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xel electrode- common electrode potential difference V and the transmittance T And FIG. 11 shows an image display state of the pixels PIX1 and PIX2 in the 2D mode. FIG. 12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pixels PIX1 and PIX2 in the 3D mode, and FIG. 13 shows the video display states of the pixels PIX1 and PIX2 in the 3D mode.

도 8을 참조하면, 제1 픽셀(PIX1)은 제1 및 제2 게이트라인(GL1,GL2)과 데이터라인(DL1)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UDIS and a lower display unit LDIS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ate lines GL1 and GL2 and the data line DL1 do.

제1 픽셀(PIX1)의 상부 표시부(UDIS)는 제1 스캔펄스(SP1)가 인가되는 제1 게이트라인(GL1)과, 제1 및 제2 방전제어전압(LCV1,LCV2)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방전 제어라인(CON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를 포함한다.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first pixel PIX1 is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o which the first scan pulse SP1 is applied and the first gate line GL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s LCV1 and LCV2 are selectively applied And an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nd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는 제1 화소전극(Ep1), 이 제1 화소전극(Ep1)과 대향하여 제1 액정 커패시터(Clc1)를 구성하는 제1 공통전극(Ec1), 및 제1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를 구비한다. 제1 화소전극(Ep1)은 제1 스위치(ST1)를 통해 제1 게이트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1 스위치(ST1)는 제1 스캔펄스(SP1)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1 화소전극(Ep1)에 인가한다. 제1 스위치(ST1)의 게이트전극은 제1 게이트라인(GL1)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1 화소전극(Ep1)에 접속된다. 제1 공통전극(Ec1)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1 스토리지 커패시터(Cst1)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화소전극(Ep1)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 first pixel electrode Ep1 and a first common electrode Ec1 constituting a first liquid crystal capacitor Clc1 opposing the first pixel electrode Ep1, , And a first storage capacitor (Cst1). The first pixel electrode Ep1 is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first switch ST1. The first switch ST1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pulse SP1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first pixel electrode Ep1.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witch ST1 is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pixel electrode Ep1. The first common electrode Ec1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first storage capacitor Cst1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rst pixel electrode Ep1 and the common line CL with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2 화소전극(Ep2), 이 제2 화소전극(Ep2)과 대향하여 제2 액정 커패시터(Clc2)를 구성하는 제2 공통전극(Ec2), 및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를 구비한다. 제2 화소전극(Ep2)은 제2 스위치(ST2)를 통해 제1 게이트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치(ST2)는 제1 스캔펄스(SP1)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2 화소전극(Ep2)에 인가한다. 제2 스위치(ST2)의 게이트전극은 제1 게이트라인(GL1)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2 화소전극(Ep2)에 접속된다. 제2 공통전극(Ec2)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2 화소전극(Ep2)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a second common electrode Ec2 constituting the second liquid crystal capacitor Clc2 opposite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 And a second storage capacitor (Cst2).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is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second switch ST2. The second switch ST2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pulse SP1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 ST2 is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second common electrode Ec2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second storage capacitor Cst2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common line CL with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2 화소전극(Ep2)은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를 통해 공통라인(CL)에 연결된다.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는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에 선택적으로 응답하여 제2 화소전극(Ep2)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스위칭한다.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의 게이트전극은 방전 제어라인(CONL)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제2 화소전극(Ep2)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이 인가될 때,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는 자신의 소스-드레인 간 채널을 완전히 폐쇄하여 제2 화소전극(Ep2)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차단한다.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이 인가될 때,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는 자신의 소스-드레인 간 채널을 부분 개방하여 제2 화소전극(Ep2)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부분적으로 허여한다.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switche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common line CL in response to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selectively d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Whe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is applied,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completely closes the source-drain channel of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and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common line CL . Whe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applied,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partly opens its source-drain channel to pass a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the common line CL In part.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3 화소전극(Ep3), 이 제3 화소전극(Ep3)과 대향하여 제3 액정 커패시터(Clc3)를 구성하는 제3 공통전극(Ec3), 및 제3 스토리지 커패시터(Cst3)를 구비한다. 제3 화소전극(Ep3)은 제3 스위치(ST3)를 통해 제2 게이트라인(GL2)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3 스위치(ST3)는 제2 스캔펄스(SP2)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3 화소전극(Ep3)에 인가한다. 제3 스위치(ST3)의 게이트전극은 제2 게이트라인(GL2)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3 화소전극(Ep3)에 접속된다. 제3 공통전극(Ec3)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3 스토리지 커패시터(Cst3)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3 화소전극(Ep3)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includes a third pixel electrode Ep3, a third common electrode Ec3 constituting a third liquid crystal capacitor Clc3 opposite to the third pixel electrode Ep3, And a third storage capacitor Cst3. The third pixel electrode Ep3 is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third switch ST3. The third switch ST3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can pulse SP2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third pixel electrode Ep3.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switch ST3 is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third pixel electrode Ep3. And the third common electrode Ec3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third storage capacitor Cst3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third pixel electrode Ep3 and the common line CL with the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제2 픽셀(PIX2)은 제3 및 제4 게이트라인(GL3,GL4)과 데이터라인(DL1)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상부 표시부(UDIS)와 하부 표시부(LDIS)를 구비한다.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UDIS and a lower display unit LDIS which are disposed at intersec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gate lines GL3 and GL4 and the data line DL1.

제2 픽셀(PIX2)의 상부 표시부(UDIS)는 제3 스캔펄스(SP3)가 인가되는 제3 게이트라인(GL3)과, 제1 및 제2 방전제어전압(LCV1,LCV2)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방전 제어라인(CON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상부 보조 표시부(USP)를 포함한다.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second pixel PIX2 is connect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to which the third scan pulse SP3 is applied and the third gate line GL2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s LCV1 and LCV2 are selectively applied And an upper main display unit UMP and an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는 제4 화소전극(Ep4), 이 제4 화소전극(Ep4)과 대향하여 제4 액정 커패시터(Clc4)를 구성하는 제4 공통전극(Ec4), 및 제4 스토리지 커패시터(Cst4)를 구비한다. 제4 화소전극(Ep4)은 제4 스위치(ST4)를 통해 제3 게이트라인(GL3)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4 스위치(ST4)는 제3 스캔펄스(SP3)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4 화소전극(Ep4)에 인가한다. 제4 스위치(ST4)의 게이트전극은 제3 게이트라인(GL3)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4 화소전극(Ep4)에 접속된다. 제4 공통전극(Ec4)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4 스토리지 커패시터(Cst4)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4 화소전극(Ep4)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 fourth pixel electrode Ep4 and a fourth common electrode Ec4 constituting a fourth liquid crystal capacitor Clc4 opposite to the fourth pixel electrode Ep4, , And a fourth storage capacitor (Cst4). The fourth pixel electrode Ep4 is connect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fourth switch ST4. The fourth switch ST4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third scan pulse SP3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fourth pixel electrode Ep4.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switch ST4 is connect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ourth pixel electrode Ep4. And the fourth common electrode Ec4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fourth storage capacitor Cst4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fourth pixel electrode Ep4 and the common line CL with an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5 화소전극(Ep5), 이 제5 화소전극(Ep5)과 대향하여 제5 액정 커패시터(Clc5)를 구성하는 제5 공통전극(Ec5), 및 제5 스토리지 커패시터(Cst5)를 구비한다. 제5 화소전극(Ep5)은 제5 스위치(ST5)를 통해 제3 게이트라인(GL3)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5 스위치(ST5)는 제3 스캔펄스(SP3)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5 화소전극(Ep5)에 인가한다. 제5 스위치(ST5)의 게이트전극은 제3 게이트라인(GL3)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5 화소전극(Ep5)에 접속된다. 제5 공통전극(Ec5)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2)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5 화소전극(Ep5)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a fifth common electrode Ec5 constituting the fifth liquid crystal capacitor Clc5 opposite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 And a fifth storage capacitor (Cst5).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is connect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fifth switch ST5. The fifth switch ST5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third scan pulse SP3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The gate electrode of the fifth switch ST5 is connected to the third gate line GL3,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The fifth common electrode Ec5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second storage capacitor Cst2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the common line CL with the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제5 화소전극(Ep5)은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를 통해 공통라인(CL)에 연결된다.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는 제1 방전제어전압(LCV1)과 제2 방전제어전압(LCV2)에 선택적으로 응답하여 제5 화소전극(Ep5)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스위칭한다.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의 게이트전극은 방전 제어라인(CONL)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제5 화소전극(Ep5)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1 방전제어전압(LCV1)이 인가될 때,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는 자신의 소스-드레인 간 채널을 완전히 폐쇄하여 제5 화소전극(Ep5)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차단한다.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이 인가될 때,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는 자신의 소스-드레인 간 채널을 부분 개방하여 제5 화소전극(Ep5)과 공통라인(CL) 사이의 전류 패스를 부분적으로 허여한다.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selectively switche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the common line CL in response to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do.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CONL,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Whe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is applie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completely closes the source-drain channel of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so that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the common line CL . Whe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applie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partly opens its source-drain channel to pass a current path between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the common line CL In part.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6 화소전극(Ep6), 이 제6 화소전극(Ep6)과 대향하여 제6 액정 커패시터(Clc6)를 구성하는 제6 공통전극(Ec6), 및 제6 스토리지 커패시터(Cst6)를 구비한다. 제6 화소전극(Ep6)은 제6 스위치(ST6)를 통해 제4 게이트라인(GL4)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제6 스위치(ST6)는 제4 스캔펄스(SP4)에 응답하여 턴 온 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상의 데이터전압(Vdata)을 제6 화소전극(Ep6)에 인가한다. 제6 스위치(ST6)의 게이트전극은 제4 게이트라인(GL4)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제6 화소전극(Ep6)에 접속된다. 제6 공통전극(Ec6)은 공통전압(Vcom)으로 충전된 공통라인(CL)에 접속된다. 제6 스토리지 커패시터(Cst6)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6 화소전극(Ep6)과 공통라인(CL)의 중첩으로 형성된다.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includes a sixth pixel electrode Ep6 and a sixth common electrode Ec6 constituting a sixth liquid crystal capacitor Clc6 opposite to the sixth pixel electrode Ep6, And a sixth storage capacitor Cst6. The sixth pixel electrode Ep6 is connected to the fourth gate line GL4 and the data line DL1 through the sixth switch ST6. The sixth switch ST6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ourth scan pulse SP4 to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on the data line DL1 to the sixth pixel electrode Ep6. The gate electrode of the sixth switch ST6 is connected to the fourth gate line GL4, the source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and the drain electro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ixth pixel electrode Ep6. The sixth common electrode Ec6 is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CL charged with the common voltage Vcom. The sixth storage capacitor Cst6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sixth pixel electrode Ep6 and the common line CL with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은 제1 내지 제6 스위치(ST1~ST6)와 동일한 채널 용량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의 온 상태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에 비해 낮은 레벨의 제2 방전제어전압(LCV2)이 인가됨에 따라, 풀 온 레벨(full on level) 보다 낮은 슬라이트 온 레벨(SOL)을 띠게 된다. 제2 스위치(ST2)와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가 동시에 온 되더라도,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를 통해 방전되는 전류량은, 제2 스위치(ST2)를 통해 충전되는 전류량에 비해 적다. 또한, 제5 스위치(ST5)와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가 동시에 온 되더라도,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를 통해 방전되는 전류량은, 제5 스위치(ST5)를 통해 충전되는 전류량에 비해 적다.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are designed to have the same channel capacity as the first to sixth switches ST1 to ST6. Therefore, the ON state of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is lower than the full on level as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is applied at a lower level than the gate high voltage VGH. A light-on level (SOL). Even if the second switch ST2 and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curre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through the second switch ST2. Even if the fifth switch ST5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curren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through the fifth switch ST5 little.

도 9 내지 도 11을 더 결부하여 2D 모드에서 상기와 같은 접속 구성을 갖는 픽셀들(PIX1,PIX2)의 동작과 함께 그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9 to 11,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pixels PIX1 and PIX2 having such a connection configuration in the 2D mode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2D 모드 하에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은 오프 레벨(-5V)의 제1 방전제어전압(LCV1)에 응답하여 계속해서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2D mode,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maintain the OFF state in response to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1 of the off level (-5 V).

제1 서브 프레임(SF1) 내에서 제1 스캔펄스(SP1)와 제3 스캔펄스(SP3)는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 전압(VGH) 레벨로 입력된다.The first scan pulse SP1 and the third scan pulse SP3 are sequentially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level in the first sub-frame SF1.

제1 스캔펄스(SP1)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ST1,ST2)는 동시에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1 스위치(ST1)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에는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1)이 제1 화소전압(Vp1)으로 충전되고, 제2 스위치(ST2)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도 마찬가지로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1)이 제2 화소전압(Vp2)으로 충전된다. 제1 및 제2 스위치(ST1,ST2)는 동일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제2 화소전압(Vp2)은 제1 화소전압(Vp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pulse SP1,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T1 and ST2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to the pull-on level. The data voltage D1 for implementing the 2D image is charged to the first pixel voltage Vp1 in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T1, The data voltage D1 for realizing the 2D image is similarly charged to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switch ST2. Since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T1 and ST2 are designed in the same manner,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pixel voltage Vp1.

제3 스캔펄스(SP3)에 응답하여 제4 및 제5 스위치(ST4,ST5)는 동시에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4 스위치(ST4)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에는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3)이 제4 화소전압(Vp4)으로 충전되고, 제5 스위치(ST5)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도 마찬가지로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3)이 제5 화소전압(Vp5)으로 충전된다. 제4 및 제5 스위치(ST4,ST5)는 동일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제5 화소전압(Vp5)은 제4 화소전압(Vp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In response to the third scan pulse SP3, the fourth and fifth switches ST4 and ST5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t the pull-on level. The data voltage D3 for realizing the 2D image is charged to the fourth pixel voltage Vp4 in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urning on the fourth switch ST4, The data voltage D3 for realizing the 2D image is similarly charged to the fifth pixel voltage Vp5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urning on the switch ST5. Since the fourth and fifth switches ST4 and ST5 are designed in the same manner, the fifth pixel voltage Vp5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fourth pixel voltage Vp4.

제2 서브 프레임(SF2) 내에서 제2 스캔펄스(SP2)와 제4 스캔펄스(SP4)는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 전압(VGH) 레벨로 입력된다.The second scan pulse SP2 and the fourth scan pulse SP4 are sequentially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level in the second sub-frame SF2.

제2 및 제4 스캔펄스(SP2,SP4)에 각각 응답하여 제3 및 제6 스위치(ST3,ST6)는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3 스위치(ST3)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에는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2)이 제3 화소전압(Vp3)으로 충전되고, 제6 스위치(ST6)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에는 2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D4)이 제6 화소전압(Vp6)으로 충전된다.The third and sixth switches ST3 and ST6 are turned on at the pull-on level in response to the second and fourth scan pulses SP2 and SP4, respectively. The data voltage D2 for realizing the 2D image is charged to the third pixel voltage Vp3 in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third switch ST3, The data voltage D4 for realizing the 2D image is charged to the sixth pixel voltage Vp6 in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he turn-on of the sixth pixel voltage Vp6.

화소전압과 공통전압 간 전압차(V)와 투과율(T)은 도 10과 같이 서로 비례 관계를 갖는다. 도 9와 같이 데이터전압들(D1,D2,D3,D4)이 서로 다른 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1 픽셀(PIX1)의 상부 표시부(UDIS),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 제2 픽셀(PIX2)의 상부 표시부(UDIS), 및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는 각각 도 11과 같은 서로 다른 계조의 2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2D 모드에서 표시패널의 물리적 수직 해상도를 2배로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voltage difference (V) between the pixel voltage and the common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T)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first pixel PIX1,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when the data voltages D1, D2, D3 and D4 are inputted at different levels as shown in FIG. 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second pixel PIX2 and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can display 2D images of different gradations as shown in FIG. This has the effect of doubling the physical vertical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in the 2D mode.

한편,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동일한 2D 영상을 표시하여 제1 픽셀(PIX1)의 상부 표시부(UDIS)에 표시되는 2D 영상의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는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와 동일한 2D 영상을 표시하여 제2 픽셀(PIX2)의 상부 표시부(UDIS)에 표시되는 2D 영상의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displays the same 2D image as that of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and is displayed on 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first pixel PIX1 The brightness of the 2D image is increased.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lays the same 2D image as that of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so as to display the 2D image displayed on the upper display unit UDIS of the second pixel PIX2, Thereby enhanc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도 10, 도 12 및 도 13을 더 결부하여 3D 모드에서 상기와 같은 접속 구성을 갖는 픽셀들(PIX1,PIX2)의 동작과 함께 그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Fig. 10, Fig. 12 and Fig. 13 are combined to explain the operation effect of the pixels PIX1 and PIX2 having such a connection configuration in the 3D mode together with their operation effects.

3D 모드 하에서 방전제어 스위치들(DST1,DST2)은 슬라이트 온 레벨(8-12V)의 제2 방전제어전압(LCV2)에 응답하여 계속해서 슬라이트 온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3D mode, the discharge control switches DST1 and DST2 continue to be in the SLIGHT ON st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LCV2 of the SLLITE ON level (8-12V).

제1 서브 프레임(SF1) 내에서 제1 스캔펄스(SP1)와 제3 스캔펄스(SP3)는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 전압(VGH) 레벨로 입력된다.The first scan pulse SP1 and the third scan pulse SP3 are sequentially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level in the first sub-frame SF1.

게이트 하이 전압(VGH)의 제1 스캔펄스(SP1)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ST1,ST2)는 동시에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1 스위치(ST1)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에는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L1)이 제1 화소전압(Vp1)으로 충전되고, 제2 스위치(ST2)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도 마찬가지로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L1)이 제2 화소전압(Vp2)으로 충전된다.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pulse SP1 of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T1 and ST2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to the pull-on level. The data voltage L1 for realizing the 3D image is charged to the first pixel voltage Vp1 in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T1, The data voltage L1 for realizing the 3D image is similarly charged to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switch ST2.

제1 스캔펄스(SP1)가 게이트 하이 전압(VGH)으로 입력되는 기간에서, 풀 온 상태를 제2 스위치(ST2)의 채널저항에 비해, 슬라이트 온 상태를 갖는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의 채널 저항이 훨씬 크다. 따라서, 제1 스캔펄스(SP1)가 게이트 하이 전압(VGH)으로 입력되는 기간에서, 제2 화소전극(Ep2)으로부터 유출되는 방전 전류는 제2 화소전극(Ep2)으로 유입되는 충전 전류에 비해 훨씬 적게 되고 그 결과, 제2 화소전압(Vp2)은 제1 화소전압(Vp1)에 유사한 레벨로 충전된다.In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scan pulse SP1 is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pull-on state is compared with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ST2 by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having the slit- The channel resistance is much larger. Therefore, in a period in which the first scan pulse SP1 is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discharge current flowing out from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is much higher than the charge current flowing in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Ep2 And as a result,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is charged to a level similar to the first pixel voltage Vp1.

제1 스캔펄스(SP1)가 게이트 로우 전압(VGL)으로 반전되면, 제1 및 제2 스위치(ST1,ST2)는 동시에 턴 오프 된다. 이때, 오프 상태를 갖는 제2 스위치(ST2)의 채널저항에 비해, 슬라이트 온 상태를 갖는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의 채널저항은 훨씬 작다. 따라서, 제1 픽셀(PIX1)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 충전되어 있던 제2 화소전압(Vp2)은 제1 방전제어 스위치(DST1)를 경유하여 소정 기간(예컨대, 20 수평기간(20H)) 내에 공통전압(Vcom) 레벨로 방전된다.When the first scan pulse SP1 is inverted to the gate low voltage VGL,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T1 and ST2 are simultaneous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having the slit-on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ST2 having the off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charged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first pixel PIX1 is supplied to the first pixel PIX1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20 horizontal periods 20H) via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DST1, And is discharged to the common voltage Vcom level.

게이트 하이 전압(VGH)의 제3 스캔펄스(SP3)에 응답하여 제4 및 제5 스위치(ST4,ST5)는 동시에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4 스위치(ST4)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에는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R1)이 제4 화소전압(Vp4)으로 충전되고, 제5 스위치(ST5)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도 마찬가지로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R1)이 제5 화소전압(Vp5)으로 충전된다. In response to the third scan pulse SP3 of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fourth and fifth switches ST4 and ST5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t the pull-on level. The data voltage R1 for implementing the 3D image is charged to the fourth pixel voltage Vp4 in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urning on the fourth switch ST4, The data voltage R1 for realizing the 3D image is similarly charged to the fifth pixel voltage Vp5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urning on the switch ST5.

제3 스캔펄스(SP3)가 게이트 하이 전압(VGH)으로 입력되는 기간에서, 풀 온 상태를 제5 스위치(ST5)의 채널저항에 비해, 슬라이트 온 상태를 갖는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의 채널 저항이 훨씬 크다. 따라서, 제3 스캔펄스(SP3)가 게이트 하이 전압(VGH)으로 입력되는 기간에서, 제5 화소전극(Ep5)으로부터 유출되는 방전 전류는 제5 화소전극(Ep5)으로 유입되는 충전 전류에 비해 훨씬 적게 되고 그 결과, 제5 화소전압(Vp5)은 제4 화소전압(Vp4)에 유사한 레벨로 충전된다.In the period in which the third scan pulse SP3 is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pull-on state is compared with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fifth switch ST5 b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having the slit- The channel resistance is much larger. Therefore, in the period in which the third scan pulse SP3 is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the discharge current flowing out from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is much higher than the charge current flowing into the fifth pixel electrode Ep5 And as a result, the fifth pixel voltage Vp5 is charged to a level similar to the fourth pixel voltage Vp4.

제3 스캔펄스(SP3)가 게이트 로우 전압(VGL)으로 반전되면, 제4 및 제5 스위치(ST4,ST5)는 동시에 턴 오프 된다. 이때, 오프 상태를 갖는 제5 스위치(ST5)의 채널저항에 비해, 슬라이트 온 상태를 갖는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의 채널저항은 훨씬 작다. 따라서, 제2 픽셀(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USP)에 충전되어 있던 제5 화소전압(Vp5)은 제2 방전제어 스위치(DST2)를 경유하여 소정 기간(예컨대, 20 수평기간(20H)) 내에 공통전압(Vcom) 레벨로 방전된다.When the third scan pulse SP3 is inverted to the gate-low voltage VGL, the fourth and fifth switches ST4 and ST5 are simultaneous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having the slit-on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channel resistance of the fifth switch ST5 having the off state. Accordingly, the fifth pixel voltage Vp5 charged i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USP of the second pixel PIX2 is supplied to the second pixel PIX2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20 horizontal periods 20H) via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DST2, And is discharged to the common voltage Vcom level.

제2 서브 프레임(SF2) 내에서 제2 스캔펄스(SP2)와 제4 스캔펄스(SP4)는 순차적으로 게이트 하이 전압(VGH) 레벨로 입력된다.The second scan pulse SP2 and the fourth scan pulse SP4 are sequentially input to the gate high voltage VGH level in the second sub-frame SF2.

제2 및 제4 스캔펄스(SP2,SP4)에 각각 응답하여 제3 및 제6 스위치(ST3,ST6)는 풀-온 레벨로 턴 온 된다. 제3 스위치(ST3)의 턴 온에 의해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에는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R1)이 제3 화소전압(Vp3)으로 충전되고, 제6 스위치(ST6)의 턴 온에 의해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에는 3D 영상 구현을 위한 데이터전압(L2)이 제6 화소전압(Vp6)으로 충전된다.The third and sixth switches ST3 and ST6 are turned on at the pull-on level in response to the second and fourth scan pulses SP2 and SP4, respectively. The data voltage R1 for realizing the 3D image is charged to the third pixel voltage Vp3 in the lower display unit LDIS of the first pixel PIX1 by turning on the third switch ST3, The data voltage L2 for realizing the 3D image is charged to the sixth pixel voltage Vp6 in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by the turn-on of the sixth pixel voltage Vp6.

화소전압과 공통전압 간 전압차(V)와 투과율(T)은 도 10과 같이 서로 비례 관계를 갖는다. 제2 화소전압(Vp2)과 공통전압(Vcom) 간 전압차 및 제5 화소전압(Vp5)과 공통전압(Vcom) 간 전압차는 "0"이 된다. 그 결과, 전위차-투과율 특성에 따라, 제1 및 제2 픽셀(PIX1,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은 도 13과 같이 블랙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픽셀(PIX1,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들(UMP)과 하부 표시부들(UDIS)은 도 13과 같이 특정 계조의 3D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12와 같은 레벨로 데이터전압들(L1,R1,R1,L2)이 입력되는 경우, 제1 픽셀(PIX1)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는 제1 계조의 좌안 영상을, 제1 픽셀(PIX1)의 하부 표시부(LDIS)와 제2 픽셀(PIX2)의 상부 메인 표시부(UMP)는 제2 계조의 우안 영상을, 제2 픽셀(PIX2)의 하부 표시부(LDIS)는 제3 계조의 좌안 영상을, 그리고 제1 및 제2 픽셀(PIX1,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은 블랙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voltage difference (V) between the pixel voltage and the common voltage and the transmittance (T)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ixel voltage Vp2 and the common voltage Vcom and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fth pixel voltage Vp5 and the common voltage Vcom become "0 ". As a result,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PIX1 and PIX2 display black gradation images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the potential difference-transmittance characteristic. The upper main display units UMP and the lower display units UDIS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PIX1 and PIX2 display a 3D image of a specific gray level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when data voltages (L1, R1, R1, L2) are input at the same level as in FIG. 12, the upper main display unit UMP of the first pixel PIX1 outputs the left-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pixel PIX1 and the upper main display portion UMP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lay the right eye image of the second gradation and the lower display portion LDIS of the second pixel PIX2 displays the right- And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PIX1 and PIX2 can display a black image.

제1 및 제2 픽셀(PIX1,PIX2)의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은 액티브 블랙 스트라이프로 기능을 한다.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 표시되는 블랙 이미지는 수직으로 이웃한 3D 이미지들(즉,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 사이의 표시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 없이도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되지 않는 3D 상하 시야각이 상기 블랙 이미지를 통해 넓게 확보될 수 있게 된다.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of the first and second pixels PIX1 and PIX2 function as an active black stripe. The black image displayed on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serves to widen the display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ly neighboring 3D images (i.e.,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The present invention can widely obtain a 3D vertical viewing angle in which no crosstalk occurs even without a separate black stripe pattern through the black image.

3D 영상의 휘도와 상하 시야각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의 개구 면적을 넓힐수록 3D 상하 시야각은 넓어지지만 3D 영상의 휘도는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공정에서 상부 보조 표시부들(USP)의 크기는 3D 영상의 휘도와 상하 시야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luminance and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the 3D image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As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is widened, the 3D up / down viewing angle becomes wider, but the luminance of the 3D image can be reduced. Accordingly, in the designing process, the size of the upper auxiliary display units USP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uminance of the 3D image and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tail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표시소자 11 : 표시패널
20 : 패턴드 리타더 30 : 제어부
40 : 패널 구동부 40A : 데이터 드라이버
40B : 게이트 드라이버 40C : 제어전압 발생부
50 : 편광 안경
10: display element 11: display panel
20: pattern-driven retarder 30: control unit
40: panel driver 40A: data driver
40B: gate driver 40C: control voltage generator
50: polarized glasses

Claims (12)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여 2D 영상과 3D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오프 레벨의 제1 방전제어전압과 슬라이트-온 레벨의 제2 방전제어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전압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픽셀들 중의 제1 픽셀은,
제1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1 화소전극을 갖는 제1 상부 메인 표시부;`
상기 제1 스위치와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2 화소전극을 가짐과 아울러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 화소전극을 공통전압으로 충전된 공통라인에 연결하는 제1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제1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제3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3 화소전극을 갖는 제1 하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전압은 상기 오프 레벨보다 높고, 상기 슬라이트-온 레벨은 상기 공통전압보다 높고 풀-온 레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to selectively display a 2D image and a 3D image; And
And a control voltage genera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of the OFF level and a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of the SLITE-ON level;
Wherein the first pixel of the pixels,
A first upper main display having a first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a data line through a first switch;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second switch driven at the same timing as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pixe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mmon voltage A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having a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connected to a common line charged wit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And
And a first lower display unit having a third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third switch,
Wherein the common voltage is higher than the off level and the slitter-on level is higher than the common voltage and lower than the full-on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 중에서 상기 제1 픽셀에 수직으로 이웃하여 상기 제1 픽셀의 아래에 배치된 제2 픽셀은,
제4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4 화소전극을 갖는 제2 상부 메인 표시부;
상기 제4 스위치와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제5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5 화소전극을 가짐과 아울러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5 화소전극을 상기 공통라인에 연결하는 제2 방전제어 스위치를 갖는 제2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제6 스위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제6 화소전극을 갖는 제2 하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pixel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ixel and adjacent to the first pixel,
A second upper main display unit having a four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fourth switch;
A fif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fifth switch driven at the same timing as the fourth switch, and the fifth pixe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A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having a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connected to the line; And
And a second lower display unit having a sixth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through a sixth switc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제1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1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1 스캔펄스에 의해 동시에 턴 온 및 턴 오프 되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2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2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2 스캔펄스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 되고;
상기 제4 스위치와 제5 스위치는 상기 제2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3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3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3 스캔펄스에 의해 동시에 턴 온 및 턴 오프 되며;
상기 제6 스위치는 상기 제3 게이트라인 아래에 배치된 제4 게이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4 게이트라인에 인가되는 제4 스캔펄스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connected to a first gate line and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nd off by a first scan pulse applied to the first gate line;
The third switch is connected to a second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first gate line and is turned on and off by a second scan pulse applied to the second gate line;
The fourth switch and the fifth switch are connected to a third gate line disposed under the second gate line and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nd off by a third scan pulse applied to the third gate line;
Wherein the sixth switch is connected to a fourth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third gate line and is turned on and off by a fourth scan pulse applied to the fourth gate line.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은 제1 서브 프레임 기간과, 이 제1 서브 프레임 기간에 이은 제2 서브 프레임 기간으로 시분할되고;
상기 제1 게이트라인과 제3 게이트라인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기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게이트라인과 제4 게이트라인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기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Each frame is time-divided into a first sub-frame period and a second sub-frame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sub-frame period;
The first gate line and the third gate line are sequentially driven within the first sub frame period;
And the second gate line and the fourth gate line are sequentially driven within the second sub frame peri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캔펄스에 동기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레벨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상부 메인 표시부와 제1 상부 보조 표시부는 제1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하부 표시부는 제2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상부 메인 표시부와 제2 상부 보조 표시부는 제3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2 하부 표시부는 제4 레벨의 2D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implementing the 2D image, the levels of data voltages supplied to the data lin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to fourth scan pul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upper main display unit and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a 2D image of a first level;
Wherein the first lower display unit displays a 2D image of a second level;
The second upper main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a 2D image of a third level;
And the second lower display unit displays a 2D image of a fourth lev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상부 메인 표시부는 제1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하부 표시부와 상기 제2 상부 메인 표시부는 동일한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하부 표시부는 제2 좌안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상부 보조 표시부와 제2 상부 보조 표시부는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implementing the 3D image,
The first upper main display unit displays a first left eye image;
Wherein the first lower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main display unit display the same right eye image;
The second lower display unit displays a second left eye image;
Wherein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unit display a black im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에 의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es are turned off by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when the 2D image is implemen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제1 방전제어전압과 제2 방전제어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방전 제어라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방전 제어라인에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제2 화소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상기 공통라인에 접속되는 드레인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방전 제어라인에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제5 화소전극에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상기 공통라인에 접속되는 드레인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play panel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control line to whic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voltage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are selectively applied;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trol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mmon li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영상 구현시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차단하고,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허여하여 상기 제2 화소전극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공통전압까지 방전시키고;
상기 제2 방전제어 스위치는,
상기 2D 영상 구현시 상기 제5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차단하고,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5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라인 간 전류 패스를 허여하여 상기 제5 화소전극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공통전압까지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comprises:
Wherein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current path are disconnected in the 2D image implementation, and when the 3D image is implemented, a current path between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is applied, To the common voltage;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comprises:
The second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current path are disconnected in the 2D image implementation, and in the 3D image realization, the voltage between the fifth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line is supplied to the fifth pixel electrode, Is discharged to the common volt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1 편광과 제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패턴드 리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패턴드 리타더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상기 제1 편광으로 통과시키는 제1 리타더와,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상기 제2 편광으로 통과시키는 제2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은 상기 제1 상부 보조 표시부 및 상기 제2 상부 보조 표시부 각각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attern reliader for dividing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to first and second polarized light beams,
The patterned retarder including a first retarder for passing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a second retarder for passing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second polarized light;
And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retarder and the second retarder is opposed to the first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auxiliary display por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의해 슬라이트-온 되는 상기 제1 방전제어 스위치의 온 채널 저항은, 상기 풀-온 레벨의 제1 스캔펄스에 의해 풀 온 되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온 채널 저항보다 크고, 상기 오프 레벨의 제1 스캔펄스에 의해 오프 되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오프 채널 저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3D image realization, the on-channel resistance of the first discharge control switch which is turned on b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is higher than the on-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which is greater than the on-channel resistance of the first switch and is off by the first scan pulse of the off-lev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2 방전제어전압에 의해 슬라이트-온 되는 상기 제2 방전제어 스위치의 온 채널 저항은, 상기 풀-온 레벨의 제3 스캔펄스에 의해 풀 온 되는 상기 제5 스위치의 온 채널 저항보다 크고, 상기 오프 레벨의 상기 제3 스캔펄스에 의해 오프 되는 상기 제5 스위치의 오프 채널 저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3D image realization, the on-channel resistance of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switch, which is turned on b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voltage, is turned on by the third scan pulse of the pull- Channel resistance of the fifth switch turned off by the third scan pulse of the off level.
KR1020110082838A 2011-08-19 2011-08-19 Image display device KR101924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38A KR101924621B1 (en) 2011-08-19 2011-08-19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38A KR101924621B1 (en) 2011-08-19 2011-08-19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94A KR20130020294A (en) 2013-02-27
KR101924621B1 true KR101924621B1 (en) 2018-12-03

Family

ID=4789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838A KR101924621B1 (en) 2011-08-19 2011-08-19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604B (en) * 2013-07-19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rray base palte and display panels
CN103472644B (en) * 2013-09-25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rray base palte and display panels
CN105388674B (en) * 2015-12-02 2018-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94A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379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829455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46381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493555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8878748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capable of selectively implementing a two-dimensional plane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KR101864448B1 (en) Image display device
JP5583721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643000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of
KR101924621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88521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818251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878483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97763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73191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57971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777873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780825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953316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