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74B1 -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74B1
KR101924474B1 KR1020130001761A KR20130001761A KR101924474B1 KR 101924474 B1 KR101924474 B1 KR 101924474B1 KR 1020130001761 A KR1020130001761 A KR 1020130001761A KR 20130001761 A KR20130001761 A KR 20130001761A KR 101924474 B1 KR101924474 B1 KR 10192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emory area
product
electric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9839A (en
Inventor
김양환
전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74B1/en
Priority to US14/029,091 priority patent/US9385784B2/en
Priority to CN201310439787.7A priority patent/CN103684538B/en
Publication of KR2014008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에 제공되며, 설정거리내 접근한 통신모듈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하여 송신 또는 발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제 1 메모리 영역;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한,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이 포함된다.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NFC module provid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 module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NFC module and recognizing a communication module approaching within a set distance;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or transmitted through the NFC module, wherein the memory unit includes: a first memory are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al product; A second memory area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n which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ance is stored; And a third memory area for storing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Figure R1020130001761
Figure R1020130001761

Description

전기제품{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product.

일반적으로 가정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에는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또는 청소기가 포함된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home appliances include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 cooking appliance, or a vacuum cleaner.

종래의 전기제품에 의하면, 전기제품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컨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appliance, a remote controller or a portable terminal is used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liance.

자사에서 출원한 특허 출원번호 10-2004-0080033호에는, 원격지에 있는 전자제품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80033 filed by the company discloses a r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can control an electronic product at a remote place using a portable terminal.

이 선행특허에는, 원격지의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모드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전자제품의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원격 제어신호는 중계기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되어 해당 전자제품으로 전송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안에 있는 전자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In this prior patent, a remote control signal of a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to be controlled by a portable terminal is output in a remote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and a remot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by a relay device,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in a home using a portable terminal by being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는 중계기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원격제어 과정에서 기기간에 통신이 실패되는 문제점, 즉 통신수단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patent, a repeater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separate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munication fails between the devices in the remote control process, that is,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means is lowered.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aims to provide an electric appliance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에 제공되며, 설정거리내 접근한 통신모듈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하여 송신 또는 발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제 1 메모리 영역;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한,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이 포함된다.The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NFC module provid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 module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NFC module and recognizing a communication module approaching within a set distance;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or transmitted through the NFC module, wherein the memory unit includes: a first memory are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al product; A second memory area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n which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ance is stored; And a third memory area for storing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제품이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NFC)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 또는 작동오류 해결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 또는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한 전기제품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product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a terminal by short range communication (NFC),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or operation error is acquired or acquir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mart electric product.

특히,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전기제품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단말기로부터 전기제품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기능을 업데이트 하거나 전기제품의 작동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r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anc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appliance, it is easy to update the function of the appliance or to solve the problem in operation of the appliance .

또한, NFC 통신방식을 통하여 전기제품과 단말기가 통신될 수 있으므로 기기간 통신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통신환경 설정을 위한 부대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terminal can be communicat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s is not required, and the additional cost for setting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reduced.

또한, NFC 통신모듈에는,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와 전기제품의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별도로 구성되는 메모리부가 제공되므로, 특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the memory unit in which the memory area for stor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the electric product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ic appliance are separately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and receive specific data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정보가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transmitted to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how exter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통신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단말기(100) 및 전기제품(200)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은 전기제품의 일 종류로서 세탁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기제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to 3,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0 and an electrical product 200. The terminal 100 and the electrical product are communicably connected. 1 shows a washing machine as one kind of an electric appliance, the appliance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통신모듈(110) 및 디스플레이부(101)가 포함된다. Th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a display unit 101 communicable with the electrical product 200.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본체(201)와, 입력부(205), 디스플레이부(206) 및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할 수 있는 제 2 통신모듈(21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205), 디스플레이부(206) 및 제 2 통신모듈(210)은 상기 본체(20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203)에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ical product 200 includes a main body 201, an input unit 205, a display unit 206,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capable of recogniz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205, the display unit 20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203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1.

상기 입력부(205)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을 위한 운전조건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운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An operating condition for driving the electrical product 200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5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6. [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전기제품(2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 일례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메모리부(170) 및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170)와 제 1 통신모듈(110)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50)가 더 포함된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memory unit 170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rogram, for example,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전기제품(200)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부(260) 및 상기 제 2 통신모듈(210)과 구동부(26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260)는 모터 또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product 200 includes a driving unit 260 driven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a control unit 250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he driving unit 260. The driving unit 260 may include a motor or a heater.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전기제품의 내부 정보를 Writing(읽기 기능) 하거나,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저장된 외부 정보를 Reading(쓰기 기능)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write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or read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정보는, 전기제품의 구동중에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작동에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For example,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may include operational erro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의 외부 정보는, 전기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외부에서 발생한 정보 즉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전기제품의 외부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작동코스 정보로서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 또는 조리기기의 조리코스 정보(Cook data)가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product, and may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at 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may include washing cours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or cooking course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Cook data) as operating cour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간에는, 일 통신방식으로서 제 1 인터페이스(310)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310)에는, NFC 방식이 포함된다. A first interface 310 may be defined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For example, the first interface 310 includes an NFC scheme.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무선태그(RFID) 기술중의 하나로서, 특정 주파수(13.56MHz) 대용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NFC는 기기간의 통신거리가 짧기 대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on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ies, and is a non-contact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specific frequency (13.56 MHz) instead. NFC has advantages of relatively high security and low price becaus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devices is short.

따라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은 NF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이해되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을 "NFC 모듈"이라 이름한다.Therefo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re understood 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NFC function, and they ca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referred to as an "NFC module ".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태깅(Tagging)되면, 즉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이 설정거리 내에 있게 되면, 상기 단말기(100)와 전기제품(200)간에 통신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terminal 100 approaches and is tagged within the set distanc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that is,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re within the set distance, (100) and the electric appliance (200),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제 2 통신모듈(210)과 제어부(250)간에는, 다른 통신방식으로서 제 2 인터페이스(320)가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320)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이 포함된다. The second interface 320 may be defined as another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he control unit 250. [ For example, the second interface 320 includes an I2C (Inter-integrated Circuit) scheme.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이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의 접근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21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모듈 인식부(211)는 안테나(antenna)일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ncludes a module recognition unit 211 that recognizes the access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pproaches the set distance. For example, the module recognition unit 211 may be an antenna.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는, 전기제품(2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220)에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메모리 영역(221,223,225)가 포함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220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al product 200. The memory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memory areas 221, 223, and 225 for storing different information.

상기 다수의 메모리 영역(221,223,225)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 영역(221)과,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223) 및 전기제품(200)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로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225)이 포함된다.A plurality of memory areas 221, 223, and 225 are provided with a first memory area 221 in which information unique to the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relating to communication, or install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information generated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200 A second memory area 223 to be stored and a third memory area 225 in which information received externally is stored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일례로 전기제품의 종류(세탁기, 조리기기, 냉장고등)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 전기제품의 고유 ID(동일 모델명이라도 ID는 달라질 수 있음), 전기제품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작동코스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In the first memory area 221, information unique to the electrical product,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electrical product (washing machine, cooking appliance, refrigerator, etc.), information on the model name of the electrical product, The ID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model name is used), and information about a program (operation course software)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ic appliance.

상기 통신에 관한 정보에는, 제 1 인터페이스(310) 또는 제 2 인터페이스(32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치국가 또는 지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irst interface 310 or the second interface 320. [ Th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country or area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는, 전기제품(200)의 구동과정에서 발생한 정보,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구동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information on the error or the error diagnosis result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driving of the electronic product 200, for exampl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electronic product 200 Lt; / RTI >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쓰기)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은 상기 제어부(250)가 Writing 가능한 메모리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ical product 200, the controller 250 writes information about the error or information about the diagnosis result of the electrical product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at a predetermined time, can do. Accordingly, the second memory area 223 can be understood as a memory area in which the controller 250 can write.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Writing을 수행하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된 정보를 Reading(읽기) 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250 performs the writing, the terminal 100 may be in a state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은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한 즉시, 상기 전기제품(200)이 작동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작동코스가 완료될 때 및 상기 전기제품(200)의 전원이 OFF 되었을 때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immediately after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ical product 200, when the operation course is completed and when the electrical product 200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is turned off.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에 에러가 발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이 도달한 경우,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에는 에러발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 상기 에러발생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제품(200)의 에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been reached, the erro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6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When the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6, information on an error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can be confirmed using the terminal 100.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접근하여,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내부 발생정보(에러발생 정보)는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된 내부 발생정보를 Reading 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when th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the module recognition unit 211 recogniz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And may be transferred from the second memory area 223 to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terminal 100 can read the gener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한편,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에러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100)에서 에러에 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nformation on the error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information on the error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100 can perform an error diagnosis .

반면에, 상기 에러 진단결과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50)에서 에러에 관한 진단을 수행하고 진단결과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ormation on the error diagnosis result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the controller 250 performs an error diagnosis and outputs a diagnosis result to the second memory area 223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중에 소모된 전력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설정거리 내로 접근되어, 상기 전력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information on power consumed during driving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may be stored. The terminal 100 may approach the electric appliance 2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ead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power.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In the third memory area 225,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may be stored.

상기 외부 발생정보에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인 경우,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조리기기의 조리정보(Cook data)일 수 있다.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product 200 is a washing machine,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may be laundry cours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f the electric appliance 200 is a cooking appliance,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may be cook data of the cooking appliance.

상기 전기제품(200)은 소정의 코스에 따라 상기 구동부(260)를 구동하는 제품으로 이해되며, 상기 전기제품(200)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코스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코스는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ic appliance 200 is understood to be a product that drives the driving unit 26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urse, and the electric appliance 200 may store one or more operational courses. And, the operation course can be updated through the terminal 100.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대한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 즉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는 소정의 서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detail, the terminal 1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or update information, i.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server (not shown), and may download and sto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며,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정보를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Writing 할 수 있게 된다.The module recognition unit 211 recogniz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when th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set distanc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thir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area 225. That is, the terminal 100 can write the information to the third memory area 225.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외부 발생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그리고, Reading 된 정보는 전기제품(200)의 메인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은 상기 제어부(250)가 Reading 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read the exter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hird memory area 225. [ The rea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main memory (not show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As a result, the third memory area 225 can be understood as a memory area that the controller 250 can read.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된 외부 발생정보(작동코스 정보)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업데이트 정보로서 전기제품의 작동에 반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perating cour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electric appliance 200 can be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as updat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

한편,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저장되는 내부 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되는 외부 발생정보는 최신정보가 발생되면 덮어쓰기가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or the ex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third memory area 225 may be overwritten when the latest information is generated.

즉, 상기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는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정보이므로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발생되면, 기존의 정보는 삭제되고 상기 새로운 정보가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 또는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ex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over time, when related new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existing information is deleted and the new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223 or the third memory Area 225. < / RTI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using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먼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100)에 규정되는 다수의 통신 모드 중 "NFC 모드"가 ON된 상태에서 시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NFC 모드"가 OFF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NFC 모드"를 ON할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화면 또는 음성)가 출력될 수 있다.First,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can be executed.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in a state in which the "NFC mode"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defined in the terminal 100 is ON. If the application wants to execute the NFC mode, the terminal 100 may output a message (screen or voice) to turn on the NFC mode.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11).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terminal 100 can receive the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or transmit information (external gener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to the electric appliance 200 200) (S11).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NF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드가 포함된다.The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des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using the NFC communication method.

이러한 다수의 모드 중,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Among these multiple modes, a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can be executed.

제 1 송수신 모드는, 제 1 송수신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내부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In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may be a mod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tern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electric appliance 200 to the terminal 100.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내용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 진단결과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information on the error content or information on the error diagnosis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그리고, 제 2 송수신 모드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외부 발생정보(외부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may be a mode for receiving, from the terminal 100,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exter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일례로, 제 2 송수신 모드는,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인 경우 상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전기제품(200)이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는 조리코스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S12).For example,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may be a mod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course of the appliance 200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appliance 200. [ Here, if the electric appliance 200 is a washing machine,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course is information on a washing course. If the appliance 200 is a cooking applia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course is information about the cooking course (S12).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Tagging)될 수 있다(S13).The module recognition unit 211 may acces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by approaching the terminal 100 within a set distanc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in a state where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executed. do. That is, the terminal 100 can be tagged to the electrical product 200 (S13).

상기 모듈 인식부(211)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을 인식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가 상기 전기제품(200)으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되거나 외부 발생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된다. When the module recognition unit 211 recogniz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an be performed. That is,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200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product 200 to the terminal 100, or ex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electric product 200.

상기 데이터, 즉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는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에 관한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14).The display unit 206 of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the display unit 101 of the terminal 100 may be informed of the progress of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data, May be displayed (S14).

상기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206) 또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 전송완료 메세지가 표시되거나, 소리(Beeper)가 외부에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r the ex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is complete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completed may be displayed on the outside. For example, a transmission completion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6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or the display unit 101 of the terminal 100, or a beep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일례로, 상기 내부 발생정보 중 에러에 관한 정보 또는 에러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는 상기 에러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 또는 진단완료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S15).For example, when information on an error or an error diagnosis result in the inter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the display unit 101 of the terminal 1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error diagnosis result, A diagnosis completion message may be displayed (S15).

이하에서는,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내부정보가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product transmitted to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ntrol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to the terminal 100. FIG.

먼저,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소정의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내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 하게 된다. 상기 내부 발생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에러정보 또는 전기제품의 소모 전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모드를 "제 1 송수신 모드"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electrical product, the controller 250 writes the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into the second memory area 223. The in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error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or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mode of data generated in this process may be called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

일례로, 상기 내부 발생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에러정보 일 경우, 에러가 발생한 즉시, 전기제품의 작동코스가 완료된 후 또는 전기제품의 전원이 OFF 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NFC 쓰기 가능한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information is the error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the control unit 250, when the operation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completed or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turned off, (210) is in the NFC writeable mode.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상기 NFC 쓰기 가능한 모드에 있으면, 상기 에러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상기 에러 정보를 Writing 하게 된다. I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in the NFC writeable mode, the error information is written to the second memory area 223 by writing the error information.

이 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에러정보와 함께 검증정보를 함께 Writing 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Writing 후,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223)으로부터 상기 검증정보를 다시 Reading함으로써 Writing을 완료하게 된다 (Write (A1)).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writes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erro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50 completes the writing by rewriting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memory area 223 after writing (Write (A1)).

한편,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기제품(200)에 관한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이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때, 변경 또는 업데이트 될 정보가 있다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변경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Writing 할 수 있다 (Write (A2)).Meanwhile, the control unit 250 can check the unique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r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al product 200 and update the first memory area 221 . At this time, if there is information to be changed or updated, the control unit 250 can write change or update information in the first memory area 221 (Write (A2)).

상기 단말기(100)가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통신 대상이 되는 적합한 전기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Read (B1)).When th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set distance of the electric product 200 while the application and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re executed,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200, Or installation in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the electrical product 200 is a suitable electrical product to be communicated (Read (B1)).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에러 정보를 Reading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검증정보를 함께 Reading 할 수 있다 (Read (B2)).Then, the terminal 100 can read the error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can read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Read (B2)).

이와 같이, 전기제품의 내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확인 또는 진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us,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product can be confirmed or diagnosed by using the terminal, so that the usability is increas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정보가 전기제품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how exter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control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ic product 200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electric product 200. FIG.

상기 단말기(100)는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에 Writing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발생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에 필요한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기제품(200)이 세탁기이면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세탁코스 정보이고, 조리기기이면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조리코스 정보일 수 있다.The terminal 100 may writ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lectrical product 200. [ In one example,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course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 In detail, if the electric appliance 200 is a washing machine,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is laundry course information, and if the appliance 200 is a cooking appliance,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may be cooking course information.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모드를 "제 2 송수신 모드"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mode of data generated in this process may be referred to as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

먼저, 상기 단말기(100)가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를 Reading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이 통신 대상이 되는 적합한 전기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Read (B1)).When th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set distanc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while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Or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the electrical product 200 is a suitable electrical product to be communicated (Read (B1)).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발생정보를 검증정보와 함께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3)에 Writing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Writing 후,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으로부터 상기 검증정보를 다시 Reading함으로써 Writing을 완료하게 된다 (Write (A)).The terminal 100 writes the generated external information in the third memory area 223 together with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100 completes the writing by rewriting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memory area 225 after the writing (Write (A)).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NFC 읽기 가능한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이 상기 NFC 읽기 가능한 모드에 있으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221)에 저장된 전기제품의 고유정보를 Reading 하여 통신 가능상태를 확인한다 (Read (B2)).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in the NFC readable mode. I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in the NFC readable mode, the controller 250 read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stored in the first memory area 221 and confirms the communicable state (Read ( B2)).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225)에 저장된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검증정보와 함께 Reading 함으로써 Reading을 완료하게 된다 (Read (B3)). Reading 된 외부 발생정보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위한 정보로 반영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250 completes the reading by reading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ird memory area 225 together with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Read (B3)).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hat is read can be reflected as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이와 같이, 전기제품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전기제품의 작동에 필요한 코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한 전기제품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ectric appliance can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updat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t is possible to use a smart electric applia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일부 구성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이전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s in some configurations,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s and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ortion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단말기가 전기제품에 태깅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control method in the case where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tagging the terminal to the electrical product will be described.

먼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통신모드 중 NFC 모드가 ON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First, a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can be executed in a state where the NFC mode is turned on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provided in the terminal.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 발생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전기제품(200)의 작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전기제품(2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21).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terminal 100 can receive the internally gener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or transmit information (external gener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to the electric appliance 200 200) (S21).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관한 설명은, 도 4의 설명을 원용한다(S22).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can be executed.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FIG. 4 (S22).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내로 접근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Tagging)될 수 있도록 한다(S23).The terminal 100 may be accessed within a set distanc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so that the terminal 100 may be tagged to the electrical product 200 in a state where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S23).

상기 단말기(100)의 태깅이 인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이루어진다(S24,S25).If tagging of the terminal 100 is recognized,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24, S25).

상기 단말기(100)의 태깅이 이루어져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인식된다(S26).여기서, "에러"라 함은 상기 제 1 통신모듈(110)과 제 2 통신모듈(210)이 통신 불가 또는 제한된 상태에 있는 경우,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가 상기 전기제품(200)의 설정거리를 벗어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t is recognized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process of tagging the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Here, the "erro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s out of the set distance of the electric appliance 200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is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or restricted.

상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계속 수행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고, 완료정보가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료정보는 상기 단말기(100) 또는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S26,S27).If the error does not occur,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data is continued to comple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nd the comple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outside. For example, the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100 or the electronic product 200 (S26, S27).

반면에, S24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태깅이 인식되지 않았으면,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일례로 약 10초일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이후 상기 제 1 설정시간 동안 태깅 인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8).On the other hand, if the tagging of the terminal 100 is not recognized in step S24, it is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first set time may be, for example, about 10 seconds. That is, after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execu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gging is recognized during the first set time (S28).

상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태깅위치를 가이드 하는 메세지가 화면으로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를 정확한 위치에 대어 주세요"라는 메세지 또는 음성이 표시될 수 있다(S29). When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a message for guiding the tagging position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100 or the electrical product 2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informed by voice. For example, a message "please put the terminal at the correct position" or a voice may be displayed (S29).

한편, S26 단계에서, 데이터 송수신 중 에러가 발생하였다면, 제 2 설정시간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재시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일례로 약 3초일 수 있다.(S30).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dur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 step S26,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is retried for the second set time. Here, the second set time may be, for example, about 3 seconds (S30).

상기 제 2 설정시간 이후에 에러가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된다(S31). 에러가 해결되었다면, S25 이하의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에러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전기제품(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태깅위치를 가이드 하는 메세지가 화면으로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S32). Whether or not the error has been resolved after the second set time is recognized (S31). If the error is resolved, steps S25 and below are performed again. On the other hand, if the error has not been solved, a message for guiding the tagging position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100 or the electric appliance 2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informed by voice (S32).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전기제품(200)에 태깅되는 과정 또는 태깅 인식이후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발생사실을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태깅위치에 대한 가이드를 하여 줌으로써 특정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tagging the electronic product 200 to the electronic product 200 or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fter the tagging is recognized, the user is guided to the tagging position by displaying the error occurrence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or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200)의 제어부에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21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252)가 포함된다.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251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a main control unit 252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251 in a communicable manner do.

상기 메인 제어부(252)는 상기 전기제품(200)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2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52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60 for driving the electric product 200. The display control unit 251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6, The control unit 206 can be understood a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6.

상기 제 1 송수신 모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내부에서 정보, 일례로 작동 에러정보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52)는 상기 작동 에러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에 전송한다. In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when information, for example, operation error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electrical product 200, the main control unit 252 transmits the operation error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251.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는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의 제 2 메모리 영역(223)에 상기 작동 에러정보를 Writing 하고, Writing 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51 writes the operation error information to the second memory area 223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he writte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

반면에, 상기 제 2 송수신 모드에서, 상기 전기제품(200)의 외부에서 정보, 일례로 전기제품(200)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전기제품(200)의 제 2 통신모듈(210)의 제 3 메모리 영역(225)으로 전송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에서 Reading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200 occurs, for example, from outside the electrical product 20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hird memory area 225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read by the display controller 251.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51)는 Reading 된 정보는 상기 메인 제어부(252)로 전송하게 된다.Then, the display controller 251 transmits the read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252.

이와 같이,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06)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06)가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데이터를 Writing 하거나 상기 제 2 통신모듈(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Reading 하게 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206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206 writes dat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or transmits the data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 [ And read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252)의 통신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전기제품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on load of the main control unit 252 is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can be improved.

100 : 단말기 101 : 디스플레이부
110 : 제 1 통신모듈 150 : 단말기제어부
170 : 단말기 메모리부 200 : 전기제품
210 : 제 2 통신모듈 211 : 모듈 인식부
220 : 메모리부 221 : 제 1 메모리 영역
223 : 제 2 메모리 영역 225 : 제 3 메모리 영역
250 : 제어부 251 : 디스플레이 제어부
252 : 메인 제어부 260 : 구동부
310 : 제 1 인터페이스 320 : 제 2 인터페이스
100: Terminal 101:
110: first communication module 150:
170: Terminal memory unit 200:
21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1: module recognition unit
220: memory unit 221: first memory area
223: second memory area 225: third memory area
250: control unit 251: display control unit
252: main control unit 260:
310: first interface 320: second interface

Claims (25)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에 있어서,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에 제공되며, 설정거리내 접근한 상기 통신모듈을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 및
상기 NFC 모듈을 통하여 송신 또는 발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제 1 메모리 영역;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한,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정보가 저장되는 제 3 메모리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제품에 상기 작동에러에 관한 정보가 발생되면, 상기 작동에러에 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상기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전기제품.
1. An electric appliance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a terminal,
An NFC modul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 module recognizing unit provided in the NFC module and recognizing the communication module within a set distance;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or transmitted through the NFC module,
A first memory are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 appliance;
A second memory area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n which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ance is stored; And
And a third memory area for storing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rein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includes information on operational errors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error is switched to a state ready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at a preset time when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error is generated in the electrical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에 관한 정보에는,
전기제품의 고유정보, 통신에 관한 정보 또는 설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ical product includes,
Electrical appliances that contain unique information about electrical products, information about communications, or information about install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고유정보에는,
전기제품의 종류, 모델명 또는 구동 프로그램 버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ncludes,
Electrical appliance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electrical product, model name, or driver program ver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설치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이 설치되는 국가정보 또는 지역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Wherein the electric appliance includes country information or local information in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은 쓰기 가능한 메모리 영역인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mory area is a writable memory are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쓰기 가능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제품.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apable of writing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to the second memory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에는,
에러발생 즉시,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가 종료된 후 또는 상기 전기제품의 전원이 OFF된 시점이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preset time,
An electric appliance including an operating time of the electric appliance, or a time when the electric appliance is turned off, immediately after occurrence of an err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에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operational errors of the electrical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소모전력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 includes,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이 인식되면,
상기 내부 발생정보는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recognized through the module recognition unit,
And the internal gener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emory area to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은 읽기 가능한 메모리 영역인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memory area is a readable memory are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읽기 가능한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제품.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reading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third memor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이 인식되면,
상기 외부 발생정보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recognized through the module recognition unit,
And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terminal to the third memor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외부 발생정보에는,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includes,
And information regarding an operation course of the electric produc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에는,
세탁기의 세탁코스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course of the electric appliance includes,
Electrical appliances that contain washing cours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코스에 관한 정보에는,
조리기기의 조리코스 정보가 포함되는 전기제품.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course of the electric appliance includes,
An electrical product containing cooking course information of a cooking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내부 발생정보 또는 외부 발생정보는,
최신 정보가 발생되면 덮어쓰기 가능한 상태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r the external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in an overwritable state when upd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일 송수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제 1 설정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 또는 전기제품에는 에러 정보가 표시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on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is executed,
And if the access within the set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is not recognized during the first set time, erro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or the applianc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10초인 전기제품.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set time is 10 second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이 인식되어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단말기의 통신모듈의 설정거리내 접근이 인식되지 않은면, 상기 단말기 또는 전기제품에는 에러 정보가 표시되는 전기제품.
21. The method of claim 20,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access within the set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And if the access within the set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is not recogniz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erro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or the applianc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3초인 전기제품.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second set time is 3 seco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전기제품의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제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riving unit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display unit of the electric product.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내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라이팅(Writing) 하거나,
상기 외부 발생정보를 상기 제 3 메모리 영역에 리딩(Reading)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NFC module is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 unit,
Writing the internal generated information into the second memory area,
And reads the external occurrence information into the third memory area.
KR1020130001761A 2012-09-24 2013-01-07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924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61A KR101924474B1 (en) 2013-01-07 2013-01-07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US14/029,091 US9385784B2 (en) 2012-09-24 2013-09-17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439787.7A CN103684538B (en) 2012-09-24 2013-09-24 Mobile terminal,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61A KR101924474B1 (en) 2013-01-07 2013-01-07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39A KR20140089839A (en) 2014-07-16
KR101924474B1 true KR101924474B1 (en) 2018-12-03

Family

ID=5173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61A KR101924474B1 (en) 2012-09-24 2013-01-07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74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156A (en) * 1997-10-17 1999-04-30 Nec Corp Data communication system in multiprocessor system
JP2002085885A (en) *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Laundry system
KR100761019B1 (en) * 2005-12-30 200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ement Of Food Stuff Using RF Communication Network of Refrigerator in Smart Communicator
EP2026615B1 (en) * 2007-07-30 2014-10-29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product
KR101563487B1 (en)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39A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301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US20140087661A1 (en)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1914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a device for cleaning a submerged surface
CN104160717B (en) Communication means, portable terminal, the action initialization system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an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CN104093218A (en) Mobile internet of things built based on NFC technology an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thereof
EP3252699A1 (en) Plant equipment state gathering system
CN106325239A (en) Base station for gathering data from localized sensors
US20230281403A1 (en) Shared controller for system with multiple nfc readers
TW201351912A (en) Display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rresponding portable eletronic apparatus
KR20210032948A (en) Measuring device with near-field interaction device
JP6323331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and server
JP2010097390A (en) Data rewriting system
CN106094708A (en) PLC remote on-line monitoring method, system, monitor terminal and remote server
KR20120122233A (en)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924474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2069865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617548B1 (en) A home appliance using a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52534B1 (en) Method for Firmware upgrading cellular phone and cellular phone terminal therefor
CN109951599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ts system
CN105068699A (en) Novel none-driver touch screen parameter setting system
CN1979580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11220A (en) Electric product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of the same and Network system
US102898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apparatus, reader/writer
KR20150072921A (en) Device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CN103176822A (en) Data download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